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put
stringlengths
9
582
choices
listlengths
5
5
expected_output
stringclasses
5 values
category
stringclasses
4 values
33세 여자가 의식이 저하되어 응급실에 실려왔다. 가족의 말에 의하면 2개월 전부터 피로를 쉽게 느끼고 갈증이 심했다고 한다. 체중이 10kg가량 줄었다고 한다. 혈압 90/50 mmHg, 맥박 110회/분, 호흡 20회/분, 체온 37.3°C이다.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진단은? 혈액: 혈색소 14.2 g/dL, 백혈구 12,400/mm^3 알부민 3.9 g/dL 혈액요소질소/크레아티닌 45/2.2 mg/dL Na+/K+/Cl- 144/5.7/100 meq/L 포도당 338 mg/dL, 당화혈색소 11.2% 삼투질농도 310 mOsmol/kg H2O (참고치, 275~295) 동맥혈기체(대기호흡): pH 7.10, PCO2 20 mmHg PO2 87 mmHg, HCO3- 6 mmol/L 소변: 케톤 (4+), 단백질 (2+), 혈액 (-) 적혈구 0~2/고배율시야, 백혈구 0~2/고배율시야 삼투질농도 970 mOsmol/kg H2O (참고치, 500~800)
[ "요독증", "신증후군", "중추요붕증", "당뇨병케토산증", "고혈당고삼투압상태" ]
D
doctor
32세 남자가 2일 전부터 소주잔 반 잔 정도의 선홍색 혈변을 본다고 병원에 왔다. 복용 중인 약물은 없고 대장암 가족력도 없다. 혈압 110/70 mmHg, 맥박 66회/분, 호흡 16회/분, 체온 37.1°C이다. 혈액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검사는? 혈색소 13.2 g/dL, 백혈구 7,200/mm^3, 혈소판 179,000/mm^3
[ "위내시경술", "캡슐내시경술", "복부 초음파검사", "복부 컴퓨터단층촬영", "직장구불결장내시경술" ]
E
doctor
56세 남자가 혈압이 높아서 병원에 왔다. 3년 전부터 고혈압으로 혈압강하제를 복용 중이다. 약제 복용을 빠뜨리지 않았고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고있다. 혈압 154/102 mmHg, 맥박 52회/분, 호흡 16회/분, 체온 36.7°C이다. 가슴청진에서 심음과 호흡음은 정상으로 들린다. 가정혈압과 복용 중인 약제,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치료는? 가정혈압(오른쪽/왼쪽): 아침 148/94 mmHg, 143/98 mmHg 저녁 138/90 mmHg, 145/95 mmHg 복용 약제: 로살탄 100mg 하루 1회 암로디핀 10 mg 하루 1회 혈액: Na+/K+/Cl- 142/5.4/102 meq/L 혈액요소질소/크레아티닌 14/1.2 mg/dL 요산 4.9 mg/dL (참고치, 3.1 ~ 7.0) 중성지방 128 mg/dL HDL 콜레스테롤 47 mg/dL LDL 콜레스테롤 102 mg/dL
[ "로살탄 증량", "암로디핀 증량", "비소프롤롤 추가", "스피로놀락톤 추가", "하이드로클로로싸이아자이드 추가" ]
E
doctor
55세 남자가 3개월 전부터 숨이 차고 그 정도가 점점 심해져 병원에 왔다. 혈압 152/46 mmHg, 맥박 84/분, 호흡 22회/분, 체온 36.2°C이다. 가슴청진에서 복장뼈 왼쪽 가장자리 세 번째 갈비사이공간에서 3/6도의 확장기잡음이 들리고, 앉아서 상체를 앞으로 기울이고 숨을 내쉴 때 더 잘 들린다. 진단은?
[ "승모판역류", "대동맥판역류", "승모판협착증", "심방중격결손", "폐동맥판역류" ]
B
doctor
50세 여자가 2일 전부터 열이 나고 피부에 발진이 생겼다며 병원에 왔다. 소변량이 줄었다고 하였다. 5년 전부터 경구 혈당강하제와 혈압강하제를 복용하고 있다고 한다. 2주 전부터 폐결핵으로 진단받은 후 항결핵제를 복용 중이다. 혈압 140/90 mmHg, 맥박 80회/분, 호흡 19회/분, 체온 37.8°C이다. 복용 중인 약제와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능성이 높은 원인 약제는? 복용 중인 약제: 글리메피라이드 메트포민 로살탄 암로디핀 아이소나이아지드 리팜핀 에탐부톨 피라진아마이드 혈액: 혈색소 14.2 g/dL, 백혈구 10,200/mm^3 혈소판 292,000/mm^3 혈액요소질소/크레아티닌 26/2.5 mg/dL Na+/K+/Cl- 140/4.5/108 meq/L 소변: 잠혈 (1+), 단백질 (2+) 적혈구 10~20/고배율시야 백혈구 10~20/고배율시야, 세균 (-) 삼투질농도 250 mOsmol/kg H2O 나트륨 75 meq/L
[ "리팜핀", "로살탄", "암로디핀", "메트포민", "글리메피라이드" ]
A
doctor
15세 남자가 1개월 전 시행한 건강검진에서 단백뇨가 있다고 했다며 병원에 왔다. 혈압 100/60 mmHg, 맥박 70회/분, 호흡 16회/분, 체온 36.5°C이다. 정강뼈앞 오목부 종은 없다.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검사는? [1개월 전 건강검진] 소변: 잠혈 (-), 단백질 (1+) [오늘] 혈액: 혈액요소질소/크레아티닌 12/0.8mg/dL 공복혈당 85 mg/dL, 총단백질/알부민 7.5/4.2g/dL 소변: 비중 1.025, 잠혈 (-), 단백질 (1+) 적혈구 0~1/고배율시야, 백혈구 0~1/고배율시야
[ "신장생검", "소변 단백질전기영동", "소변 나트륨분획배설률", "복부골반 컴퓨터단층촬영", "단회뇨 단백질/크레아티닌" ]
E
doctor
24세 여자가 쓰러진 채 경련을 하는 상태에서 발견되어 병원에 실려 왔다. 목격자 진술에 의하면 여자 주변에 아스피린 약병이 있었다고 한다. 혈압 90/60 mmHg, 맥박 120회/분, 호흡 28회/분, 체온 37.5°C이다.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치료는? 혈액: 혈색소 11.8g/dL, 백혈구 7,800/mm^3 혈소판 345,000/mm^3 혈액요소질소/크레아티닌 25/1.6 mg/dL 포도당 106 mg/dL, Na+/K+/Cl- 146/5.5/110 meq/L 소변: 잠혈 (-), 단백질 (-) 동맥혈기체(대기호흡): pH 7.15, PaCO2 23 mmHg PaO2 95 mmHg, HCO3- 8 mmol/L
[ "날록손", "아트로핀", "혈액투석", "플루마제닐", "고압산소치료" ]
C
doctor
65세 남자가 3일 전부터 소변색이 붉다고 병원에 왔다. 소변에서 핏덩어리가 보이고 복통이나 옆구리 통증은 없다. 혈압 135/85 mmHg, 맥박 70회/분, 호흡 17회/분, 체온 36.5°C이다.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검사는? 혈액: 혈액요소질소/크레아티닌 18/0.8mg/dL 소변: 잠혈 (3+), 단백질 (1+) 적혈구 다수/고배율시야, 백혈구 0~2/고배율시야 적혈구 원주 (-) 이상형태적혈구: 10%
[ "신장생검", "방광내시경", "소변전기영동", "신장혈관도플러 초음파", "단회뇨 단백질/크레아티닌" ]
B
doctor
55세 여자가 3일 전부터 소변량이 줄었다고 병원에 왔다. 3일 전부터 소변량이 줄다가 1일 전부터는 소변이 거의 나오지 않았다고 한다. 5년 전에 간경화증을 진단받았고 1개월 전부터는 복통과 복수가 생겨 진통제와 이뇨제를 복용 중이다. 혈압 110/70 mmHg, 맥박 70회/분, 호흡 18회/분, 체온 36.5°C이다.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진단은? 혈액: 혈색소 10.5 mg/dL, 백혈구 4,600/mm^3 혈소판 79,000/mm^3 혈액요소질소 60 mg/dL, 크레아티닌 2.5 mg/dL 총단백질/알부민 4.9/2.7 g/dL 총빌리루빈 4.4 mg/dL 아스파트산아미노기전달효소 34 U/L 알라닌아미노기전달효소 25 U/L 크레아틴인산화효소 205 U/L (참고치, 51~294) 젖산탈수소효소 125 U/L (참고치, 115~221) 소변: 비중 1.025, 잠혈 (-), 단백질 (-) 적혈구 0~2/고배율시야, 백혈구 0~2/고배율시야 삼투압농도 550 mOsm/kg H2O 나트륨 9 meq/L
[ "간신증후군", "급성신우신염", "아밀로이드증", "용혈요독증후군", "급성세관사이질신염" ]
A
doctor
53세 여자가 2개월 전부터 손발이 부었다며 병원에 왔다. 20년 전부터 고혈압과 류마티스관절염으로 치료 중이다. 1년 전 신장이 나쁘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한다. 혈압 130/85 mmHg, 맥박 78회/분, 호흡 16회/분, 체온 36.5°C 이다. 정강뼈앞 오목부종이 있다.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진단은? 혈액: 혈색소 9.8 g/dL, 백혈구 6,600/mm^3 혈소판 179,000/mm^3 혈액요소질소/크레아티닌 30/4.0 mg/dL 소변: 잠혈 (-), 단백질 (3+), 적혈구 0~2/고배율시야 신장 초음파: 우측 12.2 cm, 좌측 12.0 cm 수신증 (-)
[ "아밀로이드증", "미세변화신장병", "세관사이질질환", "고혈압신장경화증", "면역글로불린A신장병" ]
A
doctor
60세 남자가 1개월 전부터 식욕이 떨어지다가 10일 전부터는 음식을 전혀 먹지 못해 병원에 왔다. 15년 전부터 당뇨병을 진단받고 경구 혈당강하제를 복용 중이다. 혈압 150/90 mmHg 맥박 65회/분, 호흡 16회/분, 체온 36.5°C이다. 눈 주위에 부종과 정강뼈앞 오목부종이 있다.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진단은? 혈액: 혈색소 8.5 g/dL, 백혈구 8,600/mm^3 혈소판 290,000/mm^3 혈액요소질소/크레아티닌 60/6.8mg/dL Na+/K+/Cl- 140/5.2/108 meq/L 포도당 220 mg/dL 소변: 잠혈 (-), 단백질 (3+) 동맥혈기체(대기호흡): pH 7.28, PaCO2 28 mmHg PaO2 92 mmHg, HCO3- 13 mmol/L
[ "젖산혈증", "말기신장병", "4형 신세관산증", "당뇨병케톤산증", "원위 신세관산증" ]
B
doctor
25세 여자가 1개월 전 시행한 건강검진에서 혈뇨가 있다고 했다며 병원에 왔다. 평소 소변 색깔은 정상이고 옆구리 통증은 없다. 비흡연자이다. 혈압 125/70 mmHg, 맥박 70회/분, 호흡 15회/분, 체온 36.5°C이다.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검사는? [1개월 전 건강검진] 소변: 잠혈 (1+), 단백질 (-) [오늘] 혈액: 혈액요소질소/크레아티닌 18/0.8mg/dL 소변: 잠혈 (1+), 단백질 (-) 적혈구 6~10/고배율시야, 백혈구 0~2/고배율시야 적혈구 원주 (-) 이상형태적혈구 10%
[ "신장생검", "방광내시경", "정맥신우조영사진", "2개월 후 소변검사", "복부골반 컴퓨터단층촬영" ]
D
doctor
21세 남자가 1년 전부터 몸이 붓는다고 병원에 왔다. 2개월에 한 번 정도로 얼굴과 손발이 주로 부으며, 부은 부위는 가렵지 않고 아픈 것 같다고 한다. 3일 정도 지나면 부기가 저절로 빠진다고 한다. 숨이 차기도 하고 우하복부 통증이 같이 생긴 적이 한두 번 있었다. 어머니도 비슷한 증상이 있다고 한다. 혈액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진단은? C3 120 mg/dL (참고치, 83~177) C4 5 mg/dL (참고치, 16~47)
[ "특발혈관부종", "유전혈관부종", "급성중증과민증", "약물유발혈관부종", "지연압박두드러기" ]
B
doctor
66세 남자가 2개월 전부터 숨이 차고 기침이 심하여 병원에 왔다. 증상은 밤이나 새벽에 심해진다고 한다. 혈압 110/80 mmHg, 맥박 90회/분, 호흡 21회/분, 체온 36.7°C이다. 가슴 청진에서 숨을 내쉴 때 양쪽에서 쌕쌕거리는 소리가 들린다. 가슴 X선 사진은 정상이다. 폐기능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진단을 위한 검사는? 강제폐활량: 2.9L (예측치의 70%) 1초간 강제날숨량: 1.9L (예측치의 60%) 1초간 강제날숨량/강제폐활량: 66.2%
[ "유도가래검사", "분획날숨산화질소", "피부바늘따끔검사", "기관지확장제반응검사", "메타콜린기관지유발검사" ]
D
doctor
65세 여자가 수개월 전부터 쉽게 멍이 든다며 병원에 왔다. 부딪힌 기억이 없는데 팔, 무릎, 다리 등에 멍이 생기고, 2~3주씩 지속된다고 한다. 혈압 120/80 mmHg, 맥박 85회/분, 호흡 16회/분, 체온 37.0°C이다. 결막은 창백하고, 공막에 황달은 없다. 입안에 출혈 반점이 보인다. 혈액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음 검사는? 혈색소 8.5 g/dL 백혈구 1,500/mm^3 (호중구 20%, 림프구 65%) 혈소판 16,000/mm^3 그물적혈구 1.0% 평균적혈구용적 85 fL (참고치, 80 ~ 94) 총단백질 7.2 g/dL, 알부민 4.0 g/dL 총빌리루빈 1.2 mg/dL 프로트롬빈시간 13초 (참고치, 12.7~15.4) 젖산탈수소효소 180 U/L (참고치, 115~221)
[ "출혈시간", "쿰즈검사", "골수흡인생검", "삼투취약성검사", "복부 컴퓨터단층촬영" ]
C
doctor
24세 남자가 2일 전부터 목에서 덩이가 만져진다고 병원에 왔다. 1주 전 급성인두염으로 진단받고 비스테로이드소염제를 복용했다고 한다. 혈압 125/80 mmHg, 맥박 85회/분, 호흡 19회/분, 체온 36.6°C이다. 양쪽 목빗근 뒤쪽에서 최대 1cm 크기의 부드럽고 잘 움직이는 덩이가 여러 개 만져진다. 덩이를 누르면 아프다고 한다. 가슴청진에서 심음과 호흡음은 정상이다. 혈액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진단은? 혈색소 14.2 g/dL, 백혈구 7,500/mm^3, 혈소판 273,000/mm^3
[ "림프종", "지방종", "혈관종", "반응림프절염", "아가미틈새낭" ]
D
doctor
30세 산과력 0-0-2-0인 여자가 2주일 전부터 질출혈이 있어서 병원에 왔다. 마지막 월경 시작일은 8주 전이고 아랫배 통증은 없다. 골반초음파검사에서 자궁은 임신 12주 크기이고, 자궁 내 벌집 모양의 낭성 구조물이 보인다. 양쪽 난소에 각각 5cm, 6cm 크기의 다방 난소낭종이 보인다. 흡입긁어냄 후 조직 검사 결과는 완전포상기태이다. 난소낭종에 대한 처치는?
[ "추적 초음파검사", "난소낭종흡인", "난소낭종절제", "난관난소절제", "진단복강경술" ]
A
doctor
18세 여자가 초경이 없다며 병원에 왔다. 키 174cm, 체중 59kg 이다. 목소리는 성인 여자처럼 들린다. 유방 발달은 태너기 IV, 음모발달은 태너기 I이다. 골반초음파검사에서 자궁이 보이지 않는다. 진단은?
[ "가로질중격", "칼만중후군", "뮐러관무발생", "안드로젠무감각증후군", "시상하부뇌하수체기능부전" ]
D
doctor
임신 39주인 37세의 다분만부가 아랫배가 아파서 병원에 왔다. 입원 후 6시간 만에 3.1kg 여아를 질분만하였다. 태반이 만출된 후 출혈이 지속된다. 혈압 70/40mmHg, 맥박 122회/분, 호흡 30회/분, 체온 36.9°C이다. 신체진찰에서 자궁바닥이 배에서 만져지지 않고, 질 안에 선홍새의 덩이가 보인다. 진단은?
[ "자궁파열", "자궁이완증", "자궁뒤집힘", "외음부혈종", "태반조기박리" ]
C
doctor
생후 3일 된 남아가 1일 전부터 열이 나서 병원에 왔다. 임신나이 37주, 출생체중 3,200g, 제왕절개로 태어났다. 출생 24시간 전 양막파수가 있었다. 혈압 40/25 mmHg, 심박 180회/분, 호흡 55회/분, 체온 38°C이다. 아파 보이고 처져 있다.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원인 균은? 혈액: 혈색소 10.5 g/dL 백혈구 32,000/mm^3 (띠중성구 30%, 분엽핵중성구 50%) 혈소판 95,000/mm^3 C반응단백질 145 mg/L (참고치, <10) 포도당 75 mg/dL 소변: 백혈구 0~1/고배율시야, 적혈구 0~1/고배율시야 뇌척수액검사: 백혈구 600/mm^3 (중성구 80%) 포도당 20 mg/dL, 단백질 280 mg/dL 그람염색: 그람 양성균 (+)
[ "폐렴알균", "B군사슬알균", "고름사슬알균", "표피포도알균", "황색포도알균" ]
B
doctor
10개월 남아가 1일 전 예방접종 후에 접종 부위가 부어올라 덩이처럼 만져진다고 병원에 왔다. 생후 2개월에 담도폐쇄증 으로 카사이수술을 받았다고 한다. 혈액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원인은? 혈색소 10.5 g/dL, 백혈구 7,500/mm^3 혈소판 230,000/mm^3, 적혈구용적률 33%, 그물적혈구 1% 총/직접 빌리루빈 6.0/4.2 mg/dL 감마글루타밀전달효소 230 U/L (참고치, 12~123) 아스파트산아미노기전달효소 150 U/L (참고치, 20~ 60) 알라닌아미노기전달효소 130 U/L (참고치, 5~45) 출혈시간 2분 30초, 프로트롬빈시간 25.5초 (참고치, 12.7~15.4) 활성화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 55초 (참고치, 26.3~39.4)
[ "급성신부전", "간신증후군", "비타민K 결핍", "파종혈관내응고", "혈전혈소판감소자반병" ]
C
doctor
13개월 남아가 1주일 전부터 얼굴이 창백해보인다며 병원에 왔다. 임신나이 24주, 출생체중 700g, 제왕절개로 태어났다. 생후 2주경 괴사소장대장염으로 수술을 받은 후 짧은장증후군으로 진단되었다. 키 72cm (3백분위수), 체중 8kg (3백분위수) 이다. 혈액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결핍이 의심되는 영양소는? 혈색소 8.0 g/dL, 백혈구 12,800/mm^3, 혈소판 260,000/mm^3 적혈구크기분포폭 17% (참고치, 10~15) 평균적혈구용적 110 fL 아스파트산아미노기전달효소 29 U/L 알라닌아미노기전달효소 44 U/L
[ "철", "구리", "아연", "코발라민", "피리독신" ]
D
doctor
8세 여아가 1일 전부터 설사에 피가 섞여 있다며 병원에 왔다. 평소 건강하던 환아는 2일 전부터 오한과 열이 나면서 구토를 하고 아랫배가 아프다고 한다. 혈액과 점액이 섞인 물 같은 설사를 한다. 키 125.3cm (25~50백분위수), 체중 28.2kg (50~75백분위수)이다. 체온은 38.2°C이다. 복부 진찰에서 배꼽 주위와 오른쪽 아랫배에 압통은 있으나 반동압통은 없다.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원인 병원체는? 혈액: 백혈구 20,400/mm^3 (띠중성구 8%, 분엽핵중성구 72%) C반응단백질 78 mg/L (참고치, <10) 대변: 백혈구 양성, 잠혈 양성
[ "로타바이러스(rotavirus)", "콜레라(Vibrio cholerae)", "장편모충(Giardia intestinalis)", "살모넬라(Salmonella Enteritidis)", "엔테로코쿠스페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
D
doctor
18개월 남아가 1일 전부터 토하고 잘 먹지 않고 처진다며 병원에 왔다. 1주일 전부터 기침과 콧물로 감기약을 복용하던 중 1일 전부터 열이 나며 구토를 했다고 한다. 구토는 비담즙성이고 식사 후 반복되어 하루에 7~8회 하였다. 오늘은 물 같은 설사를 2회 하였고, 복통과 구토는 지속된다. 잘 놀지 않고 입안은 말라 있다. 복부 진찰에서 배는 불러 보이고 장음은 감소되어 있다. 배에서 만져지는 덩이는 없고 압통과 반동압통도 없다.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진단은? 혈액: 혈색소 10.8 g/dL 백혈구 13,300/mm^3 (중성구 32%, 림프구 62%, 호산구 3%) C반응단백질 12 mg/L (참고치, <10) Na+/K+/Cl- 128/4.0/92 meq/L 녹말분해효소 40 U/L, 지방분해효소 25 U/L 대변: 백혈구 없음, 잠혈 없음
[ "장중첩증", "급성췌장염", "거짓막대장염", "노로바이러스장염", "캄필로박터제주니소장대장염" ]
D
doctor
8개월 남아가 7일 전부터 열이 나서 병원에 왔다. 집에서 잰 체온은 38.5°C 이상이었고, 3일 전부터 안구충혈이 나타났다. 심박 110회/분, 호흡 30회/분, 체온 39°C이다. 입술은 붉고 갈라졌으며, 손발이 붓고 다리를 잘 움직이려 하지 않는다. 비시지 접종 부위에서 붉게 융기된 경결이 관찰된다.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진단은? 혈액: 혈색소 10.5 g/dL, 백혈구 18,500/mm^3 혈소판 450,000/mm^3 적혈구침강속도 80mm/시간(참고치, <10) C반응단백질 165 mg/L (참고치, <10) 항핵항체 음성 항사슬알균용혈소O 80 Todd 단위 (참고치, 120~160) 소변: 포도당 (-), 단백질 (-), 적혈구 0~1/고배율시야 백혈구 30~40/고배율시야
[ "성홍열", "가와사키병", "소아기특발관절염", "비시지접종의 이상반응", "요로성패혈증(urosepsis)" ]
B
doctor
59세 남자가 2주 전부터 과도하게 흥분하고 공격적인 모습을 보여 병원에 왔다. 잠을 못자고, 가족들이 자신을 죽이기 위해 음식에 약을 섞었다고 하면서 식사를 거부하고, 가족들에게 공격적인 모습을 보였다. 6개월 전부터 물건을 잡으면 힘이 없어 떨어뜨리거나 손이 떨리기 시작했고, 최근에는 행동이 점점 더 느려지고 걸을 때 앞으로 넘어질 듯이 종종걸음을 걷는다고 한다. 치료는?
[ "퀘티아핀", "리스페리돈", "팔리페리돈", "페르페나진", "아미설프라이드" ]
A
doctor
37세 여자가 6개월 전부터 거의 매일 사소한 일에도 과도하게 예민해진다며 병원에 왔다. 20대부터 걱정이 많았고 2년 전부터 심해져서 일상업무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 일하는 동안에 아들이 사고를 당하면 어떻게 하나 염려가 되어, 수시로 어린이집에 연락을 해서 직장업무에 집중하지 못했다. 퇴근 후 집에 돌아와서는 오히려 직장업무에 대한 걱정이 심해서 잠들지 못했다. 비약물 치료는?
[ "인지왜곡의 교정", "신경인지결손의 회복", "정신적 외상의 재처리", "공포유발자극의 둔감화", "혐오자극과 문제행동의 짝 지음" ]
A
doctor
25세 남자가 3주 전부터 발음이 어둔해지고 눈이 치켜 올라간다며 병원에 왔다. 1년 전부터 국가정보원이 자신을 도청한다면서 집 밖으로 나가지 않아, 1개월 전에 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할로페리돌을 복용 중이다. 최근에는 외출할 정도로 호전 되었으나, 눈동자가 자신도 모르게 자꾸 올라가고, 발음이 어둔해져 일상생활을 하는데 불편하다고 한다. 키 165cm, 체중 140kg이다. 대체 약물은?
[ "올란자핀", "퀘티아핀", "리스페리돈", "지프라시돈", "팔리페리돈" ]
D
doctor
43세 남자가 술을 끊고 싶다며 병원에 왔다. 20년 전부터 거의 매일 소주 1병을 마셨고, 1개월 전에 금주했다. 술을 마셨을 때 명랑해지고 쾌감을 크게 느꼈던 경험이 떠올라서 금주를 하고는 있지만 술을 다시 마시고 싶은 갈망을 느낀다고 한다. 혈액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치료는? 혈액요소질소 40 mg/dL, 크레아티닌 4.0 mg/dL 크레아티닌청소율 18 mL/분 아스파트산아미노기전달효소 35 U/L 알라닌아미노기전달효소 31 U/L 알칼리성인산염분해효소 67 U/L
[ "티아민", "날트렉손", "발프로산", "팔리페리돈", "아캄프로세이트" ]
B
doctor
22세 여자가 1개월 전부터 너무 힘들어 죽고 싶은 생각이 든다며 병원에 왔다. 평소 낯선 곳에 가는 것을 두려워하고 사람들이 모인 자리에서 자신의 의견에 대해 약간이라도 부정적인 평가를 받게 되면 쉽게 상처를 받는 경우가 많았다. 동창 모임에 나가고 싶어도 동창들이 자신을 좋아하지 않는 것 같아 포기했다. 친한 친구 한 명을 빼고는 혼자 지내는 경우가 많았다. 늘 우울하고 못난 자신을 생각하며 한심하게 여겼다. 1년 전에 죽으려고 과도로 손목을 그었다가 입원치료를 받았고 5개월 전에 자의로 치료를 중단하였다. 진단은?
[ "강박성성격장애", "경계성성격장애", "조현성성격장애", "회피성성격장애", "자기애성성격장애" ]
D
doctor
56세 남자가 2일 전부터 엉뚱한 말을 한다며 보호자와 함께 병원에 왔다. 5년 전부터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혈증을 치료중이다. 혈압 150/90 mmHg, 맥박 76회/분, 호흡 15회/분, 체온 36.5°C이다. 신경학적 진찰에서 의식은 명료하고 말은 유창하게 하나, 다른 사람의 말을 알아듣지 못하고 질문에 맞지 않는 엉뚱한 대답을 한다. 오른쪽 팔다리에 경미한 근력저하(MRC척도 4/5)가 있다. 병터는?
[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후두엽", "시상하부" ]
B
doctor
31세 여자가 6년 전부터 자주 발생하는 두통으로 병원에 왔다. 오른쪽 옆머리에 욱신욱신 쑤시는 통증이 한 달에 4~5회 정도 발생한다고 한다. 한 달에 2~3일 정도는 일상생활을 하지 못하고 누워만 있을 정도로 심하다. 구역과 구토가 동반되고 햇빛과 시끄러운 소리에 악화된다. 두통 예방치료는?
[ "아스피린", "어고타민", "수마트립탄", "프로프라놀롤", "아세트아미노펜" ]
D
doctor
18세 여자가 3년 전부터 자주 놀라고 멍해진다며 보호자와 함께 병원에 왔다. 주로 잠이 부족한 다음 날 아침에 갑자기 양팔이 순간적으로 움찔거리며 들고 있던 스마트폰을 놓기도 한다. 수 초간 잠시 멍한 표정을 짓고 그때 일어난 일을 기억하지 못한다. 신경학적 진찰에서 의식은 명료하고 근력과 감각은 정상이다. 진단은?
[ "기면병", "전환장애", "소발작뇌전증", "일과성전체기억상실", "청소년근간대뇌전증" ]
E
doctor
62세 남자가 30분 전부터 오른족 팔다리가 마비되어 병원에 왔다. 3년 전부터 고혈압과 심방세동을 치료 중이다. 혈압 140/90 mmHg, 맥박 104회/분, 호흡 18회/분, 체온 36.5°C이다. 신경학적 진찰에서는 의식은 명료하고 지시하는 말은 알아듣지만 스스로 말하지는 못한다. 오른쪽 근력저하(MRC척도 2/5)가 있다. 뇌 컴퓨터단층촬영에서 뇌출혈은 보이지 않는다. 치료는?
[ "뇌실외배액", "두개외내우회술", "정맥내혈전용해술", "뇌동맥내코일색전술", "속목동맥스텐트삽입술" ]
C
doctor
생후 3일 된 남아의 피부가 노랗게 보인다며 병원에 왔다. 임신나이 39주, 출생체중 3,300 g, 질분만으로 태어났다. 출생 시 특이 문제는 없었다. 모유는 하루 10회 정도 먹고, 소변은 하루 10~12회 본다. 체중은 3,250g이다. 활발하게 잘 움직인다.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치료는? 혈색소 12.0 g/dL, 백혈구 13,800/mm^3, 혈소판 370,000/mm^3 그물적혈구 8%, 직접 쿰즈검사 양성 아스파트산아미노기전달효소 39 U/L (참고치, 22~71) 알라닌아미노기전달효소 20 U/L (참고치, 8~32) 총빌리루빈/직접빌리루빈 17.0/1.0 mg/dL 총단백질/알부민 5.0/3.5g/dL C반응단백질 3.5 mg/L (참고치, <10) 혈액형: 어머니 O, Rh (+) / 아기 A, Rh (+)
[ "광선요법", "교환수혈", "분유수유", "포도당액 경구투여", "페노바비탈 경구투여" ]
A
doctor
알레르기성 천식이나 기생충 감염이 있을 때 특징적으로 증가하는 항체는?
[ "IgA", "IgD", "IgE", "IgG", "IgM" ]
C
nurse
반코마이신내성장알균(VRE) 양성 환자가 발생했을 때 적절한 감염관리지침은?
[ "음압실 격리", "양압실 격리", "N95 마스크 착용", "가운과 장갑 착용", "모자와 고글 착용" ]
D
nurse
경골(tibia) 의 개방성 골절로 다량의 출혈이 있는 환자에게 우선적인 응급처치는?
[ "석고붕대 적용", "대퇴동맥의 맥박 확인", "양팔을 부축하여 이동", "골절된 뼈의 선열 재배치", "골절부위 상부의 압박 지혈" ]
E
nurse
3층 높이에서 떨어져 응급실에 온 환자에게 출혈로 인한 쇼크가 예상되는 사정결과는?
[ "소양증", "혀의 부종", "맥박수 증가", "소변량 증가", "중심정맥압 증가" ]
C
nurse
뜨거운 물로 양쪽 손등에 화상을 입어 피부에 발적이 보이고 통증을 호소할 때 우선적인 간호중재는?
[ "표피 제거", "붕대 적용", "냉습포 적용", "알코올 소독", "정맥 수액 공급" ]
C
nurse
고관절전치환술을 받고 절대안정 중인 환자에게 ‘비효과적 말초조직 관류의 위험’이라는 간호진단을 내렸을 때 간호중재는?
[ "하지운동을 제한한다.", "무릎 밑에 높은 베개를 받쳐준다.", "항혈전스타킹을 적용한다.", "드레싱을 자주 교환한다.", "예방적 항생제를 투여한다." ]
C
nurse
교통사고로 다발성 손상을 입은 환자의 의식이 혼미(stupor) 일 때 초기 사정 순서는?
[ "기도 → 호흡 → 순환", "출혈 → 통증 → 기도", "순환 → 호흡 → 기도", "호흡 → 통증 → 출혈", "통증 → 기도 → 호흡" ]
A
nurse
전신마취하에서 복부수술을 받은 지 2일이 지난 환자가 복부불편감을 호소하고 복부팽만이 관찰되었을 때 우선적으로 사정할 것은?
[ "혈당", "장음", "중심정맥압", "대변배양검사", "24시간 소변량" ]
B
nurse
응급실에 온 환자가 의식이 저하되며 통증에만 반응하고 호흡이 불규칙할 때 우선적인 중재가 필요한 간호진단은?
[ "운동장애", "급성 통증", "자기돌봄결핍", "의사소통장애", "비효과적 호흡양상" ]
E
nurse
호스피스 간호에서 설명하는 죽음의 의미는?
[ "언급하지 않아야 할 개념이다.", "삶에 대한 희망을 포기하는 것이다.", "종교를 통해서만 수용이 가능한 것이다.", "삶의 자연스러운 과정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환자의 의사에 따라 여생을 단축시키는 것이다." ]
D
nurse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말기암 환자가 병실에서 불안해 하며 혼자 울고 있을 때 간호중재는?
[ "수면제를 투여한다.", "회복될 것이라고 위로한다.", "손을 잡고 환자 옆에 있어준다.", "감정표현을 자제하도록 조언한다.", "시간이 지나면 기분이 좋아질 것이라고 말한다." ]
C
nurse
진행성 식도암 환자에게 확인할 수 있는 특징적인 사정자료는?
[ "구강 건조", "연하곤란", "체중 증가", "미각 상실", "시력 저하" ]
B
nurse
속쓰림을 호소하는 환자의 사정결과 위궤양으로 의심되는 주관적 정보는?
[ "“커피를 마시면 통증이 사라져요.”", "“제산제를 먹으면 통증이 심해져요.”", "“식사를 많이 해야 통증이 가라앉아요.”", "“식사 직후 30분 운동하면 통증이 사라져요.”", "“식사 후 1시간 정도 지나면 통증이 나타나요.”" ]
E
nurse
소장 폐색 환자에게 확인할 수 있는 사정결과는?
[ "황달", "식욕 증가", "심한 복통", "고칼륨혈증", "타액분비 증가" ]
C
nurse
식도하부괄약근이 이완되어 식후 속쓰림과 역류, 연하통, 쉰목소리, 가슴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필요한 검사는?
[ "심장초음파", "폐기능검사", "뇌혈관조영술", "바륨연하검사", "S상결장경검사" ]
D
nurse
부분적 위절제술 후 2시간이 지난 환자의 사정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우선적인 간호중재는?• 창백한 피부, 복부팽만• 혈압 80/50 mmHg, 맥박 130회/분• 혈청크레아티닌 1.0 mg/dL, 소변량 20 mL/시간
[ "복위를 취해준다.", "방광세척을 시행한다.", "정맥 내 수액을 투여한다.",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다.", "덤핑증후군의 증상을 확인한다." ]
C
nurse
담낭조영술이 예정된 환자에게 요오드계 조영제 투여 전 알레르기 유무를 확인하여야 할 음식은?
[ "달걀", "미역", "카레", "시금치", "소고기" ]
B
nurse
간경화증 환자에게 간성뇌병증이 의심되는 특징적인 사정결과는?
[ "고혈당", "장관출혈", "잦은 설사", "소변량 증가", "자세고정불능" ]
E
nurse
B형간염 항체가 음성인 간호사가 B형간염 환자의 주사침에 찔렸을 때 감염관리실에 보고한 후 적절한 조치는?
[ "2주간 침상안정", "스테로이드 투여", "정맥 수액 공급", "항바이러스제 주사", "면역글로불린 주사" ]
E
nurse
다음은 의식을 잃고 쓰러져 응급실에 온 당뇨병 환자의 사정결과이다. 어떤 상태를 의미하는가?• 빠르고 거친 호흡, 호흡 시 아세톤 냄새, 빈맥, 건조한 피부• 혈당: 600 mg/dL, • 동맥혈가스분석: pH 7.28, PaO2 90 mmHg, PaCO2 40 mmHg, HCO3- 13 mEq/L
[ "케톤산증", "간성뇌병증", "호흡성 산증", "대사성 알칼리증", "고삼투압성 고혈당성 증후군" ]
A
nurse
장게실염 환자에게 확인할 수 있는 특징적인 사정결과는?
[ "기침", "연하곤란", "가슴앓이", "잦은 트림", "좌하복부 통증" ]
E
nurse
항문직장농양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가 수술 부위 통증으로배변을 어려워할 때 간호중재는?
[ "금식하도록 한다.", "정체 관장을 한다.", "반좌위를 취하게 한다.", "따뜻한 물로 좌욕을 하게 한다.", "변기에 오래 앉아 있도록 한다." ]
D
nurse
전체대장절제술(total proctocolectomy) 로 영구적 회장루가 있는 환자의 피부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간호중재는?
[ "장루에 물이 닿지 않도록 한다.", "장루 주머니는 12시간마다 교환한다.", "콩류, 양배추, 생과일 섭취를 권장한다.", "장루 주위의 피부를 소독제로 매일 소독한다.", "주머니 부착 전 장루 주위 피부에 피부보호제를 적용한다." ]
E
nurse
이뇨제를 투여하는 환자의 혈청칼륨치가 5.8 mEq/L 로 나타났다. 이 상태를 일으킨 것으로 의심되는 약물은?
[ "만니톨(mannitol)", "메톨라존(metolazone)", "토르세미드(torsemide)", "스피로놀락톤(spironolactone)", "하이드로클로로티아지드(hydrochlorothiazide)" ]
D
nurse
푸로세미드(furosemide) 를 장기간 투여할 때 나타나는 전해질불균형은?
[ "저칼륨혈증", "저인산혈증", "고칼슘혈증", "고나트륨혈증", "고마그네슘혈증" ]
A
nurse
우심부전 환자에게 ‘체액과다’라는 간호진단을 내릴 때 특징적인 사정결과는?
[ "수포음", "농축뇨", "경정맥 팽대", "구강점막 건조", "중심정맥압 저하" ]
C
nurse
만성 사구체신염 환자에게 예상되는 검사결과는?
[ "단백뇨", "요비중 증가", "고알부민혈증", "헤모글로빈 증가", "대사성 알칼리증" ]
A
nurse
방광경검사를 받은 환자의 진술 중 우선적인 간호중재가 필요한 것은?
[ "“소변을 자꾸 보고 싶어요.”", "“소변에 핏덩이가 보여요.”", "“소변이 시원하게 안 나와요.”", "“기침할 때 소변이 찔끔 나와요.”", "“소변볼 때 따가운 느낌이 있어요.”" ]
B
nurse
경요도 전립선절제술 후 방광세척을 받고 있는 환자에게 제공할 간호중재는?
[ "멸균증류수로 세척한다.", "방광팽만 시 유치도뇨관을 잠근다.", "방광경련 시 유치도뇨관을 재삽입한다.", "맑은 소변이 나오면 2~3일 후 유치도뇨관을 제거한다.", "세척액을 주입 시 저항이 있으면 압력을 주어 주입한다." ]
D
nurse
급성 통풍 환자에게 투여된 콜히친(colchicine) 의 부작용은?
[ "복시", "설사", "현기증", "구강 건조", "치은 출혈" ]
B
nurse
무릎 통증을 호소하는 운동선수가 라크만 검사(Lachman test) 에서 양성 반응을 보였다면 어느 부위의 손상을 의심할 수 있는가?
[ "슬개골", "내측 반월판", "외측 반월판", "전방 십자인대", "후방 십자인대" ]
D
nurse
어깨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의 신체사정을 하였다. 다음 중양성 반응이 나타났을 때 회전근개 손상이 의심되는 검사는?
[ "티넬 징후(Tinel’s sign)", "전위 징후(drawer sign)", "팔렌 징후(Phalen’s sign)", "상지하수 검사(drop arm test)", "맥머레이 검사(McMurray test)" ]
D
nurse
석고붕대를 한 환자에게 비골신경 압박으로 나타날 수 있는 합병증은?
[ "족하수(footdrop)", "관절강직(ankylosis)", "수근하수(wristdrop)", "관절 탈구(joint dislocation)", "볼크만 허혈구축(Volkman’s ischemic contracture)" ]
A
nurse
골관절염 환자에게 관절 보호를 위한 교육이 필요한 행동은?
[ "행주를 비틀어서 짠다.", "산책할 때 지팡이를 사용한다.", "등받이가 있는 높은 의자에 앉는다.", "물건을 잡을 때 가까이에서 잡는다.", "양손으로 의자의 팔걸이를 잡고 일어난다." ]
A
nurse
장하지 석고붕대를 적용한 다음 날 석고붕대 부위에 심한 통증을 호소할 때 우선적인 간호중재는?
[ "다리를 올려준다.", "발 마사지를 실시한다.",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다.", "장딴지 등척성 운동을 실시한다.", "발의 감각과 운동기능을 사정한다." ]
E
nurse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을 받은 환자의 운동 교육 후 추가 교육이 필요한 환자의 반응은?
[ "“운동하기 전 니트로글리세린을 준비해야겠어요.”", "“숨이 차지 않는 편안한 강도의 운동부터 시작해야겠어요.”", "“근력강화운동이나 긴장을 초래하는 운동은 피해야겠어요.”", "“맥박이 분당 120회를 넘으면 운동을 중단해야겠어요.”", "“퇴원 후 2개월까지는 안정하며 야외활동을 제한해야겠어요.”" ]
E
nurse
영구적 심장박동조율기가 삽입된 환자를 위한 교육 내용으로옳은 것은?
[ "삽입 직후 아스피린을 복용한다.", "전자레인지를 사용하지 않는다.", "어지러움이 나타나면 전기기구 근처로 이동한다.", "삽입 직후 시술 부위 쪽 팔의 관절가동범위 운동을 시작한다.", "삽입 후 일주일 동안 시술 부위의 감염과 출혈을 관찰한다." ]
E
nurse
대동맥판막기능부전(aortic insufficiency) 환자의 특징적인 사정 결과는?
[ "호흡곤란", "안면홍조", "체중 감소", "체온 상승", "맥압 감소" ]
A
nurse
류마티스심장염 환자의 과거력 중 원인 질환으로 의심할 수 있는 것은?
[ "부비동염", "인플루엔자", "세균성 인후염", "바이러스성 비염", "바이러스성 인두염" ]
C
nurse
심부전 환자에게 질산염(nitrate) 투여 후 나타날 수 있는 사정결과는?
[ "체온 상승", "혈압 감소", "맥박수 감소", "호흡수 감소", "소변량 증가" ]
B
nurse
다음과 같은 심전도를 보이는 부정맥은?
[ "심방조동(atrial flutter)",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심실조동(ventricular flutter)", "각차단(bundle branch block)",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 ]
B
nurse
다음 심전도를 보이는 환자의 혈압이 80/40 mmHg 이고 맥박이 촉지될 때 우선적인 중재는?
[ "제세동", "심장율동전환", "경동맥동 마사지", "발살바수기 실시", "심장박동조율기 삽입" ]
B
nurse
급성심부전 환자를 위한 간호중재는?
[ "산소를 공급한다.", "신체활동을 격려한다.", "수분 섭취를 권장한다.", "염분 섭취를 권장한다.", "고칼로리 음식을 제공한다." ]
A
nurse
급성심근경색증을 확인하기 위한 혈액 검사는?
[ "C- 반응단백(CRP)", "트로포닌(troponin)", "중성지방(triglyceride)", "크레아티닌(creatinine)", "뇌나트륨이뇨펩티드(BNP)" ]
B
nurse
쥐어짜는 듯한 흉통으로 응급실에 온 환자의 심전도에서 ST분절 상승이 확인되었을 때 간호중재로 옳은 것은?
[ "제세동을 한다.", "앙와위를 취해준다.", "와파린을 투여한다.", "소변량을 측정한다.", "니트로글리세린을 투여한다." ]
E
nurse
관상동맥질환 환자에게 조직플라스미노겐활성제(t-PA) 를 투여하는 일차적인 목적은?
[ "혈전 용해", "부정맥 예방", "혈소판응집 억제", "심근수축력 증가", "이차적 동맥경련 예방" ]
A
nurse
하지 말초동맥의 폐쇄성 순환장애가 의심되는 사정결과는?
[ "무릎관절의 종창", "허벅지의 둔한 통증", "족배동맥의 강한 맥박", "운동으로 유발되는 다리 통증", "다리를 침대 아래로 내리면 심해지는 통증" ]
D
nurse
하지정맥류 환자의 교육 후 반응 중 재발 위험이 높은 것은?
[ "“주로 앉아서 근무하겠습니다.”", "“규칙적으로 걷기 운동을 하겠습니다.”", "“다리에 궤양이 생겼는지 확인하겠습니다.”", "“아침에 일어나면 압박스타킹을 신겠습니다.”", "“다리가 부으면 누워서 다리를 올리겠습니다.”" ]
A
nurse
위전절제술을 받은 환자에게서 악성빈혈을 의심할 수 있는특징적인 사정자료는?
[ "붉고 매끄러운 혀", "숟가락 모양의 손톱", "공막과 피부의 황달", "손과 발이 쑤시고 저림", "머리카락과 손톱이 잘 부서짐" ]
D
nurse
간질환으로 저프로트롬빈혈증이 발생한 환자에게 투여해야 하는 것은?
[ "백혈구", "알부민", "헤파린", "농축적혈구", "신선동결혈장" ]
E
nurse
천식환자에게 퇴원교육을 실시한 후 추가 교육이 필요한 반응은?
[ "“독감예방주사는 피합니다.”", "“스트레스를 관리하도록 합니다.”", "“찬 공기를 피해 운동을 합니다.”", "“대기 오염이 심한 경우 외출을 하지 않습니다.”", "“정량흡입기 약물 흡입 후 10초간 숨을 멈추었다 내쉽니다.”" ]
A
nurse
만성기관지염 환자의 사정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우선적인 간호중재는?• 기침, 호흡곤란, 청진 시 거품소리(crackle) • 동맥혈가스분석검사: pH 7.32, PaO2 70 mmHg, PaCO2 50 mmHg, HCO3- 25 mEq/L
[ "앙와위를 취해준다.", "수분 섭취를 제한한다.", "침상 밖 활동을 격려한다.", "객담을 배출하도록 격려한다.", "인공호흡기를 적용할 준비를 한다." ]
D
nurse
결핵 환자의 초기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로만 묶인 것은?
[ "리팜핀(rifampin), 피라진아미드(pyrazinamide)", "리팜핀(rifampin), 레보플록사신(levofloxacin)", "이소니아지드(isoniazid), 아미카신(amikacin)", "이소니아지드(isoniazid), 카프레오마이신(capreomycin)", "에탐부톨(ethambutol), 카나마이신(kanamycin)" ]
A
nurse
천식 환자가 호흡 시 쌕쌕거리는 소리가 나고, 분당 30회의 얕은 호흡을 하고 있을 때 우선적인 간호진단은?
[ "호흡곤란과 관련된 불안",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환기저하와 관련된 활동지속성 장애", "비효율적 폐청결에 근거한 감염의 위험", "기관지경련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 양상" ]
E
nurse
만성폐쇄폐질환 환자의 특징적인 폐기능검사 결과는?
[ "잔기량(RV) 감소", "총폐용량(TLC) 감소", "강제폐활량(FVC) 증가", "1초 강제호기량과 강제폐활량의 비율(FEV1 / FVC) 감소", "1초 강제호기량(FEV" ]
D
nurse
와파린을 복용 중인 폐색전증 환자의 혈액검사결과 PT 국제표준화비율(INR) 이 1.4일 때 우선적인 간호중재는?
[ "비타민K를 투여한다.", "출혈 여부를 확인한다.", "와파린 복용 상태를 확인한다.", "처방된 모든 약물 투여를 중단한다.", "프로타민황산염(protamine sulfate) 을 투여한다." ]
C
nurse
만성폐쇄폐질환 환자에게 퇴원교육을 실시한 후 추가교육이필요한 반응은?
[ "“고단백식이를 하겠습니다.”", "“식사 직후 운동을 하겠습니다.”", "“금연 프로그램에 참여하겠습니다.”", "“사람이 많은 곳에 가지 않겠습니다.”", "“호흡할 때 입술을 오므리고 숨을 내쉬겠습니다.”" ]
B
nurse
심부전 환자가 잦은 기침과 호흡곤란, 혈액이 섞인 다량의 객담을 호소하며, 청진 시 폐기저부에서 수포음(rale) 이 들릴 때 간호중재로 옳은 것은?
[ "아트로핀을 투여한다.", "저칼륨식이를 제공한다.", "수액의 공급량을 늘린다.", "호기말양압(PEEP) 을 적용한다.", "하지를 상승하는 체위를 취해준다." ]
D
nurse
자발적인 근육의 움직임이 거의 없고 강한 통증과 자극을 주었을 때만 비정상적인 반응을 보이는 환자의 의식수준은?
[ "각성(alert)", "졸림(drowsy)", "혼미(stupor)", "반혼수(semicoma)", "혼수(coma)" ]
D
nurse
뇌출혈 환자의 두개내압을 조절하기 위한 간호중재는?
[ "만니톨을 투여한다.", "체온을 높게 유지한다.", "발살바수기를 권장한다.", "포도당 수액을 투여한다.", "트렌델렌부르크 자세를 취해준다." ]
A
nurse
뇌혈류 증가로 두개내압 상승을 유발할 수 있는 동맥혈 가스분석 검사 결과는?
[ "pH 상승", "산소분압 상승", "산소포화도 상승", "중탄산나트륨 상승", "이산화탄소분압 상승" ]
E
nurse
요추천자 검사를 받은 환자의 합병증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는?
[ "조기이상을 권장한다.", "수분 공급량을 늘린다.", "검사부위를 마사지한다.", "삼투성 이뇨제를 투여한다.", "세미파울러 자세를 취해준다." ]
B
nurse
안검하수와 근력 약화로 계단을 오를 수 없는 대상자의 중증근무력증을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검사는?
[ "뇌파 검사", "텐실론 검사", "유발전위 검사", "뇌척수액 검사", "하지 직거상 검사" ]
B
nurse
삼차신경통 환자를 위한 간호중재는?
[ "구강 간호를 금지한다.", "저칼로리식이를 제공한다.", "뜨거운 음식을 피하도록 한다.", "실내 온도를 높게 유지한다.", "운동을 피하고 절대 안정을 하게 한다." ]
C
nurse
레보도파를 복용 중인 파킨슨병 환자를 위한 간호중재는?
[ "수분 섭취를 제한한다.", "식후 30분에 투여한다.", "사우나를 권장한다.", "변비가 생기면 복용을 중단한다.", "자세 변경을 서서히 하도록 한다." ]
E
nur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