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
stringlengths 13
13
| title
stringlengths 1
376
| type
stringclasses 2
values | context
stringlengths 58
922k
| questions
listlengths 3
3
|
---|---|---|---|---|
A201007090816
|
고대 그리스의 죽음과 영혼의 제의의 철학적 의미
|
paper
|
본 논문은 초기 그리스 사회에서 죽음과 영혼의 제의 및 죽음 이후의 영혼관과 처벌과 보상의 문제를 검토하여 철학적 의미를 밝혀내는데 주목적이 있다. 이러한 논의는 나중에 그리스 철학의 영혼관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초가 된다. 그리스에서 죽음에 대한 견해는 영혼의 불멸성과 비물질성 등의 문제와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발전되었다. 초기 서사시 시대의 영혼 개념은 단순히 생명력만을 의미하다가 점차 보다 다양한 정신적 기능들을 통합하게 된다. 그리하여 죽음의 문제에도 보다 복잡하고 심층적인 논의들이 등장하게 된다. 호메로스의 경우에 죽음은 삶의 끝으로 산 자의 세계와 죽은 자의 세계는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죽은 자가 산 자의 세계에 영향을 미칠 수 없다고 생각되었다. 그러나 초기 그리스 장례의식을 보면 호메로스 이전부터 내려오는 강력한 영혼 숭배의 자취를 발견할 수 있다. 죽은 자를 화장하는 관습은 산 자의 세계에서 완전히 ‘분리’시키려는 의도와 ‘정화’의 목적이 있다. 또한 호메로스에서는 죽음 이후의 세계에서의 보상과 처벌에 대한 개념이 분명치는 않지만 일련의 암시들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주로 호메로스 이전부터 내려오는 전통과 관습과 관련있다. 그렇지만 호메로스의 경우에도 죽은 자들이 지하세계에서 심판을 받는 것이 나타난다. 죽음 이후의 처벌과 관련하여 그리스인들은 기독교보다 더 형이상학적인 고통을 지향하고 있다. 근본적으로 육체에 대한 고통에서 출발하지만 보다 견디기 어려운 정신적 고통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반면에 죽음 이후의 보상과 관련하여 호메로스에게는 특별한 언급은 없다. 단지 특별히 선택받은 영웅과 같은 존재들은 엘뤼시온 또는 축복받은 섬에 간다고 말한다. 그리하여 죽은 자들 가운데 영원한 형벌을 받는 자는 있어도 엄밀히 영원한 보상을 받는 자는 없다.
|
[
"초기 그리스 사회에서 죽음과 영혼의 제의 및 죽음 이후의 영혼관과 처벌과 보상 문제를 검토하여 철학적 의미를 밝혀내고자 연구한 결과, 호메로스의 경우, 죽음은 삶의 끝으로 산 자의 세계와 죽은 자의 세계는 완전히 분리되어 있어 호메로스에서는 죽음 이후의 세계에서의 보상과 처벌 개념이 분명치는 않지만 일련의 암시들을 볼 수 있다.",
"모든 사람은 죽을 운명을 갖고 태어났다. 그래서 “죽음은 모든 사람에게 공통적인 것이다.”그렇지만 모든 사람이 죽음을 자연스러운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각 사람은 마치 자신은 죽지않을 것처럼 살아간다. 아이스퀼로스의 결박된 프로메테우스에서 프로메테우스가 자신이 인간에게 준 선물들을 자랑하는 가운데 말한 ‘맹목적인’ 희망 때문일지도 모른다. 인간의 끊임없는 욕망은 삶에 대한 맹목적인 희망과 집착을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결국 모든 사람은 죽기 마련이다. 물론 언젠가는 죽는다는 것 자체가 인간의 삶을 무의미하게 만들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인간은 항상 죽음 앞에 서 있을 수 밖에 없다. 일상적인 삶 속에서 인간은 늘 자신의 죽음을 망각하지만 예고 없이 만나는 수많은 죽음들 가운데 늘 죽음에 대해 기억하게 된다. 그리스인들의 죽음과 영혼에 대한 견해는 매우 독특하고 점진적인 발전을 하고 있다. 그래서 현대인의 관점에서는 특이하고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초기 서사시 시대의 호메로스의 영혼 개념이 서정시, 서사시, 비극, 철학을 거치면서 보다 다양하고 심층적으로 변화되기 때문에 죽음에 대한 태도와 견해도 다변화되고 다중적으로 된다. 본 논문은 초기 그리스사회에서 죽음이 어떻게 이해되었는가를 죽음의 제의와 죽음 이후의 세계관과 죽은 이후의 영혼관 및 처벌과 보상의 문제 등을 검토하여 철학적 의미를 밝혀내는데 주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이 검토하려는 연구 범위는 초기 그리스 사상들 가운데 그리스 서사시와 비극에 제한되어 있다. 특히 호메로스의 작품에 나타난 죽음과 영혼의 제의에 대한 견해가 전체 논의의 중심이 될 것이다. 나아가 종교적으로 표현된 죽음과 관련된 제반 제의와 세계관을 분석하여 가능한 철학적 문제들을 제기해 볼 것이다. 이것이 나중에 그리스 철학의 영혼관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초가 될 수 있다.",
"인간의 끊임없는 욕망은 삶에 대한 맹목적인 희망과 집착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인간은 늘 자신의 죽음을 망각하지만 예고 없이 만나는 수많은 죽음들 가운데 늘 죽음에 대해 기억하게 된다. 본 논문은 초기 그리스 사회에서 죽음이 어떻게 이해되었는가를 죽음의 제의와 죽음 이후의 세계관과 죽은 이후의 영혼관 및 처벌과 보상의 문제 등을 검토하여 철학적 의미를 밝혀내는데 주 목적이 있다."
] |
A201007090820
|
리쾨르 해석학의 딜타이적인 계기와 비(非)딜타이적인 계기에 관한 소고
|
paper
|
이 논문은 리쾨르 해석학에서 딜타이적인 계기와 비딜타이적인 계기를 조명해보고, 이를 통해 리쾨르 해석학이 해석학의 역사에 보여주는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동시에 확인해보고자 한다. 가장 분명한 딜타이적인 계기란 인간 주체의 자기반성이나 자기 인식이 “삶의 표현들” 속에서만 가능하다는 점이다. 리쾨르는 이런 생각을 딜타이를 따르며 한 번도 포기한 적이 없다. 비딜타이적인 계기란, 이 표현들이 리쾨르에서는 철저하게 언어적(또는 언어학적)인 성격을 가지는 반면, 딜타이에게서는 훨씬 넓은 외연을 가진다는 점이다. 또한 딜타이에게서와 달리, 리쾨르에서는 이해가 설명을 반드시 배제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오히려 이해의 한 중요한 절차로 적극적으로 수용된다. 이런 과정을 통해 우리는 리쾨르 해석학을 결론적으로 딜타이의 해석학과 하이데거의 해석학과의 관련하에서 위치시키려고 한다.
|
[
"리쾨르 해석학에서 딜타이적인 계기와 비딜타이적인 계기를 조명하고, 리쾨르 해석학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확인해보고자 분석한 결과, 딜타이에게서와 달리, 리쾨르에서는 이해가 설명을 배제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이해의 절차로 수용된다.",
"비(非) 딜타이적이라고 해서 딜타이 해석학으로부터의 ‘단절’이나 ‘불연속’을 의미하기 보다는, 오히려 변용(變容)에 가까울 것이다. 리쾨르 해석학의 변용은 딜타이가 물려준 것, 즉 유산(遺産)의 “또 다른 활용의 가능성들”을 찾는 것에 가깝다. 단순히 물려받은 것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전수받은 자의 새로운 삶 속에서 변형되었기에 참다운 의미의 유산에 해당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유산은 탕감되어 사라져 버리지 않고 리쾨르에 와서 증식된다. 앞으로 논의는 이런 유산 증식의 짧은 보고서 일 것이다. 딜타이 “해석학의 공식”이라고 할 수 있는 체험-표현-이해에서 우리는 “체험”(Erlebnis)에 대한 언급을 그동안 하지 않았다. 그것은 이미 리쾨르가 체험이라는 주체-객체 분리 이전의 영역이자 전 반성적 의식의 영역을 논하기는 했지만, 이 영역이 후설의 형상(본질) 기술적 현상학을 채용했을 때 이 방법론이 더 이상 침투할 수 없는 비(非)의지적것(성격, 무의식, 생명)의 영역으로서 자신의 해석학적 여정 이전에 언급된 영역이기 때문이었다. 1950년에만 해도 리쾨르는 의지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의 한계를 지적하긴 했지만, 이 한계를 의지의 표현물에 대한 이해라는 해석학적 돌파구를 적극적으로 마련하지는 못했었다. 1955년 이후 그리고 1960년에 들어서야 의지에 대한 현상학은 의지에 대한,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의지 표현물들에 대한 해석학으로 변모한다. 딜타이와 리쾨르가 분기(分岐)하는 지점은 “체험”이 아니라 오히려 두 해석학자를 우리가 묶어 두려고 했던 “표현”에서이다. 이런 점에서 “표현”은 두 해석학의 탁월한 분절(分節) 지점이다.",
"리쾨르가 체험이라는 주체-객체 분리 이전의 영역이자 전 반성적 의식의 영역을 논하기는 했지만, 이 영역이 형상 기술적 현상학을 채용했을 때 더 이상 침투할 수 없는 비의지적 것의 영역으로서 자신의 해석학적 여정 이전에 언급된 영역이기 때문이었다. 1950년에만 해도 리쾨르는 이 한계를 의지의 표현물에 대한 이해라는 해석학적 돌파구를 적극적으로 마련하지는 못했었다. "
] |
A201007091789
|
쓰기 敎育을 위한 代案的 文章 槪念
|
paper
|
그동안 文法 敎育에서 이루어졌던 ‘문장의 定義’나 ‘문장의 構成 成分’에 대한 지식은 ‘문장에 대한 문법 지식’이기는 하지만, 意味를 生成해야 하는 表現 活動에 직접적으로 活用하기엔 어렵다. 文章 表現에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문법 지식은, ‘문장이라는 單位의 意思疏通 기능을 우선적으로 익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言語 共同體에서 暗的으로 합의하고 있는 글쓰기 談話 規則’의 하나로서 ‘文章 槪念’을 익히는 데 焦點을 두어 記述되어야 한다. 이러한 問題意識 아래 본고에서는 代案的 文章 槪念을 提案하였다. ‘情報構造=하나의 文章’이라는 代案的 文章 槪念은 이미 생산된 결과물로서의 글을 교정하는 데에만 사용되지 않으며, 글의 내용을 生成하는 단계에서도 적극적으로 活用할 수 있는 문법 지식이다. 이러한 문장 개념은 문장 內部만을 點檢하는 次元을 넘어, 글 全體와 文章의 관계를 정립하면서 글 내용을 構成하도록 도와주는 文法 知識이 된다.
|
[
"‘情報構造=하나의 文章’이라는 代案的 文章 槪念은 생산된 결과물로서의 글을 교정하는 데에만 사용되지 않으며, 글의 내용을 生成하는 단계에서도 活用할 수 있는 문법 지식으로 글 全體와 文章의 관계를 정립하면서 글 내용을 構成하도록 도와주는 文法 知識이 된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현실에 문제제기를 하고, 國語 使用 能刀 神長을 위해서는 母語를 話者으로 하는 문법교육 시 지금보다 오히려 더 확대될 필요가 있음을 刀說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文法知識 이름 語活 動過程에서 가장 마지막 단계에나 작용하는 ‘校計的 次元 ’에서만 기능한다고 보지 않는다. 문법 지식은 자신이 意圖ᅵ하는 바를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언어 활동 全過程에서 도와줄 수 있는 道具이다. 할리데이 Halliday 의 ‘생산적 언어 교수’는 바로 문법 지식의 생산적 도구성에 주목하는 데에서 비롯되며, 이는 교수 학습 방법 instruction technique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문법 교육 내용을 methodology 차원에서 새로이 하는 것으로만 가능한 일이다. 본고에서는 다음두 가지를 前提로삼는다. 첫째, 미숙련자라고 看敬되는 학습자에게는 意識的으로 學習하여 언어활동과정에서 生産的道具로서 活用 할 수 있는 文法知識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고 前提한다. 숙련자에게는 이러한 문법지식이 勤化되어있어,언어활동과정에서 無意識的으로 활용될 수 도 있다. 그러나 미숙련자에게 이러한 문법지식을 ‘의식적으로 提供할 필요가 있으며,미숙련학습자가 이러한 문법 지식을 익히게 되면 言語 活動 過程에서 적극적이고 생산적으로 활용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國語 使用 能刀 神長을 위해서는 母語를 話者으로 하는 문법교육 시 지금보다 오히려 더 확대될 필요가 있음을 刀說하고자 한다. 숙련자에게는 언어활동과정에서 無意識的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미숙련학습자가 이러한 문법 지식을 익히게 되면 言語 活動 過程에서 적극적이고 생산적으로 활용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는 것이다."
] |
A201007091855
|
이청준의 1960년대 소설 연구
|
paper
|
이 논문은 이청준의 1960년대 소설들을 분석한 글이다. 60년대를 만든 사건은 4·19였다. 이 사회운동이 추동한 이념은 ‘자유’였다. 그리고 이 ‘자유의 이념’은 60년대 소설을 이끈 추동력이었다. 아마도 60년대 소설가 중에서도 이 ‘자유의 이념’을 소설적으로 가장 구체화시킨 작가 중의 하나가 이청준일 것이다. 이청준의 소설에서 이 ‘자유의 이념’은 ‘자기 진실의 세계’라는 옷을 입고 있다. 그리고 이 세계에 대한 소설적 탐색은 그의 작가적 경향 전체를 통해 유지된다. 이청준의 60년대 소설들은 바로 이 ‘자기 진실의 세계’에 형태와 내용을 만들어가는 작업들이었다. 이청준이 등단작인 <퇴원>을 통해, 자신을 잃어버린 인물이 자신의 ‘자아’를 찾기 위한 몸짓을 그리고 있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좀 단순화해서 말한다면, 이청준의 60년대 소설들은 이 <퇴원>의 인물이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청준의 이런 ‘자아 찾기’를 이 논문에서는 ‘자기 진실의 세계’의 형성 과정이라고 하였다. ‘장인적 질서’에 기반한 자기 완결적 구조를 가진 자기 진실의 세계에서, ‘관계적 구조’로써의 자기 진실의 세계로 이청준의 60년대 소설들은 전개된다. 그리고 이런 ‘자기 진실의 세계’의 구축과 형성 과정은, 바로 4·19의 배반 과정이었던, 개발과 독재의 60년대 현실에 대한 이청준의 소설적 저항이기도 했다. 이청준의 이후 7·80년대 소설들은 바로 이러한 60년대 소설에서 천착된 ‘자기 진실의 세계’가 주제론적으로 확장되고 심화된 것들이다. 그런 면에서 이청준의 작가적 경향 전체를 이해하기 위해서도, 그의 1960년대 초기 소설들이 가진 전체적 윤곽을 그려보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
[
"이청준의 1960년대 소설들을 분석한 결과, 이청준의 이후 7·80년대 소설들은 60년대 소설에서 천착된 ‘자기 진실의 세계’가 주제론적으로 확장되고 심화된 것으로 이청준의 작가적 경향 전체를 이해하기 위해 그의 1960년대 초기 소설들이 가진 전체적 윤곽을 그려보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청준의 60년대 소설에서 이런 상실된 4·19의 자유 이념과 현실은 ‘자기 진실의 세계’라는 이름으로 형상되고 있다. 이처럼 그의 소설에서 ‘자유’가 ‘자기 진실’의 형식을 가지게 된 것은, 많은 부분 당대의 현실과 관련이 있다. 현실 속에서 실현되는 것이 봉쇄당한 ‘자유’는,내면과 환상의 영역으로 유폐당하고 만다. 60년대 소설들에서 나타나는, 김승옥의 ‘자기 세계’나 최인훈의 ‘사랑의 질서’ 등의 내면 질서에 대한 경도는 이 때문이다. 이청준에게서는 이것이 ‘자기 진실의 세계’로 나타나고 있다. 보통, 의미의 내재성이 사라진 객관 세계에서 소외되었거나 관심을 철회한 주체는 자신의 영혼 속에 이상적 질서를 형성하고자 하는 경향을 보인다. 즉, 세계에서의 관심의 철회 혹은 좌절은 내면적 질서라는 소설적 문제틀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이청준의 60년대 소설들에서 나타나는 ‘자기 진실’의 탐색 또한 이러한 경향과 연관이 있다. 이 글은 60년대 이청준 소설에 나타나는 ‘자기 진실의 세계’가 어떻게 형성되고 변모되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퇴원>에서 시작된 자아 탐색의 과정이 장인적 세계에 연결되어 자기진실의 관계적 구조로 나아가는 과정에 대한 분석이 이에 해당한다. 그리고 이 자기 진실의세계에 대한 관심이 어떻게 4·19와 당대의 폭력적 현실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이청준 소설에 나타나는 형식 구조와 연관지어 분석하겠다. 대상이 되는 작품은 이청준의 60년대 소설들이다.",
"이청준의 60년대 소설에서 이런 상실된 4·19의 자유 이념과 현실은 ‘자기 진실의 세계’라는 이름으로 형상되고 있다. 이 글은 60년대 이청준 소설에 나타나는 ‘자기 진실의 세계’가 어떻게 형성되고 변모되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청준 소설에 나타나는 형식 구조와 연관지어 분석하겠다."
] |
A201007092293
|
부산 중앙부두 주변 해역의 교통 흐름 및 통항 특성에 관한 연구
|
paper
|
부산항 중앙부두 주변 해역은 각 선석별로 그 목적과 용도에 부합된 전용 부두가 배치되어 소형 잡종선을 비롯해서 중대형 여객선, 소형 쾌속선, 컨테이너선, 화물선, 작업선 등 다양한 선박이 특정한 항행 규칙이나 해상교통관제 없이 비교적 자유롭게 통항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앙부두 주변 해상을 대상으로 일정 기간 동안 두 차례의 해상교통조사를 전용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실시한 후 중앙부두 주변 해역을 통항하는 선박들에 대한 선종별, 톤수별 통계처리와 항적분포를 기초로 중앙부두 인근 해상의 주요 통항로의 교통 흐름, 그리고 통항 특징 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교통 현황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중앙부두 주변 해상을 각 기능별로 분류하고, 북내항로 지정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여 항행 선박의 통항 안전성 향상 방안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선박의 운항자 관점에서 입출항 통항 안전성에 바탕을 둔 효율적인 중앙부두 인근 부두의 재배치 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
"본 연구에선 일정 기간 동안 두 차례의 해상교통조사를 전용소프트웨어를 활용해 실시한 후 중앙부두 주변 해역을 통항하는 선박들에 대한 톤수별, 선종별 항적분포와 통계처리를 기초로 중앙부두 인근 해상의 주요 통항로의 교통 흐름 및 통항 특징을 분석하였다. ",
"부산항은 해상운송 물류의 메카 및 세계적인 무역항으로서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해 오고 있다. 최근에는 선박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비교적 수심이 양호한 신선대 및 감만 부두 일대를집중 개발하여 초대형 선박으로 물동량을 무리없이 소화해내고있는 실정이다. 반면 재래부두인 중앙부두 주변 해역은 수심 제한에 의해 중형급 선박들과 연안 및 국제 여객선들이 주로 이용하고 있으나, 선박의 대형화 및 부산 신항의 개장 등과 같은시대적 환경변화에 따라 내항방파제 내에 위치한 각 선석에 대한 기능과 역할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부산항은 이제 단순한 해상 물동량을 취급하는 무역항에서 벗어나 관광산업의 중심기능을 갖는 여객선 사업의 보금자리로 탈바꿈을 시도해야 하는 전환점에 도달해 있다.이 논문은 중앙부두(제3부두) 주변에 대한 재배치가 검토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내항방파제 내의 주변 해역에 대한 교통흐름과 통항 특성을 해상교통조사를 통해 분석함과 동시에 현재의 교통 현황을 기초로 주변 해역을 기능별로 분류하고, 선박의 통항 안전성 향상 방안에 대하여 검토를 수행하였다. 또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도시 개발이나 경제성 원리가 아닌항만의 이용 주체인 선박의 관점에서 통항 안전성과 입출항용이성을 고려한 중앙부두 주변 부두에 대한 재배치 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 논문은 중앙부두 주변에 대한 재배치가 검토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내항방파제 내의 주변 해역에 대한 교통흐름과 통항 특성을 해상교통조사를 통해 분석함과 동시에 현재의 교통 현황을 기초로 주변 해역을 기능별로 분류하고, 선박의 통항 안전성 향상 방안에 대하여 검토를 수행하였다. "
] |
A201007092297
|
물류 응용을 위한 PDA 기반의 RFID 인식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paper
|
새로운 패러다임의 유비쿼터스 환경과 물류의 응용에 있어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핵심기술로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RFID 칩의 가격이 비싸고 짧은 대역폭, 저 전력과 전파 간섭 등이 기술적인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점이 상용화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또한, 규격화를 이루고 있는 리더기와 태그,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등은 대부분 비싼 로열티를 지급하고 수입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은 물류 시스템 적용을 위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PDA를 이용한 RFID 인식 시스템으로 생산품에 태그를 부착하여 기본적인 정보의 입출력을 처리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을 통한 신속, 정확, 안전한 통합 물류관리 시스템을 지원하여 물류비용을 최소화하고 고객 서비스를 향상 시킬 수 있다. 기존의 고정식 인식 시스템보다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하여 응용의 범위를 넓힐 수 있는 장점과 고가인 기존 장비에 비하여 저비용의 응용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
[
"본 연구는 물류 시스템 적용을 위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PDA를 활용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인식 시스템으로 생산품에 태그를 부착해 기본 정보의 입출력을 처리한다.",
"70년대 미사일 탄도 추적기술을 기원으로 RFID에 관한 활용가능성 연구를 지속해 오고 있는 미국의 경우,정부 학계 그리고 업체 중심으로 컨소시엄을 구성하고,‘AUTO-ID센 터’를 설립하여 RFID의 적용가능성에 관한 활발한 논의를 진행하여 오고 있다. 일본은 지난 1986년부터 동경대학 사카무라 켄 교수 등의 발의와 정부의 지원을 통해 ‘유비쿼터스 ID 센터’를 설립하여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최근에 이르러 산업자원부와 정보통신부를 중심으로 RFID 활용방향 및 추진 방향을 모색하고 있는 실 정이다(정,2004).해외 주요 국가들의 경우 각 주파수 대역별 RFID 기술을 개발하고 표준화를 서두르는 한편 산업 현장 및 물류 시스템 전반으로 적용 가능성을 타진하고 시범사업 등 보다 적극적 인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에 물류 작업과 관련한 응 용 프로그램들도 신속하고 안전한 작업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가지는 국제 표준의 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이 대 두되고 있다. 본 논문은 물류시스템 적용을 위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PDA를 이용한 RFID 인식 소프트웨어의 개발로 생산품을 비롯한 물류에 태그를 부착하여 기본적인 정보의 입출력을 처리하고 신속,정확 안전하고 통합적인 물류관리 시스템으로 물류비용의 최소화와 고객 서비스를 획기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RFID 리더기와 태그를 갖추고 임베디드 시스템환경에서 인식 할 수 있는 PDA 미들웨어와 정보통합관리를 위한 서버를 설계 및 구현 하였다.",
"본 논문은 물류시스템 적용을 위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PDA를 이용한 RFID 인식 소프트웨어의 개발로 생산품을 비롯한 물류에 태그를 부착하여 기본적인 정보의 입출력을 처리하고 신속,정확 안전하고 통합적인 물류관리 시스템으로 물류비용의 최소화와 고객 서비스를 획기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서버를 설계 및 구현 하였다. "
] |
A201007092300
|
부산 신항만에서 수로 및 박지 준설에 따른 항만정온도의 변화 분석
|
paper
|
최근 부산 신항만의 1단계 개발이 북 컨테이너 터미널쪽으로 가시적으로 나타나고, 12,000TEU 대형 컨테이너선을 서비스할 수 있도록 접근 수로 및 박지의 수심을 기존 15m 에서 18m로 준설작업을 통해 증심시킴과 아울러, 신항만의 웅동만 내 일부 수역을 매립하는 것으로 항만배후지 부분의 매립계획에 대한 수정이 논의되고 있다. 더구나 2003년 태풍 매미의 내습 이후 이곳 해역에서 항만구조물 설계의 기준이 되는 입사 파랑의 변화로 인해 각 부두에서의 극한파랑조건 및 항만 내 정온도에도 다소의 변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어 각 부두에서의 정온도 분석이 뒤따라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 변화에 대한 수치모델을 구성하고 실험을 수행한 후 현장 계측 자료와 함께 실험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아울러 유동장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결과, 전반적으로 항만의 반응이 증가되는 편이나 우려할 수준에 이르지는 않았지만 일부 구간에서는 태풍내습 시 대비하여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
[
"본 연구에서는 극한파랑조건 및 항만 내 정온도 변화에 대한 수치모델을 구성하고 실험을 수행한 다음 현장 계측 자료와 더불어 실험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아울러 유동장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항만의 반응이 증가되는 편이나 우려할 수준은 아니었다.",
"그러나 향후 부산 신항만 개발 계획에서 12,0⑴TEU 정도의 세계적 컨테이너 선박의 대형화 추세에 맞추고 향후 기존 선 박보다 큰 대형 선박의 접안을 고려하여 수로 및 박지를 기존 의 15m 에서 준설작업을 통해 18m 로 증심시키고 아울러 신 항만 배후지의 확대를 위해 항만내 웅동만 수역의 일부를 매 립하는 계획의 변경을 검토 중에 있다.새롭게 항만개발을 추진함에 고려하여야 할 가장 중요한 부 분 중의 하나로 항내의 정온도를 들 수 있다. 항만내의 정온도 는 평상시 선박 접 • 이안 및 선박계류 안전성 등 항만의 가동 율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 극한 파랑이 내습할 때에는 구조물 안정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2003년 태풍 매미 의 내습으로 인하여 기존 해안 항만 구조물 설계 기준에 극한파랑의 변화를 반영할 필요가 발생하였으며,일부 구간이지만 웅동만 부분매립으로 인한 해안선 변경과 준설수심의 변화로 기존의 정온도 및 해역의 순환 계산에 차이가 수반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자연적 및 인위적인 여건의 변화로 인하여 항만 내의 정온도나 구조물 안정에 미칠 영향을 검토하고,주변 해 역경계의 변화에 따라 해수유동의 변화를 파악하여 현재 진행 되고 있는 부산신항만 건설에 재고하여야 할 인자를 분석하고자 한다.",
"자연적 및 인위적인 여건의 변화로 인하여 항만 내의 정온도나 구조물 안정에 미칠 영향을 검토하고,주변 해 역경계의 변화에 따라 해수유동의 변화를 파악하여 현재 진행 되고 있는 부산신항만 건설에 재고하여야 할 인자를 분석하고자 한다. "
] |
A201007091521
|
중등학교 사회과 수업에서 수준별 교육과정 내용과 운영의 문제점 분석
|
paper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사회과 수업에서 수준별 교육과정이 제대로 시행되고 있는지 분석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준별 교육과정의 의미와 운영상의 특징을 고찰하고 사회과 교사와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수준별 수업의 실태에 대하여 분석해 보았다. 그리하여 사회과에서 수준별 교육과정의 운영상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사회 교과서와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의 일부 단원을 분석해 보았으며, 사회과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을 알기 위해 반구조적 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전체적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중고교 교사 34명, 중학생 130명, 고등학생 113명을 대상으로 수준별 수업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드러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수준별 교육과정에 대한 개념과 사회과 교사들이 실제로 이해하고 있는 개념 간에는 차이가 나고 있었다. 둘째,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수준별 수업을 현행의 사회 교과서를 이용하여 진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했다. 셋째, 대다수 사회과 교사들은 현재 수업에서 수준별 수업을 실시하지 않고 있었으며 실시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었다. 넷째, 학생들 대다수는 한국의 현실에서 사회 수업에 대한 수준별 수업을 희망하지 않고 있었다. 이와 같이 수준별 수업이 사회과에서 이루어지지 못하는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었다. 먼저, 수준별 집단 평가와 수준별 수업의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아 현실적으로 다르게 수업하는 것이 어려웠다. 둘째, 수준별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사회과 학습 보조 자료나 사회 교과서 편성이 제대로 되어 있지 못했다. 셋째, 교사들은 수준별로 집단을 나누어 관리해야 하는 어려움을 지니고 있었으며, 수준별 수업의 방법을 잘 모르고 있었다. 넷째, 교사들은 사회과 교실 같은 공간의 현실적인 지원이 있어야 수업을 제대로 할 수 있다고 보았다.
|
[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사회과 수업에서 수준별 교육과정이 제대로 시행되고 있는지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수준별 교육과정에 대한 개념과 사회과 교사들이 실제로 이해하고 있는 개념 간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수준별 수업을 현행의 사회 교과서를 활용하여 진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대다수 사회과 교사들은 현재 수업에서 수준별 수업을 실시하지 않고 있었을 뿐 아니라 실시할 필요성도 느끼지 못하고 있었다.",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학습 수요자인 학생들의 다양한 입장과 배려’라는 관점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교육적 원리가 도입되어 국가 정책적으로 ‘수준별 수업’이라는 형태를 제시하게 되었다. 학습 수요자의 능력이나 적성, 취미, 흥미를 반영한 수업을 전개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판단 하에 ‘수준별 교육과정’이라는 형태를 교육과정에 도입하기에 이르렀다. 교육과정의 개편 과정에 대한 김왕근의 견해에 의하면, 중앙 수준에서 교실 수준으로 하향되는 권력의 이행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은 끊임없는 해체의 반응을 보이게 된다고 한다. 수준별 교육과정 또한 이론이나 정책 수준에서 개별화 학습을 강조하면서 등장한 처방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처방이 교실 현장에 있는 교사에게 내려질 경우, 교사는 많은 실제적 문제에 직면하게 될 것이며, 이 과정에서 실제적 지식을 응용하여 복합적인 문제에 대응해 나간다고 한다. 이러한 교육과정의 설계 속에서 위로부터의 교육 개혁이 시도되었으며, 수업을 실시하는 교육 현장에서 수준별 수업이 구현되기를 희망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많은 준비와 유행적인 구호 속에서 등장한 수준별 교육과정과 그 실현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중․고등학교 사회과 수업을 대상으로 그 현황과 실태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해 사회과 수업에서 수준별 교육과정이 이루어지기 위한 개선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의 다양한 입장과 배려’라는 관점이 강조되는 교육적 원리가 도입되어 국가 정책적으로 ‘수준별 수업’이라는 형태를 제시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본 논문은 중·고등학교 사회과 수업을 대상으로 수준별 교육과정의 발현 양상을 살펴보고 사회과 수업에서 수준별 교육과정이 이루어지기 위한 개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
A201007091525
|
초등 교사의 사회과 수행평가 실행에 관한 사례 연구
|
paper
|
본 연구는 사회과 수행평가에 관한 초등 교사의 실행 과정을 밝힘으로써 현실 적합성을 충족하는 정책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첫째, 초등 교사들은 사회과교육의 측면에서 수행평가의 의미를 개념적으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둘째, 수행평가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사회과 교육과 관련해서 초등 교사들이 구체적으로 사용하는 방법과 전략은 무엇인가? 이며,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두 명의 초등 교사와의 심층 면담과 수업 관찰을 통한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채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사례 교사들은 수행평가에 대응하는 학습관과 발달주의적 평가관을 지니며, 학습과 평가의 관계가 동형적이고 재귀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제 수업에서의 실천은 그들의 인식과는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제 사회과 수업에서의 수행평가 실행은 교사의 개념적 인식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졌으며, 교사 나름대로의 전략을 가지고 복합적인 교육 현장의 문제에 대응해 나갔다. 즉, 사례 교사들은 현실적인 제약 속에서 수행평가 실행을 위해 수업을 준비계획하는 과정과 평가 전략과 방법을 고안하는 과정 그리고 척도 및 결과 처리 과정에서 그들의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며 대응해나가고 있었다. 이와 같이 사회과 수행평가 실행 과정에서 사례 교사들은 교육현장의 복합적인 문제에 대응하며, 여기에 일차적인 관심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수행평가에 관한 초등 교사의 실행 과정을 밝힘으로써 현실 적합성을 충족하는 정책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례 교사들은 수행평가에 대응하는 학습관과 발달주의적 평가관을 가지며, 평가와 학습의 관계가 동형적이고 재귀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제 수업에서의 실천은 그들의 인식과는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정책의 성패 여부는 정책의 취지나 정책 결정자의 의지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니라 정책의 수행자인 교사의 의지와 동의, 헌신 등에 달려있으며, 교사의 의지와 헌신은 개별자로서의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근원한다. 이와 관련해서 Baron & Boschee는 정책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정책의 수립 및 실행 단계에서 교사 및 교육관련 집단과의 상시적인 공동 협의’, ‘교사 및 지역 사회 구성원들의 믿음과 지역의 교육 문화 고려’, ‘교사의 실천적 지식과 이상(또는 이론)의 괴리에 대한 분석’ 등이 전제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결국 교육 정책의 성공 여부는 교사의 실천적 지식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교육 여건에 대응하는 수행평가 정책의 대안을 모색하는데 학교 현장에서의 수행평가 실행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추진되고 있는 수행평가 정책이 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초등 교사의 사회과 수행평가에 대한 인식과 실제 수업에서의 실행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교육 정책의 성공 여부는 교사의 실천적 지식과 관련되어 있으며 교육 여건에 대응하는 수행평가 정책의 대안 모색을 위해서는 학교 현장에서의 수행평가 실행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 교사의 사회과 수행평가에 대한 인식과 실제 수업에서의 실행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 |
A201007091529
|
수학과 교육내용 적정성에 대한 성별 인식 차이 분석
|
paper
|
수학교육에서 모든 학생들이 기회균등하게 교육 받을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남ㆍ녀 학생 간에 존재하는 성별 차이와 그 원인을 밝히고, 이를 해소시킬 수 있는 방안에 관심이 요구된다. 이 중에서 현행 학교교육에서 다루고 있는 수학적 내용에 대해 학생들이 느끼는 정도를 남ㆍ녀 학생별로 분석해 봄으로써, 남ㆍ녀 학생에게 균등한 학습기회를 제공하고 새로운 수학 교육과정의 마련을 위한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남ㆍ여 학생간의 수학과 교육내용에 관련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습량, 내용수준, 흥미도, 실용성 정도 등에 따라 초등학교 3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전체적으로 남학생과 여학생의 응답 결과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경우에는 난이도 측면에서 남학생보다 어렵다고 느끼는 비율이 높았으며, 흥미도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여학생들은 실생활에 대한 적용 가능성에 대해서도 남학생 응답 보다 부정적으로 반응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여학생에게도 친숙한 생활 소재 및 실생활 문제를 다루는 수학교육의 접근 방법에 대한 논의가 요구된다. 한편, 성차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을 발굴하기 위하여 학생 관찰, 면담 등의 방법을 통한 질적 접근을 통한 연구 방법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
[
"본 연구에서는 남녀 학생 간의 수학과 교육내용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습량, 흥미도, 실용성 정도, 내용수준 등에 따라 초등학교 3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여학생과 남학생의 응답 결과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일반적으로 수학에 대해 사회적 통념으로 받아들여지는 남·여 학생 간의 차이는 단순히 생물학적인 차이라기보다는 외부의 여러 요인에 의해 형성되고 증폭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이 중에서 사회문화적인 환경에서 주어지는 차별적 가치 문화와 행동유형 등은 성별 차이의 주요 요인이었다. 또한 여러 요인 중에는 외적인 요인과 더불어 학습자 스스로가 교과에 대해 가지고 있는 내적인 요인이 있다. 특히 수학 교과에 대하여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가치나 신념체계는 수학 문제해결의 중요한 요소이며, 수학 학습에도 많은 영향을 끼친다. 그러므로 수학학습에 큰 영향을 끼치는 수학에 대한 태도에 대해 남·여 학생 간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은 가치가 있다. 특히, 새로운 수학 교육과정의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학교에서 배우는 수학 교과의 양이 적절한지, 수학을 얼마나 어렵게 느끼고 있는지, 수학의 실용적 가치나 흥미 정도 등에 대한 문항을 바탕으로 현행 학교에서 다루고 있는 수학교육 내용이 적절한지를 남·여 학생별로 분석해 보는 것은 의의가 있을 것이다.",
"수학 교과에 대하여 개개인이 갖는 가치나 신념체계는 수학 문제해결의 중요한 요소이며, 학습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수학에 대한 태도의 남·여 학생 간 차이를 분석하는 것은 의의가 있다."
] |
A201007091581
|
실패의 경험 후 상향비교의 목표설정이 자기평가에 미치는 영향
|
paper
|
과제를 수행하여 실패를 경험하고 우수한 사람과 자신을 비교하는 상황에서 사회비교의 목표, 비교대상의 실패경험, 그리고 자신이 비교대상의 수행 수준에 도달할 가능성이 자기평가에 달리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설정하고 실험으로 검증하였다. 그리고 이 현상이 자신이 지닌 사회비교 동기의 충족 수준과 성공 기대가 달라지기 때문에 나타난다는 가설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가설로 제시한 삼원 상호작용이 지지되었다. 구체적으로 가설과 일관되게 개인이 실패를 경험한 상황이더라도 자기향상의 목표를 설정하면 상향비교 대상이 이전에 실패한 경험이 있거나 자신이 상향비교 대상 수준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은 조건에서, 상향비교 대상이 이전에 실패한 경험도 없고 도달가능성도 낮은 조건보다, 자기평가가 더 높았다. 또한 자기방어의 목표를 설정하면 상향비교 대상의 수준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은 조건에서 낮은 조건보다 자기평가가 더 높았다. 이 결과는 지금까지 연구의 결과가 일관되지 않았던 상향비교의 효과가 사회비교목표, 비교하는 대상의 실패경험, 그리고 자신의 성장가능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선행 연구(한덕웅, 1999, 2002; 한덕웅, 장은영, 2003a; 장은영, 한덕웅, 2004a)에서 제안한 사회비교의 자기조절 과정이론과 관련지어서 논의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과 장래 연구의 과제도 제안하였다.
|
[
"본 연구에서는 과제를 수행하여 실패를 경험하고 우수한 사람과 자신을 비교하는 상황에서 비교대상의 실패경험, 사회비교의 목표, 그리고 자신이 비교대상의 수행 수준에 도달할 가능성이 자기평가에 달리 영향을 끼친다는 가설을 설정하고 실험으로 검증했다. 아울러 이 현상이 자신이 지닌 사회비교 동기의 충족 수준과 성공 기대가 달라지기 때문에 나타난다는 가설도 검증하였다.",
"한국사회에서 문화적으로 사회비교의 압력이 높은데 특히 고등학교 이상의 학교교육에서 상향비교의 압력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이 과제의 수행에서 실패를 경험한 조건에서 상향비교가 자기평가에 순기능을 하거나 역기능을 하는 조건을 알아냈다. 이 때문에 본 연구에서 얻은 중요한 결과는 현실적으로 사회비교 과정을 관리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먼저 사회비교 과정에서 자기방어의 목표보다 자기항상의 목표를 설정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서 자신보다 우수한 사람과 비교함으로써 장차 자신도 상대만큼 우수하게 될 수 있다는 신념을 형성시키는 일이 중요하다. 다음으로 우수한 비교대상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개인이 만성적으로나 일시적으로 지니는 자기동기를 고려하여야 한다. 만성적으로나 일시적으로 자기향상의 동기가 높은 사람들에게는 우수한 비교대상으로 이전에 실패한 경험이 있었던 사람을 선정하게 되면 자기평가에 좋은 효과를 미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자기방어의 동기가 높은 사람들에게는 자신이 우수하나 사람의 수준에 도달할 수 있는 신념을 형성하는 일이 중요하고 비교대상의 실패경험은 자기평가에 큰 효과를 미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장차 이 시사점들은 만성적이거나 일시적으로 실패를 경험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사회비교의 경험을 통해서 자기평가를 개선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개인이 과제 수행에서 실패를 경험한 조건에서 상향비교가 자기평가에 순기능을 하거나 역기능을 하는 조건을 알아냈으며, 자기방어의 동기가 높은 사람들에게는 자신이 우수하나 사람의 수준에 도달할 수 있는 신념을 형성하는 일이 중요하고 비교대상의 실패경험은 자기평가에 큰 효과를 미치지 않음을 알아내었다."
] |
A201007091587
|
문화의 새로운 차원 ‘경직성과 유연성(Tightness-Looseness)’
|
paper
|
지금까지는 주로 개인주의-집합주의 차원에 근거하여 문화가 사회심리학적 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해 왔고, 그 밖의 문화적 차원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과 체계적인 연구는 매우 미미했다. 그러나 최근 들어 문화적으로 다양한 사회적 현상들을 이해하고자 할 때 새로운 차원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문화의 또 다른 차원인 경직성과 유연성(tightness-looseness)을 이론적으로 개관하여 사회 및 조직심리학 분야에서의 문화 이론을 확장하고자 한다. 이 때 문화의 경직성과 유연성은 특정 문화 내에서 규범이 명백하게 정의되고 신뢰롭게 집행되는지의 정도를 지칭한다(Pelto, 1968). 본 연구에서는 현대의 복잡한 사회에서의 문화적 경직성-유연성을 살펴보고, 인류학, 사회학, 심리학을 포함하는 다양한 학문을 통합할 수 있는 경제‧문화적 요인과 역사적 요인, 상황적 구조, 그리고 문화적 체계에서의 심리적 과정들 간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고려하는 다수준 이론(multilevel theory)에 따른 접근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문화의 경직성과 유연성에 대한 경험적인 자료들을 살펴보고 추후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
[
"본 연구에서는 문화의 또 다른 차원인 유연성과 경직성을 이론적으로 개관하여 조직 및 사회 심리학 분야에서의 문화 이론을 확장하고자 한다. 여기서, 문화의 유연성과 경직성이란 특정 문화 내에서 규범이 명백하게 정의되고 신뢰롭게 집행되는지의 정도를 뜻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의 또 다른 차원인 '경직성-유연성(tightness-looseness)'을 살펴봄으로써 사회 및 조직 심리학에서의 문화 이론을 확장하는데 있다. '경직성-유연성’은 특정 문화 내에서 규범이 명백하게 정의되고 신뢰롭게 집행되는지의 정도를 지칭한다. 이 구성개념의 이론적 형성은 인류학자인 Pelto(1968)로 거슬러 가는데, 그는 전통사회들이 사회적 규준을 고수하고 표현하는데 다양성이 있음을 발견했다. 그는 Pueblo 인디언과 Hutterite(후터파; 종교집단)들을 경직된(tight) 문화로 명명하면서, 이 두 사회 모두 규범이 엄격하게 정형화되어 있고, 구성원들은 이러한 규범을 지키도록 강하게 훈육되어 높은 규범 추종을 보인다고 평가했다. 반면에, 그는 타일랜드와 북부 핀란드의 Skolt Lapp족을 느슨한(loose) 문화라고 명명하면서 규범이 폭넓고 다양한 대안적인 방식을 통해 표현되며 규범 동조에 대한 훈육이 부재한다고 평가했다. 불행히도 Pelto(1968) 이후로 이러한 문화적 차원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나 이론이 거의 없다시피 하다가, 최근에 Triandis(1989, 1994)가 심리학 문헌에서 경직성-유연성을 다시 소개하면서 이 차원을 개인주의 집합주의 및 문화적 복잡성과 같은 차원들과 구분했다.",
"'경직성-유연성’은 특정 문화 내에서 규범이 명백하게 정의되고 집행되는지의 정도를 말하며, 본 연구에서는 문화의 또 다른 차원인 '경직성-유연성'을 살펴봄으로써 사회 및 조직 심리학에서의 문화 이론을 확장하고자 한다."
] |
A201007090737
|
적외선 열상표적 모사장치 개발
|
paper
|
본 논문에서는 자체적으로 개발된 항공기의 적외선 열상표적 시스템의 모델링, 설계, 성능시험 결과 등에 대하여 기술한다. 개발된 시스템은 적외선 형상과 강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서 적외선 형상과 방사되는 강도가 실물 항공기와 유사하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기술을 적용한 결과 완전가동 상태에서 실물항공기의 적외선열상 이미지와 같은 열상을 만드는데 오직 30kw 정도의 전력만을 소비됨을 확인하였다. 성능실행시험 후에는 표적적응유도시험, 유도조종 로직시험 등과 같은 성능평가시험 단계를 통하여 본 논문에서 개발된 적외선 열상표적을 휴대용 대공유도무기의 표적으로 실용화 하였다.
|
[
"본 논문에서는 적외선 강도와 형상을 제어할 수 있도록 개발된 항공기의 ‘적외선 열상표적 시스템’의 모델링과 설계 및 성능시험 결과 등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항공기 배기가스 온도와 동일한 적외선 신호 특성을 갖는 적외선 열선 표적을 제안하고 본 연구를 통하여 항공기 적외선 열상 표적을 최초로 개발하였다. 이러한 적외선 열상 표적을 개발하는 것은 원하는 대역인 중적외선을 최대로 방사하는 흑체를 설계하는 일로 귀착되며 열상을 위한 열원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많은 야외 실험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10개의 열원 제어 그룹만으로 항공기의 적외선 신호특성과 거의 유사한 형상의 적외선 열상 표적을 모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 제작된 적외선 열상 표적은 한국형 휴대용 유도탄(KreAM)의 비행시험 표적으로 사용하였으며 야외시험을 통하여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개발 제작된 적외선 열상 표적을 이용하여 얻어진 데이터는 유도탄의 체계개발 및 성능분석에 필요한 모든 자료를 취득할 수 있었고,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제작기술은 적외선 탐색기 및 영상탐색기 등을 사용하는 유사한 무기체계의 개발에도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열상 적외선 표적을 사용하면 항공기 및 열상의 표적을 필요로 하는 시험에 대하여 많은 비용 및 인력의 절감이 기대된다.",
"본 논문에서는 항공기 배기가스 온도와 동일한 적외선 신호 특성을 갖는 적외선 열선 표적을 제안하고, 항공기 적외선 열상 표적을 최초로 개발하였다. 이 제안열상 적외선 표적은 항공기 및 열상의 표적이 필요한 시험에 대하여 비용 및 인력을 절감할 수 있다."
] |
A201007090742
|
빌딩 출입 보안 시스템의 정보폭주 방지방법에 관한 연구
|
paper
|
일반적으로 출입자 정보는 보안서버에서 관리되며, 출입자가 출입카드를 카드리더에 접촉시킬 때 보안서버는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 후 출입허용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그런데 많은 출입자가 여러 출입문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카드리더에 출입카드를 근접시키면 정보폭주가 야기된다. 따라서 서버의 과부화로 인해 출입 지연이 생긴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폭주를 근본적으로 막을 수 있는 구역식별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
[
"동시다발적으로 카드리더에 출입카드를 근접시킬 때 야기되는 정보폭주를 막을 수 있는 ‘구역식별 알고리즘’을 제안했다.",
"본 논문에서는 전역IP를 사용하지 않고 사설IP를 사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전역 IP를 사용하는 빌딩 출입 보안 시스템은 사설IP 알고리즘에 보안 알고리즘을 강화함으로써 해결 할 수 있다. 보통 TCP/IP를 사용하는 경우 폭주로 인한 시스템 제어권 상실이 일어날 수 있다. 이 또한 다른 통신 방식에서도 폭주로 인한 시스템의 제어권을 상실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출입하고자 하는 사람이 출입문 센서GS(Gate sensor)에 출입자카드(IDentification Card)를 근접하면 출입자카드번호가 TCP를 통해 출입보안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출입 가능여부를 출입문제어장치 GC(Gate controller)에 알려 출입문을 개방(Open Gate)하게 된다. 만약 불특정다수가 같은 시간에 서로 다른 여러 개의 출입문센서인 GS에 출입자카드를 근접시켰을 경우 각각의 GS에서 동시에 출입 보안 서버에 TCP로 데이터를 보내게 된다. 이때 출입 보안 서버에 들어오는 데이터 순차대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그의 응답을 게이트 콘트롤러인 GC에 전송한후 다음 GS에서 들어온 데이터를 분석하여 들어온 GC에 재 응답을 보내게 된다.",
"TCP/IP를 사용하는 경우 폭주로 인한 시스템 제어권 상실이 일어날 수 있는데, 이는 다른 통신 방식에서도 폭주로 인한 시스템의 제어권을 상실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
A201007090748
|
컴퓨터 포렌식스를 지원하는 보안 감사/추적 모듈 설계
|
paper
|
현재 거의 모든 운영체제는 여러 웹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운영체제 수준의 보안성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부분에서 운영체제 수준의 보안성이 취약한 것이 사실이다. 특히, TCSEC(Trusted Computer System Evaluation Ceiteria)에서 정의한 B2 레벨 이상의 보안성을 만족시키기 위한 Security Kernel 레벨에서의 감사/추적 기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시스템 콜 호출시 감사 자료를 생성하고, 모든 이벤트에 대해 동일한 포맷의 감사 자료를 생성하여 추후 역추적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토록 한다. 본 논문에서는 안전한 증거 확보를 위하여 기존 리눅스 커널에 대해 변경 없이 적용 가능한 LKM(Loadable Kernel Module) 기법을 이용한 감사/추적 시스템 모듈을 제안하였다. 이는 침입탐지시스템과 같은 외부 감사 자료 등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시스템 관리자와 보안 관리자를 구분하여 역할기반의 안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자료등은 추후 법적 대응이 가능한 컴퓨터 포렌식스의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
"본 연구에서는 안전한 증거 확보를 위하여 기존 리눅스 커널에 대해 변경하지 않고도 적용 가능한 LKM(Loadable Kernel Module) 기법을 활용한 감사‧추적 시스템 모듈을 제안하였다. 이는 침입탐지시스템과 같은 외부 감사 자료 등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미국 등의 선진국에서는 현재 시스템 보안을 위한 안전한 운영체제에 대해 상당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각종 보안 서버 관리에 대한 표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의 경우, 신뢰성 컴퓨터 평가 기준 (TCSEC: Trusted Computer System Evaluation Criteria) Bl급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에서는 안전한 OS의 구현은 대부분 보안 커널(Security Kernel)로 구현하고 있으며, B2급 이상의 평가를 받은 컴퓨터 시스템에 대해서는 해외로 수출을 금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보안 커널 수준의 역할기반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여러 로그 파일을 보호하고, 이러한 안전한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마킹 기반의 IP 역추적을 통한 보안 감사/추적 모듈을 제안하였다. 수집된 증거 정보들은 제안된 보안 정책에 따라 생성되며, 무결성을 제공받는 증거 자료를 기반으로 제안된 IP 역추적 모듈을 이용하여 추적이 가능하다. 여기에 추후 침해사고 대응을 위한 컴퓨터 포렌식스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모듈의 개발 환경은 리눅스를 기반으로 하였고 클라이언트는 윈도우즈 계열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설계하였다.",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시스템 보안을 위한 운영체제에 대해 상당한 투자와, 보안 서버 관리에 대한 표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보안 커널 수준의 역할기반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로그 파일을 보호하고, 안전한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마킹 기반의 IP 역추적을 통한 보안 감사/추적 모듈을 제안하였다."
] |
A201007090753
|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한 모바일 소액결제 시스템의 인지적 특성 분석
|
paper
|
모바일 소액결제 서비스는 소액결제 시장에서 최근에 새롭게 등장한 혁신 기술이다. 다른 결제 수단들에 비해서 사용되기 시작한 기간은 얼마 되지 않았으나 인터넷 혹은 모바일 상의 수많은 온라인 기업들에 의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결제 수단이기도 하다. 하지만 전자결제와 관련한 기존의 연구들은 대개 결제 프로세스 그 자체에 많은 관심을 가져 왔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레 프로세스 자체의 보안성이나 견고함 등에 연구의 초점이 맞추어지게 되고 상대적으로 전자결제 서비스가 가지고 있어야 하는 사용자 편의성이나 효율성 등에 대해 행동과학 측면에서 접근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소액결제가 내재하고 있는 어떠한 특성요인이 서비스 사용자/비사용자의 판명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그 영향력의 크기와 함께 규명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Rogers 의 기술수용모델과 전자결제가 가지는 특성변수들을 함께 고려한 모형을 설계 하였다. 결과적으로 사용용이성(ease of use), 취득용이성(convenience), 관측성(observability)등이 사용자/비사용자 구분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며, 안전성(security)은 user status에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판명 되었다.
|
[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소액결제가 내재하고 있는 어떠한 특성요인이 서비스 사용자와 비사용자의 판명에 영향을 끼치는지를 그 영향력의 크기와 함께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Rogers 의 기술수용모델과 전자결제가 지니는 특성변수들을 동시에 고려한 모형을 설계하였다. ",
"현재까지 전자결제 서비스와 관련하여 나와 있는 관련 연구들을 보면 대부분 전자결제 서비스가 가지고 있는 기술적 문제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존재해 왔다. 따라서 수학이나 전산학적 관점에서 암호화 알고리즘이나 보안 메커니즘의 개선 등에 치우친 경향이 있다 보니 상대적으로 전자결제 서비스가 가지고 있어야 하는 사용자 편의성이나 효율성 등에 대해 행동과학 측면에서 접근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모바일 소액 결제 서비스를 전자결제 분야에서 새로이 등장한 하나의 혁신기술로 간주할 때, 혁신적인 신기술(New emerging technology)의 수용(adoption) 및 확산(decision)과 관련하여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대표적으로 Rogers가 혁신기술의 수용(adoption)에 영향을 미치는 5가지 특성으로 취득용이성(convenience), 수용성(compatibility), 사용용이성(ease of use), 실험성(trialability), 관측성 (observability) 을 꼽은 이래 많은 학자들이 인구통계학적 특성이나 심리학적 특성, 동기부여 측면에서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사용이 크게 늘어 보편화 추세에 있는 모바일 소액결제 서비스의 특성을 소비자들이 모바일 소액결제 서비스가 갖추고 있는 특성들에 대해 지각하는 인지적 요인 측면에서 살펴보고, 이들 요인들 중에 어떠한 것이 사용자들로 하여금 모바일 소액결제 서비스를 사용하게 하는데 영향을 미치는지, 영향을 미친다면 얼마만큼의 영향력을 가지는지를 규명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까지 전자결제 서비스 관련 연구들은 전자결제 서비스의 기술적 문제에만 집중해, 사용자 편의성이나 효율성 등에 대해 행동과학 측면에서 접근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모바일 소액결제 서비스의 특성을 소비자들이 모바일 소액결제 서비스의 특성에 대해 지각하는 인지적 요인 측면에서 살펴보고, 이 요인 중 어떠한 것이 사용자들의 모바일 소액결제 서비스를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 |
A201007090758
|
Neuro-Fuzzy를 이용한 이상 침입 탐지
|
paper
|
컴퓨터 네트워크의 확대 및 인터넷 이용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컴퓨터 보안문제가 중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침입자들로부터 위험을 줄이기 위해 침입탐지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기반의 이상 침입 탐지를 위하여 뉴로-퍼지 기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불확실성을 처리하는 퍼지 이론을 이상 침입 탐지영역에 도입하여 적용함으로써 오용 탐지의 한계성을 극복하여 알려지지 않은 침입 탐지를 하고자 한다.
|
[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기반의 이상 침입을 탐지할 목적으로 ‘뉴로-퍼지 기법’을 적용하였다.",
"최근의 정보통신 기반구조는 컴퓨터 시스템의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인터넷은 개방형 구조를 가지고 있어 서비스 품질의 보장과 네트워크의 관리가 어렵고, 기반구조의 취약성으로 인하여 타인으로부터의 해킹 및 정보유출 등의 위협으로부터 노출되어있다. 불법 및 고의로 네트워크를 통한 컴퓨터 시스템에 접근하여 피해를 야기하는 문제에 대해 침입 차단, 인증 그리고 접근제어 등의 다양한 방법이 제공되고 있지만 역부족 상태이다. 보안 위협에 대한 능동적인 대처 및 침입 이후에 동일한 또는 유사한 유형의 사건 발생에 대해 실시간의 대응 할 수 있는 방법이 중요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해결책으로서 침임 탐지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침입 탐지 시스템은 단순한 접근 제어 기능을 넘어서 침입 패턴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전문가 시스템을 사용해 네트워크나 컴퓨터 시스템의 사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침입을 탐지하는 보안 시스템이다. 침입 탐지 기법은 크게 비정상적인 침입탐지 기법과 오용침입탐지 기법으로 나눌 수 있다. 오용 탐지는 알려진 침입 방법들을 수집하여 지식 베이스에 유지하고 동일한 침입 유형을 지식 베이스 검색을 통한 비교에 의해 침입을 탐지하는 방법이다.",
"침입 탐지 시스템은 침입 패턴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전문가 시스템을 사용해 네트워크나 컴퓨터 시스템의 사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침입을 탐지하는 보안 시스템이며, 크게 비정상적인 침입탐지 기법과 오용침입탐지 기법으로 나눌 수 있다."
] |
A201007090763
|
부정적 정서로 유발된 섭식동기척도의 개발
|
paper
|
이 척도의 총 문항수는 12개이며, 전국 8개 대학의 여학생 609명을 대상으로 이 척도의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고 타당화를 하였다. 그 결과 신뢰도는 Cronbach α=.97로 아주 만족스러웠다. 구성개념타당화를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단일요인이 추출되었으며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여 대체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어(CFI=.891, GFI=.746, TLI= .866, NFI= .880)구성개념의 교차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이 척도의 준거관련 및 변별 타당화를 위해서 폭식행동 척도, 부정적 정서척도, 섭식억제척도의 정서차원과 상관을 산출 한 결과 폭식행동과 r=.31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나 섭식억제척도의 정서차원과 r=.07로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이런 결과는 NEIEMS가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임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
[
"연구성 개념 타당화를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단일요인이 추출되었으며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해 대체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도출해냄으로써 구성개념의 교차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슬플 때, 섭식이 증가한다는 다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하지 않는 결과는 정서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섭식하는 경향(emotion _xFFFE_congruent modulation of eating)을 나타내는 것으로 정서가 유발하는 섭식 변화의 두 가지 방향, 즉, 정서적으로 도구화된 섭식 (emotionally instrumental eating)과 정서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섭식하는 경향(emotion-congruent modulation of eating)이 있다는 것에 관한 지지를 제공한다. 이상의 연구들에서 정서, 특히 부정적 정서가 섭식 행동과 관련된 중요한 심리적 변인임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부정적 정서를 조절하기 위한 도구로 섭식을 이용함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정적 정서와 섭식행동 간의 직접접인 관계를 측정하는 단일한 도구는 거의 없다. Arnow, Kenardy 및 Agras(1995)가 부정적 정서와 과식 행동간의 관계를 측정하기 위해서 신경성폭식증환자를 대상으로 정서섭식척도(Emotional Eating Scale : EES)를 개발하였다. 이 척도는 5점 척도에서 반응하도록 되어있는 25개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분노/좌절, 불안 우울의 하위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척도는 정상인 집단에서 부정적 정서에 따른 섭식행동을 측정하지 않고 규준도 제시 않고 있다.",
"기존 연구들을 통해 정서, 특히 부정적 정서가 섭식 행동과 관련된 중요한 심리적 변인이며, 특히 부정적 정서를 조절하기 위한 도구로 섭식을 이용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부정적 정서와 섭식행동의 직접접인 관계를 측정하는 단일한 도구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 |
A201007090768
|
조선시대 부패방지책에 대한 철학적 검토와 그 현대적 수용
|
paper
|
우리나라 정치 사회에서는 부정부패의 행태가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이로 말미암은 정신적 물질적 피해 또한 이루 말할 수 없을 지경이다. 그 중심에 있는 것이 공직 부패문제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공직자윤리법」「부패방지법」을 비롯한 여러 법률을 제정 시행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부패 행위는 줄어들지 않는다. 법치의 외재적 방법으로는 근절될 수 없다는 한계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을 주목하면서 특히 내재적 측면의 방책이 긴요한 것임을 제기하였다. 여기서는 ‘다른 사람이 보지 않는다 하더라도 부패행위는 할 수 없다.’는 자기 관리능력을 함양하게 함으로써 결국 부패 근절의 차원에 이를 수 있을 것이라는 논리가 가능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는 하나의 이상론이 아니라 우리의 과거에서 확인되는 실제적 내용이었다. 그 가까운 과거가 곧 ‘조선시대’이다. 조선조 5백년의 문인정치에서는 부패 예방을 위하여 다방면의 입체적인 시스템이 가동되고 있었다. ‘유교’라는 정치문화를 배경으로 출발한 조선왕조에서는 태조의 첫 시정교서에서부터 전인민에게 도덕적 삶을 강조하고 있었다. 또 그것은 교육과 등용 및 상벌의 기준으로 작용하였다. 그리고 공직자의 길에 나아가는 교과과정에서는 인간 본연의 심성 함양문제에서부터 애국충성의 공직의식 정립문제에 이르기까지의 제반 내용들이 심층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었으며, 그것은 각종의 과거시험과 근무평가 및 상벌의 중심에서 부단히 지향되었다. 그리하여 공직자로 하여금 탐욕의 검은 마음을 버리고 청렴결백의 밝은 마음을 견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禮義廉恥의 四維가 강조되고 懲忿窒欲의 심성함양이 중시되었던 것은 그와 성격을 같이하는 것이다. 조선시대에는 그와 같은 내적 측면에 병행하여 외적 측면 또한 엄정하였으니, 부패를 낳기 쉬운 관리들에게는 처음부터 만남의 대상을 제한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공개비공개의 감찰활동을 전개하여 贓吏와 淸白吏의 평가를 낳게 하였고, 또 장리에게는 사형 다음의 형벌과 자손 금고의 연좌죄를 적용하여 그 척결의지를 분명히 하였다. 그와 같이 안팎으로 전개된 반부패 예방과 근절의 요체는 오늘의 부패 척결운동에 있어서 적지 않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고 본다. 특히 부패 추방의 관점을 행위 이전의 측면에서부터 견지하고 있었다는 사실과, 見利思義의 가치관을 사회구성원 모두의 공동가치로 심화시켜 나아갔던 점, 그리고 공직자에 대한 평가와 상벌의 제도가 매우 효과적으로 추구되었던 점 등은 그 핵심 내용이다.
|
[
"국내 정치 사회에서는 부정부패의 행태가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이로 말미암은 물질적, 정신적 피해 또한 이루 말할 수 없을 지경이다. 그 중심에 있는 것이 공직 부패문제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공직자윤리법」, 「부패방지법」을 비롯한 여러 법률을 제정‧시행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부패 행위는 줄어들지 않는 게 현실이다. 법치의 외재적 방법으로는 근절될 수 없다는 한계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면서 특히 내재적 측면의 방책이 긴요한 것임을 역설하였다. ",
"부패 행위는 분명 제도나 법령의 미비함에서 비롯한 현상만은 아니다. 또한 무지함의 소치라고도 볼 수 없다. 그것은 ‘見物生心’에서 ‘見利思義’로 나아가는 가치관이 상실된 채, ‘아는 것’과 ‘행동하는 것’의 이원화 현상에서 비롯하는 것임을 간과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부패 행위에 대하여 ‘도덕적 불감증’이라는 말은 곧잘 하면서도 그 불감증을 치유하기 위한 깊은 고민은 하려하지 않는다. 하지만 조선시대의 경우는 이와 달랐다. 당시의 사회에서도 오늘날 못지않게 부패방지의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 대응책은 개인의 내면세계에 이르기까지 더욱 심도 있게, 그리고 교화와 행정이 입체적으로 강구되고 있었다. 그로 말미암아 조선왕조는 5백년 문민의 긴 역사를 가질 수 있었던 것이다. ‘절대 권력은 절대부패’라는 말에 비추어 보면, 조선왕조 5백년은 쉽게 이해될 수 없다. 조선시대에는 도덕적 공직자를 향한 학습내용에서부터 근무평가와 감찰제도에 이르기까지 반부패의 요소들이 다각적으로 부단히 지향되고 있었던 것이다. 거기에는 부패 추방의 기본이 되는 이른바 ‘사회 문화적 시스템’이 작동하고 있었던 것이다. 여기서는 이러한 사실을 자세히 살펴보면서 오늘날에도 효력을 가질 수 있는 반부패의 적극적 요인은 무엇인가 그리고 그 수용은 어떻게 가능한가 하는 문제를 다루어 보기로 한다.",
"조선시대에는 도덕적 공직자를 향한 학습내용에서부터 근무평가와 감찰제도에 이르기까지 반부패의 요소들을 다각적으로 부단히 지향하고 있었다. 거기에는 부패 추방의 기본인 ‘사회 문화적 시스템’이 작동하고 있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사실을 자세히 살펴보고 오늘날에도 효력을 가질 수 있는 반부패의 적극적 요인은 무엇이며 그 수용은 어떻게 가능한가 하는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 |
A201007090773
|
세계화 시대의 민주시민교육 정립 과제
|
paper
|
신자유주의를 기치로 하는 세계화와 글로벌 자본주의, 그리고 지식과 정보 혁명 등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 21세기는 풍요와 위기라는 양면성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 그 동안 우리에게 물질적인 풍요로움을 가져다 준 과학기술의 발달과 정보화는 이제 인간성의 상실과 궤를 함께 하는 동시적인 현상으로 다가서고 있다. 따라서 도덕성의 함양과 민주 시민성의 육성 및 세계윤리의 정립 등을 위한 민주시민교육의 기능과 역할은 어느 때보다도 더욱 강조되어야 한다. 도덕성을 함양하여 학생들을 인격체로 만들고, 민주시민의 자질 및 전인적 능력을 계발해 궁극적으로 자아실현으로 이르게 하는 민주시민교육은 교육의 본질적 측면이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아무리 원칙과 가치에 대한 우리의 일반적인 사유가 위기에 봉착해 있다고 하더라도, 인간이면 누구나 자신의 판단이나 행동이 지니는 의미나 정당화에 대해 어떤 이해를 가져야만 한다. 민주시민교육은 그러한 인간을 육성하는 일과 깊은 관련을 갖는데, 학생들이 세계화 시대에 알 맞는 시민능력을 갖도록 특별히 교육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민주시민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사회문화를 올바로 이해하고 참여하는 방법을 학습하게 하는 과정이 되어야 한다. 그러한 민주시민교육을 받음으로써 학생들은 사회현상과 세계사적 변화를 올바로 이해할 수 있는 지적 안목을 지니게 되어 도덕적사회적 인간으로서의 자아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우리는 민주시민교육을 통해 사회 변화와 개혁의 비전을 끊임없이 모색하고,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민주시민교육을 통해 젊은 세대의 에너지가 국가 사회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쓰여지도록 보다 성숙된 시민의식을 함양하는데 역점을 두어야 한다. 특히, 세계화 시대의 민주시민교육은 모든 것을 상품 가치로 환원하는 세계화가 아니라, 삶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공존의 윤리를 추구하는 세계윤리의 정립을 목표로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현재 유엔의 기능과 역할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앞으로는 유엔의 권능이 세계윤리로 대체되어야 할 것이다. 세계윤리의 정립과 관련하여, 개인 간에는 자유와 정의, 합리성과 동정심, 준법성과 시민성, 권리와 책임 등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며, 국가 간에는 참여와 정당성, 신뢰성, 화해 등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
[
"신자유주의를 기치로 하는 세계화와 글로벌 자본주의, 그리고 지식과 정보 혁명 등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 21세기는 ‘풍요’와 ‘위기’라는 양면성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 그동안 우리에게 물질적인 풍요로움을 안겨준 정보화와 과학기술의 발달은 이제 인간성의 상실과 궤를 함께 하는 동시적인 현상으로 다가서고 있다. 그러므로 도덕성의 함양과 민주 시민성의 육성 및 세계윤리의 정립 등을 위한 민주시민교육의 역할과 기능은 그 어느 때보다도 더욱 강조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지식기반 정보화 시대에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등 모든 측면에서 젊은 세대의 발언권이 점차 강화될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우리는 민주시민교육을 통해 젊은 세대의 감성적 지성(emotional intelligence)을 함양하는데 역점을 두어 야 한다. 특히 세계화 시대의 민주시민교육 정립과 관련하여, 개인적인 차원에서는 자유와 정의, 합리성과 동정심, 준법성과 시민성, 권리와 책임 등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며, 국가간에는 참여와 정당성, 신뢰성, 화해 등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인류는 21세기의 시작과 더불어 정보화 혁명이라는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였다. 그러나 문제는 인류에게 물질적인 풍요로움을 가져다 준 과학기술과 정보통신의 발달, 그리고 세계화의 물결이 인간성의 상실과 궤를 함께 하는 동시적인 현상으로 다가서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세계화 시대의 민주시민교육은 모든 것을 상품 가치로 환원하는 세계화가 아니라, 삶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공존의 윤리를 모색하는 세계화에 역점을 두어야 한다. 또한 오늘날 유엔의 기능과 역할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이제는 유엔의 권능이 세계윤리로 대체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여기에서는 주로 도덕성 함양과 민주 시민성 육성 및 세계윤리의 정립 등을 위한 민주시민교육의 역할과 과제에 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세계화 시대의 민주시민교육은 모든 것을 상품 가치로 환원하는 세계화가 아닌, 삶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공존의 윤리를 모색하는 세계화에 역점을 두어야 하며, 유엔의 기능과 역할에는 한계를 넘기 위해 유엔의 권능을 세계윤리로 대체해야 한다."
] |
A201007090777
|
한국판 취학전 아동용 사회적 기술 척도(K-SSRS: 교사평정용, 부모평정용)의 타당화 연구
|
paper
|
본 연구는 Grasham과 Elliot(1990)의 취학전 아동용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Social Skill Rating System for preschool level, SSRS)를 우리나라 유아들을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타당화 작업을 실시하였다. 취학전 아동용 SSRS는 교사평정용과 부모평정용 2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SSRS를 전문가와 협의번안하여 대구, 포항, 울산지역의 5세와 6세 유아를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요인구조를 통한 구인타당도 결과, K-SSRS의 교사평정용은 3가지 요인으로 21문항이 추출되었다. K-SSRS의 부모평정용은 4가지 요인으로 32문항이 추출되었다. K-SSRS의 교사평정용의 신뢰도는 .88, 부모평정용은 .83이었다. 그리고, 교사평정용과 부모평정용의 상관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기존에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사용된 McGinnis와 Goldstein(1990)의 친사회적 행동척도와 K-SSRS: 교사평정용과 부모평정용 간에도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 공인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가정과 학교에서 K-SSRS를 이용해 유아의 사회적 기술이 다각적인 차원에서 평가되었으면 한다.
|
[
"본 연구는 Grasham과 Elliot의 취학 전 아동용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를 국내 유아들을 대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타당화 작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와 가정에서 K-SSRS를 이용해 유아의 사회적 기술이 다각적인 차원에서 평가되었으면 한다.",
"SSRS는 사회적 기술 자체에 초점을 두고 개발된 척도이기 때문에 사회적 기술이라는 단일 요인으로서만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기술을 구성하는 하위 영역을 통해 구체적인 기술 영역들간의 비교를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취학 전 아동용, 아동용, 중등학생의 교사평정 척도는 협력성, 주장성, 자기통제의 3가지 하위영역으로 되어 있으며, 부모평정용은 협력성, 주장성, 책임성, 자기통제의 4가지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동용과 중등학생의 학생용 척도는 협동성, 주장성, 공감, 자기통제로 되어 있다. 그러나, SSRS가 미국에서 표준화되었더라도 이를 우리나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문화적인 차이가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주장성의 경우 서양과 동양에서 지각되는 수준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또한 문항 중에 타당하지 않은 내용이 포함되었을 수도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문성원(2002, 2003)은 우리나라 대학생과 중고생에게 적용할 수 있는 K-SSRS에 대한 표준화 작업을 하였다. 문성원의 연구로 인해 우리나라 청소년의 사회적 기술을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를 마련되었다는 점은 의의가 있다.",
"SSRS는 사회적 기술 자체에 초점을 두고 개발된 척도이기 때문에 사회적 기술을 구성하는 하위영역을 통해 구체적인 기술 영역 간의 비교가 가능하다. 그러나 SSRS가 미국에서 표준화되었더라도 우리나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문화적인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
] |
A201007090781
|
한훤당 김굉필의 도덕론 고찰
|
paper
|
본고는 조선전기의 성리학자인 한훤당 김굉필의 도덕론을 고찰하였다. 그는 근엄한 자세로 스승 김종직 보다 더욱 더 유학에 파고 들어가 성리학의 이론보다 실천에 더욱 힘을 쏟았다. 유학의 근본 목적인 수기치인에 관련된 성리학적 의리를 이전의 어느 때 보다 실천하려 하였고 도덕교육에 대해서도 신성한 사명을 지니고 가는 곳마다 학교를 일으켜 유학과 문교를 흥기시키고 조광조, 김안국 등의 학자를 길러내었다. 15세기 후반 들어 성리학적 의리와 도덕을 실제 구현하려는 정신이 이전의 어느 때보다도 강하였으므로 이때에 이르러서 비로소 성리학의 도학화가 뿌리 내렸다. 수기 위주의 도학정신이 이 당시 소학의 중시로 드러났고, 치인 위주의 도학정신이 지치주의 운동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도학정신의 구현을 담당한 것이 사림들이고 그 의리와 도덕의 역행실천자로서 중심인물이 바로 김굉필이었다. 그는 도학과 그에 따르는 도덕의 실천자로서 도덕교육을 실현시켜야 한다는 자임의식으로 그에 의해 도학과 그에 따르는 도덕교육이 비로소 조선사회에 정착하였고 사화라는 커다란 피해를 입고서도 조선중기 이후 정치주도세력으로 자리 잡는 데 지대한 역할을 하면서 도덕적으로 실천하였다. 그는 성리학의 실천철학인 도학을 강조하였고 그것의 도덕적 실천은 『소학』의 중시로 나타났다. 김굉필의 학문 활동은 대체로 도학적 원리의 구명과 도덕적 실천적 가치의 구현에 편중되었다. 그는 특히 도덕교육에 대한 열의가 가득하였다. 『소학』은 고려 말에 전래되어 교화의 바탕이 되었으며 조선 왕조가 교육을 위하여 법제적으로 강요하였으나, 문장에 치중해 실천에는 실효를 거두지 못하였다. 이후 15세기 말에 김굉필에 이르러서 비로소 『소학』의 실천궁행과 학문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김굉필은 『소학』을 생활 철학으로 삼아 실천함으로써 도학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의 도덕론의 일단은「추호가병어태산부」, 「한빙계」 등에서 살펴 볼 수 있다. 「추호가병어태산부」에서는 세상 사람들이 근본을 버리고 말단을 쫓는 것을 경계한 것으로 대롱 속으로 하늘을 보며 송곳으로 땅을 가리키는 우둔함을 버리고 시시비비를 초월한 정신으로 인륜도덕의 질서를 바로 잡으려는 의지를 드러내었다. 「한빙계」는 옥계 반우형이 김굉필에게 가르침을 청한데 대해 수기와 접물의 방법을 써준 것으로 그의 소학적 도덕정신을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이다. 「한빙계」의 조목들에는 다스림의 행동에 앞서 수기의 행동이 먼저 이루어 져야 한다는 그의 생각이 담겨져 있다. 『소학』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수행자적 고통이 따른다. 김굉필은 소학적 실천을 철저히 실천함으로써, 당시 이론에만 치우치기 쉬운『소학』교육을 위기지학의 차원으로 이끌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김굉필은 『소학』교육의 중요성을 의식하였다는 점에서, 도덕의 기본자세를 확립한 사표로서 길이 빛난다.
|
[
"본 논문에서는 조선전기의 성리학자인 한훤당 김굉필의 도덕론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는 진중한 자세로 스승 김종직 보다 더 유학에 깊이 파고 들어 성리학의 이론보다는 실천에 더 힘을 쏟았다. 유학의 근본 목적인 수기치인에 관련된 성리학적 의리를 이전의 어느 때보다 실천하려 애썼고 도덕교육에 대해서도 신성한 사명감을 가지고, 가는 곳마다 학교를 일으켜 유학과 문교를 흥기시키고 김안국, 조광조 등의 학자를 길러냈다. 15세기 후반에 접어들어 성리학적 도덕과 의리를 실제 구현하려는 정신이 이전의 어느 때보다도 강하였으므로 이때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성리학의 도학화가 뿌리 내렸다. 수기 위주의 도학정신이 이 당시 소학의 중시로 나타났고, 치인 위주의 도학정신이 지치주의 운동으로 드러나게 되었다.",
"이상에서 김굉필의 도덕적 삶과 도덕론을 살펴보았다. 그는 일찍이 지지당 김맹성에게 사사하였으며 점필재 김종직의 문하에 들어가 정여창과 더불어 도학적 학문과 그 도덕적 실천으로 이름높았다. 도학이란 목숨걸고 행할 수 있는 진리를 찾아 그것에 헌신적으로 종사함으로서 이 세상에 질서를 확립하고자 했던 행동철학이자 일종의 도덕학이다. 그러므로 도학은 사대부들에게 대의를 위해 살신성인의 순교자적 자세를 취하는데 강력한 힘을 발휘 하게 하였다. 유교의 종교적 성격은 바로 도학에서 나온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성리학의 도통의식이 정몽주와 길재를 각각 1, 2조로 할 정도로 절의(의리)와 도덕을 중시하였고 15세기 후반 들어 성리학의 이론을 갖춘 사림들은 유학의 근본 목적인 修己治人에 관련된 성리학적 의리와 도덕을 이전의 어느 때 보다도 적극 실천하려 하였다. 성리학적 의리와 도덕을 실제 구현하려는 정신이 이전의 어느 때보다도 강하였으므로 이때에 이르러서 비로소 성리학의 도학화가 뿌리 내렸다고 할 수 있다.",
"김굉필은 정여창과 더불어 도학적 학문과 그 실천으로 이름 높았다. 여기서 도학이란 진리를 찾아 그것에 헌신적으로 종사하여 질서를 확립하고자 했던 행동철학이자 일종의 도덕학이다. 그러므로 도학은 사대부들에게 대의를 위해 살신성인의 순교자적 자세를 취하는데 강력한 힘을 발휘하였다."
] |
A201007090786
|
GeoVRML을 이용한 3차원 GIS의 구현에 관한 연구
|
paper
|
본 연구에서는 GeoVRML 기술을 이용하여 지형 자료를 3차원 GIS로 구축하고 이를 인터넷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첫째, 기존의 2차원시각화 중심인 GIS 시스템에 비하여 3차원 실세계와 유사한 공간정보를 처리할 수 있으며, 3차원 시각화를구현하여 실질적인 공간 정보 분석에 유용하다. 둘째, 기존의 정적인 지도 시각화 표현 방식에 비하여 지리정유연한 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셋째, 3차원 GIS는 3차원 가상 현실 공간 모델링을 통하여 토지, 군사, 환경, 도시 계획, 시설물 관리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공간 분석과 자료의 탐색이 가능하다.
|
[
"본 연구는 GeoVRML 기술을 활용하여 지형 자료를 3차원 GIS로 구축하고 이를 인터넷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통적인 GIS가 독자적인 시스템(standalone system)환경으로 방대한 자료를 관리하거나 자료를 공유하는데 어려움을 겪은 데 비해 인터넷 GIS는 초고속 통신망을 이용하여 대용량의 자료를 쉽게 공유하고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아주 빠르게 확산되고 있어 향후 GIS의 주축을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인터넷 GIS는 특정 전문가만 사용하는 도구이던 GIS를 일반인들이 인터넷을 통하여 공간 자료를 검색하고 분석하고 일상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도구로 변화시키고 있다. 인터넷 GIS 환경에서 지리정보의 3차원 시각화는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환경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2차원적인 시각화에서 잘 나타나지 않는 공간적 변이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어 효율적인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중요한 연구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3차원 GIS를 인터넷 환경에서 구축하는 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최근의 3차원 GIS 연구와 인터넷 환경의 3차원 시각화 기술의 특성을 정리하고, GeoVRML을 이용하여 지형과 같은 공간 정보를 지도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거제도를 사례 지역으로 인터넷 환경에서 3차원적인 형태로 효과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는 방안을 실험하고자 한다.",
"인터넷 GIS 환경에서 지리정보의 3차원 시각화는 가상 현실 환경을 제공하며, 공간적 변이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어 중요한 연구과제이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GeoVRML을 이용하여 지형과 같은 공간 정보를 지도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거제도를 사례 지역으로 인터넷 환경에서 3차원적인 형태로 효과적으로 시각화하는 방안을 실험하고자 한다."
] |
A201007090794
|
플로베르와 동양 : 외적 여정에서 내적 여정으로
|
paper
|
초록이 무성한 들판과 황량한 사막이 동시에 눈 앞에 펼쳐져 있는 풍경, 결코 어울릴 수 없는 상반되는 것들, 즉 질서와 혼돈, 문명과 원시가 공존하는 기이한 풍경에서 그는 경이로움과 감동을 느꼈다. 그런데 대조적인 것들이 함께, 나란히 있는 모습은 자연에서만 볼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시체와 레몬나무”, “썩는 냄새”와 창녀의 “향내 나는 살 냄새”, 당당하게 드러내는 더러움, 점잖은 외설스러움... 언제, 어디에서나 볼 수 있었다. 플로베르는 바로 여기에서 진정한 동양을 보았다고 생각한다. “내가 동양에서 좋아하는 것은 (...) 알지 못했던 이 장엄함, 어울리지 않는 것들의 이 어울림이다. 왼 팔에 은팔찌를 끼고 다른 쪽에는 폭약을 쥐고 있던 해수욕객과 장식이 달리고, 이가 들끓는 누더기를 걸친 불량배들이 생각난다. (...) 이게 바로 진짜, 따라서 서정적인 동양이다” 그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것들”이 어울려 있는 이 생소한 풍경에서 충격적일만큼 강한 인상을 받았고, “장엄 grandeur”하다고 하였는데, 왜냐하면 거기에서 그가 생각하는 미의 본질을 보았기 때문이다. 즉 “모든 아름다움은 비극과 희극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자신의 생각이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는 현장을 목격한 것이다. 아름다운 것과 추한 것이 함께 있는 데에서 미와 추는 서로 대립되는 개념이 아니라, 전체라는 관점에서 보면 조화와 균형을 이룬다는 것을 보았다. 거기에서 서로 어울리지 않는 것, 이질적인 것까지 구별 없이 포용하는 ‘통합synthése’을 본 것이다. 『마담 보바리』에서 엠마가 레옹과 함께 유모집으로 가고 있다. “그녀는 그에게 몸을 기대고, 그는 그녀에게 맞추려고 걸음을 늦추면서 두 사람은 나란히 서서 천천히 걸어갔다. 그들 앞에는 파리 떼가 무더운 대기 속에서 윙윙대며 날고 있었다.” 두 사람이 처음으로 둘만이 함께 하는 순간이다. 그들은 서로에게 호감을 갖고 있고, 여름 낮, 숲의 오솔길에는 온갖 꽃들이 활짝 피어 있다. 당연히 감미롭고 낭만적인 풍경이 전개되어야 한다. 낭만주의는 자연에 감정을 개입시킴으로써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였다. 순수하고 사실적인 모습이 아니라 인물의 자아 혹은 심정, 영혼의 상태가 투영된 주관적인 자연을 등장시킨 것이다. 따라서 이때의 전원은 두 사람의 감정과 조화를 이루며 서정적이고 아름답게 그려져야 할 것이다. 그런데 플로베르는 난데없이 “파리 떼”를 언급한다. 또한 엠마와 레옹이 지나는 길에는 갖가지 야생화뿐만 아니라 “거름 더미”도 함께 보인다. 왜냐하면 그것이 농촌의 진짜 모습이기 때문이다. 그가 동양에서 보았던 세계, 즉 고상한 것과 천박한 것, “비극과 희극”, ‘숭고함sublime’과 ‘그로테스크grotesque’, “어울리지 않는 것들”이 한데 어울려 있는 ‘조화로운’ 세계를 그리려는 것이다. 그래서 플로베르의 자연에는 꽃과 잡초, 거름, “파리 떼”처럼 아름다운 것과 추한 것, 깨끗한 것과 더러운 것이 함께 있다. 『살랑보』 역시 문명과 야만, 성과 속, 고상한 것과 저급한 것 등 상반되는 것들이 강렬하게 충돌하며 공존하는 세계이다. 플로베르는 동양에서 가장 동양적이라고 생각하였던 것, 이질적인 것들로 균형과 조화를 이룬 ‘완전한’ 세계를 소설에서 시도하고 있는 것이다.
|
[
"“시체와 레몬나무”, “썩는 냄새”와 창녀의 “향내 나는 살 냄새”, 당당하게 드러내는 더러움, 점잖은 외설스러움... 언제, 어디에서나 볼 수 있었다. 플로베르는 바로 이 지점에서 진정한 동양을 보았다고 생각한다. 그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것들”이 한데 어울려 있는 이 낯선 풍경에서 충격적일만큼 강한 인상을 받았고, “장엄 grandeur”하다고 하였는데, 그 이유는 거기에서 그가 생각하는 미의 본질을 보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모든 아름다움은 희극과 비극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자신의 생각이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는 현장을 목격한 것이다. 아름다운 것과 추한 것이 함께 있는 데에서 미와 추는 서로 대립되는 개념이 아닌 전체라는 관점에서 보면 균형과 조화를 이룬다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플로베르의 동양은 책과 공상에서 시작되었다. 초기 글에 나타난 동양은 주로 기이하고 독특한 볼거리, 즉 이국정취를 위주로 하고 있는데 이는 낭만주의 문학에 그려진 동양을 답습한 것이다. 그런데 동양여행은 동양뿐만 아니라 그의 사고 전체에 영향을 미쳐 이후의 작품에 깊은 흔적을 남기게 된다. 장 브뤼노의 지적대로 “몽상에서 시작된 동양은 그에게 가장 생각나는 곳, 세상에 대한 명상의 주요한 근원이 되었다.” 그래서 동양여행은 그의 문학과 생에서 각별한 의미를 갖는다. 여행을 기점으로 그는 낭만적 감수성과 격정으로 글을 썼던 행복한 시절과 결별하게 된다. 그의 안에 있는 상반된 두 기질 중에서 “서정적이고, 문장의 울림과 몽상의 극치”를 좋아하는 쪽이 극복되고, “진실을 파헤치고 사소한 것을 부각시키기” 좋아하는 쪽이 마침내 승리하는 것이다. 통찰력을 갖고 새로운 것을 보고, 느끼고, 깊이 생각한 결과이다. 이후부터 그는 엄청난 자료와 객관적 사실을 바탕으로 자신의 생각을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고통스럽게 글쓰기를 하게 된다. 그러므로 동양여행은 플로베르가 “플로베르”로 되기 위한 통과의례였던 셈이다.",
"플로베르의 동양여행은 그의 문학과 삶에서 각별한 의미를 가진다. 여행을 기점으로 그는 낭만적 감수성과 격정으로 글을 썼던 시절과 결별하고, 엄청난 자료와 객관적 사실을 바탕으로 자신의 생각을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한 글쓰기를 하게 된다. 즉, 동양여행은 플로베르가 “플로베르”로 되기 위한 통과의례였던 셈이다."
] |
A201007090796
|
안산시 지하수에 대한 특성과 인자분석
|
paper
|
안산시는 산업화·공업화로 급신장한 도시 중의 하나이다. 도시의 팽창에 따른 지하수의 특성도 변화계가 있는 수질을 선택해서 안산시의 수질에 대한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Na, Mg, Sr TDS,EC, Cl 등은 서로 정의 상관이 높으며, K도 Mg, Ca 등과 유사한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Ca은 TDS, EC 등과는 매우 높은 상관을 보여주고 있으며 음이온인 F와 Cl-, NO3-, SO4-2 등은 주요 양이온들과 정의 상관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Sr은 주요 양이온과 음이온인 황산이온과 중탄산염 등과 정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Bi과Mo, W, Zn 등은 다른 항목과 상관이 적은 경향이 있다. 군집분석 결과 3개의 그룹화가 유도되었으며 제 1그3-가 비교적 높은 지점, 제 3그룹은 대부분 성분이 높은 지점으로 나타났다. 인자분석에서는 네 개의 인자가 추출되었으며 고유치는 14.34로 변동설명량이 75.58%로 나타났다.
|
[
"안산시는 공업화와 산업화로 급격한 발전을 이룬 도시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의 팽창에 따른 지하수의 특성도 변화계가 있는 수질을 선택하여 안산시의 수질에 대해 분석하였다.",
"최근에는 환경오염에 대한 관심이 여러 분야에서 증폭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지리학과 수문지질학 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오염과 수질특성에 대한 연구는 복합적으로 이루어 진행되고 있음이 널리 인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인지하여 최근에 산업화가 빨리 진행된 안산시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지역인 안산시의 동부는 농지와 주거지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서부는 해안지역으로 집중적인 공업화로 인하여 수질오염의 원인이라고 할 수 있는 지역이다. 남부지역은 농업지역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북부지역은 고지로 주로 녹지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어 안산시의 주요 휴식처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안산시는 인구의 급격한 증가와 공업화로 인하여 오염원이 증가하고 있다. 오염원의 양적 증가와 다양화는 수질오염을 더 확대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환경 중에서 인간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수질을 선택해서 안산시의 수질특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안산시는 인구의 급격한 증가와 공업화로 인하여 오염원이 증가하고 있으며 오염원의 양적 증가와 다양화는 수질오염을 더욱더 확대할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환경 중에서 인간과 가장 밀접한 수질을 선택하여 안산시의 수질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 |
A201007090798
|
인천시 생활폐기물의 공간적 특성과 수거에 관한 연구
|
paper
|
본 연구는 인천시 생활폐기물의 공간적 분포와 수거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GIS기법을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생활폐기물의 수거 서비스를 공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도출하는 접근방법을 모색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인천시의 생활폐기물 발생 및 처리와 관련한 공간적 특성은 인천시의 도시발전 및 구조변화 방향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 즉 인천시에서 새롭게 개발되어 인구와 기능이 모여들고 있는 곳에 생활폐기물의 발생 비중이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매립보다는 소각과 재활용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쓰레기의 수거권역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최소공간단위인 쓰레기 수거권역을 구축하는 방법으로 도로중심선을 추출하여 각 쓰레기 수거차량의 순회경로를 입력시켜 이들 순회경로들을 도로와 intersect 시켜 폴리곤을 형성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무계획적으로 이루어지던수거차량의 순회경로에 대하여 GIS를 도입할 경우 효율적으로 경로계획을 수립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GIS를 기반으로 하여 수거차량의 순회경로를 계획한다면 지역적 상황에 적합하게 수거권을 설정하고,적절한 수거차량과 인력의 투입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수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
[
"본 연구는 인천시 생활폐기물의 공간적 분포와 수거 특성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GIS기법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생활폐기물의 수거 서비스를 공급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도출하는 접근방법을 모색하는 데 초점을 맞춰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쓰레기 수거와 관련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시행하고 있으며, 특히 수거후 쓰레기 처리에 많은 신경을 쓰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제는 쓰레기 수거처리의 효율적인 개선이 지방화시대에 살아가는 우리가 해결해야할 가장 시급한 과제이며 나가서 환경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대안이 되고 있다. 효율적으로 쓰레기를 수거하고 운반하기 위해서는 적정한 수거권역의 설정과 수거작업에 투입되는 장비 및 인력을 적절히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GIS 기법의 활용은 상당히 유용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쓰레기 수거와 관련한 작업이 대부분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고 행정동 단위별로 수거권역을 획일적으로 구분하여 수거작업이 시행되고 있어 아직 비효율적으로 수거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인천시를 사례로 쓰레기 발생 및 수거처리 실태의 공간적 특성을 고찰하고, 미시적인 연구로서 GIS기법을 이용하여 생활폐기물 수거경로 및 수거권 설정을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쓰레기 수거처리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GIS기법은 효율적인 쓰레기 수거·운반을 위한 수거권역의 적정한 설정과 장비 및 인력 배치에 상당히 유용하다. 이에 본 논문은 인천시의 쓰레기 발생 및 수거처리 실태의 공간적 특성을 고찰하고, GIS기법을 통해 생활폐기물 수거경로 및 수거권 설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 |
A201007090802
|
교량기본단면의 와류진동에 미치는 난류효과에 대한구조감쇠의 영향
|
paper
|
본 연구는 구조감쇠를 달리한 교량기본단면의 와류진동 응답에 미치는 난류의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능동적 난류발생법에 의해 각종 변동풍을 2차원 풍동내에 생성하였으며, 생성된 기류중에서 변장비 1:2의 직사각형단면(Model A) 및 정삼각형 페어링을 부착한 육각형단면(Model B)에 대한 와류진동응답실험을 행하였다. 실험결과로서, Model A의 와류진동 최대진폭은 난류강도의 증가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며, 구조감쇠가 증가할수록 이러한 경향은 더 두드려졌고 와류진동발생영역의 면적도 급격히 축소되었다. Model AF의 경우는 Model A에 비하여 효과는 적지만, 감쇠가 증가할수록 난류중 최대응답이 감소하였으며, 발생면적도 약 75%이하로 축소되었다. 난류 스케일의 변황에 대해서는 두 단면 모두 영향은 크게 받지 않았다. 또, 와류진동에 최대응답에 구조감쇠는 선형적으로 반비례하는 것에 의거하여 저감쇠상태의 응답으로부터 추정된 와류진동 최대응답은 본 실험에서 얻어진 실제 응답에 비하여 상당히 작게 평가되므로 구조감쇠의 상사에 충분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
"본 연구는 구조감쇠를 다르게 한 교량기본단면의 와류진동 응답에 끼치는 난류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능동적 난류발생법에 의해 각종 변동풍을 2차원 풍동내에 생성하고, 생성된 기류 중에서 변장비 1:2의 직사각형단면 및 정삼각형 페어링을 부착한 육각형단면에 대한 와류진동응답실험을 수행했다.",
"와류진동에 미치는 난류효과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격자 난류를 이용한 경우가 많고, 구조감쇠를 일정하게 유지한 모형의 응답실험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가 대부분이며, 감쇠의 영향에 대한 고찰은 주로 등류 또는 동일한 난류중에서 행해졌다. 따라서, 접근류의 변동성분과 구조감쇠의 상호작용에 의해 와류진동 응답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불명확한 점이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감쇠의 변화에 따른 와류진동 응답에 미치는 난류특성치의 영향울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다양한 난류중에서 2차원 모형의 난류응답 실험을 행하였다. 풍동내 난류 생성은 난류특성치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능동적 난류발생장치에 의하여 난류강도 및 난류스케일의 변화를 도모한 총 8종류의 변동풍을 생성하였으며, 2차원 모형의 구조 감쇠는 전자기식 댐퍼를 사용하여 조절하였다. 또, 실험에 채택한 모형의 단면은 변장비(aspect ratio) 1:2의 직사각형단면(Model A)과 이것에 정삼각형 페어 링(fairing)을 전후부에 부착한 육각형단면(Model AF)이다. 응답실험의 결과는 등류중의 결과와의 비교를 통하여 기류변동 및 구조감쇠가 와류진동응답에 미치는 영향을 다양한 방법으로 보다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접근류의 변동성분과 구조감쇠의 상호작용에 의해 와류진동 응답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구조감쇠의 변화에 따른 와류진동 응답에 미치는 난류특성치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다양한 난류중에서 2차원 모형의 난류응답 실험을 시행하였다."
] |
A201007090805
|
학교지식이 가지는 불평등의 윤리적 쟁점
|
paper
|
공교육이 시작된 이후 우리는 학교교육에 대해 윤리적 환상을 가지고 있었다. 즉, 학교교육이 인간의 자유와 평등의 확대를 가져다 줄 것으로 믿어왔다. 그러나 이러한 믿음은 20세기 중반부를 넘어서면서 의심을 받게 되었다. 즉, 학교교육의 결과가 사회 구성원들의 계층이동을 담보하지 못하고 있고, 나아가 계급 재생산의 순환을 가져오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인식론적 접근, 비판적 사회학자, 비판 교육학자들에 의해 이론적으로 정립되었다. 비판적 교육학자들은 학교에서 다루는 지식들이 사회 내에서 헤게모니를 가진 주류계급의 이익에 의해 구성되었으며 지식의 분배가 학교 내에서 불평등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이러한 불평등의 분배는 할당이론적 관점에서 계층재생산을 담당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은 여러 가지 설득적 요소들을 담고 있으며 인간의 해방이라는 관점에서는 많은 지지자들을 만들어 낸다. 비판적 교육학자들이 지적하는 이러한 요소들은 현재 우리나라 상황에서도 드러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비판이론적 지적은 그것이 규정하고 있는 지식의 속성에 대한 비판적 질문, 즉, 편향성, 상대성, 불안정성에 대한 문제에 대해 설득력 있게 응답해야만 학적, 사회적 정당화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
[
"학교교육의 결과가 사회 구성원들의 계층이동을 담보하지 못하고 있을뿐 아니라 계급 재생산의 순환을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관점은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인식론적 접근, 비판 교육학자, 비판적 사회학자들에 의해 이론적으로 정립되었다. 비판적 교육학자들은 학교에서 다루는 지식들이 사회 내에서 헤게모니를 가진 주류계급의 이익에 의해 구성되었다고 지적한다.",
"근대적 의미의 공교육이 시작된 종교개혁 이후 교육은 인간의 평등을 실현시켜 줄 결정적 수단이라고 믿었다. 그러나 교육이 인간의 사회를 평등하게 만들어 줄 것이라는 믿음은 현대사회에 들어와서 크게 손상을 받고 있다. 사회 구성원들은 학교라는 기관을 졸업함으로써 평등의 삶을 획득할 수 있어야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다. 심지어 학교에 재학하는 동안에도 불평등의 경험은 연속적이고 다방면으로 이루어진다. 우리나라는 서구사회처럼 다인종, 다민족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사회 계층적 특성은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사회 계층적 특성도 이미 비판이론에서 제기하고 있는 계층, 계급 재생산의 특성을 어느 정도 보여주고 있다. 학습자가 속해 있는 사회경제적 수준이 미래의 위상을 결정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증거는 각종 통계 수치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그래서 학교교육에 대한 성취수준이 개인의 삶의 수준을 결정한다는 사회심리학적 시각은 무너지고 있다. 이러한 모순에 대한 진지한 고민은 교육의 윤리적 책무성에 있어 중요한 주제가 되어야만 한다.",
"교육이 인간 사회를 평등하게 만들어 줄 것이라는 믿음은 현대사회에 들어와서 크게 손상을 받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학습자가 속한 사회경제적 수준이 미래의 위상을 결정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 |
A201007090809
|
근관와동형태에 따른 근관치료된 하악절치의 파절강도
|
paper
|
근관와동형태에 따른 근관치료된 하악절치의 파절강도근관와동 형성시 직선적인 접근 경로의 확보는 근관 세정과 성형, 충전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근관와동 형태에 따른 파절강도 차이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악절치에서 근관와동 형태에 따른 파절저항강도를 비교해 직선형 근관와동의 유용성 여부에 대해 살펴 보고자 한다. 사람의 하악 절치 36개를 사용하여 근관와동 형태에 따라 모두 3군 (1군: 설측와동, 2군: 절단연 절반을 포함한 직선형 와동, 3군: 모든 절단연을 포함한 직선형 와동)으로 분류하였다. 근관치료후 복합레진으로 와동을 충전하고, 치아에 2 min/min의 cross-head speed로 파절될 때 까지 힘을 가한 후, 파절강도를 기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파절강도의 평균값은 1군 (558.9 ± 77.4N), 2군 (494.07 ± 123.98N), 3군 (267.33 ± 27.02N)의 순서로 나타났다. 2. 3군과 다른 군사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P = 0.00). 근단부로의 직선적인 접근의 장점과 본 실험의 결과를 고려해 볼 때, 직선형 근관와동이 하악 절치에서 근관와동의 형태로 추천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
"본 연구에서는 하악절치에서 근관와동 형태에 따른 파절저항강도를 비교함으로써 직선형 근관와동의 유용성 여부에 관해 살펴보고자 한다. 사람의 하악 절치 36개를 이용하여 근관와동 형태에 따라 모두 세 군(1군: 설측와동, 2군: 절단연 절반을 포함한 직선형 와동, 3군: 모든 절단연을 포함한 직선형 와동)으로 나누었다.",
"직선형 근관와동형성시 설측 근관 와동형성시 보다 소실되는 치질의 양이 많은 것이 단점이 될 수 있다. Gutmann 등은 근관 와동 형성이 치수강 천정의 치관부 상아질을 제거함으로써 구조적 완전성을 파괴하고 기능시에 치아가 많이 휘어지게 되어 잔존치질이 적은 경우에 상아질의 지지를 받지 못하는 부위나 치아 직경이 가장 작은 부위에서 치아가 파절할 수 있다고 보고 하였다. 그러나 Reeh 등은 MOD 와동 삭제는 60%정도 치아의 강도를 감소시키는 반면에 근관 치료를 위한 와동형성은 단지 5%정도 치아의 강도를 감소시킨다고 하였고, Weine 등은 치질의 보존 보다는 적절한 근관와동 형성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설측 근관와동 보다 삭제량이 많은 직선형 근관와동을 형성하더라도 치아의 강도에 별다른 영향이 없다면, 직선형 근관와동을 시행하는 이론적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악절치에서 근관와동 형태에 따른 파절저항강도를 비교해 직선형 근관와동의 유용성 여부에 대해 살펴 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설측 근관와동 보다 삭제량이 많은 직선형 근관와동을 형성하여도 치아의 강도에 별다른 영향이 없다면, 직선형 근관와동을 시행하는 이론적 근거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악절치에서 근관와동 형태에 따른 파절저항강도를 비교해 직선형 근관와동의 유용성 여부를 살펴보고자 한다."
] |
A201007090813
|
Goal-based Scenarios(GBS) 모형을 적용한 웹기반 교육용 컨텐츠의 설계 및 개발 연구
|
paper
|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IT기술을 교육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강한 요구에도 불구하고 웹기반 교육의 정착은 미흡한 실정이다. 그 원인은 현재 웹기반 교육이 전통적 교실수업과 질적으로 다르지 않고 웹기반 교육에 적합한 설계모형들이 충분히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자들은 구성주의 학습관에 기반한 GBS 설계모형을 이용하여 도서관 이용에 관한 웹기반 교육용 컨텐츠를 개발함으로써 웹기반 교육을 개발하거나 활용하고자 하는 교사와 교육실천가들에게 구체적인 개발사례를 제공하고자 한다. 3개월 간 요구분석, 학습내용분석, 학습자 및 학습환경분석을 통해서 GBS모형을 적용한 웹기반 교육용 컨텐츠를 설계하고 GBS의 7가지 구성요소들에 충실하게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학교와 기업에서 새로운 형태의 웹기반 교육을 개발하고자 하는 실천가들에게 구체적인 가이드를 제공해 줄 것이다.
|
[
"본 연구에서는 구성주의 학습관에 기초한 GBS 설계모형을 활용하여 도서관 이용에 관한 웹기반 교육용 컨텐츠를 개발함으로써 웹기반 교육을 개발 내지 활용하고자 하는 교사 및 교육실천가들에게 구체적인 개발사례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우수한 웹기반 교육용 컨텐츠의 설계 및 개발을 위하여 구성주의 학습관에 의거하여 최근에 소개되기 시작한 목표기반 시나리오(Goal-Based Scenarios: 이하 GBS)를 이용할 것을 제안한다. GBS는 학습자들이 해결해야 할 과제를, 목표를 중심으로 시나리오의 형태로 제공하며 학습자들은 그 시나리오 속에 설정된 역할을 통해 과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에서 학습목표를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달성해 가도록 유도하는 구성주의적 학습환경 설계모형이다. GBS는 현재 학교교육보다는 기업교육의 장면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GBS가 기업교육의 대안적 학습모형으로서 웹기반 교육의 컨텐츠 설계 및 개발에 시범적으로 적용되고는 있지만, 교사나 교육실천가들이 구체적으로 GBS를 웹을 이용하여 교육현장에서 적용하기에는 여전히 그 방법적 측면이나 내용, 시사점 부분에서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GBS 설계모형을 이용하여 개발한 웹기반 교육용 컨텐츠를 소개함으로써 새로운 형태의 IT 기술을 교육현장에 적용하려는 교사나 교육실천가들에게 구체적인 설계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국내에서는 GBS가 기업교육의 대안적 학습모형으로서 웹기반 교육의 컨텐츠 설계 및 개발에 시범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나, 교사나 교육실천가들이 구체적으로 GBS를 웹을 이용하여 현장에 적용하기에는 방법적 측면이나 내용, 시사점 부분에서 미흡한 상황이다."
] |
A201007090817
|
퍼지-조건부확률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검색 에이전트 모델에 관한 연구
|
paper
|
기존의 전자상거래시스템 검색 에이전트들은 고객이 상품 검색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질의어에 대해 매우 제한적으로 동작해왔다. 본 논문은 고객이 전자상거래시스템에 접속하여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검색하기 위해 상품명을 제시했을 때, 해당 고객을 포함한 기존의 고객들의 프로파일 중 고객의 구매 행위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를 선행사건, 구매 성향과 관계된 요소를 후행사건으로 규정하여 고객에 대한 상품 적합도를 계산하고 적합도가 높은 상품 위주로 자동적으로 검색하여 고객에게 제시할 수 있는 퍼지-조건부 확률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검색 에이전트를 제시한다.
|
[
"본 연구에서는 적합도가 높은 상품 위주로 자동 검색하여 고객에게 제시할 수 있는 ‘퍼지-조건부 확률’을 활용한 ‘전자상거래 검색 에이전트’를 제안했다.",
"기존의 전자상거래시스템 검색 에이전트들은 질의 조건을 주로 가격 및 규격 요소에 국한되었고 이 요소들에 대해서도 정확한 질의어에 대해서만 검색 기능을 수행할 수 있었다. 즉, 고객의 질의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기 때문에 과다한 검색 결과나 매우 결핍된 검색 결과를 초래하는 단점을 갖고 있고, 대부분의 현존 검색 에이전트들이 키워드를 선택하거나 입력하는 수동식 검색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고객들이 사용하는데 상당한 불편을 초래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상품 자동 검색 에이전트 모델은 고객이 전자상거래시스템에 접속하여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검색하기 위해 상품명을 제시했을 때, 해당 고객을 포함한 기존의 고객들의 프로파일(profile) 중 고객의 구매 행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를 선행사건(prior event), 구매 성향과 관계된 요소를 후행 사건(posterior event)으로 규정하여 고객에 대한 상품 적합도를 언어 변수로 제시하고 적합도가 높은 상품 위주로 자동적으로 검색하여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검색 에이전트를 설계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상품 자동 검색 에이전트 모델은 고객이 상품명을 제시했을 때, 기존 고객들의 프로파일 중 고객의 구매 행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선행사건, 구매 성향과 관계된 요소를 후행 사건으로 규정하여 적합도가 높은 상품 위주로 자동적으로 검색하여 고객에게 제공하는 검색 에이전트이다."
] |
A201007090821
|
이동단말을 위한 TCP사용자 인증 타원곡선 알고리즘 프로토콜의 설계 및 성능 개선에 관한연구
|
paper
|
인터넷 비대면 거래에서, 이동단말기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본인의 의사결정에 따른 정상적인 사용인지에 대한 사용자 인증 및 확인에 대한 프로토콜이 요구된다. 사용자 인증은 접근제어에 비해 검증시간이 더 소요된다. 따라서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은 부인방지와 안전성이 보장되어야하고, 이동단말에서 통신시간에 대한 성능향상이 필요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이동단말을 위한 TCP 사용자인증 타원곡선 알고리즘 프로토콜을 설계하고 성능을 시험한다. 알고리즘은 160비트의 키를 가지고, IPv4와 IPv6에서 적용된다. 제안된 프로토콜은 기존 프로토콜의 암호화된 서명메시지 보다 인증과 검증의 과정에서 부인방지와 안전성, 기밀성이 높아졌으며, 이동단말의 연산시간에서 기존의 방법에 비해 1배에서 17배의 성능향상이 이루어졌음을 증명하였다.
|
[
"본 연구는 이동단말을 위한 TCP 사용자인증 타원곡선 알고리즘 프로토콜을 설계하고 성능을 시험한다. 제안된 프로토콜은 기존 프로토콜의 암호화된 서명메시지에 비해 인증과 검증의 과정에서 부인방지와 안전성, 기밀성이 향상됐다.",
"현재 이동단말기에 대한 인증이나 사용자에 대한 따로따로의 인증은 이동단말기에서의 불법적인 사용을 막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사용자 인증에 대한 이동단말기에서의 통신 속도를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 사용자를 위한 인증 타원곡선 알고리즘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이 프로토콜은 접속 이동단말기가 접근제어에서 접근을 허용 받아서 통과한 후 전자상거래를 수반하는 사용자 서비스를 요청 할 시 사용된다. 사용자 인증 방법은 기존에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는 금융기관이나 대리서명 대리인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이동단말기에서의 연산량을 줄일 수 있다. 제안된 프로토콜은 신뢰성 있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계층에서 서명에 대한 검증을 할 수 있는 프로토콜로 설계한다. 이 프로토콜은 타원 곡선상의 암호화 알고리즘에 160비트의 키를 가지고, IPv4와 IPv6에서 적용되며, 이동단말의 연산시간이 기존의 방법에 비해 성능개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프로토콜의 메시지 검증에서도 부인방지와 안전성, 기밀성을 높이는 타원곡선 기반의 암호화 알고리즘을 갖춘 새로운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현재 이동단말기나 사용자에 대한 인증은 이동단말기에서의 불법적인 사용을 막을 수 없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통신 속도를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은 접속 이동단말기가 접근을 허용받아 통과한 후 전자상거래를 수반하는 사용자 서비스를 요청할 시 금융기관이나 대리서명 대리인을 이용하는 인증 타원곡선 알고리즘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 |
A201007090826
|
등조선(Isophote) 분석을 이용한 영역의 독립, 종속관계 연구
|
paper
|
하나의 객체 내에 존재하는 영역들이 상이한 칼라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해당 객체는 독립적인 영역들로 분할되기 때문에 객체의 의미가 상실된다. 따라서 영역에 대한 칼라 정보 외에 다른 지식 정보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을 구성하는 색상 정보 외에 입체감을 표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명암의 등가를 연결한 등조선의 형태분석을 이용하고 있다. 그리고 분석된 정보를 통해 영역간의 독립, 종속 여부를 판단하여 객체의 의미있는 영역 정합을 통한 객체 분리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
[
"본 연구에서는 영상을 구성하는 색상 정보 외에 입체감을 표현하는 방법으로써 명암의 등가를 연결한 등조선의 형태분석을 활용하고 있다. ",
"컴퓨터를 이용한 영상의 사용이 증가함에따라 영상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기 위한 시도들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영상에 포함된 객체를 활용하는 영상 데이터 베이스의 인덱싱(indexing), 내용 기반 검색(content based retrieval), 영상 인식 및 변환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영상 내에 존재하는 객체를 추출하고 분석하는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지만 영상에 포함된 특정 객체를 추출하는 것은 무질서하게 반복되거나, 여러 가지 색으로 표현되는 무늬, 문자 또는 도형 등과 같이 복잡한 영역이 존재할 경우, 각 영역을 독립적인 영역으로 인식하게 되는 단점이 발생하며, 효율적인 영역 정합에 의한 객체 분리를 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각 영역간의 명암 변화를 통해 영역간의 관계를 판단하여 영역 정합을 이루고자 한다. 추출된 영역의 등조선을 구하고 각 영역 등조선 간의 변화를 판단하여 추출된 객체영역 간의 독립, 종속 관계를 이용하여 정확한 객체 추출 및 영역간의 의미 분석이 이루어지는 방법을 제시한다.",
"영상의 객체를 추출하고 분석할 때 복잡한 영역이 존재할 경우 각 영역을 독립적인 영역으로 인식해 효율적인 영역 정합에 의한 객체 분리를 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은 추출된 영역의 등조선을 구하고 등조선 간의 변화를 판단, 객체영역 간의 독립, 종속 관계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
A201007090829
|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환경에서 시각화된 사용자 정의 스키마 통합
|
paper
|
최근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정보처리응용 시스템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많은 데이터를 가지고 있지만 개별적이면서 관련성이 적은 수많은 데이터를 가지는 기업은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 처리하여 사용자 요구에 신속하게 응답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고품질의 정보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웨어하우스 환경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종 사용자 요구에 대처하기 위해 비주얼 환경을 사용한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효과적인 설계 및 구현 결과를 보인다. 또한 기존의 일반 SQL 질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
[
"최종 사용자 요구에 대처하기 위해 비주얼 환경을 이용한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효과적인 설계 및 구현 결과를 제시하고 기존의 일반 SQL 질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대용량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웨어하우스 구축을 위해서는 기존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개념적으로 표현된 데이터 모델은 기존의 운용 데이터 모델(Operational Data Model)로서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의사 결정에 적합하도록 표현된 데이터 모델은 아니다. 그러므로 의사 결정을 위해서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는 차원 모델(Dimensional Model)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차원 모델에서 사용자가 직접 선택 지정한 스키마를 중심으로 의사 결정을 원활하게 지원할 수 있도록 데이터 웨어하우스 환경에 적절한 스키마 생성기의 설계 및 구현 내용에 관하여 살펴본다. 또한 요즈음 인터넷 사이트에서 서비스 변화에 따른 본 연구의 필요성을 (그림 1)에 간략하게 도식화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은 먼저, 데이터 웨어하우스 지원을 위해 전체적인 스키마 생성기 개발 구조를 살펴보며, 3장에서는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스키마 생성 인터페이스에 관하여 기술한다. 4장에서는 본 논문의 핵심이 되는 의사 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스키마 생성 인터페이스에 관하여 살펴보며, 5장에서 ODBC를 통한 데이터 웨어하우스 연결 인터페이스를 기술하며, 6장에서 결론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살펴본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개념적으로 표현된 데이터 모델은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의사결정에 적합하도록 표현된 데이터 모델은 아니기 때문에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는 차원 모델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차원 모델에서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스키마를 중심으로 데이터 웨어하우스 환경에 적절한 스키마 생성기의 설계 및 구현 내용을 살펴본다."
] |
A201007090834
|
SLA 기법을 활용한 컴퓨터 유지보수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
paper
|
본 연구는 기업이나 공공단체, 학교 등 대량의 PC를 보유하고 있는 곳에서 PC의 고장에 대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유지보수 기능을 갖는 시스템의 개발과 운영을 설계하였다. 네트워크 유지보수 계약에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서비스 수준 협약(Service Level Agree:SLA) 기법을 활용하여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제공 수준에 대한 투명한 측정과 관리를 할 수 있게 설계하였으며, 서비스 요구 점수, 유지보수 활동, 사용자 만족도, 확인 과정에 이르기까지 서비스의 전체 과정이 하나의 시스템에서 이루어지도록 One Stop Service가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
"본 연구는 공공단체나 기업, 학교 등 대량의 PC를 보유하고 있는 장소에서 PC의 고장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유지보수 기능을 갖는 시스템의 개발과 운영을 설계하였다. ",
"유지보수 시스템은 최근 정보시스템 위탁개발 및 네트워크 유지보수 계약에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는 서비스수준협약(SLA) 기법을 활용하여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제공수준에 대한 투명한 측정과 관리를 할 수 있는 유지보수 시스템을 설계한다.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 접수, 유지보수 활동, 사용자 서비스 만족도 확인과정에 이르기까지 서비스 처리의 전체 과정이 하나의 시스템에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One Stop Service가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특히 대부분의 유지보수 활동이 기업 내부에서 발생하므로 LAN 환경과 함께 인터넷 환경에서도 운영이 가능하도록 웹을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이 설계되어야 한다. 기존에 운영되고 있는 기업의 MIS에 포함된 관련 정보는 데이터베이스와 연동이 가능하도록 확장성이 가능한 시스템이 필요하며, 컴퓨터 자원의 신규 도입에서 폐기까지 생애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산관리 및 유지보수 활동에 대한 정보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한 시스템이 되어야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기능과 신속하고 투명한 민원처리가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하며, 사용자 서비스 요구사항에 대해 지식관리기법을 적용한 과학적 관리가 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한다.",
"유지보수 시스템은 정보시스템 위탁개발과 네트워크 유지보수 계약에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서비스수준협약(SLA) 기법을 활용하여 서비스 제공수준에 대한 투명한 측정과 관리를 할 수 있는 유지보수 시스템을 설계한다."
] |
A201007090838
|
全斗煥정부 하의 정당구도 분석
|
paper
|
신군부의 장기집권을 위해 패권정당제를 수립하려 했던 全斗煥정부의 시도는 4년 만에 좌절되고 마는데, 이는 분열되었던 야권이 통합을 이루었기 때문이다. 신군부의 출현 자체가 야권의 분열에 기인한 것이었기 때문에 야권으로서는 다시 위기에 처하지 않기 위해 통합한 것이었다. 민추협 결성과 신한민주당 창당이 바로 그것이었다. 그러나 12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신민당은 또다시 분열함으로써 선거에 패배하고 마는데, 이로써 全斗煥정부 하에서도 ‘위기와 통합’ 가설은 그대로 적용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야권의 한계인 동시에 한국정치 전반이 안고 있는 문제이다. 여야를 불문하고 이러한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분열과 통합을 거듭했기 때문에 정당은 정체성을 확립할 수 없었고, 그 결과 국민들은 정당일체감을 형성할 수 없었다. 이는 정치발전과 직결된 것이어서 시급히 해결하지 않으면 안 되는 문제로 되고 있다.
|
[
"12대 대통령선거를 목전에 두고 신민당은 또다시 분열함으로써 선거에 패배하고 마는데, 이로써 全斗煥정부 하에서도 ‘위기와 통합’ 가설은 그대로 적용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야권의 한계인 동시에 우리나라 정치 전반이 안고 있는 문제이다. ",
"야당의 통합과 위기극복은 여당의 위기로 직접 연결될 수밖에 없었는데, 여기서 위기에 처한 여당을 구출해준 것은 다름이 아닌 야당이었다. 통합으로 위기를 극복했음에도 불구하고 13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다시 분열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야권은 대선에 패배하게 된다. 분열이 초래한 당연한 결과였고, ‘통합과 위기의 정치’가 반복되는 순간이었다. 그러나 문제는 야권의 분열이 선거패배와 위기만을 낳은 것이 아니라, 지역분열이라는 치유하기 어려운 균열구도를 초래했다고 하는 사실이다. 이로 인해 ‘위기와 통합의 정치’도 새로운 양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여야의 대결이 지역대결 양상으로 전개되어 ‘위기와 통합’은 지역 간의 통합 또는 분열이라는 의미를 지니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全斗煥정부 하에서 나타난 새로운 균열현상은 정당구도의 재편성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음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에 관한 정당사적인 차원에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본 논문은 全斗煥정부 하에서 나타났던 정당간의 이합집산현상을 분석하려고 한다. 이와 동시에 정치세력의 통합과 분열양상이 지역의 통합과 분열양상과 중복되는 측면이 나타났다고 하는 사실에 대해서도 분석하려고 한다.",
"통합으로 위기를 극복했음에도 불구하고 13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다시 분열해 야권은 대선에 패배하게 된다. 이러한 全斗煥정부 하에서 나타난 새로운 균열현상은 정당구도의 재편성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음에도 이 시기에 관한 정당사적인 차원의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 |
A201007090841
|
1990년대 일본외교정책의 변화- 국제정치적 요인과 국내정치과정을 중심으로 -
|
paper
|
본 논문에서는 우선, 전후 일본외교정책의 기본적 방향과 이념을 살펴본다. 이를 통하여 일본의 외교정책이 1990년대에 접어들어 종래와는 다른 근본적 변화를 가져왔다는 사실을 확인한다. 그리고 미일 관계의 기본적인 틀인 1960년 미일안보조약의 성격과 양국관계를 중심으로 외교정책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1990년대에 있어서 일본 외교정책의 변화양상을 미일 관계의 강화와 적극적인 국제역할 증대 정책에 대해서 고찰한다. 특히, 미일 안보협력 강화의 목적, 그 내용과 그러한 일련의 외교정책적 변화가 가능하게 된 배경을 동북아시아의 국제환경과 일본 국내적 상황에 주목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1990년대 이후 일본은 과거의 소극적인 안보정책에서 탈피하여 안보 면에서 국제적 역할증대를 모색하여 왔다. PKO 참여과 같이 자위대를 해외에 적극적으로 파견하였으며 1995년의 신방위대강을 통해 방위력을 대폭 증대시켰다. 뿐만 아니라 미ㆍ일 신안보선언을 통해 미ㆍ일 안보체제를 광역화시켰다. 1997년에는 미일 방위협력 신 가이드라인이 성립되었고 이에 대한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반법안이 1999년 성립되었다. 이러한 미일간의 상호의존강화와 안전보장에 대한 일본의 적극적인 대응은 미국의 적극적인 요청과 냉전 붕괴 후 중국의 급부상이라는 새로운 국제환경의 변화 속에서 나타났다. 국내 정치적 요인으로는 1994년의 무라야마 정권성립 이후 55년 체제 당시와 같은 미일 관계에 반대하는 세력이 약화되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그리고 1990년 이후 미일 양국관계의 강화는 안전보장 면에서의 동맹의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한 일본의 적극적인 대응과 국내 정치적 상황 변화에 따라 정당간 합의가 이루어져 비로소 가능하게 되었다.
|
[
"본 논문에서는 전후 일본외교정책의 기본 이념과 방향을 우선적으로 살펴본다. 이를 통하여 일본의 외교정책이 1990년대에 접어들어 종래와는 다른 근본적 변화를 가져왔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미일 관계의 기본적인 틀인 1960년 미일안보조약의 성격과 양국관계를 중심으로 외교정책을 살펴본다. 끝으로, 1990년대 일본 외교정책의 변화양상을 미일 관계의 강화와 적극적인 국제역할 증대 정책에 대해서 고찰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전후 일본외교정책의 기본적 방향과 이념을 살펴본다. 이를 통하여 일본의 외교정책이 1990년대에 접어들어 종래와는 다른 근본적 변화를 가져왔다는 사실을 확인한다. 그리고 미·일 관계의 기본적인 틀인 1960년 ‘미·일 안보조약’의 성격과 양국관계를 중심으로 외교정책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1990년대에 있어서 일본 외교정책의 변화양상을 미·일 관계의 강화와 적극적인 국제역할 증대 정책을 중심으로 하여 고찰한다. 특히, 미·일 안보협력 강화의 목적, 그 내용과 그러한 일련의 외교정책적 변화가 가능하게 된 배경을 동북아시아의 국제환경과 일본 국내적 상황에 주목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일본 외교정책의 변화와 미·일관계의 변화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일본 국내정치의 보수·우경화와 냉전종식 이후 국제환경의 변화에 따른 외부적 요인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1993년 자민당 일당우위체제의 붕괴이후 안보문제나 미·일관계를 둘러싼 정당간의 세력관계 재편에 주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는 일본 국내정치의 보수·우경화와 냉전 이후 국제환경의 변화에 따른 외부적 요인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1993년 자민당 일당우위체제 붕괴 이후 안보문제나 미·일관계를 둘러싼 정당 간 세력관계 재편에 주목하였다."
] |
A201007090844
|
소규모 실습실 관리를 위한 웹기반 트래픽 모니터링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paper
|
본 논문에서는 소규모 실습실을 대상으로 웹기반의 네트워크 트래픽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네트워크 관리자로 하여금 네트워클 분석하여 네트워크와 시스템의 운영 및 관리, 확장, 그리고 디자인을 지원할 수 있다. 전체 시스템은 네트워크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네트워크 트래픽의 실시간 분석을 지원하는 분석 서버와 서버로부터 수신된 결과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그래픽적인 데이터로 보여주는 웹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제안된 시스템은 웹기반 기술인 자바로 구현되었으며 다양한 분석 기능 및 활용방안을 제공함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실습실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 활동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
[
"본 연구는 소규모 실습실을 대상으로 웹기반의 네트워크 트래픽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웹기반 기술인 자바로 구현되었으며 여러 가지 분석 기능 및 활용방안을 제공한다.",
"각 학교에 PC가 보급되고 소규모의 PC 실습실이 급속히 도입되어 PC를 사용한 교육 및 인터넷 교육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교사가 실습실에서 각 학생의 PC 화면을 모니터링 하거나 통제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지 않아 관리 차원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웹 관련 기술이나 자바와 같은 새로운 인터넷 기반의 기술들을 네트워크나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관리 등과 같은 관리 분야에 적용시킴으로써 기존의 관리 기술과 관리 도구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시도가 수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접근 방법을 웹 기반 관리 기술이라 하고 관리 공간의 제약과 사용의 불편성이라는 한계를 웹이라는 플랫폼에 적용시켜 그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웹기반 관리 기술의 연구는 대표적으로 자바 서블릿으로 구현된 SNMP을 이용한 웹기반 학내 전산망 관리 시스템, SNMP의 주기적 요구 수행을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개선한 실시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그리고 SNMP를 통해 관리 정보를 수집하여 트래픽 데이터를 GIF로 저장하고, 이 GIF 파일이 포함된 HTML 형태로 결과를 출력해 주는 MRTG(Multi Router Traffic Grapher) 등이 있다.",
"PC 사용 교육과 인터넷 교육이 급증하는 상황에서 교사가 학생의 PC 화면을 통제하는 수단이 제공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웹 관련 기술이나 새로운 인터넷 기반 기술을 관리 분야에 적용하는 시도가 수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접근방법인 웹 기반 관리 기술은 관리 공간의 제약과 사용의 불편성을 웹에 적용시켜 그 효율을 높인다."
] |
A201007090847
|
이동전화 서비스 환경에서의 무선데이터 품질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
paper
|
최근 이동전화의 대중화로 이동전화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이동전화 인구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CDMA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화와 경량화, 휴대용 전화를 통한 이동전화 서비스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이에 필요한 평가항목 개발과 시험환경 구축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에 이동전화 서비스 환경의 필수적인 단말기에 대한 시험원리에 대한 소개와 무선망상에서 사용되는 시험호인 무선데이터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을 하면서 무선데이터를 이용한 품질평가 방법 형태에 대하여 현황과 앞으로의 전망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
"본 논문에서는 무선데이터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과 더불어 무선데이터를 활용한 품질평가 방법 형태에 대하여 현황과 향후 전망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최근 관심이 고조되는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망상의 무선 데이터 시험호에 대하여 알아보았으며 무선데이터를 이용한 품질평가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동전화 통화품질 측정을 위한 평가항목의 적합성을 정의하기 위해서 전국을 대상으로 전송속도 평가항목을 추가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무선데이터 지표는 기존의 접속성공률, 전송완료를 평가항목에다 전송속도를 포함하여 실험했다. 적용한 결과 기존의 평가방법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품질개선 지역이 나타났다. 제안된 평가방법은 한층 더 품질의 정확성을 판단하는 시스템으로 개선되었다. 소비자 단체에 접수된 불만사항을 줄일 수 있었다. 이용자 체감품질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등이 포함되는 장점이 있었다. 또한 이용자 체감품질 검증을 위한 평가방법에서 평가등급을 개선함으로써 정부나 소비자단체로부터 신뢰성을 회복할 수 있는 기회가 부여 되었다. 앞으로, 이동전화 전 분야에 평가항목을 적용할 수 있는 표준화 연구가 필요하다. 기존의 CDMA 방식을 필두로 WCDMA, 인터넷전화, 텔레매틱스, 휴대인터넷 부문 등에서도 이동사업자의 자발적인 서비스 품질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망상의 무선 데이터 시험호와 무선데이터를 이용한 품질평가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여기에 이동전화 통화품질 측정을 위한 평가항목의 적합성을 정의하기 위해 전국을 대상으로 전송속도 평가항목을 추가했다. 그 결과 기존의 평가방법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품질개선 지역이 나타났다."
] |
A201007090852
|
다중경로 이득 적응형 MMSE 검출기에 관한 연구
|
paper
|
본 논문은 STBC CDMA 시스템의 다중 사용자 환경을 위한 기존의 MMSE 검출방식이 여러 경로의 수신신호 중에서 가장 전력이 강한 신호만을 사용하므로 상대적으로 검출능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이를 보완하고자 다중 경로에 대한 이득을 추가로 적용시켜 성능을 개선시킨 다음에 이것의 성능을 기존 방식과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개선된 검출방식의 성능 분석은 비트오율 확률분포 관점에서 이루어졌으며 이것을 기존 방식과 비교한 결과 다중경로 이득을 적용시킨 검출방식이 기존의 방식보다 채널의 지연 값, 사용자 수, 신호대 잡음비에 대한 비트 오율 확률분포의 성능이 더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
[
"본 연구는 기존의 MMSE 검출방식에 다중 경로에 대한 이득을 추가로 적용시켜 성능을 개선시킨 후 이것의 성능을 기존 방식과 비교‧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STBC CDMA 시스템의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 전송 용량을 높이고 무선 자원의 용량을 증가시켜 고속의 데이터전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검출 기법의 연구로 시공간 다이버시티 이득도 얻고 다중 간섭도 제거시키며 각각의 다중 경로에 대한 이득을 추가로 적용시킨 MMSE 검출기를 제안한다. 제안된 다중경로이득 적응형 MMSE 검출기는 여러 경로의 수신 신호 중에서 가장 전력이 강한 신호만을 사용하는 기존의 MMSE 검출방식과 달리 칩 상관필터와 2N+L 칩 샘플 저장부, 가중치 벡터 wl을 이용한 다중간섭 필터부, 이득 합성부, 콤바이너와 최종 값 결정부 등의 4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각 경로에 대한 수신 신호에 가중치 벡터 wl을 이용하여 다중간섭을 제거한 다음 각 경로의 특성에 따른 이득을 결합시키고 이러한 모든 경로에 대한 검출 신호를 모두 합한 다음에 그것의 실수부를 취해서 최종 검출값을 결정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제안된 검출기의 성능 분석은 비트 오율 확률 분포(Probability of Error)를 이용하여 이루어졌으며 기존방식과 비교한 결과 다중경로 이득 적응형 MMSE 검출기가 기존의 검출기보다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다중경로이득 적응형 MMSE 검출기는 각 경로에 대한 수신 신호에 가중치 벡터를 이용하여 다중간섭을 제거한 후 이득을 결합시키고 모든 경로에 대한 검출 신호를 모두 합한 다음 실수부를 취해 최종 검출값을 결정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며, 기존방식과 비교한 결과 기존의 검출기보다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 |
A201007090858
|
바이트 가변 연산기능을 가진 블록 암호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
paper
|
정보통신과 네트워크의 발전으로 인하여 정보에 대한 보안의 중요성이 날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암호시스템들이 발전하고 있으나 비례적으로 크랙 및 해킹의 기술도 발전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바이트 가변연산을 이용하여 블록암호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설계된 바이트 기반 블록암호시스템은 고정된 DC 및 LC를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이러한 공격방법으로부터 안전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기존 대칭형 암호시스템이 가지고 있던 처리속도와 비대칭 암호시스템이 가지고 있던 인증기능을 모두 포함함으로서 네트워크 기반에서의 정보통신발달에 많은 도움을 주리라 사료된다.
|
[
"본 연구에서는 바이트 가변연산을 활용하여 블록암호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설계된 시스템은 고정된 LC 및 DC를 발생시키지 않아 이러한 공격방법으로부터 안전하다. ",
"네트워크 환경 및 멀티미디어에 대한 연계서비스의 만족을 위해서는 다수의 사용자에 대하여 보다 안전하며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고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시켜야 한다. 이러한 전제조건을 만족하기 위하여 2000년도에 대칭형 암호알고리즘으로 AES의 한 후보였던 Rijndael이 채택되었다. 그러나 AES의 후보 알고리즘들은 구현 또는 비도 측면에서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AES들에 대한 단점들을 없애고자 새로운 블록 암호알고리즘을 제안하여 설계하였다. 제안된 새로운 암호알고리즘은 평문 또는 암호문의 일부분과 ID를 이용하여 암호 키를 생성함으로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실시간 처리 및 높은 비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암호화를 수행하는 자원으로 자체 정보만을 가진다. 자체정보는 변환블록에서 4가지 종류의 변환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4가지의 변환은 동시다발적으로 수행되며 정보에 대한 event 발생시마다 라운드 변환으로 취급하기 때문에 각 라운드는 정보변환에 대한 기준가치로서 판단할 수 있다.",
"2000년도에 대칭형 암호알고리즘으로 AES의 한 후보였던 Rijndael이 채택되었다. 그러나 AES의 후보 알고리즘들은 구현 또는 비도 측면에서 단점이 많다. 이에 본 논문은 이러한 AES의 단점들을 없애고자 새로운 블록 암호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 |
A201007090869
|
통합보안 관리시스템의 침입탐지 및 대응을 위한 보안 정책 모델
|
paper
|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들의 발전으로 인하여 매우 다양한 침입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침입을 탐지 및 대응하기 위하여 방화벽 또는 IDS와 같은 보안 솔루션들이 생겨나고 있으며 이들을 탑재한 보안시스템의 관리가 더욱 힘들어지고 있다. 더욱이 보안을 요구하는 시스템들의 환경이 다양하여 그에 적합한 보안정책을 수립하여 관리하기가 어려워지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보안시스템의 통합관리와 각 시스템들의 침입탐지 및 대응에 대한 모델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광범위한 네트워크 자원을 관리하는 PBNM 구조를 개선하고 보안시스템의 침입탐지 및 대응에 적합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제시된 모델을 통합보안관리시스템에 적용시킴으로써 효과적인 침입탐지 및 대응을 위한 보안 정책 모델을 기반으로 통합보안관리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
"본 연구에서는 PBNM 구조를 개선하고 보안시스템의 침입탐지 및 대응에 적합한 새로운 모델을 제시‧적용시킴으로써 효율적인 침입탐지 및 대응을 위한 보안 정책 모델을 바탕으로 통합보안관리시스템을 설계하였다.",
"현재 시스템의 보안을 위하여 다양한 보안제품들이 상용화되었고 이를 탑재하여 운영 중인 시스템들이 상당수에 이른다. 하지만 침입의 유형이 매우 다양화 되면서 침입에 대한 탐지 및 대응이 매우 복잡해지고 보안제품에 따라 기능 및 제어가 어려워지고 있다. 그로인해 다양한 보안솔루션에 대한 보안관리자들의 통합보안관리가 요구되었고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보안솔루션의 통합관리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었다. 더불어 네트워크 자원에 대한 관리 및 운용과 관련하여 IETF에서는 정책기반관리 모델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네트워크와 관련된 장비 및 이에 준하는 솔루션들의 광범위한 관리를 위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광범위한 정책기반관리 모델을 변형하여 침입탐지 및 대응에 적합한 변형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통합보안관리(ESM)시스템과 연계시킴으로써 침입탐지 및 대응에 대한 정책기반의 통합보안관리시스템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2장에서는 정책기반의 네트워크 관리모델과 통합보안관리 모델에 대해 알아보고 3장에서 침입탐지 및 대응을 위한 보안정책 모델의 적용과정 및 비율산출을 정의하고 비율산출에 따른 신규정책 수립 모델의 생성과정을 기술하며 4장에서는 논문에서 제시한 SPB-ESM 시스템의 모듈별 설계와 모델적용에 대하여 언급한다.",
"다양한 보안솔루션에 대한 보안관리자들의 통합보안관리와 다양한 보안솔루션의 통합관리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광범위한 정책기반관리 모델을 변형하여 침입탐지 및 대응에 적합한 변형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통합보안관리시스템과 연계시킨 정책기반의 통합보안관리시스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
A201007090875
|
경찰대학 운영체제의 재정립 방안
|
paper
|
본 연구는 경찰대학의 운영체제를 재정립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경찰대학은 설립당시와 달리 일반대학 경찰관련 학과가 증설되면서 역할 또는 기능 측면에서 여러 가지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나아가 최근에 발생되고 있는 범죄현상의 변화에도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따라서 경찰대학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변화들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역할 또는 기능의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위해서는 경찰대학의 폐지, 기능변화 또는 운영시스템에 대한 획기적 전환조치 등이 선택적 또는 병행적으로 고려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는 통계자료 및 문헌고찰을 통하여 최근의 환경변화와 경찰대학간의 충돌현상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경찰대학의 새로운 역할 또는 기능 정립방안을 모색한다.
|
[
"경찰대학은 설립당시와 달리 일반대학 경찰관련 학과가 증설되면서 기능 혹은 역할 측면에서 다양한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경찰대학의 운영체제를 재정립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
"일반대학들에 경찰관련 학과의 설치가 증가되면서 경찰대학의 역할 및 기능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증대되기 시작하였다. 즉, 최근의 환경변화로 인하여 경찰대학 이외의 일반대학들에서도 경찰조직이 요구하는 우수인재의 양성이 충분히 가능한 여건이 조성되었고, 이와 같은 여건들은 경찰대학이 수행하는 기능의 고유성을 상실하게 하였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찰대학이 지속적으로 누리고 있는 다양한 특례들은 그야말로 특혜에 해당하는 대우로 전락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비판적 시각들은 현행의 국립 경찰대학이 새로운 모습으로 재탄생되길 바라는 일종의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여기에서는 국립 경찰대학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적 요인들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으며, 그러한 환경적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국립 경찰대학의 적절한 대응방안은 무엇인가에 대한 시론적 탐색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연구의 전체적 범위를 국립 경찰대학의 기능에 초점을 두고, 기능분석의 보완수단으로 학과편제, 교과과정 및 학위수여 등을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내용의 효과적 분석을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문헌분석과 통계자료를 활용하고 있다.",
"최근 일반대학에서도 경찰조직이 요구하는 우수 인재의 양성이 충분히 가능한 여건이 조성되었고, 이는 경찰대학이 수행하는 기능의 고유성을 상실케 하였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국립 경찰대학을 둘러싼 환경적 요인들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으며, 그러한 변화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방안에 대한 시론적 탐색을 하고자 한다."
] |
A201007090880
|
신용불량자에 의한 범죄의 양상에 관한 연구
|
paper
|
최근에 들어 우리 사회가 당면한 가장 심각한 사회문제의 하나는 신용불량자 문제이다. 신용불량자는 최근에 들어 급증하여 2003년 9월말 현재 350만 1,897명으로 인구 100명당 7.6명이 신용불량자이며 경제활동인구를 기준으로 할 때는 100명당 15명이 신용불량자란 굴레를 쓰고 있다. 신용불량자 문제는 그 규모가 심각할 뿐만 아니라 사회생활 전반에 걸쳐 다양한 폐해를 초래하고 있다. 신량불량자 문제와 관련하여 본 연구가 다루는 사항은 신용불량자들에 의한 범죄양상과 이들에 대한 효율적 대처방안이다. 연구는 1998년 이후 2003년 11월까지 전국의 언론매체에 보도된 신용불량 관련범죄 106건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최근에 들어 신용불량자에 의한 범죄발생이 급증하는 추세였으며, 신용불량자들이 저지르는 범죄유형들 중에서 가장 빈번한 것은 강도범죄이었다. 남자 신용불량자들은 강도, 살인/살인미수, 납치/협박 등을 자주 저질렀으며 여자 신용불량자들은 절도와 사기를 자주 저지르는 경향이었다. 20~29세의 젊은 신용불량자들은 강도를 자주 저지르는 경향이었고, 40세 이상의 나이든 신용불량자들은 절도와 사기/횡령을 저지르는 경향이 강하였고, 납치/협박 역시 20~29세와 30~39세의 비교적 젊은 신용불량자들이 저지르는 경향이 강하였다. 소액신용불량자들은 강도를 저지르는 경향이 강하였고, 고액신용불량자들은 살인/살인미수와 납치/협박을 저지르는 경향이 강하였다. 신용불량자들의 범죄발생추세는 일반화경향(generalization type)이 강하였다. 강도와 절도의 경우에는 다소의 전문화경향이 있었지만, 최근에 들면서 다양한 유형의 범죄가 저질러지는 일반화경향이 강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모집단차별론과 상황의존론 모두를 지지하는 것으로 개인의 낮은 자아통제력과 함께 신용불량자로 등록됨으로써 겪는 경제적 상황변화가 이들이 범죄에 빠져드는데 있어 중요한 인과요인이었음을 시사한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기존의 상황완화책과 함께 장기적인 신용교육과 신용불량자들이 범죄기회를 쉽게 접하지 못하도록 하는 범죄기회 차단노력을 이들의 반사회적 행위에 대처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
[
"신용불량자 문제는 그 규모가 심각할 뿐만 아니라 사회생활 전반에 걸쳐 여러 가지 폐해를 초래하고 있다. 신량불량자 문제와 관련하여 본 연구가 다루는 사항은 신용불량자들에 의한 범죄양상과 이들에 대한 효율적 대처방안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최근에 들어 신용불량자에 의한 범죄발생이 급증하였으며, 신용불량자들이 저지르는 범죄유형들 가운데 가장 빈도가 높은 것은 강도범죄이었다. 남자 신용불량자들은 강도, 살인/살인미수, 납치/협박 등을 자주 저질렀으며 여자 신용불량자들은 절도와 사기를 자주 저지르는 경향이었다. ",
"신용불량자를 양산한 신용카드사들은 결국 연체율 증가로 인해 경영상태가 급격히 악화되고 다른 금융기관들이 자신의 보호를 위해 카드사용액을 줄일 경우에 돌려막기로 겨우 연체를 피했던 사람들이 새로운 신용불량자로 편입됨으로써 금융기관 전체가 위기상태에 빠져들 수 있다. 이와 함께 신량불량자에 의하여 사회불안이 심화될 수 있다. 신용불량자로 낙인됨으로써 이들은 희망을 상실하고 자포자기에 빠져 연일 언론에 보도되듯이 범죄자로 전락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범죄가 발생함으로써 범죄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뿐만 아니라 범죄예방을 위한 비용, 대다수의 국민이 범죄대상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경제적 단위로 환산할 수 없는 심각한 수준의 범죄에의 두려움(fear of crime) 등 우리 사회는 많은 비용을 치루어야 한다. 신용불량자 문제와 관련하여 본 연구가 다루고자 하는 사항은 신용불량자들에 의한 범죄양상과 이들에 대한 효율적인 대처방안이다. 그간 국내에서 신용카드제도나 신용카드의 불법사용 등에 관한 규범적 연구는 있었으나 신용불량자들에 의한 범죄행위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실시되지 않았다.",
"신용불량자가 된 사람들은 희망을 상실하고 자포자기에 빠져 범죄자로 전락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범죄 발생은 직접적인 피해뿐만 아니라 대다수 국민이 범죄대상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경제적 단위로 환산할 수 없는 사회적 비용을 치르게 한다."
] |
A201007090885
|
강력범죄에서의 범죄자 유형 분석기법(Criminal Profiling)의 도입에 관한 연구
|
paper
|
범죄자 유형 분석기법은 매우 유용한 범죄수사기법이다. 어떤 사건들에서는 이러한 분석기법이 유용하기도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특별한 동기의 살인사건이나 강간범죄사건 수사의 경우, 매우 적합한 수사기법이다. 살인 범죄현장과 같이 범인의 동기를 잘 추정할 수 없거나 물리적 증거가 충분하지 않는 경우에, 심리학적 프로파일링은 수사관에게 사건해결에 대한 훌륭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래서 미국, 독일, 영국, 캐나다 등 선진 각국의 경찰에서는 이러한 수사기법을 활발하게 응용하고 있다. 또한 同기법은 과학적 수사기법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그런데 한국에서는 아직까지 이러한 수사기법이 별로 활용되지 않고 있다. 최근 점증하고 있는 강력범죄동향에 따르면, 그 중요성이 더욱 더 증가할 것이다. 필자는 본 연구를 통하여 범죄자유형분석기법의 개념, 목적 그리고 다양한 전략에 대해서 소개하였으며, 한국 경찰의 과학적 수사기반구축을 위한 형사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
[
"필자는 본 연구를 통하여 범죄자 유형 분석기법의 개념, 목적 그리고 여러 가지 전략에 대해서 소개하고 아울러 한국 경찰의 과학적 수사기반구축을 위한 형사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최근 특정범죄자에 의하여 同種 혹은 類他 강력(흉악)범죄가 빈발하는 가 하면, 이상심리자에 의한 범죄가 빈발하는 등 일반적인 수사기법으로 해결하기에 어려운 사건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상심리자에 의한 특이한 범죄수법은 합리적 추리가 어렵다. 교묘히 도피하는 연쇄 살인범의 행각에 맞서 경찰이 가질 수 있는 최고의 무기는 그들의 행동프로파일(Behavior Profile)이라고 한다가 특히 강력범죄 발생빈도가 매우 높은 미국에서는 일찍이 FBI(행동과학부-BSU)를 중심으로 범죄자의 심리상태와 범죄자의 특징(Modus Operandi: MO)을 반영하는 범죄현장을 중심으로 범죄자의 형태를 추론해나가는 범죄수사 기법이 발전되어 왔다. 전문화된 수사기법을 활용함으로써 범인추정, 용의자 압축 등의 효과를 거양하고 있다. 최근 한국 경찰에서도 강력사건의 범죄자에 대한 人的, 環境的 특성 등에 대한 기록 분석을 통하여 종합적 의미를 갖도록 하려는 노력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강력사건 범죄자의 특성에 따른 분류방식, 범인의 범행동기·과정, 피해자와의 관계 범행의 포악성 등의 분석기법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각국의 활용사례를 소개함으로써, 한국 경찰의 과학수사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미국에서는 일찍이 범죄자의 심리상태와 범죄자의 특징을 반영하는 범죄현장을 중심으로 범죄자의 형태를 추론해나가는 범죄수사 기법이 발전해 왔으며 최근 한국에서도 강력사건의 범죄자에 대한 人的, 環境的 특성 등에 대한 기록 분석이 강조되고 있다."
] |
A201007090890
|
노인의 범죄피해 특징 및 대책에 관한 연구
|
paper
|
범죄학계나 형사사법기관에서는 60세 이상의 사람을 노인이라고 정하고, 관련 정책입안과 통계관리를 하고 있으나 노인의 복지나 취업 등과 관련해서는 그 기준연령이 차이가 있다. 노인의 범죄피해는 형법범 피해와 특별법 피해로 구분할 수 있다. 형법범에 대한 피해는 재산범이 가장 많으며, 다음이 강력범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최근에는 다른 연령층보다 재산범죄의 피해는 줄고, 상대적으로 강력범죄와 위조범, 풍속범죄 등의 피해는 증가하는 추세이다. 재산범 피해는 사기와 절도가 가장 많다. 강력범 피해는 상해, 다음이 폭행, 강도, 협박, 방화, 강간, 살인, 공갈, 체포와감금, 약취와유인 등의 순인 것으로 분석된다. 특별법에 대한 노인의 피해는 교통사범과 폭력사범, 그리고 특정범죄가중사범 등에 의한 피해가 대부분이며, 최근에는 성폭력사범 피해도 증가하는 경향이다. 노인의 범죄피해대책은 1차적으로 범죄에 대한 노인의 경계의식이 선행되어야 하며, 2차적으로는 노인을 배려한 경찰행정과 범죄피해자구조제도의 활성화, 그리고 민간의 피해자지원네트워크의 구축 등이 필요하다.
|
[
"특별법에 대한 노인의 피해는 폭력사범과 교통사범, 특정범죄가중사범 등에 의한 피해가 대부분이며, 성폭력사범 피해도 증가하고 있다. 노인의 범죄피해대책은 범죄에 대한 노인의 경계의식이 선행되어야 하며, 경찰행정과 범죄피해자구조제도의 활성화, 민간의 피해자지원네트워크의 구축 등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노인의 범죄피해의 실태 및 특성에 대해 분석하여 향후 관련 정책적 대안 모색의 지표를 제시하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노인범죄의 피해를 알아보기 위하여 1995년부터 2002년까지 대검찰청에서 발간된 범죄분석과 법무연수원의 범죄백서, 그리고 통계청의 자료를 주로 활용하였다. 범죄를 형법법과 특별법으로 나누고, 다시 형법범을 재산범, 강력범, 위조범, 공무원범, 풍속범, 과실범 등으로 분류하여 연구대상기간 중 이들 범죄에 대한 노인의 피해와 노인을 제외한 전체 범죄피해 추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재산범을 다시 절도, 장물, 사기, 횡령, 배임, 손괴 등으로, 그리고 강력범을 다시 살인, 강도, 강간, 방화, 폭행, 상해, 약취와유인, 체포와 감금 등으로 재분류하여 이들 범죄에 대한 노인과 노인을 제외한 기타 연령층의 피해를 비교분석하였다. 특별법 분야는 그 범주가 매우 광범위하므로 그 중 가장 피해가 큰 교통사범, 폭력사범, 특가법사범 및 특별히 관심이 필요한 성폭력사범 등에 대한 노인의 범죄피해의 추세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논문은 노인의 범죄피해의 실태 및 특성에 대해 분석하여 향후 관련 정책적 대안 모색의 지표를 제시하고자, 빈도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대상기간 중 이들 범죄에 대한 노인의 피해와 노인을 제외한 피해 추이를 분석하였다."
] |
A201007090895
|
Forward C.P Net. 을 이용한 3단 LVQ 학습알고리즘
|
paper
|
본 논문에서는 LVQ 네트워크의 분류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F.C.P.Net.을 이용하여 LVQ 학습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F.C.P.Net.의 입력층과 부류층 사이의 연결강도는 SOM과 LVQ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초기 참조벡터의 설정 및 학습이 가능하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패턴벡터를 부류층의 뉴런에 의해 종속부류로 분류하고, F.C.P.Net.의 부류층과 출력층 사이의 연결강도는 분류된 종속부류를 부류로 지정하는 학습을 하게 된다. 또한 부류의 수가 결정되기만 하면 입력층, 부류층, 출력층의 뉴런의 수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된 학습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Fisher의 Iris 데이터를 학습벡터 및 시험 벡터로 사용하여 시뮬레이션 하였고, 제안된 학습방식의 분류 성능은 기존의 LVQ와 비교되어 기존의 학습방식보다 우수한 분류성공률을 확인하였다.
|
[
"본 연구에서는 LVQ 네트워크의 분류성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F.C.P.Net.을 이용하여 LVQ 학습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제안된 학습방식의 분류 성능은 기존의 LVQ와 비교되어 기존의 학습방식에 비해 우수한 분류성공률을 확인하였다.",
"LVQ의 학습에는 이웃반경이 고려되지 않고 오직 숭리뉴런에 연결된 연결강도 만의 학습이 이루어지므로 입력패턴벡터공간에서 특성화 지도를 형성하지 않으므로, 이로 인하여 패턴분류의 성능은 연결강도의 초기값 설정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 또한 LVQ 학습에서 분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종속 부류를 지정하는 출력뉴런 각각을 어떤 부류에 지정하는가 하는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LVQ의 분류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인 초기값 설정과 출력뉴런의 부류지정 설정이 신경회로망으로 자동 학습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사용된 신경회로망은 3층 전방향 구조를 가지며, in-star와 out-star 학습법을 사용하는 F.C.P. Net.을 사용하였고, LVQ 초기 참조벡터의 학습, 정밀한 참조벡터의 학습, 종속 부류가 속할 부류지정학습으로 이루어지는 3단계 학습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학습네트워크의 분류성능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Fisher의 Iris 데이터에 적용하여 패턴분류 성능을 시뮬레이션하고 기존의 LVQ와 성능을 비교하였다.",
"LVQ 학습의 패턴분류 성능은 연결강도의 초기값 설정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출력뉴런 부류 지정의 영향을 받는다. 이에 본 논문은 초기값 설정과 출력뉴런의 부류지정 설정이 신경회로망으로 자동학습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이 신경회로망은 3층 전방향 구조이며, F.C.P. Net.을 사용하였다."
] |
A201007090899
|
통보형 XML 공문서 관리를 위한 프레임웍 설계
|
paper
|
학교 내의 문서 전달은 교육청과 같은 규모가 큰 교육기관과는 달리 소규모라는 점 때문에 소홀히 여겨져 왔다. 외부의 행정 환경 변화에 따라 학교 내의 행정 서비스 전달 체계도 그 구조와 틀을 쇄신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 논문은 실제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통보형 XML 공문서 관리를 위한 프레임웍을 설계하고, 컴포넌트 관계로 모델링하여 JSP 컴포넌트 기반의 공문서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시스템은 기한이 임박한 공문서와 같은 교육활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줄이고 문서 관리 체계의 전산화로 학교 내 행정 서비스 환경을 개선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
[
"실제 학교 현장에서 쓰일 수 있도록 통보형 XML 공문서 관리를 위한 프레임웍을 설계하고, 컴포넌트 관계로 모델링하여 JSP 컴포넌트 기반의 공문서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교사들은 담임의 역할을 다 하기 위해 하루 일과의 60% 이상은 학생들에게 전념하고 있다. 보직 교사마다 담당 공문서 수의 편차는 있겠지만 이러한 상황에서의 공문서 전달 및 문의 자체는 정상적인 교육활동에 방해 요소로 작용하고 있고, 그러한 점에서 공문서 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이 더욱 크다고 보았다. 현재 교육청의 문서유통 그룹웨어를 통해 학교로 전달되는 공문서는 전용 뷰어가 필요한 고유의 문서형식으로 저장되고 있다. XML 문서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은 그룹웨어의 신규 버전에서 제공하며, 추가로 문서의 전자적 이관 및 기록보존과의 연계 필요성에 따라 각 기관에서는 신규 버전의 그룹웨어를 도입할 예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부의 문서형 정의(DTD : Document Type Definition) 표준에 맞춰 XML 공문서를 작성하고 그 내용도 실제의 공문서 내용과 유사하게 만들어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통보형 XML 공문서 관리를 위한 프레임웍을 설계하고, 컴포넌트 관계로 모델링하여 JSP 컴포넌트 기반의 공문서 관리 시스템을 구현한다.",
"교육청 그룹웨어를 통해 학교로 전달되는 공문서는 전용 뷰어가 필요한 문서형식으로 저장된다. XML 문서로 변환·저장하는 기능은 신규 버전에서 제공하며, 필요에 따라 각 기관에서 신규 버전을 도입할 예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통보형 XML 공문서 관리를 위한 프레임웍을 설계하고자 한다."
] |
A201007090903
|
초등학생의 ICT 활용 오류 처치 방안 연구
|
paper
|
본 연구에서는 ICT 교육의 효과를 높이고자 ICT 활용 학습 과정 시 학습자에게서 나타나는 오류의 사례들을 분석하여 오류 유형을 설정하고 그에 대한 효과적인 처치 방안을 탐색하였다. 관찰, 면담, 설문 조사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오류 사례를 탐색한 결과 기능 혼동 오류, 개념 혼동 오류, 인터페이스 해석 장애 오류, 심리적 불안으로 인한 오류, 학습자 성격 유형에 의한 오류, 습관적인 오류 등 6가지 오류 유형을 설정하였다. 그중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하는 기능 혼동 오류와 개념 혼동 오류 중심으로 웹 기반 Q&A 학습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용한 오류 처치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한 오류 처치 방안을 현장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
[
"본 연구에서는 ICT 활용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에게서 나타나는 오류의 사례들을 분석함으로써 오류 유형을 설정하고 그에 대한 효과적인 처치 방안을 탐색하였다.",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ICT 교육에 있어서 실험자료를 바탕으로 한 오류 분석을 통해 ICT 활용 학습과정에서 일어나는 오류를 분석하고 그 원인과 대책을 강구하여 학습자들이 가지는 학습상의 난점들과 그 원인을 살펴보는 일은 의의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오류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하여 교사는 학습자의 문제점을 객관적으로 파악하여 학습자의 오류가 화석화(化石化)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을 알 수 있다. 또한 학습자의 실제적인 학습능력을 진단할 수 있으며 학습과정에 대한 통찰력을 기를 수 있어서 학습자의 학습능력 개발은 물론, 효과적인 ICT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ICT 활용 학습시 학습자들의 학습상황을 예측하고 파악하여 교사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을 높이기 위해, ICT 활용 학습 과정 시에 발생하는 오류의 사례들을 분석하여 학습자에게서 나타나는 오류 유형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처치 방안을 탐색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학습자의 오류유형에 따른 적절한 처치를 함으로써 ICT 교육의 효과를 높이고자 함이다.",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ICT 교육에 있어 실험자료를 바탕으로 한 오류 분석을 통해 학습자들의 학습상 난점과 그 원인을 살펴보는 일은 의의 있는 일이다. 이에 본 연구는 ICT 활용 학습 과정 시 발생하는 오류의 사례들을 분석, 오류 유형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처치 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 |
A201007090907
|
대학에서 국산 5세대 프로그램 저작도구의 교육에 대한 연구
|
paper
|
유비쿼터스 시대에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본인은 대학에서 국산 5세대 프로그램 저작도구를 교육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기존의 외산 프로그램 저작도구에 비해 국산 5세대 프로그램 저작도구의 기능과 특징, 장점과 단점을 연구하며, 저작도구의 학습에서 발생한 운영체제나 이용에 대한 문제점을 조사한다. 대학의 교육 현장에서 기존의 유사한 외산 프로그램에 비하여 툴 사용, 코딩(스크립트), 프로그램 응용부문에서 학생들의 반응도를 조사하여 분석한다. 그리고 가르치는 교수와 개발실무자의 의견을 통해 국산 저작도구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거기에 대한 대안을 제시한다.
|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외산 프로그램 저작도구에 비해 국산 5세대 프로그램 저작도구의 기능과 특징, 장점과 단점을 연구하며, 이용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최근의 유비쿼터스 시대에 전자상거래를 위해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의 개발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프로그램 저작도구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시기이다. 국내에서 개발된 프로그램 저작도구는 대학생들에게 교육을 통해 가르쳐지고, 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졸업 후에 실무에서 프로그램 개발을 계속한다. 따라서 대학교육 현장에서 국산 프로그램 저작도구에 관한 장점과 단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고, 연구결과의 분석에 따른 실무적인 교육 과개발 방법들이 개선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최근 국내에서 개발된 5세대 프로그램 저작도구가 있어, 이 저작도구를 대학의 컴퓨터 정보과 학생들에게 강의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의 II. 관련 연구에서는 기존의 외산 프로그램 저작도구와 문제점에 대해서 연구해본다. III. 국산 5세대 프로그램 저작도구의 연구 분석에서는 저작도구의 부문별 기능과 특징 및 응용분야와 장점 및 문제점들을 연구한다. IV.에서 2004년 11월 대학 교육 현장 연구에서 학생들이 프로그램 저작도구 학습에서 느끼게 되는 툴 사용, 코딩(스크립트), 프로그램 응용부문에서 학생들의 반응을 조사하여 분석한다.",
"국내에서 개발된 프로그램 저작도구는 대학생들에게 교육되고, 그 학생들이 졸업 후에 실무에서 프로그램 개발을 계속한다. 그러므로 대학교육 현장에서 국산 프로그램 저작도구에 관한 장·단점과 실무적인 교육과개발 방법을 연구해야 한다. 이에 최근 국내에서 개발된 5세대 프로그램 저작도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 |
A201007090911
|
국어 로마자 전사표기 웹 컴포넌트 설계 및 구현
|
paper
|
개정된 국어 로마자 표기법의 기계적 변환을 위하여 웹 기반하의 컴포넌트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특히 음운법칙을 적용하여 소리글자로 변환 후 로마자 표기로 자동 변환하는 과정과 전사법 변환에 관한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컴포넌트는 웹 서버의 스크립트 메커니즘에 의해 작동하도록 하였고, 예외어 사전 등은 웹 서버 내부 혹은 외부에서 지원하는 보조 기능으로 설계하였으며, 전체적인 시스템 구조는 UML 명세서와 의사 코드를 이용하여 작성하였다. 제안된 구조는 웹 컴포넌트 형태의 캡슐화 서비스를 제안함으로써 소프트웨어 개발의 경제성, 라이브러리 재사용 및 확장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본 연구는 개정된 국어 로마자 표기법의 기계적 변환을 위하여 웹 기반하의 컴포넌트를 설계 및 구현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국어 로마자 표기법의 기계적 변환을 위하여 음운법칙을 적용하여 소리글자로 변환 후 개정안 로마자 표기로 자동 변환하는 웹 기반하의 컴포넌트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또한 표음 중심의 전사표기법 변환에 관한 반달표와 어깻점 폰트를 지원하여 전사표기법 기계적 변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예외어 사전 관리 기법을 제시하였다. 전체적인 시스템 구조는 객체 지향 방법론의 UML 명세서와 의사 코드(Pseudo Code)를 이용하여 제시하였으며, 컴포넌트는 웹 서버의 스크립트 메커니즘에 의해 작동하도록 하였고, 예외어 사전 등은 웹 서버 내부 혹은 외부에서 지원하는 보조 기능으로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구조는 인터넷 환경에서 쉽게 사용하고(plug-in) 변경할 수 있는 웹 컴포넌트 형태의 캡슐화 서비스를 제안함으로써 소프트웨어 개발의 경제성, 라이브러리 재사용 및 확장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과 제로는 XML 기반의 플랫폼과 유니코드(Unicode) 적용과 유무선 컨텐츠 분야에서의 웹 서비스 활용방안 확대와 동시에 관련 컴포넌트들 사이의 상호 작용 표준을 정의하는 기준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국어 로마자 표기법의 기계적 변환을 위하여 음운법칙을 적용, 소리글자로 변환 후 개정안 로마자 표기로 자동 변환하는 웹 기반의 컴포넌트를 구현하였다. 이는 인터넷 환경에서 쉽게 사용·변경할 수 있는 캡슐화 서비스로, 소프트웨어 개발의 경제성, 라이브러리 재사용 및 확장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
A201007090915
|
에너지 라벨링 그룹화를 이용한 고속 음성인식 시스템
|
paper
|
본 논문에서는 입력된 음성의 음소단위로 추출된 에너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라벨링(energy labeling)하고 라벨링된 값에 따라 입력 음성을 그룹화하였다. 그리고 동적패턴정합 수행 시 입력된 실험음성에서 검출된 에너지의 크기에 따라 선택된 라벨의 그룹 내에서 DTW를 수행시켜 처리시간을 단축시켜 저가형 프로세서에서도 고속으로 동작할 수 있게 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음성 라벨링 단계는 음성의 구간 검출 및 에너지 파라미터의 추출 단계에서 정확한 파라미터의 검출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피치의 주기에 따른 가변윈도우를 사용하였다. 피치주기를 먼저 구하고 그 주기에 200 프레임에서 300프레임 사이에서 윈도우의 크기를 결정함으로써 윈도우의 영향이 제거된 에너지를 구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실험결과 제안된 방법이 약 25% 정도의 연산량을 감소시켰다.
|
[
"본 연구에서는 입력된 음성의 음소단위로 추출된 에너지 파라미터를 활용하여 에너지를 라벨링(energy labeling)하고 이와 같이 라벨링된 값에 따라 입력 음성을 그룹화하였다.",
"인간과 기계사이 뿐만 아니라 인간과 인간 사이에 기계를 통한 통역을 자동적으로 하고자 하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1960년대부터 음성 발성과 이해에 관해 많은 기초적 연구가 진행된 이래 기계에 의한 연속음성인식, 합성에는 아직 많은 과제가 남아있지만 최근 40여 년간 연구결과로 고립단어 인식에 많은 발전이 있어 미국, 유럽 일본 등에서는 상용제품도 출현하고 있다. 이들 인식시스템의 대부분은 고립단어, 또는 한정된 범주의 연속음성인식시스템이지만 잡음환경 하에서도 95%이상의 인식률을 가진 것이 많다. 인식시스템의 경우, 성능 향상에 비례하여 응용분야도 복잡화 다양화되어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음소 단위의 에너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기준패턴을 그룹화하고 기존의 동적시간정합법(DTW)을 이용한 고립단어 인식시스템에 처리시간을 감소시켜 저가형 프로세서에서도 고속으로 동작할 수 있게 하도록 하였다. 저가형 프로세서를 사용한 음성인식이 가능하다면, 제안된 음성인식 알고리즘을 사용한 제품의 전체 가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에서는 음소 단위의 에너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기준패턴을 그룹화하고 동적시간정합법을 이용한 고립단어 인식시스템의 처리시간을 줄여 저가형 프로세서에서도 고속으로 동작할 수 있게 하였다. 이를 통해 제품의 가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
A201007090919
|
계층적 공간 분할 방법을 이용한 의복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paper
|
본 논문은 여러 옷감 조각들을 이용하여 가상의 3차원 인체 모델에 옷을 입히기 위한 의복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의복은 서로 꿰매지는 2차원 재단 패턴으로 구성된다. 제안된 시스템은 3차원 인체 모델 파일과 2차원 재단 패턴 파일을 읽어 들인 다음에 질량-스프링 모델에 기반한 물리적 시뮬레이션에 의해 의복을 착용한 3D 모델을 생성한다. 본 논문의 시스템은 사실적인 시뮬레이션을 위하여 인체 모델을 구성하는 삼각형과 의복을 구성하는 삼각형 사이의 충돌을 검사하고 반응 처리를 수행하였다. 인체를 구성하는 삼각형의 수가 매우 많으므로, 이러한 충돌 검사 및 반응 처리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공간 분할 기법을 이용하여 충돌 검사 및 반응 처리 수를 줄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본 논문의 시스템은 사실적인 영상을 생성할 수 있었고 수초 이내에 가상 인체 모델에 의복을 입힐 수 있었다.
|
[
"본 연구는 여러 옷감 조각들을 사용하여 가상의 3차원 인체 모델에게 옷을 입히기 위한 의복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 의복은 서로 꿰매지는 2차원 재단 패턴으로 구성된다. ",
"현재의 의상 디자인 시스템 기술은 대부분 2D 영상에 의존하고 있다. 이는 주어진 사진 객체에서 디자인을 카달로그 형식으로 보여주거나 같은 디자인에 옷감의 종류만을 바꾸어볼 수 있는 효과만을 가지고 있을 뿐 다른 디자인을 적용 시켜보거나 옷감의 종류에 따라 디자인을 바꾸어 볼 수 있는 방법은 가지고 있지 않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패션디자인 분야에서는 직접 의상의 샘플을 제작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을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러나 패션 디자인 분야에서도 웹과 인터넷을 활용한다면 생산자, 판매자, 소비자 사이의 거리를 단축시킴으로써 생산과 판매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3차원 인체 모델이 주어진 상태에서 2D 디자인 패턴을 이용하여 의복이 모델에 입혀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시스템은 의상 디자이너가 의복을 실제로 제작 해보지 않고서도 가상으로 그 결과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디자인 시간과 비용을 줄이는데 활용 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향후에는 Web3D 기술을 적용시켜, 웹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의상을 자신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미리 입어보고 구매할 수 있는 의류 전자상거래 분야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3차원 인체 모델이 주어진 상태에서 2D 디자인 패턴을 이용하여 의복이 모델에 입혀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시스템을 제안하였으며, 이 시스템은 의상 디자이너가 의복을 실제로 제작하지 않고서도 가상으로 그 결과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디자인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 |
A201007090925
|
지리교육 소프트웨어개발에 대한 요구사항분석과 논의
|
paper
|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학생들의 컴퓨터 활용능력이 향상되고 다양한 멀티미디어가 가용한 환경에서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 지리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교육용 소프트웨어 개발의 필요성이 여러 번 지적되었다. 이를 위하여 지리교육과정에서 필요한 소프트웨어의 발전과정과 문제점을 정리하고, 교육현장의 주체인 교사들의 멀티미디어 CD 또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요구사항을 조사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총 26개의 설문을 인터넷과 우편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주로 기술적 통계방법과 그래프를 사용하여 요구사항을 분석하였다. 적용 기대 단원은 지형분야로 나타났고, 기후와 지리정보가 그 다음으로 요구되고 있었다. 상대적으로 중요도는 떨어지나 지역소개 및 도시, 촌락, 인구 분야와 산업 활동, 입지, 통계분야에도 적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기대하고 있었다. 교사들과 교사들의 모임 사이트가 지리정보전문가의 홈페이지보다 훨씬 많이 활용되고 있는 반면, 국가 기관의 개발된 웹 사이트는 홍보 전략의 부족으로 교육적 가치를 발휘하지 못하고 있었다. 동영상과 사진 등의 멀티미디어의 제공에 대한 기대가 가장 컸고, 다양한 형태의 추가적 요구사항이 있었다. 소프트웨어 방법론적 분석, 시장 분석적 접근, 요구사항분석, 내용과 기술의 조화, 입시와 심화학습의 균형, 교사들의 다양한 수준, 재미와 원리의 균형, 지리정보와 교육내용의 결합에 대해 추가적으로 논의하였다.
|
[
"본 연구에서는 지리교육과정에서 필요한 소프트웨어의 발전과정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교육현장의 주체인 교사들의 멀티미디어 CD나 소프트웨어에 대한 요구사항을 조사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총 26개의 설문을 인터넷과 우편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주로 기술적 통계방법과 그래프를 활용하여 요구사항을 분석하였다. ",
"교육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현실적인 멀티미디어 교재 혹은 광의의 소프트웨어 개발의 성공 조건으로는 교과에 대한 교육과정의 이해, 프로그램에 대한 조작적 능력(manipulation ability), 프로그램 생산과정에서 총괄적으로 지휘할 수 있는 프로듀서의 능력(production director’s ability), 제품을 상품으로 포장할 수 있는 충분한 재원의 투자(delicate product), 생산물 판매 위한 전략적 접근(marketing strategy), 소프트웨어의 보급 이후 지속적인 사이트 운영을 통한 내용의 보강(after service), 적극적인 수업에의 적용을 통한 프로그램의 개선과정(feedback and refinement) 등 어느 하나를 무시하여서는 일시적인 시도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 국가적으로는 국가지리정보시스템(NGIS)이 시작된 지 8년이 지나가는 시점에서 차세대를 위한 지리 정보시스템 교육의 중요성을 간파하고 여러 대학에 커리큘럼을 개발하게 하고 중고교생을 위한 사이트개발에 노력을 하고 있으나 실제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현장의 요구사항과 실태와는 거리가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지거나 홍보 부족으로 활용되는 사례가 많지 않다.",
"국가적으로는 NGIS가 시작된 지 8년이 지나가는 시점에서 차세대를 위한 지리 정보시스템 교육의 중요성을 간파해, 여러 대학에 커리큘럼을 개발하게 하고 중고교생을 위한 사이트개발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으나 실제 교육 현장의 요구사항과 실태와는 거리가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거나 홍보 부족으로 활용되는 사례가 많지 않다."
] |
A201007090930
|
SPICE 참조모델 요구사항을 지원하는 데이터 모델링 기법에 관한 연구
|
paper
|
객체 모델링 기법의 그래픽 표현을 이용하여 자료의 추상화, 캡슐화, 모듈화, 계층화 할 수 있는 새로운 그래픽 정보시스템 개발 기술이 절실히 필요하다. 그래픽 자료의 추상화 방법을 개선하기 위하여 복합 객체 기술로 자료의 추상화와 계층화 개념을 기반으로 모델링하였으며, 메쉬, 레이어, 세그먼트, 인스턴스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도형요소의 클래스들을 지원하는 분류화와 다중상속 관계모델을 제안한다. 객체 모델링 기법과 스파이스 참조 모델을 이용하여 간단한 그래픽 정보시스템 개발사례를 통하여 소프트웨어 개발주기와 소프트웨어 유지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요구사항을 지원하는 객체 표현 방법의 데이터 모델링 기법을 비교하고 평가한다.
|
[
"본 연구에서는 복합 객체 기술로 자료의 추상화와 계층화 개념을 기반으로 모델링하였으며, 세그먼트와 같은 다양한 도형요소의 클래스들을 지원하는 분류화와 다중상속 관계모델을 제안하였다.",
"종래의 구조적 프로그래밍, 구조적설계, 구조적 분석은 문제범위를 함수적인 속성위주로 데이터 구조와 논리들로서 해결하였으나, 1990년 초반 Booch, martin and odell, Rumbaugh의 객체지향분석과 설계기법은 자료절차를 묶어 객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현실세계를 표현하고 모델링하는 기법으로 모든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그래픽 표기법을 이용한 추상화, 캡슐화, 모듈화, 계층화 등의 일관된 객체지향 개념을 적용하여 분석, 설계 및 구현단계의 전과정에 사용되는 J . Rumbaugh의 객체모델링기법(OMT : Object Moeling Techniques) 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로 상이한 구조를 갖고, 자료의 추상화 표현이 제공되지 않는 지형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의 분석 및 설계과정에 모델링기법과 스파이스(SPI CE: Software Process Improvement and Capability dEtermination) 모델의 요구사항 관리를 접목하여 지형정보의 추상화 객체모델링과 지형정보의 계층구조를 표현하는 데 있으며 개발과정에서 요구사항 변경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하다.",
"본 연구는 상이한 구조를 가지며, 자료의 추상화 표현이 제공되지 않는 지형정보시스템의 분석 및 설계과정에 모델링기법과 스파이스 모델의 요구사항 관리를 접목하여 지형정보의 추상화 객체모델링과 지형정보의 계층구조를 표현하고자 개발과정에서 요구사항 변경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하다."
] |
A201007090934
|
음성 지원 WML 브라우져의 설계
|
paper
|
이동 통신 기기의 발달과 확산에 따라 이동 통신을 이용한 인터넷의 사용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인터넷을 이동 통신 기기에 적용하는 새로운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많은 이동 통신 장치들을 위한 새로운 방법의 인터넷 접근 기술을 연구하고 있으며 WML과 WAP을 이용한 이동 통신 장치와 인터넷과의 연결이 모색되고 있다. 그러나 이동 통신 장치의 작은 디스플레이는 인터넷 사용에 제약점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음성 지원을 지원하는 WML 브라우져를 설계하여 제약점을 극복하고자 한다.
|
[
"이동 통신 장치의 작은 디스플레이는 인터넷 사용에 제약이 많이 따른다. 이에 음성 지원을 지원하는 WML 브라우져를 설계하여 제약점을 보완하고자 한다.",
"현재 W3C에서는 음성을 이용하기 위한 웹 언어로 VoiceXML을 제공하고 있고 이 언어를 이용한 음성 응용프로그램이 나타나고 있으나 그 대상은 HIML과 같은 전통적인 컴퓨팅 환경을 이용한 웹 문서에 국한되고 있다. 그리고 음성을 이용한 탐색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이 있으나 이들은 거의 데스크 탑 환경에서 사용되고 휴대폰과 같은 제한된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사용되는 WML을 위한 전용 음성 브라우져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히 휴대폰을 위한 음성을 지원하기 위한 전용 브라우져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웹상에서 이동 통신 장비의 키패드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방법과 음성을 이용한 음성 지원 브라우져를 설계하여 디스플레이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설계된 음성 지원 브라우져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전통적인 컴퓨팅 환경의 키보드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지 않고도 음성을 통하여 이동 통신 장비를 이용하여 쉽게 웹과의 연동이 가능하게 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과 이동 통신 장치 간 연동에 많이 사용되는 마크 업 언어인 WML을 이용한 음성지원 WML 브라우져를 설계하였다.",
"현재 W3C에서는 휴대폰과 같은 제한된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사용되는 WML을 위한 전용 음성 브라우져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으며, 특히 휴대폰을 위한 음성을 지원 전용 브라우져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WML을 이용한 음성지원 WML 브라우져를 설계하여 디스플레이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 |
A201007090937
|
레거시 시스템과의 HL7기반 연동을 통한 HIS시스템 개발
|
paper
|
현대의 통합 의료 환경의 성공적인 운영에서 디지털 기술이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악화되는 의료 경영 환경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비즈니스 서비스 프로세스 및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의 정보화를 통한 비즈니스 서비스, 비용 및 관리의 효율성 향상을 이룩하여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HIS가 도입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HL7 기반으로 레거시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업무 및 진료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HIS를 제안한다. 즉, HL7 기반으로 OCS나 PACS 등과 같은 레거시 시스템들과 연동할 수 있는 HIS 시스템을 구축한다. 즉, 통합 모듈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HIS 시스템 개발 방법을 제시한다.
|
[
"본 연구는 HL7 기반으로 레거시 시스템과 연동함으로써 진료 및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HIS를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병원간 경쟁 체계가 심화되면서 병원경영 상태의 신속·정확한 파악, 의료서비스의 개선 및 노동 집약도 완화 등을 통한 효율적인 경영관리가 필요하게 되었다. 다양한 병원 업무를 원활하고 신속히 처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지금까지의 부분적인 병원 정보시스템에서 통합된 종합적인 의료 정보시스템인 HIS(Hospital Information System) 형태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정보시스템들이 각 의료기관마다 개별적으로 개발되고 있어 계열 병원간 정보교환 또는 시스템 통합 등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 환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환자 진료 수준의 질을 높이고, 의료기관의 업무의 효율화를 위해서는 각 의료기관간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의료 정보의 표준 데이터 교환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의료정보 분야의 전송표준인 HL7(Health Leval7)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HL7은 의료 업무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내용을 표준화하였기 때문에 의료 정보 공유를 위한 손쉬운 방법이지만, 다양한 선택 사항이 있기 때문에 HL7 메시지를 처리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레거시 시스템과의 연동시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의료정보의 표준 데이터 교환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전송표준인 HL7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HL7은 의료 업무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을 표준화하여 의료정보 공유를 용이하게 하지만, 다양한 선택 사항이 있어 HL7 메시지를 처리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레거시 시스템과의 연동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 |
A201007090941
|
타일맵에서 A* 알고리즘을 이용한 유닛들의 길찾기 방법 제안
|
paper
|
게임을 하다보면 유닛들이 목표를 찾아 가야하는데 알고리즘에 따라 시간과 거리가 많이 차이 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깊이 우선 탐색과 너비 우선 탐색 그리고 거리 값을 주어 개선된 알고리즘과 A* 알고리즘의 각각을 비교하며 특징들을 기술하고 알고리즘을 논하였다. 또한 A* 알고리즘에서 실제로 추정값을 구하여 가장 개선된 값을 찾는다. 마지막으로 A* 알고리즘과 다른 알고리즘의 비교를 통하여 A* 알고리즘을 우수성을 입증하고 A* 알고리즘을 이용한 간단한 길찾기를 제안하였다.
|
[
"본 연구에서는 너비 우선 탐색, 깊이 우선 탐색, 거리 값을 주어 개선된 알고리즘과 A* 알고리즘을 비교하고 특징을 논하였다. ",
"우리가 게임을 만들게 되면 모든 게임이 유저들에게 환영 받는 것은 아니다. 가장 재미있는 게임을 만들기 위해서는 흥미로운 스토리와 훌륭한 그래픽, 사운드 등이 뒷받침이 되어야 한다. 또한 게임을 하면서 유저는 지루함이 없어야 하며 게임의 주인공이나 유닛들이 멍청하다는 생각이 들게 되면 그 게임에는 관심이 적어질 것이다. 위와 같은 생각이 들지 않도록 하는 방법 중에 하나가 바로 길찾기 알고리즘을 올바르게 적용하는 것일 것이다. 만약에 게임상의 유닛들이 장애물도 별로 없는 아주 가까운 거리의 목표를 멀리 돌아오거나 또는 찾지 못한다면 유저들의 생각은 너무나도 뻔할 것이다 좋은 길찾기 알고리즘을 사용한다고 하여도 여러 가지 변수에 의하여 반드시 최고의 결과가 나오지 않을 수 있다. 대부분의 게임 프로그래밍에서는 맵을 사용하며 맵상에서 유닛들이 돌아다니기 위해서는 두 지점의 경로를 찾아야 한다. 실시간 전략이나 1인칭 슈팅, 롤플레잉 게임들은 길찾기를 필요로 한다. 특히 롤플레잉 유저들은 길찾기에 대하여 대단한 불만을 가지고 있다.",
"게임을 하면서 유저가 게임의 주인공이나 유닛들이 멍청하다는 생각이 들면 그 게임에는 관심이 적어질 것이다. 위와 같은 생각이 들지 않도록 하는 방법 중 하나가 바로 길찾기 알고리즘을 올바르게 적용하는 것이다."
] |
A201007090944
|
수직적 재사용을 위한 방법론 연구
|
paper
|
소프트웨어의 재사용은 생산성 향상, 소프트웨어의 신뢰성 향상, 소프트웨어 개발기간 단축, 개발비용 절감, 시스템 관련 정보 공유 등의 장점을 지닌다. 수직적 재사용은 하나의 영역 또는 응용 분야에서만 재사용함으로서, 높은 이해성으로 인해 재상용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다.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개발할 때 사용되는 정보들을 재사용을 목적으로 분류하여, 결과물들을 추상화하는 상향식 방법을 이용하여 단순 코드의 재사용에서 벗어나 비형식적인 자료들을 포함해 모든 정보를 사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
[
"소프트웨어의 재사용은 소프트웨어의 신뢰성 향상, 생산성 향상, 그리고 개발비용 절감 및 시스템 관련 정보 공유 등의 장점이 있다.",
"소프트웨어의 재사용이란 단순히 라이브러리나 소스코드를 재사용하는 개념을 넘어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구축하는 전 과정에 거쳐 일어난다. 소프트웨어의 재사용은 생산성향상, 소프트웨어의 신뢰성 향상, 소프트웨어 개발기간 단축, 개발비용 절감, 시스템 관련 정보 공유등의 장점 을 지닌다. 재사용을 재사용 방법의 관점에서 보면 순수한 의미의 일반적 재사용과 수정을 통한 재사용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수정 없이 재사용 하는 경우의 핵심개념은 정보 은닉이다. 정보은닉이 잘 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는 추상화가 잘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소프트웨어 부품이 매우 복잡하여 그 구현의 세부사항을 알기 어려워도, 그 소프트웨어 부품의 기능들을 쉽게 재사용할 수 있게 한다. 수정을 통한 재사용의 경우는 수정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수정을 위한 비용이 너무 높다면, 수정을 통해 재사용하는 것보다는 새로 작성하는 것이 낳기 때문이다. 그러나 손쉽게 수정이 가능하다면, 적은 비용과 시간으로 기존의 부품을 재사용할 수 있다. 수정성은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수정하는데 있어서의 용이성 또는 난이도를 말하며, 수정으로 인해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는 가능성을 뜻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소프트웨어의 재사용은 라이브러리나 소스코드를 재사용하는 개념을 넘어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구축하는 모든 과정에 걸쳐 일어나며, 생산성향상, 소프트웨어의 신뢰성 향상, 소프트웨어 개발 기간 단축, 개발비용 절감, 시스템 관련 정보 공유 등 장점을 지닌다."
] |
A201007090950
|
이기종 분산환경에서 데이터마이닝을 위한 데이터준비 시스템 구현
|
paper
|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마이닝을 위한 데이터 준비 과정에 대하여 기존의 데이터 마이닝 도구들의 효율성을 비교하고, 새로운 효율적인 데이터 준비 시스템 설계 기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지역 및 원격 데이터베이스 접근방법, 이기종 컴퓨터간의 정보 교환을 기준으로 기존의 데이터마이닝 도구들의 기능을 비교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앤서트리, 클레멘타인, 엔터프라이즈 마이너, 웨카를 비교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분산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 마이닝을 위한 효율적인 데이터 준비 시스템을 위한 설계기준을 제안한다.
|
[
"본 연구에서는 분산 네트워크상에서 데이터 마이닝을 위한 효율적인 데이터 준비 시스템을 위한 설계기준을 제시하였다.",
"마이닝 도구는 데이터베이스와는 기종이나 운영체제가 다른 별도의 컴퓨터에 저장되며, 마이닝을 직접 수행하는 마이너는 대부분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나 마이닝 도구가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와는 별도의 다른 컴퓨터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데이터마이닝을 위한 데이터 준비과정은 단순한 데이터 접근하여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뿐만 아니라 지역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여러 시스템에 산재된 데이터에 접근하고, 획득하고, 통합, 관리하는 과정이다. 또한, 데이터 준비 시스템에는 다양한 형식을 표준화된 형식으로 변환하는 기능과 마이닝 도구가 저장된 컴퓨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기능, 다양한 이기종 환경에서 접근하는 여러 사용자를 지원하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2장에서 기존 데이터마이닝 도구들이 데이터 접근을 살펴보고, 지역 및 원격 데이터베이스 접근, 그리고 이기종 컴퓨터에 존재하는 정보자원간의 데이터 교환을 지원하는 기능에 따라 이들 도구들을 분석, 비교하고 평가한다. 3장에서는 효율적인 데이터준비과정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분산 환경 하에서 데이터마이닝을 위해 구현된 새로운 데이터준비시스템을 제안한다.",
"데이터마이닝을 위한 데이터 준비과정은 여러 시스템에 산재된 데이터에 접근, 획득, 통합, 관리하는 과정이다. 또한, 데이터 준비 시스템에는 다양한 형식을 표준화된 형식으로 변환하는 기능과 마이닝 도구가 컴퓨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기능, 다양한 이기종 환경에서 접근하는 사용자를 지원하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
] |
A201007090956
|
K형 열전대를 이용한 온도제어 시스템 구현
|
paper
|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기기는 K형 열전대를 이용하여 온도를 제어 할 수 있는 온도제어 시스템으로써, 안정된 전압 레귤레이터, 22Bit 디지털 변환기와 분해능이 22Bit로 이루어졌다. 미소 전압을 25배 증폭 할 수 있게 하였고, 0~1200도 사이의 온도를 DC 0.1V~DC 4.7V 내에서 제어하도록 설계하였다. PIC16C74로 Micro-controller 의 software와 hardware의 블록 다아이 그램을 고안하였으며, VFD기능과 Power Block간에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
[
"본 연구에서 개발하려고 하는 기기는 K형 열전대를 활용하여 온도 제어가 가능한 온도제어 시스템으로 22Bit 디지털 변환기와 분해능이 22Bit로 이루어졌다.",
"고도의 첨단기술에 의한 FA 장비들의 변모와 맥락을 같이하고 있고, 열에 대한 관심의 진행으로 제품 및 품질관리에 대해 온도관리에 대한 확실한 인식이 필요하게 되었다. 온도 계측에 필요한 기술은 측온 물체에 온도계를 직접 접속시켜서 측정하는 접촉방식과 측온 물체에서 열복사를 원격 관측하여 측정하는 비접촉방식으로 분류된다. 접촉방식은 주로 물리측정이나 공업계측에 의한 열전대, 써미스터 등이 있고, 복잡한 내부의 한점의 온도를 측정하고 자 할 때는 접촉방식이 유리하고, 비접촉방식은 고온도 측정이나 광역에 걸친 온도 분포를 측정할 때 이용되며, 광검출방식, 방사에너지 검출방식 등이 대부분이고, 센서는 대부분 비선형 특성을 가지므로 정밀한 측정을 위해 적정 구간마다 보정이 필요하다. 실제로 열전대의 열기전력은 온도차이 뿐만 아니라 소선 자체에 존재하는 열기전 불균질성(thermoelectric inhomogeneity) 에 따라 달라지며, 이러한 현상은 불순물(impurity contamination), 소성변형(plas tic deformation), 과잉공공(excess vacancy), 표면산화(surface oxidation) 등이 있으며, 각 국의 표준 기관에서는 불균질성을 제거하기 위해 나름대로 열처리공정을 거치게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측정범위가 넓고, 가격이 저가인 K형 열전대을 이용하여 상용 범위가 넓은 온도 제어가 가능한 온도제어 장치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열전대의 열기전력은 온도차와 열기전 불균질성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현상은 불순, 소성변형, 과잉공공, 표면산화 등이 있으며, 각국의 표준 기관에서는 불균질성의 제거를 위해 나름의 열처리공정을 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측정범위가 넓고, 저렴한 K형 열전대을 이용하여 상용 범위가 넓은 온도제어가 가능한 온도제어 장치를 제작하였다."
] |
A201007090962
|
규칙기반 역공학 도구의 구현 및 평가
|
paper
|
소프트웨어의 종류가 다양하고, 커짐에 따라서 유지 보수 문제는 더욱 복잡하고 어렵게 되고, 프로그램 에러의 교정이나 요구 사항의 변경, 사용자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가되면서 소프트웨어의 유지 보수가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에서 가장 비용을 많이 차지하는 부분이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객체지향 시스템에서 소프트웨어 재구성 환경을 위한 역공학 도구를 설계, 구현하였다. 이 도구는 클래스 정보를 이용한 규칙기반 역공학 도구이다. 프로그램 유지보수자가 프롤로그를 이용한 시스템 쿼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대부분의 유사한 클래스를 추출하기위한 재구조화 방법과 변수와 함수 사이의 관계에 근거를 둔 방법을 사용하였다. 추출된 클래스의 가시성이 자동적으로 산출되고, 논리언어를 이용한 쿼리를 사용함으로서 실질적인 유지보수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이 도구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
"객체지향 시스템에서 소프트웨어 재구성 환경을 위한 역공학 도구를 설계 및 구현했다. 이 도구는 클래스 정보를 활용한 규칙기반 역공학 도구로 프로그램 유지보수자가 프롤로그를 이용한 시스템 쿼리를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
"최근에는 각종 객체 지향 언어가 개발됨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기존 시스템을 객체 지향 언어로 변환하는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객체 지향 시스템으로의 재구성을 위한 기존의 기법들은 기존에 존재하는 시스템에서 클래스와 객체를 추출해서 클래스에 기반을 두거나 객체 지향 언어를 생성하는 자동 또는 반자동적인 방법을 지향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객체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것은 시스템의 변경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런 코드 번역에 의한 반자동적 접근 방식은 먼저 클래스 객체 추출기가 기존의 시스템에서 가능한 많은 클래스와 객체들을 추출하고, 이것들을 클래스에 기반을 두거나 객체 지향적인 언어로 번역하고 난 후, 클래스와 객체들은 수동으로 새로운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재구성되어진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전적으로 수동으로 재구성하는 방식에 비하여 시스템 변경 비용을 절감시키고, 코드 개선을 위한 기회를 제공한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생성된 클래스 정보를 갖고 사용자가 원래 코드와 이로부터 추출된 클래스 정보로부터 역공학 정보를 얻을 수 있고, 클래스 정보를 완전한 객체 지향 코드로 확장하는 과정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반자동적 접근 방식은 수동 재구성 방식에 비해 시스템 변경 비용을 절감시키고, 코드 개선 기회를 제공한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생성된 클래스 정보를 사용자가 원래 코드와 추출된 클래스 정보로부터 역공학 정보를 얻고, 클래스 정보를 객체 지향 코드로 확장하는 과정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 |
A201007090965
|
정약용의 윤리사상
|
paper
|
임서학에 의하면 인간과 다른 존재를 구별해 주는 것은 ‘영혼’이다. 인간의 영혼이 가지고 있는 이성적 사유 판단능력을 다산의 말로 하면 ‘영명’이다. 우리가 주목할 점은 다산이 혼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고 오직 신령한 점에서만 영명(도의)의 성을 말하는 것은 그가 수용할 수 있는 점만 주체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가 말하는 영명한 성은 영혼과 같은 존재가 아니다. 이것은 인간의 마음만이 고유하게 가지고 있는 지향성(기호)일 뿐이다. 다산의 철학체계에서 독특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인간 이해에서 거의 Ricci와 의견을 같이 한다. 다시 말해서 인간은 우주 만물 가운데 가장 높은 층에 위치하는 영장(靈長)으로서의 지위를 지니고 있으며, 각 단계의 사물들의 본성은 하느님(상제)으로부터 각각 고유하게 부여받고, 인간만이 도덕을 실천할 수 있는 특성을 고유하게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주자의 ‘본연의 성’에 대해서 다산은 ‘도의의 성’으로 바꾸어 말하고, 인간이 도의의 성을 지킬 수 있도록 하는데 천지만물 뿐만 아니라 사람의 마음 깊은 속까지도 감찰할 수 있는 하느님(상제)을 제시하고 있다. 그에게서 하느님(상제)은 인간의 도덕행위를 가능하게 하고 심판하는 윤리적 요청이다. 근세철학자 Kant의 실천이성비판에서 ‘요청되는 神’을 기억나게 한다.Ricci에게서도 정신(신성인심)과 육신(형성수심)의 상호관계는 다산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 그에게서 인간의 본질은 바로 정신에 있고, 그것의 추구는 육신에 얽매어 있는 정신이 그러한 육신의 속박에서 벗어나는 초월성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산의 정신(영지도심대체)과 육신(형구인심소체)으로서 그 자신의 언어와 개념을 쓰고 있다. 기독교에서의 ‘사랑’은 자기에게서 먼 사람(사회에서 소외된 사람)부터 베푸는 사랑이지만, 유학에서의 ‘인’(仁)은 가까운 사람(부모, 형제, 친지)부터 베푸는 사랑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다산은 효제자를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유학적인 仁에서 성덕(成德)을 말하고 있다. 말하자면 친소(親疎)에서 그 차이가 드러나고 있다. 그는 철학적으로 서학 사상의 영향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종교적으로도 그는 신앙을 지녔던 것으로 보인다. 그가 천주교의 신앙인이라고 해서 유학자가 아닌 것은 아니다. 그는 확실한 유학자이다. 그는 본원유학에로 돌아가기를 원한 실천도덕의 제창자였고 동시에 근대지향의 실학자였음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그는 용어와 개념을 확장하면서 주자학자들보다 더 실제적인 학문을 추구한 이상, 그가 비록 주자의 용어와 개념을 구사할지라도 그것은 오히려 독자적인 한국철학이라고 해야 마땅할 것이다.
|
[
"임서학에 따르면 인간과 다른 존재를 구별해 주는 것은 ‘영혼’이다. 인간의 영혼이 지니고 있는 이성적 사유 판단능력을 다산의 말로 바꾸면 ‘영명’이다. 우리가 주목할 점은 다산이 혼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고 오로지 신령한 점에서만 영명(도의)의 성을 말하는 것은 그가 수용할 수 있는 점만 주체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가 말하는 영명한 성은 영혼과 같은 존재가 아니다. 이것은 인간의 마음만이 고유하게 지니고 있는 지향성(기호)일 뿐이다. 다산의 철학체계에서 독특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인간 이해에서 거의 Ricci와 의견을 같이 한다.",
"茶山丁若鏞(1762-1836)은 인간의 본성을 자연의 경향성으로서 인간의 고유한 욕구에서 읽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런데 그는 性에는 形軀의 嗜好와 靈知의 嗜好에서 나오는 두개의 경향이 있음을 전제하고 있으며, 그 중의 도덕적 선의 경향을 띤 말이 후자인 것이다. 즉 사람의 본성은 선을 즐기는 경향성(嗜好)이라고 한다. <靈知>와 <形軀>의 성향은 인간의 마음속에서 서로 대립되는 양상으로 나타나 그것의 결과에 의해서 인간 행위의 방향이 구체적으로 결정된다. 그는 性嗜好說에서 두 가지 기호 즉 형구의 기호와 영지의 기호의 두 가지 상태가 있음을 주장한다. 영지의 기호는 “선을 좋아하고 욕을 부끄러워”(樂善而恥汚)하는 사람의 본심인 동시에 “무형한 영명의 체”(靈明無形之體)로서의 성이다. 맹자의 표현으로는 이것을 大體라 하고, 무형한 대체가 발현하는 바를 가리켜 말할 때는 <道心>이라고 한다고 하였다. 이와 상대적으로 유형한 형구의 기호로서 발현할 때는 小體라고 하며, 道心에 상대적인 의미로서 <人心>이라고 한다. 즉 형구의 기호에서 말하는 물욕은 사악의 근원이 된다고 한다.",
"丁若鏞은 인간의 본성을 자연의 경향성으로서 인간의 고유한 욕구에서 읽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런데 그는 性에는 形軀의 嗜好와 靈知의 嗜好에서 나오는 두 가지 경향이 있음을 전제하고 있으며, 그 중의 도덕적 선의 경향을 띤 말이 후자이다."
] |
A201007090970
|
문화읽기의 방법론과 문화윤리의 모색
|
paper
|
오늘날 가상공간의 문화를 제외하고 현대문화를 거론할 수 없다.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은 서로 별개의 공간이 아니라 우리 삶의 중요한 공간이 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비록 가상공간이 현실 세계와는 엄밀히 구분된다고 하더라도, 오늘날 가상공간의 문화는 그 자체의 독자적인 자리매김을 넘어 현실세계와의 ‘연계성(connection)’을 모색하기에 이른 것이다. 이 같은 현실에서 사이버 문화와 현실문화의 관계를 모색할 때, 그것은 또 하나의 문화적 공간의 창출이 가능해진다. 우리에게는 이러한 문화 현실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문화윤리도 동시에 필요하다. 따라서 문화읽기가 정당했을 때 비로소 문화윤리가 가능하다는 전제 하에 먼저 현실의 문화를 ‘생활세계’의 방법론으로, 또 사이버 문화에 대해서는 ‘기호론’의 방법론으로 문화읽기를 시도해 보았다. 그 결과 현실세계의 문화는 총체적인 삶의 양식이며 중층적 담론세계의 일상으로 이해되고, 사이버 문화는 하나의 기호의 세계가 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들 문화는 공통적으로 자기 담론세계의 문지방을 넘어 총체적인 세계이해를 지향한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바로 이 점이 두 세계의 문화를 이해하고 두 문화를 상호관계 맺으려는 근원적인 이유이다. 문화는 자기 경계를 지닌 제한된 세계임에는 분명하지만, 문화는 타자 문화와의 만남을 통해 상호작용하고 더 넓은 지평으로 넘어설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우리는 일상의 문화와 사이버 문화의 서로 간의 만남과 소통을 통해 더 넓은 세계로 나아갈 수 있다. 이러한 문화인식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문화윤리가 제시된다. 그것은 ‘문화적 사고’로 제시되었는데, 한마디로 그것은 문화에 대한 주체적인 윤리적 태도를 말한다. 이러한 주체적인 문화윤리를 바탕으로 하여 우리는 문화와 문화 간 만남을 통해 창출되는 문화도 새로운 담론공간, 향유의 공간으로 수용할 수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
"오늘날 가상공간의 문화를 빼고는 현대문화를 거론할 수 없다.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은 서로 별개의 공간이 아니라 우리 삶의 중요한 공간이 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비록 가상공간이 현실 세계와는 엄격히 구분된다고 하더라도, 오늘날 가상공간의 문화는 그 자체의 독자적인 자리매김을 넘어 현실세계와의 ‘연계성(connection)’을 모색하기에 이른 것이다. ",
"문화읽기가 정당했을 때 이를 바탕으로 하여 비로소 문화윤리가 가능하다는 전제 하에 생활 세계로 문화읽기, 기호로 문화읽기를 시도해 보았다. 그 결과 현실세계의 문화는 총체적인 삶의 양식이며 중층적 담론세계의 일상으로 이해될 수 있었다. 또 가상공간의 문화는 현실세계와는 구분되는 하나의 기호의 세계가 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들 문화는 자기 담론세계의 문지방을 넘어 총체적인 세계이해를 지향한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오늘날 우리의 일상에 대한 중요성 인식과 함께 사이버 문화에 대한 관심의 고조는 단순히 지적차원의 문화알기, 혹은 자기세계의 영역 넓히기가 되거나, 종교적 확장을 위한 도구적 차원이 아니라, 서로 다른 세계의 문화 간 만남을 통해서 현실화되는 중층적 담론세계의 상호작용을 이루어 내고, 총체적인 세계인식으로 확장되고자 하는 필요성에 따른 것이다. 이러한 인식을 통해 자연스럽게 문화적 사고를 통한 문화윤리를 제시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문화윤리를 통해 우리는 문화를 하나의 중요한 담론공간, 향유의 공간으로 인정을 하면서도 문화에 대한 주체적 태도를 지닐 수 있을 것이다.",
"문화읽기가 정당했을 때 비로소 문화윤리가 가능하다는 전제 하에 생활 세계로 문화읽기, 기호로 문화읽기를 시도한 결과, 현실세계의 문화는 총체적인 삶의 양식이자 중층적 담론세계의 일상이며, 가상공간의 문화는 현실세계와는 구분되는 하나의 기호의 세계임을 알 수 있었다."
] |
A201007090975
|
대학문화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이해
|
paper
|
이 논문은 대학교육 및 기독교대학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요소가 되는 대학문화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대학문화란 대학구성원의 대학 캠퍼스 안팎의 생활양식이라고 할 수 있다. 거기에는 대학의 전통, 교과과정 이외의 활동, 가치관 등도 포함된다. 오늘의 대학문화는 과거 대학들과는 달리 학문적, 문화적, 도덕적 수월성은 물론 대학의 공동체성을 상실하였다. 여기에는 현실 사회주의 몰락, 소비주의 및 개인주의 가치관의 확산과 같은 대학 외적 원인만이 아니라 멀티버시티의 등장과 연구중심대학으로의 변화와 같은 대학 내적 원인들도 작용하고 있다. 건강한 기독교적 대학문화를 창조하기 위해 다음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기독교 대학 구성원들이 세속적인 대학문화의 변혁자라는 자기 이해가 필요하다. 세속적인 대학문화에 대한 적대자나 방관자가 아니라 ‘문화위임’을 받은 소명자로서의 정체성을 확고히 해야 한다. 둘째, 지성적인 대학문화 창조에 관심해야 한다. 대학은 처음부터 진리를 탐구하고 학습하는 교수와 학생의 학문공동체였다. 학문공동체로서 대학은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면학분위기를 조성하고 연구하고 가르치는 기풍을 강화하는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 대학의 축제나 기타 활동들에서도 학술활동이 강화되어 대학의 학문적 수월성이 추구되어야 한다. 셋째, 전통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다. 1970년대부터 운동권 학생들에 의해 형성된 저항문화는 서구문화에 대한 비판적 시각 속에서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유감스럽게도, 기독교 학생들은 전통문화에 대한 건강한 관계를 정립하지 못한 채 대학문화의 변두리로 밀려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 기독학생들이 대학문화의 중심에 서기 위해서는 전통문화에 대한 올바른 신학적 이해와 관계맺음이 요청된다. 마지막으로, 공동체문화를 형성해야 한다. 공동체는 교육에 필수적인 조건일 뿐만 아니라 대학문화 형성에도 반드시 필요한 요소다. 대학공동체 건설을 위해서 학생들의 자발적인 동아리 활동에 대한 대학당국의 관심과 지원이 요청된다.
|
[
"본 논문의 목적은 대학교육 및 기독교대학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요소가 되는 대학문화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이해이다. 건강한 기독교적 대학문화를 창조하기 위해 다음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 번째, 기독교 대학 구성원들이 세속적인 대학문화의 변혁자라는 자기 이해가 요구된다. 두 번째, 지성적인 대학문화 창조에 관심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전통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다.",
"오래 전에 전통문화와 가치관이 붕괴되었지만 그것을 대신할 만한 새로운 문화와 가치관은 아직도 형성 중에 있다. 게다가 멀티버시티(multiversity)화된 대학의 다기능적 특성으로 인해서 대학 전체를 아우를만한 통일성이 약화되는 것도 원인이 될 것이다. 그 결과 대학생들 상당수에게 있어서 자아 정체성이 약하며, 자신의 가치관이나 삶의 목표에 대해 뚜렷한 태도를 지니지 못한 채 대학생활을 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극복하는데 있어서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은 건강한 대학문화의 창조다. 교육과 문화형성에 있어서 공동체의 생활방식과 분위기는 엄청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기독교 대학은 채플이나 기독교 교양과목 같은 공식적인 커리큘럼만이 아니라 비공식적인 커리큘럼이라 할 수 있는 대학문화를 기독교적 분위기로 만드는데 관심해야 한다. 클라크(W. Clark)가 주장한대로, “기독교 대학은 종교적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가 종교적 프로그램이 되어야 한다”. 말하자면, 기독교대학에서는 대학구성원의 일상생활, 즉 연구와 교육, 학습, 행정의 모든 활동들에서 자연스럽게 기독교적 분위기가 느껴질 수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대학 전체를 아우를만한 통일성이 약화하는 등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우선 필요한 것은 건강한 대학문화의 창조다. 교육과 문화형성에 있어서 공동체의 생활방식과 분위기는 엄청난 영향을 미치므로 기독교대학은 비공식적인 커리큘럼이라 할 수 있는 대학문화를 기독교적 분위기로 만드는데 관심을 가져야 한다."
] |
A201007091029
|
학부모 운동 참여자들의 갈등과 대응방식에 관한 사례연구
|
paper
|
이 연구는 학부모운동단체에서 활동하는 참여자들의 갈등과 대응방식을 드러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 학부모운동단체인 누리학부모회를 사례로 하여 문화기술적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학부모운동단체에서 활동하는 참여자들이 겪는 개인 갈등을 ‘학교 지향’과 ‘교육 지향’간의 갈등으로 분석해 보았다. 자녀를 교육적으로 키워보겠다는 참여자들의 신념은 사회구조적 조건으로 인하여 제약을 받게 되는데, 이런 상황에서 참여자들이 취하는 갈등 대응방식이 ‘비판적 수용’이다. 그러나 참여자들은 현실의 모순을 간파하고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학원을 보내지만 자녀들에게 문화 체험 활동의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러한 대응방식이 ‘대안적 선택’ 전략이다. 이 연구를 통해, 학부모운동 참여자들은 지배적인 기존 관행을 거부하고 자녀를 교육다운 교육을 할 수 있는 방식을 모색하는 존재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참여자들은 기존 자녀 교육 관행과 교육현실에 적응하고 무조건 수용하기보다 그에 대해 문제제기하고 다른 방도를 모색한다. 이런 과정에서 갈등이 일어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학부모운동에 참여하는 학부모를 왜곡된 교육열의 주도세력 또는 왜곡된 교육현실의 희생자로 보는 관점에서 벗어나 주체적인 존재로 볼 수 있게 한다.
|
[
"본 연구의 목적은 학부모 운동단체에서 활동하는 참여자들의 ‘학교 지향’과 ‘교육 지향’ 간의 갈등과 그에 대한 대응방식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 학부모운동단체인 누리학부모회를 사례로 하여 문화기술적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
"이 연구는 우리 사회의 대표적 학부모운동단체인 누리학부모회 누리지회에서 활동하는 학부모를 제보자로 하였다. 누리지회에서의 참여관찰과 제보자의 면담은 2001년 3월부터 진행되어 2003년 10월까지 진행되었다. 연구 초기에는 참여관찰을 많이 했으며, 이후로는 제보자에 대한 면담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누리지회에서 개최하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 강좌, 월례모임, 어린이 프로그램, 임원회의 및 각종 모임, 때론 시위에 참여하여 관찰하였다. 연구자는 서기를 맡아 지회 활동에 참여하면서 학부모운동 참여자들의 활동을 관찰하였다. 초기에는 일반회원들이 참여하는 강좌나 월례모임 등의 관찰을 집중적으로 하였으나 점차로 일반 회원보다는 지회 활동의 중심축인 활동가들이 지회 활동을 구상하고 계획하고 실천하는 과정에 대한 관찰을 하였다. 이후 참여자들이 지회 활동을 해 나가는 과정에서 갈등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어 참여자들의 갈등에 초점을 두고 관찰하였다. 연구자는 수집한 관찰과 면담 자료를 읽으면서 개략적인 분석 틀을 잡아 나갔다.",
"본 연구는 우리 사회의 대표적 학부모운동단체인 누리학부모회 누리지회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 강좌, 월례모임, 어린이 프로그램, 임원회의 및 각종 모임, 시위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지회 활동에 갈등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어 참여자들의 갈등에 초점을 두고 관찰하였다."
] |
A201007091163
|
타블렛 컴퓨터를 활용한 모바일 학습 사례 분석
|
paper
|
무선 인터넷 기기를 활용한 모바일 학습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 학습 연구 중에서 노트북, PDA, Handheld에 비해 타블렛 컴퓨터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진 타블렛 컴퓨터의 활용 사례를 분석하여 그 교육적인 유용성 및 잠재적인 활용 가능성에 관한 참여자들의 인식과 관심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타블렛 컴퓨터를 활용했을 때 학습자들의 경우 학습량이 증가하고 학습 방법이 다양해졌을 뿐만 아니라 흥미와 관심도도 증가하였다. 교사들의 경우, 타블렛 컴퓨터의 교육적인 잠재성을 인식하였고 모바일 학습 기기를 활용한 교수-학습 모형에도 관심을 보였다.
|
[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진 타블렛 컴퓨터의 활용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그 교육적인 유용성 및 잠재적인 활용 가능성에 관한 참여자들의 인식과 관심을 파악하는 것이다.",
"모바일 학습에 활용되는 무선 기기로는 무선 노트북,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Handheld, 타블렛 컴퓨터 등이 있다. 이 기기들중 노트북, PDA, Handheld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경험적, 실증적 연구 결과들은 광범위하게 보고 되고 있다. 이에 반해, 타블렛 컴퓨터를 활용한 모바일 학습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다.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타블렛 컴퓨터를 활용한 사례 연구들을 수시로 보고하고 있기는 하나 연구 기간도 짧을뿐더러 학교 현장보다는 기업 현장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교육에서의 타블렛 컴퓨터 활용 연구가 부족한 대표적인 이유로써, 타블렛 컴퓨터의 개발 시기가 다른 매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늦은 것도 생각해 볼 수 있으나, 타블렛 컴퓨터가 교육적으로 활용 가능한 지에 대한 인식 부족도 연구의 대표적인 제한 요소가 되는 것 같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현장에서 타블렛 컴퓨터를 활용한 사례를 분석하여 교육적 유용성 및 잠재적인 활용 가능성에 관한 인식 및 관심 정도를 탐색하는데 있다.",
"모바일 학습에 활용되는 무선 기기로는 노트북, PDA, 타블렛 컴퓨터 등이 있다. 이 중 타블렛 컴퓨터를 활용한 모바일 학습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다. 이에 본 고는 타블렛 컴퓨터 활용 사례를 분석하여 교육적 유용성과 활용 가능성에 관한 인식 및 관심 정도를 탐색하고자 한다."
] |
A201007091167
|
교육과정 특성화를 통한 사이버대학 발전 방안 연구
|
paper
|
평생교육법을 근거로 설립된 사이버대학들은 등록률 감소하는 등 경영상의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어려움의 주요한 원인 중 하나는 교육과정의 특성화 미흡에 기인한다. 즉, 교육방법적 측면에서 사이버공간을 활용하였을 뿐 교육과정 차원에서 경쟁하는 기존 평생교육 및 고등교육기관과의 차별성 부족으로 인해 평생교육 영역에서 확고한 자리 매김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대학이 지행해야 할 교육과정 특성화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사이버대학의 교육과정에 관한 선행연구, 사이버대학들의 교육과정, 사이버대학이 처한 경영환경을 분석한 후 이를 기초로 교육과정의 특성화 방향을 도출하고 이와 연계하여 사이버대학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
[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대학이 지행해야 할 교육과정 특성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사이버대학의 교육과정에 관한 선행연구, 사이버대학이 처한 경영환경, 사이버대학들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교육과정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특성화하여 사이버대학의 위치를 확고히 하고, 나아가 국가 인적자원개발을 위해 기여할 수 있는 교육자원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인가에 관해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한 연구는 극히 부족한 실정이다. 생애에 걸친 평생교육이 개인은 물론, 국가의 경쟁력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평생교육의 수요는 향후 더욱 증가할 가능성이 높으며 따라서 사이버대학이 이러한 수요에 부응하면서 교육과정을 어떻게 특성화시켜나갈 것인가는 향후 사이버대학의 미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사안임에 틀림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의 발전 방안 모색의 일환으로 사이버대학이 지향해야 할 교육과정의 특성화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이버대학의 교육과정과 관련한 선행 연구물들을 검토한 후, 현행 사이버대학의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사이버대학이 처한 내부 및 외부적 경영 환경을 면밀히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한 후 교육과정 특성화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지식정보화사회에서 평생교육의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이며, 사이버대학이 이러한 수요에 부응하면서 교육과정을 어떻게 특성화시켜나갈 것인가는 향후 사이버대학의 미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안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이 지향해야 할 교육과정의 특성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
A201007091169
|
네트워크 분산반사 서비스 거부 공격(DRDoS)에 대한 역추적 시뮬레이터 설계 및 구현
|
paper
|
본 연구에서는 DDoS/DRDoS 공격과 같이 Zombie 및 Reflector 기반의 네트워크 기반 해킹 공격에 대해 스푸핑된 공격 패킷의 근원지 IP를 역추적 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를 설계/구현하였다. 현재까지 제시된 IP 역추적 기법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각 기법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특히 근래에 많은 피해를 주고 있는 Reflector 기반의 DRDoS 공격에 대한 역추적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NS-2 기반의 패킷 IP 역추적 모듈 개발 구조를 제시하였고 이를 설계/구현하였으며 직접 DRDoS 공격 트래픽에 대한 역추적 과정을 수행하였다. 제시한 기법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 DRDoS 공격에 효율적으로 대응하였으며 개선된 역추적 성능을 제공하였다.
|
[
"본 연구의 목적은 Zombie 및 Reflector 기반의 네트워크 기반의 해킹 공격에 대해 스푸핑된 공격 패킷의 근원지 IP를 역추적 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를 설계 및 구현하는 것이다.",
"IP 역추적(IP Traceback) 기법은 DDoS공격 대상 시스템의 관리자에게 DDoS 공격의 실제적인 공격 근원지 IP 주소를 알려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대부분의 DDoS 공격은 Zombie를 통한 간접적인 공격 형태를 보인다. 따라서 IP 역추적 기법에서는Zombie 에 해당하는 라우터를 대상으로 실제 DDoS 공격 패킷이 전송된 경로를 재구성하게 된다. IP Traceback 기법은 기존의 필터링 기법과 달리 능동적인 방식으로 피해 시스템에서 공격 근원지를 판별할 수 있는 기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DDoS 공격에 대한 능동적인 대응 기술에 해당하는 IP 역추적 기법에 대한 시뮬레이터를 설계/구현하였다 최근 강력한 공격 기법으로 밝혀진 Reflector 기반의 DRDoS 공격 기술의 구조와 대응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 NS-2 기반의 시뮬레이션 환경을 이용하여 IP 패킷에 대한 마킹 모듈을 설계/구현하여 기존의 DRDoS 공격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IP 역추적 기법을 제시하였다. NS-2 기반의 시뮬레이션 과정을 수행하여 피해 시스템에서의 트래픽을 비교 분석하여 DRDoS 공격에 대한 기술 개발 방향에 대해 고찰할 수 있었다.",
"IP Traceback 기법은 기존의 필터링 기법과는 달리 능동적인 방식으로 피해 시스템에서 공격 근원지를 판별하는 기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DDoS 공격에 대한 능동적인 대응 기술인 IP 역추적 기법에 대한 시뮬레이터를 설계/구현하였다."
] |
A201007091173
|
다중 분할 기반 환경 모델의 통합에 의한 3차원 환경 탐색
|
paper
|
단일 영상을 이용하여 구성한 3차원 환경 모델은 고정된 해상도로 인해 발생하는 흐려짐 현상과 가리움에 의해 환경맵에서 없는 정보가 나타날 시 발생하는 구성된 3차원 환경 모델의 늘어짐 현상이나 정보의 부족으로 인한 영상의 구멍이 발생한다. 본 본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다중 영상들을 이용한 일치 및 통합 방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세밀한 환경 모델링을 통한 시차 표현과 주변 환경의 자유로운 확장을 위해 대응선에 기반으로 하는 환경 모델 일치 및 통합 방법을 사용한다. 다중 영상에 의한 환경 모델링 방법은 렌더링에 적합한 해상도를 갖는 상세한 환경 모델을 생성할 수가 있어 시점이 자유로운 고화질의 탐색 영상 생성이 가능하다.
|
[
"단일 영상으로 구성한 3차원 환경 모델은 고정된 해상도로 인해 흐려짐 현상 등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목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다중 영상들을 이용한 일치 및 통합 방법을 제안하였다.",
"디스패러티를 이용한 방법은 자세한 3차원 모델을 구성할 수 있으나 영상에서 일치점을 찾기 위해 높은 비용을 들여야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소실점 기반 방법은 개략적인 모델만을 구성하므로 상세한 환경 표현이 어렵다. 사진 계측 기반 모델링 방법은 환경맵에 적용시 영상의 변형으로 인해 영상에서의 물체와 프리미티브를 매칭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영상 분할에 기반을 둔 환경 모델링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환경을 표현하는 2차원 사진들의 조합으로부터 주변 환경을 사실감 있게 3차원 환경 모델을 구성하고 구성된 환경모델을 자유롭게 둘러볼 수 있는 탐색 영상을 실시간으로 생성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존 방법인 분할 기반 환경 모델 방법을 통해 2차원 사진으로부터 환경 모델을 생성하고 구성된 환경 모델들을 통합하기 위해 대응선 기반 일치/통합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렇게 구성된 환경 모델은 세밀한 환경 모델링을 통한 시차 표현과 주변 환경의 자유로운 확장이 가능하다. 또한, 다중 영상을 바탕으로 생성된 환경 모델들을 통합하여 실제 영상을 환경 매핑 할 경우 시점에서 제일 가까운 사진 영상으로부터 샘플들을 얻어 매핑하므로 최선(optimal)의 영상 해상도를 갖는 상세한 환경 모델을 생성할 수 있어 시점이 자유로운 고화질의 탐색 영상 생성이 가능하다.",
"디스패러티를 이용한 방법은 일치점을 찾기 위한 비용이 많이 들며 소실점 기반 방법은 상세한 환경 표현이 어렵다. 또한, 사진 계측 기반 모델링 방법은 물체와 프리미티브를 매칭하기 어렵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연구는 영상 분할에 기반한 환경 모델링 방법을 통해 2차원 사진 조합으로부터 3차원 환경모델을 구성하고 이 모델의 탐색 영상을 실시간으로 생성하였다."
] |
A201007091289
|
만경강과 동진강 유역의 습지 분석
|
paper
|
습지에는 해안습지, 하구습지, 호수습지, 하천습지, 소택지, 인공습지 등이 있으나 만경강과 동진강의 습지를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만경강과 동진강의 하구에는 해양과 내륙습지의 점이적 성격을 띠는 조수성의 하구습지가 발달하고 하구의 크기와 강의 크기에 비례하며 그 규모는 만경강의 하구습지가 동진강의 것보다 더 크다. 전자는 하천의 상류부에 주로 발달하고 후자는 하천의 하류부에 주로 발달하나 강폭이 넓고 보(洑)의 축조가 많은 만경강에 특히 후자가 많이 발달한다. 만경강의 경우는 활주사면의 포인트바아에 습지가 발달하기도 한다. 만경강에서는 제방 밖의 배후습지나 범람원 상에 발달하는 배수로나 구하도가 하적호를 이루어 습지로 변형된 경우가 많이 있으나 동진강에서는 거의 찾아 볼 수 없다. 하적호의 습지 주변에는 자연제방이 형성되어 도로나 취락이 발달한다.
|
[
"동진강과 만경강의 습지를 조사 분석한 결과, 동진강과 만경강의 하구에는 해양과 내륙습지의 점이적 성격을 띠는 조수성의 하구습지가 발달하고, 하구의 크기와 강의 크기에 비례하며 규모는 만경강의 하구습지가 동진강 보다 더 컸다.",
"습지는 위치에 따라 강 언저리나 냇가 등 담수가 흐르는 곳에 위치하는 내륙습지, 해수가 흐르는 지역에 위치하는 해안습지로 나누어진다. 내륙습지는 지형적인 원인에 의해 우기에 침수되어 형성되거나 강 유역의 범람하는 토양이 침적되어 만들어진 것, 강바닥이 주위보다 높아 강우량이 적을 때 밖으로 드러남으로써 형성되는 것, 화산의 폭발, 빙산의 이동 등과 같은 조산운동의 결과로 고지대에 형성되는 것들이 있습니다. 해안습지는 강에 의해 운반된 토양 침전물이 유속의 감소에 따라 강 하류 또는 큰 강의 어귀 또는 나팔상 하구(estuary)에 넓게 침적되어 이루어진 것들로 삼각주 지역이나 해안 갯벌 등이 있다. 우리나라는 지진, 화산, 습곡, 단층 등의 활동이 적고 빙하가 덮였던 지역이 적기 때문에 내륙습지의 발달은 적은 편이나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는 갯벌의 발달이 현저하여 세계5대 갯벌이 될 정도로 그 규모가 방대하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습지에 대한 조사와 연구가 적은 점에 착안하여 전라북도 만경강과 동진강을 따라 발달하는 내륙습지를 환경부 생태조사의 일환으로 조사한 후, 습지를 분석하고 그 특징에 따라 형태를 분류함으로서 우리나라 습지의 형태상 특징 및 차이점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한다.",
"우리나라는 갯벌의 발달이 현저하여 세계 5대 갯벌이 될 정도로 그 규모가 방대하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습지에 대한 조사와 연구는 미진하다. 이에 본 연구는 전라북도 만경강과 동진강을 따라 발달하는 내륙습지를 분석하고 그 특징에 따라 형태를 분류함으로써 우리나라 습지의 형태상 특징 및 차이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
A201007091293
|
조선시대 충청 수군진 입지의 지형학적 연구
|
paper
|
충청해안은 전라도와 경기도의 연안항로 중간에 위치하여, 호남평야에서 생산된 미곡을 운반하는 조운선이 통과하는 군사 및 해상교통 면에서 중요한 해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충청지역에 설치된 16개 수군진을 대상으로 문헌조사, 지형도분석, 현지조사를 실시하여 지형학적 입지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충청지역의 대부분의 수군진들은 가로림만권역 및 천수만권역에 설치되어 있었으며, 수군진의 입지특성을 유형화한 결과 총 7개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특히 이들 유형 중 Type-Ⅰa와 Type-Ⅰb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이러한 원인은 이들 지역이 충청해안에서 가장 규모가 큰 만입지에 위치하고 있어서 조류의 속도가 빠르고, 주변 지역에 비하여 수심이 깊고 수로가 잘 발달되어 있으며, 바람 및 파랑으로부터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은폐 및 방어에 유리한 천혜의 지형적 입지조건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
[
"본 연구에서는 충청지역에 설치된 16개 수군진을 대상으로 지형도분석, 현지조사, 문헌조사를 실시해 지형학적 입지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충청지역의 대부분의 수군진들은 천수만권역 및 가로림만권역에 설치되어 있었다.",
"충청 해안지역의 대부분의 수군 진들은 內灣및 島嶼등에 위치하여 지형적 입지특성이 반영된 방어 중심기능을 수행하였으며, 또한 이들 수군진들은 방어뿐만 아니라 행정·교통 중심지 역할을 함께 수행하였다. 그러나 수군진에 관한 연구는 지상군에 속하는 兵營(陸軍)에 관한 연구와 해전중심의 수군활동에 관한 연구 결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수군진의 입지 특성이 천혜의 지형적 요건을 가진 은폐된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이에 대한 지형학적인 관점에서 행해진 실증적인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단 박승필(2004)의 진도 금갑진 사례연구에 의하면, 수군진의 입지는 자연지형을 활용하여 적으로부터 공격과 방어가 용이한 지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알려진 정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충청 수군진의 입지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을 수행하였다. 먼저 충청 수군진의 지역권 분포와 규모와의 관계를 비교하고, 다음으로 수군진 분포유형과 지형환경과의 대응관계를 일반화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 지형도분석 및 항공사진을 분석하였으며, 현지조사를 수행하여 다양한 지형학적 입지특성을 분석하였다.",
"충청 해안지역의 수군진들은 內灣 및 島嶼 등에 위치하여 지형적 입지특성이 반영된 방어 중심기능과, 행정·교통 중심지 역할을 함께 수행하였다. 그러나 수군진에 관한 연구는 兵營에 관한 연구와 수군활동에 관한 연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부족하며, 지형학적인 관점에서 행해진 실증적인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 |
A201007091417
|
기관지확장증에 의한 이차성 아밀로이드증 1예
|
paper
|
아밀로이드증이란 불용성 단백질이 비정상적으로 인체 여러 장기의 세포 외 간질조직 및 혈관세포에 침착되어 기능이상을 초래하는 질환군을 말한다. 이 질환은 침범한 장기에 따라 다양한 증세들을 나타내며 진단은 침범된 장기의 조직검사를 통해 편광현미경으로 황녹색의 이중굴절소견을 보일 때 진단할 수 있다. 가성장폐색은 흔하진 않지만 아밀로이드증의 잘 알려진 합병증이며, 예후는 불량한 것으로 되어 있다. 저자들은 과거력상 기관지확장증을 진단받고 폐렴, 가성막대장염, 마비성장폐색이 재발하였던 환자에서 우연히 위내시경 및 S상 결장 조직검사로 이차성 아밀로이드증을 진단받았던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
[
"과거력상 기관지확장증을 진단받고 마비성장폐색, 폐렴, 가성막대장염이 재발하였던 환자에게서 S상 결장 조직검사 및 위내시경으로 이차성 아밀로이드증을 진단받았던 사례를 보고한다.",
"아밀로이드증(amyloidosis)이란 식작용과 단백질 분해 작용에 내성이 있고, 면역 생산성이 낮은 불용성 섬유상 단백 또는 단백과 다당류의 복합체인 무정형의 섬유성 단백물질이 인체 여러 장기의 세포외 간질 조직 및 혈관세포에 침착되어 실질세포의 위축과 괴사, 침범장기의 형태 및 기능 이상을 초래하며, 그 원인이나 병태 생리가 다양하고, 주로 심장, 신장, 간, 비장, 위장관, 호흡기, 골수 및 피하지방 등에 침착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원발성, 이차성, 국소성, 가족성, 노인성으로 나누고, 생화학적 특성에 따라 amyloid light chain protein인 AL형, amyloid Aprotein인 AA형, AF형, AH 형 등으로 나눌 수도 있다. 임상적인 증상이 다양하며 진단은 조직생검으로 확진 되어지는데, 직장, 소장, 치은, 간, 신장, 피부, 골수, 비장, 피하지방 등 개별적으로 침범된 장기의 조직 검사 또는 복부지방흡인 검사 등으로 가능하며, 각각의 민감도는 51~100%정도로 다양하게 보고되어 있다. 신장 및 간조직 생검시 양성률이 높은 반면 출혈 등의 위험이 있으며, 직장 조직생검도 75~85%의 비교적 높은 양성률을 보이지만 점막하층까지 조직이 필요하여 역시 출혈의 위험성이 있어 최근 아밀로이드증의 위장관 침범시 위 내시경에 의한 조직검사로 진단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아밀로이드증이란 식작용과 단백질 분해 작용에 내성이 있고 무정형의 섬유성 단백물질이 세포외 간질 조직 및 혈관세포에 침착되어 실질세포의 위축과 괴사, 침범장기의 형태 및 기능 이상을 초래한다. 임상적인 증상이 다양하며 진단은 조직생검으로 확진 되어진다. 최근 아밀로이드증의 위장관 침범시 위 내시경에 의한 조직검사로 진단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 |
A201007091432
|
경제적 세계화와 빈곤문제
|
paper
|
경제적 세계화의 주요 특징은 국제무역의 자유화, 외국인 직접투자의 자유화, 국제금융자본의 자유로운 국경 간 이동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러한 세계화는 자원의 사용을 범세계적 차원에서 효율화시켜 소득과 부의 증진을 가져온다는 논리에서 지지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국가 간 개인 간에 소득분배의 불평등을 심화시켜 상대적 빈곤문제는 물론이고 절대적 빈곤문제도 범세계적 차원에서 심화시키고 있다. 이는 세계화가 사회적 경제적으로 급격한 변화를 가져와 실업자를 양산하고 실질임금의 하락을 초래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제무역의 자유화는 비교열위산업의 탈산업화를 전제로 하는 것으로서 기업도산과 이에 따른 실업자를 양산하게 되며, 이들이 장기실업 상태에 처하게 되던가, 재취직접투자의 자유화는 저임금국으로 공장을 이전하거나 이전하겠다고 위협함으로써 노조활동과 노동자들의 임금인상요구를 약화시킨다. 이는 미숙련노동자의 실질임금하락뿐만 아니라 저임금화 현상도 가져와 부익부 빈익빈 현상을 더욱 심화시킨다. 금융시장의 자유화는 생산 활동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는 대규모 금융자본의 범세계적인 이동을 자유롭게 해줌으로써, 이들에게 단기차익을 노리는 투기적 활동을 가능하게 해준다. 투기성 금융자본들이 한 국가로부터 일시에 대규모로 빠져나가게 되면, 환율이 급등하게 되고 이자율이 급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산하는 기업들이 속출하게 되고 부실화된 기업들이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시행하게 된다. 이로 인해 실업이 만연하게 되며, 이들 중 상당 부분은 빈곤계층으로 전락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적절히 관리되는 세계화는 많은 이득을 가져다 줄 수 있다. 빠른 경제성장과 생활수준 향상의 기회를 제공해주며, 민주주의의 발전과 자유의 증진을 가능하게 해준다. 그러므로 개방화, 자유화가 급작스럽게 충격적으로 주어져서는 안 된다. 그럴 경우 정부는 적절한 역할을 수행할 수 없게 되고, 기업의 도산과 노동자의 실업이 급증하게 되어 사회가 이를 감당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세계화는 정부 정책의 우선순위에 따라 점진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세계화의 규범들이 바뀌어야 한다.
|
[
"경제적 세계화의 주 특징은 국제금융자본의 자유로운 국경 간 이동, 국제무역의 자유화, 외국인 직접투자의 자유화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계화는 자원의 사용을 범세계적 차원에서 효율화시켜 부와 소득의 증진을 가져온다는 논리에서 지지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개인 간 국가 간에 소득분배의 불평등을 심화시켜 상대적 빈곤문제는 말할 것도 없고 절대적 빈곤문제도 범세계적 차원에서 심화시키고 있다. 이는 세계화가 사회‧경제적으로 급격한 변화를 불러와 실업자를 양산하고 실질임금의 하락을 초래하고 있기 때문이다. ",
"2000년 9월 국제통화기금과 세계은행의 연차 총회가 열린 프라하에서는 폭력시위로 인해 100여 명이 부상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화염병, 곤봉, 돌 등으로 무장한 1만여 명의 세계화 반대 시위대가 “신세계 질서 반대” 등의 구호를 외치며 성조기를 불태우는 등 결렬한 시위를 벌이다 이를 저지하는 경찰과 충돌한 것이다. 2001년 7월 G8 정상회담이 열린 이탈이아의 제노 바에서도 격렬한 반세계화 폭력시위로 인해 1명이 사망하고 150명 이상이 부상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정상회담이 열리는 두칼레궁 밖에서 수만 명의 반세계화 시위대와 경찰이 충돌하면서 유혈사태가 빚어진 것이다. 2003년 9월에는 멕시코 카리브해변의 세계적인 휴양지 칸쿤에서 세계무역기구 5차 각료회의가 농산물 개방을 포함한 국제무역자유화 확대를 주제로 열렸다. 이러한 무역자유화의 확대에 반대하여 멕시코 농민을 비롯해 세계 각국에서 몰려든 농민들과 비정부기구(NGO) 관계자 5000여 명이 회의장 진입을 시도했다. 이 과정에서 “WTO가 우리를 죽인다”는 띠를 두른 우리나라의 한 농민대표는 흉기로 자신의 가슴을 찌르고 자결하는 사건까지 발생했다.",
"2000년 9월 프라하에서 폭력시위가 발생했다. 2001년 7월 이탈이아의 제노바에서도 격렬한 반세계화 폭력시위가 발생했다. 2003년 9월 멕시코 칸쿤에서 국제무역자유화 확대를 주제로 회의가 열렸다. 이에 반대하는 사람들이 회의장 진입을 시도했고 우리나라의 한 농민대표는 자결하는 사건까지 발생했다."
] |
A201007091544
|
계층분석과정에 의한 강의평가요인의 중요도 분석
|
paper
|
본 연구는 강의평가요인을 분석하고 각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방법으로 계층분석과정을 적용하였다. 강의평가요인은 강의목적과 내용의 적절성, 강의의 유익성, 동기유발, 평가의 공정성, 그리고 설명의 명확성이었다. 강의평가요인의 상대적 중요도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전체적으로 보면 강의목적과 내용의 적절성 0.28, 강의의 유익성 0.17, 동기유발 0.11, 평가의 공정성 0.32, 설명의 명확성 0.11로 나타났다. 실기중심 강의와 이론중심 강의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비교해보면 실기중심 강의에서는 강의목적과 내용의 적절성 0.19, 강의의 유익성 0.22, 동기유발 0.14, 평가의 공정성 0.32, 설명의 명확성 0.13이었으며, 이론중심 강의에서는 강의목적과 내용의 적절성 0.39, 강의의 유익성 0.13, 동기유발 0.09, 평가의 공정성 0.31, 설명의 명확성 0.08이었다. 강의평가는 교육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그 결과가 활용되어야 한다.
|
[
"본 연구의 목적은 강의평가 요인을 분석하고 각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방법으로는 계층분석과정을 적용하였으며, 강의평가요인은 설명의 명확성, 강의목적과 내용의 적절성, 동기유발, 평가의 공정성, 그리고 강의의 유익성이었다.",
"그 동안 전문대학은 외부환경과 구조적인 개선에 중점을 두어 운영하여왔다. 이러한 이유로 전문대학에서는 교육의 기본인 강의 질에 대한 충분한 관심과 이해가 부족하였으며, 강의 질 개선을 위한 실제적인 대안을 모색하지 못하였다 전문대학은 과거처럼 양적 성장에만 중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철저한 교육서비스 제공을 통한 개인의 능력, 창의성, 개성 그리고 다양성에 가치를 두는 수요자중심 교육을 요구받고 있다. 수요자중심 교육은 공급자인 학교측(학교, 교수, 교직원)이 수요자인 학생에게 교육목적 달성에 관련된 유형·무형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에게 물질적 만족뿐만 아니라 정신적 만족까지를 실현시켜주는 일체의 활동을 포함한다. 최근 전문대학의 운영방침은 수요자중심의 교육을 제공하고 대학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 교육체제의 변화, 교육과정의 다양화, 학과특성화 강의평가도입 등으로 사회봉사나 연구 기능보다 교육기능에 무게를 두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다. 이는 직접적으로 대학이 교수들에게 더 높은 교수능력을 요구하는 원인이기도 하다.",
"최근 전문대학은 수요자중심의 교육을 제공하고 대학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 교육체제의 변화, 교육과정의 다양화, 학과특성화 강의평가도입 등으로 교육기능에 무게를 두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다. 이는 대학이 교수들에게 더 높은 교수능력을 요구하는 원인이기도 하다."
] |
A201007091582
|
포도 흰송이 증상과 관련된 Hanseniaspora(Kloeckera) sp.의 분리 및 동정
|
paper
|
최근 수년간 김천지역 대부분의 포도 과수원에 심하게 발생되었던 일명 ‘흰송이’ 증상을 나타내는 흰가루의 주 미생물은 포도 표면에 존재하면서 포도주 발효시 중요한 문제를 일으키는 효모균Hanseniaspora (Kloeckera) sp.으로 동정되었으며, 이러한 증상의 발생은 과도하게 사용된 당분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
"본 논문은 포도 흰송이 증상과 관련된 Hanseniaspora sp.의 분리 및 동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동정한 3 균주 모두 포도과일의 표면에 일상 적으로 존재하는 효모인 Hanseniaspora(무성세대 Kloeckera)의 일종으로 확인되었다(Table 1, 2). 이 효모는 포도주 제조시 발효 초기에 관여하는 종류 중의 하나로 발효가 진행되어 알콜농도가 5~6%에 도달되면 대부분 생장이 억제된다. 그러나, 이 효모는 포도주 향기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지기는 하였으나 포도주 제조시 초산과 지방산 등을 생성하여 정상적인 포도주 발효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는 중요한 균으로 밝혀졌다(Bujdoso 등, 2001a, 2001b). 특히, 이 증상의 발생이 친환경 미생물제제의 사용이 늘어나기 시작한 2000년부터 급격히 증가하였던 사실과 당(sugar)에 의해 이 균주들의 생육이 촉진된다는 사실로 미루어 볼 때 흰송이 증상의 심한 발생은 적어도 농민들이 사용한 과다한 당분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사실은 2000년부터 3년 동안 김천지역 포도 재배 농장에서 이 증상이 가장 심하게 발생 하였던 작목회 4개 농가에서 2004년, 2005년도 2년간 본 연구자의 권고로 일체의 당분을 포함한 액비 등의 엽면 살포를 중지한 결과 다른 지역의 일부 농장에는 이 증상이 계속 발생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이들 농장에는 증상이 전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뒷받침 된다고 할 수 있다(자료 미제출).",
"동정한 3 균주 모두 Hanseniaspora의 일종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정상적인 포도주 발효에 문제를 일으키는 균으로 밝혀졌다. 특히, 흰송이 증상의 심한 발생은 농민들이 사용한 과다한 당분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
A201007091588
|
이혼율에 대한 새로운 지표의 개발 및 적용: 1990-2003년도의 우리나라 이혼율 분석
|
paper
|
이혼율이란 가족의 안정성을 설명하는 중요한 지표중 하나이다. 그런데 최근에 이혼율을 나타내는 기존의 몇 가지 지표들이 각 지표별로 극단적 차이가 있는 수치들을 이혼율로 제시함으로써 논란의 대상이 된 바 있다. 또한“이혼율이 혼인율의 50%이다”라는 것과“결혼한 부부들의 50%가 결국은 이혼으로 끝났다”등의 해석을 혼동함으로써 실제 이혼의 대중성이 과장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혼율에 대한 여러 기존지표들과 그 의미를 비교 고찰하고, 일반인들이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이혼율의 개념에 보다 잘 부합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이혼율 지표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1970년 이후의 통계청 자료를 이용하여 새롭게 제안된 지표 산정 방식으로 1990년도부터 2003년도까지의 우리나라 이혼율을 계산하여 그 추이를 살펴보았다. 통계청 자료에서는 결혼기간을 20년 이상인 경우 세분하지 않았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평생이혼율이 아닌 20년 이내 이혼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이혼율은 1990년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1990년도에 12.3%에서 2003년도에 37.1%로 3배 정도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
"본 연구의 목적은 이혼율에 대한 다양한 기존지표들과 그 의미를 비교‧고찰하고, 일반인들이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이혼율의 개념에 보다 잘 부합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이혼율 지표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혼이란 부부가 생존 중에 혼인을 해소하는 것을 말하며, 이는 부부관계를 인위적으로 소멸시킨다는 점에서 부부일방의 사망에 의하는 혼인의 자연적 해소와는 다르게 정의된다(김태진, 1992). 따라서 이혼율은 사회구조상 가장 기본적 공동체인 가족에 대한 안정성 또는 결혼의 안정도를 평가해주는 지표로서 사회구조의 변화를 간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할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남은자, 2001; 한성현 외 2명, 2000). 그 예로, 보건복지부와 꽃동네 현도사회복지대학교가 공동 발간한 <복지와 경제의 선순환관계 연구 보고서>에서 2002년도 기준 우리나라 결혼건수 대비 이혼건수가 47.4%로, 평균적으로 매년 결혼하는 2쌍 중 1쌍은 이혼하는 것으로 해석되어 커다란 사회적 충격을 야기한 바 있다(이태수, 2003; YTN, 2003). 그 후, 법원행정처는 우리나라 이혼율이 세계 최고 수준이라는 근거로 제시된 이혼율 산정방식에 문제가 있으며, 현재 이혼율은 9.3%수준으로 보아야 한다고 밝혔다(한겨레, 2004).",
"이혼율은 사회구조의 변화를 간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하고 사회적으로도 큰 영향을 미친다. 법원행정처는 우리나라 이혼율이 세계 최고 수준이라는 근거로 제시된 이혼율 산정방식에 문제가 있으며, 현재 이혼율은 9.3%수준으로 보아야 한다고 밝혔다."
] |
A201007091594
|
한국과 미국의 속보성 경제지표 비교연구
|
paper
|
우리나라의 속보성 경제지표와 관련하여 신문, 방송 등에서는 지표종류가 부족하고 발표시점이 월말에 집중되어 있어 월중 경제동향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지적을 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런 지적사항을 확인하고 경제지표들의 유용성을 높이기 위해 미국의 경제지표들과 비교하여 개선사항을 파악하고자 한다. 비교대상은 발표주기가 월간단위 이하인 비금융부문 경제지표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은 지표의 작성여부, 작성방법, 통계표 내용, 지표에 대한 접근 용이성의 정도에 대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한국은 미국과 비교해서 경제지표의 종류가 부족한 편은 아니지만 고용, 재고, 소득과 부동산 부문의 통계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특히 지표에 대한 접근용이성은 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수준이다. 경제지표 작성방법에 있어서도 통계작성단위, 계절조정, 포괄범위 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며, 통계표도 미국은 우리나라보다 교차비교표 등 다양한 통계표를 작성하고 있다. 연구결과 발견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의 속보성 경제지표 통계작성 관련기관들이 유기적인 협조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중앙통계기관인 통계청의 역할이 요청된다.
|
[
"본고에서는 경제지표들의 유용성을 높이기 위해 미국의 경제지표들과 비교하여 개선사항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한국은 미국과 비교해서 경제지표의 종류가 부족한 편은 아니지만 재고, 고용, 소득과 부동산 부문의 통계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
"특히 언론을 통해 미국과 비교해서 우리나라 경제지표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주요 요인을 살펴보면 다양한 경제지표의 부족과 발표시점에 대한 지적이 가장 많다. 이에 대한 신문기사를 살펴보면, “미국의 경기통계는 한 달 내내 끊임없이 발표되지만, 우리나라는 월말에 편중되어 월말이후부터 다음 달 월말까지의 시장은 사실상 경기판단의 공백상태”이며“우리나라는 쓸 만한 경기지표가 일주일에 잘해야 1~2건 정도 나오지만, 미국은 하루 평균 1~2건 이상의 통계가 발표되어 질적 차이를 떠나 양적으로도 턱 없이 부족함”을 지적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먼저 Ⅱ장에서 속보성경제지표의 정의 및 선정기준을 간략히 살펴본 후, Ⅲ장에서 한국과 미국의 속보성 경제지표를 지표종류, 발표시점과 접근용이성 측면에서 분석한다. Ⅳ장은 본고의 핵심으로 물가, 경기 등 11개 경제부문별로 우리나라와 미국의 경제지표들을 작성대상범위, 작성방법, 발표항목 등의 측면에서 비교 ․ 분석한 후 우리나라의 경제지표들이 개발 혹은 개선해야 할 과제들을 구체적으로 모색한다. Ⅴ장 맺음말에서는 우리나라의 속보성 경제지표의 유용성을 높이기 위해 관련 통계작성기관이 향후 어떠한 통계를 작성하고 개선해야할지를 모색해 본다. 또한 중앙통계 기관인 통계청의 역할도 언급한다.",
"우리나라 경제지표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요인을 살펴보면 다양한 경제지표의 부족과 발표시점에 대한 지적이 가장 많다. 본고에서는 속보성경제지표의 정의 및 선정기준을 간략히 살펴본 후 한국과 미국의 속보성 경제지표를 분석한다. 또한 11개 경제부문별로 우리나라와 미국의 경제지표들을 분석한 후 개선해야 할 과제들을 모색한다."
] |
A201007092467
|
16~17세기 寒岡 鄭逑의 地理志 편찬
|
paper
|
본 논문은 16, 17세기에 활동한 鄭逑가 편찬한 지리지의 내용을 개관하고 그 특성을 검토한 것이다. 정구는 총 11종의 지리지를 편찬했는데, 여기에는 그가 지방관으로 부임한 곳에서 편찬한 8종의 지방 지리지와 朱熹의 연고지와 자신의 거주지를 소개한 3종의 지리지가 있다. 정구는 지리지의 편찬을 통해 지방 사회에 유교식 예제를 보급하고, 충효를 권장하여 지방 사회의 안정을 도모했으며, 지방관이 임지의 현황을 손쉽게 파악하여 善政을 펼칠 수 있는 기본 자료를 제공했다. 또한 정구는 지리지에서 鄭夢周에서 시작하여 李滉, 曹植으로 이어지는 학통의 계승을 강조했는데, 이는 그의 학통의식을 반영한 때문이었다. 실제로 16, 17세기에 경상도 지역의 지리지는 이황과 조식의 학문을 계승한 제자들이 주로 편찬했다. 정구가 1587년에 편찬한 『咸州志』는 현재 남아있는 지방 지리지 가운데 최초의 지리지이며, 이는 이후 지방 지리지의 전범이 되었다.
|
[
"정구는 모두 11종의 지리지를 편찬했는데, 여기에는 그가 지방관으로 부임한 곳에서 편찬한 8종의 지방 지리지와 朱熹의 연고지와 자신의 거주지를 소개한 3종의 지리지가 포함되어 있다. 정구는 지리지의 편찬을 통해 지방 사회에 유교식 예제를 보급하였다.",
"정구는 1580년에 『창산지』를 편찬하는 것을 시작으로 지방관으로 부임하는 곳마다 지리지를 편찬하여 총 8종의 지방 지리지를 편찬했고, 주자의 연고지와 자신의 거주지를 소개하는 3종의 지리지를 별도로 편찬했다. 정구는 지리지의 편찬을 통해 지방 사회에 유교식 예제를 보급하고, 충효를 권장하여 지방 사회의 안정을 꾀했으며, 지방관이 임지의 현황을 손쉽게 파악하여 善政을 펼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 정구는 지리지의 편찬을 통해 정몽주, 길재, 김종직, 김굉필, 정여창, 이황, 조식으로 이어지는 학통의 계승을 강조했는데, 이는 그가 생각하는 자신의 학통과 조선 유학의 正統論이 반영된 것이다. 실제로 16, 17세기에 편찬된 지방 지리지 가운데 경상도 지역의 지리지는 김종직, 김굉필, 이황, 조식의 학문을 계승한 제자들이 편찬을 주도하는데, 정구의 제자 중에서는 許穆과 崔睍이 지방 지리지를 편찬했다. 정구가 편찬한 지리지에는 그가 학자관료로서 가졌던 학문의 실천 방안과 학통 의식이 잘 드러난다. 그리고 그가 편찬한 『함주지』는 16세기에 편찬된 지방 지리지 가운데 현재까지 남아있는 최초의 지리지이다. 정구의 『함주지』는 이후에 편찬된 지방 지리지의 전범이 되었다.",
"정구는 지방관으로 부임하는 곳마다 지리지를 편찬했다. 그는 지리지를 통해 지방 사회에 유교식 예제를 보급하고, 충효를 권장하여 지방 사회의 안정을 꾀했으며, 지방관이 임지의 현황을 손쉽게 파악하여 善政을 펼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 정구의 지리지에는 그가 학자관료로서 가졌던 학문의 실천 방안과 학통 의식이 잘 드러난다."
] |
A201007090743
|
컨설팅 사회
|
paper
|
이 논문은 우리 사회에서 일고 있는 컨설팅 붐을 - 사회이론적 개념들과 사유를 원용하여 - (후기)근대사회의 구조적 성격과 특질, 그리고 그 결과로서의 개인적 삶의 구성양식과 관련지워 설명하려는 시도이다. 연구의 결과로 필자는 사회구성원들이 통합의 관점과 최종적 권위가 부재한 채로 삶을 설계하고 그 결과에 대한 리스크를 스스로 담보해내야 하는 사회적 상황 속에서 살아가고 있음을 전제로, 컨설팅이 삶의 복합성을 낮추어주고, 일정한 안정성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내부장치를 창출해내기 위한 사회체계의 제도적 노력으로 해석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런 의미 에서 컨설팅은 체계의 조직적 자기성찰 메커니즘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질문에 대한 대답은 부정적이다. 컨설팅은 실제적으로 통합적 관점을 창출하지도, 보다 좋은 삶의 설계를 객관적으로 담보하지도, 리스크를 축소시키지도 못한다. 컨설팅이 그 자체로 유동적이고 상대적인 (후기)근대적 사유와 구조의 산물인 까닭이다. 이렇게 본다면 컨설팅은 새로운 문제해결 방법의 등장이라기보다는, 지속적으로 스스로를 설명하고 정당화해야 하는 근대사회에서 사회체계가 자신이 처한 사회구조적 조건에 대해 의미론적으로 대응하는 한 형태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컨설팅이 생산해내는 것은 실상 ‘정답’이 아니다. 그리고 컨설팅은 여하한 것도 담보하거나 책임지지 않는다. 컨설팅은 오히려 비필연성과 불확실성을 제도화된 상태로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재)생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
[
"이 논문은 컨설팅 붐을 사회이론적 개념들과 사유를 원용하여 후기 근대사회의 구조적 특질과 성격, 그리고 그 결과로서의 개인적 삶의 구성양식과 관련지워 설명하려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컨설팅은 새로운 문제해결 방법의 등장이라기보다는, 지속적으로 스스로를 정당화하고 설명해야 하는 근대사회에서 사회체계가 자신이 처한 사회구조적 조건에 대해 의미론적으로 대응하는 한 형태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
"이러한 가정아래 본 글에서는 오늘의 상황을 ‘컨설팅 사회’라는 개념으로 정식화하고, 과연 무엇이 사회 전 분야의 ‘컨설팅 산업화’를 야기하는 사회 구조적 원인인가를 사회이론적 개념들과 사유를 원용해 되짚어보고, 그 사회적 기능과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컨설팅 붐에 대한 표피적, 감각적 이해를 넘어설 수 있는 하나의 사회이론적 해석의 지평을 획득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를 가지고. 여기서 필자는 컨설팅을 긍정적으로 또는 부정적으로 규정하는 것을 그 전제로도, 목적으로도 하지 않는다. 한편에서는 해방인 것이, 다른 한편에서는 안정성의 상실을 의미하고, 한편에서 다원성의 인정이 다른 한편에서 상대주의로 읽어지며, 효율성의 증가는 인간성의 상실로 평가 절하될 가능성이 항상 동시적으로 존재하는 (후기)근대사회에서 그것은 가능한 일이 아닐지도 모른다. 이어지는 이론적 논의들에서도 우리는 사회적으로 끊임없이 (재)생산되는 양가적 내지는 다가적(多價的) 측면들을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어찌 보면 이렇게 계속적으로 ‘양가성’을 생산해내는 사회의 자기 이해야말로 컨설팅 붐의 근본적 이유이자 그 지속적인 유지와 확산을 ‘점’칠 수 있게 하는 ‘합리적’ 근거가 아닐까 생각되는 것이다.",
"본 글에서는 오늘의 상황을 ‘컨설팅 사회’라는 개념으로 정식화하고 무엇이 사회 전 분야의 ‘컨설팅 산업화’를 야기하는 원인인가를 되짚어보고, 그 사회적 기능과 결과에 대해 논의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컨설팅 붐에 대한 표피적, 감각적 이해를 넘어설 수 있는 하나의 사회이론적 해석의 지평을 획득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를 갖는다."
] |
A201007090749
|
역사적 사건의 문화예술적 재현양상- ‘5월 연극’의 분류와 해석을 중심으로 -
|
paper
|
이 글은 ‘5월 연극’ 자료를 수집, 정리하는 것을 토대로 연극의 재현방식과 내용에 따른 분류 및 체계화를 시도하였다. ‘5월 연극’의 시기별 추이 및 정치적 지형과의 연관성, 즉 정치적 지형에 따라 연극이 어떤 영향을 받았으며, 그 변화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연극에 대한 비평적, 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5월 연극’의 재현내용에 따른 분류의 결과, 1987년 이후 사실주의적으로 재현한 연극은 주로 ‘증언’과 ‘고발’의 성격이 강한 저항작품으로서 불의에 항거하는 ‘분노’와 ‘원한’의 정서를 보여주고 있다. 이에 비해 2000년 이후 점차적으로 항쟁의 집단적 경험에 의한 사실주의적 증언의 성격보다는 개인의 경험과 기억, 그리고 트라우마를 중심으로 상징화하는 메타적 재현내용으로 변화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피해자의 기억에 의존하는 사실주의적 재현에서 가해자의 기억을 끌어들임으로써 항쟁을 더욱 ‘객관화’한다는 점에서 재현형태의 다양화뿐만 아니라 재현내용의 다양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내용적, 형식적 다양화를 통한 재현시기 이전까지 연극 내용의 성격이 민중적, 계급적 관점에서 재현되었다면, 다양화 시기부터 이러한 민중적, 계급적 성격이 탈각되고 있다. 그리고 연극의 재현 시각에서도 5 18항쟁과의 ‘거리’, ‘객관성’, ‘균형’이라는 점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항쟁에 대한 ‘객관화’와 ‘거리두기’에 대한 생산주체들의 고민은 '5월 연극'의 예술성과 재현의 다양화에 대한 모색과 맞물려 있다.
|
[
"이 글은 ‘5월 연극’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는 것을 바탕으로 연극의 재현방식과 내용에 따른 분류 및 체계화를 시도하였다. ‘5월 연극’의 시기별 추이 및 정치적 지형과의 상관성, 다시 말해 정치적 지형에 따라 연극이 어떤 영향을 받았으며, 그 변화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았다.",
"5․18항쟁은 한국사회에서 사회운동을 고양시켰을 뿐만 아니라 문화예술 분야에서 다양한 재현 및 형상화를 자극했다. 특히, 1980년 이후 항쟁의 기억과 경험은 사회운동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면서 발전한 문화예술운동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항쟁에 관한 연구나 담론은 대부분 정치적․ 경제적․이데올로기적 측면에 한정되어 있다. 때문에 역사적 사건에 대한 기억과 재현, 그것의 의미를 공유하고 확산하는 문제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는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과거의 역사적 사건으로서 5․18항쟁을 재현한 문화예술운동과 그 작품을 분석하는 작업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역사적 사건은 문화예술적 형상물로 재현(representation)되고, 그러한 형상물은 역사적 사실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한다. 문화예술분야는 5․18항쟁에 의해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또한 5․18항쟁은 다양한 문화예술 장르를 통해 재현되었다. 그래서 이 글은 한국현대사에서 중요한 역사적 사건이었던 5․18항쟁에 대한 기억이 정치적 지형에 따라 어떻게 변화했고, 이것이 문화예술적 재현에 어떤 영향을 미쳤으며 그 특징이 무엇인가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5․18항쟁은 한국사회에서 사회운동을 고양시켰을 뿐만 아니라 문화예술 분야에서 다양한 재현 및 형상화를 자극했다. 그러나 항쟁에 관한 연구나 담론은 대부분 정치적․ 경제적․이데올로기적 측면에 한정되어 있다. 그래서 이 글은 5․18항쟁에 대한 기억이 문화예술적 재현에 어떤 영향을 미쳤으며 그 특징을 연구한다."
] |
A201007090754
|
휴대폰 기반 ETC 시스템을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 설계 및 구현
|
paper
|
현재 시범 시행중인 자동요금징수(ETC: Electronic Toll Collection) 서비스는 차량 주행 중에 차량내의 자동요금징수 서비스 전용 단말기에 내장된 카드 리더 장치로부터 삽입된 스마트 카드의 정보를 읽어 과금을 결재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 ETC 시스템인 카드 리더 방식에서 발생되는 단점을 극복하고 처리하여 성능이 향상된 자동요금징수 서비스를 위하여 차량이 주행 중에 휴대폰을 이용하여 통행료를 자동으로 징수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휴대폰을 이용한 자동요금징수 결재 시스템을 통하여 운전자는 카드리더의 이용 시 발생되는 카드와 카드 리더간의 불일치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휴대폰을 이용하여 요금을 결재함으로서 보다 능률적인 데이터 처리 및 편리한 사용자 환경을 구축하였다.
|
[
"본 연구에서는 현 ETC 시스템인 카드 리더 방식에서 발생되는 단점을 처리하여 성능이 향상된 자동요금징수 서비스를 위하여 차량이 주행 중에 휴대폰으로 통행료를 자동으로 징수하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80년대 이후 계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차세대 교통 체계 및 시스템인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은 교통 혼잡을 효율적으로 조정하고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하여 도로, 차량, 신호 시스템 등 기존 교통 체계의 구성요소에 전자, 제어, 통신 등 첨단 기술을 결합시켜 구성 요소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작용토록 하는 차세대 교통 체계 및 시스템이다. ITS는 도로와 차량을 통신, 제어 등의 최첨단 정보 통신 기술을 이용 결합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도로의 상황, 그에 따른 우회도로 정보 및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혼잡을 완화시키고, 안전 운전을 확보하며 환경을 보호한다. 이러한 효과를 통하여 도로 이용을 최적화하며, 안전하고 쾌적하고 효율적인 교통을 실현 가능하게 하는 정보통신 네트워크와 교통 네트워크의 통합 시스템이다. 국내에서는 1997년 말부터 “국가 ITS 사업의 핵심 공유 기반 기술 연구”를 통하여 ITS 기반 구축의 국가적인 계획안이 수립되었다.",
"지능형 교통 시스템은 교통 혼잡을 조정하고 안정성 증진을 위하여 기존 교통 체계의 구성요소에 첨단 기술을 결합시켜 구성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작용토록 하는 차세대 교통 체계 및 시스템이다. ITS는 운전자에게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교통 혼잡을 완화시키고, 안전 운전을 확보한다."
] |
A201007090759
|
주파수 변조 연속파를 이용한 레벨 측정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paper
|
본 논문은 주파수 변조 연속파 레이더를 사용하여 화물 선박의 탱크의 내용물의 깊이를 측정하는 레벨 센서의 개발에 관한 것이다. 사용 주파수는 10∼11GHz를 이용하였으며, 테스트용 물체는 RCS가 0.8m2 인 도체판을 사용하였다. 실험은 연구실 내부와 운동장에서 하였으며, 스윕 주기가 100ms, 안테나 이득이 약 22dBi인 사각형 혼 안테나를 사용하여 약 8dBm의 신호를 안테나에 인가하여, 40m까지 물체를 움직이며 비트주파수를 측정하여 이론치와 비교하였다. 실험치와 이론치가 잘 일치하였으나 전압제어 발진기의 비선형으로 인해 분해능이 약 10cm 정도로 측정되었다.
|
[
"본 논문은 주파수 변조 연속파 레이더를 활용하여 화물 선박의 탱크의 내용물의 깊이를 측정하는 레벨 센서를 개발하는 과정과 결과를 기술한 것이다.",
"거리 측정용 주파수 변조 연속파(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 : FMCW) 레이더는 도로상에서 차량의 충돌 방지용, 비행 물체의 비행 고도 측정용 및 연료 저장고의 연료 저장 높이 측정용 등 많은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 되어 오고 있다. 또한 주파수 변조 연속파를 이용한 화물 선박의 탱크의 내용물의 높이를 측정하는 레벨 게이지도 SAAB사 등 몇몇 업체에서 개발을 하고 있으며, 선박의 무인자동화의 추세로 이러한 레이더 빔 형태의 계측 시스템의 시장 규모가 점점 더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선박용 레이더 빔 형태의 레벨 계측 시스템을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FMCW를 사용하는 선박용 레벨 센서를 개발할 때 가장 중요한 부분인 RF 부에 대해 설계 및 실험한 결과를 기술하고자 한다. 2장에 주파수 변조 연속파 레이더의 원리와 본 논문에서 제작한 레이더의 설계에 대해 기술하고, 3장에서 실험 및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4장에 결론을 기술하였다.",
"주파수 변조 연속파 레이더는 차량의 충돌 방지, 비행 고도 측정 및 연료 저장 높이 측정 등 많은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 되고 있다. 화물 선박 탱크 내용물의 높이를 측정하는 레벨 게이지도 개발 하고 있으며, 선박의 무인자동화의 추세로 레이더 빔 계측 시스템의 시장 규모가 성장하고 있다."
] |
A201007090764
|
유아를 위한 그림책에 나타난 리더십
|
paper
|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에 나타난 등장인물의 문제해결 방식과 리더십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2002년, 2003년 어린이 도서 연구회, 한우리의 권장 도서와 한국 어린이 도서상, 황금 도깨비상, 보림 창작 그림책상, 케이트 그린어웨이상, 칼뎃콧상, 안데르센상을 수상한 그림책 총 840권을 선정하였다. 연구대상 도서 중에서 최근 10년 간 국내에서 단행 권으로 번역출판된 창작 그림책이며, 문제해결이 나타난 그림책 총 186권을 재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1) 그림책에서는 개별적 문제해결이 협력적 문제해결보다 더 많이 나타났다. (2) 협력적 문제해결 상황에서 리더의 연령은 아동이 많았으며, 과정에 도전하는 리더 행동을 가장 많이 나타났다. 리더의 성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
[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에 드러난 등장인물의 리더십과 문제해결 방식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으로는 2002년, 2003년 황금 도깨비상 등을 수상한 그림책 840권을 선정하였다.",
"현대 사회의 병폐 중의 하나로 지적되는 것은 공동체 의식의 부재이다. 산업사회가 이성에 치우쳐 냉정한 개인주의만이 존재하고 이것으로 인하여 세계는 무한 경쟁사회에서 만인이 만인을 적으로 하는 무서운 경쟁 속에서 살아왔다면, 현대 사회는 이러한 극단적 개인주의를 지나 이성주의와 주정주의-인간의 정신활동에서, 이성(理性)이나 의지(意志) 보다도 감정(感情)·정서(情緖)를 중시하는 경향-를 조화 있게 배합시킨 전인적 인간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앞으로의 교육은 낮은 자아 존중감과 낮은 성취를 이끄는 현재의 경쟁적인 교육풍토에서 벗어나 학습자로 하여금 서로 돕고 연대감을 느끼도록 하는 협동학습 방법을 지향하고 있다. 유아들은 협동하여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을 통해 타인과 의사소통하고 타인의 입장을 헤아리고, 더불어 살아가는 생활 습관을 형성하며 기술과 태도를 학습한다. 협동적인 활동에는 서로의 목표를 나누고, 의사결정하고, 생각이나 자료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목표를 위해서 협력하고, 그 과정을 평가하는 것이 포함된다. 유아는 성인과 다른 유아들과 대화와 토론을 하면서 많은 정보를 교환하고, 다른 사람의 관점과 사고를 경험하고, 자신의 생각을 수정하고, 공정한 게임방법, 협동성, 정직성, 책임성을 습득하게 된다.",
"앞으로의 교육은 학습자로 하여금 서로 돕고 연대감을 느끼도록 하는 협동학습 방법을 지향하고 있다. 유아들은 협동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타인과 의사소통하고 타인의 입장을 헤아리고, 더불어 살아가는 생활 습관을 형성하며 기술과 태도를 학습한다."
] |
A201007090769
|
"대지의 아들들"과 존재의 정의
|
paper
|
대지의 아들들은 감각주의자이자 온건한 운동론자들이다. 그들의 등장은 처음부터 운동과 정지가 존재문제의 해결에 중심적인 논의의 대상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운동론자인 그들에게 정지의 존재도 받아들이게 함으로써 운동과 정지를 모두 확보하려는 것이 플라톤의 전략이다. 그들을 논의하는 중에 등장하는 존재의 정의도 운동과 정지를 모두 포함하려는 의도로 나온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오직 관계적 존재에 대한 정의이며, 그것도 내포적 정의가 아니라, 외연적 정의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것은 처음부터 잠정적인 것일 수밖에 없었다. 『소피스트』편의 247d-e에는 존재의 정의가 등장한다. 이것이 도대체 존재의 정의가 되는지, 된다면 진정한 정의인지 잠정적인 정의인지, 또 어떤 의미에서 그런지를 놓고 주석가들 사이에 많은 논란이 있어 왔다. 본 논문의 의도는 이 정의의 의미와 성격을 밝히고, 그 존재론적 지위는 무엇인지를 따져보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을 위해서는 바로 앞에 나오는 “대지의 아들들”에 대한 논의를 함께 살펴는 것이 불가피하고 그것은 그 자체로서 또 의미가 있는 부분이므로, 결국 그 양쪽을 다 다루지 않을 수 없다.
|
[
"『소피스트』편의 247d-e에는 존재의 정의가 등장한다. 이것이 대체 존재의 정의가 되는지, 된다면 잠정적인 정의인지, 진정한 정의인지, 또 어떤 의미에서 그런지를 놓고 주석가들 사이에 많은 논란이 있어 왔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 정의의 의미와 성격을 밝히고, 그 존재론적 지위는 무엇인지를 따져보는 것이다.",
"현대의 물질 개념은 더욱더 플라톤 철학과는 거리가 있다. 우리가 이해하는 물질은 타성적이고 스스로 움직이지 못하며 하여간 정신이나 사유와는 전혀 존재방식이 다른 어떤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오늘날의 물질과 사유 사이의 대립에는 데카르트의 사유물과 연장물의 이분법이 깔려있다. 이러한 이분법의 첫 번째 결과는 모든 존재자는 사유 아니면 물질에 속한다는 것이다. 물질은 따라서 사유와는 완전히 대립된 것이다(“res cogitans”에서 “cogitans”가 현재 분사임에 주의해야 한다. 사유물은 사유 그 자체이다). 그렇다면 이념적 존재자들, 즉 “cogitata(사유된 것들)”가 머물 장소는 사유 속일 수밖에 없고, 사유의 상관자로서만 의미를 가질 뿐이며, 따라서 그것들은 개념이나 “관념”이 되어버리고 만다. 이것이 이분법의 두 번째 결과이다. 물질은 결국 사유와 그 상관자(개념이나 “관념”) 전체에 대립된 것이 된다. 이미 이 “관념”의 위치가 문제이지만 그것은 잠시 놓아두고, 일단 현대의 물질 개념과 “대지의 아들들”의 물체(sōma) 사이의 차이점에만 주목해 보자.",
"오늘날의 물질과 사유 사이의 대립에는 데카르트의 사유물과 연장물의 이분법이 깔려있다. 그 결과 모든 존재자는 사유 아니면 물질에 속한다. 그렇다면 이념적 존재자들이 머물 장소는 사유 속일 수밖에 없고 그것들은 개념이나 “관념”이 되어버린다. 이것이 이분법의 두 번째 결과이다."
] |
A201007090774
|
원형질체 융합에 의한 Avermectin B1a 고생산성 Streptomyces avermitilis 균주 개발
|
paper
|
Streptomyces avermitilis가 생산하는 이차대사산물인 avermectin B1a(AVM B1a)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고생산성 균주를 융합파트너로 이용하여 원형질체 융합에 필요한 기본 실험조건을 확립하였고, 대량 선별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양한 융합균주들을 선별하였다. 특별한 표지인자가 없는 경우에도 원형질체 융합에 의해 유전자재조합체들을 선별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즉, 고생산성 균주의 원형질체(L-isoleucine 유사체인 O-methylthreonine 또는 azaleucine에 대한 저항성 변이주의 원형질체)의 치사율이 약 95% 정도 되도록 UV나 NTG로 각 원형질체를 돌연변이시킨 후, 융합을 시도하여 재생된 변이주를 원형질 융합된 유전자재조합체로 간주하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돌연변이원으로 UV를 이용할 경우 대부분의 유전자재조합 균주들의 AVM B1a 생산성이 융합 모균주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주목할 만하게도 최고 3배 정도 향상된, 거의 산업용 균주의 생산성을 갖는 균주들을 선별할 수 있었다.
|
[
"Streptomyces avermitilis가 생산하는 이차대사산물인 avermectin B1a(AVM B1a)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고생산성 균주를 융합파트너로 활용하여 원형질체 융합에 필요한 기본 실험조건을 확립하였고, 대량 선별시스템을 활용하여 여러 융합균주들을 선별하였다.",
"종균배양은 30ml culture tube에 10ml의 성장배지를 첨가하여 진탕 배양기에서 28℃, 230 rpm으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10%(v/v)로 생산배지에 접종하였다, 생산배지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soluble starch 132g/l, soybean meal 10g/l, skim milk 15g/l, KH2PO4 0.5g/l, PEG 2,000 2.5g/l. 생산배양은 균주의 대량선별 초반 단계에서는 30ml culture tube에서 10ml의 생산배지로 수행했으며, 후반부에서는 산소 공급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250ml flask에 30ml의 생산배지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생산배양 조건은 성장배양 때와 마찬가지로 28℃, 230 rpm으로 배양하였으며 7일간 배양한 후 AVM B1a의 생산성을 확인하였다. 배지의 열 멸균 시에 발생하는 현상인 침전과 갈변현상의 방지를 위해서 무기염류와 당을 분류하여 멸균한 후에 무균 상태에서 나머지 생산배지 용액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종균배양은 30ml culture tube에 10ml의 성장배지를 첨가해 진탕 배양기에서 28℃, 230 rpm으로 48시간 배양한 후 10%로 생산배지에 접종하였다. 침전과 갈변현상의 방지를 위해서 무기염류와 당을 분류하여 멸균한 후 나머지 생산배지 용액과 혼합했다."
] |
A201007090778
|
고정화 Aspergillus niger 세포를 이용한 우유공장 폐수로부터 구연산 생산의 최적 조건
|
paper
|
고정화된 Aspergillus niger 세포가 우유공장폐수에서 발효로 구연산을 생산하는데 이용되었다. 구연산 생산균주로서 A. niger ATCC 9142가 3일간 전배양되었으며, 약 2.5~3.5 mm Ca-alginate beads로 포획되었다. 최적의 pH와 온도는 각각 3.0과 30oC였다. 발효에 대한 최적 희석률은 0.025 h-1인 것으로 계산되었다. 구연산의 최대 생산량은 최적화된 발효조건과 함께 4.5 g/l에서 얻어졌다. 고정화된 Aspergillus niger ATCC 9142에 의해 생산된 구연산의 수율은 70.3%였다. Shake-flask 배양실험에 비해 연속식 배양실험 결과가 고정화 세포에 의해 20% 증가되었다. 따라서 우유공장폐수는 구연산 발효기질로서의 이용가치가 있다고 볼 수가 있겠다.
|
[
"고정화된 Aspergillus niger 세포가 우유공장 폐수에서 발효로 구연산을 생산하는 데 활용됐다. 구연산 생산균주로서 A. niger ATCC 9142가 사흘간 전배양되었다.",
"환원당은 dinitrosalicylic acid(DNS) 법으로 측정하였다. 0.25g의 3.5-dinitrosalicylic acid와 75g의 Rochelle salt를 2 M NaOH 50ml에 첨가해서 녹인 다음, 증류수로 250ml가 되도록 희석해서 DNS 시약을 제조하였다. 1ml의 시료에 제조한 DNS 시약을 1ml 혼합하여 100℃에서 10분간 발색하여 실온으로 급냉한 다음, 자외선 분광광도계(Shimadzu, Model U-3210, Japan)를 이용하여 흡광도(570nm)를 구하고, 검량선을 이용해서 정량하였다. 구연산은 Marier와 Boulet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시료 1ml에 1.3ml의 pyridine을 넣고, 여기에 다시 5.7ml의 무수초산을 넣고 교반 후, 항온수조에서 1시간동안 반응시켜 발색시켰다. 자외선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흡광도(420nm)를 구하고 검량선을 이용해서 정량하였다. 질소성분 분석에 있어서 질소원의 양은 일반적인 Kjeldahl 법을 이용해서 측정하였다.",
"환원당은 DNS 법으로 측정했다. 구연산은 Marier와 Boulet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자외선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흡광도(420nm)를 구하고 검량선을 이용해서 정량하였다. 질소성분 분석에 있어서 질소원의 양은 일반적인 Kjeldahl 법을 이용해서 측정하였다."
] |
A201007090782
|
주박으로부터 효모포자의 생산
|
paper
|
쌀 양조 후 남은 고체찌꺼기인 주박을 사용하여 Saccharomyces 효모 포자의 대량생산을 위하여 주박의 최적 전 처리과정, 최적 배지조성과 배양조건을 조사하였다. 포자형성을 위하여서는 주박으로 제조한 전포자형성배지(PSM)에서 효모를 배양한 후 1% potassium acetate로 구성된 포자형성배지(SM)에 10%를 재접종한 후 25oC에서 4일간 포자형성을 시켰다. 주박과 물을 1 : 2로 혼합한 후 51oC에서 24시간 preincubation한 후 그 원심분리 상등액을 PSM으로 사용하여 48시간 배양하고 이를 다시 SM에 접종하여 4일 배양하였을 때 최대 포자 자낭 수 0.72?108/ml를 얻었다. SM배지에 1.4% 밀기울 국(koji)을 영양원으로 첨가하였을 때 형성된 자낭수는 1.06?108/ml로 증가하였다. 초기 SM pH가 5에서는 포자가 형성되지 않았으며, pH 7~11에서 포자가 형성되었다. 한편 주박의 전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하기 위하여, 전 처리 하지 않은 주박을 직접 사용하여 포자형성을 시켜보았는데, 1% 갈색설탕을 함유하는 PSM에 2% 그리고 SM에 0.5%의 전 처리 하지 않은 주박을 각각 첨가하였을 때, 최대 포자 자낭수 1.27?108/ml를 얻었다.
|
[
"본 논문에서는 쌀을 양조한 후 남은 고체찌꺼기인 주박을 이용하여 Saccharomyces 효모 포자의 대량생산을 위하여 주박의 최적 전 처리과정, 최적 배지조성과 배양조건을 조사하였다.",
"주박을 51℃에서 24시간 전처리한 후 그 원심 분리 상등액을 PSM으로 사용하고, 이 PSM에서의 배양시간에 따른 SM에서의 포자 형성율 및 자낭 형성율을 조사한 결과를 Table 3에 나타내었다. PSM에서의 배양된 세포 수는 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점 증가하였고 60시간 후 84시간에 이르는 배양시간에서는 완만한 세포 성장률의 증가를 보였다. SM 배지에서는 36시간동안 PSM에서 배양 후 SM에 접종한 경우에서 가장 높은 포자형성율을 보였으나, 48시간 후에 세포성장수가 36시간보다 더 많아 48시간 후에 0.72-108/ml의 최대 자낭형성수를 나타내었다. 특히 36시간 배양시간에서 포자형성이 가장 높았던 사실은 PSM에서 early-stationary phase의 culture를 SM에 옮겼을 때 가장 포자형성을 잘 하였다는 보고와 근접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Table 1, 2, 3의 결과는 주박과 물의 혼합물의 원심 분리 상등액을 PSM으로 사용하기 위한 예비실험이 되었고, 51℃ 그리고 24시간의 pre-incubation 온도와 전처리 과정을 거친 주박액을 PSM으로 하여 48시간 동안 효모를 배양하는 것이 SM에서 가장 많은 수의 자낭을 형성함을 알았다.",
"PSM에서의 배양된 세포 수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60시간 후 84시간에 이르는 배양시간에서는 완만한 세포 성장률의 증가를 보였다. SM 배지에서는 가장 높은 포자형성율을 보였으나 48시간 후에 최대 자낭형성수를 나타내었다. 또한 주박액을 PSM으로 하여 48시간 동안 효모를 배양하면 가장 많은 수의 자낭을 형성했다."
] |
A201007090787
|
내부자거래 제한규정의 미적용행위에 관한 고찰 -내부자거래유보와 대체적 내부자거래를 중심으로
|
paper
|
내부자거래 제한규정은 기업에 관한 공개되지 않은 중요한 정보를 지득한 자가 이를 이용하여 당해 기업의 증권을 거래하는 것을 금지함으로써 공정성과 시장에 대한 투자자의 신뢰를 확보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글에서는 현행 증권거래법의 적용을 받지 않지만 정보에 있어 우위를 점하는 자의 정보이용행위라 할 수 있는 내부자거래유보와 대체적 내부자거래라는 두 가지 유형의 행위를 살펴보았다. 내부자거래유보와 관련하여 전통적 입장에서는 내부자가 미공개정보를 이용하여 거래를 유보함으로써 시장평균수익을 초과하는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해 왔으나 이러한 믿음은 잘못된 것일 수 있다. 즉 미공개정보를 지득한 상태에서 적극적 거래를 할 수 없는 내부자는 비록 동정보를 거래유보에 이용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최종적으로 대중주주보다 더 많은 이익을 얻지 못할 수 있다. 대체적 내부자거래는 현행법상 제한되지 않는 행위이므로 회사의 내부자는 당해 회사와 관련된 미공개정보를 이용하여 타회사의 주식을 거래하여 이익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대체적 내부자거래로 인한 비용과 이익은 통상적인 내부자거래와 달리 상당 부분 외부화되므로 사회적으로 비효율적인 대체적 내부자거래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
[
"본 논문에서는 현행 증권거래법의 적용을 받지는 않지만 정보에 있어 우위를 점하는 자의 정보이용행위라 할 수 있는 내부자거래유보와 대체적 내부자거래라는 두 가지 유형의 행위를 고찰하였다.",
"우리나라의 현행 증권거래법은 제188조 내지 제188조의3에서 내부자거래를 규제하고 있으며, 특히 제188조의2를 통해 내부자가 공개되지 아니한 중요한 정보를 이용하여 증권을 거래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증권거래법 제188조의2에 따른 내부자거래의 규제에 있어서 그 대상행위는 “유가증권의 매매 기타 거래와 관련하여 그 정보를 이용하거나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이를 이용하게 하는 행위”인데, 이러한 규제대상행위의 개념과 범위 및 개선방안에 대해서는 다수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현행 증권거래법의 내부자거래 제한규정은 정보면에서 우위에 있는 자의 모든 증권 거래 관련행위를 규제하고 있지는 않다. 즉 내부자거래 제한규정의 적용대상이 되지 않는 미공개정보의 이용행위가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글은 이러한 내부자거래 제한규정의 미적용행위와 관련하여 다음 두 가지 측면에 주목함으로써 정보격차의 이용행위에 대한 이해를 돕고, 증권거래에 있어서의 형평과 시장에 대한 신뢰유지를 위한 좀더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내부자거래 규제의 방향을 찾고자 한다.",
"우리나라의 현행 증권거래법은 내부자거래를 규제한다. 하지만 현행 증권거래법의 내부자거래 제한규정은 정보면에서 우위에 있는 자의 모든 증권 거래 관련행위를 규제하고 있지는 않다. 본 글은 증권거래에 있어서의 형평과 시장에 대한 신뢰유지를 위한 실질적인 내부자거래 규제의 방향을 찾는다."
] |
A201007091660
|
기초학력부진학생 지도의 실태, 문제점, 개선방안에 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조사
|
paper
|
본 연구에서는 경기, 인천, 그리고 충청 지역에서 기초학력부진학생을 담당하고 있는 458명의 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기초학력부진학생의 지도실태와 문제점, 개선방안에 관한 다양한 의견들을 알아보았다. 조사 결과, 기초학력부진학생의 지도는 담임교사에 의한 방과 후 특별지도 방법이 가장 많았으며, 특별지도를 위한 학급편성은 개인의 수준차를 고려하여 교과별, 학년별 특성을 고려하여 이루어지고 있었다. 보통, 2~4명의 소규모 집단 단위로 지도가 이루어지고 있었고, 지도시간은 1회 1시간 이내, 주2회가 가장 일반적이었다. 기초학력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으로는 교사의 지도시간 확보 곤란, 다인수 과밀학급으로 인한 어려움 등 제도적인 여건들이 주로 거론된 반면, 교사와 학부모, 학생간의 인적 조건들에 의한 어려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학력부진학생의 지도방안에 대해서는 필요성, 실현가능성, 현재의 실행정도 등으로 나누어 조사해본 결과, 모두 현재의 실행 정도보다는 실현 가능성을, 그리고 실현 가능성보다는 필요성을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기초학력부진학생 지도를 개선하기 위한 제안 사항으로 교사들은 역시 과밀학급 해소나 교사의 업무 경감과 같은 제도나 여건에 관련된 사항을 우선적으로 지적했지만, 그 실현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기초학력부진학생 지도를 위해 흔히 제안되어 온 교재 개발 및 교사연수와 함께, 담당 교사들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과 보상이 병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
"본 연구에서는 인천, 경기, 그리고 충청 지역에서 기초학력 부진 학생을 담당하고 있는 458명의 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기초학력부진학생의 지도실태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여러 가지 의견들을 알아보았다. ",
"기초학력부진학생을 지도하는 방법이나 과정상의 어려움에 대한 조사 결과 중 가장 주목할만한 점은,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대체로 제도적인 조건들에 의한 어려움을 높게 공감한 반면 교사의 전문성이나 교재의 구비 정도, 교사와 학부모, 학생간의 인적인 조건들에 의한 어려움은 상대적으로 낮게 지적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조사 결과는 적어도 당분간은 기초학력부진학생 지도가 별로 개선되지 않을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교사들이 지적한 ‘지도시간 확보 곤란으로 인한 어려움’이나 ‘다인수 과밀학급으로 인한 어려움’은 단기간에 해결되기 어려운 사항들이다. 반면, 전문가들이 흔히 지적하는 ‘지도 교사의 전문성’이나 ‘적절한 교수-학습자료’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지적이 적어서, 적어도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학교현장에서의 기초학력부진학생 지도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교사 재교육이나 교재개발보다도 오히려 학급규모 축소와 업무 경감이 더 시급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초학력부진학생 지도 방안에 관해서도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전문성 확보나 자료의 확보, 학습전략의 지도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기초학력부진학생 지도를 위해 전문가들이 필요하다고 주장해 온 것들과는 다소 다른 항목들에 높은 동의를 표했다.",
"기초학력부진학생을 지도하는 방법이나 과정상의 어려움에 대한 조사 결과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제도적인 조건에 의한 어려움을 높게 공감한 반면 교사의 전문성이나 교재의 구비 정도, 인적인 조건들에 의한 어려움은 낮게 지적했다. 이는 교사 재교육이나 교재개발보다 학급규모 축소와 업무 경감이 더 시급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
A201007091665
|
원격교육을 통한 초등교원연수 개별화 방안
|
paper
|
첨단 매체를 이용한 정보통신기술이 날로 발전하면서 교원현직교육에 있어서도 교원원격연수가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원의 다양한 요구에 맞는 개별화 된 원격연수의 필요성 또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수 프로그램의 다양화, 수준차별화 및 연수방법의 다양화 방안을 모색하여 궁극적으로 초등교원 원격연수 개별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연구 문제의 해결을 위해 인터넷을 이용하여 현재 운영 중인 모든 원격연수원의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또한 서울특별시 내 초등학교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내용은 원격연수 프로그램의 종류, 각 프로그램의 내용 수준, 원격연수방법에 대한 요구였고, 이를 통하여 내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 개인적 영역과 학교 조직적 영역에 해당하는 원격연수 프로그램의 양적 증대가 필요하다. 교사 전문적 영역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은 심화 수준으로 구성되어야하며, 웹상에서 교원들의 상호작용이 촉진되어야한다. 이를 위하여 원격연수원에 대한 지원 강화 및 원격연수원의 프로그램의 특성화, 원격연수의 홍보가 요구되며, 교원들의 웹상에서의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함께 컴퓨터 사용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
"본 연구의 목적은 연수 프로그램의 다양화, 수준차별화 및 연수방법의 다양화 방안을 모색하여 궁극적으로 초등교원 원격연수 개별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문제의 해결을 위해 인터넷을 활용하여 현재 운영 중인 모든 원격연수원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설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들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우선, 원격연수원에 대한 관리보다는 지원이 우선되어야 한다. 프로그램 수를 늘리는 일은 상당한 양의 인적·물적 자원이 요구되기 때문에 기대하는 것만큼 쉽게 이루어지기 어렵다. 때문에 원격연수원에 대하여 관리를 지나치게 강화하게 되면 이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설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위험이 있다. 특히 민간원격연수원에 대해 관리와 규제를 강화하기보다는 지원을 우선하여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개설하도록 유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민간원격연수원은 교원뿐만 아니라 일반인을 대상으로도 원격연수를 개설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연수과정을 운영할 수 있고, 이윤추구를 위한 목적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학습자에 대한 서비스의 질이 높은 것이 장점이다. 또한 교사 개인적 영역의 취미 생활 프로그램들을 교육연수원에서 운영하기는 한계가 있으므로 민간원격연수원의 프로그램들을 교원 자율연수로 인정하여 교원들에게 제공하는 방법도 유익할 것으로 보인다.",
"원격연수원의 관리를 강화하면 다양한 프로그램 개설에 방해 요인으로 작용할 위험이 있다. 이에 민간원격연수원에 지원을 우선하여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개설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민간원격연수원의 프로그램들을 교원 자율연수로 인정하여 교원들에게 제공하는 방법도 유익하다."
] |
A201007091670
|
중학교 사회과 수행 평가 실행의 교사의 실제적 지식에 관한 사례 연구
|
paper
|
본 연구는 현행 수행 평가 정책의 문제점에 대한 내용 분석과 수행 평가의 실행에 관한 사례 교사들의 실제적 지식에 대한 해석을 통해 현실 적합성을 충족하는 정책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먼저, 수행 평가 정책 내용에 대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수행평가 정책의 현실 적합성 결여 문제, 수행평가 정책 내용의 정합성 결여 문제, 수행 평가 기준 문제 등이 지적될 수 있다. 수행평가 실행과 관련된 사례 교사들의 실제적 지식과 수행평가 정책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정책 수준에서의 처방이 기술적인 지식에 의존하고 있는 반면, 수행평가가 교실 현장에 적용되는 과정에서 교사는 수행평가 실행과 관련된 실제적인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상황에 대응해야 하는 어려움에 직면한다. 이로 인해 교사는 정책 수준에서 추구되는 수행 평가의 취지보다는 이러한 복합적인 문제에 대응하는 것에 일차적 관심을 갖게 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수행평가를 실행하는데 제약으로 작용하는 학교의 환경적 여건과 수행평가의 강제적 성격, 지나칠 정도로 객관성과 공정성을 강요하는 지침 등에서 비롯된 것이며, 이로 인해 교사들은 업무를 가중시키는 시책으로서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제언을 하면, 첫째, 현행 수행평가 정책은 평가 정책 자체에 들어 있는 내적인 정합성을 결여하고 있기 때문에 평가 자체의 내적 정합성을 충족하는 평가 정책의 수립이 필요하다. 둘째, 현행 수행평가 정책은 교사의 실제적 지식과 유리되고 있기 때문에 보다 현실 적합성을 확보하는 정책 수립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셋째, 정책의 실행에 앞서 교사의 전문성과 자율성을 뒷받침하는 조처로서 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제도적 뒷받침도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
[
"본 연구는 현행 수행 평가 정책의 문제점에 대한 내용 분석과 수행 평가의 실행에 관한 사례 교사들의 실제적 지식에 대해 해석함으로써 현실 적합성을 충족하는 정책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우선, 수행 평가 정책 내용에 대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수행평가 정책의 현실 적합성 결여 문제, 수행 평가 기준 문제, 수행평가 정책 내용의 정합성 결여 문제 등이 지적될 수 있다. ",
"제7차 교육과정의 적용과 함께 수행 평가가 정책 수준에서 전국 초·중·고 학교에서 일제히 실시되어 오고 있으나, 아직도 수행 평가의 실행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교사, 학생, 학부모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정책의 성패 여부는 정책의 취지나 정책 결정자의 의지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니라 정책의 수행자인 교사의 의지와 동의, 헌신 등에 달려 있으며, 교사의 의지와 헌신은 개별자로서의 교사의 실제적 지식에 근원한다. 또한 교사는 개념과 믿음, 그리고 이미지로 상호 연관되어 있는 실제적 지식에 의존해서 교실 수업 이전의 의사결정에서부터 교실 수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즉흥적으로 이루어지는 학생과의 상호작용에 관한 의사결정, 그리고 교실 수업 이후의 반성적 행위에 이르기까지 일체의 행위를 수행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교육 정책의 성공 여부는 교사의 실제적 지식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보고서에 의하면, “수행 평가 정책은 계속 시행되어야 하는가?”라는 질문과 함께 “근본적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는 한 시행되기 시작한 정책은 지속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주장의 근거로 정책의 신뢰성 확보, 수행 평가에 관한 부정적 여론 완화, 수행 평가에 대한 오해 해소 등의 논리를 제시하고 있다. 일견 이러한 주장이 설득적으로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말하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Heffner가 말하는 개혁 실패의 원인과 관련된 문제점이라면 보고서에서 주장하는 계속 시행과는 무관하게 실패로 끝나게 될 것이다. 즉, 현 교육 체계와 관련해서 교사의 동의와 헌신이 수반되지 않을 경우에는 정책의 지속성 여부와 관계없이 실패로 귀결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제7차 교육과정의 적용과 함께 수행 평가가 전국 초·중·고 학교에서 실시되어 오고 있으나, 아직도 교사, 학생, 학부모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실제 정책의 성패 여부는 정책의 수행자인 교사의 의지와 동의, 헌신 등에 달려 있으며, 교사의 의지와 헌신은 교사의 실제적 지식에 근원한다. 교육 정책의 성공 여부는 교사의 실제적 지식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 |
A201007090799
|
초등학교 교과전담교사의 학교생활에 나타난 몰입과 소외
|
paper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과전담교사들이 학교생활에서 일반 학급담임교사들과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을 분석, 논의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는 연구자의 교과전담교사생활에 대한 자서전적 기술을 중심으로 두 명의 교과전담교사들의 학교생활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와 서울 시내 40명의 교과전담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의 분석으로 전체적인 현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교과전담교사들의 학교생활을 통해 ‘몰입’과 ‘소외’의 두 가지 대별되는 양상을 동시에 탐색할 수 있었다. 즉, 교과전담교사들은 수업에 역점을 둔 학교생활을 함으로써 해당 교과수업의 질을 높이고 있었으며, 반면 소속감을 상실함으로써 의욕이 저하되거나 무기력해지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이로써 본 연구는 학교현장에서의 교과전담제 운영방식과 교사양성대학에서의 교육과정 보완에 다소 도움이 될 수 있는 기본적 배경을 제시해 줄 것이다.
|
[
"본 연구는 국내 초등학교 교과전담교사들이 학교생활에서 일반 학급담임 교사들과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을 분석하고 논의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현재 우리나라 초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교과전담제는 매우 유익한 제도로 학급담임을 맡지 않은 교사가 해당 교과를 담당하여 해당 학년과 학급의 수업을 담당하는 것을 말한다. 즉 고학년 교사들의 수업부담을 덜어주고 해당 과목 수업의 내실화를 꾀함으로써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처럼 교과전담제는 학급담임교사들의 수업 시수 경감과 해당 교과의 전문성 신장이라는 측면에서 어느 교사가 맡게 되든지간에 학급담임교사나 교과전담교사 모두에게 이점을 가져다준다. 따라서 교과전담제 실시의 당위성은 몇 가지 측면에서 설명되어질 수 있다. 현실적으로 초등학교 교사의 수업부담을 중・고등학교 교사와 비교해 볼 때 고학년의 경우 주당 시간을 수업한다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다. 이는 수업의 질에도 악영향을 미침으로써 교과의 질을 하락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 이러한 수업부담은 생활지도의 문제를 낳게 되는데 돌발적으로 일어나는 학생들의 문제사태는 막중한 수업부담 속에서는 해결하기 어려우며 문제를 해결하다보면 수업의 결손을 가져올 것은 당연한 이치이다. 그러므로 수업이 많은 고학년을 기피하는 현상은 초등학교 교사들 사이에서 자연스러운 일로 여겨지고 있으며 이는 교과전담제가 실시되어야 하는 명백한 근거가 된다.",
"교과전담제는 학급담임교사들의 수업 시수 경감과 해당 교과의 전문성 신장이라는 측면에서 학급담임교사나 교과전담교사 모두에게 이점을 가져다준다. 현실적으로 고학년의 경우 주당 시간을 수업한다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다. 그러므로 고학년을 기피하는 현상은 자연스럽게 여겨지며 이는 교과전담제가 실시되어야 하는 근거가 된다."
] |
A201007090803
|
일제하 영주지역 노동야학에 관한 연구
|
paper
|
일제하 노동야학이 민족운동과 같은 외적 필요에 의해 편성된 것이 아니라, 우리 민족 혹은 민중이 간직해온 교육적 관계의 의식적 발현이라고 보는 것이 연구의 문제의식이다. 이 연구는 재판기록과 구술자료를 토대로 야학이 마을 ‘속에서’ 이루어진 사회문화적 활동이었다는 것, 다시 말해 마을은 삶의 현장이었고 야학은 삶의 현장을 구성하는 목적의식적인 활동이었음을 밝히려고 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마을주민이 야학의 학생이자 후원자가 되는 교육적 삶의 방식을 취했음을 양적 및 질적 지표를 통해 확인하고, 야학이 조선인의 기층적 삶의 방식과 내적 연관을 맺고 있음을 보여주게 될 것이다.
|
[
"일제하 노동야학이 민족운동과 같은 외적 필요에 따라 편성된 것이 아니라, 우리 민족 또는 민중이 간직해온 교육적 관계의 의식적 발현이라고 보는 것이 본 연구의 문제의식이다. ",
"교육을 정치투쟁의 한 형태로 합리화하는 실천의 관점이나 또 민중을 계몽한다는 이상주의자의 관점으로는 야학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 두 관점 모두 ‘민중의 삶에 들어있는 자기개발 의욕’을 대상화하고 있는데 대상화하는 한 어떤 명분하의 교육도 반드시 비교육적 과정을 수반하게 되어 있다. 즉 교육을 ‘실력’을 쌓기 위해 준비하는 과정으로 또는 민중의 의식 정신 을 깨우쳐주는 과정으로 보아 그들 의도대로 교육을 설계하려 든다. 제 3의 관점이 필요하다. 제 3의 관점이란 야학을 삶의 현장 구성론으로 이해하는 관점이다. 이는 야학 안에서 우리교육 발전의 내재적 힘을 발견하도록 이끈다. 마을 ‘속에’는 가르침과 배움을 발생시키는 교육적 관계가 이미 성립해 있었다. 다시 말해 야학은 마을 속의 삶이 만들어냈다. 마을 사람 누구나 다 야학의 교사와 학생으로 혹은 후원자로 관계맺었다. 야학은 마을 삶의 중심에 있었고, 마을사람들은 야학을 통해서 세계를 이해하려고 했으며, 야학의 실천에는 성장하는 세대가 있었다.",
"교육을 정치투쟁의 한 형태로 합리화하는 실천의 관점이나 민중을 계몽한다는 이상주의자의 관점으로는 야학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 따라서 삶의 현장 구성론으로 이해하는 관점이 필요하다. 이는 야학 안에서 우리교육 발전의 내재적 힘을 발견하도록 이끈다."
] |
A201007090806
|
유아의 음악영재성에 대한 고찰
|
paper
|
음악영재성에 대한 올바른 개념정립은 유아 음악영재를 발굴하여 교육하는 음악영재 프로그램 개발에 가장 기초적인 요소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음악영재교육이 시작의 단계이므로, 우선 음악영재성이 무엇인가 대한 포괄적인 개념정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음악적 잠재력 발굴과 계발을 통한 음악적 능력의 성취’라는 유아 음악영재교육의 목표를 위하여 음악영재성 고찰에 대한 구체적인 작업으로서 첫째, 영재의 일반적인 정의와 특징을 문헌 조사하였고 둘째, 음악영재를 음악 신동이나 음악 천재와 같은 유사한 용어와 구별해 음악영재성을 규명하였으며 셋째, 규명된 음악영재성의 구체적인 활용 사례를 살피고자 현재 시행 중인 여러 나라의 음악영재교육 프로그램을 비교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음악영재성의 개념 차이가 유아음악영재 프로그램 차이를 초래할 수 있음이 유추되었고, 유아 음악영재성이란 매우 포괄적인 개념으로서 음악적 지각력이나 기억력, 창의성, 표현력 외에도 음악활동에 스스로 몰입할 수 있는 개인 내적 요소가 반드시 포함된다는 점이 강조되었기에, 결론으로서 유아음악영재 조기 발견을 위한 유아 음악영재의 음악적 행동특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
[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음악적 잠재력 발굴과 계발을 통한 음악적 능력의 성취’라는 유아 음악영재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음악영재성 고찰에 대한 구체적인 작업으로 영재의 일반적인 정의와 특징을 문헌 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개인이 가지고 있는 욕구·흥미·집중력·인내력 등의 개인 내적인 요소가 영재에게 매우 필수적인 요소인 것처럼, 음악영재도 개인적 내적 요소인 강한 집착력·지속력·인내력·높은 학습 의욕·자신감·독립성·자율성·리더쉽·건강함·집중력·흥미 등을 통해 그들의 잠재력을 발휘하고 음악적 성취를 이루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개인 내적인 요소는 앞에서 제시한 음악적 지각력·음악적 기억력·음악적 창의성·음악적 표현력을 발휘할 때에 밑바탕이 되는 요소인 동시에 이 4가지 능력으로 인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한 예로 음악영재들이 복잡한 형식의 음악을 들을 때에 끊임없이 음악의 초점을 옮겨가며 집중할 수 있는 것은, 두뇌가 각 성부(聲部)들 사이의 관계를 인식하고 음악적 흐름을 따라가면서 자신이 미처 듣지 못한 부분은 분명하지는 않지만 음악적 맥락 안에서 적절한 음들을 채워 넣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음악영재들이 소유한 개인 내적 요소를 발견할 수 있는 행동 특징을 다음과 같다.",
"음악영재도 개인 내적 요소가 잠재력을 발휘하고 음악적 성취를 이루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개인 내적인 요소는 음악적 지각력·음악적 기억력·음악적 창의성·음악적 표현력을 발휘할 때 밑바탕이 되는 요소인 동시에 이 능력으로 인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 |
A201007090810
|
유아의 역할 놀이에 나타난 모방과 창조의 미학
|
paper
|
이 연구에서는 유아의 역할 놀이 활동을 기존의 인지주의적 이론 체계에서 벗어나 현상학적 미학의 관점에서 조명하였다. 놀이란 주체객체의 구분이 사라지고 현상 자체가 생기(生起)하는 일종의 창조적 ‘현상’으로서, 그 속에서 인간은 몰아와 자기 회복을 반복하며 고양된 세계 인식을 얻게 된다. 한 어린이집의 만 4세아들의 놀이 활동을 관찰한 이 연구에서는 유아의 역할 놀이가, 첫째, 논리적비논리적 가작화로 관념의 연쇄고리를 이어가며 의미연관을 창조하는 활기차고 자유로운 지각의 장이며, 둘째, 놀이의 놀이성에 대한 성실함을 규칙으로 가상틀을 넘나드는 다중 역할을 수행하고 중층적 현실을 창조하며 자체규제적인 질서를 갖는 다성체적 현상이고, 셋째, 또래간의 적극적인 동조와 호흡 맞추기로 상황적 변수에 대처하면서 존재의 교접 현상과 대화적 현실을 창조하는 흥겨운 미적 현상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유아의 놀이 현상에 대한 기존의 인지주의적 접근이 현실 모방의 효율성을 기준으로 하여 역할 놀이를 지적 발달의 반영물로만 간주한 일면이 있음을 지적하고, 유아 놀이에 대한 새로운 이해 차원을 열고자 했다는 데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역할 놀이 활동을 기존의 인지주의적 이론 체계에서 벗어나 현상학적 미학의 관점에서 조명하는 것이다. 놀이란 주체와 객체의 구분이 사라지고 현상 자체가 생기(生起)하는 일종의 창조적 ‘현상’이다.",
"햇빛어린이집의 유아들은 마치 진동수가 같은 두 쇠붙이가 서로 공명을 이루듯이, 또래의 말과 행동에 스스로를 조율하며 호흡을 맞추면서 놀이를 발전시켰다. 이러한 태도는 유아들을 결속하는 계기를 만들어주면서, 무엇인가 함께 하고 있음과 그 유대감을 즐기는 흥겨움을 자아냈다. Gadamer(1996)는 놀이란 근본적으로 ‘대화 속에 있는 인간의 모습’, 즉 “동시 유희”를 통한 “의사소통”을 드러내는 것으로, 공동의 관심사를 소재로 한 존재의 드러냄과 형성의 과정에 함께 참여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특히 역할 놀이는 그 가상성으로 인하여 가상 세계를 함께 구축해가는 또래들의 가슴 속에 자신들만의 독특한 유대감 내지는 ‘공모(共謀)’ 의식을 창조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 결과에서 드러난 바와 같이, 상대의 거짓 현실을 인정하고 그 현실의 논리에 맞추어 자신을 조율하는 유아들의 활동으로부터 상대에 대한 다정한 개방성 속에 발휘되고 있는 깊은 ‘마음씀’의 자세를 읽게 된다. 역할 놀이가 인간간의 관계맺음을 가능하게 하는 근원적인 마음씀을 통하여 서로가 서로에게 함께 속하는 관계맺음의 끈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Gadamer는 놀이란 ‘대화 속에 있는 인간의 모습’, 즉 “동시 유희”를 통한 “의사소통”으로, 공동의 관심사를 통해 한 존재의 드러냄과 형성의 과정에 함께 참여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특히 역할 놀이는 가상 세계를 구축해가는 또래들의 가슴 속에 독특한 유대감 내지는 ‘공모’ 의식을 창조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 |
A201007090822
|
웨이브릿 계수의 퍼지 동질성과 고주파 에너지를 이용한 영상 검색용 특징벡터 추출
|
paper
|
본 논문에서는 공간-주파수 특성과 다중 해상도 특성을 모두 갖는 웨이브릿 변환을 이용하여 각 대역의 특성에 맞는 비주얼 특징을 추출하고 이를 내용기반 영상 검색에 이용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 웨이브릿 변환된 영상의 최저주파 대역은 원 영상의 근사한 형태로 공간 정보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웨이브릿 계수값과 각 계수간의 공간 정보를 모두 고려한 퍼지 동질성(FH : Fuzzy Homogeneity)를 이용하여 L개의 특징 벡터를 추출하였고, 나머지 고주파 대역의 에너지 값을 이용하여 3개의 특징 벡터를 추출하여 이를 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질의 시에는 L개의 FH 벡터 중 가장 크기가 큰 10개의 값과 3개의 고주파 대역의 에너지 값을 이용하여 가장 유사한 영상을 검색하였다. 90개의 텍스쳐 영상을 사용해 실험한 결과 좋은 정확성을 보였다.
|
[
"본 논문의 목적은 공간-주파수 특성과 다중 해상도 특성을 모두 지니는 웨이브릿 변환을 이용하여 각 대역의 특성에 맞는 비주얼 특징을 추출하고 이를 내용기반 영상 검색에 이용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히스토그램에 기반을 둔 영상 처리는 오직 그레이 레벨만을 고려하고 픽셀과의 관계를 나타낼 수 있는 공간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래서 히스토그램을 통한 비교는 다른 모양의 영상이라도 색의 분포만 같으면 같은 영상으로 간주한다. Cheng은 이런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영상 분할 응용에 퍼지 동질성 방법을 제안했다. 아래 그림 2는 같은 색 분포를 갖는 다른 모양의 영상이다. 이 두 영상을 비교했을 때 그림 2(c)의 경우 히스토그램을 보여주는데 공간 정보 없이 색 분포만을 고려하기 때문에 같은 영상으로 인식하지만 그림 2(d)의 경우 호모그램을 보여주는데 공간 정보를 고려하기 때문에 픽셀의 분포가 서로 달라 다른 영상으로 간주한다. 띠라서 기존의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영상 검색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웨이브릿 LL 대역은 원 영상의 근사한 형태로 공간 정보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LL 대역의 웨이브릿 계수값을 L 레벨로 정규화 시킨 후 웨이브릿 계수 값과 픽셀간의 공간 정보를 모두 고려한 퍼지 동질성을 이용하여 L개의 특징 벡터를 추출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그림 3과 같다.",
"히스토그램에 기반을 둔 영상 처리는 그레이 레벨만을 고려하고 픽셀과의 관계를 나타낼 수 있는 공간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래서 히스토그램을 통한 비교는 다른 모양의 영상이라 하더라도 색의 분포가 같으면 같은 영상으로 간주한다. "
] |
A201007090827
|
원형 정합 방법을 이용한 방송 프로그램의 등급 인식 시스템
|
paper
|
논문에서는 등급이 표시된 방송 영상을 입력으로 하는 등급 인식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인식하고자 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등급 표시 기호가 정형화된 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원형 정합 방법을 사용하였다. 실험에서 방송업자가 사용하는 글자체의 표준 숫자에서 숫자가 가지는 특성 패턴들을 추출하고, 특성 패턴들 가운데서 해당 등급의 숫자만이 가지는 고유 패턴을 추출한 다음, 고유 패턴을 입력 영상과 비교하여 정합하는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3×3크기의 패턴을 적용하였을 때는 88.6%의 인식률을 보였으나 패턴의 크기가 등급기호의 원형에 가까울수록 100%에 가까운 인식률을 보였다.
|
[
"본 연구는 등급이 표시된 방송 영상을 입력으로 하는 등급 인식 시스템을 구현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TV는 최근 잇따른 소아 및 청소년의 모방 범죄와 폭력성, 선정성, 중독성 등의 역기능으로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부모가 적절하게 방송 시청을 지도해주거나 스스로 시청 프로그램을 선별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위성 방송의 경우 채널에 비밀번호를 부여하는 방법으로 성인 채널의 시청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유해 정보는 성인 채널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며 특정 시간대의 거의 모든 채널에서 볼 수 있다. 따라서 프로그램의 등급을 인식하여 TV 앞에 있는 사용자에 따른 시청가부를 자동으로 제어해주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유해 영상 차단 시스템들은 인터넷에서 음란물을 차단하는 방법들이 대부분이다. TV 영상에 대한 차단 시스템들에 관한 연구는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수신을 제한하는 방법뿐이며 위성 수신 TV에만 적용할 수 있다. 웹 사이트의 선정성을 판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노출정보를 이용한 차단 시스템은 드라마와 같은 방송 프로그램에 적용되기 어렵다. 영상에 대한 인체의 노출 정도를 이용하여 음란성을 판단하는 시스템은 인체와 유사한 배경이나 그늘진 배경에 취약할뿐더러 영상물의 등급 기준이 되는 폭력성은 전혀 고려되지 않기 때문이다.",
"TV는 소아 및 청소년의 모방 범죄와 폭력성, 선정성, 중독성 등의 역기능으로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따라서 프로그램의 등급을 인식하여 TV 앞에 있는 사용자에 따른 시청가부를 자동으로 제어해주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하지만 TV 영상에 대한 차단 시스템들에 관한 연구는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수신을 제한하는 방법뿐이다."
] |
A201007090830
|
감사인의 의견표명을 위한 중요성 판단기준에 관한 실증연구
|
paper
|
중요성의 양적 기준 및 질적 기준을 살펴볼 때 두 가지 판단기준 모두가 중요하겠지만 감사위험의 최소화, 재무제표에 대한 적정성을 고려할 때 감사인의 주관이 개입되지 않는다는 확신이 없기 때문에 금액과 비율만을 강조한 양적 판단기준 보다는 부정이나 오류의 성격, 특성을 고려하여 재무제표에 미치는 판단을 고려하는 질적 판단기준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연구결과, 중요성 판단기준을 결정하는데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는 첫째, 경제적 환경요인 중 자본시장과 산업조건, 둘째, 기업적 환경요인 중 기업역사, 셋째, 정치적 환경요인 중 경제정책과 관세정책 등이 있다.
|
[
"중요성 판단기준을 결정하는 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난 것은 기업적 환경요인 중 기업역사, 경제적 환경요인 중 자본시장, 정치적 환경요인 중 경제정책과 관세정책이 있다.",
"기업회계의 투명성 확보문제는 외환위기 이후 기업·금융 구조조정의 핵심과제로 등장하면서 큰 전환점을 맞이하게 되었다. 회계의 투명성이 전제되기 위해서는 일정한 자격이 있는 전문가의 검증에 의해 신뢰성이 제고 될 것이며, 이로 인한 회계감사의 요구가 커짐에 따라 감사의 질적 향상과 더불어 감사의견의 유용성은 더욱 확대될 것이다. 회계정보의 신뢰성과 관련하여 정보이용자와 회계정보의 작성자 그리고 회계감사인에게 있어 중요성은 유용성 판단에 있어 대단히 중요한 기준이라 할 수 있다. 회계감사에 있어서 중요성의 원칙은 감사인의 판단문제이며, 감사의견의 형성에 있어서 준거할 수 있는 양적 기준 및 질적 기준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감사의견 형성과 관련하여 중요성의 판단기준을 획일적으로 제도화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감사인이 감사를 실시하는 과정상에서 발견한 헌정사항과 예외사항 및 오류사항의 중요도를 측정함에 있어 판단의 기준이 될 수 있는 양적·질적 기준의 필요성은 점차 높아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회계감사에 있어 중요성의 원칙은 감사인의 판단문제이며, 감사의견의 형성에 있어서 양적 기준 및 질적 기준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감사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발견한 헌정사항과 예외사항 및 오류사항의 중요도를 측정에 판단의 기준이 될 양적·질적 기준의 필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 |
A201007090835
|
컴포넌트 검색에서 퍼지 시소러스를 이용한 효율적인 질의 확장 방법
|
paper
|
본 논문은 사용자 질의가 가지는 특정 클래스로부터 개념적으로 서로 연관있는 컴포넌트를 검색하기 위하여 퍼지 시소러스를 통한 질의 확장 방법을 제안하였다. 사용자 질의는 퍼지 불리언 형태로 표현되며, 퍼지 시소러스에 의한 유의어 테이블에 의해 질의 확장된다. 시소러스에 의한 사용자 질의 확장은 용어 불일치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검색에 대한 일정한 정확도를 보장하면서 재현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질의 확장과정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한 최적의 검색 효율을 나타내는 임계치를 설정하고 재현율과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
[
"본 논문에서는 이용자 질의가 가지는 특정 클래스로부터 개념적으로 서로 연관 있는 컴포넌트를 검색하기 위하여 퍼지 시소러스를 통한 질의 확장 방법을 제시하였다. ",
"소프트웨어의 효율적인 재사용을 위해서는 기존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컴포넌트를 신속, 정확하게 검색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검색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요구정보와 검색하고자하는 컴포넌트의 색인정보를 명확히 표현해야 하며, 정보요구를 만족시키는 적절한 정보들만을 탐색하고 탐색된 정보들에 대해 정보요구의 만족도에 따라 적합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시소러스와 같은 지식베이스를 이용한 정보검색 방법들이 많이 제안되었으나, 이처럼 시소러스를 사용하는 일은 많은 검색 시간을 필요로 하며, 심지어는 검색 과정에서 원하는 정보를 찾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또한 질의와 시소러스 용어 사이의 불일치 문제가 발생하여 검색의 재현율을 감소시키는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효과적인 검색을 저해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퍼지 시소러스를 통한 질의 평가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 검색은 퍼지 시소러스를 이용하여 용어 불일치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검색에 대한 일정한 정확도를 보장하면서 재현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즉, 컴포넌트와 클래스 사이의 관계를 퍼지 정도로 표현한 시소러스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 질의와 정확히 일치하는 컴포넌트뿐 아니라 개념적으로 서로 연관된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컴포넌트까지 검색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퍼지불리언 형태의 질의를 사용하여 각각의 질의어들에 대해 의미적 중요성을 차등있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퍼지불리언 형태로 표현된 사용자 질의는 시소러스를 통해 질의 확장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효과적인 질의 확장과 검색 노이즈의 감소를 위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한 최적의 검색 효율을 나타내는 임계치를 설정하였다.",
"소프트웨어의 효율적인 재사용을 위해서는 기존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컴포넌트를 신속, 정확하게 검색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시소러스를 이용한 검색 방법들이 제안되었으나, 많은 검색 시간을 필요로 하며, 원하는 정보를 찾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퍼지 시소러스를 통한 질의 평가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는 검색에 대한 일정한 정확도를 보장하며 재현율을 향상시킨다."
] |
Subsets and Splits
No community queries yet
The top public SQL queries from the community will appear here once avail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