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set Viewer
id
stringlengths 13
13
| title
stringlengths 1
376
| type
stringclasses 2
values | context
stringlengths 58
922k
| questions
sequencelengths 3
3
|
---|---|---|---|---|
A201007090816
|
고대 그리스의 죽음과 영혼의 제의의 철학적 의미
|
paper
|
본 논문은 초기 그리스 사회에서 죽음과 영혼의 제의 및 죽음 이후의 영혼관과 처벌과 보상의 문제를 검토하여 철학적 의미를 밝혀내는데 주목적이 있다. 이러한 논의는 나중에 그리스 철학의 영혼관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초가 된다. 그리스에서 죽음에 대한 견해는 영혼의 불멸성과 비물질성 등의 문제와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발전되었다. 초기 서사시 시대의 영혼 개념은 단순히 생명력만을 의미하다가 점차 보다 다양한 정신적 기능들을 통합하게 된다. 그리하여 죽음의 문제에도 보다 복잡하고 심층적인 논의들이 등장하게 된다. 호메로스의 경우에 죽음은 삶의 끝으로 산 자의 세계와 죽은 자의 세계는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죽은 자가 산 자의 세계에 영향을 미칠 수 없다고 생각되었다. 그러나 초기 그리스 장례의식을 보면 호메로스 이전부터 내려오는 강력한 영혼 숭배의 자취를 발견할 수 있다. 죽은 자를 화장하는 관습은 산 자의 세계에서 완전히 ‘분리’시키려는 의도와 ‘정화’의 목적이 있다. 또한 호메로스에서는 죽음 이후의 세계에서의 보상과 처벌에 대한 개념이 분명치는 않지만 일련의 암시들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주로 호메로스 이전부터 내려오는 전통과 관습과 관련있다. 그렇지만 호메로스의 경우에도 죽은 자들이 지하세계에서 심판을 받는 것이 나타난다. 죽음 이후의 처벌과 관련하여 그리스인들은 기독교보다 더 형이상학적인 고통을 지향하고 있다. 근본적으로 육체에 대한 고통에서 출발하지만 보다 견디기 어려운 정신적 고통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반면에 죽음 이후의 보상과 관련하여 호메로스에게는 특별한 언급은 없다. 단지 특별히 선택받은 영웅과 같은 존재들은 엘뤼시온 또는 축복받은 섬에 간다고 말한다. 그리하여 죽은 자들 가운데 영원한 형벌을 받는 자는 있어도 엄밀히 영원한 보상을 받는 자는 없다.
|
[
"초기 그리스 사회에서 죽음과 영혼의 제의 및 죽음 이후의 영혼관과 처벌과 보상 문제를 검토하여 철학적 의미를 밝혀내고자 연구한 결과, 호메로스의 경우, 죽음은 삶의 끝으로 산 자의 세계와 죽은 자의 세계는 완전히 분리되어 있어 호메로스에서는 죽음 이후의 세계에서의 보상과 처벌 개념이 분명치는 않지만 일련의 암시들을 볼 수 있다.",
"모든 사람은 죽을 운명을 갖고 태어났다. 그래서 “죽음은 모든 사람에게 공통적인 것이다.”그렇지만 모든 사람이 죽음을 자연스러운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각 사람은 마치 자신은 죽지않을 것처럼 살아간다. 아이스퀼로스의 결박된 프로메테우스에서 프로메테우스가 자신이 인간에게 준 선물들을 자랑하는 가운데 말한 ‘맹목적인’ 희망 때문일지도 모른다. 인간의 끊임없는 욕망은 삶에 대한 맹목적인 희망과 집착을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결국 모든 사람은 죽기 마련이다. 물론 언젠가는 죽는다는 것 자체가 인간의 삶을 무의미하게 만들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인간은 항상 죽음 앞에 서 있을 수 밖에 없다. 일상적인 삶 속에서 인간은 늘 자신의 죽음을 망각하지만 예고 없이 만나는 수많은 죽음들 가운데 늘 죽음에 대해 기억하게 된다. 그리스인들의 죽음과 영혼에 대한 견해는 매우 독특하고 점진적인 발전을 하고 있다. 그래서 현대인의 관점에서는 특이하고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초기 서사시 시대의 호메로스의 영혼 개념이 서정시, 서사시, 비극, 철학을 거치면서 보다 다양하고 심층적으로 변화되기 때문에 죽음에 대한 태도와 견해도 다변화되고 다중적으로 된다. 본 논문은 초기 그리스사회에서 죽음이 어떻게 이해되었는가를 죽음의 제의와 죽음 이후의 세계관과 죽은 이후의 영혼관 및 처벌과 보상의 문제 등을 검토하여 철학적 의미를 밝혀내는데 주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이 검토하려는 연구 범위는 초기 그리스 사상들 가운데 그리스 서사시와 비극에 제한되어 있다. 특히 호메로스의 작품에 나타난 죽음과 영혼의 제의에 대한 견해가 전체 논의의 중심이 될 것이다. 나아가 종교적으로 표현된 죽음과 관련된 제반 제의와 세계관을 분석하여 가능한 철학적 문제들을 제기해 볼 것이다. 이것이 나중에 그리스 철학의 영혼관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초가 될 수 있다.",
"인간의 끊임없는 욕망은 삶에 대한 맹목적인 희망과 집착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인간은 늘 자신의 죽음을 망각하지만 예고 없이 만나는 수많은 죽음들 가운데 늘 죽음에 대해 기억하게 된다. 본 논문은 초기 그리스 사회에서 죽음이 어떻게 이해되었는가를 죽음의 제의와 죽음 이후의 세계관과 죽은 이후의 영혼관 및 처벌과 보상의 문제 등을 검토하여 철학적 의미를 밝혀내는데 주 목적이 있다."
] |
A201007090820
|
리쾨르 해석학의 딜타이적인 계기와 비(非)딜타이적인 계기에 관한 소고
|
paper
|
이 논문은 리쾨르 해석학에서 딜타이적인 계기와 비딜타이적인 계기를 조명해보고, 이를 통해 리쾨르 해석학이 해석학의 역사에 보여주는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동시에 확인해보고자 한다. 가장 분명한 딜타이적인 계기란 인간 주체의 자기반성이나 자기 인식이 “삶의 표현들” 속에서만 가능하다는 점이다. 리쾨르는 이런 생각을 딜타이를 따르며 한 번도 포기한 적이 없다. 비딜타이적인 계기란, 이 표현들이 리쾨르에서는 철저하게 언어적(또는 언어학적)인 성격을 가지는 반면, 딜타이에게서는 훨씬 넓은 외연을 가진다는 점이다. 또한 딜타이에게서와 달리, 리쾨르에서는 이해가 설명을 반드시 배제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오히려 이해의 한 중요한 절차로 적극적으로 수용된다. 이런 과정을 통해 우리는 리쾨르 해석학을 결론적으로 딜타이의 해석학과 하이데거의 해석학과의 관련하에서 위치시키려고 한다.
|
[
"리쾨르 해석학에서 딜타이적인 계기와 비딜타이적인 계기를 조명하고, 리쾨르 해석학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확인해보고자 분석한 결과, 딜타이에게서와 달리, 리쾨르에서는 이해가 설명을 배제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이해의 절차로 수용된다.",
"비(非) 딜타이적이라고 해서 딜타이 해석학으로부터의 ‘단절’이나 ‘불연속’을 의미하기 보다는, 오히려 변용(變容)에 가까울 것이다. 리쾨르 해석학의 변용은 딜타이가 물려준 것, 즉 유산(遺産)의 “또 다른 활용의 가능성들”을 찾는 것에 가깝다. 단순히 물려받은 것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전수받은 자의 새로운 삶 속에서 변형되었기에 참다운 의미의 유산에 해당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유산은 탕감되어 사라져 버리지 않고 리쾨르에 와서 증식된다. 앞으로 논의는 이런 유산 증식의 짧은 보고서 일 것이다. 딜타이 “해석학의 공식”이라고 할 수 있는 체험-표현-이해에서 우리는 “체험”(Erlebnis)에 대한 언급을 그동안 하지 않았다. 그것은 이미 리쾨르가 체험이라는 주체-객체 분리 이전의 영역이자 전 반성적 의식의 영역을 논하기는 했지만, 이 영역이 후설의 형상(본질) 기술적 현상학을 채용했을 때 이 방법론이 더 이상 침투할 수 없는 비(非)의지적것(성격, 무의식, 생명)의 영역으로서 자신의 해석학적 여정 이전에 언급된 영역이기 때문이었다. 1950년에만 해도 리쾨르는 의지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의 한계를 지적하긴 했지만, 이 한계를 의지의 표현물에 대한 이해라는 해석학적 돌파구를 적극적으로 마련하지는 못했었다. 1955년 이후 그리고 1960년에 들어서야 의지에 대한 현상학은 의지에 대한,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의지 표현물들에 대한 해석학으로 변모한다. 딜타이와 리쾨르가 분기(分岐)하는 지점은 “체험”이 아니라 오히려 두 해석학자를 우리가 묶어 두려고 했던 “표현”에서이다. 이런 점에서 “표현”은 두 해석학의 탁월한 분절(分節) 지점이다.",
"리쾨르가 체험이라는 주체-객체 분리 이전의 영역이자 전 반성적 의식의 영역을 논하기는 했지만, 이 영역이 형상 기술적 현상학을 채용했을 때 더 이상 침투할 수 없는 비의지적 것의 영역으로서 자신의 해석학적 여정 이전에 언급된 영역이기 때문이었다. 1950년에만 해도 리쾨르는 이 한계를 의지의 표현물에 대한 이해라는 해석학적 돌파구를 적극적으로 마련하지는 못했었다. "
] |
A201007091789
|
쓰기 敎育을 위한 代案的 文章 槪念
|
paper
|
그동안 文法 敎育에서 이루어졌던 ‘문장의 定義’나 ‘문장의 構成 成分’에 대한 지식은 ‘문장에 대한 문법 지식’이기는 하지만, 意味를 生成해야 하는 表現 活動에 직접적으로 活用하기엔 어렵다. 文章 表現에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문법 지식은, ‘문장이라는 單位의 意思疏通 기능을 우선적으로 익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言語 共同體에서 暗的으로 합의하고 있는 글쓰기 談話 規則’의 하나로서 ‘文章 槪念’을 익히는 데 焦點을 두어 記述되어야 한다. 이러한 問題意識 아래 본고에서는 代案的 文章 槪念을 提案하였다. ‘情報構造=하나의 文章’이라는 代案的 文章 槪念은 이미 생산된 결과물로서의 글을 교정하는 데에만 사용되지 않으며, 글의 내용을 生成하는 단계에서도 적극적으로 活用할 수 있는 문법 지식이다. 이러한 문장 개념은 문장 內部만을 點檢하는 次元을 넘어, 글 全體와 文章의 관계를 정립하면서 글 내용을 構成하도록 도와주는 文法 知識이 된다.
|
[
"‘情報構造=하나의 文章’이라는 代案的 文章 槪念은 생산된 결과물로서의 글을 교정하는 데에만 사용되지 않으며, 글의 내용을 生成하는 단계에서도 活用할 수 있는 문법 지식으로 글 全體와 文章의 관계를 정립하면서 글 내용을 構成하도록 도와주는 文法 知識이 된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현실에 문제제기를 하고, 國語 使用 能刀 神長을 위해서는 母語를 話者으로 하는 문법교육 시 지금보다 오히려 더 확대될 필요가 있음을 刀說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文法知識 이름 語活 動過程에서 가장 마지막 단계에나 작용하는 ‘校計的 次元 ’에서만 기능한다고 보지 않는다. 문법 지식은 자신이 意圖ᅵ하는 바를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언어 활동 全過程에서 도와줄 수 있는 道具이다. 할리데이 Halliday 의 ‘생산적 언어 교수’는 바로 문법 지식의 생산적 도구성에 주목하는 데에서 비롯되며, 이는 교수 학습 방법 instruction technique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문법 교육 내용을 methodology 차원에서 새로이 하는 것으로만 가능한 일이다. 본고에서는 다음두 가지를 前提로삼는다. 첫째, 미숙련자라고 看敬되는 학습자에게는 意識的으로 學習하여 언어활동과정에서 生産的道具로서 活用 할 수 있는 文法知識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고 前提한다. 숙련자에게는 이러한 문법지식이 勤化되어있어,언어활동과정에서 無意識的으로 활용될 수 도 있다. 그러나 미숙련자에게 이러한 문법지식을 ‘의식적으로 提供할 필요가 있으며,미숙련학습자가 이러한 문법 지식을 익히게 되면 言語 活動 過程에서 적극적이고 생산적으로 활용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國語 使用 能刀 神長을 위해서는 母語를 話者으로 하는 문법교육 시 지금보다 오히려 더 확대될 필요가 있음을 刀說하고자 한다. 숙련자에게는 언어활동과정에서 無意識的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미숙련학습자가 이러한 문법 지식을 익히게 되면 言語 活動 過程에서 적극적이고 생산적으로 활용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는 것이다."
] |
A201007091855
|
이청준의 1960년대 소설 연구
|
paper
|
이 논문은 이청준의 1960년대 소설들을 분석한 글이다. 60년대를 만든 사건은 4·19였다. 이 사회운동이 추동한 이념은 ‘자유’였다. 그리고 이 ‘자유의 이념’은 60년대 소설을 이끈 추동력이었다. 아마도 60년대 소설가 중에서도 이 ‘자유의 이념’을 소설적으로 가장 구체화시킨 작가 중의 하나가 이청준일 것이다. 이청준의 소설에서 이 ‘자유의 이념’은 ‘자기 진실의 세계’라는 옷을 입고 있다. 그리고 이 세계에 대한 소설적 탐색은 그의 작가적 경향 전체를 통해 유지된다. 이청준의 60년대 소설들은 바로 이 ‘자기 진실의 세계’에 형태와 내용을 만들어가는 작업들이었다. 이청준이 등단작인 <퇴원>을 통해, 자신을 잃어버린 인물이 자신의 ‘자아’를 찾기 위한 몸짓을 그리고 있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좀 단순화해서 말한다면, 이청준의 60년대 소설들은 이 <퇴원>의 인물이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청준의 이런 ‘자아 찾기’를 이 논문에서는 ‘자기 진실의 세계’의 형성 과정이라고 하였다. ‘장인적 질서’에 기반한 자기 완결적 구조를 가진 자기 진실의 세계에서, ‘관계적 구조’로써의 자기 진실의 세계로 이청준의 60년대 소설들은 전개된다. 그리고 이런 ‘자기 진실의 세계’의 구축과 형성 과정은, 바로 4·19의 배반 과정이었던, 개발과 독재의 60년대 현실에 대한 이청준의 소설적 저항이기도 했다. 이청준의 이후 7·80년대 소설들은 바로 이러한 60년대 소설에서 천착된 ‘자기 진실의 세계’가 주제론적으로 확장되고 심화된 것들이다. 그런 면에서 이청준의 작가적 경향 전체를 이해하기 위해서도, 그의 1960년대 초기 소설들이 가진 전체적 윤곽을 그려보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
[
"이청준의 1960년대 소설들을 분석한 결과, 이청준의 이후 7·80년대 소설들은 60년대 소설에서 천착된 ‘자기 진실의 세계’가 주제론적으로 확장되고 심화된 것으로 이청준의 작가적 경향 전체를 이해하기 위해 그의 1960년대 초기 소설들이 가진 전체적 윤곽을 그려보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청준의 60년대 소설에서 이런 상실된 4·19의 자유 이념과 현실은 ‘자기 진실의 세계’라는 이름으로 형상되고 있다. 이처럼 그의 소설에서 ‘자유’가 ‘자기 진실’의 형식을 가지게 된 것은, 많은 부분 당대의 현실과 관련이 있다. 현실 속에서 실현되는 것이 봉쇄당한 ‘자유’는,내면과 환상의 영역으로 유폐당하고 만다. 60년대 소설들에서 나타나는, 김승옥의 ‘자기 세계’나 최인훈의 ‘사랑의 질서’ 등의 내면 질서에 대한 경도는 이 때문이다. 이청준에게서는 이것이 ‘자기 진실의 세계’로 나타나고 있다. 보통, 의미의 내재성이 사라진 객관 세계에서 소외되었거나 관심을 철회한 주체는 자신의 영혼 속에 이상적 질서를 형성하고자 하는 경향을 보인다. 즉, 세계에서의 관심의 철회 혹은 좌절은 내면적 질서라는 소설적 문제틀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이청준의 60년대 소설들에서 나타나는 ‘자기 진실’의 탐색 또한 이러한 경향과 연관이 있다. 이 글은 60년대 이청준 소설에 나타나는 ‘자기 진실의 세계’가 어떻게 형성되고 변모되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퇴원>에서 시작된 자아 탐색의 과정이 장인적 세계에 연결되어 자기진실의 관계적 구조로 나아가는 과정에 대한 분석이 이에 해당한다. 그리고 이 자기 진실의세계에 대한 관심이 어떻게 4·19와 당대의 폭력적 현실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이청준 소설에 나타나는 형식 구조와 연관지어 분석하겠다. 대상이 되는 작품은 이청준의 60년대 소설들이다.",
"이청준의 60년대 소설에서 이런 상실된 4·19의 자유 이념과 현실은 ‘자기 진실의 세계’라는 이름으로 형상되고 있다. 이 글은 60년대 이청준 소설에 나타나는 ‘자기 진실의 세계’가 어떻게 형성되고 변모되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청준 소설에 나타나는 형식 구조와 연관지어 분석하겠다."
] |
A201007092293
|
부산 중앙부두 주변 해역의 교통 흐름 및 통항 특성에 관한 연구
|
paper
|
부산항 중앙부두 주변 해역은 각 선석별로 그 목적과 용도에 부합된 전용 부두가 배치되어 소형 잡종선을 비롯해서 중대형 여객선, 소형 쾌속선, 컨테이너선, 화물선, 작업선 등 다양한 선박이 특정한 항행 규칙이나 해상교통관제 없이 비교적 자유롭게 통항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앙부두 주변 해상을 대상으로 일정 기간 동안 두 차례의 해상교통조사를 전용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실시한 후 중앙부두 주변 해역을 통항하는 선박들에 대한 선종별, 톤수별 통계처리와 항적분포를 기초로 중앙부두 인근 해상의 주요 통항로의 교통 흐름, 그리고 통항 특징 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교통 현황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중앙부두 주변 해상을 각 기능별로 분류하고, 북내항로 지정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여 항행 선박의 통항 안전성 향상 방안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선박의 운항자 관점에서 입출항 통항 안전성에 바탕을 둔 효율적인 중앙부두 인근 부두의 재배치 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
"본 연구에선 일정 기간 동안 두 차례의 해상교통조사를 전용소프트웨어를 활용해 실시한 후 중앙부두 주변 해역을 통항하는 선박들에 대한 톤수별, 선종별 항적분포와 통계처리를 기초로 중앙부두 인근 해상의 주요 통항로의 교통 흐름 및 통항 특징을 분석하였다. ",
"부산항은 해상운송 물류의 메카 및 세계적인 무역항으로서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해 오고 있다. 최근에는 선박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비교적 수심이 양호한 신선대 및 감만 부두 일대를집중 개발하여 초대형 선박으로 물동량을 무리없이 소화해내고있는 실정이다. 반면 재래부두인 중앙부두 주변 해역은 수심 제한에 의해 중형급 선박들과 연안 및 국제 여객선들이 주로 이용하고 있으나, 선박의 대형화 및 부산 신항의 개장 등과 같은시대적 환경변화에 따라 내항방파제 내에 위치한 각 선석에 대한 기능과 역할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부산항은 이제 단순한 해상 물동량을 취급하는 무역항에서 벗어나 관광산업의 중심기능을 갖는 여객선 사업의 보금자리로 탈바꿈을 시도해야 하는 전환점에 도달해 있다.이 논문은 중앙부두(제3부두) 주변에 대한 재배치가 검토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내항방파제 내의 주변 해역에 대한 교통흐름과 통항 특성을 해상교통조사를 통해 분석함과 동시에 현재의 교통 현황을 기초로 주변 해역을 기능별로 분류하고, 선박의 통항 안전성 향상 방안에 대하여 검토를 수행하였다. 또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도시 개발이나 경제성 원리가 아닌항만의 이용 주체인 선박의 관점에서 통항 안전성과 입출항용이성을 고려한 중앙부두 주변 부두에 대한 재배치 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 논문은 중앙부두 주변에 대한 재배치가 검토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내항방파제 내의 주변 해역에 대한 교통흐름과 통항 특성을 해상교통조사를 통해 분석함과 동시에 현재의 교통 현황을 기초로 주변 해역을 기능별로 분류하고, 선박의 통항 안전성 향상 방안에 대하여 검토를 수행하였다. "
] |
A201007092297
|
물류 응용을 위한 PDA 기반의 RFID 인식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paper
|
새로운 패러다임의 유비쿼터스 환경과 물류의 응용에 있어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핵심기술로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RFID 칩의 가격이 비싸고 짧은 대역폭, 저 전력과 전파 간섭 등이 기술적인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점이 상용화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또한, 규격화를 이루고 있는 리더기와 태그,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등은 대부분 비싼 로열티를 지급하고 수입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은 물류 시스템 적용을 위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PDA를 이용한 RFID 인식 시스템으로 생산품에 태그를 부착하여 기본적인 정보의 입출력을 처리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을 통한 신속, 정확, 안전한 통합 물류관리 시스템을 지원하여 물류비용을 최소화하고 고객 서비스를 향상 시킬 수 있다. 기존의 고정식 인식 시스템보다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하여 응용의 범위를 넓힐 수 있는 장점과 고가인 기존 장비에 비하여 저비용의 응용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
[
"본 연구는 물류 시스템 적용을 위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PDA를 활용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인식 시스템으로 생산품에 태그를 부착해 기본 정보의 입출력을 처리한다.",
"70년대 미사일 탄도 추적기술을 기원으로 RFID에 관한 활용가능성 연구를 지속해 오고 있는 미국의 경우,정부 학계 그리고 업체 중심으로 컨소시엄을 구성하고,‘AUTO-ID센 터’를 설립하여 RFID의 적용가능성에 관한 활발한 논의를 진행하여 오고 있다. 일본은 지난 1986년부터 동경대학 사카무라 켄 교수 등의 발의와 정부의 지원을 통해 ‘유비쿼터스 ID 센터’를 설립하여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최근에 이르러 산업자원부와 정보통신부를 중심으로 RFID 활용방향 및 추진 방향을 모색하고 있는 실 정이다(정,2004).해외 주요 국가들의 경우 각 주파수 대역별 RFID 기술을 개발하고 표준화를 서두르는 한편 산업 현장 및 물류 시스템 전반으로 적용 가능성을 타진하고 시범사업 등 보다 적극적 인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에 물류 작업과 관련한 응 용 프로그램들도 신속하고 안전한 작업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가지는 국제 표준의 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이 대 두되고 있다. 본 논문은 물류시스템 적용을 위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PDA를 이용한 RFID 인식 소프트웨어의 개발로 생산품을 비롯한 물류에 태그를 부착하여 기본적인 정보의 입출력을 처리하고 신속,정확 안전하고 통합적인 물류관리 시스템으로 물류비용의 최소화와 고객 서비스를 획기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RFID 리더기와 태그를 갖추고 임베디드 시스템환경에서 인식 할 수 있는 PDA 미들웨어와 정보통합관리를 위한 서버를 설계 및 구현 하였다.",
"본 논문은 물류시스템 적용을 위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PDA를 이용한 RFID 인식 소프트웨어의 개발로 생산품을 비롯한 물류에 태그를 부착하여 기본적인 정보의 입출력을 처리하고 신속,정확 안전하고 통합적인 물류관리 시스템으로 물류비용의 최소화와 고객 서비스를 획기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서버를 설계 및 구현 하였다. "
] |
A201007092300
|
부산 신항만에서 수로 및 박지 준설에 따른 항만정온도의 변화 분석
|
paper
|
최근 부산 신항만의 1단계 개발이 북 컨테이너 터미널쪽으로 가시적으로 나타나고, 12,000TEU 대형 컨테이너선을 서비스할 수 있도록 접근 수로 및 박지의 수심을 기존 15m 에서 18m로 준설작업을 통해 증심시킴과 아울러, 신항만의 웅동만 내 일부 수역을 매립하는 것으로 항만배후지 부분의 매립계획에 대한 수정이 논의되고 있다. 더구나 2003년 태풍 매미의 내습 이후 이곳 해역에서 항만구조물 설계의 기준이 되는 입사 파랑의 변화로 인해 각 부두에서의 극한파랑조건 및 항만 내 정온도에도 다소의 변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어 각 부두에서의 정온도 분석이 뒤따라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 변화에 대한 수치모델을 구성하고 실험을 수행한 후 현장 계측 자료와 함께 실험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아울러 유동장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결과, 전반적으로 항만의 반응이 증가되는 편이나 우려할 수준에 이르지는 않았지만 일부 구간에서는 태풍내습 시 대비하여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
[
"본 연구에서는 극한파랑조건 및 항만 내 정온도 변화에 대한 수치모델을 구성하고 실험을 수행한 다음 현장 계측 자료와 더불어 실험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아울러 유동장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항만의 반응이 증가되는 편이나 우려할 수준은 아니었다.",
"그러나 향후 부산 신항만 개발 계획에서 12,0⑴TEU 정도의 세계적 컨테이너 선박의 대형화 추세에 맞추고 향후 기존 선 박보다 큰 대형 선박의 접안을 고려하여 수로 및 박지를 기존 의 15m 에서 준설작업을 통해 18m 로 증심시키고 아울러 신 항만 배후지의 확대를 위해 항만내 웅동만 수역의 일부를 매 립하는 계획의 변경을 검토 중에 있다.새롭게 항만개발을 추진함에 고려하여야 할 가장 중요한 부 분 중의 하나로 항내의 정온도를 들 수 있다. 항만내의 정온도 는 평상시 선박 접 • 이안 및 선박계류 안전성 등 항만의 가동 율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 극한 파랑이 내습할 때에는 구조물 안정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2003년 태풍 매미 의 내습으로 인하여 기존 해안 항만 구조물 설계 기준에 극한파랑의 변화를 반영할 필요가 발생하였으며,일부 구간이지만 웅동만 부분매립으로 인한 해안선 변경과 준설수심의 변화로 기존의 정온도 및 해역의 순환 계산에 차이가 수반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자연적 및 인위적인 여건의 변화로 인하여 항만 내의 정온도나 구조물 안정에 미칠 영향을 검토하고,주변 해 역경계의 변화에 따라 해수유동의 변화를 파악하여 현재 진행 되고 있는 부산신항만 건설에 재고하여야 할 인자를 분석하고자 한다.",
"자연적 및 인위적인 여건의 변화로 인하여 항만 내의 정온도나 구조물 안정에 미칠 영향을 검토하고,주변 해 역경계의 변화에 따라 해수유동의 변화를 파악하여 현재 진행 되고 있는 부산신항만 건설에 재고하여야 할 인자를 분석하고자 한다. "
] |
A201007091521
|
중등학교 사회과 수업에서 수준별 교육과정 내용과 운영의 문제점 분석
|
paper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사회과 수업에서 수준별 교육과정이 제대로 시행되고 있는지 분석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준별 교육과정의 의미와 운영상의 특징을 고찰하고 사회과 교사와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수준별 수업의 실태에 대하여 분석해 보았다. 그리하여 사회과에서 수준별 교육과정의 운영상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사회 교과서와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의 일부 단원을 분석해 보았으며, 사회과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을 알기 위해 반구조적 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전체적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중고교 교사 34명, 중학생 130명, 고등학생 113명을 대상으로 수준별 수업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드러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수준별 교육과정에 대한 개념과 사회과 교사들이 실제로 이해하고 있는 개념 간에는 차이가 나고 있었다. 둘째,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수준별 수업을 현행의 사회 교과서를 이용하여 진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했다. 셋째, 대다수 사회과 교사들은 현재 수업에서 수준별 수업을 실시하지 않고 있었으며 실시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었다. 넷째, 학생들 대다수는 한국의 현실에서 사회 수업에 대한 수준별 수업을 희망하지 않고 있었다. 이와 같이 수준별 수업이 사회과에서 이루어지지 못하는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었다. 먼저, 수준별 집단 평가와 수준별 수업의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아 현실적으로 다르게 수업하는 것이 어려웠다. 둘째, 수준별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사회과 학습 보조 자료나 사회 교과서 편성이 제대로 되어 있지 못했다. 셋째, 교사들은 수준별로 집단을 나누어 관리해야 하는 어려움을 지니고 있었으며, 수준별 수업의 방법을 잘 모르고 있었다. 넷째, 교사들은 사회과 교실 같은 공간의 현실적인 지원이 있어야 수업을 제대로 할 수 있다고 보았다.
|
[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사회과 수업에서 수준별 교육과정이 제대로 시행되고 있는지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수준별 교육과정에 대한 개념과 사회과 교사들이 실제로 이해하고 있는 개념 간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수준별 수업을 현행의 사회 교과서를 활용하여 진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대다수 사회과 교사들은 현재 수업에서 수준별 수업을 실시하지 않고 있었을 뿐 아니라 실시할 필요성도 느끼지 못하고 있었다.",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학습 수요자인 학생들의 다양한 입장과 배려’라는 관점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교육적 원리가 도입되어 국가 정책적으로 ‘수준별 수업’이라는 형태를 제시하게 되었다. 학습 수요자의 능력이나 적성, 취미, 흥미를 반영한 수업을 전개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판단 하에 ‘수준별 교육과정’이라는 형태를 교육과정에 도입하기에 이르렀다. 교육과정의 개편 과정에 대한 김왕근의 견해에 의하면, 중앙 수준에서 교실 수준으로 하향되는 권력의 이행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은 끊임없는 해체의 반응을 보이게 된다고 한다. 수준별 교육과정 또한 이론이나 정책 수준에서 개별화 학습을 강조하면서 등장한 처방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처방이 교실 현장에 있는 교사에게 내려질 경우, 교사는 많은 실제적 문제에 직면하게 될 것이며, 이 과정에서 실제적 지식을 응용하여 복합적인 문제에 대응해 나간다고 한다. 이러한 교육과정의 설계 속에서 위로부터의 교육 개혁이 시도되었으며, 수업을 실시하는 교육 현장에서 수준별 수업이 구현되기를 희망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많은 준비와 유행적인 구호 속에서 등장한 수준별 교육과정과 그 실현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중․고등학교 사회과 수업을 대상으로 그 현황과 실태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해 사회과 수업에서 수준별 교육과정이 이루어지기 위한 개선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의 다양한 입장과 배려’라는 관점이 강조되는 교육적 원리가 도입되어 국가 정책적으로 ‘수준별 수업’이라는 형태를 제시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본 논문은 중·고등학교 사회과 수업을 대상으로 수준별 교육과정의 발현 양상을 살펴보고 사회과 수업에서 수준별 교육과정이 이루어지기 위한 개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
A201007091525
|
초등 교사의 사회과 수행평가 실행에 관한 사례 연구
|
paper
|
본 연구는 사회과 수행평가에 관한 초등 교사의 실행 과정을 밝힘으로써 현실 적합성을 충족하는 정책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첫째, 초등 교사들은 사회과교육의 측면에서 수행평가의 의미를 개념적으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둘째, 수행평가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사회과 교육과 관련해서 초등 교사들이 구체적으로 사용하는 방법과 전략은 무엇인가? 이며,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두 명의 초등 교사와의 심층 면담과 수업 관찰을 통한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채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사례 교사들은 수행평가에 대응하는 학습관과 발달주의적 평가관을 지니며, 학습과 평가의 관계가 동형적이고 재귀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제 수업에서의 실천은 그들의 인식과는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제 사회과 수업에서의 수행평가 실행은 교사의 개념적 인식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졌으며, 교사 나름대로의 전략을 가지고 복합적인 교육 현장의 문제에 대응해 나갔다. 즉, 사례 교사들은 현실적인 제약 속에서 수행평가 실행을 위해 수업을 준비계획하는 과정과 평가 전략과 방법을 고안하는 과정 그리고 척도 및 결과 처리 과정에서 그들의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며 대응해나가고 있었다. 이와 같이 사회과 수행평가 실행 과정에서 사례 교사들은 교육현장의 복합적인 문제에 대응하며, 여기에 일차적인 관심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수행평가에 관한 초등 교사의 실행 과정을 밝힘으로써 현실 적합성을 충족하는 정책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례 교사들은 수행평가에 대응하는 학습관과 발달주의적 평가관을 가지며, 평가와 학습의 관계가 동형적이고 재귀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제 수업에서의 실천은 그들의 인식과는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정책의 성패 여부는 정책의 취지나 정책 결정자의 의지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니라 정책의 수행자인 교사의 의지와 동의, 헌신 등에 달려있으며, 교사의 의지와 헌신은 개별자로서의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근원한다. 이와 관련해서 Baron & Boschee는 정책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정책의 수립 및 실행 단계에서 교사 및 교육관련 집단과의 상시적인 공동 협의’, ‘교사 및 지역 사회 구성원들의 믿음과 지역의 교육 문화 고려’, ‘교사의 실천적 지식과 이상(또는 이론)의 괴리에 대한 분석’ 등이 전제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결국 교육 정책의 성공 여부는 교사의 실천적 지식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교육 여건에 대응하는 수행평가 정책의 대안을 모색하는데 학교 현장에서의 수행평가 실행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추진되고 있는 수행평가 정책이 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초등 교사의 사회과 수행평가에 대한 인식과 실제 수업에서의 실행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교육 정책의 성공 여부는 교사의 실천적 지식과 관련되어 있으며 교육 여건에 대응하는 수행평가 정책의 대안 모색을 위해서는 학교 현장에서의 수행평가 실행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 교사의 사회과 수행평가에 대한 인식과 실제 수업에서의 실행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 |
A201007091529
|
수학과 교육내용 적정성에 대한 성별 인식 차이 분석
|
paper
|
수학교육에서 모든 학생들이 기회균등하게 교육 받을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남ㆍ녀 학생 간에 존재하는 성별 차이와 그 원인을 밝히고, 이를 해소시킬 수 있는 방안에 관심이 요구된다. 이 중에서 현행 학교교육에서 다루고 있는 수학적 내용에 대해 학생들이 느끼는 정도를 남ㆍ녀 학생별로 분석해 봄으로써, 남ㆍ녀 학생에게 균등한 학습기회를 제공하고 새로운 수학 교육과정의 마련을 위한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남ㆍ여 학생간의 수학과 교육내용에 관련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습량, 내용수준, 흥미도, 실용성 정도 등에 따라 초등학교 3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전체적으로 남학생과 여학생의 응답 결과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경우에는 난이도 측면에서 남학생보다 어렵다고 느끼는 비율이 높았으며, 흥미도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여학생들은 실생활에 대한 적용 가능성에 대해서도 남학생 응답 보다 부정적으로 반응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여학생에게도 친숙한 생활 소재 및 실생활 문제를 다루는 수학교육의 접근 방법에 대한 논의가 요구된다. 한편, 성차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을 발굴하기 위하여 학생 관찰, 면담 등의 방법을 통한 질적 접근을 통한 연구 방법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
[
"본 연구에서는 남녀 학생 간의 수학과 교육내용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습량, 흥미도, 실용성 정도, 내용수준 등에 따라 초등학교 3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여학생과 남학생의 응답 결과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일반적으로 수학에 대해 사회적 통념으로 받아들여지는 남·여 학생 간의 차이는 단순히 생물학적인 차이라기보다는 외부의 여러 요인에 의해 형성되고 증폭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이 중에서 사회문화적인 환경에서 주어지는 차별적 가치 문화와 행동유형 등은 성별 차이의 주요 요인이었다. 또한 여러 요인 중에는 외적인 요인과 더불어 학습자 스스로가 교과에 대해 가지고 있는 내적인 요인이 있다. 특히 수학 교과에 대하여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가치나 신념체계는 수학 문제해결의 중요한 요소이며, 수학 학습에도 많은 영향을 끼친다. 그러므로 수학학습에 큰 영향을 끼치는 수학에 대한 태도에 대해 남·여 학생 간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은 가치가 있다. 특히, 새로운 수학 교육과정의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학교에서 배우는 수학 교과의 양이 적절한지, 수학을 얼마나 어렵게 느끼고 있는지, 수학의 실용적 가치나 흥미 정도 등에 대한 문항을 바탕으로 현행 학교에서 다루고 있는 수학교육 내용이 적절한지를 남·여 학생별로 분석해 보는 것은 의의가 있을 것이다.",
"수학 교과에 대하여 개개인이 갖는 가치나 신념체계는 수학 문제해결의 중요한 요소이며, 학습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수학에 대한 태도의 남·여 학생 간 차이를 분석하는 것은 의의가 있다."
] |
A201007091581
|
실패의 경험 후 상향비교의 목표설정이 자기평가에 미치는 영향
|
paper
|
과제를 수행하여 실패를 경험하고 우수한 사람과 자신을 비교하는 상황에서 사회비교의 목표, 비교대상의 실패경험, 그리고 자신이 비교대상의 수행 수준에 도달할 가능성이 자기평가에 달리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설정하고 실험으로 검증하였다. 그리고 이 현상이 자신이 지닌 사회비교 동기의 충족 수준과 성공 기대가 달라지기 때문에 나타난다는 가설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가설로 제시한 삼원 상호작용이 지지되었다. 구체적으로 가설과 일관되게 개인이 실패를 경험한 상황이더라도 자기향상의 목표를 설정하면 상향비교 대상이 이전에 실패한 경험이 있거나 자신이 상향비교 대상 수준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은 조건에서, 상향비교 대상이 이전에 실패한 경험도 없고 도달가능성도 낮은 조건보다, 자기평가가 더 높았다. 또한 자기방어의 목표를 설정하면 상향비교 대상의 수준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은 조건에서 낮은 조건보다 자기평가가 더 높았다. 이 결과는 지금까지 연구의 결과가 일관되지 않았던 상향비교의 효과가 사회비교목표, 비교하는 대상의 실패경험, 그리고 자신의 성장가능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선행 연구(한덕웅, 1999, 2002; 한덕웅, 장은영, 2003a; 장은영, 한덕웅, 2004a)에서 제안한 사회비교의 자기조절 과정이론과 관련지어서 논의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과 장래 연구의 과제도 제안하였다.
|
[
"본 연구에서는 과제를 수행하여 실패를 경험하고 우수한 사람과 자신을 비교하는 상황에서 비교대상의 실패경험, 사회비교의 목표, 그리고 자신이 비교대상의 수행 수준에 도달할 가능성이 자기평가에 달리 영향을 끼친다는 가설을 설정하고 실험으로 검증했다. 아울러 이 현상이 자신이 지닌 사회비교 동기의 충족 수준과 성공 기대가 달라지기 때문에 나타난다는 가설도 검증하였다.",
"한국사회에서 문화적으로 사회비교의 압력이 높은데 특히 고등학교 이상의 학교교육에서 상향비교의 압력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이 과제의 수행에서 실패를 경험한 조건에서 상향비교가 자기평가에 순기능을 하거나 역기능을 하는 조건을 알아냈다. 이 때문에 본 연구에서 얻은 중요한 결과는 현실적으로 사회비교 과정을 관리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먼저 사회비교 과정에서 자기방어의 목표보다 자기항상의 목표를 설정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서 자신보다 우수한 사람과 비교함으로써 장차 자신도 상대만큼 우수하게 될 수 있다는 신념을 형성시키는 일이 중요하다. 다음으로 우수한 비교대상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개인이 만성적으로나 일시적으로 지니는 자기동기를 고려하여야 한다. 만성적으로나 일시적으로 자기향상의 동기가 높은 사람들에게는 우수한 비교대상으로 이전에 실패한 경험이 있었던 사람을 선정하게 되면 자기평가에 좋은 효과를 미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자기방어의 동기가 높은 사람들에게는 자신이 우수하나 사람의 수준에 도달할 수 있는 신념을 형성하는 일이 중요하고 비교대상의 실패경험은 자기평가에 큰 효과를 미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장차 이 시사점들은 만성적이거나 일시적으로 실패를 경험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사회비교의 경험을 통해서 자기평가를 개선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개인이 과제 수행에서 실패를 경험한 조건에서 상향비교가 자기평가에 순기능을 하거나 역기능을 하는 조건을 알아냈으며, 자기방어의 동기가 높은 사람들에게는 자신이 우수하나 사람의 수준에 도달할 수 있는 신념을 형성하는 일이 중요하고 비교대상의 실패경험은 자기평가에 큰 효과를 미치지 않음을 알아내었다."
] |
A201007091587
|
문화의 새로운 차원 ‘경직성과 유연성(Tightness-Looseness)’
|
paper
|
지금까지는 주로 개인주의-집합주의 차원에 근거하여 문화가 사회심리학적 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해 왔고, 그 밖의 문화적 차원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과 체계적인 연구는 매우 미미했다. 그러나 최근 들어 문화적으로 다양한 사회적 현상들을 이해하고자 할 때 새로운 차원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문화의 또 다른 차원인 경직성과 유연성(tightness-looseness)을 이론적으로 개관하여 사회 및 조직심리학 분야에서의 문화 이론을 확장하고자 한다. 이 때 문화의 경직성과 유연성은 특정 문화 내에서 규범이 명백하게 정의되고 신뢰롭게 집행되는지의 정도를 지칭한다(Pelto, 1968). 본 연구에서는 현대의 복잡한 사회에서의 문화적 경직성-유연성을 살펴보고, 인류학, 사회학, 심리학을 포함하는 다양한 학문을 통합할 수 있는 경제‧문화적 요인과 역사적 요인, 상황적 구조, 그리고 문화적 체계에서의 심리적 과정들 간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고려하는 다수준 이론(multilevel theory)에 따른 접근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문화의 경직성과 유연성에 대한 경험적인 자료들을 살펴보고 추후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
[
"본 연구에서는 문화의 또 다른 차원인 유연성과 경직성을 이론적으로 개관하여 조직 및 사회 심리학 분야에서의 문화 이론을 확장하고자 한다. 여기서, 문화의 유연성과 경직성이란 특정 문화 내에서 규범이 명백하게 정의되고 신뢰롭게 집행되는지의 정도를 뜻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의 또 다른 차원인 '경직성-유연성(tightness-looseness)'을 살펴봄으로써 사회 및 조직 심리학에서의 문화 이론을 확장하는데 있다. '경직성-유연성’은 특정 문화 내에서 규범이 명백하게 정의되고 신뢰롭게 집행되는지의 정도를 지칭한다. 이 구성개념의 이론적 형성은 인류학자인 Pelto(1968)로 거슬러 가는데, 그는 전통사회들이 사회적 규준을 고수하고 표현하는데 다양성이 있음을 발견했다. 그는 Pueblo 인디언과 Hutterite(후터파; 종교집단)들을 경직된(tight) 문화로 명명하면서, 이 두 사회 모두 규범이 엄격하게 정형화되어 있고, 구성원들은 이러한 규범을 지키도록 강하게 훈육되어 높은 규범 추종을 보인다고 평가했다. 반면에, 그는 타일랜드와 북부 핀란드의 Skolt Lapp족을 느슨한(loose) 문화라고 명명하면서 규범이 폭넓고 다양한 대안적인 방식을 통해 표현되며 규범 동조에 대한 훈육이 부재한다고 평가했다. 불행히도 Pelto(1968) 이후로 이러한 문화적 차원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나 이론이 거의 없다시피 하다가, 최근에 Triandis(1989, 1994)가 심리학 문헌에서 경직성-유연성을 다시 소개하면서 이 차원을 개인주의 집합주의 및 문화적 복잡성과 같은 차원들과 구분했다.",
"'경직성-유연성’은 특정 문화 내에서 규범이 명백하게 정의되고 집행되는지의 정도를 말하며, 본 연구에서는 문화의 또 다른 차원인 '경직성-유연성'을 살펴봄으로써 사회 및 조직 심리학에서의 문화 이론을 확장하고자 한다."
] |
A201007090737
|
적외선 열상표적 모사장치 개발
|
paper
|
본 논문에서는 자체적으로 개발된 항공기의 적외선 열상표적 시스템의 모델링, 설계, 성능시험 결과 등에 대하여 기술한다. 개발된 시스템은 적외선 형상과 강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서 적외선 형상과 방사되는 강도가 실물 항공기와 유사하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기술을 적용한 결과 완전가동 상태에서 실물항공기의 적외선열상 이미지와 같은 열상을 만드는데 오직 30kw 정도의 전력만을 소비됨을 확인하였다. 성능실행시험 후에는 표적적응유도시험, 유도조종 로직시험 등과 같은 성능평가시험 단계를 통하여 본 논문에서 개발된 적외선 열상표적을 휴대용 대공유도무기의 표적으로 실용화 하였다.
|
[
"본 논문에서는 적외선 강도와 형상을 제어할 수 있도록 개발된 항공기의 ‘적외선 열상표적 시스템’의 모델링과 설계 및 성능시험 결과 등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항공기 배기가스 온도와 동일한 적외선 신호 특성을 갖는 적외선 열선 표적을 제안하고 본 연구를 통하여 항공기 적외선 열상 표적을 최초로 개발하였다. 이러한 적외선 열상 표적을 개발하는 것은 원하는 대역인 중적외선을 최대로 방사하는 흑체를 설계하는 일로 귀착되며 열상을 위한 열원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많은 야외 실험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10개의 열원 제어 그룹만으로 항공기의 적외선 신호특성과 거의 유사한 형상의 적외선 열상 표적을 모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 제작된 적외선 열상 표적은 한국형 휴대용 유도탄(KreAM)의 비행시험 표적으로 사용하였으며 야외시험을 통하여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개발 제작된 적외선 열상 표적을 이용하여 얻어진 데이터는 유도탄의 체계개발 및 성능분석에 필요한 모든 자료를 취득할 수 있었고,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제작기술은 적외선 탐색기 및 영상탐색기 등을 사용하는 유사한 무기체계의 개발에도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열상 적외선 표적을 사용하면 항공기 및 열상의 표적을 필요로 하는 시험에 대하여 많은 비용 및 인력의 절감이 기대된다.",
"본 논문에서는 항공기 배기가스 온도와 동일한 적외선 신호 특성을 갖는 적외선 열선 표적을 제안하고, 항공기 적외선 열상 표적을 최초로 개발하였다. 이 제안열상 적외선 표적은 항공기 및 열상의 표적이 필요한 시험에 대하여 비용 및 인력을 절감할 수 있다."
] |
A201007090742
|
빌딩 출입 보안 시스템의 정보폭주 방지방법에 관한 연구
|
paper
|
일반적으로 출입자 정보는 보안서버에서 관리되며, 출입자가 출입카드를 카드리더에 접촉시킬 때 보안서버는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 후 출입허용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그런데 많은 출입자가 여러 출입문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카드리더에 출입카드를 근접시키면 정보폭주가 야기된다. 따라서 서버의 과부화로 인해 출입 지연이 생긴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폭주를 근본적으로 막을 수 있는 구역식별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
[
"동시다발적으로 카드리더에 출입카드를 근접시킬 때 야기되는 정보폭주를 막을 수 있는 ‘구역식별 알고리즘’을 제안했다.",
"본 논문에서는 전역IP를 사용하지 않고 사설IP를 사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전역 IP를 사용하는 빌딩 출입 보안 시스템은 사설IP 알고리즘에 보안 알고리즘을 강화함으로써 해결 할 수 있다. 보통 TCP/IP를 사용하는 경우 폭주로 인한 시스템 제어권 상실이 일어날 수 있다. 이 또한 다른 통신 방식에서도 폭주로 인한 시스템의 제어권을 상실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출입하고자 하는 사람이 출입문 센서GS(Gate sensor)에 출입자카드(IDentification Card)를 근접하면 출입자카드번호가 TCP를 통해 출입보안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출입 가능여부를 출입문제어장치 GC(Gate controller)에 알려 출입문을 개방(Open Gate)하게 된다. 만약 불특정다수가 같은 시간에 서로 다른 여러 개의 출입문센서인 GS에 출입자카드를 근접시켰을 경우 각각의 GS에서 동시에 출입 보안 서버에 TCP로 데이터를 보내게 된다. 이때 출입 보안 서버에 들어오는 데이터 순차대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그의 응답을 게이트 콘트롤러인 GC에 전송한후 다음 GS에서 들어온 데이터를 분석하여 들어온 GC에 재 응답을 보내게 된다.",
"TCP/IP를 사용하는 경우 폭주로 인한 시스템 제어권 상실이 일어날 수 있는데, 이는 다른 통신 방식에서도 폭주로 인한 시스템의 제어권을 상실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
A201007090748
|
컴퓨터 포렌식스를 지원하는 보안 감사/추적 모듈 설계
|
paper
|
현재 거의 모든 운영체제는 여러 웹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운영체제 수준의 보안성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부분에서 운영체제 수준의 보안성이 취약한 것이 사실이다. 특히, TCSEC(Trusted Computer System Evaluation Ceiteria)에서 정의한 B2 레벨 이상의 보안성을 만족시키기 위한 Security Kernel 레벨에서의 감사/추적 기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시스템 콜 호출시 감사 자료를 생성하고, 모든 이벤트에 대해 동일한 포맷의 감사 자료를 생성하여 추후 역추적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토록 한다. 본 논문에서는 안전한 증거 확보를 위하여 기존 리눅스 커널에 대해 변경 없이 적용 가능한 LKM(Loadable Kernel Module) 기법을 이용한 감사/추적 시스템 모듈을 제안하였다. 이는 침입탐지시스템과 같은 외부 감사 자료 등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시스템 관리자와 보안 관리자를 구분하여 역할기반의 안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자료등은 추후 법적 대응이 가능한 컴퓨터 포렌식스의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
"본 연구에서는 안전한 증거 확보를 위하여 기존 리눅스 커널에 대해 변경하지 않고도 적용 가능한 LKM(Loadable Kernel Module) 기법을 활용한 감사‧추적 시스템 모듈을 제안하였다. 이는 침입탐지시스템과 같은 외부 감사 자료 등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미국 등의 선진국에서는 현재 시스템 보안을 위한 안전한 운영체제에 대해 상당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각종 보안 서버 관리에 대한 표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의 경우, 신뢰성 컴퓨터 평가 기준 (TCSEC: Trusted Computer System Evaluation Criteria) Bl급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에서는 안전한 OS의 구현은 대부분 보안 커널(Security Kernel)로 구현하고 있으며, B2급 이상의 평가를 받은 컴퓨터 시스템에 대해서는 해외로 수출을 금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보안 커널 수준의 역할기반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여러 로그 파일을 보호하고, 이러한 안전한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마킹 기반의 IP 역추적을 통한 보안 감사/추적 모듈을 제안하였다. 수집된 증거 정보들은 제안된 보안 정책에 따라 생성되며, 무결성을 제공받는 증거 자료를 기반으로 제안된 IP 역추적 모듈을 이용하여 추적이 가능하다. 여기에 추후 침해사고 대응을 위한 컴퓨터 포렌식스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모듈의 개발 환경은 리눅스를 기반으로 하였고 클라이언트는 윈도우즈 계열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설계하였다.",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시스템 보안을 위한 운영체제에 대해 상당한 투자와, 보안 서버 관리에 대한 표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보안 커널 수준의 역할기반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로그 파일을 보호하고, 안전한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마킹 기반의 IP 역추적을 통한 보안 감사/추적 모듈을 제안하였다."
] |
A201007090753
|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한 모바일 소액결제 시스템의 인지적 특성 분석
|
paper
|
모바일 소액결제 서비스는 소액결제 시장에서 최근에 새롭게 등장한 혁신 기술이다. 다른 결제 수단들에 비해서 사용되기 시작한 기간은 얼마 되지 않았으나 인터넷 혹은 모바일 상의 수많은 온라인 기업들에 의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결제 수단이기도 하다. 하지만 전자결제와 관련한 기존의 연구들은 대개 결제 프로세스 그 자체에 많은 관심을 가져 왔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레 프로세스 자체의 보안성이나 견고함 등에 연구의 초점이 맞추어지게 되고 상대적으로 전자결제 서비스가 가지고 있어야 하는 사용자 편의성이나 효율성 등에 대해 행동과학 측면에서 접근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소액결제가 내재하고 있는 어떠한 특성요인이 서비스 사용자/비사용자의 판명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그 영향력의 크기와 함께 규명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Rogers 의 기술수용모델과 전자결제가 가지는 특성변수들을 함께 고려한 모형을 설계 하였다. 결과적으로 사용용이성(ease of use), 취득용이성(convenience), 관측성(observability)등이 사용자/비사용자 구분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며, 안전성(security)은 user status에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판명 되었다.
|
[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소액결제가 내재하고 있는 어떠한 특성요인이 서비스 사용자와 비사용자의 판명에 영향을 끼치는지를 그 영향력의 크기와 함께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Rogers 의 기술수용모델과 전자결제가 지니는 특성변수들을 동시에 고려한 모형을 설계하였다. ",
"현재까지 전자결제 서비스와 관련하여 나와 있는 관련 연구들을 보면 대부분 전자결제 서비스가 가지고 있는 기술적 문제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존재해 왔다. 따라서 수학이나 전산학적 관점에서 암호화 알고리즘이나 보안 메커니즘의 개선 등에 치우친 경향이 있다 보니 상대적으로 전자결제 서비스가 가지고 있어야 하는 사용자 편의성이나 효율성 등에 대해 행동과학 측면에서 접근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모바일 소액 결제 서비스를 전자결제 분야에서 새로이 등장한 하나의 혁신기술로 간주할 때, 혁신적인 신기술(New emerging technology)의 수용(adoption) 및 확산(decision)과 관련하여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대표적으로 Rogers가 혁신기술의 수용(adoption)에 영향을 미치는 5가지 특성으로 취득용이성(convenience), 수용성(compatibility), 사용용이성(ease of use), 실험성(trialability), 관측성 (observability) 을 꼽은 이래 많은 학자들이 인구통계학적 특성이나 심리학적 특성, 동기부여 측면에서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사용이 크게 늘어 보편화 추세에 있는 모바일 소액결제 서비스의 특성을 소비자들이 모바일 소액결제 서비스가 갖추고 있는 특성들에 대해 지각하는 인지적 요인 측면에서 살펴보고, 이들 요인들 중에 어떠한 것이 사용자들로 하여금 모바일 소액결제 서비스를 사용하게 하는데 영향을 미치는지, 영향을 미친다면 얼마만큼의 영향력을 가지는지를 규명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까지 전자결제 서비스 관련 연구들은 전자결제 서비스의 기술적 문제에만 집중해, 사용자 편의성이나 효율성 등에 대해 행동과학 측면에서 접근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모바일 소액결제 서비스의 특성을 소비자들이 모바일 소액결제 서비스의 특성에 대해 지각하는 인지적 요인 측면에서 살펴보고, 이 요인 중 어떠한 것이 사용자들의 모바일 소액결제 서비스를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 |
A201007090758
|
Neuro-Fuzzy를 이용한 이상 침입 탐지
|
paper
|
컴퓨터 네트워크의 확대 및 인터넷 이용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컴퓨터 보안문제가 중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침입자들로부터 위험을 줄이기 위해 침입탐지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기반의 이상 침입 탐지를 위하여 뉴로-퍼지 기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불확실성을 처리하는 퍼지 이론을 이상 침입 탐지영역에 도입하여 적용함으로써 오용 탐지의 한계성을 극복하여 알려지지 않은 침입 탐지를 하고자 한다.
|
[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기반의 이상 침입을 탐지할 목적으로 ‘뉴로-퍼지 기법’을 적용하였다.",
"최근의 정보통신 기반구조는 컴퓨터 시스템의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인터넷은 개방형 구조를 가지고 있어 서비스 품질의 보장과 네트워크의 관리가 어렵고, 기반구조의 취약성으로 인하여 타인으로부터의 해킹 및 정보유출 등의 위협으로부터 노출되어있다. 불법 및 고의로 네트워크를 통한 컴퓨터 시스템에 접근하여 피해를 야기하는 문제에 대해 침입 차단, 인증 그리고 접근제어 등의 다양한 방법이 제공되고 있지만 역부족 상태이다. 보안 위협에 대한 능동적인 대처 및 침입 이후에 동일한 또는 유사한 유형의 사건 발생에 대해 실시간의 대응 할 수 있는 방법이 중요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해결책으로서 침임 탐지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침입 탐지 시스템은 단순한 접근 제어 기능을 넘어서 침입 패턴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전문가 시스템을 사용해 네트워크나 컴퓨터 시스템의 사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침입을 탐지하는 보안 시스템이다. 침입 탐지 기법은 크게 비정상적인 침입탐지 기법과 오용침입탐지 기법으로 나눌 수 있다. 오용 탐지는 알려진 침입 방법들을 수집하여 지식 베이스에 유지하고 동일한 침입 유형을 지식 베이스 검색을 통한 비교에 의해 침입을 탐지하는 방법이다.",
"침입 탐지 시스템은 침입 패턴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전문가 시스템을 사용해 네트워크나 컴퓨터 시스템의 사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침입을 탐지하는 보안 시스템이며, 크게 비정상적인 침입탐지 기법과 오용침입탐지 기법으로 나눌 수 있다."
] |
A201007090763
|
부정적 정서로 유발된 섭식동기척도의 개발
|
paper
|
이 척도의 총 문항수는 12개이며, 전국 8개 대학의 여학생 609명을 대상으로 이 척도의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고 타당화를 하였다. 그 결과 신뢰도는 Cronbach α=.97로 아주 만족스러웠다. 구성개념타당화를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단일요인이 추출되었으며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여 대체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어(CFI=.891, GFI=.746, TLI= .866, NFI= .880)구성개념의 교차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이 척도의 준거관련 및 변별 타당화를 위해서 폭식행동 척도, 부정적 정서척도, 섭식억제척도의 정서차원과 상관을 산출 한 결과 폭식행동과 r=.31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나 섭식억제척도의 정서차원과 r=.07로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이런 결과는 NEIEMS가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임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
[
"연구성 개념 타당화를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단일요인이 추출되었으며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해 대체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도출해냄으로써 구성개념의 교차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슬플 때, 섭식이 증가한다는 다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하지 않는 결과는 정서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섭식하는 경향(emotion _xFFFE_congruent modulation of eating)을 나타내는 것으로 정서가 유발하는 섭식 변화의 두 가지 방향, 즉, 정서적으로 도구화된 섭식 (emotionally instrumental eating)과 정서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섭식하는 경향(emotion-congruent modulation of eating)이 있다는 것에 관한 지지를 제공한다. 이상의 연구들에서 정서, 특히 부정적 정서가 섭식 행동과 관련된 중요한 심리적 변인임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부정적 정서를 조절하기 위한 도구로 섭식을 이용함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정적 정서와 섭식행동 간의 직접접인 관계를 측정하는 단일한 도구는 거의 없다. Arnow, Kenardy 및 Agras(1995)가 부정적 정서와 과식 행동간의 관계를 측정하기 위해서 신경성폭식증환자를 대상으로 정서섭식척도(Emotional Eating Scale : EES)를 개발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에서 반응하도록 되어있는 25개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분노/좌절, 불안 우울의 하위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척도는 정상인 집단에서 부정적 정서에 따른 섭식행동을 측정하지 않고 규준도 제시 않고 있다.",
"기존 연구들을 통해 정서, 특히 부정적 정서가 섭식 행동과 관련된 중요한 심리적 변인이며, 특히 부정적 정서를 조절하기 위한 도구로 섭식을 이용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부정적 정서와 섭식행동의 직접접인 관계를 측정하는 단일한 도구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 |
A201007090768
|
조선시대 부패방지책에 대한 철학적 검토와 그 현대적 수용
|
paper
|
우리나라 정치 사회에서는 부정부패의 행태가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이로 말미암은 정신적 물질적 피해 또한 이루 말할 수 없을 지경이다. 그 중심에 있는 것이 공직 부패문제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공직자윤리법」「부패방지법」을 비롯한 여러 법률을 제정 시행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부패 행위는 줄어들지 않는다. 법치의 외재적 방법으로는 근절될 수 없다는 한계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을 주목하면서 특히 내재적 측면의 방책이 긴요한 것임을 제기하였다. 여기서는 ‘다른 사람이 보지 않는다 하더라도 부패행위는 할 수 없다.’는 자기 관리능력을 함양하게 함으로써 결국 부패 근절의 차원에 이를 수 있을 것이라는 논리가 가능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는 하나의 이상론이 아니라 우리의 과거에서 확인되는 실제적 내용이었다. 그 가까운 과거가 곧 ‘조선시대’이다. 조선조 5백년의 문인정치에서는 부패 예방을 위하여 다방면의 입체적인 시스템이 가동되고 있었다. ‘유교’라는 정치문화를 배경으로 출발한 조선왕조에서는 태조의 첫 시정교서에서부터 전인민에게 도덕적 삶을 강조하고 있었다. 또 그것은 교육과 등용 및 상벌의 기준으로 작용하였다. 그리고 공직자의 길에 나아가는 교과과정에서는 인간 본연의 심성 함양문제에서부터 애국충성의 공직의식 정립문제에 이르기까지의 제반 내용들이 심층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었으며, 그것은 각종의 과거시험과 근무평가 및 상벌의 중심에서 부단히 지향되었다. 그리하여 공직자로 하여금 탐욕의 검은 마음을 버리고 청렴결백의 밝은 마음을 견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禮義廉恥의 四維가 강조되고 懲忿窒欲의 심성함양이 중시되었던 것은 그와 성격을 같이하는 것이다. 조선시대에는 그와 같은 내적 측면에 병행하여 외적 측면 또한 엄정하였으니, 부패를 낳기 쉬운 관리들에게는 처음부터 만남의 대상을 제한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공개비공개의 감찰활동을 전개하여 贓吏와 淸白吏의 평가를 낳게 하였고, 또 장리에게는 사형 다음의 형벌과 자손 금고의 연좌죄를 적용하여 그 척결의지를 분명히 하였다. 그와 같이 안팎으로 전개된 반부패 예방과 근절의 요체는 오늘의 부패 척결운동에 있어서 적지 않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고 본다. 특히 부패 추방의 관점을 행위 이전의 측면에서부터 견지하고 있었다는 사실과, 見利思義의 가치관을 사회구성원 모두의 공동가치로 심화시켜 나아갔던 점, 그리고 공직자에 대한 평가와 상벌의 제도가 매우 효과적으로 추구되었던 점 등은 그 핵심 내용이다.
|
[
"국내 정치 사회에서는 부정부패의 행태가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이로 말미암은 물질적, 정신적 피해 또한 이루 말할 수 없을 지경이다. 그 중심에 있는 것이 공직 부패문제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공직자윤리법」, 「부패방지법」을 비롯한 여러 법률을 제정‧시행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부패 행위는 줄어들지 않는 게 현실이다. 법치의 외재적 방법으로는 근절될 수 없다는 한계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면서 특히 내재적 측면의 방책이 긴요한 것임을 역설하였다. ",
"부패 행위는 분명 제도나 법령의 미비함에서 비롯한 현상만은 아니다. 또한 무지함의 소치라고도 볼 수 없다. 그것은 ‘見物生心’에서 ‘見利思義’로 나아가는 가치관이 상실된 채, ‘아는 것’과 ‘행동하는 것’의 이원화 현상에서 비롯하는 것임을 간과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부패 행위에 대하여 ‘도덕적 불감증’이라는 말은 곧잘 하면서도 그 불감증을 치유하기 위한 깊은 고민은 하려하지 않는다. 하지만 조선시대의 경우는 이와 달랐다. 당시의 사회에서도 오늘날 못지않게 부패방지의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 대응책은 개인의 내면세계에 이르기까지 더욱 심도 있게, 그리고 교화와 행정이 입체적으로 강구되고 있었다. 그로 말미암아 조선왕조는 5백년 문민의 긴 역사를 가질 수 있었던 것이다. ‘절대 권력은 절대부패’라는 말에 비추어 보면, 조선왕조 5백년은 쉽게 이해될 수 없다. 조선시대에는 도덕적 공직자를 향한 학습내용에서부터 근무평가와 감찰제도에 이르기까지 반부패의 요소들이 다각적으로 부단히 지향되고 있었던 것이다. 거기에는 부패 추방의 기본이 되는 이른바 ‘사회 문화적 시스템’이 작동하고 있었던 것이다. 여기서는 이러한 사실을 자세히 살펴보면서 오늘날에도 효력을 가질 수 있는 반부패의 적극적 요인은 무엇인가 그리고 그 수용은 어떻게 가능한가 하는 문제를 다루어 보기로 한다.",
"조선시대에는 도덕적 공직자를 향한 학습내용에서부터 근무평가와 감찰제도에 이르기까지 반부패의 요소들을 다각적으로 부단히 지향하고 있었다. 거기에는 부패 추방의 기본인 ‘사회 문화적 시스템’이 작동하고 있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사실을 자세히 살펴보고 오늘날에도 효력을 가질 수 있는 반부패의 적극적 요인은 무엇이며 그 수용은 어떻게 가능한가 하는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 |
A201007090773
|
세계화 시대의 민주시민교육 정립 과제
|
paper
|
신자유주의를 기치로 하는 세계화와 글로벌 자본주의, 그리고 지식과 정보 혁명 등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 21세기는 풍요와 위기라는 양면성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 그 동안 우리에게 물질적인 풍요로움을 가져다 준 과학기술의 발달과 정보화는 이제 인간성의 상실과 궤를 함께 하는 동시적인 현상으로 다가서고 있다. 따라서 도덕성의 함양과 민주 시민성의 육성 및 세계윤리의 정립 등을 위한 민주시민교육의 기능과 역할은 어느 때보다도 더욱 강조되어야 한다. 도덕성을 함양하여 학생들을 인격체로 만들고, 민주시민의 자질 및 전인적 능력을 계발해 궁극적으로 자아실현으로 이르게 하는 민주시민교육은 교육의 본질적 측면이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아무리 원칙과 가치에 대한 우리의 일반적인 사유가 위기에 봉착해 있다고 하더라도, 인간이면 누구나 자신의 판단이나 행동이 지니는 의미나 정당화에 대해 어떤 이해를 가져야만 한다. 민주시민교육은 그러한 인간을 육성하는 일과 깊은 관련을 갖는데, 학생들이 세계화 시대에 알 맞는 시민능력을 갖도록 특별히 교육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민주시민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사회문화를 올바로 이해하고 참여하는 방법을 학습하게 하는 과정이 되어야 한다. 그러한 민주시민교육을 받음으로써 학생들은 사회현상과 세계사적 변화를 올바로 이해할 수 있는 지적 안목을 지니게 되어 도덕적사회적 인간으로서의 자아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우리는 민주시민교육을 통해 사회 변화와 개혁의 비전을 끊임없이 모색하고,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민주시민교육을 통해 젊은 세대의 에너지가 국가 사회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쓰여지도록 보다 성숙된 시민의식을 함양하는데 역점을 두어야 한다. 특히, 세계화 시대의 민주시민교육은 모든 것을 상품 가치로 환원하는 세계화가 아니라, 삶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공존의 윤리를 추구하는 세계윤리의 정립을 목표로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현재 유엔의 기능과 역할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앞으로는 유엔의 권능이 세계윤리로 대체되어야 할 것이다. 세계윤리의 정립과 관련하여, 개인 간에는 자유와 정의, 합리성과 동정심, 준법성과 시민성, 권리와 책임 등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며, 국가 간에는 참여와 정당성, 신뢰성, 화해 등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
[
"신자유주의를 기치로 하는 세계화와 글로벌 자본주의, 그리고 지식과 정보 혁명 등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 21세기는 ‘풍요’와 ‘위기’라는 양면성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 그동안 우리에게 물질적인 풍요로움을 안겨준 정보화와 과학기술의 발달은 이제 인간성의 상실과 궤를 함께 하는 동시적인 현상으로 다가서고 있다. 그러므로 도덕성의 함양과 민주 시민성의 육성 및 세계윤리의 정립 등을 위한 민주시민교육의 역할과 기능은 그 어느 때보다도 더욱 강조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지식기반 정보화 시대에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등 모든 측면에서 젊은 세대의 발언권이 점차 강화될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우리는 민주시민교육을 통해 젊은 세대의 감성적 지성(emotional intelligence)을 함양하는데 역점을 두어 야 한다. 특히 세계화 시대의 민주시민교육 정립과 관련하여, 개인적인 차원에서는 자유와 정의, 합리성과 동정심, 준법성과 시민성, 권리와 책임 등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며, 국가간에는 참여와 정당성, 신뢰성, 화해 등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인류는 21세기의 시작과 더불어 정보화 혁명이라는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였다. 그러나 문제는 인류에게 물질적인 풍요로움을 가져다 준 과학기술과 정보통신의 발달, 그리고 세계화의 물결이 인간성의 상실과 궤를 함께 하는 동시적인 현상으로 다가서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세계화 시대의 민주시민교육은 모든 것을 상품 가치로 환원하는 세계화가 아니라, 삶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공존의 윤리를 모색하는 세계화에 역점을 두어야 한다. 또한 오늘날 유엔의 기능과 역할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이제는 유엔의 권능이 세계윤리로 대체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여기에서는 주로 도덕성 함양과 민주 시민성 육성 및 세계윤리의 정립 등을 위한 민주시민교육의 역할과 과제에 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세계화 시대의 민주시민교육은 모든 것을 상품 가치로 환원하는 세계화가 아닌, 삶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공존의 윤리를 모색하는 세계화에 역점을 두어야 하며, 유엔의 기능과 역할에는 한계를 넘기 위해 유엔의 권능을 세계윤리로 대체해야 한다."
] |
A201007090777
|
한국판 취학전 아동용 사회적 기술 척도(K-SSRS: 교사평정용, 부모평정용)의 타당화 연구
|
paper
|
본 연구는 Grasham과 Elliot(1990)의 취학전 아동용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Social Skill Rating System for preschool level, SSRS)를 우리나라 유아들을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타당화 작업을 실시하였다. 취학전 아동용 SSRS는 교사평정용과 부모평정용 2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SSRS를 전문가와 협의번안하여 대구, 포항, 울산지역의 5세와 6세 유아를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요인구조를 통한 구인타당도 결과, K-SSRS의 교사평정용은 3가지 요인으로 21문항이 추출되었다. K-SSRS의 부모평정용은 4가지 요인으로 32문항이 추출되었다. K-SSRS의 교사평정용의 신뢰도는 .88, 부모평정용은 .83이었다. 그리고, 교사평정용과 부모평정용의 상관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기존에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사용된 McGinnis와 Goldstein(1990)의 친사회적 행동척도와 K-SSRS: 교사평정용과 부모평정용 간에도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 공인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가정과 학교에서 K-SSRS를 이용해 유아의 사회적 기술이 다각적인 차원에서 평가되었으면 한다.
|
[
"본 연구는 Grasham과 Elliot의 취학 전 아동용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를 국내 유아들을 대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타당화 작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와 가정에서 K-SSRS를 이용해 유아의 사회적 기술이 다각적인 차원에서 평가되었으면 한다.",
"SSRS는 사회적 기술 자체에 초점을 두고 개발된 척도이기 때문에 사회적 기술이라는 단일 요인으로서만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기술을 구성하는 하위 영역을 통해 구체적인 기술 영역들간의 비교를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취학 전 아동용, 아동용, 중등학생의 교사평정 척도는 협력성, 주장성, 자기통제의 3가지 하위영역으로 되어 있으며, 부모평정용은 협력성, 주장성, 책임성, 자기통제의 4가지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동용과 중등학생의 학생용 척도는 협동성, 주장성, 공감, 자기통제로 되어 있다. 그러나, SSRS가 미국에서 표준화되었더라도 이를 우리나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문화적인 차이가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주장성의 경우 서양과 동양에서 지각되는 수준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또한 문항 중에 타당하지 않은 내용이 포함되었을 수도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문성원(2002, 2003)은 우리나라 대학생과 중고생에게 적용할 수 있는 K-SSRS에 대한 표준화 작업을 하였다. 문성원의 연구로 인해 우리나라 청소년의 사회적 기술을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를 마련되었다는 점은 의의가 있다.",
"SSRS는 사회적 기술 자체에 초점을 두고 개발된 척도이기 때문에 사회적 기술을 구성하는 하위영역을 통해 구체적인 기술 영역 간의 비교가 가능하다. 그러나 SSRS가 미국에서 표준화되었더라도 우리나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문화적인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
] |
A201007090781
|
한훤당 김굉필의 도덕론 고찰
|
paper
|
본고는 조선전기의 성리학자인 한훤당 김굉필의 도덕론을 고찰하였다. 그는 근엄한 자세로 스승 김종직 보다 더욱 더 유학에 파고 들어가 성리학의 이론보다 실천에 더욱 힘을 쏟았다. 유학의 근본 목적인 수기치인에 관련된 성리학적 의리를 이전의 어느 때 보다 실천하려 하였고 도덕교육에 대해서도 신성한 사명을 지니고 가는 곳마다 학교를 일으켜 유학과 문교를 흥기시키고 조광조, 김안국 등의 학자를 길러내었다. 15세기 후반 들어 성리학적 의리와 도덕을 실제 구현하려는 정신이 이전의 어느 때보다도 강하였으므로 이때에 이르러서 비로소 성리학의 도학화가 뿌리 내렸다. 수기 위주의 도학정신이 이 당시 소학의 중시로 드러났고, 치인 위주의 도학정신이 지치주의 운동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도학정신의 구현을 담당한 것이 사림들이고 그 의리와 도덕의 역행실천자로서 중심인물이 바로 김굉필이었다. 그는 도학과 그에 따르는 도덕의 실천자로서 도덕교육을 실현시켜야 한다는 자임의식으로 그에 의해 도학과 그에 따르는 도덕교육이 비로소 조선사회에 정착하였고 사화라는 커다란 피해를 입고서도 조선중기 이후 정치주도세력으로 자리 잡는 데 지대한 역할을 하면서 도덕적으로 실천하였다. 그는 성리학의 실천철학인 도학을 강조하였고 그것의 도덕적 실천은 『소학』의 중시로 나타났다. 김굉필의 학문 활동은 대체로 도학적 원리의 구명과 도덕적 실천적 가치의 구현에 편중되었다. 그는 특히 도덕교육에 대한 열의가 가득하였다. 『소학』은 고려 말에 전래되어 교화의 바탕이 되었으며 조선 왕조가 교육을 위하여 법제적으로 강요하였으나, 문장에 치중해 실천에는 실효를 거두지 못하였다. 이후 15세기 말에 김굉필에 이르러서 비로소 『소학』의 실천궁행과 학문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김굉필은 『소학』을 생활 철학으로 삼아 실천함으로써 도학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의 도덕론의 일단은「추호가병어태산부」, 「한빙계」 등에서 살펴 볼 수 있다. 「추호가병어태산부」에서는 세상 사람들이 근본을 버리고 말단을 쫓는 것을 경계한 것으로 대롱 속으로 하늘을 보며 송곳으로 땅을 가리키는 우둔함을 버리고 시시비비를 초월한 정신으로 인륜도덕의 질서를 바로 잡으려는 의지를 드러내었다. 「한빙계」는 옥계 반우형이 김굉필에게 가르침을 청한데 대해 수기와 접물의 방법을 써준 것으로 그의 소학적 도덕정신을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이다. 「한빙계」의 조목들에는 다스림의 행동에 앞서 수기의 행동이 먼저 이루어 져야 한다는 그의 생각이 담겨져 있다. 『소학』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수행자적 고통이 따른다. 김굉필은 소학적 실천을 철저히 실천함으로써, 당시 이론에만 치우치기 쉬운『소학』교육을 위기지학의 차원으로 이끌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김굉필은 『소학』교육의 중요성을 의식하였다는 점에서, 도덕의 기본자세를 확립한 사표로서 길이 빛난다.
|
[
"본 논문에서는 조선전기의 성리학자인 한훤당 김굉필의 도덕론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는 진중한 자세로 스승 김종직 보다 더 유학에 깊이 파고 들어 성리학의 이론보다는 실천에 더 힘을 쏟았다. 유학의 근본 목적인 수기치인에 관련된 성리학적 의리를 이전의 어느 때보다 실천하려 애썼고 도덕교육에 대해서도 신성한 사명감을 가지고, 가는 곳마다 학교를 일으켜 유학과 문교를 흥기시키고 김안국, 조광조 등의 학자를 길러냈다. 15세기 후반에 접어들어 성리학적 도덕과 의리를 실제 구현하려는 정신이 이전의 어느 때보다도 강하였으므로 이때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성리학의 도학화가 뿌리 내렸다. 수기 위주의 도학정신이 이 당시 소학의 중시로 나타났고, 치인 위주의 도학정신이 지치주의 운동으로 드러나게 되었다.",
"이상에서 김굉필의 도덕적 삶과 도덕론을 살펴보았다. 그는 일찍이 지지당 김맹성에게 사사하였으며 점필재 김종직의 문하에 들어가 정여창과 더불어 도학적 학문과 그 도덕적 실천으로 이름높았다. 도학이란 목숨걸고 행할 수 있는 진리를 찾아 그것에 헌신적으로 종사함으로서 이 세상에 질서를 확립하고자 했던 행동철학이자 일종의 도덕학이다. 그러므로 도학은 사대부들에게 대의를 위해 살신성인의 순교자적 자세를 취하는데 강력한 힘을 발휘 하게 하였다. 유교의 종교적 성격은 바로 도학에서 나온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성리학의 도통의식이 정몽주와 길재를 각각 1, 2조로 할 정도로 절의(의리)와 도덕을 중시하였고 15세기 후반 들어 성리학의 이론을 갖춘 사림들은 유학의 근본 목적인 修己治人에 관련된 성리학적 의리와 도덕을 이전의 어느 때 보다도 적극 실천하려 하였다. 성리학적 의리와 도덕을 실제 구현하려는 정신이 이전의 어느 때보다도 강하였으므로 이때에 이르러서 비로소 성리학의 도학화가 뿌리 내렸다고 할 수 있다.",
"김굉필은 정여창과 더불어 도학적 학문과 그 실천으로 이름 높았다. 여기서 도학이란 진리를 찾아 그것에 헌신적으로 종사하여 질서를 확립하고자 했던 행동철학이자 일종의 도덕학이다. 그러므로 도학은 사대부들에게 대의를 위해 살신성인의 순교자적 자세를 취하는데 강력한 힘을 발휘하였다."
] |
A201007090786
|
GeoVRML을 이용한 3차원 GIS의 구현에 관한 연구
|
paper
|
본 연구에서는 GeoVRML 기술을 이용하여 지형 자료를 3차원 GIS로 구축하고 이를 인터넷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첫째, 기존의 2차원시각화 중심인 GIS 시스템에 비하여 3차원 실세계와 유사한 공간정보를 처리할 수 있으며, 3차원 시각화를구현하여 실질적인 공간 정보 분석에 유용하다. 둘째, 기존의 정적인 지도 시각화 표현 방식에 비하여 지리정유연한 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셋째, 3차원 GIS는 3차원 가상 현실 공간 모델링을 통하여 토지, 군사, 환경, 도시 계획, 시설물 관리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공간 분석과 자료의 탐색이 가능하다.
|
[
"본 연구는 GeoVRML 기술을 활용하여 지형 자료를 3차원 GIS로 구축하고 이를 인터넷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통적인 GIS가 독자적인 시스템(standalone system)환경으로 방대한 자료를 관리하거나 자료를 공유하는데 어려움을 겪은 데 비해 인터넷 GIS는 초고속 통신망을 이용하여 대용량의 자료를 쉽게 공유하고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아주 빠르게 확산되고 있어 향후 GIS의 주축을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인터넷 GIS는 특정 전문가만 사용하는 도구이던 GIS를 일반인들이 인터넷을 통하여 공간 자료를 검색하고 분석하고 일상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도구로 변화시키고 있다. 인터넷 GIS 환경에서 지리정보의 3차원 시각화는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환경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2차원적인 시각화에서 잘 나타나지 않는 공간적 변이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어 효율적인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중요한 연구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3차원 GIS를 인터넷 환경에서 구축하는 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최근의 3차원 GIS 연구와 인터넷 환경의 3차원 시각화 기술의 특성을 정리하고, GeoVRML을 이용하여 지형과 같은 공간 정보를 지도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거제도를 사례 지역으로 인터넷 환경에서 3차원적인 형태로 효과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는 방안을 실험하고자 한다.",
"인터넷 GIS 환경에서 지리정보의 3차원 시각화는 가상 현실 환경을 제공하며, 공간적 변이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어 중요한 연구과제이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GeoVRML을 이용하여 지형과 같은 공간 정보를 지도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거제도를 사례 지역으로 인터넷 환경에서 3차원적인 형태로 효과적으로 시각화하는 방안을 실험하고자 한다."
] |
A201007090794
|
플로베르와 동양 : 외적 여정에서 내적 여정으로
|
paper
|
초록이 무성한 들판과 황량한 사막이 동시에 눈 앞에 펼쳐져 있는 풍경, 결코 어울릴 수 없는 상반되는 것들, 즉 질서와 혼돈, 문명과 원시가 공존하는 기이한 풍경에서 그는 경이로움과 감동을 느꼈다. 그런데 대조적인 것들이 함께, 나란히 있는 모습은 자연에서만 볼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시체와 레몬나무”, “썩는 냄새”와 창녀의 “향내 나는 살 냄새”, 당당하게 드러내는 더러움, 점잖은 외설스러움... 언제, 어디에서나 볼 수 있었다. 플로베르는 바로 여기에서 진정한 동양을 보았다고 생각한다. “내가 동양에서 좋아하는 것은 (...) 알지 못했던 이 장엄함, 어울리지 않는 것들의 이 어울림이다. 왼 팔에 은팔찌를 끼고 다른 쪽에는 폭약을 쥐고 있던 해수욕객과 장식이 달리고, 이가 들끓는 누더기를 걸친 불량배들이 생각난다. (...) 이게 바로 진짜, 따라서 서정적인 동양이다” 그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것들”이 어울려 있는 이 생소한 풍경에서 충격적일만큼 강한 인상을 받았고, “장엄 grandeur”하다고 하였는데, 왜냐하면 거기에서 그가 생각하는 미의 본질을 보았기 때문이다. 즉 “모든 아름다움은 비극과 희극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자신의 생각이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는 현장을 목격한 것이다. 아름다운 것과 추한 것이 함께 있는 데에서 미와 추는 서로 대립되는 개념이 아니라, 전체라는 관점에서 보면 조화와 균형을 이룬다는 것을 보았다. 거기에서 서로 어울리지 않는 것, 이질적인 것까지 구별 없이 포용하는 ‘통합synthése’을 본 것이다. 『마담 보바리』에서 엠마가 레옹과 함께 유모집으로 가고 있다. “그녀는 그에게 몸을 기대고, 그는 그녀에게 맞추려고 걸음을 늦추면서 두 사람은 나란히 서서 천천히 걸어갔다. 그들 앞에는 파리 떼가 무더운 대기 속에서 윙윙대며 날고 있었다.” 두 사람이 처음으로 둘만이 함께 하는 순간이다. 그들은 서로에게 호감을 갖고 있고, 여름 낮, 숲의 오솔길에는 온갖 꽃들이 활짝 피어 있다. 당연히 감미롭고 낭만적인 풍경이 전개되어야 한다. 낭만주의는 자연에 감정을 개입시킴으로써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였다. 순수하고 사실적인 모습이 아니라 인물의 자아 혹은 심정, 영혼의 상태가 투영된 주관적인 자연을 등장시킨 것이다. 따라서 이때의 전원은 두 사람의 감정과 조화를 이루며 서정적이고 아름답게 그려져야 할 것이다. 그런데 플로베르는 난데없이 “파리 떼”를 언급한다. 또한 엠마와 레옹이 지나는 길에는 갖가지 야생화뿐만 아니라 “거름 더미”도 함께 보인다. 왜냐하면 그것이 농촌의 진짜 모습이기 때문이다. 그가 동양에서 보았던 세계, 즉 고상한 것과 천박한 것, “비극과 희극”, ‘숭고함sublime’과 ‘그로테스크grotesque’, “어울리지 않는 것들”이 한데 어울려 있는 ‘조화로운’ 세계를 그리려는 것이다. 그래서 플로베르의 자연에는 꽃과 잡초, 거름, “파리 떼”처럼 아름다운 것과 추한 것, 깨끗한 것과 더러운 것이 함께 있다. 『살랑보』 역시 문명과 야만, 성과 속, 고상한 것과 저급한 것 등 상반되는 것들이 강렬하게 충돌하며 공존하는 세계이다. 플로베르는 동양에서 가장 동양적이라고 생각하였던 것, 이질적인 것들로 균형과 조화를 이룬 ‘완전한’ 세계를 소설에서 시도하고 있는 것이다.
|
[
"“시체와 레몬나무”, “썩는 냄새”와 창녀의 “향내 나는 살 냄새”, 당당하게 드러내는 더러움, 점잖은 외설스러움... 언제, 어디에서나 볼 수 있었다. 플로베르는 바로 이 지점에서 진정한 동양을 보았다고 생각한다. 그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것들”이 한데 어울려 있는 이 낯선 풍경에서 충격적일만큼 강한 인상을 받았고, “장엄 grandeur”하다고 하였는데, 그 이유는 거기에서 그가 생각하는 미의 본질을 보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모든 아름다움은 희극과 비극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자신의 생각이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는 현장을 목격한 것이다. 아름다운 것과 추한 것이 함께 있는 데에서 미와 추는 서로 대립되는 개념이 아닌 전체라는 관점에서 보면 균형과 조화를 이룬다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플로베르의 동양은 책과 공상에서 시작되었다. 초기 글에 나타난 동양은 주로 기이하고 독특한 볼거리, 즉 이국정취를 위주로 하고 있는데 이는 낭만주의 문학에 그려진 동양을 답습한 것이다. 그런데 동양여행은 동양뿐만 아니라 그의 사고 전체에 영향을 미쳐 이후의 작품에 깊은 흔적을 남기게 된다. 장 브뤼노의 지적대로 “몽상에서 시작된 동양은 그에게 가장 생각나는 곳, 세상에 대한 명상의 주요한 근원이 되었다.” 그래서 동양여행은 그의 문학과 생에서 각별한 의미를 갖는다. 여행을 기점으로 그는 낭만적 감수성과 격정으로 글을 썼던 행복한 시절과 결별하게 된다. 그의 안에 있는 상반된 두 기질 중에서 “서정적이고, 문장의 울림과 몽상의 극치”를 좋아하는 쪽이 극복되고, “진실을 파헤치고 사소한 것을 부각시키기” 좋아하는 쪽이 마침내 승리하는 것이다. 통찰력을 갖고 새로운 것을 보고, 느끼고, 깊이 생각한 결과이다. 이후부터 그는 엄청난 자료와 객관적 사실을 바탕으로 자신의 생각을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고통스럽게 글쓰기를 하게 된다. 그러므로 동양여행은 플로베르가 “플로베르”로 되기 위한 통과의례였던 셈이다.",
"플로베르의 동양여행은 그의 문학과 삶에서 각별한 의미를 가진다. 여행을 기점으로 그는 낭만적 감수성과 격정으로 글을 썼던 시절과 결별하고, 엄청난 자료와 객관적 사실을 바탕으로 자신의 생각을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한 글쓰기를 하게 된다. 즉, 동양여행은 플로베르가 “플로베르”로 되기 위한 통과의례였던 셈이다."
] |
A201007090796
|
안산시 지하수에 대한 특성과 인자분석
|
paper
|
안산시는 산업화·공업화로 급신장한 도시 중의 하나이다. 도시의 팽창에 따른 지하수의 특성도 변화계가 있는 수질을 선택해서 안산시의 수질에 대한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Na, Mg, Sr TDS,EC, Cl 등은 서로 정의 상관이 높으며, K도 Mg, Ca 등과 유사한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Ca은 TDS, EC 등과는 매우 높은 상관을 보여주고 있으며 음이온인 F와 Cl-, NO3-, SO4-2 등은 주요 양이온들과 정의 상관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Sr은 주요 양이온과 음이온인 황산이온과 중탄산염 등과 정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Bi과Mo, W, Zn 등은 다른 항목과 상관이 적은 경향이 있다. 군집분석 결과 3개의 그룹화가 유도되었으며 제 1그3-가 비교적 높은 지점, 제 3그룹은 대부분 성분이 높은 지점으로 나타났다. 인자분석에서는 네 개의 인자가 추출되었으며 고유치는 14.34로 변동설명량이 75.58%로 나타났다.
|
[
"안산시는 공업화와 산업화로 급격한 발전을 이룬 도시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의 팽창에 따른 지하수의 특성도 변화계가 있는 수질을 선택하여 안산시의 수질에 대해 분석하였다.",
"최근에는 환경오염에 대한 관심이 여러 분야에서 증폭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지리학과 수문지질학 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오염과 수질특성에 대한 연구는 복합적으로 이루어 진행되고 있음이 널리 인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인지하여 최근에 산업화가 빨리 진행된 안산시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지역인 안산시의 동부는 농지와 주거지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서부는 해안지역으로 집중적인 공업화로 인하여 수질오염의 원인이라고 할 수 있는 지역이다. 남부지역은 농업지역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북부지역은 고지로 주로 녹지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어 안산시의 주요 휴식처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안산시는 인구의 급격한 증가와 공업화로 인하여 오염원이 증가하고 있다. 오염원의 양적 증가와 다양화는 수질오염을 더 확대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환경 중에서 인간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수질을 선택해서 안산시의 수질특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안산시는 인구의 급격한 증가와 공업화로 인하여 오염원이 증가하고 있으며 오염원의 양적 증가와 다양화는 수질오염을 더욱더 확대할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환경 중에서 인간과 가장 밀접한 수질을 선택하여 안산시의 수질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 |
A201007090798
|
인천시 생활폐기물의 공간적 특성과 수거에 관한 연구
|
paper
|
본 연구는 인천시 생활폐기물의 공간적 분포와 수거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GIS기법을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생활폐기물의 수거 서비스를 공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도출하는 접근방법을 모색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인천시의 생활폐기물 발생 및 처리와 관련한 공간적 특성은 인천시의 도시발전 및 구조변화 방향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 즉 인천시에서 새롭게 개발되어 인구와 기능이 모여들고 있는 곳에 생활폐기물의 발생 비중이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매립보다는 소각과 재활용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쓰레기의 수거권역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최소공간단위인 쓰레기 수거권역을 구축하는 방법으로 도로중심선을 추출하여 각 쓰레기 수거차량의 순회경로를 입력시켜 이들 순회경로들을 도로와 intersect 시켜 폴리곤을 형성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무계획적으로 이루어지던수거차량의 순회경로에 대하여 GIS를 도입할 경우 효율적으로 경로계획을 수립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GIS를 기반으로 하여 수거차량의 순회경로를 계획한다면 지역적 상황에 적합하게 수거권을 설정하고,적절한 수거차량과 인력의 투입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수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
[
"본 연구는 인천시 생활폐기물의 공간적 분포와 수거 특성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GIS기법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생활폐기물의 수거 서비스를 공급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도출하는 접근방법을 모색하는 데 초점을 맞춰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쓰레기 수거와 관련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시행하고 있으며, 특히 수거후 쓰레기 처리에 많은 신경을 쓰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제는 쓰레기 수거처리의 효율적인 개선이 지방화시대에 살아가는 우리가 해결해야할 가장 시급한 과제이며 나가서 환경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대안이 되고 있다. 효율적으로 쓰레기를 수거하고 운반하기 위해서는 적정한 수거권역의 설정과 수거작업에 투입되는 장비 및 인력을 적절히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GIS 기법의 활용은 상당히 유용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쓰레기 수거와 관련한 작업이 대부분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고 행정동 단위별로 수거권역을 획일적으로 구분하여 수거작업이 시행되고 있어 아직 비효율적으로 수거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인천시를 사례로 쓰레기 발생 및 수거처리 실태의 공간적 특성을 고찰하고, 미시적인 연구로서 GIS기법을 이용하여 생활폐기물 수거경로 및 수거권 설정을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쓰레기 수거처리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GIS기법은 효율적인 쓰레기 수거·운반을 위한 수거권역의 적정한 설정과 장비 및 인력 배치에 상당히 유용하다. 이에 본 논문은 인천시의 쓰레기 발생 및 수거처리 실태의 공간적 특성을 고찰하고, GIS기법을 통해 생활폐기물 수거경로 및 수거권 설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 |
A201007090802
|
교량기본단면의 와류진동에 미치는 난류효과에 대한구조감쇠의 영향
|
paper
|
본 연구는 구조감쇠를 달리한 교량기본단면의 와류진동 응답에 미치는 난류의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능동적 난류발생법에 의해 각종 변동풍을 2차원 풍동내에 생성하였으며, 생성된 기류중에서 변장비 1:2의 직사각형단면(Model A) 및 정삼각형 페어링을 부착한 육각형단면(Model B)에 대한 와류진동응답실험을 행하였다. 실험결과로서, Model A의 와류진동 최대진폭은 난류강도의 증가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며, 구조감쇠가 증가할수록 이러한 경향은 더 두드려졌고 와류진동발생영역의 면적도 급격히 축소되었다. Model AF의 경우는 Model A에 비하여 효과는 적지만, 감쇠가 증가할수록 난류중 최대응답이 감소하였으며, 발생면적도 약 75%이하로 축소되었다. 난류 스케일의 변황에 대해서는 두 단면 모두 영향은 크게 받지 않았다. 또, 와류진동에 최대응답에 구조감쇠는 선형적으로 반비례하는 것에 의거하여 저감쇠상태의 응답으로부터 추정된 와류진동 최대응답은 본 실험에서 얻어진 실제 응답에 비하여 상당히 작게 평가되므로 구조감쇠의 상사에 충분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
"본 연구는 구조감쇠를 다르게 한 교량기본단면의 와류진동 응답에 끼치는 난류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능동적 난류발생법에 의해 각종 변동풍을 2차원 풍동내에 생성하고, 생성된 기류 중에서 변장비 1:2의 직사각형단면 및 정삼각형 페어링을 부착한 육각형단면에 대한 와류진동응답실험을 수행했다.",
"와류진동에 미치는 난류효과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격자 난류를 이용한 경우가 많고, 구조감쇠를 일정하게 유지한 모형의 응답실험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가 대부분이며, 감쇠의 영향에 대한 고찰은 주로 등류 또는 동일한 난류중에서 행해졌다. 따라서, 접근류의 변동성분과 구조감쇠의 상호작용에 의해 와류진동 응답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불명확한 점이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감쇠의 변화에 따른 와류진동 응답에 미치는 난류특성치의 영향울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다양한 난류중에서 2차원 모형의 난류응답 실험을 행하였다. 풍동내 난류 생성은 난류특성치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능동적 난류발생장치에 의하여 난류강도 및 난류스케일의 변화를 도모한 총 8종류의 변동풍을 생성하였으며, 2차원 모형의 구조 감쇠는 전자기식 댐퍼를 사용하여 조절하였다. 또, 실험에 채택한 모형의 단면은 변장비(aspect ratio) 1:2의 직사각형단면(Model A)과 이것에 정삼각형 페어 링(fairing)을 전후부에 부착한 육각형단면(Model AF)이다. 응답실험의 결과는 등류중의 결과와의 비교를 통하여 기류변동 및 구조감쇠가 와류진동응답에 미치는 영향을 다양한 방법으로 보다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접근류의 변동성분과 구조감쇠의 상호작용에 의해 와류진동 응답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구조감쇠의 변화에 따른 와류진동 응답에 미치는 난류특성치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다양한 난류중에서 2차원 모형의 난류응답 실험을 시행하였다."
] |
A201007090805
|
학교지식이 가지는 불평등의 윤리적 쟁점
|
paper
|
공교육이 시작된 이후 우리는 학교교육에 대해 윤리적 환상을 가지고 있었다. 즉, 학교교육이 인간의 자유와 평등의 확대를 가져다 줄 것으로 믿어왔다. 그러나 이러한 믿음은 20세기 중반부를 넘어서면서 의심을 받게 되었다. 즉, 학교교육의 결과가 사회 구성원들의 계층이동을 담보하지 못하고 있고, 나아가 계급 재생산의 순환을 가져오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인식론적 접근, 비판적 사회학자, 비판 교육학자들에 의해 이론적으로 정립되었다. 비판적 교육학자들은 학교에서 다루는 지식들이 사회 내에서 헤게모니를 가진 주류계급의 이익에 의해 구성되었으며 지식의 분배가 학교 내에서 불평등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이러한 불평등의 분배는 할당이론적 관점에서 계층재생산을 담당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은 여러 가지 설득적 요소들을 담고 있으며 인간의 해방이라는 관점에서는 많은 지지자들을 만들어 낸다. 비판적 교육학자들이 지적하는 이러한 요소들은 현재 우리나라 상황에서도 드러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비판이론적 지적은 그것이 규정하고 있는 지식의 속성에 대한 비판적 질문, 즉, 편향성, 상대성, 불안정성에 대한 문제에 대해 설득력 있게 응답해야만 학적, 사회적 정당화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
[
"학교교육의 결과가 사회 구성원들의 계층이동을 담보하지 못하고 있을뿐 아니라 계급 재생산의 순환을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관점은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인식론적 접근, 비판 교육학자, 비판적 사회학자들에 의해 이론적으로 정립되었다. 비판적 교육학자들은 학교에서 다루는 지식들이 사회 내에서 헤게모니를 가진 주류계급의 이익에 의해 구성되었다고 지적한다.",
"근대적 의미의 공교육이 시작된 종교개혁 이후 교육은 인간의 평등을 실현시켜 줄 결정적 수단이라고 믿었다. 그러나 교육이 인간의 사회를 평등하게 만들어 줄 것이라는 믿음은 현대사회에 들어와서 크게 손상을 받고 있다. 사회 구성원들은 학교라는 기관을 졸업함으로써 평등의 삶을 획득할 수 있어야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다. 심지어 학교에 재학하는 동안에도 불평등의 경험은 연속적이고 다방면으로 이루어진다. 우리나라는 서구사회처럼 다인종, 다민족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사회 계층적 특성은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사회 계층적 특성도 이미 비판이론에서 제기하고 있는 계층, 계급 재생산의 특성을 어느 정도 보여주고 있다. 학습자가 속해 있는 사회경제적 수준이 미래의 위상을 결정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증거는 각종 통계 수치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그래서 학교교육에 대한 성취수준이 개인의 삶의 수준을 결정한다는 사회심리학적 시각은 무너지고 있다. 이러한 모순에 대한 진지한 고민은 교육의 윤리적 책무성에 있어 중요한 주제가 되어야만 한다.",
"교육이 인간 사회를 평등하게 만들어 줄 것이라는 믿음은 현대사회에 들어와서 크게 손상을 받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학습자가 속한 사회경제적 수준이 미래의 위상을 결정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 |
A201007090809
|
근관와동형태에 따른 근관치료된 하악절치의 파절강도
|
paper
|
근관와동형태에 따른 근관치료된 하악절치의 파절강도근관와동 형성시 직선적인 접근 경로의 확보는 근관 세정과 성형, 충전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근관와동 형태에 따른 파절강도 차이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악절치에서 근관와동 형태에 따른 파절저항강도를 비교해 직선형 근관와동의 유용성 여부에 대해 살펴 보고자 한다. 사람의 하악 절치 36개를 사용하여 근관와동 형태에 따라 모두 3군 (1군: 설측와동, 2군: 절단연 절반을 포함한 직선형 와동, 3군: 모든 절단연을 포함한 직선형 와동)으로 분류하였다. 근관치료후 복합레진으로 와동을 충전하고, 치아에 2 min/min의 cross-head speed로 파절될 때 까지 힘을 가한 후, 파절강도를 기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파절강도의 평균값은 1군 (558.9 ± 77.4N), 2군 (494.07 ± 123.98N), 3군 (267.33 ± 27.02N)의 순서로 나타났다. 2. 3군과 다른 군사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P = 0.00). 근단부로의 직선적인 접근의 장점과 본 실험의 결과를 고려해 볼 때, 직선형 근관와동이 하악 절치에서 근관와동의 형태로 추천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
"본 연구에서는 하악절치에서 근관와동 형태에 따른 파절저항강도를 비교함으로써 직선형 근관와동의 유용성 여부에 관해 살펴보고자 한다. 사람의 하악 절치 36개를 이용하여 근관와동 형태에 따라 모두 세 군(1군: 설측와동, 2군: 절단연 절반을 포함한 직선형 와동, 3군: 모든 절단연을 포함한 직선형 와동)으로 나누었다.",
"직선형 근관와동형성시 설측 근관 와동형성시 보다 소실되는 치질의 양이 많은 것이 단점이 될 수 있다. Gutmann 등은 근관 와동 형성이 치수강 천정의 치관부 상아질을 제거함으로써 구조적 완전성을 파괴하고 기능시에 치아가 많이 휘어지게 되어 잔존치질이 적은 경우에 상아질의 지지를 받지 못하는 부위나 치아 직경이 가장 작은 부위에서 치아가 파절할 수 있다고 보고 하였다. 그러나 Reeh 등은 MOD 와동 삭제는 60%정도 치아의 강도를 감소시키는 반면에 근관 치료를 위한 와동형성은 단지 5%정도 치아의 강도를 감소시킨다고 하였고, Weine 등은 치질의 보존 보다는 적절한 근관와동 형성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설측 근관와동 보다 삭제량이 많은 직선형 근관와동을 형성하더라도 치아의 강도에 별다른 영향이 없다면, 직선형 근관와동을 시행하는 이론적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악절치에서 근관와동 형태에 따른 파절저항강도를 비교해 직선형 근관와동의 유용성 여부에 대해 살펴 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설측 근관와동 보다 삭제량이 많은 직선형 근관와동을 형성하여도 치아의 강도에 별다른 영향이 없다면, 직선형 근관와동을 시행하는 이론적 근거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악절치에서 근관와동 형태에 따른 파절저항강도를 비교해 직선형 근관와동의 유용성 여부를 살펴보고자 한다."
] |
A201007090813
|
Goal-based Scenarios(GBS) 모형을 적용한 웹기반 교육용 컨텐츠의 설계 및 개발 연구
|
paper
|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IT기술을 교육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강한 요구에도 불구하고 웹기반 교육의 정착은 미흡한 실정이다. 그 원인은 현재 웹기반 교육이 전통적 교실수업과 질적으로 다르지 않고 웹기반 교육에 적합한 설계모형들이 충분히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자들은 구성주의 학습관에 기반한 GBS 설계모형을 이용하여 도서관 이용에 관한 웹기반 교육용 컨텐츠를 개발함으로써 웹기반 교육을 개발하거나 활용하고자 하는 교사와 교육실천가들에게 구체적인 개발사례를 제공하고자 한다. 3개월 간 요구분석, 학습내용분석, 학습자 및 학습환경분석을 통해서 GBS모형을 적용한 웹기반 교육용 컨텐츠를 설계하고 GBS의 7가지 구성요소들에 충실하게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학교와 기업에서 새로운 형태의 웹기반 교육을 개발하고자 하는 실천가들에게 구체적인 가이드를 제공해 줄 것이다.
|
[
"본 연구에서는 구성주의 학습관에 기초한 GBS 설계모형을 활용하여 도서관 이용에 관한 웹기반 교육용 컨텐츠를 개발함으로써 웹기반 교육을 개발 내지 활용하고자 하는 교사 및 교육실천가들에게 구체적인 개발사례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우수한 웹기반 교육용 컨텐츠의 설계 및 개발을 위하여 구성주의 학습관에 의거하여 최근에 소개되기 시작한 목표기반 시나리오(Goal-Based Scenarios: 이하 GBS)를 이용할 것을 제안한다. GBS는 학습자들이 해결해야 할 과제를, 목표를 중심으로 시나리오의 형태로 제공하며 학습자들은 그 시나리오 속에 설정된 역할을 통해 과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에서 학습목표를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달성해 가도록 유도하는 구성주의적 학습환경 설계모형이다. GBS는 현재 학교교육보다는 기업교육의 장면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GBS가 기업교육의 대안적 학습모형으로서 웹기반 교육의 컨텐츠 설계 및 개발에 시범적으로 적용되고는 있지만, 교사나 교육실천가들이 구체적으로 GBS를 웹을 이용하여 교육현장에서 적용하기에는 여전히 그 방법적 측면이나 내용, 시사점 부분에서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GBS 설계모형을 이용하여 개발한 웹기반 교육용 컨텐츠를 소개함으로써 새로운 형태의 IT 기술을 교육현장에 적용하려는 교사나 교육실천가들에게 구체적인 설계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국내에서는 GBS가 기업교육의 대안적 학습모형으로서 웹기반 교육의 컨텐츠 설계 및 개발에 시범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나, 교사나 교육실천가들이 구체적으로 GBS를 웹을 이용하여 현장에 적용하기에는 방법적 측면이나 내용, 시사점 부분에서 미흡한 상황이다."
] |
A201007090817
|
퍼지-조건부확률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검색 에이전트 모델에 관한 연구
|
paper
|
기존의 전자상거래시스템 검색 에이전트들은 고객이 상품 검색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질의어에 대해 매우 제한적으로 동작해왔다. 본 논문은 고객이 전자상거래시스템에 접속하여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검색하기 위해 상품명을 제시했을 때, 해당 고객을 포함한 기존의 고객들의 프로파일 중 고객의 구매 행위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를 선행사건, 구매 성향과 관계된 요소를 후행사건으로 규정하여 고객에 대한 상품 적합도를 계산하고 적합도가 높은 상품 위주로 자동적으로 검색하여 고객에게 제시할 수 있는 퍼지-조건부 확률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검색 에이전트를 제시한다.
|
[
"본 연구에서는 적합도가 높은 상품 위주로 자동 검색하여 고객에게 제시할 수 있는 ‘퍼지-조건부 확률’을 활용한 ‘전자상거래 검색 에이전트’를 제안했다.",
"기존의 전자상거래시스템 검색 에이전트들은 질의 조건을 주로 가격 및 규격 요소에 국한되었고 이 요소들에 대해서도 정확한 질의어에 대해서만 검색 기능을 수행할 수 있었다. 즉, 고객의 질의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기 때문에 과다한 검색 결과나 매우 결핍된 검색 결과를 초래하는 단점을 갖고 있고, 대부분의 현존 검색 에이전트들이 키워드를 선택하거나 입력하는 수동식 검색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고객들이 사용하는데 상당한 불편을 초래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상품 자동 검색 에이전트 모델은 고객이 전자상거래시스템에 접속하여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검색하기 위해 상품명을 제시했을 때, 해당 고객을 포함한 기존의 고객들의 프로파일(profile) 중 고객의 구매 행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를 선행사건(prior event), 구매 성향과 관계된 요소를 후행 사건(posterior event)으로 규정하여 고객에 대한 상품 적합도를 언어 변수로 제시하고 적합도가 높은 상품 위주로 자동적으로 검색하여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검색 에이전트를 설계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상품 자동 검색 에이전트 모델은 고객이 상품명을 제시했을 때, 기존 고객들의 프로파일 중 고객의 구매 행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선행사건, 구매 성향과 관계된 요소를 후행 사건으로 규정하여 적합도가 높은 상품 위주로 자동적으로 검색하여 고객에게 제공하는 검색 에이전트이다."
] |
A201007090821
|
이동단말을 위한 TCP사용자 인증 타원곡선 알고리즘 프로토콜의 설계 및 성능 개선에 관한연구
|
paper
|
인터넷 비대면 거래에서, 이동단말기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본인의 의사결정에 따른 정상적인 사용인지에 대한 사용자 인증 및 확인에 대한 프로토콜이 요구된다. 사용자 인증은 접근제어에 비해 검증시간이 더 소요된다. 따라서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은 부인방지와 안전성이 보장되어야하고, 이동단말에서 통신시간에 대한 성능향상이 필요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이동단말을 위한 TCP 사용자인증 타원곡선 알고리즘 프로토콜을 설계하고 성능을 시험한다. 알고리즘은 160비트의 키를 가지고, IPv4와 IPv6에서 적용된다. 제안된 프로토콜은 기존 프로토콜의 암호화된 서명메시지 보다 인증과 검증의 과정에서 부인방지와 안전성, 기밀성이 높아졌으며, 이동단말의 연산시간에서 기존의 방법에 비해 1배에서 17배의 성능향상이 이루어졌음을 증명하였다.
|
[
"본 연구는 이동단말을 위한 TCP 사용자인증 타원곡선 알고리즘 프로토콜을 설계하고 성능을 시험한다. 제안된 프로토콜은 기존 프로토콜의 암호화된 서명메시지에 비해 인증과 검증의 과정에서 부인방지와 안전성, 기밀성이 향상됐다.",
"현재 이동단말기에 대한 인증이나 사용자에 대한 따로따로의 인증은 이동단말기에서의 불법적인 사용을 막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사용자 인증에 대한 이동단말기에서의 통신 속도를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 사용자를 위한 인증 타원곡선 알고리즘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이 프로토콜은 접속 이동단말기가 접근제어에서 접근을 허용 받아서 통과한 후 전자상거래를 수반하는 사용자 서비스를 요청 할 시 사용된다. 사용자 인증 방법은 기존에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는 금융기관이나 대리서명 대리인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이동단말기에서의 연산량을 줄일 수 있다. 제안된 프로토콜은 신뢰성 있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계층에서 서명에 대한 검증을 할 수 있는 프로토콜로 설계한다. 이 프로토콜은 타원 곡선상의 암호화 알고리즘에 160비트의 키를 가지고, IPv4와 IPv6에서 적용되며, 이동단말의 연산시간이 기존의 방법에 비해 성능개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프로토콜의 메시지 검증에서도 부인방지와 안전성, 기밀성을 높이는 타원곡선 기반의 암호화 알고리즘을 갖춘 새로운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현재 이동단말기나 사용자에 대한 인증은 이동단말기에서의 불법적인 사용을 막을 수 없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통신 속도를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은 접속 이동단말기가 접근을 허용받아 통과한 후 전자상거래를 수반하는 사용자 서비스를 요청할 시 금융기관이나 대리서명 대리인을 이용하는 인증 타원곡선 알고리즘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 |
A201007090826
|
등조선(Isophote) 분석을 이용한 영역의 독립, 종속관계 연구
|
paper
|
하나의 객체 내에 존재하는 영역들이 상이한 칼라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해당 객체는 독립적인 영역들로 분할되기 때문에 객체의 의미가 상실된다. 따라서 영역에 대한 칼라 정보 외에 다른 지식 정보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을 구성하는 색상 정보 외에 입체감을 표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명암의 등가를 연결한 등조선의 형태분석을 이용하고 있다. 그리고 분석된 정보를 통해 영역간의 독립, 종속 여부를 판단하여 객체의 의미있는 영역 정합을 통한 객체 분리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
[
"본 연구에서는 영상을 구성하는 색상 정보 외에 입체감을 표현하는 방법으로써 명암의 등가를 연결한 등조선의 형태분석을 활용하고 있다. ",
"컴퓨터를 이용한 영상의 사용이 증가함에따라 영상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기 위한 시도들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영상에 포함된 객체를 활용하는 영상 데이터 베이스의 인덱싱(indexing), 내용 기반 검색(content based retrieval), 영상 인식 및 변환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영상 내에 존재하는 객체를 추출하고 분석하는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지만 영상에 포함된 특정 객체를 추출하는 것은 무질서하게 반복되거나, 여러 가지 색으로 표현되는 무늬, 문자 또는 도형 등과 같이 복잡한 영역이 존재할 경우, 각 영역을 독립적인 영역으로 인식하게 되는 단점이 발생하며, 효율적인 영역 정합에 의한 객체 분리를 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각 영역간의 명암 변화를 통해 영역간의 관계를 판단하여 영역 정합을 이루고자 한다. 추출된 영역의 등조선을 구하고 각 영역 등조선 간의 변화를 판단하여 추출된 객체영역 간의 독립, 종속 관계를 이용하여 정확한 객체 추출 및 영역간의 의미 분석이 이루어지는 방법을 제시한다.",
"영상의 객체를 추출하고 분석할 때 복잡한 영역이 존재할 경우 각 영역을 독립적인 영역으로 인식해 효율적인 영역 정합에 의한 객체 분리를 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은 추출된 영역의 등조선을 구하고 등조선 간의 변화를 판단, 객체영역 간의 독립, 종속 관계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
A201007090829
|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환경에서 시각화된 사용자 정의 스키마 통합
|
paper
|
최근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정보처리응용 시스템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많은 데이터를 가지고 있지만 개별적이면서 관련성이 적은 수많은 데이터를 가지는 기업은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 처리하여 사용자 요구에 신속하게 응답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고품질의 정보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웨어하우스 환경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종 사용자 요구에 대처하기 위해 비주얼 환경을 사용한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효과적인 설계 및 구현 결과를 보인다. 또한 기존의 일반 SQL 질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
[
"최종 사용자 요구에 대처하기 위해 비주얼 환경을 이용한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효과적인 설계 및 구현 결과를 제시하고 기존의 일반 SQL 질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대용량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웨어하우스 구축을 위해서는 기존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개념적으로 표현된 데이터 모델은 기존의 운용 데이터 모델(Operational Data Model)로서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의사 결정에 적합하도록 표현된 데이터 모델은 아니다. 그러므로 의사 결정을 위해서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는 차원 모델(Dimensional Model)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차원 모델에서 사용자가 직접 선택 지정한 스키마를 중심으로 의사 결정을 원활하게 지원할 수 있도록 데이터 웨어하우스 환경에 적절한 스키마 생성기의 설계 및 구현 내용에 관하여 살펴본다. 또한 요즈음 인터넷 사이트에서 서비스 변화에 따른 본 연구의 필요성을 (그림 1)에 간략하게 도식화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은 먼저, 데이터 웨어하우스 지원을 위해 전체적인 스키마 생성기 개발 구조를 살펴보며, 3장에서는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스키마 생성 인터페이스에 관하여 기술한다. 4장에서는 본 논문의 핵심이 되는 의사 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스키마 생성 인터페이스에 관하여 살펴보며, 5장에서 ODBC를 통한 데이터 웨어하우스 연결 인터페이스를 기술하며, 6장에서 결론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살펴본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개념적으로 표현된 데이터 모델은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의사결정에 적합하도록 표현된 데이터 모델은 아니기 때문에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는 차원 모델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차원 모델에서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스키마를 중심으로 데이터 웨어하우스 환경에 적절한 스키마 생성기의 설계 및 구현 내용을 살펴본다."
] |
A201007090834
|
SLA 기법을 활용한 컴퓨터 유지보수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
paper
|
본 연구는 기업이나 공공단체, 학교 등 대량의 PC를 보유하고 있는 곳에서 PC의 고장에 대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유지보수 기능을 갖는 시스템의 개발과 운영을 설계하였다. 네트워크 유지보수 계약에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서비스 수준 협약(Service Level Agree:SLA) 기법을 활용하여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제공 수준에 대한 투명한 측정과 관리를 할 수 있게 설계하였으며, 서비스 요구 점수, 유지보수 활동, 사용자 만족도, 확인 과정에 이르기까지 서비스의 전체 과정이 하나의 시스템에서 이루어지도록 One Stop Service가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
"본 연구는 공공단체나 기업, 학교 등 대량의 PC를 보유하고 있는 장소에서 PC의 고장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유지보수 기능을 갖는 시스템의 개발과 운영을 설계하였다. ",
"유지보수 시스템은 최근 정보시스템 위탁개발 및 네트워크 유지보수 계약에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는 서비스수준협약(SLA) 기법을 활용하여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제공수준에 대한 투명한 측정과 관리를 할 수 있는 유지보수 시스템을 설계한다.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 접수, 유지보수 활동, 사용자 서비스 만족도 확인과정에 이르기까지 서비스 처리의 전체 과정이 하나의 시스템에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One Stop Service가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특히 대부분의 유지보수 활동이 기업 내부에서 발생하므로 LAN 환경과 함께 인터넷 환경에서도 운영이 가능하도록 웹을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이 설계되어야 한다. 기존에 운영되고 있는 기업의 MIS에 포함된 관련 정보는 데이터베이스와 연동이 가능하도록 확장성이 가능한 시스템이 필요하며, 컴퓨터 자원의 신규 도입에서 폐기까지 생애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산관리 및 유지보수 활동에 대한 정보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한 시스템이 되어야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기능과 신속하고 투명한 민원처리가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하며, 사용자 서비스 요구사항에 대해 지식관리기법을 적용한 과학적 관리가 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한다.",
"유지보수 시스템은 정보시스템 위탁개발과 네트워크 유지보수 계약에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서비스수준협약(SLA) 기법을 활용하여 서비스 제공수준에 대한 투명한 측정과 관리를 할 수 있는 유지보수 시스템을 설계한다."
] |
A201007090838
|
全斗煥정부 하의 정당구도 분석
|
paper
|
신군부의 장기집권을 위해 패권정당제를 수립하려 했던 全斗煥정부의 시도는 4년 만에 좌절되고 마는데, 이는 분열되었던 야권이 통합을 이루었기 때문이다. 신군부의 출현 자체가 야권의 분열에 기인한 것이었기 때문에 야권으로서는 다시 위기에 처하지 않기 위해 통합한 것이었다. 민추협 결성과 신한민주당 창당이 바로 그것이었다. 그러나 12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신민당은 또다시 분열함으로써 선거에 패배하고 마는데, 이로써 全斗煥정부 하에서도 ‘위기와 통합’ 가설은 그대로 적용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야권의 한계인 동시에 한국정치 전반이 안고 있는 문제이다. 여야를 불문하고 이러한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분열과 통합을 거듭했기 때문에 정당은 정체성을 확립할 수 없었고, 그 결과 국민들은 정당일체감을 형성할 수 없었다. 이는 정치발전과 직결된 것이어서 시급히 해결하지 않으면 안 되는 문제로 되고 있다.
|
[
"12대 대통령선거를 목전에 두고 신민당은 또다시 분열함으로써 선거에 패배하고 마는데, 이로써 全斗煥정부 하에서도 ‘위기와 통합’ 가설은 그대로 적용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야권의 한계인 동시에 우리나라 정치 전반이 안고 있는 문제이다. ",
"야당의 통합과 위기극복은 여당의 위기로 직접 연결될 수밖에 없었는데, 여기서 위기에 처한 여당을 구출해준 것은 다름이 아닌 야당이었다. 통합으로 위기를 극복했음에도 불구하고 13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다시 분열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야권은 대선에 패배하게 된다. 분열이 초래한 당연한 결과였고, ‘통합과 위기의 정치’가 반복되는 순간이었다. 그러나 문제는 야권의 분열이 선거패배와 위기만을 낳은 것이 아니라, 지역분열이라는 치유하기 어려운 균열구도를 초래했다고 하는 사실이다. 이로 인해 ‘위기와 통합의 정치’도 새로운 양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여야의 대결이 지역대결 양상으로 전개되어 ‘위기와 통합’은 지역 간의 통합 또는 분열이라는 의미를 지니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全斗煥정부 하에서 나타난 새로운 균열현상은 정당구도의 재편성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음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에 관한 정당사적인 차원에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본 논문은 全斗煥정부 하에서 나타났던 정당간의 이합집산현상을 분석하려고 한다. 이와 동시에 정치세력의 통합과 분열양상이 지역의 통합과 분열양상과 중복되는 측면이 나타났다고 하는 사실에 대해서도 분석하려고 한다.",
"통합으로 위기를 극복했음에도 불구하고 13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다시 분열해 야권은 대선에 패배하게 된다. 이러한 全斗煥정부 하에서 나타난 새로운 균열현상은 정당구도의 재편성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음에도 이 시기에 관한 정당사적인 차원의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 |
A201007090841
|
1990년대 일본외교정책의 변화- 국제정치적 요인과 국내정치과정을 중심으로 -
|
paper
|
본 논문에서는 우선, 전후 일본외교정책의 기본적 방향과 이념을 살펴본다. 이를 통하여 일본의 외교정책이 1990년대에 접어들어 종래와는 다른 근본적 변화를 가져왔다는 사실을 확인한다. 그리고 미일 관계의 기본적인 틀인 1960년 미일안보조약의 성격과 양국관계를 중심으로 외교정책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1990년대에 있어서 일본 외교정책의 변화양상을 미일 관계의 강화와 적극적인 국제역할 증대 정책에 대해서 고찰한다. 특히, 미일 안보협력 강화의 목적, 그 내용과 그러한 일련의 외교정책적 변화가 가능하게 된 배경을 동북아시아의 국제환경과 일본 국내적 상황에 주목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1990년대 이후 일본은 과거의 소극적인 안보정책에서 탈피하여 안보 면에서 국제적 역할증대를 모색하여 왔다. PKO 참여과 같이 자위대를 해외에 적극적으로 파견하였으며 1995년의 신방위대강을 통해 방위력을 대폭 증대시켰다. 뿐만 아니라 미ㆍ일 신안보선언을 통해 미ㆍ일 안보체제를 광역화시켰다. 1997년에는 미일 방위협력 신 가이드라인이 성립되었고 이에 대한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반법안이 1999년 성립되었다. 이러한 미일간의 상호의존강화와 안전보장에 대한 일본의 적극적인 대응은 미국의 적극적인 요청과 냉전 붕괴 후 중국의 급부상이라는 새로운 국제환경의 변화 속에서 나타났다. 국내 정치적 요인으로는 1994년의 무라야마 정권성립 이후 55년 체제 당시와 같은 미일 관계에 반대하는 세력이 약화되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그리고 1990년 이후 미일 양국관계의 강화는 안전보장 면에서의 동맹의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한 일본의 적극적인 대응과 국내 정치적 상황 변화에 따라 정당간 합의가 이루어져 비로소 가능하게 되었다.
|
[
"본 논문에서는 전후 일본외교정책의 기본 이념과 방향을 우선적으로 살펴본다. 이를 통하여 일본의 외교정책이 1990년대에 접어들어 종래와는 다른 근본적 변화를 가져왔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미일 관계의 기본적인 틀인 1960년 미일안보조약의 성격과 양국관계를 중심으로 외교정책을 살펴본다. 끝으로, 1990년대 일본 외교정책의 변화양상을 미일 관계의 강화와 적극적인 국제역할 증대 정책에 대해서 고찰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전후 일본외교정책의 기본적 방향과 이념을 살펴본다. 이를 통하여 일본의 외교정책이 1990년대에 접어들어 종래와는 다른 근본적 변화를 가져왔다는 사실을 확인한다. 그리고 미·일 관계의 기본적인 틀인 1960년 ‘미·일 안보조약’의 성격과 양국관계를 중심으로 외교정책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1990년대에 있어서 일본 외교정책의 변화양상을 미·일 관계의 강화와 적극적인 국제역할 증대 정책을 중심으로 하여 고찰한다. 특히, 미·일 안보협력 강화의 목적, 그 내용과 그러한 일련의 외교정책적 변화가 가능하게 된 배경을 동북아시아의 국제환경과 일본 국내적 상황에 주목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일본 외교정책의 변화와 미·일관계의 변화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일본 국내정치의 보수·우경화와 냉전종식 이후 국제환경의 변화에 따른 외부적 요인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1993년 자민당 일당우위체제의 붕괴이후 안보문제나 미·일관계를 둘러싼 정당간의 세력관계 재편에 주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는 일본 국내정치의 보수·우경화와 냉전 이후 국제환경의 변화에 따른 외부적 요인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1993년 자민당 일당우위체제 붕괴 이후 안보문제나 미·일관계를 둘러싼 정당 간 세력관계 재편에 주목하였다."
] |
A201007090844
|
소규모 실습실 관리를 위한 웹기반 트래픽 모니터링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paper
|
본 논문에서는 소규모 실습실을 대상으로 웹기반의 네트워크 트래픽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네트워크 관리자로 하여금 네트워클 분석하여 네트워크와 시스템의 운영 및 관리, 확장, 그리고 디자인을 지원할 수 있다. 전체 시스템은 네트워크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네트워크 트래픽의 실시간 분석을 지원하는 분석 서버와 서버로부터 수신된 결과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그래픽적인 데이터로 보여주는 웹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제안된 시스템은 웹기반 기술인 자바로 구현되었으며 다양한 분석 기능 및 활용방안을 제공함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실습실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 활동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
[
"본 연구는 소규모 실습실을 대상으로 웹기반의 네트워크 트래픽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웹기반 기술인 자바로 구현되었으며 여러 가지 분석 기능 및 활용방안을 제공한다.",
"각 학교에 PC가 보급되고 소규모의 PC 실습실이 급속히 도입되어 PC를 사용한 교육 및 인터넷 교육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교사가 실습실에서 각 학생의 PC 화면을 모니터링 하거나 통제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지 않아 관리 차원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웹 관련 기술이나 자바와 같은 새로운 인터넷 기반의 기술들을 네트워크나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관리 등과 같은 관리 분야에 적용시킴으로써 기존의 관리 기술과 관리 도구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시도가 수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접근 방법을 웹 기반 관리 기술이라 하고 관리 공간의 제약과 사용의 불편성이라는 한계를 웹이라는 플랫폼에 적용시켜 그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웹기반 관리 기술의 연구는 대표적으로 자바 서블릿으로 구현된 SNMP을 이용한 웹기반 학내 전산망 관리 시스템, SNMP의 주기적 요구 수행을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개선한 실시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그리고 SNMP를 통해 관리 정보를 수집하여 트래픽 데이터를 GIF로 저장하고, 이 GIF 파일이 포함된 HTML 형태로 결과를 출력해 주는 MRTG(Multi Router Traffic Grapher) 등이 있다.",
"PC 사용 교육과 인터넷 교육이 급증하는 상황에서 교사가 학생의 PC 화면을 통제하는 수단이 제공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웹 관련 기술이나 새로운 인터넷 기반 기술을 관리 분야에 적용하는 시도가 수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접근방법인 웹 기반 관리 기술은 관리 공간의 제약과 사용의 불편성을 웹에 적용시켜 그 효율을 높인다."
] |
A201007090847
|
이동전화 서비스 환경에서의 무선데이터 품질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
paper
|
최근 이동전화의 대중화로 이동전화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이동전화 인구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CDMA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화와 경량화, 휴대용 전화를 통한 이동전화 서비스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이에 필요한 평가항목 개발과 시험환경 구축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에 이동전화 서비스 환경의 필수적인 단말기에 대한 시험원리에 대한 소개와 무선망상에서 사용되는 시험호인 무선데이터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을 하면서 무선데이터를 이용한 품질평가 방법 형태에 대하여 현황과 앞으로의 전망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
"본 논문에서는 무선데이터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과 더불어 무선데이터를 활용한 품질평가 방법 형태에 대하여 현황과 향후 전망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최근 관심이 고조되는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망상의 무선 데이터 시험호에 대하여 알아보았으며 무선데이터를 이용한 품질평가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동전화 통화품질 측정을 위한 평가항목의 적합성을 정의하기 위해서 전국을 대상으로 전송속도 평가항목을 추가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무선데이터 지표는 기존의 접속성공률, 전송완료를 평가항목에다 전송속도를 포함하여 실험했다. 적용한 결과 기존의 평가방법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품질개선 지역이 나타났다. 제안된 평가방법은 한층 더 품질의 정확성을 판단하는 시스템으로 개선되었다. 소비자 단체에 접수된 불만사항을 줄일 수 있었다. 이용자 체감품질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등이 포함되는 장점이 있었다. 또한 이용자 체감품질 검증을 위한 평가방법에서 평가등급을 개선함으로써 정부나 소비자단체로부터 신뢰성을 회복할 수 있는 기회가 부여 되었다. 앞으로, 이동전화 전 분야에 평가항목을 적용할 수 있는 표준화 연구가 필요하다. 기존의 CDMA 방식을 필두로 WCDMA, 인터넷전화, 텔레매틱스, 휴대인터넷 부문 등에서도 이동사업자의 자발적인 서비스 품질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망상의 무선 데이터 시험호와 무선데이터를 이용한 품질평가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여기에 이동전화 통화품질 측정을 위한 평가항목의 적합성을 정의하기 위해 전국을 대상으로 전송속도 평가항목을 추가했다. 그 결과 기존의 평가방법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품질개선 지역이 나타났다."
] |
A201007090852
|
다중경로 이득 적응형 MMSE 검출기에 관한 연구
|
paper
|
본 논문은 STBC CDMA 시스템의 다중 사용자 환경을 위한 기존의 MMSE 검출방식이 여러 경로의 수신신호 중에서 가장 전력이 강한 신호만을 사용하므로 상대적으로 검출능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이를 보완하고자 다중 경로에 대한 이득을 추가로 적용시켜 성능을 개선시킨 다음에 이것의 성능을 기존 방식과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개선된 검출방식의 성능 분석은 비트오율 확률분포 관점에서 이루어졌으며 이것을 기존 방식과 비교한 결과 다중경로 이득을 적용시킨 검출방식이 기존의 방식보다 채널의 지연 값, 사용자 수, 신호대 잡음비에 대한 비트 오율 확률분포의 성능이 더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
[
"본 연구는 기존의 MMSE 검출방식에 다중 경로에 대한 이득을 추가로 적용시켜 성능을 개선시킨 후 이것의 성능을 기존 방식과 비교‧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STBC CDMA 시스템의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 전송 용량을 높이고 무선 자원의 용량을 증가시켜 고속의 데이터전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검출 기법의 연구로 시공간 다이버시티 이득도 얻고 다중 간섭도 제거시키며 각각의 다중 경로에 대한 이득을 추가로 적용시킨 MMSE 검출기를 제안한다. 제안된 다중경로이득 적응형 MMSE 검출기는 여러 경로의 수신 신호 중에서 가장 전력이 강한 신호만을 사용하는 기존의 MMSE 검출방식과 달리 칩 상관필터와 2N+L 칩 샘플 저장부, 가중치 벡터 wl을 이용한 다중간섭 필터부, 이득 합성부, 콤바이너와 최종 값 결정부 등의 4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각 경로에 대한 수신 신호에 가중치 벡터 wl을 이용하여 다중간섭을 제거한 다음 각 경로의 특성에 따른 이득을 결합시키고 이러한 모든 경로에 대한 검출 신호를 모두 합한 다음에 그것의 실수부를 취해서 최종 검출값을 결정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제안된 검출기의 성능 분석은 비트 오율 확률 분포(Probability of Error)를 이용하여 이루어졌으며 기존방식과 비교한 결과 다중경로 이득 적응형 MMSE 검출기가 기존의 검출기보다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다중경로이득 적응형 MMSE 검출기는 각 경로에 대한 수신 신호에 가중치 벡터를 이용하여 다중간섭을 제거한 후 이득을 결합시키고 모든 경로에 대한 검출 신호를 모두 합한 다음 실수부를 취해 최종 검출값을 결정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며, 기존방식과 비교한 결과 기존의 검출기보다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 |
A201007090858
|
바이트 가변 연산기능을 가진 블록 암호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
paper
|
정보통신과 네트워크의 발전으로 인하여 정보에 대한 보안의 중요성이 날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암호시스템들이 발전하고 있으나 비례적으로 크랙 및 해킹의 기술도 발전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바이트 가변연산을 이용하여 블록암호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설계된 바이트 기반 블록암호시스템은 고정된 DC 및 LC를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이러한 공격방법으로부터 안전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기존 대칭형 암호시스템이 가지고 있던 처리속도와 비대칭 암호시스템이 가지고 있던 인증기능을 모두 포함함으로서 네트워크 기반에서의 정보통신발달에 많은 도움을 주리라 사료된다.
|
[
"본 연구에서는 바이트 가변연산을 활용하여 블록암호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설계된 시스템은 고정된 LC 및 DC를 발생시키지 않아 이러한 공격방법으로부터 안전하다. ",
"네트워크 환경 및 멀티미디어에 대한 연계서비스의 만족을 위해서는 다수의 사용자에 대하여 보다 안전하며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고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시켜야 한다. 이러한 전제조건을 만족하기 위하여 2000년도에 대칭형 암호알고리즘으로 AES의 한 후보였던 Rijndael이 채택되었다. 그러나 AES의 후보 알고리즘들은 구현 또는 비도 측면에서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AES들에 대한 단점들을 없애고자 새로운 블록 암호알고리즘을 제안하여 설계하였다. 제안된 새로운 암호알고리즘은 평문 또는 암호문의 일부분과 ID를 이용하여 암호 키를 생성함으로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실시간 처리 및 높은 비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암호화를 수행하는 자원으로 자체 정보만을 가진다. 자체정보는 변환블록에서 4가지 종류의 변환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4가지의 변환은 동시다발적으로 수행되며 정보에 대한 event 발생시마다 라운드 변환으로 취급하기 때문에 각 라운드는 정보변환에 대한 기준가치로서 판단할 수 있다.",
"2000년도에 대칭형 암호알고리즘으로 AES의 한 후보였던 Rijndael이 채택되었다. 그러나 AES의 후보 알고리즘들은 구현 또는 비도 측면에서 단점이 많다. 이에 본 논문은 이러한 AES의 단점들을 없애고자 새로운 블록 암호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 |
A201007090869
|
통합보안 관리시스템의 침입탐지 및 대응을 위한 보안 정책 모델
|
paper
|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들의 발전으로 인하여 매우 다양한 침입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침입을 탐지 및 대응하기 위하여 방화벽 또는 IDS와 같은 보안 솔루션들이 생겨나고 있으며 이들을 탑재한 보안시스템의 관리가 더욱 힘들어지고 있다. 더욱이 보안을 요구하는 시스템들의 환경이 다양하여 그에 적합한 보안정책을 수립하여 관리하기가 어려워지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보안시스템의 통합관리와 각 시스템들의 침입탐지 및 대응에 대한 모델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광범위한 네트워크 자원을 관리하는 PBNM 구조를 개선하고 보안시스템의 침입탐지 및 대응에 적합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제시된 모델을 통합보안관리시스템에 적용시킴으로써 효과적인 침입탐지 및 대응을 위한 보안 정책 모델을 기반으로 통합보안관리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
"본 연구에서는 PBNM 구조를 개선하고 보안시스템의 침입탐지 및 대응에 적합한 새로운 모델을 제시‧적용시킴으로써 효율적인 침입탐지 및 대응을 위한 보안 정책 모델을 바탕으로 통합보안관리시스템을 설계하였다.",
"현재 시스템의 보안을 위하여 다양한 보안제품들이 상용화되었고 이를 탑재하여 운영 중인 시스템들이 상당수에 이른다. 하지만 침입의 유형이 매우 다양화 되면서 침입에 대한 탐지 및 대응이 매우 복잡해지고 보안제품에 따라 기능 및 제어가 어려워지고 있다. 그로인해 다양한 보안솔루션에 대한 보안관리자들의 통합보안관리가 요구되었고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보안솔루션의 통합관리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었다. 더불어 네트워크 자원에 대한 관리 및 운용과 관련하여 IETF에서는 정책기반관리 모델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네트워크와 관련된 장비 및 이에 준하는 솔루션들의 광범위한 관리를 위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광범위한 정책기반관리 모델을 변형하여 침입탐지 및 대응에 적합한 변형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통합보안관리(ESM)시스템과 연계시킴으로써 침입탐지 및 대응에 대한 정책기반의 통합보안관리시스템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2장에서는 정책기반의 네트워크 관리모델과 통합보안관리 모델에 대해 알아보고 3장에서 침입탐지 및 대응을 위한 보안정책 모델의 적용과정 및 비율산출을 정의하고 비율산출에 따른 신규정책 수립 모델의 생성과정을 기술하며 4장에서는 논문에서 제시한 SPB-ESM 시스템의 모듈별 설계와 모델적용에 대하여 언급한다.",
"다양한 보안솔루션에 대한 보안관리자들의 통합보안관리와 다양한 보안솔루션의 통합관리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광범위한 정책기반관리 모델을 변형하여 침입탐지 및 대응에 적합한 변형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통합보안관리시스템과 연계시킨 정책기반의 통합보안관리시스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
A201007090875
|
경찰대학 운영체제의 재정립 방안
|
paper
|
본 연구는 경찰대학의 운영체제를 재정립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경찰대학은 설립당시와 달리 일반대학 경찰관련 학과가 증설되면서 역할 또는 기능 측면에서 여러 가지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나아가 최근에 발생되고 있는 범죄현상의 변화에도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따라서 경찰대학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변화들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역할 또는 기능의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위해서는 경찰대학의 폐지, 기능변화 또는 운영시스템에 대한 획기적 전환조치 등이 선택적 또는 병행적으로 고려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는 통계자료 및 문헌고찰을 통하여 최근의 환경변화와 경찰대학간의 충돌현상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경찰대학의 새로운 역할 또는 기능 정립방안을 모색한다.
|
[
"경찰대학은 설립당시와 달리 일반대학 경찰관련 학과가 증설되면서 기능 혹은 역할 측면에서 다양한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경찰대학의 운영체제를 재정립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
"일반대학들에 경찰관련 학과의 설치가 증가되면서 경찰대학의 역할 및 기능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증대되기 시작하였다. 즉, 최근의 환경변화로 인하여 경찰대학 이외의 일반대학들에서도 경찰조직이 요구하는 우수인재의 양성이 충분히 가능한 여건이 조성되었고, 이와 같은 여건들은 경찰대학이 수행하는 기능의 고유성을 상실하게 하였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찰대학이 지속적으로 누리고 있는 다양한 특례들은 그야말로 특혜에 해당하는 대우로 전락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비판적 시각들은 현행의 국립 경찰대학이 새로운 모습으로 재탄생되길 바라는 일종의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여기에서는 국립 경찰대학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적 요인들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으며, 그러한 환경적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국립 경찰대학의 적절한 대응방안은 무엇인가에 대한 시론적 탐색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연구의 전체적 범위를 국립 경찰대학의 기능에 초점을 두고, 기능분석의 보완수단으로 학과편제, 교과과정 및 학위수여 등을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내용의 효과적 분석을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문헌분석과 통계자료를 활용하고 있다.",
"최근 일반대학에서도 경찰조직이 요구하는 우수 인재의 양성이 충분히 가능한 여건이 조성되었고, 이는 경찰대학이 수행하는 기능의 고유성을 상실케 하였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국립 경찰대학을 둘러싼 환경적 요인들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으며, 그러한 변화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방안에 대한 시론적 탐색을 하고자 한다."
] |
A201007090880
|
신용불량자에 의한 범죄의 양상에 관한 연구
|
paper
|
최근에 들어 우리 사회가 당면한 가장 심각한 사회문제의 하나는 신용불량자 문제이다. 신용불량자는 최근에 들어 급증하여 2003년 9월말 현재 350만 1,897명으로 인구 100명당 7.6명이 신용불량자이며 경제활동인구를 기준으로 할 때는 100명당 15명이 신용불량자란 굴레를 쓰고 있다. 신용불량자 문제는 그 규모가 심각할 뿐만 아니라 사회생활 전반에 걸쳐 다양한 폐해를 초래하고 있다. 신량불량자 문제와 관련하여 본 연구가 다루는 사항은 신용불량자들에 의한 범죄양상과 이들에 대한 효율적 대처방안이다. 연구는 1998년 이후 2003년 11월까지 전국의 언론매체에 보도된 신용불량 관련범죄 106건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최근에 들어 신용불량자에 의한 범죄발생이 급증하는 추세였으며, 신용불량자들이 저지르는 범죄유형들 중에서 가장 빈번한 것은 강도범죄이었다. 남자 신용불량자들은 강도, 살인/살인미수, 납치/협박 등을 자주 저질렀으며 여자 신용불량자들은 절도와 사기를 자주 저지르는 경향이었다. 20~29세의 젊은 신용불량자들은 강도를 자주 저지르는 경향이었고, 40세 이상의 나이든 신용불량자들은 절도와 사기/횡령을 저지르는 경향이 강하였고, 납치/협박 역시 20~29세와 30~39세의 비교적 젊은 신용불량자들이 저지르는 경향이 강하였다. 소액신용불량자들은 강도를 저지르는 경향이 강하였고, 고액신용불량자들은 살인/살인미수와 납치/협박을 저지르는 경향이 강하였다. 신용불량자들의 범죄발생추세는 일반화경향(generalization type)이 강하였다. 강도와 절도의 경우에는 다소의 전문화경향이 있었지만, 최근에 들면서 다양한 유형의 범죄가 저질러지는 일반화경향이 강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모집단차별론과 상황의존론 모두를 지지하는 것으로 개인의 낮은 자아통제력과 함께 신용불량자로 등록됨으로써 겪는 경제적 상황변화가 이들이 범죄에 빠져드는데 있어 중요한 인과요인이었음을 시사한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기존의 상황완화책과 함께 장기적인 신용교육과 신용불량자들이 범죄기회를 쉽게 접하지 못하도록 하는 범죄기회 차단노력을 이들의 반사회적 행위에 대처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
[
"신용불량자 문제는 그 규모가 심각할 뿐만 아니라 사회생활 전반에 걸쳐 여러 가지 폐해를 초래하고 있다. 신량불량자 문제와 관련하여 본 연구가 다루는 사항은 신용불량자들에 의한 범죄양상과 이들에 대한 효율적 대처방안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최근에 들어 신용불량자에 의한 범죄발생이 급증하였으며, 신용불량자들이 저지르는 범죄유형들 가운데 가장 빈도가 높은 것은 강도범죄이었다. 남자 신용불량자들은 강도, 살인/살인미수, 납치/협박 등을 자주 저질렀으며 여자 신용불량자들은 절도와 사기를 자주 저지르는 경향이었다. ",
"신용불량자를 양산한 신용카드사들은 결국 연체율 증가로 인해 경영상태가 급격히 악화되고 다른 금융기관들이 자신의 보호를 위해 카드사용액을 줄일 경우에 돌려막기로 겨우 연체를 피했던 사람들이 새로운 신용불량자로 편입됨으로써 금융기관 전체가 위기상태에 빠져들 수 있다. 이와 함께 신량불량자에 의하여 사회불안이 심화될 수 있다. 신용불량자로 낙인됨으로써 이들은 희망을 상실하고 자포자기에 빠져 연일 언론에 보도되듯이 범죄자로 전락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범죄가 발생함으로써 범죄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뿐만 아니라 범죄예방을 위한 비용, 대다수의 국민이 범죄대상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경제적 단위로 환산할 수 없는 심각한 수준의 범죄에의 두려움(fear of crime) 등 우리 사회는 많은 비용을 치루어야 한다. 신용불량자 문제와 관련하여 본 연구가 다루고자 하는 사항은 신용불량자들에 의한 범죄양상과 이들에 대한 효율적인 대처방안이다. 그간 국내에서 신용카드제도나 신용카드의 불법사용 등에 관한 규범적 연구는 있었으나 신용불량자들에 의한 범죄행위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실시되지 않았다.",
"신용불량자가 된 사람들은 희망을 상실하고 자포자기에 빠져 범죄자로 전락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범죄 발생은 직접적인 피해뿐만 아니라 대다수 국민이 범죄대상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경제적 단위로 환산할 수 없는 사회적 비용을 치르게 한다."
] |
A201007090885
|
강력범죄에서의 범죄자 유형 분석기법(Criminal Profiling)의 도입에 관한 연구
|
paper
|
범죄자 유형 분석기법은 매우 유용한 범죄수사기법이다. 어떤 사건들에서는 이러한 분석기법이 유용하기도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특별한 동기의 살인사건이나 강간범죄사건 수사의 경우, 매우 적합한 수사기법이다. 살인 범죄현장과 같이 범인의 동기를 잘 추정할 수 없거나 물리적 증거가 충분하지 않는 경우에, 심리학적 프로파일링은 수사관에게 사건해결에 대한 훌륭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래서 미국, 독일, 영국, 캐나다 등 선진 각국의 경찰에서는 이러한 수사기법을 활발하게 응용하고 있다. 또한 同기법은 과학적 수사기법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그런데 한국에서는 아직까지 이러한 수사기법이 별로 활용되지 않고 있다. 최근 점증하고 있는 강력범죄동향에 따르면, 그 중요성이 더욱 더 증가할 것이다. 필자는 본 연구를 통하여 범죄자유형분석기법의 개념, 목적 그리고 다양한 전략에 대해서 소개하였으며, 한국 경찰의 과학적 수사기반구축을 위한 형사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
[
"필자는 본 연구를 통하여 범죄자 유형 분석기법의 개념, 목적 그리고 여러 가지 전략에 대해서 소개하고 아울러 한국 경찰의 과학적 수사기반구축을 위한 형사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최근 특정범죄자에 의하여 同種 혹은 類他 강력(흉악)범죄가 빈발하는 가 하면, 이상심리자에 의한 범죄가 빈발하는 등 일반적인 수사기법으로 해결하기에 어려운 사건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상심리자에 의한 특이한 범죄수법은 합리적 추리가 어렵다. 교묘히 도피하는 연쇄 살인범의 행각에 맞서 경찰이 가질 수 있는 최고의 무기는 그들의 행동프로파일(Behavior Profile)이라고 한다가 특히 강력범죄 발생빈도가 매우 높은 미국에서는 일찍이 FBI(행동과학부-BSU)를 중심으로 범죄자의 심리상태와 범죄자의 특징(Modus Operandi: MO)을 반영하는 범죄현장을 중심으로 범죄자의 형태를 추론해나가는 범죄수사 기법이 발전되어 왔다. 전문화된 수사기법을 활용함으로써 범인추정, 용의자 압축 등의 효과를 거양하고 있다. 최근 한국 경찰에서도 강력사건의 범죄자에 대한 人的, 環境的 특성 등에 대한 기록 분석을 통하여 종합적 의미를 갖도록 하려는 노력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강력사건 범죄자의 특성에 따른 분류방식, 범인의 범행동기·과정, 피해자와의 관계 범행의 포악성 등의 분석기법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각국의 활용사례를 소개함으로써, 한국 경찰의 과학수사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미국에서는 일찍이 범죄자의 심리상태와 범죄자의 특징을 반영하는 범죄현장을 중심으로 범죄자의 형태를 추론해나가는 범죄수사 기법이 발전해 왔으며 최근 한국에서도 강력사건의 범죄자에 대한 人的, 環境的 특성 등에 대한 기록 분석이 강조되고 있다."
] |
A201007090890
|
노인의 범죄피해 특징 및 대책에 관한 연구
|
paper
|
범죄학계나 형사사법기관에서는 60세 이상의 사람을 노인이라고 정하고, 관련 정책입안과 통계관리를 하고 있으나 노인의 복지나 취업 등과 관련해서는 그 기준연령이 차이가 있다. 노인의 범죄피해는 형법범 피해와 특별법 피해로 구분할 수 있다. 형법범에 대한 피해는 재산범이 가장 많으며, 다음이 강력범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최근에는 다른 연령층보다 재산범죄의 피해는 줄고, 상대적으로 강력범죄와 위조범, 풍속범죄 등의 피해는 증가하는 추세이다. 재산범 피해는 사기와 절도가 가장 많다. 강력범 피해는 상해, 다음이 폭행, 강도, 협박, 방화, 강간, 살인, 공갈, 체포와감금, 약취와유인 등의 순인 것으로 분석된다. 특별법에 대한 노인의 피해는 교통사범과 폭력사범, 그리고 특정범죄가중사범 등에 의한 피해가 대부분이며, 최근에는 성폭력사범 피해도 증가하는 경향이다. 노인의 범죄피해대책은 1차적으로 범죄에 대한 노인의 경계의식이 선행되어야 하며, 2차적으로는 노인을 배려한 경찰행정과 범죄피해자구조제도의 활성화, 그리고 민간의 피해자지원네트워크의 구축 등이 필요하다.
|
[
"특별법에 대한 노인의 피해는 폭력사범과 교통사범, 특정범죄가중사범 등에 의한 피해가 대부분이며, 성폭력사범 피해도 증가하고 있다. 노인의 범죄피해대책은 범죄에 대한 노인의 경계의식이 선행되어야 하며, 경찰행정과 범죄피해자구조제도의 활성화, 민간의 피해자지원네트워크의 구축 등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노인의 범죄피해의 실태 및 특성에 대해 분석하여 향후 관련 정책적 대안 모색의 지표를 제시하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노인범죄의 피해를 알아보기 위하여 1995년부터 2002년까지 대검찰청에서 발간된 범죄분석과 법무연수원의 범죄백서, 그리고 통계청의 자료를 주로 활용하였다. 범죄를 형법법과 특별법으로 나누고, 다시 형법범을 재산범, 강력범, 위조범, 공무원범, 풍속범, 과실범 등으로 분류하여 연구대상기간 중 이들 범죄에 대한 노인의 피해와 노인을 제외한 전체 범죄피해 추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재산범을 다시 절도, 장물, 사기, 횡령, 배임, 손괴 등으로, 그리고 강력범을 다시 살인, 강도, 강간, 방화, 폭행, 상해, 약취와유인, 체포와 감금 등으로 재분류하여 이들 범죄에 대한 노인과 노인을 제외한 기타 연령층의 피해를 비교분석하였다. 특별법 분야는 그 범주가 매우 광범위하므로 그 중 가장 피해가 큰 교통사범, 폭력사범, 특가법사범 및 특별히 관심이 필요한 성폭력사범 등에 대한 노인의 범죄피해의 추세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논문은 노인의 범죄피해의 실태 및 특성에 대해 분석하여 향후 관련 정책적 대안 모색의 지표를 제시하고자, 빈도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대상기간 중 이들 범죄에 대한 노인의 피해와 노인을 제외한 피해 추이를 분석하였다."
] |
A201007090895
|
Forward C.P Net. 을 이용한 3단 LVQ 학습알고리즘
|
paper
|
본 논문에서는 LVQ 네트워크의 분류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F.C.P.Net.을 이용하여 LVQ 학습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F.C.P.Net.의 입력층과 부류층 사이의 연결강도는 SOM과 LVQ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초기 참조벡터의 설정 및 학습이 가능하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패턴벡터를 부류층의 뉴런에 의해 종속부류로 분류하고, F.C.P.Net.의 부류층과 출력층 사이의 연결강도는 분류된 종속부류를 부류로 지정하는 학습을 하게 된다. 또한 부류의 수가 결정되기만 하면 입력층, 부류층, 출력층의 뉴런의 수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된 학습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Fisher의 Iris 데이터를 학습벡터 및 시험 벡터로 사용하여 시뮬레이션 하였고, 제안된 학습방식의 분류 성능은 기존의 LVQ와 비교되어 기존의 학습방식보다 우수한 분류성공률을 확인하였다.
|
[
"본 연구에서는 LVQ 네트워크의 분류성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F.C.P.Net.을 이용하여 LVQ 학습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제안된 학습방식의 분류 성능은 기존의 LVQ와 비교되어 기존의 학습방식에 비해 우수한 분류성공률을 확인하였다.",
"LVQ의 학습에는 이웃반경이 고려되지 않고 오직 숭리뉴런에 연결된 연결강도 만의 학습이 이루어지므로 입력패턴벡터공간에서 특성화 지도를 형성하지 않으므로, 이로 인하여 패턴분류의 성능은 연결강도의 초기값 설정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 또한 LVQ 학습에서 분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종속 부류를 지정하는 출력뉴런 각각을 어떤 부류에 지정하는가 하는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LVQ의 분류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인 초기값 설정과 출력뉴런의 부류지정 설정이 신경회로망으로 자동 학습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사용된 신경회로망은 3층 전방향 구조를 가지며, in-star와 out-star 학습법을 사용하는 F.C.P. Net.을 사용하였고, LVQ 초기 참조벡터의 학습, 정밀한 참조벡터의 학습, 종속 부류가 속할 부류지정학습으로 이루어지는 3단계 학습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학습네트워크의 분류성능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Fisher의 Iris 데이터에 적용하여 패턴분류 성능을 시뮬레이션하고 기존의 LVQ와 성능을 비교하였다.",
"LVQ 학습의 패턴분류 성능은 연결강도의 초기값 설정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출력뉴런 부류 지정의 영향을 받는다. 이에 본 논문은 초기값 설정과 출력뉴런의 부류지정 설정이 신경회로망으로 자동학습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이 신경회로망은 3층 전방향 구조이며, F.C.P. Net.을 사용하였다."
] |
A201007090899
|
통보형 XML 공문서 관리를 위한 프레임웍 설계
|
paper
|
학교 내의 문서 전달은 교육청과 같은 규모가 큰 교육기관과는 달리 소규모라는 점 때문에 소홀히 여겨져 왔다. 외부의 행정 환경 변화에 따라 학교 내의 행정 서비스 전달 체계도 그 구조와 틀을 쇄신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 논문은 실제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통보형 XML 공문서 관리를 위한 프레임웍을 설계하고, 컴포넌트 관계로 모델링하여 JSP 컴포넌트 기반의 공문서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시스템은 기한이 임박한 공문서와 같은 교육활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줄이고 문서 관리 체계의 전산화로 학교 내 행정 서비스 환경을 개선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
[
"실제 학교 현장에서 쓰일 수 있도록 통보형 XML 공문서 관리를 위한 프레임웍을 설계하고, 컴포넌트 관계로 모델링하여 JSP 컴포넌트 기반의 공문서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교사들은 담임의 역할을 다 하기 위해 하루 일과의 60% 이상은 학생들에게 전념하고 있다. 보직 교사마다 담당 공문서 수의 편차는 있겠지만 이러한 상황에서의 공문서 전달 및 문의 자체는 정상적인 교육활동에 방해 요소로 작용하고 있고, 그러한 점에서 공문서 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이 더욱 크다고 보았다. 현재 교육청의 문서유통 그룹웨어를 통해 학교로 전달되는 공문서는 전용 뷰어가 필요한 고유의 문서형식으로 저장되고 있다. XML 문서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은 그룹웨어의 신규 버전에서 제공하며, 추가로 문서의 전자적 이관 및 기록보존과의 연계 필요성에 따라 각 기관에서는 신규 버전의 그룹웨어를 도입할 예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부의 문서형 정의(DTD : Document Type Definition) 표준에 맞춰 XML 공문서를 작성하고 그 내용도 실제의 공문서 내용과 유사하게 만들어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통보형 XML 공문서 관리를 위한 프레임웍을 설계하고, 컴포넌트 관계로 모델링하여 JSP 컴포넌트 기반의 공문서 관리 시스템을 구현한다.",
"교육청 그룹웨어를 통해 학교로 전달되는 공문서는 전용 뷰어가 필요한 문서형식으로 저장된다. XML 문서로 변환·저장하는 기능은 신규 버전에서 제공하며, 필요에 따라 각 기관에서 신규 버전을 도입할 예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통보형 XML 공문서 관리를 위한 프레임웍을 설계하고자 한다."
] |
A201007090903
|
초등학생의 ICT 활용 오류 처치 방안 연구
|
paper
|
본 연구에서는 ICT 교육의 효과를 높이고자 ICT 활용 학습 과정 시 학습자에게서 나타나는 오류의 사례들을 분석하여 오류 유형을 설정하고 그에 대한 효과적인 처치 방안을 탐색하였다. 관찰, 면담, 설문 조사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오류 사례를 탐색한 결과 기능 혼동 오류, 개념 혼동 오류, 인터페이스 해석 장애 오류, 심리적 불안으로 인한 오류, 학습자 성격 유형에 의한 오류, 습관적인 오류 등 6가지 오류 유형을 설정하였다. 그중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하는 기능 혼동 오류와 개념 혼동 오류 중심으로 웹 기반 Q&A 학습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용한 오류 처치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한 오류 처치 방안을 현장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
[
"본 연구에서는 ICT 활용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에게서 나타나는 오류의 사례들을 분석함으로써 오류 유형을 설정하고 그에 대한 효과적인 처치 방안을 탐색하였다.",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ICT 교육에 있어서 실험자료를 바탕으로 한 오류 분석을 통해 ICT 활용 학습과정에서 일어나는 오류를 분석하고 그 원인과 대책을 강구하여 학습자들이 가지는 학습상의 난점들과 그 원인을 살펴보는 일은 의의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오류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하여 교사는 학습자의 문제점을 객관적으로 파악하여 학습자의 오류가 화석화(化石化)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을 알 수 있다. 또한 학습자의 실제적인 학습능력을 진단할 수 있으며 학습과정에 대한 통찰력을 기를 수 있어서 학습자의 학습능력 개발은 물론, 효과적인 ICT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ICT 활용 학습시 학습자들의 학습상황을 예측하고 파악하여 교사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을 높이기 위해, ICT 활용 학습 과정 시에 발생하는 오류의 사례들을 분석하여 학습자에게서 나타나는 오류 유형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처치 방안을 탐색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학습자의 오류유형에 따른 적절한 처치를 함으로써 ICT 교육의 효과를 높이고자 함이다.",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ICT 교육에 있어 실험자료를 바탕으로 한 오류 분석을 통해 학습자들의 학습상 난점과 그 원인을 살펴보는 일은 의의 있는 일이다. 이에 본 연구는 ICT 활용 학습 과정 시 발생하는 오류의 사례들을 분석, 오류 유형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처치 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 |
A201007090907
|
대학에서 국산 5세대 프로그램 저작도구의 교육에 대한 연구
|
paper
|
유비쿼터스 시대에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본인은 대학에서 국산 5세대 프로그램 저작도구를 교육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기존의 외산 프로그램 저작도구에 비해 국산 5세대 프로그램 저작도구의 기능과 특징, 장점과 단점을 연구하며, 저작도구의 학습에서 발생한 운영체제나 이용에 대한 문제점을 조사한다. 대학의 교육 현장에서 기존의 유사한 외산 프로그램에 비하여 툴 사용, 코딩(스크립트), 프로그램 응용부문에서 학생들의 반응도를 조사하여 분석한다. 그리고 가르치는 교수와 개발실무자의 의견을 통해 국산 저작도구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거기에 대한 대안을 제시한다.
|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외산 프로그램 저작도구에 비해 국산 5세대 프로그램 저작도구의 기능과 특징, 장점과 단점을 연구하며, 이용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최근의 유비쿼터스 시대에 전자상거래를 위해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의 개발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프로그램 저작도구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시기이다. 국내에서 개발된 프로그램 저작도구는 대학생들에게 교육을 통해 가르쳐지고, 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졸업 후에 실무에서 프로그램 개발을 계속한다. 따라서 대학교육 현장에서 국산 프로그램 저작도구에 관한 장점과 단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고, 연구결과의 분석에 따른 실무적인 교육 과개발 방법들이 개선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최근 국내에서 개발된 5세대 프로그램 저작도구가 있어, 이 저작도구를 대학의 컴퓨터 정보과 학생들에게 강의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의 II. 관련 연구에서는 기존의 외산 프로그램 저작도구와 문제점에 대해서 연구해본다. III. 국산 5세대 프로그램 저작도구의 연구 분석에서는 저작도구의 부문별 기능과 특징 및 응용분야와 장점 및 문제점들을 연구한다. IV.에서 2004년 11월 대학 교육 현장 연구에서 학생들이 프로그램 저작도구 학습에서 느끼게 되는 툴 사용, 코딩(스크립트), 프로그램 응용부문에서 학생들의 반응을 조사하여 분석한다.",
"국내에서 개발된 프로그램 저작도구는 대학생들에게 교육되고, 그 학생들이 졸업 후에 실무에서 프로그램 개발을 계속한다. 그러므로 대학교육 현장에서 국산 프로그램 저작도구에 관한 장·단점과 실무적인 교육과개발 방법을 연구해야 한다. 이에 최근 국내에서 개발된 5세대 프로그램 저작도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 |
A201007090911
|
국어 로마자 전사표기 웹 컴포넌트 설계 및 구현
|
paper
|
개정된 국어 로마자 표기법의 기계적 변환을 위하여 웹 기반하의 컴포넌트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특히 음운법칙을 적용하여 소리글자로 변환 후 로마자 표기로 자동 변환하는 과정과 전사법 변환에 관한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컴포넌트는 웹 서버의 스크립트 메커니즘에 의해 작동하도록 하였고, 예외어 사전 등은 웹 서버 내부 혹은 외부에서 지원하는 보조 기능으로 설계하였으며, 전체적인 시스템 구조는 UML 명세서와 의사 코드를 이용하여 작성하였다. 제안된 구조는 웹 컴포넌트 형태의 캡슐화 서비스를 제안함으로써 소프트웨어 개발의 경제성, 라이브러리 재사용 및 확장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본 연구는 개정된 국어 로마자 표기법의 기계적 변환을 위하여 웹 기반하의 컴포넌트를 설계 및 구현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국어 로마자 표기법의 기계적 변환을 위하여 음운법칙을 적용하여 소리글자로 변환 후 개정안 로마자 표기로 자동 변환하는 웹 기반하의 컴포넌트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또한 표음 중심의 전사표기법 변환에 관한 반달표와 어깻점 폰트를 지원하여 전사표기법 기계적 변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예외어 사전 관리 기법을 제시하였다. 전체적인 시스템 구조는 객체 지향 방법론의 UML 명세서와 의사 코드(Pseudo Code)를 이용하여 제시하였으며, 컴포넌트는 웹 서버의 스크립트 메커니즘에 의해 작동하도록 하였고, 예외어 사전 등은 웹 서버 내부 혹은 외부에서 지원하는 보조 기능으로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구조는 인터넷 환경에서 쉽게 사용하고(plug-in) 변경할 수 있는 웹 컴포넌트 형태의 캡슐화 서비스를 제안함으로써 소프트웨어 개발의 경제성, 라이브러리 재사용 및 확장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과 제로는 XML 기반의 플랫폼과 유니코드(Unicode) 적용과 유무선 컨텐츠 분야에서의 웹 서비스 활용방안 확대와 동시에 관련 컴포넌트들 사이의 상호 작용 표준을 정의하는 기준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국어 로마자 표기법의 기계적 변환을 위하여 음운법칙을 적용, 소리글자로 변환 후 개정안 로마자 표기로 자동 변환하는 웹 기반의 컴포넌트를 구현하였다. 이는 인터넷 환경에서 쉽게 사용·변경할 수 있는 캡슐화 서비스로, 소프트웨어 개발의 경제성, 라이브러리 재사용 및 확장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
A201007090915
|
에너지 라벨링 그룹화를 이용한 고속 음성인식 시스템
|
paper
|
본 논문에서는 입력된 음성의 음소단위로 추출된 에너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라벨링(energy labeling)하고 라벨링된 값에 따라 입력 음성을 그룹화하였다. 그리고 동적패턴정합 수행 시 입력된 실험음성에서 검출된 에너지의 크기에 따라 선택된 라벨의 그룹 내에서 DTW를 수행시켜 처리시간을 단축시켜 저가형 프로세서에서도 고속으로 동작할 수 있게 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음성 라벨링 단계는 음성의 구간 검출 및 에너지 파라미터의 추출 단계에서 정확한 파라미터의 검출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피치의 주기에 따른 가변윈도우를 사용하였다. 피치주기를 먼저 구하고 그 주기에 200 프레임에서 300프레임 사이에서 윈도우의 크기를 결정함으로써 윈도우의 영향이 제거된 에너지를 구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실험결과 제안된 방법이 약 25% 정도의 연산량을 감소시켰다.
|
[
"본 연구에서는 입력된 음성의 음소단위로 추출된 에너지 파라미터를 활용하여 에너지를 라벨링(energy labeling)하고 이와 같이 라벨링된 값에 따라 입력 음성을 그룹화하였다.",
"인간과 기계사이 뿐만 아니라 인간과 인간 사이에 기계를 통한 통역을 자동적으로 하고자 하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1960년대부터 음성 발성과 이해에 관해 많은 기초적 연구가 진행된 이래 기계에 의한 연속음성인식, 합성에는 아직 많은 과제가 남아있지만 최근 40여 년간 연구결과로 고립단어 인식에 많은 발전이 있어 미국, 유럽 일본 등에서는 상용제품도 출현하고 있다. 이들 인식시스템의 대부분은 고립단어, 또는 한정된 범주의 연속음성인식시스템이지만 잡음환경 하에서도 95%이상의 인식률을 가진 것이 많다. 인식시스템의 경우, 성능 향상에 비례하여 응용분야도 복잡화 다양화되어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음소 단위의 에너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기준패턴을 그룹화하고 기존의 동적시간정합법(DTW)을 이용한 고립단어 인식시스템에 처리시간을 감소시켜 저가형 프로세서에서도 고속으로 동작할 수 있게 하도록 하였다. 저가형 프로세서를 사용한 음성인식이 가능하다면, 제안된 음성인식 알고리즘을 사용한 제품의 전체 가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에서는 음소 단위의 에너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기준패턴을 그룹화하고 동적시간정합법을 이용한 고립단어 인식시스템의 처리시간을 줄여 저가형 프로세서에서도 고속으로 동작할 수 있게 하였다. 이를 통해 제품의 가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
End of preview. Expand
in Data Studio
- Downloads last month
-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