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
stringlengths 36
36
| title
stringlengths 0
441
| context
stringlengths 200
7.38k
| questions
listlengths 1
2
| type
stringclasses 6
values |
---|---|---|---|---|
0f2df159-fd44-42c4-9f42-01e112dfdafd
|
「2014년 창업지원기업 이력·성과 조사」결과 발표
|
「2014년 창업지원기업 이력·성과 조사」결과 발표
1 주요 내용
중소·대기업에 비해 매출액 성장성 우위
□ 매출액(2009~2013년) : 연평균 6,344억원(기업당 연평균 3.0억원)
① 2009~2013년까지 유망 창업지원기업당 평균 매출액증가율은 8.3%로 중소기업(5.6%)의 1.5배, 대기업(5.0%)의 1.7배로 매출액 성장성에서 우위
② 유망 창업지원기업은 업력이 증가 할수록 매출액이 증가
- 연차별 매출액(기업당 평균매출액) : 1년차 1.2억원, 2년차 2.7억원, 3년차 4.3억원, 4년차 6.6억원, 5년차 10.2억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
- 업력이 증가하면서 매출액이 증가하며, 3년차 이후 급증
중소·대기업 대비 수익성 1.5배 실현
□ 순이익 규모(2009~2013년) : 연평균 90.2억원(기업당 연평균 4.6백만원)
① 2009~2013년까지 유망 창업지원기업 순이익증가율은 271.0%로 중소기업(13.8%), 대기업(-31.6%)보다 순이익이 급격히 증가
② 기술·지식 창업지원기업의 수익성
- 매출액 순이익률 : 기술창업기업의 매출액 순이익률은 3.1%로 대기업과 중소기업에 비해 1.5배 이상 월등히 높음
- 창업 1~2년까지 매출액 순이익률이 (-) 이나, 창업 3년 이후 (+) 전환
|
[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중소기업당 평균 매출액증가율은 몇 퍼센트로 창업지원기업 대비 1.7배였어",
"중소기업, 대기업보다 순이익이 급격히 증가한 유망 창업지원기업의 2014년 순이익증가율은 얼마지"
] |
unanswerable
|
8ca1fb95-e549-4389-a8a0-e40055f69909
|
11월 주택 인·허가 3.3만 호, 착공 4.0만 호, 분양 3.6만 호, 준공 3.6만 호
|
11월 주택 인․허가 3.3만 호, 착공 4.0만 호, 분양 3.6만 호, 준공 3.6만 호
4. 준공 실적 * 전체주택 대상
□ (종합) 11월 주택 준공실적은 전국 35,503호로 전년동월(52,915호) 대비 32.9% 감소하였으며, 11월 누계 준공실적은 수도권은 전년동기 대비 17.3% 감소, 서울은 전년동기 대비 8.6% 증가
□ (지역별) 수도권은 16,937호로 전년 대비 44.1%, 5년평균 대비 23.8% 감소, 지방은 18,566호로 전년 대비 17.9%, 5년평균 대비 20.1% 감소
□ (유형별) 아파트는 25,398호로 전년 대비 34.9%, 5년평균 대비 15.7% 감소, 아파트 외 주택은 10,105호로 전년 대비 27.2%, 5년평균 대비 33.9% 감소
|
[
"수도권 아파트 준공실적은 5년 평균 대비 몇 퍼센트가 감소했지",
"지방은 아파트 외 주택 준공실적이 5년 평균 대비 몇 퍼센트가 감소했을까"
] |
unanswerable
|
40832879-b399-4290-91c7-0782492b3ea5
|
전국 표준단독주택가격 3.81% 상승
|
전국 표준단독주택가격 3.81% 상승
지역별 가격변동률 현황
울산․경남권, 세종 중심으로 전국 평균 이상의 높은 상승률을 보인 반면, 수도권 및 광주․전남권을 비롯한 여타 지역은 대체로 상승폭이 낮았다.
시․도 별로는 울산(8.66%), 세종(8.09%), 경남(5.87%), 경북(5.11%), 부산(4.74%) 등 9개 시․도는 전국 평균(3.81%)보다 상승폭이 높았던 반면, 광주(1.88%), 경기(2.31%), 강원(2.61%), 인천(2.67%), 충남(2.76%) 등 8개 시․도는 전국 평균보다 상승폭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은 우정혁신도시 등의 개발로 인한 주택가격 파급효과 반영, 세종은 정부 이전 관련 개발사업으로 인한 주택 수요의 증가가 주택가격 상승세를 이끌었고, 진주혁신도시 등의 택지개발사업(경남), 대규모 개발사업(경북) 등이 반영되었으며, 서울은 단독주택부지 수요증가 및 건축비 증가에 따른 재조달원가 상승분이 변동률에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
[
"경기 지역은 어떤 요인 때문에 표준단독주택의 가격이 상승했어",
"광주 지역의 표준단독주택 가격 상승폭이 낮았던 이유는 뭐야"
] |
unanswerable
|
386cc658-b0f5-42f8-9ae1-47df239c1771
|
소형·임대주택 공급활성화 위한 주택기금 지원
|
소형 임대주택 공급활성화 위한 주택기금 지원
□ 국토해양부(장관 정종환) 는 「전월세시장 안정방안(2011.1.13)」의 후속 조치로, 단기간내 입주가능한 소형ㆍ임대주택 공급이 활성화되도록 2.10(목)부터 금년 말까지 국민주택기금에서 연리 2%의 특별자금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 대출대상은 도시형생활주택, 다세대․다가구주택, 오피스텔 등 소형주택을 건설하려는 자이며, 금리는 현재 연 3~6%에서 2%로 일괄 인하하고,
ㅇ 대출한도도 확대하여
- 도시형생활주택의 경우 대출금액 산정요건 중 주택가격대비 대출비율 10% 상향 조정(지역별 6070 → 70~80%) 등을 통해 대출가능액이 종전에 비해 50 ~ 60% 확대되도록 하고,
- 다세대․다가구주택은 호당 1,500만원에서 3,500만원으로 확대하였다.
|
[
"주택기금 지원에서 대출금액 산정요건을 주택가격대비 80퍼센트로 확대한 주택 대상은 무엇이니",
"국토해양부의 국민주택기금 특별자금 지원을 통해 대출한도가 6퍼센트 확대된 주택 대상은 뭘까"
] |
unanswerable
|
fd7585d1-56c4-4072-9fff-6a63f916de65
|
물품구매분야 금주( '21.05.10. ~ '21.05.14.) 입찰동향
|
해양수산부 울산지방해양수산청 수요 '울산신항 남방파제(2-2공구) 축조공사 관급자재(해상B/P) 구매' 등 2,103억 원 상당 입찰 예정
□ 조달청은 2021.05.10. ~ 2021.05.14. 기간 중 해양수산부 울산지방해양수산청 수요 '울산신항 남방파제(2-2공구) 축조공사 관급자재(해상B/P) 구매' 등 총 401건, 약 2,103억 원 상당의 물품구매 입찰을 집행할 예정이다.
□ 위 기간 동안 집행되는 입찰을 계약방법별로 보면,
○ 해양수산부 울산지방해양수산청 '울산신항 남방파제(2-2공구) 축조공사 관급자재(해상B/P) 구매' 등 “적격심사에 의한 계약”이 전체 금액의 50.5%인 1,062억 원
○ 재단법인 전북테크노파크 '이차전지센터 주사전자현미경 구축' 등 “규격가격동시입찰에 의한 계약”이 전체 금액의 7.3%인 153억 원
○ 경기도 화성시 '화성공룡자연과학센터 전시콘텐츠 제작 및 설치' 등 “협상에 의한 계약”이 전체 금액의 11.1%인 233억 원
○ 우수조달물품, 성능인증제품 등 수의계약이 전체 금액의 2.4%인 50억 원
○ 전라북도교육청 '미래형 학교환경 구축을 위한 교육용 노트북 구매' 등 “다수공급자계약(MAS) 2단계경쟁”이 전체 금액의 28.7%인 605억 원으로 진행된다.
|
[
"전북테크노파크가 교육용 노트북을 구매하기 위해 사용한 금액이 얼마야",
"해양수산부가 울산신항 남방파제 공사를 위해 얼마 상당의 물품을 구매했을까"
] |
unanswerable
|
802d59b8-d13e-4344-856d-7af9fc134015
|
중기, R&D기획 지원받고 사업화 성공률 높이자!
|
중기, R&D기획 지원받고 사업화 성공률 높이자! - 빅데이터를 활용한 유망과제 발굴 등 R&D 기획역량강화에 55억 지원 -
ㅇ 3개 세부사업과 관련하여 주요 지원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R&D기획지원) 기업이 개발하고자 하는 신기술에 대한 개발타당성 분석, 시장성 조사, 성공가능성 평가, 사업전략 수립 등의 R&D기획을 지원 (35억원, 150개사)
② (과제발굴연구회) 업종․분야별 조합, 단체 등을 중심으로 한 R&D 중간조직을 활성화하여 중소기업의 미래 유망형 R&D 과제에 대한 조사·발굴 및 사전기획을 지원(10억원, 60개 연구회)
③ (개별기업기술로드맵지원) 개별중소기업 차원에서 차세대 제품 및 기술기획을 위하여, 향후 3∼5년 내 목표시장, 개발제품, 필요기술을 연도별로 구성한 기술로드맵 수립을 지원 (10억원, 60개사)
- 신규과제 : 신기술과제 도출에 따른 개별기업 기술로드맵 도출 및 제안요청서(RFP)를 포함한 기획보고서 제공
- 업그레이드 과제 : 기술 및 환경변화에 따른 로드맵 보완이 필요한 과제에 대하여 후속 업그레이드 지원(2008~11년 지원과제 대상)
|
[
"빅데이터를 활용한 사업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과제발굴연구회에서 제공하는 것은 무엇이니"
] |
unanswerable
|
ba56e235-c100-45a2-aa47-1629bfa7fec8
|
중소기업 대상 ‘맞춤형 방문 조달교육’ 실시
|
조달청, 중소기업 대상 ‘맞춤형 방문 조달교육’ 실시 중소기업 공공시장 진입 위한 실무중심 조달전문교육 진행
□ 조달청(청장 김정우)과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는 25일과 26일 이틀간 중소기업인력개발원에서 중소·벤처기업의 공공조달시장 참여 확대를 지원하기 위해 조달전문교육을 실시한다.
<사진첨부>
○ 조달청과 중소기업중앙회 협업으로 진행되는 이번 교육은 중소기업 임직원 60여명이 참여한다.
○ 교육 과정은 다수공급자계약, 혁신지향 공공조달, 조달우수제품, 벤처나라 이용, 물품 등록 등 공공조달 참여를 위해 현장에서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실무중심으로 구성했다.
□ 이번 교육을 이수한 중소기업은 다수공급자계약 이행실적 평가에서 가점이 부여돼 공공조달 진입과 공공판로 확대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조달청과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 2019년 11월 상호간 교육 콘텐츠, 시설 등을공유하는 내용의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정기적인 교육, 자문 등 협업을 해오고 있다.
□ *** 조달교육원장은“실무 중심 집합교육으로 교육생의 몰입도가 높아 교육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며 “이번 교육을 통해 우수한 기술을 가진 중소기업이 공공시장에 진입 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중소기업중앙회 맞춤형 과정 교육시간표
○ 교육기간 : 5. 25.(화) ~ 5. 26.(수)
○ 강의장소 : 중소기업인력개발원(용인)
|
[
"조달청은 2019년 11월에 중소기업인력개발원에서 무슨 교육을 실시했니"
] |
unanswerable
|
da19529b-6caa-4b39-a85e-b035c1154334
|
박남춘 시장“4차 재난지원금 신속 지급 및 자체 추가지원 검토 주문”
|
3월 업무추진계획
3월 업무계획보고
16 도시재생건설국
주요정책/현안대응
스마트관광도시 시범사업 추진
○ 근대 문화 발상지인 중구 개항장 일원을 스마트관광도시로 조성
- 스마트 앱을 통해 체험 관광하는 “스마트한 19세기 개항장” 구현
○ (추진실적)
- 스마트 앱 1차 테스트(2021.1.), 2차 테스트(2021.2.)
- 스마트 앱 로고 확정(2021.2., 일반시민대상 오픈 공모)
○ (향후계획)
- 최종시연회 개최 및 앱 스토어 등록(2021.3.)
· 일시/장소: 2021. 3.12.(금) 14:00 / 송도 컨벤시아
· 참석: 인천시 외 11개 업체
· 주요내용: 개발 현황 발표, 테스트 파일(APK 등) 배포 및 앱 시연
- 인천e지 스마트 앱 관련 시리즈 기획기사 배포 및 홍보(2021.3월말)
- 인천e지 스마트 앱 시범 운영 및 서비스 오픈(2021.4.)
2021년도 지역건설업체 수주확대를 위한 공사현장 방문(세일즈) 추진
○ (발주계획) 2,373건 / 4조 1,225억원 (전년도 2,137건 / 6조 6,481억원)
○ (일시) 2021. 3월중
○ (대상현장) 2021년도 100억원 이상 발주계획대상 공사현장 47개소
[ 2021. 3월 주요 발주예정 공사 ]
· 송도 11-1공구 기반시설 건설공사 (1-1구역)
· 송도 11-1공구 기반시설 건설공사 (1-2구역)
· 매립지 노후 전기설비 대보수 공사
○ (참석) 건설심사과장, 건설관리팀장, 담당자, 건설사 외주부서장 등
○ (주요내용)
- 원․하도급 및 자재․인력․장비 등 지역업체 참여 확대
- 인천 협력업체 등록 List 추전(시 홈페이지)
- 1차 합동 세일즈 시 모니터링 실시 협의(2차 세일즈 / 하도급률 달성도 확인)
- 분기별 하도급율 40%미달 사업자에 대해 품질 안전점검 등 추진
|
[
"인천시는 2021년 4월에 무슨 사업의 개발 현황을 발표할 계획이야",
"인천시에서 시 홈페이지를 통해 어떤 사업의 최종시연회를 개최해"
] |
unanswerable
|
268b394b-8dde-4d78-babd-ff733a604492
|
朴“인천형 재난지원금, 설 연휴 전 최대한 신속 지급”
|
안건2. 설 연휴 시민안전대책 실·국별 보고
Ⅱ 실·국별 보고
□3 건강체육국
□ 응급실 비상진료체계 운영
○ (대상) 군구보건소, 응급의료기관 18개소, 병․의원 1,678개소, 약국 1,103개소
○ (내용) 설연휴 응급실 비상진료체계 유지 및 문여는 의료기관․약국 정보제공
□ 24시간 정신위기 심리지원 비상체계 구축
○ (대상) 23개 기관, 57명(군․구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인천의료원)
○ (내용) 코로나 우울 심리지원, 24시간 정신위기 대응 전화상담 및 응급출동
|
[
"설 연휴 어느 기관 23개소에서 비상진료체계를 유지해",
"설 연휴 24시간 전화상담 및 응급출동 체계를 구축하는 기관이 어디야"
] |
unanswerable
|
a3034775-d5cd-4ed0-a39c-dc654972484d
|
'16년 5월 항공여객 841만 명으로 4.7% 증가
|
2016년 5월 항공여객 841만 명으로 4.7% 증가 - 국제여객 4.4% 증가, 국내여객 5.3% 증가 -
□ 2016년 5월 항공운송시장은 국제 및 국내 여객이 전년 동월대비 4.7% 증가한 841만 명을 기록했다.
ㅇ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2016년 5월 국제여객 및 국내여객은 전년 동월대비 각각 5.3%, 4.4% 증가했고, 항공화물은 전년대비 2.2% 증가했다고 밝혔다.
* 항공여객(만 명) : 592(2012.5) → 594(2013.5) → 648(2014.5) → 803(2015.5) → 836(2016.5)
* 항공화물(만 톤) : 28(2012.5) → 29(2013.5) → 30(2014.5) → 32(2015.5) → 33(2016.5)
|
[
"2012년 5월 항공운송시장에서 국제 여객이 전년 동월대비 몇 퍼센트 증가했어",
"2013년 5월 항공화물은 전년대비 몇 퍼센트 증가했니"
] |
unanswerable
|
3a78b018-e0af-4891-972b-74f2a1983211
|
혁신의 플랫폼, 함께 만드는 스마트시티
|
세종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 시행계획
Ⅰ. 시범도시 철학과 비전
2. 국가시범도시 조성의 의미와 취지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추진 의도
□ 백지상태 부지의 장점을 최대한 살려, 모빌리티 에너지 등 도시 인프라부터 시민행복 중심으로 설계하고, 스마트 테크놀로지를 바탕으로 세계적 수준의 스마트도시를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함.
□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하여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 문명의 기초를 만들기 위해, 혁신적인 실험들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시도와 시행착오를 통해 점진적으로 개선해 향후 전국적으로 확대하고 해외로 수출할 수 있는 ‘도시실험의 장’으로서 기능하게 하고자 함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추진 배경
□ 도시화에 따른 자원 고갈, 환경오염, 교통 혼잡, 에너지 부족 등 각종 도시문제가 전 세계적으로 점차 심화될 것으로 전망됨
* 도시화율(2015년, UN) : 한국 82.5%, 일본 93.5%, 미국 81.6%, 영국 82.6% 등)
□ 그러나 기존 도시의 점진적인 문제해결 방식으로는 현재 대도시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우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4차 산업혁명 기술을 도입해 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스마트시티가 대두됨
□ 기존 도시의 대응 : 도시 구성요소를 양적으로 팽창시키고, 주로 문제에 대한 물리적 대응 위주로 진행해 옴 (예시: 도로 확대, 경찰력 확대, 발전소확대 등)
|
[
"UN에서 어떤 기술을 도입해서 발전소를 확대하여 환경오염 등의 도시 문제를 물리적으로 대응할 계획이야"
] |
unanswerable
|
6d71f87f-30b3-41bb-9f1b-6e7894ee1df4
|
중기, R&D기획 지원받고 사업화 성공률 높이자!
|
중기, R&D기획 지원받고 사업화 성공률 높이자! - 빅데이터를 활용한 유망과제 발굴 등 R&D 기획역량강화에 55억 지원 -
□ 중소기업청은 앞으로 R&D기획역량제고에 참여한 기업과제 우수사례를 적극 발굴 홍보하고, 성과공유의 장을 마련하는 한편, 우수과제에 대한 연계지원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 중소기업청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13년도 통합 시행계획을 공고하고, 4.29 ~ 5.24(26일간)간에 신청·접수를 받을 예정이다.
◦ 참여하고자 하는 중소기업 및 조합·협회·단체 등은 중기청 기술개발지원사업 종합관리시스템(http://www.smtech.go.kr)을 통해 사업신청서를 접수하고,
◦ 신청자격, 지원기준 등 자세한 사항은 동 사업 홈페이지(중소기업청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에서 게시한 공고문을 확인하거나 중소기업청에 문의하면 된다.
|
[
"어디에서 연구개발 기획역량제고에 참여한 기업과제 우수사례를 확인할 수 있어",
"중소기업청 사업에 참여하려는 기업이나 단체는 어디를 통해 공고문을 게시할 수 있지"
] |
unanswerable
|
270d5b3f-203c-46a6-b651-73167a9bc306
|
朴“인천형 재난지원금, 설 연휴 전 최대한 신속 지급”
|
2월 업무추진계획
안건2. 설 연휴 시민안전대책 실·국별 보고
Ⅱ 실·국별 보고
□6 상수도사업본부
□ 2021년 설 연휴 상수도 급수대책
○ (기상전망)
- 설 연휴기간 기상청 예보에 따르면 기온(-1.6∼0.6℃) 및 강수량(0.7∼6.1mm)이 평년과 비슷하나 일시적으로 기온이 급강하 할 수 있어 동파 등 연휴기간 상황 관리 및 대응체계 유지에 철저
○ (급수대책)
- 적정한 정수 생산량 조정 및 관리
· 연휴기간 필요한 적정 정수량 유지를 위해 배수지 수위 및 송수압 변동 등을 관리
* 20년 설 연휴 기준 - 정수장 생산량 1,063천톤/일 ➡ 996천톤/일【감량 67천톤/일, △6.3%】
- 급수상황실 운영
· 기간 : 2021. 2. 11. ∼ 2021. 2. 14.(4일간)
· 주요역할 : 급수상황 관리, 신속한 민원 처리 등
· 근무인원 : 공무원 33명/일
* 동파 등 현장긴급민원 대비 기동복구 17개업체(누수·개보수) 24시간 대기
· 민원처리절차 : 관할 수도사업소 민원접수&처리(매일 15:00 상황보고) → 급수상황실→ 시청(당직실)
|
[
"상수도사업본부는 2021년 2월 14일부터 무엇을 운영하여 공무원 33명이 24시간 대기하도록 했지",
"2021년 설 연휴 기간 동안 어떤 조직이 매일 15시에 민원접수와 처리 내용을 관할 수도사업소에 보고했어"
] |
unanswerable
|
0aac45d0-658f-4310-894e-010e3a31742e
|
「2014년 창업지원기업 이력·성과 조사」결과 발표
|
「2014년 창업지원기업 이력·성과 조사」결과 발표
2 창조경제를 이끄는 창업기업 성공사례
여성 스타기업
▪기업명 : 힘컨텐츠(주) (2011. 01. 01)
▪지원사업 : 2011년 아이디어상업화지원사업
▪대표자 : 윤현진 (49세, 여)
▪주요제품 : 공연기획, 애니메이션, 캐릭터개발
▪고용인원 : (2011) 1명 → (2013) 3명
▪매출액 : (2011) 41,158천원 → (2013) 5,449,798천원
▪주요성과
- 2011년 지식서비스 창업대전 국무총리상 수상
- 2011년 뮤지컬 애니메이션 파일럿 공동제작 계약(EBS)
▪기업명 : 은우산업 (2009. 08. 10)
▪지원사업 : 2010년 예비기술창업자육성사업
▪대표자 : 최희선 (41세, 여)
▪주요제품 : 스테인리스물탱크
▪고용인원 : (2011) 5명 → (0213) 6명
▪매출액 : (2011) 1,415,578천원 → (2013) 4,865,024천원
▪주요성과
- 2014년 대한민국 물 산업전 참가(조달우수제품 선정)
- 2013년 이노비즈기업 지정, - 2010년 벤처기업 지정
|
[
"은우산업에서 2014년에 고용한 인원은 몇 명이야"
] |
unanswerable
|
db5fab66-6f1a-4e58-b70f-db3522d65707
|
준비된 창업.성공 창업의 도우미, "점포 이력.평가서비스"시범 실시
|
준비된 창업 · 성공 창업의 도우미, “점포 이력 · 평가서비스”시범 실시 - 상권정보시스템을 통해 서울시 16만개 음식점 대상 실시 -
□ 그동안은 예비창업자가 상권정보시스템을 통해 입지 및 업종을 선택한 후에, 실제 창업을 위해 선택한(선택예정인) 점포에 대해서는 개별적으로 정보를 수집해야 하는 애로가 있었으나,
◦ 앞으로는 同 서비스를 활용하여 점포에 대한 이력 및 평가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됨
□ 즉, 예비창업자가 1차로 상권정보시스템을 통해 창업하고자 하는 지역과 업종의 상권정보를 획득하여 점포위치를 선택하고,
◦ 2차로 빅데이터 기반의 “점포 이력·평가 서비스”를 통해 창업 예정 점포의 과거 이력과 현재 평가 및 미래 예측 등 점포에 대한 상세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어,
◦ 그간 점포 선택시 경험적 판단이나 점포 소유주의 일방적인 정보에 의존하여 평가한 매출추정, 상권 및 입지 등을 통계적, 과학적으로 접근이 가능하여 창업성공률 제고 및 ‘묻지마 창업’을 예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향후 예상 시나리오 : (붙임1) 참조
□ 우선 서울지역 16만개 음식점을 대상으로 시범 실시되는 同 서비스는 상권정보시스템(sg.smba.or.kr, sg.semas.or.kr)을 통해 무료 이용이 가능하며,
◦ 이용시 궁금한 점은 콜센터 (1644-5302)로 문의하면 됨
* 상권정보시스템은 네이버, 다음 등 포털 검색창에 ‘상권정보’를 입력하거나, 중소기업 정책정보 서비스인 ‘기업마당’(www.bizinfo.go.kr)를 통해서도 이용이 가능
|
[
"예비창업자는 1차로 점포 이력·평가 서비스를 통해 점포에 대한 무엇을 제공받게 될까"
] |
unanswerable
|
57a3efc3-fd90-44e4-a2a2-2bcde0c6cf7f
|
9월 항공여객 902만 명…전년 동월 대비 4.7% 증가
|
9월 항공여객 902만 명…전년 동월 대비 4.7% 증가 - 국제여객 3.7% 증가, 국내여객 6.7% 증가 -
2017년 9월 항공운송동향 및 분석
2. 국제여객
□ (항공사별) 국적 대형항공사의 경우 전년 동월 대비 0.2% 감소*
* 유럽(10.9%)·미주(4.5%)노선은 운항 증편이 되었으나 중국(-6.1%)노선 등의 운항감편 영향으로 전체 공급석이 1.6% 감소
ㅇ 저비용항공사의 여객 운송량은 여객편 공급확대와 단거리 해외여행수요 증가로 전년 동월 대비 36.5% 증가하였고, 탑승률은 83.3%로 전년 동월 대비 0.8%p 증가
ㅇ 국적사 분담률은 69.4%로 나타났으며 저비용항공사가 전년 동월 대비 6.4%p 증가한 26.8% 기록
* 국적항공사 분담률(%): 64.4(2013. 9.) →61.1(2014. 9.) →64.3(2015. 9.) →64.7(2016. 9.) →69.4(2017. 9.)
* 저비용항공사 분담률(%): 9.3(2013. 9.) →10.8(2014. 9.) →14.5(2015. 9.) →20.4(2016. 9.) →26.8(2017. 9.)
|
[
"2017년 9월 기준 저비용항공사의 유럽노선은 전체 공급석이 전년에 비해 몇 퍼센트 감소했어",
"2014년 9월 기준 국적 대형항공사의 탑승률은 해외여행수요 증가로 전년 동월에 비해 몇 퍼센트 증가했지"
] |
unanswerable
|
709f848d-ca28-4c9d-ab90-44c4387f94c1
|
박남춘 시장“4차 재난지원금 신속 지급 및 자체 추가지원 검토 주문”
|
3월 업무추진계획
3월 업무계획보고
20 보건환경연구원
주요정책/현안대응
신종감염병 대비 역학조사관 양성
○ 수습역학조사관 2명 신규 지정(2월), 2년간의 전문교육 및 역학조사 활동
* 보건연구사 2명 3주과정 기본교육 이수(3월, 4월), 코로나19 등 역학조사관 활동 지원
일회용 식품용기 안전성 수거·검사 (3~5월)
○ 소비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일회용 식품용기 안전성 점검
○ 일회용 식품용기 재질별 이행물질 검사 및 안전성 평가
* 특별사법경찰과와 협업, 관내 제조업체 제품 및 유통 제품 점검 50건
2021년 국립환경과학원 정도관리 현장평가
○ (목적) : 환경오염물질 측정분석 능력향상 및 신뢰도 확보
○ (기간) : 3. 15.(월) ~ 17.(수)
○ (내용)
- 기술인력, 보유장비 및 기초자료 검증과 담당자 기술교육
- 대기, 수질, 먹는물, 토양, 폐기물, 실내공기질, 악취 분석능력 평가
강화군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농가 재입식을 위한 입식시험 추진
○ 신청농장(1호) 돈사별 생후 60~70일령 ASF 감염되지 않은 돼지(3두 이상) 입식
○ (60일 임상검사) 최초 2주 : 1회/2일, 그 이후 : 2회/1주
* 발생농장 재입식 절차: (1차) 청소·세척·소독 점검 → (2차) 방역시설 확인·입식시험 → (최종평가) 환경검사 등 위험도 평가
|
[
"수습역학조사관은 소비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2021년 3월 15일부터 60일 동안 무엇을 점검했어",
"2021년 2월 국립환경과학원 정도관리 현장평가에서 보건연구사가 평가한 것은 뭐지"
] |
unanswerable
|
e47507d0-40ac-4bb5-be67-667d465ab761
|
'16년 5월 항공여객 841만 명으로 4.7% 증가
|
2016년 5월 항공여객 841만 명으로 4.7% 증가 - 국제여객 4.4% 증가, 국내여객 5.3% 증가 -
2016년 5월 항공운송동향 및 분석
1. 총괄
□ 2016년 5월 항공여객(841만 명)은 유류할증료 미부과로 인한 경비부담 완화, 내국인 단거리 해외여행 수요 증가, 제주지역 내외국인 수요증가, 쇼핑 및 관광 목적의 중국인 방한수요 확대 등으로 전년 동월대비 4.7% 증가
* 항공여객(만 명) : 592(2012.5) → 594(2013.5) → 6482014.5) → 803(2015.5) → 841(2016.5)
ㅇ 2016년 5월 항공화물(33만 톤)은 미주지역을 제외한 주요 국제선 노선의 항공화물 물동량 증가로 전년 동월대비 2.2% 증가하며 소폭 성장
|
[
"2015년 5월 항공여객은 주요 국제선 항공화물 물동량 증가로 전년 동월대비 몇 퍼센트 증가했니",
"2013년 5월 항공화물은 쇼핑 및 관광 목적인 중국인 방한수요 확대로 전년 동월대비 몇 퍼센트 증가했어"
] |
unanswerable
|
085a1c4a-8862-4897-a200-e1f7c393f287
|
3/4분기 신설법인 전기대비 2.7%, 전년동기대비 1.2% 감소
|
2013년 3/4분기 및 9월 신설법인 동향 2013. 10
Ⅰ. 2013년 3/4분기 신설법인 동향
2 연령대별 신설법인 동향
□ 전기대비 모든 연령대가 감소하였으며, 전년동기대비로는 30대(2.1%), 60세 이상(2.2%) 연령대가 증가
□ 비중은 40대(39.0%), 50대(24.7%), 30대(23.9%) 등의 순
ㅇ 전년동기대비 40대(△0.8%p), 50대(△0.2%p), 30세미만(△0.1%p)이 감소하였으나, 30대(0.7%p), 60세이상(0.2%p)이 증가
3 자본금규모별 신설법인 동향
□ 전기대비 10억원초과~50억원이하(4.9%), 50억원초과(38.1%) 구간이 증가하였고, 전년동기대비로는 5천만원이하(0.5%) 구간 등이 증가
ㅇ 1억초과 신설법인은 전년동기대비 감소(△11.9%)하였으나, 1억원이하 신설법인은 소폭(0.4%) 증가
* 1억원초과 신설법인수(3/4분기) : (2012) 2,518 → (2013) 2,219 (11.9%↓)
* 1억원이하 신설법인수(3/4분기) : (2012) 16,132 → (2013) 16,204 (0.4%↑)
□ 비중은 5천만원이하(73.7%), 5천만원초과~1억원이하(14.3%), 1억초과~5억원 이하(10.4%) 등의 순
ㅇ 전년동기대비 5천만원이하(1.3%p), 5천만원초과~1억원이하(0.2%p)구간이 증가였으나, 1억원초과~5억원이하(△1.1%p) 등 나머지 구간은 감소
|
[
"2013년 3,4분기 신설법인 동향에서 1억초과 신설법인은 무슨 연령대에서 전년동기대비 2.1퍼센트 증가했지"
] |
unanswerable
|
5aee9d04-d172-4fd1-bb10-33fabb8a5da0
|
중견기업 핵심인력을 위한 희망엔지니어 적금 출시
|
중견기업 핵심인력을 위한 희망엔지니어 적금 출시 - 중기청과 하나은행 협업으로 중견기업 우수인재 유치 및 장기재직 유도-
□ 적금가입을 희망하는 기업은 12월 24일부터 하나은행 홈페이지(www.hanabank.com)를 통해 가입할 수 있으며, 상담 및 문의는 하나은행의 희망엔지니어 적금 전용 콜센터(1599-0079)를 이용하면 된다.
◦ 하나은행은 World Class 300 프로그램의 공식 지원기관으로 참여하여 희망엔지니어 적금 가입기업에 대해 임직원 복지포털(알토란) 및 포인트 혜택 등 다양한 금융·비금융 서비스를 제공한다.
* 무역금융 등 우대금리, 신기보 특별출연 금융지원 등 우선배정, 임직원 복지포탈(알토란) 및 포인트 혜택, 기업 CEO 대상 가업승계 및 자산관리 등
□ 한편, 제3기 희망엔지니어 적금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하나은행- 한국산업기술진흥원-한국중견기업연합회-월드클래스300기업협회간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 12.23일 14:00~14:30 하나은행 본사 23층 대회의실
|
[
"하나은행은 무엇에 가입한 기업과 하나은행 본사 23층 대회의실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했어"
] |
unanswerable
|
d70c7a98-dba6-4c80-a7c5-8a1bf9932257
|
박남춘 시장,“스쿨존 안전, 자치경찰 첫 성과로 만들어 달라”주문
|
실・국장회의 2021. 4. 1.(목) 15:00, 온나라PC영상회의 4월 업무추진계획
16 도시재생건설국
회의/행사
우회고가 정비사업 관련 주민설명회 개최
○ (목적) 우회고가교 철거에 대한 주민설명 및 의견수렴 등 진행
* 만석동 행정복지센터(3.31.), 북성동 행정복지센터(4.1.)
* 사업내용: L=1,465m, 448억원, 2017.~2022.
인천광역시 내항 공공재생 시민참여 위원회 회의(1차) 개최(4월 중)
○ (근거)「인천광역시 내항 공공재생 시민참여위원회 운영 조례」
○ (참석자) 총 35명 (당연직 6명, 위촉직 29명)
○ (안건) 위원장 선출, 운영규정 논의 마련, 내항 1·8부두 재개발사업 설명 등
※ 코로나19로 인한 거리두기 단계 상향 시 위원회 운영시기 조정 가능
용유역~잠진도 입구간 도로개설공사 관련 주민설명회 개최(4월 중)
○ (목적) 교통수요 분석 결과 및 주민 의견 수렴 등을 통한 추진여부 결정
* 사업내용: L=402m, B=25m, 100억원, 2017.11. ~ 2021.12.
|
[
"어느 위원회 회의에 위촉직 6명이 참석하여 위원장을 선출했지"
] |
unanswerable
|
a10cdfd1-5a26-442c-8b1f-c0c93cbb4003
|
'16년 5월 항공여객 841만 명으로 4.7% 증가
|
2016년 5월 항공여객 841만 명으로 4.7% 증가 - 국제여객 4.4% 증가, 국내여객 5.3% 증가 -
2016년 5월 항공운송동향 및 분석
2. 국제여객
□ (공항별) 국제선 여객 비율이 가장 높은 인천과 김해 공항이 각각 4.8%,14.1% 증가하였고, 대구(23.0%) 공항이 운항 증가와 함께 전년 동월대비 여객 실적 증가
ㅇ (김해) 국제선 운항의 지속적인 증가로 국제여객은 전년 동월대비 14.1% 증가
ㅇ (청주) 아시아나항공을 비롯하여 중국중화항공, 중국길상항공 등 중국 항공사의 감편이 잇따르면서 전년 동월대비 11.4% 감소
ㅇ (제주) 북경, 항조우, 천진 등 중국노선 운항이 증가하면서 2.5% 성장
ㅇ (대구) 국제선 정기노선 및 운항 증가로 국제여객 23.0% 증가
|
[
"2016년에 전년 대비 운항이 14.1퍼센트 증가한 항공사는 어딜까",
"2016년 운항이 증가하면서 여객 실적이 4.8퍼센트 증가한 곳이 어디니"
] |
unanswerable
|
f0a7849e-f618-4aa6-8c5c-39f12c3ea00d
|
3/4분기 신설법인 전기대비 2.7%, 전년동기대비 1.2% 감소
|
2013년 3/4분기 및 9월 신설법인 동향 2013.10
Ⅱ. 2013년 9월 신설법인 동향
1 업종별 신설법인 동향
□ 제조업은 1,321개로 전년동월(1,415개)대비 6.6%(△94개) 감소
ㅇ 세부업종별로 기계, 금속(△26.4%), 자동차 및 운송장비업(△26.4%)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음식료품(50.0%),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12.5%) 등에서는 증가
□ 건설 및 전기·가스·증기·수도사업은 524개로 전년동월(499개)대비 5.0%(25개) 증가
ㅇ 세부업종별로 건설업(△5.3%)은 감소, 전기 가스 증기 수도사업(217.4%)은 증가
□ 서비스업은 3,274개로 전년동월(3,639개)대비 10.0%(△365개) 감소
ㅇ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5.8%)에서는 증가하였으나, 숙박 및 음식점업(△34.6%) 등 나머지 업종에서는 감소
□ 업종별 비중은 서비스업 63.1%, 제조업 25.5%, 건설 및 전기 가스 증기 수도사업 10.1% 등의 순
2 연령대별 신설법인 동향
□ 전월비, 전년동월비로 모든 연령대가 감소하였으며, 4∼50대에서 54.9%(542건) 감소
□ 비중은 40대(39.4%), 30대 50대(24.4%), 60세이상(7.2%) 등의 순
ㅇ 전년동월대비 30세미만(△0.9%p), 40대(△0.6%p), 50대(△0.2%p)는 감소하였으나, 30대(1.2%p), 60세이상(0.4%p)은 증가
|
[
"2013년 9월 신설법인이 524개로 전년동월 대비 6.6퍼센트 감소한 업종은 뭐야",
"2013년 9월 어떤 업종의 세부 업종 신설법인 수가 기계, 금속에서 증가하였으나 음식료품에서는 감소했지"
] |
unanswerable
|
58bf3895-6d24-4a24-a1bf-ca85e043ec70
|
전국 미분양 주택 4개월 연속 감소
|
전국 미분양 주택 4개월 연속 감소 - 5월말 기준 66,896호, 준공후 미분양은 27,488호 -
< 지역별 >
ㅇ 수도권은 신규 미분양(319호), 계약해지(45호), 누락(837호) 등이 발생 하였으나, 기존 미분양이 꾸준히 감소하여
* 신규 등 증가분(1,201호) : 인천 38호, 경기 1,163호
* 기존 미분양 해소(△1,699호) : 서울 △127호, 인천 △186호, 경기 △1,386호
- 전월(33,267호) 대비 498호 감소한 32,769호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월 증가 후 다시 감소한 것이다.
ㅇ 지방은 전북 등에서 신규 미분양(792호) 및 계약해지(110호), 누락분(107호) 등이 발생하였으나 기존 미분양이 크게 감소하여
* 신규 등 증가분(1,009호) : 전북 377호, 세종 314호, 충남 123호, 대구 88호 등
* 기존 미분양 해소(△3,816호) : 경남 △1,086호, 부산 △670호, 강원 △398호 등
- 전월(36,934호) 대비 2,807호 감소한 34,127호로 나타났으며, 이는 5개월 연속 감소한 것이다.
|
[
"미분양 주택이 어느 지역에서 5개월 연속 증가했니",
"계약해지 및 누락된 주택이 837호 발생한 지역이 어디야"
] |
unanswerable
|
9572a89a-3d55-4bfb-bee2-dcd855a8ce73
|
박남춘 시장,“스쿨존 안전, 자치경찰 첫 성과로 만들어 달라”주문
|
실・국장회의 2021. 4. 1.(목) 15:00, 온나라PC영상회의 4월 업무추진계획
18 주택녹지국
회의/행사
공동주택 소통의 날 개최
○ (일시·장소) 2021. 4. 21.(수) 16:00 / 본관동 B1 중회의실
○ (참석) 10명 내외
※ 주요참석자 : 유관단체 및 시․군․구 공동주택담당
*대한주택관리사협회(인천시회), 전국아파트입주자대표회의연합회(인천지부), (사)인천광역시아파트연합회
○ (주요내용) 공동주택 관계자 교육 및 공동주택관리 지원사업 발전방향 논의 등
2040 인천광역시 경관계획 수립 용역 중간보고회
○ (일시) 2021. 4. 8.(목) 10:00/ 장소: 영상회의실
○ (내용) 기본구상, 경관구조별 계획안에 대한 군구 의견 수렴 등
제76회 식목일 행사 개최
○ (개최일시) 2021. 4. 5. (월) 15:00 ~ 17:00
○ (개최장소) 계양꽃마루 (계양구 서운동 106-1 일원)
○ (참여인원) 총 100명 미만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기준)
○ (개최방법) 시, 계양구 공동행사
○ (행사내용) 기념식수(주목) 및 나무심기(배롱나무 등 6종 1,450주)
|
[
"2021년 4월 1일에 계양구 서운동에 있는 계양꽃마루에서 어떤 행사를 개최해",
"2021년 4월 8일에 총 10명 내외가 참석하여 기념식수 및 나무심기를 진행하는 행사가 뭐야"
] |
unanswerable
|
df80171b-29fd-4169-9dc6-c0fcabbb498d
|
'16년 5월 항공여객 841만 명으로 4.7% 증가
|
2016년 5월 항공여객 841만 명으로 4.7% 증가 - 국제여객 4.4% 증가, 국내여객 5.3% 증가 -
2016년 5월 항공운송동향 및 분석
5. 향후전망
□ 2016년 5월 항공실적은 국내선 및 국제선 여객이 증가하며 소폭 성장
ㅇ 국토교통부는 항공사들의 신규노선 추가 및 운항 확대, 개별여행객 및 단거리 해외여행 수요 증가, 여름 성수기 시즌 진입, 그리고 지난해 메르스 발생으로 인한 기저효과 등을 감안하면 여객 성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
ㅇ 다만, 환율과 금리변화, 중국과 미국 등 세계경기 변동과 주변국과의 정치적 관계 및 정책 변화, 대지진과 같은 자연재해, 국제유가 변동으로 인한 항공유 가격 반등 등 국내외 영향요인에 따른 불확실성 존재
|
[
"어디에서 항공사들의 신규노선 추가와 금리변화 등으로 여객 성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지",
"여름 성수기 시즌 진입과 자연재해 등의 요인에 따라 여객 성장세에 불확실성이 존재한다고 한 곳은 어디야"
] |
unanswerable
|
0b1da9d8-7382-4048-9753-0e8e864e0d94
|
건설경기 연착륙 및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 발표
|
건설경기 연착륙 및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
Ⅰ. 추진배경
1. 현 상황 분석
2010년 이후 건설투자는 회복세를 보인 다른 경기지표와 달리 부진한 모습
ㅇ SOC예산 축소(09, 25.4→11, 24.4조) 등으로 토목부문이 위축되는 가운데 건축부문 침체의 장기화로 인해 토목·건축 동반 부진 양상
ㅇ 2011년 들어서도 건설기성(불변)의 감소세가 확대되고 있으며, 건설 투자의 선행지표인 건설수주(경상)도 작년 이후 지속 감소세
주택공급의 경우, 2008년 이후 신규 주택 인허가 물량이 급감(2008~2010년 연평균 38만호)한 가운데 분양실적 역시 예년에 비해 부진
* 분양실적(만호) : (2006) 27.2 → (2007) 29.7 →(2008) 25.5 → (2009) 23.1 → (2010) 20.1
ㅇ 주택거래량은 4월 들어 감소 조짐
* 주간 전국 거래량(천건) : (2.19~25) 16.5 → (4.2~8) 13.2 → (4.16~22) 12.4
ㅇ 공급·입주물량이 감소하는 가운데 청약대기자들의 관망세가 지속되면서 전월세 가격은 높은 수준을 유지
* 전세가/매매가 비율(%, 수도권) : (2009.1) 39.8 →(2010.1) 42.3 →(2011.1)46.9→(2011.4) 49.
건설·부동산경기 침체가 지속되면서 부실화되는 건설사 잇달아 발생
ㅇ 2010년말 이후에만 7개 중견건설사가 경영난 등으로 워크아웃, 법정관리를 신청하는 등 100위 이상 중대형사 중 29개 업체가 부실화
* 한솔(2010.12), 동일(2011.1), 월드·진흥(2011.2), LIG(2011.3), 삼부 동양건설(2011.4)
|
[
"SOC예산 축소로 수도권에 토목 공급 물량이 감소하여 분양실적이 부진한 회사 어디야",
"2011년 신규 주택 인허가 물량이 급감해 어느 회사가 부실화되었어"
] |
unanswerable
|
2fc793d3-793f-4367-a70b-83345bb20c40
|
맞춤형 기초생활보장제도로 맞춤형 복지 큰 틀 마련
|
맞춤형 기초생활보장제도로 맞춤형 복지 큰 틀 마련
□ 보건복지부(장관: 문형표), 국토교통부(장관: 유일호), 교육부(장관: 황우여)는 개정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시행에 따른 맞춤형 기초생활 보장급여를 7월 20일부터 첫 지급한다고 밝혔다.
○ 지난 12월 국회에서 여야합의로 통과된 개정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은 급여별 선정기준을 다층화해서 일을 해 소득이 증가하여도 필요한 지원이 계속 이뤄지도록 하며, 부양의무자 기준을 대폭 완화하여 취약계층을 두텁게 보호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 정부는 이번 개편으로 스스로 생활을 감당하기 어려운 분들은 국가가 책임지고 기초생활을 보장하고, 일할 능력이 있는 분들은 일을 통해 스스로 일어설 수 있도록 제도가 운영됨으로써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라는 사회보장제도의 큰 틀이 완성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
"국회가 생애주기별 맞춤형 기초생활 보장급여를 지급하는 것은 무슨 법의 시행에 따른거야",
"보건복지부와 국토교통부의 합의로 통과된 사회보장 법은 무엇이지"
] |
unanswerable
|
dc09aa5d-eb73-4ac6-9f04-7fabe7b08a90
|
남해-하동간 교량 명칭 ‘노량대교 직권상정 발언’에 대한 설명자료
|
남해-하동간 교량 명칭 ‘노량대교 직권상정 발언’ 에 대한 설명자료
□ 오늘 일부 언론에서 남해-하동간 교량 명칭과 관련하여
◦ “경남도 지명위원회가 지난 달 30일 교량 명칭을 정하기 위한 심의회를 열고 두 자치단체에 ‘노량대교’와 ‘남해하동대교’ 중 한 가지를 합의하도록 권고했으며, 두 자치단체가 합의하지 못할 경우 ‘노량대교’ 라는 이름으로 국가지명위원회에 직권 상정 하겠다고 통보하였다” 라는 보도가 있었습니다.
□ 그러나 도 지명위원회의 교량 명칭 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음을 알려 드립니다.
◦ “제1안 ‘노량대교’ 와 제2안 ‘남해하동대교 ’로 제시 되었고, 본 건에 대하여는 양 지자체의 첨예한 대립으로 양 기관에 협의를 유도하기 위해 상호간에 숙려기간이 필요하여 두 안을 양 기관에 제시하고 협의를 유도하기 위해 11월 10일까지 심의 보류”
|
[
"남해하동대교의 이름의 직권 상정을 국가지명위원회에 보류시킨 기관이 어디니"
] |
unanswerable
|
789a3b03-2ae7-4abf-b6d2-a1e29e4c4035
|
건설안전 경진대회…이달 27일부터 공모
|
건설안전 경진대회…이달 27일부터 공모 -건설사고 예방 표어․포스터 및 안전관리 우수사례 3개 부문
□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지난 2월 발족한 건설안전협의회* 활동의 일환으로 한국시설안전공단, 한국안전학회와 함께 건설안전 경진대회 를 개최하며, 9월 27일(수) 공모를 시작한다.
* 건설사고 예방을 위해 국토부 제1차관을 회장으로 하는 중앙 건설안전협의회와 지방국토청장을 회장으로하는 5개 권역별 건설안전협의회 운영 중(2월∼)
□ 이번 경진대회는 ① 건설사고 예방 표어(현수막 디자인), ② 건설사고 예방 포스터, ③ 건설현장 안전관리 우수사례 등 3개 부문을 대상으로 실시하게 된다.
ㅇ 5개 지방국토청에서 운영 중인 권역별 건설안전협의회에서 1차심사를, 중앙 건설안전협의회에서 최종심사를 실시하여 입상작을 선정하고 12월에 시상할 예정이며,
ㅇ 선정된 입상작은, 건설현장의 안전문화 확산에 기여할 수 있도록 발주청 또는 인·허가기관을 통해 건설현장에 배포할 계획이다.
|
[
"지방국토청에서 주최하는 건설안전 경진대회의 1차 심사는 어느 기관에서 하지",
"국토교통부가 주최하는 건설안전 경진대회의 입상작은 어느 기관에서 시상할 계획이야"
] |
unanswerable
|
1e870005-4d2e-430d-81b5-ae16aaa8959e
|
1월 신설법인 6,930개, 전년동월과 비슷한 수준
|
2014년 1월 신설법인 동향
Ⅰ. 2014년 1월 신설법인 동향
4 성별 신설법인 동향
□ 여성은 전년동월비, 전월비로 모두 증가, 남성은 전년동월비는 감소, 전월비는 증가
□ 비중은 여성이 23.1%, 남성이 76.9%로 전년동월대비 여성이 0.9%p 증가
5 지역별 신설법인 동향
□ 전년동월비는 경남(△19.7%) 등 7개 시도에서는 감소, 전월비는 인천(8.7%)등 5개 시도는 감소하였으나, 나머지는 증가
□ 지역별 비중은 서울, 경기(수원포함), 부산이 각각 32.3%, 24.5%, 5.3%순
ㅇ 서울, 부산 등 8대도시 비중은 53.9%로 전년동월비 0.7%p 감소, 수도
|
[
"2014년 1월 어떤 것이 전년동월비 인천 등 7개 시도에서 줄고 전월비 경남 등 5개 시도에서는 늘었지"
] |
unanswerable
|
ae7dafa5-75c1-413d-b2f3-f5350bad2ce5
|
건설안전 경진대회…이달 27일부터 공모
|
건설안전 경진대회…이달 27일부터 공모 -건설사고 예방 표어․포스터 및 안전관리 우수사례 3개 부문
□ 참가 신청기간은 9월 29일(금)부터 11월 19일(목) 24시까지며, 지방국토관리청 담당자 이메일을 통해 출품작을 접수 받는다.
ㅇ 자세한 사항은 각 지방국토청의 홈페이지 또는 한국시설안전공단 홈페이지(www.kistec.or.kr)를 참고하거나, 지방국토관리청의 행사담당자*에게 직접 연락하면 된다.
□ 국토교통부 이성해 기술안전정책관은 “내년부터 건설현장 안전을 점검하기 위한 지방국토관리청의 조직 및 인력이 대폭 강화*되는 등 국민 안전에 대한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도 강조되고 있는 시점이다”고 말하면서,
* 지방국토관리청의 건설관리실을 건설관리국으로 승격시켜 현장점검을 전담하는 건설점검과를 설치하고 필요 인력을 지속적으로 충원할 계획
ㅇ “이러한 차원에서 ‘건설안전문화 기반 조성’을 주제로 실시하는 본 행사가 성공적으로 개최되어 현장의 안전의식수준을 한 층 더 높이고, 나아가 건설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초석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
[
"한국시설안전공단에서 승격되는 부서는 뭐니",
"지방국토관리청의 건설점검과는 무엇으로 승격될까"
] |
unanswerable
|
c9cddd97-1b07-41ec-8ce3-354c9c226913
|
국토부, 입지규제 최소지구 도입
|
2014년 국토교통부 핵심과제 실천계획
Ⅱ 2013년 주요 성과 및 한계
2. 정책 추진상 한계
(1) 전월세 불안 지속
□ 매매시장은 안정세를 회복하였으나, 전세시장은 구조적인 수급불균형 등으로 전세값 상승세*가 지속
* 서울 아파트 전세값은 2012.8월 이후 77주 연속 상승(2014.2.10기준)
ㅇ 임차시장이 전세에서 월세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어 저소득층의 주거비 부담이 증가
* 전/월세 거래량(만건) : (2011) 88.5 / 43.6 → (2012) 87.4 / 45.0 → (2013) 83.3 / 54.0
(2) 연이은 안전사고 발생으로 국민 체감불안 증가
□ 항공이나 철도 안전도는 지표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연이은 안전사고** 발생으로 국민들의 체감불안이 증가
* 항공사고건수(백만 출발회수당) : (2012) 16.9건 → (2013) 16.0건
* 철도사고건수(운행거리 1억km당) : (2012) 2.79건 → (2013) 2.17건
** 아시아나 사고(2013.7), 대구역 KTX 사고(2013.8)
(3) 갈등관리 미흡
□ ‘행복주택’은 사전적인 지역 공감대 형성 미흡, 일부 주민과 지자체의 반발 등으로 사업추진에 차질이 발생
ㅇ 7개 시범지구는 지구지정이 지연(5개지구는 12월 지정)되고, 전체 사업물량은 당초 계획대비 30% 축소(20만 → 14만호)
□ ‘철도파업’은 철도노조의 법과 원칙에서 벗어난 비정상적인 파업으로 역대 최장기간 파업*을 기록하며 큰 국민불편 야기
* 철도파업일수 : (2002) 3일, (2003) 4일, (2006) 4일, (2009) 총 14일(4회), (2013) 23일
|
[
"행복주택 시범지구의 2011년 전체 사업물량이 계획 대비 몇 퍼센트 증가됐니"
] |
unanswerable
|
3c0eb42e-ed6b-4da0-b558-9462d9298419
|
“경기도, 소공인 규모는 전국 최대… 수익성·지속가능성은 과제”
|
경기도 소공인 육성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정책건의
경기도 경제에서 소공인의 중요성이 크며, 소상인 및 중소제조기업과 구별되는 소공인 특화 지원정책의 선도적 발굴이 필요
소공인은 제조업 경쟁력의 근간을 이루며 서민층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등 지역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왔으나, 위기에 취약한 소공인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정책적 지원이 필요
경기도의 소공인 규모는 전국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지속 증가세에 있으나 매출 규모 대비 수익성, 생존율 등이 낮아 내실 강화가 요구됨
경기도의 소상공인 지원정책의 상당 부분은 소상인의 경영 환경 개선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중소제조기업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지원사업의 혜택은 소공인에게 돌아가기 어려워 대다수 소공인은 정책의 사각지대에 위치
|
[
"경기도 경제에서 소공인의 중요성을 연구해 지원정책을 강화하는 곳은 어디니"
] |
unanswerable
|
c0382ea6-cb83-41a7-9fb9-93799e0b32da
|
국토부, 입지규제 최소지구 도입
|
2014년 국토교통부 핵심과제 실천계획
Ⅱ 2013년 주요 성과 및 한계
2. 정책 추진상 한계
(4) 지속적 SOC 투자에도 교통혼잡은 증가
□ 교통투자(연평균 15조)는 국토 균형발전에 기여하였으나 간선도로 중심으로 투자**되어, 도심내 교통혼잡이 증가***
* 예산추이 : (2009) 17.0조 → (2010) 14.2 → (2011) 13.8 → (2012) 14.9 → (2013) 17.1
** 도로예산 편성비중(최근 5년간) : 도시(서울, 6대광역시) 40%, 지역 60%
*** 교통혼잡비용(28.5조)의 63.5%(18.6조)가 서울 및 6대광역시에서 발생(2010년)
(5) 해외건설은 질적인 성장 미흡
□ 해외현장 관리능력 미흡, 국내업체간 과당 수주경쟁 등으로 인해 일부 대형 건설업체의 경우 2013년에는 영업손실이 발생
* GS건설, 삼성ENG, 대우건설은 2013년 한해 영업손실 공시(잠정)
□ 중소업체의 해외건설 수주를 늘리기 위해 정부 지원을 이어가고 있으나, 중소업체의 수주액은 감소추세
* 중소건설업체 수주액 : (2009) 55억불 → (2011) 48억불 → (2013) 35억불
(6) 불합리한 관행 개선은 체감도가 낮음
□ 산하 공공기관 경영개선대책을 추진하였으나, 부채는 지속 증가하고(2010년 189조 → 2013년 223조) 방만경영 개선은 미흡
□ 건설시장은 불공정 계약 무효화 등 제도개선에도 불구하고, 수직적 생산구조로 인해 하도급대금 미지급 등 불공정 거래관행* 지속
* 하도급 대금 미지급 시정명령 : (2011) 215건 → (2012) 285건 → (2013) 241건
□ 물류산업은 다단계 개선을 위한 직접운송의무제, 실적신고제 등의 제도 기반은 마련했으나 본격적인 시행은 이뤄지지 않는 실정*
* 직접운송의무 등 각종 의무 위반시 처벌규정은 2015년 시행으로 유예
|
[
"대우건설이 2015년에 경영개선대책을 추진한 이유는 뭘까",
"삼성ENG가 2013년에 영업손실이 발생한 이유가 뭐니"
] |
unanswerable
|
20f270f4-2382-4a41-bfd7-56aaec05ce4c
|
중소기업 정책, 새해에는 어떻게 달라지나
|
중소기업 정책, 새해에는 어떻게 달라지나 - 기술력 제고, 인재확보, 공공판로 확대 등 전방위적 정책 개선 -
□ 분야별 달라지는 내용은 다음과 같음
⑥ 중소기업 정책 실효성 제고
- 중소기업청․산업통상자원부 등 10개 부처에서 추진 중인 104개 중소기업 지원사업의 이력관리를 위한 ‘중소기업 통합관리시스템’ 을 금년부터 본격 가동
* 중앙정부 지원사업 이외에도, 금년 중에 지자체 지원사업까지 포괄하는 2단계 통합관리시스템 구축사업 추진 예정
- R&D․창업․정책금융 등 분야별로 분산되어 운영되던 중소기업 콜센터를 금년 4월부터 ‘1357’ 대표전화로 일원화하여 고객의 접근성․편의성을 높일 계획
* R&D(1661-1357, 산기평․기정원․산학연), 온누리상품권(1544-4090, 시경원), 창업콜센터(창진원), 정책금융(중진공) 등
□ 한정화 중소기업청장은 “금년에는 중소기업을 창조경제의 주역으로 육성하기 위한 핵심적인 제도․정책이 시행된다” 면서,
ㅇ “중소기업 정책이 현장에서 실효성 있게 적용될 수 있도록 중소기업에게 알리는 노력을 지속해나갈 계획이며, 특히 이번 달 말 부터 지방청을 중심으로 맞춤형 상담회를 병행하는 찾아가는 지역별 중소기업 정책 설명회를 연중 실시하여 정책 활용도를 높여나가겠다” 고 밝힘
|
[
"중소기업청은 무엇을 구축해 추진 중인 10개 중소기업 지원사업을 관리할 예정이야",
"산업통상자원부는 104개 지자체 지원사업의 이력관리를 위해 무엇을 구축했어"
] |
unanswerable
|
10e96c55-daa2-4a7b-95ab-6a612e631a1c
|
폴란드 신공항, 동유럽 최대 복합운송 허브로 키운다
|
폴란드 신공항, 동유럽 최대 복합운송 허브로 키운다- 26일 한-폴란드 신공항 개발 양해각서 체결…전략적 상호협력
<협력사업 개요 및 주요내용>
□ 폴란드 정부는 기존의 관문공항인 바르샤바 쇼팽 공항의 시설포화 문제를 해결하고 급증하는 항공여객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2027년 개항을 목표로 신공항 건설을 추진해 오고 있다.
ㅇ 폴 정부는 연간 여객수용능력 4천 5백만 명 규모의 신공항뿐만 아니라 접근철도와 배후도시 개발 등 동유럽 최대 규모의 복합 운송 허브를 건설하여 연간 여객 1억 명이 이용하는 세계 10대 공항으로 도약할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ㅇ 무역・컨벤션, 호텔, 레저, R&D 등 공항배후도시 개발이 포함된 초대형 신공항 메가 프로젝트가 본격화되면 공항‧접근교통시설‧ 도시개발 등 3개 부분에서 약 10조원 규모의 사업이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 현재 폴란드 정부는 신공항 개발사업을 위한 종합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준비 중이며, 향후 시행사가 정해지면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전략적 자문사로서 계획수립 과정 전반에 대해 자문을 실시하게 된다.
|
[
"2027년 개항을 목표로 폴란드가 건설을 추진하고 있는 신공항은 어디야",
"4천5백만 명 규모의 여객수용능력이 있는 공항은 어디니"
] |
unanswerable
|
5173b2a1-d84d-4c23-b381-3d8b3fa3af9e
|
경기도민 54.6%, “그린뉴딜 핵심은 오염 줄이기와 안전”… 에너지 중심에서 생태 분야 사업 보완해야
|
경기도 생태(生態) 분야 그린뉴딜 정책연구
제1장 서론
제3절 환경정책 동향
두 번째는 기후변화이다. 한국판 그린뉴딜 정책의 직접적인 원인이기도 하다. 극한의 기후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자연재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크게 다양한 형태를 보인다. 그래서 대책도 더욱 어렵고, 속수무책으로 당하는 상황이 지구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다. 하천을 정비하고 침수 대책을 지속 추진하고 있으나 매년 침수피해는 일어난다.
세 번째 주제는 저탄소사회다. 두 번째 기후변화와 연관된다. 그린뉴딜 이전에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지속가능한 발전 정책이다. 국가에 위원회가 설치되고 근거법도 마련했지만, 추진은 여전히 미약하다. 정부 간의 협력, 국민의 참여, 민간투자, 녹색 금융, 탄소영향평가 등의 기반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그린뉴딜을 통해 한층 더 발전될 것으로 기대된다.
네 번째는 에너지 문제이다. 여당은 원전을 포기하고 신재생에너지로 방향을 잡았지만, 여당은 총선에서 원전 살리기를 주력 공약으로 내세웠다. 경기도의 에너지 효율성은 향상되고 있으나 소비량은 증가하고 있다.
다섯 번째는 폐기물이다. 자원순환을 기치로 법을 완전히 개정했다. 에너지뿐 아니라 지구 생물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단위면적 당 폐기물 발생량이 OECD 3위, 독일의 1.3배, 미국의 7.8배, 호주의 99.5배로 폐기물의 감량 및 자원화를 통한 자원순환사회로의 전환이 필수이다. 폐기물 처리용량도 확충해야 한다.
|
[
"경기도 생태분야 환경 정책 중 하천 살리기를 위한 지속가능한 발전 정책이 뭐야",
"탄소영향평가 등의 기반을 구축하여 미국이 더 발전시켜야 하는 정책이 뭐지"
] |
unanswerable
|
d5c37a10-584e-4f67-a53d-2d4762038da4
|
경기연구원, “광교산 첨단벨트권, 팔당상수원권 등 기초연합형 특별지방자치단체 4곳 설립해야”
|
기초연합형 특별지방자치단체 도입방안
제2장 기초연합형 특별지방자치단체의 이론적 논의
제1절 기초연합형 특별지방자치단체의 의의
1. 특별지방자치단체의 개념 및 특징
특별지방자치단체는 복수의 자치단체가 연합하여 특수 목적의 광역행정을 수행하는 자치단체로서 법인격을 가지며, 경비는 구성 자치단체의 특별회계와 중앙정부의 지원 등을 통해 운영된다. 특별지방자치단체의 장과 의원은 구성 자치단체의 장 및 지방의원이 겸직할 수 있으며, 주민이 직선하는 경우도 있다(***, 2020). 특별지방자치단체의 특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000: 103-104). ① 보통자치단체와 같이 법인격을 지니고, ② 일반 사법인(私法人)과 달리 정부기관으로서의 성격을 가지며, ③ 일반적으로 독자적인 조직을 편성⋅정비할 수 있는 자치조직권과 예산을 결정하고 생산⋅공급하는 서비스에 대해 요금을 부과할 수 있는 재정적 자율성 또는 자주재정권을 가진다. 또한, ④ 통치기구로서의 성격이 강한 보통자치단체와 달리 서비스기관으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는데, 과세권을 지니는 경우가 없지는 않으나 통치기구가 아닌 만큼 통상 지니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며, 운영상 필요한 재원은 이용료와 수수료 등 비과세 수입원으로부터 확보하는 것이 보통이다. ⑤ 관할구역은 보통자치단체의 행정구역과 관꼐없이 결정된다. 즉, 수행하는 기능의 특성과 설립 주체의 의사에 따라 특정 자치단체의 일부 지역이 될 수도 있고, 여러 자치단체의 행정구역을 포괄할 수도 있다.
|
[
"보통자치단체와 달리 법인격을 지니고 일반 사업인과 같이 정부기관으로서의 성격을 가진 단체가 어디야",
"어떤 단체가 보통자치단체와 달리 통치기구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운영 상 필요한 재원은 비과세 수입원으로 확보해"
] |
unanswerable
|
54720ac2-dcc3-4b54-8f84-d2a622e2b095
|
혁신의 플랫폼, 함께 만드는 스마트시티
|
세종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 시행계획
Ⅲ. 시범도시 7대 혁신요소
4 에너지와 환경
2. 시행계획
(4) 환경 친화적인 미래형 건축물 및 주거환경 조성
제로에너지 건축물 도입
□ 도시 내 건축물에 대한 ‘제로에너지건축물인증(ZEB)' 도입·확산하여 저에너지 도시 조성
○ 지구단위계획에 반영 (공공건축물 의무 적용, 상업·업무용의 인센티브 등)
□ 패시브(에너지손실 절감)와 액티브(에너지생산 최대)를 동시 추진
제로에너지 단지 조성
□ 일부 단독 및 공동주택을 ‘제로에너지 주택단지’로 지정하여 시민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新에너지 주거 환경 조성
○ (사업대상*) 단독주택 1블록, 공동주택 1블록
* 에너지 거래 시범사업과 연계(P2P거래, B2B거래 시범 운영)
환경친화적 음식물 쓰레기 자원화
□ 음식물 쓰레기 자원화(퇴비)를 통해 악취를 저감하고 사용자 편의 및 도시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 음식물 자원화 시스템 도입
○ (음식물 자원화 바이오시스템) 주거단지 내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소멸 처리 (폐기물관리법에 적법한 시설 규모로 설치 검토)
- 24시간 이내 90%이상 감량화하고 부산물은 퇴비화(설치비용 : 30만원/호)
○ (스마트리사이클 시스템) 음식물 쓰레기를 옥외로 들고 나가지 않고 싱크대에서 바로 분쇄·배출*하여 지하로 이송 자원화(설치비용 : 1.2백만원/호)
* 현행법상 설치가 곤란한 주방용 오물 분쇄기는 관계기관 협의 및 절차를 통해 시범사업으로 추진예정
|
[
"무엇의 자원화를 통해 에너지손실을 저감하고 공동주택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지",
"스마트리사이클 시스템으로 무엇을 밖으로 들고 나가지 않고 지하에서 바로 분쇄하고 배출할 수 있어"
] |
unanswerable
|
77d8efdc-8cf6-48ef-84be-a4c18908d3dd
|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촉진”을 위한 「제3차 중소기업 기술혁신 5개년 계획」 발표
|
제3차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계획 - 국가성장을 견인할 글로벌 기술혁신 중소기업 육성 -
Ⅲ. 추진전략 및 과제
3 (글로벌 단계) 글로벌 역량 강화
1 기술특성, 수출대상 국가별 맞춤형 기술혁신 지원
□ (국산화 기술) 민간 투자기관의 검증기능을 연계하여 주요 수입품목의 국산화를 위한 전략기술 개발을 지원
◦ 정부가 지원과제를 미리 정하는 지정공모 방식에서 투자기관이 선별하여 투자한 개발과제를 지원하는 자유응모 방식으로 전환
* (기존) 지정공모 방식 (194개 국산화 전략제품 사전 공고) → (개선) 자유응모 방식
- 민간투자기관에 기존 VC, 은행 등 외에 기술보증기금을 추가
◦ VC 등 투자기관협의회의 심사를 통과한 과제에 대해 대일무역적자 등 무역구조 개선을 위한 소재부품 분야 R&D를 지원(산업부)
|
[
"기술특성, 수출대상 국가별 맞춤형 기술혁신 지원에서 산업부가 지원과제를 미리 정하는 방식은 무엇이니"
] |
unanswerable
|
2f744e09-fc05-4014-abf1-0cc1402f3c1f
|
“경기도, 소공인 규모는 전국 최대… 수익성·지속가능성은 과제”
|
경기도 소공인 육성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제2장 소공인 지원 법・제도 및 정책사례
1. 소공인의 개념 및 지원 배경
2) 소공인 지원의 배경
구조적 취약성과 국내 제조업 침체로 소공인의 경영 애로 심화
핵심 인력의 고령화, 투자자금 및 판로 확보의 어려움 등은 소공인이 겪는 대표적인 애로사항임
- 규모의 영세성, 열악한 작업환경, 낮은 인건비 수준 등으로 인해 젊은 인력의 유입·근로지속율이 낮아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 중
- 특정 분야 숙련기술을 바탕으로 한 단순제조 의존도가 높으며, 정보접근성, 위험 부담 및 투자 확보능력 등이 취약해 혁신을 통한 고부가가치화가 어려운 구조
- 기존 거래 관계 유지 관행으로 신규 거래처 확보에 제약이 있으며, 최종 소비재 중심의생산구조를 갖는 소공인도 판매 채널이 오프라인 매장에 국한된 경우가 많아 적극적인 시장 확대가 어려움
-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매출 감소 및 구인난 등이 심화됨
|
[
"구조적 취약성과 소비재의 침체가 소공인의 무엇을 심화시킬까",
"고령 인력의 유입과 낮은 근로지속율이 소공인에게 일으키는 것은 뭘까"
] |
unanswerable
|
5f901561-68d3-4fbc-aa24-d78b7d526b44
|
경기연구원, “남북경제협력 원칙은 시장경제원칙 속에서 상호 이익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구상돼야”
|
개성공단 기업의 생산성 분석과 남북경협 전략
제1장 서론
제2절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개성공단 기업 내부자료를 사용하여 정량적 방법으로 성과를 분석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주로 공단조성 자체가 남북한 경제에 직․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한국산업단지공단, 2010)나 개성공단 진출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성과를 예측한 분석들이다 (이재훈, 2008; 동명한 외, 2007). 기업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한 연구로는 정유미(2015)가 있는데 이는 처리집단(treated groups)인 개성공단기업들과 이에 대응하는 통제집단(control groups)설정에 있어서 모호성이 존재한다. 통제집단(control groups)에 해외투자기업, 수출기업, 순수국내투자기업을 모두 포함하고 있어서 유효한 반사실적(counterfactual)가정을 따르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엄밀한 결과라고 단언할 수 없다. 한편, 개성공단의 생산성을 엄밀히 분석하기 위해서는 방법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개성공단이 갖고 있는 특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
[
"개성공단 성과 분석 중 개성공단기업들에 영향을 미치는 남북한 경제 집단은 무엇이니",
"방법론적인 측면을 이용해 개성공단 기업의 내부자료를 분석하는 통제집단은 어디야"
] |
unanswerable
|
a0106a1e-f9b8-4ebd-82d2-edab6a853046
|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촉진”을 위한 「제3차 중소기업 기술혁신 5개년 계획」 발표
|
제3차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계획 - 국가성장을 견인할 글로벌 기술혁신 중소기업 육성 -
Ⅲ. 추진전략 및 과제
3 (글로벌 단계) 글로벌 역량 강화
2 국제 기술혁신 네트워크의 확대
□ 국제 협력 R&D 프로그램 참여 확대
◦ 유럽의 중소기업 전용 국제공동 R&D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현지 개발 기술 도입 및 공동 기술개발 기회 확대 (산업부)
* 유로스타2(E☆2) : 범유럽권 최대 R&D 네트워크인 유레카가 진행하는 프로그램으로, 2020년까지 40여개국이 1조 9천억원의 자금을 지원할 것으로 전망
◦ 우수 부설연구소 보유 중소·중견기업과 해외 주요 연구기관·대학*의 전용 공동 R&D 프로그램 확대 (산업부)
* 외투기업 R&D 센터, 외국 대학 국내 분교 등
- 기술력을 旣 확보하고 있는 중소·중견기업을 중심으로 우선 지원
□ 해외순방 외교채널 등을 활용한 국제 협력 프로그램 신설
◦ 중국, 아․태지역, 러시아 등 신흥 지역을 중심으로 중소기업 전용 국제공동 R&D 프로그램 신설 추진
* 한국과 이스라엘 정부는 1998년 양자협정을 통해 양국간 공동 R&D 지원을 위한 공동 기금을 조성하여 운용 중 (24백만불, 91개 과제 지원)
◦ 공동 R&D 기금 설립을 통해 관련 국가의 중소기업, 대학, 연구기관 간 공동 기술개발 및 시장창출 지원
|
[
"중국, 러시아 등 신흥 지역을 중심으로 중소기업 전용 국제공동 알앤디 프로그램 신설 추진에 얼마를 지원하지"
] |
unanswerable
|
d8963c44-597a-425c-898e-b8ad28d9d52b
|
장애를 극복한 모범 장애경제인 정부기관 포상 (25점)
|
장애를 극복한 모범 장애경제인 정부기관 포상 (25점) “장애경제인대회”포상 신청 (9.2(월) ~ 10.4(금))
제출서류
□ 장애경제인부문
① 필수 제출서류
- [서식1]포상신청서, [서식2]공적조서, [서식3]공적약술서, [서식4]포상에 대한 동의서, [서식5]개인정보활용동의서
- 사업자등록증 1부
* 사업자등록증 발급년도는 2013년이어야 함
- 2011년~2012년 재무제표 또는 세무서발행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증명원 1부
- 복지카드, 장애인기업확인서(상시근로자 확인가능) 서류 1부
- 국세납입증명서 1부
□ 유공자 부문
① 필수 제출서류
- [서식1]포상신청서, [서식2]공적조서, [서식3]공적약술서, [서식4]포상에 대한 동의서, [서식5]개인정보활용동의서
- 現 소속기관 사업자등록증 1부
- 現 소속기관 재직증명서 1부
|
[
"유공자 부문의 필수 서류 중 몇 년도에 발급한 소속기관 사업자등록증을 제출해야 하니"
] |
unanswerable
|
a3bdb19e-2c07-442e-a668-aba9f2da1225
|
경기연구원, “광교산 첨단벨트권, 팔당상수원권 등 기초연합형 특별지방자치단체 4곳 설립해야”
|
기초연합형 특별지방자치단체 도입방안
제2장 기초연합형 특별지방자치단체의 이론적 논의
제2절 중앙주도의 거버넌스와 특별지방행정기관
거버넌스(governance)의 개념은 학문별⋅학자별로 매우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공식적 권위 없이도 다양한 행위자들이 자율적으로 호혜적인 상호의존성에 기반을 두어 협력하도록 하는 제도 및 조종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Kooiman & Vliet, 1993: 64). 이러한 거버넌스의 출현 배경을 살펴보면, 국가와 사회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고, 개방체제로 인하여 정부 외부에 존재하는 다양한 행위자들이 정부정책에 관여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정부가 다루어야 할 사회쟁점이 복잡하게 노정되어 공공정책 결정이 증가하고 있고, 이들 사회쟁점이 상호의존적이고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사회쟁점을 다루어야 할 행위자가 정부만이 아니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음에 따라 등장하게 되었다(Kennis & Schneider, 1991: 33-37; Kooiman, 2002: 75).
|
[
"정부 외부에 존재하는 행위자들은 어느 기관에서 등장했어",
"정부는 공공정책 결정을 위해 어느 기관에 의존하니"
] |
unanswerable
|
05135184-8c60-46db-bd11-a74a2e103f86
|
경기연구원, “2050 탄소중립 실행하려면 지역 여건 따라 목표와 경로 다양하게 설계해야”
|
지역의 탄소중립, 목표 선언 넘어 실행이 중요!
Ⅱ. 지역마다 온실가스 배출 특성 및 감축 여건 달라
□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이 가장 많은 곳은 전남(51.6톤CO2eq./인)이며, 온실가스 배출 효율성이 가장 높은 곳은 서울(126.3톤CO2eq./10억원)
○ 산업부문 배출 비중이 높은 전남, 울산, 충남의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이 압도적으로 많은 반면 서울을 비롯한 특⋅광역시의 1인당 배출량이 낮게 나타남
- 전남은 전국 평균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14.1톤CO2eq./인)의 약 3.7배, 서울시는 약 37% 수준으로 두 지역 간에 10배 가까운 차이 발생
○ 온실가스 배출 효율을 나타내는 '지역내총생산(GRDP) 10억 원당 온실가스 배출량'은 서울이 가장 낮아 효율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광주, 부산, 대전 순
- 전남, 강원, 경북, 충남, 울산, 충북, 전북은 국가 평균(402톤CO2eq./10억원)보다 온실가스 배출 효율이 낮은 지역에 속함
○ GRDP당 배출량이 많아 효율이 낮은 지역과 1인당 배출량 간에 양의 상관관계 존재
|
[
"1인당 온실가스 배출 효율성이 가장 높은 곳은 어디니",
"어느 지역이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이 가장 낮을까"
] |
unanswerable
|
76b9ceb0-d53a-4ce1-a104-211a127c7f56
|
미·중 패권 경쟁에 대비한 상황별 5대 시나리오 대응전략 제시
|
미중 패권 경쟁과 한국의 대응전략
Ⅰ. 강대국 패권 경쟁의 개념과 사례
중국의 ‘핵심 이익’ 과 미국의 ‘국가 이익’
중국은 3대 핵심 이익 영역으로 ‘국가 체제 유지’, ‘주권과 영토 보호’, ‘국가 통일 추구’ 를 내세우며 핵심 이익 수호를 위해서는 전쟁 불사도 천명
○ 국가 체제 유지는 공산당 일당 지배와 중국 사회주의 체제의 보전을 말하는 것으로서, 특히 중국 공산당의 안위 확보와 중국사회 전체에 대한 지배권 유지는 가장 큰 목표이자 절대 훼손할 수 없는 원칙
○ 주권과 영토 보호는 중국 정부의 정책과 관련해 타국으로부터 간섭받지 않을 권리와 함께 중국이 자국의 영토와 영해라고 주장하는 육지와 바다에 대한 영구적 소유와 지배가 외부로부터 침해받지 않을 권리를 의미
○ 국가 통일 추구에서는 대만 문제가 핵심으로서 대만의 독립 저지 및 흡수통일은 중국의 핵심 이익이며, 이를 방해하는 세력은 누구든 간에 중국과의 전쟁을 각오해야 한다고 주장
○ 중국 핵심 이익의 문제점은 핵심 이익의 선정이 자의적이고 일방적이며 이에 따라 타국의 국가 이익과 중첩이 된다는 것
- 중국이 핵심 이익이라고 주장하는 센카쿠열도와 서사군도/남사군도는 각기 일본과 베트남/필리핀의 국가 이익이기도 하며, 중국이 자국의 내해라고 외치는 남중국해는 항해자유권을 부르짖는 미국의 국익과 직결된 바다
○ 중국은 핵심 이익의 수호와 더불어 전략적 배후 지역의 안정적 유지, 우호적인 주변 환경 조성, 미중 양국 관계 관리, 중국의 대양해군력 확대, 중국주도의 대안적 국제기구와 국제질서 형성 등을 대외전략기조로 추진
|
[
"미국은 무엇을 수호하기 위해서 전쟁도 불사하려 하지",
"대만의 독립은 미국이 수호하는 무엇과 같을까"
] |
unanswerable
|
dc14ddc6-c849-46d8-9919-42a0b9c8ac92
|
경기연구원, “2050 탄소중립 실행하려면 지역 여건 따라 목표와 경로 다양하게 설계해야”
|
지역의 탄소중립, 목표 선언 넘어 실행이 중요!
Ⅱ. 지역마다 온실가스 배출 특성 및 감축 여건 달라
대부분의 지역에서 온실가스 배출은 지속적으로 증가, 충남 증가율이 최고
○ 울산과 서울을 제외한 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 등 대도시 지역은 전국 평균보다 배출량 증가 속도는 낮지만 총배출량은 계속 증가
- 울산은 에너지소비가 증가하여 가정, 상업⋅공공, 수송(도로), 폐기물 부문 배출량이 2005년 대비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산업공정 배출량이 큰 폭으로 줄어 총배출량도 감소
- 서울은 2018년을 제외하면 2011년 이후 총배출량이 감소하는 추세이며, 2005년 대비 상업⋅공공, 폐기물 부문을 제외한 전 부문에서 배출량이 감소
○ 세종은 2013~2018년 동안 온실가스가 119% 증가하여 매우 가파른 증가 추세
□ 충남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2005년 대비 2018년 GRDP 증가율이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율보다 더 높게 나타남
○ 2005년과 2018년 두 시점을 단순 비교했을 때 서울을 비롯하여 부산, 대구, 경기, 강원, 충북은 GRDP가 온실가스 배출량보다 최소 두 배 이상의 빠른 속도로 증가
○ 충남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 속도가 GRDP 증가보다 더 빠르고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율이 GRDP 증가율의 거의 두 배
|
[
"울산은 2013년부터 2018년 동안 온실가스가 몇 퍼센트 증가했지",
"서울은 2005년부터 2011년 동안 온실가스 총배출량이 몇 퍼센트 감소했을까"
] |
unanswerable
|
3fd94b9f-133c-4195-be60-9561b9eb2c7a
|
경기연구원, “광교산 첨단벨트권, 팔당상수원권 등 기초연합형 특별지방자치단체 4곳 설립해야”
|
기초연합형 특별지방자치단체 도입방안
제2장 기초연합형 특별지방자치단체의 이론적 논의
제2절 중앙주도의 거버넌스와 특별지방행정기관
1. 중앙-지방 거버넌스 현황
현재 우리나라의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거버넌스 현황을 살펴보면, 문제의 성격 차원에서 갈등관리인가, 협력관리인가, 그리고 해결방식 차원에서 당사자간 해결인가, 제3자에 의한 해결인가 등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될 수 있다(***, 2005).
첫째,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갈등 및 분쟁의 조정을 위해, 상급정부인 중앙정부가 지방정부에 대해 지도ㆍ감독이나 시정명령을 내리는 방식이 있다.
둘째,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협력을 위해 하급정부인 지방정부가 국회의 입법과정이나 정부의 정책과정에 직접 참여하는 방식이 있다. 셋째,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갈등 및 분쟁 발생시 「지방자치법」 제168조에 입각하여, 직접적 이해당사자가 아닌 제3자로서 국무총리 소속의 행정협의조정위원회를 구성ㆍ운영하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는 아직까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협력을 제3자가 주재 또는 주도하는 경우가 부재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부분에서는 중앙정부의 지도ㆍ감독 및 시정명령, 지방의 국정참여 및 지방협의체를 통한 대정부ㆍ국회 정책ㆍ입법건의, 행정협의조정위원회 운영 등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
[
"한국 중앙정부와의 협력을 위해 어떤 기관이 국회의 입법과정에 직접 참여하니"
] |
unanswerable
|
c88a19b7-3036-4d03-a557-4c5f42ea3813
|
혁신의 플랫폼, 함께 만드는 스마트시티
|
세종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 시행계획
Ⅲ. 시범도시 7대 혁신요소
6 문화와 쇼핑
2. 시행계획
(3) 수요맞춤형 문화서비스 제공
④ 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한 결제 및 티켓 인증 시스템
○ 결제의 안정성과 티켓의 신뢰도를 보장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 도입
○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결제 시스템으로 사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 강화
○ UX를 고려한 전자 결제 및 결제 서비스를 통해 편의성을 높이고 문화 콘텐츠 구매에 대한 접근성을 높임
○ 콘텐츠 구매자들에 대한 구매 패턴 및 취향 분석 가능
○ 추진일정 : 계약일로부터 540일 (1년 8개월) 이내
⑤ 공연장에서의 다양한 인터렉션으로 한 차원 높은 문화 콘텐츠 소비 경험 제공
○ 입장 시 좌석 안내 및 공연 일정 안내
○ 공연 시작 대기 중 다양한 콘텐츠 제공
○ 아티스트 백스테이지 무대 준비 영상 및 인사 메시지
○ 공연 중 다양한 추첨 행사 진행
○ 무선 RF신호를 통해 공연 라이트 스틱 제어
⑥ 라이프스타일 분석부터 콘텐츠 소비 이후까지 총체적 문화 경험 관리
○ 콘텐츠 소비 후 피드백 분석을 통한 콘텐츠 수요분석 Model 강화
○ 자율자동차를 활용한 안심 귀가 서비스
○ 찾아가는 문화 콘텐츠
○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집에서도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 접근 가능
○ 서비스 시나리오
|
[
"결제의 안정성과 티켓의 신뢰도를 보장하기 위해 아티스트는 어떤 서비스를 도입 했지",
"세종시에서 시민들의 안심 귀가 서비스를 위해 제공하는 것은 뭐야"
] |
unanswerable
|
166ffe79-6e52-4e6d-a2c6-0b4b7b9a066e
|
“경기도, 소공인 규모는 전국 최대… 수익성·지속가능성은 과제”
|
경기도 소공인 육성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제2장 소공인 지원 법・제도 및 정책사례
2. 소공인 지원 관련 법・제도
2) 도시형소공인 지원에 관한 지자체 조례
광역·기초 지자체의 도시형소공인 지원 조례 5곳, 기초 지자체 2곳에서 도시 형소공인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 및 시행
5개 광역지자체와 2개 기초지자체에서 도시형소공인 지원 조례를 제정해 시행 하고 있음
서울특별시에서 2015년 최초로 도시형소공인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한 이후 인천광역시(2017년), 광주광역시(2017년), 경상북도(2019년), 경기도(2019년)에서 조례를 제정
기초지자체 수준에서는 영주시(2020년)와 인천광역시 서구(2021년)에서 조례를 제정
|
[
"서울특별시에서 2017년에 무엇에 관한 조례를 제정했어"
] |
unanswerable
|
7d2766ad-409d-4d13-9663-d6a3fac5eff9
|
경기연구원, “2050 탄소중립 실행하려면 지역 여건 따라 목표와 경로 다양하게 설계해야”
|
지역의 탄소중립, 목표 선언 넘어 실행이 중요!
Ⅲ. 지역의 탄소중립, 이제는 실행이 중요
지자체 탄소중립 이행 모니터링을 위한 인프라 및 지원 체계 필요
□ 지역의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 노력을 지원하고 투명성을 높일 수 있는 일관된 보고체계와 정보 공유를 위한 플랫폼 구축 필요
○ 지방정부의 다양한 활동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이 높지만 데이터와 일관된 보고체계 부족으로 성과를 모니터링하고 가시화하는데 한계
○ 지자체 온실가스 인벤토리, 감축 이행 모니터링, 정책 수단 및 우수사례에 대한 통합 정보 제공, 네트워킹을 위한 플랫폼 및 권역별 지원센터 구축
- 미국 “America’s Pledge“는 지방정부 온실가스 감축 행동 성과 계량화와 보고를 위한 데이터 수집, 결과 홍보, 감축 행동 촉진 및 확산 역할 수행
□ 지역에서는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회복력을 높이는 적응이 중요하므로 지역 여건에 따라 감축과 적응 간 자원배분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유연한 접근 필요
○ 기후변화는 건강, 일자리, 안전, 생태계, 기반시설 등 삶의 질과 경제활동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기후회복력 관점에서 탄소중립 고려 중요
○ 1월 25일 열린 기후적응 정상회의에서 기후회복력 글로벌 목표 추진을 위해 “Race to Zero”와 쌍둥이격인 “Race to Resilience”시작
|
[
"미국의 어느 기관이 race to resilience를 시작했어",
"미국 어느 기관의 온실가스에 대한 일관된 보고체계가 부족하니"
] |
unanswerable
|
28bc573c-2e6a-4415-84da-d0309d815fbc
|
미·중 패권 경쟁에 대비한 상황별 5대 시나리오 대응전략 제시
|
미중 패권 경쟁과 한국의 대응전략
Ⅳ. 한국의 대응전략 : 기본 방향과 상황별 전략
상황별 전략 1. 미국의 패권 지속 시 대미 편승전략과 대중 관여전략을 유지
중국이 동북아시아의 기존 질서를 위협하며 노골적으로 세력 확장과 패권적 행보를 보일 경우, 한국은 미국·일본과 함께 대중국 균형전략을 추진
○ 중국의 기존 역내 질서 거부와 패권 도전은 중국이 미중 간의 세력 전이가 충분히 이루어졌다고 판단하거나, 중국의 핵심 이익들과 미국의 동북아 패권체제는 서로 양립이 불가능하다고 인식할 경우 발생
- 중국이 미국의 패권 체제에 정면으로 도전할 경우, 한반도는 대만해협, 남중국해, 동중국해 등과 함께 미중 대결이 펼쳐지는 주요 전장이 되며, 중국은 북한과 공조하여 한미동맹 무력화와 한반도 장악을 기도할 전망
○ 한편, 한국은 일본에게는 구속전략을 구사하여 일본의 정상국가화와 재무장이 한국의 이해관계에 반하지 않는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유도
- 한국은 한일 우호협력을 명분으로 삼아 일본 정부에 한국의 의견과 선호를 제도적으로 전달하고 관철하여 한국의 국익에 부합되는 방향으로 일본의 대외정책이 전개되도록 유도
- 또한,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을 일본 자위대에 심어둔 ‘트로이의 목마(trojan horse)’로 삼고 군사협정의 당사국으로서 일본의 국방정책과 군사전략이 한국의 국익을 침해하지 않도록 견제하는 구속전략을 전개
|
[
"한국은 중국에게 무엇을 구사하여 중국의 재무장이 한국의 이해관계에 반하지 않는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유도했지",
"미국은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을 중국에 심어둔 트로이의 목마로 한국의 국익을 침해하지 않도록 무엇을 전개했니"
] |
unanswerable
|
6c3ee1d3-e6b7-4390-a30e-10464ce3a467
|
경기연구원, 녹색금융 활성화 위해 경기녹색금융공사 설립 제안
|
경기도 에너지전환을 위한 녹색금융 활성화 방안 연구
녹색금융의 배경 및 국내외 동향
3. 국내외 동향
1) 해외 동향
(1) 녹색분류체계 및 기준
□ EU 지속가능금융 행동계획(2018)과 녹색 분류체계(Taxonomy)
○ EU집행위는 지속가능금융 고위급 전문가 그룹(HLEG, EU High-Level Expert Group on Sustainable Finance)에서 공표한 보고서를 바탕으로 2018년 3월 ‘지속가능금융 행동계획(Action Plan on Financing Sustainable Growth)’을 발표하였음.
- 지속가능금융 행동계획은 1) 지속가능한 경제를 위한 자본흐름 유도, 2) 지속가능성 관련 이슈를 리스크 관리의 핵심에 반영, 3) 금융의 투명성 및 장기주의 확산 등 3대 목표를 위한 10개 행동계획으로 구성됨.
- 10개의 행동계획은 지속가능 활동에 대한 개념 정의 및 표준․기준 마련, 지속가능성 벤치마크 지표 개발 등, 지속가능 활동에 참여하는 기업에 인센티브를 제공하기 위한 초석 마련과 ESG 정보공시를 확대하기 위한 EU 차원의 제도 입안계획 등을 다루고 있음.
|
[
"지속가능한 경제를 위한 자본흐름 유도, 금융 투명성 등 3대 목표를 위한 녹색 분류체계로 구성된 계획이 뭐니"
] |
unanswerable
|
f978c544-50dc-42b3-8503-d15481ecae4c
|
(사진추가) (코로나19 긴급대응단 정례기자회견) 남양주 공장 집단감염 확진자 도내 119명…도 “유행 재확산에 철저히 대비”
|
남양주 공장 집단감염 확진자 도내 119명…도 “유행 재확산에 철저히 대비”
도는 지난 17일 공장건물 전체를 폐쇄조치하고 질병관리청과 경기도 역학조사관들이 현장에 출동해 생산라인 및 기숙사 내 검체를 채취해 현장 위험도 평가를 실시했다.
또 산단 내에 임시선별검사소를 설치해 59개 입주업체 1,300여명에 대해전수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직원들이 이용한 식당과 산단 내 셔틀버스에 대해 역학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임 단장은 “보다 정확한 역학조사 결과가 공개되어야 상세한 분석이 가능하겠지만, 집단 감염이 새로 확인된 초기에 높은 양성 비율로 많은 수의 확진자가 쏟아져 나오는 경우는 그 집단 내로 바이러스 병원체가 유입이 된 시점이 상당 시간 흘렀을 가능성이 높다”며 “사회가 이를 늦게 발견한 것일 수 있다. 이런 사건들을 더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도는 현장을 더 꼼꼼히 살피고, 어떤 지원과 관리가 필요한지 새로운 마음으로 확인하겠다”며 “도내 31개 시군과 민주적으로 소통하면서, 광역자치단체의 지원과 관리 책임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18일 0시 기준, 경기도 확진자 수는 전일 대비 241명 증가한 총 2만2,043명으로, 도내 24개 시군에서 확진자가 발생했다. 경기도에서 200명대 확진자를 기록한 것은 1월 9일 이후 41일 만이다.
17일 20시 기준 일반과 중증환자 병상을 합한 도내 의료기관 확보 병상은 총 1,630개(중수본 지정병상+경기도지정병상)이며, 현재 병상 가동률은 47.6%로 776병상을 사용하고 있다. 중증환자 치료 병상은 총 198병상을 확보했으며 이중 71개를 사용해 현재 가동률은 35.9%다.
|
[
"경기도 내 일반 환자 병상으로 의료기관이 확보한 병상은 총 몇 개야",
"일반환자 병상으로 사용 중인 198병상을 합한 남양주 내 의료기관 확보 병상은 총 몇 개야"
] |
unanswerable
|
d649b9e4-fa0f-4374-97f0-23e930ee4d2b
|
경기연구원, 녹색전환을 위한 10대 환경 전략 제안
|
“녹색전환을 위한 10대 환경 전략”
Ⅰ. 녹색전환 동향과 전망
코로나-19 위기 및 기후위기 극복 전략으로 사회경제 구조를 친환경적으로 개편하는 그린뉴딜 추진
○ ‘그린뉴딜’은 한국판 뉴딜의 한 축으로 단기적으로는 경제회복, 일자리 창출에 역점을 두고, 장기적으로는 탄소중립 경제사회구조로의 전환이 목적
- 지속가능발전, 그린뉴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효과적인 이행체계 구축 필요
- 지자체와의 협력, 국민 참여, 민간투자 유도를 위한 녹색금융 활성화, 예산의 탄소영향 평가 등 그린뉴딜의 성공적인 이행기반 마련 필요
○ 그린뉴딜은 장기적인 회복력 관점에서 현재의 위기 대응 투자를 통해 미래 리스크를 예방하고 불평등 완화에 기여하는 ‘후회없는(no-regret)’ 원칙 중요
- 기후변화에 따른 열파와 이상고온, 여름철 집중호우 등 극한 기후의 빈번한 발생으로 인명 및 재산 피해 증가
- 하천 제방 증고, 하수관로 확대 등과 같은 구조적 대책으로는 이상기후로 인한 홍수피해 저감에 한계, 비구조적이고 자연회복력에 기반한 접근 강조
- 기후변화에 안전한 공간과 그린인프라를 조성하고 도시의 적응능력을 높이는 사전예방적 투자 중요
- 재생에너지 확대, 에너지효율 향상과 함께 공공보건 인프라, 기후변화 취약계층 건강 보호 등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사회안전망 구축 필요
|
[
"기후변화 취약계층 건강 보호를 위한 사회안전망 구축 사업을 무엇이라고 하니",
"이상기후로 인한 홍수 피해 시 하천 제방 증고, 하수관로 확대 등과 같은 대책을 세운 사업을 무엇이라고 하니"
] |
unanswerable
|
d4038f37-abb3-4b42-9da5-567ec299e0f6
|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촉진”을 위한 「제3차 중소기업 기술혁신 5개년 계획」 발표
|
제3차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계획 - 국가성장을 견인할 글로벌 기술혁신 중소기업 육성 -
Ⅲ. 추진전략 및 과제
2. 기술혁신 지원체계 효율화
2 추격형에서 선도형 R&D 지원체계로 전환
3 중소기업의 도전성․창의성 제고
중소기업형 유망기술 분야 제시 및 우선투자
□ 발굴된 기술에 대한 정보제공 확대
◦ 발굴된 기술에 대해 단순히 ‘중소기업 R&D 종합정보망’에 게재하던 방식이 아닌 별도의 기술정보 웹사이트를 구축하여 활용도 제고
- 편리성을 위해 검색기능을 구축하여 미래유망기술에 대한 필요정보(산업·기술·시장·특허·무역분석 등)를 적시에 제공
□ 중기청 R&D와 연계하여 유망기술 보유 中企에 대해 집중지원
◦ 기술로드맵을 통해 발굴된 기술을 바탕으로 차년도 기술개발 과제제안서(RFP)를 도출하거나 과제선정 시 해당 기업에 우선지원
* 유망기술 분야 도출 → 기술로드맵 제시 → RFP 도출 또는 과제공고
◦ 정부 지원 R&D의 성과분석 결과 나타난 유망분야(기계소재, 전기전자 등) 및 취약분야(정보통신, 바이오 등)의 中企에 대해 차별화된 지원전략을 수립
|
[
"대한민국 정부가 발굴해 지원하는 중소기업의 기술로드맵에 대한 정보를 어디에 공고할 예정이야"
] |
unanswerable
|
e9bf23cb-4f2c-4f38-a351-c759dd58e8d7
|
수요-공급 미스매치로 전기차・수소차 충전 인프라 낙제점 … 생활거점에 집중 설치해야
|
미래차 상용화 발목잡는 충전인프라
Ⅱ. 수요 대비 턱없이 부족한 충전인프라
공용 전기차충전기는 수요에 비해 매우 부족, 운영 효율성도 낙제 수준
□ 2014~2020년간 공용 급속 전기차충전기 설치 운영 결과, 심각한 수요-공급 미스매치 발생
○ 설치지점뿐만 아니라 기존 시⋅도 지역별 공용 급속 전기차충전기의 설치 운영 비효율성도 그대로 드러나고 있는 실정
- 강원도 공용 급속 전기차충전기 구축 비중은 17개 시⋅도 중에서 5위(7.6%)이지만 실제 충전량은 15위(4.2%) 비중에 그쳐 비효율성 초래
- 전라남도도 공용 급속 전기차충전기 구축 비중이 17개 시⋅도 중에서 6위(6.8%)나 되지만 실제 충전량은 16위(3.9%) 비중에 그치고 있는 실정
- 반면, 충청북도는 설치 비중이 4.5%, 11위인데도 실제 충전량은 5위로 비중이 6.4%나 차지하여 미스매치 발생
- 대전시도 설치 비중이 2.0%, 16위인데도 실제 충전량은 7위로 6.3% 비중 차지
수소충전소 구축, 정부 목표 대비 달성률 28.1%에 불과
□ 2019년까지 86개소, 2020년까지 167개소 구축 목표였으나 2020년 12월 31일 기준 47개소 구축으로 매우 저조한 실적
○ 수소차 보급은 늘고 수소차 충전수요는 폭증하고 있지만, 수소충전소 확충은
부지확보 어려움과 지자체 인허가 지체로 난항
- 수소충전소 구축 정부 목표가 2020년까지 167개소였으나 47개소만 운영중으로 달성률이 28.1%로 매우 저조한 실정. 이런 추세로는 2022년 310개소, 2025년 450개소, 2030년 660개소, 2040년 1,200개소 구축 달성 지난(至難)
|
[
"공용 전기차충전기 구축을 강원도에 2019년까지 몇 개소를 목표로 할까"
] |
unanswerable
|
44226a60-563a-4517-a817-9b012c33a409
|
수요-공급 미스매치로 전기차・수소차 충전 인프라 낙제점 … 생활거점에 집중 설치해야
|
미래차 상용화 발목잡는 충전인프라
Ⅲ. 생활거점 중심의 충전인프라 확충해야
전기차충전기‘생활거점’확충하고, 설치 운영 효율화 도모
□ 주거지⋅직장 공용 완속 전기차충전기 확충, 주유소 급속 충전기 설치 확대
○ 기종점(起終點) 통행량이 많은 지역과 지역간 간선도로 상에 공용전기차충전기 확대 설치
- 수도권 기종점 통행량이 많은 공용 완속 전기차충전기 확대 필요 지역 예시 :
1순위 : 성남시(분당),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부평구, 부천시, 고양시(일산), 은평구
2순위 : 용인시, 수원시, 안양시(평촌), 금천구, 광명시, 구로구, 부천시(중동), 강서구, 영등포구, 마포구, 중구, 하남시, 강동구, 김포시, 인천 서구, 남양주시, 노원구
- 수도권 통행량이 많은 공용 급속 전기차충전기 확대 필요 지역간 간선도로 예시 :
1순위 : 성남시-강남구, 성남시-서초구, 성남시-송파구, 부천시-부평구, 고양시-은평구
2순위 : 용인시-강남구, 용인시-서초구, 수원시-강남구, 안양시-금천구, 광명시-구로구, 부천시-강서구, 김포시-인천 서구, 김포시-강서구, 고양시-영등포구, 고양시-마포구, 고양시-중구, 남양주시-노원구, 하남시-강동구
|
[
"미래차의 상용화를 확대하는 충전인프라를 확충하기 위해 직장에 급속으로 설치해야하는 게 뭘까"
] |
unanswerable
|
5da60542-a6f4-4a91-8d70-05c78b703e21
|
바이든 행정부의 미중 전략경쟁, 한국의 외교적 위상과 실익 확대 기회로
|
바이든 행정부의 대중정책 한국에 기회인가?
Ⅱ. 무역에서 과학기술로 확대되는 패권경쟁
바이든 행정부는 중국과 경쟁⋅협력을 병행하며 압박은 소극적 예상
중국을 적이 아니라 경쟁자로 규정함으로써, 바이든 행정부는 전 정부와 목표는 유사하지만, 정책의 수단과 방법에서는 근본적인 차이
○ 안보, 인권, 무역, 사이버보안 미국의 국익과 가치에 반하는 의제에서 동맹국들과 대중국 압박을 위한 협력 체제를 구축
- 중국이 민주주의와 인권을 존중하도록 만들기 위해 민주주의 정상회담의 개최를 계획하면서 민주주의 체제를 가진 동맹국들과 연대를 강화
- 사이버안보, 인터넷 거버넌스, 데이터 보호, 저작권, 개인 정보, 인공지능 등에서 중국이 국제 규범⋅표준을 준수하도록 압박
○ 기후변화와 코로나19와 같은 초국가적 인간안보 문제를 해결을 위해서는 중국과 협력이 불가피하다고 인식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탄소 배출량 감소와 에너지 전환기술 지원 그리고 코로나19 전염병 통제를 위한 국제공조에서 중국과 협력에 긍정적
|
[
"중국의 동맹국들이 무엇을 존중하도록 미국이 동맹국을 압박하지",
"중국은 민주주의 정상회담에서 미국이 무엇을 준수하도록 압박하고 있니"
] |
unanswerable
|
5030f5eb-ecf8-4f69-999a-ec3de923d738
|
혁신의 플랫폼, 함께 만드는 스마트시티
|
세종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 시행계획
Ⅴ. 시범도시 구축/관리방안
(3) 혁신요소별 블록체인 구축 사용사례
에너지와 환경
□ 전력거래 플랫폼 구축
○ 생산자 겸 소비자를 위한(prosumer)전력 인프라 및 쉬운 전력 마켓 접근성의 분산화
- 회복가능 마이크로그리드 생성 촉진, 송전 관련 손실 절감, 독립형 동력원의 경제적 수익 개선
○ 신재생에너지를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 조달을 통해 시민들에게 인센티브 부여, 에너지 생산과 거래 장려
□ 에너지 소매
○ 전기요금 절감효과를 제공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을 통해 블록 체인 에너지 소매업자의 행정/영업비용을 크게 절감
- 실시간 전력 결제, 중간 시장 창조, 미래형 동적 로드 밸런싱을 이용한 그리드 촉진
○ 전기 차량 사용 증가에 따라 차량이 생산한 에너지를 지역 충전소, 공업, 상업 건물에 판매 가능
□ 블록체인 핵심기술 운용
○ 블록체인 핵심 기술을 통해 새로운 시장의 거래 중개자로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효율 극대화
-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 : 거래자 사이에 중앙관리자의 개입 없이 프로슈머가 그리드 상으로 직접 공유하고, 모든 거래가 추적 가능하므로 소비, 거래, 보관 시 거래자의 신뢰를 보장하고 중간 결정권자 없이 자동으로 처리
- 공증(Provenance) : 네트워크상의 소유권자는 추적 가능해야 함
-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s) :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거래와 지불
- 토큰화(Tokenization) : 에너지 구성단위를 쉽게 토큰으로 얻고 외부 디지털 거래와 도시에서 사용 가능한 토큰과 연결
- 안전한 식별 관리와 지갑 통합(Secure Identity Management and Wallet integration) : 원활한 거래를 위해 프로슈머의 지갑과 원장 식별자를 직접적으로 연결
|
[
"세종 스마트시티 시범도시 시행계획에서 에너지 소매업자가 신재생에너지를 거래할 수 있도록 무엇을 구축하지",
"블록체인 핵심 기술을 이용해 생산자 겸 소비자를 위한 전력 인프라를 분산화하려고 무엇을 구축하니"
] |
unanswerable
|
c78480fc-23a6-490b-905f-63f5912f3d24
|
경기도 자영업자 56%, 개인 차량 랩핑 광고 원해
|
내 차에 광고를 한다고?!
Ⅱ. 개인 차량 광고에 긍정적인 시민들
현금이나 세금감면의 적정 광고료 보상 희망
일반시민들은 승용차 옆면 광고에 대해 월 3만원, 자영업자들은 승용차에 대해서는 월 5만원, 트럭에 대해서는 월 10만원 광고료 희망
○ 일반시민은 승용차 옆면 부착 광고에 대한 적정 광고료로 월 3만원이란 응답이26.8%, 월 5만원이란 응답이 26.0%로 높게 나타남
- 승용차 후면 광고료에 대해서는 ‘월 2만원’이 30.8%로 가장 높고 ‘월 5천원’이29.6%, ‘월 1만원’이 25.6% 등의 순으로 조사
○ 자영업자는 승용차 부착 광고(옆면+뒷면)에 대해서는 월 5만원, 트럭 부착 광고(옆면+뒷면)에 대해서는 월 10만원의 광고료를 가장 많이 선호
- 자영업자는 승용차 부착광고에 따른 적정 광고료로 ‘월 5만원’이란 응답이 34.8%로 가장 높고 ‘월 3만원’이 30.8%, ‘월 1만원’이 15.6% 응답
- 트럭에 대해서는 ‘월 10만원’이란 응답이 48.8%로 가장 높고 ‘월 18만원’이 12.8%, ‘월 14만원’이 12.4% 등의 순으로 응답
|
[
"무엇의 옆면 광고에 대해 일반시민들 48.8퍼센트는 월 5만원의 광고료를 희망하니",
"자영업자는 무엇의 부착 광고에 대해 월 14만원의 광고료를 가장 많이 선호해"
] |
unanswerable
|
e740e93d-6cce-43ed-8250-4cd7f63365ba
|
외국인 3명 중 1명 경기도 거주… ‘병존’의 다문화사회에서 ‘공존’의 상호문화사회로 나아가야
|
“상호문화도시와 경기도 상호문화 이해 증진 방안”
Ⅱ. 상호문화도시의 의미
1. 상호문화도시 추진개요
□ 등장배경 및 주요 개념
○ 다문화주의 및 다문화정책의 개념적, 정책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상호문화주의와 이에 바탕을 둔 상호문화정책으로서 ‘상호문화도시 프로그램(ICC, Intercultural cities programme)’을 2008년 유럽평의회(Council of Europe)와 유럽연합(European Union)이 공동으로 제시함
- 상호문화도시 프로그램은 유럽평의회와 유럽연합이 함께 주관하여 시작되었으나 2014년부터는 유럽평의회에서 단독으로 상호문화도시 프로그램을 주관하고 있음
○ 상호문화도시는 상호문화주의(interculturalism)를 실천하는 도시를 의미하며 선주민과 이주민간 상호교류를 통해 함께 더불어 살아가기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하고자 하는 도시들을 선정하여 지원하는 사업임
○ 상호문화도시는 상호문화주의(Interculturalism), 개방성(openness), 다양성의 이점(diversity advantage)을 핵심 개념으로 제시함
- 다양성, 개방성이 사회의 자원으로 활용되며 다양한 문화가 상호작용하고 교환됨으로써 상호학습, 상호공동 성장과정 등을 통해 사회적 혁신과 창조, 경제적 이익 달성 창구가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음
|
[
"다문화주의를 실천하는 도시를 의미하는 개념은 무엇이야",
"2014년 유럽평의회와 유럽연합에서 공동으로 제시한 프로그램은 어떤 프로그램이지"
] |
unanswerable
|
815b5c08-18c6-45cd-b49d-12525df7219a
|
국토부, 입지규제 최소지구 도입
|
2014년 국토교통부 핵심과제 실천계획
Ⅵ. 2014년 핵심과제 실천계획
국민 눈높이에 맞게 일하는 방식을 바꾸겠습니다.
1. 산하 공공기관 경영 정상화
□ 강도 높은 부채절감
ㅇ 전체 공공기관 부채(493조)의 43%를 차지하는 국토부 산하 공공기관부채규모를 중장기계획 대비 2014년 12조원, 2017년까지 24조원 감축
- 부채비율은 2017년까지 35%p 축소(2013년 246% → 2017년 211%)
ㅇ 주요기관별 부채절감 방안
- LH는 자산매각, 사업 구조조정 등을 통해 2016년부터 부채 절대규모를 축소, 2017년까지 중장기계획 대비 16조원 감축(163→147조원)
* LH 부채(142조원)는 국토부 산하 공공기관 총 부채(223조)의 64%를 차지
- 수자원공사(부채 14조원)는 신규투자 최소화 등 자구노력과 함께, 국책사업 투자비* 분담대책도 조기에 마련(2014.7)
* 2013년 현재, 수공 전체 부채(14조) 중 4대강 투자비(7.4조)가 53% 차지
- 철도공사는 경쟁체제 도입, 자산매각 등을 통해 2015년부터 영업흑자전환 및 부채규모 축소(2013년 15.2 → 2017년 13.1조원)
□ 방만한 경영관행 개선
ㅇ 국민의 눈높이에 맞지 않는 8대 방만경영 사항* 전면 개선
* 교육비․의료비․경조금 과다지원, 과도한 특별휴가․퇴직금, 고용세습 등
ㅇ 경상경비를 10%이상(LH는 20%) 절감하고, 2017년까지 조직도 동결
ㅇ 국토부 및 공공기관 홈페이지에 부채 및 경영정보를 상세히 공개
ㅇ 정상화대책 추진현황을 매월 점검하고, 2014.6월까지 추진실적을 중간 평가하여 부진한 기관장은 해임건의 등 조치
|
[
"LH가 자산매각, 사업 구조조정 등을 통해 부채의 몇 퍼센트를 감축시켰어",
"수자원공사는 국토부 산하 공공기관 총 부채에서 경상경비를 몇 퍼센트 이상 절감하려고 해"
] |
unanswerable
|
d85ba567-15c6-4e7d-b99d-090643ddd3e6
|
국토부, 입지규제 최소지구 도입
|
2014년 국토교통부 핵심과제 실천계획
Ⅵ. 2014년 핵심과제 실천계획
국민 눈높이에 맞게 일하는 방식을 바꾸겠습니다.
2. 공정한 시장질서 확립
나 운송산업 분야
□ (전세버스) 직영, 협동조합 방식의 사업운영을 통해 지입제를 근절하고, 이중제동장치 의무화 등 안전 강화 추진(2014.12)
ㅇ 공급과잉* 해소를 위해 일정기간 신규등록 및 증차 제한(2014.12)
* 2011년 기준, 약 3,590~6,592대(전체의 9~17%) 정도 과잉공급 추정(KOTI)
□ (물류산업) 화물차주 보호를 위해 차주에게 사업권 양수비용 전가, 일방적 계약해지 등을 금지하고, 위반시 처벌 근거 마련(2014.12)
ㅇ 화주와 물류기업간 표준계약서 작성을 유도*하고(2014.6), 운송업체와 차주간 상생 가이드라인 보급(2014.12)
* 표준계약서 활용도가 높은 기업 명단 공포, 모범사례 발굴․홍보 등 지원
□ (자동차 공제) 버스·택시 등 사업용 자동차 사고 피해자가 민간 보험사 수준으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공제제도 개선(2014.12)
* 보상건수대비 민원발생률(2012년) : 일반보험 0.85%, 공제사업 1.81%
□ (항공) 취소수수료 과다, 지연․결항 등 항공사의 부당행위를 개선*하고, 항공권 판매시 총액운임 표시 의무화(2014.7, 외국계 항공사 포함)
* 개선사항 불이행시 사업개선명령(국토부) 및 시정권고(공정위) 등 추진
|
[
"운송산업 분야에서 전세버스는 2014년도에 몇 퍼센트의 신규등록 및 증차 제한이 이루어졌니",
"2014년 물류산업에서 화주와 물류기업간 표준계약서 작성률은 몇 퍼센트야"
] |
unanswerable
|
a0d393b6-fefd-4ff2-942b-e9f6c8826bf1
|
(참고자료 추가) 도, 학교·도서관 등 87곳에 ‘그린커튼’ 조성한다…축구장 2개 면적 녹지조성 효과
|
그린커튼 만들기 자연과 사람이 공존하는 생활 속으로
03 그린커튼 설치
3-1. 그린커튼 설치방법
1 건물 하단에 화분 및 고정장치(백관) 설치
- 화분은 건물에서 2~4m 정도 이격하여 배치 창문개폐 등을 위한 여유공간
2 화분 상단에 구멍을 내고 백관(32mm)과 단단히 결속 케이블타이10mm활용
3 건물 상단 또는 옥상에 식물 유인 로프 고정장치 장착
4 옥상면에 앙카볼트 설치하고 백관(25mm)을 결속 누수방지 조치, 균열주의
5 식물 유인로프 설치 높이에 따라 다른 굵기 사용(평균 5mm)
6 30cm 간격으로 상하부 백관과 결속
*바람의 영향으로 마모의 우려가 있는 옥상 접촉면은 편사호스 등 pp로프 마모 예방조치 필요
7 점적호스와 수도관을 연결하여 자동관수 장치 설치
8 병충해 방제를 위해 식재 전 살충제를 적당량 살포 후 토양과 혼합
9 식물 식재 내부에서 외부 조망을 원할 경우 식재간격을 넓힐 수 있음(60cm간격)
|
[
"무엇을 설치할 때 화분을 건물에서 60cm 간격씩 이격해 배치하지",
"무엇을 설치할 때 화분 상단에 구멍을 내고 테이블타이 굵기 5mm를 사용해 식물 유인 로프 고정장치를 장착해"
] |
unanswerable
|
db00101e-7274-47a6-b7bd-b0b4ab4d1a0f
|
경기연구원, 2021년 경기도 GRDP 성장률 3.6%로 전망
|
2021년 경기도 경제 전망
연구요약
경기도 제조업 기업체 설문조사 결과 2021년에도 경기전망에 대한 응답 중 비관적인 응답의 비율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규모별로는 중소기업체가 더 부정적으로 응답했다. 2021년 설비투자는 대기업 위주로 투자를 늘어날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소기업은 설비투자를 줄일 것으로 응답한 비율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경기침체 및 경기회복에 대한 불확실성 확대로 인해 2021년에도 신규채용 축소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조사되었다. 2020년 경기도 제조업체들의 기업경영상 가장 큰 애로사항은 불확실한 경제상황이 선정되었으며,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결과로 판단된다.
부동산 및 건설업체들은 올해 업황이 악화된 것으로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2021년 경기에 대해서도 비관적 전망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신규 채용규모를 축소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향후 부동산 거래량에 대해서는 2020년 7.10 부동산 규제의 여파로 주택매매 거래량은 증가하는 반면, 전세거래량은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다. 2021년 주택가격 전망에 대해서는 상승할 것이라는 의견이 대다수인 것으로 나타나 정부의 부동산 규제가 부동산 시장의 과열을 막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
[
"경기도 제조업 기업체 설문조사에서 중소기업 위주의 설비투자가 늘어나 채용도 늘어날 것으로 조사된 것은 언제지",
"경기도 제조업 기업체를 대상으로 한 몇 년도 설문조사에서 주택매매 거래량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어"
] |
unanswerable
|
c7cd5575-6aa3-45a6-8d5c-091495876af2
|
외국인 3명 중 1명 경기도 거주… ‘병존’의 다문화사회에서 ‘공존’의 상호문화사회로 나아가야
|
“상호문화도시와 경기도 상호문화 이해 증진 방안”
Ⅳ. 경기도 상호문화 이해 증진 방안
1. 경기도 상호문화 이해 증진 필요성
□ 낮은 경기도민 다문화수용성
○ 경기도의 전반적인 다문화수용성 수준은 2012년(49.94점) 대비 2015년(55.32점)에 다소 증가하였으나 2018년(55.00점)에는 2015년과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남
○ 지속적인 경기도와 시⋅군 단위에서의 다문화정책 추진에도 불구하고 경기도민의 다문화수용성 수준은 크게 개선되고 있지 않음에 따라 타 문화를 이해하고 지역사회의 공동체로 인식하기 위하여 다문화수용성을 제고할 수 있는 상호문화교류 확대가 필요함
□ 경기도내 이주민 집중거주 지역의 분리 현상 초래
○ 주거비용이 저렴한 지역에 일반적으로 이주민이 많이 유입되고, 선주민이 그 지역을 떠나면서 이주민 집중 거주 지역이 되고 있음
- 다문화주의와 다문화정책으로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진 이주민과 선주민이 지역내에서 함게 살아가기는 하지만 같은 ‘동’ 단위 지역이라고 해도 이주민과 선주민이 거주하는 지역이 분리되는 경우도 있음
○ 분리와 배제는 갈등을 조장하고 사회통합을 저해하기 때문에 이주민과 선주민간 상호교류 확대 필요성이 강조됨
|
[
"경기도에서 이주민과 선주민이 지역 내 함께 살아가기 정책을 언제 추진했어"
] |
unanswerable
|
e25dc571-21da-4f5e-9a45-6133b377c2a5
|
(사진추가) (기자회견) 이재명, 2차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도민 1인당 10만 원씩 지급
|
이재명, 2차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도민 1인당 10만 원씩 지급 - 지급시기는 민주당 권고 존중. 방역추이를 면밀히 점검한 후 결정
■ 경기도 2차 재난기본소득 지급 대상과 규모는?
경기도는 도민 1인당 10만원씩 소멸성 지역화폐로 지급한다. 지급 대상은 내국인1,341만 명과 등록외국인과 거소 신고자 58만 명을 포함한 약1,399만 명이다.
필요한 재원은 재난기본소득 지급액 1조 3,998억 원과 부대경비 37억 원 등 총 1조4,035억 원이다. 해당 재원은 지역개발기금 8,255억 원과 통합재정안정화기금 5,380억 원, 재난관리기금과 재해구호기금 400억 원으로 조달할 계획이다.
지급대상자는 2021년 1월 19일 24시 현재 경기도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경기도민이다. 기준일 당시 태아는 기준일에 아버지 또는 어머니가 경기도민이라면 출생 이후에 예외적으로 신청 대상이 된다. 외국인의 경우에도 결혼이민자와 영주권자에게만 지급했던 1차 재난기본소득 때와는 달리 등록 외국인은 물론 국내 거소 신고를 한 외국국적 동포까지 모두 지급받을 수 있다.
신청은 1차 재난기본소득과 마찬가지로 온라인과 현장신청으로 진행되며, 신청기한과 사용기한도 원칙적으로 1차 재난기본소득 방식과 동일하다.
다만, 구체적인 신청방법과 지급 시기는 정하지 않았다.
|
[
"경기도 2차 재난기본소득은 언제 신청하지",
"경기도 2차 재난기본소득은 지역화폐로 언제 지급될까"
] |
unanswerable
|
86214dfd-169f-48ac-9e8e-e7c2818d0942
|
경기연구원, 2021년 경기도 GRDP 성장률 3.6%로 전망
|
2021년 경기도 경제 전망
2020년 경기도 경제 동향
제2절 부문별 동향
1. 산업생산
경기도의 2020년 1~10월 중 광공업생산은 전년동기대비 11.0% 증가하여 전년도의 2.4% 증가에 비해 크게 확대되었다. 전국의 광공업생산이 동기간 중 0.0% 감소하는 정체를 보인 것을 고려하면 경기도 산업생산은 국내외 여건의 악화에도 불구하고 선방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전국 17개 광역시·도 중 인천 및 세종시를 제외한 14개 광역시·도가 큰 폭의 감소세를 나타내며 전국의 광공업 생산 증가율이 전년에 이어 2년 연속 부진한 점을 고려하면 2020년 경기도 산업생산 활동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우리나라의 경기침체를 완화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고 볼 수 있다.
경기도의 2020년 1~10월 제조업 생산은 전년동기대비 11.1% 증가함으로써 전년의 2.3% 증가를 크게 상회하였는데 이는 자동차, 화학품, 금속 등 대부분의 생산이 전년보다 감소하였으나 식료품의 생산이 전년보다 확대되고 ICT 제품과 일반기계 및 장비 생산이 크게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
[
"2020년 1월부터 10월까지 전년동기대비 11.1퍼센트 감소한 세종시의 생산제품이 뭐야",
"2020년 1월부터 10월까지 무슨 생산제품이 인천의 코로나19 확산으로 감소세를 보였니"
] |
unanswerable
|
8e3b18d7-8087-4001-899e-1c713cd40991
|
경기도 로컬푸드 직매장 수와 납품 농가 연평균 50% 내외 성장… 경기연구원, 경기도 로컬푸드 사업의 비전과 미션 제시
|
“경기도 로컬푸드 사업 활성화 방안 연구”
Ⅰ. 로컬푸드 사업 추진 배경 및 현황
2. 국내외 로컬푸드 사업 현황
(2) 경기도 로컬푸드 직매장 운영현황
□ 경기도 로컬푸드 직매장 총량 제고와 평균적인 사업운영 성과 개선의 필요성 대두
○ 경기도는 로컬푸드 직매장 수 및 참여농가를 기준으로 로컬푸드 사업의 양적 성장을 달성
- 경기도 내의 로컬푸드 직매장 수는 2013년 5개소 대비 2019년 53개소로 48개소가 증가하였고, 연평균 48.2%의 성장률을 보임
- 로컬푸드 직매장 납품 농가는 2013년 960농가에서 2019년 11,278농가로 10,318농가가 증가하였고, 연평균 50.8%의 성장률을 기록하는 등 경기도 로컬푸드 사업은 양적으로 성장
|
[
"경기도 로컬푸드 직매장 납품 농가가 48.2퍼센트 증가한 것은 언제지",
"경기도는 로컬푸드 사업에 언제 참여했어"
] |
unanswerable
|
beaefc85-05dc-4b01-bc43-521d7fdff552
|
국민 10명 중 8명, “월 20만원 또는 월 50만원 기본소득 도입에 찬성” - 경기연구원, 국민 1만명 설문조사
|
사람들은 기본소득을 이렇게 생각한다- 2021 기본소득 일반의식 조사 결과(I) -
Ⅰ. 높아지는 기본소득 인지도
기본소득 도입 찬성과 조속한 실시 여론이 압도적으로 높음
응답자 80.8%는 월 20만 원 또는 월 50만 원의 기본소득 도입에 찬성
○ 월 20만 원 지급에 찬성하는 비율은 71.7%(반대 22.1%), 월 50만 원 지급에 찬성하는 비율은 59.4%(반대 34.5%)로 나타남
- 한편, 2018년 한국종합사회조사(KGSS)의 찬성 비율은 37.2%(반대 30.6%, 중립 32.2%), 2020년 10월 ‘사회보장과 기본소득 인식조사’(연세대 복지국가연구센터)의 찬성 비율은 42.8%(반대 26.0%, 중립 31.2%)였음
- 위의 두 조사는 문항과 척도의 차이 때문에 경기연구원의 조사와 직접적인 비교가 어렵지만, 월 20만 원 기본소득의 찬성 비율만 보면 이 두 조사에서의 찬성과 중립 모두를 합한 비율(각각 69.4%와 74%)과 거의같다는 점에서 긍정적 여론의 우세를 짐작할 수 있음
○ 월 20만 원 또는 월 50만 원의 기본소득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 찬성한 응답자는 전체의 80.8%이고, 모두 반대한 응답자는 14.4%에 불과함
- 전체 응답자의 50.3%는 기본소득 지급 액수와 상관없이 도입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 월 20만 원의 기본소득에는 찬성하지만 월 50만 원의 기본소득에는 반대한 응답자가 19.0%이고, 반대로 월 20만 원의 기본소득에는 반대하지만 월 50만 원의 기본소득에는 찬성한 응답자가 7.6%임
○ 월 20만 원의 기본소득 도입 찬성 응답자 7,169명 중 ‘3년 이내’의 조속한 도입이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응답자 비중은 48.0%로 가장 많음
- 월 50만 원의 기본소득 도입 찬성 응답자 5,943명 중 ‘3년 이내’의 조속한 도입이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응답자 비중은 30.5%이고, ‘5년 이내’ 응답자 비중은 30.9%임
|
[
"복지를 위해 월 20만원 혹은 월 50만원을 무엇으로 지급하는 것을 반대하는 여론이 우세하니",
"인식 조사에서 전체 응답자의 50.3퍼센트 이상이 지급 액수와 상관없이 도입에 반대하는 것은 뭐야"
] |
unanswerable
|
f56bb3de-80a5-4622-b134-6f7d5523f96e
|
경기연구원, 공정금융 관점의 법정 최고금리 적정수준 11.3~15.0%로 추정
|
“공정금융 관점에서 법정 최고금리의 적정 수준 검토”
Ⅱ. 신용할당과 금융배제 현황
1. 신용할당과 금융배제 - 이론적 검토
□ 은행 등 제도금융기관은 내부에서 정한 대출 기준에 따라 대출 요구의 수용 여부를 결정
○ 대출자가 은행이 정한 자격 기준을 충족할 경우 신용도에 따라 최대 대출금액, 대출 조건, 금리 등을 제시함
○ 대출금리의 경우 일정 기간 고정된 금리를 적용하며, 일반적으로 코픽스(COFIX) 등 기준이 되는 금리에 마크업(mark-up)을 적용하여 결정하는 방식을 따름
- 마크업은 원가에 일정한 폭 혹은 비율의 마진을 붙이는 것으로, 은행의 운영비용, 채무불이행의 위험을 상쇄시키는 리스크 프리미엄(risk premium) 등에 의해 결정함
○ 대출자의 특성에 따라 채무불이행 위험이 다르므로, 다른 조건이 동일할 때 대출금리 차이는 리스크 프리미엄의 차이에서 비롯됨
- 대출자가 높은 위험집단에 속할수록 높은 대출금리를 적용
|
[
"대출자가 높은 위험집단에 속하는 경우 무엇에 따라 대출 조건을 제시하게 하니",
"은행은 대출자의 무엇에 따라 채무불이행 위험을 상쇄해주지"
] |
unanswerable
|
ba2b8820-7f40-4714-972f-12f89fa8dc40
|
국민 10명 중 8명, “월 20만원 또는 월 50만원 기본소득 도입에 찬성” - 경기연구원, 국민 1만명 설문조사
|
사람들은 기본소득을 이렇게 생각한다- 2021 기본소득 일반의식 조사 결과(I) -
Ⅱ. 기본소득의 단계별 시행과 취약층 배려 선호
실현가능성이 있는 기본소득 지급 금액은 월 20~50만 원 사이로 인식
기본소득 지급액에 따라 기본소득제의 실현 가능성 의견 갈림
○ 기본소득 지급액에 따른 기본소득제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서 월 20만원 기본소득의 경우 응답자의 54.6%가 긍정적 답변을 했고, 29.3%는 부정적 답변을 함
- 반면, 월 50만 원 기본소득의 경우 응답자의 29.3%만 긍정적 답변을 했고, 47.0%는 부정적 답변을 함
- 따라서 기본소득에 대한 단순한 찬반 의견이 아닌 구체적인 실현 가능성을 염두에 두었을 때 국민 일반이 생각하는 기본소득 지급액 수준이 월 20만원과 월 50만 원 사이의 어떤 지점임을 알 수 있음
- 또한 20만 원의 경우 과반수(54.6%)가 실현가능성을 높게 보는 만큼 20만원 또는 이보다 다소 큰 금액이 실현가능성 측면에서 국민들 다수의 지지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
[
"기본소득 일반의식 조사에서 취약층 배려에 대해 국민들이 긍정적으로 답변한 질문은 무엇이니",
"기본소득 지급액 월 50만원 수준에 긍정적 답변을 한 사람들이 염두에 둔 것은 무엇일까"
] |
unanswerable
|
b566c8c6-d6df-44f6-aaae-2f4a633ba55f
|
코로나19로 어린이 실외활동 위축… ‘육아공간영향평가’ 도입해 육아-생활편의시설 연계해야
|
“육아 생활편의시설 접근특성과 정책방향”
Ⅱ. 육아만족 요인
3. 실외활동관련 육아만족 특성
육아만족관련 일반 요인과 실외공간 요인에 대한 만족 저하
- 전체 만족과 별도로 세분하여 세분된 육아만족을 살펴 보면, 실외공간 확보에 대한 만족이 최저육아 생활편의시설 접근특성과 정책방향값을 나타낸 것으로 조사되어 실외공간에 대한 어린이 부모들의 관심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음
- 세분한 육아만족에서 만족(매우 만족+만족)이라는 합계응답이 많은 요인은 건강 및 급식으로 65.8%로 집계되었지만, 실외공간의 확보에 대한 합계 만족 비율이 가장 낮았으며, 실외공간에 대한 미흡을 지적하는 응답이 많았음을 알 수 있음
- 합계 만족응답은 건강 및 급식 65.8% > 학습놀이 65.2% > 교사아동 상호작용 63.5% > 교직원 수준 64.2% > 등하원 안전 61.6% > 실내공간 확보 56.8% > 실외공간 확보 47.9% 순으로 분석되었음
- 한편 불만족이 높은 분야는 실외공간 확보로 6.1%, 안전 1.4%로 나타났음
코로나19 전후 육아부담과 실외공간 만족요인 저하
○ 코로나19 발생 이전 보다 이후에 인지하는 육아 스트레스는 증가하였으며, 보육을 하는 부모들이 느끼는 육아만족이 낮아지고 있으며, 실외공간 만족은 최하위로 저조함
- 코로나19 발생에 따라 코로나19가 육아에 “매우 부담이 된다”는 응답자만을 대상으로 집계한 전반적 육아만족(5점 만점 척도)은 코로나19 발생 이전에 평균 3.89이었지만, 코로나19 이후에는 평균 3.69로 낮아졌음
-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의 세부 육아만족이 낮아졌지만, 특히 실외공간 만족은 3.55에서 3.41로 하락하였으므로, 코로나19의 감염확산은 어린이의 활동을 위축시키는 문제를 발생시켰음
- 코로나19상황에서 실외공간에 대한 만족이 5점 척도에서 –0.14만큼 하락하는 것이 나타난 반면, 실내공간 만족에 대한 하락분은 –0.10으로 최저값을 보임
|
[
"코로나19 확산 이후 어린이의 실외공간 만족은 몇 점으로 하락했어",
"코로나19 발생 이전 교직원의 실외공간 만족은 몇 점이었니"
] |
unanswerable
|
1c4b53c3-51da-4ef3-8cb1-331359a55cad
|
국민 10명 중 8명, “월 20만원 또는 월 50만원 기본소득 도입에 찬성” - 경기연구원, 국민 1만명 설문조사
|
사람들은 기본소득을 이렇게 생각한다- 2021 기본소득 일반의식 조사 결과(I) -
Ⅲ. 추가 세금 수용과 재원조달 다양화
전국민이 생각하는 적정 기본소득 지급 금액은 월 41만 원 수준
응답자의 41.5%는 월 10~30만 원 사이의 기본소득이 적정하다고 생각
○ 전체 응답자 중 기본소득의 적정 지급 금액으로 월 10~30만 원 이내(구간)를 선택한 응답자가 41.5%, 월 30~50만 원 이내(구간)는 24.1%로 나타남
- 월 20만 원 또는 월 50만 원의 기본소득 도입에 찬성한 응답자 8,079명으로 그 대상을 제한하면 각각 42.0%, 26.9%로 비율이 늘어남
- 한편, 이러한 구간별 적정 금액 외에 응답자가 생각하는 구체적인 금액(선택한 구간 내의 금액)도 쓰도록 했는데, 이 금액의 전체 응답자 평균은 412,727원으로 나타남
- 월 20만 원 또는 월 50만 원의 기본소득 도입에 찬성한 응답자 8,079명의 평균은 434,668원, 월 20만 원 기본소득 도입 찬성자 7,169명의 평균은 410,613원, 월 50만 원 기본소득 도입 찬성자 5,943명의 평균은 493,129원으로 나타남
|
[
"기본소득 도입 찬성자 중 지급 금액은 월 41만 원이 적정하다고 응답한 자가 몇 퍼센트야"
] |
unanswerable
|
eaf3bc3c-8ee6-4185-89b1-5e68e4aabc1f
|
이재명, 공정성 회복, 기후 위기 대책 시급. 정부 여당에 적극 협력 요청
|
더불어민주당-경기도 예산정책협의회 현안 브리핑 및 건의사항
브리핑 4 노동자 권익보호를 위한 제도 개선
근로감독권한 지방정부 공유
추진배경
● 중앙정부의 감독권한 독점 및 감독 부실 “노동자의 희생 반복, 누구도 책임지지 않는 구조”로 사고 발생 시 대규모 인명피해 발생
● 2020년 임금체불 노동자는 29만4천명, 체불액 1조5,830억원으로 제조업·건설업·도소매 및 음식숙박업 등 업종에서 다수 발생
※ 임금체불 : (2018년) 337천명, 1조5,553억원 → (2019년) 345천명, 1조7,217억원 → (2020년) 294천명, 1조5,830억원
현 실태
● 최근 5년간 고용노동부 근로감독관은 1,338명(정원기준) 증가하였으나, 신고사건 처리 위주이고 사업장에 대한 근로감독도 1.12% 수준에 불과
※ 고용노동부 근로감독관 정원 : (2015년) 1,657명 → (2021년) 2,995명 / 1,338명↑
※ 전체 사업체 417만개 중 4.7만개 근로감독(일반 2.5, 산업안전 2.2) 실시(2019년 기준)
● 특히, 노동 관계법령 고도화, 신고사건 평균 처리기간 증가 추세로 근로감독관이 신고사건 처리와 현장감독 활동을 병행하는 것에 한계 노출
※ 신고사건 처리일수 : (2014년) 46.1일 → (2016년) 48.1일 → (2018년) 50.7일
● 現 근로감독관의 업무가 광범위하고, 신고업무 위주로 처리하고 있어 현장감독 기능을 제고하기 위한 근본적인 제도 개선 시급
건의사항
● 노동기준 등 전국적 통일성이 필요한 사항은 중앙정부가 정하고, 노동현장의 감시·감독 권한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공유하도록 「근로기준법」 개정
|
[
"누가 현장감독 위주로 업무를 처리하고 있어 신고사건 평균 처리기간이 증가하고 있을까"
] |
unanswerable
|
434cf363-865b-4cc2-8c46-3f8db92d6a1c
|
경기연구원, 지난 19년간 지역의 회복탄력성 진단… 경기도 포함 3개 시・도 충격 흡수력 우수
|
종사자 수를 활용한 지역 회복탄력성 진단
제3장 충격의 크기 및 회복 속도 진단
제1절 측정 방법
충격과 회복의 관점에서 고용시장을 바라보기 위해 본 연구는 두 가지 지표를 도입한다. Martin과 Sunley(2015)가 설명한 세 가지 정의 중 비교적 객관적이면서도 측정이 수월한 공학적 정의와 광의의 생태학적 정의를 직간접적으로 받아들여, 충격 흡수에 초점을 두는 생태학적 정의를 기반으로 충격 지표를 제안하고 회복속도를 강조하는 공학적 정의를 참고해 회복 지표를 계산한다. 먼저 충격 지표는 ‘위기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도달했을 고용 수준’ 대비 ‘위기로 인해 잃게 된 일자리’의 비로 정의한다(Kwon, 2019). 아래 그래프에서 회색 면적 대비 파란색 면적의 비율이다. 위기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도달했을 고용 수준(그래프에서 회색 면적)을 계산에 포함한 이유는 단순히 고용자 수 감소량 또는 감소폭만을 가지고는 지역마다 다른 노동시장의 규모를 고려하지 못하기 때문에 지역간 비교가 곤란하다. 예를 들어, 같은 수의 고용 감소가 규모가 큰 노동시장에서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작은 시장에서는 강력한 위협일 수 있다.
선행연구에 등장하는 다양한 변동성 측정 방식을 따르지 않고 다소 새로운 지표를 제안하는 이유는 기존 방식이 충격의 크기를 측정하기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먼저 실물경기변동론에서 안정성을 논할 때 자주 활용하는 추세선으로부터의 표준편차는 긍정적 측면의 움직임(ups)과 부정적 측면의 움직임(downs)을 구분하지 않아 위기의 악영향만을 도출하기에 적절하지 않다. 여러 회복탄력성 연구에서는 위기 이전 수준과 비교해 얼마나 많이 수량(e.g., 종사자 수)이 감소했는지 또는 위기를 맞은 시점부터 위기 이전 수준으로 돌아갈 때까지의시간(e.g, 개월 수)으로 충격의 크기를 가늠하는데 이것은 해당 지역의 노동시장크기가 고려되지 않는다는 단점을 지닌다.
|
[
"2015년 고용 수준의 회복 속도를 진단하기 위해 Sunley가 노동시장에서 활용한 측정방식은 무엇이니",
"Martin은 노동시장의 크기를 고려해 지역 회복탄력성을 무엇을 활용하여 진단했어"
] |
unanswerable
|
2cf694c4-6833-42c4-be67-43cb1938e45e
|
국민 10명 중 8명, “월 20만원 또는 월 50만원 기본소득 도입에 찬성” - 경기연구원, 국민 1만명 설문조사
|
사람들은 기본소득을 이렇게 생각한다- 2021 기본소득 일반의식 조사 결과(I) -
Ⅳ. 소득, 성별, 학력 등 따라 다른 기본소득 인식
경제적 이해관계와 정치이념이 기본소득 인식 전반에 큰 영향 미쳐
학력과 소득이 높을수록 다소 부정적, 진보층은 매우 긍정적
○ 월 20만 원 지급 기준의 기본소득 도입 찬성 의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통해 분석한 결과, 전체 변수 중 학력, 개인 연소득, 정치 이념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남
- 학력이 높거나 소득이 높을수록 월 20만 원 수준의 기본소득도입에 다소 부정적이었고, 정치이념이 진보적 일수록 기본소득 도입에 찬성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남
○ 월 50만 원 지급 기준의 기본소득 도입 찬성 의견에 영향을 미치는요인을 같은 방식으로 분석한 결과, 전체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남
- 월 50만 원 수준의 기본소득 도입에 다소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 응답자는 주로 여성, 기혼자, 고학력자, 주관적 지위 상층, 고소득자로 나타남
- 반면, 기본소득 도입에 찬성하는 경향은 연령대별로 보면, 20대와 비교할 때 50대가 가장 뚜렷하게 높았고, 40대는 이보다 낮았으며, 30대는 20대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구분되지 않음
- 다음으로 고용지위를 살펴보면, 비경제활동인구 등을 기준으로 할 때 자영업자의 찬성 경향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주택 종류의 경우, 자가 거주 응답자에 비해 월세 및 기타나 전세 거주 응답자가 기본소득에 찬성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고, 마지막으로 정치이념도 긍정적인 관계를 보임
|
[
"2021 기본소득 일반의식 조사 결과 자영업자는 얼마의 기본소득 지급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니",
"고소득자는 월 얼마의 기본소득 지급에 찬성하는 경향이 나타났어"
] |
unanswerable
|
7f68d8ec-efad-4247-b3ec-f68384f5cdae
|
‘지역화폐부터 광역버스 국가부담까지’…경기도-민주당 정책 협력 ‘약속’
|
경기도 현안 건의
3 공공개발이익 지역 재투자를 위한 제도 개선
□ 현황
○ (공공택지지구) 정부정책으로 전국에서 개발사업이 추진 중에 있으나 당해 지역에서 발생하는 개발이익의 지역 내 재투자에 소홀(법적근거 부재)
- 생활SOC 시설 확충은 지방자치단체 재정 부담에 따른 사업지연으로 주민불편 초래
○ (개발부담금)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재원으로 적정하게 배분되어야 함에도 개발사업의 한 축을 담당하는 광역지방자치단체는 제외
- 징수된 개발부담금은 국가(50%)와 기초자치단체(50%)에만 귀속
□ 필요성
○ (공공택지지구) 서민 주거안정 및 주거수준 향상을 위해 대부분 개발제한구역 해제하여 사업을 시행하고 있으나, 조성원가 이상으로 매각하여 이익이 발생하여도 지역 내 생활 SOC 시설 설치 등 환원 미흡
- 생활 SOC 용지는 지자체에서 매입하여 운영해야 하는 실정으로 지방자치단체 재정 부담 가중 → 생활 SOC시설 확충이 적기에 이루어지지 못해 지역 주민과의 갈등 및 불편 초래
○ (개발부담금) 광역자치단체가 개발부담금의 귀속주체에서 배제되어 광역SOC 사업(도로, 철도, 상․하수 등)의 구축 및 유지 보수 등을 자체 부담으로 설치․운영하여 재정부담 가중
□ 건의 사항
○ 공공개발이익 재투자 등을 위한 법령 개정안이 조속히 시행될 수 있도록 입법 처리 건의
* 김철민(더불어민주당 안산상록을) 의원 대표 발의(2019.9.26.), 국토교통위원회 심사 예정
- 개정 법령(3건) : 공공주택특별법, 택지개발촉진법, 개발이익환수에 관한 법률
|
[
"공공개발이익으로 생활SOC 시설 설치를 담당하는 기관은 어디야",
"광역SOC 사업의 주체는 누구니"
] |
unanswerable
|
7fc6ed28-cbeb-4aca-b28b-1904d883b1ec
|
경기도내 정비사업 해제구역 307개 내 도시재생사업 19개 불과..경기연구원, 유형별 지원정책 제안
|
경기도 정비사업 해제구역의 효율적 정비⋅관리방안
제2장 법⋅제도 현황
2. 관련 정책 현황
2) 관련부처 사업
(3) 국토교통부의 스마트시티 사업
○ 스마트도시는 「스마트도시 조성 및 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제2조에서 “도시의 경쟁력과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하여 건설⋅정보통신기술 등을 융⋅복합하여 건설된 도시기반시설을 바탕으로 다양한 도시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속가능한 도시”로 정의함
○ 우리나라의 스마트시티는 90년대 후반의 ICT 중심의 미디어산업클러스터(미디어밸리)를 시작으로 2000년대에 들어 유비쿼터스 도시(U-City)의 체계가 자리잡으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됨
- 2008년 「유비쿼터스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U-Korea 기본계획”, “ 1차 U-City 종합계획”과 관련 활성화 계획 등을 수립하면서 상암디지털미디어시티, 송도국제도시와 “U-시범도시 사업”(2009~2013년) 등 도시 공간에 신기술을 접목한 계획수립 및 사업 시행
|
[
"U-Korea 기본계획은 몇 년도에 활성화 되었지",
"상암디지털미디어시티는 몇 년도에 체계를 잡았니"
] |
unanswerable
|
ac9929a1-9d08-4248-ac19-94f0e6b289d1
|
글로벌 기업의 국내유치 위해 경기도 독자적 인센티브인 고용보조금 제도 도입해야
|
경기도내 해외투자 유치 확대를 위한 전략
제3장 경기도 해외투자 환경 분석
1. 대내외 환경 분석
1) 대외적 환경
(1) 국외 투자 환경
□ 각국이 자국으로의 해외투자 유치 및 기업 유턴을 촉진함에 따라, 한국으로의 해외 투자 유치 동력 상실이 우려되는 상황
○ 일본에서도 본국으로의 기업 리쇼어링을 위해 법인세 인하, 연구개발 지원, 국가전략특구 지정 등 다양한 정책적 인센티브를 지원하였음.
- 일본 정부에서는 세제혜택과 연구개발 지원, 국가전략특구 지정 등의 정책을 통해 기업의 본국 회귀를 장려하고 있으며, 대규모 양적완화에 따른 엔저정책과 함께 기업 리쇼어링이 활발히 이루어짐(일본 경제산업성, 2018).
- 일본의 경우 자동차 조립 및 부품 중심으로 생산라인을 본국으로 복귀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2012년 이후 기업 리쇼어링이 증가 추세에 있음.
○ 중국과 베트남 등 아시아 개도국에서는 공격적인 투자유치 정책을 통해 외국인 직접투자를 유치하고 있음.
- 중국은 외국인 직접투자에 대한 대규모 현금지원을 통해 투자를 유치하고 있으며, 베트남에서는 제조업⋅ 서비스업⋅ 농업⋅ 관광업 중심으로 투자유치를 확대하고 있음.
|
[
"대규모 현금 지원을 통해 기업의 본국 회귀를 장려하고 있는 나라는 어디야",
"어느 국가가 법인세 인하, 연구개발 지원, 국가전략특구 지정 등을 통해 외국인 직접투자를 유치하고 있지"
] |
unanswerable
|
5c7a6cb6-f390-4e55-8004-525198f57e4b
|
경기연구원, 공정금융 관점의 법정 최고금리 적정수준 11.3~15.0%로 추정
|
“공정금융 관점에서 법정 최고금리의 적정 수준 검토”
Ⅴ. 최고금리 적정수준 및 정책 제언
□ (추정 2) 제도금융기관에 대한 서민금융지원 의무화 : 적정대출금리 11.3% 수준
○ 제도금융기관(특히, 예금은행이나 신협 등 서민금융기관)이 총대출의 일정 부분을 저신용자 혹은 저소득층에 대출하도록 의무화하는 방안
- 국내 은행들은 수익성 논리 등에 기초하여 7등급 이하 저신용자의 대출을 사실상 허용하지 않았으며, 이와 같은 은행의 신용할당으로 인해 저신용자가 고금리 대출을 받을 수밖에 없는 금융양극화를 초래
- 은행들은 한국은행 등으로부터 저금리 자금조달이 가능하고 ‘규모의 경제’ 실현으로 운영비를 대폭 낮출 수 있으므로, 은행의 사회적 금융 역할 강화라는 차원에서 ‘신용위험 공정금리’에 운영비와 약간의 마진율을 적용한 대출금리로 저신용자에 대출하도록 의무화
|
[
"한국은행의 대출금리는 몇 퍼센트야",
"제도금융기관의 총대출 금리는 몇 퍼센트야"
] |
unanswerable
|
41a7efb0-31bb-4969-96f8-3901b223ff07
|
글로벌 기업의 국내유치 위해 경기도 독자적 인센티브인 고용보조금 제도 도입해야
|
경기도내 해외투자 유치 확대를 위한 전략
제3장 경기도 해외투자 환경 분석
1. 대내외 환경 분석
2) 대내적 환경
(1) 국내 투자 환경
□ 우리나라의 기업 경영 활동 친화성은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해외투자 유치에 강점으로 작용하고 있음
○ 헤리티지 재단(Heritage Foundation)의 경제자유도지수(Index of Economic Freedom)에서는 2019년도에 조사 대상 180개국 중 25위(74점)를 차지하였음(The Heritage Foundation, 2020).
- 아시아⋅태평양 지역 42개국 중에서는 7위를 기록하였으며, 전체 점수는 전년 72.3점 대비 1.7점 상승하여 ’대체로 자유로운 국가‘로 평가됨.
- 점수 상승 이유는 법치를 나타내는 법의 지배(rule of law)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얻은 것에 기인하며, 한국은 숙련된 노동 인력과 혁신 역량을 보유한 민간 부문이 세계 무역과 투자에 대한 개방성을 갖고 있다고 평가됨.
○ 우리나라는 기업 경영 활동에 있어 상당 부분 기업 친화적이고 높은 수준의 인프라와 혁신 역량을 갖춘 것으로 평가되어, 해외투자 유치에 강점으로 작용함.
|
[
"어느 나라가 헤리티지재단의 경제자유도지수에서 아시아지역 180개국 중 7위를 차지했어"
] |
unanswerable
|
e3367118-60f7-44b3-a30e-7408244bf9b7
|
‘지역화폐부터 광역버스 국가부담까지’…경기도-민주당 정책 협력 ‘약속’
|
경기도 현안 건의
8 통일(평화)경제특구 조속 입법 추진
□ 현황
○ (관련법안) 통일(평화)경제특구법 제정 추진 중
- (20대 국회) 의원발의 6건(道 의원 5건), 현재 외통위 법안심사소위 계류중
※ 道 발의의원 : 박정(파주을), 윤후덕(파주갑), 김성원(동두천‧연천), 김현미(고양정), 홍철호(김포을)
○ (경기도) 道 주관 토론회 및 국회 토론회 개최(2019.8, 2018.3), 조속입법을 위한 중앙부처·국회의원 건의(2019.4), 통일(평화)경제특구 기본구상안 연구실시(GRI, 2017.10.~2018.2.) 등 추진
□ 필요성
○ 통일(평화)경제특구는 지정, 계획수립, 설계·공사 등 최소 4년 이상 소요되므로 개성공단 재개 등 남북 평화국면에 맞춰 추진하기 위해 조속한 입법 필요
□ 건의 사항
○ 통일(평화)경제특구 법안의 조속한 입법 처리 건의
|
[
"계획 수립에 4년이 소요되어 2018년에 입법이 이루어진 법은 뭐지"
] |
unanswerable
|
01ee64f3-3eb4-4efc-b5c4-070522c4d2a3
|
글로벌 기업의 국내유치 위해 경기도 독자적 인센티브인 고용보조금 제도 도입해야
|
경기도내 해외투자 유치 확대를 위한 전략
제3장 경기도 해외투자 환경 분석
1. 대내외 환경 분석
2) 대내적 환경
(2) 경기도 투자 환경
□ 경기도는 동북아시아의 경제⋅산업 중심지로 지리적 이점과 함께 인적⋅물적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어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에 강점을 지님(인베스트경기, 검색일2020.9.28.)
○ 경기도는 동북아시아 최대의 생산기지로, 특히 공항과 항만을 모두 보유하고 있어 동아시아와 태평양을 연결하는 지리적 요충지이자 투자 기업을 위한 투자유치 지원서비스 등 맞춤형 행정을 제공함.
○ 경기도는 동북아시아의 경제⋅산업 중심지이자 첨단산업 중심지이며, 수도권이라는 거대한 배후시장과 함께 이상적인 교통 인프라와 인적 자원을 보유하고 있음. 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교류도 활발히 일어나는 지역으로 다양한 투자 강점을 지님.
○ 경기도는 외국인 투자기업 전용 산업단지를 조성하여 부지를 임대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단지형 외국인투자지역을 통해 외국인 투자기업을 유치하고 있음.
|
[
"공항과 항만을 조성하여 부지를 임대하고 있는 지역은 어디지",
"어느 지역이 거대한 배후시장인 동아시아와 함께 이상적인 교통 인프라와 인적 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 |
unanswerable
|
f88fafc3-6415-4b39-813a-d8c5a061a5ad
|
글로벌 기업의 국내유치 위해 경기도 독자적 인센티브인 고용보조금 제도 도입해야
|
경기도내 해외투자 유치 확대를 위한 전략
제3장 경기도 해외투자 환경 분석
1. 대내외 환경 분석
2) 대내적 환경
(2) 경기도 투자 환경
□ 불안정한 국제정세로 인한 투자 의사결정 지연과 대외적 충격에 대한 구조적 취약성으로 인해 투자 불확실성이 확대됨
○ 해외에서의 영업활동 지연과 기업경영 악화, 이에 따른 신규 투자 수주나 설비투자의 감소로 인해 장기적인 경기침체가 유발됨.
- 일본 수출규제, 미-중 간 무역분쟁, 코로나19 팬데믹 등 최근 연달아 발생하고 있는해외충격으로 인해 기업체감경기가 크게 악화되었음.
- 경기지역 기업경기지수(BSI) 제조업 업황은 코로나19 확산과 함께 지속적으로 악화되다가 최근 20년 7월부터 전월 대비 8포인트 상승하고 있음(한국은행, 2020.8).
○ 특히 경기도의 해외투자는 주로 미국과 일본 2개국에 집중되어 있어, 대외적 충격이 발생할 경우 유연한 대응이 어려움.
- 경기도내 외국인 투자지역에 입주한 기업 중 일본 국적의 기업이 43.9%, 미국 국적의 기업이 19.4% 등 2개국 기업이 전체 약 63%를 차지하여 투자 의존도가 높음(경기도 투자정책과 제공 자료).
|
[
"미국 중국 간 무역분쟁으로 인해 경기지역의 기업경기지수 제조업 업황은 어떻게 됐어"
] |
unanswerable
|
4eb170ad-19b4-4b63-8cdb-9d6224bffe61
|
‘지역화폐부터 광역버스 국가부담까지’…경기도-민주당 정책 협력 ‘약속’
|
경기도 현안 건의
9 남북교류협력사업 제도 개선
□ 현황
○ 남북교류협력법상 지자체가 추진주체가 되지 못해, 민간단체 후원 형식
으로 사업 추진 중
· 경기도 : 법 개정 건의[도→통일부, 7회(2017.9.22, 2018년 6회)], 도지사 서한문 발송(2018.11, BH, 국회 등)
· 국회 : 협력사업 당사자 변경 관련 남북교류협력법 개정안 외통위 계류 중(2건)
※ 통일부 「인도적 대북지원사업 및 협력사업 처리에 관한 규정」 일부 개정을 통해 대북지원사업자의 지정 범위에 ‘지방자치단체’를 명시(2019.10.22)
○ 지자체의 남북교류협력사업 추진을 위한 공식적인 소통창구 부재
· 시도지사협의회를 통해 17개 광역지자체 전체 동의로 남북공동연락사무소내 wk치단체 지원부서 설치 또는 전담인력 배치를 건의(2019.3.)했으나, 중장기 검토로 회신(통일부)
|
[
"경기도는 2018년 11월 어느 기관에 법 개정에 과한 건의를 7회 실시했니",
"어느 기관에서 2019년 9월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지정 범위에 지방자치단체를 명시했어"
] |
unanswerable
|
359e22e0-1ce2-4e12-854f-7990fea45e9d
|
‘지역화폐부터 광역버스 국가부담까지’…경기도-민주당 정책 협력 ‘약속’
|
경기도 현안 건의
9 남북교류협력사업 제도 개선
□ 필요성
○ 지방자치단체를 남북교류협력사업의 주체로 법률상 명확히 규정하여, 남북교류협력사업을 활성화하고, 사업 안정성을 도모
※ 통일부 고시 개정으로 지자체도 ‘대북지원사업자’로서 한정된 분야에 지정이 가능하게 되었으나, 나아가 법 개정을 통해 문화, 관광, 보건의료, 체육, 경제 등 모든 남북협력사업의 주체로서 실질적 지위 획득 필요
○ 지자체 남북교류협력사업의 지속적 추진 및 현황 유지를 위해 정부↔ 지방자치단체↔북한과의 공식 창구 개설 시급
○ 지자체간 협의체를 구성하여 남북교류협력사업의 네트워크를 구축, 공동대응으로 지자체의 역할 강화
□ 건의 사항
○ 2019년도 정기국회에 관련 남북교류협력법 개정안이 통과되도록 지원
○ 「남북공동연락사무소」 내 지방자치단체 지원부서 설치 또는 전담직원 배치 ※ 지자체 인력 참여
○ 지방정부협의회에 전국 광역·기초지자체 참여 독려 및 협의회 구성 지원
|
[
"남북공동연락사무소는 어느 부처에 북한과의 공식 창구 개설을 건의했어",
"지방정부협의회에 지자체 인력을 지원한 부처는 어디지"
] |
unanswerable
|
113ffa3e-b092-4a72-b4e7-570db7b8ab6f
|
3기 신도시의 광역교통문제, 자족기능 강화와 효율적인 광역버스 운영으로 해결해야
|
수도권 3기 신도시 광역교통대책 추진방안
Ⅲ. 3기 신도시 광역교통대책 개선방안
입주 초기에 광역버스 중심의 광역교통체계를 구축하여 교통불편 개선
아파트 입주 시점과 도로, 철도 완공시점은 근본적으로 일치시키기 어려움을 인식하고 초기에는 광역버스 중심의 교통체계 구축
○ 아파트 입주는 6년이면 가능한 반면 도로, 철도시설의 완공까지는 10년 이상 걸리므로 초기 4년은 광역버스가 주 대중교통수단 역할을 담당해야 함
- 광역교통개선대책 수립 시 광역버스, M버스의 운영계획을 구체적으로 수립하고 단지별 입주단계에 맞춰 매년 세부 대중교통 운영계획 마련
‘광역교통개선대책 수립지침’ 개정(2012.12.31)에 따라 대규모 개발사업 시행자가 초기 대중교통운영비용 지원이 가능하므로 적극 시행
○ 입주초기 공동주택 단지를 운행하는 버스의 적자에 대한 보조금을 사업 시행자가 일부 부담
- 초기에는 대중교통 수요가 부족하므로 노선입찰 등을 통해 버스운영자에 대한 지원방안 마련
|
[
"아파트 입주는 10년이면 도로의 완공까지는 6년이 걸리므로 4년동안 광역버스는 어떤 역할을 담당해야 하니",
"2012년 12월 31일 무엇의 운영계획이 마련되면서 광역교통개선대책 수립지침이 개정되었어"
] |
unanswerable
|
890adb3d-f960-4b07-adcc-657594c28cad
|
경기연구원, 2021년 경기도 GRDP 성장률 3.6%로 전망
|
2021년 경기도 경제 전망
제3장 2021년 경기도 경제 전망
제2절 기업 및 가계 조사
1. 경기도 제조업 기업체 조사
2020년 금속가공 제조업은 대기업 중심의 업황 및 매출 부진
금속가공제품 제조업의 경우 2020년 경기동향에서 업황(54.1)과 매출(48.6) 그리고 수출(37.8)과 관련한 경기판단이 전년도의 올해 전망치보다 크게 낮게 나타났다. 2021년 경기전망에 대해서는 대다수 지표들이 올해에 비해 소폭 개선될 것으로 전망되었으나, 여전히 업황이 부진할 것으로 예측하는 업체가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업종에서는 대기업의 경기판단이 상대적으로 양호하게 나타난 것과 대조적으로 금속가공제품 제조업은 중소기업의 올해 업황지수는 120.0인 반면 대기업은 40.0을 기록하며 대기업의 경기판단이 중소기업보다 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내년도 경기전망의 경우, 대기업은 업황, 매출, 수출 등의 지표에서 낙관론이 우세한 반면 중소기업은 모든 지표에서 비관전망이 우세했다.
|
[
"대다수의 지표에서 2021년보다 소폭 개선될 것이라 전망된 것은 무엇이니",
"2021년 무엇에 대해 중소기업은 낙관론이 우세하지만 대기업에서는 비관 전망이 우세했니"
] |
unanswerable
|
8069a316-420f-42f4-9d14-7a6c869f9b7c
|
배출사업장 단속 강화하면 경기도 초미세먼지 34% 저감 가능, 배출사업장 관리인력 확충해야
|
미세먼지 개선의 핵심과제는 사업장 배출시설 관리역량의 강화
Ⅱ. 사업장 배출시설의 관리 실태와 과제
사업장 배출시설에 대한 지도점검, 총량관리제를 통해 규제 준수 유도
모든 사업장 배출시설에 대해 정기적인 지도점검을 통해 적정관리 유도
○ 자동측정기기 未부착 사업장과 비산먼지 발생 사업장, 휘발성유기화합물 발생 사업장을 대상으로 정기 지도점검 또는 수시 지도점검 실시
- 특별한 사유가 없을 때, 기준에 따라 우수⋅일반⋅중점관리 등 3등급으로 분류하여 정기 지도점검 이행
- 오염사고 발생, 점검 필요 사유가 발생한 경우, 해당년도 정기 지도점검 횟수의 3분의 1 이상 수시 지도점검 가능
○ 환경관리가 우수한 모범 배출사업장은 ‘자율점검업소’로 지정하여 정기점검 면제(2017년 기준 경기도 지정 대기배출 자율점검업소는 926개소)
- 1종 사업장 18개소, 2종 16개소, 3종 23개소, 4종 248개소, 5종 621개소
|
[
"환경관리가 우수한 배출사업장을 무슨 업소로 지정하여 수시 지도점검을 면제해줘"
] |
unanswerable
|
d4e7c8b1-72a5-4aad-9c02-d24d2e4acdca
|
지역활성화에 따라 내몰리는 주민과 상인들, 지역의 상승한 자산가치를 공유재로 관리해야
|
젠트리피케이션 대안- 지역자산의 공유재화
Ⅰ. 젠트리피케이션 현황과 원인 진단
<지역브랜드 자산의 개념과 젠트리피케이션>
기업브랜드가 기업의 무형 자산으로서 자산가치를 가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지역브랜드도 자산으로서 가치를 가지며, 사이먼 안홀트(S. Anholt, 2005) 등에 의해 계량화가 시도되어 옴. 세계적인 경영학자 Aaker(1991)는 브랜드 자산(Brand Equity)이란 브랜드와 그 이름 및 상징과 결부된 자산과 부채의 총계로서 제품이나 서비스가 그 기업의 고객에게 제공하는 가치를 상승(역의 경우 하락)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고 정의함.
이 정의를 원용하면 지역브랜드 또한 지역의 이름, 상징과 결부되어 고객, 관광객에게 제공하는 가치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음. 지역 주민 및 전문가, 활동가들의 노력으로 도시재생 및 활성화가 일어나게 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지역브랜드 자산가치의 상승(혹은 하락)이 수반됨.
최근 상가 젠트리피케이션의 예로 많이 거론되고 있는 서촌의 경우, 한옥을 지켜온 사람들과 문화예술인, 상인들의 노력에 의해 지역브랜드 가치가 상승되면서 관광객, 고객이 늘어나게 되면서 건물주에 의한 임대료 상승 압박이 거세져서 상인, 문화예술인들이 내몰리는 상황이 발생하게 됨.
|
[
"서촌의 경우, 문화예술인과 상인들이 무엇을 관광객에게 제공하여 지역브랜드 가치가 상승되었지",
"사이먼 안홀트는 서촌의 무엇이 젠트리피케이션을 만든다고 했어"
] |
unanswerable
|
6aafb547-bfe9-46cd-8eb2-70f937ededc8
|
경기연구원, 2021년 경기도 GRDP 성장률 3.6%로 전망
|
2021년 경기도 경제 전망
제3장 2021년 경기도 경제 전망
제2절 기업 및 가계 조사
1. 경기도 제조업 기업체 조사
기타 기계 및 장비 업종은 업황 부진이 중소기업 위주로 발생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역시 조사결과 2020년 업황(79.2), 생산규모(70.8), 매출(64.6), 수출(60.4) 등의 부문에서 실적이 악화됐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이들 모두 전년도의 올해 전망치보다 악화된 수치이다. 반대로 대기업의 경우 업황(130.0), 매출(110.0), 내수(120.0), 수출(120.0) 등에서 실적개선 응답 비율이 높았다. 2021년에도 주요 경기지표에 관해 대기업은 낙관과 비관이 경합을 이루거나(인력사정, 생산규모, 채산성) 아니면 신장세(업황, 매출, 수출) 전망이 우세한 반면, 중소기업의 경우 모든 지표에서 올해 경기판단도 부정적이었고 내년도 경기전망에 대해서도 비관하는 업체의 비중이 높았다.
|
[
"2021년 어떤 기업체가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조사결과에서 내수 부문 실적이 악화됐어",
"어떤 기업체가 수출의 실적개선 응답 비율이 비관적이니"
] |
unanswerable
|
eb50bca8-9e49-4661-8485-440d8297c0e3
|
경기연구원,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지난 1년간 삶의 질 향상 효과 나타나”
|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정책효과 분석(II) : 사전 및 사후조사 비교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성격과 목적
본 연구는 2019년에 수행한 연구,《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의 정책효과 분석 : 사전 및 사후조사 비교, 2019》의 후속 연구(2020년 연구)이다. 따라서 연구대상과 연구내용에서 두 연구 사이에 연속성을 갖게 되며, 연구의 기본 골격은 두연구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연구대상의 경우 2019년 연구와 2020년 연구 모두 다 만 24세 경기도 청년에 해당하며, 이들은 자기가 태어난 생일에 따라 청년기본소득을 해당 분기별로 25만원씩(1년 최대 100만원) 경기지역화폐로 지급받게 된다.
|
[
"만 25세 경기도 청년을 연구대상으로 2019년과 2020년에 진행한 연구는 뭐야",
"만 25세 경기도 청년의 청년기본소득을 분기별로 100만원씩 경기지역화폐로 지급하는 연구가 뭐지"
] |
unanswerable
|
58f19d30-7bbb-4b7d-9a64-35d6a519e6a5
|
주민이 체감하는 생활SOC, 지역별 생활인프라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공급해야
|
일상에서 누리는 최소한의 복지, 생활SOC
Ⅰ. 생활SOC의 등장 배경
지역의 균형성장을 위한 기초생활서비스 확충 및 최저기준 제시
기초생활서비스와 사회보장 불평등의 심각성 대두로 보편성 확보 필요
○ 지역별 불평등 요소를 고려한 기초생활서비스 및 생활SOC 공급 필요
- 개인 소득 불균등 수준이 0.29~0.31인 반면, 생활SOC는 의료기관병상 0.32~ 0.33, 노인여가복지 0.37~ 0.42, 문화기반 0.45~0.47, 사회복지 0.44~0.33
- 문화기반시설의 불평등이 가장 심각하며, 노인 복지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음에도 노인여가복지시설의 불균등은 지속적으로 심화
사회서비스 투자비율을 확대하고 ‘시간거리’ 개념을 도입하여 기초생활 인프라의 국가적 최저기준 마련
○ GDP 대비 사회서비스투자비율을 2023년 7.4%, 2040년 10.7%까지 확대할 계획
- 안심주택 4만호 건립, 시군구별 주민건강센터 1개소 확충 등 지역 밀착형 생활SOC에 대한 투자를 확대함으로써 통합 돌봄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
- 2021년 국공립 어린이집⋅유치원 취원율 40%, 2022년 공립 요양시설 160개소, 2022년 주야간 보호시설 184개소 등 국공립 돌봄시설의 단계적 확충 계획
○ 국가도시재생 기본방침에서 기초생활권 단위에서의 도보 10분 거리를 기준으로 생활SOC 확충을 위한 계획 수립 및 최저기준 제시
- 모든 국민이 보편적인 생활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최저기준(마을시설(도보)의 경우 최대 15분 이내, 지역거점(차량)의 경우 최대 30분 이내)을 제시함으로써 각 지자체에서 최저기준 달성을 위해 노력하도록 권고
- 최근 연구에서는 시⋅군⋅구의 경우 500m×50 m, 기초생활권의 경우 200m×20 m 의 격자 단위로 구분하여 생활SOC가 부족한 지역 파악
|
[
"생활SOC 중 하나에 속하며 개인 소득 불균등 수준을 고려하여 2021년 기초생활권에 확충된 시설은 무엇이니"
] |
unanswerable
|
4210f721-f89f-489a-9809-b79ceb9008fe
|
조세부담에 저항한 노란조끼운동, 한국도 경유세 등 서민 증세에 신중해야
|
프랑스 ‘노란조끼’ 운동의 특징 및 시사점
Ⅰ. 노란조끼운동의 배경
정부의 이율배반적인 경유차 정책이 문제를 악화
프랑스 정부는 과거 친환경정책을 표방하면서 경유차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경유에 대한 세금 부담 경감
○ 정부는 2000년대 들어 휘발유 차량보다 이산화탄소를 적게 배출하는 경유차를 친환경 차량으로 평가하고, 경유차 보급을 위해 휘발유보다 경유가격을 낮게 유지
- 자동차회사들은 질소산화물(NOx)을 제어하기 위해 기술을 개발하고 미세먼지를 제어하기 위해 여과장치 등을 장착해 친환경 디젤 추진
- 정부의 지원 정책으로 2000년대 들어 디젤 차량의 비중이 빠르게 증가
기술발전에도 불구하고 디젤차가 미세먼지와 질소산화물을 배출해 대기오염을 확산시킨다는 비판이 확산되면서 디젤차 퇴출 시작
○ 경유차 보급을 위해 경유에 대한 세금부담을 경감해오던 프랑스 정부는 디젤차 퇴출을 위해 경유에 대한 유류세 인상을 추진
- 2012년 UN은 디젤을 1급 발암물질로 규정하였으며, 유럽정부들은 디젤차 퇴출 정책을 추진
- 프랑스는 유럽디젤정책의 실패를 선언하고 오염배출량이 많은 차량의 도시진입을 금지하고 경유에 대한 세금을 급속하게 증가시켜 2021년에는 모든 유류에 대한 소비세가 동일한 수준에 도달 예정
○ 디젤에 대한 유류세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기 때문에 프랑스 정부는 환경보전과 유류간 형평성 제고라는 명분으로 디젤에 대한 유류세를 인상
- 마크롱 정부는 디젤에 대한 유류세 인상을 통해 다른 부문에서의 감세로 인한 세수 결손을 확충하려는 의도도 포함
|
[
"프랑스 정부는 2000년에 이산화 탄소를 배출하는 무슨 차량에 대해 퇴출정책을 추진했지",
"프랑스 정부는 2012년에 휘발유 차량에 대한 유류세 인상을 통해 무슨 차 보급 확대를 추진했을까"
] |
unanswerable
|
a686fe9e-4bf6-4b7c-856f-6322db0309a9
|
경기도내 정비사업 해제구역 307개 내 도시재생사업 19개 불과..경기연구원, 유형별 지원정책 제안
|
경기도 정비사업 해제구역의 효율적 정비⋅관리방안
제4장 도시정비사업 해제구역의 특성 및 정책방향
1. 일반현황
1) 도시정비사업 해제과정
□ 도시재정비촉진사업은 기반시설을 광역적으로 정비하고자 2006년부터 추진
○ 경기도의 뉴타운사업은 신도시개발에 의한 기성시가지의 쇠퇴와 상대적인 박탈감 해소를 위해 정치권의 주요 공약으로 채택되었고, 2006년 7월 경기도 도시주택실에 뉴타운사업단이 구성되면서 본격화된 바가 있음
- 부동산 경기의 활황으로 인해 원도심에서 도시정비사업이 인접하여 발생함에 따라 뉴타운사업을 통해 기존 시가지의 기반시설을 광역적으로 정비하자는 개념이었음
○ 2006년 12월 조사에서 뉴타운 사업 찬성률이 67%이었고, 일부 주민들은 뉴타운 사업 후 도시기능이 개선되며 부동산가격도 상승할 것이라고 인식하기도 하였음
○ 2007년 3월에 부천시 원미, 소사, 고강지구에 지구지정이 된 이후, 2009년에는 12개시 23개 지구로 확대 지정
|
[
"2006년 부천시에 지구지정 후 2007년에는 12개시 23지구로 확대 지정된 경기도의 사업은 무엇일까"
] |
unanswerable
|
c754ba82-89ff-4943-bfec-a71c54c1db08
|
도 여성가족재단, “청소년복지시설 퇴소청소년 자립지원을 위한 시스템 재정비 필요”
|
청소년복지시설 퇴소청소년 자립준비 지원 실태조사 연구
연구요약
3. 조사결과 요약
나. 조사결과 요약
6) 고용 및 경제
◦ 현재 취업상태인 130명을 대상으로 현재의 직업이 무엇인지 질문함. 관리직 종사자, 전문가, 사무종사자, 서비스종사자, 판매종사자, 농립어업 종사자, 기능원, 장치/기계조작, 단순 노무를 제외한 ‘ 그 외 ’라고 응답한 경우가 전체의 48.5%를 차지함. 현재의 고용상태는 정규직인 경우 44.9% 비정규직인 경우가 55.1%로 구분됨. 현재 직업을 통해 받고 있는 평균 월급은 157만원이었으며. 현재 직업에서 얻는 월급이 아닌 최근 1년간의 월평균 소득은 전체 응답자 343명의 평균인 99만원으로 나타남. 최근 1년간의 월평균 생활비는 67만원이었으며 현재 부채가 있는지 질문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36.2%인 124명이 부채가 있다고 나타났고 평균 부채 액수는 718만원이었음. 부채 발생은‘생활비마련’이 71%, ‘주거마련’이 26.6%, ‘직업대출 사기’ 20.2%, ‘학자금 마련’ 16.1%의 순으로 그 이유(중복응답 가능)를 확인할 수 있었음.
|
[
"평균 월급 157만 원을 받고 있는 복지시설 퇴소 청소년은 몇 명이야"
] |
unanswerable
|
Subsets and Splits
No community queries yet
The top public SQL queries from the community will appear here once avail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