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
stringlengths
36
36
title
stringlengths
0
441
context
stringlengths
200
7.38k
questions
listlengths
1
2
type
stringclasses
6 values
a8b4d234-7f66-4f0c-b719-9e3f9694d230
‘과학기술ODA 국제컨퍼런스’ 개최
과기정통부,‘과학기술ODA 국제컨퍼런스’개최 과학기술ODA 활성화방안 발표 □ 활성화 방안은 ‘수혜국 잠재역량과 한국의 혁신역량 간 시너지 창출‘을 비전으로, △수혜국 과학기술 역량 제고, △과학기술ODA 전문성․책임성 강화, △전략적 추진체계 운영을 중심으로 9개 중점과제로 구성되었다. □ 먼저 수혜국 과학기술 역량 제고를 위해서, ㅇ 종합연구기관, 과학기술특성화대학 등 유형별로 과학기술ODA 사업을 모델화하고 인프라 구축부터 운영 컨설팅, 인력양성, 공동 R&D 등 개도국 스스로 R&D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전주기적 관점의 종합적 지원을 할 계획이며, 이를 위해 내년부터 ‘과학기술ODA 10대 선도 프로젝트’를 기획․추진한다. ㅇ 과학기술ODA 10대 선도 프로젝트는 과학기술ODA 사업을 연구기관․과학기술특성화대, 과학기술 클러스터, ICT 기반 구축, 글로벌 문제해결의 4가지 대표 유형별로 구분하고 개도국의 수요를 고려하여 도출되었다. ㅇ 또한, 감염병, 기후변화 등 권역별(동남아․중앙아․아프리카․남미 등) 공동 문제와 우리나라와 개도국이 공통적으로 직면한 문제를 발굴하여 국민생활연구와 글로벌 문제해결과의 연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 "감염병, 기후변화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한 한국의 프로젝트는 뭐지", "무슨 프로젝트의 추진으로 한국은 스스로 연구개발을 수행할 수 있게 됐을까" ]
unanswerable
26c864ed-36ef-4c8b-a324-0f62f83f449b
150605 조간 (보도) 제4차 창조경제혁신센터운영위 개최
창조경제혁신센터 창업․기업지원 속도낸다 【 안건3 :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방안 (보고 : *** 센터장)】 □ 경기혁신센터는 ①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의 글로벌 진출 허브, ② IT 융합 新산업 창출 및 육성을 중점적으로 추진하여 나갈 계획임 ① 글로벌 진출 허브 □ (주요내용) 전국 센터와 해외 창업투자기관 등을 연결하는 온-오프 플랫폼을 구축하여 중소벤처기업의 해외진출과 투자유치를 지원할 계획임 ㅇ 향후 3년간 ICT분야 290개 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고, 해외전시회 및 글로벌 투자박람회를 개최해 나갈 계획임 □ (추진현황) 현재 해외투자자와 화상 멘토링을 위한 화상회의시스템을 구축(3월)하고 전국 혁신센터의 유망 벤처기업·상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DB와 영문 홈페이지를 구축(7월 완료)중임 ㅇ 조만간 개최 예정인 3개 해외 박람회에 13개 국내기업이 참가할 수 있도록 전시회 부스 등을 지원 중임 * communicAsia 2015(5개팀, 6.2~5, 싱가포르), 오렌지펩 인터내셔널 데모데이(3팀, 6.10~12,파리), MWC 상하이 전시회(5팀, 7.15~17, 상하이)
[ "IT 벤처기업 육성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경기혁신센터가 구축한 데모데이 DB는 무엇일까" ]
unanswerable
adf9e6a2-112b-459f-846b-ef9e5b83453c
다큐 글로벌 진출 확대 위한 업계 간담회
미래부, 다큐멘터리 해외 진출을 위한 방송콘텐츠 업계 간담회 열어- 해외 네트워크 구축 및 투자지원 방안 집중 논의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윤종록 제2차관의 주재로 국내 다큐멘터리 해외 진출과 부가수익 창출을 위한 ‘방송콘텐츠업계 간담회’를 9월 3일(수) 오후 2시, 코엑스 회의실에서 개최하였다. o 이번 간담회에서는 해외 진출에 가시적인 성과를 보여준 KBS, 목포MBC, 마운틴TV, 판미디어홀딩스 등 국내 주요 방송사, 제작사, 투자사 등이 참석하여 해외진출과 국제 공동제작 활성화를 위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졌으며, o 국내 최초로 영국 BBC 방영예정인 다큐멘터리 ’Big Weather’(한․영 공동제작)를 기획한 이창수 대표(판미디어홀딩스)가 ‘글로벌 프로젝트의 기획 및 공동제작 사례’, 하시내 대표(보다필름)가 ‘1인 창작자의 다큐개발 및 해외시장 진출사례’를 발표하였다.
[ "다큐멘터리 Big Weather을 방영하기 위한 논의를 어디에서 진행했지" ]
unanswerable
e6a125eb-3e4c-46d7-ac81-317bf708151b
골다공증 및 치주질환의 새로운 치료타겟 발굴
골다공증 및 치주질환의 새로운 치료타겟 발굴 - 유전자적중생쥐 이용 골수줄기세포의 뼈모세포 및 지방세포 분화조절 기전 규명 - 용어설명 4. 세포치료제 ○ 세포의 조직과 기능을 복원하기 위해 살아있는 자가(autologus), 동종(allogenic), 또는 이종(xenogenic) 세포를 체외에서 증식․선별하거나 여타 방법으로 세포의 생물학적 특성을 변화시키는 등의 일련의 행위를 통하여 치료, 진단 및 예방의목적으로 사용되는 의약품 (생물학적제제등의 허가 및 심사에 관한 규정(식약청고시) 5. 유전자치료 ○ 유전자 발현체계를 이용, 치료 유전자를 질병 부위에 전달하고 이상 유전자를 대체하거나 치료용 단백질을 생산케 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새로운 치료법
[ "유전자 발현체계를 이용하여 생물학적 특성을 변화시켜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는 의약품은 무엇이니", "어떤 의약품이 자가, 동종, 이종 세포를 체외에서 증식, 단백질을 생산해서 질병을 치료하는 데 쓰이지" ]
unanswerable
807a4ca4-2570-4939-bf0b-9acae47ea56d
2019 대한민국 온라인광고대상 개최
2019 대한민국 온라인광고대상 개최 -모바일 앱 사용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타겟마케팅 서비스 제공한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 HD, 대상 수상- ㅇ 최우수상(한국인터넷진흥원장상)은 계모에 대한 사회적 편견 개선을 위해 ‘마음이음동화 캠페인(GS칼텍스)’을 제작한 ‘애드쿠아인터렉티브’가 수상했다. 세상을 바꾸는 에너지 브랜드임을 표현함으로써 브랜드 인지도 상승을 이끌었고, 공익적인 요소도 가미되어 있다는 점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ㅇ 또한, 올해의 온라인광고인으로는 ▲초기 온라인광고 시장 개척에 기여한 ‘마더브레인’의 유제남 대표와, ▲부정클릭탐지 등 다양한 솔루션을 선도적으로 개발·공급한 ‘비즈스프링’의 이철승 대표가 선정됐다. ㅇ 우수상(온라인광고협회장상) 크리에이티브 부문은 차이커뮤니케이션의 ‘기술의 MOVE를 넘어 당신의 LOVE로(현대자동차그룹)’, 레볼루션커뮤니케이션즈의 ‘환경부 정책과제 선정 국민참여 캠페인(환경부)’, 포스트커뮤니케이션즈의 ‘나는 슈퍼히어로 파워맨이다(삼성카드)’가 수상했다. ㅇ 퍼포먼스 부문은 오버맨의 ‘그리다. 100가지 말상처(세이브더칠드런)’, 에이뎀의 ‘독립서체 캠페인(GS칼텍스)’, 퍼틸레인의 ‘트라하 런칭캠페인(넥슨코리아)’이 차지했으며, ㅇ 테크앤솔루션 부문은 태그바이컴퍼니가 개발한 ‘데이터 드리븐인플루언서 마케팅 플랫폼’, 플레이디가 개발한 ‘데이터 통합 분석 및 시각화 솔루션 Tube’, 크로스미디어가 개발한 ‘퍼포먼스 제고형 동영상광고 플랫폼 퍼플’이 수상했다.
[ "온라인광고 시장 개척에 기여하여 최우수상을 수상한 사람은 누구니" ]
unanswerable
a7738b0f-0953-48ca-b2ab-f9d867ef9e94
2013년도 간접비 계상기준 고시
국가연구개발사업 기관별 간접비 계상기준 고시 - 출연(연)․특정(연)․비영리연구기관 49개 기관 및 196개 대학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는「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규정」제12조제7항에 따라 12월27일 국가연구개발사업 간접비 계상기준을 고시하였다. o 간접비는 2년마다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계상기준을 고시하고 있으며, 산출기준은 전년도 결산실적을 기준으로 하되, 추가소요, 가감사항(우수 인증기관, 참여제한)을 반영하여 산출하였다 o 이번 간접비는 정부출연연구기관 26개 기관, 특정연구기관 13개 기관, 비영리연구기관 10개 기관 및 196개 대학 등 총 245개 기관을 대상으로 간접비 비율을 산출․고시하였다. □ 간접비가 고시된 기관은 국가연구개발과제 수탁 시 직접비에 고시된 간접비 비율을 곱한 금액 이내에서 간접비를 계상할 수 있다. o 간접비가 고시되지 않은 대학 외 비영리기관은 직접비의 17% 범위내에서 간접비를 계상하고, 대학은 ‘연구비 중앙관리 실태조사’를 받지않은 경우 3%를 일괄 적용한다. o 간접비는「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연구개발에 소요되는 인력지원비, 연구지원비, 성과활용지원비로 사용하여야 한다.
[ "2년마다 정부출연연구기관이 관계 중앙행정기관과 협의하여 계상기준을 고시하는 것은 무엇이지", "정부출연연구기관과 비영리연구기관이 협의하여 196개 기관을 대상으로 비율 산출 및 고시하는 것은 뭐야" ]
unanswerable
b4594fec-d968-40b3-bdca-aef709a81322
김경수 지사 “빅데이터 기반 AI 행정으로 스마트경남 구현”
김경수 지사 “빅데이터 기반 AI 행정으로 스마트경남 구현” 이어 “경남이 데이터 기반 행정 부분은 출발이 늦지만, 앞선 사례의 시행착오를 거울삼아 오히려 유리한 위치에 있을 수 있다”며 “늦었지만 스마트경남 구현을 위해 지금부터 차근차근 그림을 잘 그려나가자”고 참석자들을 독려했다. 특히 데이터 수집 과정에서 있을 수 있는 도민들의 우려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익명화를 통한 비식별 개인정보를 활용하더라도 도민들, 국민들 입장에서는 거부감이 들 수 있다”며 “데이터 개방과 정보 활용이 도민의 실생활에 도움이 될수 있도록 작은 것부터 시작해 체감하는 변화를 만들어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도는 자문단과 함께 앞으로 빅데이터 활용과 관련된 산․학․연․관 네트워크를 구축해 실질적인 데이터 정보 공유와 사회문제 해결 생태계 조성, 그리고 바람직한 데이터분석센터 운영 모델에 대해 지속적으로 논의해 나가기로 했다. 한편, 경남도의 데이터기반 행정 추진전략 및 플랫폼 구축 자문단은 지난달 24일 경상남도 서울본부에서 1차 회의를 진행한 바 있다.
[ "데이터분석센터 운영 모델에 대한 회의는 어디에서 진행됐어", "비식별 개인정보를 활용한 데이터 수집에 대한 회의는 어디에서 열렸니" ]
unanswerable
8a51f33f-edc7-45aa-b03e-1e5ebdd30f04
암세포를 죽게하는 핵심단백질 발현 성공
암세포를 죽게하는 핵심 단백질 발현 성공 암세포에 단백질(RIP3) 발현 증가시켜, 항암제 반응 촉진 연구결과 개요 1. 연구배경 암세포의 대표적 특징 중 하나인 아폽토시스(apoptosis)에 대한 저항성은 암세포가 항암제에 저항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암세포 사멸 전략의 한계점을 가져왔다. 최근 제시된 새로운 세포사멸 프로그램인 네크롭토시스(necroptosis)가 암세포사멸을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았으나, 네크롭토시스의 핵심조절인자로 알려진 RIP3 가 대부분의 고형암에서 발현되지 않아 새로운 암세포 사멸프로그램으로 활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2. 연구내용 연구진은 탈메틸화제를 이용하여 대부분의 고형암에서 발현이 억제된 RIP3를 복구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고하였으며, DNA 메틸전달효소 1(DNMT1)이 RIP3의 발현 억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또한 암세포에서 RIP3의 발현을 유도하였을 경우, 암세포 사멸이 현저하게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이때 발생하는 세포사멸은 기존의 네크롭토시스 신호전달 경로를 경유함을 규명함으로써, 네크롭토시스의 핵심조절인자인 RIP3의 발현이 새로운 암세포 사멸 전략 및 타겟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욱이 유방암 환자의 조직을 분석한 결과 암조직에서 RIP3 의 발현이 정상조직에 비해 현저히 저하되어 있으며 RIP3 의 발현이 높은 환자의 생존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마우스에 종양을 유도한 다음 탈메틸화제를 투여한 후 항암제를 주사한 그룹에서 종양의 크기가 항암제만 단독으로 투여한 그룹에 비해 현저히 줄어들어 있음을 확인하여 RIP3 매개의 암세포사멸 전략이 새로운 항암 치료전략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 "아폽토시스의 핵심조절인자로 알려진 암세포는 뭐야", "연구진은 DNA 메틸전달효소 1이 고형암에서 발현이 억제된 무슨 암세포를 복구시킬 수 있다고 보고했을까" ]
unanswerable
5ed290bf-d08c-4847-baeb-ca245afc326d
제85회 국가정책조정회의
하반기도 4대악 근절에 총력,‘일상생활 속 안전’지킨다. - 총리 주재 국가정책조정회의, ‘하반기 4대악 근절 추진계획’, ‘공과대학 혁신방안’ 확정 □ 정부는 7.29(금) 정부서울청사에서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제85회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열고, ㅇ「4대악 근절 상반기 추진실적 및 하반기 추진계획」,「2016 공과대학 혁신방안」,「전파교란 대응 종합계획」을 논의·확정했다. * 참석부처 : 교육부·미래부·외교부·법무부·국방부·행자부·문체부·산업부·복지부·여가부·국토부·해수부·안전처·식약처·경찰청·중기청 등
[ "제85회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 전파교란 대응 종합계획을 발표한 부처는 어디니" ]
unanswerable
64381fa1-002d-4037-8b7a-e1f9243c010b
제15회 국가우주위원회 개최 결과
정부, 민간주도 우주개발 생태계조성으로 미래 혁신성장동력을 창출한다. - 대한민국 우주산업 전략 등 3개 계획* 발표 제15회 국가우주위원회 안건별 요약자료 2 제2차 위성정보 활용 종합계획 (스마트 위성강국 코리아 2030) Ⅱ. 추진경위 ◦ (2018.4~6월) 「제2차 위성정보 활용 종합계획」 기획 착수 및 공공서비스 수요 충족을 위한 위성개발 전략 파트 작성 ◦ (2018.7~8월) 「제2차 위성정보 활용 종합계획」 1차 관계부처 의견조회 및 공청회 개최(2018.8.21) ※ 공공서비스 충족을 위한 위성 개발 파트 ◦ (2018.8월~10월) 「제2차 위성정보 활용 종합계획」 초안 작성 ◦ (2018.11월~12월) 「제2차 위성정보 활용 종합계획」 2차 관계부처 의견 조회 및 전문가 간담회 개최 ◦ (2018.12월) 「제2차 위성정보 활용 종합계획」 최종 공청회(2018.12.14) ◦ (2018.12.27)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 개최 ◦ (2018.12.28~2019.1.7) 국가우주위원회 개최(서면) Ⅲ. 향후 계획 ◦ 위성정보활용 시행계획 수립·시행(2019년 2월)
[ "민간주도 위성정보 할용 계획 공청회를 개최하는 위원회는 어디니", "우주산업 전략으로 위성 개발에 대한 최종 공청회를 개최하는 위원회는 어디일까" ]
unanswerable
094b4057-c75a-460c-95c0-b1185a1c1221
무한상상실 운영 메뉴얼 사이트 오픈
“너의 창의력을 깨워라! 무한상상실” - 운영 매뉴얼 제작 및 무한상상실 종합정보 사이트 22일 문 열어-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는 창의·상상의 공간인 무한상상실을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운영모델에 따른 매뉴얼과 종합정보센터(www.무한상상실.kr)를 22일부터 오픈한다고 밝혔다. o 무한상상실 위치, 운영 프로그램, 이용 예약, 아이디어 등록 등 이용자 편의를 위한 무한상상실의 모든 정보를 담은 ‘무한상상실 종합정보센터(www.무한상상실.kr)를 22일부터 오픈한다. - 무한상상실 종합정보센터는 교육부(학교), 문체부(도서관), 산업부(청소년 수련원), 특허청(지역지식재산센터), 우정사업본부(우체국) 등 5개 협업 부(청)의 무한상상실 정보도 모두 아우른다. - 또한 무한상상실 종합정보센터와 ‘창조경제타운’을 시스템적으로 연결하여, 무한상상실 종합정보센터에서도 창조경제타운의 ‘아이디어발전소’에 아이디어를 바로 등록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무한상상실이 창조경제타운의 주요한 아이디어 유입경로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 "미래창조과학부가 산업부와 협업하여 특허청 아이디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운영하는 곳은 어디니", "특허청이 운영하는 무한상상실에 아이디어를 등록해 문체부, 교육부 등과 협업하는 시스템은 무엇일까" ]
unanswerable
5b9d289f-ff4a-408c-948e-49827491af8c
민관합동 창조경제추진단 출범식
창조경제 실현, 민간이 발벗고 나선다. - 민간주도의 「민관합동 창조경제추진단」 출범식 개최 - □ 추진단은 민간의 창의성과 정부의 기획력을 결합하여 ㅇ 시장과 기업의 수요를 바탕으로 파급효과가 큰 창조경제 관련 구체적인 프로젝트를 발굴‧이행하여 신산업‧신시장을 개척하는 한편, 구체적인 성공사례를 보여줌으로써 창조경제를 사회전반으로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 추진단 주요 업무 : △신산업‧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민관 협력 프로젝트의 발굴‧기획 및 추진, △창업 활성화와 벤처‧중소기업의 육성을 위한 추진과제 발굴‧개선, △창조경제 문화의 확산과 관련된 프로그램 등의 기획‧추진, △아이디어 사업화 관련 민간 프로그램의 연계 등 창조경제타운의 운영 활성화 지원 등 □ 추진단은 과거의 국정과제 관련 조직과는 달리 민간의 창의성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도록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가 지원하는 형태의 조직으로 구성하였다. ㅇ 추진단의 조직은 민관 공동단장(2명)*이하 부단장 및 5개팀**으로 이루어졌으며, * 공동단장(비상근) : 민간전문가 및 미래부 창조경제조정관(실장급)/ 부단장 : 기재부 국장급/ 팀장 : 5개팀중 3개팀은 민간전문가, 2개팀은 공무원이 담당 * 기획총괄팀, 신산업1팀 신산업2팀, 문화확산팀, 창조경제타운팀(팀별 세부업무 ㅇ 인력은 총 40여명으로 구성하되, 민간부문에서 30여명*, 정부에서 10명**을 파견받아 민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 경제단체, 기업, 연구기관 등 / ** 기재부, 미래부, 교육부, 산업부, 문체부, 국조실, 금융위, 중기청, 특허청
[ "창조경제 실현을 위해 민간주도의 창업 활성화와 구체적인 성공사례를 발굴하는 곳은 어디니" ]
unanswerable
06ea230a-e86d-452b-9973-489a7f88e096
소프트웨어중심사회를 위한 인재양성 추진계획
초등학교에서 대학까지, 소프트웨어(SW) 교육 청사진 나왔다 ! - 교육부․미래부,「SW중심사회를 위한 인재양성 추진계획」발표 - Ⅳ. 산업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대학 SW교육 혁신 2 핵심 추진과제 □ SW산업계가 요구하는 현장 맞춤형 인재양성 ㅇ 산학협력선도대학 육성 사업* 추진시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산학협력 중계센터간 연계를 통해 SW 기술지원, 사업화 협력 실시 ※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사업(2012~2016년, 2015년 예산 2,240억원) ㅇ 산학협력선도대학 육성사업을 통해 SW분야 장기현장실습, 캡스톤 디자인 활성화 등을 실시하여 SW분야 지역인재 육성 선도 - 대학내 현장실습 지원센터 설치, SW 업체에서 4주이상 실습시 학점 부여 등 현장실무경험 체득 지원 - 캡스톤디자인 경진대회(2015.9월)를 통해 우수 SW의 상품화를 지원하고 캡스톤디자인 이수학생 수 등을 연차평가 성과지표에 반영 ㅇ SW분야 ‘산업계 관점 대학평가’를 통해 핵심 직무역량, 필수교과목 등을 제시하여 교육과정 개선을 유도 * 컴퓨터(SW), 정보통신 등에 대한 산업계의 요구 분석(2016년) 및 ‘산업계 기반교육과정 설계 → 운영→ 운영성과’의 3개 영역 평가 실시(2017년) - 평가결과는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육성사업 연차평가 시 활용
[ "산업현장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초등학교에서 SW분야 체득을 지원하고 SW 실습을 평가하는 대회는 무엇이니", "산학협력선도대학에서 SW분야 장기현장실습을 통해 육성한 학생들을 평가하는 교육부의 대회는 뭘까" ]
unanswerable
5a1bb89b-bfb6-4a57-b8f8-dec2e10b2eb9
민관합동 창조경제추진단 출범식
창조경제 실현, 민간이 발벗고 나선다. - 민간주도의 「민관합동 창조경제추진단」 출범식 개최 - 「민관합동 창조경제추진단」 구성(안) 1. 추진경과 ㅇ 국민경제자문회의에서 「민관 창조경제기획단」 제안(2013.8.29) ㅇ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 「창조경제 민관 협력체계 강화 방안」 확정(2013.10.30) ㅇ 「창조경제 민관협의회 등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 제정 (2013.12.30, 대통령령 제25034호) 2. 추진단의 역할 ㅇ 신산업‧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민관 협력 프로젝트의 발굴‧기획 및 추진 ㅇ 창업 활성화 및 벤처‧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추진과제 발굴‧개선 ㅇ 창조경제 문화의 확산과 관련된 프로그램 등의 기획‧추진 ㅇ 아이디어 사업화 관련 민간 프로그램의 연계 등 창조경제타운의 운영 지원 등 3. 조직 및 인력 구성 ㅇ (조직) 단장 이하 부단장 및 5개 팀으로 구성 - 단장은 민간전문가와 미래부 고위공무원(창조경제조정관)이 겸임(비상근) - 기획총괄팀, 신산업1팀, 신산업2팀, 문화확산팀, 창조경제타운팀으로 구성 ㅇ (인력) 총 40여명 으로 구성(정부 10명 및 민간 30명 내외) - 정부(10명), 기업(15명 내외), 경제단체(10명 내외), 연구소‧산하기관(6명 내외) 등 - 민간 전문가는 기업 등의 의견 수렴을 통한 프로젝트 발굴‧이행 주도, 공무원은 관련 제도‧규제‧법령 검토 및 부처협의 등 지원
[ "국민경제자문회의에서 창업 활성화 관련 프로그램 기획을 위해 연구소 전문가들로 구성한 팀은 무엇이니" ]
unanswerable
826368b3-52e3-4cf8-8412-21cb6079eb93
디지털콘텐츠 상생협력 지원센터개소
디지털콘텐츠 표준계약서 5종 제정- 디지털콘텐츠 상생협력 지원센터 설립을 통해 표준계약서 보급·확산 - 2 디지털콘텐츠 표준계약서 주요내용 □ 위탁판매 o (위탁판매의 성격 규정) 양 당사자가 DC 위탁판매계약을 체결하는 경우에 대한 법적 성격과 효과를 명확하게 규정 o (유지 또는 보수의무) 위탁콘텐츠에 대한 보수 또는 업데이트를 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할 의무를 위탁자가 부담하도록 규정 o (신원정보제공) 위탁자는 위탁매매인에게 자신의 상호, 성명, 주소, 전화번호 등을 제공하여 이용자에게 손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규정 o (판매가격) 양당사자가 합의하여 판매가격을 정하고, 일방이 판매가격을 임의대로 조정할 수 없도록 규정 o (대금의 정산) 정산일시와 정산금액의 기준을 마련하고 판매실적에 대한 자료를 공유하여 양당사자 사이에 투명한 정산이 이루어지도록 유도
[ "디지털콘텐츠 위탁 판매 시의 대금 정산일시와 정산 금액의 기준은 누가 마련하지" ]
unanswerable
7954828d-91df-44e4-8cbe-ebfdeafbf10e
디지털콘텐츠 상생협력 지원센터개소
디지털콘텐츠 표준계약서 5종 제정- 디지털콘텐츠 상생협력 지원센터 설립을 통해 표준계약서 보급·확산 - 디지털콘텐츠 표준계약서 주요내용 □ 퍼블리싱 o (퍼블리싱의 성격 규정) 양 당사자가 퍼블리싱 계약을 체결하는 경우에 대한 법적 성격과 효과를 명확하게 규정 o (양당사자의 계약상 책임 명확화) 퍼블리싱 계약이 에이전트 계약의 성격으로 기능함을 감안해 법적 근거가 미약하므로 계약상 책임을 명확히 할 수 있도록 공급, 유지 또는 보수 등 규정 마련 o (제3자와 퍼블리싱 계약체결) 제작사는 퍼블리셔 외에도 제3자와 계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제작사를 보호 o (퍼블리셔의 선관의무) 퍼블리셔가 계약을 성실하게 이행하여 제작사에게 피해를 끼치지 않도록 중개계약체결의무 등을 규정 o (저작권 귀속)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이 제작사에 귀속하도록 규정하여 계약상 열악한 지위에 있는 제작사를 보호
[ "퍼블리셔와 제작사가 무엇을 체결하는 경우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을 에이전트로 귀속해", "제3자와 제작사가 무엇을 할 경우 에이전트 계약의 성격으로 기능함을 감안해 중개계약체결의무를 규정하니" ]
unanswerable
36b794a6-a356-4e19-aa84-82001de6d22f
스마트 팜 확산 성과 구체화되기 시작
스마트 팜 확산 성과 구체화되기 시작 - 이동필 장관, 스마트 팜 확산 상반기 성과 점검 및 현장방문 - 경상남도 농업기술원 ATEC 현황 □ (교육 현황) 농업인, 귀농인, 농고·농대생, 예비농업인 대상으로 첨단 실습형 교육, 품목특화 전문 교육, 해외 전문가 초청교육 등 ㅇ 2015년에 스마트 팜 첨단기술 공동실습장으로 지정(ATEC, JATC, 천안연암대), 올해 처음으로 첨단 실습교육 실시(2016.4~10월 240명, 국비 1억원 지원) ㅇ 품목특화 전문교육과정(토마토 대학 등) 운영(2015: 15명→2016: 토마토 15명, 딸기 15명, 버섯 15명) ㅇ 2013년에 해외 전문가 초청교육 시작(2013: 63명, 2014: 74명, 2015: -, 2016: 30명) □ (시설 현황) 유럽형 최첨단 ATEC 설립(2009.2.27, 진주시 소재) ㅇ 실습장 시설 및 기자재 현황 * 총 사업비 50억원(국비 25, 지방비 25) - 실습장(유리온실, 8,337㎡), 이론 교육장, 숙소, 식당 등
[ "JATC, 천안연암대를 2015년 스마트 팜 첨단기술 공동실습장으로 지정하기 위해 어떤 기관이 현장방문했니", "어느 기관에서 2015년에 해외 전문가 30명을 초청해 예비농업인 15명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했어" ]
unanswerable
83f1e353-1a6b-49a1-92dd-fe53451e0efc
‘2013 환경산업 육성 지원사업 설명회’26일 개최
‘2013 환경산업 육성 지원사업 설명회’ 26일 개최 ◇ 아시아 해외시장 진출 전략과 내수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환경기업 현장 맞춤형 지원 사업 등 설명 □ 환경부와 환경산업기술원은 이번 설명회가 새정부의 환경 분야 중소기업 지원 기조를 설명할 뿐 아니라,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아시아 환경시장의 프로젝트 발굴지원 등으로 대-중소 환경기업의 동반성장을 통해 해외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했다. ○ 특히, 중소 환경기업에게는 브랜드 강화, 해외 판로개척 지원 등 중견기업 맞춤형 지원사업을 소개하는 장이 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 ‘아시아 환경시장 진출전략 및 환경산업 육성 지원사업 설명회’의 참가를 희망하는 기업은 환경산업기술원 홈페이지의 공지사항에 게재된 참가신청서를 작성해 이메일(******************) 또는 팩스(***********)로 접수하면 된다.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홈페이지 : www.keiti.re.kr
[ "환경산업기술원과 어느 부서가 2013년 환경산업 육성 지원사업 설명회에 참가하기 위해 팩스를 접수하니" ]
unanswerable
cacc8e8e-2b31-4b73-a5f8-ab413412628d
스마트 팜 확산 성과 구체화되기 시작
스마트 팜 확산 성과 구체화되기 시작 - 이동필 장관, 스마트 팜 확산 상반기 성과 점검 및 현장방문 - KT 버섯재배 스마트 팜 개요 □ 시설 개요 : 반영구 소재의 밀폐형 돔하우스 버섯재배사 ① 온실운영시스템 : 재배온실 환경제어(온/습도, CO2 등) ② 온실통합관제시스템 : 원격 온실환경 관제 및 모니터링 ③ 재배 supporting시스템 : 생육정보 데이터 관리 □ 기대효과 ○ 외부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고 사계절 버섯 재배 가능 ○ 돔하우스의 높은 단열성(일반 콘크리트 대비 40배)으로 냉난방비 절감 ○ 동일 재배사내 공간별 온도, 습도 등 편차가 없도록 환경제어 ○ 농산물 품질의 균질성 확보 ○ 인공광 활용형 농산물 재배사(수직형 농장 등)로 활용 가능 □ 향후 추진계획 ○ GNA 영농조합법인의 생육 데이터, 재배노하우를 바탕으로 생육 환경관리 S/W(재배 supporting 시스템) 고도화 ○ 초보 창농인, 귀농‧귀촌인도 쉽게 재배할 수 있어 신규 영농 인력 유입 촉진 기대
[ "이동필 장관이 스마트 팜 확산을 위해 어떤 인력을 유입했어", "재배온실의 환경제어를 위해 온실운영시스템을 만든 사람은 누구야" ]
unanswerable
6fdac476-33e1-46ac-90cd-b73ef54fc94d
스마트 팜 확산 성과 구체화되기 시작
스마트 팜 확산 성과 구체화되기 시작 - 이동필 장관, 스마트 팜 확산 상반기 성과 점검 및 현장방문 - 농업회사법인 지엔바이오(주) 개요 □ 법인 현황 ○ 소재지 : 경남 진주시 ○ 종업원 : 15명 ○ 주요 사업부문 - 버섯종균 연구개발 및 배양 - 버섯종균 배지 대량생산 및 납품(5,000개/일, 1,500,000개/연 생산 가능) * 국내 대다수 표고버섯 농가가 사용 중인 중국산 톱밥배지의 국산화를 목표로 자체 개발 대량생산 시스템을 도입, 전 공정을 반자동화 하고, 100% 국산 원료 사용 □ 이슬송이버섯 특징 ○ GN바이오에서 자체 개발(2010년)한 신품종으로, 국내 및 일본, 중국 등 국제 특허 획득 ○ 기존 표고버섯대비 가식률이 높고(2배) 저장기간이 길어(2배) 상품성이 높으며, 항산화 성분 및 비타민 등 영양 성분도 우수 * 제15회 농림수산식품과학기술대상 장관상 수상(2012년)
[ "어떤 신품종이 2010년 제15회 농림수산식품과학기술대상 장관상을 수상했어" ]
unanswerable
c1700df1-799c-4345-9c0d-2fb85ad88aa4
중이온가속기 저에너지구간 중이온빔 가속 성공
중이온가속기 세계 8번째로 RFQ 선형가속기에서 중이온빔 가속 성공- 2021년 중이온가속기 성공적 구축을 위한 첫단추 끼워 - □ 이번 ‘RFQ 중이온빔 인출 성공’은 이온빔을 생성‧가속하여 초전도선형가속기(SCL)에 전달하는 입사기(중이온가속기의 전단부)를 순수 국내기술만으로 구축하여 더욱 의미가 깊다. ㅇ 핵심장치인 RFQ 선형가속기를 비롯한 초전도이온원, 빔 수송장치 등을 포함하는 입사기는 한국원자력연구원, 포항가속기연구소,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국가핵융합연구소 등 국내 연구기관 및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구축했기 때문이다. □ *** 단장은 “이번 성과는 중이온가속기건설구축 사업단 직원들의 밤낮 없는 노력의 결과”라며, “빔 가속의 첫 단추가 잘 끼워진 만큼 향후 일정들도 정상적으로 추진하여 2021년까지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할 것”이라고 밝혔다.
[ "한국 연구기관 및 산업체가 한국원자력연구원에 무슨 기술을 전달했어", "2021년도에 한국원자력연구원 기술만으로 무엇을 구축하는데 성공했니" ]
unanswerable
1c21fe77-9742-464a-be85-903ad12654d0
중이온가속기 저에너지구간 중이온빔 가속 성공
중이온가속기 세계 8번째로 RFQ 선형가속기에서 중이온빔 가속 성공- 2021년 중이온가속기 성공적 구축을 위한 첫단추 끼워 - RFQ 선형가속기 개요, 용어설명 □ 용어 해설 1. 고주파사중극자(Radio Frequency Quadrupole) 선형가속기 RFQ는 선형가속장치로 고주파를 인가함으로써 이온빔을 흩어지지 않도록 모아주는 빔집속(focusing) 기능, 고주파 가속장치로 가속하기 위해 빔을 번칭(bunching)하는 기능과 함께 이온빔의 에너지를 높이는 가속(acceleration)기능이 동시에 가능한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선형가속기의 저에너지부에 설치하여 초기 가속장치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2. 운전 주파수 (Operation frequency) 가속 공동(acceleration cavity)에 인가되는 고주파의 주파수로서 본 RFQ는 81.25 MHz(1주기의 파형이 초당 8125만개), FM라디오 주파수 영역이다. 3. 입력 에너지 (Input energy) RFQ에 공급되는 이온빔의 에너지로 초전도 이온원에서 생성되어 전달되는 이온빔의 에너지는 10 keV/u(핵자당 10,000 eV의 에너지)이다. 4. 가속 후 에너지 (Output energy) RFQ선형가속기를 통해 가속된 이온빔의 에너지로 500 keV/u(핵자당 500,000 eV의 에너지)로 가속된다.
[ "RFQ선형가속기를 통해 가속된 이온빔의 에너지는 몇 메가헤르츠의 주파수를 가지고 있을까" ]
unanswerable
8631eb63-c926-4a41-b671-9edd93197a9a
중이온가속기 저에너지구간 중이온빔 가속 성공
중이온가속기 세계 8번째로 RFQ 선형가속기에서 중이온빔 가속 성공- 2021년 중이온가속기 성공적 구축을 위한 첫단추 끼워 - 중이온가속기(RAON) 구축사업 개요 □ 개요 ㅇ (사업목적) 세계 최고 수준의 중이온가속기 구축을 통해 국내 기초과학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 기반 마련 및 가속기 활용 우수 연구자 양성 ㅇ (추진주체) 미래부(일반시설) / IBS(장치구축, 특수시설) ㅇ (기간/규모) 2011년 ~ 2021년 / 부지 952,066㎡, 건물 130,144㎡ ㅇ (총사업비) 14,298 억원(국비) * 장치구축 4,602억원, 시설건설 6,096억원, 부지매입 3,600억원(총사업비 협의조정, 2016.3월) □ ‘RAON’의 기대효과 ㅇ 세계 최초 융합형 희귀동위원소 생성방식(ISOL+IF)을 통해 고희귀도 동위원소 발견 가능성 제고
[ "중이온가속기 특수시설 설치에 들어가는 비용은 얼마야", "얼마의 부지매입 비용이 IBS 구축에 소요될 예정이니" ]
unanswerable
4af21fc0-e417-458a-9cec-70bbe7186596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 구성 완료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 구성 완료, 본격 활동 개시 □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장병규 위원장을 포함한 20人의 민간위원 위촉이 완료됨으로써 제1기 위원회가 본격 활동을 개시함을 알렸다. ㅇ 이번 위원회 구성에는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한 과학기술, 산업, 사회 등 분야별 전문성을 가진 혁신적인 민간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하였다. ㅇ 다양한 민간 전문가의 참여로 향후 위원회 운영에 있어 민간 주도의 혁신역량을 결집하고, 정부가 국민․시장과 소통하면서 4차 산업혁명 정책을 수립하고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해가는 것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9.26일 광화문에서 장병규 위원장, 민간위원, 과기정통부 장관, 과학기술보좌관 등 정부위원이 참석한 가운데 위원회 현판식과 위원 간담회 개최를 시작으로 공식 활동을 개시할 예정이다.
[ "장병규 위원장의 주도로 혁신역량을 결집하는 공식활동이 뭐야", "어떤 모임의 공식 활동 개시가 되는 간담회를 국민이 개최하지" ]
unanswerable
5c2e87ae-2946-46b4-bd5e-a3e177006c12
연구개발분야 노동시간 단축 현장안착을 위한 소통 강화
연구개발분야 노동시간 단축 현장안착을 위한 소통 강화 - 노동시간 단축 대응을 위한 TF 설치‧운영 - □ 과기정통부는 그동안 고용노동부와 함께 노동시간 단축에 대한 현장의 이해도를 제고하고, 연구현장의 애로사항과 건의사항을 청취해왔다. ※ 노동시간 단축 대응을 위한 관계기관 회의(5.17) ※ 연구개발분야 노동시간 단축 현장안착을 위한 기업간담회(6.20) ※ 과기정통부-고용부-출연(연) 현장간담회(6.26) ㅇ 기업부설연구소에서 근무하는 연구직 근로자의 평균근무시간은 주 45시간 내외로 법정 근로시간을 넘지 않으나, 연장근무가 집중되는 특정 기간(신제품 개발, 공정 개선 등)에 일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기업들은 이에 따른 연구개발기간 지연, 숙련인력 부족 등에 따른 경쟁력 약화를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사업장별 상황에 맞게 유연근무제 도입 준비, 인력 추가채용을 검토하고 있으나, 유연근무제 도입 관련한 적용대상, 절차 및 근로시간 적용기준 등에 대한 이해도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 "유연근무제를 도입했을 때 평균근무시간은 몇 시간 내외야", "고용노동부 근로자들은 일주일에 몇 시간 내외로 일을 하고 있니" ]
unanswerable
88733b66-f96f-4774-aefe-17b6405b142a
평창 ICT동계올림픽 TF 회의 개최
협력을 통해 꽃피는 평창ICT동계올림픽 기대!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6.15.(수), 제2차관 주재로 문화체육관광부, 국토교통부, 평창올림픽조직위, KT(주관통신사), SBS(주관방송사), 강원도, 유관기관 및 분야별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평창 ICT 동계올림픽 추진전담팀(T/F) 회의’를 개최하였다. ㅇ 세계최초 5세대 이동통신 올림픽 구현을 위해 주관 통신사인 케이티는 올림픽 대회통신망 및 방송중계망 등을 2016년 말까지 90% 이상 구축하고, 5세대 이동통신의 3대 속성(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을 반영한 올림픽 신규 서비스(홀로그램, 360° 가상현실, 옴니뷰 등) 구현 계획을 발표하였다. ㅇ 감동의 초고화질 올림픽 구현을 위해 서울방송은 연말까지 초고화질 중계차 구축을 마무리하고 12월중 개최예정인 국제빙상연맹(ISU) 세계 쇼트트랙 월드컵을 초고화질로 생중계할 계획이며, KBS와 MBC도 2017년 초 개최되는 컬링 및 스키점프 대회의 초고화질 생중계를 적극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ㅇ 또한 편리한 사물인터넷 올림픽 추진을 위해 증강현실을 활용한 길안내 서비스와 종목별 훈련지원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여 실제 훈련에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 "문화체육관광부의 제2차관 주재로 미래창조과학부와 KT, 유관기관 등이 참여하는 어떤 회의를 개최했어" ]
unanswerable
2d402b8d-c3ea-4fc0-bd7e-26c214cdd1e4
한-미국 기술사상호인정 MRA체결
국내 기술사의 세계 최대 엔지니어링 시장진출 계기 마련 - 미국의 첫 상대로 한․텍사스주 기술사 상호인정 협정(MRA) 체결 - 한-미(텍사스주) 기술사 상호인정 협정문 한-미 FTA 기반의 엔지니어 이동성 촉진을 위한 대한민국, 미국 텍사스주 간 (면허)등록된 기술사 상호인정 8 분쟁조정 8.1 서명 당사자는 본 계약의 해석과 적용에 합의하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협력과 협의에 입각하여 본 계약의 이행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사안에 대해 상호 만족스러운 해결책을 모색하는데 최선을 다한다. 8.2 서명 당사자는 본 협정의 해석 또는 운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어떤 문제 또는 실질적 또는 제안된 방식에 관해서 다른 상대 서명당사에게 서면으로 협의를 요청할 수 있다. 9 계약기간 9.1 본 계약은 이행과 동시에 효력이 발생한다. 9.2 서명 당사자는 최소 3년에 한 번씩 본 계약의 이행 상황과 효과를 검토 및 업데이트하며 계약 내용의 수정을 권고한다. 9.3 서명 당사자가 본 협정문 조항을 철회하려면 3개월 전에 상대 당사자에게 철회 사실을 서면으로 통보한다. 협정문 조항의 철회 도중 승인되었거나 승인 절차를 밟는 등록인/면허 소지자의 처우는 본 계약이 유효하다는 가정 하에 유지된다.
[ "대한민국은 한미 기술사 상호인정 협정문이 업데이트되면 최소 몇 개월 전에 서명 당사자에게 통보해야 해", "대한민국은 미국에 기술사를 등록하려면 텍사스에 몇 개월 전에 서면 통보해야 하지" ]
unanswerable
edcfff3c-51a8-471a-b372-341eb355f932
알뜰폰 400만 돌파
9월 알뜰폰 가입자 400만명 넘어선 413만명 < 향후 주요정책 > ① 50%까지 저렴한 스마트폰 요금제 보급 :『쓰던 폰 그대로, 요금은 반값으로』 □ 주요 알뜰폰 사업자들은 6월 이후 기존 이통사보다 최대 50%까지 저렴한 80여종의 3G․LTE 정액상품을 출시하거나 출시할 계획이다. * KCT, SK텔링크, 이마트, 스마텔, 큰사람컴퓨터(이상 SKT), CJ헬로비전, 홈플러스, 에넥스텔레콤, 에버그린 모바일, 온세텔레콤, KTIS(이상 KT 계열), 스페이스넷, 머천드 코리아, 미디어로그(이상 LG U+ 계열) o 이 상품들은 새로 단말기를 구매하지 않고 사용하던 기존 폰으로도 동일한 조 건으로 가입이 가능하고(SIM-Only 상품), 기존 이통사보다 명목요금 대비 50%까지 저렴하며, 대부분 약정과 위약금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o 아울러, 미래부 관계자는 이 상품들은 국민들에게 최대한의 요금인하 혜택을 주기 위해 수익과 마케팅 비용을 최소화하여 기획된 상품이어서 온라인 위주로 판매되나, 우체국 입점 사업자들은 10월부터 우체국을 통해서도 해당 상품을 판매한다고 밝혔다. ※ 유니컴즈의 우리끼리33, 에버그린 모바일의 EG 모두다올레35, 스페이스네트의LTE 망내21, 머천드코리아의 마이망내무한 LTE 30․40 등 5개 상품
[ "어느 부처가 에넥스텔레콤에게 KCT에 50퍼센트 저렴한 3G LTE 정액상품을 출시하게 할까" ]
unanswerable
32aa6be7-bdad-43fc-85d2-c541ed625d6b
국민이 체감하는 마이데이터 서비스 창출한다
마이데이터 혁신서비스 확산 가속화로 디지털뉴딜의 국민체감 성과 창출 - 국민 체감도와 산업적 활용도 높은 4대 분야 중심 실증서비스 추진 - □ 올해는 국민 체감도가 높고 서비스 확장성이 큰 분야를 중심으로 실증사업을 추진하고, 사업성과를 확산시켜 마이데이터 산업 활성화에 기폭제가 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ㅇ 이를 위해 국민 편익이 높고, 큰 산업적 파급효과가 예상되는 금융‧의료‧생활소비‧교통의 4대 분야를 중심*으로, 이용자 편익과 수, 서비스 확장가능성 등을 고려해 총 8개 서비스를 평가‧선정한다. * (2020년 지원분야) 금융, 의료, 공공, 유통/물류, 문화, 교육, 기타 → (2021년 지원 분야) 금융, 의료, 생활소비, 교통, 기타 ㅇ 신청자격은 모든 공공‧민간 기관(업)에서 개인데이터 보유기관 및 활용기관이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참여할 수 있으며, 선정된 과제는 최대 10억원의 개발비 등이 지원된다. □ 아울러, 환경 분석, 비즈니스 모델 기획, 안전한 데이터 활용 서비스 설계 등 사업화 컨설팅 지원과 온라인 교육 과정 신규 개설, 컨퍼런스 개최 등 국민 인식 확산을 추진해나갈 예정이다. □ 과기정통부 송경희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마이데이터 핵심서비스 발굴부터 사업화 지원, 인식 확산 등 전 방위적인 지원을 통해 마이데이터 산업 활성화를 위한 선순환 생태계를 조성해 나가겠다” 라고 강조하며, ㅇ “마이데이터 혁신 플랫폼의 역할을 하는 실증 사업을 통해 국민 생활과 밀접한 다양한 분야에서 안전하게 실증되고 획기적 서비스로 이어져, 마이데이터 산업이 전 영역으로 확산‧발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 "2021년 교육 분야를 중심으로 실증사업을 추진하고 무엇을 활성화하니", "민간 기관은 무슨 산업 활성화를 위해 선순환 생태계를 조성해 나가겠다고 했지" ]
unanswerable
d955213d-43e8-4233-bfeb-87263b1bccf4
생활폐기물 전처리시설(MBT) 도입 추진
생활폐기물 전처리시설(MBT) 도입 추진 □ 환경부는 생활폐기물의 단순 소각․매립에서 벗어나 처리방식을 다변화하고 폐기물의 최종 처분량을 최소화하며 가연성폐기물의 고형연료화(RDF) 등을 통한 자원회수를 높이기 위해 폐기물 전처리시설(MBT)을 도입할 계획이다. □ 국내의 생활폐기물관리 현황 ○ 전국의 매립지 잔여용량이 향후 11년(수도권매립지 제외)밖에 남지 않았고, 자원회수가 가능한 가연성폐기물의 60%이상이 매립되고 있으며, ※ 2004년 기준, 가연성폐기물(음식물류 제외) 발생량 17,976톤/일 중 11,124톤/(62%)이 매립 ※ 수도권매립지 2005년 반입량 5,067톤/일 중 가연성폐기물은 4,900톤/일(96%) ○ 음식물류폐기물 분리배출에 따른 쓰레기의 발열량 증가로 대형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의 소각량이 감소하는 등 현재 소각방식(스토커)은 쓰레기 발열량 변화에 대한 대응능력이 약하고, 폐기물의 단순 혼합연소는 가연성폐기물의 잠재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회수하지 못한다. ○ 또한, 재활용 인프라가 미흡하고 쓰레기종량제, EPR제도 등의 시행에도 불구하고 쓰레기 감량에 한계를 보이고 있으므로, 자원순환정책에 부합되는 새로운 생활폐기물 처리방식의 도입이 필요하다.
[ "자원회수가 가능한 가연성폐기물의 60퍼센트 이상이 매립되는 시설이 어디야", "음식물쓰레기의 발열량 증가를 위해 도입할 계획인 시설이 뭐니" ]
unanswerable
631eda48-125d-469c-9d06-082bae83ebf8
미래기술사업화 연구기획위원회 발족
“미래기술로 미래산업 준비” - 기술혁신기반 미래기술사업화 연구기획위원회 발족 - □ 이날 열린 연구기획위원회에서는 미래기술사업화 추진을 위한 세부사항이 논의되었다. ㅇ 미래 가상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기업의 관점, 국내외 참고사례, 혁신적 기술과 시장의 간극을 메우기 위해 고려해야할 사항, 미래시장 예측 및 기술사업화 적정시기(Time-to-market) 등 성공적 추진을 위한 주요 이슈들이 고려되었다. ㅇ 아울러, 미래 가상 비즈니스 모델을 구현하기 위해 핵심 미래기술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R&D와 기술사업화를 병행한다는 점에서, 미래기술사업화가 미래산업을 준비하는 연구개발의 이정표가 될 것이란 점에 공감대를 형성하였다. □ 미래부는 향후 연구기획위원회의 지속적 운영을 통해 기술혁신기반 미래기술사업화와 관련된 주요 의제를 설정하고 각 의제별 추진전략을 담은 발전전략을 마련할 예정이다. □ 미래부 *** 연구성과정책관은 “급속도로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아, 우리가 앞선 기술로 세계시장을 재편하고자 각 분야의 최고 전문가들이 모여 기존에 없던 새로운 시도를 한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가 깊다”고 말하고, ㅇ “향후 구체적인 발전전략을 마련하여 공개토론회 등 다양한 논의의 장을 마련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 "미래기술을 통한 가상 비즈니스 모델을 구현하기 위해 연구기획위원회가 무엇을 의제로 설정했어" ]
unanswerable
70cf13b8-63fb-4719-a67d-2d09edfa2133
[보도자료] 유권자의 선거권 및 알권리 보장 등을 위한 공직선거법·정치자금법 개정안 국회 통과
유권자의 선거권 및 알권리 보장 등을 위한 공직선거법·정치자금법 개정안 국회 통과- 개정법률의 주요 내용은 말(言)과 전화를 통한 선거운동 상시 허용, 정당 비례대표 후보 추천 관련 규정 폐지, 지방자치단체장 재보궐선거 확대, 장애인 유권자의 알권리 강화, 후원회 지정권자 확대 등임 □ 국회입법조사처는 2021년 1월 18일(월),「개정 공직선거법·정치자금법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을 다룬 『이슈와 논점』보고서를 발간함 □ 지난 2020년 12월 9일 국회에서 통과된 공직선거법 및 정치자금법 개정안은 유권자의 알권리, 선거권 보장, 선거운동 확대, 후원회 지정권자 확대등을 핵심 내용으로 함
[ "지방자치단체장 추천 규정에 대한 개정안이 언제 통과됐어", "말과 전화를 통한 선거운동 규정이 언제 폐지되었어" ]
unanswerable
6eb12791-036a-4488-8716-f1d87dabaf10
생활폐기물 전처리시설(MBT) 도입 추진
생활폐기물 전처리시설(MBT) 도입 추진 □ 환경부는 2007년부터 광역형(수도권매립지 200톤/일), 도시형(부천시 90톤/일), 준도시형(강릉시 150톤/일), 농촌형(부안군 30톤/일)의 4개 시범사업을 추진하되, ○ 지역별로 쓰레기 성상․발열량, 쓰레기 분리배출 실태, 운반거리, 시설 입지 등이 다르므로 각 특성에 맞는 전처리시설 공정을 설계하고, 사례별 시설 설치․운영방식을 정립한 후 전국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 2010년까지 신규 소각․매립시설 설치․운영 예산의 1천억 이상 감소효과가 있고, 전처리시설의 도입을 확대하는 경우 매립량 최소화로 기존 매립지의 수명을 약 7배정도 연장하게 되어 국토의 효율적 이용에 기여하며, 반입되는 폐기물 중 가연성폐기물(50%정도)을 고형연료화(RDF)하여 폐기물분야의 신․재생에너지 확보에 기여하는 등 지속 가능한 자원순환형 사회건설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 "환경부가 생활폐기물 전처리시설을 도입하여 시설의 설치, 운영 예산을 1천억 이상 감소시킨 해는 언제야" ]
unanswerable
a6b8feaf-5da4-4220-a192-5fef146ee5b0
노벨상수상자 초청 대중 강연회(국립과천과학관 과학문화과)
국립과천과학관 「노벨상수상자초청 대중강연회」개최 - 노벨상 수상자 “팀 헌트 박사”와 이야기하는 과학자의 삶 - □ 국립과천과학관은 노벨상 수상자의 강연을 직접 듣고 토의해보는『노벨상수상자초청 대중강연회』를 오는 토요일(5.20) 오전 10시에 천체투영관에서 개최한다. ㅇ 연사로 초청된 * ** 박사는 세포주기의 핵심 조절인자인 ‘사이클린’을 발견하여 세포분열에 대한 이해를 분자적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암 치료법 개발에 기여한 공로로 2001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하였고, 이번 주 부산에서 열리는 국제학술대회에 참석하기 위해 방한하였다. ㅇ 참가대상은 중‧고생 및 일반성인으로 참가비는 1인당 2천원이며, 과학관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예매가 진행 중이다. 공간적 제한으로 참여가 어려운 참가희망자들을 위해 과학관 페이스북을 통해 생중계할 예정이며, 또한 팟캐스트 ‘파토의 과학하고 앉아있네’를 통해서도 강연회를 청취할 수 있다. □ 이번 강연회에서는 과학자 최고의 영예인 노벨상을 수상한 * ** 박사가 들려주는 주제강연 ‘과학자의 삶’에 이어, ** 박사의 생애와 가치관, 한국의 과학꿈나무들에게 던지는 메시지를 사이언스 커뮤니케이터 ***씨가 관련전공 대학원생으로 구성된 2인의 패널과 함께 흥미롭고 이해하기 쉬운 토크쇼 형식으로 풀어나갈 것이다. ㅇ 노벨상 수상자에게 묻고 싶은 질문을 온라인 사전질의로 신청 받고 있으며, 진행시간에 현장질의와 함께 선정된 사전질문에 대해 답변을 들어 볼 예정이다.
[ "부산에서 열리는 국제학술대회 참가비는 1인당 얼마야", "노벨상수상자초청 대중강연회 참가비는 2인당 얼마니" ]
unanswerable
98c0a0a3-a7a5-4461-bf0f-097385ecd942
「제3기 국가나노기술지도(‘18~‘27)」 수립
“나노기술로 여는 미래를 향한 도전” -「제3기 국가나노기술지도(2018~2027)」수립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핵심 나노기술 육성을 통해 혁신성장을 선도하기 위하여 관계부처와 공동으로 「제3기 국가나노기술지도(2018~2027)」를 수립하였다. ㅇ 과기정통부는 ‘나노기술개발촉진법’에 따라 10개 관계부처와 협력하여 매 5년마다 향후 10년의 나노기술 로드맵을 수립하고 있으며, * 제1기 국가나노기술지도(2008~2017)(2008.4 수립), 제2기 국가나노기술지도 (2014~2025)(2014.2 수립) - 금번의 「제3기 국가나노기술지도(2018~2027)」는 제3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운영위원회(2018.6.25)에서 심의를 통해 확정하였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심의회의 운영위원회를 통해 수립된 혁신성장 로드맵은 무엇이니" ]
unanswerable
e56ef6c4-e0d1-4738-a848-4450e0e227fe
2015 적합성평가 현황분석 및 2016년 전망
2015년도 적합성평가 현황 분석 및 2016년 전망 발표- 개인용 이동수단, 드론, 무선충전기 등 신기술 제품의 적합성평가 대폭 증가 - □ 2015년에는 개인용 이동수단 기기, 드론 및 무선조종기, 스마트기기, IoT 구현을 위한 블루투스 등 신기술 제품들의 적합성평가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o 산업계 및 연구계의 산업전망 분석 등을 보면 2016년에는 스마트 밴드 등 웨어러블 제품 및 IOT 제품, 초고속 무선충전기기, 스마트카 관련 제품들의 적합성평가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2016년에는 개인용 이동수단 기기, 웨어러블 제품 및 IOT 제품의 무슨 평가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산업계 및 연구계의 산업전망 분석에 따르면 2015년에 스마트카 관련 제품의 무슨 평가가 크게 증가했어" ]
unanswerable
b00cb815-1ec5-433a-ad0d-7d81855ffb33
「제3기 국가나노기술지도(‘18~‘27)」 수립
“나노기술로 여는 미래를 향한 도전” -「제3기 국가나노기술지도(2018~2027)」수립 - □ 이에, 정부는 나노분야 연구방향 설정의 지표가 되었던 기존 나노기술 6대 분야 사전적 기술지도를 최근 기술 성장을 반영하여 업데이트하고, ㅇ 급변하는 미래사회를 대비하여 우선 확보할 전략적 기술지도와 이를 실현할 실행방안을 담은「제3기 국가나노기술지도(2018~2027)」를 마련하였다. ○ 「제3기 국가나노기술지도(2018~2027)」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전략적 기술지도 □ 미래사회 3대 목표인 “편리하고 즐거운 삶”, “지구와 더불어 사는 삶”, “건강하고 안전한” 삶에 대하여 ’나노기술로 구현하는 미래기술 30’을 선정하고 미래기술 실현에 필요한 상세 나노기술 로드맵을 마련하였다. ○ “편리하고 즐거운 삶”을 위해 극미세 나노공정 기술을 활용하여 보다 빠르고 정확하고 선명한 특성을 가진 인공지능 반도체, IoT, 미래 디스플레이 등의 개발을 추진하고자 한다. ○ “지구와 더불어 사는 삶”을 위해 나노크기 소재에서 나타나는 혁신적 특이현상을 활용하여 무한 청정 에너지, 미세먼지 제거, 경제적 수자원 생산 기술을 확보할 것이다. ○ 또한, 나노물질 계면에서의 빠른 전달특성을 활용하여 간편하고 정확하며 효과적인 예방/진단/치료를 통해 “건강한 삶”을 안전한 식품, 재난 안전 기술 개발을 통해 “안전한 삶”을 구현하고자 한다.
[ "미래사회에 재난을 예방 시스템을 마련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은 뭐야", "2018년 정부가 확보한 청정에너지를 위한 전략적 기술은 뭐니" ]
unanswerable
d1de1584-1aeb-447a-9fdf-e0ae423058bd
수입 건고추 검사제도 대폭 강화
수입 건고추 검사제도 대폭 강화 - 건고추 등 수입농산물 전반에 대한 검사강화로 불량농산물 도입 근절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원장 나승렬, 이하 “품관원”)은 최근 국영무역에 의해 수입한 중국산 건고추의 위생상태가 불량하다는 언론보도를 계기로 수입농산물검사를 대폭 강화하는 내용의 개선대책을 마련하여 시행한다고 밝혔다. ❍ 최근 2011년도 말 중국에서 수입한 건고추에 흙·먼지, 곰팡이 등이 과다 혼입되어 있어서 식용으로 부적합하다는 언론보도에 따라 수입농산물에 대한 검사 강화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먼저 불량농산물의 수입을 원천 차단하기 위하여 수입대행 기관인 농수산식품유통공사(이하 “유통공사”)와 협의하여 수입농산물의 구매규격을 대폭 강화토록 할 계획이다. ❍ 농산물의 수분함량은 부패·변질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므로 국내 유통 중 품질의 변화가 없는 수준으로 강화하고, 품위 규격 중 일정 수준 이하의 규격미달품은 반송 등의 강력한 조치를 취하도록 하는 한편, ❍ 이번에 문제가 된 수입 건고추에 대하여는 유통공사와 협의하여 종전 수분규격 20.0%를 18.0%이하로 강화하고, 절편 압축진공포장 규격을 새로이 설정하여 불량 수입산 고추가 국내에 유통되지 못하도록 할 계획이다.
[ "무엇의 개선 대책으로 수입 건고추에 대한 수분규격이 18.0퍼센트에서 20.0퍼센트로 강화되었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은 중국산 건고추의 위생상태가 불량하다는 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검사를 계기로 무엇을 강화했어" ]
unanswerable
3cf2b637-034f-4213-890c-782150c29b3e
「제3기 국가나노기술지도(‘18~‘27)」 수립
“나노기술로 여는 미래를 향한 도전” -「제3기 국가나노기술지도(2018~2027)」수립 - 사전적 상세기술지도 □ 나노소자, 나노바이오, 나노에너지‧환경, 나노소재, 나노공정‧측정‧장비, 나노안전성 등 나노기술 6대 분야 전반에 대해 기존 ‘제2기 나노기술지도’를 해당 기술의 발전 전망을 반영하여 업데이트함으로써 ○ 연구자들에게는 나노분야 기술개발 방향을 결정하는 기준이, 기업에게는 기술동향을 파악하여 사업화 할 수 있는 지침서로 활용하고자 한다. 나노기술 6대분야 개발방향 ① (나노소자) 개인이 휴대할 수 있는 인간 두뇌 수준의 인공지능 나노전자소자, 속도 무제한의 통신환경을 구현하는 초고속 나노통신소자 등 미래 IoT 기술의 경제적· 기술적 구현을 위한 혁신적 나노소자 기술 개발 등 ② (나노에너지·환경) 화력발전을 대체하는 초고효율 나노태양전지, 5분 충전으로 서울에서 부산까지 운행 가능한 전기자동차용 나노배터리 등 청정에너지의 활용 및 보급을 위한 에너지 프로슈밍용 나노원천기술 개발 등 ③ (나노바이오) 비침습 무채혈 나노검지 기술 기반 질병진단기, 진단과 치료가 동시에 가능한 표적지향형 나노약물 등 질병의 조기 진단 및 난치병 극복을 위한 나노바이오 원천기술 개발 등 ④ (나노소재) 차세대 QLED용 전기발광형 친환경 양자점 소재, 저전력 반도체 소자용 고품위 그래핀 소재 등 신기능, 저전력, 초고속 및 대용량화 실현을 위한 저차원 소재 및 나노융복합 소재 개발 등 ⑤ (나노공정·측정·장비) 고속/대면적 원자층 박막 증착기기, 원자 단위 이하의 분해능을 갖는 나노구조 측정 및 분석기기 등 차세대 나노소재·소자에 적용 가능한 고속 대면적 3차원 구조 나노공정 기술 개발 등 ⑥ (나노안전성) 근로자를 위한 안전한 제조 환경, 소비자를 위한 나노안전 정보망, 나노제품의 안전한 폐기를 위한 나노제품 폐기시스템 등 나노물질·제품 규제대응, 상용화 촉진기술 및 시스템 개발 등
[ "제2기 나노기술지도에 무엇을 업데이트하여 기술동향을 파악하는 지침서로 활용하니", "개인이 휴대할 수 있는 인간 두뇌 수준의 인공지능 나노전자소자는 어떤 기술의 구현으로 개발되었어" ]
unanswerable
2c0572e9-1e58-48d4-8cd1-a3958068a805
제1회 3D프린팅산업 발전협의회 개최
<제1회 3D프린팅산업 발전협의회 개최> 범부처 3차원(3D)프린팅 산업육성 프로젝트 본격 가동! □ 안건 제2호「3D프린팅산업 전략기술 로드맵 추진계획」 ◦ 3D프린팅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해 국내 3D프린팅 관련 산·학·연·관 연구역량을 결집하여, 금년 10월까지 국가차원의 중·장기적 연구개발 전략을 마련하고자 한다. ◦ 3D프린팅 기초·원천연구에서 사업화까지 기술성장 전주기를 포괄하는 종합적인 로드맵을 작성하되, - 10년간을 목표로 하고, 초기 5년은 세부적인 로드맵 전략의 제시, 후반 5년은 거시적인 관점에서 작성하기로 하였다. ◦ 이를 위해 3D프린팅 국내외 시장·기술 동향 분석 및 환경변화에 대한 전망결과를 바탕으로 기술개발 목표 수립과 요소기술별(장비, 소재, SW 등) 핵심기술을 도출할 예정이다.
[ "제1회 3D프린팅산업 발전협의회에서 3D프린팅 시장·기술 동향 분석에는 몇 년이 소요되지" ]
unanswerable
5831d139-f172-4ccc-8257-3466367fb447
경상남도, 도립예술단 ‘극단’으로 추진 확정
경상남도, 도립예술단 ‘극단’으로 추진 확정 <추진경과> 경상남도는 이를 토대로 타 시도 벤치마킹, 예술단체 회의, 도정자문위원회 및 도의회 간담회를 거쳐 의견을 수렴했는데, ‘도립뮤지컬단’은 수도권 중심 뮤지컬 인프라로 인해 높은 제작 예산이 필요하고, 지역 예술인 단체와도 상생이 어려워 공약 취지인 지역 문화예술 생태계 활성화를 이끌어 내기에도 다소 미흡하다는 것이 다수 의견을 차지했다. 이러한 의견수렴 내용을 반영해 지난 7월 5일 도 문화예술협치위원회*에서 ‘경남도립예술단 설립안’을 심의한 결과, 설립방식은 프로젝트 형태로 하되 운영은도에서 직접 하는 것으로 결정했다. 그리고 장르 선정은 ‘연극’과 ‘오케스트라’ 2개 장르를 후보로 하여 도에서 최종 결정하는 것으로 최종 의결했다. * 2019년 1월 발족한 문화예술분야 민관협치기구(위원장 ***, 위원 30명) 그 과정에서 예술계 일부에서는 뮤지컬 장르를 재검토하게 된 경위, 용역 결과의 객관성, 설립절차의 투명성, 설문조사 방식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경상남도는 설문조사 장르 구분은 문화체육관광부 공연예술실태조사, 문화향수실태조사와 타 지자체 예술단 운영 사례를 종합적으로 검토해 장르를 정의했고, ‘음악’이란 장르로는 도민의 선호를 구체적이고 현실적으로 도출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또한 뮤지컬 장르 재검토 경위에 대해서는 도립예술단 설립 근본 취지가 지역문화예술 생태계를 활성화하는 데 있으며, 뮤지컬 등 초청공연으로 지역의 문화 수요를 충분히 충족가능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 "경남도립예술단은 언제 설립됐니" ]
unanswerable
d1ac9eab-4b6a-49d5-9b07-e0aa826a6b26
과학기술-ICT 기반 행복한 농촌 만들기 제3차 대토론회 개최
행복한 농촌, 과학기술․정보통신기술 기반 시설농업에서 해법 찾는다 - 과학기술․정보통신기술(ICT) 기반 행복한 농촌 만들기 제3차 대토론회 개최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 이하 ‘미래부’)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과 함께, 5월 15일(목) 오후 2시에 전문건설회관(2층)에서『행복한 농촌 만들기 제3차 대토론회』를 개최하였다. o 제3차 대토론회는 ‘행복한 농촌을 위한 지속가능한 농촌 시스템 구축 방안’을 다룬 지난 4월 두 번째 토론회에 이은 것으로, ‘농촌 활성화를 위한 시설농업의 역할과 과학기술 및 정보통신기술의 활용방안’에 초점을 두고 진행되었다. □ 이번 토론회에서는 ‘행복한 농촌을 위한 과학기술 1 : 시설농업’이라는 주제로 3명의 발표에 이어 전문가 패널 토론과 참석자들의 자유로운 토론이 함께 이루어졌다. o 전문가 발표는 국내 시설농업의 현황과 농촌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시작하여, 농촌 기업가정신 확산(1마을 1농촌벤처기업 모델) 제안과 과학기술 및 정보통신기술을 통한 시설농업 발전방안(농촌 리빙랩 모델)에 대한 발표로 이어졌다. □ 정부는 지난 세 차례의 토론회를 포함하여 상반기 중 4회, 하반기 중 2회의 토론회를 연속 개최하고 논의 결과 및 수렴된 의견을 바탕으로 향후 관계 부처 간 협의를 통해 세부 사업기획(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 "행복한 농촌을 위한 지속가능한 농촌 시스템 구축 방안을 다룬 제3차 대토론회가 열린 장소는 어디니", "농촌 활성화를 위한 과학기술 및 정보통신기술의 활용방안을 다룬 두 번째 대토론회는 어디서 진행되었을까" ]
unanswerable
fc8aad98-07f8-42c8-9325-ff6e61b0a72a
13년 10월 IT산업 수출입 동향
10월 ICT수출 160억 달러 돌파, 월별 기준 사상 최대 - 수출 162.3억불(11.6%↑), 수지 84.7억불 흑자 - 동향 세부자료 1. 주요 품목별 수출 동향  반도체(메모리반도체, 시스템반도체) 1) 시장 환경 대만 TSMC 중심의 글로벌 파운드리 업계, 지각 변동 시작 ◦ TSMC는 다수의 IP(Intellectual Property) 확보, 미세공정 기술 우위 등을 바탕으로 2012년 생산능력 기준 50.2%를 점유하는 등 순수 파운드리 업계에서 절대적 지위를 확보했으나, ◦ 글로벌 파운드리, 삼성전자 등 후발 업체의 미세공정 기술력, 팹리스 업체의 자체 IP 활용 증가 등으로 TMSC의 영향력이 점차 감소할 전망 ※ 퀄컴이 기존 100% TSMC 발주를 주던 AP 파운드리 물량 일부를 글로벌 파운드리로 이전
[ "삼성전자의 미세공정 기술력이 증가한 것은 언제야", "팹리스 업체의 자체 IP 활용이 증가한 것은 언제니" ]
unanswerable
5ef9391d-3f04-4bec-8bc8-ef2061ab8bc1
제50회기술사의날 개최 및 과학기술 유공 기술사 포상
제50회 기술사의 날 개최 및 과학기술 유공 기술사 포상 - 실용적‧현장밀착형 과학기술 대표 전문인력 탄생 50주년 - □ 정부는 매년 2월26일 「기술사의 날」 기념행사를 통해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한 공적이 큰 기술사를 포상함으로써 기술사에 대한 자긍심 고취는 물론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높여 오고 있다. o 이번 50회 행사에서는 산업 전 분야에서 핵심인력으로 활동하고 있는 기술사들의 지난성과를 평가하고, 미래 비전선포를 통하여 창조경제 구현에 중추적 역할을 할 것을 다짐할 계획이다. o 과학기술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응용능력을 보유한 국가 최고 기술자격자인 기술사는 현재 22개 기술분야 84개 종목에 42,000여명이 배출되어 각계에서 활동하고 있다.
[ "과학기술 유공 기술 포상을 받은 전문인력은 몇 명인니", "제50회 기술사의 날 행사에서 성과가 평가되었던 산업 분야의 기술사는 몇 명이야" ]
unanswerable
1e555c44-4167-41b8-b73a-1f51fb9bda62
국가연구개발사업 다부처 협업체계 본격 가동
국가연구개발사업 다부처 협업체계 본격 가동 - 미래부, 제1회 다부처공동기술협력특별위원회 개최 - 다부처공동기획사업 활성화 방안 Ⅲ. 추진내용 1 협력기반 구축  다부처공동기획사업 운영지침 제정·고시(2013. 6. 28) ◦ (목적) 다부처공동기획사업의 촉진에 필요한 세부사항을 정하고 공동기획, 대상선정 및 사업시행 등 효율적인 운영과 관리 ※ (근거) 「과학기술기본법」 제17조 및 시행령 제25조 : 공동기획사업의 선정 및 운영 등에 관한 사항을 미래부 장관이 고시 ◦ (내용) 사전기획부터 성과활용까지의 다부처공동기획사업의 협업 절차를 마련하여 체계화된 협력 시스템 구축  다부처공동기획연구 지원사업비 조성 ◦ 사전기획연구비 및 공동기획연구비를 지원하여 관계부처의 다부처공동기획사업 참여 적극 유도 ◦ 사전기획연구(미래부)·공동기획연구(참여부처) 간 연계 강화 - 유사·중복을 사전에 방지하고 연구비 절감 및 기간 단축 등 행정부담 완화 ※ 공동기획연구의 소요재원은 원칙적으로 참여부처가 공동으로 부담하지만, 다부처공동기획사업 촉진 측면에서 미래부가 지원할 수 있도록 특별재원 확보추진
[ "2013년 6월 28일 다부처공동기획사업비는 어느 부처에서 부담해",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 특별재원 확보를 담당하는 부처는 어디야" ]
unanswerable
8424a5c2-6edc-4810-8c48-b8ed687b7618
2021년 어린이 과학체험공간 확충 지원사업 대상 지역 선정
어린이의 꿈을 키우는 과학 놀이터, 내 집 앞에서 만나요 - 2021년 어린이 과학체험공간 확충 지원사업 조성 대상 지역 5곳 선정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는 미래 세대인 어린이들이 생활 가까이에서 과학을 접하며 꿈을 키울 수 있도록 어린이 과학체험공간을 신규 조성할 기초지방자치단체 5곳*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 (선정 기관) 경북 구미시, 전남 해남군, 전북 남원시, 경기 광명시, 충남 태안군 ㅇ 과기정통부는 1개소 당 총 20억원(국비10억원/지방비10억원)을 지원하며 선정된 기초지방자치단체는 2023년 개관을 목표로 2년간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 동 사업은 기존 전시 중심의 과학관과 달리 영·유아의 눈높이에 맞춰 상상력과 창의성을 기를 수 있도록 놀이·체험 중심으로 공간을 조성하며, ㅇ 특히, 밀집 주거지·관광단지 인근에 도서관·박물관 등 다른 문화시설과 연계한 복합 시설로 조성하여 방문 접근성을 높이고 한 공간에서 다양한 체험이 가능토록 한 것이 특징이다. ㅇ 2020년 신규 사업으로 시작한 동 사업은 강원 삼척시, 경기 시흥시, 울산 중구, 전북 순창군, 충북 충주시 등 총 5곳을 작년에 기 선정하여 추진 중에 있다.
[ "어떤 기관이 2020년 개관을 목표로 어린이 놀이와 체험 중심의 과학공간 조성을 위한 사업을 추진할까" ]
unanswerable
e9c0fda8-cbfb-46fb-9c0d-d7c6bf76557b
14년 글로벌프론티어 신규 연구단 선정 결과
미래부, 극한물성시스템 구현을 위한 파동에너지 제어 원천기술 개발에 착수 - 2014년도 글로벌프론티어사업 신규 연구단 선정 - 신규과제 주요내용 1) 사업 목표 □ 극한물성시스템 구현을 위한 전자기·역학 파동에너지 제어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소재·소자·시스템 플랫폼을 구축하며, 6T 분야와 융합하여 주거·국방·의료 등 다양한 산업분야의 신시장 창출 ㅇ (기계융합기술) 고신뢰 안전진단시스템, 스텔스 국방체계, 쾌적 아파트, 운송시스템/원자력/우주 적용 방진/단열 소재, 재난방지시스템 ㅇ (ICT융합기술) 스마트 안테나, 3D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무인운송시스템/로봇, 고속 광연산/판단시스템, ㅇ (에너지융합기술) 초고효율 태양에너지 활용시스템, 열전소자기반 고성능 열관리시스템, 파력발전시스템 ㅇ (바이오/의료기술) 초고해상도 의료진단/치료시스템 2) 배경 및 필요성 o 바다의 파도에서부터 우주선 관측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기술은 파동에너지를 이용하고 있으나, 파동 에너지 제어기술의 발전은 매질 자체가 지닌 한계 때문에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사회적·기술적 요구를 맞추기 어려워지고 있는 추세이다. o 극한물성시스템*은 기존의 시스템과는 전혀 다른 파동 특성을 보이기에 때문에 기존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여 비약적인 성능 향상을 실현할 수 있으며 소재·소자 기술의 근원적인 혁신을 가져올 원천기술임 * 극한물성시스템이란, 기존의 물질/소재가 제공하지 못하는 극한물성(음굴절률, 음의 밀도 등)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합성, 나노, 가공기술에 기반한 창조적개념의 소재 및 이의 응용소자, 시스템을 총칭
[ "어떤 시스템이 열전소자기반의 고성능 나노 기술을 이용하여 파동에너지를 제어할까" ]
unanswerable
4b0db4cd-bd02-463b-b75c-d234b732a6db
14년 글로벌프론티어 신규 연구단 선정 결과
미래부, 극한물성시스템 구현을 위한 파동에너지 제어 원천기술 개발에 착수 - 2014년도 글로벌프론티어사업 신규 연구단 선정 - 신규과제 주요내용 4) 기대효과 o 빅데이터 처리를 위한 초당 테라비트급 광연산, 음향방진 및 스텔스 10배 향상, 초고해상도 의료진단 감도 100배 향상 등 기존 시스템에서는 구현하지 못한 극한 물성 구현 o 파동에너지를 극한까지 제어하는 원천기술 확보를 통해, 전자기파와 초음파 등의 파동을 다루는 세계 극한물성시스템 시장을 선점 가능 ※ 2022년 세계 극한물성시스템의 시장규모는 158억 달러, 연관시장 규모는 1,554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BCC Research, 2012) o 극한물성시스템을 ICT·에너지·바이오·의료 등과 융합하여 신산업을 창출(경제적 파급효과 150조원)하며 재난사고, 안보위협, 대기·소음공해 등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안전하고 편리하고 지속가능한 미래행복 사회 구현
[ "2012년 세계 극한물성시스템의 시장규모는 몇 달러였니", "2022년 의료와 융합한 극한물성시스템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는 몇 달러로 예상될까" ]
unanswerable
5eb253d2-ac15-4d41-8590-98bc481d02c4
미래부 장관 세계연구대학 총장회의 참석
- 특히, 작년 12월 발표된 KAIST 혁신방안의 주요내용을 공유하고 세계우수대학 총장의 조언과 함께 상호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세계대학 총장포럼 행사 개요 □ 행사 개요 ㅇ (목적) 과학기술 중심의 세계 우수대학 간 경험과 성과를 공유하고, 세계 경제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대학의 역할을 재조명 ㅇ (일시․장소) 2016. 4. 11(월)~12(화), 그랜드 하얏트 서울 ㅇ (주최․주관) KAIST (미래부, Elsevier, 영국문화원, 한국경제신문 후원) ㅇ (주제) 대학의 사회적 책임과 전략적 협력 관계 ㅇ (참석자) 전 세계 36개 국가, 60여개 주요 대학 총장* 등 150여명 * 이스라엘 테크니온 공대 총장(페레츠 라비), 佛 에콜 폴리테크닉 총장(자크 비오), 美UC 어바인 총장(하워드 길만), 英 워윅大 총장(스튜어트 크로프트), 홍콩과기대 총장(토니 첸), 加 워터루大 총장(페리둔 함둘라푸르), 日 게이오大 총장(세이케 아츠시), Elsevier 회장(지영석) 등
[ "KAIST와 상호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이스라엘 테크니온 공대와 협력한 곳이 어디야", "영국문화원과 함께 KAIST의 세계대학 총장포럼 행사에 후원한 대학이 어딜까" ]
unanswerable
bf51b635-a0a1-4e1a-950a-51855eb39686
연구개발특구 기업의 투자 활성화를 위한 IR 개최
연구개발특구 기업의 투자 활성화를 위한 IR 개최 - 연말까지 매월 개최 정례화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8월 29일(화), 서울 역삼동(더모임)에서「연구개발특구 기업의 투자 기업설명회(IR)」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ㅇ 연구개발특구 내 스타트업 기업들의 투자 유치 기회 제공을 위해 마련된 이번 행사에는 40여명의 수도권 소재 벤처캐피털(VC) 등이 참여하였다. □ 이번 투자 IR에서는 지방 소재 스타트업 기업들을 소개하고, 투자 유치를 촉진하기 위해 투자자가 밀집한 수도권에서 연말까지 매월 정기적으로 10여개 기업을 선정하여 개최할 계획이다. ㅇ 그 간 과기정통부는 매년 투자 멘토링과 데모데이* 등을 각 지역 특구별로 진행해 왔었다. * 2016년도 지역특구에서 멘토링 2회, 데모데이 8회 개최 □ 수도권에서 처음 개최된 이번 IR에 참여한 기업은 각 특구의 추천을 통해 엄선된 기업으로 ▲㈜금강이엔지(태양광발전 토탈솔루션) ▲㈜대유 씨티(탄소사 발열직물) ▲㈜포스포(LED용 형광소재) ▲㈜루멘트론(레이져 모듈 개발) ▲㈜노르마(무선네트워크 보안기술) 등 5개사다.
[ "주식회사 노르마는 과기정통부가 개최하는 투자 기업설명회에 몇 회 참여했니", "2016년에 과기정통부는 지방 소재 스타트업 기업들의 투자 유치 설명회를 몇 회 개최했어" ]
unanswerable
4eae5009-43b3-4fc7-a13f-57ceb91a74bb
13년 10월 IT산업 수출입 동향
10월 ICT수출 160억 달러 돌파, 월별 기준 사상 최대 - 수출 162.3억불(11.6%↑), 수지 84.7억불 흑자 - 수입 및 수지 동향 10월 ICT수입은 전년 동월대비 4.0% 증가한 77.6억불 ◦ 반도체(33.9억불, 2.8%↑), 휴대폰(5.4억불, 90.9%↑) 등 수입은 증가 ◦ 반면, 평판디스플레이(5.0억불, △22.3%), 컴퓨터 및 주변기기(7.0억불, △5.3%), TV(0.3억불, △15.4%) 등 수입은 감소 ◦ 지역별로는 일본(11.5억불, △4.0%), 미국(7.9억불, △24.4%), 중국(홍콩 포함, 23.1억불, △4.7%) 등의 수입은 감소했으나, ASEAN(14.2억불, 22.6%↑), 대만(9.2억불, 0.1%↑), EU(5.8억불, 13.1%↑) 등 수입 증가 10월 ICT 무역수지는 84.7억불 흑자를 기록하며, 전체산업 흑자의 약 1.7배 ◦ (품목별) 휴대폰(24.0억불), 반도체(19.4억불), 디스플레이 패널(20.7억불)은 흑자 기조를 유지 ◦ (국가별) 최대 흑자국인 중국(홍콩 포함, 55.3억불), EU(9.1억불), 미국(6.2억불) 모두 흑자 기조를 지속하였고, 對일 적자는 4.1억불 기록
[ "일본의 어떤 품목에서 7.9억불의 흑자를 기록했지" ]
unanswerable
2eed8de1-003b-4393-99b6-7aa71cb7dfa2
7월 ICT 수출입 동향
ICT 수출, 2014년 하반기도 호조세 지속 - 수출 142.8억불(1.7%↑), 수입 71.5억불(5.8%↑), 수지 71.3억불 흑자 - □ 7월 정보통신기술(ICT)수출은 세계 ICT성장률 하락에도 불구하고, 전년 동월대비 1.7% 증가한 142.8억불로 6월에 이어 2개월 연속 증가세 유지 * 2014년 세계 ICT 성장률 수정 전망(Gartner, %) : (2013.9월 전망) 3.6 → (2014.5월 전망) 3.2 ㅇ 휴대폰 수출액이 전년 동월대비 두 자릿수 증가하여 월별 기준(7월) 최대 ICT 수출액 기록을 견인하였으며, 반도체, 디스플레이, 디지털 텔레비전(D-TV) 등 주요 품목 대부분 고른 증가세 유지 * 품목별 수출: (반도체) 48.4억불, 0.9%↑, (디스플레이)24.7억불, 5.0%↑, (휴대폰) 23.1억불 23.5%↑ ㅇ 국가별로는 중국(홍콩 포함), 일본 등 아시아권 국가 수출은 부진한 반면, 최근 회복세인 미국, EU 등 선진국 중심으로 증가 * 국가별 수출 증가율(%) : (중국(홍콩)) △4.0, (일본) △14.6, (ASEAN) 0.3, (미국) 7.1, (EU) 17.9
[ "2014년 7월 중국이 미국에 휴대폰을 수출한 수출액은 얼마야", "2014년 7월 일본의 EU에 대한 반도체 수출이 얼마를 기록했어" ]
unanswerable
9c96e395-89f6-4851-8f90-63798634f853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12월 수상자 선정
「대한민국 엔지니어상」12월 수상자 선정 - (주)디라직 *** 이사, 한국콜마(주) 홍원기 수석연구원, (주)니텍스제침 *** 반장, (주)LG화학 *** 연구위원 - □ *** 연구위원은 고속 고용량 메모리 반도체 패키지의 성능 향상 및 공정 단순화에 필요한 후막형 반도체용 접착소재*를 개발하고 반도체 패키지의 핵심소재인 고신뢰성 접착필름**을 성공적으로 양산하여 국내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킨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 후막형 반도체용 접착소재(Film Over Die) : 반도체 칩간 접착용도 외에 와이어 및 컨트롤러 칩 매립 특성이 추가된 신소재 ** 고신뢰성 접착필름(Die Attach Film) : 반도체 칩과 칩 또는 반도체 칩과 기판간의 접착에 사용되는 접착필름 o *** 연구위원은 해외 제품 대비 탁월한 성능 및 품질과 원가 경쟁력을 갖추면서 혹한 환경에서도 견딜 수 있는 신뢰성을 갖춘 제품을 개발하였다. o *** 연구위원은“기술난이도와 진입장벽이 높은 반도체 소재 연구에 적극적으로 지원해 준 회사에 감사드린다.”며,“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이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차별화된 소재 개발에 힘을 다하겠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 "반도체 칩과 기판간의 접착에 사용되며 와이어 및 컨트롤러 칩 매립 특성이 추가된 신소재는 뭐지" ]
unanswerable
ebe413db-b17f-43c7-9a00-b17b56a5a442
제4회 단막극 페스티벌 개최
‘제4회 단막극 페스티벌’개최- 멀티플랫폼 드라마 공모전 등 국내 드라마산업 새 활로 모색 - □ 10월 23일, 제4회 단막극 페스티벌 개최 o ‘제4회 단막극 페스티벌’이 10월 23일부터 3일간 서울 여의도 CGV에서 개최된다.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가 주최하고,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원장 ***)이 주관하는 ‘단막극 페스티벌’은 그동안 국내 드라마 산업 발전을 위한 TV 단막극의 중요성에 대하여 사회적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 올해로 4회째를 맞이하는 이번 ‘단막극 페스티벌’은 국내 우수 TV 단막극을 극장의 큰 스크린에서 볼 수 있는 기회 뿐만아니라, 쇼케이스, 관객과의 만남, 세미나 등 다채로운 부대행사를 통해 TV 단막극을 사랑하는 시청자들과 제작자들간의 소통의 장도 제공한다.
[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과 소통할 수 있는 단막극 페스티벌은 어디에서 개최되니", "어디에서 쇼케이스를 큰 TV에서 볼 수 있는 제4회 단막극 페스티벌이 열릴까" ]
unanswerable
38f2207b-a28c-45e9-814b-4077e6a63264
기초과학연구원(IBS) 본원 기공식 개최
21세기 과학한국 이끌‘과학벨트 조성사업’ 본 궤도에 올라! - 과학벨트 핵심,『기초과학연구원(IBS) 본원 건립 기공식』개최 - 『기초과학연구원(IBS) 건립』 사업 개요 □ 사업 개요 ㅇ (목적) 세계적 수준의 기초연구수행을 위해 기초과학연구원 본원 및 캠퍼스 건립 ㅇ (위치) 대전광역시 유성구 도룡동 3-1번지 (대전 엑스포과학공원 일대) ㅇ (사업기간) 2014∼2017년(1단계: 본원) /2018∼2021년(2단계: 본원·캠퍼스) ㅇ (부지/규모) 도룡지구 26만㎡(본원) / 5개 특성화대 14만㎡(캠퍼스) * (5개 캠퍼스) KAIST, GIST, DIGIST, UNIST, POSTECH ㅇ (총사업비) 6,545억원 (1단계 : 2,071억원, 2단계 : 4,474억원) ㅇ (사업주체) 미래부 직접 수행 □ 주요 추진경과 ㅇ 기재부,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KDI 수행, 2012.7∼2014.1) 및 총사업비 확정 ㅇ「기초과학연구원 건립 기본계획(본원, 캠퍼스, 중이온가속기)」수립(2014.5) ㅇ 현상설계를 통한 실시설계(1단계) 완료(2015.11) ㅇ 조달청 공사 발주(2015.12) 및 시공사(계룡건설산업 컨소시엄) 선정(2016.5) □ 향후 계획 ㅇ (1단계, 2014∼2017년) 1단계 공사 준공(2017.11월) → 연구단 입주(2017.12월) ㅇ (2단계, 2018∼2021년) 2단계(본원·캠퍼스) 설계 및 공사 완료(2021.하반기)
[ "기초과학연구원을 만드는 사업에서 계룡건설산업이 도룡지구에서 맡은 구간은 몇 제곱미터야" ]
unanswerable
d5c8a674-1dae-48c1-ad50-bdb5cf805df5
소득 1억원 이상 농업인 2만명 시대 멀지 않았다 !
소득 1억원 이상 농업인 2만명 시대 멀지 않았다 ! - 규모화 및 생산성 향상 지원, 판로안정 정책이 억대 농업인 양성 원동력 - □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 지역별로는 경북에 7,499명(44.8%)이 분포하였고, 전남 2,753명(16.5%), 전북 1,568명(9.4%)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2009년 대비 전남이 148.7%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 종사 분야별로는 축산이 7,844명(46%)으로 가장 많았고, 과수2,817명16.8%), 채소 2,087명(12.4%), 벼 1,663명(9.9%) 순으로 나타났으며, - 벼 품목의 경우 2009년 대비 41%가 증가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 연령대별로는 50대가 8,220명(49.1%), 40대 3,785명(22.7%)으로 나타나는 등 40~50대가 71.8%를 차지하였다. - 특히, 50대 경영체의 증가(2009년 대비 20.1%)가 두드러졌다. ○ 소득구간별로 1억원~1.5억원 미만 구간의 경영체가 9,885명으로 고소득 경영체 전체의 59.1%를 차지하는 등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고, - 10억원 이상 경영체도 164명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농업 종사 분야별로 어떤 품목이 2009년 대비 46퍼센트 증가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어", "소득구간별로 어떤 품목을 경영하는 1억원 미만의 업체가 71.8퍼센트를 차지해" ]
unanswerable
0161844c-2dfc-4061-8537-fedacd2d1a6d
소프트웨어 웜업데이 개최
2015년도 100 여개 SW 스타트업 육성·글로벌화 주력 - 미래부, 2015 SW 스타트업 Warm-up Day 개최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1월 30일(금) 오후 3시, 판교 네오위즈 타워에서 예비 창업자들을 대상으로 2015년 사업설명회 및 창업 준비를위한 멘토 간담회를 개최하였다. (사진 첨부 예정) □ 미래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대한무역 투자진흥공사(KOTRA)***는 이날 설명회를 통해 2015년도 소프트웨어(SW) 창업지원 사업들을 소개하고 사업간 연계와 후속지원 강화 등 전주기 창업지원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 KISA : 글로벌 K-스타트업 : 2015. 2. 13일까지 지원대상(45개 팀) 모집, 3월 선정 ** NIPA : SW전문 창업기획사(4월 공고, 26팀) SW프로슈머평가(3월 공고, 28팀) *** KOTRA : K-Tech(실리콘밸리 등 연중 3∼4회 개최, 스타트업 해외진출 지원)
[ "미래창조과학부는 2015년 2월 13일에 누구를 대상으로 창업을 위한 멘토 간담회를 개최했어", "한국인터넷진흥원은 누가 해외 스타트업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에 힘쓰겠다고 밝혔니" ]
unanswerable
e1176504-f332-4e67-86de-0e44d3d13291
제4회 단막극 페스티벌 개최
‘제4회 단막극 페스티벌’개최- 멀티플랫폼 드라마 공모전 등 국내 드라마산업 새 활로 모색 - □ 3일간 총 15편의 우수 단막극, 웹드라마 선보여 o ‘단막극 페스티벌’ 기간 동안 ‘출중한 여자’(네이버 TV캐스트)을 포함해 총 15편의 우수 단막극과 웹드라마가 상영되며, 상영 후에는 ‘관객과의 대화‘를 통해 제작진과 출연진이 관객들을 직접 만난다. o 개막작으로는 KBS 드라마스폐셜 최고의 화제작인 ‘괴물’이, 폐막작으로는 안방극장으로 돌아온 ‘하루엄마’ 강혜정 주연의 MBC ‘내 인생의 혹’이 선정되었다. □ 이번 행사를 주최한 미래창조과학부 *** 방송진흥정책관은 ‘정부는 제작지원 사업을 통해 국내 단막극 시장 저변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나아가 우리나라 드라마의 지속성장 가능한 생태계 조성을 위해 웹드라마 등 멀티플랫폼을 활용한 신유형의 콘텐츠 기획과 유통을 적극 활성화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단막극 페스티벌’ 기간 동안 모든 상영작은 온라인 초대권 신청을 통해 무료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신청 및 상영작 안내 등 행사관련 문의사항은 홈페이지(www.sdfestival.kr) 또는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콘텐츠산업진흥부로 문의하면 된다.
[ "어느 부처가 단막극 페스티벌의 폐막작으로 강혜정 주연의 KBS 드라마스페셜을 선정했어" ]
unanswerable
48ad6627-ed77-43a4-b0ab-3980f5c4db82
특허소송 관할집중 관련법안 본회의 통과
「특허소송 관할집중」 관련법안 본회의 통과... 내년부터 시행 - 법원조직법·민사소송법 개정... 특허 등 지식재산권 소송의 전문성·효율성 향상 기대 특허 등 지재권소송 관할집중 개선 추진 현황 □ 주요 내용 o (1심) 특허침해소송 등*의 1심은 각 고법소재지 5개 지법의 전속관할로 하되, 서울중앙지법은 선택적 중복관할 인정(민소법 제24조(지재권소송 관할) 개정) * 특허권, 실용신안권, 디자인권, 상표권, 품종보호권 - (이송) 현저한 손해 또는 지연을 피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전속관할 법원에서 일반법원으로 이송 가능(민소법 제36조(지재권소송 이송) 개정) o (2심) 특허침해소송 등의 항소심을 특허법원*으로 집중(법원조직법 제28조 4(심판권) 개정) * 특허권 등에 관한 심결취소소송과 침해소송 관할의 일원화
[ "지식재산권소송 중 어떤 권리에 대한 소송 1심 관할을 서울중앙지법으로 개정해 소송의 전문성을 높였어", "특허침해소송의 항소심을 일반법원에서 특허법원으로 이송을 가능하게 해 어떤 권리를 일원화시켰니" ]
unanswerable
e765b81a-e634-49e8-9075-916b8728b950
창조경제 글로벌혁신센터(KIC_실리콘밸리)개소
벤처의 땅 실리콘밸리에서 창조경제 시동 걸었다 -‘KIC-실리콘밸리’깃발 아래 글로벌 창조경제 생태계 구축 - □ 미래부는 KIC-실리콘밸리 센터에 현지의 스타트업들이 사용하는 ‘Start-up island’를 열린 창업공간으로 더욱 강화시킬 예정이다. 지금까지 현지 한인벤처기업 40여개가 이미 등록을 한 상태다. □ 미래부는 현재 기술사업화와 스타트업 육성에 대한 전문가를 KIC실리콘밸리 센터장으로 선임하기 위한 절차를 진행중으로, 늦어도 12월초에 센터장이 선정되면 센터가 본격 가동될 전망이다. □ 이틀 일정으로 실리콘밸리를 방문한 이석준 차관은 KIC-실리콘 밸리 개소식 외에 구글, 애플, 뉴로스카이(뇌파․심전도 측정 장비 한인업체), 아벨리노(유전자검사 한인업체) 등 기업과 스탠포드의 d.school과 무인자동차 연구센터 등을 방문하고, 현지 스타트업 간담회를 통해 창의적 아이디어를 상품과 서비스로 만들어가는 현장의 목소리를 들었다.
[ "40여개의 한인벤처기업이 KIC-실리콘밸리 센터에 등록을 마친 때는 언제니", "이석준 차관은 언제 무인자동차 연구센터를 방문할까" ]
unanswerable
e7229805-08c4-4ebb-b2e3-481b458cc6e6
2019 정보보호산업인의 밤 개최
「2019 정보보호산업인의 밤」 개최 - 5G 시대, 정보보호산업 혁신성장과 함께 - 2019 정보보호 산업인의 밤 개최 계획 □ 추진배경 ㅇ 정보보호산업 현장의 목소리 청취를 위한 현장소통 간담회 및 정보보호산업의 사회적 중요성 재조명 및 산업계 종사자들의 자긍심 고취 등을 위한 ‘2019 정보보호 산업인의 밤’ 개최 □ 산업인의 밤 개요 ㅇ (주최/주관) 과기정통부/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KISIA) ㅇ (일시/장소) 2019.11.20(수) 18:00~20:00 / 엘타워 7F 그랜드홀(양재) ㅇ (참석자) 과기정통부, 산·학·연 관계자 및 일반참가자 등 약 300명 ㅇ (주제) 5G 시대, 정보보호산업 혁신성장과 함께
[ "2019 정보보호 산업인의 밤에 참석한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관계자가 몇 명이야", "KISIA가 주최한 2019 정보보호 산업인의 밤 간담회에 몇 명의 과기정통부 관계자가 참석했니" ]
unanswerable
8c891b16-f841-4214-8ebc-7bca1e9032bb
국립생태원, 한라산 중점생태연구지소 개소
국립생태원, 한라산 중점생태연구지소 개소 □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원장 ***)은 11월 30일 한라산 환경변화 연구를 위한 ‘한라산 중점생태연구지소’ 개소식을 제주도 제주시 영산강 유역환경청 제주사무소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 이번 개소식에는 국립생태원 임직원 및 세계유산본부, 한라산국립 공원관리소, 제주지방기상청 등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한다. ○ 아울러 12월 1일에는 한라산 고산지역 일대의 자동기상관측장비 설치지역과 연구 현장을 방문하여 향후 수행할 장기 생태연구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 이번 한라산 중점생태연구지소는 2014년부터 추진 중인 ‘국가장기 생태연구’ 사업의 하나로 점봉산(2015년), 지리산(2016년)에 이어 3번째로 구축되는 국립생태원의 연구지소다.
[ "세계유산본부에서 한라산 환경변화 연구를 위해 설립한 것은 무엇일까", "제주지방기상청이 지리산에 구축한 국립생태원 연구지소 이름은 뭐니" ]
unanswerable
3adbc52c-017e-4517-976d-5a512c3a0948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5월 수상자 선정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5월 수상자 서울대 강병남 교수 선정 - 폭발적 여과전이 모형에서 일어나는 상전이 현상의 메커니즘 규명 - □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은 “폭발적 여과전이 모형을 적용하여 고온․고압 등 극한의 열역학 환경에서 발생하는 물질의 상태변화현상”을 밝혀낸 공로로 서울대학교 강병남 교수(姜秉南, 54세)를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5월 수상자로 선정하였다. □ 강 교수는 10여년 동안 복잡한 시스템을 간단히 표현한 “복잡계 네트워크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상전이 현상과 동역학 성질”을 연구하여 왔으며, o 최근에는 억제된 환경 속에서 물질의 작은 조각으로 구성된 클러스트에 대한 “폭발적 여과전이 모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상전이 현상의 메커니즘을 하나의 통일된 틀에서 설명하는 연구성과를 얻었다. o 그 동안, 물이 수증기로 변할 때 물의 밀도가 불연속적으로 변하는 현상과 같은 ‘폭발적 여과전이’에 대한 모형은 2009년 이후, 세계 여러 연구팀에서 제시하였지만, 극한의 환경 속에서 불연속 또는 연속 상전이에 대한 이론을 제시한 과학자는 없었다.
[ "2009년 이후 어떤 것에 대한 상전이 현상 이론을 세계 여러 연구팀에서 제시해왔니" ]
unanswerable
34c73704-f733-4eca-88b0-e18408c702dd
7월 ICT 수출입 동향
ICT 수출, 2014년 하반기도 호조세 지속 - 수출 142.8억불(1.7%↑), 수입 71.5억불(5.8%↑), 수지 71.3억불 흑자 - 3. 수입 및 수지 동향 7월 ICT수입은 전년 동월대비 5.8% 증가한 71.5억불 ◦ 반도체(31.0억불, 9.7%↑), 컴퓨터 및 주변기기(7.5억불, 1.6%↑), 휴대폰(4.5억불, 46.7%↑) 등 수입은 증가 ◦ 반면, 디스플레이패널(4.8억불, △1.9%), 접속부품(3.8억불, △7.6%) 등 수입은 감소 ◦ 지역별로는 중국(홍콩 포함, 23.9억불, △1.1%), 일본(8.6억불, △15.2%) 등 수입은 감소했으나 ASEAN(11.6억불, 14.0%↑), EU(5.9억불, 14.3%↑), 중남미(0.6억불, 19.1%↑) 등 수입은 증가 7월 ICT 무역수지는 71.3억불 흑자를 기록하며, 전체산업 흑자의 약 2.8배 ◦ (품목별) 휴대폰(18.7억불), 반도체(17.4억불), 디스플레이 패널(19.8억불)은 흑자 기조를 유지 ◦(국가별) 최대 흑자국인 중국(홍콩 포함, 45.6억불), EU(5.7억불), 미국(8.9억불) 모두 흑자 기조를 지속하였고, 對일 적자는 3.3억불 기록
[ "휴대폰의 2014년 7월 수출 금액이 얼마지" ]
unanswerable
b79db0a3-bcd8-4b29-a93d-eda8e5fa0282
전문가처럼 정확한 인공지능 혈압측정기술 최초 개발
전문가처럼 정확한 인공지능 혈압측정기술 최초 개발 - 뇌신경 모방 딥러닝 기술 적용, 바이오진단용으로 활용 기대 - □ 논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3. 연구 성과 ○ 금번 연구결과는 기존 협압측정기술의 알고리즘의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측정자별 데이터가 시간에 따라 축적되어감에 따라 측정자에 적응(adaptation)된 최적화된 측정치를 제공할 수 있는 딥러닝 기술의 장점을 이용할 수 있는 기틀을 제시했다는 평가이다. 연구진은 향후 스마트와치 및 IoT기기 등에서 간편하게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 "뇌신경 측정기술의 알고리즘에는 무슨 기술이 적용되었을까" ]
unanswerable
6290b5ec-1dc7-40ac-b349-c1c8f0adce39
전문가처럼 정확한 인공지능 혈압측정기술 최초 개발
전문가처럼 정확한 인공지능 혈압측정기술 최초 개발 - 뇌신경 모방 딥러닝 기술 적용, 바이오진단용으로 활용 기대 - □ 장준혁 교수는 “이 연구는 전문가가 청각으로 측정하는 혈압과 유사한 정밀도를 갖는 혈압측정 기술을 개발한 것이다. 압박대를 감아 나타난 생체신호데이터의 특징을 인공지능 딥러닝 알고리즘으로 구축된 인공신경망에서 인식하여 혈압값을 도출함으로써 혈압추정 결과를 크게 향상시켰다. 가정과 병원에서 새로운 바이오 진단에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 "병원에서 누가 뇌신경 모방 딥러닝 기술을 활용했니" ]
unanswerable
cf104944-56fd-43f7-956a-b4e1e805250a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7월 수상자 선정
7월 과학기술자상, 한국과학기술원 변재형 교수 - 새로운 변분법적 방법론 개발한 집념의 수학자 - o 변재형 교수가 개발한 새로운 변분법적 방법론은 미분 방정식 연구에 널리 사용되던 방법론과는 전혀 다른 것으로서 기존 변분법적 방법의 한계를 뛰어 넘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o 또한 미국 수학회가 발행하는 미국수학회메무아논문집(Memoir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에 90여 쪽에 이르는 단일논문의 책으로 출판되었다. 이 논문은 기술적 제약 조건으로 답보 상태에 있었던 다양한 관련 연구에 새로운 돌파구를 제공함으로써 많은 후속 연구의 기초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변재형 교수는 “이 연구에서 새롭게 개발한 변분법은 결과 자체보다 결과를 이끌어내기 위한 새로운 방법론으로서 더 중요함을 나타낸다. 다양한 문제에 이 새로운 방법론을 응용할 수 있으므로 앞으로의 전개가 더 기대된다.” 라고 수상소감을 전했다. □ 올해로 20년을 맞이하는 이달의 과학기술자상은 과학기술자의 사기 진작과 과학기술 마인드 확산을 위해 우수한 연구개발 성과로 과학기술 발전에 공헌한 과학기술자를 매월 선정하여 미래부장관상과 상금을 수여하고 있다.
[ "새로운 변분법적 방법론으로 미국 수학회가 수여하는 과학기술자상을 받은 사람은 누구야", "누가 개발한 변분법적 방법론이 발행 20년을 맞이한 미국수학회메무아논문집에 실렸어" ]
unanswerable
9a8a8498-4189-45cc-be99-2d8c94002ca6
스마트 힐링 놀이터 국내최초 개소
스마트 힐링 놀이터, 아주대병원에 국내 최초 개소 - 스마트기기와 앱을 통해 4종 소아질환(알레르기, 약시, 심장, 치아) 정보제공과 진료지원 기반 마련, 12.26(금) - 소아질환 힐링 앱(디지털콘텐츠) 개요 1. 소아 알레르기 (자문) 아주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이수영 교수 병명 특징 o 아토피피부염은 유전적 소인과 환경적 요인에 의하여 발생하며, 소아청소년의 15-20%가 앓게 되는 흔한 알레르기 질환 o 잦은 악화와 만성화로 삶의 질이 저하되는 질환으로, 급성 치료 뿐 아니라 만성관리를 위한 환자교육이 중요 앱 특징 o 피부노트의 환부 사진 촬영, 식품일기, 수면장애 등의 아토피 체크리스트 등을 기록함으로써 자가 관리 및 호전도 체크가 가능 o 체크리스트를 사전에 작성하여 정확한 질환 원인 파악이 손쉽게 가능하며 위치정보를 활용한 꽃가루지수, 알레르기 지수 등의 보건 정보 알림 제공으로 외부 환경에 유연하게 대처 가능 o 질환 정보 제공과 질의응답, 게임을 통한 O·X 퀴즈, 사진을 찍어 만드는 피부노트 작성 등 재미를 겸비한 질환 교육 자료 제공
[ "소아청소년의 15퍼센트가 무엇에 의하여 수면장애가 발생하지", "소아청소년의 20퍼센트가 앓게 되는 질환으로 심장 체크로 정확한 원인 파악이 손쉽게 가능한 질환은 뭘까" ]
unanswerable
869faca5-4540-4e55-8b10-f293dd87d6d6
국립중앙과학관 과학드라마 공연
국립중앙과학관, 과학드라마 보러 오세요! □ 국립중앙과학관(관장 최종배)은 일상 속에 숨어있는 과학 원리를 공연이라는 형식을 빌려 관람객들에게 흥미있게 전달하고 재미있게 학습토록 하기 위하여 ‘과학드라마’ 공연을 3월 18일부터 운영한다고 밝혔다. □ 기존의 획일적인 과학 교육의 방법에서 벗어나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드라마 형식으로 진행하며, 실생활에서 볼 수 있는 과학 현상들을 관람객들에게 흥미있게 전달하고자 한다. o Drama 1. 앙팡박사의 수상한 과학실험 앙팡박사가 실험실에 놀러온 민경에게 아이들이 좋아하는 먹거리 속에 숨어있는 과학을 재미있게 보여준다는 내용이다. 일상생활 속에서도 쉽게 과학에 접근할 수 있다는 점을 알게 하고 아이들이 과학에 대해 적극적인 자세를 갖게끔 도와주는 것이 목표이다. * 과학적 원리 : 산화환원반응, 기체의 기화, 힘의 분산 등 o Drama 2. 두근두근 과학교실 실험실 견학을 하러 온 유진이 궁금해 하는 것은 무엇이든 척척 설명해주는 원빈박사의 멋진 모습에 반하게 되어 더욱 열심히 과학 공부를 하게 된다는 내용으로 극이 진행된다. 각 실험에 포인트가 되는 핵심단어들을 보여주며 강조하고 내용을 잘 정리해 주어 과학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도와주는 것이 목표이다. * 과학적 원리 : 수분의 흡수, 산염기 지시약 반응 등 □ 장소는 창의나래관, 이용 대상은 제한이 없으며, 최대관람인원은 40명(선착순), 1회 공연 체험시간은 20분이다. 일일 3회 운영하며, 운영시간은 10:30, 14:00, 16:30분이다. 각 부 운영시 1개의 Drama만 공연한다. □「과학드라마」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국립중앙과학관 홈페이지 (http://www.science.go.kr)를 참조하거나 담당자(************)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국립중앙과학관 홈페이지에서는 과학 원리를 쉽게 전달하는 무엇을 볼 수 있어" ]
unanswerable
8709e824-1516-49ce-afe0-a36968dc5a21
농식품 수출, 장관이 직접 챙긴다
농식품 수출, 장관이 직접 챙긴다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3.4일(월) 개최된 제9차 경제활력대책회의에서 농식품 수출 확대 방안을 발표하였다. ❍ 농식품부는 국가 전체적인 수출 위기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2019년 농식품 수출액 77억불(전년대비11%↑)을 목표로 설정하여 상반기 수출 확대를 위한 총력 대응에 나설 예정이다. 농식품는 수출 확대 방안으로 4가지 중점 추진 전략과 주요 품목별 수출방안을 마련하였으며,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상반기 수출확대를 위한 총력 대응 태세 가동】 ❍ 수출비상대책반을 운영하고 중국과 동남아에서 특별판촉, 물산전을 추진하는 등 상반기 수출활력 제고를 위해 총력 대응키로 했다. - 수출 유관기관이 참여하는 수출비상대책반을 2월부터 운영하고 있으며, 3월까지 전국 7개 시․도의 현장을 방문하여 관련 업계의 수출 애로사항을 점검해 나간다. 【전략적 지원을 통한 수출 경쟁력 제고】 ❍ 수출 경쟁력 제고를 위해 수출 비수기에 물류비를 탄력적으로 지원하고, 신시장 개척 및 초보 품목은 물류비 추가 지원을 추진한다. - 박람회․판촉 등의 지원사업의 경우, 수혜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지원사업 조건인 수출실적과 사업의무액 등의 기준은 완화할 계획이다.
[ "수출비상대책반을 3월부터 운영하고 상반기 수출 위기 제고를 위해 총력 대응하는 곳은 어디니" ]
unanswerable
334fc837-a55e-4c25-a831-f4408e199ad0
문재인 정부 2주년 「과학기술·ICT 성과」 발표
4차 산업혁명 선도 기반 구축, R&D 혁신 생태계 조성 - 문재인 정부 2주년 「과학기술·ICT 성과」 발표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장관 유영민)가 문재인 정부 2주년 「과학기술·ICT 부문 성과」를 발표하였다. ㅇ 과기정통부는 지난 2년 동안 ‘4차 산업혁명 대응의 주무부처’, ‘과학기술 혁신 컨트롤 타워’로서 민 · 관의 혁신역량을 극대화 시키는 통합·조정자(Integrator)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ㅇ ‘사람중심의 4차 산업혁명 실현’을 비전으로 ① 4차 산업혁명 대응 핵심인프라(D.N.A. : 데이터(Data), 네트워크(Network), 인공지능(AI)) 구축 ② 국가 R&D 혁신 ③ 국민의 삶의 질 제고를 정책방향으로 하는 ‘I-KOREA 4.0 전략’을 수립, 추진하였다. ㅇ 그간의 노력을 통해 과학기술, ICT 부문에서 나타난 5대 성과는 다음과 같다.
[ "데이터 구축 후 몇 년 뒤에 과학기술·ICT 부문 성과가 발표됐니" ]
unanswerable
ee6a0184-012e-49f1-95fd-c8c8c53f1a66
신산업창조프로젝트 사업 선정결과
미래부, 유망 융합기술 사업화 지원 가속화 □ 금년 신규사업 공모에서는 10대 유망 융합분야에 대해 총 159개 과제가 제안되어 23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나타냈으며, ㅇ 최종 선정된 과제는 에너지효율화, 첨단소재, 플렉시블 디바이스, 라이프케어, 나노기반공정, 바이오센서 등 총 6개분야 7개 과제로 2년간 약 172억원(2015년 약 87억원)이 투자될 계획이다. ㅇ 또한, 지난 3월 선정된 ‘기술사업화 전문가단’이 선정과제의 사업화 전주기를 밀착 지원하여 사업화 성공률을 획기적으로 제고할 예정이다. □ 미래부 ***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신산업 창조 프로젝트는 우수한 기초·원천기술이 사장되지 않고 후속 연구개발(R&D)과 기술간 융합을 통해 적기에 사업화되고 시장가치가 높아지도록 지원할 것”이라며, ㅇ “정부 R&D 성과가 신시장, 신산업 창출로 이어지는 Lab-to-Market 성공사례를 만들어 미래 성장동력을 확충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기술의 혁신성·융합성과 파급력, 사업화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최종 선정된 7개 과제는 다음과 같다.
[ "2015년에 미래부가 신산업 창조 프로젝트 과제 159개를 지원하기 위해 투자한 금액이 얼마야" ]
unanswerable
0ef7cb35-b5e8-4a25-b4c4-5df379eaccca
신산업창조프로젝트 사업 선정결과
미래부, 유망 융합기술 사업화 지원 가속화  [에너지효율화] 차세대 고효율 3D 융합 전력변환모듈(주관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ㅇ 신재생에너지, 전기자동차 등의 보급으로 고효율 전력변환모듈의 수요가 증가 중이고, 사물인터넷 확산으로 소형 전자기기에 적용될 전력변환모듈의 소형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ㅇ 고효율·친환경 화합물 반도체인 갈륨나이트라이드(GaN) 전력 반도체에 평면구조 대비 전력효율과 크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3차원 고밀도 적층기술을 융합한 전력변환모듈* 기술개발과 국산화를 목표로 한다. * 에너지 변환효율(기존 75∼85% → 90%이상)이 높고 크기는 반 이하로 줄인 고효율‧초소형 48V-to-12V 전력변환모듈 ㅇ 이동통신 기지국·중계기, 데이터센터, 자동차 전자기기, 감시카메라, 골프 카트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 가능하며 화합물 전력반도체기반 전력부품의 국산화가 기대된다.
[ "무엇의 크기가 줄어들수록 에너지 변환효율이 줄어들까" ]
unanswerable
cc317b4c-a882-41bd-8af5-a452b1632da8
순환골재 사용, 예산도 절감하고 환경도 보호하고
순환골재 사용, 예산도 절감하고 환경도 보호하고 □ 건설폐기물을 재활용한 순환골재와 재생아스콘, 콘크리트 제품 등 순환골재 재활용제품의 사용이 늘면서 공공·민간 건설현장에서 예산절감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 21일 환경부(장관 윤성규)와 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에 따르면, 충청남도 당진시는 2011년 우강송산지구 도시개발사업 등의 공사에서 총 3만 2,000톤의 재생아스콘을 천연골재의 대체제로 사용해 4억 9,000만 원의 예산을 절감했다. ○ 삼성물산(주)은 인천터미널 물류단지 조성공사 등 5개 공사에 도로 보조기층재 등의 용도로 순환골재를 사용해 2011년 천연골재 구입 예산 대비 총 17억 5,000만 원을 절감하는 성과를 냈다. ○ 신안군은 압해 하수종말처리시설공사 및 하수관거정비공사에 순환골재 5만㎥를 사용해 2011년 약 3억 원의 예산 절감효과를 올렸다. ○ 강릉시는 2007~2013년 최근 7년간 구정군도 3호선 확포장공사 등 97건의 공사에 재생아스콘 6만 2,000톤을 사용해 17억 5,000만 원을 절감했다. ○ 제주시는 2011년 아라지구 도시개발사업 기반시설공사 등 7개 공사에서 총 2만 6,000톤의 재생아스콘을 활용해 9억 원 절감했다.
[ "제주시가 구정군도 3호선 확포장공사 등을 시행한 해는 몇 년도니" ]
unanswerable
75cc43b5-c4c1-4403-be46-49a8a4adf564
과학기술유공자지원법 제정 공청회 개최
미래부, 과학기술유공자지원법 제정 공청회 개최 - 유공자 범위 및 예우․지원 방식 의견수렴 - 과학기술유공자지원법 제정방안 공청회 개최계획 □ 추진배경 ㅇ 과학기술유공자에 대한 예우의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국정과제로 채택된「과학기술유공자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제정방안에 관한 과학기술계 및 일반국민의 의견을 청취하여 법안에 반영하고자 함. □ 공청회 개요 ㅇ 일시/장소 : 2013. 6. 25. (화) 13:30 ∼ 16:30 ㅇ 장소 : 한국과학기술회관 소회의실2 ㅇ 주최 : 미래창조과학부 ㅇ 주관 : 한국과학기술법학회 ㅇ 후원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ㅇ 참석자 : 산‧학‧연 과학기술인 등 100여명 예상 □ 향후계획 ㅇ「과학기술유공자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제정안 마련(9월)
[ "일반국민의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한국과학기술법학회의 주최로 개최된 공청회는 뭐야", "2013년 6월 25일 미래창조과학부 소회의실에서 무슨 공청회가 열리지" ]
unanswerable
d73f2f7c-0914-45ad-a3da-72945ff47f11
출연(연), 기업 현장에서 지금 필요한 4차 산업혁명 관련 신산업 분야 청년 인재 800명 양성
출연(연), 기업 현장에서 지금 필요한 4차 산업혁명 관련 신산업 분야 청년 인재 800명 양성 - 과기정통부, 2018년 추경사업‘4차 인재양성과정’본격 착수 - 2018년 4차 인재양성과정 개요 □ 사업목적 ㅇ 미취업 이공계 인력의 실무역량을 제고한 후 기업으로 진출시켜 일자리 창출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업 혁신성장 동시 지원 - 3년(2018.~2020.)간 청년과학기술인 3,000명 일자리 창출 목표 □ 사업내용 ㅇ 출연(연)이 보유한 첨단 연구시설·고급인력 등을 활용해 기업이 지금 필요한 전문인재를 육성하여 패밀리 기업* 등으로 취업 연계 * 출연(연) 기술을 이전 받는 등 출연(연)과 협력하는 중소·중견기업(2017년 총 5,786개) - 중소기업의 수요를 반영해 4차 산업혁명 관련 직무훈련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출연(연)이 보유한 인프라·인력 등을 활용해 교육 실시 - 패밀리 기업 등에 취업할 의사가 있는 이공계 인력을 선발해 출연(연)에서 집중 교육하고, 수료 후 기업에 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
[ "4차 산업혁명 관련 직무훈련프로그램을 통해 교육받은 중소기업 인력을 뭐라고 할까", "누가 첨단 연구시설에서 중견기업 인력을 선발해 교육하고 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하니" ]
unanswerable
742e178b-0255-45ce-b168-c5c53d4d722b
다문화 청소년을 대상으로 홍천을 찾은 과학 3색 콘서트
다문화 청소년을 대상으로 홍천을 찾은 과학 3색 콘서트 - 장관과의 대화, 과학 체험 프로그램, 과학 공연 등 선보여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가 주최하고, 한국 과학창의재단(이사장 ***)이 주관하는 ‘과학 3色(색) 콘서트(이하 ’3색 콘서트‘)’가 홍천 해밀학교에서 개최되었다. o ‘3색 콘서트’는 미래의 주역인 청소년들에게 과학기술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제고하고 꿈과 희망을 전달하기 위해 과기정통부 장관과 과학 커뮤니케이터들이 전국의 초·중·고등학교를 순회·방문하는 대표적 찾아가는 과학소통 활동이다. o 장관이 들려주는 미래의 과학기술 이야기와 묻고 답하기, 최신의 과학기술을 쉽고 재미있게 전해주는 과학강연, 이야기하기 형식의 실험 공연인 ‘사이언스 버스킹’, ‘체험 프로그램’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된다. □ 이번 ‘3색 콘서트’는 지난해 10월 ‘마석고등학교(경기 남양주, 1회)’와 올해 4월 ‘과학의 달’ 특집으로 개최한 ‘국립과천과학관(2회)’에 이어 3회째로, 강원도 홍천군의 해밀학교를 찾았다. o 해밀학교는 가수 인순이(본명 김인순)씨가 설립한 다문화 학생 중심의 대안학교로 전교생이 40여 명이 채 안되지만, 미국·러시아·베트남 등 다국적의 다문화 학생들이 한국사회의 안정적 적응과 성장을 위한 보금자리이다. o 이번 행사를 통해 평소 과학문화를 접하기 어려웠던 다문화 학생들에게 다채롭고 재미있는 과학적 지식을 전달하여 미래 과학자를 꿈꿀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목적으로 마련하였다.
[ "한국 과학창의재단이 주최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과학 3색 콘서트가 어디에서 개최됬니", "경기 남양주에 위치하는 가수 인순이씨가 설립한 다문화 학생 중심의 대안학교는 어디야" ]
unanswerable
c8573f4b-e803-4365-81c1-4f7184588812
순환골재 사용, 예산도 절감하고 환경도 보호하고
순환골재 사용, 예산도 절감하고 환경도 보호하고 2013년도 우수활용관련 정부표창 수상사례 순환골재 100%사용 건축물 시범사업 “되돌림화장실” 1 사업개요 ○ 발주기관 : 대한건설폐기물공제조합 ○ 시공업체 : (주)세중토건 등 ○ 공사명 : 순환골재 100%사용 건축물 시범사업 ○ 사업기간 : 2012.10.22~2013.2.6 ○ 면적 : 197㎡ 단층구조물 ○ 순환골재 납품업체 : 대형환경(주), 탄용환경개발(주) 2 사업배경 ○ 품질이 우수하고 가격도 저렴함에도 불구하고 바닥재 등의 용도로 한정되어 있던 순환골재의 재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구조용 재료로 순환골재를 100% 사용한 세계최초의 건축물 시범사업 시행 ○ 품질인증을 취득한 순환골재의 안정성을 구조물 건축을 통해 한 단계 더 엄격하게 품질 및 효용성 입증 - 누구에게나 실질적인 필요성과 접근성을 갖춘 공중화장실을 통해 실구조물의 직접확인이 가능하여 대국민 홍보효과 창출 3 활용실적 ○ 사용량 : 순환골재 239㎥를 사용하여 레미콘 배합 ○ 사용범위 : 일부분이 아닌 되돌림 화장실 전체에 순환골재 구조재로 100% 사용 - 버림 콘크리트, 구조체 콘크리트, 블록, 잡석다짐, 보조기층, 잔토채움 등
[ "대형환경은 어느 기관의 화장실 전체에 순환골재를 100퍼센트 사용했니", "2013년 10월 22일 탄용환경개발은 어느 기관에 순환골재를 납품했어" ]
unanswerable
58d684ce-9f29-4eaa-b7f5-8056de7d0026
환경분야 통일준비를 위한 한·독 국제 워크숍 개최
환경분야 통일준비를 위한 한‧독 국제 워크숍 개최 □ 환경부(장관 윤성규)와 환경정책평가연구원(원장 ***)이 독일 통일 이후 동독지역의 환경정책개발에 힘쓴 ‘라이프니츠 생태도시 및 지역개발 연구소(소장 베른하르트 뮐러, IOER)’와 함께 ‘환경분야 통일준비를 위한 국제워크숍’을 10일 오전 9시부터 서울 중구 코리아나 호텔에서 개최한다. * IOER (Leibniz Institute of Ecological Urban and Regional Development) : 동독지역 드레스덴에 있는 ‘생태도시 및 지역개발 연구소’로서 독일 통일 이후 동독지역의 환경복원정책을 지원한 전문기관임 ○ 이 행사에는 롤프 마파엘 주한 독일 대사도 참석해 독일 통일 사례, 우리나라 통일 준비에 대한 시사점 등을 언급할 예정이다.
[ "주한 독일 대사가 IOER에서 독일 통일 사례를 언급한 것은 몇 시야" ]
unanswerable
35150b69-e9be-4f2b-8131-af3b205974fc
‘명불허전’국립공원, 계곡 수생태계 상태 ‘매우좋음’
‘명불허전’국립공원, 계곡 수생태계 상태 ‘매우좋음’ □ 분원성대장균군의 경우에는 106개 지점 중 104개 지점이 100mL당 10군수 이하인 ‘매우좋음’ 등급, 2개 지점이 100군수 이하인 ‘좋음’ 등급으로 ‘좋음’(Ib) 등급 이상 달성 비율 100%를 기록했다. ○ 부유물질(SS)은 106개 측정지점 모두 L당 25㎎ 이하인 ‘매우좋음’ 등급, 음이온계면활성제(ABS)는 하천수질기준(0.5㎎/L이하) 이상으로 2009년 조사 이래 줄곧 매우 우수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 이러한 측정 결과는 등급별 수생태계 상태를 기준으로 볼 때 용존산소가 많은 편이고 오염물질이 거의 없는 청정상태에 근접한 생태로 수질 및 수생태계 생물학적 기준에서도 최상위 등급인 상태 이상으로 1등급 지표 생물들이 살 수 있는 환경임을 의미한다. ○ 실제 2011년 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및 자원모니터링의 어류․저서 성무척추동물 분야 조사결과, 국립공원의 주요 계곡에는 ‘매우좋음’ 과 ‘좋음’ 등급 지표종인 금강모치, 버들치, 열목어와 옆새우, 민하루살이, 광택날도래 등이 서식하고 있는 것이 확인됐다.
[ "2011년 분원성대장균군 검사에서 106개 국립공원 계곡이 어떤 등급을 달성했니", "2009년 수생태계 상태 검사에서 버들치 서식이 확인된 계곡은 어떤 등급을 받게 될까" ]
unanswerable
d2c6ba6d-45c8-4e5a-b52d-7134e9510bea
2021년 블록체인 시범사업 과제선정 및 추진
우리 생활에 블록체인을 접목한다! - 과기정통부 2021년 블록체인 시범사업 15개 과제 본격 추진 - □ 선정된 과제 중 대표적인 2가지 과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② 병무청은 블록체인 기반의 모바일 전자지갑을 구축하여, 병적증명서 등 병역 관련 전자문서 28종을 모바일 전자지갑에서 발급받고 민간 서비스에 제출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군장병 복지 향상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 전자지갑 서비스 구축). - 금융(군장병 적금 등), 대학(대학 휴·복학 신청 등) 등에서 온라인으로 증빙 서류 제출이 가능하여, 서류 관리·보관 및 플라스틱 증명서 발급 등에 필요한 행정비용 및 시간이 절감될 것으로 기대된다.
[ "병무청은 무엇을 기반으로 플라스틱 병적증명서를 발급할 예정이니", "과기정통부는 플라스틱 증명서 발급을 위해 무엇 기반의 전자지갑을 구축하려 할까" ]
unanswerable
e8c71300-3b82-43ee-9ffb-205d8a9552bf
UHD 도입 한미 공동 컨퍼런스 개최
글로벌 UHD 컨퍼런스 개최 □ 대한민국의 세계 최초 지상파UHD 방송 도입을 기념하여 한미 방송·표준화 단체가 공동 주최하고 미래창조과학부가 후원하는 국제 컨퍼런스가 3월 27일~ 28일, 서울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다. ㅇ 이번 행사는 기조연설·축사로 구성된 개회식, UHD 방송 컨퍼런스, 국내 방송기술·장비를 소개하는 체험존 운영 등으로 진행되며, 행사기간 중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와 미국디지털방송표준위원회간 방송장비 인증 관련 MoU 체결식, ATSC 자체 회의도 개최된다. 【국내 방송장비 산업의 글로벌 진출 기회 마련 】 □ 지상파 UHD 방송이 세계 최초로 상용화되는 시점에 방송기술을 선도하고 있는 미국과 함께 글로벌 컨퍼런스를 개최함으로써 전세계 방송산업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실제 방송상황, 장비개발 현황 등을 공유하여 UHD 방송산업의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하는데 한걸음 나아고자 한다. ㅇ 특히, 우리나라가 지상파 UHD 방송 표준으로 채택한 북미식 (ATSC3.0) 방식은 현재 전세계적으로 도입된 사례가 없고 기술·산업도 초기 단계인 상황에서 우리 기술력 중심으로 개발한 장비와 국내 운영 인력들로 세계 최초의 완성된 서비스를 선보인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ㅇ 이러한 기회를 우리 방송 산업의 해외 시장 진출의 모멘텀으로 활용하기 위해 체험존·컨퍼런스 등을 통해 국내 개발 방송장비의 성능을 미국 방송업계 주요 인사들에게 홍보하고, 양측 표준화 단체간의 MoU도 추진할 예정이다.
[ "미국이 북미식 UHD 방송표준을 가지고 글로벌 컨퍼런스를 개최한 날은 언제야", "대한민국에서 언제부터 지상파 UHD 방송을 도입했어" ]
unanswerable
337189cc-b44d-462c-9922-f7b59af12756
가짜뉴스찾기, 인공지능 R&D챌린지 본선 개최
가짜뉴스 찾기, 인공지능 R&D 챌린지 본선 개최 인공지능 R&D 챌린지 본선 대회 개요 □ 배경 ㅇ 챌린지 대회에 참여하여 선행연구를 추진해 온 참가팀들의 결과물을 평가하여 최종 우승팀을 선발하기 위한 본선 대회 개최 * 문제공고(6.29.), 참가접수(8.18.), 1차 워크샵(8.25.), 2차 워크샵(11.14.), 예선(12.5.) □ 개요 ㅇ (일시) 2017.12.8.(금) 10:30 ~ 18:00 ㅇ (장소) 경기 창조경제혁신센터 국제회의장(성남시 분당구) ㅇ (참석자) 총 23개팀, 80여명 ※ 총 71개 참가팀 중 예선을 통과한 팀 ㅇ 주요 내용 - ① 도전과제인 “가짜뉴스 찾기 AI SW 개발”에 대한 시험 데이터(6천건)를 활용한 참가팀 간 선행연구 결과물 비교·평가 - ② 입상 후보팀 공개 및 우수 연구방법론 발표 * 심사위의 부정행위 판별을 위한 소스 코드 검토(12.8.~12.9.) 후 최종 입상팀 확정 ※ 최종 입상팀에 대한 시상은 2017년 AI 국제컨퍼런스(12.12.)에서 실시
[ "챌린지 대회에 참가한 80명이 AI 국제컨퍼런스에 참여하는 날은 언제니", "최종 입상팀이 우수 연구방법론을 발표한 날은 언제니" ]
unanswerable
21850d2a-9f1e-4011-9e3f-858908241e77
UHD 도입 한미 공동 컨퍼런스 개최
글로벌 UHD 컨퍼런스 개최 행사 주요 내용 □ 행사 개요 ㅇ 일시·장소 : 2017. 3. 27.(월) ~ 3. 28.(화), 여의도 콘래드 호텔 ㅇ 주최기관 : (한국) 한국방송협회, 정보통신기술협회 (미국) 북미방송사업자협회(NAB), 미국디지털방송표준위원회(ATSC) ㅇ 주요참석자 : 미래부 차관, 국회 미방위원장, 방통위원장, NAB회장, MPEG의장, ATSC회장 등 국내외 방송관계자 200여명 ㅇ 슬로건 : Next Generation TV Broadcasting, UHD and Beyond □ 세부내용 ㅇ (개회식) 해외 저명인사 기조연설 및 국내외 주요인사 축사로 구성 ㅇ (컨퍼런스) ‘UHD방송의 태동’, ‘UHD 확산’을 주제로 국내외 주요 관계자가 발표하는 총 5개 세션 및 2회 패널 토의 진행 ㅇ (체험존) 지상파 UHD 방송 수신 시연 (SBS 개회식 실황중계), ATSC3.0 기반 부가서비스, 국산 UHD 방송장비 워크플로우* 등 * 국산 UHD 방송장비 활용을 통한 UHD 방송 제작·편집·송출·수신 시연 ㅇ (TTA-ATSC 협약식) 방송장비가 ATSC 3.0 표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인증해주는 프로그램을 상호협력하여 개발하기 위해 MoU 체결 추진 ㅇ (ATSC 회의) 행사 기간 중 ATSC 자체적으로 이사회(Board meeting), 기술분과(Technical Group 3) 진행 예정
[ "글로벌 UHD 컨퍼런스의 ATSC회의에서 기조연설은 누가 했지", "글로벌 UHD 컨퍼런스에서 UHD 방송장비 워크플로우를 주제로 누가 발표했을까" ]
unanswerable
e9d3fcda-d2e5-42ee-b503-3d9aa479945e
프로축구 K-리그에 녹색응원 바람이 분다!
프로축구 K-리그에 녹색응원 바람이 분다! < 감축효과 > ◇ 한 해 280만명이 관람하는 프로축구의 경우, 그린스포츠 활성화를 통해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39,620톤CO2)의 17.2%(6,862톤CO2) 감축 가능 - 경기장 시설 부문에서의 배출량은 연간 31,045톤CO2이며 이중 고효율 조명기구 교체, 단열시공 등으로 연간 3,601톤CO2 감축 가능(경기장 시설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31,045톤 대비 11.6% 감축) - 관람객 부문에서의 배출량은 연간 8,575톤CO2이며 자가용 이용 자제, 쓰레기 배출 최소화 등 녹색응원문화 정착을 통해 연간 3,261톤CO2 감축 가능(관람객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8,575톤 대비 38% 감축) ※ 자가용 이용률 11%․관객 배출 쓰레기 15% 감소 가정(한국환경산업기술원) ◇ 3,261톤CO2 저감은 어린소나무 1,173,022그루 식목, 휘발유 1,523천리터 절약과 같은 효과가 있음(약 26억원의 경제적 효과) ※ 1ha 3,000그루 식재 시 그루당 연평균 2.78kg의 CO2 흡수를 근거(국립산림과학원)
[ "자가용을 이용하면 무엇이 활성화되어 온실가스 배출량이 감축될까", "국립산림과학원의 조명기구를 고효율 조명기구로 교체하는 것은 무엇의 활성화와 관련이 있어" ]
unanswerable
6209b31f-7970-4ab7-ae76-8140b9e53161
수도권 대기관리권역내 운행중인 노후 경유차량에 배출가스 저감장치부착 및 LPG 엔진개조 실시
수도권 대기관리권역내 운행중인 노후 경유차량에 배출가스 저감장치부착 및 LPG 엔진개조 실시 ◇ 2005년에 총예산 1,894억원을 투자하여 4만8천대에 저감장치 등 부착 □ 2012년까지 약 110만대를 보급할 계획으로, 2004년도에는 시범 사업으로 공공기관 및 지자체의 경유차량을 중심으로 2,734대에 부착하였으며, 2005년도에는 10대이상 보유사업자의 자동차, 학교․유치원․병원 등 매연취약 아동․청소년 및 환자관련 시설자동차 및 마을버스․청소차․우체국 택배자동차 등을 대상으로 우선적으로 실시하되, 개인이라도 부착을 원하는 경우에는 지원할 계획이다. ○ 이러한 운행 경유자동차의 배출가스 저감대책사업 추진에 차량 소유자가 적극 참여하도록 하기 위하여 배출가스 저감장치 부착 및 LPG엔진 개조 등에 소요되는 비용은 전액 정부에서 지원한다. - 예산액 : 총 1,894억원(국고 947억원, 지방비 947억원) - 장치별 재정지원 금액 ∙ DPF 700만원, DOC 98만원 ∙ LPG엔진 개조 소형(1톤) 414만원, 중형(2.5톤) 434만원 ※ 조기폐차에 대한 지원액은 용역중
[ "LPG엔진 개조와 함께 지자체에서 전액 지원하는 경유자동차 배출가스 저감대책사업은 무엇일까" ]
unanswerable
899b6a00-0949-42e7-a8f1-9a79cd853a2b
국내외 스모그 영향, 최근 4일 대기오염 크게 악화
국내외 스모그 영향, 최근 4일 대기오염 크게 악화 □ 최근 국내외 스모그등 기상의 영향으로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미세먼지(PM10) 농도가 150~200㎍/㎥을 기록, 대기환경기준 100㎍/㎥을 크게 초과한 것으로 분석됐다. * 스모그(smog) : 연기(smoke)와 안개(fog)의 합성어, 매연 등 대기오염물질이 안개 등과 결합하여 발생하는 현상 □ 환경부(장관 유영숙)와 국립환경과학원(원장 ***)은 미세먼지, 이산화질소 등 주요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최근 4일간(12일~15일) 권역별 대기오염집중측정소(백령도, 서울, 대전, 광주, 제주 등)의 자료분석결과를 발표했다. * 대기오염물질 : 미세먼지, 황산염, 질산염, 비소, 납, 셀레늄 등 □ 분석 결과에 따르면, 권역별 미세먼지(PM-10) 평균농도는 해당기간 138㎍/㎥로 일일 대기환경기준인 100㎍/㎥를 크게 초과했는데, 이는 황사 주의보 발령농도가 400㎍/㎥인 것을 감안할 때 상당히 높은 수치이다. ○ 지역별로는 백령도 158㎍/㎥, 서울 147㎍/㎥, 대전 169㎍/㎥, 광주 108㎍/㎥, 제주도 107㎍/㎥의 분포를 보였다. * 국가대기오염정보관리시스템의 실시간 확정전 자료임 ** PM10(Particulate Matter) : 미세한 먼지로서 크기가 머리카락보다 작은 10㎛ 이하인 입자 *** 1㎍ : 1g의 십만 분의 1의 무게
[ "대기오염물질 중에서 질산염이 높게 나타난 지역은 어디니" ]
unanswerable
5f01420b-c310-41f3-ad1c-8055dd839e65
경상남도-동반성장위원회, 제1회 혁신성장 투어 개최
경상남도-동반성장위원회, 제1회 혁신성장 투어 개최  혁신기술 구매상담회(대중소기업 기술 구매상담회) 혁신기술 구매상담회는 삼성, LG, SK, 롯데, 포스코 등 대기업(공공기관) 77개사와 중소기업 194개사(경남 64개사)가 참석한다. 상담회에 참여하는 기업들은 혁신성장 투어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상담신청을 한 기업들로 미리 정해진 시간계획에 따라 대기업 구매담당자와 1:1 현장상담을 진행하게 된다. 대기업 담당자 일정이 가능할 경우, 사전에 신청하지 않은 기업도 현장 상담이 가능하다. 경상남도는 행사에 참가한 기업들이 실질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행사가 끝난 후에도 1:1 추가상담과 온라인 구매상담회 등을 통해 판로확대를 지속적으로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 "혁신기술 구매상담회에서 삼성과 현장상담이 이루어진 중소기업은 몇 개사이니" ]
unanswerable
c09acfbd-b38f-45d0-9acd-0349e5697549
경상남도-동반성장위원회, 제1회 혁신성장 투어 개최
경상남도-동반성장위원회, 제1회 혁신성장 투어 개최  중소기업 우수제품 전시회 중소기업 우수제품 전시회는 도내 중소기업 29개사가 참여한다. 이번에 전시하는 제품은 도내 경제단체, 유관기관 등을 통해 모집한 우수 제품들로, 이번 전시회를 통해 제품 홍보와 판촉의 장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중소기업 시책 설명회 및 컨설팅 존 운영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동반성장 지원시책 설명과 컨설팅도 진행한다. 경상남도에서는 중소기업 지원시책과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제도를,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에서는 중소기업 기술보호, 상생결제 제도 등에 대한 소개와 상담을 진행한다. 한국산업단지공단과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에서도 참여해 지원시책을 소개하고, 상담을 진행한다.
[ "중소기업 우수제품 전시회에 참여한 스마트공장은 몇 개니", "경상남도에서 몇 개의 중소기업이 중소기업 시책 설명회를 진행하지" ]
unanswerable
2476a7be-b7d7-4461-a759-edb1bb0cef45
철도차량의 소음권고기준 및 검사방법 등에 관한 규정 제정 및 시행
제작․수입 철도차량 소음권고기준 시행 ( 철도차량의 소음권고기준 및 검사방법 등에 관한 규정」제정 및 시행 ) 유럽연합 철도차량 소음기준 □ 유럽연합 철도차량 소음기준 ❍ 철도차량의 소음도 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유럽연합에 속한 모든 국가들에게 강제적인 성격을 가지는 기준을 제시 - 매 3년마다 동일한 시험선에서 검증 시험을 거쳐 그 결과에 따라 소음방사 허용 기준 강화 검토 ❍ 화물열차에 관한 소음방사 한계기준(이격거리 7.5 m, 높이 1.2 m) - 운행소음은 80km/h 속도에서 82~87 dB(A)(단위 길이당 평균 윤축의 개수에 따라 차등 적용), 정차소음의 경우 모든 화물열차에 대하여 65 dB(A)
[ "유럽은 모든 화물열차에 대한 소음권고기준을 몇 년간 적용하고 있어" ]
unanswerable
11249368-3a59-4a02-be3b-e414c820eba4
진짜 뉴스와 가짜 뉴스를 가려낼 인공지능 원천기술 찾는다
진짜 뉴스와 가짜 뉴스를 가려낼 인공지능 원천기술 찾는다. - 미래부, '가짜뉴스 찾기'로 2017년 「인공지능 R&D 챌린지」 대회 추진 - 인공지능 R&D 챌린지 문제기획 경과 □ 산·학·연 전문가 중심의 문제기획위원회* 구성(3월) * 위원장 : IITP 기반·SW컴퓨팅 CP, 위원 : 산학연 전문가 12명 □ 전문가의 문제 제안*(3~5월)과 온라인 수요 공모**(4∼5월) 결과를 종합하여 ‘문제 은행’ 구성(총 12문제 구성) * 총 3차례 문제기획회의를 개최하여 총 20개 문제 검토(2017.3월∼5월) ** 주요 국가기관, 대학교, 기업 등을 대상으로 온라인 문제해결 수요조사를 실시(2017.4.18.∼5.4.)하여 총 11개 문제해결 수요 접수 □ 문제은행 문제들은 문제기획위원회 평가를 거쳐 정량적 순위화(5.16.) * ①가짜뉴스 찾기, ②자동 Caption, ③의료 영상 분석, ④사이버 농작물 병원, ⑤Wally를 찾아라, ⑥뉴스 요약
[ "국가기관과 대학교를 대상으로 온라인 문제해결 수요조사를 실시한 사람은 몇 명이니", "문제기획위원회의 위원장은 몇 명으로 구성되어 있어" ]
unanswerable
fa484a99-a3f8-4b61-843e-0f24f835ae13
진짜 뉴스와 가짜 뉴스를 가려낼 인공지능 원천기술 찾는다
진짜 뉴스와 가짜 뉴스를 가려낼 인공지능 원천기술 찾는다. - 미래부, '가짜뉴스 찾기'로 2017년 「인공지능 R&D 챌린지」 대회 추진 - 3 『2017년도 인공지능 R&D 챌린지』대회 공고 Ⅳ. 대회 방식 ① 선행연구(2017.7월~12월) ㅇ 대회 참가자는 주어진 기간 동안 완전 자율 방식(선행연구 기간 중 정부 지원금 없음)으로 인공지능기술을 활용하여 가짜뉴스 판별 방법론을 연구 - 기계학습을 위한 데이터 셋(Training Set)은 제공되지 않으며, 참가를 결정한 팀에서 스스로 생성하여 연구를 추진 - 단, 참가자가 개발 중인 기술의 성능을 연구중간 단계부터 검증하며 연구해나갈 수 있도록 대회 시 평가기준과 동일한 형태의 샘플 데이터 셋(Validation Set)을 제공* * 대회 기간 중 별도 배포 ㅇ 선행연구 기간 중 참가자들이 연구 현황 및 아이디어 등을 교류할 수 있는 중간 점검 워크샵을 개최(1∼2회)하여 연구자간 협력‧경쟁 유도 - 워크샵에서는 추진 경과 발표·토론, 평가 절차 등을 공동 검토(필요 시 합의 절차 거쳐 조정), 참가자 대상 기술 컨설팅(필요 시) 등 실시
[ "미래부에서 진짜 뉴스 찾기로 2017년 실시하는 대회는 뭐지", "기계학습을 위한 데이터셋을 제공하여 대회 참가 팀에서 스스로 진짜 뉴스 찾기를 하는 대회는 뭘까" ]
unanswerable
fadecb36-853b-4c56-b8da-1e7378c39b45
진짜 뉴스와 가짜 뉴스를 가려낼 인공지능 원천기술 찾는다
진짜 뉴스와 가짜 뉴스를 가려낼 인공지능 원천기술 찾는다. - 미래부, '가짜뉴스 찾기'로 2017년 「인공지능 R&D 챌린지」 대회 추진 - 3 『2017년도 인공지능 R&D 챌린지』대회 공고 Ⅳ. 참가 방법 ㅇ (대회 참가 자격) 대학(원)생, 일반인, 기업, 대학, 연구기관, 연구조합, 사업자 단체 및 산‧학‧연 컨소시엄 등* * 외국 소재 기관(기업, 대학, 연구소 등)의 경우 국내 연구 법인과의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 가능 ㅇ (2018∼2019년 후속 R&D 과제 참여 자격) 정부 연구개발 관련 규정*에 따라 정부 R&D 과제참여 자격을 확보한 자 * 「정보통신·방송 연구개발 관리규정」제4조(연구개발과제 참여대상) ** 개인(대학(원)생, 일반인 등)이 우수자로 선정된 경우 후속 R&D 참여를 위해서는 2018.4월까지 연구과제 수임을 위해 본인이 참여하는 연구체계(대학‧법인 등) 구성 필수 ㅇ (신청방법) 별도 사업계획서 없이 ‘참여의향서’ 전산 제출
[ "2019년 인공지능 R&D 챌린지 대회 모집 신청을 몇 월까지 해야 해", "2018년도 인공지능 R&D 챌린지 대회 참가 기업은 인공지능 연구개발 사업계획서를 몇 월까지 제출해야 해" ]
unanswerable
44e3c420-68cd-4701-816c-84cd2ce1e762
한아세안 디지털콘텐츠 콘퍼런스
아세안 시장과의 콘텐츠 교류 확대를 위한 네트워크 본격 구축 『2016 한-아세안 (ASEAN) 디지털콘텐츠 콘퍼런스』5일 개최- 태국 Kantana그룹, 말레이시아 Media Prima, 베트남 Vinaphone 등 아세안 6개국 30개사 / 한국 70개사 참가 비즈니스 상담회 진행 - □ 이어서 진행하는 비즈니스 상담회에는 방송·영화콘텐츠, 모바일·교육 콘텐츠, 융합형 콘텐츠(홀로그램·가상현실 등) 등 3개 분과로 나누어 아세안 정부기관 및 주요기업 관계자 30여개사를 대상으로 한국 기업의 쇼케이스 피칭과 약 150여건의 비즈매칭이 진행된다. o 방송·영화분과에는 태국 엠시오티(MCOT), 말레이시아 미디어프리마(Media Prima), 베트남 브이티비(VTV), 인도네시아 오렌지티비(OrangeTV) 등이 참여하여, 한국의 MBC, EBS 등과 기존의 방송물 판매는 물론 영화, 웹 콘텐츠 등의 공동제작 및 투자유치에 관한 비즈니스 상담을진행한다. o 모바일·교육분과에서는 급속히 성장하는 아세안 모바일 시장의 협력확대를 위해 아세안 국가 통신·플랫폼 사업자들인 베트남 비나폰(Vinaphone), 인도네시아 텔콤셀(Telkomsel) 등이 참가하여, 한국의 크리에이티브밤 등 모바일콘텐츠 기업들과 콘텐츠 공동개발, 현지화 방안에 대해 협의한다. o 융합형 콘텐츠분과에서는 태국 재계 1위 유통그룹인 CP그룹, 태국 최대 미디어 기업인 ‘칸타나그룹’, 미얀마 MKCS 등이 참여하여, 국내기업인 미디어 프론트, 닷밀, 디스트릭트 홀딩스, 본다빈치 등과 도심형 테마파크, 홀로그램 공연장, 키즈카페 설립 등에 대한 투자 논의가 이루어진다.
[ "2016 한-아세안 디지털콘텐츠 콘퍼런스에서 미얀마 재계 1위 유통그룹인 칸타나그룹이 참여하는 분과는 어디니", "2016 한-아세안 디지털콘텐츠 콘퍼런스에서 국가 통신 사업자들인 태국 브이티비가 참여하는 분과는 어디니" ]
unanswerable
5ab43c9d-57a2-4320-885c-755cfef6a8bf
2014년 이공계 국가우수장학생 선발
이공계 우수학생 국가장학금 630억원 지원 - 소프트웨어 전공자 및 여학생 선발 확대 - □ 이공계 대학 우수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630억원의 국가장학금이 지원된다. 특히 소프트웨어 전공자들과 여학생에 대한 선발인원이 확대된다.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와 한국장학재단(이사장 ***)은 “이공계대학에 진학한 우수 인재들이 재학중 학비 부담없이 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이공계 우수학생 국가장학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 자연․공학계열 및 중등교육의 자연․공학계열교육, 초등교육의 수학․과학․컴퓨터 심화전공 학과(부)생을 대상으로 신입생 2천여명을 포함하여 총 11,000여명의 이공계 대학생들에 총 630억원 국가우수 장학금이 지원된다. ○ 특히, SW분야 핵심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SW 전공자에 대한 장학생 선발인원이 단계적으로 확대(2013년 4%→2014년 6% 이상)되며, 여성의 활발한 이공계 진출을 위해 여학생 선발비율(2013년 28%→2014년 30% 이상)도 지속적으로 높여갈 예정이다.
[ "소프트웨어 전공자들 중 sw분야로 진출한 사람은 몇 명이야", "이공계 우수학생 중 컴퓨터 심화전공 학생은 몇 명이니" ]
unanswerable
34b071b7-647e-4272-ab81-4f0d5047cba8
2017년 하반기 유료방송 가입자 수 및 시장점유율 발표
2017년 하반기 유료방송 가입자 수 및 시장점유율 발표 - 상반기 대비 91만 명 증가로 지속적 증가세 유지 □ 관련 규정에 따라, 위성방송 수신만 가능한 예외지역 가입자 10만명 및 공동수신설비 유지보수 계약*자 36만명**은 가입자 수로 포함하지 않았다. * 방송용 선로의 유지보수ㆍ관리 등을 위해 통상 공동주택 관리실과 체결하는 계약(일부 종합유선방송 사업자는 공동수신설비 유지보수 서비스와 함께 일부 유료방송채널 신호를 제공)으로, 방송법 상 유료방송 계약으로 보기 어려운 경우 ** 딜라이브 32.9만명, CJ헬로 2.9만명, 기타 0.2만명 ㅇ 또한 KT와 KT스카이라이프의 방송서비스가 단일 셋톱박스를 통해 제공되는 OTS(올레TV스카이라이프)상품의 가입자 185만명은 중복 산정을 방지하기 위해 KT 87만명, KT스카이라이프 98만명으로 나누어 산정하였다. ※ 전체 OTS 가입자 중 실시간방송을 KT스카이라이프로부터만 제공받는 11만명은 KT스카이라이프 가입자로 산정하고 KT와 KT스카이라이프의 실시간방송을 모두 제공받는 174만명은 각 사업자에 절반씩 산정 □ 이번 산정ㆍ검증 결과는 위성방송 수신만 가능한 예외지역의 가입자는 제외하는 등 시장점유율 규제 목적에 따라 산출된 결과이며, 실제 유료방송을 시청하는 총 가입자 수와는 차이가 있어 유료방송 사업자가 가입자 규모를 기반으로 계약 등을 체결할 때 활용하는 가입자 수와는 상이할 수 있다.
[ "방송용 선로의 유지보수와 관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은 어디일까" ]
unanswerable
aba8c699-33ea-4c9b-8060-f1ef545d86e3
12개 수도권과학관, 과학문화 확산에 협력키로
12개 수도권과학관, 과학문화 확산에 협력키로 □ 7월 예정인 “화성과 개기월식 특별관측회”와 매월 열릴 “과학관이 간다”는 인천어린이과학관, 서울시립과학관 등 4개 과학관과 공동 주최할 계획이다. 특히, 소외지역을 찾아가는 이동 과학관은 각 기관에서 추진ㆍ운영 중인 유사한 과학문화행사들을 통합하여 공동 운영하기로 했다. □ 수도권 과학관을 대상으로 직원 연수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과천과학관주관으로 전시운영과 전시해설에 관한 워크숍이 개최된다. 창작공방 장비를 갖추고 있으나 운영역량이 부족한 과학관을 대상으로 장비운영과 실습교육을 실시한다.
[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과천의 어느 기관에 전시운영과 장비운영에 관한 연수프로그램을 교육하지", "창작공방 장비를 갖추었지만 운영역량이 부족한 어느 기관에서 과학문화행사를 통합하여 운영하니" ]
unanswerable
112da9e0-d7ca-4000-831e-c12b8e4d519c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조인트벤처 ‘경남 G-랩’ 출범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조인트벤처 ‘경남 G-랩’ 출범 일반적으로 블록체인이라 하면 대부분 암호화폐부터 생각하지만, 실제 암호화폐는 블록체인 기술의 극히 일부분에 불과하며 이를 활용한 공공서비스의 개발·개선 가능성은 무궁무진한 분야다. 활용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만큼 블록체인 분야는 쉬운 과제가 아니다. 실제로 과제 선정 과정에서도 블록체인 기술발전단계가 워낙 초기라는 점과 어떻게 이를 행정서비스에 접목할 것인지에 대한 방향이 선뜻 잡히지 않는다는 이유로 일부에서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었다. 하지만 경상남도는 ‘경남 G-랩’을 통해 블록체인 분야처럼 잠재 가능성이 높은 도전적 과제를 추진함으로써 목표달성 시 도민편의 증대와 혁신성장 촉진한다는 계획이다. 앞으로 경남 G-랩은 2명의 팀원(6급 1명, 7급 1명)으로 3~6개월간 도정혁신추진단 내 독립조직으로서 운영된다.
[ "경상남도는 암호화폐를 행정서비스에 접목하기 위해 도정혁신추진단 내 무엇을 운영할 계획이야" ]
unanswerable
0342bb26-e4b1-4efd-a81e-626d229cf9a0
14년 2월 ICT산업 수출입 동향
선진․신흥국 고른 ICT수출 증가속에 수지 흑자 확대- 수출 128.4억불(8.4%↑), 수입 62.1억불(13.5%↑), 수지 66.3억불 흑자 - 동향 세부자료  디스플레이 패널 2월 디스플레이 패널 수출은 TV 시장 침체에 따른 수요 감소와 對중국 수출 부진으로 전년 동월대비 11.6% 감소한 21.0억 불을 기록 ◦ LCD 패널은 전년 동월 실적대비 12.3% 감소한 18.5억불, 부분품 수출은 전년 대비 6.6% 감소한 2.4억불 기록 2월 TV 패널 가격은 업체 간 가격경쟁으로 2% 하락하였으며, PC 패널가격은 생산능력 축소 효과로 보합세 지속 (지역별) 주요 선진국은 물론 대부분 국가로의 수출 감소 ◦2월 전체 평판디스플레이 수출의 66.4%를 차지하고 있는 중국(홍콩 포함)으로의 수출은 약 13.9억 불로 전년 동월대비 7.6% 감소 ◦ 그 밖에 주요 생산 거점인 동유럽(2.4억불, △29.8%), 중남미(2.0억불, △17.6%), ASEAN(1.2억불, △69.4%) 등 수출도 감소
[ "2월 디스플레이 패널 수출은 업체 간 가격 경쟁으로 얼마를 기록했어" ]
unanswerable
7d028973-a560-4025-8652-9e428ee5f3bb
과기정통부, 러시아와 제1차 ICT포럼 개최
과기정통부, 러시아와 제1차 ICT포럼 개최- 양국의 ICT정책 논의, 5G 서비스 및 AI 인력양성 등 협력 강화 - 한-러 ICT 포럼 및 ICT 비즈니스 파트너십 개요 □ 한-러 ICT 포럼 (10.21, 월) ㅇ (개요) 우리 측 19명의 대표단과 러시아의 32명의 대표단 토의 - 수석대표 : (한) 과기정통부 국제협력관, (러) 디지털부 차관 - 대표단: 한-러 혁신센터, SKT, KAIST, 연대, 성대, ETRI, NIPA, NRF 등 * 과기정통부, 외교부, 북방위에서 과장(팀장) 및 실무자 7명 참석 ㅇ (의제) ICT 정책, 5G 서비스, AI 인력양성, 스타트업 혁신사례 - 한-러 혁신플랫폼 기반 협력 방안, 5G 글로벌 선도 전략, 5G 기술·서비스 현황 및 진화계획, AI 대학원 및 인력교류 등 * 한-러 과기협력센터(러시아)와 한-러 혁신센터(한국)를 거점으로 과기정통부, 북방위, 산업부, 중기부 등 범부처가 참여하여, 러시아와 기술협력, 사업화, 기업진출 등 지원하는 체계 ㅇ (기대효과) 최초로 개최되는 양국 ICT 분야 행사로, 현재 추진 중인 한-러 혁신플랫폼의 기능 강화 및 ICT 주요 분야에서 양국협력 확대 □ ICT 비즈니스 파트너십 (10.22, 화) ㅇ (내용) 러시아 진출 희망 ICT 및 콘텐츠 기업(25개)의 기술시연회, 비즈니스 미팅, IR 등 현지 바이어들(100여명)과의 매칭행사 개최 ㅇ (기대효과) 양국 기업들간 교류를 통해 민간 차원의 협력 강화 및 러시아 진출을 달성하고, 기업들의 동구권 진출 확대 기대
[ "외교부와 러시아가 개최하는 제1차 ICT포럼에 북방위와 함께 참석한 부처는 어디지", "어느 부처가 러시아를 거점으로 하는 한러혁신센터를 통해 한국 진출 희망 ICT 및 콘텐츠 기업을 지원해" ]
unanswer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