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
stringlengths
36
36
title
stringlengths
0
441
context
stringlengths
200
7.38k
questions
listlengths
1
2
type
stringclasses
6 values
e642ddc2-2caa-4998-8127-93244438e51b
폐암 조기 진단 가능한 생화학 마커 최초 발견
폐암 조기 진단 가능한 생화학 마커 최초 발견 - 폐암 조기 진단 키트 및 신약 개발 기대 - ★ 연구 이야기 ★ □ 이번 성과, 무엇이 다른가? 106명의 폐암환자를 분석한 결과, 92.5%의 폐암환자의 폐암조직에서 USE1의 단백질의 발현양이 증가되어 있으며, 13%의 폐암환자에서 USE1 염기서열에 돌연변이가 생겨 폐암이 발생됨을 밝혀내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USE1이 폐암 진단의 바이오마커로 사용되어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세포와 동물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USE1 단백질이 신약개발의 새로운 타겟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 "106명의 폐암환자 중 13 퍼센트에서 폐암 진단의 바이오마커인 무슨 단백질의 발현양이 증가되었니", "폐암 조기 진단 단백질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무슨 염기서열이 신약개발의 새로운 타겟이 됨을 제시했어" ]
unanswerable
3fa06a27-c4bd-4c92-9b0d-806a08cf221f
공공기관 14년에 1조 6300억원을 연구개발에 투자
공공기관, 1조 6,300억원을 연구개발에 투자하기로 - 2014년도 공공기관에 대한 연구개발투자 권고(안) 확정 - □ 미래부는 이러한 실적과 기관의 자체투자계획, 수익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2014년도 공공기관에 대한 권고 규모를 도출하였다. o 2014년도에는 2013년보다 583억원이 증가한 1조 6,300억원을 연구개발에 투자하도록 권고하였으나, 순이익 감소와 공공기관 정상화 정책에 따른 부채 축소를 위한 긴축경영 상황을 반영하여 매출액 대비 R&D 투자비율은 2013년도 실적보다 0.27%p 낮은 3.02%를 권고하였다. o 한편, 기초연구에 대해서는 2013년도 실적 대비 0.82%p 감소한 16.88%, 2,348억원을 투자하도록 권고하였다.
[ "어느 부가 공공기관에 2013년 연구개발에 투자하도록 권고하여 순이익이 583억원으로 증가했을까", "어느 부가 공공기관의 기초연구에 대해서 2013년에 1조 6300억원을 투자하도록 권고했니" ]
unanswerable
803b8164-5652-49b3-9eb7-5b63775520ea
암관련 유전자 검색 엔진 개발
암 관련 유전자 검색 엔진 개발 관련 연구문헌의 쉽고 빠른 검색으로 효율적인 암 연구 도와 □ 국내 연구진이 암 관련 유전자를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찾을 수 있는 특화된 검색엔진을 개발했다. 메드라인*에 탑재된 300만 건에 육박하는 암 관련 유전자에 대한 연구문헌에서 암-유전자 관련성에 대한 정보를 빨리 검색할 수 있어 암 연구를 위한 새로운 도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메드라인(Medline) : 생물학 및 의학 연구문헌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o 카이스트(KAIST) 전산학과 *** 교수 연구팀이 지스트(GIST) *** 교수와 함께 수행한 이번 연구는 언어학, 컴퓨터공학, 생물학 및 의학을 포괄적으로 연계하는 융합연구로 미래창조과학부가 추진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되었고 연구결과는 생물학 분야 학술지 핵산연구(Nucleic Acids Research) 온라인판 5월 9일자에 게재됐다. (논문명: OncoSearch: Cancer Gene Search Engine with Literature Evidence) □ 암은 수천 개 이상 유전자의 비정상적 변화와 그에 따른 신호전달체계 교란이 주요 원인으로 암의 원인을 이해하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이들 유전자의 변화와 암과의 관련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o 이에 수많은 유전자 변화의 암 관련성에 관한 연구결과들을 바로 파악하고 수집하여 종합적으로 분석, 판단하는 것이 요구된다
[ "미래부가 추진한 중견연구자지원사업으로 유전자의 변화와 암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결과는 어느 학술지에 게재됐어" ]
unanswerable
1a96a4c9-e818-4f8f-a04d-0b943f168913
경상남도 경제혁신추진위원회, 4차 산업혁명시대 경남 경제혁신 콘퍼런스 개최
경상남도 경제혁신추진위원회, 4차 산업혁명시대 경남 경제혁신 콘퍼런스 개최 먼저, 케이티(KT) 부사장 출신으로 미래창조과학부 차관을 지낸 윤종록 가천대석좌교수가 <데이터 대항해 시대, 소프트파워가 강한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기조 발제했다. 윤 교수는 부족한 자원과 적은 인구, 좁은 국토 등 하드파워의 한계를 끊임 없는 도전과 혁신을 통해 극복해 이스라엘을 글로벌 소프트파워 강국으로 발돋움 시킨 시몬 페레스 대통령의 4차 산업혁명형 리더십을 강조했으며, 4차 산업혁명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 경남도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소프트파워 인재 육성과 글로벌 창업 생태계 조성, 금융 시스템 혁신, 4차 산업혁명 생태계 구축 등을 선도해 나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참석자들은 경남도가 4차 산업기술을 도의 뿌리인 제조업에 재빠르게 적용시킨 결과 스마트공장, 스마트산단 등을 선도하여 우리 대한민국 경제의 새로운 나침반이 되고 있다는 데 공감했으며, 지속적으로 4차 산업 관련 사업을 발굴하고 관련 기관과 기업 등을 적극 유치해 줄 것을 당부했다.
[ "4차 산업혁명시대 경남 경제혁신 콘퍼런스에서 기조 발제를 한 이스라엘 대통령은 누구인가", "누가 4차 산업혁명시대 경남 경제혁신 콘퍼런스에서 지속적으로 제조업 관련 사업을 발굴해야 한다고 말했지" ]
unanswerable
e2090162-299f-499d-89a4-27fd8cbfd5f5
모바일 협업을 위한 10대 대표모델 개발 추진
모바일 협업을 위한 10대 대표모델 개발 추진 - 모바일 협업을 통해 창의·효율적 업무 추진 지원 - □ 금년에 개발하는 대표모델 6종은 복지 서비스․마케팅․상담․전산화․그래픽 디자인․협동조합 운영으로서 서민․중산층이 많이 종사하고 있고 ICT 기술 적용이 용이한 분야이며, ㅇ 각 업종의 서비스 모델은 의사소통 중심의 공통모듈 기반에 각 업종에 필요한 특화된 기능이 추가되어 개발될 예정이다. ㅇ 또한, 이전에 개발한 모바일 기반 협업 4개 업종*을 포함하여 “10대 모바일 협업 대표모델”로 개발되어 각 수요처에 제공될 예정이다. * ‘소상인’, ‘만화작가’, ‘배달원’, ‘청소원’ 업종의 서비스 모델 개발 완료(2012년∼2013년) □ 본 사업의 6개 수요기관 선정은 지정공모 방식으로 진행되며, 4월 중으로 수요기관의 사업신청서를 받아 서비스 모델을 확정, 수요기관을 선정하고, 5월 중에 개발 사업자인 공급기관의 사업제안서를 받고 심사 및 평가에 따라 공급기관을 선정할 예정이다. ㅇ 자세한 사업 공고내용은 한국정보화진흥원 홈페이지(www.nia.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사업 문의 : 한국정보화진흥원 융합서비스부(☎ ************, 0318), ***************
[ "어느 기관이 모바일 협업을 위한 2012년 대표모델 6종 개발을 추진하니", "2013년 복지 서비스, 만화작가, 배달원, 청소원 업종의 모바일 서비스 모델의 개발을 완료한 기관은 어디야" ]
unanswerable
8e341409-9e97-405f-bbb8-c2e3fb49c2ad
무인이동체 엔지니어링산업 발전전략 보고
“무인이동체·엔지니어링 산업에 창조와 혁신의 날개를 달았다!” - 제22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무인이동체·엔지니어링 산업 발전전략 보고 - < 글로벌 무인이동체 산업 강국을 실현한다 > ㅇ 우선, ‘전략제품 시장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 무인기 시장 성장동력 확충, ▲ 자율주행 자동차 글로벌 경쟁력 강화, ▲ 무인 농업‧해양건설 산업화 촉진을 제시하였음 ㅇ (무인기) 현재 국내 ‘소형드론’ 기업이 가격은 중국, 기술력은 선진국에 미치지 못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부품선도기업(모터, 배터리 카메라 등)과 출연연(최적 설계‧알고리즘 등)의 기술역량을 집중, 2~3년내 선진국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공공서비스 및 군 수요 등을 활용한 초기시장 창출을 지원한다는 계획임 - 또한, 선도적인 기술력을 확보하였으나 시장진출이 지연되고 있는 ‘고속 수직이착륙 무인기’(틸트로터)의 실용화 추진과 민‧군 기술협력*을 통해 민‧군 겸용 무인기 기술의 실용화를 촉진할 계획임 * (군→민) 군 임무장비(전자광학/적외선카메라 등) 기술을 교통, 산불‧재난 감시에 활용, (민→군) 민수(환경감시 등) 무인기를 군 정찰용으로 활용하기 위해 추가 개발 ㅇ (자율주행 자동차) 수입의존도가 높은 자율주행 10대 핵심부품(레이더, 영상센서, 통신모듈 등)의 글로벌 수준 기술력 확보를 위해 중소‧중견 부품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다수 수요 대기업의 참여를 통해 수평분업형 생태계 조성을 유도한다는 전략임
[ "어느 나라에서 한국 소형드론 기업의 군 임무장비 수요를 창출하고 있니", "자율주행 10대 핵심부품의 시장진출이 지연된 나라는 어디야" ]
unanswerable
a3f92158-f9e8-426b-99c5-5d4a544f2df4
경상남도, 한국자동차연구원과 미래차 혁신 본격 시동
경상남도, 한국자동차연구원과 미래차 혁신 본격 시동 인사말을 통해 환영의 뜻을 밝힌 김경수 지사는 “연구원이 수소모빌리티 ​산업에 있어 우리 경남의 기존 인프라를 높이 평가한 것 같다”며 “그동안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지역에서 자동차산업을 지탱해온 기업인들이 동남본부 설립의 주역”이라고 감사의 뜻을 전했다. 한 “자동차연구원 뿐 아니라 전자부품연구원과 스마트산단 선도 프로젝트와 관련해 삼성에스디에스(SDS)나 프랑스 다쏘시스템 등 대기업이 창원으로 오기 시작했다”면서 자동차산업을 넘어 경남 제조업의 미래와 대한민국 새로운 플랫폼으로서의 동남권 발전을 함께 만들어가자”고 말했다. 한편, 이날 오후 2시부터 식전행사로 미래차 산업기술 세미나에는 지역 자동차 부품기업 관계자 6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미래차 산업 현황과 과제’(산업연구원 *** 박사) ▲‘한국가스공사의 수소사업 추진 전략’(한국가스공사 양희승 차장) ▲‘친환경 수소선박의 현황과 미래’(부산대학교 이제명 교수) ▲‘수소전기차 현황 및 개발 방향’(현대자동차(주) *** 부장)에 대한 발표를 진행해 모빌리티 산업의 급변과 미래 전망 등 기술전환의 시급성과 기업의 대응 방향을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은 지난달 기존 ‘한국자동차부품연구원’에서 기관명칭을 변경하고 부품으로 한정됐던 협소한 이미지를 탈피, 자동차산업과 미래 융합기술 기반의 연구개발 역량 강화에 나서고 있다. 2021년 하반기로 예정된 창원수소특화단지 내 사무동 건립 전까지 경남테크노파크에 임시 사무공간을 마련해 14명의 직원이 근무한다.
[ "미래차 산업기술 세미나에 참석한 프랑스 자동차 부품 관계자는 몇여 명이야", "스마트산단 선도 프로젝트와 관련해 삼성에스디에스에서 근무하고 있는 직원은 몇여 명이니" ]
unanswerable
c8060f9a-4de0-421e-8f75-6c16c41564db
클라우드컴퓨팅 발전법 국회 본회의 통과
경제활성화법, 클라우드컴퓨팅 발전법 국회 본회의 통과 - 클라우드컴퓨팅 산업 육성 및 이용자 보호 근거 마련으로 국내 클라우드 산업의 본격 성장 시대 개막 - □ 국회 논의과정에서는 정보보호에 대한 우려와 공공기관이 민간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국정원의 역할 등에 관한 문제가 제기되었다. ㅇ 올해 2월 임시국회에서 미방위는 정부안과 김도읍 의원안을 병합심사하였고, 정보보호를 강화하는 등 관련 조항을 수정하는 방향으로 대안을 마련하여 여야 합의로 법률안을 의결하였으며, 3월 3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것이다.
[ "국회 본회의에서 무엇을 강화하는 관련 조항을 병합심사했어", "클라우드컴퓨팅 이용자가 민간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에 문제되는 것은 뭐지" ]
unanswerable
35b266db-04ae-413f-9d6f-0ccf53c87c0c
클라우드컴퓨팅 발전법 국회 본회의 통과
경제활성화법, 클라우드컴퓨팅 발전법 국회 본회의 통과 - 클라우드컴퓨팅 산업 육성 및 이용자 보호 근거 마련으로 국내 클라우드 산업의 본격 성장 시대 개막 - □ 미래부는 클라우드컴퓨팅 발전법의 제정에 따라 우선 공공부문의 클라우드컴퓨팅 도입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ㅇ 국가,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은 클라우드컴퓨팅 도입에 노력하여야 하며, 정보화 사업 및 예산편성시 클라우드컴퓨팅 도입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제12조). 이는 정부 3.0 발전계획 중 “클라우드 기반의 지능정부 구현” 과제와 연계되어 공공부문의 클라우드컴퓨팅 도입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ㅇ 공공기관이 민간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근거도 마련되었다(제20조). 구체적인 시행은 보안문제 해결 등의 후속조치가 필요하며, 미래부는 빠른 시일내 관련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구체적인 계획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ㅇ 또한, 각종 사업이나 단체의 인허가시 전산시설을 구비하여야 하는 경우 직접 구축하지 않고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만으로도 가능하도록 규정함으로써 인허가 규제를 완화하였다(제21조). 이는 인허가시 전산시설 구축 기간 단축과 비용절감 효과를 가져온다.
[ "한국 정부와의 협의를 통해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곳이 어디야" ]
unanswerable
eeca873e-95a4-4422-b4ef-5bb8ed9d2887
혁신도전 과제(프로젝트), '20년 발굴 주제(테마) 5건, 연구개발 사업 기획 완료
하늘을 나는 무인잠수정, 폐유기물의 기초원료 재자원화 등 고난도·임무기반 주제(테마) 5건, 민간 전문가가 주도하는 범부처 연구개발 사업 기획 완료 - 혁신도전 과제(프로젝트)2020년 발굴 주제(테마) 5건, 연구개발 사업 기획 완료 - □ 상기 5개 테마는 각각 관계부처 주관 하에 2022년도 예산편성 과정을거쳐, 민간 전문가 출신 사업단장이 사업 전주기를 주관하는 사업단형태로 추진될 계획이며, ㅇ 경쟁형 연구개발(R&D), 포상금 후불형 연구개발(R&D), 기술구입, 목표 재조정, 조기종료, 등 유연한 제도가 적용될 예정이다. ㅇ 각 테마별 3~4년의 사업기간 동안 기술검증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별도의 후속사업을 통해 상용화 등 성과를 확산할 계획이다. □ *** 혁신도전프로젝트 추진단장은 “동 프로젝트의 취지에 맞게 정부부처·연구계 등의 제안을 폭넓게 검토하여 고난이도·임무기반의 도전적 테마를 선정 및 기획”했다며, ㅇ “향후에도, 실패할 가능성이 높더라도 국가 연구개발(R&D) 혁신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테마들을 발굴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과기정통부 *** 과학기술혁신조정관은 “국가 연구개발(R&D) 100조원시대에는 논문·특허 등 양적성과보다는 임무목표에 기반하여 과감하게 도전하는 국가 연구개발(R&D)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며, ㅇ “환경·안전·건강 등 국민생활과 밀접한 분야에서 임무목표를 기반으로 발굴·기획한 5개 연구테마가 범부처 협업을 바탕으로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하늘을 나는 무인잠수정 사업을 주도하는 부처는 어디야", "어느 부처에서 폐유기물의 기초원료 재자원화 프로젝트를 수행하지" ]
unanswerable
64ad3b6c-38e0-4411-bf9c-7de7421d3d97
클라우드컴퓨팅 발전법 국회 본회의 통과
경제활성화법, 클라우드컴퓨팅 발전법 국회 본회의 통과 - 클라우드컴퓨팅 산업 육성 및 이용자 보호 근거 마련으로 국내 클라우드 산업의 본격 성장 시대 개막 - □ 미래부는 클라우드컴퓨팅 발전법의 제정에 따라 우선 공공부문의 클라우드컴퓨팅 도입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ㅇ 이용자 정보유출 사고 발생시 이용자에게 통지의무(제25조), 동의 없이 이용자 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금지, 클라우드 컴퓨팅서비스 제공자의 사업 종료시 이용자 정보의 반환 및 파기 의무(제27조), 손해배상책임(제29조) 등 이용자 보호 근거조항도 규정되었다. 이는 그간 클라우드컴퓨팅 도입의 장애요인이었던 보안에 관한 우려를 해소하고 안전한 이용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필수적인 법적조치이다. ㅇ 아울러, 범정부 기본계획 수립(제5조), 연구개발(제8조), 시범사업(제9조), 세제지원(제10조), 중소기업지원(제11조), 전문인력양성(제14조), 산업단지의 조성(제17조) 등 진흥 관련 근거도 규정되어 체계적인 클라우드컴퓨팅 산업 육성이 가능하게 되었다.
[ "어떤 법의 제25조에 이용자 정보유출 사고 발생 시의 손해배상책임이 규정되어 있지", "공공정보의 반환 및 파기 의무 등 법적조치가 규정되어 체계적인 산업 활성화를 가능하게 한 법은 뭐야" ]
unanswerable
f0ffd20e-7c2c-4948-914c-93d66628f54e
국립어린이과학관 개관, ‘꿈과 희망이 가득한 과학놀이터’로 놀러오세요
국내 최초, 국립어린이과학관 개관 -‘꿈과 희망이 가득한 과학놀이터’로 놀러오세요! - □ 어린이과학관 개관 축하식(12.21.(목))은 각계 대표*, 유튜브 스타인 허팝이 참여한 가운데 미래의 주인공인 어린이들이 꿈과 희망을 가지고 무한한 상상의 나래를 펼칠 수 있도록 하는 다채로운 행사로 진행되었다. * 정부(유영민 과기정통부 장관), 국회(오세정 의원), 학부모 대표, 지자체 및 관련유관기관 대표 등 ㅇ 특히, 오프닝 퍼포먼스는 상징조형물인 ‘우주와 시간’을 둘러싸고 어른과 어린이들이 두 손을 맞잡아 점등을 하면, 불빛이 들어옴과 동시에 조형물이 움직이며 어린이과학관의 새로운 시작을 알렸다.
[ "국립어린이과학관 개관 오프닝 퍼포먼스를 진행한 사람은 누구야" ]
unanswerable
729ab9c1-938b-4406-84ff-c94608bdeb04
국립어린이과학관 개관, ‘꿈과 희망이 가득한 과학놀이터’로 놀러오세요
국내 최초, 국립어린이과학관 개관 -‘꿈과 희망이 가득한 과학놀이터’로 놀러오세요! - 국립어린이과학관 현황 □ 개요 ○ 舊 서울과학관을 어린이전용 체험 중심의 과학교육·문화 공간으로 개축(2015.9월~2017.11월) - (사업비) 317억원 - (규모) 건축면적 5,611㎡, 전시면적 4,858㎡ □ 추진 경과 ○ 1972. 9월 : 국립서울과학관 개관(창경궁로 215) ○ 2010. 6월 : 서울과학관 본관 부지가 문화재청으로 이전 ○ 2013. 11월 : 원로과학자 청원으로 어린이과학관 추진 □ 주요시설 및 운영계획 ○ (주요시설) 천체투영관, 4D체험관 및 창작놀이터 등 신규 설치, 어린이 눈높이에 맞춘 조작ㆍ체험형 전시품 비중 상향(10%→ 80%이상) ○ (창의교육 및 행사) 코딩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교육과정(40종), 전시연계 문화행사 및 기획전 등을 수요맞춤형으로 기획․개발하여 운영 계획
[ "2013년 11월에서 2017년 11월 간 무엇을 어린이 전용 체험 중심의 과학교육·문화 공간으로 개축할까", "1972년 6월에 무슨 기관의 본관 부지를 문화재청으로 이전했어" ]
unanswerable
bf79b236-27c7-447f-9445-4ea045dd8274
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 2019년 시행계획 마련
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 2019년 시행계획 마련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장관 유영민)는 3월 14일 제9회 국가 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운영위원회를 열어 「제4차 과학기술기본 계획(2018~2022)」(2018.2)의 2018년도 추진실적을 점검하고 2019년도 시행 계획을 수립・확정하였다. ㅇ 2018년에는 「국가연구개발(R&D) 혁신방안(2018.7)」 수립과 ‘과학기술 관계장관회의’ 복원(2018.11)을 통해 선도형 연구개발(R&D)시스템 혁신을 위한 정책기틀과 이행체제를 구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2019년에는 구체적 정책과 사업의 실행으로 성과창출을 가시화해 나간다. ㅇ 먼저, 정책과 투자의 연계강화를 추진한다. 이를 위해 기본계획의 4대 전략별 목표와 70개 세부 추진과제의 체계적 이행을 위해 예산반영이 필요한 분야에 전략적인 연구개발(R&D)예산배분을 추진한다. ㅇ 아울러 4대 전략별 정책적 중요도와 국민 체감도가 높은 추진과제를 중점관리과제로 선정하여 연말 실적점검 시 전문가 심층검토 및 이행관리를 추진할 계획이다.
[ "4대 전략별 사업과 정책의 이행을 위해 국민 체감도 중점관리계획으로 선정된 과제가 몇 개니" ]
unanswerable
96c988c2-bf31-4579-9f22-9a2165a6ab27
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 2019년 시행계획 마련
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 2019년 시행계획 마련 □ 2019년도 시행계획의 4대 전략별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전략 3 : 과학기술이 선도하는 신산업・일자리 창출 > ㅇ 인공지능・빅데이터・5세대(5G) 이동통신 등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반 기술의 고도화 및 기존산업・서비스와의 전면적 융합*을 통해 신산업・일자리를 창출하고, * 주요 융합분야 : 의료, 도시・농어촌, 교통・자율차, 재난안전, 콘텐츠・미디어 등 ㅇ 규제 샌드박스 활성화, 혁신성장동력 분야별 성과 창출을 가속화하기 위한 실증기획 지원과 다중활용기술에 대한 규제발굴 및 제도개선을 추진해 나간다. < 전략 4 : 과학기술로 모두가 행복한 삶 구현 > ㅇ 미세먼지 대응 등 국민생활 문제해결을 위한 연구개발(R&D)을 강화하고 그 결과를 기반으로 실증해 나감으로써 국민이 체감하는 성과를 창출해 나간다. * 미세먼지 기술개발 로드맵에 따른 미세먼지 대응기술개발(건강영향평가 포함)을 확대(2019년 1,127억원)하고, 스마트시티 서비스 고도화 추진
[ "자율차, 스마트시티 등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반 기술 고도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은 몇 년도에 시행됐지" ]
unanswerable
1cbc06e2-7751-45b3-ac65-8992be7d5d2f
ISMS 인증과 PIMS 인증 통합방안 확정
ISMS 인증과 PIMS 인증 통합방안 확정 □ 과기정통부․방통위․행안부는 통합 정보보호 인증제도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인증운영 협의체’를 구성․운영하고, 2018년 상반기까지 부처 간 공동고시 개정(안) 마련․시행할 예정이다. o 다만, 기업들의 인증 준비에 6개월 이상 소요되는 점을 감안, 2018년 시행 이후 6개월간은 기존 인증 또는 통합 인증 제도 간 선택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제도 통합에 따른 기업들의 부담을 경감하기로 하였다. □ 이번 제도 통합은 보안과 개인정보보호를 아우르는 종합적인 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 제도를 수립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o 과거 ISMS와 PIMS 인증 간 유사․중복 항목에 대해 이중으로 인증을 받아야 했던 기업의 비용과 시간 등을 절감함과 동시에, o 기업들의 정보보안 및 개인정보 관리의 수준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 "개인들이 ISMS에 이중 인증받아야 하는 부담을 개선한 제도는 무엇이니", "ISM과 PIMS 인증 간 유사 항목에 대해 이중으로 인증을 받아야 하는 제도는 뭐야" ]
unanswerable
218cab74-f844-470a-85ed-7dc7441b6e35
IoT 융합 실증 사업 공모 추진
“IoT 융합을 통해 스마트홈 등 5대 분야 집중 육성” - 미래부, K-ICT 사물인터넷융합 실증사업 추진 … 3년간 989억원 투자 - IoT 융합 실증 5개 사업 개요 3 중증질환자 After-Care 기술개발 및 실증 □ 주요내용 o 국내 중증질환자 및 외국인 방문환자를 대상으로 After-Care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술 및 서비스 모델 개발 o 환자 건강 정보 및 센서 정보를 활용한 life-log 알고리즘 개발과 이를 활용한 개인 맞춤형 단계적 재활/교육 프로그램 제공 o 중증질환(암, 심장질환) 퇴원환자 대상 After-Care 서비스 실증 및 평가 - 서비스 실증 시나리오 개발 및 임상 시험을 통한 효과성, 안전성 검증 - 실증평가 및 성과 환류를 통한 최적의 After-Care 서비스 모델 발굴 o CT, MRI 등 의료영상에서 개인별 중요·위험 부위를 추출·종합하여 의료진의 신속한 판단을 돕는 3차원 영상 제작 기술 개발 - 중증질환자 퇴원 후 스마트 폰 영상정보 보관 및 응급상황 발생시 영상정보 제공 서비스 제공
[ "미래부는 외국인 퇴원환자를 대상으로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려고 하니", "의료진의 신속한 판단을 돕기 위해 미래부는 어떤 서비스 모델을 발굴하려고 할까" ]
unanswerable
7a843e21-1777-4e16-9952-5dfaf7219a60
최기영 장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일자리 현장간담회 추진
최기영 장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일자리 현장간담회 추진 - 혁신성장 플랫폼 조성, 기술 사업화, 창업지원 등 주요 일자리정책 논의 - □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장관은 12월 12일(목) 서울 세종대학교 컨벤션센터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일자리 현장간담회(주관: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를 가졌으며, 앞으로 민‧관 소통 행보를 이어나갈 예정이다. ㅇ 이번 간담회에서는 중소기업 대표이사, 청년 창업자 등 기업 대표들과 대학총장‧출연연원장 등 공공연구기관 대표를 만나 과기정통부의 일자리 정책의 주요 성과와 향후 정책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그간 과기정통부는 문재인정부 2년 반 동안 “사람 중심의 경제”를 달성하고 일자리의 양적 질적인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우수한 공공기술의 사업화, 과학기술분야 인재의 창업도전 지원, 4차 산업혁명의 인프라인 ‘DNA(Data-Network-AI)’ 플랫폼 조성을 통한 민간 투자 확대 등을 추진해온 바 있다. ㅇ 이와 병행하여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기업의 새로운 인력수요를 반영한 연수 훈련을 구직자에게 제공하여 기업-구직자간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를 위해 노력해 왔다.
[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연수 훈련을 제공한 학교는 어디니" ]
unanswerable
d8a9c0a7-faf8-4fc5-a07b-2acd21cfd794
6세대(6G) 전략회의 개최
6세대(6G), 대한민국이 다시 한 번 앞서나간다「6세대(6G) 연구개발(R&D) 실행계획」수립 << 「6세대 연구개발 실행계획」주요 내용 >> ㅇ 관련하여 올해는 6세대 기술개발의 첫 해인만큼 각 6세대 핵심분야별 기술요구 사항을 정립하고 요소 기술을 설계하는 등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기틀을 닦고 핵심 장비 및 부품 국산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한다. ※ (2021년) 기술요구사항 정립 ⇒ (2022년) 요소기술 설계·구현 ⇒ (2023년)) 요소기술 고도화(기술 간 연계/테스트) ⇒ (2024년) 핵심기술간 연계/테스트 ⇒ (2025년)) 핵심기술 안정화/최적화 ㅇ 또한, 해외 주요국들과 공조체계 마련을 위해 국가 주도의 6세대 선제 연구 중인 미국(NSF), 중국(CAICT), 핀란드(오울루대) 등과 6세대 핵심기술에대한 공동연구 및 6세대 주파수의 국제협력*을 추진하고, 미국 Next G Alliance등의 국제 6세대 민간단체와 국내 5세대 토론회 간의 공동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과 함께 6세대 리더십 확보를 위하여 오는 11월 ‘6세대 세계(6G Global)’ 국제행사도 개최한다. * 미국(2021∼2025년 총 11개 98억), 중국(2021∼2023년, 1개 33억원), 핀란드(2020∼2024년, 2개, 35억원) ** (한)5G 포럼과 (미)Next G Alliance 간의 6G 공동협력을 위한 MoU 체결
[ "2022년 11월에 6세대 세계 국제행사는 어디에서 개최하지" ]
unanswerable
6fd70b86-81a1-4c44-a271-62f8d2bea935
과기정통부, 「세종과학기술인대회」 개최
과기정통부, 「세종과학기술인대회」 개최 - 과학기술유공자와 국내 과학기술인이 소통・교감하는 시간 가져 - □ 이번 행사에서는 후배 과학기술인이 과학기술유공자의 업적을 재조명하여 과학기술유공자에 대해 예우를 갖추는 한편, 과학기술인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 함께 토론하는 시간이 마련됐다. ㅇ 신성철 카이스트 총장,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 박사와 김도연 포스텍 총장이 과학기술유공자 업적에 대한 헌정강연에 나섰고, ㅇ *** 전 KIST 원장은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인의 역할과 다짐에 대해 공유하며 강연을 마무리했다. ㅇ 이와 함께 과학기술유공자, 헌정・특별강연자 및 행사에 참석한 젊은 과학기술인이 함께 참여하는 ‘과학기술인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토론이 있었다.
[ "세종과학기술인대회에서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인의 역할에 대한 강연을 한 포스텍 총장은 누구야", "누가 과학기술 유공자로서 KIST에서 젊은 과학기술인과 과학기술인 사회적 역할에 대해 토론했지" ]
unanswerable
ff029c1f-3533-4da1-91f8-7cbc778e9f1c
제14회 대한민국 인터넷대상 공모
“제14회 대한민국 인터넷대상”공모 - 국내 인터넷 산업 발전·혁신에 기여하는 단체·공로자 발굴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국가산업의 핵심 축을 맡고 있는 국내 인터넷 산업 발전에 기여한 단체 및 공로자를 선정하여 시상하는 「제14회 대한민국 인터넷대상」 공모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o 올해로 14회를 맞는 ‘대한민국 인터넷대상’은 인터넷 분야 최고 권위의 시상으로, 2006년부터 총 197개 단체‧개인에게 시상했다. o 특히, 올해부터 한국인터넷기업협회,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등 인터넷 관련 대표 단체들이 주관 및 후원 기관으로 참여하게 되어 명실상부한 국내 최고의 인터넷 관련 행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제14회 대한민국 인터넷대상은 몇 년도에 열렸니", "몇 년도부터 한국인터넷기업협회가 대한민국 인터넷대상 후원 기관으로 참여하게 되었니" ]
unanswerable
ea214d03-3ff9-4269-8edc-c3ad1812e7ad
이달의 엔지니어상 5월 수상자 선정
‘이달의 엔지니어상’ 5월 수상자 선정 - 한국도키멕㈜ *** 부장, 제일모직㈜ *** 팀장 - □ 제일모직㈜ *** 팀장은 스마트 IT 기기의 내·외장용 부품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소재를 개발하였다. 최근 디스플레이의 대형화, 박막화 추세가 두드러지면서 IT 기기의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 팀장이 개발한 소재는 충격이 강하면서도 가공이 용이하여 삼성전자 갤럭시 시리즈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에 적용 되었으며, 다양한 글로벌 기업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o 임 팀장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발광다이오드(이하 LED) 반사컵 (LED Reflector)용 복합소재의 국산화에도 공헌하였다. LED 칩에서 나온 빛을 외부로 반사시켜 발광 효율을 높이는 패키지 기술은 LED 산업의 큰 축을 담당한다. 임 팀장은 다양한 종류의 LED 반사컵용 고내열성 복합소재 개발에 성공하였으며, 이 중 고내열 폴리에스터계(PCT) 복합 소재는 우수한 품질로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 ※ LED 반사컵(LED Reflector) : LED 칩에서 나온 빛을 외부로 반사시키는 구조물 ※ PCT(Poly 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 열가소성 엔지니어 플라스
[ "PCT소재의 패키지를 기술을 국산화에 성공해 세계 시장 점유율 1을 차지한 한국 회사는 어디니", "반사컵의 내충격성을 강하게 만들어 다양한 글로벌 기업에서 수입하게 만든 소재 개발 회사는 어디니" ]
unanswerable
91cd81c3-875f-4804-9dc4-447eb504fad1
과학기술 옴부즈만 지원 현황
『과학기술규제개선 옴부즈만』경쟁률 후끈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 최문기)는 과학기술규제개선 옴부즈만 지원자를 접수한 결과 5.6대 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o 과학기술규제개선 옴부즈만은 지난 2월 5일부터 10일 간 온라인을 통해 모집했는데, 10명 모집에 56명이 접수해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 총 지원자 가운데 산업계가 33명으로 가장 많고, 연구계 14명, 학계 9명이었다. 과학기술규제개선 분야별로는 신산업화 분야 18명, 연구개발 17명, 창업 13명, 인프라 8명 순으로 지원했다. o 한편, 학위별 지원자는 석․박사급(박사 28명, 석사 21명)이 49명으로 규제개선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 미래창조과학부는 당초 18일 옴부즈만 대상자를 선정할 계획이였으나, 과학기술규제개선 옴부즈만 지원자가 모집인원을 초과함에 따라, 면밀한 서류심사를 거쳐 오는 25일 최종 대상자를 결정할 계획이다.
[ "어느 부처에서 과학기술규제개선 옴부즈만 지원자를 14일 동안 온라인으로 모집했는가" ]
unanswerable
08a4ead8-b2fb-4fd2-a205-705dde7f8cec
기업을 위한 글로벌 나노안전 대응전략 설명회
한국정보화진흥원 대구 본원 신청사 개청식 개최 - ‘ICT로 미래로’새로운 도약, 지역사회 공헌 노력 다짐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 산하 공공기관인 한국정보화진흥원(원장 서병조, 이하 ‘NIA’)은 9월 1일(화) 오후에 대구혁신도시에 위치한 대구 본원에서 신청사 개청식을 개최했다. ㅇ 이날 개청식에는 미래부 최재유 차관, 유승민 지역구의원, 김연창 대구광역시 경제부시장, , 우동기 대구시 교육감, 유관기관 및 대구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장 등 4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진행되었으며, 제주혁신센터로 이전한 제주글로벌센터 임직원들도 양방향 생중계를 통해서 개청식에 함께 참여하였다. ㅇ 주요내용으로는 지방이전을 계기로 NIA가 ‘ICT로 미래로’ 새로운 도약과 지역사회 공헌을 다짐하는 영상 소개, NIA원장 기념사, 주요내빈 축사, NIA 임직원과 가족이 함께 참여해서 만든 타일아트 제막, 테이프커팅 등이 진행되었다.
[ "9월 1일에 어느 기관이 제주혁신센터에서 신청사 개청식을 개최했니", "어느 기관의 임직원 400여명이 미래부 장관과 함께 새로운 도약과 지역사회 공헌을 다짐하는 영상을 찍었지" ]
unanswerable
a28203a2-ce71-46fc-a50d-d59a81a4f996
데이터 규제 혁신, 청사진이 나왔다
데이터 규제 혁신, 청사진이 나왔다. - 11.15일, 개인정보 보호 관련 3개 법률 개정안, 국회 발의 완료 - □ 이번 법률 개정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첫째, 데이터 이용 활성화를 위한 가명정보 개념을 도입하였다. - 해외 선진국(EU, 미국, 일본 등)의 경우에도 개인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가공하여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도록 한 후, 각종 연구․개발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법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 이에 우리나라도 추가정보 없이는 특정 개인을 알아 볼 수 없는 ‘가명정보’ 개념을 도입하고, 새로운 기술․제품․서비스의 개발 등 산업적 목적을 포함하는 과학적 연구* 등의 목적으로 적절한 안전조치 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며, 개인을 식별할 수 없도록 보안시설을 갖춘 전문기관을 통해 데이터 결합이 허용된다. * 기술개발과 실증, 기초연구, 응용연구 및 민간투자연구 등 과학적 방법을 적용하는 연구 ○ 둘째, 관련 법률의 유사․중복 규정을 정비하고 추진체계를 일원화하는 등 개인정보 보호 거버넌스 체계를 효율화하였다. - 그간 개인정보 보호 관련 법령은 「개인정보 보호법」,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신용정보의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등으로, 감독기구는 행정안전부, 방송통신위원회, 금융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으로 각각 분산되어 있어 체계적 정비 필요성이 각 계로부터 제기되어 왔다. - 이에, 개인정보의 오․남용 및 유출 등을 감독할 감독기구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로 일원화되며, 유사·중복 규정 등은 「개인정보보호법」에 맞추어 정비*할 계획이다. * 정보통신망법은 유사․중복 규정을 개인정보보호법으로 이관하며, 신용정보법은 금번 개인정보보호법 개정 내용에 맞추어 정비
[ "개인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각종 연구, 개발 등에 활용하기 위해 EU가 도입한 개념은 뭐야", "한국은 어떤 개념을 도입하여 개인정보 보호 거버넌스 체계를 개정했지" ]
unanswerable
d64de072-3730-4768-8e45-19adeba1e28d
경상남도, 경남형 제조혁신의 발전적 해법 찾아 독일, 프랑스 방문
경상남도, 경남형 제조혁신의 발전적 해법 찾아 독일, 프랑스 방문 아헨공과대학교 소개 ❑ 공과대학으로 유명한 아헨대학 독일 중서부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 작은 도시 아헨에 위치한 ‘RWTH 아헨공과대학(Rheinisch Westfalische Technische Hochschule Aachen, 이하 아헨공대)’은 재학생의 42% 이상을 차지하는 공대가 주축이지만, 의대와 인문대, 사회대도 있는 종합대학이다. 대학구성: 9개 학부 106개 학과에 260개 연구소를 갖추고 있으며, 42,298명의 학생이 재학, 9,000명의 직원이 재직 중 예산규모: 한 해 9억 유로의 예산을 자랑하는 유럽 내 최대 규모의 공과대학 독일 기업체 임원 5명 가운데 1명은 이 대학 출신이라는 설문조사 결과가 있을 정도의 엘리트 양성소로 알려져 있다. 세계 최대 스포츠카 브랜드인 포르셰의 전 회장 벤델린 비데킹(Wendelin Wiedeking)과 메르세데스 벤츠 아시아 지역 부사장 ****(*** *. *******)도 아헨공대 기계공학과 출신이다. 국내에서는 1968년 아헨공대에서 기계금속 석사학위를 ​받은 故허영섭 녹십자 전 회장이 2002년 외국인으로는 처음으로 아헨공대를 대표하는 원로자문회의의 명예시네이터(Ehrensenator)에 임명되기도 했다.
[ "프랑스의 작은 도시 아헨에 위치한 아헨공과대학은 몇 개의 학부가 있는 종합대학이야", "재학생의 42 퍼센트 이상이 인문대인 아헨공과대학교는 몇 개의 연구소를 갖추고 있니" ]
unanswerable
40bc2ed9-1f4e-4b1f-b5f9-646afe2f5862
2019 세종과학기술인대회 개최
2019 세종과학기술인대회 개최 -과학기술유공자 업적 재조명 및 사람중심의 과학기술정책의 성과와 과제 논의 - □ [정책포럼]에서는 이영무 한양대학교 전 총장이 ‘과학기술과 혁신성장’ 이라는 주제로 사람중심의 과학기술 현황과 성과에 대해 발표하고, 연구 풍토 개선, 고급인력 양성, 교육 혁신 등에 대해 제언하였다. ㅇ 이어진 세션토론에서는 박상열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원장, 서정선 한국바이오협회 회장, 이석봉 대덕넷 대표, 문애리 덕성여자대학교 교수가 ‘연구개발 혁신과 포용성장’, ‘미래인재와 연구윤리’에 대해 논의하였다. ㅇ 또한, 과학기술유공자, 차세대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회원 등이 과학기술정책과 과학기술인의 역할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 "2019 세종과학기술인대회에서 과학기술유공자인 누가 과학기술정책과 과학기술인의 역할에 대해 의견을 제시했지" ]
unanswerable
9054187c-975f-4099-a3ef-1d5bdcb0c9ef
내년(2018년)부터 스마트폰에서 FM 라디오 수신 가능해진다!
내년(2018년)부터 스마트폰에서 FM 라디오 수신 가능해진다! - 국민들의 재난 방송 수신 환경 개선과 통신비 절감에 기여 - □ 지난 2016.9월 경주 지진 발생 이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 위원회는 국민들의 재난 대응 능력 향상을 위해 스마트폰에 FM라디오 수신 기능을 활성화 할 것을 요구해 왔으며, 과기정통부에서는 이후 단말기 제조사, 이동통신사와 함께 FM 기능 활성화방안을 논의해왔다. ㅇ 과기정통부는 입법화를 통한 의무화는 무역협정 이슈, 외산 스마트폰 의무화 적용이 현실적으로 어려움에 따른 소비자 선택권 축소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과 국제 동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국회와 함께 사업자 자율적으로 FM 라디오 기능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해 왔다. ㅇ 당초, 라디오 기능 장착에 따른 데이터 이용 감소를 우려하여 이동통신사가 부정적 입장을 견지할 것이라는 분석이 있었으나, 이동통신사도 FM 라디오 방송이 가지는 재난방송으로의 수신 강점,라디오 청취 인구 등을 고려하여 과기정통부와 함께 제조사에 FM 라디오 기능 활성화의 필요성을 수차례 요구한 바 있다.
[ "무역협정 이슈에 따라 어디가 단말기 제조사와 스마트폰 기능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어", "통신비 절감을 위해 어떤 기관이 이동통신사에게 소비자 선택권 적용의 고려를 요구했어" ]
unanswerable
550b6656-de7a-4bbe-9c97-33be35a376fa
대구연구개발특구 창업캠퍼스 개소, 민간.공공 협력으로 대경권 창업지원 본격화
대구연구개발특구 창업캠퍼스 개소, 민간ᆞ공공 협력으로 대경권 창업지원 본격화 대구연구개발특구 창업캠퍼스 개소식 개최 계획 □ 목적 ㅇ 지역의 민간·공공기관 혁신주체간 상생협력모델 구축을 통한 지역 혁신기업 육성 및 기술창업 활성화 촉진 □ 행사개요 ㅇ (일시/장소) 2019년 9월 6일(금) 11:00~13:00/대구은행 제 2본점 5층 ㅇ (참석자) 과기정통부(차관), 국회의원, 대구은행장, 대구부시장, 대구경북 주요 기관장,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이사장 등 산ㆍ학ㆍ연 관계자 150여명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5층에서 기술창업 활성화 촉진을 위해 어떤 개소식이 개최되지", "과기정통부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의 상생협력 모델 구축을 위해 2019년 9월 6일에 어떤 개소식이 개최되니" ]
unanswerable
65e5fc20-2aed-47db-86e2-eac35796a92b
2015년 초고화질(UHD) 콘텐츠산업 육성 가속화
미래부, 초고화질(UHD) 콘텐츠산업 육성 가속화 - UHD 콘텐츠 제작펀드를 통해 24편 최종 선정 - □ 하반기에는 완성도 높은 기존 제작물(영화, 드라마 등)의 리마스터링사업을 지원함으로써 부족한 UHD 콘텐츠의 양적 확보와 함께, 후반제작 업체의 기술력 향상을 통한 국내 UHD 콘텐츠의 질적성장도 도모할 계획이다. ※ 리마스터링 : HD로 제작된 프로그램이나 필름영화를 UHD로 컨버팅하는 작업으로 ① HD→UHD 자동 컨버팅→② 편집 및 색보정→③ UHD콘텐츠 생산 과정을 거침 □ 또한 미래부는 금년 10월 프랑스 칸느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콘텐츠 마켓(MIPCOM)에 참가하여 UHD 콘텐츠 공동 비즈니스 상담을 진행하고 적극적으로 판매활동을 지원하는 등 국내제작 콘텐츠의 우수성을 전 세계에 알릴 계획이다. ㅇ 미래부는 지난해에도 MIPCOM에 참가, 우리나라의 다양한 UHD콘텐츠 제작역량을 전 세계에 널리 알리며 차세대 방송용 콘텐츠의 강국으로 발돋움 하였으며, 30만 6천 달러 규모의 판권판매와 458만 달러 규모의 공동제작을 유치한 바 있다. ㅇ 금년 11월에는 종전 TV단막극 페스티벌을 통합해 “제5회 Korea UHD Festival 2015”를 개최, 중국 등 아시아 주요국 관계자들을 초청한 자리에서 ‘2015 대한민국 UHD 콘텐츠 대상 시상식’, ‘비즈니스 미팅’ 등을 통해 올해 사업성과를 대내외에 확산시키고 우수 UHD 콘텐츠 제작지원작들을 홍보할 예정이다.
[ "어느 기관이 2015년 10월 중국에서 개최된 세계 최대 콘텐츠 마켓에 참가하여 비즈니스 상담 등을 진행했지" ]
unanswerable
af15b579-7b63-4f2c-aff0-d7e458a6fdc5
「국가연구개발 혁신을 위한 특별법」 대토론회 개최
「국가연구개발 혁신을 위한 특별법」 대토론회 개최- 자율과 책임의 과학기술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제도적 기반으로서 특별법의 제정 필요성 논의 - □ 이어지는 주제발표에서는 이승복 교수(서울대)와 *** 본부장(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 특별법안의 주요내용을 소개하였다. ㅇ 법안에서는 연구 자율성 강화를 위해 1년 단위의 잦은 과제 평가와 정산을 단계별(보통 2~3년) 수행으로 변경하고, 물량×단가 중심의 비현실적이고 경직적인 연구비 계획 요구를 보다 유연하게 개선하는 내용이 포함되었다. 또한, 연구자가 아닌 연구지원 전담조직․인력이 연구행정을 수행토록 하는 ’연구-행정 분리‘를 명시하였다. ㅇ 이와 함께, 논문부정행위, 연구비 부정사용, 연구성과․보안규정 위반 등을 국가 R&D 부정행위 범위로 규정하여 국민들의 눈높이에 부합하는 연구 책임성을 확보토록 하였다. 또한 부정행위에 대한 제재는 다소 강화하되, 제재에 이의가 있을 경우 제3의 기관에서 재검토를 하는 등 연구자 권익을 제도적으로 보장하는 내용이 반영되었다. ㅇ 아울러 특별법을 모든 정부 R&D 사업에 적용함으로써 정부 R&D 사업의 공통 기준과 원칙을 확립하고, 범부처 공동의 통합정보시스템을 통해 보다 편리하고 투명한 연구행정 시스템을 구축․운영하는 내용도 법안에 담겨 있다.
[ "무엇을 위해 물량과 단가 중심으로 연구비 계획요구를 유연하게 개선하기로 했니" ]
unanswerable
b8b426ae-2f87-4eb6-abca-a68be6c0d45a
제2차 콘텐츠 창의생태계 협의회 개최
제2차 콘텐츠 창의생태계 협의회 개최 미래부․문체부 합동 ‘스마트콘텐츠산업 육성전략’ 발표 2017년까지 시장규모 5조원 달성, 창의적 강소기업 500개 육성 추진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 이하 미래부)와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진룡, 이하 문체부)는 11월 12일(화) 7시 30분, 대한민국 역사박물관에서 양 부처 장관 공동 주재로 제2차 콘텐츠 창의생태계 협의회를 개최하였다. ※ 제1차 협의회(10.7) : (주)카카오 상생계획 발표, 협의회 정례화 등 논의 o 네이버․카카오 등 국내 대표 유통․플랫폼 기업과 콘텐츠 기업, 유관기관 대표 등 20여명이 참석한 이날 회의에서는 미래부와 문체부가 함께 마련한 스마트콘텐츠산업 육성전략을 발표하고, 업계 의견수렴과 자유로운 토론이 이어졌다.
[ "제2차 회의에서 카카오 육성전략 발표와 협의회 정례화 등을 논의한 협의회는 뭐야", "2017년까지 스마트콘텐츠산업 육성전략으로 네이버와 카카오가 공동 주재로 개최한 것은 뭐지" ]
unanswerable
a8c52ae0-cef6-47fd-abba-1eebe1203da0
정부 1차 추경 확정 관련 과기정통부 주요 사항
정부 1차 추경 확정 관련 과기정통부 주요사항 - 바이오 데이터 엔지니어 양성, 인공지능 데이터 구축, 디지털 전환, ICT창업기업 지원 등 총 1,050억원 증액 Ⅲ. 사업별 주요내용 3. ICT 창업기업 ICT혁신기업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ICT 창의기업 육성(혁신기술기반 벤처성장 지원), 2021년 추경 : 16.2억원) □ (사업내용) 선배 벤처기업인들의 경험과 노하우로 청년창업가의 기술·경영 애로사항 등을 진단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하여 ICT창업기업 성장 ㅇ (지원내용) 전담멘토링, 선도기업 비즈니스 미팅, 데모데이, 투자 아카데미, 투자자 네트워킹, 실전창업교육 등 □ (예산안) 2021년 본예산 1,999백만원, 추경 1,620백만원 * 본예산 : 전담멘티기업 200개 지원, 추경예산 : 전담멘티기업 175개 지원 □ (기대 효과) ICT 창업기업에 대한 멘토링 프로그램 지원을 확대하여 ICT 창업기업 성장 및 일자리 창출 촉진
[ "바이오 데이터 엔지니어 양성을 위해 과기정통부가 ICT 청년창업가들에게 추경예산을 통해 지원한 내용은 뭐니", "인공지능 데이터 구축 투자를 위해 과기정통부가 본예산을 지원한 멘토링 프로그램의 내용은 뭘까" ]
unanswerable
fcad4c52-4e5a-4fa0-ae2a-7f614f9bb794
세계최초 암 치료용 박테리아 나노로봇 개발
암 치료용 박테리아 나노로봇 세계최초 개발 □ 국내 연구진이 고형암*의 진단 및 치료가 동시에 가능한 박테리아를 이용한 의료용 나노로봇(박테리오봇*)을 개발하고 동물실험을 통해 그 타당성을 입증하여 대표적인 난치성 질환인 암을 치료할 수 있는 능동형 약물전달체 방법론을 제시하고 한국의 높은 의료용 마이크로/나노로봇 기술 경쟁력을 입증하였다. 기존의 수동형 나노약물입자가 아닌 능동형 의료용 나노로봇으로는 세계최초 사례이다 *고형암 : 대장암, 유방암, 위암, 간암, 췌장암등 고형장기에 발생하는 암 *박테리오봇(Bacteriobot) : 박테리아의 인식, 운동, 치료성능과 약물 전달체의 치료성능이 결합된 새로운 개념의 능동형 의료용 나노로봇 o 박테리오봇 크기 : 직경 3 μm o 과학전문지 ‘Nature’ 자매지 ‘Scientific Reports’ 12월 최신판 발표 o 박테리오봇 국제원천특허 확보 (등록/출원 : 국외 10건, 국내 23건) o ‘박테리오봇’ 용어 상표등록출원 (***/***, 41-2012-0041720)
[ "고형암의 진단 및 치료가 가능한 나노약물입자를 이용한 의료용 나노로봇을 뭐라고 하지" ]
unanswerable
4375540e-e40c-4700-9a5e-791b0b399726
UHD 방송발전 연구반 구성
미래부-방통위, UHD방송 발전을 위한 본격 논의 시작 - 협의체 운영을 통해 UHD방송 종합 발전방안 마련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와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이경재)는 차세대 방송산업의 핵심 성장동력으로 부각되고 있는 UHD방송*을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종합 발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양기관 공동으로 ‘UHD방송 추진 협의체’를 구성하고 10월 16일(수) 15시, 프레스센터에서 첫 전체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UHD(Ultra High Definition)방송 : 기존 HD방송보다 4~16배 선명한 화질과 다채널(10 채널 이상) 음향을 제공하여 사실감과 현장감을 느낄 수 있는 차세대 방송
[ "미래창조과학부가 HD방송의 다채널 음향 제공을 위해 개최한 회의가 뭐니", "방송통신위원회가 HD방송의 화질의 발전을 위해 추진한 회의가 뭘까" ]
unanswerable
f05d3d4c-268b-4ec4-a9aa-5c64fcd8a081
국립과천과학관, 세계 양서·파충류 특별전시
국립과천과학관, 세계 양서·파충류 특별전시 - 8.15∼9.1, 살아있는 양서파충류 60여종 200여 마리 - □ 건조 기후, 온난 기후, 습한 기후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하는 희귀한 거북이들도 전시된다. 초식을 하는 육지거북, 물과 육지를 오가며 적의 위협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껍데기에 완전히 숨을 수 있는 골든코인상자거북, 민물과 바닷물이만나는 기수지역에서 서식하는 수생거북까지 다양한 거북이들을 만나볼 수 있다. ㅇ ‘알다브라 자이언트 육지거북’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크게 자라는 거대한 육지거북이다. 아프리카 세이셸섬에 서식하며 1m에 육박하는 검은색의 거대한 몸과 엄청난 먹성, 100년이 넘는 수명을 자랑한다. 육지거북이지만 물을 좋아해서 물가에서 자주 발견된다. 코끼리를 닮은 육중한 발 때문에 ‘알다브라 코끼리 거북’이라는 이름으로도 자주 불리운다. ㅇ ‘아쌈 루프 터틀’은 상어같이 생긴 등갑 모양이 독특한 반수생거북이다. 상어의 핀 같은 뾰족한 등갑은 적의 위협으로부터 방어와 공격을 할 수 있는 수단이다. 암컷이 수컷에 비해 5배 이상 덩치가 크다. ㅇ ‘다이아몬드백 테라핀’은 세계에서 가장 사랑받는 기수 거북 중 하나이며 바닷물과 민물이 만나는 기수지역에서 서식한다. 아름다운 등갑 모양과 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맛 때문에 개체 수가 급감했다.
[ "암컷이 수컷에 비해 5배 이상 덩치가 큰 육지거북으로 1미터에 육박하는 거대한 거북은 뭐지", "세계에서 가장 사랑받는 육지 거북 중 하나이며 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개체 수가 급감한 거북은 뭐야" ]
unanswerable
95f21850-1ca4-4736-bf92-b95dc6483a10
과학기술 50년 현재와 미래 심포지엄
미래부,「과학기술 50년, 현재와 미래」 심포지엄 개최 - 과학기술 반세기 발자취에서 미래를 본다 - □ 두 번째 세션에서는 ‘미래 100년을 위한 한국 과학기술의 발전방향’을 주제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오상록 분원장의 발표가 이어진다. ㅇ 4차 산업혁명이라는 변화 앞에서 가속화되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한국 과학기술의 현위치, 우리의 과학기술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 새로운 시대를 위한 인재상‧인력양성 방안도 제시한다. ㅇ 아울러 과학기술 연구개발이 미래 프런티어 연구와 문제해결형 연구에 집중해야 함을 강조하고, 통일에 대비한 과학기술 정책을 준비해야 함을 제언한다. □ 미래부 홍남기 차관은 축사를 통해 “과학기술인의 노력이 더해져 지난 50년의 성장을 이룬 것처럼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도 여러분들이 혁신과 융합을 선도해 주시길 바란다” 면서, “정부도 연구자 친화적 연구 환경, 현장 중심의 정책 강화를 통해 물심양면으로 지원해 나갈 것” 이라고 밝혔다.
[ "과학기술 100년 현재와 미래 심포지엄에서 누가 과학기술의 발전에 대한 정부 지원 방안을 제시했지", "과학기술 50년 심포지엄에서 과학인들이 새로운 시대를 위한 인력양성을 선도해 주길 바란다고 누가 그랬을까" ]
unanswerable
4a70c499-634f-4056-840c-0fd74495eef8
미래부 장관 기술사업화 현장방문
미래부 최양희 장관, 기업 현장중심의 기술사업화 가속화 □ 미래부 최양희 장관이 공공기술기반으로 질 높은 기술혁신을 수행하는 기업 현장을 방문하여 공공기술사업화 기업 육성 계획을 밝히는 등 기술사업화 성과창출을 위한 정책 추진을 가속화하고 있다. ㅇ 미래창조과학부는 최양희 장관이 14일 오후 판교 글로벌 연구개발(R&D)센터에서 한국과학기술지주·미래과학기술지주* 자회사 대표들과 현장간담회를 갖고, 한국과학기술지주 자회사 중 하나인 ㈜ 퓨처로봇(대표 : 송세경)을 방문, 관계자들을 격려하였다고 밝혔다. * 한국과학기술지주 : 출연(연) 공동, 미래과학기술지주 : 과기특성화대 공동
[ "미래과학기술지주 자회사 중 하나인 퓨처로봇 송세경 대표와 현장간담회를 가진 사람은 누구야" ]
unanswerable
ea49f9ee-e3fc-4b1c-8924-1e44c6490a36
암 전이 일어나는 유전자 경로 밝혔다
암, 전이 일어나는 유전자 경로 밝혔다 - 암세포 전이 억제 ․ 촉진하는 단백질 조절하면 전이암 예방 가능해져- 연구결과 개요 1. 연구배경 암 치료가 실패하는 주된 원인은 암의 전이이다. 원발암을 수술이나 ​방사선 치료로 제거하여도 이미 다른 곳으로 옮겨간 암이 있다면 환자의 생존율은 현저히 낮아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개발된 대부분의 항암제와 방사선 치료법은 암세포 살상을 목표로 할뿐, 암 전이 방지를 겨냥한 효과적인 기술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를 위해서는 암이 전이되는 기본 원리부터 이해할 필요가 있으나 이에 대한 정보도 아주 부족한 실정이다. Complex I은 세포의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이고 p21은 세포의 성장을 조절하는 단백질로 알려져 있다. 많은 암세포에서 complex I과 p21의 변이가 관찰되는 것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들과 암 전이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 "세포의 성장을 조절하는 효소는 무엇이니", "어떤 단백질이 세포의 에너지 대사에 관여할까" ]
unanswerable
9e272751-b605-438c-826b-96cd590ce3f5
스마트제조 RnD 로드맵 추진위원회 발족식 계획
제조업 혁신을 촉진하는 스마트 제조기술 개발 추진 - 미래부-산업부 공동, 스마트 제조 연구개발(R&D) 중장기 로드맵 추진위 발족 - □ 「제조업혁신 3.0전략*」의 후속조치로써 스마트제조 기술 개발을 체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스마트제조 연구개발(R&D) 로드맵 추진 위원회(이하 추진위)’가 4.30일 발족하였다. * 제조업의 스마트혁신 추진하기 위한 전략으로 제7차 무역투자진흥회의(2015.3월)를 통해 확정되었으며, 역동적 혁신경제와 주력산업고도화를 위한 실천계획임 ㅇ 동 추진위(위원장 : *** 서울대 공대 학장)는 미래부-산업부 공동으로 구성하였으며, 제조업의 스마트혁신을 촉진할 8대 스마트제조기술* 관련 산학연 전문가 70여명으로 구성한다. ㅇ 추진위는 약 6개월간 8대 기술별 분과 활동을 통해 로드맵을 완성하고 11월중 스마트제조기술 개발 및 전략적 투자 방향을 제안할 예정이다. □ 이번 로드맵*은 2020년에 8대 기술을 통해 구현가능한 제조업 미래상을 구상하고, 이를 위한 요소 기술개발 영역 도출 및 시장창출이 가능한 수요연계형 기술개발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 "스마트제조 기술 개발을 체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제7차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발족한 위원회는 무엇이야", "2015년 3월에 제조업혁신 3.0전략의 후속조치로 미래부와 서울대가 공동으로 구성한 위원회는 무엇이지" ]
unanswerable
70cd6782-53d3-4b6f-80c4-baca8b7aafb1
제2회 SW 마에스트로 퓨처스 과정 운영
소프트웨어(SW) 마에스트로, 미래 인재양성을 위해 재능기부 나선다. - 제2회 소프트웨어(SW) 마에스트로 퓨처스 과정 운영 - 제2회 SW 마에스트로 퓨처스 과정 개요 □ 개요 ㅇ 일시/장소 : 7월 23일(목) ~ 25일(토)/SW 마에스트로센터 등 ㅇ 주최/주관 : 미래창조과학부/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한국정보산업연합회 □ 주요내용 ㅇ (멘토와의 대화) 현재 SW 마에스트로 과정 멘토로 활동중인 유명 SW 기업인 개발자와의 대화의 시간 마련 ㅇ (SW 개발) 학생 4명을 한 팀으로 구성, 주니어 멘토의 지도하에 프로젝트 교육․개발을 진행하고, 우수 팀(5팀)에 대해서는 포상 ㅇ (기업 탐방) 네이버그린팩토리(50명), 안랩(25명), 스마일서브(25명) 탐방
[ "네이버그린팩토리는 SW 마에스트로센터에서 무엇을 운영하고 있어" ]
unanswerable
f365ba12-e703-498f-a275-1ff729f3557d
연세대학교 전파연구센터 개소
전파기술 연구 및 산·학·연 협력거점 역할 강화 - 미래창조과학부, 연세대학교에 전파연구센터(RRC) 개소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연세대학교(총장 정갑영)에 전파기술 연구 및 산·학·연 협력을 위한 거점 역할을 수행하는 전파연구센터(Radio Research Center, RRC)를 개소한다고 밝혔다. ㅇ 연세대학교 전파연구센터(센터장 김성륜, 이하 센터)는 지난 2014년에 개소한 광운대학교 전파연구센터에 이어 두 번째로 개소한 센터이며, ㅇ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이엔씨테크놀로지, 텀즈 앤 디스크립션즈, ㈜지에스인스트루먼트가 함께 센터의 일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 센터는 미래부로부터 3년간 총 15억 원을 지원받고 민간에서 약 8.5억 원을 투자받아 늘어나는 주파수 수요에 대비하기 위해 주파수 감지를 통해 주파수 이용 현황을 파악하여 효율적 주파수 활용 기반을 구축하는 연구*를 수행한다. * 과제명 : 주파수 센싱 기반의 스펙트럼 관리 및 미래전파통신 플랫폼 연구 ㅇ 또한, 국내·외 대학, 기업, 연구기관 등과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연구개발을 위한 협력, 관련기술 교류 및 연구거점의 역할을 맡게 되며, ㅇ 기업체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신기술 및 데모 시연을 위한 워크숍·세미나 개최, 기술이전·사업화 등을 통해 새로운 전파 기술을 보급·확산시키는 역할도 수행할 예정이다. □ 미래부 전성배 전파정책국장은 “무선통신과 다양한 산업 간 융합이 가속화되면서 전파에 대한 수요는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산-학-연 간 유기적인 협력을 통한 연구개발(R&D)이 필수”라고 강조하며, ㅇ “연세대학교 전파연구센터가 늘어나는 전파 수요를 해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끝.
[ "미래부는 서울대학교에 전파기술 연구 및 산, 학, 연 협력을 위해 거점 역할을 수행하는 어떤 기관을 개소했어", "어떤 기관이 미래부로부터 3년간 총 8.5억 원을 지원받고 민간에서 약 15억 원을 투자받아 연구를 수행하지" ]
unanswerable
d811f8e6-a7e5-4b02-aec3-9ae5b6d5d645
제2회 골드버그대회 결과 발표
「제2회 국립과천과학관 골드버그대회」성황리 개최 T.O.P팀(서울안평초), 작전명골드버그팀(용인흥덕중), Microcosm팀(용인흥덕고) 으뜸상 수상 □ 국립과천과학관(관장직무대리 오태석)은 2013년 제2회 국립과천과학관 골드버그대회가 8월 14일(수) 과천과학관 어울림홀에서 성황리 개최되었다고 밝혔다. ○ 이번 대회는 예선서류심사*를 통해 35개 팀 총 140명이 본선에 참가 했으며, ‘미래도시에 우주선을 착륙 또는 이륙시켜라’ 라는 대회과제를 성공시키기 위해 참가자들은 제한시간(300분)동안 자신들의 기량을 유감없이 발휘하여 골드버그 장치를 제작하였다. ※ 예선/발표 : 5.20∼6.10_213팀 접수(1,000여명)/ 6.17_36팀 선발(144명,초10,중10,고16팀) ○ 대회 결과, 초등부 T.O.P팀(서울안평초), 중등부 작전명골드버그팀(용인 흥덕중), 고등부 Microcosm팀(용인흥덕고)이 과제수행에 성공했을 뿐 아니라 완성도가 뛰어나 으뜸상인 미래창조과학부장관상(부상 문화 상품권 100만원)을 수상했고, 그 밖에 창의상(3팀 부상 50만원), 미래상(부상 30만원) 등 푸짐한 상과 부상이 참가자들에게 주어졌다. ○ 또한 이번 대회에서는 골드버그장치 자체에 대한 미학성 또는 창의적 아이디어 등이 돋보이는 장치에 대하여 추가로 특별상을 수여하였는데 초등부 24k팀(용인구성초), 중등부 나비효과팀(대전내동중), 고등부는 EMP팀(서울대성고)에게 돌아갔다. - 이번 특별상 심사위원은 창의적 사고를 바탕으로 도전적인 활동을 하고 있는 고산 대표(저명우주인, tide institute 대표)와 하태석(Scale 대표) 건축가는 - 심사평을 통해 “상상속에 펼쳐진 아이디어를 3차원 공간 속에 잘 구현해내고 그 아이디어들의 디테일이 살아있는 작품을 보게 되었다”라고 평하고, “이 대회가 청소년들이 몰입할 수 있고 과학 원리를 자연스럽게 체득한다는 점에서 매우 매력적인 대회”라고 밝혔다. ○ 한편, 부대행사로 진행된 가족골드버그대회의 우승팀 ‘동방의 쌍둥이별’ 팀은 “골드버그장치를 만들기 위해 가족이 함께 이런저런 방법들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가족의 단결을 다시금 확인하게 되었고, 또 과제인 깃발이 올라갈 때 그 희열감은 아이들 뿐 아니라 어른인 우리도 잊지 못할 것 같다”고 전하였다.
[ "과천과학관에서 열린 어떤 대회의 예선에 총 36팀이 접수했어" ]
unanswerable
2e8ce76f-761e-438a-8936-399d34e0896c
2014년 과학기술창의상 선정
2014년도 과학기술창의상 수상기관 선정 - 한국과학기술연구원(대통령상), 고려대학교(국무총리상), 한국생명공학연구원(장관상)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은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혁신적인 개발을 통해 국가 과학기술 발전을 선도한 기관에게 수여하는 2014년도 「과학기술창의상」 수상기관으로 ▲한국 과학기술연구원(대통령상) ▲고려대학교(국무총리상) ▲한국생명공학 연구원(장관상) 등 3개 기관을선정하하였다. □ 영예의 대통령상에는 미래 맞춤의학을 준비하는 테라그노시스 연구 분야를 개척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이 선정 되었다. ○ 치료를 뜻하는 테라피(therapy)와 진단을 뜻하는 다이어그노시스(diagnosis)를 합성한 테라그노시스는 나노융합 물질을 이용한 질병을 조기 진단하는동시에 질환 맞춤형 의약품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치료하는 기술분야로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분자영상기술로 진단할 수 있는 질병영역을 넓힐 수 있는 나노조영제 물질을 개발하고 암세포에만 항암제를 전달하는 나노약물전달체를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어떤 연구 분야를 개척해서 대통령상을 받았니", "고려대학교는 미래 맞춤의학을 준비하는 어떤 분야의 공로를 인정받아 과학기술창의상 수상기관으로 선정되었어" ]
unanswerable
7a73938b-8df6-4ab3-9b35-a939dcc2572a
다목적위성 3A호 본격운영 착수
다목적실용위성 3A호 본격 운영 착수 - 국내기술의 서브미터급 고해상도 위성영상 전세계 보급 추진 - □ 미래창조과학부는 재난재해, 국토․해양관리, 환경 및 해양오염분석, 작물재배 및 생산량 분석, 산불피해 분석 등의 국가 공공목적의 수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항우연의 ‘국가위성정보활용센타’를 중심으로 ‘위성정보활용협의체’에 가입된 중앙부처 및 공공기관 등에 무료로 위성영상을 제공할 계획이다. □ 또한, 2015년 현재 세계 위성영상 시장규모는 약 20억 달러로, 2023년까지 약 8%의 지속적인 성장세가 전망되는 분야*로서 다목적실용위성 3A호의 위성영상은 국내 공공 수요의 수입대체 효과는 물론, 상용판매를 통한 세계 위성영상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전망된다. * 유로컨설트(Euro consult) 2014 보고서 ○ 그 동안 실질적인 경제성을 가진 다목적실용위성 2호(1m급)와 3호(0.7m급) 위성영상의 국내 공공기관 및 민간부문 보급을 통한 수입 대체효과는 2호가 약 5,578억원(2006~2015. 9월 기준, 영상 47,978장), 3호는 약 1,107억원(2012~2015. 9월 기준, 영상 9,008장)으로 2호의 경우 개발비인 2,633억원의 2배를 상회하는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 수입대체 금액=배포장수×장당 단가(해외시장 영상 단가 약 1,175만원, 2012년 기준) □ 미래창조과학부 ***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앞으로도 영상자료 품질 향상 및 다목적위성 3, 5, 3A호 등 다중위성을 활용한 고부가영상 생성기술 연구를 통해 고부가가치 영상자료를 지속적으로 보급함으로써, 국민안전 및 국민편익 제고를 위한 다양한 위성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 다목적실용위성 3A호는 지난 9년(2006.12~2015.12)간 총 2,356억원을 투자하였고,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주관하고 한국항공우주산업, AP우주항공, 삼성탈레스 등 국내 8개 주요기업이 참여하여(재 하청업체 포함시 : 60개 기업 참여) 개발하였다.
[ "2023년 세계 위성영상 시장규모는 얼마가 될까", "미래창조과학부는 다목적실용위성 2호에 얼마 투자했어" ]
unanswerable
f658e562-49eb-4972-bd4c-579bfbc1065e
2016년도 미래부 업무계획
과학기술·ICT기반 창조경제를 통한 성장동력 창출 가속화 - 미래부, 「2016년도 업무계획」발표 - 전략1. 창조경제 생태계 완성으로 스타트업 7대 강국 진입 4 창업·벤처의 글로벌 진출 확대 “글로벌 진출이 확대되도록 창조경제 지원역량을 확충한다” ㅇ 판교와 상암에 아시아 최고의 창업ㆍ문화콘텐츠 허브를 구축하고, 문화적 요소와 결합하여 글로벌 진출 및 교류를 활성화 한다. - 세계 최고 수준의 ICT 기업이 밀집된 판교를 중심으로 글로벌 창업 및 ICT 혁신을 지원하기 위한 ‘스타트업 캠퍼스’를 구축하고, - 해외 우수 스타트업(40개팀)을 선발하여 국내 정착 및 비즈니스를 지원하는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판-아시아 그랜드 챌린지’를 추진한다. - 또한 판교 창조경제밸리에 이어 상암을 디지털문화콘텐츠 산업거점으로 조성하고 문화창조융합벨트와 연계하여, 유통ㆍ소비ㆍ체험의 종합 인프라를 구축한다.
[ "상암을 중심으로 글로벌 창업 및 ICT 혁신을 지원하기 위한 무엇이 40개 구축되지", "디지털문화콘텐츠 산업거점을 조성하기 위해 판교를 중심으로 활성화시킬 것은 뭐야" ]
unanswerable
0916b826-962a-4b1e-8fd9-f7b0f6a31500
2.5GHz대 주파수 할당계획(안) 토론회 개최
미래부, 2.5㎓대역 TDD 주파수 할당계획(안) 토론회 개최 2.5㎓대역 TDD 주파수 할당계획(안) □ 할당대상 주파수 및 대역폭 : 2,575~2,615㎒대역 40㎒폭 ※ 광대역을 보유한 기존 사업자와의 시장 경쟁력 측면, 시장의 요구 및 정책일관성 유지 등을 고려 □ 할당방법 및 시기 o (할당방법) 전파법 제11조(대가에 의한 주파수할당)에 따라 “가격경쟁에 의한 주파수할당(경매)” 방법을 적용함 o (할당시기) 미래창조과학부가 할당을 통지한 날에 할당됨 □ 주파수할당대가 : 경매결과 최종 낙찰자가 제시한 낙찰가 □ 주파수 이용기간 : 주파수 할당을 받은 날부터 2019.3.29일까지 ※ 현재 서비스중인 2.3㎓ TDD용(휴대인터넷) 이용종료기간(2019.3.29)과 동일하게 적용
[ "TDD 주파수 할당계획 토론회가 개최되는 날은 언제야", "TDD 주파수 할당 경매 날짜는 언제니" ]
unanswerable
bb3c1114-726b-4582-964c-d0d05eb402fe
과기정통부, 2018년 안전대진단 실시
과기정통부, 2018년 안전대진단 실시 - 화재 및 안전사고 사전예방에 만전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장관 유영민)는 2018년 국가안전대진단의 일환으로 2월 5일부터 3월 30일까지 54일 동안 소속·산하공공기관의 공공시설물 전반에 대한 안전진단을 실시한다. ㅇ 이번 안전진단 대상은 주요 방송‧통신시설, 인화‧폭발성 화학물질 등을취급하는 과학기술분야‧정부출현‧유해물질 등 보관시설과 소속‧산하공공기관 다중이용시설 및 공사장 등 해빙기 점검필요시설로서, 국·공립대학 28개(7,544개 연구실), 정보통신시설 8개(36개 국사), 유료방송사업자 13개, 과기정통부 소속‧산하공공기관 63개(약 2,000개소)이며, 화재 및 시설안전 점검을 병행하여 진행할 계획이다. ㅇ 특히, 국민생활과 밀접한 정보통신시설에 대해서는 소방분야 시설물 안전점검 및 주요 구조부 균열, 붕괴, 내진설계 등의 위험성 여부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점검할 예정이다. □ 과기정통부는 “이번 안전대진단을 통하여 공공시설물에 대한철저한 안전관리실태를 점검하여 안전사고 예방에 최선을 다하는 한편, 안전점검, 위험요소 발굴, 보수·보강 및 제도개선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킬 계획이다.
[ "2018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국, 공립대학 13개, 정보통신시설 28개 등을 대상으로 실시한 것은 뭐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18년 화재 및 시설안전 점검의 일환으로 무엇을 실시했어" ]
unanswerable
34438f0f-7954-41cb-81c7-ea423d19027b
2016년도 미래부 업무계획
과학기술·ICT기반 창조경제를 통한 성장동력 창출 가속화 - 미래부, 「2016년도 업무계획」발표 - 전략2. 핵심 원천기술 확보 및 미래성장동력 창출 5 R&D혁신 가속화로 성장동력 기반 확충 “R&D투자의 전략성을 강화하고 R&D혁신을 현장에 착근한다” ㅇ 연구자들이 장기적인 연구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출연(연)의 국가 미래성장을 위한 원천기술 창출기지로서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 임무중심형 장기 연구과제(BIG사업 : Big Issue Group)를 도입하는 한편, - 개인기초연구는 3년 단위 지원에서 최장 10년까지 연구기간을 확대하여 연구자가 장기간 안정적 연구를 수행할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ㅇ 창의성에 바탕을 둔 도전적 R&D도 강화할 계획이다. - 경쟁형 R&D사업의 확대*를 통해 도전적 연구문화가 정착되어 혁신적 성과가 창출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한다.
[ "미래부가 핵심 원천기술 확보 및 미래성장동력 창출을 위해 안정성에 바탕을 둔 무엇의 정착을 강화할 계획이야", "미래부가 개인기초연구를 10년 단위 지원에서 최장 3년까지 기간을 더 확대해 무엇을 수행하는 환경을 조성했니" ]
unanswerable
cf2d8946-4737-40fb-a024-65c331ff08c5
경상남도, 미분양주택 해소 대책 논의
경상남도, 미분양주택 해소 대책 논의 경상남도가 미분양주택 해소를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 도는 13일 오전 도청 소회의실에서 도지사 주재로 <미분양주택 해소 대책회의>를 열고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을 청취했다. 회의에는 김경수 경남도지사를 비롯해 LH한국토지주택공사, 주택산업연구원, 대한주택건설협회, 경남건축사회, 지역대학의 도시공학, 건축학, 부동산금융학 전공 교수, 공인중개사, 경남도의회, 경남연구원 등 관련 전문가 16인이 참여했다. 이날 자리는 도내 주택 가격 하락과 거래량 감소, 미분양주택 증가 등 주택시장 침체가 장기화됨에 따라 지난달 30일 김 지사가 전문가 회의를 준비해달라는 지시에 의해 마련됐다. 경남도내 미분양주택은 지난 9월말 기준 총 13,903호로 전국 60,062호의 약 23.1%를 차지하고 있다. 공동주택 사업 승인 후 분양 시점부터 계약되지 않은 호는 미분양주택으로 집계된다.
[ "LH한국토지주택공사와 계약한 경남도의 공동주택이 몇 호야", "경상남도 내에서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건축한 미분양주택이 모두 몇 호일까" ]
unanswerable
ab473a22-1174-4c1c-973b-5ada3d6657a1
창조경제 전진기지화를 위한 공과대학 혁신 추진
창조경제 전진기지화를 위한 공과대학 혁신 추진 본격화 - 노벨상을 받는 학자보다, ‘노벨같은 사람’을 키우기 위한 기반 마련 - □ 공과대학이 창조경제를 이끌어갈 창의적 신기술과 핵심 인재의 공급원이 될 수 있는 혁신적 개혁을 추진하기 위한 논의가 민관합동으로 본격적으로 착수된다. o 이를 위해,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 이하 미래부)는 산업계․학계․연구계 대표 및 미래부․교육부․산업부 실장급으로 ‘공과대학 혁신 위원회‘를 구성하여 2014.1.14(화) 15:00에 서울 역삼동 과학기술단체총합연합회관에서 출범식을 갖는다고 밝혔다. □ 최근 10년간 공과대학은 SCI 논문 등 연구 실적측면에서 많은 성장을 해 왔으나, 이제는 창조경제를 이끌어 나가기 위한 보다 실용적이고 질적인 성장을 추구할 시점이다. o 기술과 아이디어의 실용적 활용이 핵심인 창조경제에서 공과대학이 과연 이에 필요한 기술과 인력을 제대로 배출해내고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많이 제기되고 있는데, o 이는 재정지원이나 평가 등이 논문 숫자 등의 양적 지표에 집중되어 있는 거대 시스템의 문제로 볼 수 있으며, ‘공과대학 혁신위원회’(이하 위원회)는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구체적인 대안을 마련․추진할 예정이다.
[ "공과대학 혁신 위원회를 구성하여 공과대학 재정지원의 대안을 마련하기로 한 부처는 어디야", "창조경제의 창의적 신기술과 핵심 인재를 산업부와 함께 배출해 내고 있는 부처는 어디지" ]
unanswerable
44ba99f9-d9ea-4d61-97d4-5f6df301ce4b
2020년도 정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 공청회 개최
2020년도 정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 공청회 개최- 연구개발(R&D) 성과 창출 가속화를 위한 민간 전문가 의견수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2월 26일(화) 오후 2시 서울 더케이서울 호텔에서 2020년도 정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 마련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한다. ㅇ 「과학기술기본법」에 따라 매년 수립하는 「정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은 다음해 정부연구개발(R&D) 중점 투자분야 및 효율화 방안, 기술분야별 세부 투자전략 등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ㅇ 투자방향은 각 부처의 다음 해 연구개발(R&D) 예산 요구의 기준이되며, 정부연구개발(R&D) 예산 배분‧조정에 중요 지침으로 활용된다.
[ "과학기술기본법에 따라 서울 더케이서울 호텔에서 각 부처와 민간 전문가가 수립한 기술분야 투자전략은 무엇이니",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청회를 통해 수립한 기술분야 세부 예산 배분 기준은 무엇일까" ]
unanswerable
d32d12bd-9e49-436c-8cac-754f41f593d8
알뜰폰 가입자 700만 돌파
알뜰폰 가입자 700만명 넘어서 - 2017년 3월말 701.7만명 수준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알뜰폰 가입자 수가 2017년 3월말 기준 701.7만명으로 집계되었다고 밝혔다. ※ 알뜰폰 서비스(MVNO :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 기존 이통 3사의 통신망을 도매로 임차하여 보다 저렴한 요금으로 제공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o 이는 2011년 7월 제도 도입 이후 5년 9개월만의 일로서, 도입시점에 우리나라와 통신시장 상황이 유사했던 프랑스와 비교하여 볼 때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것이다. □ 이러한 성과는 이동통신 시장이 포화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활성화 정책과 알뜰폰 사업자들의 적극적인 노력에 힘입은 것으로 보인다.
[ "미래부는 무엇의 가입자 수가 2011년 3월말 기준 701.7만명으로 집계되었다고 밝혔어", "프랑스의 통신시장은 2017년 3월말 기준 무엇의 가입자 수가 700만명이 넘었지" ]
unanswerable
7ce761e2-cc13-49e7-bc62-967620e09371
성인체세포를 이용한 체세포복제배아줄기세포주 확립 성공
세계 최초 성인 체세포를 이용한 체세포복제줄기세포주 확립 Cell Stem Cell誌 게재, 향후 환자맞춤형 줄기세포치료제 개발 기대 □ 지난 해 미국 연구팀의 세계 최초 체세포복제줄기세포주는 공여체 세포로 태아/신생아 유래 세포주를 사용하였다. 이것은 세계최초의 인간체세포복제줄기세포라는 의미가 컸으나 환자 치료에 실질적으로 적용을 하기 위해서는 살아있는 성인 체세포를 이용한 체세포복제 줄기세포주의 확립 성공이 절실한 실정이었다. □ 차병원 연구팀은 75세와 35세 성인 남성으로부터 피부세포를 기증받았다. 1차 연구에서 3명의 난자공여자로부터 49개의 난자를 공여받았고, 체세포복제를 통해 3개의 포배기 배아를 생산했고(6.1%), 1개의 배아줄기세포주를 확립(2.0%) 하였으나 tetraploidy (4N)*으로 판정되어 정상적인 체세포복제줄기세포주의 확립에 실패하였다. * tetraploidy (4N) 배아: 난자의 제핵이나 제1극체의 도입으로 인해 정상염색체(diploidy, 2N)의 두배의 염색체를 가진 배아 o 이후 연구팀은 난자의 제핵방법과 난자 활성화 방법을 개선하는 연구를 수행하였고,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제특허를 획득하기 위해 현재 신청 중에 있다. o 계속하여 연구팀은 2단계 연구에서 4명의 난자공여자로부터 77개의 난자를 공여 받았고, 5개의 포배기 배아를 생산(6.5%), 2개의 배아줄기세포주를 확립(2.6%) 하였고, 염색체 검사와 유전자 마커분석을 통해 75세와 35세 성인 남성의 체세포로부터 각각 유래된 정상 체세포복제줄기세포주 임을 확인하였다.
[ "누가 미국 연구팀과 세계 최초 성인 체세포를 이용한 체세포복제 줄기세포주를 확립하는데 성공했어", "누가 1차 연구에서 4명의 난자공여자로부터 77개의 난자를 공여받아 체세포복제줄기세포주의 확립에 성공했어" ]
unanswerable
00134ed7-fc07-4d68-b942-d5e45b32fc3d
'16년 상반기 건축 인허가 면적, 전년동기 대비 9.2% 증가
2016년 상반기 건축 인허가 면적, 전년동기 대비 9.2% 증가- 착공은 3.0% 감소, 준공은 13.4% 증가 □ 규모별 변동현황 및 멸실 현황을 보면 ㅇ 규모별 건축허가는 연면적 100㎡ 미만 건축물이 전체의 44.3%인 59,567동, 100~200㎡ 건축물이 25,403동(18.9%), 300~500㎡ 건축물이 18,276동(13.6%) 순이고 - 착공은 100㎡ 미만 건축물이 50,808동으로 전체의 44.7%, 100~200㎡ 건축물이 20,681동(18.2%), 300~500㎡ 건축물이 16,113동(14.2%) 순이며, - 준공은 100㎡ 미만 건축물이 36,044동으로 전체의 38.6%, 100~200㎡ 건축물이 17,461동(18.7%), 300~500㎡ 건축물이 14,615동(15.7%) 순이다. ㅇ 소유 주체별 건축 허가면적은 법인이 전체의 51.4%인 45,045천㎡, 개인이 26,177천㎡(29.9%), 공공이 2,934천㎡(3.4%)이고, - 착공면적은 법인이 전체의 55.4%인 38,202천㎡, 개인이 22,253천㎡(32.3%), 공공이 2,666㎡(3.9%)이며, - 준공면적은 법인이 전체의 50.8%인 30,120천㎡, 개인이 19,287천㎡(32.5%), 공공이 3,506천㎡(5.9%)이다. ㅇ 용도별 건축물 멸실은 주거용, 상업용, 공업용, 문교사회용이 각각 4,227천㎡(28,755동), 1,920천㎡(6,061동), 587천㎡(771동), 260천㎡(352동) 멸실되었다. - 주거용은 단독주택이 전체의 53.8%인 2,274천㎡(24,597동), 다가구주택 647천㎡(2,874동), 아파트 855천㎡(268동)이며, - 상업용은 제2종근린생활시설이 전체의 37.8%인 726천㎡(2,710동), 제1종근린생활시설이 667천㎡(2,541동), 업무시설 170천㎡(90동)으로 멸실되었다.
[ "법인 아파트는 전체 건축 허가면적의 몇 퍼센트를 차지해", "2016년 상업용 제2종근린생활시설의 건축 허가면적은 전년동기 대비 몇 퍼센트 증가했어" ]
unanswerable
ced2c23d-9aaa-420a-8977-34575c1d0de2
2020년도 정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 공청회 개최
2020년도 정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 공청회 개최- 연구개발(R&D) 성과 창출 가속화를 위한 민간 전문가 의견수렴 □ 공청회 1부에서는 과기정통부의 안건 발표 후 패널토론* 및 방청객 질의가 이어지며, 2부는 6개 기술 분야별** 세부 투자방향 발표 및 심층토론 순서로 진행된다. * 패널토론 좌장 :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 ** ①공공‧우주 ②에너지‧환경 ③ICT‧융합 ④기계‧소재 ⑤생명‧의료 ⑥기초‧기반 ㅇ 공청회는 사전신청 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국민신문고전자공청회(2.26.~3.5.)를 통해서도 의견 수렴이 이루어진다. □ 2020년도 투자방향은 이번 공청회에서 나온 의견과 관계부처 협의결과 등을 검토·반영하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장 대통령)에서 최종 확정한 후 3월 15일까지 관계기관(22개 부처‧청)에 통보된다.
[ "정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을 민간 전문가의 의견수렴을 통해 최종 확정하는 곳은 어디니", "에너지와 환경, ICT와 의료 등의 세부 투자 분야에 대해 과기정통부가 개최하는 공청회는 무엇일까" ]
unanswerable
4b02e3b7-49c4-40ce-95fd-a8d54818441e
국제지구과학올림피아드 한국대표단 수상
2017년 제11회 국제지구과학올림피아드 한국대표단 종합 8위 차지 2017년 제11회 국제지구과학올림피아드 개요 및 참가결과 ○ 일정 : 2017. 8. 21.(월) ~ 8. 30.(수), 10일간 ○ 장소 : 프랑스 코트다쥐르 ○ 참가규모 : 34개국(참관국 포함) 학생 126명, 단장·부단장 58명 ○ 우리나라 대표단 - 단장 : 좌용주 교수(경상대) - 부단장 : 이기영 교수(강원대) - 지도교수 : 윤일희 교수(경북대), 김형수 교수(고려대), 손정주 교수(한국교원대), 이규호 교수(경인교대) - 지도교사 : *** 교사(판곡고) - 조교 : ***(한국지구과학회) - 대표학생 : ***(인천과학고), ***(경남과학고),***(강원과학고), ***(강원과학고)
[ "인천과학고에서 열리는 2017년 제11회 국제지구과학올림피아드에 참가하는 학생은 몇 명이니" ]
unanswerable
0b653336-3c90-4859-b09a-47273d670023
더 얇아진 인체 정보 센싱 디스플레이 원천 기술 개발
더 얇아진 인체 정보 센싱 디스플레이 원천 기술 개발 - 휴대용 및 차량용 디스플레이 등 적용 기대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기초연구지원사업(개인연구)을 수행한 박철민 교수(연세대) 연구팀은 디스플레이 자체적으로 지문 등 전도*를 띄는 인체 정보를 즉각적으로 감지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핵심 기술을 개발 했다. * 전도 : 재료를 통해서 전기가 흐르는 정도 □ 현재 사용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기반 디스플레이는 센서와 디스플레이가 분리되어 있으나, 이번에 개발된 유기발광보드(OLEB)*는 하나의 장치가 센서와 디스플레이를 동시에 담당한다. 이로 인해 전기적인 신호 처리 구조가 단순해져 디스플레이가 머리카락 1/100 두께(500나노미터)로 얇아졌고, 더 유연해졌다. 또한 제작 공정 과정이 줄어들기 때문에 공정비용도 줄일 수 있다. * 유기발광다이오드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기반 센서 디스플레이: 유기자체발광 기반의 디스플레이와 센서가 결합된 차세대 장치 * 유기발광보드 (OLEB, Organic light-emitting board) : 기존의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와 구분하여 자체 발광 유기소재를 사용하지만 디스플레이가 전도를 띄는 자극을 센싱하고 이를 동시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새로운 소자기술.
[ "센서와 디스플레이가 분리되어 있어 제작 공정비용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소자기술은 뭐야" ]
unanswerable
2b0868ef-9b90-495e-bbd8-c9f1d14c205c
제4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 개최(1)
사이버범죄․오염․질병․재난, 과학기술로 해결한다. - 정홍원 총리, “과학기술이 국민의 행복 증진에 기여해야” - 과학기술분야 연구회 기능 재정립 방향(안) 관련 □ 미래부는 출연(연)의 창조경제 견인차 역할 수행을 위해 연구회 단일화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장관이 직접 나서 관계부처를 적극 설득하는 등 노력을 기울인 끝에 국무총리 주재 관계장관회의를 거쳐 부처 간 합의를 도출하였다. □ 미래부는 연구회 단일화를 통해 기초-산업 간 칸막이가 제거되어 협동연구가 활성화됨과 동시에, 출연(연)의 개방형 협력 생태계 조성에 더욱 탄력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현재 연구회 단일화 내용을 담은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되어 있으며, 공포 후 1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된다. * 민병주 의원이 연구회 단일화 내용을 담은 「과기정출연법」 일부개정안을 발의(2013.7.19)
[ "2013년 7월 19일 견인차의 과학기술분야 운영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누가 발의했어", "누가 과기정출연법 일부개정안을 발의하여 연구회 단일화 제거로 인한 개방형 협력 생태계 조성을 기대하고 있니" ]
unanswerable
b5ac51e4-b85d-4565-9d43-2da55316d4dc
제4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 개최(1)
사이버범죄․오염․질병․재난, 과학기술로 해결한다. - 정홍원 총리, “과학기술이 국민의 행복 증진에 기여해야” - 국가 R&D 효율성 제고를 위한 특허정보 활용 확대방안 관련 □「국가 R&D 효율성 제고를 위한 특허정보 활용 확대방안」주요 내용. ① 핵심·원천특허 확보가 가능한 특허관점의 미래 유망기술을 발굴하여 정부 R&D과제로 제공하는 「특허관점의 R&D 유망기술 선정사업」을 확대 추진한다. ㅇ 산업분야별 R&D 유망기술 정보가 R&D부처 맞춤형으로 제공 되고, 신개념 혁신제품을 선정하여 유망기술을 발굴하는 「미래전략제품 특허전략 청사진 구축사업」도 추진된다. ② 정부 R&D 사업의 과제기획을 더욱 내실화하기 위해 정부 출연(연)의 자체 R&D 과제기획에까지 정부 차원의 특허동향조사 예산을 확대하여 지원하고, ㅇ 기초연구단계에 있는 R&D 과제를 기획할 때도 특허동향조사를 활성화하도록 관련 법령의 개정을 추진하며, 기술수요조사단계에서 과제간 중복성을 검토하는 사업도 추진한다. ③ 연구기관이나 기업이 최적의 지식재산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도록 지원하는 「지식재산 중심의 R&D전략(IP-R&D전략) 수립지원사업」도 컨설팅 수요자의 니즈에 맞춰 지원 형태를 다양화하고, ㅇ 지식재산 컨설팅 수요자와 공급자를 자율중개하고 관련 정보와 교육을 제공하는 종합포털사이트도 구축·운영한다. ④ 정부 R&D 특허성과를 수집하여 심층분석하고 그 결과를 연구기관 및 R&D부처에 제공함으로써 자율적으로 질수준 제고활동을 유도하는 사업도 추진하며, ㅇ 질적 특허성과지표를 개발하여 보급하고, 특허성과 목표 설정을 위한 기준도 마련하여 R&D부처의 가이드라인에 포함시킬 계획이다.
[ "혁신제품에 대한 정보를 수집, 보급하는 종합포털사이트를 운영하는 기관이 어디야", "어디 기관이 사이버 범죄를 수집하여 심층분석한 정보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기획해" ]
unanswerable
3379d9ea-4934-4323-8d5c-c1f9a8f653de
미래부 장관 대전지역 현장방문
미래부 장관 대전지역 현장 방문, 현장 중심, 연구자 중심, 국민 중심 정책추진 - 기초과학연구원 개원 5주년 기념행사 참석,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 보육기업 격려, 출연연 혁신위원회 간담회, 한국 원자력연구원 방문 등 IBS 개원 5주년 기념 행사 o 출범 이후 5년의 짧은 기간 안에 우수한 성과를 창출하고 세계적인 연구기관으로 인정받기 시작한 IBS의 구성원들을 격려하는 한편, < IBS 개요 > ∙ (개요) 기초과학 종합연구기관으로 대형‧장기‧집단 기초과학 연구수행(2011.11월~) ∙ (특징) 수월성을 기준으로 연구단장을 선정하고 연구내용과 연구단 운영에 최대한 자율성과 독립성을 보장하는 ‘사람 중심의 지원’, 100% 정부 출연으로 연구비 지원 ∙ (현황) 26개 연구단 운영 중, 세계 기초과학 샛별(Rising Star) 11위 선정(2016.7, 네이처) - 자유공모형(Bottom-Up) 지원*과 장기 과제**의 지속적 확대, ‘생애 첫 연구비지원(2017년도 총 300억원)‘ 신설 등을 비롯하여, 연구자 행정 부담의 획기적 경감 등을 포함한 연구자 중심의 연구지원 강화 의지를 강조할 계획이다. * 미래부 기초연구사업 2017년 정부예산(안) 기준 '1.26조원(16년 1.1조원 대비 1,600억원 증) ** (2016) 10년 지원 신규과제 39개 → (2017) 연 5천만원 이하 신규과제 중 20% (488개) 10년 지원
[ "수월성을 기준으로 연구단장을 선정했으며 39개의 연구단을 운영 중인 곳은 어디야" ]
unanswerable
135793af-cdb8-4b53-8260-ca0bd34e97e7
2018 ICT 산업전망컨퍼런스 개최
과기정통부, 「2018 ICT 산업전망컨퍼런스」개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11월 2일(목)부터 3일(금)까지 2일간 대한상공회의소(남대문)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 ICT의 새로운 여정’을 주제로 ‘2018 ICT 산업전망컨퍼런스’를 개최한다. ㅇ 2001년 ‘IT 산업전망컨퍼런스’로 출범한 이래 올해로 17번째를 맞는 이번 행사는 국내외 정보통신기술(ICT) 전문가와 기업인 등 1,000여명이 참여해, ㅇ ICT 산업의 중장기 전망과 2018년 기술 트렌드를 소개하는 한편, 4차 산업혁명 시대 ICT산업의 새로운 역할과 비전에 대해 다양한 논의를 진행한다.
[ "2018년 11월 2일에 대한상공회의소의 주관하에 열린 행사의 명칭이 뭐야", "무슨 행사에서 2001년도 IT 산업의 중장기 전망과 기술 트렌드가 소개될 예정이지" ]
unanswerable
d3320a3e-b4b5-47d6-b32f-7fc259be2484
2018 ICT 산업전망컨퍼런스 개최
과기정통부, 「2018 ICT 산업전망컨퍼런스」개최 □ 11월 3일(금)에는 ‘ICT, 기회의 창을 만든다’라는 소주제로, 전문가들과 참가자들 격의 없는 토론이 이루어질 ‘토크콘서트’와 ‘3개의 토론세션’이 진행될 예정이다. ㅇ ‘토크콘서트’에서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일자리 창출 · 비즈니스 벤처 창업 활성화 등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ICT산업의 역할과 전략에 대해 논의가 이루어진다. ㅇ 토론 세션은 1) 다이나믹 글로벌, ICT 2) 새로운 시대, ICT의 새로운 도전 3) 새로운 성장 엔진, ICT를 주제로 진행되며, - ICT 산업현장에서 뛰고 있는 각계 인사들이 글로벌 진출, 창업 · 투자, 유망분야 기술개발과 관련한 각 주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며 산업적으로 깊이 있는 지식과 정보가 공유될 예정이다.
[ "토크콘서트에서 ICT산업의 성장과 글로벌 진출 전략에 대한 논의를 무슨 세션에서 진행하니" ]
unanswerable
e5ced3ff-0495-4371-9e96-4c94f5426a59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스위스‧이탈리아와 과학기술 협력 확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스위스‧이탈리아와 과학기술 협력 확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스위스 연방교육 연구혁신청(State Secretariat for Education, Research and Innovation, SERI)과 제5차 한-스위스 과학기술공동위원회를 11월 16일 스위스 베른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ㅇ 이번 공동위는 과기정통부 송경희 국제협력관과 스위스 연방교육 연구혁신청 마우로 모루찌(Mauro Moruzzi) 국제협력실장이 수석대표로 회의를 주재했다. □ 이번 공동위에서는 2019년에 시작되는 차기 혁신연구 프로그램을 통해 디지털헬스, 신소재, 분자물리 분야 공동연구 협력을 추진하기로 결정하고, 내년 5월 ‘스마트 리빙 - 지속가능한 도시와 지능형 건강관리’를 주제로 사물인터넷, 가상‧증강현실 분야 산‧학‧연이 참여하는 ‘한-스위스 혁신주간(Innovation Week)’ 행사를 개최하기로 합의하였다. ㅇ 또한, 건축‧토목‧컴퓨터공학‧사회학‧심리학 분야 대학원생 교류 프로그램이 추진된다. ‘한국의 여름과 스위스의 겨울, 실내 환경의 안락함’을 주제로 양국 문화와 건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각국의 생활환경을 포괄적으로 연구할 예정이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스위스 연방교육 연구혁신청이 이탈리아에서에서 개최한 회의는 뭐지", "어떤 회의에서 한-스위스 대학원생 교류 행사 개최가 합의되었지" ]
unanswerable
69627cb1-0231-4d13-af59-5a51753d00f0
미래부 장관 대전지역 현장방문
미래부 장관 대전지역 현장 방문, 현장 중심, 연구자 중심, 국민 중심 정책추진 - 기초과학연구원 개원 5주년 기념행사 참석,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 보육기업 격려, 출연연 혁신위원회 간담회, 한국 원자력연구원 방문 등 출연(연) 혁신위원회 간담회 계획 □ 간담회 개요 ㅇ 일시 : 2016. 11. 17(목) 12:00~13:30 ㅇ 참석 : 미래부 장관, 연구개발정책실장, 연구기관지원팀장, 출연(연) 혁신위원회 위원 등 * 전체 50명 위원 중, 대전 소재 11개 기관 부원장 등 14명 참석 ㅇ 토의내용 : 출연(연) 혁신위원회 활동 경과 및 계획 - 3대 전략 6대 의제 등 “출연(연) 혁신방안” 주요 내용 * GRI Innovation 4.0 Initiative, 연구경쟁력/시스템 경쟁력/인재ㆍ문화 경쟁력 혁신 한국원자력연구원 방문 계획 □ 방문개요 ㅇ 일시 : 2016. 11. 17.(목) 14:00 ~ 15:30 ㅇ 장소 : 원자력연구원(주요 연구시설 현장점검) - 파이로공정 시험시설(파이로), 방사성폐기물 저장고(중저준위 방폐물), 조사후시험시설(원전 사용후핵연료) ㅇ 목적 : 원전 사용후핵연료 한수원 반환,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경주방폐장 이송, 파이로 연구개발에 대한 주민우려 해소 등 원자력안전 주요현안 해결방안 모색 ㅇ 참석 : 미래부 장관, 연구개발정책실장, 원자력진흥정책과장, 원자력연원장 등
[ "2016년 11월 17일 미래부 장관과 함께 원자력진흥정책과장이 참석한 간담회는 어디서 열렸지" ]
unanswerable
84f0ea10-7f36-4df9-a593-c2ea26f120f4
중이온가속기 구축 및 활용연구 체계 개편 추진
중이온가속기 구축 및 활용연구 체계 개편 추진 미국 FRIB 연구소 개요 사업 개요 ○ 미국 미시건주립대에 2022년 완공목표로 건립되는 중이온가속기(IF방식) ○ 가속에너지(200MeV/u), 가속출력(400KW)은 우리나라와 비슷 ○ 총 사업예산은 9.4억$ 수준 ※ 미연방정부 6.35억$ / 미시건주립대 직접지원 0.95억$ / 기타(미시건주립대 기부금) 2.1억$ 조직 체계 ○ FRIB 사업단장(Project Manager) : FRIB 건립‧구축을 총괄 - 가속기부(Accelerator System Division), 실험장치부(Experimental System Division), 건설시설부(Conventional Facilities and Infrastructure Division)로 구성 ○ FRIB 연구소장(Laboratory Director) : 가속기 구축 완료 이후의 운영 조직으로서 건설기간동안에는 학계와 협의‧소통 역할 담당 ※ 연구소장은 이용자그룹, 학술자문위, 사업관리자문위를 중심으로 학계와 협의‧소통(별도 직할 연구단 설치는 없음)
[ "미국 미시건주립대가 총 사업예산 9.4억 불을 들여 2022년에 완공하려고 하는 것은 뭐지", "무엇이 건설되는 동안 연구소장은 연구소의 실험장치부, 건설시설부와 협의, 소통하는 역할을 담당해" ]
unanswerable
a9ca51d7-cb43-4838-acd5-236954fcf0d2
신형연구로 핵연료성능검증시험 기술 미국 INL 수출
국내 건설 신형 연구로 핵연료 성능검증시험 관련 미국 INL(아이다호국립연구소)에 기술 수출 - 글로벌 핵비확산 이끌 핵심 신기술로 인정받아 - □ 한국원자력연구원은 INL과 긴밀한 협력 하에 U-Mo 판형 핵연료의 성능 검증을 수행함으로써 세계 최초로 이 핵연료를 사용할 기장로의 인허가 획득에 기여하고, 향후 U-Mo 핵연료의 해외 수출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시험 결과는 GTRI 등 국제사회의 핵비확산 프로그램과도 공유할 예정이다. o U-Mo 판형 핵연료의 기반이 되는 원심분무 핵연료 분말 제조기술은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세계 최초로 창안한 신기술로, 단위 부피당 우라늄 밀도를 크게 높여 농축도 20% 이하의 저농축 우라늄(LEU)로도 고성능을 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지난해 개최된 ‘서울 핵안보정상회의’에서 한-미-프랑스-벨기에 4개국이 이 기술을 이용해 핵무기에 전용 가능한 고농축 우라늄(HEU)을 사용하는 유럽의 연구로를 LEU로 전환하는 공동 연구 프로그램에 합의하는 등 핵확산 방지를 위한 핵심 기술로 국제사회의 인정을 받고있다. ※ 별첨 자료 참조 o 앞서 한국원자력연구원과 INL은 지난 7월 기장로 적용 U-Mo 판형 핵연료 성능 검증을 위한 공동연구 1단계 계약을 체결하고, INL이 운영 중인 연구로 ATR에서 실제 크기 U-Mo 판형 핵연료 집합체에 대한 조사시험을, 하나로에서는 축소 연료판의 조사시험을 각각 수행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양측은 ATR 조사시험을 위한 예비분석 및 개념설계를 수행 중이다.
[ "기장로 적용 U-Mo 판형 핵연료의 벨기에와 한국의 공동연구는 어디에서 수행되니", "U-Mo 편형 핵연료의 기반이 되는 원심분무 핵연료 분말 제조기술에 대한 검증은 어디에서 했을까" ]
unanswerable
d69784ff-5314-455a-a441-c21832f08d15
한국형 공공기술기반 시장연계 창업탐색 지원사업(아이코어사업) 공모
실험실기술, 창업의 닻을 올리다. □ 금년에는 향후 5년 간(2021~2025년) 창업탐색교육 및 창업보육을 전담할 7개 실험실창업혁신단(대학)과 시장탐색교육기관(국내 1곳, 해외 1곳)을 신규 선정한다. ㅇ 특히, 그간 실험실창업혁신단 위주로 진행하던 시장탐색교육을 전국 단위로 확장하기 위해 실험실창업혁신단(node)이 속한 권역의 다른 대학, 출연(연) 등을 협력기관(site)으로 지정하고 실험실창업혁신단이 이들 기관과 함께 시장탐색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ㅇ 또한 시장탐색교육기관은 창업팀이 아이코어 방법론을 이해하고 교육을 성실히 이수할 수 있도록 창업교육전문가(인스트럭터) 대상 재교육을 추진하고, ‘아이코어 프로그램 워크북’을 개발하여 일관성 있는 창업교육을 제공할 수 있도록 뒷받침 한다.
[ "어느 기관에서 창업교육을 받은 창업팀이 아이코어 프로그램 워크북을 개발했어", "어느 기관의 창업교육전문가가 진행하는 아이코어 방법론 프로그램을 한국 전체에 확대하려 해" ]
unanswerable
d9981464-f7ae-4dfc-852b-21169c1c7756
K-사이버방역추진전략 발표
디지털경제의 튼튼한‘방역체계’구축한다 3 주요 추진과제 전략 ➋ : 보안 패러다임 변화 대응 강화 □ 비접촉․원격인증, 차세대 물리보안, 지능형 사이버공격 대응 등 비대면․디지털전환 특성을 고려한 핵심 보안기술 개발(R&D) 투자를 대폭 확대*하고, * 비대면․디지털전환, 데이터보안 기술개발에 2023년까지 1,000억원 이상 투자 ㅇ 개인․가명정보 및 데이터결합 등 데이터 저장․관리․유통 확대에 따른 데이터 생명 全주기에 걸친 보안기술 개발을 추진(개보위 공동)할 계획이다. □ 한편, 최근 급증하고 있는 랜섬웨어 위협대응 강화를 위해 국내외 에서 발생하는 랜섬웨어 정보를 신속히 수집․공유하고, ㅇ ‘랜섬웨어 예방․대응지침’을 보급하여 중소․중견기업이 랜섬 웨어로 인한 침해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ㅇ 특히, 스미싱, 악성앱 유포, 가로채기 전화 등에 악용된 전화번호를 차단할 수 있도록 정보통신망법 개정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 "개보위는 무엇을 예방하기 위해 1000억 원 이상을 투자했니", "개보위는 무엇을 예방하기 위해 앱을 유포했을까" ]
unanswerable
6321fcae-6eca-42fb-8bf3-9cfbfe1aafac
국립과천과학관·송강재단, 자전거 200년 역사 소개 세계자전거 특별전 연다
국립과천과학관·송강재단, 자전거 200년 역사 소개 세계자전거 특별전 연다. - 미래자전거 그리기, 안전교육 체험 등 부대행사 다양 - □ 이번 전시회에서는 자전거를 움직이는 과학 원리와 가상현실(VR)자전거를 체험할 수 있고, 어린이들이 그린 자전거 그림을 미디어월에서 볼 수 있다. 1.5미터 높이 하이 휠(메이첵 하이 휠, 2005년)에 올라타 사진을 찍을 수 있도록 포토존도 준비되었다. 19세기 자전거 포스터 90여점도 감상할 수 있다. □ 부대행사로는 7월 27일부터 9월 2일까지 ‘미래자전거 상상그리기공모전'이 열린다. 4세부터 13세 어린이들에게 과학 및 예술적 창의력을 자극하고 미래자전거에 대해 상상하는 즐거움을 주기 위함이다. ㅇ 전시장 주변에선 대한자전거연맹이 14회에 걸쳐 ‘자전거 안전 체험교실’을 운영한다. 안전하게 자전거를 타는 문화 확산을 위해 자전거 생김새 알기, 교통신호 및 표지알기, 안전한 장비착용과 안전하게 타는 방법을 지도한다. □ *** 국립과천과학관장은 “진귀한 자전거를 보여줄 수 있는 곳은 세계적으로도 몇 군데 없을 정도”라면서 “200년 자전거 역사를 한 눈에 알 수 있는 흥미로운 전시회인 만큼 자전거 동호인은 물론 일반 관람객들에게도 뜻깊은 전시회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 "13세 어린이들이 자전거 안전 체험교실에 참여할 수 있도록 국립과천과학관이 운영하는 전시회 이름은 뭐야" ]
unanswerable
c1cf57b0-1869-421d-9d5a-0403272f963e
2015년 미래부 국제협력 주요 성과 발표
2015년도 미래창조과학부 국제협력 주요성과 발표- 과학기술 외교지평 확대, 창조경제모델 수출 등 혁신협력 강화 □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 장관 최양희)는 2015년도 미래부 과학기술‧ ICT 국제협력 주요 성과를 발표하였다. □ 무엇보다 2015년은 한국의 과학기술 외교가 빛났던 한해였다. o 10월 대전에서 세계과학정상회의(2015.10.19~23, 대전)를 성공적으로개최하여 의장국으로서 향후 10년간 세계과학기술혁신정책의 지침인대전선언문 채택을 주도했다. o 특히, 핵심행사인 OECD 과학기술장관회의에 최초로 ASEAN회원국을 참여시켜 미래 핵심정책 목표로 ‘포용적 성장’을 이끌어냈다. 우리가 잘하는 가교역할을 통해 선진국-개도국간 과학기술협력의 물꼬를 튼 것이다. ‘창조경제혁신센터’가 글로벌 벤치마킹 정책에 채택되기도 했다.
[ "ASEAN 과학기술장관회의에 OECD 회원국을 참여시킨 나라는 어디야", "어느 국가의 세계과학기술혁신정책이 글로벌 벤치마킹 정책에 채택되었지" ]
unanswerable
1ff4f641-1747-4482-a2de-5180a1c04ab1
부산의 미래이끌 아이템을 찾아라
‘부산의 미래를 이끌 창업 아이템을 찾아라’- 「2015 부산 창업 아이템 경진대회」 개최(8. 27~28〕 - □ 이번 경진대회 영예의 최우승팀은 ‘허심술팀’의 “관광객들이 관광지에서 셀카를 이용할 수 있는 디자인 셀카봉 설치 아이템”이 차지했으며, 우수상은 ‘Unism팀’의 “택시 뒷 자석 안전벨트 착용을 유도하기 위해 유에스비(USB) 충천 기능을 결합한 아이디어’와 ‘MIT팀’의 “해수욕장 쓰레기를 수거하면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아이디어”가 차지했다. o 최우수 단체 수상팀 ‘허심술팀’(5명)에게는 부산시장상과 함께 부산 은행장상이 주어졌으며, 3박 4일간의 미국 실리콘 밸리 현장견학 특전과 함께 창업진흥원이 주관하는 「대한민국 창업리그 본선 진출권」도 부여되었다. ※ 실리콘벨리 현장견학 지원 : 비엔케이(BNK) 금융그룹(14백만원) o 그 밖에 우수상 2개 팀(Unism팀, MIT팀)에게 각 200만원, 장려상 ​4개팀(Roof팀, 믿을 수 있는 친구들팀, ICSTS팀, RIVER팀)에게는 각 50만원의 시상금과 4명에게는 화합상 등 개인상이 수여되었다.
[ "2015 부산 창업 아이템 경진대회에서 최우수 단체 수상팀이 받은 상금은 얼마니", "2015 부산 창업 아이템 경진대회에서 화합상 등 개인상 수상자들은 얼마의 상금을 받았을까" ]
unanswerable
c29983fc-8804-47d1-b0af-5ad17d41cecb
‘2019년 소상공인의 날’ 기념식 개최
‘2019년 소상공인의 날’ 기념식 개최 또한 어려운 가정형편에도 모범적으로 학업에 열중하고 있는 중․고등학생과 대학생 66명에게 장학금을 전달하고, ‘소상공인 결의문 낭독’ 등 다양한 행사도 진행했다. 이날 기념식에 앞서서는 김해시 소상공인연합회 양대복 회장을 제3대 경상남도 소상공인연합회 회장으로 임명하는 취임식을 가지기도 했다. 이날 기념식에 참석한 김경수 도지사는 인사말을 통해 “그동안 경남도에서는 소상공인 전담부서 신설, 조례를 포함한 제도적 기반 마련, 신사업창업사관학교 설치 등 도내 44만 소상공인을 위한 지원시책을 꾸준히 시행해왔다”면서 “앞으로도 소상공인의 실질소득을 높이고, 소상공인이 체감할 수 있는 시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비록 어려운 상황이지만 다함께 힘을 합쳐 나가면 위기를 기회로 만들 수 있다”며, “경남도가 소상공인들을 힘껏 응원하고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경남도는 올해 소상공인 정책자금을 지난해(1,100억원) 대비 32% 증가된 1,450억 원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도내 처음으로 소상공인 ‘신사업창업사관학교’와 ‘소공인 집적지구 공동기반시설’을 유치해 체계적인 창업 지원과 소공인 지원을 위한 첫발을 내딛는 성과를 거뒀다.
[ "2019년 경남도 신사업창업사관학교에 등록한 사람은 몇 명이니", "경남도 소상공인 전담부서는 몇 명으로 구성되어 있지" ]
unanswerable
a5e7cd9f-639f-4014-858a-bce4a61b38ed
물방울 젖음주름 원리규명
물방울 젖음주름 형태와 원리 규명 □ 물방울은 고체인 바닥과 기체인 공기와 접하는 곳에서 서로간의 힘이 균형을 이루면서 형체를 유지한다. o 이 때 물방울이 바닥과 공기와 동시에 만나는 부분에서 미세한 젖음주름이 만들어지는 것이 알려져 있으나 직접 관찰하지 못해 정확한 형태나 형성원리를 명료하게 알지 못했다. □ 이에 연구팀은 투과엑스선현미경*을 이용하여 실리콘 젤 표면 위에 놓인 물방울에 형성된 젖음주름의 영상을 얻고 그 형태와 형성원리를 밝혀냈다. * 투과엑스선현미경(Transmission X-ray Microscopy) : 첨단 엑스선 광학계를 이용하여 물질내부의 구조를 나노해상도로 영상화 함. o 젖음주름을 이용한 나노구조물 제작이나 효율적인 표면처리제 개발 등 다양한 산업적 응용을 위한 실마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o 특히 세포의 증식, 분화,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세포의 젖음현상에 대한 이해를 돕고 향후 세포를 젖음주름에 가두는 등 세포공학적 응용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 "세포를 젖음주름에 가두는 방법은 무엇일까" ]
unanswerable
88d24a9e-02de-4ff6-a33f-2a6ee836682a
2019년 ICT 창업·벤처 지원사업(K-Global 프로젝트) 통합공고 및 민관 통합설명회 개최
2019년 ICT 창업·벤처 지원사업(K-Global 프로젝트) 통합공고(2.12) 및 9개 주요기업과 함께하는 ICT 창업·벤처 지원사업 민관 통합설명회(2.19) 개최 □ 올해에는 기업들이 현장에서 겪는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추진할 예정이다. ㅇ 먼저, 대한변협에서 추천한 전문변호사가 정관작성, 법률계약서 검토, 지식재산권 보호 등의 일반적인 법률자문을 실시하는 법률멘토링 서비스를 실시한다. ※ ICT 스타트업 육성을 위한 과기정통부-대한변협 업무협약(2018. 11. 2) 후속조치 ㅇ 또한, 해외진출 분야의 경우 과기정통부 내에 산재된 해외진출 프로그램을 통합하여 공고함으로써 스타트업에게 보다 많은 사업 참여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 예시: 해외 ICT 로드쇼 사업, K-ICT BOOT CAMP 인디아, KIC 운영사업, 해외 IT 지원센터 운영사업 등 ㅇ 통합안내문에는 사업별 지원자격, 신청방법, 추진일정 등 세부사항이 포함되었으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K-Global 프로젝트 홈페이지(www.k-global.kr)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 "법률계약서 작성을 누가 했니", "KIC 운영사업을 누가 실시했어" ]
unanswerable
2ab5c52b-b9b8-4cb7-8ac7-1f84ca418662
유영민 장관,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19에서 5G 글로벌 선두 리더십 발휘
유영민 장관, MWC에서 5G 글로벌 선두 리더십 발휘 - 지난해 세계최초 상용화 약속 이후 국내외의 5G 동향 점검 - ㅇ 한편, 세계은행(Wolrd Bank)과의 면담에서 **** ** 부총재는 ​과기정통부의 D.N.A(Data, Network, AI) 정책이 ICT 분야의 모범이 되고 있다고 평가하면서, 아프리카지역 통신망 투자와 인적자원 개발정책인 디지털 문샷(Digital Moonshot) 정책을 소개하고 한국의 협조를 요청하였다. □ MWC 현장에서 유영민 장관은 “지난해 이곳에서 발표했던 세계최초의 5G 상용화를 이루기 위해 우리나라 많은 기업들이 열심히 노력해 왔다. 오늘 이곳에서 우리나라 뿐 아니라 세계가 5G 기술발전을 위해 얼마나 노력했는지 느낄 수 있었다.”며, ㅇ “한국이 5G분야에서 계속해서 리더십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5G기반 다양한 서비스의 발굴 등,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 "어느 부처가 세계은행에 디지털 문샷 정책 협조를 요청했어", "세계은행은 어느 부처와 아프리카지역 통신망에 투자했어" ]
unanswerable
357600a9-ac3d-4a9d-b4a9-7e310f7d6081
2014 여름 소프트웨어 창의캠프 「SW CREW」 개최
프로그래밍! 상상한 것을 현실로 만든다 - 2014년 여름 소프트웨어(이하 SW) 창의캠프 「SW CREW」 개최 - □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는 어릴 때부터 프로그래밍 등 SW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초·중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1박 2일간의 “SW 창의 캠프”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o 올해 2월에 이어 두 번째로 진행되는 여름 캠프는 초·중학생의 SW 및 프로그래밍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제고하고, 학부모가 자녀의 SW학습을 권장할 수 있는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마련되었다. - 지난 캠프에 참가했던 *** 학생은 ‘프로그래밍은 영어단어를 쓰며, 복잡한 수학계산을 해야만 한다고 생각했지만, 캠프에서 직접 프로그래밍을 배워보니 쉽고 재미있다’고 말했다. - 캠프에 함께 참여한 학부모(***씨)는 ‘수업을 같이 들어보니, 프로그래밍이 논리적이면서도 창의력을 많이 요구한다’고 말하며, 창의적인 인재가 인정받는 시대에 꼭 필요한 교육임을 강조했다.
[ "초, 중학생에게 영어단어와 수학계산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미래창조과학부가 개최한 캠프는 뭐지" ]
unanswerable
365b713e-00d3-4cf8-ba28-174ec6cc1c1f
김경수 지사, 스타트up․중소기up 기 살리기 (Up! Up!)
김경수 지사, 스타트up․중소기up 기 살리기 (Up! Up!) 지식재산 스타트업 투자설명회인 로드데이 행사는 수도권과 충청․호남․제주권역에 이어 세 번째로 경남도와 특허청이 공동 주최, 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와 한국발명진흥회가 공동 주관했다. 경남에서 진행된 제3회 로드데이는 처음으로 순회 지역의 지방정부(경남도)와 금융기관(BNK금융그룹), 경제단체(경남상공회의소협의회)가 함께함으로써 지역 IP스타트업 지원을 위한 민관의 협업기반을 마련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이번 3회 행사는 영남․강원지역 예비창업자 및 창업 7년 미만의 스타트업 15개사를 대상으로 성장에 있어서 지식재산의 중요성을 알리고, 지식재산(IP)를 기반으로 민간 투자자들로부터 투자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기업설명회(IR․Investor Realations) 피칭과 함께 홍보부스가 마련됐다.
[ "충청상공회의소에서 지식재산 금융기관 투자설명회를 하는 행사는 어떤 행사야" ]
unanswerable
e90d2b09-e5a5-44ac-a66b-6a1f70fa3bb1
김경수 지사, 스타트up․중소기up 기 살리기 (Up! Up!)
김경수 지사, 스타트up․중소기up 기 살리기 (Up! Up!) 김 지사는 축사를 통해 “우수한 기술을 중소기업에 제공해 사업화하는 것은 기업의 발전을 넘어 국가 산업 전반의 기술력과 경쟁력에 큰 도움이 된다”고 전했다. 경남뿐 아니라 중기부와 부산, 울산이 함께 참여하는 동남권 장터로 확대된 사실을 언급한 김 지사는 “수도권으로 모든 것이 집중되고 청년들도 모두 서울로 향하는 상황에서 동남권 단위로 함께 힘을 모아 경쟁력을 키워나가자”고 강조했다. 최신 연구개발 성과의 정보 교류와 기술거래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 마련된 이날 기술거래장터는 대학, 연구소 등 공공연구기관에서 개발된 기술을 기업으로 이전해 사업화를 촉진하고, 기술이 활발하게 거래될 수 있도록 기술정보 교류와 네트워킹을 하는 장이다.
[ "어느 부처가 부산과 울산이 기술정보 교류를 할 수 있도록 기술거래장터를 마련했어", "서울의 연구소에서 개발한 기술은 어느 부처에서 사업화하는 거야" ]
unanswerable
ea47cdea-a890-4fb7-8c02-323c71069df0
2019년 공공부문 SW·ICT장비·정보보호 사업규모 4조 814억원
2019년 공공부문 SW·ICT장비·정보보호 사업규모 4조 814억 원 - 2019년 공공부문 SW·ICT장비·정보보호 수요예보(예정) 설명회 개최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와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11월 30일(금) 코엑스에서 「2019년 공공부문 SW‧ICT장비‧정보보호 수요예보(예정)설명회」를 개최하고 2019년 공공부문 SW‧ICT장비‧정보보호 수요 예보 조사*(2018.10월~11월) 결과를 발표하였다. * SW산업진흥법 제19조(SW사업의 수요예보), 정보통신 진흥 및 융합 활성화 등에 관한 특별법 제29조(정보통신장비 수요예보), 정보보호산업의 진흥에 관한 법률 제6조(구매 수요정보의 제공)에 따라 공공부문의 SW·ICT장비·정보보호 구매 수요와 SW·ICT장비·정보보호사업 추진계획을 매년2회(11월:차년도 예정치, 3월:당해년 확정치)조사하여 발표 * 공공부문(국가기관, 지자체, 교육기관, 공공기관)의 2,204기관 조사(정보보호 분야는 정보보호산업진흥법에 따라 공공부문에 사립대학·대학원을 추가하여 2,559기관 조사)
[ "SW산업진흥법 제29조에 따라 공공부문의 SW·ICT장비·정보보호 구매 수요를 11월에 몇 번 조사했어", "SW산업진흥법 제19조에 따라 2018년 SW·ICT장비·정보보호사업 추진계획을 행안부에서 몇 회 개최했니" ]
unanswerable
53bbe407-5be8-43dd-80b7-5bfbc2bf6ec4
나노입자 기반의 신개념 슈퍼렌즈 기술 개발
나노입자 기반의 신개념 슈퍼렌즈 기술 개발 용어설명 1. 근접장 일반적인 광학기술로는 빛의 파장의 절반보다 작은 영역에 해당하는 광초점을 형성할 수 없다. 이는 빛의 회절로 인해 광학 영상의 중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성분들이 공기 중에서 진행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이며, 이때 중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빛의 성분을 근접장이라고 말한다. 2. Spatial Light Modulator 액정을 기반으로 하여 각각의 pixel에서 반사되는 빛의 위상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비. 3. 메타물질 자연 상태에서 찾을 수 없는 인공적인 구조를 제작하여 특수한 성질을 갖도록 제작한 인공물질을 말한다.
[ "빛이 액정에서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뭐라 할까", "액정 반사로 빛의 파장이 절반으로 작아지는 이유는 무엇 때문이야" ]
unanswerable
fa489b7f-4f9e-42c0-b2c7-2f8fd82f4f5e
김경수 지사, 스타트up․중소기up 기 살리기 (Up! Up!)
김경수 지사, 스타트up․중소기up 기 살리기 (Up! Up!) 경남도는 도내 연구기관과 기업을 대상으로 ‘경남 기술거래장터’를 진행해왔으나, 올해는 동남권의 새로운 협력모델로써 중소벤처기업부, 부산시, 울산시와 함께 ‘동남권 기술거래장터’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김 지사와 안완기 한국테크노파크진흥회 회장을 비롯해 경남·부산·울산테크노파크, 공공연구기관 및 기업체 관계자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기술거래 유공자 표창, 경남․부산․울산 테크노파크 간 추적된 노하우 공유 및 협력체계 강화를 위한 ‘동남권 기술교류회 출범식’, 연구기관과 기업 간 ‘기술이전 체결식’, 기술보증기금 지원사업과 2020년 정부 기업지원사업 등 관련 사업 소개 등의 순서가 이어졌다. 부대행사로 동남권 22개 연구기관이 보유한 465개의 기술에 대해 수요기업과 1:1 맞춤형 상담회, 기술이전에 대한 무료 법률․금융상담도 함께 진행됐다.
[ "경남도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동남권 기술거래장터를 개최한 곳은 어디일까", "동남권 기업 간의 기술이전에 대한 맞춤형 상담회를 개최하여 경남 기술거래장터를 진행한 곳은 어디니" ]
unanswerable
ea8f2be4-744e-4e9f-bb73-8cbe06ecea1e
제7회 정보통신전략위 결과
대한민국 ICT, 미래 성장의 주력 인프라로 거듭난다- 제7차 정보통신전략위원회 개최,「K-ICT전략 2016」등 6개 안건 의결 - 3 사이버 시큐리티 인력양성 종합계획 ∘초․중․고 정보보호 전문교재 개발 및 전문교원 양성 및 사이버 가디언즈 창설 ∘정보보호 특성화대학 확대(4개→2020년 12개), 제품개발·해외진출 전담인력 양성 ∘3대 경력단절 요인(대입, 군복무, 출산) 해소를 위한 맞춤형 경력연계·취업 지원 ∘산업 맞춤형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및 공공부문 보안 전담조직·인력 확충 □ 사이버 공격이 지능화·대규모화되면서 경제적 피해는 물론 사회혼란과 국가안보를 위협하는 수준까지 진화함에 따라, 안전한 지능정보사회 구현과 정보보호산업 성장을 견인하기 위한 인력양성 종합계획을 수립하였다.
[ "대한민국 ICT 성장을 위해 정보보호 제품을 개발하고 정보통신전략위원회를 개최하는 곳은 어디니", "공공부문의 안전한 지능정보 보안을 위해 정보통신전략위원회를 개최해 인력양성 안건을 의결한 곳은 어딜까" ]
unanswerable
cec36470-5acd-4157-9885-8d117437bb00
2019년 공공부문 SW·ICT장비·정보보호 사업규모 4조 814억원
2019년 공공부문 SW·ICT장비·정보보호 사업규모 4조 814억 원 - 2019년 공공부문 SW·ICT장비·정보보호 수요예보(예정) 설명회 개최 - □ 조사결과 2019년 공공부문 SW·ICT장비 총 사업금액은 4조 814억원(전년대비 2,784억원, 7.3%증가)으로 SW는 3조 1,710억원(전년대비 2,737억원, 9.4%증가), ICT장비는 9,104억원(전년대비 47억원, 0.5%증가)으로 집계되었다. - 기관유형별로는 국가기관은 1조 5,473억원(37.9%), 지자체‧교육기관‧공공기관은 2조 5,341억원(62.1%)을 집행할 것으로 나타났다. ㅇ SW사업 가운데 SW구축 사업비는 2조 8,888억원(91.1%), SW구매 2,822억원(8.9%)으로 조사되었으며, - SW구축의 경우 전체적으로 전년대비 2,475억원(9.4%) 증가하였고, 이 중 SW개발 사업은 7,963억원(전년대비 880억원, 12.4%증가), 운영 및 유지관리 사업은 1조 7,160억원(전년대비 1,122억원, 7.0%증가)으로 나타났다. - SW구축 사업 금액별로 살펴보면, 중소기업 영역인 40억원 미만 사업은 1조 6,559억원(전년대비 1,493억원, 9.9%증가), 80억원 이상 사업은 8,974억원(전년대비 440억원, 5.2%증가)으로 나타났다. - 또한, SW구매는 전체적으로 전년대비 262억원(10.2%) 증가하였으며, 보안SW는 679억원(전년대비 130억원, 23.7%증가), 사무용SW는 1,194억원(전년대비 77억원, 6.9%증가)으로 사업금액이 증가하였다. ㅇ ICT장비 구매 사업은 9,104억원 가운데 컴퓨팅장비 6,879억원(전년대비 51억원, 0.7%증가), 네트워크 장비 1,812억원(전년대비 40억원, 2.2%증가), 방송장비 413억원(전년대비 43억원, 9.4%감소)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2019년 교육기관의 ICT장비 사업금액으로 집행된 금액은 얼마야", "2019년 SW구축 사업비 중 지자체에 집행된 금액은 얼마일까" ]
unanswerable
bfcea241-3a00-41e0-9aaf-9aa391b5f88a
제9회 국가과학심의원회 개최
정부, 내년 연구개발(R&D)예산, 경제혁신과 미래성장동력에 집중 배분 ≪ 안건 1. 「2016년도 정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 □ 정부는 내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중 국방‧인문사회 분야 등을 제외한 19개 부처 373개 주요 연구개발 사업에 대해 금년보다 2.3% 감소한 12조 6,380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ㅇ 지속적인 경제성장 및 미래성장동력 창출을 위해 주력산업의 체질을 혁신하고, 경제의 역동성을 견인하는데 투자를 강화하기로 하고, 미래성장동력 창출분야에 금년보다 8.1% 증가한 1조 1,423억원을, 중소·중견기업지원에 1조 3,821억원(금년대비 1.4% 증가)을 투입한다. ㅇ 최근 메르스 여파로 국민적 관심과 요구가 많은 국민안전·행복 실현을 위해 감염병 예방 등 재난재해·안전 분야에 금년보다 11.2% 증가한 7,083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ㅇ 또한 과학기술 전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개인·집단기초연구 지원분야에 1조 1,071억원(금년대비 3.2% 증가)을 지원할 계획이다. ㅇ 아울러 국가연구개발(R&D)사업 배분‧조정 과정에서는 지난 5월 국가재정전략회의에서 확정된「정부연구개발(R&D) 혁신방안」의 차질없는 이행을 뒷받침하기 위해, 각 부처가 사업 집행 및 제도개선에 필요한 사항을 조기 이행할 수 있도록 관련예산을 우선 반영하였다. ㅇ 한편, 어려운 재정여건을 감안하여 투자효율성 제고에 초점을 두고, 부처별‧사업별로 강력한 세출구조조정을 통해 6,399억원의 예산을 절감하여 경제혁신 등의 중점분야에 재투자토록 하였다.
[ "2016년도 인문사회 분야에 얼마의 예산이 지원됐니" ]
unanswerable
5a59c1de-c53c-4eb0-88c6-aed376332bfb
돌멩이 같은 울퉁불퉁한 표면에 붙이는 전자소자 개발
돌멩이 같은 울퉁불퉁한 표면에 붙이는 전자소자 개발 - 튜브 형태 나노 섬모를 통해 접착력 강화… ACS Nano지 게재 - 논문의 주요 내용 □ 논문의 주요 내용 1. 연구의 필요성 ○ 전사인쇄는 고성능·고집적 전자소자를 울퉁불퉁한 표면에 올릴 수 있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전자소자를 직접 제작하기 힘든 신체, 의류, 사물 등 다양한 표면에 전자소자를 접착시키고, 활용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 기존 전사인쇄 기술에서는 전자소자를 울퉁불퉁한 표면에 접착할 때, 강력한 접착력을 유지하기 위해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생체와 자연물과 같은 표면에 접착할 경우 화학적 접착제의 사용이 제한된다. ○ 울퉁불퉁한 표면과 넓은 접합 면적을 유지하기 위해 나노미터(㎚, 1㎚는 10억 분의 1m) 또는 마이크로미터(㎛, 1㎛는 100만 분의 1m) 크기의 구조체를 활용해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많이 진행됐다. 그러나 강한 접착력을 부여하려면 접착 방향, 가해주는 힘 등 특정한 조건이 필요한 단점이 있었다. ○ 특히 자연물의 경우 울퉁불퉁한 표면의 모양이나 거칠기의 정도의 범위가 넓고, 쉽게 예측하기 힘들어 조건의 제약 없이 접착력을 강화시킬 기술이 필요하다.
[ "화학적 접착제의 접착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기술은 뭐야", "화학적 접착제를 넓은 범위에 사용하기 위해서 어떤 기술이 필요하니" ]
unanswerable
1caa25af-791e-456f-a5af-6ee58badc931
제7회 정보통신전략위 결과
대한민국 ICT, 미래 성장의 주력 인프라로 거듭난다- 제7차 정보통신전략위원회 개최,「K-ICT전략 2016」등 6개 안건 의결 - 4 스마트폰․인터넷 바른 사용 지원 종합계획(2016~2018) ∘9개 부처 합동으로 52개 정책과제 확정 □ 최근 스마트폰․인터넷의 과다사용으로 인한 역기능(과의존) 위험이 증가하고 있어, 과의존 위험 해소 및 건강한 스마트 사회 구현을 위한 종합계획을 수립하였다. □ 과의존 위험군의 사용을 억제(제한)하는 ‘위험회피’ 전략에서 균형과 조절을 통해 보다 의미있고, 가치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회 활용’ 전략으로 전환하여 추진하는 것이 이번 계획의 특징이며, ㅇ 9개 부처 협력을 통해 △자율적 조절능력 강화, △과의존 치유서비스 안정화, △스마트폰․인터넷 지식역량 강화, △과의존 대응 협력체계 강화 등 4대 전략 총 52개 정책 추진과제를 마련하였다. □ 향후 정부부처 간 협력체계와 함께, 지자체, 상담센터, 민간기업 및 시민단체 등과 협력을 강화하여 관련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 "스마트 사회구현을 위한 종합계획을 수립한 민간기업은 몇 개야" ]
unanswerable
426ae617-9a87-4b1d-a83d-c70c52b43f97
2020년 과기정통부 예산안 및 정부 R&D 예산안 발표
‘더 과감하고 도전적인 R&D’로 사람중심 4차 산업혁명 실현 1 2020년 정부 R&D 예산 24.1조원 [ 중점 투자 분야 ] (1) DNA 고도화를 통한 경제활력 제고 ② Data 경제 활성화 및 활용기반 고도화 ㅇ 금융, 통신 등 분야별로 구축된 빅데이터 플랫폼을 통해 시장에서 요구하는 양질의 데이터 공급이 이어지고, 이를 기반으로 공익적․ 산업적 혁신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창출되도록 지원을 강화한다. ㅇ 플랫폼간 연계와 데이터 거래기반 마련, 데이터 바우처 공급 등을 통해 데이터 축적․유통․활용의 전 단계에서 가치를 창출하는 혁신 생태계가 조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ㅇ 공공부문 클라우드 확산과 국내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여 클라우드 산업의 활력을 제고하고, 블록체인 핵심기술개발 및 전문기업 육성을 통해 블록체인 산업의 기초체력을 강화하는 한편, 공공․민간 부문 확산을 통한 초기시장 형성을 지원한다. ③ AI 경쟁력 제고 ㅇ 포스트 딥러닝 등 차세대 AI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혁신적 AI 서비스가 적시 출시․활용될 수 있도록 고성능 컴퓨팅 등 AI 개발 인프라 제공을 확대하면서 AI 바우처 도입으로 중소․벤처기업의 AI 솔루션 활용을 촉진한다. ㅇ AI 산업융합 집적단지(광주) 조성 및 인공지능융합연구센터 확대 운영 등을 통해 데이터․AI 기반 융복합 모델 확산도 추진한다.
[ "2020년에 인공지능융합연구센터를 광주에 조성하는 데 얼마가 들었어", "광주시는 AI 산업융합 집적단지를 조성하기 위해 얼마를 지원받았니" ]
unanswerable
f893a64d-1a48-470c-a863-aef855228310
돌멩이 같은 울퉁불퉁한 표면에 붙이는 전자소자 개발
돌멩이 같은 울퉁불퉁한 표면에 붙이는 전자소자 개발 - 튜브 형태 나노 섬모를 통해 접착력 강화… ACS Nano지 게재 - 용어설명 1. 섬모 구조 고분자 물질을 길게 뻗은 형태로 제작한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얇은 고분자 박막필름을 반도체 공정인 포토리소그래피와 건식 식각 공정을 통해 수평으로 뻗은 형태와, 양극산화 알루미늄 틀을 통해 수직으로 뻗은 형태 두 가지의 섬모 구조를 제작하였음. 2. 양극산화 알루미늄 알루미늄을 전기화학적으로 양극산화(anodizing)시켜 표면에 나노미터크기의 구멍이 규칙적으로 형성된 알루미늄 기판임. 크기나 직경이 다양한 나노튜브나 나노기둥 등의 나노 구조를 만드는 틀로 사용됨. 3. 전사인쇄 공정(Transfer printing process) 하나의 기판 위에 있는 소재 또는 소자를 떼어내어 원하는 기판 또는 물체의 표면에 옮기는 방법. 주로 전자소자 제작 공정이 제한되어 직접적인 전자소자 제작 공정이 어려운 표면에, 공정이 용이한 기판에서 제작된 소재 및 소자를 옮기는데 활용되는 간접적인 전자소자 제작 공정임. 4.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증착 등의 방법으로 반도체 박막을 형성시키고 이를 채널로 이용하여 만든 트랜지스터(transistor)로 TFT라고도 함. 대면적 기판 위에 형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액정 디스플레이의 구동소자로 널리 이용되고 있음.
[ "반도체 박막을 원하는 기판이나 물체의 표면에 옮기는 방법이 뭐야" ]
unanswerable
cbe02376-e402-4085-a934-5e2ee0aade81
2014년 기술수준평가 결과
우리나라 전략기술, 세계 최고 수준의 78.4% - 2년 전보다 기술격차 0.3년 단축 - 2014년도 기술수준평가 주요내용 □ 2014년도 기술수준평가 결과 (2) 기술분야별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 다. 미래성장동력산업(13개) 분야 ㅇ 13개 산업 중 기술수준에서 선도그룹은 4개, 추격그룹은 9개로 분석 ※ 선도그룹 : 5세대 이동통신, 지능형반도체, 실감형 콘텐츠,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4. 향후 계획 ㅇ 각 부처 및 유관기관에 기술수준평가 결과를 배포하여 기술수준향상 시책수립에 활용 ㅇ 기술수준평가 결과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R&D투자전략과 연계하여 추진
[ "2014년도 기술수준평가를 진행한 기관은 어디야", "5세대 이동통신의 기술수준평가는 어느 기관에서 했어" ]
unanswerable
e3a4f6fb-25c5-4d52-b4d1-fc37511017f2
바이오 실험실 창업 촉진을 위한 ‘바이오경제 2025 일자리 전략’ 발표
원천 R&D를 창업과 일자리로 연결해 바이오 벤처 붐 이어간다 - 바이오 실험실 창업 촉진을 위한 ‘바이오경제 2025 일자리 전략’ 발표 - □ 바이오 연구개발(R&D)이 창업과 일자리로 연결된 성과를 실험실 출신 창업가와 함께 홍보하고 촉진하기 위해 마련된 간담회에서는 바이오 일자리 정책에 대한 현장의견 수렴도 함께 이뤄졌다. □ 연구자에서 시작해 현재는 창업가로서 일자리 현장에서 활동 중인 기업 참석자가 병원, 공공연구소, 투자자, 규제기관 등을 연계해 R&D부터 시장 진출까지 지속적인 지원을 제공해 줄 것을 강조했다. ㅇ 휴대용 자가진단 의료기기로 매출액 90억원 규모로 성장한 생명연 연구소기업인 미코바이오메드는 R&D 단계부터 인허가‧사업화 컨설팅을 통해 시간‧자금‧인력 부담을 덜어주기를 요청하였으며, ㅇ 해외에 의존 중이던 비임상 시험을 50% 점유하겠다는 도전적인 목표로 성장 중인 연구개발서비스업체(CRO, 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임상시험 수탁기관) 켐온은 초기 기업 자금 지원과 맞춤형 창업 교육‧컨설팅 프로그램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켐온에서 개발해 매출 90억원을 올린 장비는 뭘까", "공공연구소에서는 무슨 장비를 사용하기 위해 바이오 실험실에 의존하고 있어" ]
unanswerable
7c040838-dd19-483f-b204-79ccd8038f97
2018년도 상반기 우수기업연구소 지정제도 설명회 개최
2018년도 상반기 우수기업연구소 지정제도 설명회 개최 2018년도 상반기 우수 기업연구소 지정 공고 4. 지정절차 - 종합심사 ․ 심사방법 : 발표 및 현장심사를 토대로 우수 기업연구소 지정의 적합성, 지속적인 가치창출 가능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종합심사위원회) ․ 심사위원 : 심사대상 분야를 고려 산·학·연 전문가 7인 내외로 구성 ․ 종합심사를 통과한 기업연구소는 우수 기업연구소 지정예정 공고 대상으로 확정 - 지정예정 공고 및 확정 ․ 종합심사를 통과한 기업연구소에 대해 우수 기업연구소 지정예정 공고 후 이의신청이 없을 시 확정 ․ 지정예정 공고 기간 내에 이의신청이 접수된 경우, 이의조정위원회를 통해 이의신청에 대한 수용여부 심사 후 최종 확정 ․ 우수 기업연구소로 최종 확정된 기업연구소에 대해서는 인터넷 홈페이지 등을 통해 별도 확정공고
[ "2018년도 상반기 우수 기업연구소 지정 심사에 참여하는 산업계 전문가는 몇 명이니", "2018년도 상반기 우수 기업연구소 지정절차에서 이의조정위원회는 몇 명으로 이루어졌을까" ]
unanswerable
092feba2-902a-43df-be48-592b6a6d1104
2020년 과기정통부 예산안 및 정부 R&D 예산안 발표
‘더 과감하고 도전적인 R&D’로 사람중심 4차 산업혁명 실현 2 2020년 과기정통부 예산 16조 2,147억원 편성 [ 중점 투자 분야 ] (4) 과학기술과 ICT 기반의 포용국가 실현 ※ (2019) 7,820억원 → (2020) 9,700 억원 (+1,880억원, 24%↑) □ 미세먼지에 대한 국민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본질적 문제해결 중심의 R&D 및 부처협업 기반으로 각종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R&D 투자를 확대하여 총 630억원을 편성하였다. □ 아울러, 빅데이터, AI등 4차 산업혁명 핵심분야의 혁신인재 양성, 실험실 일자리 등 과학기술 기반 일자리 창출과 국민과 함께하는 과학기술・ICT를 구현하는데 총 9,070억원을 편성하였다. ① 미세먼지 대응 연구개발 ㅇ 국외유입‧국내배출 상세 연구와 장거리 이동 미세먼지 생성 기작 규명을 고도화하여 동북아 차원의 종합적 초미세먼지 현상 규명을 위한 사업을 신규로 편성하였다, ㅇ 또한 미세먼지 취약계층(학생)을 대상으로 상시 미세먼지 관리를 위한 학교 맞춤형 열‧공기환경 통합관리 시스템 개발‧실증 지원도 강화한다.
[ "학교 맞춤형 열공기환경 통합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과학기술을 구현하는데 총 얼마가 편성됐어" ]
unanswerable
4d27803a-479b-4cc0-85d8-ef5ab8e34c2d
기업공감원스톱지원센터 전국 순회 현장 상담회 개시
중소·중견기업 기술 고민 풀어드립니다. 기업공감원스톱지원센터 '찾아가는 기업현장 행보' - 기업 기술 고민 해결을 위한 '전국 순회 상담회' 진행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기업공감원스톱 지원센터(이하 SOS1379*)가 현장에서 기업들의 기술애로를 파악하고 지원하기 위한 전국 순회 상담회를 7월 31일부터 진행한다고 밝혔다. * SOS1379: 전화(☎1379) 한(1) 통화로삼(3)일이내산·학·연이친구(79)가된다는의미 □ 'SOS1379'는 대학, 정부출연연구소 등 공공연구기관이 보유한 연구개발(R&D) 성과, 연구 인력 및 장비 등을 활용하여 중소·중견기업이 당면한 기술문제를 기술자문·기술이전, 장비지원 등을 통해 지원하고자 2015년 7월 출범하였으며, ㅇ SOS1379에 기업의 기술고민이 접수되면 IT, 기계, 전기·전자, 바이오 등 6개 분야의 전문위원의 전문기술 상담 및 진단을 통해 출연(연), 대학 등 65개 전문기관에 연계하여 중소·중견기업의 기술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 "출연연, 대학 등 65개 기관들의 기술 애로를 파악하고 지원하기 위해 2015년 7월 출범한 기관은 뭐야", "어떤 기관에 중소, 중견기업의 인력 고민이 접수되면 기계 분야의 전문위원이 전문 상담 및 진단을 진행하지" ]
unanswerable
81638c06-530f-4bf6-9362-2bb5c2ad3bd2
제7회 정보통신전략위 결과
대한민국 ICT, 미래 성장의 주력 인프라로 거듭난다- 제7차 정보통신전략위원회 개최,「K-ICT전략 2016」등 6개 안건 의결 - 제7차 정보통신 전략위원회 주요 안건  10대 전략산업 육성 ㅇ (IoT·클라우드·빅데이터·지능정보)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신성장산업 육성 - IoT 실증사업(부산-스마트시티, 대구-헬스케어)간 데이터를 공유하고 IoT 융복합 실증단지(1개)를 추가 조성하여 IoT산업 활성화 촉진 - 국가R&D·학술정보·교육자료 등 공공 데이터를 클라우드를 통해 구축‧개방하여, 중소·벤처기업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 조성 - 바이오·에너지·관광 등 산업적 활용 가치가 높은 데이터에 대한 민간 주도의 유통시장의 창출(8월, 규제프리존내에 시범사업자 지원) - 민간주도로 기업형 “지능정보기술연구소”를 설립(2016.6월)하고, 언어⋅시각⋅공간지능 등 공통·핵심기술 개발 추진
[ "민간주도로 무엇이 1개 더 추가 조성되어 IoT 산업 활성화를 촉진하지" ]
unanswerable
9647f1a2-9393-4032-bb6f-42ab138410cc
2018년도 상반기 우수기업연구소 지정제도 설명회 개최
2018년도 상반기 우수기업연구소 지정제도 설명회 개최 2018년도 상반기 우수 기업연구소 지정 공고 7. 신청 시 유의사항 ○ 동일기업이 2개 이상의 기업연구소 보유 시 1개 연구소만 신청가능 ○ 동일기업이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사업을 겸업하는 경우에는 매출액이 가장 큰 사업으로 업종을 구분하여 신청 ※ 매출액 기준이 부적합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해당사업에 종사하는 상시근로자수 또는 해당사업에 직접 사용되는 유형고정자산이 큰 업종으로 분류 ○ 접수된 서류는 일체 반환하지 않음 ○ 사실과 다른 내용을 지정 신청서 등에 기재한 경우 제재(지정 취소 등) 가능 8. 문의처 ○ 담당자 :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시상인증단 *** 차장 / *** 사원 ○ 연락처 : 02 – 3460 – 9026~7
[ "2018년도 우수 기업연구소는 어떤 업종이 지정될 수 있지", "동일기업이 여러 기업연구소를 보유 시 상시근로자가 있는 어떤 업종만 우수 기업 연구소로 신청 가능하지" ]
unanswerable
5dc88328-403d-4ebc-b913-1efdbe4d87ca
경상남도 국민디자인단 선정 ‘행복일터 1호점’ 현판식 개최
경상남도 국민디자인단 선정 ‘행복일터 1호점’ 현판식 개최 국민디자인단은 이번 현판식 행사와 더불어 외국인노동자의 이름표를 직접 제작해 사업주와 내국인 노동자가 직접 이름표를 달아주는 행사를 열었다. 또한 외국인 노동자들이 중요하거나 위험한 사항을 한눈에 알 수 있도록 픽토그램(그림으로 된 언어체계)을 제작해 배부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해당기업이 신규 외국인노동자 채용 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기업의 홍보동영상을 국민디자인단에서 직접 제작하고, 해당기업은 홍보동영상을 고용노동부에 제출해 추후 활용하기로 했다.
[ "한국의 외국인 노동자들이 중요한 사항을 한눈에 알 수 있도록 행복일터 홍보동영상을 제작한 단체는 어디야", "어떤 단체가 사업주의 이름표를 직접 제작해 한국의 외국인 노동자가 직접 이름표를 달아주는 행사를 열었지" ]
unanswerable
baec6d40-9ccb-45d7-affe-3ee41f2093ea
기관지 확장제 검출 시스템 개발
신속 정확한 기관지 확장제 검출 기술 개발로 만성폐쇄성 폐질환자의 불안 해결 - DNA 기반 테오필린 약물 분석 기술 개발- □ 국내 연구팀이 천식 및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치료제로 사용되는 기관지 확장제인 테오필린*(Theophylline)의 혈중 농도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였다. * 테오필린: 찻잎에서 추출되는 카페인과 유사한 화학구조와 생리작용을 가진 물질, 천식 및 만성폐쇄성 폐질환 치료제인 기관지 확장제로 사용되며 혈중농도가 높을 경우 영구적인 신경손상의 부작용이 있음 ◦ 이번 연구는 혈중 테오필린의 농도 분석을 기존보다 시간은 1/20로 가격은 1/15로 줄일 수 있는 기술로써, 향후 테오필린의 부작용을 걱정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 환자들이 간편하게 혈중농도를 측정하여 안전하게 테오필린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이번 성과는 미래창조과학부가 추진하는 글로벌프론티어사업의 바이오나노헬스가드연구단(단장 정봉현)의 지원으로 한국과학기술원 생명화학공학과 박현규 교수팀이 수행했으며, 연구 결과는 나노 분야의 국제저명 학술지인 '나노스케일(Nanoscale)'의 9월 7일(일)자에 연구의 중요성을 인정받아 표지논문으로 선정되었다.
[ "혈중농도가 높을 경우 영구적인 폐질환을 가져올 수 있는 물질은 무엇이야", "찻잎에서 추출한 어떤 물질이 폐 확장제로 사용되고 있어" ]
unanswerable
b940d7f2-8e8b-46d2-8975-6034dab3f403
과학기술혁신본부장, 혁신도전 프로젝트 제2회 테마발굴협의회 개최
‘혁신도전 프로젝트*’내년 사업 착수를 위한 사전준비 본격화 - 과학기술혁신본부장,「혁신도전 프로젝트」제2회 테마발굴협의회 개최 - □ 향후, 테마발굴협의회에서 제안한 10개 연구테마 후보가 도출되면 프로젝트 추진위원회*에서 올해 11월까지 연구테마 5개를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 관계부처 국장급 공무원 및 민간위원으로 구성(위원장:과기혁신조정관)되어 혁신도전 프로젝트 관련 주요사항을 심의·조정하는 기구(2019.11~) ㅇ 이후 내년 2월까지 총괄PM과 전담PM 후보를 선정하고 3월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에 착수할 계획이다. □ ***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혁신도전 프로젝트를 통해 달성이 어려운 초고난도의 목표를 설정하고 전략적인 연구방식을 활용하는 R&D가 정착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히며, ㅇ “혁신도전 프로젝트를 통해 국가발전의 원동력이 되는 과학기술과 국민의 삶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키는 과학기술이 창출될 수 있도록, 테마발굴협의회에서 혁신적이면서도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연구테마를 발굴해주길 바란다.”라고 당부하였다.
[ "혁신도전 프로젝트 제2회 테마발굴협의회에서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 제안한 연구테마는 몇 개야", "제2회 테마발굴협의회에서 국장급 공무원이 전담PM으로 확정되고 몇 개의 목표가 최종 심의됐니" ]
unanswerable
81364224-072a-40ea-ac39-dabd13b2d1ac
당뇨발생 추적 데이터 분석 결과
태음인 당뇨발병률 소음인 비해 약 1.8배 높아 사상의학 소개자료 4. 태양인 : 폐기능이 좋고 간기능이 약한 폐대간소(肺大肝小) 우리나라에서는 제일 찾아보기 힘든 체질로 얼굴은 둥글고 이마가 넓으며 광대가 나와 이목구비가 뚜렷하다. 몸통이나 팔다리는 빈약한데 머리가 큰 만큼 가슴 윗부분이 단단하게 잘 발달되어 있다. 옆구리와 허리가 가늘고 엉덩이가 작으며 다리가 얇아서 약한 편이다. 네 가지 체질 중 가장 건강한 체질의 소유자로 목소리가 크고 우렁차며 강렬한 눈빛을 가졌다. 진취성이 있어 하는 일에 막힘이 없고 적극성이 있어 누구나 쉽게 친해진다. 반면에, 뒤를 돌아보지 않아 실수가 많고 독단적인 경향이 있다. 영웅심이 많고 두뇌가 명석해서 대학 교수나 연구자, 소설가, 발명가, 운동선수 중에 태양인이 많다. 태양인은 선천적으로 흡수 소화하는 능력이 약해 날씬한 몸을 유지할 수 있다. 육식을 하지 않고 채식 위주로 섭취해도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는 체질이다. 기운이 위로 올라가는 체질로 슬픔이나 화를 내는 것을 조심하고 조급한 마음을 다스려야 한다. 그로인해 신경성에 의한 위병과 요통, 당뇨, 해소 등에 위험하다. 폐 기능이 좋지만 간 기능이 약하고 대변을 열흘정도 보지 못해도 큰 병이 아니다. 단전호흡이나 정신수양을 통해 정서적으로 안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 "간 기능이 좋고 폐 기능이 약한 체질은 뭐야" ]
unanswer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