audio
audioduration (s) 2.72
33.2
| sentence
stringclasses 229
values | loc
stringclasses 2
values |
---|---|---|
아니 종일 홀태로 훑어야 베 두어 섬 될까 말까 한디, 왜 홀태를 쓰는 겨?
|
chung
|
|
이런 암석이 하나 이릏게 섰는데, 꼭 병풍 세운 것같이 생긴 돌이 있슈.
|
chung
|
|
김장 무수를 심구러문 고랭이를 그렇게 쫍게 맹글문 안 돼.
|
chung
|
|
그렇게 송송 썰지 말고, 깍두기 할 무수니까 숭숭 크게 썰고 말어유.
|
chung
|
|
집 지을 때 칼이 무뎌지면, 칼이고 낫이고 다 숫돌로 가는 겨.
|
chung
|
|
제사 때 밥은 다 따루따루 떠가지고 지내지, 기양 한꺼번에 놓고 지내는 건 안 돼유.
|
chung
|
|
옛날에 형제가 많아서 핵교를 못 다니셨는데, 형제가 몇 명이셨슈?
|
chung
|
|
짚신도 많이 맹글어서 신어 보신 거 같은데, 그걸 우티게 맹글어유?
|
chung
|
|
이런 디는 나무가 별로 안 붸는데, 주로 워디서 나무를 하는 겨?
|
chung
|
|
부스레기 나문, 기름도 바르고, 인저 여러 가지 치료도 하던데, 옛날에는 부스레기 나문 우티게 치료했슈?
|
chung
|
|
아니 니 형도 서울 가고 너까지 떠나문, 니 엄닌 외로울 텐데.
|
chung
|
|
엄니 보청기 처음 하문, 귓속이 왕왕거리는데 원제 한 겨?
|
chung
|
|
무수짱아치를 맹글 때, 동치미 무수를 메칠 담갔다가 바깥에 늘어 놔야 돼유?
|
chung
|
|
근디 아줌니, 밭에서 땅 파구 다니는 두더쥐 본 적 있슈?
|
chung
|
|
아니 오늘 토요일인데 집에는 우티게 사람이 하나도 웂구, 식구덜이 다 한치 여행을 간 겨?
|
chung
|
|
근디 아까 보니까 다리가 많이 불편하신가, 낮에 공을 차다가 자빠져서 많이 다쳤슈?
|
chung
|
|
그 집 둘째가 어릴 때는 그렇게 속을 썩이더니, 시방은 신통하게 속이 참 지푼가 봐유?
|
chung
|
|
옛날에 집에서 장적불 때다가, 장적이 금방 안 붙으면 밑에다가 불쏘시개를 늫어유?
|
chung
|
|
방죽은 물이 적으니깨 흙보를 쌓고 나서 돌보를 쌓는 겨?
|
chung
|
|
우티게 이릏게 집을 환하게 맹그셨슈?
|
chung
|
|
그걸 즌부 미리 끊어서 목수가 준비를 다 하고, 그럼 인저 기둥을 우티게 세워유?
|
chung
|
|
그러면 집에 아들이 닛, 딸이 싯, 칠남매면 식구가 많아서 괭장히 좋겄슈?
|
chung
|
|
도포는 이릏게 생겼는데, 두루매기는 우티게 생겼는지 알아유?
|
chung
|
|
시방 너무 더워서 창문을 열었으면 싶은데, 사위 온다고 엄니가 군불을 때는 겨?
|
chung
|
|
이건 쩍삼이지, 옛날엔 무슨 시방같이 와이셔츠니 하는 게 있었겄슈?
|
chung
|
|
기양 시골 농사 지은 걸루 무쳐서 먹는 거지만, 적당히 절인 배차는 증말로 맛있슈.
|
chung
|
|
예전에는 산이 지다 민둥산이었으니까 칡덩쿨이 천지여서, 그거 잘라다가 칡노끈 많이 맹글었슈.
|
chung
|
|
애기가 기어 다니다가 마루에서 뜰로 떨어졌는데, 워디 막 찢어진 겨?
|
chung
|
|
옛날에는 논에다가 기양 볍씨를 갖다 뿌려가지고 기양 놔 뒀슈.
|
chung
|
|
집에 와서 삼년만에 우리 시아버지가 돌아가시고, 살 길이 웂어서 넘의 논 부치고 그랬슈.
|
chung
|
|
요새도 참은 국시나 라면을 삶아주기도 하고, 참을 할 사이가 웂으면 빵도 사다가 줘유.
|
chung
|
|
그 집은 돌로 지어서, 속은 벽돌이지만, 생전 페인트칠할 일도 웂고 좋잖아유.
|
chung
|
|
행상에 인저 올려 놓고, 이릏게 마지막으로 인사를 한 다음에는 우티게 해유?
|
chung
|
|
그 사람이 어려서 경기를 많이 해서 쫌 모자라긴 한데, 착하고 시키는 일 잘했슈.
|
chung
|
|
백일 때는 미역국에 쌀밥해 가지고 삼신할머니한테 한 그릇 떠 놨다가, 애기 엄마가 기양 먹어유.
|
chung
|
|
치마 고쟁이라고 주문 이 뒤에다가 허리끈을 잡아 매고 입고 그랬슈.
|
chung
|
|
전화선 이릏게 구부려서 올가미 해서, 인저 토깽이 다니는 디다가 이릏게 매는 겨.
|
chung
|
|
병원에서 인저 여름 휴가라고 메칠은 오지 말라는데, 참는 동안 다리가 아파 죽겄슈.
|
chung
|
|
돌 때 붓하고 공책하고 연필하고 실하고 이릏게 갖다 놨더니, 애가 돈부터 집어유.
|
chung
|
|
소달구지 그걸 끌고 가서 보리도 베다가 주고, 또 쇠꼴도 이릏게 베어다 주고 했슈.
|
chung
|
|
옛날에는 서로 못 사니까 밥이라도 쫌 얻어먹으려고 했지만, 지금은 떡도 기양 줘도 안 먹어유.
|
chung
|
|
담장이 무너져서 뒤뜰 길이 맥혔는데, 저 담장 새로 쌓으려면 힘을 쫌 써야 돼유.
|
chung
|
|
예전에는 신랑을 볼 수 웂었고, 혼인은 집안에서 하라는 대로 기양 하는 거였슈.
|
chung
|
|
아랫집 사람이 이제 벌한테 쏘였다고 하는데 얼굴이 팅팅 부어서 아파 죽겄다고 난리를 폈슈.
|
chung
|
|
시집 오기 전에는 농사일 거들면서 심부름도 많이 하고, 엄니가 늦으면 저녁밥도 하고 그랬슈.
|
chung
|
|
오늘 사람들 많은 디서 바지춤이 후르륵 찢어지면서 고쟁이가 확 드러나 버린 겨.
|
chung
|
|
짱아치는 누구한테 배운 건 아니지만 취나물, 더덕, 도라지, 무수 뭔 장아찌든지 안 하는 거 웂슈.
|
chung
|
|
단독 주택으로 이사 오니까 옥상에 대파 같은 거 심궈서 쪼꼼씩 필요할 때마다 뜯어 먹는 겨.
|
chung
|
|
옆집 사람이 겨우내 맨날 칡뿌리 캐러 다녔는데, 요 메칠은 꺼끔하네.
|
chung
|
|
그 양반은 이빨이 다 빠졌는데도 잇몸으로 우물우물하면서 괴기를 잘 먹었슈.
|
chung
|
|
걔덜이 쪼꼼 늦는가 본데, 밥 때 맞춰 안 들어오고 우티게 된 겨?
|
chung
|
|
갑자기 차가 와서 비키다가 논두렁에 빠졌는데, 지우 빠져 나왔슈.
|
chung
|
|
흙집 지었다가 무너지면, 인저 벽돌집도 짓고 새로 집을 많이도 지었슈.
|
chung
|
|
조끼인데 등허리를 천 코를 떠서 맹근 조끼라서, 이릏게 얇지 않고 쪼꼼 뚜꺼워유.
|
chung
|
|
우리 친정에는 옛날에 아버지가 우티게 해 가지고, 자꾸 소를 멕여서 논을 많이 부쳤슈.
|
chung
|
|
예전에는 뭐 광목 같은 것도 마음대로 못 떠서, 즌부 목화 심궈서 삼베옷 해서 입었슈.
|
chung
|
|
늙은 호박은 애기 낳은 사람덜한테 좋다는데, 뭐에 좋고 우티게 해 먹는 겨?
|
chung
|
|
아니 종일 홀태로 훑어야 베 두어 섬 될까 말까 한디, 왜 홀태를 쓰는 겨?
|
chung
|
|
가을에 베 다 벤 뒤에 가을갈이 친다고, 겨울에 춥기 전에 다 갈아놓는 겨.
|
chung
|
|
이런 암석이 하나 이릏게 섰는데, 꼭 병풍 세운 것같이 생긴 돌이 있슈.
|
chung
|
|
김장 무수를 심구러문 고랭이를 그렇게 쫍게 맹글문 안 돼.
|
chung
|
|
넘덜은 제 성한테 달려들지도 않고, 싸움도 안하는데, 너도 쫌 우애있게 지내.
|
chung
|
|
무명을 자아서 베틀에다 놓고 짜는 건데, 지금은 어두워서 못 하니까 하지 말어유.
|
chung
|
|
그렇게 송송 썰지 말고, 깍두기 할 무수니까 숭숭 크게 썰고 말어유.
|
chung
|
|
집 지을 때 칼이 무뎌지면, 칼이고 낫이고 다 숫돌로 가는 겨.
|
chung
|
|
겨울 되문 안에 두고, 얼문 또 썩으니까 고구마는 얼구지 말아야 돼.
|
chung
|
|
아이고 그거 가렵다고 긁으문, 더 부스레기 나니까 긁지 말어유.
|
chung
|
|
제사 때 밥은 다 따루따루 떠가지고 지내지, 기양 한꺼번에 놓고 지내는 건 안 돼유.
|
chung
|
|
인저 한갑잔치 하문 미리부터 준비해야 되는데, 우티게 뭐뭐 준비해유?
|
chung
|
|
버짐이 자꾸 피는데 우티게 해야 돼유?
|
chung
|
|
지금은 기계로 하지만, 근디 예전엔 발로 밟아서 타작하던 걸 뭐라고 해유?
|
chung
|
|
옛날에 형제가 많아서 핵교를 못 다니셨는데, 형제가 몇 명이셨슈?
|
chung
|
|
짚신도 많이 맹글어서 신어 보신 거 같은데, 그걸 우티게 맹글어유?
|
chung
|
|
그러면 무수밥 같은 거는, 무수를 채를 쳐서 인저 솥 밑에 깔고, 그 다음에 우티게 맹그는 겨?
|
chung
|
|
산에 가서 구둘장도 떠 왔구, 그럼 인저 왦길 건 다 왦기고 나서 마루는 우티게 해유?
|
chung
|
|
이런 디는 나무가 별로 안 붸는데, 주로 워디서 나무를 하는 겨?
|
chung
|
|
부스레기 나문, 기름도 바르고, 인저 여러 가지 치료도 하던데, 옛날에는 부스레기 나문 우티게 치료했슈?
|
chung
|
|
쑥 연한 놈 뜯어다가 비벼도, 대번 피가 안 멈추는데, 워디 병원에 가야 되는 겨?
|
chung
|
|
그거 그러면 삼베 월마를, 몇 자를 가지고 바지저고리 옷 한 벌 할 수 있슈?
|
chung
|
|
아니 니 형도 서울 가고 너까지 떠나문, 니 엄닌 외로울 텐데.
|
chung
|
|
새 운동화를 사흘도 못 신고, 또 거덜을 내놨는데 워디서 뭘 한 겨?
|
chung
|
|
엄니 보청기 처음 하문, 귓속이 왕왕거리는데 원제 한 겨?
|
chung
|
|
쇠죽을 쑤어야겄는데, 저가 워디 있는 겨?
|
chung
|
|
울 애는 더하기는 잘 하는데, 빼기를 영 못허는데, 무엇을 우티게 해야 돼유?
|
chung
|
|
무수짱아치를 맹글 때, 동치미 무수를 메칠 담갔다가 바깥에 늘어 놔야 돼유?
|
chung
|
|
인저 저 집터에 집 두 채가 들어설 텐데, 평수가 멫 평이나 되는 겨?
|
chung
|
|
자전거를 타고 가다 또랑에 처박었는데, 시방 워디에 있는 겨?
|
chung
|
|
근디 아줌니, 밭에서 땅 파구 다니는 두더쥐 본 적 있슈?
|
chung
|
|
손으로 풀 막 잡아서 땅에다가 놓고 밟으면 손이 아플 텐데, 옛날에는 기양 맨손으로 했슈?
|
chung
|
|
인저 고구마 반찬은, 그 껍데기 까 가지고 우티게 해서 먹어유?
|
chung
|
|
아니 오늘 토요일인데 집에는 우티게 사람이 하나도 웂구, 식구덜이 다 한치 여행을 간 겨?
|
chung
|
|
떨어진 디 꼬매서 지어 입구 한 거를 흔누데기라고 해유?
|
chung
|
|
할머니가 옛날에 저수지에 물이 많을 때, 어렝이로 물괴기를 많이 잡으셨다고 했지요?
|
chung
|
|
옛날에는 왜 초상나문, 상복 같은 거를 집에서 꿰매 입고 했잖아유?
|
chung
|
|
근디 아까 보니까 다리가 많이 불편하신가, 낮에 공을 차다가 자빠져서 많이 다쳤슈?
|
chung
|
|
그 집 둘째가 어릴 때는 그렇게 속을 썩이더니, 시방은 신통하게 속이 참 지푼가 봐유?
|
chung
|
|
옛날에 집에서 장적불 때다가, 장적이 금방 안 붙으면 밑에다가 불쏘시개를 늫어유?
|
chung
|
|
방죽은 물이 적으니깨 흙보를 쌓고 나서 돌보를 쌓는 겨?
|
chung
|
|
우티게 이릏게 집을 환하게 맹그셨슈?
|
chung
|
|
다른 사람 한갑잔치에 초대 받으면, 가서 얻어 먹고 그랬잖아유?
|
chung
|
Subsets and Splits
No community queries yet
The top public SQL queries from the community will appear here once avail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