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put
stringlengths 9
582
| choices
listlengths 5
5
| expected_output
stringclasses 5
values | category
stringclasses 4
values |
---|---|---|---|
타액선에 존재하는 형질세포(plasma cell)에 의해 국소적으로 만들어지며, 세균이나 다른 소화성 가수분해효소의 단백분해에 높은 저항성을 가지고 있어서 타액에서 기능을 발휘하는 데 유리한 것은?
|
[
"lysozyme",
"lactoferrin",
"α-amylase",
"peroxidase",
"secretory IgA(sIgA)"
] |
E
|
dentist
|
63세 남자가 입냄새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구강점막이 창백하고, 타액 분비가 감소되어 있으며, 타액에서 암모니아(ammonia) 냄새가 났다. 방사선검사 결과 치조백선의 소실, 비광화된 골(ground-glass appearance), 국소 방사선투과성 악골 병소 등이 관찰되었다. 이 환자에게 의심되는 전신질환은?
|
[
"당뇨병(diabetes mellitus)",
"급성백혈병(acute leukemia)",
"만성신장질환(chronic kidney disease)",
"철결핍성 빈혈(iron deficiency anemia)",
"알코올성 간질환(alcoholic liver disease)"
] |
C
|
dentist
|
임신 35주의 건강한 임신부가 치과치료를 받는 중에 갑자기 식은땀을 흘리고 오심을 호소하면서 혈압이 떨어지고 맥박이 느려지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응급 처치는?
|
[
"좌측으로 돌아눕게 한다.",
"암모니아(ammonia) 흡입제를 사용한다.",
"니트로글리세린(nitroglycerin)을 혀 밑에 투여한다.",
"벤조디아제핀(benzodiazepine) 같은 항불안제를 투여한다.",
"머리를 신체부위보다 낮게 유지하고 다리를 올리는 앙와위를 취한다."
] |
A
|
dentist
|
매맞는아이증후군(어린이 구타증, battered child syndrome)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8세 이하의 여자아이에게 호발한다.",
"부모의 진술과 임상소견이 일치한다.",
"신체 전 부위에 장기간에 걸친 타박상을 보인다.",
"격렬하게 치아를 꽉 깨물어 구치부 치관파절이 발생된다.",
"구강 내 손상의 특징은 하순 소대 주위의 점막열창과 치은파열이다."
] |
C
|
dentist
|
법치의학적 연령 결정 시, 유년기에서 노년기까지 연령대에 따라 적용하는 방법이 달라진다. 청년기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짝지어진 것은?
|
[
"치수강의 크기, 하악골의 변화",
"영구치의 교모도, 치수강의 크기",
"영구치의 석회화, 영구치의 맹출시기 ",
"제3대구치의 석회화, 영구치의 교모도",
"영구치의 맹출시기, 제3대구치의 석회화"
] |
D
|
dentist
|
오진으로 인해 의료사고가 발생한 경우 중 의료과오에 해당 되는 것은?
|
[
"치료에 대한 환자의 협조도가 부족한 경우",
"질병의 초기 잠복기에 증상이 나타나지 않은 경우",
"임상적 진찰 결과를 믿고 검사 결과를 확인하지 않은 경우",
"임상병리검사를 시행하였음에도 질환의 감별이 곤란한 경우",
"생명의 위험에 직면한 환자에게 검사 결과를 기다리지 못하고 시술한 경우"
] |
C
|
dentist
|
측두하악질환의 치료에 사용되는 교합장치 중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는 것은?
관절에 가해지는 해로운 하중 감소
과두-관절원판의 구조적 관계 변화
장기간 사용 시 구치부 개교(posterior open bite) 등의 비가역적 교합변화 유발 가능
|
[
"연성교합장치(soft appliance)",
"교합안정장치(stabilization splint)",
"추축교합장치(pivoting appliance)",
"전방교합장치(anterior bite plane)",
"전방위치 교합장치(anterior positioning splint)"
] |
E
|
dentist
|
31세 남자가 우측 뺨 부위의 통증과 입을 벌리기가 힘들다는 증상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의 병력 및 치료 경과가 다음과 같을 때 진단은?
2일 전 하악 우측 제1대구치 보철치료 후 증상 발현
평상시는 통증이 없으나, 입을 벌릴 때와 근육을 사용할 때 통증 호소
능동적 최대 개구량 30 mm, 수동적 최대 개구량 45 mm
천천히 개구 시 정상범위까지 개구 가능
하악 우측 제1대구치 보철물의 과도한 교합접촉 양상에 대한 교합 조정 후 증상 해소
|
[
"근염(myositis)",
"근경련(myospasm)",
"근막통증(myofascial pain)",
"국소근통증(local muscle soreness)",
"보호성 상호수축(protective co-contraction)"
] |
E
|
dentist
|
57세 여자가 1주 전부터 발생한 하악 좌측 구치부의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전기가 흐르는 듯한 극심한 통증이 10초 정도 지속되다가 사라지며, 세수, 양치질, 화장을 할 때 반복적으로 나타난다고 하였다. 방사선영상을 포함한 검사 결과 해당 부위의 치아에는 특별한 이상 소견이 관찰되지 않았다. 치료약은?
|
[
"가바펜틴(gabapentin)",
"클로나제팜(clonazepam)",
"아미트립틸린(amitriptyline)",
"카바마제핀(carbamazepine)",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 |
D
|
dentist
|
32세 여자가 우측 관자놀이와 눈 주위에 쿵쿵 울리는 듯한 심한 두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두통은 1달에 1~2회 정도 발생하고, 두통 발생 시 빛이나 소리에 예민해지며 메스꺼움과 구토증상이 동반된다고 하였다. 두통을 차단하기 위해 처방하는 약은?
|
[
"가바펜틴(gabapentin)",
"수마트립탄(sumatriptan)",
"인도메타신(indomethacin)",
"프로프라놀롤(propranolol)",
"아미트립틸린(amitriptyline)"
] |
B
|
dentist
|
이갈이 치료 시 고려사항으로 옳은 것은?
|
[
"부분피개 교합장치가 많이 사용된다.",
"신장반사이완법과 개구근 강화 훈련법이 추천된다.",
"삼환성 항우울제는 이갈이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연성교합장치가 경성교합장치에 비해 이갈이 감소효과가 우수하다.",
"보툴리눔 독소를 2~3회 정도 반복하여 주사할 경우 이갈이를 영구히 치료할 수 있다."
] |
B
|
dentist
|
무치악 환자의 의치를 지지하는 잔존치조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의치장착은 골흡수와 무관하다.",
"의치지지면적은 상악이 하악의 1/2이다.",
"수직적 골흡수는 상악이 하악의 4배이다.",
"상악의 골흡수가 하악보다 빠르게 진행된다.",
"상악의 치조융기는 흡수됨에 따라 구개측으로 이동한다."
] |
E
|
dentist
|
하악 의치상의 전방부 순측 변연 길이를 결정하는 해부학적 구조물은?
|
[
"볼근(buccinator m.)",
"턱끝근(mentalis m.)",
"턱목뿔근(mylohyoid m.)",
"턱끝혀근(genioglossus m.)",
"입둘레근(orbicularis oris m.)"
] |
B
|
dentist
|
증령(aging)에 따른 자연치관 색조의 변화는?
|
[
"명도 감소",
"채도 감소",
"황색 감소",
"투과성 증가",
"투명도 증가"
] |
A
|
dentist
|
가공치 조직면이 잔존치조제로부터 떨어져 있어 치태관리가 용이한 고정성 보철물의 가공치 형태는?
|
[
"콘형(conical type)",
"난원형(ovate type)",
"안장형(saddle type)",
"위생형(hygienic type)",
"변형 치조제 피개형(modified ridge lap type)"
] |
D
|
dentist
|
임플란트 식립 후 즉시 부하를 가하고자 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는?
|
[
"치은 색조",
"봉합사 종류",
"피판 절개 형태",
"임플란트 초기 고정",
"수술용 가이드 재료"
] |
D
|
dentist
|
총의치 인공치아 배열 시 형성하는 조절만곡(compensating curve)에 관한 설명이다. 괄호 안에 들어갈 것으로 옳은 것은?
크리스텐센 현상을 없애주고 ( A )을 만들기 위해 형성
의치에 더 현저한 곡선을 부여하거나 더 ( B ) 수직피개를 부여하여 형성
|
[
"(A): 견치유도 교합, (B): 깊은",
"(A): 양측성 균형교합, (B): 깊은",
"(A): 양측성 균형교합, (B): 얕은",
"(A): 편측성 균형교합, (B): 깊은",
"(A): 편측성 균형교합, (B): 얕은"
] |
C
|
dentist
|
무치악 환자의 예비인상채득방법으로 옳은 것은?
|
[
"흐름성이 높은 고무인상재를 사용",
"인상재가 경화되기 전에 구강 내에서 제거",
"제조사의 혼수비보다 묽게 혼합된 알지네이트를 사용",
"상악의 구상절흔과 후구개소와를 피개하는 트레이를 선택",
"무치악 치조제보다 5mm 이상 짧은 크기의 트레이를 선택"
] |
D
|
dentist
|
하악 교합제를 이용하여 완전무치악 환자의 교합평면 높이를 설정하려고 한다. 교합제 조정 시 하악 제1소구치의 높이를 결정하는 기준은?
|
[
"구각부",
"설측소대",
"잔존치조능",
"Pound's 삼각",
"후구치삼각융기"
] |
A
|
dentist
|
도재와 비교하여 레진 인공치의 장점은?
|
[
"취성이 높다.",
"마모저항성이 높다.",
"수정과 조정이 쉽다.",
"색안정성이 우수하다.",
"체적안정성이 우수하다."
] |
C
|
dentist
|
총의치 제작 시 해부학적 인공치를 이용하여 양측성 균형교합을 형성하였다. 좌측방운동을 시켰을 때, 균형측 하악 제1대구치의 근심협측교두와 접촉하는 상악 치아의 교두는?
|
[
"우측 제1소구치 설측교두",
"우측 제2소구치 설측교두",
"우측 제2대구치 근심설측교두",
"좌측 제2소구치 협측교두",
"좌측 제2대구치 근심협측교두"
] |
B
|
dentist
|
상·하악 납의치(wax denture, trial denture) 시적 시 아래와 같은 사항들로 평가할 수 있는 것은?
주모형에서 상악과 하악의 순측전정구 간의 거리는 약 40mm
생리적 안정위에서 소구치부 교합면 간 거리는 약 2~4mm
치찰음인 'S' 발음 시 상·하악 전치간 거리가 1~2mm
연하동작이 시작될 때의 하악 위치
|
[
"중심위",
"수직고경",
"조절만곡",
"교합간섭",
"양측성 균형교합"
] |
B
|
dentist
|
상악 의치상의 후구개폐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경구개 상에 형성한다.",
"폐쇄부위를 완압하여 형성한다.",
"상악 의치의 지지를 향상시킨다.",
"구상절흔 측방 3mm까지 형성한다.",
"의치 완성 후에는 수정하지 않는다."
] |
D
|
dentist
|
새롭게 제작한 총의치를 구강 내 시적하는 경우 우선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
[
"의치의 안정성",
"의치의 유지력",
"중심위의 재현성",
"수직고경의 적절성",
"의치상 인상면의 적합도"
] |
E
|
dentist
|
무치악 환자가 새로운 총의치를 장착한 다음 날 내원하여 잔존치조제 경사면 상에 통증을 호소하였으나, 궤양이나 부종은 발견되지 않았다. 적절한 처치법은?
|
[
"해당부위 의치내면을 삭제한다.",
"교합을 재평가 후 교합 조정을 시행한다.",
"취침 시에도 의치를 장착하여 적응하도록 한다.",
"통증이 해소될 때까지 의치를 장착하지 않도록 한다.",
"의치 조정 없이 2주간 마취제가 포함된 구강연고를 사용하도록 지시한다."
] |
B
|
dentist
|
치조제 장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운동을 방지하는 후방연장 국소의치의 구성요소는?
|
[
"주연결장치",
"직접유지장치",
"지대치의 교합면 레스트",
"지대치 전방에 있는 간접유지장치",
"후방연장의치상과 주연결장치 사이의 완압장치"
] |
A
|
dentist
|
가철성 국소의치의 상악 주연결장치 중 단순 구개판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8mm보다 좁게 형성한다.",
"후방연장 증례에 주로 사용한다.",
"전체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진다.",
"전방연은 정중구개봉선과 평행하게 설계한다.",
"후방연은 정중구개봉선에 직각을 이루어야 한다."
] |
E
|
dentist
|
가철성 국소의치 제작과정에서 심미성이 요구되는 상악 견치에 고정성 보철물이 필요하다면 유지암과 레스트를 고려할 때 적절한 수복방법은?
|
[
"금속관",
"금속도재관",
"절삭 가공 금관",
"도재 라미네이트 비니어",
"3-dimensional printing 금속관"
] |
B
|
dentist
|
지대치 금관의 선반(ledge)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주조 후 형성",
"안정성의 향상",
"교합 접촉점 증가",
"지대치 삭제량 감소",
"치관의 교합측 1/3에 위치"
] |
B
|
dentist
|
후방연장 국소의치에서 조직지지를 최대한으로 얻을 수 있는 인상채득 방법은?
|
[
"모든 연조직을 가압하여 인상",
"기성트레이를 이용한 일회법 인상",
"치아와 치조제에 같은 힘을 가하여 인상",
"일차 하중부담 부위를 가압하여 기능형 인상",
"치조제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해부형 인상"
] |
D
|
dentist
|
부분무치악의 잔존치조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하악이 상악보다 지지능력이 좋다.",
"넓고 편평한 치조제와 높은 수직경사면이 하중부담에 유리하다.",
"상악에서 잔존치조제의 협측 경사면은 주로 수직적 힘에 저항한다.",
"하악에서 잔존치조제의 설측 경사면은 주로 수직적 힘에 저항한다.",
"후구치삼각융기는 수직적 하중부담부위로 인상채득 시 저작력이 가해져야 한다."
] |
B
|
dentist
|
가철성 국소의치 교합을 양측성 균형교합으로 형성해야 하는 대합치 상황은?
|
[
"총의치",
"자연치열",
"고정성 임플란트",
"고정성 국소의치",
"치아지지 국소의치"
] |
A
|
dentist
|
가철성 국소의치 제작 시 하악 인공치 배열의 후방한계는?
|
[
"후구치삼각융기 직전",
"후구치삼각융기 중간",
"후구치삼각융기를 향한 경사면 직전",
"후구치삼각융기를 향한 경사면 중간",
"후구치삼각융기를 향한 경사면 최후방"
] |
C
|
dentist
|
가철성 국소의치 장착 후 설측 융기(torus) 부위의 통증을 호소하여 반복적으로 조정하던 중 설측바가 파절되었다. 같은 디자인의 국소의치로 새로 제작 시 유의할 사항은?
|
[
"임의 블록아웃",
"형성 블록아웃",
"주연결장치 외면의 연마",
"직접유지장치의 언더컷 증가",
"설측바 하방의 충분한 릴리프"
] |
E
|
dentist
|
치질 보존의 측면에서는 우수하지만 보철물의 부적절한 변연부 두께와 과풍융된 형태를 유발하기 쉬운 변연은?
|
[
"chamfer",
"shoulder",
"knife edge",
"sloped shoulder",
"shoulder with bevel"
] |
C
|
dentist
|
근관치료된 치아에 포스트와 레진코어 수복 시 순서로 옳은 것은?
|
[
"코어 축성-포스트 공간형성-포스트 길이결정-포스트 접착",
"코어 축성-포스트 길이결정-포스트 공간형성-포스트 접착",
"포스트 길이결정-포스트 공간형성-코어 축성-포스트 접착",
"포스트 길이결정-포스트 공간형성-포스트 접착-코어 축성",
"포스트 공간형성-포스트 길이결정-포스트 접착-코어 축성"
] |
D
|
dentist
|
금속도재관을 제작하여 레진시멘트로 접착하려고 한다. 해당 보철물의 구강 내 평가를 위해 임시합착 시 유지놀계보다 비유지놀계 시멘트를 사용하는 목적으로 적절한 것은?
|
[
"지대치의 우식방지",
"지대치의 치수진정",
"보철물의 심미성 향상",
"보철물의 변연적합도 향상",
"레진시멘트의 접착강도 약화방지"
] |
E
|
dentist
|
일시적인 허혈과 치은조직의 수축을 일으켜 치은열구 삼출액이 스며나오는 것을 조절하는 지혈제의 주요 성분은?
|
[
"염화칼륨(KCl)",
"염화칼슘(CaCl2)",
"염화나트륨(NaCl)",
"염화알루미늄(AlCl3)",
"염화마그네슘(MgCl2)"
] |
D
|
dentist
|
인상채득 직전 개인맞춤트레이를 제작해야 할 경우 레진의 중합수축 오차를 줄이기 위해 적절한 방법은?
|
[
"광중합레진의 사용",
"트레이의 두께보강",
"찬물에 5분간 침적",
"내면에 접착제 도포",
"트레이에 유지홀 형성"
] |
A
|
dentist
|
전부도재보철물의 강화기전 중 미세균열 강화(microcrack toughening)를 위해 사용되는 백류석(leucite) 결정입자의 물리적 특성은?
|
[
"상전이",
"굴곡강도",
"탄성계수",
"파괴인성",
"열팽창계수"
] |
E
|
dentist
|
전부주조금관의 구강 내 시적 시 평가순서로 옳은 것은?
|
[
"교합-인접면 접촉점-변연적합-심미-외형",
"변연적합-교합-인접면 접촉점-심미-외형",
"변연적합-인접면 접촉점-교합-외형-심미",
"인접면 접촉점-교합-변연적합-외형-심미",
"인접면 접촉점-변연적합-교합-외형-심미"
] |
E
|
dentist
|
도재 라미네이트 비니어의 접착에 적합한 치과용 시멘트는?
|
[
"레진",
"인산아연",
"산화아연유지놀",
"글라스아이오노머",
"레진강화형 글라스아이오노머"
] |
A
|
dentist
|
상악 중절치를 금속도재관으로 수복 후 진동음(fremitus)이 발생하거나 대합치와 보철물의 접촉면에 활택한 마모면이 관찰될 경우 추정되는 원인은?
|
[
"금속천공",
"도재파절",
"변연파절",
"저위교합",
"조기접촉"
] |
E
|
dentist
|
성장과 발달의 패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사춘기 개시는 여자보다 남자가 더 빠르다.",
"신체의 모든 조직과 장기는 일정한 속도로 성장한다.",
"성장초기 몸통이 머리보다 먼저 형성되고 더 빠르게 성장한다.",
"성장 중 신체 각 구조물 사이의 비례적 관계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인구집단의 키나 성숙도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추세변화라 한다."
] |
E
|
dentist
|
다른 부위보다 성장을 먼저 완료하고 청소년기 성장폭발이 없는 신체조직은?
|
[
"뇌",
"심장",
"편도",
"난소",
"하악골"
] |
A
|
dentist
|
하악골 성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하악우각의 각도는 성장에 따라 감소된다.",
"정중결합부는 출생 시 골로 융합되어 있다.",
"하악지와 하악체는 연골내 골화에 의해 형성된다.",
"사춘기 이전에는 하악성장의 성별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
"하악과두의 연골은 태생기 인두굽이에서 발생된 일차성 연골이다."
] |
A
|
dentist
|
영구치와 비교한 유치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
[
"법랑질의 결정크기는 유치에서 더 크다.",
"유치에서는 수복상아질이 형성되지 않는다.",
"산처리 시 용출되는 칼슘의 양은 유치에서 더 적다.",
"유치 치수의 신경은 영구치보다 더 밀집해서 분포된다.",
"불소겔(APF)에 의한 치질 강화효과는 유치에서 더 크다."
] |
E
|
dentist
|
영구치 맹출지연과 연관된 전신질환은?
|
[
"선단동통증(acrodynia)",
"저인산효소증(hypophosphatasia)",
"갑상선기능항진증(hyperthyroidism)",
"주기중성구감소증(cyclic neutropenia)",
"쇄골두개이형성증(cleidocranial dysplasia)"
] |
E
|
dentist
|
Powell의 연령대별 우식발생 예측지표에 의하면 7세 어린이 우식발생의 가장 강력한 지표는?
|
[
"치근의 DMFS",
"유전치의 dmfs",
"유구치의 dmfs",
"mutans streptococci",
"평활면우식증 초기병소"
] |
C
|
dentist
|
16세 여자가 상악 중절치 치은부종과 상악 우측 제1대구치의 저작 시 둔통을 호소하였다. 임상검사에서 치태와 치석의 축적은 많지 않았으나 파노라마방사선영상에서 해당부위의 골소실이 관찰되었으며 세균검사에서 다량의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균이 검출되었다. 진단은?
|
[
"치근단농양",
"급성치주농양",
"맹출성치은염",
"국소적 급진성치주염",
"급성괴사성궤양성치은염"
] |
D
|
dentist
|
5세 어린이가 열과 두통이 있으며 구강 내 통증으로 인해 음식물 섭취가 어렵다고 하였다. 임상검사 결과 혀와 구강점막 그리고 손과 발에 통증성 궤양을 동반하는 다수의 수포가 관찰되었다. 이 질환의 원인은?
|
[
"paramyxovirus",
"Candida albicans",
"Coxsackievirus A16",
"varicella-zoster virus",
"human papilloma virus"
] |
C
|
dentist
|
Bronfenbrenner의 생태체계적 관점에 의하면 어린이와 직접 상호작용하는 가족, 친구나 어린이가 직접 활동하는 유치원, 학교 등의 환경은 어디에 속하는가?
|
[
"외체계(exosystem)",
"미시체계(microsystem)",
"중간체계(mesosystem)",
"거시체계(macrosystem)",
"시간체계(chronosystem)"
] |
B
|
dentist
|
Piaget의 인지발달 단계 중에서 대상을 크기나 무게 등 양적차원에 따라 차례로 나열하는 순열화(serialization)를 할 수 있게 되는 시기는 Erikson의 심리사회적 단계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
|
[
"기본적 신뢰감 대 불신감",
"자율성 대 수치심과 회의감",
"주도성 대 죄책감",
"근면성 대 열등감",
"자아정체성 대 역할의 혼란"
] |
D
|
dentist
|
치료를 거부하는 어린이에게 보호안정장비를 사용하던 중 환자의 행동이 개선되어 속박을 제거하고 치료를 계속하였다. 적용된 행동유도법은?
|
[
"모의시술",
"주의분산",
"긍정적 강화",
"체계적 탈감작",
"말-시범-시행방법"
] |
C
|
dentist
|
의식하 진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필요한 최소인원은 3명이다.",
"정맥주사 경로를 확보해야 한다.",
"환자의 기도보호반사의 부분적인 소실이 관찰된다.",
"중등도 진정에서는 15분 간격으로 체온측정이 필요하다.",
"경미한 진정에서는 장비 없이 임상적 관찰로 환자를 감시할 수 있다."
] |
E
|
dentist
|
러버댐 방습이 반드시 필요한 경우는?
|
[
"교정장치 장착",
"유중절치 발치",
"유견치 교합조정",
"유구치 치수절단술",
"전치 레진강선 고정"
] |
D
|
dentist
|
유구치부 복합레진 수복의 적응증은?
|
[
"구강위생 불량",
"높은 우식활성",
"방습이 불가능한 경우",
"크기가 중등도 이하인 I급 와동",
"심한 이갈이나 교모가 있는 경우"
] |
D
|
dentist
|
아래 설명에 해당하는 수복용 재료는?
산-염기 반응을 통하여 경화가 진행되고 치질과 접착력을 가지면서 불소를 방출한다. 충전 시 수분 오염이나 수복 후 탈수에 민감하여 물리적 성질이 취약해진다.
|
[
"amalgam",
"composite resin",
"zinc oxide eugenol",
"zinc phosphate cement",
"conventional glass ionomer cement"
] |
E
|
dentist
|
7세 어린이가 3일 전부터 시작된 하악 좌측 구치부의 자발통 때문에 내원하였다. 하악 좌측 제2유구치에 깊은 치아우식이 있었고, 방사선영상에서 이개부나 치근단 병소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타진검사에 양성이었다. 치료는?
|
[
"발치",
"치수절단술",
"치수절제술",
"간접치수복조술",
"직접치수복조술"
] |
C
|
dentist
|
미성숙영구치의 치근단형성술(apexification)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수산화칼슘 충전을 위해 근관 내 수분을 완전히 제거해야 한다.",
"Hertwig 상피근초가 파괴되더라도 치근첨의 경조직 폐쇄는 가능하다.",
"생체친화적인 약제를 사용하여 손상 받은 치수의 생활력을 유지하는 술식이다.",
"치료 후 형성되는 치근단 장벽의 형태는 치료 전 근단공의 직경과 관련이 없다.",
"근관 내 괴사조직 제거는 화학적 방법보다 기구 조작을 통하여 기계적으로 시행한다."
] |
B
|
dentist
|
유치열기의 교합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유치의 교모로 수직 피개가 증가된다.",
"상악 유견치 원심에 영장류 공간이 있다.",
"전치의 치축각도가 교합면에 대해 수직에 가깝다.",
"하악골의 전방성장으로 수평 피개의 양이 증가된다.",
"제2유구치 전후방 관계는 원심 계단형이 바람직하다."
] |
C
|
dentist
|
제1대구치가 맹출하기 전 제2유구치가 조기 상실된 경우에 사용하는 공간유지장치는?
|
[
"distal shoe",
"lingual arch",
"band and loop",
"crown and loop",
"transpalatal arch"
] |
A
|
dentist
|
혼합치열기 어린이의 연속발치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제2유구치를 가장 먼저 발치한다.",
"최종적으로 제2소구치를 발치한다.",
"치열궁 부족량이 3~5mm 정도가 좋은 적응증이다.",
"경미한 크라우딩 증례에 적용하면 함몰된 안모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치아배열에 부족한 치열궁 길이를 가진 심한 2급 부정교합에 적용한다."
] |
D
|
dentist
|
7세 어린이가 아랫입술빨기습관 때문에 내원하였다. 구치부 교합과 수직 피개량은 정상이었으나 하악 전치가 설측 경사되어 큰 수평 피개가 관찰되었다. 치료는?
|
[
"FR III",
"facemask",
"lip bumper",
"tongue crib",
"anterior bite plate"
] |
C
|
dentist
|
어린이에게 국소마취를 할 때 고려사항으로 옳은 것은?
|
[
"마취액을 최대한 빠르게 주입한다.",
"마취가 아플 거라는 사실을 숨긴다.",
"눈앞에서 주삿바늘이 보이도록 조작한다.",
"마취액은 체온과 유사한 온도로 준비한다.",
"전달마취 시 흡인(aspiration) 과정이 필요없다."
] |
D
|
dentist
|
다음 상황에 관한 진단은?
10세 어린이 상악 중절치 치관의 노란색 변색
2년 전 외상병력
타진반응 음성
전기치수검사 반응 없음
방사선영상에서 근관이 좁아져 있고 치근단 병소는 없음
|
[
"치수괴사",
"치근천공",
"치수충혈",
"석회화변성",
"치근외흡수"
] |
D
|
dentist
|
8세 어린이가 1시간 전에 넘어져서 치아가 부러진 상태로 내원하였다. 임상검사 결과 상악 우측 중절치에 약 1mm 크기의 치수노출을 동반한 치관파절이 관찰되었고, 노출부위의 출혈은 없었다. 치아의 변위나 동요도는 없었고 방사선영상에서 치근파절은 관찰되지 않았다. 치료는?
|
[
"발치",
"치수절제술",
"치근단형성술",
"간접치수복조술",
"부분치수절단술"
] |
E
|
dentist
|
다음의 행동특성을 보이는 장애는?
주위로부터 극단적으로 고립된다.
언어발달이 특이하게 왜곡된다.
동일성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크다.
특정한 것에 대한 극단적 흥미와 관심을 보인다.
|
[
"뇌성마비",
"지적장애",
"시각장애",
"간질장애",
"자폐성장애"
] |
E
|
dentist
|
생후 2년경에 닫히며 성인에서는 정수리점(bregma)이 되는 부위는?
|
[
"대천문(anterior fontanel)",
"소천문(posterior fontanel)",
"시옷봉합(lambdoid suture)",
"유돌천문(mastoid fontanel)",
"접형골천문(sphenoidal fontanel)"
] |
A
|
dentist
|
유치열과 영구치열의 교합관계의 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영구절치는 유절치보다 직립되어 있다.",
"절치의 수직피개도는 유치열기 동안 꾸준히 증가한다.",
"유치열은 영구치열보다 큰 전치부 수직피개를 보인다.",
"하악골의 전방성장량은 성장기의 구치관계에 영향을 준다.",
"상악 치조돌기는 평행성 성장, 하악 치조돌기는 발산성 성장을 한다."
] |
D
|
dentist
|
혼합치열기 초기에 상악 치열궁 둘레(arch perimeter)가 증가하는 이유는?
|
[
"치아 접촉면 마모",
"영구절치와 유절치의 경사도 차이",
"일생을 통한 구치들의 근심 이동 경향",
"상·하악의 차등 성장에 의한 절치의 설측 이동",
"leeway space를 점유하는 제1대구치의 근심 이동"
] |
B
|
dentist
|
사경(torticollis)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허친슨 전치, 오디 모양 구치를 동반한다.",
"근무력으로 인한 하안면의 길이 증가가 전형적으로 나타난다.",
"흉쇄유돌근의 편측성 수축으로 인한 얼굴 비대칭을 야기한다.",
"두개 내부 병소에서 기인한 조절 기능의 마비 혹은 기능부전 질환이다.",
"연골성 골화에 의해 형성되는 장골 및 두개저의 길이 성장이 제한된다."
] |
C
|
dentist
|
개인에 따라 치아의 크기, 형태, 식립 상태 등이 각기 다르며 악골의 형태 또한 다양하기 때문에 그 조건이 한 가지로 국한되지 않고 각 개인에게 합당한 조건이 존재한다는 정상교합 개념은?
|
[
"개별적 정상교합",
"기능적 정상교합",
"연령적 정상교합",
"이상적 정상교합",
"전형적 정상교합"
] |
A
|
dentist
|
연령적 정상교합에 해당하는 것은?
|
[
"하악 제2대구치의 협측 이소맹출",
"상·하악 절치 교환기의 1~2개 치아의 반대교합",
"상악 견치 맹출 후의 상악 중절치 사이 정중이개",
"제2유구치가 탈락되기 전 상·하악 제1대구치의 일시적인 2급 관계",
"상악 제2유구치 조기 상실에 따른 제1대구치의 근심 경사 및 설측 회전"
] |
D
|
dentist
|
상·하악 기저골의 전후방적 위치, 구치 관계 및 협측 교합은 정상이지만 상·하악 전치를 포함한 전체 치열이 전방에 위치하여 돌출된 상태인 부정교합은?
|
[
"양악 전돌",
"얼굴 비대칭",
"양악 치조 돌출",
"전치부 반대교합",
"큰 수평피개교합"
] |
C
|
dentist
|
측모두부방사선계측분석 시 하악평면(mandibular plane)을 이루는 기준점으로, 턱끝 외형선상의 최하방점은?
|
[
"basion",
"gonion",
"menton",
"articulare",
"supramentale"
] |
C
|
dentist
|
측모두부방사선계측분석 시 골격성 3급 부정교합 환자의 특징은?
|
[
"SNB각이 정상치보다 작다.",
"ANB각이 음의 값을 가진다.",
"Wits appraisal 값이 정상치보다 크다.",
"안면각(FH/N-Pog)이 정상치보다 작다.",
"하안면 길이(ANS-Me)가 정상치보다 작다."
] |
B
|
dentist
|
단순 혀내밀기 습관에서 보이는 특징은?
|
[
"치아격리 연하",
"구역 반사의 낮은 역치",
"전치부에 국한된 개방교합",
"구개편도나 아데노이드의 비대",
"안면근 수축에 의한 하악의 고정"
] |
C
|
dentist
|
성숙형 연하의 구강단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삼차 신경이 관여한다.",
"상·하악 치아 사이에 혀가 위치한다.",
"혀의 정중부 함몰이 두드러진 특징이다.",
"협근의 강한 수축에 의해 하악이 고정된다.",
"혀가 가볍게 앞뒤로 움직이며 하악골의 흔들림이 있다."
] |
A
|
dentist
|
2급 액티베이터(Class II activator)의 적응증으로 옳은 것은?
|
[
"1급 크라우딩",
"과도한 하안면 높이",
"과도한 전치부 수평피개",
"비협착증(nasal stenosis)",
"하악 전치의 중등도 순측 경사"
] |
C
|
dentist
|
6세 남자가 중심위와 최대교합위 모두에서 3급 구치관계 및 오목한 외모를 보인다. 이 환자에게 전치부 반대교합 개선을 위한 교정장치로 적절한 것은?
|
[
"facemask",
"lip bumper",
"oral shield",
"Herbst 장치",
"pendulum 장치"
] |
A
|
dentist
|
A, B에 적절한 값은?
원형 와이어가 핑거 스프링(finger spring)으로 사용될 때, 와이어의 직경이 2배 증가하면 강성(stiffness)은 ( A )배 증가하고, 탄성(springiness)은 ( B )로 감소된다.
|
[
"(A): 4, (B): 1/8",
"(A): 4, (B): 1/16",
"(A): 8, (B): 1/8",
"(A): 8, (B): 1/16",
"(A): 16, (B): 1/16"
] |
E
|
dentist
|
모멘트/힘의 비율(M/F ratio)이 가장 큰 것은?
|
[
"치근 이동",
"치체 이동",
"함입 이동",
"조절 경사 이동",
"비조절 경사 이동"
] |
A
|
dentist
|
손가락 빨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넓은 비강저와 낮은 구개궁을 보인다.",
"상악 절치는 설측 경사되고 하악 절치는 순측 경사된다.",
"연하 시 윗입술은 활동항진(hyperactive), 아랫입술은 저긴장(hypotonic)된다.",
"영구치 맹출 시기를 지나서까지 고착이 심한 경우에는 심리치료나 정신과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습관에 의해 발생한 7세 이상 2급 부정교합 환자의 습관이 멈추면 부정교합 양상이 저절로 개선된다."
] |
D
|
dentist
|
11세 여자가 상악 전치의 전돌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다음과 같은 소견을 보일 때 치료에 알맞은 장치는?
모형 분석 결과 Angle 2급 구치관계이다.
전치의 수평피개는 7mm, 수직피개는 4mm이다.
두부방사선계측분석 시 SNA각은 평균이지만, SNB각이 표준편차를 초과하는 작은 값이고, ANB각은 평균보다 큰 값을 보인다.
|
[
"bionator",
"facemask",
"lip bumper",
"oral shield",
"inclined plane"
] |
A
|
dentist
|
상악골 성장 조절을 위해 헤드기어를 사용하려고 한다. 짧은 외측 보우를 이용하여 상악골의 저항중심을 지나도록 후상방력을 가하였다.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상악골의 수직 성장이 억제된다.",
"턱끝 부위의 궤양이 발생할 수 있다.",
"상악골의 시계방향 회전을 목표로 한다.",
"적절한 정형력의 크기는 양측 1,000g 이상이다.",
"상악 제1대구치는 치관이 전방 경사되는 힘을 받는다."
] |
A
|
dentist
|
기능성 3급 부정교합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
[
"얕은 절치 수직피개를 보인다.",
"하악 폐쇄로는 부드러운 단일 곡선을 이룬다.",
"상악 전치는 순측 경사, 하악 전치는 설측 경사를 보인다.",
"구치 관계는 중심위와 최대교합위에서 모두 3급 관계이다.",
"측모는 중심위에서 정상 형태, 최대교합위에서 오목한 형태가 된다."
] |
E
|
dentist
|
A, B, C에 적절한 용어는?
성장 중인 환자에게 급속 구개 확장 시 상악은 일반적으로 전방과 ( A )으로 이동되며 구개가 넓혀지는 양상도 ( B )가 ( C )보다 더 넓게 벌어진다.
|
[
"(A): 상방, (B): 전방부, (C): 후방부",
"(A): 상방, (B): 후방부, (C): 전방부",
"(A): 상방, (B): 후방부, (C): 중간부",
"(A): 하방, (B): 전방부, (C): 후방부",
"(A): 하방, (B): 후방부, (C): 전방부"
] |
D
|
dentist
|
고정식 교정장치를 이용한 성인의 교정치료 시 교합의 정착 단계에서 유의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
|
[
"원형의 가는 와이어는 사용하면 안된다.",
"하악 운동 시 교합 간섭은 없어야 한다.",
"최대 교두간 접촉위와 중심교합은 일치해서는 안된다.",
"잘못된 위치의 브라켓이라도 재부착은 추천되지 않는다.",
"교합 시 치아의 변위를 일으키는 힘은 교합의 정착을 위해 필요하다."
] |
B
|
dentist
|
29세 여자의 상악 양측 측절치가 왜소치로서 근원심부에 공간이 존재하였다. 치주상태는 양호하였고, 특이한 골격적인 문제점은 보이지 않았다. 이 환자에서 공간폐쇄를 고려한 교정 치료를 시행할 때 옳은 것은?
|
[
"Bolton 전방 치아 평균 비율은 91.3%이다.",
"1급 견치관계를 얻기 위해 하악 절치의 치간삭제를 고려한다.",
"하악 6전치가 상대적으로 클 때 Bolton 전방 치아 비율은 평균보다 작다.",
"하악 절치 치간삭제 없이 1급 견치관계를 형성하면 전치부 수평피개가 증가한다.",
"하악 절치 치간삭제 없이 정상적 절치관계를 형성하면 3급 구치관계가 된다."
] |
B
|
dentist
|
교정치료로 인한 치근단 외흡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외상 병력과 관련이 없다.",
"미발육된 치근에서 더 잘 나타난다.",
"약한 교정력에 의해 더 잘 발생한다.",
"pipette 모양 치근에서 더 잘 나타난다.",
"상악 제1대구치에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난다."
] |
D
|
dentist
|
구순구개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치아의 선천적 결손, 과잉치, 기형치의 발생률이 높다.",
"구개 수술은 생후 3개월, 입술 수술은 생후 12개월에 시행한다.",
"상악 치열궁에서 전치, 소구치보다 제1대구치의 이탈 정도가 심하다.",
"상악 견치의 치근단 성숙이 완료되었을 때 이차골이식을 시행한다.",
"술 후 반흔에 의한 성장억제 현상을 최소화하려면 복잡한 문제들을 한 번의 수술로 해결해야 한다."
] |
A
|
dentist
|
교정치료 후 재발과 유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개방교합 치료 후 혀내밀기 습관은 저절로 개선된다.",
"성장기간 동안 시행한 교정치료는 재발되는 경향이 크다.",
"하악 견치 간 너비 확장은 크라우딩 재발 방지에 도움이 된다.",
"교정치료 후 재발방향은 치료 전 치아 위치로 예측할 수 있다.",
"교정치료로 이동한 치아는 별도의 유지장치가 없어도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 |
D
|
dentist
|
치근단 부위에 염증성 병소가 오랫동안 있었던 실활치는 발치 시 어려움이 있다. 원인으로 추정되는 치아형태 이상은?
|
[
"융합치",
"만곡치",
"장수치",
"쌍생치",
"과백악질증"
] |
E
|
dentist
|
즉시형 과민반응에 해당하는 질환은?
|
[
"편평태선",
"혈관부종",
"전신경화증",
"홍반성루프스",
"접촉성구내염"
] |
B
|
dentist
|
후척수신경절에 잠복해 있던 바이러스의 재활성화로 감염된 감각신경이 분포하는 부위의 점막과 피부에 수포 형성을 보이는 질환은?
|
[
"풍진",
"다형홍반",
"대상포진",
"수족구병",
"전염성단핵구증"
] |
C
|
dentist
|
구강 작열감을 호소하는 46세 남자에게서 다음과 같은 구강소견과 병력을 보이는 질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혀 사상유두 위축에 의한 헌터(Hunter) 설염
양측 협점막의 위축과 미란
구석 입술염(angular cheilitis)
위축성 위염(atrophic gastritis)에 의한 무위산증
|
[
"비타민 B12 근육주사로 치료한다.",
"저색소성 소적혈구성 빈혈이 있다.",
"위축을 보이는 구강점막에서 편평세포암종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용혈로 인한 혈액 내 비결합빌리루빈이 축적되어 황달이 관찰된다.",
"적혈구 응집이 쉬워 작은 혈관을 막는 경우가 많아 치명적일 수 있다."
] |
A
|
dentist
|
가장 흔한 유형의 발육성 치성낭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종양은?
|
[
"치아종",
"기저세포암종",
"선양낭성암종",
"법랑모세포종",
"법랑모세포섬유종"
] |
D
|
dentist
|
72세 남자에게서 다음과 같은 임상소견과 병리조직소견이 보였다. 진단은?
우측 하악골의 통증성 종창과 침범된 치아의 2도 동요도
파노라마 사진에 불규칙한 원형의 다발성 골 파괴 병소
비정형 형질세포의 광범위한 침윤과 분홍색의 무세포성 호산성 물질의 축적
편광현미경에 호산성 물질은 Congo red 염색 후 녹황색 이중굴절(apple-green birefringence)로 나타남
|
[
"백혈병",
"버킷림프종",
"호지킨림프종",
"다발성골수종",
"광범위큰B세포림프종"
] |
D
|
dentist
|
종양과 연관된 유전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MYC-종양억제유전자로 버킷림프종과 연관",
"TP53-종양억제유전자로 DNA 복구와 apoptosis를 조절",
"NF1-종양억제유전자로 모반양기저세포암종증후군과 연관",
"APC-종양유전자로 대장암과 관련이 있으며 세포주기를 조절",
"RB-종양유전자로 E2F와 결합하여 세포주기를 조절하며 골육종과 연관"
] |
B
|
dentist
|
Subsets and Splits
No community queries yet
The top public SQL queries from the community will appear here once avail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