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put
stringlengths 9
582
| choices
listlengths 5
5
| expected_output
stringclasses 5
values | category
stringclasses 4
values |
---|---|---|---|
56세 남자의 혈액검사 소견이 다음과 같을 때 치과치료 시 주의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
45분 후 혈중 bromsulphalein(BSP) 잔류량: 30% (정상: 5% 이하)
serum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SGPT): 83 IU/L (정상: 40 IU/L 이하)
lactate dehydrogenase(LDH): 390 IU/L (정상: 100 ~ 225 IU/L)
|
[
"산소 공급",
"반복적인 혈압 측정",
"사탕이나 주스 준비",
"치료 전 스테로이드 투여",
"치과 처방 약물 용량 조절"
] |
E
|
dentist
|
49세 여자가 입이 마르고 맛을 잘 느끼지 못한다고 내원하였다. 10분간 분비된 비자극성 타액분비량은 0.4 mL, 5분간 분비된 자극성 타액분비량은 1.0 mL이었고, 최근 안구건조 증상으로 인한 불편감도 있다고 하였다. 치료 약물은?
|
[
"디아제팜(diazepam)",
"이부프로펜(ibuprofen)",
"필로카르핀(pilocarpine)",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아미트리프틸린(amitriptyline)"
] |
C
|
dentist
|
2년 전에 심근경색이 발현된 병력이 있고, 현재 항응고제를 복용 중인 70세 남자가 보철치료를 위해 내원하였다. 발치를 위해 2% 리도카인으로 국소마취를 시행한 후 갑자기 가슴 부위의 조이는 통증을 호소할 때 가장 먼저 시행하여야 할 조치는?
|
[
"삽관법을 시행한다.",
"암모니아 흡입제를 사용한다.",
"니트로글리세린을 혀 밑에 투여한다.",
"1:1,000 에피네프린을 1 mL 피하주사 한다.",
"하이드로코티손 100 mg을 근육 내 주사한다."
] |
C
|
dentist
|
뇌진탕(cerebral concussion)의 증상으로 옳은 것은?
|
[
"구토",
"빈맥",
"동공 축소",
"안면 충혈",
"울혈상의 안결막"
] |
A
|
dentist
|
연령 증가에 따른 성인의 치아 변화로 옳은 것은?
|
[
"비중 증가",
"백악질 소실",
"이차상아질 감소",
"치수강 크기 증가",
"치근부 투명상아질 감소"
] |
A
|
dentist
|
상해의 원인은 크게 소인과 유인으로 구분된다. 소인에 해당되는 것은?
|
[
"낙상",
"고통사고",
"구타 손상",
"의원성 사고",
"치경부마모증"
] |
E
|
dentist
|
감각신경이 상실되거나 붕괴되어 중추신경계로 가는 구심성 신경 정보가 정상적으로 입력되지 않아 국소적으로 통증이 나타나는 지속형 신경병성 통증은?
|
[
"삼차신경통",
"설인신경통",
"상후두신경통",
"포진후신경통",
"안면신경절신경통"
] |
D
|
dentist
|
신체검사 결과, 의학적으로 특기할 이상 소견이 관찰되지 않는 43세 남자가 다음과 같은 증상을 6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호소하였다. 진단은?
자신에게 2가지 이상의 심각한 신체적 질환이 있다고 확신함
자신의 몸이 기형이거나 변형이 있다는 선입견을 가지고 있음
이로 인한 심각한 스트레스와 두려움으로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음
|
[
"공황장애",
"전환장애",
"통증장애",
"건강염려증",
"신체화장애"
] |
D
|
dentist
|
45세 남자가 코골이와 과도한 낮시간 졸림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환자의 체질량지수(BMI)는 28이고, 수면 검사 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진단은?
무호흡-저호흡지수(AHI): 4
혈중 산소포화도: 96%
호흡노력관련각성(RERAs): 증가
|
[
"원발성 코골이",
"상기도저항증후군",
"중추성 수면무호흡",
"폐쇄성 수면무호흡",
"비만성 저환기증후군"
] |
B
|
dentist
|
무치악 환자의 1차 부하지지 부위로 적절한 것은?
|
[
"편평한 경구개부",
"뚜렷한 하악골융기",
"예리한 악설골융선",
"융기된 정중구개봉선",
"경사진 후구치삼각융기"
] |
A
|
dentist
|
가철성국소의치를 위한 진단모형의 서베잉 시 삽입철거로를 결정하는 요소들 중 장애나 간섭(interferences)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골부위 언더컷은 의치상 변연을 짧게 할 수 있다.",
"측방경사를 조절하여 편측성 장애를 해결할 수 없다.",
"설측 경사된 6전치가 설측바의 장애를 가장 흔하게 유발한다.",
"주연결장치에 대한 장애는 하악보다 상악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
"과도한 조직부 언더컷은 블록아웃하여 바형 클라스프를 설계한다."
] |
A
|
dentist
|
부분무치악의 Kennedy 분류법에 추가 적용되는 Applegate의 원칙으로 옳은 것은?
|
[
"결손부가 다수일 때 최전방 결손부가 항상 주분류를 결정한다.",
"제3대구치가 존재하는 경우 제3대구치를 항상 분류에 포함한다.",
"제2대구치가 결손되었어도 수복하지 않는다면 분류에 포함하지 않는다.",
"추가결손부인 modification은 그 크기를 고려해서 결손 치아의 개수로 표기한다.",
"Kennedy class IV는 후방에 다른 무치악 부위가 있다면 modification으로 그 수를 표기한다."
] |
C
|
dentist
|
임플란트 보철의 합병증을 줄이기 위한 고정성보철물 설계 시 고려사항으로 옳은 것은?
|
[
"교합면은 최대한 넓게 형성",
"기능교두는 최대한 높고 넓게 형성",
"교합력은 임플란트 장축방향으로 분산되게 형성",
"지르코니아보다 파절 저항성이 큰 레진 소재 사용",
"교합력이 인접 자연치보다 임플란트에 더 강하게 전달되도록 형성"
] |
C
|
dentist
|
임플란트 고정성보철물에서 시멘트유지형(cement-retained)과 비교하여 나사유지형(screw-retained)이 갖는 장점은?
|
[
"간편한 보철물 분리(retrievability)",
"용이한 수동적합(passive fitting)",
"이상적인 교합면 형성",
"간단한 기공 과정",
"우수한 심미성"
] |
A
|
dentist
|
하악의 측방운동 시 균형측 과두가 전내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정중시상면과 이루는 각도는?
|
[
"베넷각(Bennett angle)",
"베넷운동(Bennett movement)",
"수평과로경사(horizontal condylar inclination)",
"전방과두경사(protrusive condylar inclination)",
"과두유도경사각(condylar guidance inclination)"
] |
A
|
dentist
|
상악 무치악 환자의 예비인상 채득을 위해 기성트레이 선택 시 트레이에 포함되어야 하는 해부학적 구조물은?
|
[
"구상절흔(hamular notch), 설측소대(lingual frenum)",
"구개소와(foveae palatinae), 구상절흔(hamular notch)",
"구개소와(foveae palatinae), 설측소대(lingual frenum)",
"구상절흔(hamular notch), 후구치삼각융기(retromolar pad)",
"구개소와(foveae palatinae), 후구치삼각융기(retromolar pad)"
] |
B
|
dentist
|
무치악 환자에서 개인트레이를 이용하여 선택가압인상을 채득하는 경우 가압하는 부위는?
|
[
"정중구개봉합, 협붕",
"절치유두, 후악설골와",
"후방구개폐쇄영역, 협붕",
"정중구개봉합, 후구치삼각융기",
"후방구개폐쇄영역, 후구치삼각융기"
] |
C
|
dentist
|
무치악 환자의 최종모형(master cast)에서 제작하는 기록상과 교합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기록상은 주로 실리콘으로 제작한다.",
"기록상은 최종변연보다 짧게 제작한다.",
"교합체는 주로 자가중합형레진으로 제작한다.",
"기록상 제작 시 뚜렷한 언더컷은 블록아웃을 시행하지 않는다.",
"악간거리가 제한적일 경우 초경질 베이스플레이트 왁스로 기록상을 제작한다."
] |
E
|
dentist
|
무치악 환자의 교합고경을 결정하기 위해 상악 교합상을 구강 내에 적용하고 교합제를 수정할 때 가장 먼저 조절하는 것은?
|
[
"정중선 및 견치선",
"전후방 교합면 경사",
"구치부 좌우 교합면 경사",
"전치부 순측 경사 및 길이",
"구치부 협설 경사 및 높이"
] |
D
|
dentist
|
총의치 제작 시 해부학적 차이와 비교하여 비해부학적 치아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
[
"측방력 증가",
"우수한 심미성",
"음식물 저작 용이",
"교합조정 시간 감소",
"양측성균형교합 형성 용이"
] |
D
|
dentist
|
의치 장착 후 수직고경이 과도한 경우에 나타나는 현상은?
|
[
"난청 증상",
"노인성 안모",
"구각부에 지속되는 염증",
"입술 주변에 잔주름 발생",
"식사 후 저작근의 피로감"
] |
E
|
dentist
|
새로운 총의치를 착용하는 환자에게 설명하는 주의사항으로 옳은 것은?
|
[
"빠른 적응을 위해 가급적 단단한 음식물부터 섭취한다.",
"의치 착용 후 신문이나 잡지를 소리내어 읽는 연습을 한다.",
"마모제 성분이 함유된 치약과 일반 칫솔로 의치를 세척한다.",
"빠른 적응을 위해 6개월 동안 의치를 수면 시에도 착용한다.",
"저작 시 불편하더라도 6개월 간은 의치 조정 없이 그대로 사용한다."
] |
B
|
dentist
|
가철성국소의치 제작을 위한 지대치 형성 시 옳은 것은?
|
[
"3/4 부분피개관은 지대치에 사용하지 않는다.",
"보상암이 지대치 치경부 1/3에 위치하도록 자연치아를 형성한다.",
"유지암 말단부가 지대치 교합 1/3에 위치하도록 자연치아를 형성한다.",
"금 인레이에 레스트시트를 형성하는 경우 부연결장치가 닿지 않도록 한다.",
"자연치아에서 교합면 레스트시트를 먼저 형성한 후 유도면과 협설면 외형을 형성한다."
] |
D
|
dentist
|
가철성국소의치 제작을 위해 지대치 간의 연결고정이 필요한 경우는?
|
[
"설측바 상방의 하악 4전치",
"동요도 1도의 상악 제1소구치와 동요도 3도의 제2소구치",
"동요도 3도의 하악 제1소구치와 동요도 1도의 제2소구치",
"치근이 짧고 치주적으로 건전한 하악 제1소구치와 제2소구치",
"치주적 예후가 불량한 동요도 3도의 하악 제1소구치와 제2소구치"
] |
D
|
dentist
|
가철성국소의치를 위한 인상재로 알지네이트와 비교할 때 부가중합형 실리콘 인상재가 갖는 장점은?
|
[
"비용 절감",
"높은 친수성",
"낮은 찢김강도",
"높은 표면재현성",
"낮은 체적안정성"
] |
D
|
dentist
|
가철성국소의치의 교합관계 확립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상악 전치만 존재하고 대합되는 하악이 완전무치악일 때, 기록상과 교합제를 사용하여 악간관계를 채득한다.",
"상하악 모두 구치부 치아가 충분히 잔존할 때, 왁스로 채득하는 악간관계 기록 방법이 가장 정확도가 높다.",
"상악 자연치열에 대합되는 하악이 양측성 구치부 무치악일 때, 얇은 판상 왁스를 사용하여 악간관계 채득한다.",
"상하악 모두 양측성 구치부 무치악일 때, 남은 상하악 전치들을 단순히 손으로 교합시켜서 그 상태로 교합기에 부착한다.",
"상악 전치부가 부분무치악이면서 대합되는 하악이 소수 잔존 전치만 남았을 때, 얇은 판상 왁스를 사용하여 악간 관계 채득한다."
] |
A
|
dentist
|
가철성국소의치 의치상의 납형 형성 방법으로 옳은 것은?
|
[
"오목하게 치간유두부 형성",
"변연을 과연장하여 두껍게 형성",
"하악 원심설측면을 두껍게 형성",
"협설측 연마면을 볼록하게 형성",
"금속구조물과 의치상의 경계부를 약간 과량으로 형성"
] |
E
|
dentist
|
가철성국소의치 장착 후 구역반사(gag reflex)를 유발하는 경우는?
|
[
"과도하게 높은 수직고경",
"과도한 두께의 하악 순측 의치상",
"과연장된 하악 협측 의치상 변연",
"후구개 부위로 과연장된 상악 의치상",
"과도한 두께의 상악 협측 의치상 변연"
] |
D
|
dentist
|
취침 시 일반적으로 의치 제거를 권장하지만, 환자가 부득이한 이유로 취침 시 상악 총의치 장착을 고집할 때 하악 의치 장착이 동반되어야 하는 경우는?
|
[
"치조제 흡수가 심한 총의치",
"추가결손부가 없는 치아지지 국소의치",
"추가결손부가 없는 편측성 후방연장 국소의치",
"추가결손부가 없이 전방 무치악부를 수복하는 국소의치",
"소수 잔존 전치를 지대치로 하는 양측성 후방연장 국소의치"
] |
E
|
dentist
|
생활치의 지대치형성 시 치수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은?
|
[
"알콜로 지대치 소독",
"냉각수의 간헐적 주수",
"강한 압력으로 지대치 삭제",
"높은 절삭효율의 기구 이용",
"공기냉각하에 고속기구 사용"
] |
D
|
dentist
|
인상채득 시 수분 및 타액 조절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항고혈압제는?
|
[
"atropine",
"clonidine",
"dicyclomine",
"propantheline",
"glycopyrrolate"
] |
B
|
dentist
|
인상채득 시 수냉식 트레이가 필요한 탄성 인상재는?
|
[
"폴리에테르",
"폴리설파이드",
"축중합형 실리콘",
"부가중합형 실리콘",
"가역성 하이드로콜로이드"
] |
E
|
dentist
|
금속도재관의 최종합착을 위해 임시합착재로 사용한 산화아연유지놀시멘트를 보철물 내면에서 제거하는 효과적인 방법은?
|
[
"인산 처리",
"바셀린 도포",
"고온에서 소환",
"생리식염수 세척",
"알루미나입자 공기분사"
] |
E
|
dentist
|
치은연하변연으로 제작된 상악 전치부 전부도재관을 레진시멘트로 최종접착하였다. 지대치 치수와 치주조직의 회복을 확인하기 위한 최초 검진시기는?
|
[
"2주",
"12주",
"24주",
"9개월",
"12개월"
] |
A
|
dentist
|
다음에 해당하는 소아기 분류는?
급격한 신체 성장기
개념 형성 등의 인지적 발달
기본적 운동 능력과 언어 습득
영구전치 치관의 석회화 개시
생후 1개월~1년까지를 말함
|
[
"태아기",
"주산기",
"신생아기",
"영아기",
"유아기"
] |
D
|
dentist
|
어린이의 신체 성장과 발달에서 체중, 체표면적과 관련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
[
"생리 현상과 대사과정은 체중에 비례한다.",
"체중 대비 체표면적의 비율이 성인보다 크다.",
"연령에 따른 체표면적의 증가량은 일정하다.",
"신생아는 생후 3~4일 이내에 체중이 증가한다.",
"성인의 체중은 신생아의 약 20배, 체표면적은 약 5배이다."
] |
B
|
dentist
|
하악골의 성장과 발육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하악지 전연에서는 골흡수, 후연에서는 골첨가가 일어난다.",
"출생 시 하악과두를 수용하는 관절와의 형태가 뚜렷하다.",
"하악골은 태생기 제2인두궁 양측의 하악돌기에서 발생한다.",
"중안면부의 성장과 균형을 이루기 위해 하악골은 후상방으로 이동한다.",
"하악결합부(mandibular symphysis)는 청소년기 이후까지 존재한다."
] |
A
|
dentist
|
다운증후군, 쇄골두개골이골증, 뇌하수체기능저하증 및 치은섬유종증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
[
"구순구개열",
"함치성 낭종",
"치아형성이상",
"치아조기탈락",
"치아맹출지연"
] |
E
|
dentist
|
어린이의 방사선 촬영 시 방어에 관한 설명이다. 옳은 것은?
|
[
"가능한 한 낮은 관전압을 사용한다.",
"X선속의 크기가 클수록 조사량이 감소한다.",
"방사선원과 피사체 간 거리가 멀수록 선량이 감소한다.",
"치근단촬영의 경우 선량이 크지 않으므로 납방어복은 필요 없다.",
"어린이는 방사선감수성이 낮아 성인보다 자주 방사선 촬영이 가능하다."
] |
C
|
dentist
|
Freud의 심리성적 단계 중 남근기에 해당하며, 호기심을 충족하기 위해 노력하고 탐구하나 정해진 경계와 지침을 필요로 하는 Erikson의 심리사회적 단계는?
|
[
"신뢰감 대 불신감",
"자율성 대 회의감",
"주도성 대 죄책감",
"근면성 대 열등감",
"친밀성 대 고립감"
] |
C
|
dentist
|
Wright에 의해 잠재적 협조군으로 분류되는 어린이의 행동에 대한 설명이다. 해당되는 것은?
아프다고 자주 불평함
의료진을 좌절시키며, 치료 시 큰 인내심이 요구됨
울음은 계속되나 특별히 큰 소리로 울지 않고, 눈물은 별로 없음
|
[
"소심함",
"반항적",
"징징거림",
"조절불가",
"긴장하나 협조적"
] |
C
|
dentist
|
행동유도법에서 모의시술기법(sham operation technique)이 속하는 분류는?
|
[
"재훈련",
"주의분산",
"모방학습",
"긍정적 강화",
"체계적 탈감작"
] |
E
|
dentist
|
아산화질소-산소 흡입 진정을 사용하기에 적합한 경우는?
|
[
"활동성 결핵을 가진 8세 남자",
"찢어진 윗입술을 봉합해야 하는 1세 여자",
"Frankl의 행동분류 1급에 해당되는 3세 남자",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입으로 숨쉬는 5세 남자",
"구역 반사가 있고 구내 인상 채득이 필요한 6세 여자"
] |
E
|
dentist
|
러버댐 장착 시 클램프가 치은을 심하게 압박하여 통증을 느끼는 경우 대처 방안은?
|
[
"국소마취를 시행한다.",
"구멍 간 간격을 줄여 준다.",
"얇은 러버댐 시트를 사용한다.",
"클램프의 bow를 조여 힘을 보강시킨다.",
"프레임 고정을 조금 느슨하게 조정한다."
] |
A
|
dentist
|
미성숙 영구치의 수복 시 고려할 점은?
|
[
"우식에 대한 감수성이 낮다.",
"금속관 장착 시 치경부 변연 설정이 쉽다.",
"아말감 수복 시 모든 소와열구를 포함한다.",
"치수강이 크고, 치수각이 교합면에 근접해 있다.",
"외부 자극의 전달이 느려, 치수보호가 필요하지 않다."
] |
D
|
dentist
|
유전치의 지르코니아 기성관 수복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변연은 chamfer로 형성한다.",
"치은연상에 변연을 위치시킨다.",
"절단연은 0.5~1mm 정도 삭제한다.",
"자가중합형 글라스아이오노머시멘트로 접착한다.",
"인접면 및 협설면은 수동적으로 적합하도록 삭제한다."
] |
E
|
dentist
|
다음은 유치 근관의 해부학적구조에 대한 설명이다. 해당되는 치아는?
일반적으로 2개의 치근을 가짐
근심치근은 대부분 근관이 2개임
원심치근은 근관이 1개 또는 2개임
치근의 형태에 상응하는 3개의 근관을 가지는 경우가 많으나 2개 혹은 4개인 경우도 있음
|
[
"하악 유절치",
"하악 제1유구치",
"상악 유견치",
"상악 제1유구치",
"상악 제2유구치"
] |
B
|
dentist
|
유치의 치수 치료에 사용하는 paste형 수산화칼슘제재 성분 중 감염 억제 작용과 방사선불투과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것은?
|
[
"수산화칼슘",
"요오드포름",
"실리콘 오일",
"장뇌(camphor)",
"파라클로로페놀"
] |
B
|
dentist
|
어린이의 하치조신경 차단 마취법에 관한 내용이다.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유치열의 교합면 가상선보다 ( 가 )에, 그리고 성인에 비해 ( 나 )으로 주사하며, 연령이 높을수록 ( 다 ) 주사한다.
|
[
"(가): 하방, (나): 전방, (다): 높여서",
"(가): 하방, (나): 후방, (다): 높여서",
"(가): 하방, (나): 후방, (다): 낮춰서",
"(가): 상방, (나): 전방, (다): 낮춰서",
"(가): 상방, (나): 후방, (다): 낮춰서"
] |
B
|
dentist
|
외상 2일 후 내원한 7세 어린이의 상악 중절치에서 약 1mm정도의 치수노출을 동반한 치관파절이 관찰된다. 치료는?
|
[
"간접치수복조술",
"직접치수복조술",
"부분치수절단술",
"치근단형성술",
"치수재생치료"
] |
C
|
dentist
|
외상 2시간 후 내원한 3세 어린이의 상악 유중절치에서 다음과 같은 증상이 관찰된다. 치료는?
2mm 함입
치관부 설측 변위
약간의 치은 출혈
치근 파절, 치조골 파절 관찰되지 않음
|
[
"주기적 관찰",
"치수 치료",
"교정적 정출",
"외과적 정출",
"발치"
] |
A
|
dentist
|
제1형 콜라겐의 형성부전으로 골격, 피부, 인대, 건 등에 장애를 유발하는 중배엽계형성이상이며, 상아질형성부전증을 동반하는 질환은?
|
[
"Apert 증후군",
"Treacher-Collins 증후군",
"cleidocranial dysostosis",
"osteogenesis imperfecta",
"achondroplastic dwarfism"
] |
D
|
dentist
|
두개관의 성장과 발육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대천문은 생후 3개월 이내에 닫힌다.",
"인접 구조물의 성장에 영향을 받는다.",
"두개저 골형성과 같은 기전을 보인다.",
"두개관의 높이 증가는 관상봉합의 성장에 의해 이루어진다.",
"연골세포의 분열 및 기질합성을 통해 성장이 일어난다."
] |
B
|
dentist
|
두개관의 성장은 Scammon 성장 곡선 중 어떤 유형인가?
|
[
"신경 유형(neural type)",
"봉합 유형(sutural type)",
"림프 유형(lymphoid type)",
"연골 유형(cartilaginous type)",
"일반 체성 성장 유형(general type)"
] |
A
|
dentist
|
측모두부계측방사선사진에서 그림과 같은 중첩법을 사용하려고 한다. 같은 중첩법으로 하악골을 중첩 시 기준이 되는 부위는?
|
[
"하악관 외형",
"하악골 하연",
"하악 교합평면",
"하악지의 후연",
"제1대구치 치배 하부"
] |
B
|
dentist
|
치열궁의 성장에 따른 변화로 옳은 것은?
|
[
"하악 치조돌기는 평행성 수직성장을 한다.",
"유치열기 중에 전치부 수평피개는 반대교합까지 감소한다.",
"치열궁 너비의 증가는 전신적인 골격 성장과 상관성이 높다.",
"남성은 9세경, 여성은 10세경에 상악 견치간 너비가 완성된다.",
"영구 절치가 맹출할 때 일시적으로 구치부 수평피개가 증가한다."
] |
A
|
dentist
|
다음과 같은 현상에 의해 혼합치열기 이후 가장 크게 변화하는 것은?
절치의 설측 이동
치아 인접면의 마모
구치의 근심 유동(mesial drift)
제1대구치의 후기 근심 이동(late mesial shift)
|
[
"상악 치열궁 길이",
"상악 치열궁 너비",
"상악 치열궁 둘레",
"하악 치열궁 너비",
"하악 치열궁 둘레"
] |
E
|
dentist
|
상악골의 열성장으로 인해 상대적인 하악전돌을 보이는 질환은?
|
[
"사경",
"뇌성마비",
"선천성 매독",
"연골무형성증",
"골덴하르증후군"
] |
D
|
dentist
|
교정치료의 최종 목표이며, 치아 및 악골의 다양성을 고려한 정상교합은?
|
[
"이상적 정상교합",
"전형적 정상교합",
"개별적 정상교합",
"연령적 정상교합",
"심미적 정상교합"
] |
C
|
dentist
|
자연적으로 개선되기 어려운 부정교합은?
|
[
"혼합치열기의 II급 구치 관계",
"상하악 영구 절치의 절단교합",
"혼합치열기 초기의 상악 전치간 공간",
"맹출 중인 하악 제2대구치의 설측 경사",
"하악 절치 맹출 직후의 경미한 크라우딩"
] |
B
|
dentist
|
Angle 분류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I급 부정교합은 상악 제1대구치 원심협측교두가 하악 제1대구치의 근심협측구에 접촉한다.",
"II급 부정교합은 대구치 관계에서 상악에 대해 하악이 근심에 위치한 상태이다.",
"III급 부정교합은 원심교합이다.",
"제1대구치 관계에 대한 강조로 안면골격 자체를 무시하였다.",
"제1대구치의 전후방적, 수직적, 측방적 관계를 기준으로 구분하였다."
] |
D
|
dentist
|
정상적인 전치부 Bolton 비율은 77.2%이다. 환자의 전치부 Bolton 비율이 72.2%이고 구치부 치아 크기는 정상일 때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하악 전치부 치간 삭제가 필요하다.",
"상악 전치의 크기를 크게 하는 술식이 필요하다.",
"I급 구치 관계로 교합 형성 시 작은 전치부 수평피개가 예상된다.",
"한 개의 하악 절치를 발치하여 하악 3절치로 교합을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전치부의 수평, 수직피개를 정상으로 맞추면 III급 견치 및 구치 관계로 유도된다."
] |
E
|
dentist
|
11세 여자가 윗입술이 튀어나왔다는 것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수완부방사선사진은 Hägg와 Taranger의 분석상 MP3-FG 단계이고, 측모두부계측방사선사진에서 아래와 같은 분석값을 보인다. 이 환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계측항목 정상값 계측값
SNA (°) 81.08 82.46
SNB (°) 78.01 75.09
ANB (°) 3.45 7.37
SN-GoGn (°) 33.30 39.50
Mx1 to NA (mm) 7.32 7.82
Mn1 to NB (mm) 7.87 12.02
Interincisal angle (°) 125.44 120.71
Upper lip to esthetic line (mm) 0.86 5.82
Lower lip to esthetic line (mm) 5.87 7.61
|
[
"단안모의 골격을 가지고 있다.",
"골격 및 치성 I급 부정교합이다.",
"아랫입술은 정상에 비해 후퇴되어 있다.",
"하악 전치는 정상에 비해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골성숙도 평가상 최대성장기를 지난 것으로 추정된다."
] |
D
|
dentist
|
구강악습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손가락을 빠는 습관은 II급 2류 부정교합을 야기한다.",
"단순 혀내밀기 연하는 구치부가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일어난다.",
"복잡 혀내밀기 연하는 구치부의 가위교합과 상악 전치의 전돌을 가속화시킨다.",
"손톱 깨물기 습관은 하악골의 전방 위치를 유도하여 III급 부정교합을 야기한다.",
"하순을 빠는 습관은 상악 절치의 전돌 및 하악 절치의 설측 경사를 초래한다."
] |
E
|
dentist
|
아데노이드의 비대와 편도의 비대 및 축농증이 있으며, 건조한 입술 및 염증성 치은을 보이는 10세 남자가 내원하였다. 전형적으로 관찰되는 소견은?
|
[
"혀의 저위치",
"전치부 과개교합",
"상악 측절치 결손",
"넓고 낮은 구개 형태",
"상하악 치열의 중심선 불일치"
] |
A
|
dentist
|
심한 크라우딩을 보이는 환자의 고정식 교정치료 시, 초기 배열 단계의 고려사항으로 옳은 것은?
|
[
"브라켓 슬롯에 꼭 맞는 각형 와이어를 이용한다.",
"니켈-티타늄 합금 와이어보다 스테인레스강 와이어가 유리하다.",
"브라켓을 선택적으로 접착하여 브라켓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킨다.",
"싱글 브라켓보다 트윈 브라켓을 사용하여 와이어의 탄성을 증가시킨다.",
"금속 브라켓보다 세라믹 브라켓을 이용하여 와이어의 작동 범위를 증가시킨다."
] |
D
|
dentist
|
치아 이동 시 조직 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간접 골흡수 시 압박측 치조골의 골수강 내에서는 골흡수가 일어난다.",
"간접 골흡수 시 인장측 치주인대에서는 혈류 차단과 산소 부족이 발생한다.",
"직접 골흡수 시 압박측 치조골은 조골세포에 의해 생성된 유골층으로 덮이게 된다.",
"직접 골흡수 시 인장측 치주인대에서 선조세포(progenitor cell)가 파골세포로 분화한다.",
"직접 골흡수 시 조직의 퇴행성 변화, 손상 받은 조직의 제거, 지지조직의 재형성이 순차적으로 일어난다."
] |
A
|
dentist
|
정상적인 측모와 I급 구치 관계를 보이는 혼합치열기 환자가 내원하였다. 치아-악골 크기 분석에서 하악의 크라우딩이 1mm로 예상된다. 이 환자에서 하악의 여유공간(leeway space) 상실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는?
|
[
"W arch",
"lingual arch",
"pendulum appliance",
"Halterman appliance",
"Humphrey appliance"
] |
B
|
dentist
|
공간감리술(space supervis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하악 치아의 맹출이 상악 치아의 맹출보다 앞서도록 한다.",
"하악 제1대구치의 후기 근심 이동(late mesial shift)이 일어나도록 한다.",
"하악의 맹출 순서가 제1소구치, 제2소구치, 견치 순으로 일어나도록 유도한다.",
"하악 제2대구치의 올바른 배열을 위해 영구 치열 초기부터 공간 감리술을 시행한다.",
"하악 견치와 제1소구치 치근이 1/4~1/3까지 형성되기 이전에 공간 감리를 시행해야 한다."
] |
A
|
dentist
|
10세 남자가 전치부 개방교합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가족력이 없고 손가락 빨기 습관이 남아 있으며, 골격 부조화는 관찰되지 않는다. 치료법은?
|
[
"립범퍼(lip bumper)를 장착한다.",
"액티베이터(activator)를 장착한다.",
"구치부 교합판과 이모장치(chin cap)를 장착한다.",
"혀차단기(tongue crib)가 포함된 설측 호선을 장착한다.",
"성장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린 후 악교정수술을 시행한다."
] |
D
|
dentist
|
이가 잘 안 물린다는 주소로 내원한 12세 남자의 진찰 결과가 다음과 같다. 이 환자에게 필요한 가철식 기능성 장치의 효과는?
하악 열성장을 동반한 골격성 II급 부정교합
II급 구치 관계
전치부의 큰 수평피개
상악 전치 순측경사
볼록한 안모
|
[
"수직피개가 증가한다.",
"상악 치열이 전방 이동된다.",
"상순 및 코가 전방 이동된다.",
"하악골이 전방으로 유도된다.",
"하악 전치가 설측 경사 이동 경향을 갖는다."
] |
D
|
dentist
|
구순구개열 환자의 치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강한 힘으로 횡적 확장을 시행한다.",
"조기에 수술할수록 상악골 성장에 유리하다.",
"구개봉합술을 위해 수술 전 비치조정형장치를 사용한다.",
"구개범인두부전은 악교정수술 시 상악골의 전방이동과 관련이 있다.",
"구개의 수술은 생후 3개월 전후, 구순의 수술은 15개월경에 시행한다."
] |
D
|
dentist
|
고정식 교정장치를 장착한 환자의 치아우식과 탈회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은?
|
[
"가능한 한 큰 브라켓을 선택한다.",
"브라켓 주변의 잔여 접착제를 그대로 둔다.",
"주기적으로 밴드를 제거하여 탈회 여부를 확인하고 재접착한다.",
"자정 작용을 위해 교정용 밴드가 치경부를 덮지 않도록 한다.",
"와동이 있더라도 일단 밴드를 장착하고 교정치료 종료 이후에 수복치료를 한다."
] |
C
|
dentist
|
심하게 회전된 치아의 교정치료 후, 회전이 재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은?
|
[
"치아를 치조골에 직립된 상태로 배열한다.",
"대합치와 접촉되지 않도록 교합조정을 시행한다.",
"전치부 교합거상판이 포함된 가철식 유지장치를 사용한다.",
"해당 치아의 치근을 인접치의 치근과 최대한 근접시켜 치료를 마무리한다.",
"교정치료 후 상치조섬유 환상절단술(circumferential supracrestal fiberotomy)을 시행한다."
] |
E
|
dentist
|
18세 남자의 구강검사에서 잔존 하악 좌측 제2유구치의 교합면이 주위 치아에 비해 낮게 관찰된다. 방사선영상소견에서 유구치의 치조백선은 명확하지 않다.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되는 원인은?
|
[
"유구치 치근의 파절",
"유구치 치근의 내흡수",
"유구치 치근의 과백악질화",
"유구치와 주위 치조골의 유착",
"유구치 하방 영구 소구치에 발생한 법랑질진주"
] |
D
|
dentist
|
56세 남자의 입술이 벌에 쏘인 후 몇 분 지나지 않아 붓기 시작하였다. 가려움을 동반한 부종이 빠르게 진행되어 응급실에 내원하여 치료를 받고 호전되었다. 해당 증상이 발병하는 데 주된 역할을 한 매개인자는?
|
[
"히스타민(histamine)",
"인터루킨-1(IL-1)",
"인터페론-γ(IFN-γ)",
"종양괴사인자(TNF)",
"혈소판활성인자(PAF)"
] |
A
|
dentist
|
A군 베타용혈 사슬알균(group A, β-hemolytic streptoccoci)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은?
|
[
"매독",
"임질",
"성홍열",
"디프테리아",
"감염단핵구증"
] |
C
|
dentist
|
피부에서 매끄러운 경계를 보이는 다수의 카페오레 반점이 특징적으로 관찰되는 질환은?
|
[
"갈색종양",
"가드너증후군",
"다발성골수종",
"다골성섬유형성이상",
"다발성신경섬유종증"
] |
E
|
dentist
|
악성법랑모세포종을 법랑모세포종과 감별진단할 때 고려되는 결정적인 요소는?
|
[
"전이",
"재발",
"피막 형성",
"피질골 천공",
"세포학적 악성도"
] |
A
|
dentist
|
바이러스 감염의 지표에 해당되는 것은?
|
[
"무과립구증",
"호중구 기능 이상",
"주기성 호중구감소증",
"단핵구성 백혈구증가증",
"호중구성 백혈구증가증"
] |
D
|
dentist
|
나비뼈(sphenoid bone)의 날개갈고리(pterygoid hamulus)를 지나는 근육을 지배하는 신경은?
|
[
"삼차신경(trigeminal n.)",
"얼굴신경(facial n.)",
"혀인두신경(glossopharyngeal n.)",
"미주신경(vagus n.)",
"혀밑신경(hypoglossal n.)"
] |
A
|
dentist
|
위턱동맥(maxillary a.)의 종말가지로서 날개입천장오목(pterygopalatine fossa)에서 안쪽에 있는 구멍에 이르고, 가쪽뒤코동맥과 뒤코중격가지를 형성하는 동맥은?
|
[
"눈확아래동맥(infraorbital a.)",
"날개관동맥(a. of pterygoid canal)",
"나비입천장동맥(sphenopalatine a.)",
"내림입천장동맥(descending palatine a.)",
"뒤위이틀동맥(posterior superior alveolar a.)"
] |
C
|
dentist
|
턱관절 관절주머니의 앞면에 닿는 근육이 이는(origin) 나비뼈의 부위는?
|
[
"배오목(scaphoid fossa)",
"날개오목(pterygoid fossa)",
"날개갈고리(pterygoid hamulus)",
"큰날개의 관자아래면(infratemporal surface)",
"날개돌기(pterygoid process) 가쪽판의 바깥면"
] |
D
|
dentist
|
치관의 설면에서 부가결절 또는 부가교두를 관찰할 수 있는 치아는?
|
[
"상악 제1소구치",
"상악 제2소구치",
"상악 제1대구치",
"상악 제2대구치",
"상악 제3대구치"
] |
C
|
dentist
|
눈확아래신경(infraorbital n.)이 손상되면 감각이상이 나타날 수 있는 부위는?
|
[
"귓바퀴(auricle)",
"위입술(upper lip)",
"위눈꺼풀(upper eyelid)",
"단단입천장(hard palate)",
"관자부위(temporal region)"
] |
B
|
dentist
|
귀밑샘유두(parotid papilla)에서 열리는 귀밑샘관(parotid duct)이 뚫고 지나가는 근육을 지배하는 운동신경은?
|
[
"삼차신경(trigeminal n.)",
"얼굴신경(facial n.)",
"혀인두신경(glossopharyngeal n.)",
"미주신경(vagus n.)",
"혀밑신경(hypoglossal n.)"
] |
B
|
dentist
|
목동맥삼각(carotid triangle)의 위쪽 경계를 형성하는 근육은?
|
[
"턱목뿔근(mylohyoid m.)",
"목빗근(sternocleidomastoid m.)",
"두힘살근(digastric m.)의 앞힘살",
"두힘살근(digastric m.)의 뒤힘살",
"어깨목뿔근(omohyoid m.)의 위힘살"
] |
D
|
dentist
|
하악골 발생과 관련하여 다음이 설명하는 연골은?
발생 12주 동안에 처음 출현한다.
발생 중인 하악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원추 또는 당근 모양의 덩이로 급속히 커진다.
연골속뼈형성에 의해 뼈로 신속히 전환된다.
10대 후반까지 존속하며 하악골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
"멕켈연골(Meckel's carilage)",
"뼈끝연골(epiphyseal cartilage)",
"관절돌기연골(condylar cartilage)",
"근육돌기연골(coronoid cartilage)",
"섬유연골결합연골(symphyseal cartilage)"
] |
C
|
dentist
|
나이가 듦에 따라 나타나는 법랑질의 변화로 옳은 것은?
|
[
"두꺼워진다.",
"색이 밝아진다.",
"투과성이 감소한다.",
"소공 크기가 증가한다.",
"표면 불소량이 감소한다."
] |
C
|
dentist
|
부착치은과 조직학적 구조가 유사한 점막을 갖는 해부학적 부위는?
|
[
"볼(cheek)",
"구강바닥(mouth floor)",
"물렁입천장(soft palate)",
"단단입천장(hard palate)",
"혀배쪽면(ventral surface of tongue)"
] |
D
|
dentist
|
파골세포를 거대세포나 큰포식세포와 감별할 수 있는 세포화학적 염색법은?
|
[
"oil red O 염색법",
"safranin O 염색법",
"alizarin red S 염색법",
"alkaline phosphatase 염색법",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염색법"
] |
E
|
dentist
|
신경세포의 활동전압이 축삭을 따라 전달될 때, 도약전도가 일어날 수 없어 전도속도가 가장 느린 신경 섬유는?
|
[
"Aα 신경",
"Aβ 신경",
"Aδ 신경",
"B 신경",
"C 신경"
] |
E
|
dentist
|
이갈이와 같은 하악의 이상기능활동에서 많이 나타나는 근육 수축은?
|
[
"개구근의 등척성(isometric) 수축",
"폐구근의 등척성 수축",
"개구근의 등장성(isotonic) 수축",
"폐구근의 등장성 수축",
"안면표정근의 등장성 수축"
] |
B
|
dentist
|
하악 치아의 진료를 위하여 하치조신경과 설신경 차단마취를 시행한 경우에도 정상에 가깝게 유지되는 감각은?
|
[
"혀 촉각",
"교합감각",
"하악 위치감각",
"하악 치아 위치감각",
"하악 치은점막 촉각"
] |
C
|
dentist
|
급성치수염으로 치수 혈류량이 감소하여도 치수통증은 오래동안 남아 있는 경우가 많은 이유는?
|
[
"치수통증 전달 신경섬유가 포도당 결핍에 예민하기 때문이다.",
"치수통증 전달 신경셤유가 산소 결핍에 대한 저항성이 크기 때문이다.",
"치수통증 전달 신경섬유가 국소마취제에 대한 저항성이 크기 때문이다.",
"치수통증 전달 신경섬유가 압력 증가에 대한 저항성이 크기 때문이다.",
"치수통증은 치수 신경이 괴사하여도 치주인대 신경으로 전달되기 때문이다."
] |
B
|
dentist
|
50대 여자가 구강건조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쇼그렌증후군으로 진단받았을 때 적절한 대처는?
|
[
"인공타액을 처방한다.",
"항우울제를 투여한다.",
"물을 적게 마시게 한다.",
"부교감신경 억제 약물을 처방한다.",
"비스테로이드항염증제를 투여한다."
] |
A
|
dentist
|
하악 유구치에 치수절단술을 시행하기 위하여 치관부 치수를 제거할 때 추천하는 지혈 방법은?
|
[
"출혈 부위를 압박한다.",
"외경동맥 혈류를 차단한다.",
"하치조동맥 혈류를 차단한다.",
"전신 혈압을 낮추는 약물을 투여한다.",
"치근단 부위에 혈관 수축제를 주사한다."
] |
A
|
dentist
|
갑상샘암으로 갑상샘전절제술을 받은 사람에게서 근육연축(muscle spasm)이 자주 관찰되어 혈액 검사를 시행한 결과이다. 이 환자에게서 관찰된 근육연축의 추정 원인은?
전해질 분자량(D) 농도(mmol/L) 농도(mg/dL)
Na+ 23.0 145 333.5
K+ 39.1 4 15.6
Ca2+ 40.1 1.5 6.0
|
[
"부갑상샘기능저하로 인한 저칼슘혈증",
"갑상샘기능저하로 인한 고나트륨혈증",
"갑상샘기능저하로 인한 고칼륨혈증",
"부신기능저하로 인한 저나트륨혈증",
"부신기능저하로 인한 고칼슘혈증"
] |
A
|
dentist
|
심장근과 골격근의 근육세포에서 산소의 저장고 및 운반체 역할을 하는 단백질은?
|
[
"액틴(actin)",
"미오신(myosin)",
"알부민(albumin)",
"트롬빈(thrombin)",
"근색소(myoglobin)"
] |
E
|
dentist
|
아미노산 산화과정에서 나오는 암모니아의 배설을 위한 요소회로가 작동하는 장기는?
|
[
"간",
"뇌",
"근육",
"심장",
"췌장"
] |
A
|
dentist
|
Subsets and Splits
No community queries yet
The top public SQL queries from the community will appear here once avail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