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put
stringlengths 9
582
| choices
listlengths 5
5
| expected_output
stringclasses 5
values | category
stringclasses 4
values |
---|---|---|---|
사람 유전체 중, 어머니로부터만 유전되는 것은?
|
[
"Y염색체",
"1번 염색체",
"5번 염색체",
"15번 염색체",
"미토콘드리아 DNA"
] |
E
|
dentist
|
햇빛의 자외선에 의해, 사람 피부에서 합성되는 물질은?
|
[
"멜라토닌",
"칼시토닌",
"히스타민",
"비타민 D3",
"부갑상샘호르몬"
] |
D
|
dentist
|
건강한 잇몸의 고유판(lamina propria)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세포는?
|
[
"림프구",
"내피세포",
"비만세포",
"상피세포",
"섬유모세포"
] |
E
|
dentist
|
세균의 성장에 필요한 철 성분을 고갈시켜 항균작용을 하는 타액 내 단백질은?
|
[
"뮤신",
"알부민",
"락토페린",
"리소자임",
"히스타틴"
] |
C
|
dentist
|
치면세균막 내 사슬알균의 당질대사 결과로 생산되며, 치아우식증 유발에 관여하는 주된 유기산은?
|
[
"젖산",
"구연산",
"부티르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 |
A
|
dentist
|
동일한 약물수용체에 대한 작용제와 경쟁적 길항제의 조합으로 옳은 것은?
|
[
"acetylcholine - pilocarpine",
"epinephrine - histamine",
"morphine - naloxone",
"norepinephrine - atropine",
"penicillin - probenecid"
] |
C
|
dentist
|
위궤양 치료로 위산분비억제제인 cimetidine을 복용하고 있는 노인환자를 치과진료할 때 diazepam을 투여한다면, 그 용량은?
|
[
"반감기의 감소 때문에 줄여야 함",
"반감기의 증가 때문에 줄여야 함",
"반감기의 감소 때문에 늘려야 함",
"반감기의 증가 때문에 늘려야 함",
"변화 없음"
] |
B
|
dentist
|
리도카인 차단마취 후, 아나필락시스 반응이 나타난 환자에게 사용하는 1차 선택 약물은?
|
[
"acetylcholine",
"atropine",
"epinephrine",
"isoproterenol",
"norepinephrine"
] |
C
|
dentist
|
국소마취제에 의하여 가장 먼저 소실되는 것은?
|
[
"촉각",
"통증",
"압각",
"운동기능",
"고유감각"
] |
B
|
dentist
|
다음이 설명하는 진통제는?
해열, 진통작용을 한다.
항염증작용이 약하다.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지 않는다.
과량복용하면 중간대사산물 축적으로 심한 간독성이 나타날 수 있다.
|
[
"acetaminophen",
"aspirin",
"celecoxib",
"ibuprofen",
"indomethacin"
] |
A
|
dentist
|
8세 이하의 어린이에게 tetracycline의 투여를 피해야 하는 이유는?
|
[
"신독성 빈도가 높다.",
"청각 소실 위험이 높다.",
"비가역적 간독성이 나타난다.",
"재생불량성 빈혈의 발생 가능성이 높다.",
"발생 중인 치아에 침착되어 착색을 유발한다."
] |
E
|
dentist
|
골기질에 침착되어 파골세포에 의한 골흡수를 억제하므로 골다공증 치료제로 사용하고 있으나, 약물관련악골괴사증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은?
|
[
"cortisol",
"raloxifene",
"teriparatide",
"zoledronic acid",
"1,25-dihydroxycholecalciferol"
] |
D
|
dentist
|
세균의 항생제내성 획득은 흔히 성섬모(sex pilus)가 관여하여 항생제내성유전자 플라스미드가 전달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 과정은?
|
[
"제한(restriction)",
"접합(conjugation)",
"전위(transposition)",
"형질도입(transduction)",
"형질전환(transformation)"
] |
B
|
dentist
|
세균에 대한 방어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 선천면역 요소는?
|
[
"호산구",
"IgM항체",
"큰포식세포",
"1형인터페론",
"세포독성T세포"
] |
C
|
dentist
|
B형간염 혈액검사에서 HBs항원과 HBe항원이 모두 양성으로 나왔다. 옳은 해석은?
|
[
"B형간염이 간경화증으로 발전하였다.",
"B형간염 예방접종에 의해 면역이 생겼다.",
"B형간염바이러스에 감염된 후 회복되었다.",
"B형간염바이러스에 감염됐으며 전염성이 높다.",
"B형간염바이러스에 감염됐으며 전염성이 낮다."
] |
D
|
dentist
|
일반적인 치태 형성 단계의 순서는?
(가) 획득 피막의 형성
(나) 세균과 세균산물의 석회화
(다) 그람음성균 및 운동성균의 집락형성
(라) 그람양성 알균 및 막대균의 집락형성
|
[
"가-라-다-나",
"나-가-다-라",
"다-나-가-라",
"라-다-나-가",
"라-나-다-가"
] |
A
|
dentist
|
구강 사슬알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그람음성균이다.",
"절대무산소성균이다.",
"카탈라아제 양성이다.",
"내독소를 가지고 있다.",
"주로 알파용형을 보인다."
] |
E
|
dentist
|
치주병소에서 분리한 균이 아래와 같은 특징을 보였다.
그람음성 막대균이다. 이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는 균은?
당을 분해하지 못한다.
협막(capsule)을 가지고 있다.
혈액우무배지에서 검은색 집락을 형성한다.
|
[
"Prevotella oralis",
"Tannerella forsythia",
"Treponema denticola",
"Porphyromonas gingivalis",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 |
D
|
dentist
|
혈액을 매개로 전파되는 감염병의 조합은?
|
[
"A형간염, B형간염",
"수두, 레지오넬라증",
"파상풍, 회색질척수염",
"방선균증, 감염단핵구증",
"C형간염, 후천면역결핍증후군"
] |
E
|
dentist
|
X선속을 조절하는 요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여과는 X선속의 평균에너지를 증가시킨다.",
"관전류가 증가하면 X선속의 최대에너지가 증가한다.",
"관전압이 증가하면 X선속의 평균에너지가 감소한다.",
"노출시간이 증가하면 X선속의 에너지의 크기가 증가한다.",
"X선속의 강도는 초점으로부터의 거리에 상관없이 일정하다."
] |
A
|
dentist
|
방사선에 노출되어 흡수한 에너지를 일정한 조건에서 가시광선 형태로 방출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방사선량을 측정하는 것은?
|
[
"필름배지",
"반도체선량계",
"열형광선량계",
"가스충전검출기",
"선량면적곱측정계"
] |
C
|
dentist
|
방사선촬영을 할 때 감염 방지 방법으로 옳은 것은?
|
[
"구내용 디지털센서는 소독액을 분무한 후 깨끗이 닦는다.",
"알루미늄박막 등의 차단용품은 표면 소독을 대체하며, 재사용할 수 있다.",
"소독액을 적신 종이타월로 오염도가 높은 부분에서 낮은 부분의 순서로 닦는다.",
"촬영용 의자는 환자의 피부가 닿는 부위만 소독액을 분무하여 종이타월로 닦는다.",
"파노라마방사선촬영 시 교합제를 비닐로 씌우고 촬영하며 환자마다 새로운 비닐로 교체한다."
] |
E
|
dentist
|
구내방사선촬영 시 환자에 대한 방사선 노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은?
|
[
"등각촬영술을 사용한다.",
"짧은 조사통을 사용한다.",
"원형의 조사통을 사용한다.",
"디지털센서 대신 필름을 사용한다.",
"직류방식의 방사선촬영기를 사용한다."
] |
E
|
dentist
|
서로 다른 방사선검사의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비교하는 선량은?
|
[
"유효선량",
"조사선량",
"흡수선량",
"피부노출선량",
"평균활동성골수선량"
] |
A
|
dentist
|
특정 조직에 대한 친화력이나 특정 부위에서 시간 경과에 따라 대사되는 양상을 감지하여 조직의 구조와 기능을 정적 또는 동적 상태에서 평가할 수 있는 진단영상법은?
|
[
"조영촬영술",
"핵의학검사",
"자기공명영상",
"초음파촬영술",
"전산화단층촬영술"
] |
B
|
dentist
|
구내방사선영상에서 치주질환을 진단할 때 고려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
|
[
"치은염은 방사선영상에서 쉽게 관찰된다.",
"방사선영상은 실제 골파괴보다 과장된 골파괴상을 보여준다.",
"골의 미세구조 관찰을 위해서는 저대조도의 방사선영상이 좋다.",
"치주 상태를 명확하게 관찰하기 위해서는 등각촬영술을 이용한다.",
"치조골 흡수가 심한 경우는 교익방사선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좋다."
] |
C
|
dentist
|
정상 치은의 임상적 소견은?
|
[
"색상은 붉고 활택하며 윤이 난다.",
"변연치은은 치조골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다.",
"부착치은 폭경은 제1소구치 부위에서 가장 넓다.",
"변연치은의 외형은 치아의 위치 이상에 따라 변한다.",
"치은 표면의 점몰은 염증에 의해 소실되면 재형성되지 않는다."
] |
D
|
dentist
|
다형핵백혈구의 기능부전과 심한 치조골 흡수를 보이는 질환은?
|
[
"당뇨병",
"심근경색",
"동맥경화증",
"만성폐쇄폐질환",
"저혈소판자반증"
] |
A
|
dentist
|
상악 좌측 제1소구치에 돌출교두(plunger cusp)가 관찰되었다. 옳은 것은?
|
[
"대합치의 삭제가 필요하다.",
"돌출교두가 평탄하게 마모된다.",
"대합치의 치간부에 음식물이 압입된다.",
"상악 좌측 제1소구치의 부착소실이 발생한다.",
"저작 시 돌출교두가 대합치의 중심와에 접촉한다."
] |
C
|
dentist
|
백악법랑경계에서 치주낭 기저부까지 거리를 의미하며 치주조직의 파괴 정도를 나타내는 것은?
|
[
"부착수준",
"치은퇴축량",
"치주낭깊이",
"생물학적폭경",
"임계치주낭깊이"
] |
A
|
dentist
|
치근 표면이나 치주낭 내의 치석 등 이물질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이개부 병소와 수복물의 과잉변연부를 탐지하거나 치근활택술 후 치근 표면의 활택도를 평가할 때 유용한 진단기구는?
|
[
"치경",
"큐렛",
"핀셋",
"지혈겸자",
"엑스플로러"
] |
E
|
dentist
|
30세 남자가 식사 중 돌을 씹어 상악 우측 어금니가 아프고 이가 흔들린다는 주소로 내원하였다. 초기 검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진단은?
치아 파절: 없음
전기치수검사: 정상
타진: 민감
치조골 소실: 없음
동요도: 1도
|
[
"급성치은염",
"급성치주농양",
"급성교합성외상",
"급성치관주위농양",
"급성치근단치주염"
] |
C
|
dentist
|
성호르몬이 치주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에스트로겐은 치은삼출액을 감소시킨다.",
"에스트로겐은 치은상피의 각화를 증가시킨다.",
"프로게스테론은 치은의 미세혈관 수축을 유발한다.",
"프로게스테론은 치은상피의 형태적 변화를 유발한다.",
"테스토스테론은 전신적 투여 시 치조골의 골형성을 억제한다."
] |
B
|
dentist
|
전반적인 치주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치석제거술 및 치근활택술과 치태조절 교육을 하였다. 재평가 시, 치은염증은 해소되었고, 치주낭깊이는 4mm 미만이며, 치은퇴축은 없다. 다음으로 진행할 치주치료 단계는?
|
[
"수복단계",
"유지단계",
"외과적단계",
"비외과적단계",
"응급치료단계"
] |
B
|
dentist
|
오목한 인접치근면을 가진 치간공극의 치태조절에 효과적인 구강위생 보조기구는?
|
[
"치실",
"전동칫솔",
"치간칫솔",
"고무자극기",
"나무자극기"
] |
C
|
dentist
|
항생제의 국소적 송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기계적 치주치료를 대체할 수 있다.",
"치은연하 미생물군을 유지해야 한다.",
"항생물질이 감염물질에 간접적으로 작용해야 한다.",
"경구로 투여한 경우보다 치은열구 내 농도가 낮아야 한다.",
"구강 내 병원균이 항생제 내성의 변화를 보이지 않아야 한다."
] |
E
|
dentist
|
60세 남자가 치주치료를 위해 내원하였다. 당화혈색소(HbA1c)는 9.0%, 혈압은 160/100mmHg이었다. 그 외 의과병력에 특이소견은 없었다. 치료 시 고려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
|
[
"일반환자에 준하여 치료한다.",
"치료 전 내과의사에게 의뢰한다.",
"예방적 항생제의 투여는 금기이다.",
"아세트아미노펜의 투여는 금기이다.",
"에피네프린이 1:50,000 이상 들어 있는 국소마취제를 사용한다."
] |
B
|
dentist
|
노인환자의 치과치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불소가 없는 치약을 권장한다.",
"치료시간을 늦은 오후로 하는 것이 좋다.",
"약제에 대한 감수성이 낮아 투약량을 조절해야 한다.",
"다양한 구강위생기구들을 최대한 사용하도록 교육한다.",
"불안, 긴장이 예상되는 환자에게 전투약으로 디아제팜 투여는 금기이다."
] |
D
|
dentist
|
교합성외상에 의한 치주조직의 반응으로 옳은 것은?
|
[
"치은염 유발",
"치주낭 형성",
"부착치은 감소",
"치주인대 폭경 감소",
"수직골 결손부 형성"
] |
E
|
dentist
|
치석을 탐지하는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기구의 끝을 치면에 밀착시켜 이동시킨다.",
"기구를 손바닥과 엄지법(palm and thumb grasp)으로 잡는다.",
"치은연하치석의 탐지를 위하여 치면을 젖은 상태로 유지한다.",
"치주낭 심부에 있는 치은연하치석은 압축공기를 불어 확인한다.",
"연조직 손상의 방지를 위해 기구를 치석의 치관측까지 삽입한다."
] |
A
|
dentist
|
외과적 치주처치의 원칙으로 옳은 것은?
|
[
"판막은 봉합 시 사강이 생기지 않도록 적합시킨다.",
"절개선 형성 시 부착치은 보존을 고려하지 않는다.",
"항응고제 투여 환자에게 테트라사이클린을 처방한다.",
"판막의 괴사가 발생하지 않도록 건조 상태로 유지한다.",
"출혈의 위험이 있으므로 잔존육아조직은 제거하지 않는다."
] |
A
|
dentist
|
구개부의 판막형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절개 후 판막변위가 용이하다.",
"수직절개의 길이를 최대로 한다.",
"협측에 비해 절개 및 판막거상이 용이하다.",
"조직이 얇은 경우 외사면 절개를 시행한다.",
"조직이 두꺼운 경우 수평으로 치은절제술을 먼저 시행한다."
] |
E
|
dentist
|
삭제형 골수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부분층판막 형성",
"치조골의 두께 감소를 위해 수직골구 형성",
"치근부 치조골이 얇고 천공이 있는 경우 치근부 혼화 시행",
"편중격 결손부의 기저부가 치근첨에 가까울 경우 치간골의 편평화 시행",
"치은 선각부 치조골이 치간부 골소실보다 치관측에 위치하도록 변연골 점진화 시행"
] |
B
|
dentist
|
치근피개술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환자의 심미적인 요구와 치아과민증은 적응증이다.",
"Miller II급 치은퇴축은 완벽한 치근피개를 얻을 수 없다.",
"상피하결합조직이식을 위하여 근단변위판막을 형성한다.",
"측방변위판막수술 시 판막의 하부에 사선절개는 피한다.",
"유리치은이식은 상피하결합조직이식보다 심미적으로 유리하다."
] |
A
|
dentist
|
임플란트 보철물 주위 각화점막의 폭이 1mm 미만이었다. 각화점막을 증가시키기 위한 술식은?
|
[
"조직유도재생술",
"변형위드만판막술",
"골삭제를 동반한 치관연장술",
"수직절개를 동반한 치관변위판막술",
"유리치은이식을 동반한 근단변위판막술"
] |
E
|
dentist
|
기구멸균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열탕소독법은 포자형성균을 제거할 수 있다.",
"고압증기멸균법은 액체의 멸균이 불가능하다.",
"고압증기멸균법은 15psi에서 121°C로 최소 3분간 시행한다.",
"에틸렌옥사이드를 이용한 가스멸균법의 작용기전은 알킬화이다.",
"건열멸균법은 유리제품이나 건조된 화합물의 멸균에 부적합하다."
] |
D
|
dentist
|
아래 설명에 해당하는 봉합법은?
장력이 심한 곳에 주로 사용하며 방수 효과가 우수하다.
혈행이 많은 부위에 사용하면 지혈효과를 갖지만, 혈행을 감소시켜 치유를 지연시키는 단점이 있다.
부적절하게 봉합하는 경우 창상연의 괴사와 열개가 발생할 수 있다.
|
[
"연속봉합",
"피하봉합",
"단순단속봉합",
"수직매트리스봉합",
"수평매트리스봉합"
] |
E
|
dentist
|
지혈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압박지혈의 경우 지혈제로 에피네프린을 사용할 수 있다.",
"수술 후 지혈이 안 된 상태에서는 유출관(drain)의 삽입은 금기이다.",
"고주파 전극을 출혈 부위에 직접 적용하는 방법은 조직파괴가 적다.",
"혈관결찰을 시행할 경우 혈관 이외의 조직을 최대한 많이 포함하여 결찰한다.",
"전기소작기를 이용한 지혈의 경우 혈관 주위의 조직이 젖어 있어야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 |
A
|
dentist
|
신장투석을 받고 있는 40세 남자가 신장투석 다음 날 근심경사된 하악 좌측 제3대구치를 발치하였다. 발치 직후 다음과 같은 임상소견이 관찰되었다. 좌측 악하부위 종창의 원인은?
좌측 악하부위 종창
좌측 악하부 촉진 시 바삭바삭하는 소리 발생
자발통 ( - )
발치와 출혈 ( - )
|
[
"피하기종 발생",
"악하선도관의 파열",
"하치조동맥의 출혈",
"만성신부전의 합병증",
"감염에 의한 악하간극 농양 발생"
] |
A
|
dentist
|
건성발치와(dry socket)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과도한 육아조직 형성이 발병 원인이다.",
"농의 배출과 악취가 특징이다.",
"통증은 발치를 시행한 직후 발생하며, 3일 이내 사라진다.",
"발치창 내 혈액응괴를 형성시키기 위해 소파술을 시행한다.",
"통증 완화에 주력하면서 감염 억제를 위해 항생소염요법을 시행한다."
] |
E
|
dentist
|
감염 발생 전, 후 변화가 가장 적은 활력징후는?
|
[
"체온",
"혈압",
"맥박수",
"호흡수",
"호흡용량"
] |
B
|
dentist
|
두경부의 근막간극농양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악하간극농양은 이차성근막간극으로 이행되지 않는다.",
"익돌하악간극농양은 안면종창, 개구제한, 통증이 특징이다.",
"이설골근의 부착 높이에 따라 감염이 악하간극 혹은 설하간극으로 진행될지 결정된다.",
"측두하간극농양은 상악 제3대구치의 감염으로 발생할 수 있고, 안면종창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양측성으로 교근하간극, 익돌하악간극, 측두간극이 함께 이환되는 경우를 루드비히앙기나(Ludwig angina)라고 한다."
] |
D
|
dentist
|
턱관절부위에 분포하며 관절강세정술(arthrocentesis)을 위해 국소마취를 시행하는 신경은?
|
[
"설하신경(hypoglossal n.)",
"악설골신경(mylohyoid n.)",
"대이개신경(greater auricular n.)",
"이개측두신경(auriculotemporal n.)",
"외측익돌근신경(lateral pterygoid n.)"
] |
D
|
dentist
|
하악과두골절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소아의 경우 관혈적 정복술을 주로 시행한다.",
"골절된 과두는 부착된 근육에 의해 주로 후방으로 변위된다.",
"양측 과두골절 시 개방교합과 구치부 조기접촉이 발생할 수 있다.",
"변위된 과두의 위치 파악은 초음파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유용하다.",
"편측 과두골절 시 골절된 부위의 반대측으로 하악의 편위가 발생한다."
] |
C
|
dentist
|
구외절개법(extraoral incision)과 해당 절개법을 이용한 수술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
[
"결막절개법(transconjunctival incision) - 안와저골절의 정복",
"관상절개법(coronal incision) - 상악전치부 분절골절단술",
"전이개절개법(preauricular incision) - 하악골정중부골절의 정복",
"하악하절개법(submandibular incision) - 관골축소술",
"하악후절개법(retromandibular incision) - 측두간극농양의 절개 및 배농"
] |
A
|
dentist
|
다음 중 전암병소는?
|
[
"광선구순염(actinic cheilitis)",
"백색해면모반(white sponge nevus)",
"양성이주설염(benign migratory glossitis)",
"정중능형설염(median rhomboidal glossitis)",
"포다이스과립(Fordyce granule)"
] |
A
|
dentist
|
두경부에 발생하는 다형선종(pleomorphic adenoma)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악성전환은 없다.",
"설하선에서 가장 호발한다.",
"조기발견 시 방사선 치료가 우선된다.",
"섬유성 피막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구개병소의 경우 재발률이 낮아 단순적출이 추천된다."
] |
D
|
dentist
|
구강 내 발생한 편평유두종(squamous papiloma)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악성전환은 없다.",
"완전절제 후에도 재발이 흔하다.",
"단순포진바이러스가 발생의 원인이다.",
"매끈한 형태로 출혈이 자주 발생한다.",
"대부분 직경 2cm 이상의 다발성 병소로 나타난다."
] |
A
|
dentist
|
아래 설명의 경부청소술(neck dissection)의 종류는?
부신경(accessory n.), 내경정맥(internal jugular v.), 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d m.) 3가지 중 일부 또는 전부를 보존하면서 level I에서 level V까지 경부의 모든 림프절을 제거하는 수술법이다.
|
[
"근치경부청소술(radical neck dissection)",
"선택경부청소술(selective neck dissection)",
"예방경부청소술(preventive neck dissection)",
"변형근치경부청소술(modified radical neck dissection)",
"확장근치경부청소술(extended radical neck dissection)"
] |
D
|
dentist
|
두경부 방사선치료 완료 후 시기상 가장 늦게 발생되는 합병증은?
|
[
"탈모",
"점막염",
"미각소실",
"구강건조증",
"방사선골괴사"
] |
E
|
dentist
|
타석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설하선에 가장 호발한다.",
"타석은 증상 없이 우연히 발견될 수 있다.",
"악하선 타석은 주로 타액관보다 타액선실질 내에서 발견된다.",
"통증, 종창, 발열이 있는 급성기에는 타액선 적출을 시행한다.",
"이하선에는 주로 타석이 먼저 형성된 후 세균의 역행성 침윤으로 타액선염이 발생한다."
] |
B
|
dentist
|
25세 남자가 완전매복 하악 제3대구치 발치 1주일 후 하순감각저하를 호소하였다. 감각신경손상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Minnesota thermal disk는 온자극을 주는 기구이다.",
"감각저하의 심도를 확인하기 위해 매핑(mapping)을 한다.",
"통각유해감각감별법으로 무감각(anesthetic sensation)을 판단할 수 있다.",
"두점감별법에서 무딘 바늘침을 이용하면 구심성 C신경을 평가할 수 있다.",
"브러시운동방향감별법은 15회 중 60% 판단 가능하면 정상으로 판단한다."
] |
C
|
dentist
|
인슐린비의존당뇨병, 고혈압, 심근경색증을 진단받은 75세 환자가 발치를 위하여 내원하였다. 진료 방법으로 옳은 것은?
|
[
"발치 후 NSAIDs 처방은 금기이다.",
"혈관수축제 사용량은 일반환자와 같다.",
"발치 전 고농도의 스테로이드를 투여한다.",
"측정된 수축기혈압이 200mmHg이면 오전에 진료약속을 잡는다.",
"발치 전후 정상 식사가 가능하면 통상 용량의 혈당강하제를 투약하고 발치한다."
] |
E
|
dentist
|
치과에서 성인 환자의 예방적 항생제 사용법으로 옳은 것은?
|
[
"총의치제작을 위한 인상 시 투여가 필요하다.",
"인공심장판막 환자 발치 시 투여가 필요없다.",
"감염성심내막염 예방을 위해 연쇄상구균을 타겟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메트로니다졸 500mg을 술 전 1시간 전 경구투여한다.",
"페니실린 알러지 환자는 에리스로마이신 200mg을 수술 1시간 전 경구 투여한다."
] |
C
|
dentist
|
13세 남자가 입이 벌어지지 않아 내원하였다. 6년 전 교통사고로 좌측 하악과두골절 병력이 있었고, CT상 좌측 하악과두의 골성 유착으로 진단되었다. 이 환자의 하악과두절제 후 적합한 골이식은?
|
[
"요골이식(radial graft)",
"늑연골이식(costochondral rib graft)",
"유리혈류화비골이식(free vascularized fibular graft)",
"유리혈류화견갑골이식(free vascularized scapular graft)",
"유리혈류화장골능이식(free vascularized iliac crest graft)"
] |
B
|
dentist
|
치과용 골이식재가 치유 과정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은 것은?
|
[
"동종골은 골형성능, 골전도능을 가진다.",
"이종골은 골유도능, 골전도능을 가진다.",
"합성골은 골형성능, 골유도능을 가진다.",
"골형성단백질은 골형성능, 골전도능을 가진다.",
"자가골은 골형성능, 골유도능, 골전도능을 가진다."
] |
E
|
dentist
|
피판의 분류와 해당 피판의 연결이 바른 것은?
|
[
"근육피부피판 - 전두피판",
"근육피부피판 - 대흉근피판",
"피부근막피판 - 광배근피판",
"피부근막피판 - 유리복직근피판",
"피부근막피판 - 유리전완요골피판"
] |
B
|
dentist
|
구개열 수술 방법 중 push-back method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환자의 발음이 개선된다.",
"구개의 길이가 줄어든다.",
"구개점막 연장에 Z-성형술을 이용한다.",
"비강점막 길이 연장에 Y-V피판을 이용한다.",
"목젖-구강점막-구개범거근-비강점막 순으로 봉합한다."
] |
A
|
dentist
|
선천적 두개안면기형 중 유전적 영향이 인정되지 않고, 자궁 내에서 앞쪽으로부터 하악에 압박이 가해져 태아의 머리가 전굴되고 이부가 흉골에 압박되어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진 질환은?
|
[
"사두증(plagiocephaly)",
"아페르증후군(Apert syndrome)",
"크루종증후군(Crouzon's syndrome)",
"삐에르로빈속발증(Pierre Robin sequence)",
"트리처콜린스증후군(Treacher Collins syndrome)"
] |
D
|
dentist
|
이부성형술(genioplasty) 후 가장 호발하는 합병증은?
|
[
"골괴사",
"비유합",
"개방교합",
"기도폐쇄",
"하순감각마비"
] |
E
|
dentist
|
골절단을 이용한 관골축소술을 받은 환자가 한 달 후 볼처짐과 개구제한을 호소하였다. 원인은?
|
[
"안와저골절",
"급성이하선염",
"관골의 하방변위",
"하악과두의 유착",
"안와하신경의 손상"
] |
C
|
dentist
|
필러를 이용한 코성형술 시 콧방울고랑(alar groove)과 미간에 측면 주사를 피한다. 어떤 혈관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함인가?
|
[
"비배동맥(dorsal nasal a.), 상순동맥(superior labial a.)",
"비배동맥(dorsal nasal a.), 안와하동맥(infraorbital a.)",
"비배동맥(dorsal nasal a.), 외측비동맥(lateral nasal a.)",
"안와상동맥(supraorbital a.), 안와하동맥(infraorbital a.)",
"안와상동맥(supraorbital a.), 외측비동맥(lateral nasal a.)"
] |
C
|
dentist
|
리도카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혈관수축작용이 있다.",
"항부정맥작용이 있다.",
"에스터형 국소마취제로 혈장에서 분해된다.",
"에스터형 국소마취제로 대부분 간에서 분해된다.",
"경증 전신독성반응으로 저혈압이 발생할 수 있다."
] |
B
|
dentist
|
차단마취법(block anesthesia)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신경외막 내에 주입한다.",
"작용시간이 침윤마취보다 길다.",
"침윤마취에 비하여 주사자입에 의한 외상을 줄일 수 있다.",
"침윤마취에 비하여 국소마취제의 혈관 내 주입 가능성이 낮다.",
"국소마취제를 동량 사용하였을 때, 침윤마취와 비슷한 마취 심도를 보인다."
] |
B
|
dentist
|
국소마취제의 작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비이온화 형태는 친수성이다.",
"대부분의 국소마취제는 약산이다.",
"비이온화 형태는 국소마취작용이 없다.",
"이온화 형태가 말초신경 세포막에 있는 나트륨통로의 탈분극을 억제한다.",
"염증으로 조직의 수소이온농도지수(pH)가 감소할 때, 정상 조직에 비하여 이온화 형태가 증가한다."
] |
E
|
dentist
|
환자의 의식이 저하되어 의사소통이 불가능하며, 호흡중추 억제로 호흡정지가 발생할 수 있는 진정법은?
|
[
"국소마취",
"최소진정",
"의식하진정",
"깊은진정",
"전신마취"
] |
D
|
dentist
|
한 달 전 천식발작으로 응급실을 방문하였던 10세 남자가 치과에서 접수 중 갑자기 호흡곤란과 함께 숨쉴 때마다 쌕쌕거리며 청색증을 보인다. 응급처치 약물은?
|
[
"니코틴수용체 작용제",
"무스카린수용체 작용제",
"α1-아드레날린수용체 길항제",
"β1-아드레날린수용체 길항제",
"β2-아드레날린수용체 작용제"
] |
E
|
dentist
|
75세 여자가 상악 우측 구치부에 수 초에서 수 분 동안 지속되는 발작성 통증을 주소로 방문하였다. 통증의 양상은 "세수를 할 때, 전기가 통하는 듯이 갑자기 아파요."이다. 진단은?
|
[
"편두통",
"군발두통",
"삼차신경통",
"비정형안면통",
"대상포진후신경통"
] |
C
|
dentist
|
법랑질 조직 중 Retzius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횡단절편에서 대칭적인 호 형태",
"장축절편에서 동심원의 고리 형태",
"상아법랑경계를 넘어서 연장된 형태",
"축방향으로 쉽게 깨지지 않기 위한 법랑소주 방향의 변화",
"법랑질 형성 시 주기적인 리듬을 따라 법랑소주가 침착되는 것이 특징"
] |
E
|
dentist
|
서서히 진행되는 우식병소의 탈회 기시부 하방에서 발생하며, 오래된 수복물 경계 부위에 발생한 이차우식병소 하방에서도 볼 수 있는 것은?
|
[
"구간상아질",
"관주상아질",
"관간상아질",
"경화상아질",
"투명상아질"
] |
D
|
dentist
|
치과의사의 기본 진료 자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팔꿈치는 될 수 있는 대로 몸에 붙인다.",
"작업점과 눈과의 거리는 10cm 이하로 유지한다.",
"치료부위에 따라 술자의 위치가 변해서는 안 된다.",
"시술 부위의 높이는 술자의 대퇴부 정도가 적당하다.",
"손가락 고정은 구강 밖의 유동성이 좋은 부위에 한다."
] |
A
|
dentist
|
치아형성용 기계와 기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기구의 직경이 클수록 정밀한 와동 형성에 적합하다.",
"고속 핸드피스 사용 시 간헐적으로 치아에 접촉시킨다.",
"고속 핸드피스 사용 시 최대한 큰 직경의 버를 사용한다.",
"저속 핸드피스가 고속 핸드피스에 비해 삭제효율이 높다.",
"치질 삭제력은 치질과 기구의 접촉면적에 상관없이 일정하다."
] |
B
|
dentist
|
와동형성의 원칙 중에서 저항형태의 옳은 설명은?
|
[
"협측벽과 설측벽의 확장을 최소로 한다.",
"복합레진의 경우 법랑질에 사면을 형성한다.",
"내부 선각은 둥글게 하지 않고 각지게 형성한다.",
"아말감 와동은 교합면이 좁고, 치수쪽이 넓게 형성한다.",
"인접면 우식을 치료하기 위해 접근이 용이한 협·설면에서 삭제를 시작한다."
] |
A
|
dentist
|
아말감의 응축(condensation)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과도한 수은이 제거된다.",
"한 번에 많은 양을 사용하여 응축 횟수를 줄인다.",
"2급 와동의 경우 인접면보다 교합면을 먼저 충전한다.",
"직경이 작은 응축기를 사용할 때 더 큰 응축력이 필요하다.",
"구상형이 절삭형이나 혼합형보다 더 큰 응축력이 필요하다."
] |
A
|
dentist
|
주조 금 온레이를 위한 와동형성에서 스커트(skirt)의 기능은?
|
[
"치수 보호",
"심미성 향상",
"유지력 향상",
"교합력 분산",
"치질 삭제 최소화"
] |
C
|
dentist
|
주조 금 인레이의 변연부 마무리로 옳은 것은?
|
[
"white stone 버를 고속으로 사용한다.",
"버를 변연에 평행하게 사용하면 안 된다.",
"시멘트 경화 전에는 인레이 변연을 문지르면 안 된다.",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변연 부위는 구강 내에서도 가능하다.",
"마무리용 버는 치질에서 금속 쪽으로 이동하며 마무리한다."
] |
D
|
dentist
|
대부분의 프라이머에 사용되는 성분으로 친수성이 높아서 수분이 많은 상아질로 쉽게 침투하는 것은?
|
[
"BPDM",
"HEMA",
"GPDM",
"PENTA",
"NPG-GMA"
] |
B
|
dentist
|
복합레진 수복을 위한 법랑질과 상아질 처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상아질의 접착강도는 습윤 정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상 법랑질과 과광화된 법랑질의 산부식 방법은 동일하다.",
"삭제하지 않은 법랑질의 산부식이 삭제한 법랑질보다 효과적이다.",
"깊은 와동일수록 상아질의 투과성이 높아져 복합레진 접착에 유리하다.",
"무소주 법랑질(rodless enamel)의 산부식에 대한 저항성은 소주 법랑질(rod enamel)보다 크다."
] |
E
|
dentist
|
치과치료 과정에서 생성되는 도말층(smear layer)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강한 수압에 의해 쉽게 제거된다.",
"치근 활택술 후에는 생성되지 않는다.",
"산부식을 해도 도말층은 제거되지 않는다.",
"기구 종류에 상관없이 도말층 두께는 일정하다.",
"상아세관을 막아 투과성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 |
E
|
dentist
|
구치부 2급 와동의 복합레진 수복 시 0.0015inch의 매트릭스 밴드와 retainer ring을 사용하여 긴밀한 인접면 접촉을 얻을 수 있는 것은?
|
[
"automatrix",
"Ivory matrix",
"omni matrix",
"sectional matrix",
"Tofflemire matrix"
] |
D
|
dentist
|
레진 강화형 글라스아이오노머시멘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충전용으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산-염기 반응과 레진 중합반응이 일어난다.",
"복합레진보다 우수한 치질 접착력을 보인다.",
"광조사 후 바로 마무리와 연마를 시행해서는 안 된다.",
"치질 결합력은 컨디셔너의 사용 유무에 상관없이 일정하다."
] |
B
|
dentist
|
세라믹 인레이 내면의 실란 처리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
[
"인레이 내면의 친수성이 강화된다.",
"인레이 내면의 물 접촉각이 작아진다.",
"타액이 쉽게 인레이 내면에 흡착된다.",
"실란층이 두꺼울수록 접착력이 증가한다.",
"실란이 인레이의 수산기(-OH)와 반응한다."
] |
E
|
dentist
|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일차적으로 선택되는 간접 수복용 시멘트는?
상악 중절치
전부 도재관
자극에 민감한 생활치
|
[
"레진시멘트",
"인산아연시멘트",
"산화아연유지놀시멘트",
"글라스아이오노머시멘트",
"폴리카르복실레이트시멘트"
] |
A
|
dentist
|
치수 및 상아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상아질 내에는 신경섬유가 존재하지 않는다.",
"치수 내 A 신경섬유 중 약 90%가 A 감마섬유이다.",
"치수 내 감각신경섬유의 80% 정도는 유수신경이다.",
"상아질 표면에 바람을 분사하여 건조시키면 상아세관 내의 액체가 치수 반대쪽으로 이동한다.",
"상아질 표면에 고삼투액(hyperosmotic fluid)을 가하면 상아세관 내의 액체가 치수 쪽으로 이동한다."
] |
D
|
dentist
|
치근 주위 조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치주인대에는 감각신경이 없다.",
"치주인대에는 고유수용체가 없다.",
"고유치조골은 주변 해면골에 비해 골밀도가 낮다.",
"고유치조골은 방사선사진에서는 치조백선으로 나타난다.",
"치주인대에서의 말라세쯔상피잔사의 존재는 매우 드물게 관찰되며 병적 소견이다."
] |
D
|
dentist
|
치수 및 치근단 조직과 연관된 질환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
[
"내흡수는 보통 발수 후에도 지속적으로 진행된다.",
"가역성치수염에 이환된 치아는 항상 자발통을 나타낸다.",
"만성 치근단 농양과 동반된 누공은 수술적 절제를 해주어야 한다.",
"만성 치근단 농양은 누공을 통해 배농이 될 때 심한 통증을 야기한다.",
"콜레스테롤열(cholesterol cleft)은 치근단낭의 조직학적 소견의 하나이다."
] |
E
|
dentist
|
근관치료의 성공과 실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방사선사진상 치주인대강이 2mm인 경우 방사선학적 성공으로 본다.",
"방사선사진상 치근 주위의 치조백선이 연속적으로 관찰되는 경우 방사선학적 성공으로 본다.",
"근관치료 전에 있던 치근흡수 부위에 백악질이 침착된 경우 조직학적 실패로 본다.",
"치근단 부위의 육아조직과 상피층의 증식이 관찰되는 경우 조직학적 성공으로 본다.",
"근관치료 전 치근단병소가 없던 치아보다 치근단병소가 있던 치아에서 성공률이 높다."
] |
B
|
dentist
|
치수 내 마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특수한 장비가 필요하다.",
"마취 효과는 즉시 나타난다.",
"마취 시행 중 통증은 거의 없다.",
"근관치료를 위한 국소마취방법 중 일차적으로 선택한다.",
"마취 지속 시간이 하치조신경차단마취에 비해 매우 길다."
] |
B
|
dentist
|
Vertucci 근관분류법에 따른 type I 근관을 가질 확률이 가장 높은 것은?
|
[
"하악 제1대구치 근심치근",
"상악 제1대구치 근심협측치근",
"상악 제2대구치 원심협측치근",
"하나의 치근을 가진 상악 제1소구치",
"하나의 치근을 가진 상악 제2소구치"
] |
C
|
dentist
|
상악 전치의 근관와동형성 시 구개측에서 와동형성을 시작하여 치수실에 도달하였다. 곧바로 버를 치아장축에 평행하게 세우지 않고 계속 진행하다 치관의 순측 치수실벽에 불필요한 홈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형태는?
|
[
"crack",
"fracture",
"gouging",
"constriction",
"perforation"
] |
C
|
dentist
|
Subsets and Splits
No community queries yet
The top public SQL queries from the community will appear here once avail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