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put
stringlengths 9
582
| choices
listlengths 5
5
| expected_output
stringclasses 5
values | category
stringclasses 4
values |
---|---|---|---|
전치, 소구치, 대구치에서 치주치료 전과 치주치료 6개월 후에 측정하여 계산한 임상적 부착획득과 부착소실을 나타낸 임계치주낭깊이(Lindhe 등, 1982)가 가장 큰 경우는?
|
[
"전치에 치근활택술을 시행한 경우",
"소구치에 치근활택술을 시행한 경우",
"소구치에 변형위드만판막술을 시행한 경우",
"대구치에 치근활택술을 시행한 경우",
"대구치에 변형위드만판막술을 시행한 경우"
] |
C
|
dentist
|
전신마취하에 수술을 하는 수술실의 무균 처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수술실은 음압식 여과환기가 추천된다.",
"구강내 소독은 2% 알코올 용액을 사용한다.",
"수술실에서는 필요 없는 움직임을 삼가고 정숙을 유지한다.",
"피부 소독은 베타딘 용액으로 절개부위의 바깥쪽부터 시작하여 중심방향으로 시행한다.",
"술자의 손 소독 후 건조는 멸균타월을 이용하여 전완부에서 손가락 순으로 물기를 제거한다."
] |
C
|
dentist
|
봉합의 원칙으로 옳은 것은?
|
[
"장력하에 접합되도록 결찰한다.",
"봉합침은 조직 표면에 45°의 각도로 자입한다.",
"니들홀더로 봉합침의 첨부에서 1/4 위치를 잡는다.",
"조직으로 들어가는 깊이는 절개연에서의 거리보다 짧게 통과한다.",
"절개연 양쪽 조직의 두께에 차이가 있을 때 얇은 조직에서 보다 깊게 통과한다."
] |
E
|
dentist
|
완전매복치 발치수술을 받은 25세 남자가 비스테로이드 소염진통제 근육주사를 맞았다. 그 즉시 입술과 혀가 붓고, 흉통과 호흡곤란을 호소하다가 의식이 소실되었다. 이때 가장 적절한 약물과 투여 방법은?
|
[
"아트로핀을 정맥주사한다.",
"스테로이드를 근육주사한다.",
"아목시실린을 정맥주사한다.",
"에피네프린을 근육주사한다.",
"항히스타민제를 근육주사한다."
] |
D
|
dentist
|
치성감염이 진행된 경우 종창이 외부로 잘 관찰되지 않으나 심한 개구장애를 보이는 이차성 근막간극은?
|
[
"견치간극",
"악하간극",
"이하간극",
"측두하간극",
"익돌하악간극"
] |
E
|
dentist
|
골다공증으로 진단받고 치료제를 투여받는 환자의 치아 여러 개를 발치하려고 한다. 약물관련악골괴사(MRONJ) 발생 확률이 가장 낮은 환자는?
|
[
"데노수맙을 1년간 투여받은 환자",
"알렌드로네이트를 4년간 투여받은 환자",
"이반드로네이트를 4년간 투여받은 환자",
"졸레드로네이트를 1년간 투여받은 환자",
"테리파라타이트를 1년간 투여받은 환자"
] |
E
|
dentist
|
상악동 내 점액저류낭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다.",
"발생 원인은 상악동 내 출혈이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골스캔을 시행한다.",
"감염 방지를 위해 항생제를 투여해야 한다.",
"상악동염의 원인이 될 수 있어 발견 즉시 제거한다."
] |
A
|
dentist
|
턱관절 관절원반의 전방변위와 천공으로 턱관절 개방수술을 받은 환자가 수술 후 이마에 주름이 잡히지 않는다고 한다. 원인은?
|
[
"관절낭 손상",
"측두근 손상",
"전두근 손상",
"안면신경 손상",
"이개측두신경 손상"
] |
D
|
dentist
|
양측 하악과두골절의 증상으로 옳은 것은?
|
[
"미각 상실",
"개구량 증가",
"전치부 개교합",
"뇌척수액 유출",
"하악골 전방이동"
] |
C
|
dentist
|
비관혈적 정복술의 적응증은?
|
[
"변위가 심한 하악정중부골절",
"복시가 발생한 안면골 복합골절",
"변위가 심하지 않은 하악과두골절",
"폐기능이 감소하여 악간고정이 불가능한 하악과두하골절",
"불리골절(unfavorable fracture)이 발생한 하악우각부골절"
] |
C
|
dentist
|
구강점막에 발생한 암성 궤양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옳은 것은?
|
[
"주위가 비교적 딱딱하고 경계부가 융기되며 초기에 통증이 심하다.",
"주위가 비교적 딱딱하고 경계부가 융기되며 초기에 통증이 없을 수 있다.",
"주위가 비교적 부드럽고 경계부가 편평하며 초기에 통증이 없을 수 있다.",
"주위가 비교적 부드럽고 경계부가 융기되며 초기에 통증이 심하다.",
"주위가 비교적 부드럽고 경계부가 편평하며 초기에 통증이 심하다."
] |
B
|
dentist
|
다음에서 설명하는 병소는?
영상학적 소견
- 경계가 명확한 단방성 혹은 다방성의 방사선투과성 병소
재발률이 높음
조대술이 가능함
치성종양으로 분류되었다가 다시 낭으로 분류됨
|
[
"단순골낭",
"함치성낭",
"스태픈골낭",
"치성각화낭",
"석회화치성낭"
] |
D
|
dentist
|
이장상피가 없는 낭은?
|
[
"비순낭",
"치은낭",
"단순골낭",
"치성각화낭",
"비구개관낭"
] |
C
|
dentist
|
법랑모세포종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전기소작법, 냉동외과수술로 절제한다.",
"재발률이 낮으므로 근치적 골절제술은 추천되지 않는다.",
"종양의 성장속도와 크기는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요소이다.",
"임상적 특징이 전형적이어서 술 전 조직검사는 추천되지 않는다.",
"종양이 악골에 광범위하게 이환되어도 적출술과 소파술로 충분하다."
] |
C
|
dentist
|
타석증이 가장 호발하는 타액선은?
|
[
"이하선",
"악하선",
"설하선",
"구개 소타액선",
"협점막 소타액선"
] |
B
|
dentist
|
하악 제3대구치 발치수술을 받은 여자가 같은 쪽 하순과 턱 부위에 감각이 무뎌졌다고 한다.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치아의 해부학적 구조와는 무관하다.",
"비타민 C 처방은 신경 손상 후 회복에 도움이 된다.",
"물리치료나 약물치료는 발치 후 6주 이후부터 시행한다.",
"수술 중 특이사항이 없었다고 판단하면 종창 및 염증을 예방하면서 추적 관찰 한다.",
"무뎌진 감각이 일주일 이상 지속되면 하치조신경의 절단 후 재문합하거나 신경이식술을 고려한다."
] |
D
|
dentist
|
전신질환이 있는 환자에 대한 외과적 수술 시 고려할 점으로 옳은 것은?
|
[
"발치는 심근경색 발생 2개월 후로 연기한다.",
"울혈성 심부전 환자는 수술 중 똑바로 누운 자세를 유지한다.",
"천식 환자는 수술 종료 후 교감신경항진제를 분무제로 투여해야 한다.",
"혈소판 억제 약물을 투여받는 환자는 수술 후 5일까지 약물을 중단한다.",
"간이식을 받은 환자는 항생제를 반드시 사용하고 수술 전후 소독을 철저히 한다."
] |
E
|
dentist
|
치아 여러 개를 발치할 예정인 당뇨 환자에 대한 고려사항으로 옳은 것은?
|
[
"중등도 과혈당 환자의 발치는 심각한 문제가 아니다.",
"당화혈색소가 10% 이상이면 예정된 수술을 진행한다.",
"예방적 항생제는 수술 후 감염 조절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아침에 금식상태에서 통상의 경구용 혈당강하제를 투여하고 내원하도록 한다.",
"혈당이 80 mg/dL로 낮아지는 경우 혈당을 바로 높일 수 있는 오렌지주스를 마시게 한다."
] |
A
|
dentist
|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골이식의 공여부는?
인체에서 가장 많은 양의 골을 채취할 수 있는 부위로 다량의 골이식이 필요한 경우에 유용하다.
결손부의 크기에 따라 해면골만 채취하거나 피질골을 포함하여 블록으로 채취할 수도 있다.
|
[
"늑골",
"경골",
"두개골",
"하악지",
"장골능"
] |
E
|
dentist
|
65세 남자의 하악 우측 치은에 발생한 편평세포암종에 대하여 하악골분절절제술 후 임플란트 식립을 고려한 유리피판술을 시행할 예정이다. 적절한 유리피판은?
|
[
"비골피판",
"대흉근피판",
"복직근피판",
"광배근피판",
"전외측대퇴피판"
] |
A
|
dentist
|
골이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자가골은 합성골에 비해 감염 저항성이 있다.",
"이식재와 수여부 사이에 적절한 유동성을 확보해 준다.",
"결손부가 광범위한 경우 동종골 이식을 일차적으로 선택한다.",
"무치악 부위에서는 이식재를 고정하기 위하여 즉시 임시 의치를 사용한다.",
"이식된 골 부위가 노출되더라도 이식재가 압박되지 않도록 느슨하게 봉합한다."
] |
A
|
dentist
|
점막하구개열환자에게 경구개 후연에 부착되어 있는 연구개근육을 재배치하여 봉합하는 입천장내근육성형술을 시행하였다. 범인두기능을 회복하기 위해 재배치되는 근육은?
|
[
"구개설근",
"구개거근",
"구개수근",
"구개인두근",
"상인두수축근"
] |
B
|
dentist
|
하악지 시상분할골절단술로 하악골 전방이동 수술 후 근심골편과 원심골편에 부착한 근육의 작용으로 회전력이 발생하여 전치부에서 개교합이 발생하였다. 원심골편의 하방견인을 일으킨 근육은?
|
[
"교근",
"측두근",
"이설골근",
"외측익돌근",
"내측익돌근"
] |
C
|
dentist
|
하악골의 상행지수직골절단술과 비교했을 때 상행지시상분할골절단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견고한 고정이 불가능하다.",
"원심골편의 고정이 어렵다.",
"장기간의 악간고정이 필요하다.",
"하순 및 이부의 감각이 마비되기 쉽다.",
"골편의 중첩이 작아 골 치유가 지연된다."
] |
D
|
dentist
|
보툴리눔독소를 이용한 사각턱 치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교근당 25U를 주사한다.",
"현저하게 풍융한 부위를 피해서 주입한다.",
"수술적 치료에 비해 결과를 예측하기가 쉽다.",
"교근의 피부에 가까운 부위에 얕게 주입한다.",
"근위축 효과가 최대로 나타나는 시기는 주사 1주째이다."
] |
A
|
dentist
|
27세 남자 환자의 발치를 위해 1:100,000 에피네프린이 섞인 2% 리도카인 카트리지 1개를 사용하였다. 이 환자에게 투여된 에피네프린의 양(mg)은?
|
[
"0.018",
"0.020",
"0.028",
"0.036",
"0.040"
] |
A
|
dentist
|
국소마취제의 작용기전으로 옳은 것은?
|
[
"탈분극 속도가 빨라진다.",
"탈분극 강도가 증가한다.",
"나트륨 이온 통로가 차단된다.",
"신경막의 휴지기 전압을 높인다.",
"신경의 전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
C
|
dentist
|
미국마취과학회(ASA, 2020) 신체 등급 분류 중 3급에 해당하는 것은?
|
[
"임신",
"경도비만",
"만성기관지염",
"조절되지 않는 당뇨",
"1개월 이내 발생한 심근경색"
] |
D
|
dentist
|
자녀의 치과치료를 위해 대기실에서 기다리던 남자 보호자가 소파 옆으로 쓰러져서 흔들어 보고 깨워도 반응이 없다. 우선 해야 할 조치는?
|
[
"맥박의 확인",
"응급 구조 요청",
"가슴압박 소생술",
"자동제세동기에 의한 제세동",
"기도 개방과 호흡 상태 확인 과정"
] |
B
|
dentist
|
프로포폴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
[
"수용성이다.",
"동맥혈압을 상승시킨다.",
"호흡을 억제하지 않는다.",
"정맥주사 시 통증을 유발한다.",
"전신마취 시 오심, 구토를 유발한다."
] |
D
|
dentist
|
치근 형성이 완료된 후 상아질모세포에 의해 매우 느리면서 자극이 없는 환경에서도 지속적으로 축적되는 것은?
|
[
"일차상아질",
"이차상아질",
"반응상아질",
"외투상아질",
"수복상아질"
] |
B
|
dentist
|
굴곡파절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병소의 단면 형태는 U자 모양이다.",
"설면이나 구개면에는 발생하지 않는다.",
"치경부 미세균열의 확산에 의해 발생한다.",
"외부 물질과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발생한다.",
"상실된 치질의 양상이 환자의 교합과 일치한다."
] |
C
|
dentist
|
치과기구의 소독수준은 고도, 중등도, 경도의 3단계로 구분된다. 중등도의 소독이 필요한 것은?
|
[
"큐렛",
"핸드피스",
"발치겸자",
"주사용 바늘",
"수술용 칼"
] |
B
|
dentist
|
러버댐클램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치은압배 효과가 없다.",
"혀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클램프가 움직여도 치은손상은 없다.",
"격리할 치아들 중 최전방 치아에 장착한다.",
"bow로 연결된 2개의 jaw와 2개의 prong으로 구성된다."
] |
B
|
dentist
|
치간이개법 중에서 즉시 이개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교정용 금속선을 사용한다.",
"구치부보다 전치부에서 이개효과가 크다.",
"급속히 시행해도 치질은 손상되지 않는다.",
"다른 이개법에 비해 경미한 힘을 사용한다.",
"1.0 mm 이상의 이개폭을 얻고자 할 때 사용한다."
] |
B
|
dentist
|
하악 구치부에 금인레이를 위한 1차 와동형성 후, 교합면 설측구의 법랑질에 국한된 얕은 우식이 일부 남아있는 경우 치료방법으로 옳은 것은?
|
[
"열구전색한다.",
"설측교두를 피개한다.",
"얕은 우식은 그대로 두고 마무리한다.",
"넓은 사면을 부여하여 와동의 외형에 얕은 우식을 포함시킨다.",
"1차 와동과 동일한 깊이로 설측구쪽으로 연장한다."
] |
D
|
dentist
|
세라믹인레이 와동형성 후 최종 인레이를 레진시멘트로 접착할 계획이다. 최종 접착하기 전까지 와동을 임시수복하는 것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유지놀을 포함한 재료를 사용한다.",
"치수에 자극적인 재료를 사용한다.",
"와동 전체를 산부식한 후 임시수복한다.",
"인접치와 대합치의 원래 위치를 유지해야 한다.",
"와동 전체를 임시합착제로 채우는 것이 제거하는 데 용이하다."
] |
D
|
dentist
|
상악 전치부 5급 복합레진수복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레진 색상은 방습 후 선택해야 한다.",
"레진 색상은 자연광을 피해서 선택해야 한다.",
"중합수축응력은 C-factor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치은연하변연의 경우 mini-flap을 사용하여 수복할 수 있다.",
"복합레진수복 후에 병소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D
|
dentist
|
4급 복합레진으로 수복된 상악 중절치에서 레진 일부분이 파절되었다. 파절 부위를 복합레진으로 수리하기 위한 기존 수복물의 표면처리로 옳은 것은?
|
[
"불산 처리",
"미백제 도포",
"바니시 도포",
"과산화수소 처리",
"기계적 미세요철 형성"
] |
E
|
dentist
|
복합레진수복을 위한 치질의 산부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농도가 50% 이상인 인산을 사용한다.",
"산부식된 법랑질은 부식 전 법랑질보다 접착할 수 있는 표면적이 감소된다.",
"산부식된 관간상아질에서 교원섬유망의 노출이 보인다.",
"법랑질의 광화 정도는 산부식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수세 후에 남은 여분의 산부식제는 접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
C
|
dentist
|
광중합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광중합기 광도가 높을수록 중합률은 감소한다.",
"광중합기 광도가 높을수록 중합수축응력은 작아진다.",
"광중합기 light tip의 손상은 조사광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LED 타입은 할로겐 타입에 비해 소비전력이 적고 수명이 길다.",
"광중합기와 조사 대상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조사 대상에 도달하는 광도는 증가한다."
] |
D
|
dentist
|
자가중합형 글라스아이오노머시멘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치질과 기계적 결합을 한다.",
"구치부 교두 수복에 사용한다.",
"색상이 다양하며 투명도가 높다.",
"연마는 중합 직후 하는 것이 좋다.",
"방사선불투과성을 띠게 하기 위해 산화아연을 첨가한다."
] |
E
|
dentist
|
인레이의 접착 과정에서 실란 도포 전 인레이 내면 처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금인레이는 인산으로 처리한다.",
"장석형 인레이는 인산으로 처리한다.",
"알루미나 인레이는 불산으로 처리한다.",
"지르코니아 인레이는 불산으로 처리한다.",
"복합레진 인레이는 산화알루미늄으로 sandblast 처리한다."
] |
E
|
dentist
|
치과용 CAD/CAM 수복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스캔정밀도는 마무리선이 치은연상보다 치은연하에 있을 때 더 좋다.",
"타액은 스캔정밀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사용자의 숙련도는 스캔정밀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광학식 스캐너는 스캔 대상 모형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광학식 스캐너는 접촉식 스캐너보다 인상채득 속도가 빠르다."
] |
E
|
dentist
|
포스트와 코어 술식에서 포스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포스트 직경은 치근 직경의 3/4이 적당하다.",
"포스트 표면형태는 유지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포스트 길이는 골조직에 둘러싸인 치근 길이의 1/2~3/4이어야 한다.",
"포스트 하방으로 2.0mm의 치근단 밀폐가 되어야 한다.",
"섬유강화형레진포스트가 주조금속포스트보다 치근을 파절시킬 가능성이 높다."
] |
C
|
dentist
|
근관치료 후 발생하는 치질변화 및 최종수복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근관치료 후 삼차상아질이 생성된다.",
"근관치료 후 상아질강도는 현저히 약해진다.",
"치수강을 개방해도 치아파절이 증가하지 않는다.",
"근관충전과 치관부의 변연봉쇄가 모두 중요하다.",
"근관치료 후 수복한 치아의 예후와 환상구(ferrule)의 확보 사이에는 상관성이 없다."
] |
D
|
dentist
|
치수의 신경섬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Aβ 섬유가 Aδ 섬유보다 더 많이 존재한다.",
"고유감각기능이 있는 섬유는 Aγ 섬유뿐이다.",
"C 섬유의 자극전달속도는 Aδ 섬유보다 느리다.",
"Aδ 섬유는 자극에 대해 둔한 통증으로 반응한다.",
"C 섬유가 A 섬유보다 전기치수검사에 더 잘 반응한다."
] |
C
|
dentist
|
치판(dental lamina)에서 유래되는 것은?
|
[
"치수",
"상아질",
"법랑질",
"치조골",
"치주인대"
] |
C
|
dentist
|
치수 및 상아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치수에는 교감신경섬유가 존재한다.",
"치수 내 세포 중 가장 많은 것은 림프구이다.",
"관간상아질은 관주상아질보다 더 광화되어 있다.",
"상아세관의 직경은 상아법랑경계보다 치수측에서 더 작다.",
"단위면적당 상아세관의 수는 상아법랑경계보다 치수측에서 더 적다."
] |
A
|
dentist
|
치아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검사에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Tooth Slooth®는 치수생활력 평가를 위한 기구이다.",
"와동형성검사는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치수 진단법이다.",
"전기치수검사로 치수의 질환을 정확히 감별 진단 할 수 있다.",
"정상치수를 가진 치아도 타진검사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치주인대마취를 이용한 마취검사(selective anesthesia) 시 전방치아에서 후방치아의 순으로 마취한다."
] |
D
|
dentist
|
치아균열(crack)의 진단에 가장 유용한 검사법은?
|
[
"촉진검사",
"타진검사",
"동요도검사",
"투과조명검사",
"치수생활력검사"
] |
D
|
dentist
|
하악구치부의 근관치료를 위한 국소마취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아티케인은 thiophene 링을 가지고 있다.",
"치수 내 마취 시 깊은 마취 상태가 2시간 이상 지속된다.",
"두꺼운 피질골이 존재할 때 치수 내 마취는 효과적이지 않다.",
"골 내 마취 시 마취액은 해면골이 아닌 피질골에 주입되도록 한다.",
"치주인대마취의 지속시간은 하치조신경차단마취의 지속시간보다 길다."
] |
A
|
dentist
|
치관의 장축이 치근의 장축에 비해 설측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근관와동형성 시 주의해야 하는 치아는?
|
[
"상악 중절치",
"하악 측절치",
"상악 제1소구치",
"하악 제1소구치",
"상악 제1대구치"
] |
D
|
dentist
|
다음 문장의 (가)와 (나)에 들어갈 단어로 옳게 묶인 것은?
3세대 전자근관장측정기 중 Root ZX®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전류를 사용하여 (가)의 (나)을(를) 근관장측정에 이용한다.
|
[
"(가)-전압, (나)-합",
"(가)-전압, (나)-차",
"(가)-전압, (나)-곱",
"(가)-임피던스, (나)-합",
"(가)-임피던스, (나)-비"
] |
E
|
dentist
|
근관의 coronal flaring이나 포스트 공간 형성과정에서 치근의 천공 위험성이 가장 높은 곳은?
|
[
"상악 중절치 치근의 근심면",
"하악 제1대구치 근심치근의 원심면",
"하악 제2대구치 원심치근의 원심면",
"상악 제1소구치 협측치근의 협측면",
"상악 제1대구치 구개측치근의 구개면"
] |
B
|
dentist
|
근관세척에 사용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17% EDTA보다 경조직 용해능력이 우수하다.",
"0.1%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클로르헥시딘보다 단백질 용해능력이 우수하다.",
"클로르헥시딘과 섞어서 사용하는 것이 추천된다.",
"괴사된 치수조직을 용해시키지 못한다."
] |
C
|
dentist
|
외상받은 치아의 동요도가 정상이고, 타진에 민감하며, 변위가 없다면 진단은?
|
[
"진탕",
"정출",
"함입",
"아탈구",
"측방탈구"
] |
A
|
dentist
|
완전탈구된 영구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미완성근첨인 경우 치수생활력 유지가 불가능하다.",
"완성근첨인 경우 치수생활력 유지가 치료의 목적이다.",
"염증 반응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재식 당일 근관치료를 시작한다.",
"탈구치아의 재식 및 고정 시 치아의 생리적 동요를 허용하여야 한다.",
"구외건조시간이 90분 이상이라도 미완성근첨인 경우 치주인대 세포의 생활력이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 |
D
|
dentist
|
재혈관화 술식에 사용하였을 때 가장 심한 치질변색을 유발하는 것은?
|
[
"minocycline",
"ciprofloxacin",
"metronidazole",
"collagen matrix",
"calcium hydroxide"
] |
A
|
dentist
|
치근단수술 시 수직절개선이 하나인 판막의 형태는?
|
[
"horizontal",
"triangular",
"rectangular",
"trapezoidal",
"semilunar"
] |
B
|
dentist
|
치근단 수술을 위한 판막 형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절개 시 소대를 절단하지 않는다.",
"출혈을 방지하기 위해 판막에 골막을 포함시키지 않는다.",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절개선을 치근단 병소 직상방에 형성한다.",
"반흔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절개선을 골융기 직상방에 형성한다.",
"딱지형성(sloughing)을 방지하기 위해 치간유두를 절단한다."
] |
A
|
dentist
|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에서 상악 우측 제1대구치가 다음과 같을 때, WHO 치아검사기준에 따른 판정은?
육안으로 해당 치아 치면에 연화치질이 존재하지 않고 건전함
육안으로 법랑질 내부가 검게 보여 치아우식이 의심됨
치아우식을 치료한 흔적이 없고, 전색된 흔적이 없음
|
[
"정상치아",
"우식치아",
"기록불가치아",
"우식발생위험치아",
"우식비경험처치치아"
] |
A
|
dentist
|
초등학교에서 2주에 1회 불소용액양치사업을 시행하기 위해 불화나트륨 양치용액을 제조하고자 한다. 양치용액 1L를 만들려면 몇 g의 불화나트륨 분말을 넣어야 하는가?
|
[
"0.05",
"0.2",
"0.5",
"2.0",
"5.0"
] |
D
|
dentist
|
리벨(Leavell)과 클락(Clark)의 질병예방단계 중 진전질환기에 해당하는 관리방법은?
|
[
"건강증진",
"특수방호",
"조기치료",
"기능감퇴제한",
"기능재활"
] |
D
|
dentist
|
구강건강실태조사에서 지역사회치주지수의 검사기준에 따른 치주상태를 기록한 것이다.
#17 - #14 #13 - #23 #24 - #27
3 0 1
2 0 1
#47 - #44 #43 - #33 #34 - #37
이 대상자의 치주상태는?
|
[
"심치주낭형성",
"천치주낭형성",
"치석형성",
"치은출혈",
"정상"
] |
B
|
dentist
|
전문가치아청결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EVA tip은 협설면 치면세균막 제거용이다.",
"러버컵 사용 시 치은연하치면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공기연마기 사용 시 입자가 연조직에 닿아도 환자의 불편감이 없다.",
"시클스케일러는 반원형의 넓고 평평한 날을 이용하여 치석을 제거한다.",
"피에조식 초음파 치석제거기는 심박조율기를 장착한 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다."
] |
E
|
dentist
|
고정성치과보철물의 치면세균막 관리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가공치의 치면세균막 관리에는 변형챠터스법이 효과적이다.",
"불소가 포함되지 않은 세치제를 사용하면 보철물 변색을 방지할 수 있다.",
"입안에 고정성 보철물이 많고 종류가 다양할수록 부드러운 칫솔을 사용해야 한다.",
"고정성치과보철물의 치면세균막을 제거하기 위해 마모력이 높은 세치제를 우선 사용한다.",
"가공치 하방에 세균막 침착이 심하지만 대상자가 동기유발이 되어 있으면, 해당 부위의 치면세균막을 제거하기 위해 구강 양치액을 사용한다."
] |
A
|
dentist
|
공복으로 인한 구취의 분류로 옳은 것은?
|
[
"병적 구취",
"구취공포증",
"구취신경증",
"주관적 구취",
"생리적 구취"
] |
E
|
dentist
|
캠브라(CAMBRA)에서 제시하는 우식관리지침에 따른 다음 20살 여자의 적절한 우식예방 관리방법은?
1년 전 치아우식으로 수복치료를 경험함
자극성 타액분비율 검사: 분당 0.3 mL
산생성 미생물 검사: 중등도
하루 2회 불소치약 사용
하루 1회 간식 섭취
|
[
"연 1회 불소바니시 도포",
"주 1회 칼슘-인보충제 적용",
"3개월마다 우식위험 재평가",
"18개월마다 교익방사선촬영",
"매일 0.5g 자일리톨껌 씹기"
] |
C
|
dentist
|
45세 남자의 치주선별검사 결과이다.
#17 - #14 #13 - #23 #24 - #27
code 1 code 0 code 4
code 2 code 0 code 3*
#47 - #44 #43 - #33 #34 - #37
옳은 설명은?
|
[
"Nabers probe를 이용하여 검사한 결과이다.",
"상악 우측 구치부에 치석이 침착되어 있다.",
"상악 좌측 구치부의 치주낭 깊이는 3.5mm 이하이다.",
"하악 좌측 구치부의 권장 관리방법에는 철저한 치주검사 및 기록, 처치 및 치료가 포함되어야 한다.",
"12개월 주기로 구강건강관리교육, 전문가 치면 세정, 치석 제거의 관리가 필요하다."
] |
D
|
dentist
|
크림세치제가 공기 중에 노출되었을 때 고체로 굳는 현상을 방지하고, 세치제 구성 물질들의 조성을 안정되게 유지하는 성분은?
|
[
"sorbitol",
"allantoin",
"triclosan",
"silicon dioxide",
"sodium lauryl sulfate"
] |
A
|
dentist
|
치아우식을 예방하기 위한 식이조절법 과정에서 '치아우식위험도를 증가시키는 원인요소 지적'을 시행하는 단계는?
|
[
"식이조사",
"식이분석",
"식단상담",
"식단처방",
"식품처방"
] |
C
|
dentist
|
대상자의 제1대구치가 다음과 같을 때, 클룬(Clune)의 제1대구치 건강도(%)는?
치아 상태
상악 우측 제1대구치 협면에 충전되어 있음, 교합면과 구개면에 치아우식 있음, 인접면 모두 건전 치면임
상악 좌측 제1대구치 전부금관 수복 상태임
하악 우측 제1대구치 임플란트 수복 상태임
하악 좌측 제1대구치 교합면 치아우식 있음, 나머지 치면은 건전 치면임
|
[
"75",
"60",
"45",
"30",
"25"
] |
B
|
dentist
|
20명을 대상으로 지역사회치주요양필요지수를 조사한 결과이다.
치주조직병 진행 정도 인원수(명)
치주조직건전자 4
치은출혈자 5
치석부착자 6
천치주낭형성자 3
심치주낭형성자 2
이 집단의 치면세균막관리필요자율(%)은?
|
[
"80",
"55",
"45",
"30",
"25"
] |
A
|
dentist
|
A 지역과 B 지역 12세 아동 각각 100명의 구강건강실태조사 결과표이다.
A지역 B지역
DMF rate 40 % 90 %
DT rate 83 % 39 %
MT rate 2 % 1 %
FT rate 15 % 60 %
DMFT index 3.0 3.0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A 지역이 B 지역보다 우식경험치아를 보유한 아동이 많다.",
"A 지역이 B 지역보다 1인당 평균 우식경험치아 수가 적다.",
"A 지역은 B 지역보다 우식경험치아 중 충전치아 비율이 높다.",
"A 지역은 B 지역보다 우식경험치아 중 우식치아 비율이 높다.",
"A 지역은 B 지역보다 우식경험치아 중 발거치아 비율이 낮다."
] |
D
|
dentist
|
구강보건사업기획의 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사업 진행 후 평가지표를 확정하여 평가한다.",
"기획과정에서 전년도 사업평가 자료를 현황자료로 활용한다.",
"구강보건사업은 비용 대비 효과만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구강보건사업의 목표 설정 시 기한을 두지 않고 목표를 설정한다.",
"구강보건사업은 건강신념모형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기 때문에 다른 건강증진 사업분야와는 독립적으로 수행하여야한다."
] |
B
|
dentist
|
보철물 접착면에 대한 시멘트의 젖음성을 높이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
[
"흡착성이 낮은 시멘트를 사용한다.",
"표면장력이 낮은 시멘트를 사용한다.",
"보철물 접착면의 표면에너지를 낮춘다.",
"보철물 접착면의 산화막을 제거하지 않는다.",
"보철물의 접착면에서 접촉각이 큰 시멘트를 사용한다."
] |
B
|
dentist
|
아말감의 크립(creep) 시험 결과를 그래프로 그릴 때 X축-Y축으로 적절한 것은?
|
[
"시간-변형률",
"변형률-온도",
"온도-습도",
"습도-변형률",
"응력-반복횟수"
] |
A
|
dentist
|
치과재료의 생체적합성 시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한천중층시험은 제3균 시험에 포함된다.",
"치수복조시험은 세균을 이용하는 시험이다.",
"에임스(Ames)시험으로 유전독성을 평가할 수 있다.",
"구강점막자극시험으로 지연과민반응을 평가할 수 있다.",
"MTT를 활용한 세포독성시험은 제2군 시험에 포함된다."
] |
C
|
dentist
|
치과에서 사용되는 이트리아(Y2O3) 함유 지르코니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비정질 세라믹이다.",
"상온에서 단사정만 존재하게 된다.",
"10~30 mol%의 이트리아를 함유한다.",
"높은 기계적 특성은 상변태 강화에 의한 것이다.",
"이트리아 농도가 높아질수록 반투명도가 낮아진다."
] |
D
|
dentist
|
의치상 재료로 사용되는 열중합 아크릴릭 레진의 개시제는?
|
[
"3차아민",
"캠포르퀴논",
"히드로퀴논",
"벤조일과산화물",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 |
D
|
dentist
|
수복용 콤포짓트레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미세입자형은 재래형보다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다.",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가 기질로 주로 사용된다.",
"바륨이 함유된 필러는 방사선 불투과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한다.",
"실란 커플링제를 필러에 처리하면 레진기질과의 결합력이 떨어진다.",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를 첨가하면 점도를 높일 수 있다."
] |
C
|
dentist
|
병 2개로 구성된 6세대 상아질 접착 시스템을 사용하고자 한다. 2개 병의 내용물을 혼합하지 않고 각각 따로 상아질에 적용할 때 처음 적용하는 것은?
|
[
"부식제(etchant)",
"프라이머(primer)",
"접착레진(adhesive resin)",
"자가부식프라이머(self-etching primer)",
"자가부식접착제(self-etching adhesive)"
] |
D
|
dentist
|
글라스아이오노머시멘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포세린 접착에 사용된다.",
"치수에 대한 진정작용이 있다.",
"산-염기 반응에 의해 경화된다.",
"분말의 주 성분은 산화아연이다.",
"용액의 주 성분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이다."
] |
C
|
dentist
|
치과용 비귀금속 합금을 구성하는 원소의 주된 역할로 옳은 것은?
|
[
"크롬(Cr)은 내식성을 높인다.",
"니켈(Ni)은 생체적합성을 높인다.",
"베릴륨(Be)은 용융온도를 높인다.",
"몰리브데넘(Mo)은 탄화를 낮춘다.",
"코발트(Co)는 연성(ductility)을 높인다."
] |
A
|
dentist
|
열중합형 의치상용 레진의 dough-forming time이란?
|
[
"혼합 시작부터 dough stage가 끝나는 시점",
"혼합 시작부터 dough stage가 시작되는 시점",
"혼합 시작부터 rubbery stage가 끝나는 시점",
"sandy stage가 끝나는 시점부터 dough stage가 시작되는 시점",
"sandy stage가 끝나는 시점부터 dough stage가 끝나는 시점"
] |
B
|
dentist
|
장기 연성의치이장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연성과 탄성에 따라 5단계로 분류된다.",
"실리콘 이장재는 차아염소산염 성분의 의치세정제로 세척하여야 손상되지 않는다.",
"가소제를 첨가한 아크릴릭 레진 이장재는 구강 환경에서 점점 물렁해진다.",
"가소제를 첨가한 아크릴릭 레진 이장재의 찢김강도가 실리콘 이장재보다 크다."
] |
E
|
dentist
|
작업시간과 경화시간이 가장 길며 촉진제에 이산화납이 함유된 인상재는?
|
[
"폴리에테르",
"알지네이트",
"폴리설파이드",
"축중합실리콘",
"부가중합실리콘"
] |
C
|
dentist
|
티타늄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표면이 소수성일수록 골유착에 유리하다.",
"표면이 매끄러울수록 골유착에 유리하다.",
"표면의 부동태 피막은 생체적합성이 떨어진다.",
"RBM(resorable blast media) 표면처리는 고온의 황산과 염산을 사용하여 표면을 산처리한다.",
"SLA(sand-blasted with large-grit and acid-etched) 표면처리는 알루미나 입자로 표면을 분사(blasting)한다."
] |
E
|
dentist
|
치과의원에서 하악 제3대구치를 뽑은 후 감각이상을 호소하는 환자가 진료기록부 사본의 발급을 요구하였다. 「의료법」상 치과의사가 해야 할 일은?
|
[
"사본을 발급한다.",
"진료기록부의 열람만 허용한다.",
"손해사정인을 통하는 경우에만 사본을 발급한다.",
"소비자보호원을 통하는 경우에만 사본을 발급한다.",
"변호사를 통하여 법적 절차에 따라 요구할 때만 사본을 발급한다."
] |
A
|
dentist
|
「의료법」상 다음의 치과의사 중 보수교육 면제자는?
|
[
"치과의사전문의",
"치과대학의 대학원 재학생",
"치과대학 임상치의학 전임교수",
"진료하지 않는 치과대학 기초치의학 전임교수",
"해당 연도에 6개월 이상 환자 진료업무에 종사하지 아니한 사람"
] |
B
|
dentist
|
「의료법」상 의료기관을 개설할 수 없는 자는?
|
[
"국가",
"간호사",
"지방자치단체",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민법」에 따라 설립된 비영리법인"
] |
B
|
dentist
|
「의료법」상 의료광고를 할 수 있는 내용은?
|
[
"외국인환자를 유치하기 위한 국내 광고",
"직접적인 수술행위를 노출하는 내용의 광고",
"다른 의료인의 진료방법과 비교하는 내용의 광고",
"신문을 이용하여 전문가의 의견 형태로 표현되는 광고",
"보건복지부장관이 시행한 의료기관 인증을 표시한 광고"
] |
E
|
dentist
|
「의료법」상 보건복지부장관이 면허를 취소하여야 하는 의료인의 경우는?
|
[
"면허를 대여한 경우",
"피성년후견인이 된 경우",
"3회 이상 자격 정지 처분을 받은 경우",
"자격 정지 처분 기간 중에 의료행위를 한 경우",
"일회용 주사 의료용품을 재사용하여 사람의 생명 또는 신체에 중대한 위해를 발생하게 한 경우"
] |
B
|
dentist
|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상 감염병 발생과 관련된 자료, 감염병병원체·매개체에 대한 자료를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수집, 분석 및 해석하고 그 결과를 제때에 필요한 사람에게 배포하여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사용하도록 하는 일체의 과정은?
|
[
"역학",
"관리",
"감시",
"예방",
"추적"
] |
C
|
dentist
|
「검역법」의 목적에 관한 내용이다. ()에 들어갈 말은?
이 법은 우리나라로 들어오거나 외국으로 나가는 ()을 검역하는 절차와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여 국내외로 감염병이 번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국민의 건강을 유지·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
"동물, 사람 및 식물",
"동물, 사람 및 화물",
"동물, 식물 및 운송수단",
"동물, 운송수단 및 화물",
"사람, 운송수단 및 화물"
] |
E
|
dentist
|
「후천성면역결핍증 예방법」의 목적에 관한 내용이다. ()에 들어갈 말로 옳게 묶인 것은?
이 법은 후천성면역결핍증의 예방·()와/과 그 감염인의 보호·()에 필요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국민건강의 보호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
[
"치료-격리",
"진료-취업",
"추적-비밀",
"관리-지원",
"회복-생계"
] |
D
|
dentist
|
「국민건강보험법」상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관장하는 업무는?
|
[
"보험급여의 관리",
"보험료의 부과·징수",
"보험급여비용의 지급",
"요양급여비용의 심사",
"가입자 및 피부양자의 자격 관리"
] |
D
|
dentist
|
「국민건강보험법」상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보험급여를 제공해야 하는 경우는?
|
[
"월별 보험료가 총 3회 체납된 경우",
"요양기관의 요양에 관한 지시에 고의로 따르지 아니한 경우",
"업무로 생긴 재해로 다른 법령에 따른 보험급여를 받게 되는 경우",
"혈중알코올농도 0.1퍼센트 상태에서 운전을 하여 교통사고를 일으킨 경우",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요청한 급여의 확인을 위한 문서 제출 요구를 고의로 거부한 경우"
] |
A
|
dentist
|
「국민건강보험법」상 직장가입자의 보수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
[
"봉급",
"상여",
"수당",
"임금",
"퇴직금"
] |
E
|
dentist
|
Subsets and Splits
No community queries yet
The top public SQL queries from the community will appear here once avail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