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put
stringlengths 9
582
| choices
listlengths 5
5
| expected_output
stringclasses 5
values | category
stringclasses 4
values |
---|---|---|---|
맹출 전 치아 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영구전치는 유전치의 치관부 협측에서 설측으로 이동한다.",
"하악 소구치는 치조골의 성장과 함께 유구치 치근의 하방으로 이동한다.",
"유치와 영구치의 이동은 치배의 편심 성장과 치조골의 몸체 이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하악 제1대구치는 교합면이 원심협측으로 경사되어 발육하다가 공간이 생기면 상방으로 방향을 바꾼다.",
"상악 제1대구치는 교합면이 근심설측 방향으로 경사되어 발육하다가 치배가 회전하여 하방으로 맹출한다."
] |
B
|
dentist
|
상악 제1유구치의 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치근이 2개이다.",
"협측 2개의 교두 중 원심교두가 더 크다.",
"교합면의 형태는 근원심으로 긴 직사각형이다.",
"협면의 치경융선은 근심쪽이 특징적으로 발달되어 있다.",
"근심설측교두의 협측융선과 원심협측교두의 설측융선이 만나 횡단융선을 형성한다."
] |
D
|
dentist
|
어린이를 대상으로 구내방사선 촬영 시 방사선 노출을 최소화하는 방법은?
|
[
"관전압을 낮춘다.",
"방사선 선속을 크게 한다.",
"방사선 조사 부위를 크게 한다.",
"감도가 높은 디지털센서를 사용한다.",
"방사선원과 피사체 간의 거리를 짧게 한다."
] |
D
|
dentist
|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 단계 중에서 현실세계를 넘어서 추상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시기에 해당하는 에릭슨(Erikson)의 심리사회적 단계는?
|
[
"신뢰감 대 불신감",
"자율성 대 수치심",
"주도성 대 죄책감",
"근면성 대 회의감",
"자아정체성 대 역할혼란"
] |
E
|
dentist
|
치료 중 치과의사의 지시에 따르지 않아 어린이가 보고 있던 좋아하는 동영상 시청을 중단하였다. 해당하는 행동유도는?
|
[
"재훈련",
"모방 학습",
"주의 분산",
"체계적 탈감작",
"도구적 조건을 사용한 강화"
] |
E
|
dentist
|
중등도 진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보호반사의 소실이 관찰된다.",
"최소 1명의 전문 인력이 필요하다.",
"환자 감시 정보는 30분 간격으로 측정한다.",
"통증 자극이 주어지면 눈을 뜨거나 각성된다.",
"환자 감시 장비로 심전도기가 구비되어야 한다."
] |
D
|
dentist
|
7세 어린이의 구치부 러버댐 방습법에 관한 내용이다. (A), (B), (C)에 들어갈 숫자로 옳은 것은?
러버댐에 구멍을 형성할 때, 러버댐 시트를 상하로 (A)등분한 선과 좌우로 (B)등분한 선이 만나는 교차점에 첫 번째 구멍을 형성하고, 악궁형태에 따라 (C)° 방향으로 나머지 구멍을 형성한다.
|
[
"A: 2, B: 2, C: 45",
"A: 2, B: 3, C: 45",
"A: 3, B: 3, C: 45",
"A: 2, B: 2, C: 60",
"A: 3, B: 3, C: 90"
] |
B
|
dentist
|
7세 어린이의 하악 제1대구치에 개방형 우식와동은 존재하지 않으나 탐침이 근심소와에 들어가 잘 빠지지 않았다. 치료법은?
|
[
"아말감 수복",
"금인레이 수복",
"불소바니시 도포",
"예방적 레진 수복",
"산화아연유지놀 수복"
] |
D
|
dentist
|
하악 제1유구치에 기성금속관 수복을 하려고 한다. 옳은 것은?
|
[
"인접면 삭제 시 shoulder 마무리선을 형성한다.",
"치아를 삭제하기 전 후상치조신경 차단마취를 한다.",
"해당 치아에 #210 클램프를 이용하여 러버댐을 장착한다.",
"기성금속관을 유지하기 위해 선각과 첨각 부위는 삭제하지 않는다.",
"협면과 설면은 돌출된 치경부를 제외하고 거의 삭제하지 않는다."
] |
E
|
dentist
|
유치의 치수 상태 평가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
[
"통증의 정도와 치수염의 진행 정도는 비례한다.",
"전기치수검사로 치수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정확하다.",
"누공을 동반한 둔통이 발생할 경우 치수는 가역적 상태이다.",
"치수 괴사로 인한 병소는 치근분지부보다 치근단에서 빈발한다.",
"외부 자극기 없어도 잠을 못 잘 정도의 통증인 경우 치수절제술을 시행한다."
] |
E
|
dentist
|
간접치수복조술의 적응증은?
|
[
"자발통을 호소하는 경우",
"심한 우식증으로 누공이 발생된 경우",
"우식 제거 후 와동저에 치수가 비쳐 보이는 경우",
"우식 제거 과정에서 술자에 의해 치수가 노출된 경우",
"치아우식으로 치수가 장기간 노출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 |
C
|
dentist
|
구치부의 치성 반대교합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는?
|
[
"quad-helix",
"lip bumper",
"oral screen",
"inclined plane",
"tongue depressor"
] |
A
|
dentist
|
초기 혼합치열기 어린이에게서 다음의 요인들이 공통적으로 유발하는 것은?
정중과잉치
손가락 빨기
비정상적인 순소대
상악 측절치의 왜소치
|
[
"상악 정중이개",
"전치부 순측경사",
"전치부 개방교합",
"전치부 반대교합",
"구치부 반대교합"
] |
A
|
dentist
|
감염심내막염 고위험군 어린이의 치과치료 시 예방적 항생제가 필요한 경우는?
|
[
"러버댐 장착",
"교정브라켓 부착",
"불소바니시 도포",
"수술 후 봉합사의 제거",
"치근이 남아있는 유치의 발치"
] |
E
|
dentist
|
하악과두의 성장방향은 후상방이나 이로 인한 하악골의 이동방향은 전하방이다.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는 골성장 기전은?
|
[
"골개조(remodeling)",
"골첨가(deposition)",
"변위(displacement)",
"골흡수(resorption)",
"V 확장 원리(expanding V principle)"
] |
C
|
dentist
|
정상 영구치열과 비교 시 정상 유치열의 특징은?
|
[
"깊은 수직피개",
"하악 유견치 원심측 공간",
"하악 유전치의 크라우딩",
"상악 유전치의 전방경사",
"제2유구치의 원심계단관계"
] |
B
|
dentist
|
영구치의 맹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영구치 맹출 시기는 인종별 차이가 없다.",
"영구치 맹출 시기는 개인별 차이가 없다.",
"치관 형성이 완료되기 전부터 맹출이 시작된다.",
"유치 발치 시기는 영구치 맹출 속도에 영향을 준다.",
"맹출 속도는 치근 길이의 성장과 반비례 관계가 있다."
] |
D
|
dentist
|
성장 기간 동안, 하악의 치열궁 둘레가 감소하는 원인은?
|
[
"전치의 순측 경사",
"대구치의 원심 경사",
"구치의 원심이동 경향",
"제1대구치의 만기 근심이동",
"악골의 차등 성장 결과로 인한 절치의 순측이동"
] |
D
|
dentist
|
부정교합의 원인 중 치아 수 이상을 보이는 것은?
|
[
"선천성 매독",
"수면무호흡증",
"외배엽이형성증",
"상아질이형성증",
"법랑질형성부전증"
] |
C
|
dentist
|
유치의 유착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상악보다 하악에서 호발한다.",
"발생 빈도는 영구치보다 낮다.",
"치근의 병적 흡수 과정으로 인해 발생한다.",
"골과 상아질 사이에 치주인대가 개입하여 융합된 상태이다.",
"유착된 유치에 의한 수직적 골결손은 계승치 맹출 후에도 회복되지 않는다."
] |
A
|
dentist
|
II급 1류 부정교합에서 나타나는 구강안면 근육의 적응성 반응은?
|
[
"이근의 과활성",
"상순 기능 과다",
"하순 기능 저하",
"상순 빨기 습관",
"혀와 상순에 의한 구강 밀봉"
] |
A
|
dentist
|
유치열에서 영구치열로 이행하는 시기에 나타나며 정상으로 여겨지는 것은?
|
[
"하악 절치 맹출 시 공극",
"하악 제2대구치의 원심경사",
"상악 절치 맹출 시 크라우딩",
"제2유구치 탈락 전 II급 구치관계",
"상악 제2대구치 맹출 시 전치부 개방교합"
] |
D
|
dentist
|
성인 여자의 측모 두부계측방사선영상을 분석한 값은 다음과 같다.
계측항목 정상값 계측값
SNA (°) 81.6 81.0
SNB (°) 79.1 79.5
ANB (°) 2.5 1.5
Mx1 to NA (°) 25.3 32.0
Md1 to NB (°) 28. 22.2
SN-GoGn (°) 33.3 21.0
|
[
"단안모",
"상악골 과성장",
"하악골 열성장",
"상악 전치의 설측 경사",
"하악 전치의 순측 경사"
] |
A
|
dentist
|
파노라마 방사선영상에서 알 수 있는 정보는?
|
[
"상·하악골의 전후방 관계",
"과잉치 및 결손치의 유무",
"악안면 연조직 및 입술의 형태",
"비인두강의 질환 및 기도의 협착상태",
"두개저에 대한 치아의 위치 및 경사도"
] |
B
|
dentist
|
구강 악습관과 이로 인한 부정교합이 옳게 연결된 것은?
|
[
"구호흡-전치부 과개교합",
"이갈이-측방 개방교합",
"혀내밀기-전치부 과개교합",
"손가락빨기-상악 전치의 순측경사",
"아랫입술빨기-하악 전치의 순측경사"
] |
D
|
dentist
|
구강 단계에서, 유아기 연하와 성숙 연하 양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유아기 연하 시 하악골은 후방으로 이동한다.",
"유아기 연하 시 혀는 구개에 근접하거나 구개와 가볍게 접촉한다.",
"성숙 연하 시 치아가 접촉하지 않는다.",
"성숙 연하 시 입술과 안면 근육이 수축한다.",
"성숙 연하와 유아기 연하는 각각 다른 신경의 제어를 받는다."
] |
E
|
dentist
|
교정력이 증가하는 경우는?
|
[
"코발트 크롬 와이어의 열처리",
"치간 부위의 와이어에 루프 형성",
"근원심 너비가 작은 브라켓을 사용",
"스테인레스강 와이어 대신 베타티타늄 와이어 사용",
"0.018 inch 스테인레스강 와이더 대신 0.014 inch 스테인레스강 와이어 사용"
] |
A
|
dentist
|
급속구개확장술로 정중구개봉합을 확장한 후, 회귀를 방지하기 위해서 해당 확장장치를 유지해야 하는 최소 기간은?
|
[
"1개월",
"3개월",
"6개월",
"9개월",
"12개월"
] |
B
|
dentist
|
8세 어린이가 앞니가 벌어져서 내원하였다. 방사선 소견상 특이사항 없고, 상악 중절치 사이에 약 2 mm의 공간이 있으며 상악 견치가 미맹출 상태일 때 추천되는 처치는?
|
[
"순소대절제술을 시행한다.",
"상악 견치가 맹출할 때까지 경과관찰한다.",
"2x4 장치와 체인 고무줄로 공간을 폐쇄한다.",
"핑거 스프링(finger spring)으로 공간을 폐쇄한다.",
"순측 후크(labial hook)에 고무줄을 걸어 공간을 폐쇄한다."
] |
B
|
dentist
|
경부견인 헤드기어 착용 시, 상악 제1대구치의 저항중심을 지나도록 힘을 적용하였을 때, 상악 제1대구치의 이동 양상은?
|
[
"후하방으로 치체이동",
"후하방으로 치근이동",
"후상방으로 치체이동",
"후상방으로 치근이동",
"후상방으로 경사이동"
] |
A
|
dentist
|
III급 부정교합에서 페이스마스크의 치료 효과는?
|
[
"상악 전치의 설측경사",
"하악 전치의 순측경사",
"상악골의 성장억제",
"하악골의 전방이동",
"하악골의 후하방회전"
] |
E
|
dentist
|
7세 어린이가 앞니가 반대로 물린다고 내원하였다. 폐구 시, 상·하악 전치부의 교합간섭 후 하악을 전방으로 내밀며 전치부 반대교합이 발생한다. 안정위에서 정상적인 측모를 보이나 최대교두간접촉위에서는 오목형 측모를 보인다. 치료에 적절한 장치는?
|
[
"립범퍼",
"혀차단기",
"횡구개호선",
"III급 프랭켈장치",
"경부견인 헤드기어"
] |
D
|
dentist
|
12세 여자가 방사선 검사에서 구근 모양의 치관, 치수강 폐쇄 및 가느다란 치근이 관찰되어 의뢰되었다. 환자는 키가 작고 척추 만곡과 청색 공막을 보인다. 이 질환의 원인은?
|
[
"부갑상선기능저하증",
"비타민 D 대사 결핍",
"p53 유전자 돌연변이",
"태생기 바이러스 감염",
"제1형 콜라겐 유전자 돌연변이"
] |
E
|
dentist
|
35세 여자가 식욕이 증가하여 잘 먹는데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체중이 감소하여 내원하였다. 환자는 매우 예민하고, 빈맥, 떨림 및 안구 돌출 양상을 보인다. 임상 진단은?
|
[
"애디슨병",
"쿠싱증후군",
"갑상선기능항진증",
"뇌하수체기능항진증",
"부갑상선기능항진증"
] |
C
|
dentist
|
턱뼈에 다수의 치성각화낭과 피부에 다발성 기저세포함종이 발생되어 증후군으로 진단된 환자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것은?
|
[
"다모증",
"대뇌겸의 석회화",
"다발성 매복 과잉치",
"대장의 다발성 용종",
"피부나 점막의 멜라닌 착색 병소"
] |
B
|
dentist
|
사람 유두종 바이러스와 관련된 병소는?
|
[
"모상백반증",
"지루각화증",
"각화극세포종",
"뾰족콘딜로마",
"흑색극세포증"
] |
D
|
dentist
|
위입술올림근(levator labii superioris m.)이 이는(origin) 부위는?
|
[
"앞니오목(incisive fossa)",
"송곳니오목(canine fossa)",
"이마돌기(frontal process)",
"상악결절(maxillary tuberosity)",
"눈확아래구멍(infraorbital foramen)의 바로 위쪽"
] |
E
|
dentist
|
동맥과 그 동맥의 가지의 조합 중 옳은 것은?
|
[
"속목동맥-뒤통수동맥(occipital a.)",
"바깥목동맥-눈동맥(ophthalmic a.)",
"혀동맥-턱끝밑동맥(submental a.)",
"위턱동맥-중간관자동맥(middle temporal a.)",
"얼굴동맥-오름입천장동맥(ascending palatine a.)"
] |
E
|
dentist
|
전진한 아래턱뼈가 후퇴할 때 작용하는 것은?
|
[
"뒤관자근",
"깨물근의 얕은부분",
"안쪽날개근의 얕은부분",
"안쪽날개근의 깊은부분",
"가쪽날개근의 아래갈래"
] |
A
|
dentist
|
상악 우측 제1대구치와 형태가 비슷한 유치의 국제치과연맹(FDI) 치아 표기법은?
|
[
"55",
"54",
"53",
"85",
"84"
] |
A
|
dentist
|
날개입천장신경절(pterygopalatine ganglion)에 병소가 생긴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은?
|
[
"코샘 분비 이상",
"귀밑샘 분비 이상",
"혀밑샘 분비 이상",
"턱끝 피부 감각 이상",
"혀 부위의 맛 감각 이상"
] |
A
|
dentist
|
위후두신경의 바깥가지에 의해 기능하는 근육은?
|
[
"반지방패근(cricothyroid m.)",
"방패모뿔근(thyroarytenoid m.)",
"가로모뿔근(transverse arytenoid m.)",
"가쪽반지모뿔근(lateral cricoarytenoid m.)",
"뒤반지모뿔근(posterior cricoarytenoid m.)"
] |
A
|
dentist
|
혀밑신경과 동행하는 첫째 목신경이 지배하는 근육은?
|
[
"턱끝목뿔근(geniohyoid m.)",
"턱목뿔근(mylohyoid m.)",
"붓목뿔근(stylohyoid m.)",
"두힘살근의 앞힘살(anterior belly of digastric m.)",
"두힘살근의 뒤힘살(posterior belly of digastric m.)"
] |
A
|
dentist
|
일차입천장을 형성하는 것은?
|
[
"가쪽코돌기",
"안쪽코돌기",
"아래턱돌기",
"위턱돌기",
"코오목"
] |
B
|
dentist
|
다근치 발생 과정에서만 볼 수 있는 구조는?
|
[
"치아싹목고리(cervical loop)",
"상피격막(epithelial diaphragm)",
"상피성 혀(tongue of epithelium)",
"Malassez 상피세포잔사(Malassez epithelial cell rest)",
"Hertwig 상피뿌리집(Hertwig's epithelial root sheath)"
] |
C
|
dentist
|
내치아상피의 생활주기 중 주름세포끝법랑질모세포와 평탄세포끝법랑질모세포가 교대로 나타나는 시기는?
|
[
"형태발생기",
"조직분화기",
"분비기",
"성숙기",
"보호기"
] |
D
|
dentist
|
무기질이 가장 많이 침착된 상아질 구조는?
|
[
"신생아선",
"Owen 외형선",
"세관사이상아질",
"세관주위상아질",
"석회소구사이상아질"
] |
D
|
dentist
|
중간엽줄기세포가 뼈모세포로 분화하고 기능하는 데 필수적인 전사인자들로 옳게 묶인 것은?
|
[
"FGF8, SOX9",
"OPG, PPARγ",
"M-CSF, BMP2",
"RANKL, RANK",
"RUNX2, OSTERIX"
] |
E
|
dentist
|
아래 설명에 해당하는 구강상피의 세포는?
구강상피 바닥층 상부에 있다.
가지돌기가 있다.
주위 세포들과 부착반점에 의해 부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조직표본에서 투명하게 보인다.
막대 혹은 플라스크 모양의 작은 과립을 함유하고 있다.
외부에서 상피 내로 들어온 항원을 인지하고 처리한다.
|
[
"림프구",
"머켈세포",
"각질세포",
"멜라닌세포",
"링게르한스세포"
] |
E
|
dentist
|
사람의 신경근육접합부에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를 차단하는 약물을 적용했을 때 나타나는 결과는?
|
[
"종판 전압이 과분극된다.",
"신경 흥분 후 근육의 수축력이 증가한다.",
"신경 흥분 후 근육 수축 속도가 느려진다.",
"신경세포에서 아세틸콜린 방출이 차단된다.",
"신경세포의 흥분과 무관한 자발적 근육 수축이 일어난다."
] |
B
|
dentist
|
연하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반사활동의 일종이다.",
"소뇌의 연하중추에서 조절된다.",
"포유동물은 연하와 호흡이 동시에 일어난다.",
"구강단계와 인두단계는 의식적인 조절을 받는다.",
"음식물이 기도로 들어가면 미주신경 활성이 감소한다."
] |
A
|
dentist
|
미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쓴맛은 아미노산에 의해 유발된다.",
"미각 정보는 동측의 미각 피질로 투사된다.",
"신맛은 부패한 음식의 음이온을 감지하는 맛이다.",
"짠맛은 미각감수기에 발현된 G-단백질연계수용체에 의해 감지된다.",
"다양한 단맛을 구별하는 여러 종류의 단맛 감수기가 존재한다."
] |
B
|
dentist
|
C 신경섬유를 통해 전달되는 통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성상이 날카롭다.",
"지속시간이 짧다.",
"전달속도가 빠르다.",
"작열감을 동반한다.",
"발생 위치가 명확하게 구분된다."
] |
D
|
dentist
|
타액 분비가 증가하는 경우는?
|
[
"류마티스관절염",
"필로카르핀 복용",
"갑상샘기능항진증",
"삼환계 항우울증 약물 복용",
"악안면 부위의 방사선 치료"
] |
B
|
dentist
|
정상인의 심전도에서 심실근의 탈분극을 나타내는 것은?
|
[
"P 파",
"P-Q 간격",
"QRS 파",
"Q-T 간격",
"T 파"
] |
C
|
dentist
|
혈중 칼슘 농도가 정상치 이하로 떨어진 경우에 유리되는 호르몬은?
|
[
"시크레틴",
"타이록신",
"칼시토닌",
"성장호르몬",
"부갑상샘호르몬"
] |
E
|
dentist
|
타액 내 사이알로프로테인(sialoprotein)에서 말단 당질인 사이알산(sialic acid)을 제거하는 효소는?
|
[
"펩신",
"트립신",
"리소자임",
"젤라틴분해효소",
"뉴라민산기제거효소"
] |
E
|
dentist
|
음식으로 섭취한 지방이 주로 흡수되는 부위는?
|
[
"구강",
"위",
"작은창자",
"가로잘록창자",
"곧창자"
] |
C
|
dentist
|
다음에서 설명하는 RNA 분자의 기능은?
73~93개의 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되어 있다.
4~5개의 팔(arm)이라고 불리는 구조를 포함한다.
전사 후 가공 과정에서 3' 말단에 5'-CCA-3' 서열이 첨가된다.
뉴클레오타이드의 약 절반은 상보적으로 결합하여 이중나선 구조를 형성한다.
|
[
"합성될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정보를 전달한다.",
"새로운 단백질 합성에 필요한 아미노산을 운반한다.",
"전령RNA의 분해를 유도하여 단백질 합성을 억제한다.",
"리보솜의 구조적 뼈대를 형성하여 단백질 합성에 관여한다.",
"염색체 말단의 길이를 늘려 염색체를 보호하는 데 관여한다."
] |
B
|
dentist
|
형성 중인 법랑질에 존재하는 단백질 중 가장 많은 것은?
|
[
"아교질",
"터프텔린",
"에나멜린",
"아멜로제닌",
"포스포포린"
] |
D
|
dentist
|
10%의 설탕물로 입안을 헹구고 5분 후 치은연상 치태 내의 산 농도를 측정하였을 때, 농도가 가장 높은 것은?
|
[
"젖산",
"개미산",
"숙신산",
"부티르산",
"프로피온산"
] |
A
|
dentist
|
약물 알레르기에 의한 약물유해효과는?
|
[
"와파린에 의한 출혈",
"모르핀에 의한 호흡수 감소",
"노르에피네프린에 의한 서맥",
"페니실린에 의한 기관지 수축",
"아이소나이아지드에 의한 말초신경염"
] |
D
|
dentist
|
약물의 일차통과효과(first pass effect)가 커지는 경우 나타나는 결과는?
|
[
"반감기가 길어진다.",
"청소율이 낮아진다.",
"분포용적이 작아진다.",
"생체이용률이 낮아진다.",
"용량제한적 제거가 나타난다."
] |
D
|
dentist
|
아트로핀의 약리 효과는?
|
[
"중증근무력증 환자의 근력 강화",
"양성전립샘비대 환자의 배뇨장애 완화",
"중금속 중독 환자의 과도한 침분비 감소",
"초기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인지장애 완화",
"치과 시술 중 발생한 모세혈관 출혈의 지혈"
] |
C
|
dentist
|
표면마취제로만 사용되는 약물은?
|
[
"articaine",
"prilocaine",
"benzocaine",
"bupivacaine",
"mepivacaine"
] |
C
|
dentist
|
비용종(nasal polyp)이 있는 환자가 발치 후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아스피린을 복용한 이후 호흡곤란, 기침, 쌕쌕거림 같은 천식발작 유사증상을 경험하였다. 이 환자에게서 유사한 반응이 나타날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처방할 수 있는 진통제는?
|
[
"ketorolac",
"naproxen",
"ibuprofen",
"diclofenac",
"acetaminophen"
] |
E
|
dentist
|
감염심내막염을 앓았던 환자의 사랑니를 발치하려고 한다. 감염심내막염을 예방하기 위해 이 환자에게 처방하기에 적절한 약물은?
|
[
"nystatin",
"acyclovir",
"amoxicillin",
"fluconazole",
"sulfamethoxazole"
] |
C
|
dentist
|
RANKL에 결합하여 그 작용을 억제하는 단클론항체 약물로, 장기간 투여하는 경우 악골괴사 유발 가능성이 있는 골다공증 치료제는?
|
[
"raloxifene",
"teriparatide",
"zoledronate",
"denosumab",
"romosozumab"
] |
D
|
dentist
|
타이미딘인산화효소(thymidine kinase) 유전자 기능이 없는 돌연변이 세균을 정상 세균에서 얻은 DNA에 노출시켜 배양했더니 타이미딘인산화효소를 만드는 세균의 집락이 형성되었다. 유전자가 회복된 과정은?
|
[
"접합(conjugation)",
"전위(transposition)",
"형질도입(transduction)",
"형질전환(transformation)",
"번역후수식(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 |
D
|
dentist
|
선천면역반응(가)과 적응면역반응(나)이 옳게 묶인 것은?
|
[
"(가) IgM항체 생산\n(나) IgG항체 생산",
"(가) 대식세포 작용\n(나) 자연살해세포 작용",
"(가) 인터페론-알파 생산\n(나) 대식세포 작용",
"(가) 세포독성T세포 작용\n(나) 도움T세포 작용",
"(가) 자연살해세포 작용\n(나) 세포독성T세포 작용"
] |
E
|
dentist
|
내독소에 비해 세균의 외독소가 가진 특징은?
|
[
"독성이 더 크다.",
"열에 더 안정하다.",
"주된 작용은 발열 유도이다.",
"지질 또는 다당류로 구성된다.",
"톨유사소용체(Toll-like receptor)에 작용한다."
] |
A
|
dentist
|
Staphylococcus와 Streptococcus의 공통점은?
|
[
"운동성이 있다.",
"그람음성균이다.",
"탄수화물을 발효시키지 못한다.",
"내생포자(endospore)를 형성한다.",
"조건무산소균(facultative anaerobe)이다."
] |
E
|
dentist
|
Streptococcus mutans가 생산하는 glucosyltransferase의 기능은?
|
[
"ATP 분해",
"젖산 분비",
"세포외다당류 합성",
"세포내 pH의 항상성 유지",
"세포막을 통한 당의 운반"
] |
C
|
dentist
|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구강세균은?
그람염색에서 적색의 긴 막대균으로 보인다.
여러 종의 세균과 결합할 수 있어 치태형성에서 초기 집락균(early colonizer)과 후기집락균(late colonizer)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피세포 부착과 침투를 매개하는 부착소인 FadA 단백질을 발현한다.
임상 및 실험 연구를 통해 대장암과의 연관성이 제시되었다.
|
[
"Filifactor alocis",
"Tannerella forsythia",
"Prevotella intermedia",
"Streptococcus gordonii",
"Fusobacterium nucleatum"
] |
E
|
dentist
|
대부분의 치근단농양의 특징은?
|
[
"병소가 상피세포로 싸여있다.",
"단일 종의 세균에 의해 생긴다.",
"구강내 세균에 의한 내인성 감염이다.",
"혈류를 통해 도달한 세균에 의해 생긴다.",
"원인균은 절대무산소균보다 절대산소균의 비율이 더 높다."
] |
C
|
dentist
|
X선속을 조절하는 요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X선속을 여과하면 평균에너지와 반가층이 감소한다.",
"관전류를 높이면 X선광자의 수와 최대에너지가 증가한다.",
"노출시간을 늘리면 X선광자의 수와 에너지의 크기가 증가한다.",
"관전압을 높인 상태에서 동일한 흑화도를 얻으려면 노출 시간을 늘려야 한다.",
"mAs가 같다면 관전류와 노출시간의 조합에 관계없이 발생하는 X선광자의 수는 같다."
] |
E
|
dentist
|
X선과 물질 간의 상호 작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고전산란은 전자의 결합에너지가 X선광자의 에너지보다 낮을 때 발생한다.",
"광전효과는 산란선이 증가되어 환자에게 방사선량을 증가시킨다.",
"광전효과는 조직의 대조도를 높여 방사선영상의 질을 좋게 한다.",
"콤프톤산란은 골조직에 비해 연조직에서 일어날 확률이 높다.",
"콤프톤산란은 입사광자의 에너지가 조직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해 환자의 입장에서 불리하다."
] |
C
|
dentist
|
치과용 포터블 방사선촬영장치 사용 시 권고사항으로 옳은 것은?
|
[
"후방 산란선 차폐체가 부착된 장치를 사용한다.",
"되도록 초점-피부 간 거리가 짧은 장치를 사용한다.",
"디지털센서는 필름보다 낮은 감도의 센서를 사용한다.",
"촬영자는 X선 방어앞치마나 갑상선보호대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차폐되지 않은 공간에서는 이동형 X선 차폐막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 |
A
|
dentist
|
생체에 대한 방사선효과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세포질은 세포핵보다 방사선감수성이 높다.",
"선에너지전이가 클수록 손상 정도가 약하다.",
"산소분압이 증가할수록 방사선감수성이 낮아진다.",
"세포의 분화정도가 낮을수록 방사선감수성은 낮아진다.",
"조사선량이 같아도 선량률이 높을수록 손상 정도가 심하다."
] |
E
|
dentist
|
구강 내 금속수복물에 의한 영상오류가 나타나는 것은?
|
[
"종양스캔",
"체열촬영술",
"타액선스캔",
"타액선조영술",
"콘빔전산화단층촬영술"
] |
E
|
dentist
|
치은과 임플란트 주위점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치은에 비해 임플란트 주위점막에 섬유모세포가 많다.",
"치은에 비해 임플란트 주위점막의 혈관분포도는 높다.",
"임플란트 주위점막에서는 교원섬유들이 임플란트 표면에 부착한다.",
"임플란트 주위점막 상피는 반교소체에 의해 임플란트 표면에 부착한다.",
"건강한 부위에서, 치주탐침깊이는 치은에 비해 임플란트 주위점막에서 더 얕다."
] |
D
|
dentist
|
방사선영상이 필요한 치주역학지수는?
|
[
"Periodontal Index (Russell, 1956)",
"Gingival Index (Löe & Silness, 1963)",
"Periodontal Disease Index (Ramfjord, 1959)",
"Sulcus Bleeding Index (Mühlemann & Son, 1971)",
"Papillary-Marginal-Attachment Index (Schour & Massler, 1948)"
] |
A
|
dentist
|
치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표면은 비경화 치태로 덮여 있다.",
"치은연상치석은 주로 흑색이나 갈색을 띤다.",
"치석은 치은염증의 주된 자극원이며, 치은을 직접 자극한다.",
"치은연하치석의 형성에서 주요 무기질 공급원은 타액이다.",
"방사선영상에서 관찰되는 치석의 최근단 부위는 접합 상피와 맞닿아 있다."
] |
A
|
dentist
|
치주농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치수검사 시 생활력이 없다.",
"주요 집락균주는 그람양성 혐기성이다.",
"치은농양은 식편압입에 의해 유발된다.",
"치관주위농양은 완전 맹출치에서 발생한다.",
"만성치주농양은 찌르는 듯한 통증이 심하다."
] |
C
|
dentist
|
염증에 의한 부종성 치은반응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치은의 질감이 단단하다.",
"치은의 표면이 매끈하다.",
"치은점몰의 소실이 없다.",
"탐침 시 출혈되지 않는다.",
"비교적 정상에 가까운 색조를 띤다."
] |
B
|
dentist
|
끝이 공모양이고 치주낭 주변 조직을 적게 손상하면서 치근면에 대한 민감도가 높은 치주낭측정기는?
|
[
"Florida probe",
"Nabers probe",
"UNC-15 probe",
"WHO probe",
"Williams probe"
] |
D
|
dentist
|
이차성 교합성외상에 대한 임상적 진단과 양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치주낭 형성을 유도한다.",
"결합조직의 소실을 유도한다.",
"정상교합력에도 동요도가 증가한다.",
"교합조정은 임상적부착수준을 개선한다.",
"방사선영상에서 치주인대폭은 정상이다."
] |
C
|
dentist
|
11번 염색체에 위치한 cathepsin C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상염색체 열성장애로, 과각화증과 파괴적 치주질환이 특징인 증후군은?
|
[
"다운증후군",
"킨들러증후군",
"태아알코올증후군",
"Ehlers-Danlos 증후군",
"Papillon-Lefèvre 증후군"
] |
E
|
dentist
|
치주치료의 예후 결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근관치료한 실활치의 치주적 예후는 생활치와 같다.",
"전반적인 예후는 개별 치아의 예후를 결정한 후에 결정한다.",
"약물성 치은비대에서 치태를 감소시켜도 치은비대 정도를 감소시킬 수 없다.",
"비슷한 치조골소실을 보이는 환자에서 염증이 심한 경우가 염증이 경한 경우보다 예후가 불량하다.",
"교합성외상으로 인한 치아동요는 치조골소실로 인한 치아동요보다 치료가 어렵다."
] |
A
|
dentist
|
기계적 치태조절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칫솔 강모의 옆면을 이용하는 방법은 치태제거 효과가 우수하다.",
"폰스법은 협측과 설측의 치태제거 방법이 다르며, 치간부에서의 치태 제거에 효과적이다.",
"변형스틸만법은 치은변연과 열구 내 0.5 mm 정도까지의 치태 제거에 효과적이다.",
"챠터스법은 치주수술 후 회복 중인 상처 부위를 일시적으로 닦아주는 데 추천된다.",
"세정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치간공극보다 솔 직경이 작은 치간칫솔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
D
|
dentist
|
다음에서 설명하는 항생제는?
amoxicillin-clavulanate potassium과 혼합투여하면 치주염의 치료 시 효과가 있음
와파린의 대사를 억제하여 prothrombin time이 길어지므로 항응고 치료 환자에게는 피해야 함
괴사성 궤양성 치은염을 치료하는 데 성공적으로 사용됨
|
[
"클린다마이신",
"독시사이클린",
"미노사이클린",
"메트로니다졸",
"씨프로플록사신"
] |
D
|
dentist
|
전신질환자의 치주치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prothrombin time이 3.5배 이상이여야 관혈적 치주치료가 가능하다.",
"응고장애가 있는 환자에게 에피네프린이 포함된 국소마취제는 사용하지 않는다.",
"응고장애가 있는 환자에게 헤파린은 경구투여가 가능하므로 외래에서 이용 가능 하다.",
"두경부에 방사선 치료가 필요한 환자의 발치는 방사선 치료 후, 2주 이내에 시행해야 한다.",
"항암치료를 위한 화학요법 전에 구강위생을 좋게 유지하도록 항균 구강세정제의 사용을 추천한다."
] |
E
|
dentist
|
치주조직 노화와 관련하여 감소되는 것은?
|
[
"치은 각화도",
"백악질 두께",
"부착치은 폭경",
"치조골 흡수경향",
"결합조직 세포외기질"
] |
A
|
dentist
|
45세 남자가 "오른쪽 작은 어금니가 먼저 닿는 느낌이 있다."라며 내원하였다. 구내 검사 및 방사선 검사에서 아래와 같은 결과를 었었다.
치아 #44,46,47 치아 동요도 정상
치아 #45 치아 동요도 2도
치조골소실 없음
치은염증 없음
치석 없음
가장 우선해야 할 치료는?
|
[
"발치",
"교합조정",
"치주판막술",
"치은연하소파술",
"임시고정장치 적용"
] |
B
|
dentist
|
그레이시큐렛 사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치주낭 내 삽입 시 작업각도를 45°로 유지한다.",
"치근활택 시 힘있고 짧게 잡아당기는 기구놀림을 시행한다.",
"절단연 적합 시 날의 중간 1/3 부위는 일정하게 치아면과 접촉해야 한다.",
"단단히 부착된 치석제거 시 작업각도를 45°에 가깝게 조절하여야 한다.",
"치간접촉 직하부의 치석제거 시 날이 치간접촉부위를 지나 반대편 치근면까지 도달하도록 한다."
] |
E
|
dentist
|
"갑자기 잇몸 전체가 아파요."라며 내원한 20세 여자에 대한 임상소견은 다음과 같다.
심한 구취
불량한 구강위생
자발적 치은출혈
변연치은에 분화구 형성
치간유두의 괴사성 형태
가장 먼저 할 처치는?
|
[
"마취 후 생검을 시행한다.",
"치은연상 치석제거를 시행한다.",
"치은연하 육아조직제거를 시행한다.",
"치면세마 후 구강위생상태를 평가한다.",
"환자의 병력조사 후 급성 증상을 완화해준다."
] |
E
|
dentist
|
치조골 형태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
[
"골융기는 하악 설측에 빈발한다.",
"상실된 골벽이 3개이면 3벽성 골결손이다.",
"편평골은 정상적인 형태의 치조골로 간주한다.",
"치간부 치조정이 협측과 설측보다 치근측에 위치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이상적인 치조골 두께는 치관에서 치근중앙부를 지나 근첨부로 갈수록 점차 얇아진다."
] |
A
|
dentist
|
21세 여자가 "윗니가 답답해 보인다."라며 내원하였다. Coslet 등(1977)이 분류한 변형된 수동적 맹출의 분류에서 Type I subgroup A로 진단되었다. 적절한 치료방법은?
|
[
"치근피개술",
"치은절제술",
"치조골삭제술",
"측방변위판막술",
"치관변위판막술"
] |
B
|
dentist
|
50대 환자가 "왼쪽 아래 어금니쪽 잇몸이 부었다."라며 내원하였다. 치주탐침검사 시 하악 좌측 제1대구치 이개부에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보였다. 병소의 Hamp 분류는?
치근이개부가 완전히 관통되지 않음
협측이개부의 수평적 파괴가 치아 폭의 1/2까지 진행됨
|
[
"Class I",
"Class II",
"Class III",
"Class IV",
"Class V"
] |
B
|
dentist
|
치주-근관 복합병소의 치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치주치료 완료 후 근관치료를 시행한다.",
"근관병소에 의한 치주조직의 파괴는 비가역적이다.",
"치주감염에 의한 병소가 치수감염보다 클수록 조직 재생의 예후가 더 좋다.",
"근관치료 후 며칠 내에 골조직의 재생이 방사선상에서 관찰된다.",
"근관병소가 누공을 통해 기존의 치주낭과 연결된 경우 병소의 예후가 좋지 않다."
] |
E
|
dentist
|
Subsets and Splits
No community queries yet
The top public SQL queries from the community will appear here once avail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