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
stringlengths 36
36
| title
stringlengths 0
441
| context
stringlengths 200
7.38k
| questions
listlengths 1
2
| type
stringclasses 6
values |
---|---|---|---|---|
a155ac6d-f0a2-46e7-9b8e-a97553a3649b
|
미 의원 오카시오의 ‘그린 뉴딜’, 다수 대중의 생활조건 향상시키는 사회개혁에 주목해야
|
미국 오카시오-코르테스 신드롬과 그린 뉴딜의 정책적 시사점
Ⅰ. 오카시오-코르테스 신드롬
오카시오-코르테스, 미의회 최연소 하원의원 당선 후 차별화된 정치행보
일부 주류 언론과의 설전을 불사하면서까지 선명성 드러내고 지지자를 결집하며 역으로 언론의 주목을 이끌어냄
○ 선거 캠페인과 의정활동에서 기회가 될 때마다 노동자 계급 출신임을 부각시키며 SNS를 통해 의정활동을 생중계하는 등 대중소통에 민첩한 대응
-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가족이 극심한 생활고를 겪으면서 바텐더 등 생계전선에 뛰어든 이력 있으며, 정치이력을 시작하기 전까지 평범한 대학생(보스턴 대학)이었음
- 인스타그램 등 SNS에 의정활동, 학창시절 동아리 활동, 요리까지 일상을 생중계하며 이를 통해 유명 스트리머 못지 않은 ‘정치 팬덤’을 형성
○ 폭스 뉴스(Fox News) 등 유력 보수매체와 설전을 불사하면서 되려 언론 주목
- 의원 당선 이후 폭스 뉴스를 비롯한 보수매체에서 매일 같이 비판 소재로 삼고 오카시오-코르테스는 이를 되받아치면서 역으로 화제를 일으킴
- CNN은 이를 두고 “폭스 뉴스가 최연소 여성 하원의원을 자신들의 새로운 ‘악당(Villain)’으로 삼았다”고 평가(2018.11.25.)
|
[
"미의회 하원의원인 누가 인스타그램에 바텐더 활동을 인스타그램에서 생중계했지"
] |
unanswerable
|
7b99c711-2804-466f-8a9c-db009f33a4ce
|
경기연구원 “전기차 충전기 설치 미스매치, 이제는 실제 수요 고려해야”
|
경기도 전기차충전기의 효율적 설치 및 운영 방안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코로나, 기후위기 대응 위해 미래 모빌리티, 그린뉴딜, 2050 탄소중립 정책 추진 자동차 신성장동력 발굴,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실현과제에 이어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으로 친환경 미래차에 대한 세계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음.
- 노르웨이 2025년, 영국・독일・네덜란드・인도 2030년, 중국 2035년, 프랑스 2040년, 폭스바겐 2030년, GM 2035년 내연기관차 생산 중단을 선언한 가운데 세계 자동차 시장의 부가가치는 미래차 중심으로 급격히 전환중에 있음.
- 세계 전기차 제조업체는 2016년 65개에서 2020년 149개로 급증하였으며, 신차 출시 경쟁을 통해 고객 확대에 나서고 있음.
- 미래차 선점을 위해 주요국, 완성차업체들이 경쟁을 벌이면서 그 중추 단초 역할을 하는 충전인프라 구축에도 각축을 벌이고 있음.
|
[
"중국은 2025년에 무엇의 생산을 중단하기로 했는가",
"프랑스는 무엇의 생산을 2030년에 중단한다고 선언했지"
] |
unanswerable
|
1b95b112-6046-40cc-95ca-4a48339c00c7
|
경기연구원 “전기차 충전기 설치 미스매치, 이제는 실제 수요 고려해야”
|
경기도 전기차충전기의 효율적 설치 및 운영 방안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정부는 온실가스 배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수송부문의 감축을 위해 내연기관차 퇴출과 동시에 전기차 보급 확대 및 전기차충전인프라 구축에 정책역량과 투자확대를 추진중임.
- 전기차 등 그린 모빌리티에 2025년까지 20조 원 이상을 투자하여 2030년 전기차 300만대를 보급하고, 2025년 공용 전기차 급속 충전기 15,600기를 구축할 계획임.
- 정부는 2021년에 신규로 전기차 10.1만 대(이륜 전기차 2만 대 제외)를 보급하기 위해 10,050억 원을 지원할 계획임.
- 또한 2021년에 신규로 공용 전기차충전기 31,500기(급속 1,500기, 완속 30,000기)를 구축할 계획인데, 7㎾ 이상의 완속 충전기 6,000기에 최대 200만 원, 3㎾ 이상의 콘센트형 충전기 24,000기에 최대 50만 원을 지원함. 보조단가는 2020년 대비 하향(완속 충전기 기준 300 → 200만 원)되어 보조금 수령자도 설치비용을 분담하게 함으로써 실제 운영이 필요한 곳에 설치되도록 함.
|
[
"2020년 설치된 공용 전기차충전기는 몇 기야",
"2025년까지 7kw 이상의 전기차 급속 충전기를 몇 기 구축할 계획이니"
] |
unanswerable
|
5ca35ab6-73a9-4562-8a61-d32b1f06bc70
|
“서해경제공동특구, 개성공단 모델 넘어 한반도 메가리전 중추 거점으로”
|
한반도 경제권의 중핵 서해경제공동특구 구상
Ⅱ. 구상의 개념적 모델 : 트윈시티 및 메가리전
심천 경제특구의 성공요인은 저임금 노동력과 풍부한 토지 등 경제 요인과 함께 지리적 근접성과 사회 문화적 유대에 기반한 홍콩 마카오 자본투자 유치가 중요하게 작용
○ 2015년 한해 심천시가 유치한 외자 255억 9천만 달러 중 89.3%가 홍콩과 마카오로부터 투자되었고, 2억 6,500만 달러는 대만에서 왔으며 심천에 대한 투자의 90%는 화교자본임
고향이 광둥성인 동남아 거주 화교들이 친척들을 위해 사회주의 국가에 대한 투자 리스크를 감수함
중국정부는 화교를 위한 법률, 법규와 별도의 우대정책을 만들어 고국에 투자한 화교기업들이 수익을 거둘 수 있도록 지원함
미국 멕시코, 홍콩 심천 협력 사례는 남북 접경지역 개발 방향 제시
미국 멕시코, 홍콩 심천의 협력 사례는 남북한 접경지역 경제협력의 방향과 주요 협력 방법을 제시
○ 남과 북이 현재와 같이 국경을 유지하면서 경제협력을 진행하게 되는 경우 주요 접경도시간 트윈시티 형성 방식이 유용한 전략임을 시사함
○ 위 사례는 남북관계에서 경제협력의 성공과 통합을 위해서는 접경도시간에 경제특구와 자유무역지대의 조성 및 관련 제도와 인프라 구축에 대한 사전 준비가 필요하다는 점을 보여줌
|
[
"미국, 멕시코 접경지역 경제 협력은 2015년 어디로부터 2억 6,500만 달러의 외자를 유치해 성공하였지",
"미국 거주 화교들이 친척들을 위해 사회주의 국가에 대한 투자 리스크를 감수하고 투자하는 지역은 어디야"
] |
unanswerable
|
f619c93c-8242-4ffd-b628-0fcab99781b4
|
첨단소재 수출규제 대응을 위한 관계기관 회의 개최
|
첨단소재 수출규제 대응을 위한 관계기관 회의 개최
경남도는 최근 소재부품산업의 국제정세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9일(화) 도청 중회의실에서 도, 재료연구소, 한국세라믹기술원, 경남TP, 경남발전연구원, 창원대, 경상대, 경남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첨단소재 수출규제 대응을 위한 관계기관 회의’를 개최하였다.
이번 회의는 최근 *일본의 반도체 관련 핵심소재 규제와 관련하여 국내 소재부품 기업 뿐만 아니라 경제산업 전반에 위기감이 고조됨에 따라 경남도내 관련산업 현황 및 수출입현황을 공유하고, 국제정세에 따른 도의 대응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관계기관 간 심도깊은 대화를 위한 시간을 가졌다.
* 일본의 반도체 관련 핵심소재 규제항목: 플루오린 풀로이미드, 고술도 불화수소, 포트레지스트
경남은 산업 중 소재부품부문이 제조업의 42%를 차지할만큼 관련산업이 발달해 있으며, 항공, 기계 조선 등 관련 수요산업 및 관련 소재부품기업이 도내 집적화 되어있다.
|
[
"항공, 기계 조선 부문이 제조업의 42퍼센트를 차지하는 지역은 어디야",
"어느 도가 한국세라믹기술원에서 첨단소재 수출규제 대응을 위한 관계기관 회의를 개최했지"
] |
unanswerable
|
a8e742ac-dda1-4aa3-93f1-8750e07a72ef
|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과학 잠재력 높아… 제도화와 역량강화 투자 필요
|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과학의 의미와 가능성
제2장 시민과학의 개념과 이론적 배경
제1절 시민과학의 개념과 성장 배경
1. 시민과학의 등장 배경과 개념
2) 시민과학의 개념
*** 외(Eitzel et al., 2017) 역시 시민과학 개념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시민과학이 아닌 것을 규정함으로써 시민과학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고 보았다(****** et al., 2017:11). 예를 들면 투명성, 정보에 기반한 동의가 시민과학 프로젝트 윤리강령의 핵심이므로 시민들에게 그들이 수집한 데이터나 과학적 결과의 활용에 대해 알려주지 않는 프로젝트는 시민과학이 아니라는 것이다. 반대로 학문이나 분야에 따라 다른 용어를 사용하지만 시민과학과 유사한 프로그램 요소를 가지고 있는 참여적 모니터링, 커뮤니티 과학, 커뮤니티기반 모니터링, 참여적 실행연구(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커뮤니티 기반 참여적 연구(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사용자 참여형 공간정보(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 등은 시민과학으로 포함할 수 있다(****** et al., 2017;****** and ******, 2016:334). 또한 커뮤니티가 참여하여 지역사회의 중요한 특성이나 정보를 지도로 작성하는 참여적 매핑, 스마트폰 기술을 활용한 커뮤니티 매핑, 과학적 연구를 위한 대안적인 도구를 개발하는 DIY 운동과 시민과학을 연결하기도 한다(****** et al., 2017:7-8).
|
[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사용자 참여형 공간정보를 활용하는 프로젝트가 뭐야",
"시민과학에서 과학적 연구를 위한 참여적 실행연구에 서 정보를 수집하는 기술이 뭘까"
] |
unanswerable
|
4aa9057b-838a-4516-82d8-325d7a443e34
|
1차 재난지원금의 추가소비 효과, 외국 유사 사례의 1.8배 수준
|
재난기본소득 정책 효과 분석 연구
제2장 현황 및 선행 연구
지원금액은 가구당 40~100만원으로 가구원수별 1인 가구(40만원), 2인 가구(60만원), 3인 가구(80만원), 4인 가구 이상(100만원)씩 차등 지급된다. 여기서 가구 기준은 주민등록세대과 건강보험료 개념을 준용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3월 29일 기준 주민등록등본에 올라 있는 세대원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원칙이며, 주민등록상 다른 가구라도 건강보험법상 피부양자로 배우자와 자녀가 등록되어 있다면 한 가구로 간주한다. 지원금 신청시 기부 선택 혹은 사용기한 내 미사용 금액은 근로복지공단을 통해 기부되며, 기부액은 2021년 연말정산을 통해 16.5%의 세액공제 혜택을 제공받는다.
|
[
"재난기본소득 지원금 중 미사용된 40만원은 어디에 기부돼",
"재난기본소득 지원금 신청시 미사용을 선택한 경우 지원금이 어디를 통해 기부될까"
] |
unanswerable
|
dc0e00a9-1ec2-4dc9-bd49-b9d145ae88cc
|
전기요금 누진제 완화 혜택 고소득층에 집중… 에너지 빈곤층 고려해야
|
전기요금 누진제 개편방안과 경기도의 과제
Ⅰ. 전기요금 누진제 개편안과 개편배경
누진제 개편 요구의 발생 배경은 기후변화로 인한 폭염과 열대야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고온으로 폭염 및 열대야 발생일 증가에 따라 누진제 개편요구 증대
○ 기상청의 기후통계시스템에 따르면 누진제 개편요구가 강하게 발생한 2016년과 2018년은 폭염 및 열대야가 평년에 비해 빈번하게 발생
2016년에는 평균 폭염일수가 22.4일로 역대 3번째, 평균 열대야 발생일은 10.4일로 역대 5번째로 많이 발생
2018년의 평균 폭염 및 열대야 발생 일수는 각각 31.5일, 17.7일로 역대 최장
○ 빈번하게 발생한 폭염 및 열대야로 인해 냉방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증가했으나, 누진제로 인해 전기요금 부담이 커지면서 누진제 개편요구 증대
월평균 350kWh의 전기를 소비하는 4인가구가 매일 10시간씩 냉방기기 사용 시 냉방요금은 22만 8,560원(2016년 개편 전 39만 8,080원)
|
[
"2016년 열대야 발생일 10.4일 동안 얼마의 전기를 소비했지",
"2018년 폭염이 발생한 31.5일 동안 일평균 얼마의 전기를 소비했을까"
] |
unanswerable
|
7b9a7548-f3cc-45ed-b2a2-60c0a100b579
|
사회갈등에 대한 소통과 합의위해 주민참여를 강화할 수 있는 지방정치축제 활성화해야
|
숙의민주주의의 새로운 장, 지방정치축제
Ⅳ. 경기도 지방정치축제를 위한 정책제언
민선7기 주민참여의 직접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소통의 장
민선7기 새로운경기위원회는 도정 핵심전략과 과제로 주민참여 및 직접민주주의의 확대를 제시
○ 민선7기에 제시된 도민 참여의 직접민주주의는 주민참여 제도의 실질적 강화와 디지털민주주의 플랫폼 등으로 구체화
- 경기도는 도민청원제·도민발안제·주민참여예산제 등 직접민주주의 제도의 실효성 강화를 통하여 제도적 보완 추진
- 아울러 온라인에서는 ‘디지털민주주의 플랫폼’을 구축하고, 오프라인에서는 ‘지방정치축제’ 개최를 통하여 주민참여 강화를 지향
|
[
"지방정치축제 개최로 보완된 제도는 뭐야"
] |
unanswerable
|
8c7608e8-701d-4513-ac99-3740d9ec52aa
|
수면장애로 인한 경기도의 생산성 손실액 2조 6천억 원
|
경기도 수면산업(Sleep Industry) 육성을 위한 실태조사 및 정책방안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 수면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와는 반대로 우리나라 수면 상태는 매우 심각 한 수준임
○ 수면의 중요성이 개인의 차원을 넘어 사회경제적으로도 높아지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 국민들의 평균 수면시간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하위 수준임
○ 또한 불면증 등 수면장애로 인해 병원을 찾는 환자들의 수는 해마다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음
○ 특히 수면장애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진료비 및 약제비를 비롯하여 수면부족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와 사로고 인한 손실을 감안할 때 매우 심각한 수준임
|
[
"경기도의 생산성 저하와 경제적 손실은 무엇 때문이니"
] |
unanswerable
|
ed8be701-06e3-491a-8154-9925f2fe38b8
|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과학 잠재력 높아… 제도화와 역량강화 투자 필요
|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과학의 의미와 가능성
제2장 시민과학의 개념과 이론적 배경
제2절 환경문제와 시민과학
1. 시민과학의 편익과 장점
이와 같이 시민과학을 정책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국가들은 시민과학이 연구자, 시민, 정책결정자, 사회, 연구와 혁신 사이클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편익을 가져다준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시민과학을 통해 얻게 되는 기대효과는 시민과학 정책과 프로그램 확산을 위한 정당성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장점들은 크게 시민들의 과학적 소양 및 시민성 함양, 과학의 민주화, 새로운 지식 생산과 과학의 혁신, 과학과 사회의 연계, 과학자의 역량 향상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and ******, 2016;********et al., 2017;****** et al., 2009;******* et al., 2012).
|
[
"시민의 민주화를 위해 국가들은 정책적으로 사회에 무엇을 지원하고 있어",
"정책결정자에게 정당성을 제공하기 위해 국가들은 어떤 지원을 하고 있지"
] |
unanswerable
|
f60248ee-70eb-4f2f-95cb-5694e3708153
|
남북협력시대 경기북부, 북한의 접경 도시와 연계된 트윈시티로 개발해야
|
남북협력시대의 경기북부 발전전략 : 트윈시티로 개발해야
Ⅱ. 미국-멕시코 국경지대 트윈시티 사례 및 시사점
미국-멕시코 국경지대의 문화·역사적 동질성은 트윈시티 발전을 촉진
국경 형성 이전의 역사와 문화적 동질성으로 인해 미국-멕시코 국경지대는 언어, 인종, 문화, 사회적 네트워크 등에 있어서 높은 통합성을 가짐
○ 1853년 개즈던 매입으로 미국-멕시코 국경이 형성되기 이전에는 애리조나, 캘리포니아, 뉴 멕시코가 멕시코의 일부였음
○ 따라서 미국 국경지대에는 멕시코계 미국인이 다수 분포하고 멕시코 문화가 많이 남아있음
- 인종별 인구비율을 살펴보면, 미국 히스패닉 및 라티노 인구 대부분이 미국-멕시코 국경지대 근처에 분포하고 있음
이러한 높은 인종·문화적 통합성은 국경의 장벽을 낮추는 역할을 하였으며, 국경도시 간 협력을 강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함
○ 특히 미국의 노갈레스 애리조나와 멕시코의 노갈레스 소노라는 매우 긴밀한 문화적 유대감을 보여주는 전형적 사례로 국경간 교류 활동을 강화시킴
○ 문화적 긴밀함과 네트워크는 노갈레스에서 초국경 협력이 용이하도록 하였고, 일상생활뿐 아니라 경제적, 산업적 협력이 가능하도록 하였음
|
[
"미국과 멕시코가 히스패닉의 경제적 협력을 위해 개발한 국경도시는 어디니",
"멕시코가 미국과의 산업적 협력을 위해 개발한 트윈시티는 어디에 있어"
] |
unanswerable
|
02fbf5b9-1060-4b38-98b8-7dda5997c147
|
남북평화협력시대 대비, 경기북부 ‘신 종합발전구상’ 등 12대 전략사업 제시
|
남북평화협력시대와 경기도의 역할
Ⅰ. 남북평화협력시대, 여정의 시작
남북정상회담 개최(2회), 남북관계 개선 착수
□ 4월과 5월의 남북정상회담은 남북 모두가 반드시 성공해야만 했던 회담으로서 남과 북이 사전 조율을 통해 ‘성과’ 를 도출
○ 북한은 미국과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해소와 미국의 대북 무력행사 가능성 차단, 한국은 북한 비핵화와 더불어 북한과 미국 간 대화와 협상 중재, 남북관계 개선이 주요 목적
○ 제3차 정상회담은 ‘완전한 비핵화’가 공동선언문(판문점 선언)에 삽입됨으로써 북미정상회담으로 이어지는 징검다리 역할을 수행하였고, 제4차 정상회담은 한때 좌초 위기에 빠졌던 북미정상회담의 개최 동력을 복원하는 데에 기여
북미정상회담, 새로운 북미관계 수립 선언
미국의 도날드 트럼프 대통령과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은 2018년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북미정상회담을 갖고 새로운 북미관계 수립에 합의
○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정상회담은 한국전쟁이후 현재까지 70년 가까이 적대적 관계를 유지해왔던 미국과 북한의 현직 대통령과 최고지도자가 직접 만나는 최초의 사례
○ 미국과 북한의 양국 정상은 새로운 북미관계 수립 및 한반도에서의 지속적이고 견고한 평화 체제 구축과 관련된 이슈에 대해 논의
○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에 대한 안전보장을 제공하기로 약속했고, 김정은 위원장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확고한 약속을 재확인
○ 양국 정상은 회담 종료 후, ‘새로운 북미관계 수립’, ‘지속·안정적인 평화 체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노력’, ‘전쟁포로 유해 송환·수습’ 등을 주요 합의사항으로 하는 공동성명에 서명 및 발표
|
[
"2018년 6월 12일 남한의 대통령이 누구와 정상회담을 가졌니",
"누구와 김정은 위원장이 경기도에서 만나 정상회담에 대한 사전 조율을 했어"
] |
unanswerable
|
af6d2216-0262-47be-996b-2faa7bbd2da7
|
친환경 에너지 수소경제의 활성화 위해 수소차와 수소충전소 보급 지원체계 필요
|
경기도 수소경제 미래를 생각하다
Ⅳ. 경기도 수소경제 미래를 위한 과제
경기도 수소차와 수소충전소의 활성화를 위한 지원체계 구축 필요
경기도의 수소차 및 수소충전소 보급 촉진을 위한 지원체계 구축 필요
○ 수소충전소 설치의 신속성과 효율성을 위해 31개 시⋅군별 수소충전소 설치 후보지 수요조사를 실시하여 부지확보 DB를 사전에 구축해 둘 필요가 있음
- 수소충전소 구축 정책은 단기적으로 도유지, 시⋅군유지, 대형공영주차장, 산업단지 인근 지역 등의 외곽 공공부지에 수소충전소를 구축하도록 함
- 중기적으로는 유동인구가 많은 도심지나 수소차 확산 용이지역에 입지한LPG⋅CNG 충전소와의 융복합형 수소충전소를 구축하는 것이 효율적임
- 장기적으로 대도시 도심과 같은 유동인구와 교통량이 많은 지역에 수소충전소를 최대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이를 위해 수소충전소의 입지제한 및 이격거리유지 규정을 완화하도록 함
|
[
"경기도 대형 공영주차장에 설치된 수소충전소는 몇 개니",
"경기도 산업단지 인근 지역에 구축된 수소충전소는 몇 개야"
] |
unanswerable
|
6c606bb0-c933-4ff1-b2b5-74f1aa59320a
|
원거리로 통학하는 초등학생 안전 위해 ‘통학거리’ 기준으로 통학구역 설정해야
|
원거리 통학 유발하는 등학교 통학구역 개선방안
Ⅱ. 통학구역 논란의 원인
통학구역에 대한 주민들의 다양한 시각
기존 학교의 학부모들은 새로운 아파트로 유입된 신규 학생 배정시 학생과밀 우려로 통학구역 조정에 반대
○ 과밀학교 문제 우려로 인해 기존 학교 학부모들은 아파트 신설 등으로 인해 이사 온 신규 학생들이 학교에 추가로 배정되는 것을 반대함
- 과밀학교의 경우 교실 공간 부족, 화장실 부족, 급식실 부족, 특별활동실 부족 등으로 인해 교육의 질이 떨어짐
- 신규 아파트 주민 입장에서는 늦게 입주했다는 이유만으로 집 앞에 학교가 아닌 먼 곳의 학교로 배정되는 것은 수용하기 어려움
○ 과밀학교 개선을 위해 학교를 증축하는 경우 공사 중 소음, 분진 등으로 인한 학습 환경 악화 문제가 발생하게 됨
- 공사 중 문제뿐만 아니라 학교 증축 이후에는 운동장 부족문제와 함께 일조권이나 미관 등의 문제가 지속됨
|
[
"먼 곳의 학교로 배정된 학생들이 겪은 문제는 뭐야"
] |
unanswerable
|
eddc8c8d-2db1-4d49-9742-1488524db70c
|
경기도의 내진설계율 12.3%로 취약, 대부분 공동주택으로 나타나
|
지진에 대비한 경기도 내진대책과 정책개선
제2장 지진발생의 현황 및 정책여건변화
제1절 지진의 유형 및 단층현황
2. 지진파의 종류와 전파 특성
단층의 갑작스런 움직임은 두 가지 서로 다른 형태의 실체파(Body wave)인 P파(Primary waves)와 S파(Secondary waves)를 발생시킨다. 지진파 중 표면파(Surface wave)는 지구의 표면과 내부의 층에서 P파와 S파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한다. 지진파의 속도는 암석의 성질과 파의 형태에 따라 달라지며, 암석의 밀도가 높을수록 지진파의 속도는 빨라진다.
1) P파(Primary waves)
P파는 가장 빠르게 전파한다. 공기 중에서 소리가 전파하듯이 P파는 수축과 확장의 연속으로 전달된다. P파의 속도는 초당 약 6-7 km이고, 전달될 때 암석 내 입자들의 움직임은 파의 진행방향과 평행하다.
2) S파(Secondary waves)
S파는 횡파로서 초당 약 3.5-4 km 의 속도로 P파보다 느리게 전파한다. S파가 전달 될 때 암석 내의 입자들은 파의 진행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움직인다. 횡파에서는 진동면이 수직방향인 수직횡파(SV)와 수평방향인 수평횡파(SH) 두 종류가 있으며, 공기나 액체에서는 전파하지 못한다.
|
[
"초당 약 4-7 킬로미터의 가장 느리게 전파하는 지진파는 뭐야",
"지진파 중 어떤 파가 암석 내에서 전파하지 못하지"
] |
unanswerable
|
5e4c1727-b2b9-4f15-8161-a64bcbd4e425
|
4차산업혁명에 대응하는 콘텐츠 융·복합이 가능한 도심 내 혁신클러스터 조성해야
|
4차산업혁명에 대응하는 도심 내 융복합 R&D클러스터 조성방안
Ⅲ. 경기도 R&D클러스터 조성방안
단계별 상황에 맞춘 완결형 인큐베이팅 지원시스템 구축
□ R&D를 넘어, 아이디어의 상품화, 마켓진출 및 사업화 지원 등 다양한 인큐베이팅 기능을 갖출 수 있는 완결적 창업생태계 조성 추진
○ 영국의 테크시와 중국의 중관촌 사례에서와 같이 소통과 교류가 이루어지는 창업공간의 충분한 제공, 자생적 생태계 구축을 위한 지원 등 필요
- 영국 Tech-City의 ‘Techhub’와 중관촌 ‘차고카페’에서는 저렴한 임대료로 오픈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많은 혁신기업들의 집적 기회 제공
○ 공유형오피스 조성, 기술·금융컨설팅, 해외진출까지 원스톱지원,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설, 엔젤투자 등까지 종합적인 인큐베이팅 기능 강화
|
[
"소통과 교류가 이어지는 아이디어를 충분히 제공해 혁신기업들의 집적 기회를 제공한 사례로 뭐가 있어",
"어디의 사례가 저렴한 인력양성 프로그램으로 자생적 생태계를 구축한 대표적인 예지"
] |
unanswerable
|
e9b5dae9-38ba-4452-be32-010941b3266a
|
‘치료’ 중심 의료에서 ‘건강수명’ 중심의 공공 스마트 헬스케어로 전환해야
|
질병예방과 건강수명연장을 위한 지역사회 공공 스마트 헬스케어 모델 구축
Ⅰ. 글로벌 헬스케어 패러다임의 변화
ICT 기술과 함께 진화하는 헬스케어, 정밀의료의 시대 도래
ICT 기술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기술의 융합과 활용을 통해 헬스케어분야 또한 다양한 형태로 진화해 옴
○ 의료정보 및 서비스를 정보통신기술을 통해 제공하는 Tele-Healthcare 이후 원격진료기술을 개별 맞춤형으로 발전시킨 e-Healthcare로 진화됨
○ 유비쿼터스 기술의 발전으로 환자의 건강정보를 지속적,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이를 기반으로 맞춤형 건강정보를 제공하는 u-Healthcare로 진화함
○ ICT 기술과 헬스케어의 융합으로 인해 전통적인 의료서비스 공급체계가 기존 공급자 중심에서 이용자 중심의 스마트 헬스케어 공급체계로 전환됨
- 공급자 중심으로 IT 기술을 활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e-Healthcare와 u-Healthcare에서 치료 및 질환관리, 그리고 예방적 건강관리 및 증진활동을 위한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인 smart-Healthcare로 변화됨
|
[
"유비쿼터스 기술로 환자의 건강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IT 서비스가 뭐야",
"ICT 기술과 헬스케어를 융합한 원격진료기술을 통해 무슨 지역사회 의료 서비스가 구축됐어"
] |
unanswerable
|
c8a52e66-1369-46a9-9539-ed2d551c6f3b
|
2016.12.9, 드디어 「수서고속철도」가 개통됩니다
|
2016. 12. 9, 드디어 「수서고속철도」가 개통됩니다.
□ 수서고속철도는 국내 최장대 터널인 율현터널을 비롯, 전체 구간의 93%에 해당하는 56.8㎞가 터널로 이뤄져 있어 국토교통부와 사업시행자인 한국철도시설공단은 터널구조물의 안전에 각별한 주의와 관심을 기울이며 건설 공사를 진행했다.
ㅇ 2014년 10월부터 3개월 간 땅꺼짐 현상(일명, 싱크홀)을 안전점검하고, 주요 공사가 완료 단계에 이르러서는 ‘민관합동 안전점검’(2016년 1월), ‘터널 전 구간 안전점검’(2016년 3~6월), ‘개통 전 사전점검’(2016년 4월, 8월) 등 시설물 안전을 수차례에 걸쳐 면밀히 검증했다.
ㅇ 시설물 안전성 확보를 위한 치밀한 노력의 결실로 올해 8.8일 착수한 종합시험운행 과정에서 기존 경부․호남고속철도 개통준비 당시보다 훨씬 안정적*으로 시설물 검증을 완료하고 11월 1일 영업시운전에 착수할 수 있었다.
* 108개 시험항목 모두 적합, 보완사항 6건 도출되어 모두 조치완료 하였다.
ㅇ 또한, 운영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비상상황을 고려하여 율현터널(52.3㎞) 구간에 인명 대피용 수직구 16개소 등 총 22개소의 대피로를 마련했고, 다양한 상황을 가정한 비상대응 훈련*을 반복 시행하여 위기상황 발생 시 대응체계를 확립하는 등 안전관리체계를 확보했다.
* 2016.9.6(화) 화재상황을 가정한 비상대응 실제훈련, 10.18(화) 탈선사고 가정 유관기관합동 CPX, 11.8(화) 탈선사고 가정 유관기관 합동 종합훈련 등을 실시했다.
|
[
"시설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2014년 1월에 민관합동 안전점검을 실시한 철도는 무엇이니",
"어떤 철도가 2014년 9월 6일 화재상황을 가정한 비상대응 실제훈련을 실시했지"
] |
unanswerable
|
f8bd776d-f7ff-43d8-a58e-0a2b7104aa33
|
수면장애로 인한 경기도의 생산성 손실액 2조 6천억 원
|
경기도 수면산업(Sleep Industry) 육성을 위한 실태조사 및 정책방안
제2장 수면과 건강, 삶의 질
1. 수면으로 인한 건강영향
2) 수면장애
(2) 수면장애의 분류
□ 수면무호흡
○ 수면무호흡은 폐쇄성 수면무호흡 또는 저호흡, 중추성 수면무호흡, 수면관련 환기저하로 구분되는데, 이중 폐쇄성 수면 무호흡은 주간 졸림증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수면장애임
○ 특히 비만은 수면 무호흡의 중요 인자로 보고되고 있으며, 알코올 역시 상기도 저항을 증가시켜 수면 무호흡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 하지불안증후군
○ 하지불안증후군은 가장 흔한 이상운동질환(movement disorder)로서 주요 증상으로는 움직이지 않고 있을 때 다리에 불쾌한 느낌이나 아프거나 저린 느낌, 또 벌레가 기어가는 느낌 등으로 인해 다리를 움직이고 싶은 충동이 생김
○ 주로 활동을 하는 낮보다는 저녁이나 밤에 더 심하게 나타나며, 우리나라 성인의 약 10%에서 하지불안증후군이 관찰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음
|
[
"한국 성인의 몇 퍼센트가 수면장애 증상이 있을까"
] |
unanswerable
|
64179cfc-a4f7-4c78-9308-29a1c1bd7da9
|
수도권 주민, 남북협력에 가장 필요한 환경분야로 ‘에너지’ 1순위로 꼽아
|
남북 환경협력의 쟁점과 추진방향
Ⅱ. 남북 환경협력 기본방향
환경분야의 남북협력 기본방향
상호협력, 지속가능, 개발과 환경의 균형을 협력의 기본방향으로 함
○ 우리나라 환경정책의 성공과 실패 사례를 참고하여 개발과 환경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북한과 환경분야 협력 논의
- 우리나라 환경정책은 대규모 개발이 우선적으로 추진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획일적인 환경시설 설치가 전형이었음
- 독일처럼 환경이나 에너지를 테마로 내세운 마을조성 등 다양한 선진적인 기법을 적용하기에는 개발이 이미 완료단계라 시기를 놓침
- 개발이 백지상태인 곳이 많은 북한의 여건, 외부와 차단되어 환경문제를 스스로 해결해 왔던 방식 등을 공동실태조사에서 파악하여 우리나라에서 적용해 보고 싶었던 환경기술과 접목하여 남북협력 방안 모색 필요
|
[
"개발이 백지상태인 곳이 많아서 환경을 테마로 한 마을을 조성 중인 나라는 어디인가",
"한국은 다양한 선진적인 기법을 적용하여 환경정책을 펼친 어느 국가와 협력 논의를 하려고 하나"
] |
unanswerable
|
9b732dc1-7ad5-4a10-aee8-e64476c3ea8a
|
자전거 고속도로 조성하여 녹색교통 중심의 도시체질로 변화시켜야
|
자전거 고속도로, 미래도시를 위한 혁신
Ⅰ. 자전거도로의 현황과 문제점
현재 자전거 전용차로는 자동차의 불법주정차, 오토바이 주행, 노점상 등이 차지하여 위험하고 불편
○ 자전거 전용차로가 설치되는 끝 차로에는 버스정류장, 자동차 진출입, 자동차 주정차, 오토바이 통행 등이 혼잡하게 발생되어 자전거 전용차로의 이용은 불가한 수준
- 자전거 전용도로가 자전거를 이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자전거도로이지만 공원, 강변 등 운동, 레크리에이션 등의 목적으로 설치
○ 최근 자전거 우선도로가 설치되고 있으나 자전거 전용도로에 비해 이용자에게 더 위험하고 불편
- 자전거 이용활성화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따르면 자전거 우선도로는 일일 통행량이 2,000대 미만의 도로에 대해 설치하도록 하고 있어 수도권 도심에서는 대상 도로 부족
- 통행량이 적은 도로에서는 자동차가 과속하는 경향이 높아 자전거 우선도로 이용이 오히려 위험할 소지도 존재
|
[
"자전거 이용활성화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따라 공원, 강변에 운동 등의 목적으로 설치된 것은 뭐야",
"수도권 도심에서는 자동차가 과속하는 경향이 높아 무엇을 이용하는 것이 오히려 위험할 소지가 존재하지"
] |
unanswerable
|
b231f613-10ee-4866-994a-8031edecaaea
|
지방자치 발전 따라 자치법규 큰 폭 증가… 지자체 자율 정비 필요
|
자치법규 자율정비,경기도가 시작할 때
Ⅲ. 경기도 자치법규 자율정비정책의 운영방안
경기도 자치법규 자율정비정책의 세부 사항별 구체적 정책내용 제안
○(정비주체) 정책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실제 추진계획 마련에서부터 최종 정비안 도출까지 모든 단계를 경기도가 주체적으로 수행해야 함
경기도 법무담당관은 매년 자치법규 자율정비를 위한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모든 부서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의견제시 서식 등을 사전에 마련. 배포하는 등 전반적인 정책운영을 총괄해야 함
법령과 자치법규에 대한 전문지식을 보유하고 있는 외부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한 위원회를 별도 구성하여 정책운영의 전문성. 객관성도 확보해야 함
|
[
"경기도 자치법규를 위해 보유하고 있는 전문지식으로 최종 정비안을 도출하는 사람은 누구니",
"경기도 자치법규 자율정비정책에서 정책운영의 전문성과 객관성을 위해 모든 부서에 의견을 제시하는 사람은 누굴까"
] |
unanswerable
|
e05a586a-f4b6-488f-b157-d2d7d6547124
|
남북평화협력시대 대비, 경기북부 ‘신 종합발전구상’ 등 12대 전략사업 제시
|
남북평화협력시대와 경기도의 역할
Ⅱ. 경기도의 위상과 역할
경기도의 기회와 위기 : ‘남북경제협력의 중심 vs. ‘통과지역’
남북관계 개선과 남북평화협력시대 도래는 경기북부가 남북경제협력의 중심으로 부상할 기회와 함께 통과지역으로 전락할 수 있는 위기도 내포
○ 남북평화협력시대가 본격화될 경우 한국과 국제사회의 투자는 북한지역에 집중되면서, 경기북부는 경의선, 경원선 등의 철도와 여타의 남북 간 도로들이 지나가는 단순 ’통과지역(Bypassed Zone)’으로 머무를 가능성도 존재
- 경기북부가 미래 통일 한반도에서의 자신의 역할과 모습을 제대로 그려내지 못할 경우, 경기북부는 한반도의 중심적 위상을 회복하지 못한 채 수도권의 변두리 또는 남북경협 신개발 루트에서 방치된 지역으로 전락할 우려가 제기
○ 경기도는 경기북부가 미래 통일 한반도에서 서울과 평양을 잇는 핵심연결지대이자 물자와 인력이 몰려드는 ‘신 중심(New Center)’이 될 수 있도록 사전에 중장기 비전과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
|
[
"남북평화협력시대에 수도권을 중심으로 부상한 지역은 무슨 역할을 맡고 있니",
"남북경협의 신개발 루트로 부상한 경기도 변두리의 역할은 무엇일까"
] |
unanswerable
|
64575823-0678-4b67-b0ae-30a85eac6bae
|
자전거 고속도로 조성하여 녹색교통 중심의 도시체질로 변화시켜야
|
자전거 고속도로, 미래도시를 위한 혁신
∐. 자전거도로의 새 바람 자전거 고속도로
오래된 자전거에 대한 새로운 시각 친환경, 친건강 미래 교통수단
자전거를 레저수단에서 도심 주 교통수단으로 격상시키는 선진 도시의 도로 교통 환경 변화 주목 필요
○ 런던은 가장 교통량이 많은 런던 도심 방향으로 완전 분리된 자전거 고속도로인 ‘Cycle Superhighway’를 건설중
- 런던시는 런던시민의 건강과 대기질 개선에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
○ 캐나다 밴쿠버시는 ‘Protected bike lane network’이라는 프로젝트로 2008년 대비 2011년 자전거 이용자 40% 급증
- 기존에도 우리나라의 자전거 전용차로 개념의 자전거도로가 있었으나 위험하여 이용률 미미
- 자동차 도로와 보도로부터 완벽히 분리된 자전거 전용도로의 제공으로 자전거 이용자에게 안전하고 빠른 통행환경 제공
- 보도에서 자전거 이용이 없어지자 안전하고 편리한 보행환경이 조성되어 보행수요도 함께 급증
○ 스페인의 인구 40만명의 산세바스티안 시는 지속가능한 도시 성장과 주민들의 건강을 위하는 목적으로 자전거 출퇴근자들을 위한 자전거 전용 터널 개통
- 총 공사비는 2.6백만 유로가 소요되었으며 총 연장은 850m로 세계에서 가장 긴 자전거 전용 터널로 기록
|
[
"런던에서는 무엇이 도심 주 교통수단에서 레저수단으로 변화되었어",
"캐나다에는 어떤 교통수단을 위한 전용 터널이 개통되었니"
] |
unanswerable
|
27525be8-22f0-4532-9bba-f61a2a65d4e9
|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과학 잠재력 높아… 제도화와 역량강화 투자 필요
|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과학의 의미와 가능성
제2장 시민과학의 개념과 이론적 배경
제2절 환경문제와 시민과학
3. 시민과학의 주요 쟁점과 과제
넷째, 시민과학이 과학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과 관심을 높이고 교육의 새로운 통로로서 사회의 다양한 집단들이 참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시민과학에 참여하는 ‘시민’의 인구학적 구성을 보면 많은 한계를 보이고 있다(******, 2015). 이것은 시민과학에 참여하는 ‘시민’은 누구인가의 문제와 직결된다. 시민과학 프로젝트에 참여한 사람들 중 사회·경제적 배경이 좋은 20-65세 백인 남성의 비중이 우세하며, 선진국에 집중되어 있고 인터넷이 여전히 장애물로 작용하며 고속 이동통신에 접속할 수 있는 도시가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5:14). 시민과학의 성장배경이 된 사회·경제적, 기술적 변화가 역으로 고등교육을 받고 여가를 즐길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소득과 근로조건이 보장되는 직업을 가지며 인터넷과 스마트폰에 대한 접근성이 높은 시민들한테만 참여 기회가 제한될 수 있다는 것이다(****** et al., 2018:74). 시민과학 프로젝트 과제가 복잡하고 어려울수록 전문지식이나 교육훈련을 필요로 하므로 참여자 중 고등교육을 받은 사람들의 비중이 높고 심지어 박사학위 소지자도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2018:55).
|
[
"시민과학 프로젝트는 어떤 자격을 갖춘 사람들만 참여할 수 있니",
"시민과학 프로젝트는 어떤 사람들이 시민에게 교육훈련을 진행하니"
] |
unanswerable
|
f2bc6feb-c8aa-4166-b726-b2230c6110d2
|
수도권 주민, 남북협력에 가장 필요한 환경분야로 ‘에너지’ 1순위로 꼽아
|
남북 환경협력의 쟁점과 추진방향
Ⅲ. 환경분야별 협력방향
물 환경 :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해 한강하구에 완충지역 설정
한강하구와 임진강 공동 관리로 하구 생태계 연결성 강화
○ 민물이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이 제공하는 다양한 수변과 습지가 공존하는 고유한 천혜의 자연자원을 개발 시작 시점에서 적극적으로 관리 필요
- 서울 도심을 벗어나면서 경기도 고양시와 김포시가 양안에 위치하고 인천앞바다까지 연결된 한강하구는 과거 다양한 포구와 물류 활동의 근거지
- 임진강과 연계되는 한강하구와 김포, 강화도를 거쳐 서해까지 조강의 기수역과 연안, 강화 갯벌까지를 하나의 연결된 공간으로 계획적 관리
- 임진강의 흐름을 따라 드러나는 감조하천의 특성과 바다와 담수가 만나는 기수역으로 이어지는 하구 생태계에 장항, 신남, 시암리 습지 등 다양한 생태계 보고(寶庫) 가치 존중 필수
- 남북 협력시대의 다각적 개발과 활용 과정에서 한강하구가 지닌 문화, 환경, 여가 가치가 제대로 활용될 수 있고 지속가능하게 개발되도록 기존 보호구역과 중립지역을 포함한 적절한 완충지역 설정 고려 필요
- 기존 보호구역은 절대보전공간으로, 연접하여 최소 50m의 완충공간을 추가 설정하여 수변생태공원, 다용도 인공군락지 등으로 활용 고려
|
[
"어디에 있는 포구가 한강하구와 연계되어 다양한 물류 활동의 근거지가 됐어",
"하구 생태계 연결성을 강화하기 위한 보호구역이 있는 갯벌은 어디에 있지"
] |
unanswerable
|
4464cbce-99a8-4749-93cc-8875141cba02
|
1차 재난지원금의 추가소비 효과, 외국 유사 사례의 1.8배 수준
|
재난기본소득 정책 효과 분석 연구
제2장 현황 및 선행 연구
제 2 절 선행 연구
2. 소비 이론(가설) 관련 연구
2) 항상소득가설
Friedman(1957)은 소비자가 기대하는 평생소득의 현재가치에 의해 소비자의 현재소비가 결정된다는 I.Fisher의 분석에 기초하여 소비자의 소득을 소비자의 항구적인 특성인 능력, 부, 직종에 의해 결정되는 ‘항상소득’과 경기변동 등과 같은 일시적인 요인에 의해 변동하는 ‘임시소득’의 합으로 보았다. 따라서, 소비자의 현재소비는 소비자의 소득 중에서 항상소득에 의해 결정되며, 일시적인 임시소득은 소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거나 영향을 미친다고 해도 그 크기가 작고 일시적이라고 보았다. 즉, 소비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항상소득을 변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2002)은 1991년 4분기~2001년 4분기의 한국 소비자태도조사를 이용하여 소비자태도지수와 소비지출 증가율의 관계를 보았다. 여기서, 3분기 전의 소비자태도지수의 시차변수와 소비지출이 양의 관계가 있음 보여주고 있다.
|
[
"평생소득을 현재가치와 임시소득의 합으로 본 사람은 누구야"
] |
unanswerable
|
7c72a077-2b90-4aba-8bfd-bbf60d7bb409
|
교통약자 위해 저상버스 확대와 시설개선에 집중해야
|
수도권 대중교통의 교통복지 정책 방향 - 대중교통요금 및 이동장애인을 중심으로-
제 2장 교통복지의 정의
제1절 사회복지의 개념
3. 사회복지의 개념
사회복지의 개념은 잔여적(Residual) 개념과 제도적(Institutional) 개념으로 구분된다. 잔여적 개념(Residual)은 가족이나 시장과 같은 정상적인 공급구조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경우에 사회나 국가가 비로소 개입하는 것이다. 사회 내에 자연적인 경로인 가족과 시장경제를 통해 각 개인의 욕구가 적절히 충족 될 수 있음을 전제로 한다. 제도적 개념(Institutional)은 현대의 산업사회에서 정상적인 ‘제일선’의 기능으로서 사회복지를 보편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사회적 약자, 소외계층, 위기계층, 소수집단 등 사회적 서비스가 불가피한 개인과 집단은 사회와 국가로부터 원조를 받을 권리가 있음을 전제로 한다. 사회복지의 개념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변해 왔다. 산업화는 사회복지 개념에 7가지 측면의 변화를 가져왔다. 우선 잔여적 개념에서 제도적 개념으로, 둘째 자선에서 시민의 권리로, 셋째 빈민에 대한 특수성에서 사회구성원 전체에 대한 보편성으로, 넷째 최저 수준에서 적정 수준으로, 다섯째 개인의 변화에서 사회의 개혁으로, 여섯째 민간의 후원에서 정부의 개입으로, 일곱째 빈민을 위한 복지에서 복지사회의 구현으로 변화하였다(John M Romanyshyn, 1971).
|
[
"복지사회의 구현에서 빈민을 위한 복지로 사회복지의 개념을 변화하게 한 것은 뭐야"
] |
unanswerable
|
78433aec-b612-4fe1-a115-0f1ba055ad40
|
수면장애로 인한 경기도의 생산성 손실액 2조 6천억 원
|
경기도 수면산업(Sleep Industry) 육성을 위한 실태조사 및 정책방안
제3장 국내외 수면산업 현황
1. 수면산업의 정의 및 범위
1) 기존 국내외 문헌검토
(1) 수면산업의 정의
□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수면산업에 대한 정의는 정립되어 있지 않음
○ 우리나라 보다 10년 이상 앞선 해외 선도국에서 조차 수면산업에 대한 정의는 아직까지 없는 상황임
- 다만 수면산업과 관련하여 업계에서는 공통적으로 sleep aids market 또는 sleep industry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하고 있음
○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수면산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수면산업에 대한 정의는 모호한 상황임
- 한국수면산업협회에 따르면 수면산업이란 수면 관련 제품 및 서비스 산업군으로 정의하였는데, 이는 매우 포괄적이고 모호한 개념으로서 수면산업을 특정 짓기에는 한계가 있음
- 경기도 수면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 에서는 수면산업의 정의를 “숙면을 돕는 재화 를 생산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 등”으로 제시하고 있으나 이 역시 매우 포괄적이고 모호하기 때문에 수면산업을 특정하기에 한계가 있음
|
[
"경기도 수면산업 육성 조례에서는 무엇을 수면 관련 제품 및 서비스 산업군으로 정의했니",
"수면산업 관련 업계에서는 무엇의 정의를 숙면을 돕는 재화를 생산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으로 제시했지"
] |
unanswerable
|
b58c0e0a-f3ec-4d7e-9d3d-8e1cc0690c42
|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과학 잠재력 높아… 제도화와 역량강화 투자 필요
|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과학의 의미와 가능성
제2장 시민과학의 개념과 이론적 배경
제3절 분석틀
1. 시민과학 유형 및 특성 분석을 위한 선행연구 검토
1) 시민과학 활동의 유형
시민과학 활동 유형은 시민의 참여 수준 및 주도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며, 이는 시민들이 과학 활동 전반에 걸쳐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가와 관련이 있다. 시민과학 활동 유형으로 가장 많이 언급되는 보니 외(******et al., 2009)는 시민들의 참여 정도가 결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가정 하에 기여모델(Contributory model), 협력모델(Collaborative model), 공동연구(Co-create) 등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et al., 2009:18). 기여모델은 과학자가 연구를 설계하고 시민은 주로 과학자가 정한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수집하여 제공한다. 간혹 시민들이 데이터 분석과 결과를 확산하는 단계에도 참여하지만 연구자 주도형이라고 할 수 있다. 지리적 범위가 넓거나 시계열에 따른 많은 양의 데이터 축적이 필요한 연구에 유용하며, 대부분의 시민과학 프로젝트가 이 유형에 속한다. 협력모델(Collaborative model)은 기여모델과 같이 과학자들이 연구를 설계하고 시민들이 데이터 수집에 참여하지만, 시민들이 연구 설계, 데이터 수집 프로토콜 정교화, 데이터 분석 및 해석, 결론 도출, 결과 발표와 확산 등의 여러단계에도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공동연구(Co-create)는 과학자와 시민이 파트너로서 연구를 설계하고 과학적 과정의 모든 단계 또는 적어도 대부분의 단계에 시민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형태이다. 시민들이 질문이나 이슈를 제기하고 과학자들과 함께 해결책을 모색하므로 프로젝트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된다. 커뮤니티 과학(Community science) 또는 참여적 실천 연구(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
[
"커뮤니티 과학 등 대부분의 시민과학 프로젝트를 포함하는 시민과학 활동 유형은 뭐야"
] |
unanswerable
|
fee21b2d-33d0-4c63-90cc-bd678f295f5f
|
경기도 도시재생뉴딜사업 성공 위해 이면도로 개선사업과 소규모 정비사업 추진해야
|
새정부의 도시재생 뉴딜사업과 경기도의 과제
쟁점과 대안
Ⅰ. 도시재생뉴딜사업 동향
기존 도시재생특별법에 따라 전국적으로 선도지역 13곳, 일반지역 33곳에서 도시재생사업 추진 중
2014년 5월, 중앙정부는 도시재생이 시급하며 파급효과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13곳을 도시재생 선도지역으로 지정
○ 산단, 항만, 역세권 정비 및 복합개발 등을 통한 고용기반의 창출을 목표로 하는 경제기반형 2곳, 생활권 단위의 생활환경 개선과 골목경제 살리기 등을 목표로 하는 근린재생형 11곳(일반규모 6곳, 소규모 5곳)을 선정
- 2017년까지 경제기반형 지역은 500억원(국비지원 50%), 근린재생형 일반규모 지역은 200억원(국비지원 50%), 소규모 지역은 100억원(국비지원60%)의 사업비를 지원
○ 경기도는 도시재생 선도지역으로 지정되지 못함
|
[
"2014년 도시재생사업을 위해 500억 원의 사업비를 지원받은 지역은 어디야",
"2014년에 도시재생 일반지역으로 지정된 곳은 어디야"
] |
unanswerable
|
6d3c15c9-bc1e-4382-9337-86faaae6cc64
|
1차 재난지원금의 추가소비 효과, 외국 유사 사례의 1.8배 수준
|
재난기본소득 정책 효과 분석 연구
제2장 현황 및 선행 연구
제 2 절 선행 연구
2. 소비 이론(가설) 관련 연구
3) 생애주기(라이프 사이클) 가설
Modigliani와 Brumberg(1954)는 개인의 소비수준은 그가 평생에 걸쳐서 얻게 되는 생애 전체소득에 의존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Ando와 Modigliani(1963)는 사람들은 소비를 평탄하게 유지하기 위해 저축을 이용한다고 하였다. 즉, 전 생애에 걸쳐 소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편이 소비자의 효용을 극대화한다고 보았다. 그런데, 소득이 발생하는 기간은 생애 전체 기간보다 짧기 때문에 저축을 이용하여 소비의 평탄화를 가져온다고 말하고 있다.
즉, 생애 전체에 걸쳐서 균등한 소비를 하기 위해 젊었을 때는 음(-)의 저축을 통해 소득보다 더 많은 소비를 하고, 소득이 높은 장년기에는 양(+)의 저축을 하고, 퇴직 후 노년기에는 다시 음(-)의 저축을 통해 소비를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한다는 주장이다.
라이프 사이클(Life-Cycle) 가설의 경우 소비곡선의 모양과 소득곡선의 모양이 서로 다른 모습을 보여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 보면 소비곡선과 소득곡선의 모양은 매우 비슷한 모습을 보인다. 즉, 소득이 많은 기간에 소비를 많이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Campbell과 Mankiw(1989)는 소비자를 정의할 때 전 생애 소득을 고려하여 소비를 계획하는 합리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소비자만을 대표 소비자로 삼는 것 보다는, 소비에 있어서 항상소득에 영향을 받는 소비자와 현재 소득에 영향을 받는 소비자를 모두 고려한 모형에서 현실 경제가 더 잘 설명된다는 것을 보여줬다.
|
[
"ManKiw는 소비가 많을수록 무엇에 영향을 준다고 했니"
] |
unanswerable
|
9757d38f-780f-45ce-a84b-5ed6bc701d79
|
‘치료’ 중심 의료에서 ‘건강수명’ 중심의 공공 스마트 헬스케어로 전환해야
|
질병예방과 건강수명연장을 위한 지역사회 공공 스마트 헬스케어 모델 구축
Ⅲ. 경기도 지역사회 공공 스마트 헬스케어 모델 구축 방안
통합의료정보시스템 및 스마트 헬스케어 솔루션 구축 필요
AI를 활용한 스마트 헬스케어 플랫폼 및 솔루션 구축을 통해 개인의 건강 관련 정보들의 통합・연계, 코디네이션 기능 수행
○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이용자들 개인의 건강정보, 의료정보, 복지 관련 정보들은 병원을 비롯하여, 보건소, 요양시설, 복지시설 등 해당 지역사회의 다양한 기관에 분산되어 있음
- 따라서 이러한 개별 기관들에게 분산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의 통합 및 표준화, 유관기관들의 연계 및 코디네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이 필요함
○ 스마트 헬스케어 솔루션의 코디네이션 기능을 통해 유관 기관들 간의 연계와 연속적, 포괄적 서비스 제공
- 스마트 헬스케어 플랫폼 및 솔루션은 이용자 중심의 통합 건강정보 시스템인 PHR의 운영과 유관기관 간의 연계 및 코디네이션, 그리고 이용자들에 대한 서비스 제공의 기능을 함
- 특히 통합정보시스템(PHR)의 정보를 분석하여 대상자들의 상태에 따라 환자 의뢰체계 및 개인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임
|
[
"경기도는 무엇을 구축하여 병원 중심의 통합 건강정보 시스템인 PHR을 운영해",
"병원, 보건소 등의 개별 기관들에게 환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뭐지"
] |
unanswerable
|
c6f37d7a-698b-4dfb-8c7c-6d9559144aa5
|
경상남도, 5~6월 찾아가는 도민 예산학교 확대 운영
|
경상남도, 5~6월 찾아가는 도민 예산학교 확대 운영
또한 주민참여예산위원회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경상남도 주민참여예산위원 모집 시 예산학교 수료자에 한해 경상남도 주민참여예산위원 신청 자격을 부여할 예정이다.
경남도 관계자는 “이번 찾아가는 도민 예산학교 운영을 통해 도민들의 주민참여 예산제에 대한 이해 증가 및 참여 확대로 주민참여예산 제도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도민 예산학교는 경남도민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참가를 희망하는 경우 해당 시 군 교육생 모집 기간에 이메일 또는 시군 예산부서를 방문하여 신청서를 접수하면 된다. 신청서는 시군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
[
"경상남도는 무엇을 운영해 주민참여예산위원회를 활성화시켰지"
] |
unanswerable
|
ff28c847-e693-449f-a24d-6d745701041b
|
교통약자 위해 저상버스 확대와 시설개선에 집중해야
|
수도권 대중교통의 교통복지 정책 방향 - 대중교통요금 및 이동장애인을 중심으로-
제 2장 교통복지의 정의
제3절 교통복지의 개념
3. 대중교통과 교통복지
대중교통과 연계된 교통복지의 내용은 크게 일반교통(노선버스, 지하철, 철도, 여객, 항공기 등) 영역과 특별교통(특장차) 영역 2 가지로 대별되는데 일반교통 영역의 경우 무임승차와 노선버스에 저상버스의 배치가 가장 대표적인 사업이며, 특별교통 영역에서는 특별교통 수단과 이용과 관련된 내용이 중심이 되는 사업이다. 이의 세부내용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우선, 해당 내용을 강제하고 있는 법령(교통약자법, 시행령, 시행규칙)에서 명시하고 있는 조항과 동 법령에 의해 실시하고 있는“교통약자 이동편의증진계획”의 내용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1)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령 검토
동 법령에서 언급된 대중교통과 교통복지의 연계 조항으로 제2조(정의) 제8호의 특별교통수단에 관한 정의(이동에 심한 불편을 느끼는 교통약자의 이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휠체어 탑승설비 등을 장착한 차량)와 제3조 이동권, 제6조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계획의 수립 등의 제2항 각호의 증진계획 내용(1~9호), 제14조 노선버스의 이용 보장 등, 제16조 특별교통수단의 운행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동 법령에서는 일반교통 영역의 무임승차에 관련된 내용은 적시되어 있질 않다.
|
[
"교통약자 이동편의증진계획에서 여객의 영역에서 검토할 필요가 있는 교통복지 사업은 뭐야",
"특장차의 영역에서 교통약자를 위해 어떤 교통복지 사업이 실시되고 있어"
] |
unanswerable
|
3ae03c38-06dd-4f2b-afd8-e44c9f36d407
|
경기도 도시재생뉴딜사업 성공 위해 이면도로 개선사업과 소규모 정비사업 추진해야
|
새정부의 도시재생 뉴딜사업과 경기도의 과제
Ⅲ. 경기도 도시재생 추진방향
도시재생뉴딜사업 만으로는 역부족이므로 경기도형 도시재생사업의 확대 추진이 필요
○ 도시재생뉴딜사업을 통해 경기도에서 45개소의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더라도232개 쇠퇴지역과 189개의 정비사업 해제구역 등의 환경개선은 어려움
- 경기도 뉴타운 해제지역 등 원도심의 문제는 주택노후화, 주차, 쓰레기처리 등의 문제로 인식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방안이 필요
○ 노후화되고 있는 택지개발지구, 개발이 지연되고 있는 반환공여구역, 경기 남부권의 노후 공업지역 등은 경기도 도시재생 전략사업으로 추진 필요
- 경기도내 준공 후 15년 이상 경과된 공동주택은 114.8만 호이며 안산, 시흥, 성남, 고양, 안양, 군포 등 제1기 신도시가 포함된 시에 집중
- 경기도내 주한미군 반환공여구역이 위치한 5개시 중에서 개발이 지연되고 있는 동두천과 파주의 자이언트, 스탠턴, 게리오언 등은 도시재생 필요
- 대규모 노후 공업지역이 위치한 부천, 안양, 시흥, 군포 등도 검토 필요
|
[
"시흥의 노후 공업지역의 대규모 환경개선을 위해 확대된 도시재생 추진 사업은 뭘까"
] |
unanswerable
|
669f3966-6a6b-459d-b730-40f4de16fd9a
|
경기도의 내진설계율 12.3%로 취약, 대부분 공동주택으로 나타나
|
지진에 대비한 경기도 내진대책과 정책개선
제2장 지진발생의 현황 및 정책여건변화
3. 국내 지진 피해 현황
또한 건물피해 내용을 살펴보면, 필로티 기둥이 붕괴되었고, 건물의 외벽 타일이 떨어져 주차해 있던 차량이 파손되었으며, 아파트, 빌라, 초등학교 등 벽에 균열이 생기고, 담이 무너지고, 유리창 파손, 도로가 갈라지는 등의 피해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지진으로 포항을 비롯한 부산, 울산, 경주, 군산 등 인접 지역에서도 강한 진동이 감지되었고, 그밖에 전국적으로 지진이 감지되어 소방청은 전국에서 약 3천 8백건의 지진신고를 받았으며, 주차된 차들이 심하게 흔들렸고, 주차장 콘크리트 바닥 역시 크게 갈라졌다. 또한 지진 발생 전후에 포항 지역 땅이 최고 6cm정도 움직인 것40)으로 나타났으며, 국내에서 지진으로 지반이 물러지는 액상화 현상41)이 처음으로 나타났다.
규모가 더 큰 9.12 경주지진보다 포항지진의 피해가 더 크게 발생했던 이유를 살펴보면,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 기상청이 공동으로 정밀분석을 실시한 포항지진 정밀분석 결과42) 포항지진의 본진과 최대 여진43)(규모 4.3)을 발생시킨 단층의 움직임은, 9.12 지진에 비해 수직운동 성분이 더 큰 역단층성 주향이동단층과 역단층으로 분석되었으며, 발생 깊이는 약 3~7km로 더 얕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인구 밀집 지역과 연약한 퇴적암층도 피해를 더 크게 발생하게 했던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재민 대피현황은 이재민 대피소 8개소로 중점관리사항으로는 이재민대피소 현장의료지원반 운영, 방역 소독, 개인 위생용품 지급, 피해주민 재난심리지원서비스 운영과 구호물품 및 성금모금, 자원봉사자, 군병력 지원등을 진행하고 있으며, 응급조치의 경우 전파는 통제 안전조치, 반파는 낙하물, 콘크리트 잔해물 제거, 소파는 가재동구 정리를 통한 응급조치를 진행하였다.
|
[
"부산에 몇 건의 지진 신고가 있었어",
"지진으로 인한 유리창 파손 신고는 몇 건이야"
] |
unanswerable
|
e8508346-5ea2-4488-b6c1-92b26536b3d7
|
수면장애로 인한 경기도의 생산성 손실액 2조 6천억 원
|
경기도 수면산업(Sleep Industry) 육성을 위한 실태조사 및 정책방안
제3장 국내외 수면산업 현황
2. 해외 수면산업 현황
2) 중국
□ 중국인의 소득수준 향상과 수면의 중요성 증대로 인해 수면시장이 확대되는 추세
○ 중국의 수면산업은 요식업, 운동산업 다음으로 성장 잠재력이 큰 산업으로 급부상하고 있는데, 향후 5~10년 사이 약 8,000억 위안에 달하는 거대 시장으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됨
- 수면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보편화되는 양상을 보이면서 수면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제품의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수면 관련 시장이 급격히 확대되고 있음
- 특히 수면의 질과 정신건강의 연관성에 대해 중국인들이 인지하면서 식품과 약품 분야까지 수면산업이 확장됨
○ 중국 수면산업은 거대 산업으로 발돋움하고 있지만, 현지 기업의 활약은 미미함.
- 중국의 수면산업은 향후 발전가능성이 큰 시장이지만, 현지 제품과 해외 제품의 기술적 차이가 큼
- 특히 의료기기와 건강 기능성제품의 경우 대부분 해외 제품을 선호하고 있음
|
[
"중국 현지 제품의 기술적 차이로 수면의 질을 높이기 위해 경기도와 무엇을 육성해"
] |
unanswerable
|
4ce40c62-f315-47a3-8179-da62a41e2a4d
|
역동적 기업생태계 구현 및 소상공인 활력 회복
|
2015년도 업무계획 - 역동적 기업생태계 구현 및 소상공인 활력 회복
Ⅲ. 2015년도 주요 업무계획
1. 선순환 벤처·창업 생태계 정착
1 기술창업 촉진 및 성공률 제고
➊ 기술창업자 발굴 ․ 양성 가속화
Start-up Valley 구축 ⇨ 벤처 ․ 창업 3대 클러스터로 육성
◦ 서울 강남 (역삼동) 일대에 (가칭) 하이테크 창업 캠퍼스 신규 설치 (2015.6)
→ 구로 (IT벤처), 판교 (글로벌 벤처)와 함께 벤처․창업 3大 클러스터로 육성
- 대규모 창업보육 공간 (약 10,000m2)에 창업팀 및 엔젤투자사 등이 공동 입주*하여, 창업자-투자자간 화학적 결합 촉진
* 2017년까지 160개팀 입주 예정 → R&D ․ 민간투자 등 최대 3년간 10억원 지원
◦ 민간 주도 창업 액셀러레이터* 및 벤처․창업 지원기관과 국내․외 민관협력 네트워크를 구축 (→ 실리콘밸리式 창업문화 창출)
* 마루180 (아산나눔재단), 디캠프 (은행권청년창업재단), 구글 캠퍼스 (예정) 등
|
[
"2017년 6월에 서울 강남 일대에 무엇이 신규로 설치되었지",
"2015년도에 신규 설치된 어느 곳에 160개팀의 투자자 팀이 공동으로 입주할 예정이야"
] |
unanswerable
|
fbc68030-34bf-40d7-9bdc-bd9d9c198f06
|
수면장애로 인한 경기도의 생산성 손실액 2조 6천억 원
|
경기도 수면산업(Sleep Industry) 육성을 위한 실태조사 및 정책방안
제3장 국내외 수면산업 현황
3. 우리나라 및 경기도 수면산업 현황
2) 우리나라 및 경기도 주요 수면산업 현황
□ 전세계적으로 가장 큰 수면산업인 침구산업, 우리나라도 꾸준한 상승세를 나타냄
○ 통계청의 전국사업체조사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침구산업 현황을 시도별로 분석한 결과 경기도가 가장 많은 1,065개의 침구제조업체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통계청의 전국사업체조사 중 침구류 산업과 관련이 있는 ‘침대 및 내장가구 제조업’ 과 ‘매트리스 및 침대 제조업’을 분석한 결과, 2016년 기준으로 경기도가 1,065개로 가장 많고, 경북 141개, 그리고 부산⋅충남 124개 순으로 나타남
○ 전 세계 수면산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침구산업은 꾸준한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는데, 우리나라 침구산업 역시 지속적인 성장 추세를 나타내고 있음
- 우리나라 침구산업의 최근 추이를 살펴보면 제조업체 수는 2013년 1,703개에서 2016년 1,959개로 증가하였고, 종사자 수도 2013년 19,252명에서 2016년 22,505명으로 꾸준히 증가함
○ 우리나라 침구산업은 IT를 활용한 신기술, 숙면에 좋은 신소재를 활용한 매트리스 제품 등의 개발로 인해 더욱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 우리나라 기능성 침구시장의 규모는 크게 성장하고 있는데, 야노 경제연구소(Yano Research Institute)는 2017년 우리나라 기능성 침구시장의 규모를 8,000억으로 추산하여, 2011년 약 4,800억 원 보다 약 2배 성장할 것으로 전망함
- 특히 침구 중 모션베드의 경우 2013년 미국의 에르고슬립이 소개된 이후 4년 만에 300억 원 규모로 성장하였으며, 연평균 50%의 고속 성장을 나타냄
|
[
"2013년을 기준으로 미국 에르고슬립에 종사하는 사람의 수가 몇 명이야",
"2017년에 경기도에서 침대 제조업에 종사하는 사람이 모두 몇 명이니"
] |
unanswerable
|
f8b0ae10-5a64-4518-aaa2-b965a3f8404f
|
경기도 1인 가구, 인간적 교류 없으면 삶의 만족도 41%로 최하위 수준
|
경기도민 삶의 질 조사 Ⅴ : 웰빙
Ⅰ. 삶의 질 & 건강에 대하여
삶의 질 & 삶 만족도, 우리나라 국민 심각 수준
삶의 질은 개인의 주관적 삶 만족도 또는 안녕감으로 정의할 수 있음
○ 삶의 질에 대한 개념은 상황 또는 관점에 따라 다양하지만 보편적으로는 개인이 본인의 삶에 대한 주관적 만족 또는 안녕감으로 정의할 수 있음
- 삶의 질에 대한 정의는 학자들에 따라 주관적 안녕감(well-being), 주관적 삶의 만족(satisfaction of life), 심리적 복지, 생활에 대한 만족, 행복감 등 다양한 의견이 존재함
- 다양하고 복잡한 삶의 질의 개념에 대한 보편적인 시각은 개인의 전반적인 상황이나 삶의 경험들에 대한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평가와 만족으로 정의할 수 있음
○ 삶의 질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특성 외에도 사회적 관계 및 환경적 조건 등 다양한 요인들이 종합적으로 고려된 정서적, 사회적 만족도로 정의할 수 있음
- 삶의 질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특성뿐만이 아닌 '개인'을 중심으로 '사회적 관계' 및 '환경적 조건', 그리고 소득, 소비, 자산, 고용, 임금 등의 물질적인 부문과 건강, 교육, 문화, 가족, 공동체 등 비물질적인 부문 등 개인을 둘러싼 다양한 요인들의 영향을 받음
- 따라서 삶의 질이란 개인이 가지고 있는 특성은 물론 개인을 중심으로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개인의 주관적인 정서적, 사회적 만족도라고 할 수 있음
|
[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조건은 뭐지",
"소득, 소비, 자산 등 비물질적인 부문에 영향을 받는 것은 뭐지"
] |
unanswerable
|
1183a798-a957-4355-9747-9a52f17b4c27
|
경기도의 내진설계율 12.3%로 취약, 대부분 공동주택으로 나타나
|
지진에 대비한 경기도 내진대책과 정책개선
제2장 지진발생의 현황 및 정책여건변화
4. 국외 지진 발생 및 피해현황
1) 국외 지진 피해사례
⑧ 아이티 지진(2010)
전체 사망자가 약 23만 명으로 추산되고 구조자는 132명 정도로 추정되었다. 시신이 그대로 방치되어 위생관련 위험이 컸으며, 전염병으로 인한 2차 피해 사망자도 발생할것으로 우려되었고, 교도소 건물 붕괴로 4천명의 죄수들이 탈주하여 사회적 불안 요인은 가중되었다. 건축물 피해는 대통령궁을 비롯한 정부기관(문화통신부, 재정부, 공공사업부, 의회 등) 건물들이 파괴되었으며, 병원과 성당, 상당수의 주택 등 건축물이 파괴되었고, 지진에 미처 대비하지 못한 건축법규로 인하여 내진성능이 부족한 건물들이 대다수 차지하였으며, 대부분의 건축물에서 붕괴와 손상이 발생하였다.
⑨ 동일본 대지진(2011)
도호쿠 지방, 간토 지방의 태평양 연안부에 막대한 피해 발생하였다. 일부 지역에서는 최대 쳐올림 높이 40.1m, 높이 10m 이상에 달하는 지진해일 발생하였으며, 약 10분간 오사카 사키시마 청사가 흔들렸으며, 최대 1m를 넘는 수평 변형이 최상층(52층)에서 발생하였다.
또한, 홋카이도 남해안에서 도호쿠 지방을 거쳐 도쿄를 포함한 간토 지방 남부에 이르는 광대한 범위에서 피해가 발행하였고, 지진해일로 인하여 사망자의 90% 이상이 익사한 것으로 추정되며, 그중 60세 이상의 고령자 비율은 65%를 차지하였다.
동일본대지진 발생하고 약 1시간 후에 지진해일(쳐올림 높이 14~15m)이 원자력발전소를 덮쳐 모든 전원이 상실되고, 원자로 냉각 불가로 인해 1, 3호기에서 노심용융이 발생하여 수소폭발로 인한 대량 방사성 물질이 유출되는 심각한 원자력 사고로 사고로 이어졌으며, 지진발생 이후 지반 액상화 현상이 나타났다.
|
[
"어느 나라에서 2010년에 지진이 발생하여 태평양 연안부에 막대한 피해를 일으켰어"
] |
unanswerable
|
68125655-5126-4658-8691-9712ac42722c
|
광역지자체 간 입지 이동 사업체, 5년 이후 고용 증가… 인적자본・교통 접근성, 낮은 지가로 생존확률 높여야
|
기업의 입지 이동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제2장 지역 간 사업체 입지 이동 현황
제2절 지역 간 사업체 및 종사자 이동 흐름(origin-destination)
1. 지역 간 사업체 및 종사자의 이동 흐름 분석
본 절에서는 광역지자체 간 입지를 이동한 사업체의 지역 간 이동 흐름(유출 및 유입)을 분석하였다. 2001년부터 2018년까지 3만 2,510건의 광역지자체 간 입지 이전에 대해 유출-유입 지역의 분포를 확인한 결과는 <표 2-4>와 같다. 17개의 시도 단위 광역지자체를 수도권(서울⋅인천⋅경기), 강원권(강원), 충청권(대전⋅세종⋅충북⋅충남), 호남권(광주⋅전북⋅전남), 영남권(부산⋅대구⋅울산⋅경북⋅경남), 제주권(제주)의 여섯 개 권역으로 분류했을 때 광역지자체 간 입지 이전은 대체로 동일 권역 내에서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수도권의 경우는 예외 로, 강원권, 충청권으로의 사업체 이전이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를 보인다. 그러나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수도권 내에서도 지자체의 특성에 따라 사업체의 이동 흐름도 다른 양상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천은 다른 광역지자체와의 사업체 유입⋅출이 활발하지 않은데 이러한 현상은 비수도권 지역과의 지리적 접근성이 낮은 특성과도 관련을 갖는 것으로 해석된다. 서울의 경우 사업체 유출에 있어 인력 확보가 용이한 경기도, 부산 등의 대도시권이나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강원도, 충청남도 정도로 유출 지역의 범위가 제한되는 반면 경기도 사업체의 이동 범위는 충청남도, 충청북도, 강원도, 전라북도, 대전광역시 등으로 넓게 분포한다. 그 원인으로는 경기도가 지리적으로 비수도권 지자체와의 가장 인접해있다는 점도 고 려할 수 있겠으나 근본적으로는 경기도에 집중되었던 제조기능이 지가의 상승, 수도권 규제 등으로 인해 부지확보가 상대적으로 유리한 충청권, 강원권 등으로 이동함에 따른 현상으로 보인다. 비수도권 내 사업체 이동의 특성으로는 광역시 지역에 서 권역 내의 도 지역으로의 이동이 반대의 경우보다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
[
"호남권 사업체는 부지확보가 상대적으로 유리한 어느 지역으로 이동하지",
"2001년부터 2018년까지 충청권 사업체 이동이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를 보인 지역은 어딜까"
] |
unanswerable
|
cd1fd0ac-e149-4cb3-b7cb-d035d3a280d2
|
경기도 가구의 최대 고민은 노후대책(37%) > 주거비(31%) > 교육비(24%)
|
경기도민 삶의 질 조사 Ⅲ: 가계
Ⅰ. 소득과 지출, 삶의 조건
적정한 소득은 삶의 필요조건이며, 지출능력은 충분조건
전국 가구의 소득은 근로소득 비중이 67.0%를 차지하고, 경기도의 경우 근로소득 비중이 60.0%를 차지
○ 전국가구의 소득항목별 비중은 근로소득(67.0%), 사업소득(19.5%), 이전소득(10.2%), 재산소득(0.4%)의 순으로 나타남
- 소득항목별로 근로소득(1.0%), 사업소득(1.5%), 이전소득(2.1%)은 전년대비 증가하였으나 재산소득(-18.4%)은 감소
○ 경기도 가구는 근로소득 비중이 60.0%로 가장 많고, 다음은 사업소득(13.9%), 연금소득(7.5%), 재산소득(8.1%), 이전소득(6.5%), 기타소득(4.0%) 순임
- 경기도 지역은 전국대비 재산소득과 연금소득의 비중이 큰 것이 주요 특징
2016년 1인 가구를 포함한 경기도의 가구당 월평균 최소생활비는 209만원, 적정생활비는 265만원
○ 전국의 2인 이상 가구의 월평균 지출규모는 2010년 이후 명목과 실질소비 모두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소득과 소비 모두 감소추세
○ 전국 가구주와 배우자의 월평균 최소생활비는 183만원, 적정생활비는 264만원으로 조사됨
○ 경기도의 경우 1인 가구를 포함한 가구당 월 최소생활비는 209만원으로, 적정 생활비는 265만원으로 조사되었음
-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 소득 및 지출이 크고,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최소생활비 및 적정생활비가 일정 비율로 증가
|
[
"어느 지역에서 근로소득 60.0퍼센트, 연금소득 7.5퍼센트, 사업소득 6.5퍼센트의 비중을 보이고 있어",
"한국 전국 대비 재산소득과 사업소득의 비중이 큰 지역이 어디야"
] |
unanswerable
|
32592d78-ec24-4d7c-bdbd-4c7c8c4249c6
|
수면장애로 인한 경기도의 생산성 손실액 2조 6천억 원
|
경기도 수면산업(Sleep Industry) 육성을 위한 실태조사 및 정책방안
제3장 국내외 수면산업 현황
3. 우리나라 및 경기도 수면산업 현황
2) 우리나라 및 경기도 주요 수면산업 현황
□ 경기도는 우리나라 침구산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수면산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침구산업을 시도별로 비교한 결과 경기도가 가장 많은 업체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 우리나라 침구산업 제조업체의 절반 이상을 보유하고 있는 경기도의 침구산업은 꾸준한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음
- 최근 4년간 경기도 침구산업의 추이를 살펴보면 제조업체는 2013년 914개에서 2016년 1,065개로 증가하였고, 종사자 수도 2013년 6,322명에서 2016년 8,092명으로 꾸준히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음
□ 우리나라는 IT 강국의 장점을 활용한 슬립테크(sleep-tech) 제품이 활발히 개발 및 출시 중임
○ 스마트밴드나 스마트워치 등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사용자의 수면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수면의 질을 높이기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음
- 삼성전자는 수면 중 호흡과 맥박, 움직임을 측정하고 스마트폰 앱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제품을 출시하였고, 코웨이는 사용자의 수면 상태와 수면 환경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자동으로 최적의 수면 솔루션을 제공하는 스마트 베드 시스템을 출시함
|
[
"경기도의 침구산업이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는 것은 어디에서 스마트 베드 시스템을 출시했기 때문이니",
"수면 중 호흡과 맥박, 움직임을 측정해주는 제품을 만든 경기도의 침구업체는 어디야"
] |
unanswerable
|
4e1fbe61-4b6e-4b12-b168-122692f9e9ec
|
소득 주도 성장전략 성공의 핵심은 사회안전망 확대와 강력한 컨트롤타워 구축
|
소득 주도 성장의 쟁점 및 정책적 시사점
Ⅲ. 소득 주도 성장전략의 주요 쟁점
소득 증대의 소비 촉진 효과
노동계급 내 임금 양극화로 인해 평균임금보다는 저임금 노동자의 임금 상승이 민간소비를 촉진시키는 긍정적 효과가 크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
○ 임금노동자의 경우에도 소득 하위계층이 상위계층에 비해 소비성향이 크고 높아지는 경향을 보임
- 1분위 가구(저소득층)의 평균소비성향은 2015년 기준으로 90.2%로 2~4분위 가구(중소득층) 73.9%, 5분위 가구(고소득층) 59.5%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
- 1990~2015년 동안 2~4분위 가구의 소비성향은 큰 변화가 없는 반면, 1분위 가구는 6.3%p 상승하고 5분위 가구는 –10.9%p 하락했으며, 이런 변화는 소득분위 사이에 소득격차가 확대된 것에서 기인
|
[
"임금이 상승했을 때 상위계층 임금노동자에게는 어떤 변화가 나타나니"
] |
unanswerable
|
7b40b3f0-0d16-4f1a-b49c-7691349ef18f
|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과학 잠재력 높아… 제도화와 역량강화 투자 필요
|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과학의 의미와 가능성
제3장 국내 시민과학 유형 및 특성
제1절 국내 시민과학 관련 정책 동향
1. 중앙정부
2) 자연환경 분야
『제3차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2016-2025)』은 자연환경보전정책 추진전략의 하나로 자연환경보전 기반 선진화를 위해 국가와 전문가 중심의 자연환경보전 조사체계를 지역, 시민, 준전문가 주도로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면서 선진국의 시민과학에 기반한 자연환경 모니터링을 예로 들고 있다(환경부, 2015:131). 시민과학 기반의 자연환경조사가 비용을 절감하고 시민의 자연보전 인식 증진에 기여하며 조사의 전문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생태계 유형별로 대표지점을 선정하여 자연환경 경향 변화를 모니터링 하는 자연환경측정망을 2025년까지 전국에 500개소 구축하고, 이 중 200개소를 시민참여 방법으로 조사하여 권역별 연구기관의 검증을 통해 조사결과의 신뢰성을 높이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위해 누구나 쉽게 생물종 이름을 검색․확인할 수 있는 앱(App) 기반의 ‘시민조사용 생물종 검색체계’ 개발, 조사결과 취합・저장・공유・활용을 위한 웹・모바일 기반 플랫폼 구축 등을 제안하고 있다.
|
[
"권역별 연구기관이 기반 선진화를 위해 자연환경조사를 실시한 곳이 몇 개야",
"선진국 시민 과학 기반의 생물 종 플랫폼 구축을 위한 자연환경 조사 지역으로 몇 군데가 선정됐어"
] |
unanswerable
|
ad389502-30c2-4013-a2e1-776a90beb1d6
|
경기도의 내진설계율 12.3%로 취약, 대부분 공동주택으로 나타나
|
지진에 대비한 경기도 내진대책과 정책개선
제2장 지진발생의 현황 및 정책 여건변화
제3절 지진으로 인한 사회, 경제적 피해현황
2. 지진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와 영향
일반적으로 지진이 발생하면 원화는 하락하고 환율이 상승한다. 이는 시장의 불확실성이라는 원인에 기인하는데 불확실성이 상승하게 되면 위험에 대한 회피 심리가 생겨, 환율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지진으로 인해 공포감이 높아지면 재난물품을 구매하려는 소비자들도 증가하게된다. 2016년 경주에서 발생한 강진을 예로 들면 생수판매량이 전년대비 200% 뛰어올랐으며, 라면은 61%, 즉석 밥은 140%, 즉석식품은 120%의 매출 신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 밖에 생존가방 등 구호품목의 판매도 급증한다. 예를 들어 랜턴의 경우, 800%의 판매량 급등을 보였다. 이처럼 생존에 필요한 다양한 품목의 매출이 신장되고, 국내의 한정적 유통에 만족하지 못한 소비자들은 아예 해외 직접 구매 시장으로 시선을 돌린다. 이로인해 유통업체 전체가 술렁인다.
판매 촉진이라는 긍정적인 영향도 있지만 부정적인 영향은 이를 능가할 만큼 막대하다. 2016년 경주에서 발생한 5.8규모의 지진의 피해규모는 오전 기준 부상자 22명, 재산 피해액은 1035건 인 것으로 집계됐다. 또 한 불국사 다보탑 등 문화재 피해도 있다. 문화재청은 이 피해건으로 다보탑 난간부재 탈라과 첨성대 기울기 변이 등 문화재 피해 23건을 확인하고 긴급 보수비 23억을 지원했다. 경주는 공공시설 등에 85억 원 가량의 직, 간접적 피해를 본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재산 피해 신고 건수도 253건이나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사유 재산의 피해까지 포함하면 총 피해복구 금액은 110억 원으로 집계되었다.
|
[
"경기도 내진대책과 정책개선에서 무엇이 발생하면 원화는 상승하고 환율은 하락하지",
"무엇이 발생하면 소비자들의 공포감으로 한정적 품목의 구매가 급증해 유통업계에 간접적 피해가 발생하는 게 뭐야"
] |
unanswerable
|
15570152-032d-4df9-b372-f14f8d46f94a
|
경기도 1인 가구, 중장년층 가장 많고 비정규직화 두드러져
|
경기도민 삶의 질 조사 Ⅶ : 1인가구
Ⅲ. 경기도 1인가구의 삶의 질
1인가구내에서 정규직과 비정규직간의 건강인식의 격차가 크게 나타남
경기도 시군별로 고용형태별 주관적 건강 인식도의 차이 존재
○ 경기도 1인가구는 평균 2.87(4점 만점)으로 본인의 건강상태를 인식
- 경기도내에서 1인가구의 주관적 건강 인식이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지역은 과천시(3.15), 성남시(3.09), 구리시(3.06), 고양시와 군포시(3.04)
- 특히, 경기도 31개 시군중 1인가구 정규직보다 비정규직의 주관적 건강 인식이 긍정적인 지역은 7개에 불과하고 그 차이도 0.15 내외에 불과
○ 1인가구 주관적 건강 인식에 대한 고용형태 간의 평균값 차이가 가장 높은 지역은 0.68점, 가장 작은 지역은 0.01점으로 지역간 상당한 격차 존재
- 경기도 31개 시군 가운데 1인가구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격차가 큰 상위 7개 지역은 파주시(0.68), 시흥시(0.65), 과천시(0.58), 용인시(0.54), 부천시(0.41), 여주시(0.39), 포천시(0.38)
- 반면, 고용형태별 격차가 0.05점 미만인 군포시와 남양주시 등 5개 지역임
|
[
"경기도에서 어떤 형태의 가구가 본인의 건강상태를 4점 만점에 평균 3.15점으로 인식하고 있어",
"파주시의 어떤 가구의 주관적 건강 인식이 평균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긍정적으로 나타났지"
] |
unanswerable
|
746638c9-b7d3-4c8a-ab1c-d85c38062612
|
경기도의 내진설계율 12.3%로 취약, 대부분 공동주택으로 나타나
|
지진에 대비한 경기도 내진대책과 정책개선
제2장 지진발생의 현황 및 정책 여건변화
제3절 지진으로 인한 사회, 경제적 피해현황
2. 지진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와 영향
우리나라와 근접한 일본의 지진의 경제적 피해 사례를 보자. 2011년 규모 9.0의 동일본 대지진은 사망, 실종자만 2만여 명을 만들었으며 이재민이 33만 명에 육박한다. 수평형 지진이였기 때문에 지진 자체 피해는 크지 않았으나 쓰나미로 큰 피해가 있었던 사례이다. 이로 인해 각 산업에 미친 영향은 아래와 같다.
참고로 한국 경제는 일본과 강한 수직적 분업관계를 맺고 있어서 지진 피해로 일본으로 부터의 부품, 소재 조달에 차질이 발생함에 따라 한국수출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한다. 일본 지진으로 인해 엔화 가치 급 변동에 따른 환율 변동성의 확대는 경영 환경의 불확실성을 높여 채산성 약화, 수출 둔화, 물가 상승 등을 초래한다. 이를 보면 지진의 피해는 발생 해당 국가 뿐 만 아니라 주변국에도 긍, 부정적 효과를 초래한다.
국내 지진의 강도에 따른 피해 규모를 시뮬레이션한 결과가 있다. 소방방재청(청장崔成龍)은 민방위훈련 때 지진 대응 시스템을 가동해 지진 관련 훈련을 실시했다. 지진발생 상황을 컴퓨터 시뮬레이션(모의실험)한 후 전국 26개소에서 주민 대피 및 화재ㆍ폭발ㆍ붕괴 등 지진 2차 피해 수습 훈련을 했으며, 전국의 초ㆍ중ㆍ고등학생 890만 명도 지진과 화재에 대비한 대피 훈련을 했다. 지진 규모가 6.5 일 경우 서울에서는 31만 5천여 명의 인명피해와 1,289조원의 경제 손실이 일어날 것으로 추산되었다. 부산의 경우는 88만 여명의 사망과 1,070조원의 경제 손실, 대구의 경우 48만 여명에 699조원, 광주의 경우 44만 여명에 550조원, 대전의 경우 41만 여명 사망에 574조원, 강원도 경우 3만명 사망에 96조원의 경제 손실이 초래되는 것으로 시뮬레이션 되었다.
|
[
"어느 나라가 2011년 규모 6.5의 지진이 발생해 2만여 명이 사망하는 큰 피해를 입었지",
"한국 경제와 강한 수평적 분업관계를 맺고 있어 지진이 발생하면 긍,부정적 효과를 초래하는 나라는 어디야"
] |
unanswerable
|
665b7b19-63fd-4d8c-a432-b4b6a88c8285
|
소득 주도 성장전략 성공의 핵심은 사회안전망 확대와 강력한 컨트롤타워 구축
|
소득 주도 성장의 쟁점 및 정책적 시사점
Ⅲ. 소득 주도 성장전략의 주요 쟁점
영세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에 미치는 영향
임금 상승에 따른 한계 소상공인의 퇴출은 고용과 가계부채 문제를 악화시킬 우려가 있으나 서비스업 수요 증가로 점차 완화 예상
○ 한계 자영업자의 대규모 파산은 금융 불안의 요인이 될 우려
- 자영업가구의 연간 가처분소득 대비 부채비율(DTI)은 322%로 상용근로가구의 약 2배 수준(**, 2017)
- 한계 자영업자의 금융부채 총액은 약 22조원으로 추정
○ 반면, 임금 상승으로 인해 서비스 관련 수요가 증대하고 서비스가격 상승을 유발할 경우 자영업의 경영여건이 오히려 개선될 가능성도 존재
- 임금 상승으로 가계소득 증가 시 서비스 관련 소비 비중이 늘어나는 경향
- 수요 증대와 함께 서비스부문의 임금 상승이 가격으로 일부 전가가 가능해질 경우 자영업의 영업이익이 점차적으로 개선되는 효과 기대
○ 자영업에 대한 임금 상승의 여파를 최소화하고 한계 자영업 비중이 점진적으로 축소될 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
- 한국의 자영업자가 전체 취업자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5년 기준으로 25.5%로 OECD국가 평균(14.8%)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
- 자영업자 비중의 감소세는 향후에도 지속될 전망(1990~2015년 6.6%p 감소)
|
[
"서비스부문의 임금 상승으로 자영업의 영업이익이 얼마 증가할까",
"2017년 상용근로가구의 금융부채 총액은 얼마로 추정되니"
] |
unanswerable
|
da69c041-0d33-4e67-a6a4-ca1ca5d6fcc4
|
경기도민 10명 중 8명 워라밸 불균형… 가족 간 대화 부족 호소
|
'워라밸' 불균형과 휴가이용 격차
Ⅲ. 경기도민 워라밸과 휴가이용 실태
휴가격차가 존재하며 휴가지원정책으로 워라밸과 가족자본 형성 기대
□ 경제구조적인 원인에 따라 휴가비용과 휴가일수 등 주관적 휴가불평등 발생
○ 가구소득에 따라 휴가비용에 대한 부담 정도와 휴가에 대한 만족도 차이가 존재
- 가구소득 400만원 미만인 집단은 휴가비용이 부담된다는 응답이 56.7%로 높으나, 반대로 400만원 이상이면 부담되지 않다고 응답한 비중이 더 높음
- 휴가일이 충분하지 않다는 응답도 가구소득이 400만원 미만일 경우 10.6%p 더 높음
○ 사업체 규모에 따라서도 휴가비용과 휴가일수에 대한 만족도 차이가 존재 사업체 규모가 30인 미만은 타 집단과 달리 휴가경비에 부담을 느끼는 비중이 53.0%로 과반수를 넘음
- 사업체규모가 작을수록 휴가일수가 충분하지 않다고 응답하는 비중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임
○ 휴가지원정책 도입은 단순히 휴가사용률 증가뿐만 아니라 워라밸 수준이 향상되고 부모 자녀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
- 휴가지원정책은 포인트 형태로 휴가지원금을 제공하여 온라인몰에서 국내여행상품을 구매하도록 지원하는 제도
- 휴가지원정책을 도입할 경우 휴가사용률 증가, 자녀동행여행 증가, 워라밸 증진, 부모-자녀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기대효과 항목에각각 59.6%, 845.%,83.4%,88.4%의 응답자가 긍정적으로 평가
|
[
"휴가일이 충분하지 않다고 응답한 가구소득 400만 원 이상인 집단은 몇 퍼센트야"
] |
unanswerable
|
d413fd87-2a0a-4020-a9ce-fc32c126ac9e
|
수면장애로 인한 경기도의 생산성 손실액 2조 6천억 원
|
경기도 수면산업(Sleep Industry) 육성을 위한 실태조사 및 정책방안
제4장 수면장애로 인한 경제적 파급효과
3. 수면장애로 인한 생산성 저하와 경제적 손실
□ 수면장애에 의한 진료비 지출은 타 소비 부문의 소비 지출을 감소시켜 수도권의 생산유발손실 285억 원, 부가가치유발손실 94억 원, 취업유발 22명으로 나타남
○ 경기도민의 수면장애로 인한 의료비 지출은 2016년 283.9억 원으로서 보건의료 부문에서는 해당산업 발전을 위해 긍정적으로 나타나지만, 타부문에의 지출을 감소시켜 경제적 손실이 발생
○ 수면장애 의료비 지출 283.9억 원이 수도권 전체 산업에 지출되었을 경우 생산유발효과는 603억 원, 부가가치유발효과 256억 원, 취업유발효과 248억 원으로 추산됨
○ 또한, 수면장애 의료비 지출 283.9억 원은 관련 산업 발전을 촉진하여 생산유발효과 318억 원, 부가가치유발효과 162억 원, 그리고 취업유발효과는 270명으로 계산됨
○ 따라서 경기도민 의료비지출 283.9억 원에 의한 수도권지역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 유발손실 285억 원, 부가가치유발손실 94억 원, 취업유발효과 22명으로 계산됨
|
[
"경기도 수면산업 실태조사 결과 의료 산업의 발전으로 수도권지역에 얼마의 부가가치 유발효과가 나타났니"
] |
unanswerable
|
1a4894b0-32a2-4a4a-b7d3-f863c707ad0c
|
경기도민 20%는 5년내 이사 희망 … 도심과 역세권 선호도 높아
|
경기도민 삶의 질 조사 Ⅰ : 주거
Ⅰ. 거주 실태
경기도로 이사한 주된 이유는 내집 마련과 전월세가격 상승 때문
경기도로 이사한 이유는 내 집 마련(29.9%), 전월세 가격 상승(26.7%), 결혼(18.6%), 취업진학(11.6%), 교통주변환경(7.8%), 자녀양육교육환경(3.1%) 순
○ 이사한 이유가 “내 집 마련”이라는 응답이 많은 주요 시군은 다음과 같음
- 안양시, 양평군, 연천군, 의정부시, 고양시, 파주시, 가평군, 평택시, 의왕시, 이천시, 양주시, 성남시, 구리시, 안성시, 안산시, 김포시, 포천시, 군포시, 광주시, 오산시 순으로 파악되었음
- 이사한 이유가 “전월세 가격 상승”이라는 응답이 “내 집 마련” 응답 보다 많은 시군은 하남시, 여주시, 동두천시, 시흥시, 화성시, 용인시, 광명시, 수원시, 부천시, 과천시, 남양주시임
- “결혼” 때문에 이사한 가구는 “내 집 마련” 응답 보다 많은 시군은 화성시, 구리시, 이천시, 군포시, 시흥시, 남양주시로 집계되었음
- 그 밖에 이사 이유로 “교통교육환경”이라는 응답이 “내 집 마련” 응답보다 많은 시군은 군포시이며, 시흥시도 이에 근접함
|
[
"경기도민 삶의 질 조사에서 월세로 이사한 이유 중에 18.6퍼센트를 기록한 것은 뭐야",
"어떤 이유가 경기도의 전월세 가격이 상승하게 된 주된 이유였어"
] |
unanswerable
|
7c6a0c4e-580a-471c-90ac-6c1e468cfe85
|
수면장애로 인한 경기도의 생산성 손실액 2조 6천억 원
|
경기도 수면산업(Sleep Industry) 육성을 위한 실태조사 및 정책방안
제4장 수면장애로 인한 경제적 파급효과
3. 수면장애로 인한 생산성 저하와 경제적 손실
□ 수면장애에 의한 생산성 저하로 발생하는 경기도민의 경제적 손실은 2조 6,470억원, 전국적으로 11조 497억 원으로 추산
○ 수면장애에 의한 1인당 연간 총생산성 손실은 773.84시간으로 연간 1,256만 5천원으로 추산
○ 대한수면의학회(Korea Neuropsychiatric Association)의 2011년 보고서에 의하면 수도권 직장인 754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 수면장애로 인한 총 시간손실은 연간 773.84 시간으로 추산됨
- 이 중 결근율에 의한 시간 손실은 연간 1인당 8.9시간, 업무능력 및 수행도 저하에 의한 손실이 764.94시간으로 총 생산성 시간손실은 773.84시간으로 추정됨
○ 국세청의 ‘2016년도 귀속 근로소득 백분위 자료’에 의하면 2016년 국내 근로소득자는 1,774만98명으로 집계되었으며, 이들 소득자의 평균연봉은 3,359만 5천원으로 나타남
- 동 기간 동안의 중위 소득자의 소득은 연평균 2,423만9천원으로 평균임금과의 격차를 나타내고 있음
○ 2016년 국내 근로자의 연평균 근로시간은 2,069시간으로 멕시코의 2,255시간에 이은 OECD 2위를 기록함(KOSIS, 국가통계포털)
- OECD평균 근로시간은 1,766시간으로 한국 직장 근로자의 경우 303시간을 더 일하고 있음
|
[
"2011년 무엇을 겪는 멕시코 근로자가 1,774만 98명으로 집계되었니"
] |
unanswerable
|
c3336ea2-ccab-474e-a409-eacba0486c7f
|
도로융복합 개발, 자동차가 편리한 도시에서 사람이 살기 좋은 도시로 전환하는 계기 돼야
|
도로융복합 개발시대 시작의 의미와 기대
Ⅱ. 도로융복합 개발의 기대와 우려
도로융복합개발의 최우선 목표는 보행우선, 보행중심의 사람이 살기 좋은 도시로의 진화
간선 교통망을 입체화(지하화)하고 지상은 안전하고 편리한 보행중심 도시로의 전환이 최우선 목표
○ 도로의 입체적 개발을 통한 개발이익 창출이 1차적 목적이 되어서는 안되며 최우선적인 목적은 보행중심도시로의 전환이 되어야 함
○ 우리나라 아파트의 진화 과정을 살펴보면 초기 아파트 상부단지는 주차장과 차량 진입동선으로 모두 사용되었으며 어린이공원, 운동시설 등을 비롯한 주민생활시설을 자투리 공간에 마련되었음
- 그러나 최근 아파트의 지상은 차량통행을 최소화하고 주민의 만남, 산책, 놀이를 위한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음
- 도시 전체도 이와 같은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도로의 융복합개발 활성화가 보행중심도시로의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됨
|
[
"한국의 아파트 상부단지는 무엇을 목표로 두었지"
] |
unanswerable
|
25c1c3fa-1894-4f66-8020-e33af46f057e
|
도로융복합 개발, 자동차가 편리한 도시에서 사람이 살기 좋은 도시로 전환하는 계기 돼야
|
도로융복합 개발시대 시작의 의미와 기대
Ⅱ. 도로융복합 개발의 기대와 우려
도로융복합개발이 또 다른 개발논리를 통해 개발이익을 우선시한다면 삶의 질을 저하시킬 우려 존재
공적인 공간에 민간개발 참여가 가능해짐에 따라 특혜의 소지 발생 우려
○ 개발이익금 환수를 계획하고 있으나, 지금까지의 대규모 건설사업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합리적인 개발이익 환수는 어려움
- 이러한 이유로 공공자산을 민간에서 참여하여 개발하는 경우 특혜시비가 발생할 소지가 큼
○ 또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도시의 성장보다는 경제적 이익이 목적이 되는 개발형태로 전락하여 무분별한 개발과 투기가 유발될 우려가 있음
도로 상하부에 추가적인 시설물을 설치하는 것에 대한 건축 안전 문제 우려
○ 경주 지진 발생 이후 건축물의 내진설계 부실 등 안전 이슈가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진을 비롯한 자연재해 시 피해수준을 크게 할 수 있는 복합건축물 건설은 지양하는 것이 타당함
○ 특히 도로 위의 건축물은 교통량으로 인하여 끊임없이 진동에 노출되고 있어 건축물 안전상 바람직하지 않음
|
[
"경주 지진 발생 이후 무엇으로 건축물의 내진설계 부실로 삶의 질이 저해되었니"
] |
unanswerable
|
a10b78e7-e02c-42dc-9a60-886b57ea6b77
|
경기도 스타트업 84%, “코로나19로 힘들어요”… 경기연구원, 기업 성장단계별 지원방안 제안
|
“코로나19에 따른 경기도 스타트업 지원방안”
Ⅰ. 코로나19에 따른 산업⋅비즈니스 패러다임 변화
2. 코로나19로 인한 기술기반 비즈니스⋅산업 환경 변화
□ 코로나19로 인한 산업·비즈니스 패러다임 변화
○ AR(증강현실), VR(가상현실), MR(융합 현실) 등과 같은 신기술 기반의 온라인 비즈니스가 본격적으로 활성화되는 계기
- 코로나 감염 위험이 큰 대면(face-to-face) 비즈니스보다는, AR⋅VR 기술을 활용한 공연 서비스 등 비대면 온라인 비즈니스모델이 확산
- AR⋅VR 기술은 공연 서비스뿐 아니라 향후 교육, 콘텐츠, 쇼핑, 의료 등 일상생활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것으로 전망됨
○ 물건 및 서비스를 공유하고, 대면(face-to-face)이 중시되는 '공유경제'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시련
- Airbnb : 2020년 매출은 전년도 절반 이하로 예상, 직원의 약 25%인 1천900명 해고 예정
- Uber : 전체 직원의 약 14%인 3천700명을 해고 예정
- Lyft : 2위 차량공유 업체 리프트도 지난달 29일 전 직원의 17%에 해당하는 1천명 해고
- Wework : IPO 철회, 신규 사업 축소
○ 코로나19로 인해 산업 예측이 어려운 가운데 제조업에 '리쇼어링' 바람이 불고 있음
- 애플, GM, 보잉, 포드, 인텔 등 다수의 글로벌 제조업체가 자국으로 유턴
- 우리나라 정부도 한국기업의 유턴과 해외 첨단산업 투자유치를 위한 전략 발표
|
[
"코로나로 인해 직원을 1천900명으로 축소할 예정인 기업이 어디야",
"어느 기업이 한국 첨단산업 투자유치를 위한 전략을 발표했지"
] |
unanswerable
|
bb2282bc-90d2-440e-ad76-0c76c62f07c8
|
전국 골프장 3개 중 2개는 대중제 골프장… 세제 혜택이 이용자에게까지 미치지 못해 이용요금 공정성 실현해야
|
대중골프장의 이용요금 제도개선 및 선진화 방안 연구
제2 장 대중골프장 운영 현황 및 실태
1. 골프장의 유형 및 운영 현황
2) 골프장 운영 현황
(1) 골프장 수
○ 2019년 기준으로 전국에는 487개의 골프장이 있고 그중 회원제 골프장이177개로 36.34%이며 대중골프장이 310개로 63.66%를 차지하고 있음
- 이를 2016년과 비교하면 회원제 골프장은 218개였는데 41개가 감소하였고 대중골프 장은 269개였는데 41개가 증가한 것임
- 이는 회원제 골프장이 경영상 수익을 증대하기 위해 대중골프장으로 전환하였기 때문이라 판단됨
○ 이와 같이 경영수익의 악화로 회원제에서 대중제로 전환한 골프장이 최근 들어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임
- 이러한 추세는 골프장 공급의 증가에 따라 그린피 인하 등 가격경쟁이 불가피해짐에 따라 수익성 제고를 위해 재산과세 및 소비과세분야에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은 대중제 골프장으로 전환하기 때문임
- 따라서 이러한 회원제 골프장의 대중골프장으로의 전환은 지속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
|
[
"2016년 기준 전국 177개로 골프장의 63.66퍼센트를 차지하는 유형은 뭐야",
"무슨 유형의 골프장이 그린피 수익을 증대하기 위해 대중 골프장으로 전환되었지"
] |
unanswerable
|
f2b936f6-57e1-4f8f-bab8-346873030341
|
경기도민 20%는 5년내 이사 희망 … 도심과 역세권 선호도 높아
|
경기도민 삶의 질 조사 Ⅰ : 주거
Ⅲ. 시사점
경기도 거주 기간을 높이기 위해서는‘작은 도시계획’이 중요
거주기간을 높이기 위해 생활 편의시설을 확충하고, 오래된 신도시, 택지지구 등의 시가지를 대상으로 도시재생, 근린계획, 따복공동체사업, 마을 등의 가칭「작은 도시계획」 활성화가 필요
○ 경기도 거주기간은 신도시, 택지 등의 개발비율이 낮은 지역에서 길고, 높은 지역에서 거주기간이 짧은 점을 감안할 필요
- 각종 근린재생, 따복공동체, 마을 등의 각종 도시재생을 통해 거주 장소에 대한 애착이 뿌리를 내리는 효과가 기대됨
- 전면적 도시개발 보다는 여유를 갖고 점진적인 방식으로 소규모의 주택 개량 및 보수, 근린재생이나 따복공동체사업 등의 도시재생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
|
[
"경기도 거주 기간을 높이기 위해 경기도에서 전면적으로 추진되는 사업은 무엇일까"
] |
unanswerable
|
b1a61ed4-1080-4f12-beff-597531bd0f3a
|
다문화가정 자녀수 20만명 육박…사회통합적 관점에서 다문화교육 실시해야
|
경기도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 지원방안 연구
제1장 서론
제2절 연구내용
이 연구는 앞 절에서 소개한 국내외적 맥락을 고려하면서 미래 한국사회의 사회통합을 위해 중요하다고 할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에 대한 보다 내실 있는 지원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초등학교 입학 전인 만 7세 미만의 다문화가족 자녀를 대상으로 하며 그 가운데서도 특히 유치원에 재학 중인 만 3∼5세 아동을 중점적으로 고려한다. 한편 영유아기 자녀 발달은 반드시 부모라는 가족적 맥락과 함께 논의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미취학 자녀를 실제 기르는 다문화가정 부부의 상황과 결혼이민자가 겪는 애로사항 등도 고려한다.
|
[
"유치원의 미취학 아동에 대한 지원방안으로 자녀 발달에 대해 중점적으로 고려할 사항은 뭐니",
"한국사회의 사회통합을 위해 유치원에서 중점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뭐야"
] |
unanswerable
|
8c111def-5704-493c-a354-97c86c260e7d
|
경기도의 내진설계율 12.3%로 취약, 대부분 공동주택으로 나타나
|
지진에 대비한 경기도 내진대책과 정책개선
제2장 지진발생의 현황 및 정책 여건변화
제4절 국내 지진 방재 정책 및 내진관련 기준
3. 지진 및 재난 관련 국내 정책 현황
2) 골든타임 내 지진현장대응 및 사후대책 수립
③ 재난안전관리시스템
재난관리는 재난이라는 위험요소를 관리하는데 중점을 두며, 안전관리는 재난으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로부터 사람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것이다.
재난관리는 재난이라는 위험요소를 예방·대비라는 사전적 관리방안과 대응·복구라는 사후적 관리방안을 통해 관리의 적정성을 도모한다. (예방-대비-대응-복구, 4단계) 반면 안전관리는 재난으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의하면 재난안전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조직을 아래 표와 같이 규정하고 있다. 재난대응 체계도는 아래 그림과 같다.
경기도는 재난안전관리위원회, 안전관리민관협력위원회, 재난안전대책본부 등의 구성, 운영에 대한 조례가 만들어져 있고 이에 따라 조직을 구성하고 운영하고 있다.
동법 시행령에 따르면 국무총리가 국가안전관리 기본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게 되어있으며, 이에 따라 현재 2015~2019년 기간 동안의 계획이 수립되어 세부집행계획까지 작성되어 있다. 그런데, 박근혜 정부에서는 재난안전관리 업무를 전담하는 국민안전처가 독립되어 설치되어 있었으나, 문재인 정부에서 국민안전처에 부속되어 있던 소방본부와 해양경비안전본부를 다시 독립시켜 소방청과 해양경찰청으로 승격분리하였고, 국민안전처를 해산하였다. 따라서 2015~2019년 기간 동안의 국가안전관리 기본계획에서 국민안전처 장관 부분을 행정안전부 장관으로 대체하여야 하고, 소방본부와 해양경비안전본부를 각각 소방청과 해양경찰청으로 대체하여야 한다.
|
[
"경기도가 재난안전관리시스템을 구성한 것은 몇 년도야"
] |
unanswerable
|
b6d840bc-3f37-464f-8432-1888e3b107e8
|
경기도민 20%는 5년내 이사 희망 … 도심과 역세권 선호도 높아
|
경기도민 삶의 질 조사 Ⅰ : 주거
Ⅲ. 시사점
삶의 질 제고를 위해서는 도보생활권 조성이 중요
걷기가 편리한 도보생활권을 정비하고, 각종 생활 편의시설에 대한 지표 평가와 모니터링을 통해 편의시설 사각지대 해소 필요
○ 거주 지역의 자족성이 어느 정도 충족될지라도 차량을 이용하는 이동은 편의시설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음.
- 특히 현재 또는 장래의 고령자에게 도보 보행권리를 박탈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예상되므로, 걸어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통행할 수 있는 도보생활권을 정비하는 것이 시급함.
- 특히 도보생활권의 조성을 통해 복지시설과 함께 문화시설 등의 편의시설에 대한 사각지대를 해소하는데 기여할 것임
○ 도보생활권 안에서 적정 편의시설을 설치하고 미진한 부분을 점검하고, 마을, 근린 등의 도보생활권에 대한 지표를 평가하고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주거와 관련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
|
[
"복지시설들은 삶의 질 제고를 위해 복지시설의 어느 곳을 정비할 필요가 있어",
"도보생활권에 적정 편의시설이 설치되려면 어느 곳이 정비되어야 해"
] |
unanswerable
|
01028ae2-e723-413b-bcb3-ae9c346ba6c9
|
전국 골프장 3개 중 2개는 대중제 골프장… 세제 혜택이 이용자에게까지 미치지 못해 이용요금 공정성 실현해야
|
대중골프장의 이용요금 제도개선 및 선진화 방안 연구
제2 장 대중골프장 운영 현황 및 실태
1. 골프장의 유형 및 운영 현황
2) 골프장 운영 현황
(3) 골프장 이용객 수
○ 최근 코로나19가 발생하면서 실외스포츠 활동이 많아졌고 골프장 이용자 수도 증가하였음
- 골프 예약 서비스업체의 올해 상반기 골프장 예약 건수(엑스 골프 예약 건수, 6월 3주까지 기준)는 19.8만 건으로 2019년 상반기 17.5만 건 대비 약 13.2% 증가함
- 코로나19의 영향이 본격적으로 확대되는 3월 이후의 골프장 예약 건수가 전년 대비 약 8.1%로 증가하였음
○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내국인의 해외여행객 수가 급감하면서 해외골프 인구가 국내로 유입되는 상황
- 코로나 19가 본격적으로 확대되는 3월 이후 내국인의 해외여행객 수는 급감하였으며 2020년 1월 251.3만 명 수준에서 8월 8.9만 명까지 전년동기대비 96.3% 감소함
- 골프장 운영업은 타 스포츠 서비스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생산지수 폭의 감소가 적은 편임
- 스포츠 서비스업의 생산지수는 2020년 1분기, 2분기 각각 전년동기대 20.5%, 29.4% 하락하였으나 골프장 운영업은 상대적으로 작은 수준인 것으로 분석됨
|
[
"한국으로 오는 여행객 수가 급감하면 어느 곳을 이용하는 인구도 감소하지"
] |
unanswerable
|
308b8aef-f518-44d6-8925-094b83a9516f
|
경기도의 내진설계율 12.3%로 취약, 대부분 공동주택으로 나타나
|
지진에 대비한 경기도 내진대책과 정책개선
제2장 지진발생의 현황 및 정책 여건변화
제4절 국내 지진 방재 정책 및 내진관련 기준
3. 지진 및 재난 관련 국내 정책 현황
3) 재난관리 4단계 : 예방, 대비, 대응, 복구
② 재난의 대비
재난안전법에 의하면 재난의 대비를 위해 재난관리자원의 비축·관리, 재난현장 긴급 통신수단의 마련, 국가재난관리기준의 제정·운용, 재난분야 위기관리 매뉴얼 작성 및 운용, 안전기준의 등록 및 심의, 다중이용시설 등의 위기상황 매뉴얼 작성·관리 및 훈련, 재난안전통신망의 구축 및 운영, 재난대비훈련 등을 규정하고 있다.
여기서 국가재난관리기준이란, 모든 유형의 재난에 공통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재난관리의 전 과정을 통일적으로 단순화·체계화한 것으로서 행정안전부 장관이 고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 기준에는 재난분야 표준체계 정립, 국가재난 대응체계에 대한 원칙, 재난경감, 상황·자원·유지관리 등에 대한 일반적 기준이 포함되어 있다.
대응방법에 대해 미리 매뉴얼을 마련해 놓게 하는데, 재난분야 위기관리 매뉴얼에는 세 가지 종류가 있으며 이는 재난 대응활동계획과 서로 연계되도록 하고 있다. 위기관리 표준 매뉴얼은 재난관리 체계와 관계기관의 임무와 역할을 규정하며, 위기대응 실무매뉴얼은 실제 재난 대응에 필요한 조치사항 및 절차를 규정하고 있으며,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은 수행기관의 행동조치 절차를 구체적으로 수록한 문서이다. 재난 유형에 따라 대응 방법이 달라질 수밖에 없으므로 재난유형별로 매뉴얼을 만들도록 되어 있는 현재의 법규정은 매우 합리적이다.
|
[
"재난대비훈련은 몇 가지 종류로 단순화했니",
"재난대비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은 몇 가지 종류로 임무와 역할을 규정했지"
] |
unanswerable
|
dd29a5e0-c03c-49d4-8284-02b27a429c01
|
경기연구원 “전기차 충전기 설치 미스매치, 이제는 실제 수요 고려해야”
|
경기도 전기차충전기의 효율적 설치 및 운영 방안
제4장 경기도 전기차충전기 설치・운영 실태 및 문제점
1. 설치 및 운영 실태
1) 경기도 시・군별 전기차 보급 실태
2020년 기준 경기도 관내 전기차는 총 20,477대이며, 수원시가 2,110대로 가장 많이 보급
수원시 다음으로 용인시 > 성남시 > 고양시 > 화성시 > 남양주시 > 김포시 > 안산시 > 평택시 > 부천시 > 파주시 > 시흥시 순으로 보급됨.
- 관내 전체 등록차량 대수에서 전기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0.34%이며, 시・군별로는 과천시가 0.65%로 가장 높으며, 다음으로 양평군 > 성남시 > 김포시 > 하남시 > 의왕시 > 양주시 > 수원시 > 연천군 > 용인시 > 남양주시 > 고양시 > 동두천시 순임.
|
[
"2020년 기준 수원시, 성남시, 용인시, 남양주시, 고양시 순으로 보급된 차는 뭐야",
"2020년 기준 경기도 관내 전체 등록차량 대수에서 어떤 차가 차지하는 비중이 0.65퍼센트이지"
] |
unanswerable
|
79b087b8-6fe5-4c15-a034-bc6761fd2b50
|
수도권 주민 10명 중 6명 걷기여행 등 선형관광 경험, 경기도 선형관광
|
길에 관광을 입히다, 선(線)형 관광
Ⅰ. 선형관광의 등장
특정관광자원 중심의 점형(點形) 에서 선형(線形)자원의 대두
(개념) 선형관광자원은 걷기여행길, 자전거길, 물길(카누ㆍ카약) 등 선형으로 연결된 자원을 의미
○ 선형이란 선처럼 가늘고 긴 모양을 뜻하며 선형관광은 이런 선형이라는 단어에 관광이라는 단어를 더한 합성어임
○ 선형관광은 관광객의 이동성을 중심으로 자원 간 네트워크가 핵심이 된다는 점에서 기존 점형(點形) 관광자원과 차이를 지님
- 선형관광의 학술적 접근은 국내보다 국외에서 먼저 하나의 개념으로서 다루어지기 시작함
- 본고에서는 선형관광을 도보, 자전거, 카누/카약, 승마 등 무동력 이동수단 이용해 이동하면서 선형으로 연결된 자원을 관광하는 것으로 정의함
(특징) 걷기여행길(도보길), 자전거길, 승마길 등의 관광도로를 개발하는 선형관광자원의 대두로 관광콘텐츠의 다변화
○ 지속가능한 관광자원개발, 느림의 가치발현, 웰빙/웰니스 증진 및 높은 지역경제 파급효과 등 기존 점형자원과 차별화되는 장점을 지님
○ 선형관광자원을 공급자와 수요자측면에 따라 살펴보면, 공급자에게는 시군간 연계를 통한 관광객의 이동 동선을 확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 수요자 측면에서는 슬로우 관광형태로 지역의 구석구석을 체험하고 즐길 수 있게 만드는 특성을 지니고 있음
|
[
"무동력 이동수단을 이용해 지속가능한 관광자원을 개발하는 것이 뭐야",
"수요자측면을 중심으로 관광객 간 네트워크가 핵심이 되는 관광자원은 뭘까"
] |
unanswerable
|
2c9d4079-bba3-47f3-b80c-7efb5d348c00
|
경기연구원, 새 정부에 바란다... 대한민국과 지역의 미래를 위한 10대
|
새 정부에 바란다 : 대한민국과 지역의 미래를 위한 10대 아젠다
Ⅱ. 대한민국과 지역의 미래를 위한 10대 아젠다
3.3 DMZ 통일 관광특구 및 경기북부 전략사업 추진
가칭 ‘한반도 DMZ 통일 관광특구’ 조성
○ DMZ일원 통일 관광 활성화를 위한 한반도 통일 관광특구 조성
- 관광특구 조성을 위한 관광테마파크를 조성함
- 통일촌 등 민통선내 마을을 활용한 통일체험 마을 및 거리를 조성함
- 관광특구 수익금을 활용한 ‘평화통일의 숲’을 조성함
한탄강⋅임진강권, 북한강권의 전략사업 추진
○ 한탄강⋅임진강권 문화관광 활성화 사업 추진
-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지정, 도보길⋅자전거길⋅생태탐방로 조성⋅관리 및 브랜드화, 주요 관광거점지역의 공동 연계사업, 수변 레포츠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공동 홈페이지 구축 및 브랜드⋅마케팅, 광역축제 개최 등의 공동기획 추진 필요
- 강 주변에 산재한 기존의 자연⋅관광⋅역사⋅문화자원들을 적극적으로 연계하여 스토리텔링 및 브랜드 구축
○ 북한강권 문화⋅예술 코리더(Corridor) 조성 사업 추진
- 자라섬(남이섬), 청평, 대성리, 양수리, 팔당, 구리를 잇는 북한강 물길을 문화․예술적 코드로 엮어 경기북부 문화예술 네트워크를 구축
- 가평 문화예술도시(재즈, 연극 등), 남양주 슬로라이프시티, 구리 고구려 역사문화자원과 주변의 기존 관광자원, 문화예술 거점지역 등을 잇는 문화예술지역 조성
|
[
"북한강권에 DMZ 일원 관광특구 수익금을 활용해 무엇을 조성하니",
"남양주에서는 유네스코와 민통선 내 마을을 활용한 한반도 통일 관광특구 수익금으로 무엇을 구축할까"
] |
unanswerable
|
6efad85e-c255-471b-8c6a-299041667d89
|
김경수 도지사, 하이퍼튜브 기술개발 현장 방문
|
김경수 도지사, 하이퍼튜브 기술개발 현장 방문
올해 도정 중점과제로 기후위기 대응과 광역교통망 구축을 포함한 동남권 메가시티 기반 구축을 설정한 김 지사는 하이퍼튜브 기술의 에너지원과 물류 이동을 고려한 가능 하중 등을 상세히 질문하기도 했다.
이같은 질문에 개발자는 “필요한 에너지는 기존 철도의 1/3 수준으로 줄어들고 튜브 외곽에 태양전지를 달게 되면 그 에너지마저도 활용할 수 있고, 지금 기술개발 수준에서도 20~30톤의 하중이 가능해 컨테이터 물류 운송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답했다.
김 지사는 “하이퍼튜브 기술이 교통수단으로서의 기능 뿐 아니라 상용화될 경우의 경제적 효과와 사회문화적 영향 등에 대해 미리 연구하는 게 필요하다”며 “토지가 전체적으로 연결되면 수도권 집중 문제나 국가균형발전 관련 패러다임도 크게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전했다.
또한 “향후 하이퍼튜브 테스트베드와 연계한 실증사업 등 설치 이후 활용가능성이나 필요성을 고려해 입지 선정 평가기준을 만들 필요가 있겠다”고 밝히며 현대로템, 한국전기연구원 본원이 위치한 경남을 포함한 동남권에 유치 의사를 나타냈다.
지난해 11월 철도연과 현대로템은 수소전기열차 연구협력을 위한 협약을 맺었으며, 경남도 역시 이달 중 철도연과 친환경 미래 철도 구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는 민주당 K-뉴딜본부 *** 본부장, 양향자(광주 서구을), 맹성규(인천 남동구갑), 이소영 (경기도 의왕과천) 의원이 함께 했으며, 국토교통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토교통진흥원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
[
"철도연과 한국전기연구원은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어떤 협약을 맺었지",
"광역교통망 구축을 위해 경남도와 현대로템은 어떤 협약을 맺었니"
] |
unanswerable
|
9e4f46b3-f5a7-4368-83f7-4e3fa59c1481
|
경기도, 지역일자리 창출 방안 주제로 부단체장 회의 열어
|
2017년 7월중 시․군 부단체장회의 시․군별 지역맞춤형 일자리 정책
시․군별 지역맞춤형 일자리 정책
1 지역·산업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 / 파주시
추진사항
❍ 지역특화 맞춤형 사업(출판·문화·서비스)
- 「출판전문 글로벌 인재양성 사업」⇒ 청년 구직자 취업지원
* 파주출판문화정보산업단지 등 출판·인쇄업체 취업(158명)
- 「학예 및 큐레이터 인력양성 사업」⇒ 청·장년 및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
* 헤이리 예술마을 등 박물관, 미술관 취업(39명)
- 「패션잡화 서비스 매니저양성 사업」계속사업⇒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
* 지역의 롯데 신세계 아울렛 등 패션매장 취업(130명)
- 노인맞춤형 일자리 사업계속사업
* 농촌형 기업연계 일자리사업 「어르신 행복일터」: 32개 기업, “86개 경로당 2004명” 참여
* 도시형 노인택배사업 「싱싱 시니어 택배」: 아파트단지 대상, 20명 참여
❍ 산업단지 고용환경 개선사업
- 출판도시의 열악한 대중교통 문제 해소와 근로자의 출퇴근 편의 제공을 통한 고용창출
* 출판도시 출퇴근버스 운영(5개노선 27대 / 1일 이용자 1,018명)
|
[
"2017년 7월에 경력단절여성 39명의 취업을 지원한 곳이 어디야"
] |
unanswerable
|
f1f2b21a-ea58-406a-bdfd-1d960e22d364
|
1차 재난지원금의 추가소비 효과, 외국 유사 사례의 1.8배 수준
|
재난기본소득 정책 효과 분석 연구
제4장 코로나19의 영향
제1절 고용 영향
코로나19 발생 시점부터 1차 재난지원금 사용기한까지의 기간(2020년 1월~8월)에 대해 휴직·실직 등과 같은 경제활동 상태 변동(이하 ‘고용 충격’)에 대해 조사하였다. 질문 문항은 고용 충격 경험 여부, 경험 시기, 휴직·실직 기간, 원인으로 구성하였다.
1. 고용 충격 여부
2019년 말 기준 취업자 중 코로나19 발생 이후 고용 충격을 받은 비중은 17.5%로 나타났다. 단축 근로가 7.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무급 휴직 3.4%, 유급 휴직 2.7%, 실업 2.5%, 휴업 1.4%, 폐업 0.3% 등으로 나타났다.
2. 고용 충격 시기
고용 충격 시기는 3월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후 계속 감소하다가 8월에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세부적으로 단축 근로, 유급 휴직, 휴업, 폐업 역시 동일한 패턴을 보이고 있다. 무급 휴직의 경우에는 비슷한 패턴을 보이다가 7월부터 다시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고, 실업은 2월에 가장 크게 발생한 후 이후 줄어드는 추세에 들었다가 8월에 다시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3. 고용 충격 기간
코로나19로 인한 고용 충격은 충격 유형별로 작게는 2.8개월(단축 근로) 크게는 4.5개월(실업)로 나타났다. 그 외 유급 휴직은 3.2개월, 무급 휴직은 2.9개월, 휴업은 3.4개월로 나타났다.
4. 고용 충격의 원인
코로나19 이후 고용 충격을 받은 사람들의 83.1%가 코로나19의 직·간접인 영향을 받았다고 응답하였다. 고용 충격 유형별로는 폐업이 가장 높은 92.5%로 나타났고, 무급 휴직은 88.5%, 단축 근로는 86.8%로 나타났다.
|
[
"2020년 1월부터 8월까지의 경제활동 상태 변동 조사에서 무엇이 1월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가 계속 감소했어",
"2020년 1월부터 8월까지 무엇에 대한 원인으로 폐업이 88.5퍼센트를 기록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지"
] |
unanswerable
|
a7677499-9713-4d6a-a2f8-b72a46bd7a57
|
경기도, 지역일자리 창출 방안 주제로 부단체장 회의 열어
|
2017년 7월중 시․군 부단체장회의 시․군별 지역맞춤형 일자리 정책
1 지역·산업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 / 파주시
향후계획
❍ 민·관 연계 교육 지원을 통한 취업 알선
- 파주출판도시입주기업협의회 · 파주시 고용복지센터 협업추진
❍ 지역·산업 맟춤형사업 지속적 발굴 및 취업지원
- 아트매니저 취·창업(28명), 문화해설사 양성(40명) 사업 등
❍ 협업 일자리 박람회를 통한 일자리 발굴(9월중 / 30개 업체, 구직자 1500명)
- 우수구인기업 발굴(고용노동부) + 맞춤형 구직자 연계(市)
|
[
"파주시는 2017년 7월에 무엇을 통해 문화해설사 1500명을 양성했니",
"고용노동부는 무엇을 통해 아트매니저 40명이 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했어"
] |
unanswerable
|
372372ea-6a6a-4245-b87e-c28bc7b2496d
|
수도권 주민 10명 중 6명 걷기여행 등 선형관광 경험, 경기도 선형관광
|
길에 관광을 입히다, 선(線)형 관광
Ⅰ. 선형관광의 등장
지역여건, 이용자 안전 등의 고려 미흡
(코스설계) 지역상황, 자원의 특수성 등을 고려하지 않은 채 공급자 중심으로 조성된 선형관광자원 다수 존재
○ 코스 중간중간에 기존 차도를 그대로 (함께) 활용하고 있어 이용자들이 추돌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음
○ 행정자치부 자전거길 조성 기본원칙에 따르면, 연결성, 이용자 편의성, 안전성, 편재성, 정보안내 등의 기준이 마련되어 있으나, 실제 자전거를 이용하기에 편안하고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있음
(사건사고) 선형관광 이용객의 생명을 위협하는 안전사고(치한 등)가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어 사고의 사각지대
○ 인적이 드문 둘레길의 경우에는 살인사건 등 범죄에 노출되기도 하고, 추락 또는 길을 잃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어, 사후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됨
- 이에 대한 대책으로 각 지자체마다 CCTV, 안심번호 설치, 안전로드맵 구축, 산행정보앱 개발, 순찰대 활동, 안전캠페인 등의 예방활동 뿐만 아니라, 사고 발생시 보장받을 수 있는 보험에도 가입하고 있음
- 선형관광자원 특성상 시작시간과 마감시간이 딱히 존재하고 있지 않아 이용객 관리가 더욱 어려움
○ 각 지자체마다 탐방객 안전대책 마련에 노력하고 있지만, 예산, 인력 확보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임
|
[
"선형관광 코스에 대해 CCTV 설치의 필요성을 제기한 기관은 어디야"
] |
unanswerable
|
34b5f0cc-67a9-48cd-8cc0-04ded9d93c0f
|
제4차 산업혁명 시대, 노동시장 변화에 대응한 일자리 창출 및 직업훈련
|
제4차 산업혁명 시대, 일자리 전략은?
Ⅰ. 제4차 산업혁명과 노동시장 변화
제4차 산업혁명 시대 일자리 소멸에 대한 논란 확산
제4차 산업혁명은 인간의 육체노동뿐만 아니라 창의적 노동까지 대체 가능한 시대를 의미
○ 4차 산업혁명 시기에는 기존 인간의 전문적 지식과 판단이 필요했던 법률 및 금융 등의 직종부터 트럭 및 택시 운전 등 단순 기술 업무까지 향후 인공지능이 대체할 것이라는 전망 대두
- 컴퓨터와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3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도입으로 특징져지는 4차 산업혁명은 인간의 육체노동뿐만 아니라 창의적 노동까지 대체 가능하게 함
- 기존 산업혁명과 달리 4차 산업혁명은 기술발전의 기하급수적인 속도, 기술 범용성의 무한대적 확장, 그리고 생산·경영·거버넌스 측면에서 그 충격의 범위를 예상할 수 없다는 점에서 노동시장 향후 변화를 예측하기 힘들게 함
|
[
"3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택시 운전 업무를 무엇으로 대체하니",
"기존 산업혁명 시기에 무엇으로 단순 기술 업무를 기하급수적인 속도로 대체했어"
] |
unanswerable
|
8f614464-2231-4304-830b-47372bf23a70
|
1차 재난지원금의 추가소비 효과, 외국 유사 사례의 1.8배 수준
|
재난기본소득 정책 효과 분석 연구
제4장 코로나19의 영향
제2절 소득 영향
1. 코로나19 발생 이전 자산 및 소득 현황
1) 자산 현황
수도권 가구의 실물 자산 평균은 3억 7095만원으로 나타났고, 서울이 평균 4억 4982만 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경기는 평균 3억 3326만 원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가구의 금융 자산 평균은 9229만원으로 나타났고, 서울이 평균 1억 1078만 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경기는 평균 8390만 원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가구의 부채 평균은 6900만원으로 나타났고, 경기가 평균 7424만 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인천은 평균 5823만 원으로 나타났다.
2) 소득 현황
수도권 가구의 월 평균 총 소득은 582만 원으로 나타났다, 서울이 610만 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경기는 570만 원, 인천이 522만 원으로 나타났다. 총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큰 근로소득은 수도권 가구의 경우 월 평균 445만 원으로 나왔으며, 서울이 463만 원으로 가장 높고, 경기가 438만 원으로 나타났다. 범위를 좁혀서 전체 가구가 아닌 근로소득이 있는 가구만으로 제한하면, 수도권 가구의 평균은 487만 원이 되고, 서울은 508만 원, 경기는 480만 원으로 나타난다.
|
[
"코로나19 발생 이전 자산 현황에 따르면 서울 가구의 부채 평균은 얼마지"
] |
unanswerable
|
93995805-4417-429f-aa36-89d3f96f0464
|
경기연구원 “전기차 충전기 설치 미스매치, 이제는 실제 수요 고려해야”
|
경기도 전기차충전기의 효율적 설치 및 운영 방안
제4장 경기도 전기차충전기 설치・운영 실태 및 문제점
1. 설치 및 운영 실태
2) 경기도 전기차충전기 구축 및 운영 실태
경기도 관내 전기차충전기 시행기관별 구축은 환경부 시행이 84.2%로 가장 많으며, 다음이 한국전력 10%, 경기도 3.6% 차지
2020년 기준 경기도 관내 전기차충전기는 환경부 시행 17,369기, 한전 시행 2,090기, 경기도 자체 시행 759기, 민간 등 기타 시행 372기, 한국에너지공단 시행 177기, 시・군 시행 17기로 각각 나타남.
- 경기도와 민간 등 기타 시행은 급속과 완속 구축 수가 비슷하며, 환경부와 한전 시행은 급속보다 완속 구축이 훨씬 더 많음. 한국에너지공단과 시・군 시행은 완속은 전무하며 급속만 설치하였음.
경기도 관내 공개형 전기차충전기(공용, 전기차이용자가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가능한 충전기)는 7,628기이며, 부분공개형 전기차충전기(공동주택, 사업장 등 출입이 제한된 장소에서 전기차이용자가 함께 사용가능한 특정 대상자용 전기차충전기)는 8,815기, 비공개형(개인용)은 4,353기로 나타남.
- 관내 부분공개형 전기차충전기는 환경부와 한전에서만 시행 구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공개형은 환경부만 시행 설치하였음. 환경부는 공개, 부분공개, 비공개형을 비슷하게 시행 구축하였으며, 한국전력은 공개형보다 부분공개형을 압도적으로 많이 구축함. 경기도 자체사업 시행은 공개형만 구축함.
|
[
"경기도 내 어떤 것에 대한 구축 시행에 있어서 한국전력이 84.2퍼센트로 가장 많았니"
] |
unanswerable
|
d5afc3de-c179-4886-895d-f38e9e6922b5
|
공공요양병원, 운영방식 재검토와 공익적 기능 개발 시급
|
경기도노인전문병원 공익적 기능 재정립 방안
제 1 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 배경
노인전문병원은 노인보건의료체계에서 급성기 병원과 요양시설 사이에 위치하는 「의료법」 상 ‘요양병원’으로서 「의료법」에서는 ‘요양병원을 “의사 또는 한의사가 의료를 행하는 곳으로서, 요양환자 30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주로 장기입원이 필요한 환자에게 의료를 행할 목적으로 개설하는 의료기관”으로 정의하고 있다.
정부는 1990년대에 우리나라의 치매 문제 해결을 위해 치매관리대책 10개년 계획을 마련하여 치매의 예방과 치매 환자에 대한 전문적인 의료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현재의 공립노인전문병원의 전신인 공립치매요양병원의 확충 사업을 추진하였다. 이에 정부는 연면적 900평 기준 60~90병상 규모의 시・도립 공립치매요양 병원의 건축비와 필수 장비 구입비를 국고와 지방비 각각 1/2씩 부담하여 추진하였고, 병원의 운영은 의료법인 등에 위탁하도록 하였다. 이로 인해 경기도는 1999년에 ‘경기도노인전문 용인병원’의 개원을 시작으로, 2002년에는 여주병원, 2007년에는 동두천병원, 2010년에는 시흥병원 및 남양주병원, 그리고 가장 최근인 2011년 평택병원까지 총 6개의 노인전문병원을 건립하여 운영 중에 있다.
|
[
"치매관리대책 사업을 추진한 병원은 어디야"
] |
unanswerable
|
36e5aec2-465f-4296-b2dd-1f8a58a9368c
|
경기도의 내진설계율 12.3%로 취약, 대부분 공동주택으로 나타나
|
지진에 대비한 경기도 내진대책과 정책개선
제2장 지진발생의 현황 및 정책 여건변화
제4절 국내 지진 방재 정책 및 내진관련 기준
5. 지진방재 조직 및 지휘체계
1) 공공기관
①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
- 개요
행정안전부는 2017년 5월 25일 회의에서 ‘정부조직법’ 개정안과 더불어 조직개편을 통해 행정자치부와 국민안전처를 통합하여 행정안전부로 개편되었으며, 기술혁신본부, 통상교선본부, 재난안전관리본부로 구성되어 있다.
재난안전관리본부는 새로 신설된 것으로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을 보좌하는 재난안전 조정관, 특수재난협력관, 안전조사지원관 등을 두어 재난 현장과의 빠른 소통 및 협력과 재난 관련 조사·연구가 가능하도록 조직을 보완하였다.
- 조직구성
재난안전본부에는 안전정책실, 재난관리실, 비상대비정책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안전정책실은 안전관리정책관, 생활안전정책관, 예방안전정책관, 재난관리실은 재난관리정책관, 재난대응정책관, 재난복구정책관, 비상대비정책국은 비상대비와 민방위심의 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진과 관련하여 재난관리정책관 내 지진방재정책과 지진방재관리과가 존재하고 있으며, 재난대응정책관 내 자연재난대응과에서도 지진과 관련된 업무를 실시하고 있다. 이 중 특이점은 재난관리실이 재난에 대비하여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관리정책관, 지진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한 대응정책관, 재난 발생 시 피해복구를 위한 복구정책관으로 재난 발생 전후로 나누어 맞춤형 대응준비를 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재난안전관리본부장과 재난안전조정관을 설치하여 부처 간에 발생할 수 있는 협력 사항을 조정하고, 재난이 발생할 시 현장지원 기능을 강화하였다. 특수재난협력 및 전문적 연구기능 강화를 위해 특수재난실을 특수재난협력관으로 개편하여 지자체, 민관, 감염병, 환경원자력 등으로 담당관을 나누어 서로 다른 주체간의 협력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뿐만 아니라 재난관리실의 재난 예방 기능을 안전정책실로 이관하여 정책기능과 연계 강화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
"특수재난실을 안전정책실로 개편한 것은 언제야",
"재난관리실이 새로 신설된 것은 언제니"
] |
unanswerable
|
73cc59ae-f551-4bc2-99e4-c9eda369201f
|
다문화가정 자녀수 20만명 육박…사회통합적 관점에서 다문화교육 실시해야
|
경기도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 지원방안 연구
제2장 다문화주의와 다문화가정
제1절 배경
2. 경기도와 한국의 다문화사회 추세
우선 다문화사회를 구성하는 집단 가운데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하는 국내 체류 외국인근로자의 추세를 살펴보자. 통계청이 발표한 2015년 ‘외국인고용조사’ 결과에 따르면, 외국인노동자는 2015년 기준 대략 93.8만명으로 2013년 76만명에 비해 무려 17만명 이상 증가했다(*** 외, 2016: 166). 한편 지역에서 파악하는 등록외국인 역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경기도를 예로 들면 2015년 기준 지역의 등록외국인 거주자는 35만여 명에 달하고 전국 등록외국인의 약 1/3가량을 차지한다. 다음 <그림 2-1>에서 보듯이, 2005년까지 20만명 미만 수준을 유지하던 경기도 거주 등록외국인은 불과 10여년 사이에 거의 배로 급증하였다. 여기에 소재파악이 불분명해 행정 통계조차 정확히 집계할 수 없는 불법체류자(2015년 기준 전국에 21만여명)까지 포함한다면 체류외국인 규모는 훨씬 증가한다.
|
[
"경기도 지역의 2013년 기준 불법체류자는 몇 명이니"
] |
unanswerable
|
dd5d3321-2b3e-41cd-9665-668bc58ed713
|
2%대 저성장 시대, 신정부의 경제정책은 성장과 분배의 균형을 기본으로 해야
|
신정부 경제정책, 어떤 방향으로 가야하나?
Ⅳ. 결론 및 시사점
신정부의 경제정책은 ➀성장 및 산업, ➁재벌체제, ➂노동, ④취약계층 지원, 그리고 ⑤조세 영역에서 아래와 같은 내용을 보완 차원에서 고려해보면 좋을 듯
○ 첫째, 산업 혁신역량 향상 및 4차 산업혁명(명/암)에 초점을 두어야 함
- 굳이 성장률 목표치를 제시하진 않더라도 현재 성장 하락하는 경제추세를 반전시킬 대책을 꼭 마련해 놓아야 함
- 성장과 분배는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에서 분배적 차원의 노동 소득 제고에 정책의 비중을 두는 만큼 산업진흥과 성장도 중요시 함
- 주요 산업들의 경쟁력 확보와 신산업에서 부가가치 창출 및 이에 따른 가구소득 증가가 균형을 이루는 정책적 스탠스를 취해야 함
- 중소기업보다 벤처기업이 고용창출효과가 더 높다는 점을 고려하여 고용 창출을 위해 적극적인 벤처기업 육성정책을 펼침
- 창업→성장→회수→재창업의 선순환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혁신 안전망 구축, 기술·인력 탈취 방지 및 M&A시장의 적극적 육성을 함
- 기존 제조업의 혁신역량 강화와 글로벌 과학·혁신 네트워크의 연계를 확대함
- 점진적 혁신이 일어나는 중공업, 자동차 등 기존 재벌이 영위하는 산업은 유럽식 경제체제를 지향하면서 빠른 혁신이 필요한 ICT 등 신산업에서는 미국식 경제체제를 지향하는 투트랙 전략을 사용함
|
[
"중소기업은 벤처기업보다 무엇이 더 높다는 점을 고려하여 적극적인 기술인력 육성정책이 펼쳐져야 하지",
"무엇이 높은 ICT 등 신산업은 유럽식 경제체제를 지향해야 해"
] |
unanswerable
|
3686b62e-5526-435a-93ef-2c569564c2ad
|
다문화가정 자녀수 20만명 육박…사회통합적 관점에서 다문화교육 실시해야
|
경기도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 지원방안 연구
제2장 다문화주의와 다문화가정
제1절 배경
3. 한국의 다문화가족 정책
다문화가족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이에 대한 명확한 개념적 정의를 해야 한다. 그런데 사실 한국에서 다문화가족에 대한 정의는 하나의 공통된 견해가 존재하지 않으며 정부 정책이나 개별 연구자의 시각에 따라 광의와 협의의 개념이 혼재하는 상황이다. 우선 광의의 개념은 자국 내에 거주하는 모든 외국인 가족을 포함하는데 반해, 협의의 개념은 가족구성원 중 한 명이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하여 구성된 가정을 지칭한다. 이 가운데 다문화가족 관련 법률적 정의는 여건상 주로 협의적 개념이 통용되는 실정이다. 아래 <표 2-1>은 다문화가족, 결혼이민자, 외국인가정, 재한외국인, 거주외국인 등에 대한 법률규정과 정의를 제시하였다.
|
[
"경기도에서는 거주외국인이 있는 가정을 뭐라고 불러",
"한국 내에 거주하는 결혼이민자를 뭐라고 정의할 수 있니"
] |
unanswerable
|
3f968938-ec0b-4b81-a60e-e5bdd3b281ec
|
미 의원 오카시오의 ‘그린 뉴딜’, 다수 대중의 생활조건 향상시키는 사회개혁에 주목해야
|
미국 오카시오-코르테스 신드롬과 그린 뉴딜의 정책적 시사점
Ⅱ. 그린 뉴딜의 배경
불평등⋅고용불안의 지속과 주요 개혁 좌초도 급진주의 대두 배경
상위 1~10%의 소득⋅자산 편중이 심화됐지만 금융위기 이후 뚜렷한 개선 없음
○ 미국은 세계적으로 부와 자산의 불평등이 심한 나라이며 80년대 이후 불평등 문제가 지속적으로 악화됨
- 2014년 기준으로 상위 1%, 10%가 각각 소득의 20.2%, 47.0% 가져가고, 부의 37.2%, 73.0%를 가져가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이고 80년대 이래로 이러한 경제력의 편중은 지속적으로 악화됨
- 미국의 가처분 소득 지니계수는 영국의 0.351(2016년)마저 크게 앞서고 있으면서 동시에 1993년 0.369에서 2016년 0.391로 증가세 지속
○ 표면적 고용 호조에도 불구하고 저임금⋅불안정 고용으로 가계소득 회복 제한적
- 2017~18년의 유래 없는 고용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저임금⋅불안정 노동 확산으로 미국의 임금상승률은 금융위기 이전 수준에도 못 미쳐 가계소득 회복은 제한적 : 2000~07년 3.2% → 2017년 2.3% → 2018년 5월 2.8%
- 이에 고용안정의 정부⋅사회 책임 강화가 오카시오-코르테스가 추진하는 새 그린 뉴딜 계획의 주요 의제가 됨
|
[
"2017년 유래 없는 고용 증가세에 상위 1퍼센트가 소득의 73.0퍼센트를 가져간 나라는 어디지",
"금융위기 이래 경제력 편중의 악화로 어느 국가의 2016년 가처분 소득 지니계수가 0.369를 기록했어"
] |
unanswerable
|
7e1b99d3-b1b9-486e-9b50-d096d1bb4579
|
미 의원 오카시오의 ‘그린 뉴딜’, 다수 대중의 생활조건 향상시키는 사회개혁에 주목해야
|
미국 오카시오-코르테스 신드롬과 그린 뉴딜의 정책적 시사점
Ⅱ. 그린 뉴딜의 배경
오바마 행정부 개혁의 좌초⋅후퇴가 민주당 일각의 급진주의 부활⋅강화
○ 트럼프 정부에서 부자감세, 오바마 케어 폐지 시도 등 개혁 후퇴 가시화
- 2017년 20일 법인세(35%→21%)⋅소득세(최고소득세율 39.6%→37%) 인하안이 하원 통과했으며, 이러한 감세안에 대한 반대편의 불만은 역으로 오카시오 코르테스를 위시한 ‘최고 소득세율 70%’ 주장을 낳음
- 트럼프 행정부에서 여러 차례 오바마 케어 폐지를 추진하고 2019년부터 오바마 케어 미가입자 벌금이 폐지됨으로써 금융위기 이후 사회안전망이 다시 한 번 축소될 것이라는 위기감이 확산
○ 오바마 행정부가 입안하고 추진한 그린 뉴딜 정책이 좌초한 것 또한 이후 ‘더 급진화된’ 새로운 그린 뉴딜 정책을 불러일으키게 된 계기
- 최초의 ‘그린 뉴딜’은 2008년 오바마 행정부의 공약 및 정책으로 채택되어 환경위기, 고용위기, 저성장 등을 탈출하기 위한 방안으로 저탄소⋅녹색산업에 대한 선제적 투자와 일자리 창출이 강조되었음
- 2017년 6월 기점으로 트럼프 행정부가 “다른 나라에 불공정한 이익을 주고 미국인의 일자리를 파괴한다”는 명분으로 파리 기후변화 협정 탈퇴함으로써 기존의 친환경⋅녹색에너지 정책노선 전면 수정됨
|
[
"2008년 6월 기점으로 미국의 어느 행정부가 파리 기후변화 협정을 추진했지"
] |
unanswerable
|
82c487e7-196a-4573-bc85-104fc652e3c2
|
경기도 스타트업 84%, “코로나19로 힘들어요”… 경기연구원, 기업 성장단계별 지원방안 제안
|
“코로나19에 따른 경기도 스타트업 지원방안”
Ⅳ. 경기도 스타트업 지원방안
2. 경기도 스타트업 지원방안
□ 혁신클러스터의 지속적인 활성화를 위한 대안 마련
○ 오프라인에서 주로 이루어지던 컨퍼런스, 데모데이 등 네트워킹 이벤트를 온라인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
- 판교테크노밸리, 광교테크노밸리 등 혁신클러스터에 컨퍼런스, 비즈니스 설명회, 데모데이 등 네트워킹 이벤트를 비대면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 마련
○ 코로나19로 약화될 수 있는 혁신클러스터를 지속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한 대안 마련 필요
- 온라인 공동연구개발 플랫폼을 마련하고 공공 기술이전 사업 등을 강화
|
[
"온라인 공동연구개발 플랫폼을 통해 진행되는 비대면 비즈니스 이벤트는 무엇이니",
"코로나 19로 약화된 스타트업을 지원하기 위해 주로 오프라인으로 이루어지는 비즈니스 이벤트는 뭘까"
] |
unanswerable
|
b960d19b-c97a-421d-82d7-ab3c6977af37
|
제4차 산업혁명 시대, 노동시장 변화에 대응한 일자리 창출 및 직업훈련
|
제4차 산업혁명 시대, 일자리 전략은?
Ⅱ. 주요 쟁점과 평가
한국의 4차 산업혁명 시대 대응 현황에 대해서는 상반된 평가 존재
한국은 제도 면에서 4차 산업혁명에서 미흡한 수준이지만 노동시장의 부정적 영향은 적을 것으로 예상
○ OECD는 한국이 다른 국가에 비하여 그동안 자동화를 적극적으로 도입해 왔고, 고학력자의 비중이 높고 인적자원에 대한 투자가 지속적으로 이뤄져 자동화의 확률이 낮다는 분석
- OECD는 자동화에 의해 일자리가 사라질 비율이 70% 이상인 직업의 비중이 한국이 가장 낮은 6%로 분석됨
- 한국의 제조업 로봇 도입 대수는 한국이 근로자 만명당 531개로 다른 선진국에 비하여 높아 이미 다른 선진국에 비하여 자동화가 진척된 상태
○ 하지만, 일자리 소멸 위험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단지 현재의 기술 수준뿐만 아니라 자동화 비용, 현재의 임금 수준, 노동시장 수요·공급 상황, 사회적 수용 여부를 모두 고려해야 할 필요
- 현재 우리나라의 자동화 위험이 낮은 이유 중 하나는 선진국에 비하여 낮은 임금 수준에 의할 수 있음
- 맥킨지글로벌연구소는 제조업 임금이 높은 국가일수록 개발도상국보다 자동화 속도가 빠르게 되며, 인건비보다 자동화 비용이 저렴하다면 많은 기업들이 자동화를 택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
|
[
"자동화 비용이 저렴한 국가일수록 선진국보다 자동화 속도가 빠르게 될 것이라고 지적한 기구는 어디지",
"어떤 기구가 한국의 높은 자동화 확률은 선진국에 비해 낮은 임금 수준 때문일 수 있다고 분석했어"
] |
unanswerable
|
bfb887e4-386c-4076-a03e-00ef4cc90bde
|
정신보건법 개정 1년, 정신질환자 탈수용화 정책 성공 위해 공공병상부터 축소해야
|
정신보건법 전면 개정 1년 경과, 정신보건정책의 나아갈 방향
Ⅱ. 정신보건 정책의 발전과 이슈
정신질환자의 인권강화와 탈수용화, 복지증진을 위한 전면 개정
수차례의 개정에도 불구하고 지속되는 인권침해 논란
○ 「정신보건법」의 수차례 개정에도 불구하고 정신질환자의 인권침해 논란은 지속됨
- 세계보건기구의 권고를 비롯하여 전문가들은 정신보건법의 비자의적 입원규정으로 인한 인권침해 문제를 지속적으로 제기해 옴
- 특히 헌법재판소는 지난 20여 년간 합법적으로 행해졌던 정신보건법 제24조가 신체의 자유를 최소화할 우려가 있지만 이를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림
「정신보건법」에서 「정신건강복지법」으로 전면 개정(시행 2017.5.30)
○ 논란이 되는 비자의 입원요건을 강화하여 정신질환자들의 인권보호와 기존 수용중심 정책에서 지역사회 인프라를 활용한 탈수용화를 유도함
- 개정법은 포괄적 정신질환자의 개념을 축소하여, 비자의적 입원대상을 ‘입원치료가 필요한 (중증)정신질환자’이면서 ‘자⋅타해 위험성’ 요건이 모두 충족된 경우로 강화함
- 특히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1인의 진단만으로 가능했던 기존의 규정을 국공립병원 또는 지정기관의 전문의 1인을 포함하여 2인의 전문의의 일치된 소견을 필수요건으로 함
|
[
"정신보건법에 따르면 정신질환자는 몇 인의 국공립병원 전문의의 진단만으로도 입원이 가능했어",
"정신건강복지법 개정에도 불구하고 인권침해를 받은 정신질환자는 몇 인이니"
] |
unanswerable
|
75a6070b-a116-4322-91d8-6ac505a2b11c
|
경기도 스타트업 84%, “코로나19로 힘들어요”… 경기연구원, 기업 성장단계별 지원방안 제안
|
“코로나19에 따른 경기도 스타트업 지원방안”
Ⅳ. 경기도 스타트업 지원방안
3. 스타트업 성장 단계별 지원방안(요약)
□ 창업(설립) 단계 지원방안
○ 스타트업의 운영자금 지원을 통한 일시적 어려움 극복 지원
○ 코로나19에 따른 신규 비즈니스에 대한 지원 강화
○ 제품 홍보 및 투자유치를 위한 크라우드펀딩 지원 확대
□ 성장(투자) 단계 지원방안
○ 코로나19 극복 전략 수립을 위한 지원 확대
○ 온라인 투자유치 IR 기회 확대
○ 기존 비즈니스모델과 기술을 기반으로 한 사업전환(Business Pivoting) 지원
□ 글로벌 진출 단계 지원방안
○ 해외 현지 핵심기업 투자자와 네트워킹 기회 제공
○ 온라인 글로벌 진출 액셀러레이팅 지원 확대
○ 비대면 온라인마케팅 지원 프로그램 마련
□ 회수(Exit) 단계 지원방안 : M&A 중심으로
○ 스타트업 인수 희망 기업들과의 네트워킹 기회 제공
○ M&A 추진을 위한 전문서비스 연결 및 지원
○ 스타트업 대상으로 M&A 교육 및 자문 지원
|
[
"경기도 스타트업 지원방안에서 핵심 현지기업을 대상으로 무슨 교육을 지원하지"
] |
unanswerable
|
141d8be5-2d8c-4dc9-bc95-5e43928841bd
|
정신보건법 개정 1년, 정신질환자 탈수용화 정책 성공 위해 공공병상부터 축소해야
|
정신보건법 전면 개정 1년 경과, 정신보건정책의 나아갈 방향
Ⅲ. 개정 정신보건법 시행 1년, 쟁점과 현안
「정신건강복지법」 시행 1년, 법 시행 효과에 대한 시각차
정부는 개정법의 시행 결과 긍정적 효과가 있다는 입장
○ 정부는 개정법 시행 후 정신의료기관과 정신요양시설의 비자의 입원 및 입소자의 비중이 감소한 것으로 발표함
- 정신의료기관과 정신요양시설의 전체 입원 및 입소자 수는 개정법 시행 후인 2017년 6월 23일 76,678명으로 개정법 시행 전인 2016년 12월 31일 79,343명 대비 2,665명 감소함
- 특히 자의입원⋅입소의 비중 추이를 살펴보면 개정법 시행 후인 2017년 6월 23일 53.9%로 개정법 시행 전인 2016년 12월 31일 35.6%와 비교하여 18.3%p 높아짐
- 정부는 강화된 입원요건으로 인해 환자 스스로의 의사결정을 통해 입원 치료하는 문화로 변하기 시작한 것으로 분석함
○ 또한 개정법 시행 후 비자의 입원환자의 대규모 지역사회 유입으로 인한 혼란은 없었다고 발표함
- 정부는 개정법 시행 이후 1개월 동안 비자의 입원환자 중 퇴원한 환자는 하루 평균 약 227명으로 개정법 시행 전 약 202명에 비해 약간 증가한 수준으로 발표함
- 즉, 의료계에서 우려한 정신질환자의 대규모 탈원화로 인한 혼란은 없었다고 주장함
|
[
"2016년 의료계에서 발생한 무엇 때문에 정신의료기관 입소자 수가 2,665명으로 감소했어",
"정신의료기관 퇴원 환자의 지역사회 유입 때문에 의료계에 무엇으로 인한 혼란이 발생했니"
] |
unanswerable
|
b089e36e-15e5-4b0a-b600-f4b17c0c5302
|
정신보건법 개정 1년, 정신질환자 탈수용화 정책 성공 위해 공공병상부터 축소해야
|
정신보건법 전면 개정 1년 경과, 정신보건정책의 나아갈 방향
Ⅲ. 개정 정신보건법 시행 1년, 쟁점과 현안
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 복귀를 위한 인프라 부족
정신질환자들에 대한 지역사회의 지원・관리 역량은 턱없이 부족
○ 우리나라의 정신보건 관련 의료인 등 전문인력 또한 주요 선진국에 비해 매우 열악한 수준
- 정신보건 전문인력 중 정신건강의학과 의사(6.64명)와 정신보건간호사의 수(13.7명)는 OECD 평균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매우 열악한 수준임
- 또한 정신보건시설 및 재활기관에 종사하는 정신보건 관련 인력은 인구 10만 명당 42.0명으로 주요 선진국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임
○ 집중사례관리 수요에 비해 지역사회 경기도정신건강복지센터의 전문인력은 턱없이 모자란 현실
- 현재 우리나라 경기도정신건강복지센터의 중증정신질환자 사례관리 전문인력 1인당 평균 사례관리 수는 67.1명에 달해, 선진국 평균 30.0명 대비 두 배 이상의 매우 높은 수준의 사례관리 부담을 지고 있음
- 경기도의 경우 중증정신질환자 사례부담은 62.2명으로 전국 평균인 62.2명 보다 낮은 수준으로 양호하지만 사례부담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임
|
[
"어디의 전문인력은 인구 10만 명당 67명으로 주요 선진국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지",
"어디의 중증정신질환자 사례관리 전문인력은 1인당 42명에 달해 선진국 대비 두 배 이상의 높은 수준일까"
] |
unanswerable
|
fe05923a-b053-45c8-859b-bf16ad41e29f
|
경기연구원,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지난 1년간 삶의 질 향상 효과 나타나”
|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정책효과 분석(II) : 사전 및 사후조사 비교
제 5 장 분석 종합 및 결론
제2절 분석 결과
2. 청년기본소득에 대한 인식과 소비
1) 왜 ‘청년’기본소득인가?
청년기본소득을 지급받은 연구 참여자들이 왜 청년에게 기본소득이 지급되었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대해 여러 가지 갈래의 반응으로 응수하였다. 청년세대론과 연결되는 응답이기도 했던 이 답변들은 정책의 목적에 관계없이 연구 참여자들이 한국 사회에서의 청년 세대의 삶에 대한 인식, 그리고 그러한 청년 세대에 대한 지방 정부의 태도에 대한 평가가 드러나는 대목이기도 했다.
(1) 청년에 대한 국가의 위로와 격려
뒤에서 후술하겠지만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 사회에서의 청년이 힘든 경쟁사회를 살고 있는 불안정한 세대로 인식하거나, 청년 담론에서 논의되는 불안정성의 심화가 아니더라도 청년이라는 연령과 시기 자체가 무언가를 도전하고 시도하고 아직 경제적 측면을 비롯하여 안정적인 단계에 접어들지 않은 세대라고 정의하였다. 아직 안정적인 수준에서의 소득 수준이 확보되지 않은 세대이므로 청년기본소득은 그러한 세대에 대한 정부의 지원과 격려로 표현되었다.
|
[
"한국 정부가 경제적 수준이 안정적이지 못한 세대를 위해 지원하는 정책은 뭐야",
"경기도에 거주하는 청년은 한국 사회에서의 청년 인식을 높이기 위해 무엇을 지급해 달라고 했니"
] |
unanswerable
|
4aa7f937-386f-498f-b90b-528ff25b9cbd
|
지방정부가 지역현안을 해결할 수 있는 정책결정의 주체가 되도록 헌법 개정돼야
|
21세기 선진 국가경영시스템 :중앙집권을 넘어 지방분권체제로
Ⅱ. 우리나라 중앙집권의 실태
비대한 중앙정부 권한의 지방 이양이 지지부진
중앙정부의 국가사무와 지방정부의 지방사무 비율을 살펴보면, 국가사무 67.7% 대 지방사무 32.3%로 국가사무의 비율이 높음
○ 총 46,005개(100%) 사무 가운데 국가사무가 31,161개(67.7%), 지방사무가 14,844개(32.3%)로 국가사무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음
○ 세부적으로 국가사무(31,161개) 가운데 30,143개(65.5%)는 국가직접처리, 1,018개 (2.2%)은 위임사무로 시도/시군구 등에서 처리하고, 지방사무(14,844개)가운데 7,587개(16.5%)는 시도에서, 7,137개(15.5%)는 기초에서 처리하고 있으며, 위임사무는 120개(0.26%)임
○ 중앙권한의 지방이양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2000년~2012년까지 사무의 지방이양을 살펴보면 지방이양이 확정된 사무가 3,101개이며, 이 가운데 이양이 완료된 사무가 1,982개(63.9%)이고 아직까지 이양이 이루어지지 않은 사무가 1,119개(36.1%)임
|
[
"2000년에 지방이양이 확정된 위임사무는 몇 개야",
"2012년 중앙정부의 국가사무는 총 몇 개야"
] |
unanswerable
|
11227fbc-539f-4aee-a803-20225525280c
|
지방정부가 지역현안을 해결할 수 있는 정책결정의 주체가 되도록 헌법 개정돼야
|
21세기 선진 국가경영시스템 :중앙집권을 넘어 지방분권체제로
Ⅳ. 중앙집권에서 지방분권국가 전환의 해외사례
프랑스의 분권전략은 중앙권한 이양과 헌법 개정
1980년대 미테랑 정권부터 본격적인 지방자치제도가 시행되고 2003년 헌법을 개정하면서 지방분권을 강력하게 추진
○ 1982년 하위 정부의 결정을 상위 정부가 사전에 통제하는 것을 폐지하는 조치를 시작으로 지방자치가 본격 실시됨
○ 1983년 사무배분법을 제정하고 1985년 중앙권한을 지방으로이양하는 지방일괄 이양법을 제정함
○ 2003년 기존의 법률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개선하고 21세기 지방분권의 새로운 개혁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지방분권을 위한 헌법개정을 실시함
- 프랑스는 지방분권국가임을 천명하고 자치재정권 및 자치입법권 등을 보장하며, 주민투표제도와 주민발안제제도 등의 도입을 통한 주민직접 참여의 기회를 확대함
○ 이와 같은 지방분권 개혁정책은 경제위기를 극복하고, 경제도약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됨
○ 2012년 이후 지방선거 형태를 변경하고, 소규모 지방정부의 과도한 재정적 부담을 개선하기 위하여 지방정부 수를 조정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중앙의 권한을 지방에 이양하고 있음
|
[
"어느 나라가 지방분권국가로 전환하기 위해 1983년 지방일괄 이양법을, 1985년 사무배분법을 제정했니"
] |
unanswerable
|
ab505c35-e6e9-4730-9158-48ef3526784a
|
AI·구제역의 선제적 대응.. 경기도 차원의 초동방역체계 필요
|
AI(조류인플루엔자), 구제역 확산의 쟁점과 대응과제
Ⅲ. AI 및 구제역의 방역체계 개선 방안
구제역 백신 정책의 근원적 전환 필요
구제역 백신의 원천 기술 확보 및 한국형 구제역 백신 개발 필요
○ 수입에만 의존하고 있는 백신정책에서 벗어나 국내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다양한 한국형 맞춤형 백신 생산 필요
- 구제역 혈청예찰보고서(농림축산검역본부)에 따르면 농가에서 NSP가 지속적으로 발견됨. 이는 구제역이 이미 토착화되어 한국형 바이러스가 상재할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
- 논란이 되고 있는 외국 균주를 사용해 생산한 수입백신 의존도를 벗어나 다양한 유형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한국형 맞춤형 백신 개발 필요
구제역 백신 접종에 대한 정부의 관리 강화와 함께 농가의 도덕적 해이방지 및 방역 책임감 고취 필요
○ 백신접종의 관리/감독 강화, 항체 형성률에 따른 차등적인 보상체계 도입 등을 통해 농가의 적극적인 백신정책 참여 유도
- 현행 소규모 농가는 공중수의사가 접종 지원, 대규모 농장은 농장주 스스로 백신을 접종하는 방식에서 공중방역수의사 확대, 농장주치의제도도입 등을 통해 모든 농가에 대한 백신접종의 관리·감독 강화 추진
- 살처분 가축에 대한 보상체계에 항체 형성률 등 백신접종 성실 이행 수준에 따른 차등적 보상 기준을 보완
- 즉, 살처분 시 수행되는 개체별 항체 검사결과에 따라 항체 형성률이 10%라면 보상금을 대폭 삭감하고 항체율이 99%에 달하는 농가라면 현행 80%가 아닌 99%를 지급하는 방안 등 모색 필요
|
[
"한국형 백신접종을 이행한 농가는 몇 퍼센트니",
"농장주치의제도를 통한 구제역 백신 접종 참여율은 몇 퍼센트야"
] |
unanswerable
|
8f6d1b74-e612-487e-91a4-53b0c59046d9
|
경기도 생활문화센터 이용자 10명중 5명, “생활문화 교류활동이 필요해요”
|
경기도 생활문화 지원 및 육성 정책방향
제 2 장 생활문화 관련 선행연구
제1절 생활문화의 등장 배경
생활문화는 일본에서 유래된 개념으로서 일본에서는 생활문화에 대해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법적 정의를 제시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생활문화를 전문 장르 구분으로 정의하고 있는 ‘예술’과 구분하여 넓은 의미의 포괄적 활동으로 정의하고 있다.
생활문화의 국내 사전적 정의(농업경제사전)는 “일상생활이 정형화된 하나의 문화적 유형”이며, 이러한 관점에서 생활문화(living culture)는 생활양식의 개념으로 접근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해외에서는 직접적으로 생활문화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데, ***(2016)에 따르면 우리나라 생활문화에 해당하는 활동을 해외에서는 ‘시민문화’, ‘자발적 문화’, ‘비공식 예술’, ‘참여예술’, ‘아마추어 예술’ 등 다양한 표현으로 사용하고 있다.
|
[
"경기도에서 유래된 개념으로 한국에서는 일상생활이 정형화된 하나의 문형이라는 사전적 정의의 용어는 뭐야",
"일본에서 시민문화나 자발적 문화 또는 비공식 예술이나 참여예술등 다양한 표현으로 사용되고 있는 용어는 뭘까"
] |
unanswerable
|
f0f873b9-db04-48f1-9632-116d302efb21
|
공공요양병원, 운영방식 재검토와 공익적 기능 개발 시급
|
경기도노인전문병원 공익적 기능 재정립 방안
제2장 노인전문병원 개요
제1절 공립노인전문병원 개요
2. 공립노인전문병원 현황
1) 노인전문병원의 법적 근거
우리나라에 노인요양시설이라는 용어가 공식적으로 존재하고 있지 않던 1970년에도 노인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었다. 1981년 「노인복지법」이 제정됨에 따라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규정이 생김으로써 장기요양보호서비스를 생활시설에서 제공하는 시설보호가 시작되었다. 이것이 바로 처음으로 양로시설과 분리된 개념의 노인장기요양시설이 공식적으로 인정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보건복지부, 2015)
당시 「노인복지법」 제13조(노인복지시설)에 따르면 ‘노인을 입소시켜 무료로 또는 저렴함 요금으로 급식⋅치료 기타 일상생활에 필요한 편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이라고 노인요양시설의 정의를 규정하고 있고, 2년 후인 1983년에 「노인복지법」 규정에 따라 2개의 노인요양시설이 설치되었다. 1984년부터는 각 시⋅도별로 1개식 요양시설을 설치⋅운영할 계획이 수립되었으며, 요양시설은 가능하면 양로시설에 병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계획도 함께 수립되었다.
|
[
"어떤 법의 규정에 따라 1981년부터 각 시, 도별로 2개씩 요양시설을 설치, 운영할 계획이 수립되었지"
] |
unanswerable
|
c8d00817-f62e-4fab-8749-da3133fc5a49
|
다문화가정 자녀수 20만명 육박…사회통합적 관점에서 다문화교육 실시해야
|
경기도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 지원방안 연구
제2장 다문화주의와 다문화가정
제2절 선행연구
3. 다문화가정 실태
특히 2015년 기준 다문화자녀의 연령별 비율을 살펴보면 만 5세 이하 자녀는 전체 다문화자녀의 4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의 다문화가족 추세를 분석하면 전체 출생에서 다문화가족 자녀가 차지하는 비중은 2008년 2.9%에서 2009년 4.3%로 급증하였고, 2012년 4.7%에서 2014년 4.9%로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영유아들이 계속 성장함에 따라 조만간 학령기 비중 증가, 상당수 다문화 영유아와 아동들이 향후 공교육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6년 기준 국내 초·중·고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학생은 9만 9,000명으로 전체 학생의 1.68%를 차지하며 다문화가정 미취학 단계부터 초·중·고 과정, 향후 직업교육 및 평생교육 등 생애 전주기에 걸쳐 각종 정책적 요구의 증가할 것으로 앞으로 이에 대한 선제적인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
[
"2016년 기준 다문화가족 만 5세 이하의 자녀는 전체 다문화자녀의 몇 퍼센트를 차지하니",
"2015년 기준 경기도 초중고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학생은 전체 학생의 몇 퍼센트를 차지해"
] |
unanswerable
|
1eca517c-0502-49da-af8d-ffbf4e86d28f
|
고령사회에 대응해 재정부담 완화와 공동체 복원을 위한 혁신 수단, ‘타임뱅크’
|
타임뱅크(Time Bank)를 활용한 복지서비스의 혁신
Ⅲ. 국내외 주요 사례
구미시 사랑고리공동체의 노인일자리사업 결합 프로그램(P2P)
□ 사랑고리의 설립 배경 및 개요
○ 구미시의 사랑고리(1시간 단위)는 구미요한선교센터가 2004년부터 시작하여 국내에서 가장 오랫동안 운영해 온 타임뱅크
- 복지수혜자를 복지서비스의 공급자로 전환하고 타임뱅크를 통한 공공복지사업의 효율성 극대화, 마을공동체의 회복 등을 목적으로 함
○ 2015년 기준 구미 사랑고리에서 교환활동을 한 회원은 133명이며, 2015년 동안 총 2,266.5고리를 적립하고 1,359고리가 사용됨
- 독거⋅장애세대에 밑반찬을 제공하는 음식나눔방 봉사 625.5시간, 밑반찬배달 505.1시간, 재활용품 판매가게봉사 358.4시간 등
|
[
"구미요한선교센터에서 밑반찬을 몇 명의 노인에게 배달했어"
] |
unanswerable
|
c6c4347e-5d3d-4342-a942-1a6998fb3f7c
|
경기도 생활문화센터 이용자 10명중 5명, “생활문화 교류활동이 필요해요”
|
경기도 생활문화 지원 및 육성 정책방향
제3장 생활문화 지원 정책 및 사례
제2절 경기도 및 31개 기초자치단체 생활문화 지원 정책 및 사례
1. 생활문화 관련 조례 제정 현황
경기도 및 31개 기초자치단체의 생활문화 관련 조례 제정 현황은 국가법령정보센터 홈페이지(www.law.go.kr)를 통해 살펴보았다. 생활문화 관련 조례는 크게 ⅰ)생활문화 진흥 조례를 별도로 제정한 유형과 ⅱ)지역문화 관련 타 조례에 생활문화가 포함된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경기도 및 31개 기초자치단체에서 생활문화 진흥 조례를 별도로 제정된 것과 지역문화 관련 타 조례에 생활문화가 포함된 것은 각각 3개로 경기도 31개 기초자치단체내에서는 총 5개(16.1%)의 기초자치단체 조례에서 생활문화가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문화 진흥 조례가 별도로 제정된 곳은 경기도, 부천시, 그리고 수원시이다. 경기도와 부천시는 「지역문화진흥법」 제7조에 따라 생활문화(주민이 문화적 욕구 충족을 위하여 자발적이거나 일상적으로 참여하여 행하는 유형⋅무형의 문화적 활동)를 지원하고자 조례를 제정한 반면 수원시는 「농촌진흥법」에 따라 농촌과 관련 되거나 오랜 역사를 통해 형성된 유형⋅무형의 생활문화를 보존⋅계승⋅발전시키기 위해 조례를 제정하였다.
|
[
"생활문화 지원 정책을 국가법령정보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살펴볼 수 있게 한 기초자치단체는 어디야"
] |
unanswerable
|
13ba6222-b7a3-4118-976e-37cf89446a23
|
공공요양병원, 운영방식 재검토와 공익적 기능 개발 시급
|
경기도노인전문병원 공익적 기능 재정립 방안
제2장 노인전문병원 개요
제1절 공립노인전문병원 개요
2. 공립노인전문병원 현황
1) 노인전문병원의 법적 근거
「노인복지법」에서는 ‘노인전문병원’의 설치, 시설 및 인력배치 기준 등을 「의료법」상 요양병원에 관한 규정을 준수하도록 명시되어 있는데, 이로 인해 노인전문병원은 「의료법」 상으로는 ‘요양병원’이면서, 동시에 「노인복지법」 상으로는 ‘노인의료복지시설’로서 분류되어 두 개의 법률을 적용받게 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노인장기요양과 관련한 ‘노인의료복지시설’은 6가지 종류로 분류되었는데,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생기면서 기존의 「노인복지법」에 따른 6가지의 ‘노인의료복지시설’을 ‘노인요양시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노인전문병원’으로 통합 조정하여 다시 개정되었고, 이후 2011년에 또 다시 일부 개정을 통해 「노인복지법」에서는 ‘노인전문병원’이 사라지고 현재는 「의료법」 상의 ‘요양병원’으로만 분류되어 「의료법」 상의 규정만 적용받게 되었다.
|
[
"노인전문병원은 언제 의료법과 노인복지법 두개의 법률을 적용받아 규정을 준수하도록 명시했지",
"노인전문병원은 언제 노인의료복지시설로 분류되어 노인복지법상의 규정만 적용받게 되었을까"
] |
unanswerable
|
Subsets and Splits
No community queries yet
The top public SQL queries from the community will appear here once avail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