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
stringlengths 36
36
| title
stringlengths 0
441
| context
stringlengths 200
7.38k
| questions
listlengths 1
2
| type
stringclasses 6
values |
---|---|---|---|---|
ba5cfae8-8efc-4547-a14e-ce8f34fb8322
|
40대미만 여성농업인 보육·교육시설 확충 시급
|
40대미만 여성농업인 보육 ․ 교육시설 확충 시급 60대이상 고령여성농업인 60.4%로 5년새 10%증가 - 농식품부, ‘2008여성농업인실태조사’ 결과 발표 -
□ 농림수산식품부는 4월 10일 여성농어업인육성정책자문회의를 개최하고 여성농어업인육성법에 의거 5년마다 실시하는 ‘2008년 여성농업인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 조사결과에 따르면 60대이상의 고령 여성농업인 비중이 2003년 50.4%에서 2008년 60.4%로 10% 증가한 반면, 40대이하 젊은 여성농업인 비중은 2003년 22.6%에서 2008년 13.6%로 9% 감소하는 등 지난 5년간 40대 미만의 신규 젊은 여성농업인의 유입이 거의 없어, 농촌에 계속 거주한 기존 여성농업인의 고령화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2008농업기본통계조사결과 : 농가인구중 여성농가인구는 51.6%, 65세 이상 고령여성농가인구 35.2%, 여성경영주비중은 17.9%(이중 65세 이상이 67%)
|
[
"2003년 농림수산식품부가 여성농어업인육성법에 의거해 무슨 분야의 신규 여성농업인의 유입을 증가시켰어",
"2008년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농림수산식품부는 무슨 분야의 40대이하 여성농업인의 유입을 증가시키고자 해"
] |
unanswerable
|
be2a7bb3-4070-49e6-bd13-a7ccd35d6e37
|
40대미만 여성농업인 보육·교육시설 확충 시급
|
40대미만 여성농업인 보육 ․ 교육시설 확충 시급 60대이상 고령여성농업인 60.4%로 5년새 10%증가 - 농식품부, ‘2008여성농업인실태조사’ 결과 발표 -
○ 70대이상 여성농업인의 42.9%가 남편과 사별하고, 30.3%가 독거노인으로서 연간농축산물 판매액 500만원 미만 83.6%, 월 평균 가계지출액 50만원 미만이 77.1%를 차지하는 등 고령 독거 여성농업인의 빈곤문제도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
[
"2008 여성농업인실태조사 결과 40대미만 여성 농업인은 몇 퍼센트로 나타났지",
"2008년 여성농업인실대조사 결과 60대이상 여성농업인의 몇 퍼센트가 남편과 사별한 것으로 나타났을까"
] |
unanswerable
|
f612ea97-12ac-46dd-aded-38b35893821a
|
IT활용체험수기 공모전 시상식 결과
|
IT와 함께 행복한 사람들의 따뜻한 이야기 - 미래부, ‘2014년 IT활용 체험수기 공모전 시상식‘ 개최 -
□ 이 중에서 대상 수상작을 살펴보면,
o 정보활용부문은 교직 은퇴후 주민들에게 정보화교육을 실시하여 2012년부터 현재까지 총 68명이 국가공인 IT자격증을 취득하는 등 지역정보화에 기여하고 있는 ***·*** 부부의 ‘컴과 함께하는 행복한 사람들‘이 대상을 수상하였고,
o 정보통신보조기기부문 대상은 선천성 전신마비를 극복하고 명문대학에 진학하여 대법관의 꿈을 향해 도전하는 희망의 메시지를 전해준 ***의 ‘나의 또 다른 손, 인테그라 마우스‘가 수상하였다.
o 그 외에도, 결혼이민자들의 국가 IT자격증 취득 및 취업 등을 도와 한국사회에 적응하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는 ****씨, 본인이 경험을 통해 기존 학습교재의 불편함을 개선하여 다른 시각장애인에게 학습의 편의성을 제공한 시각장애 1급 ***씨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열정을 갖고 활동하고 있는 사람들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 미래창조과학부의 *** 정보화전략국장은 “이번 공모전을 통해 다양한 사례를 공유하여 정보활용과정에서의 격차로 고민하거나 고통받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앞으로도 국민 모두가 정보화의 혜택을 고르게 누릴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 한편, 이번 공모전에서 입상한 우수 사례는 인쇄물과 동영상으로 제작하여 관련 기관 및 정보화 교육장 등에 배포할 예정이다.
|
[
"국민 모두가 정보화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2014년 IT활용 체험수기 공모전에서 무엇이 배포될 예정이야",
"2014년 IT활용 체험수기 공모전에서 정보활용부문에 시각장애인의 학습편의성을 위해 무엇을 만들어 수상했어"
] |
unanswerable
|
efab3172-22e6-4db1-be92-3a942df5407f
|
세종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식
|
농업과 과학기술이 만나 새로운 혁신을 이루는 「스마트 농업의 메카!」, 세종 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
□ 6월 30일(화), 황교안 국무총리가 참석한 가운데 세종창조경제혁신센터(이하 “세종센터”)가 전국 14번째로 출범
□ 작년 10월10일 박근혜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세종 창조마을 시범사업 발대식에서 ‘창조마을 시범사업’(세종시 연동면) 계획을 발표한 바 있으며, 그 간 6개 시범사업을 추진하여 왔음
i) (스마트 팜) 비닐하우스에 온·습도 센서, CCTV 카메라 등을 설치하고 무선 인터넷에 연결하여 스마트폰을 통해 원격으로 재배시설 제어
- 세종시 연동면 지역 100개 농가에(연동면 전체 비닐하우스 재배농 120여 가구 중 100 가구) 설치하여 생산성 22.7% 향상, 노동력 38.8% 절감 효과*
* 농식품부에서 대상농가에 대해 영농기술 교육 및 기술지원 병행
ii) (지능형 영상보안) 침입탐지 정보의 실시간 모니터링, 분석, 알람기능이 탑재된 스마트 CCTV를 설치하여 농작물·농기계·가축 등 도난 방지
- 연동면 마을회관, 마을입구, 축사, 창고 등 50개소에 설치(2015.1월)
|
[
"박근혜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어떤 센터가 전국 14번째로 출범했니",
"세종 창조마을 시범사업 발대식에서 어떤 센터의 설치 추진이 발표되었지"
] |
unanswerable
|
20773a0f-064b-4ed3-aad7-82ab8b435e51
|
산학연협력클러스터 지원 사업 실시
|
산업계 융합기술개발, 대학과 출연(연)이 함께 뛴다 미래부·산기협, 산학연협력 클러스터 지원사업 실시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 이하 미래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 협회(회장 ***, 이하 산기협)는 창조경제 시대 지식창출의 핵심 주체인 대학, 출연(연), 기업이 산학연협력 클러스터 활동을 통해 융합과제를 발굴하여 공동으로 개발하고, 기업이 이를 통해 성장의 실질적 동력원을 창출하는「산학연협력 클러스터 지원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 2012년까지 운영되던「산학연협력 우수연구실사업」과「산학협력연계망 구축사업」이 금년부터 추진되는「산학연협력 클러스터지원사업」으로 통합 개편되었으며, 지원금이 대폭 확대되고 융합기술 중심의 지원을 추진하는 등 기존의 지원사업을 수요자 친화적으로 개편하였다.
o 이번 사업은 산‧학‧연간의 기술정보 교류 활동, 단기 애로기술 개발 등을 지원하는 지식클러스터 지원사업과 이를 통해 도출된 융‧복합 기술개발 과제를 대학과 출연(연), 국‧공립 연구기관이 주관기관이 되어 개발하는 핵심융합기술개발 지원사업으로 운영된다.
o 지식클러스터 지원사업을 신청하기 위해서는 2개 이상 기술분야, 기업부설연구소, 대학, 출연(연), 국·공립 연구기관 등 14개 이상의 기관이 주관기관과 참여기관, 기술전문가로 참여하여야 하며, 기업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8개 이상의 기업이 반드시 구성원에 포함되어야 한다.
o 핵심융합기술개발 지원사업은 대학과 출연(연), 국․공립 연구기관이 주관기관이 되며, 2개 이상의 기업이 참여기관으로 필히 참여하여야 한다.
|
[
"14개 이상의 기업과 국립 연구기관이 주관기관이 되어 기술개발 과제에 참여하는 지원사업이 뭘까"
] |
unanswerable
|
4a52f4e4-2469-4c4a-ba45-758b05a7681a
|
전화선으로 기가급 인터넷 서비스를 즐긴다
|
전화선으로 기가급 인터넷 서비스를 즐긴다 - 국립전파연구원, 기술기준 개정으로 인터넷 신성장 동력 기반 마련 -
□ 미래창조과학부 국립전파연구원(원장 ***)은 세계 최초로 전화선을 이용한 기가급 초고속인터넷서비스기술(이하 ‘GDSL’)의 상용화를 위하여 관련 고시인 「단말장치 기술기준」을 11월 24일 개정한다고 밝혔다.
※ GDSL(Giga-cIass Digital Subscriber Line) : 전화선을 이용하여 기가급 속도를 제공하는 디지털 전송 기술
□ 단말장치 기술기준은 인터넷 속도가 100Mbps 이하인 전화선 인터넷 접속 기술에 대한 규정을 다루고 있으며, 이번 기술기준 개정으로 많은 사람들이 기가급 인터넷 서비스를 전화선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 기술기준 주요 개정내용 : 주파수 범위, 통신방식(TDD), 전압평형도, 주파수 스펙트럼 밀도 등에 대한 기술적 사항들을 신설
|
[
"누가 주파수 범위에 대한 기술기준 개정으로 많은 사람들이 기가급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고 했지"
] |
unanswerable
|
4ced9a62-d617-4d34-92dd-d67727823798
|
13년 5월 IT산업 수출입 동향
|
2013년 5월 IT수출, 무역수지 역대 최대치 달성- IT수출 : 151.5억불, 17.2%↑, 수입 68.8억불, 7.9%↑, 무역수지 : 82.7억불 -
동향 세부자료
1. 주요 품목별 수출 동향
디스플레이 패널
3) 수출 동향
5월 디스플레이 패널 수출은 중국의 노동절 연휴 기간의 판매량이 기대 수준에 미치지 못했고, 5월말 에너지 절약 보조금 프로그램 종료로 7.8% 감소한 25.0억불
- LCD 패널은 전년 동월 실적대비 6.6% 감소한 22.2억불, 부분품 수출은 전년 동월대비 12.4% 감소한 2.7억불 기록
(지역별) 일본, EU 등 주요 선진국으로의 수출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중국(홍콩 포함) 수출이 비교적 큰 폭으로 감소함에 따라 전체 수출 감소에 영향
- 대만(0.3억불, 38.2%↑), ASEAN(1.4억불, 209.0%↑)으로의 수출 확대가 두드러졌으며, EU(1.8억불, △50.5%), 일본(0.1억불, △34.1%) 및 동유럽(1.8억불, △51.3%)으로의 수출 감소
- 5월 전체 평판디스플레이 수출의 72.9%를 차지하고 있는 중국(홍콩 포함)으로의 수출은 약 18.2억 불로 전년 동월대비 7.2% 감소
|
[
"일본은 디스플레이 패널 수출을 어느 나라로 72.9퍼센트하고 있어",
"2013년 5월 어느 나라가 EU에 LCD 패널 수출 2.7억 불을 기록했어"
] |
unanswerable
|
7c01a14f-0a0c-4d61-8580-69771ff1a846
|
ICT분야의 토익‘TOPCIT’기업 채용시 반영 된다!
|
ICT분야의 토익‘TOPCIT’기업 채용시 반영 된다! - TOPCIT 활용 및 확산을 위한 산·학·정·군 MOU 체결 -
IT 역량지수 TOPCIT 사업 개요
II TOPCIT FAQs
1. 정의 및 내용
Q. TOPCIT은 무엇입니까?
A. TOPCIT(Test of Practical Competency in IT)은 IT전공자를 비롯하여 IT산업에 진입하려는 신규인력이 비즈니스를 이해하고, 요구사항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여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능력을 측정하는 IT역량지수입니다.
Q. TOPCIT은 누구를 대상으로 하는 테스트입니까?
A. TOPCIT은 IT산업에 진입하고자 하거나 모든 예비인력이 자신의 역량을 진단하고 평가할 수 있는 테스트입니다.
|
[
"예비 IT전공자들이 IT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능력을 측정하는 테스트는 뭐야",
"ICT 분야의 토익인 어떤 테스트가 정계 기업 채용 시에 반영되지"
] |
unanswerable
|
b3921f1c-9606-4aac-a234-554608a5730f
|
과총 창립 50주년 기념식, 세계과학기술인대회 개최
|
과총 창립 50주년 기념식 ․ 세계과학기술인대회 개최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회장 이부섭, 이하 과총)는 「과총 창립 50주년*」을 맞이하여 기념식과 세계과학기술인대회를 7월 13일~14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 1966년 9월 24일(창립총회 개최일)
※ 주관(후원)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미래창조과학부)
o 이번 기념식 및 세계과학기술인대회에는 해외 18개국 한인동포과학기술인 등 국내외 과학기술인 1,0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 과총은 국가 과학기술의 태동기였던 1966년 출범 이래 과학기술인을 대표․대변하는 과학기술계 총 본산으로 자리매김하며, 대한민국 과학기술 발전에 이바지 해왔다.
o 50주년을 맞은 과총은 ‘과학기술로 미래를 열어가는 과총’을 주제로 지난 성과를 회고하는 다양한 기념행사를 개최하는 한편 각계 과학기술 전문가들과 함께 새로운 도약의 길을 모색하여 국가 과학기술 발전의 중심으로 거듭나기 위한 역할과 실천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
[
"어떤 기관의 창립 50주년을 맞이하여 미래창조과학부는 기념식과 세계과학기술인대회를 주관했지",
"1966년 출범 이래 해외 18개국 한인 동포 과학기술인 1,000명을 대표, 대변해 온 기관은 어디지"
] |
unanswerable
|
e391ba5c-5a63-41c1-b03c-56528f11c4d6
|
[보도자료] 열 공급(냉·난방) 부문 재생에너지 보급 관련 정책 마련 필요
|
EU 열 공급(냉·난방) 부문 재생에너지 보급 정책 현황 및 시사점
Ⅱ. EU 열 공급 부문 재생에너지 보급 정책 현황
2. 국가별 보급 제도
나. 영국: RHI 제도
o 영국 RHI 제도는 2단계 로드맵을 통해 시행되고 있음
◦ 1단계 과정에서는 화석연료를 대량 소비하는 특성을 지닌 ‘기업, 공공부문, 비영리부문, 산업부문’ 등 비주거용 건물에 대해 제도를 우선 적용하였으며. 2014년부터 시행된 2단계 과정에서는 주거용 건물을 대상으로 적용범위를 확대함
o 영국 RHI 제도에서는 건물 종별·기술별 성능 및 비용 데이터를 비교하여, 화석연료 난방과 재생에너지 열원별 난방 간 비용 차이를 산출해 지원 요율을 결정함
◦ 2019년 7월 기준, 재생에너지원 별 지원 요율 단가는 발전량(kWh)당 최저 1.18 파운드(£)(600kWh 이상 바이오 가스 연소)에서 최고 10.98 파운드(£)(태양열 집열기)로 다양함
|
[
"영국에서 2019년부터 주거용 건물에 대해 적용하고 있는 제도는 뭐야",
"어떤 제도에서 재생에너지원 별 지원 요율 단가가 최저 10.98파운드니"
] |
unanswerable
|
7b948c2a-3aa7-4795-a5ff-1489469af7ad
|
제33회 한국정보올림피아드 경시대회 개최
|
미래부,『제33회 한국정보올림피아드 경시대회』개최 - 전국 초‧중‧고교생들 컴퓨터 알리고리즘 실력 뽐내 -
제33회 한국정보올림피아드 경시대회 개최 계획
□ 개요
ㅇ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수학적 지식과 논리적 사고 능력을 필요로 하는 컴퓨터 알고리즘 구현 능력을 경시
※ 컴퓨터 알고리즘 : 프로그래밍의 기초가 되는 분야로서 어떤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일정한 순서에 따라 명령어를 배열하여 결과 값을 얻어내는 과정
□ 세부 계획
ㅇ 일시/장소 : 2016. 7. 16(금), 09:00~17:00/경일대학교 실내체육관(경북 경산시)
ㅇ 참가 대상 : 초․중․고등부 총 605명
※ 2016.4.9일 지역대회를 통과한 초‧중‧고교생
ㅇ 주최/주관 : 미래창조과학부/한국정보화진흥원, 경상북도교육연구원
ㅇ 후원 : 한국정보과학회, 경일대학교
ㅇ 경시내용 : 실기시험(4문항, 4시간, Linux 내장 C 언어사용)
※ 결과발표 : 7. 25(월) 정보문화포털(http://www.digitalculture.or.kr)
※ 시상 : 10월 중 별도 개최
|
[
"어느 기관이 경일대학교와 한국정보올림피아드 경시대회를 개최해",
"한국정보올림피아드 경시대회는 2016년 7월 25일 어디에서 개최돼"
] |
unanswerable
|
639008d2-8560-4a56-b306-c7e010a2971f
|
대규모 투자사업 관련제도 설명회 개최
|
대규모 투자사업 내(內) 정보화계획 수립 의무화 제도 설명회 개최
□ 이번 설명회는 동 제도의 필요성 및 정보화계획 수립방법 등을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 대규모투자사업 담당자들에게 구체적으로 설명할 계획이다.
o 아울러, 담당자들이 실무에서 동 제도를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자주 묻는 질문들(FAQ)이 수록된 별도의 가이드라인을 현장에서 배포할 예정이다.
□ 미래부는 동 제도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 정보화계획 수립을 어려워하는 기관을 대상으로 한국정보화진흥원을 통해 기술지원을 하고 있다.
o 지난해에는 “환경산업 실증연구단지 조성사업” 기술지원을 실시하여, 단지 내 에너지관리를 통한 에너지 절감 및 환경모니터링을 통한 깨끗한 단지 운용 등의 기대효과를 예상하고 있다.
o 올해는 현재 기술지원 대상과제를 검토하고 있으며, 6월까지 대상과제를 확정하여 정보화계획 수립 기술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
[
"미래부가 대규모투자사업에서 에너지관리를 위해 추진한 계획은 무엇이니",
"한국정보화진흥원이 환경산업의 실무와 관련된 가이드라인 설명을 위해 추진한 계획은 무엇일까"
] |
unanswerable
|
53df02f4-296d-4e57-932d-b51e71bab908
|
13년 5월 IT산업 수출입 동향
|
2013년 5월 IT수출, 무역수지 역대 최대치 달성- IT수출 : 151.5억불, 17.2%↑, 수입 68.8억불, 7.9%↑, 무역수지 : 82.7억불 -
동향 세부자료
1. 주요 품목별 수출 동향
컴퓨터 및 주변기기
1) 시장 환경
(PC) 2013년 노트북PC와 데스크톱PC 시장 침체 전망 속 일체형PC 시장 성장
◦ Gartner는 데스크톱PC에 대해 향후 5년간 평균 3% 마이너스 성장을 예측하는 한편, 일체형PC는 동 기간 평균 5.2% 성장할 것으로 예상
◦전문가들은 일체형 PC의 가격이 점차 낮아짐에 따라 선진국에서 시작된 인기가 개발도상국으로 전파되고 있는 추세에 접어들었다고 분석
(태블릿PC) 2013년 태블릿PC는 데스크톱PC, 노트북PC 시장규모를 능가하며 성장
◦ 2013년 태블릿PC 출하량은 전년대비 64.1% 증가, 1억 9,720만대로 성장 침체에 놓인 데스크톱PC 및 노트북PC 출하량을 추월할 전망
※2013년PC 출하량: (데스크톱PC) 1억3,950만대, 전년대비△4.8% (노트북PC) 1억7,570만대, 전년대비△9.8%
◦ 데스크톱 PC 및 노트북 PC에 근접한 핵심 기능을 보유함과 동시에 이동성, 사용 편의성을 확보함에 따라 소비자 시장을 중심으로 빠른 성장 지속
◦2010년 10월 아이패드 출시 이후 ① 10인치 대에서 8인치 미만 제품 중심으로 소형화, ② iOS에서 안드로이드 OS로 운영체제 지배력 이동, ③ 미디어 소비용 기기에서 교육, 의료 등 복지 분야로 적용 영역이 확대되는 등 시장 구조 변화
※2013년 1분기 태블릿PC OS별 시장점유율(%, IDC, 2013.04): (안드로이드 OS) 56.5, (iOS) 39.6
※2013년 태블릿PC 크기별 접유율 전망(%, IDC, 2013.05): (8인치 미만) 55 (8~11인치) 43 (11인치 이상) 2
|
[
"2010년 1분기 태블릿PC 출하량은 몇 대야"
] |
unanswerable
|
bf2c3d9b-9a98-4843-949d-02259b990e4c
|
우리나라 과학기술지표 한눈에 보기
|
우리나라 과학기술 현 수준은? - 「우리나라 과학기술 주요 지표 한눈에 보기」홍보자료 발간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30일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주요 지표를 모아 대국민 홍보자료 「우리나라 과학기술 주요 지표 한눈에 보기」를 발간하였다.
ㅇ 이번 홍보자료는 4월 과학의 달을 맞아 우리나라 과학기술 수준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과학기술 투자부터 성과 창출까지 전주기에 걸쳐 7개 분야 주요 지표에 대한 변화 추세 등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
[
"미래창조과학부가 과학의 달을 홍보하기 위해 발간한 것은 뭐야",
"과학기술 수준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어디에서 한눈에 볼 수 있니"
] |
unanswerable
|
59a06732-41d2-49d1-869a-8af6cdfda5d2
|
이달의 엔지니어상 7월 및 여성 수상자 선정
|
‘이달의 엔지니어상’7월 및 여성 수상자 선정
□ ㈜코리아나화장품 *** 수석연구원은 지난 13년간 세계 최고 수준의 화장품 개발에 전념해왔으며, 최근 3년간 새로운 소재를 이용해 6건의 특허원료를 개발하여 4건을 특허 등록했다. 특히, 세계최초 항노화소재인 피토S1P의 기전연구를 통해 업계최초로 세포신호전달을 활용한 안티에이징 물질을 적용한 화장품 브랜드인 LAVIDA 브랜드가 성공적으로 시장에 정착되는데 기여하여 발매 2년 동안 약 587억원의 매출을 달성하였다. 또한, 이러한 물질의 인간피부세포에서의 기전 연구결과를 토대로 SCI 논문 발표 및 국내외에 특허를 출원하여 기술의 권리를 확보하고 우수성을 알린 공로를 인정받았다.
o 우리 몸을 구성하는 세포는 신호전달 과정을 통해 서로 소통한다는 기본적인 개념을 적용하여 개발된 세포활성 신호전달 물질 피토 S1P를 활용한 기술은 화장품업계에서는 아주 획기적인 기술로써, 본 개발을 통해 지난 2013년 동암화장품과학자상을 수상한 바 있다.
|
[
"LAVIDA는 어떤 소재를 연구하고 적용한 화장품으로 2013년 매출 587억원을 달성했니",
"이달의 엔지니어상을 받은 연구원이 13년간 연구한 소재가 뭐야"
] |
unanswerable
|
bfdda8c9-3777-4fa2-bce0-6b1faa7ca6c4
|
13년 5월 IT산업 수출입 동향
|
2013년 5월 IT수출, 무역수지 역대 최대치 달성- IT수출 : 151.5억불, 17.2%↑, 수입 68.8억불, 7.9%↑, 무역수지 : 82.7억불 -
동향 세부자료
1. 주요 품목별 수출 동향
컴퓨터 및 주변기기
2) 수출 여건
세계 PC 시장 성장 전망이 어두운 가운데 중국이 최대 PC 시장으로 부상
◦ IHS 아이서플라이에 따르면, 2012년 기준 중국의 PC 출하량은 6,900만 대로 6,600만 대에 그친 미국 출하량을 초월
◦ 올해에도 중국 PC 시장은 중소 지방을 중심으로 3~4% 성장할 여력을 가진 것으로 분석 태블릿PC 시장 내 삼성전자 점유율 상승세
◦태블릿PC 제품 출시 초기 다양한 크기와 가격의 제품을 선보이던 삼성전자는 필기 기능을 도입한 갤럭시노트 10.1 출시 이후 세계 시장 내 점유율 급상승
◦최고급 사양의 8인치 대 태블릿PC 갤럭시노트 8.0을 출시함으로써 전작의 인기를 이어가는 전략으로 세계 시장점유율을 더욱 확대할 전망
3) 수출 동향
컴퓨터 및 주변기기 수출은 전년대비 16.2% 감소한 5.6억불
◦ 최근 노트 필기가 가능한 태블릿PC 등 주요 인기 제품 수출에 집중, 다양한 사양의 태블릿PC로 수출 호조를 이룬 지난해 실적에 대한 기저효과로 컴퓨터(1.1억불, △15.0%)수출 규모는 전년대비 감소
◦ 윈도우즈8 노트북PC, 갤럭시노트 8.0 등 신제품 PC 출시에 따른 해외 생산물량 증가에 따라 컴퓨터 부품(0.5억불, 7.7%↑) 수출은 5개월 연속 증가세
|
[
"2013년에 갤럭시노트 10.1 제품 몇 대가 출하됐어"
] |
unanswerable
|
dc7a01a5-63cb-49be-814c-8d205d6793e2
|
세종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식
|
농업과 과학기술이 만나 새로운 혁신을 이루는 「스마트 농업의 메카!」, 세종 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
창의문화 연계 교육 프로그램
Design Thinking을 접목하여 지역내 창의·혁신 문화 확산
ㅇ SKT,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와 협력하여 Design Thinking*를 접목하여 세종센터의 공간을 구성하고 센터 내에서 Design Thinking 교육도 실시
* 사람에 대한 깊은 공감(empathy)과 이해를 통해 needs를 발견하고 문제를 정확히 진단하여 해결책을 제시하는 혁신 방법론
- 공감(Empathize)→문제정의(Define)→대안수립(Ideate)→시안제작(Prototype)→테스트(Test)
ㅇ 센터를 찾는 기업인, 창업준비자들이 제품 개발, 경영혁신, 사업아이템 구체화등에 활용 가능하고 조직내 창의·혁신 문화 확산에도 기여
ㅇ 단기 워크숍(4시간) 매월 2회 시행하여 연간 240명 교육
T-아카데미 교육을 통한 모바일 ICT생태계 활성화
ㅇ T-아카데미* 교육 프로그램 도입으로 청년층의 창업활성화와 모바일 분야 스타트업 역량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 SK플래닛에서 서울대연구동에 운영중인 국내 최고․최대 모바일 IT교육 기관으로, 실무중심의 지식 제공을 통해 교육생들의 모바일 분야 R&D 역량 향상을 지원하고 있다.
ㅇ 지역 내 주요 관계기관과 유기적인 협력을 통한 IT교육 기반 구축
ㅇ 모바일 IT 전문교육을 통한 지역 중․고․대학생 및 개발자 대상 S/W 인재 육성 / 130여개 자체개발 커리큘럼, 온라인 동영상 강의
ㅇ 매월 2회 최신 IT Trend에 맞는 교육 강의 개설
|
[
"SK플래닛의 T-아카데미 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연간 240명을 교육하는 기관은 어디야"
] |
unanswerable
|
6bdd7a7b-29ab-4599-84cc-3123f61421cd
|
3D프린팅 가이드라인 설명회
|
삼차원(3D)프린팅 품질평가 가이드라인 설명회 개최’
【추진 배경]
□ 삼차원프린팅 시장은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으나, 아직 관련 장비, 소재, 소프트웨어 및 출력물에 대한 성능, 안전성 등을 평가하는 기준이 없어, 신뢰성 입증에 대한 어려움으로 우리 기업들의 제품 판매 시에 애로가 있었다.
ㅇ 아울러, 의료기기의 경우 국내외적으로 삼차원프린팅 의료기기에 대한 안전성 및 성능평가를 위한 품목별 허가심사 가이드라인이 부재하여, 연구개발 업체의 신속한 제품화에 어려움이 있었다.
□ 이에, 정부는 삼차원프린팅 제품의 품질 검증체계 부재에 따른 국내 업계 애로를 해소하고, 산업 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삼차원프린팅 품질평가 가이드라인’ 및 ‘삼차원프린팅 제조 의료기기 허가심사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였다.
|
[
"한국 기업들은 신뢰성 입증에 대한 어려움으로 무슨 제품의 소프트웨어를 판매할 때 애로가 있었니",
"무엇을 연구개발하는 업체가 의료기기 허가심사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니"
] |
unanswerable
|
63d2c047-6a56-4544-9f38-db964e7eead7
|
2009년부터 제작차배출허용기준을 EURO-Ⅴ수준으로 강화
|
2009년부터 제작차배출허용기준을 EURO-Ⅴ수준으로 강화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전부개정령안
3. 주요내용
가. 대기환경규제지역 실천계획의 추진실적 제출ㆍ평가(안 제19조 및 제20조 신설)
(1) 대기환경규제지역을 관리하는 시ㆍ도지사는 매년 3월말까지 실천 계획에 대한 전년도 추진실적을 지방환경관서의 장에게 제출 하도록 하고,
(2) 제출된 추진실적을 지방환경관서의 장이 평가하여 시ㆍ도지사에게 통보하도록 하며, 평가결과를 통보받은 시ㆍ도지사는 평가 결과 등을 반영한 실천계획을 수립하여 지방환경관서의 장에게 제출하도록 함.
나. 대기환경규제지역 지정 해제요건 및 절차(안 제21조 및 제23조 신설)
(1) 대기환경규제지역을 관할하는 시ㆍ도지사는 해당 지역의 대기오염도가 환경기준의 80% 이내인 경우에는 그 결과를 유지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여 환경부장관에게 규제지역 지정의 해제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고,
(2) 대기환경규제지역 지정이 해제된 경우에는 지정해제의 고시가 있었던 날부터 3년 동안 매년 계획의 이행실태를 평가하고, 환경부장관은 환경기준을 초과하였거나 초과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그 지역을 다시 대기환경규제지역으로 지정하도록 함.
|
[
"2009년부터 대기환경규제지역을 관리하는 도지사는 매년 언제까지 실천 계획을 환경부장관에게 제출해야 하니",
"대기환경규제지역의 대기오염도가 환경기준의 80퍼센트 이내가 되려면 2009년 언제까지 규제를 해야 할까"
] |
unanswerable
|
5bd54e02-d5dd-4e72-9f3d-5be52c360ba8
|
폐기물에서 수소를 생산하는 친환경 촉매 개발
|
폐기물에서 수소를 생산하는 친환경 촉매 개발 벌집형 구조체를 이용한 촉매의 활성 및 안정성 향상
용어 설명
1. Chemical Communications
○ 영국왕립화학회(RSC, Royal Society of Chemistry)가 발행하는 화학분야 학술지(2012년 기준 IF: 6.378)
2. 수성가스전이반응
○ 일산화탄소와 수소로 이루어진 합성가스와 수증기를 반응시킴으로써 일산화탄소를 제거하고 고순도 수소를 생산하는 반응
○ 연료전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주목받는 기술
3. 소결현상
○ 고온에서 활성성분의 응집현상으로 인해 결정크기가 커지고 활성점이 감소하는 현상
○ 고온에서 촉매 비활성화의 주요 원인으로 꼽힘
4. 지지체(담체)
○ 촉매의 열적 안정성과 기계적 안정성을 돕고 활성물질을 지지하는 물질
|
[
"일산화탄소가 고온에서 활성성분을 응집하여 활성점이 감소하는 반응이 뭐야"
] |
unanswerable
|
9102bb65-9496-4ddb-8826-2074bf59835d
|
13년 5월 IT산업 수출입 동향
|
2013년 5월 IT수출, 무역수지 역대 최대치 달성- IT수출 : 151.5억불, 17.2%↑, 수입 68.8억불, 7.9%↑, 무역수지 : 82.7억불 -
동향 세부자료
2. 주요 국가별 수출 동향
중국(홍콩 포함) : 75.2억불 수출, 전년 동월대비 16.2% 증가
휴대폰(5.7억불, 73.1%↑), TV(부분품 포함, 1.2억불, 70.2%↑), 반도체(29.1억불, 22.9%↑) 등 주요 품목 수출 증가
◦ 이번 달 수출이 중국을 중심으로 증가하면서 對중국(홍콩 포함) IT수출 비중 (1~5월 누적)은 49.2%를 차지하는 등 IT수출의 중국 의존도 심화
미국 : 17.6억불 수출, 전년 동월대비 48.0% 증가
휴대폰(8.5억불, 100.0%↑)을 중심으로 반도체(2.8억불, 31.1%↑), TV(부분품 포함, 0.2억불, 129.2%↑) 등 주요품목의 수출 호조로 미국 수출은 3개월 연속 증가
EU : 8.9억불 수출, 전년 동월대비 28.4% 감소
EU는 재정위기 해결 지연과 엔저 영향 등으로 휴대폰(1.0억불, △66.4%), 반도체 (1.4억불, △6.2%), 디스플레이 패널(1.8억불, △50.5%) 등 주요 수출 품목 수출이 감소세를 보이면서 마이너스 성장 전환
일본 : 7.5억불 수출, 전년 동월대비 30.3% 증가
휴대폰(3.4억불, 272.8%) 수출이 크게 증가하면서 6개월 만에 플러스 성장 전환
기타 국가
TV 및 디스플레이패널 생산 거점이 있는 동유럽(5.3억불, △26.6%)은 감소한 반면, 반도체 주요 수출 지역인 ASEAN(18.9억불, 34.0%↑) 수출은 증가 기록
◦ 중동(3.8억불, △2.8%)을 제외한 BRICs(65.0억불, 20.9%↑), 중남미(9.3억불, 36.2%↑) 등은 증가세 지속
|
[
"동유럽에 대한 중국의 휴대폰 수출은 몇 퍼센트 감소했어"
] |
unanswerable
|
58ee739b-49a0-4ccf-ad12-c10e1c3ed0fc
|
2009년부터 제작차배출허용기준을 EURO-Ⅴ수준으로 강화
|
2009년부터 제작차배출허용기준을 EURO-Ⅴ수준으로 강화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전부개정령안
3. 주요내용
다. 인쇄 및 각종 기록매체 제조(복제)시설을 대기오염물질배출시설에 포함․관리
(1) 코팅(인쇄)시 휘발성유기화합물 등의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인쇄 및 각종 기록매제 제조(복제)시설을 대기오염물질배출시설에 포함하고,
(2) 배출시설의 구체적인 범위와 배출허용기준을 정함.
라. 주유소 주유시설 유증기 회수설비 설치 의무화(안 별표 16제3호나목 신설)
(1) 주유소 주유시설에 대한 유증기 회수설비(Stage Ⅱ)를 2008년부터 단계적으로 설치를 의무화하는 등 설치시기와 기준을 마련하고,
(2)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억제․방지를 위한 유증기 회수설비의 처리효율 및 관리기준 등을 정함.
마. 2009년 이후 적용할 제작차 배출허용기준 및 보증기간 강화․신설
(1) 2009년부터 적용할 제작차 배출허용기준 중 경유자동차는 유럽에서 2008년부터 적용 예정인 EURO-Ⅴ 수준으로 강화․신설하고,
(2) 휘발유승용차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시행중인 평균배출량관리제도(FAS)를 도입하여 자동차 제작사별로 오염물질 평균배출량을 관리하도록 함.
(3) 배출가스 보증기간은 경유자동차의 경우 현행 5년 8만㎞에서 10년 16만㎞(유럽기준)로, 휘발유 자동차의 경우 현행 16만㎞에서 19.2만㎞(미국기준) 등으로 확대함.
|
[
"휘발유승용차는 유럽에서 시행중인 어떤 제도를 도입하여 자동차 제작사별로 오염물질을 관리하니",
"경유자동차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시행중인 어떤 제도를 도입하여 제작차 배출허용기준을 강화하지"
] |
unanswerable
|
a9aa7f74-3611-413b-b258-315a1ea029a6
|
광복 70년 과학기술 대표성과 70선 특별전 개최
|
광복 70년을 이끌어온 과학기술 70년의 발자취 - 과학기술 대표성과 70선 특별전 개최 -
□ 국립중앙과학관(관장 ***)은 광복 70년을 맞이하여 광복이후 국가 경제발전과 삶의 질 향상을 견인해온 과학기술 대표성과를 전시하는 특별전 「광복 70년 “과학기술 대표성과 70선*”」을 8월 12일부터 10월 31일까지 국립중앙과학관 사이언스홀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 과학기술 대표성과 70선은 미래창조과학부(대표성과선정위원회)에서 선정
□ 이번 특별전은 과학창조한국대전(제19회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 7.28~8.2/일산킨덱스)에 출품된 전시품 가운데 과학기술과 과학기술인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높일 수 있는
ㅇ 시멘트소성기술, 배추품종개발(우장춘), 통일벼 등 국민생활을 변화시키고 국가 경제발전을 이끌어온 과학기술과 개인적으로 우수한 업적을 이룬 과학자들*의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전시된다.
* 리-아이링이론(화학, ***), 산림녹화 임목육종(***), 리군이론(수학, ***), 게이지이론의 재규격화(물리학, ***), 한탄바이러스백신(***)
□ *** 관장은 “이번 특별전을 통해 관람객들이 과학기술은 과거에도, 현재도, 미래에도 경제를 발전시키는 원동력이며, 우리의 삶을 윤택하게 하는 기반이 된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고, 과학기술의 중요성을 스스로 느껴 과학기술 진흥의 든든한 후원자가 되고 과학기술계로 진출하고 싶은 마음이 우러나올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
"미래창조과학부는 시멘트개발기술의 연구성과를 언제 일산킨덱스에서 전시했지",
"언제 국립중앙과학관장은 사이언스홀에서 광복 70년 과학기술 대표성과 70선을 개최한다고 밝혔어"
] |
unanswerable
|
0d32bc0a-914b-4282-b7c5-e50ef574cbed
|
재도전컴백_캠프개최
|
“재도전 기업인의 만남・소통・협력을 위한 컴백 캠프 열려” - 미래부, 5월 29일 광화문 드림엔터에서 ‘만남’을 테마로 첫 번째 컴백 캠프 개최 -
만남·소통·협력을 통한 재기·재도전 네트워킹의 장『재도전 컴백 캠프』 추진계획안
□ 목적
ㅇ ICT 분야 재도전 활성화를 위한 열린 캠프 운영을 통해 실패에 대한 사회·문화적 인식제고 및 재기를 위한 아이디어 교류·네트 워킹의 장 마련
□ 개요
ㅇ 일시 : 2014. 5. 29(목)
(1부) 강연 14:30 ~ 16:10, (2부) 네트워킹 16:30 ~ 19:00
ㅇ 장소 : 서울 드림엔터(광화문) 컨퍼런스룸
ㅇ 참석대상 : ICT분야 재도전 기업인 및 청년 기업가 등 50여명
|
[
"ICT분야 기업인 몇 명이 캠프를 운영했어",
"재도전 컴백 캠프에 참석한 청년 기업가는 몇 명이니"
] |
unanswerable
|
f7cc217a-5322-4d53-9469-4f2c6c064705
|
강소특구 모델(InnoTown) 완성, 본격 지정 추진
|
강소특구 모델(InnoTown) 완성, 본격 지정 추진 - R&D특구 신모델로 과학기술기반 지역 혁신성장 플랫폼 구축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지역에 소재하는 우수한 혁신역량<연구개발‧기술사업화>을 보유한 대학, 연구소, 공기업, 공공기관 등의 혁신주체를 중심으로 연구ㆍ산업 기능부터 주거, 생활, 문화까지 동시에 아우를 수 있는 ‘과학기술기반 지역 혁신성장 플랫폼 구축’을 위한 “강소특구 모델(InnoTown)*”을 도입 완료했다고 밝혔다.
* 강력한 혁신주체(기관‧지역)의 혁신(Innovation) + 소규모‧고밀도 특구 공간(Town)
ㅇ R&D특구 제도의 전환은 1년여 이상의 기간 동안 정책연구, 전문가‧이해관계자 의견 수렴, 관계부처 협의, 정책설명회 등의 과정*을 거쳤으며,
* <주요 경과> 부처협의(2017.6∼12), 특구 발전방안 수립(2017.12, 특구위), 특구 제도 혁신방안 상정(2018.3, 현안조정회의), 특구법 시행령 개정(2018.5.8)
- 구체적인 요청절차 및 지정요건을 규정한 강소특구 세부고시(안)을 마련, 최종 확정*하였다.
* 부처협의(6.28∼7.9), 행정예고(6.28∼7.17) 등
|
[
"강소특구 모델을 몇 년만에 확정했니",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특구 제도 혁신방안을 몇 년동안 수립했어"
] |
unanswerable
|
ee285619-6ade-4a05-85af-e27bf2d73b92
|
친환경적 고분자 물질 합성기술 개발
|
친환경적 고분자 물질 합성기술 개발 용매 없이 빛을 이용한 청정기술로 나노융합소재 개발 등에 기여
연구결과 개요
2. 연구내용
이에 연구팀은 금속이온과 유기분자와의 반응을 통해 규칙적인 착화물 구조체인 금속초분자를 중간체로 제조하여 수 많은 유기분자를 배열하는 데 성공함으로서 광-유도 첨가반응을 이용한 고분자 합성의 난관을 극복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두 개의 탄소 이중결합(C=C)을 갖는 디피리딘 치환체인 1,4-bis[2-(4‘-pyridyl)ethyl]benzene (이하 bpeb)를 보조리간드(coligand)와 함께 아연이온으로 반응시켜 헤링본 패턴(herringbone pattern)의 결정성을 갖는 금속초분자 중간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금속초분자의 단결정 X-선 회절 분석을 통해 bpeb 분자들이 3.617Å 간격으로 생선가시처럼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
[
"디피리딘 치환체를 금속초분자에 반응시켜 만든 것은 뭐야",
"탄소와 헤링본 패턴 분자의 반응을 통해 무엇이 제조됐지"
] |
unanswerable
|
b950cfe0-4257-4fe8-af2c-89b2acbbd37f
|
2040년을 향한 국가과학기술혁신의 청사진 그린다
|
2040년을 향한 국가과학기술혁신의 청사진 그린다 - 「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2018~2022)(안)」 공청회 개최 -
□ 이번 공청회에서는 나경환 단국대 교수를 좌장으로 하여 *** KBS 기자(언론계), *** 참엔지니어링 이사(산업계), 이재신 중앙대 교수(인문사회계), 원병묵 성균관대 교수(과학기술계·시민단체),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신진연구자·과학기술계)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참석하여 열띤 토론을 펼칠 계획이다.
□ 과기정통부 ***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이번 계획을 수립하면서 장기적 관점에서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것 외에 온라인 정책참여 공간인 ‘과학기술혁신플러스’를 운영*하며 국민과 현장연구자분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듣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그간 과학기술정책이 경제성장에 치중하면서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기초연구와 기초과학 분야도 많이 다루고자 하였다고 밝혔다.
* www.scienceplus.kr, 8.10~12.7 기간 중 총 114개 제안을 접수하여 정책수요 분석 등에 활용
□ 과기정통부는 이번 공청회에서 논의된 내용을 반영하여 「제4차 과학 기술기본계획(2018~2022) (안)」을 내년 초 국가과학기술심의회 본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할 예정이다.
|
[
"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 공청회의 좌장을 맡은 중앙대 교수는 누구니"
] |
unanswerable
|
c3f93bc3-0d2a-4cdd-8f53-0772b01beb50
|
강소특구 모델(InnoTown) 완성, 본격 지정 추진
|
강소특구 모델(InnoTown) 완성, 본격 지정 추진 - R&D특구 신모델로 과학기술기반 지역 혁신성장 플랫폼 구축 -
□ 강소특구 모델의 구체적인 주요 고시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③ 강소특구 운영 효과를 담보하는 종합적인 검증 조건 설계
ㅇ 규제 편의방식 측면에서 혁신주체 소재 여부*를 주로 고려하는 기존 특구의 지정요건과 달리, 강소특구의 지정요건은 기술 핵심기관과 지역의 종합적인 혁신역량을 평가하는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 기존특구 내 국립(연)‧출연(연) 3개 포함 연구소 40개, 대학 3개 이상 등
** 3개 조건: 기술 핵심기관 정량조건, 기술 핵심기관 정성조건, 강소특구 정성조건
- 기술 핵심기관의 후보는 유형*별 R&D투자비ㆍ인력, 특허출원수, 기술이전액ㆍ수 등의 혁신역량 기준(항목별 3년 평균 상위 20% 값)에 대비하여 우수성을 확인한다.
* 특구법상 공공연구기관을 교육기관/연구기관/공공기관/기타기관으로 구분
- 연구개발 및 사업화 역량이 충분한 기술 핵심기관에 대해 신기술 창출 기관으로서 갖춰야할 목적ㆍ체계 부합성, 지원기반 충분성 등을 추가로 평가한다.
- 기술 핵심기관으로 평가를 통과하면, 다음 단계로 강소특구 소재 지역의 일반여건, 혁신환경, 배후공간, 네트워크, 육성분야 등의 타당성 및 최소 기준의 충족 여부를 평가한다.
ㅇ 구체적인 요건은 최고 수준의 혁신역량을 기준으로 설계하였고, 전체 강소특구의 발전을 유도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개선ㆍ보완해 나갈 계획이다.
|
[
"과학기술기반 지역 혁신성장 플랫폼 구축으로 확인된 특허출원수는 몇 개이니",
"강소특구 모델 지정을 위해 혁신역량을 평가받는 기타기관은 몇 개일까"
] |
unanswerable
|
0e4bd2ae-1933-4283-8120-f2dcbedcbbf2
|
27개 대학부설 영재교육원, 융합인재 양성에 나선다
|
27개 대학부설 영재교육원, 융합인재 양성에 나선다
□ 또한, 미래창조과학부는 한국과학영재학교 등에 융합형 교육과정을 도입하고, 학생들의 연구개발능력과 ‘상상-도전-창업’ 정신을 고취하기 위한 ‘R&E(Research&Education; 연구교육)'와 ’I&D(Imagination&Development; 아이 디어 실현 과제)'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 대학부설 영재교육원(27개)에 복수 과목 이수제, 융합트랙 등 융합형 영재교육 프로그램 확대 도입을 통해 방과후·주말·방학을 활용하는 융합교육 모델로 육성한다.
o 그간,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은 기초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한 영재교육 심화 프로그램을 운영해왔으며, 올해부터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영재교육 프로그램’, ‘프로젝트 기반 융합형 프로그램’ 등 융합형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도입·운영하고 있다.
|
[
"어느 기관에서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창업 교육과정을 도입했어"
] |
unanswerable
|
f256ec54-6c00-42f7-9f57-aa62113ff357
|
환경부+ 농식품부 협업을 통해 버섯배지 수입관련 규제 대폭 개선키로
|
환경부 + 농식품부 협업을 통해 버섯배지 수입관련 규제 대폭 개선키로
우리나라의 버섯배지 수요량은 약 27만 톤으로 이중 17만 톤(63%)을 수입하고 있으며, 주로 버섯배지 제조업체가 수입하여 농가에 공급하고 있다.
❍ 관련업계 등에 따르면, 금번 제도개선으로 연간 총 수입물량(17만톤) 중 해외에서 제조 및 가공한 후 포장되어 제품으로 수입되는 물량은 총 수입물량의 절반이 넘는 약 9만 톤 정도가 혜택을 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버섯산업 생산액은 2011년 기준으로 약 6,700억원으로 농림업 전체 생산액인 43조의 약 1.6%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출도 38백만 달러를 기록하고 있다고 밝혔다.
❍ 금번 부처간 협업을 통해 손톱 밑 가시를 뽑음으로써 버섯배지의 원활한 공급과 배지가격의 안정화로 버섯재배 농가의 어려움이 해소되고, 버섯산업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환경부와 농식품부는 “앞으로도 버섯을 수확하고 남은 배지와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등에서 정책고객인 국민들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부처 간 협업체계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
"한국 버섯배지 제조업체에서 제조 및 가공한 후 포장해서 수출한 양은 몇 톤이니"
] |
unanswerable
|
203e1e7f-f40d-4a34-bf23-df621db21ef3
|
제4기 연천군 지역사회보장계획 공고
|
제4기 연천군 지역사회보장계획 공고
1. 제4기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 배경
가. 제3기 지역사회복지계획(2015~2018)의 실행결과 진단
1) 제3기 지역사회복지계획에 대한 평가체계 구성
□ 제3기 지역사회복지계획의 실행계획 진단 및 평가체계
○ 제3기 지역사회복지계획은 지역사회보장조사-자원조사 등을 기초로 하여 지역 내 복지비전을 설정하고 지역사회보장체계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여 수립
○ 매년 이행계획과 평가를 수행하여 각 년도의 추진현황을 모니터링 하였지만 해당 사업의 목표 달성 정도 등을 측정하였을 뿐 3기 전반에 걸친 실행결과는 없었음
○ 본 절에서는 3기 전반에 대한 실행결과를 사전에 제시된 지표체계에서 중복되는 부분은 제외하여 실행결과를 평가함
□ 제3기 복지계획의 실행결과를 되돌아 보기 위해 다음과 같이 평가지표와 평가위원을 위촉하여 평가수행
○ 평가체계를 설정하고 각 지표별 정성평가를 시행하되 가급적 경험적 근거에 기반하여 지표별 평가 수행
○ 평가위원은 제4기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 TFT 내 4개의 세부분과 중 ‘평가분석 TFT’를 통해 평가를 수행
○ 평가의 방법은 제3기 지역사회보장계획의 비전과 목표 및 세부사업과 연차별 시행계획 평가 결과를 정리한 후 20여명의 계획수립 TFT와 1차 검토, 협의체 실무분과 위원에게 설문조사를 통한 인식 정도를 통해 제3기에 대한 대략적인 평가 수행
○ 평가지표체계
- 제3기 계획에 대한 평가지표체계는 제4기 수립 매뉴얼상 내용을 기초로 구성
|
[
"2015년 제4기 지역사회복지계획에 따라 복지계획의 실행결과를 되돌아 보는 무엇이 구성되었어"
] |
unanswerable
|
99aa6339-fb6f-489a-9b91-4d672c41d571
|
창조경제타운-창조경제혁신센터 멘토데이 개최
|
온·오프라인 멘토링 연계로 아이디어 사업화 가속한다- 창조경제타운·혁신센터 공동 멘토데이 첫 개최 -
□ 지난 7월 6일 제4차 핵심개혁과제 점검회의에서 박근혜 대통령은 창조 경제플랫폼의 조기 착근으로 창업생태계 활성화하며 기술기반 창업을 확대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였으며, 이번 창조경제타운과 창조경제혁신센터 멘토들이 한자리에 모여 교류함으로써 멘토를 중심으로 타운과 혁신센터간 긴밀한 연계·협력 체계가 자리 잡는 계기가 되었다.
□ *** 미래창조과학부 창조경제기획국장은 “창조경제타운과 창조경제혁신센터로 대표되는 창조경제플랫폼의 핵심은 멘토”라면서 “성공적인 회수(Exit) 경험을 가진 창업가를 포함해 각 계 전문가들의 멘토 참여기회를 늘리고 멘토링 활동에 대한 지원도 확대해 나갈 것”임을 밝혔다.
□ 한편, 온라인 창조경제타운은 2013년 9월말 서비스 개시 이후 지금까지 꾸준히 200만명 이상의 국민들이 방문하고 2만 5천건 이상의 아이디어가 제안되어 2,700건 이상의 아이디어가 사업화 지원을 받았으며, 얼굴인식시스템, 웨어러블 점자시계, 파력발전 기술 등 40건 넘는 아이디어가 사업화에 성공하여 범국민 아이디어 플랫폼으로 자리를 굳혀가고 있다.
o 앞으로도 창조경제타운은 멘토링, 데모데이, 6개월 챌린지 프로젝트 지원사업 등에서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와의 연계를 강화하여 아이디어 사업화의 시너지를 높여 나갈 계획이다.
|
[
"미래창조과학부가 2013년 7월 6일 서비스 개시후 200만명 이상의 국민들이 방문한 사이트는 무엇이니",
"2013년 9월말 서비스 개시 이후 40건 이상의 아이디어가 사업화 지원을 받은 범국민 플랫폼은 무엇이니"
] |
unanswerable
|
12fed532-068d-4f82-9510-0fdc9c92b499
|
정부3.0 농업․농촌‘국민 체감형 HOT Data’8선 발표
|
정부3.0 농업․농촌 ‘국민 체감형 HOT Data’ 8선 발표 - 일반국민의 수요가 높은 ①축산물이력, ②농산물가격, ③농업경영체, ④귀농귀촌, ⑤농지, ⑥반려동물, ⑦사이버거래 ⑧텃밭재배 정보 소개 -
□ 시연회에 참석한 이준원 농식품부 차관은 “이제는 데이터로 농업을 바꾸는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로 들어섬에 따라 농업분야의 다양한 데이터 연계․활용을 통해 국민들이 생활에 필요로 하는 맞춤형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발굴․공급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ㅇ 이를 위해 기관별로 분산되어 있는 농업 관련 모든 데이터를 농식품 지식정보 포털인 옥답(www.okdab.com)을 통하여 국민이 쉽게 확인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 제4차 산업혁명(다보스포럼, 슈마허, 2016.1월) : 기존의 제조업에 정보통신 융합기술을 접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차세대산업혁명으로 빅데이터 등 역할 부각
|
[
"농식품부는 무엇을 통해 축산물 가격 정보를 제공해"
] |
unanswerable
|
4fd702ed-ae13-4082-9d72-6491cd28336b
|
창조경제 데모데이 개최
|
창조경제혁신센터, 민간과 협업하여 창업 열기 확산 - 8.7일(금), 혁신센터 – 민간기관 합동 「창조경제 데모데이」 개최 -
【 창조경제 데모데이 추진배경 및 의미 】
□ 지난 7월 22일 인천 창조경제혁신센터가 마지막으로 출범함으로써, 17개 지역*에 전국적인 네트워킹을 갖춘 창조경제 실현 플랫폼 구축이 완료되었고, 성과창출을 위한 노력들을 본격화하고 있다.
* 포항 창조경제혁신센터(포스코 전담) 별도
ㅇ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창업에 관한 정보와 서비스를 집적하여 국민들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사업화와 창업으로 이어지도록 원스톱 지원하는 지역 창업생태계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ㅇ 지금까지 5천회 이상의 멘토링·컨설팅 등을 통해 약 250여개의 창업기업을 발굴·보육하고, 시제품 제작과 유통·판매 등의 실질적 지원을 제공하여 의미 있는 창업·성장 사례들이 도출되고 있다.
|
[
"7월 22일에 어디에서 민관기관 합동 한 창조경제 데모데이를 개최했지"
] |
unanswerable
|
6d2439de-29ac-47d4-9cb2-8fc40934c2c5
|
무술년 삼칠지역 민속줄다리기 행사 개최
|
무술년 삼칠지역 민속줄다리기 행사 개최
경남도는 함안군 삼칠(칠원·칠서·칠북)지역의 가장 대표적인 민속·문화행사인 ‘삼칠민속줄다리기’가 30일과 31일, 양일간 칠원읍사무소 앞 사거리 일원에서 개최됐다고밝혔다.
삼칠민속줄다리기는 삼칠지역의 대표적 문화유산으로, 주민들의 화합을 도모하고 한 해의 풍년과 안녕을 기원코자 해마다 음력 2월 초하루에 칠원읍 용산천에서 개최되어 왔으나, 올해는 AI 여파 등으로 이날 개최하게 되었다. 이날 행사는 *** 도지사 권한대행을 비롯한 주요내빈과 주민 약 4천 명이 참석한가운데, 줄다리기 행사의 성공적인 개최를 기원하기 위한 기원제를 시작으로 청룡대장과 백호대장을 선두로 1시간여 동안 진행되었다.
*** 권한대행은 격려사에서 “삼칠민속줄다리기는 오랜 역사 속에서 지역민들이 함께 호흡하며 공동체의 화합과 단결을 이끌어 왔다.”며, “삼칠민속 줄다리기 행사가 전통문화 계승과 주민화합의 장으로 승화되기 바란다.”고 말했다.
앞서 30일 전야제에서는 K-팝 댄스, 난타공연 등 지역민 발표의 장을 비롯해 송대관, 김양, 이대희, 배진아, 진영, 김연옥 등 초청가수 공연으로 지역주민에게 즐거움을 선사하였다.
|
[
"난타공연 행사 전야제에서는 무엇을 진행할까"
] |
unanswerable
|
459fd600-1a4e-4cb5-998c-809eedb71e4c
|
면역 세포를 키울수있는 3차원백신 플랫폼개발
|
면역세포를 키울 수 있는 3차원 백신 플랫폼 개발 - 이식수술 아닌 간단한 주사방식, 면역세포 활성으로 암억제 효과 기대 -
□ 암치료에 있어서, 체내 면역세포들의 공격을 피하면서 성장하는 암세포에 대항해 우리 몸의 면역체계를 자극하는 면역치료법에 대한 연구가 최근 활발하다.
o 현재까지는 면역세포 제어가 가능한 펠렛 형태의 고분자 기반의 생체재료를 외과 수술을 통해 몸에 이식하려는 연구가 주목받고 있지만, 이식수술이 가능하지 않은 환경 또는 이식수술 자체가 어려운 환자의 경우에는 적용하기에 한계가 있었다.
□ 연구팀은 다공성 미세막대를 활용하여 복잡한 수술과정 없이 간단한 주사로 면역세포를 제어할 수 있는 3차원 백신을 개발했다.
o 개발된 3차원 백신 내에는 다공성 미세막대가 분산되어 있으며, 이 용액이 생체 내에 주입되면 미세막대들이 자발적으로 조립, 3차원 구조체를 이루면서 내부에 면역세포가 자리잡을 수 있는 공간을 만들게 된다.
o 만들어진 공간 내에는 다양한 기능성 약물을 탑재할 수 있는데, 면역세포를 유인(소환)할 수 있는 약물을 탑재하여 체내 미성숙된 면역세포를 불러 모으고, 면역세포를 성숙시킨다.
□ 생체 내에서 자가조립되는 3차원 구조체로 대량의 면역세포를 불러와 성숙시킴으로써, 면역활성을 크게 높이는 것이 동 성과의 핵심이다.
o 실제 생쥐모델에 개발된 3차원 백신을 접종한 후 암세포를 주입, 암세포의 성장을 관찰한 결과 암억제 효과가 나타났다는 설명이다.
|
[
"면역세포를 키울 수 있는 3차원 백신은 무엇 자체가 어려운 환자의 경우에는 적용하기에 한계가 있을까",
"무엇의 복잡한 과정으로 3차원 백신을 생체 내에 주입하면 면역세포를 성숙시켜 암 억제에 효과가 있지"
] |
unanswerable
|
b0bd66ca-55f1-44e0-b5b6-2eab41768f0a
|
17차 국가지식재산위원회 개최
|
- 제17차 국가지식재산위원회 개최 -
□ [안건 2]「해외진출 중소기업 IP전략지원 특별전문위원회 구성·운영(안)」
ㅇ 해외로 진출하는 우리 중소기업의 지식재산 분쟁 대응을 지원하기 위한 특별 전문위원회를 지재위 내에 구성·운영키로 하였다.
ㅇ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이 급속히 증가해오고 있으나, 지식재산권에 대한 인식과 준비 부족으로 기술의 유출은 물론 국제적인 지식재산 분쟁 위험에 노출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중소기업 해외직접투자 추이(백만달러) : (2013) 2,651 → (2014) 2,987 → (2015) 4,124
ㅇ 특히, 특허출원 세계 1위 국가로 부상한 중국은 최근 ‘징벌적 손해 배상제도’ 도입을 검토하는 등 자국 지식재산권 보호를 위한 공세의 수위를 높이고 있는 추세이다.
* (중국 지재권 분쟁) 우리 기업이 경험한 235건의 분쟁 중 86건이 중국에서 발생
ㅇ 이에 재산위에서는 해외 비즈니스 및 지식재산 전문가로 구성된 “해외진출 중소기업 IP전략지원 특별전문위원회”를 운영하여,
- 우리 중소기업이 해외에 진출하기 전에 점검해야할 지식재산 전략을 비즈니스 단계별* 개발하고,
* 시장조사- 경쟁업체 분석- 지식재산 획득- 현지파트너 합작- 현지 지식재산 분쟁- 출구
ㅇ ‘지식재산 전략안내서’ 형태로 연내에 발간하여 보급할 예정이다.
|
[
"한국의 어떤 기업들이 해외로 진출하기 위해 받은 투자가 2013년 86건에서 2014년 235건으로 증가했어"
] |
unanswerable
|
78b96cdb-e7be-4837-bd7a-2a883b206ccd
|
제4기 연천군 지역사회보장계획 공고
|
제4기 연천군 지역사회보장계획 공고
1. 제4기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 배경
가. 제3기 지역사회복지계획(2015~2018)의 실행결과 진단
2) 실행성과와 지역사회주민 변화
□ 제3기 지역사회보장계획의 목표기술은 명확, 그러나 목표설정 수준은 계획 수립 범위 초과
○ 제3기의 전략목표 및 달성 수준
- 지역사회보장계획을 통해 지역사회의 변화 정도를 파악하는 것은 제3기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실효 연도 4개년 동안의 주요 전략목표의 변화 및 달성도를 파악함으로서 지역사회보장계획을 통해 어떻게 지역사회의 변화가 이루어졌는지 대략적으로 추정는 과정임
- 그러나, 지역사회의 변화정도를 측정하는 것은 기존 설정된 전략목표의 달성도를 점검하는 것을 통해 대략적인 변화정도를 평가함
- 전략목표 1(지역사회복지총량 확대)의 성과지표와 달성 정도
→ “지역사회복지총량확대”라는 전략목표의 성과지표는 ‘빈부격차 문제, 차별의 문제’로 성과지표를 기술하였지만, 이는 곧 상대적빈곤율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음. 따라서 전략목표 1의 성과측정은 상대적 빈곤율의 변화로 판단하여 측정함
→ 제3기 계획 수립 당시 연천군의 상대적 빈곤율을 측정하지 않았음으로 이를 대체할 만한 지표로 2012년 경기복지재단에서 발간한 “지도로 보는 경기도 빈곤”에서 연천군의 상대적빈곤율이 36.9%로 제시된 결과를 기준 값으로 활용함
→ 연천군의 상대적빈곤율은 2012년 36.9%이나 2018년 37.6%로 추정되었으나, 3기계획 수립 시 목표수준이 명확히 제시되어 있지 않았으며 ‘빈부격차문제(상대적 빈곤율)’이라는 성과지표 자체가 전략목표 1(지역사회복지총량확대)와는 상관성이 낮음으로 적정한 지표체계가 아니었음을 고려하여야 함
|
[
"연천군에서 지역사회복지총량확대라는 전략목표 1로 2012년부터 2018년까지 실행된 계획은 뭐지"
] |
unanswerable
|
dce58753-e08b-42ee-b07d-c26599bec92f
|
정부3.0 농업․농촌‘국민 체감형 HOT Data’8선 발표
|
정부3.0 농업․농촌 ‘국민 체감형 HOT Data’ 8선 발표 - 일반국민의 수요가 높은 ①축산물이력, ②농산물가격, ③농업경영체, ④귀농귀촌, ⑤농지, ⑥반려동물, ⑦사이버거래 ⑧텃밭재배 정보 소개 -
축산물 이력정보 활용현황
<<활용사례 1>> 축산물 이력정보
□ 축산물 맘편한서비스 개요
○ 학교급식에 사용되는 축산물의 이력·품질·안전성정보*의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검수내역(원산지, 등급 등)을 등록·관리하여 학부모가 자녀 학교에서 사용되는 축산물을 확인할 수 있게 도와주는 안심서비스
* 이력정보, 도축 시 위생검사결과, 등급판정정보, HACCP인증정보, 영양성분 등
□ 사용자별 역할
○ (축산물품질평가원) 맘편한서비스 운영 및 축산물 이력·품질·안전성정보 연계
- 7개기관 10종 연계(이력정보, 도축검사증명서, 등급판정정보, HACCP인증정보, G마크인증, 횡성군 인증한우, 영양성분 등)
○ (학교) 학교급식에 사용되는 축산물에 대한 검수내역을 등록하며, 등록 전 이력·품질·안전성정보에 대한 사실관계 확인
- 사용 학교 : 10,191학교(학생수 600만명)
○ (학부모) 자녀가 다니는 학교에서 사용되는 축산물의 이력·품질·안전성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
|
[
"학교에서 무엇을 운영하여 자녀 학교급식의 안전성정보를 학부모가 확인할 수 있게 도와주지"
] |
unanswerable
|
86cf685b-04a6-4399-9f5d-dd47a71bd8f7
|
면역 세포를 키울수있는 3차원백신 플랫폼개발
|
면역세포를 키울 수 있는 3차원 백신 플랫폼 개발 - 이식수술 아닌 간단한 주사방식, 면역세포 활성으로 암억제 효과 기대 -
연구결과 개요
2. 연구내용
또한 다공성 미세막대 내부에는 수 나노미터 크기의 기공이 있는데 이곳에 다양한 기능성 약물을 탑재할 수 있다. 수지상세포를 소환할 수 있는 약물(GM-CSF)을 나노기공에 탑재한 다공성 미세막대를 피하에 주사했을 경우 대량의 수지상세포를 미세막대의 조립을 통해 형성된 3차원 공간으로 유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선천면역의 감지수용체와 특이 결합하여 세포내부로 면역신호의 전달을 유도하여 수지상세포를 성숙시킬 수 있는 약물 (CpG-ODN)과 모델 항원 단백질 (OVA)를 함께 탑재하여 피하에 주사하였을 경우, 재교육된 수지상 세포는 림프절로 돌아가서 강력한 적응면역반응(항원특이적 항체 생성 및 보조T림프구와 세포독성T림프구 반응)을 불러일으킬 수 있었다. 동물실험에서 3D 백신을 접종 후 암세포를 피하에 주입하여 암의 성장을 관찰한 결과 우수한 발암 억제력을 보여주었고 해당 실험동물의 생존율 또한 높일 수 있었다.
|
[
"무엇의 나노기공에 수지상세포를 소환할 수 있는 모델 항원 단백질이 탑재될 수 있지",
"실험동물은 선천면역 감지수용체를 성숙시키는 약물을 탑재한 무엇이 피하에 주입돼서 생존율이 높아졌어"
] |
unanswerable
|
b2229c98-65e7-4ecd-aa4f-887101173b09
|
국립전파연구원, 스마트 축사에 활용되는 센서 19종 인터페이스에 대한 국가표준 제정 추진
|
축사(畜舍)가 더욱 똑똑해진다 - 국립전파연구원, 스마트 축사에 활용되는 외부와 내부환경 측정 센서, 안전센서를 비롯한 19종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국가표준 제정 추진 -
스마트 축사 센서 인터페이스 국가표준 주요 내용 및 기대효과
□ 내용
ㅇ 스마트 축사에 활용되는 외기‧내기‧안전 센서 19종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기계·전기적 인터페이스 규격 등 정의
□ 기대효과
ㅇ 국가표준 제정으로 기자재 간 호환성 확보로 제품생산 및 유지 관리 등이 용이
- (농가) 농장환경에 맞게 센서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부품 교환 비용 절감 등 A/S 편의성 증대
- (기업) 제품 설계 및 개발비용 감소로 생산단가 절감 가능하여 스마트팜 기자재 보급‧확산과 산업 경쟁력 강화
|
[
"국립전파연구원의 스마트 축사에서 몇 종의 부품이 교환됐어",
"국립전파연구원의 스마트팜에 몇 종의 기자재가 보급됐니"
] |
unanswerable
|
ba860fcc-90cd-4dd4-93a7-54e5183a1109
|
2016 SW교육 체험주간 성료
|
“SW교육으로 지능정보사회를 코딩하다” -「2016 소프트웨어교육 체험주간(10.24~30.) 성황리에 마무리」-
□ 28일‧29일 양일간에는 고양 킨텍스에서 「SW교육 페스티벌」의 다채로운 SW교육 체험 행사가 열려 2만 명이 넘는 인파가 몰렸다.
ㅇ SW선도학교, 마이스터고, 교사연구회 등이 학교에서 실제 운영하고 있는 우수사례와 학생 작품들을 직접 들고 나와 자랑하고 뽐내는 전시장에 학생과 학부모들의 관심이 몰렸으며,
ㅇ 엔트리, 한국 MS, 한국방송공사(EBS)등 대규모 체험관은 물론 32개 SW교육 에듀테크 기업들이 운영하는 소규모 체험교실에도 많은 학생들이 참여하여 SW교육을 경험하였다.
□ SW교육 체험주간과 연계하여 진행한 「2016 온라인 코딩파티 시즌2」도 코딩교육의 열기를 반영한 듯 시즌1의 참여자 16만 명을 넘어선 21만 7,809명의 학생이 참여하여 성황리에 종료되었다.
ㅇ 미션에 참가한 학생들은 미래부가 발급한 인증서를 페이스북, 클래스팅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공유하며,
ㅇ “너무 재밌었어요, 다음에 또 해보고 싶어요.” - 최XX(경남) “다양한 미션을 간단한 블록들로 수행할 수 있어 정말 재밌었어요.” - 엄XX(서울)
“이번 코딩파티를 통해 SW교육에 많은 관심이 생겼습니다.”-정XX (대구) 등과 같은 긍정적인 반응들을 보였으며
ㅇ 서울 대경중학교는 전교생 268명의 인증서를 공유하는 등 학교 또는 학급 차원의 적극적인 참여도 많이 이루어졌다.
|
[
"페이스북을 통해 진행한 SW교육을 받은 학생은 몇 명이야",
"2016 온라인 코딩파티 미션에 참가한 학생들 중 SNS에서 인증서를 공유한 학생은 몇 명이야"
] |
unanswerable
|
5360aa48-c5ea-4c22-a16d-30aa47dda788
|
2015년도 기술영향평가 공개 토론회 개최
|
2015년도 기술영향평가 공개 토론회 개최 - 「유전자가위 기술」, 「인공지능 기술」이 미래 사회에 가져올 변화 논의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하 KISTEP, 원장 ***)은 11월 30일(월) 유전자가위 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이 미칠영향에 대한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2015년도 기술영향평가 공개 토론회」를 개최하였다.
◦ 기술영향평가는 새로운 과학기술의 발전이 국민생활에 미치는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사전에 평가하고, 그 결과를 정책에 반영함으로써 기술의 바람직한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매년 실시하는 제도이다.
◦ 미래부와 KISTEP은 지난 5월 올해 평가 대상 기술로 ‘유전자가위 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을 선정하고, 대상기술 평가를 위한 전문가 위원회와 시민포럼 및 온라인 의견수렴 창구를 운영하였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공개 토론회를 개최하였다.
|
[
"미래부와 KISTEP은 2015년 5월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무엇을 개최했니",
"미래부는 11월 30일에 대상기술 평가를 위한 전문가 위원회와 어떤 의견수렴 창구를 운영했어"
] |
unanswerable
|
71fc8f56-72f4-40d9-88d2-3815671e9654
|
방선균 시스템 대사공학 방안 제시
|
항생제 생산을 위한 방선균의 시스템 대사공학 방안 제시 -항생제 내성균 퇴치용 새로운 항생제 제조에 방선균 활용 기대-
□ 한-덴마크 국제공동연구진이 항생제 생산을 위한 방선균의 시스템 대사공학 방안을 제시하였다.
o 한국과학기술원(총장 강성모)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특훈교수팀과 덴마크 공과대학(DTU)의 노보 노르디스크 센터(Novo Nordisk Foundation Center for Biosustainability) 공동연구진은 방선균으로부터 항생제를 효과적으로 생산하기 위한 방선균 시스템 대사공학 방안을 ‘트렌드 인 바이오테크놀로지 紙(Trends in Biotechnology)’에 2014년 12월 22일자 온라인판으로 발표하였다. 본 논문은 2015년 1월호 표지논문으로 선정되어 출판될 예정이다.
(논문명 : Metabolic engineering of antibiotic factories: new tools for antibiotic production in actinomycetes)
o 이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가 시행하는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사업과 덴마크 Novo Nordisk Foundation 과제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
|
[
"미래창조과학부 연구진과 덴마크 연구진의 공동 논문은 언제 트렌드 인 바이오테크놀로지의 표지논문으로 출판되었어"
] |
unanswerable
|
3d2f5a8e-424a-48b2-8e78-e9029f602965
|
방선균 시스템 대사공학 방안 제시
|
항생제 생산을 위한 방선균의 시스템 대사공학 방안 제시 -항생제 내성균 퇴치용 새로운 항생제 제조에 방선균 활용 기대-
□ 항생제는 항암제 등 장기복용을 요하는 약과 달리 단기간만 사용하기 때문에 투자 대비 수익이 적어 글로벌 제약회사들은 2000년대 들어 항생제 사업을 중단한 바 있다. 그러나 항생제 내성균의 출현에 따라 각국 정부 및 보건기구의 강한 의지로 최근 몇 년간 글로벌 제약회사들이 항생제 내성균 퇴치를 위한 새로운 항생제 제조에 투자를 시작하는 한편, 학계에서는 새로운 기술적 접근을 모색하고 있다.
o 한-덴마크 공동연구팀은 이러한 세계적 보건 노력의 일환으로 기존의 대장균이나 효모 등의 미생물에만 적용하던 ‘시스템 대사공학’을 방선균에 적용하여 방선균으로부터 새로운 항생제를 발굴 및 대량생산하는 방안을 발표하였다.
※ 시스템 대사공학 : 대장균(Escherichia coli)이나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등 생물학적으로 잘 알려진 미생물을 체계적으로 조작하여 우리가 원하는 다양한 화합물을 대량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응용기술
o 방선균 시스템 대사공학의 목표인 ‘새로운 항생제를 생합성하는 유전자 클러스터를 발굴하고 이들을 지속적으로 발현’시키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화학 및 분자기술학 기술들을 평가하고, 일련의 논리 모식도를 제시한 것이다. 연구팀은 방선균의 유전체 특성이 비교적 복잡하기 때문에 시스템 대사공학을 방선균에 적용시 추가적인 고려사항들이 존재한다는 점을 추가로 설명하였다.
|
[
"글로벌 제약회사들이 항생제 내성균을 퇴치하기 위해 미생물 화합물을 대량으로 합성하는 응용기술은 무엇일까"
] |
unanswerable
|
454caf5d-0e34-431c-99e2-dc4477748d59
|
[보도자료] 스마트팜 확산·보급이 지속가능한 농업 혁신의 계기가 되어야
|
스마트팜 확산·보급 사업 현황과 과제 - 농업분야 ICT 융복합사업을 중심으로 -
Ⅱ. 추진현황
2. 추진현황
라. 추진결과
o 연구개발 결과를 토대로 이를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기술표준이 필요한데, 지난 2018년 스마트팜에 활용되는 기자재 22종을 ‘KS 국가표준’으로 제정하여 등록함
◦ 국가표준은 기자재 간 호환성 확보, 제품 생산 및 사후관리(After Service, 이하 ‘A/S’) 등이 용이해져 선순환적 산업 생태계 조성에 도움이 되는데, 스마트팜에서 활용되는 냉난방기, 관수모터 등 구동기 9종과 온․습도, CO2 등 센서류 13종에 대한 표준 규격을 정의하여 등록하였음
o 스마트팜 기업 지원사업으로 농림축산식품부는 익산 토마토 농장, 김제 파프리카 농장, 천안 양돈 농장 등을 스마트팜 선도사업 성공 사례로 선정하여 지원하고 있으며, 민간기업들도 기기·장비산업은 중소기업이, 유통은 대기업이 플랫폼을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음
|
[
"김제 파프리카 농장은 스마트팜으로 몇 년도에 선정되었어",
"농림축산식품부는 몇 년도부터 스마트팜 보급 사업을 시작했니"
] |
unanswerable
|
0ef95e89-3632-4c38-99ff-3d80143ba58f
|
비브리오 패혈증균의 인체내 생존 메커니즘 규명
|
비브리오 패혈증균의 인체 내 생존 메커니즘 규명 - 비브리오 패혈증균의 치료제 개발 가능성 열어 -
□ 해마다 여름철만 되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비브리오 패혈증으로 인해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20~40명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는데,
o 생명연 김명희 박사팀과 서울대 최상호 교수팀이 비브리오 패혈증균이 어떤 과정을 통해 몸속에서 생존․성장하여 최종적으로 병원성을 갖는지에 대한 메커니즘을 규명함으로써 비브리오 패혈증 치료제개발에 청신호가 켜졌다.
o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글로벌프론티어 의약바이오컨버젼스 연구단,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생명연(KRIBB) 전문연구사업 및 농림 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의 지원으로 수행되었고, 연구결과는 최근 미국국립과학원회보지(PNAS)에 온라인으로 게재되었다.
* 논문명 : Structural insights into the regulation of sialic acid catabolism by the Vibrio vulnificus transcriptional repressor NanR
□ 비브리오 패혈증균(Vibrio vulnificus)에 감염된 환자중에서 특히 면역력이 감소된 간질환 환자나 당뇨병·폐결핵·신부전증 등의 만성질환자들은
o 패혈증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고, 전환시 사망률이 50%이상이며, 발병 후 사망까지 2~3일밖에 안 걸릴 정도로 비브리오 패혈증균은 진행속도가 빠른 세균이다.
o 실제로 2011년엔 감염자 51명 중 26명이, 2012년에는 68명 가운데 39명이 사망하였다.
|
[
"서울대 김명희 교수팀이 무슨 질환의 치료제를 개발했니"
] |
unanswerable
|
a2874dad-70fd-4a16-806a-38b0eefd6ba2
|
차세대보안리더(BoB) 인증식 개최
|
미래부, 국보급 사이버안전 지킴이 배출 - 제4기 차세대 보안리더(BoB) 최우수인재(Best10) 인증식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3월 23일(수) 서울 삼정호텔에서 제4기 차세대 보안리더(BoB, Best of the Best) 수료생, 멘토 등 약 200명이 참석한 가운데 차세대 보안리더 최우수인재(Best10) 인증식을 개최하였다
* 단계별 평가와 경연을 통해 최우수자를 선별하고 Best10 선정
□ 차세대 보안리더 교육*은 정보보호 최고 전문가로 구성된 멘토들의 정보보호 이론 교육과 교육생의 실무중심 프로젝트 구현 등을 통해 국보급 사이버안전 지킴이를 양성하는 프로그램으로,
* 정보보호 이론교육(2개월) → 팀 프로젝트 구현(4개월) → 프로젝트 고도화(2개월)
ㅇ 지난 3년* 동안 우리나라 정보보호의 미래를 이끌어 갈 사이버 안전 지킴이 300여명을 배출하였으며 미국 CNN, 영국 Skynews, 프랑스 AFP 등에서도 호평을 받고 있는 최고의 정보보호 교육과정이다.
* 2012년(1기) : 60명, 2013년(2기) : 120명, 2014년(3기) : 122명
ㅇ 또한, BoB 수료생 등을 주축으로 구성된 ‘DEFKOR’ 팀은 작년 8월 아시아 최초로 데프콘(DEFCON CTF)에서 우승한 바 있다.
* 데프콘(DEFCON CTF) : 제프 모스(Jeff Moss)에 의해 설립되어 1993년부터 시작된 세계 최고 권위의 해킹방어대회
|
[
"미래부는 서울 삼정호텔에서 정보보호 최고 전문가 약 몇 명으로 구성된 실무중심 프로젝트 교육과정을 발표했어",
"2012년부터 3년 동안 미국 정보보호의 미래를 이끌어 갈 사이버 안전 지킴이를 몇 명이나 배출했니"
] |
unanswerable
|
2db1ce3d-a057-4a51-82f4-cc6682bf5dcb
|
창업 기업, 중국서 I-KOREA 4.0 글로벌화 추진
|
창업 기업, 중국서 I-KOREA 4.0 글로벌화 추진 - 버즈폴 3백만불 등 스타트업들의 중국 투자 유치 지원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중국 현지 혁신 기관인 글로벌혁신센터-중국(Korea Innovation Center China, 이하 ‘KIC-중국’)은 베이징대학 인큐베이션 센터와 공동으로 7월 19일(목) 중국 투자사들에게 국내 창업 기업(스타트업)들을 소개하는 투자 유치 행사를 개최한다.
o 이번 행사에 참여하는 허쥐자본(和君资本, Hejun Capital)* 등 4개의 중국 굴지의 투자사들은 국내 창업 기업들의 사업 계획을 소개받은 후 투자 의사를 정하거나 사업화에 대한 멘토링을 제공하게 된다.
* 허쥐자본 : 운용기금 총 130억 위안(한화 2.2조원)의 인공지능(AI)․온오프라인 연결(O2O)․의료 등 분야 전문 투자사로, 최근 중국 내 유망 신선농산품 온 오프라인연결(O2O) 유통 회사인 첸다마(钱大妈) 등에도 투자
o 이번 투자 유치 행사는, 블록체인ㆍAI의료ㆍ자율주행 등 과기정통부에서 중점을 두고 추진하는 I-KOREA 4.0 정책의 기반이 되는 기술을 보유한 14개 창업 기업들에게 중국 진출을 지원해주는 프로그램*의 일환이다.
* KIC 중국 창업기업 육성(인큐베이션 및 엑셀러레이션) 프로그램(2018.7.3.~9.22, 베이징)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허쥐자본과 공동으로 어떤 행사를 개최해 4개의 한국 창업 기업을 중국 투자사에게 소개했지",
"베이징대학 인큐베이션 센터가 중국의 창업 기업들에게 멘토링을 제공한 행사는 뭐야"
] |
unanswerable
|
3537862e-cf3f-4907-8522-e80f01a364da
|
비브리오 패혈증균의 인체내 생존 메커니즘 규명
|
비브리오 패혈증균의 인체 내 생존 메커니즘 규명 - 비브리오 패혈증균의 치료제 개발 가능성 열어 -
용어설명
2. NanR 단백질(NanR protein)
○ N-아세틸뉴라믹산 대사에 필수적인 유전자들의 발현을 억제하는 단백질
3. 대사 중간체(Metabolic intermediate)
○ 생체에 이입된 분자는 효소로 촉매되는 몇 단계의 반응을 거쳐 최종생성물이 생성되는데 이러한 경로반응에서 생성되는 중간 화합물
4. N-아세틸뉴라믹산(N-acetylneuraminic acid, Neu5Ac)
○ 포유류 세포에 존재하는 가장 풍부한 시알산으로 뮤신의 구성 성분
* 뮤신 : 인체 상피조직으로부터 생산되어 점막표면으로 분비되는 당단백질로 85%정도가 당으로 구성
5. 시알산(Sialic acid)
○ 9개의 탄소원자로 구성된 단당류로, 아미노당인 뉴라민산(Neuraminic acid)의 여러 유도체들을 총칭함
|
[
"인체 상피조직으로부터 생산되어 점막표면으로 분비되는 효소로 85퍼센트가 단백질로 구성된 것은 뭐지"
] |
unanswerable
|
a8969918-2ddb-473a-bd41-3f9986837314
|
제4기 연천군 지역사회보장계획 공고
|
제4기 연천군 지역사회보장계획 공고
1. 제4기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 배경
가. 제3기 지역사회복지계획(2015~2018)의 실행결과 진단
3) 계획 실행과정-추진체계의 점검과 개선 필요사항
□ 제3기 계획의 실행과정과 추진체계에 대한 총평
○ 제3기계획에 대한 평가 수행 과정
- (평가TFT 역할) 각 사업 전체에 대한 one-paper평가, 3기의 전반적 이행 과정에 대한 질적 평가 수행
- (각 사업부서 담당자 자체 평가)one-paper 평가를 수행함으로서 담당 사업이 지역사회보장 계획 상 사업이라는 것을 인지
- (외부전문가 평가)외부전문가를 통해서 연천군의 3기 계획과 이행에 대한 전반적 평가를 수행
・ 외부전문가는 지역사회보장계획을 수립하고 평가한 경험이 있는 광역 복지재단 및 광역 시도 연구원 전문가를 초빙하여 전체 사업에 대한 평가를 수행
|
[
"연천군은 광역 복지재단에 연구원 전문가를 초빙하여 무엇에 대한 질적 평가를 수행하니",
"2015년에 외부전문가는 무슨 계획에 대해 전반적인 점검과 개선 필요사항을 평가하고 수립했니"
] |
unanswerable
|
f186654a-9d00-4c22-adfb-c1703a8e5722
|
2019 온라인 코딩파티 시즌1 개최 (6.10.~6.23.)
|
지금까지 이런 ‘온라인 코딩파티’는 없었다 - 「2019 온라인 코딩파티 시즌1」 개최 (6.10.~6.23.)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와 교육부(부총리겸 교육부 장관 유은혜)는 ‘제32회 정보문화의 달’을 맞아 6월 10일(월)부터 6월 23일(일)까지 ‘2019 온라인 코딩파티 시즌1’을 운영한다.
※ 참가방법(무료) : SW중심사회포털(www.software.kr) 내 온라인 코딩파티 접속
□ ‘온라인 코딩파티’는 소프트웨어에 관심 있는 사람은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소프트웨어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체험하고 컴퓨팅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큰 호응을 얻고 있다.
ㅇ 2015년 첫 행사를 시작한 이래 매해 두 시즌씩 개최하고 있으며, 참가인원이 꾸준히 증가하여, 2018년에는 110만 명을 돌파하였다.
※ (참가현황) 2015년 126,239명→2016년 382,548명→2017년 700,945명→2018년 1,101,396명
|
[
"소프트웨어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체험할 수 있는 어떤 행사의 참가자 수가 2017년에 382,548명이었니"
] |
unanswerable
|
f902dc0d-f6a6-4dc1-8acb-c5716aeee278
|
2019 온라인 코딩파티 시즌1 개최 (6.10.~6.23.)
|
지금까지 이런 ‘온라인 코딩파티’는 없었다 - 「2019 온라인 코딩파티 시즌1」 개최 (6.10.~6.23.) -
□ 이번 ‘2019 온라인 코딩파티 시즌1’에는 코딩 없이 컴퓨팅 사고력을 키울 수 있는 ‘컴퓨팅 사고력’ 부문을 처음으로 도입하고, 프로그램 수를 증가시키는 등 지난 시즌보다 다채롭고 재미있게 보강하였다.
※ (프로그램 수) 5개(2018 시즌2) → 9개(2019 시즌1)
ㅇ 우선 2018년 ‘온라인 소프트웨어 교육 콘텐츠 아이디어 공모전*’에서 대상을 수상한 ***(서울 창경초), ***(서울 백운초) 선생님의 ‘둘이서 코딩, 거북선과 척후선!’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 전국 초·중·고 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체득한 소프트웨어 교육 및 타교과 융합교육에 대한 아이디어를 발굴하기 위한 공모전
- ‘둘이서 코딩, 거북선과 척후선!’은 임진왜란 해전을 배경으로 2명이 협력하여 거북선과 척후선을 코딩으로 움직여 적을 무찌르는 내용으로, 초등학생의 눈높이에 맞춰 재미와 협동심, 코딩의 기초를 습득하게 한다.
|
[
"2019년 6월 23일부터 진행되는 어떤 행사에서 서울 창경초 교사가 소프트웨어 교육을 실시해",
"어떤 행사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5개의 코딩 프로그램을 진행하지"
] |
unanswerable
|
6e403540-5d51-4969-9e8a-12ae2ba17f93
|
우수농식품구매지원사업, 한식세계화사업 등 농식품 수출지원사업의 성과 미흡
|
우수농식품구매지원사업, 한식세계화사업 등 농식품 수출지원사업의 성과 미흡
2. 농식품 수출지원사업의 문제점
농축산물판매촉진사업 중 수출물류비 지원사업의 성과 미흡
◦ 2012년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실적은 2011년과 비교하여 20% 증가했으나, 수출물류비를 지원받은 업체의 수출실적은 7.7% 증가하는 데 그침.
한식세계화사업은 유사‧중복에 따른 사업의 비효율 초래
◦ 한식세계화사업은 추진기관의 다원화로 인해 기능이 중복될 우려가 있음.
- 한식세계화추진단이 정책 자문기능을 담당하고, 한식재단(재단),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림수산식품기획평가원(농기평)이 사업을 수행하고 있음.
|
[
"한식세계화사업으로 2012년 농식품 수출실적이 2011년과 비교하여 몇 퍼센트 증가했니",
"한식재단에 대한 2012년 수출물류비 지원이 2011년에 비해 몇 퍼센트 증가했지"
] |
unanswerable
|
cf9e3a0b-39ba-4ea7-9895-42b130a81e64
|
[보도자료] 일본 아베내각의 안보정책 변화 분석과 시사점
|
일본 아베내각의 안보정책 변화 분석과 시사점
Ⅰ. 서론
□ 2019년 11월 20일 아베(安倍晋三)총리는 일본 역사상 최장의 재임기간 기록을 보유한 총리가 됨. 아베총리는 2006년 제1차 내각 출범이후 ‘전후체제로부터의 탈각’을 정권의 목표로 제시하고, 전 분야에 걸친 변화를 시도해옴
○ 외교안보적 측면에서 ‘일본의 전후체제’란 평화헌법과 미일동맹에 근거하여 안보는 미일동맹에 의존하고, 경제적 번영에 치중해 온 것을 의미함. 그 결과 일본의 외교가 소극적이며, 자주적인 국가전략의 수립이 불가능했다는 것이 일본 보수진영의 평가임
○ 탈냉전 이후 적극적이고 자주적인 국가전략의 수립을 위한 내부적인 시도들이 있어왔는데, 2012년 출범한 제2차 아베 내각 이후 정치·외교안보·역사 전 영역에 걸쳐 체계적인 변화를 보여주고 있음
|
[
"2019년 제2차 출범 이후 외교안보 등 전 영역에 걸쳐 체계적인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 일본 총리는 누구일까"
] |
unanswerable
|
eed69daa-3e1a-4d57-8d30-7f8894365717
|
스마트미디어X캠프 신규서비스 컨소시엄 후보군 발표
|
미래부, 미디어 벤처 육성에 적극 나선다. - 스마트미디어X 캠프를 통해 14개 벤처 기업 신규 미디어서비스 발굴-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는 지난 6월24일부터 25일 양일간 코바코 연수원에서 열린 ‘2014년 스마트미디어X 캠프(이하, X캠프)’를 통해 14개 벤처 및 중소개발사들의 신규 스마트미디어 서비스를 발굴했다고 밝혔다.
□ ‘스마트미디어 신규 서비스’ 분야와 ‘스마트미디어 양방향 기술’ 분야로 나뉘어 1박2일로 진행된 X캠프는 총 61개 벤처․중소개발사들이 자신들의 창의적 아이디어와 서비스 기획안, 기술을 발표하였다.
o 그 결과, 12개 플랫폼사는 14개 벤처․중소개발사와 신규 미디어 서비스 상용화를 위한 컨소시엄 후보군을 발표하였다.
- 특히, ㈜마이크임팩트는 3개의 플랫폼사와 ㈜재플, ㈜블루윈드, ㈜사운들리는 각각 2개의 플랫폼사와 매칭되어 신규 서비스에 대해 플랫폼사들의 높은 관심을 받았다.
o 이와 함께, ㈜텍스틸러스, ㈜재플, ㈜사운들리 3개사는 벤처 투자사로부터 우선 투자 대상 기업으로 선정되어 투자 유치를 위한 본격적인 심사를 거치게 된다.
|
[
"주식회사 텍스틸러스는 스마트미디어X 캠프에서 몇 개의 플랫폼사와 매칭됐어",
"블루윈드가 스마트미디어X 캠프에서 발표한 서비스 기획안은 몇 개야"
] |
unanswerable
|
fa11c7e1-6587-4bae-ae98-9169ff3af76a
|
2013년 올해의 과학교사상 시상
|
「2013년 올해의 과학교사상」 수상자 40명 선정- 과학·수학교육부문 30명 및 과학문화부문 10명 -
2013 올해의 과학교사상 추진개요
□ 시상목적
○ 수학․과학교육을 활성화·내실화하고, 과학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해당 분야에 공헌한 교사를 발굴․시상함으로써 사기 진작 및 자긍심 고취(2003년부터 계속)
□ 주관기관 : 한국과학창의재단, 매일경제신문사
※ 후원 : 두산연강재단에서 수상교사 해외연수 지원
□ 신청자격 및 후보자 추천
○ (신청자격) 중·고등학교 과학·수학교사 및 초등학교에서 3년 이상 재직하고 있는 교사
○ (추천권자) 소속학교장, 과학교육 및 과학문화 관련기관, 비영리 단체 및 학회, 동료교사 10명이상 구성된 추천인단 등
□ 시상
○ 시상인원 : 40명(과학교육 30명, 과학문화 10명)
○ 시상내용 : 미래창조과학부장관상 및 부상(포상금 750만원)
- 수상자 : 500만원 (포상금)
- 소속학교 : 250만원 (기자재구입, 교원연수, 현장학습 등 필요분야 활용)
※ 두산연강재단에서 차년도 초에 수상교사의 일본 교육현장 학술시찰 지원
|
[
"2013년 올해의 과학교사상 후보자는 몇 명이야",
"3년 이상 재직하고 있는 고등학교 교사 몇 명이 2013년 올해의 과학교사상을 신청했어"
] |
unanswerable
|
3bfe503c-1ff3-47cc-aec0-0d7cf398c643
|
2019 온라인 코딩파티 시즌1 개최 (6.10.~6.23.)
|
지금까지 이런 ‘온라인 코딩파티’는 없었다 - 「2019 온라인 코딩파티 시즌1」 개최 (6.10.~6.23.) -
「2019 온라인 코딩파티 시즌1」행사 안내
□ 행사개요
ㅇ (기간) 2019. 6. 10.(월) ~ 6. 23.(일)(정보문화의 달 연계)
ㅇ (주최/주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교육부 / 한국과학창의재단
- (참여기관) ㈜구름, EBS, 한국비버챌린지위원회, ㈜로지브라더스, ㈜테크빌교육
ㅇ (참가대상) SW에 관심과 흥미가 있는 누구나 (참가비 무료)
※ (참가현황) 2015년 12만명 → 2016년 38만명 → 2017년 70만명 → 2018년 110만명
ㅇ (참가방법) ‘SW중심사회포털(www.software.kr)’의 메인화면 배너 및 행사정보 내 온라인코딩파티 접속
□ 세부 프로그램
1) 블록코딩 미션
ㅇ (둘이서 코딩, 거북선과 척후선) ‘2018 온라인 SW교육 콘텐츠 아이디어 공모전’ 대상 수상작으로 거북선과 척후선을 2인이 함께 코딩하여 컴퓨팅 사고력과 함께 협동심을 키울 수 있는 프로그램
ㅇ (블록 코딩 용사가 되자!) 게임 ‘크루세이더 퀘스트’의 캐릭터가 용사가 되는 과정을 블록코딩으로 체험하면서 컴퓨팅 사고력 향상
|
[
"2019 온라인 코딩파티 시즌1 행사는 며칠부터 SW중심사회포털에서 참가 신청이 이루어지니"
] |
unanswerable
|
df18db74-2b79-4ff3-a3e8-2e76d696423a
|
(참고) 환경부, 아우디·벤츠 경유차 검사계획
|
환경부, 아우디·벤츠 경유차 검사계획
□ (대상차종) 국내 판매 중인 EURO-6 경유차 3개 차종
* 아우디 A6 50 TDI quattro(2,967㏄), 벤츠 C200 d(1,598㏄), GLC220 d(2,143㏄)
** 제작사별 동일 엔진·동일 배기량이 적용된 차종은 대표로 1개 차종만 선정
□ (검사절차) 차량 출고장(평택항(아우디), 화성(벤츠))에서 차종별 1대를 봉인하여, 검사장소인 교통환경연구소(인천)으로 이동 → 길들이기 주행(3,000㎞) → 시험
□ (검사방법) ①실내인증시험 조건 검사, ②실도로조건 시험, ③선택적 환원촉매(SCR) 제어로직 확인·검증
|
[
"벤츠의 경유차 3개 차종을 검사하기 위해 봉인하는 기관은 어디야",
"어디서 제작사별 EURO-6 차종의 배기량을 검사할 예정이니"
] |
unanswerable
|
c04c745f-e7e1-4ebf-b825-61fd792b8b76
|
[보도자료] 스마트팜 확산·보급이 지속가능한 농업 혁신의 계기가 되어야
|
스마트팜 확산·보급 사업 현황과 과제 - 농업분야 ICT 융복합사업을 중심으로 -
Ⅳ. 문제점 및 개선과제
1. 문제점
바. 낮은 기술 수준에 따른 에너지 수급 문제
o 에너지원 사용의 효율화를 위한 기술 수준이 낮은 상황에서 농업의 스마트화 기술의 확산·보급은 농사용 전기사용량이나 유류 사용량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음
◦ 농사용 전기의 연평균 사용량 증가율은 6.3%로 전체 사용량 평균증가율(2.5%)에 비해 3.8%p 높음
◦ 농업분야 면세유 사용량도 스마트팜 확산 보급사업이 스마트온실과 스마트축사를 중심으로 확산·보급된 2017년 이후 특히 휘발유, 등유, LPG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총 사용량도 14억 3천 2백만리터를 기록하여 전년(13억 6천 9백만 리터) 대비 4.6% 증가함
사. 기관 간,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 역할 분담 및 협업 경험 부족
o 스마트팜 관련 사업은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스마트팜 혁신밸리로 선정된 지방자치단체가 참여하고 있으나 기관 간,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 역할 분담 및 협업체계가 예산 분배 외에는 활성화되어 있지 않음
◦ 과학과 사회, 연구와 현장, 공공과 민간의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여 혁신정책의 성과를 빠르게 확산시키고 있는 유럽연합의 사례와 같은 역할 분담 및 협업 경험이 부족한 상황임
|
[
"한국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의 협업 경험 부족으로 무엇이 농사용 전기사용량 증가로 이어지고 있어",
"2017년 농업 분야의 면세유 사용량이 전년 대비 6.3퍼센트 증가하는 것은 무엇 때문이지"
] |
unanswerable
|
5591b5ef-907c-44d7-a608-6055244e8bdf
|
씨패션(C-Fashion) 사업 추진에 민관연이 협력
|
대구지역 패션산업의 창조산업화를 위한 ‘씨-패션(C-Fashion) 사업’추진에, 민‧관‧연이 협력키로 -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 산업부, 대구시, 제일모직, 다이텍연구원 등 섬유패션분야 대중소 상생협력 및 스마트 공장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 대구센터를 포함한 6개 기관은 업무협약을 통해 ▲ 섬유패션분야 대중소 상생협력 산업 육성, ▲ 협력기업 중심의 스마트공장 확산, ▲ 신소재를 활용한 창업 멘토링 및 생태계 조성에 대해 상호 협력해 나갈 예정이다.
ㅇ 이를 위해 대구센터는 향후 섬유패션분야 신소재를 활용한 창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역점을 두고, 이와 관련된 예비창업자 및 스타트업 기업 멘토링 및 창업지원에 역량을 집중할 예정이며,
ㅇ 제일모직은 향후 5년간 지역 내 협력업체를 100개(20업체/년) 발굴하여 수요연계형 연구개발을 공동으로 수행하고, 협력업체에 대한 스마트공장 확산 지원(25업체 내외/년)에 노력할 방침이다.
ㅇ 산업부는 제일모직과 협력기관 간 상생협력을 지원하고 협력기업의 스마트공장 확산에, 대구시는 제일모직의 협력업체 100개 육성을 위한 지원 정책을 수립하고, 제일모직 수요 연계형 1:1 맞춤형 연구개발사업을 지원할 예정이다.
ㅇ 다이텍연구원은 협력기업과 공동 신소재 연구개발 및 지원, 협력기업 발굴 및 신소재 브랜드 마케팅을 지원해 나갈 예정이다.
|
[
"산업부는 신소재를 활용한 대구지역의 어떤 분야로 제일모직에 5년간 25업체의 발굴을 지원할 예정이니",
"다이텍연구원은 수요 연계형 연구개발을 수행하여 100개의 업체를 어떤 분야의 신소재를 연구개발하도록 지원할까"
] |
unanswerable
|
da877afa-dfb2-438e-86cd-be4e2a6f10a8
|
창조경제 데모데이 개최
|
창조경제혁신센터, 민간과 협업하여 창업 열기 확산 - 8.7일(금), 혁신센터 – 민간기관 합동 「창조경제 데모데이」 개최 -
2 데모데이 참여 기업(10개) 상세자료
<7> ㈜비주얼캠프 – SK텔레콤 추천
Q2 : 가상현실 HMD 기기에 시선추적기술이 결합했을 때 생기는 특장점은?
A : 사용자들은 가상현실 HMD(Head Mounted Device)를 머리에 써서 외부의 시야를 가린채 HMD에서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3D 가상현실을 즐기게 됩니다. 시선추적기술이 가상현실 HMD와 결합하게 되면, 시선의 이동을 통하여 가상현실 소프트웨어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게임이나 동영상 같은 콘텐츠의 각각의 장면에 대한 시선분석이 가능하여 콘텐츠를 분석하는데 필요한 정량적인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
"가상현실 콘텐츠를 분석하기 위해 민간기관 합동으로 참여한 데이터 분석 기술은 무엇이니",
"SK텔레콤이 창조경제 데모데이를 개최하며 추천한 디스플레이 소프트웨어 기술은 무엇일까"
] |
unanswerable
|
1e3cc9bb-ee98-4e81-9736-3b29a3ad02ac
|
마지막 기회의 땅 아프리카와 과학기술ICT 협력 본격 가동
|
기회의 땅, 아프리카와 과학기술‧ICT 협력 본격 가동 - 박근혜 대통령 순방 계기 우간다, 케냐와 과학기술‧ICT 발전 경험 전수를 위한 협력에 합의 -
□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과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은 우간다 및 케냐의 관련 정부 부처와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이 두 국가와의 과학기술‧ICT공적개발원조(ODA) 협력 통합 창구로 정부 간 협력을 지원한다.
ㅇ 양 기관은 우간다, 케냐의 협력 요청을 미래부의 초청연수, 정책컨설팅, 장비 및 시설 구축, 적정기술 제공과 같은 다양한 공적개발원조(ODA) 사업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ㅇ 이를 통해 해당 국가의 상황에 맞는 지원이 가능해져 과학기술‧ICT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의 효과성이 높아지고, 수요자의 만족도도 오르는 결과가 기대된다.
|
[
"어디에서 케냐의 초청연수로 정책컨설팅 사업을 연결하여 과학기술이 발전되었을까"
] |
unanswerable
|
03c9a313-15bc-42c9-a971-1b660d25d04b
|
미생물에서 화학물질을 생산하기 위한 합성 경로를 지도로 완성
|
미생물에서 화학원료 및 연료를 생산하는 경로를 지도(MAP)로 완성하다
□ 특히, 이번 연구의 중요성을 인정받아, 네이처 카탈리시스는 바이오 기반 화학물질 합성 지도를 포스터로 제작하여 관련 분야의 산업계, 연구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전 세계에 배포할 계획이다.
□ 이상엽 특훈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지도는 앞으로 시스템 대사공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아이디어의 청사진을 제시해 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o “이는 향후 친환경 화학은 물론 의료·식품·화장품 분야 등 다양한 산업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밝혔다.
|
[
"친환경 화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 사람은 누구야",
"네이처 카탈리시스에서 화장품 분야 개발에 대한 아이디어를 낸 사람은 누구니"
] |
unanswerable
|
c532d817-86b5-4c8f-b93d-b74b9f21c7fa
|
미래자동차 산업 발전전략 발표
|
미래차 산업 신속전환을 위한 3대 전략- 「미래자동차 산업 발전전략」 발표 -
4 미래차 생태계로 조기 전환한다.
부품기업의 미래차 전환 가속화
□ (기술·인력) 해외 완성차와의 공동기술개발 및 연구․현장 핵심인력 2천명 양성을 추진한다.
ㅇ (기술개발) 해외 완성차사의 변화된 부품수요(전기차, 자율주행차)를 반영*하여, 수출연계형 부품 R&D** 및 마케팅 등을 지원한다.
* 해외 완성차별 Supplier Day 등을 통한 수요 파악 및 국내부품기업 매칭(kotra)
** GMㆍ 르노 등 글로벌 업체의 국내 소재 R&D 법인과 적극 협력
ㅇ (인력양성) 기술난제 해결을 위한 산․학․연 인력양성 사업단 운영 (수퍼엔지니어 500명) 등 연구ㆍ현장인력 2천명을 양성(~2025)한다.
□ (자금) 미래차 설비투자, 단기 유동성 공급 등 2조원 이상을 공급한다.
➊ (설비투자) 부품기업 미래차 설비*(정책금융), 사업전환 지원(2020년 960억원) 등을 통해 부품기업의 미래차 전환을 적극 지원한다.
* 산업구조 고도화 프로그램(10조원, 산ㆍ기은), 시설투자 특별온렌딩(1조원, 산은) 등 활용
➋ (유동성) 한국GM 협력업체 및 산업위기지역 부품업체를 대상으로 산은ㆍ기은 등의 대출ㆍ보증 만기를 1년 추가 연장(~2020, 2조원 이상)한다.
* 「자동차 부품기업 활성화 대책」(2018.12) 실적 : 2019.9월 4,790여개 기업에 약 3.1조원 지원
□ (지원체계) 컨설팅ㆍ기술ㆍ자금ㆍ인력 등 맞춤형 지원을 위한 컨트롤 타워로서 「부품기업 사업재편 지원단*」을 가동(2020~, 산업부)한다.
* 정부(산업부, 중기부, 금융위), 지자체, 완성차업체, 자동차연구기관(자동차부품硏, 지능형자동차硏 등), 정책금융기관, 지역대학 등 참여
|
[
"르노 업체에서 2020년까지 몇 명의 현장인력을 양성할까",
"2019년 9월 산업구조 고도화 프로그램에 몇 명이 참여하지"
] |
unanswerable
|
61d3a87b-002d-4168-b2aa-4442080cff78
|
미생물에서 화학물질을 생산하기 위한 합성 경로를 지도로 완성
|
미생물에서 화학원료 및 연료를 생산하는 경로를 지도(MAP)로 완성하다
연구결과 개요
□ 연구배경
ㅇ 바이오 리파이너리는 바이오매스 원료에서 생물공학적·화학적 기술을 이용해 화학제품·바이오연료 등 산업 화학물질을 친환경적으로 생산하는 연구분야에 해당한다. 바이오 리파이너리에서의 “시스템 대사공학”은 미생물의 복잡한 대사회로를 효과적으로 조작하여, 바이오매스 원료로부터 산업 화학물질의 생산능을 최대치로 끌어올릴 수 있는 핵심기술이다.
ㅇ 지금껏 석유화학공정을 통해서 합성되던 화학물질들 중에는 미생물 시스템 대사공학을 통해서 100% 바이오 기반으로 생산되는 사례가 점차 늘고 있지만, 통합된 바이오화학공정이나 석유화학공정만을 활용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인 경우도 많다. 이 맥락에서 주요 산업 화학물질들에 대한 최적의 합성 경로들에 대한 정보는 시스템 대사공학 기반 산업 화학물질 생산 시스템 디자인 시 귀중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ㅇ 이에 본 연구팀은 주요 산업 화학물질들을 생산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는 관련 바이오, 화학 및 이들의 통합된 합성경로 정보가 담긴 “바이오 기반 화학물질 합성 지도”를 개발하였다.
|
[
"시스템 대사공학 기반 산업 화학물질 생산 시스템이 몇 퍼센트 디자인됐어",
"바이오 기반 화학물질 합성 지도를 통해 화학물질 생산이 몇 퍼센트 늘었지"
] |
unanswerable
|
ed9c69cc-7ea5-4581-8711-530951a4e352
|
마지막 기회의 땅 아프리카와 과학기술ICT 협력 본격 가동
|
기회의 땅, 아프리카와 과학기술‧ICT 협력 본격 가동 - 박근혜 대통령 순방 계기 우간다, 케냐와 과학기술‧ICT 발전 경험 전수를 위한 협력에 합의 -
□ 한국과학기술원(KAIST), 광주과기원(GIST) 등 국내 과기특성화대학들도 현지 우수 대학과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연구협력에 나선다.
ㅇ 광주과기원은 양국 최고의 대학인 우간다 마케레레 대학 및 케냐 나이로비 대학과 양해각서(MOU)를 각각 체결하고, 현지 우수 인재를 발굴해 친한(親韓) 인사로 양성하기 위한 연구협력을 추진할 계획이다.
ㅇ 또한, 케냐는 우리 EDCF(대외경제협력기금) 자금을 활용*해 케냐 KAIST 건립사업을 추진할 예정으로, KAIST는 2015년 사업 타당성조사를 성공적으로 실시한 데 이어 본 사업 추진 시 케냐 측과 적극적으로 협력해 나갈 방침이다.
* 순방 계기 케냐-한국수출입은행간 과학기술혁신 분야 금융협력 MOU 체결을 통해 향후 케냐는 8천만불(약 1,000억원) 규모의 EDCF 자금을 지원받을 예정
□ 미래부 최양희 장관은 “아프리카는 우리 경제에 활력을 줄 수 있는 마지막 대륙으로, 특히 에티오피아, 우간다, 케냐는 성장 잠재력이나 우리와의 협력의지를 볼 때 중요한 협력 파트너”라면서, “우리 과학기술‧ICT를 활용해 국제 사회에 기여함과 동시에 우리 기업의 해외진출까지 돕는 상생의 협력 모델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한국과학기술원은 어느 대학과 MOU를 체결했어",
"에티오피아에 있는 대학은 어느 학교와 MOU를 체결해 ICT 연구협력에 나서지"
] |
unanswerable
|
1c2a829f-b120-4ddd-b5d2-2da58853ce63
|
창조경제 데모데이 개최
|
창조경제혁신센터, 민간과 협업하여 창업 열기 확산 - 8.7일(금), 혁신센터 – 민간기관 합동 「창조경제 데모데이」 개최 -
2 데모데이 참여 기업(10개) 상세자료
<9> ㈜브랜디 – SK텔레콤 추천
Q1 : 브랜드 소셜미디어, 브랜디란?
A : 사용자들이 서로 관심있는 브랜드의 쇼핑정보를 공유하는 소셜미디어 서비스로서 소비자들이 직접 모바일앱으로 구매후기부터 사진, 세일소식까지 쇼핑에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고 소통하는 브랜드 커뮤니티입니다.
|
[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운영하는 소셜미디어 서비스는 뭐야",
"민간기관이 합동해서 만든 브랜드 커뮤니티가 뭐지"
] |
unanswerable
|
1c91f755-7f7b-4a18-830e-29d5e07e4114
|
2018년도 국내 전체 방송시장 17조 3천억 원 규모
|
2018년도 국내 전체 방송시장 17조 3천억 원 규모 - 유료방송 가입자 3,278만 단자, 방송프로그램 제작비 약 3조 원, 종사자 약 3만 7천명 등 2019년 방송산업 실태조사 결과 발표
□ 방송산업 실태조사는 방송산업 분야별 실태 파악을 통하여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2000년부터 매년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이 실시하고 있는 국가승인 통계조사이다.
ㅇ 이번 조사는 450개 방송사업자를 대상으로 실시 된 것으로 2018년말 기준 ▲손익․재무현황 ▲유료방송 가입자 ▲프로그램 제작․유통 ▲종사자 등 방송산업 관련 다양한 항목을 포함하고 있다.
ㅇ 구체적인 실태조사 결과는 과기정통부(www.msit.go.kr), 방통위방송통계포털(www.mediastat.or.kr), 정보통신정책연구원(www.kisdi.re.kr)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하여 이용할 수 있다.
|
[
"2018년부터 매년 방송산업 실태조사를 실시하는 곳은 어디니",
"어디에서 2000년부터 매년 유료방송 가입자 수를 발표하지"
] |
unanswerable
|
37889f24-a3a5-4ed7-b8c6-1a4ffac64c62
|
마지막 기회의 땅 아프리카와 과학기술ICT 협력 본격 가동
|
기회의 땅, 아프리카와 과학기술‧ICT 협력 본격 가동 - 박근혜 대통령 순방 계기 우간다, 케냐와 과학기술‧ICT 발전 경험 전수를 위한 협력에 합의 -
케냐 과학기술·ICT협력 행사 개최 결과
□ 목적
o 한-케냐 정상회담을 계기로 양국 간 과학기술·ICT 협력 강화를 위한 기관 간 MoU체결(4건) 추진
o 과기·ICT분야 협력 MoU로 형성된 양국 동반성장 모멘텀을 위한『한-케냐 과학기술·ICT협력 세미나』 개최
□ 행사개요
o 기간/장소 : 2016. 5. 31(화) / Fairmont the Norfolk, Nairobi
o 참석자 : 약60여명
- (케) 정보통신기술부/과학기술부 장차관 등 정부 관계자, 기관대표 및 관계자, AfDB, WB 등 국제기구 담당자 등
- (한) NIA(원장), KISDI(원장), STEPI(원장), GIST(총장), KAIST, NRF, 통신학회 등 7개 기관
|
[
"케냐 과학기술, ICT 협력 행사에 참석한 AfDB 담당자는 총 몇 명이니",
"KAIST에서는 총 몇 명의 인원을 케냐 과학기술, ICT 협력 행사에 참석시켰을까"
] |
unanswerable
|
70f6188c-94b6-43cc-a6ea-024a8bf2d993
|
현장맞춤형 이공계 인재 양성지원 사업, 11개 실전문제연구단 추가 선정
|
현장맞춤형 이공계 인재 양성지원 사업, 11개 실전문제연구단 추가 선정 - 2019년 추경으로 지역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재 양성 -
2019년도「현장맞춤형 이공계 인재양성 지원사업」공고
1. 사업 개요
가. 사업목적
○ 이공계 대학(원)생 중심 다학제적 연구팀의 연구과제 지원을 통해 기업의 실전문제 해결 역량을 가진 이공계 인재 양성
나. 지원대상
ㅇ 고등교육법 제2조 1호(대학), 2호(산업대학)의 대학*
* 비수도권 대학에 한함
※ 대학별로 1개의 ‘실전문제연구단(사업단)’ 지원
다. 지원규모
ㅇ 지원 대학(연구단) 수 : 11개 내외
ㅇ 사업비 : 2019년 사업비 총 39.32억원
- 연구단별 실전문제연구팀 선발ㆍ지원 규모에 따라 사업비 지원
라. 사업기간
ㅇ 총 사업기간 : 2019. 10. 1. ∼ 2020. 4. 30.
※ 정부 예산편성 결과에 따라 계속지원 가능
|
[
"2020년에 실전문제연구단에 얼마가 지원됐어",
"2020년도 현장맞춤형 이공계 인재양성 지원사업의 총 사업비는 얼마야"
] |
unanswerable
|
0a4d4a22-4d4e-4f5f-8a49-2b7208fc0d85
|
나노입자 생체물질 간 상호작용 연구
|
나노입자-생체물질 간 상호작용 분석 원천기술 개발 -탄저균 등 생체물질 초고감도 실시간 모니터링 가능-
□ 국내 연구진(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부 남좌민 교수 연구팀)이 생체세포를 모방한 인공 세포막 상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는 많은 수의 나노입자 간 상호작용을 단일 입자 수준에서 실시간으로 관찰하여 초고감도로 정량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원천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 글로벌프론티어사업의 일환으로 추진중인 바이오나노헬스가드연구단(단장 ***) 및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으며,
○ 연구 성과는 화학분야 세계 최고의 권위를 가진 미국 화학회지 JACS(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에 Spotlights* 논문으로 선정되어 ‘Snapshots of Nanoparticles in Action Reveal Their Interactions’라는 제목으로 3월 5일 소개되었다.
* 미국화학회지에서는 매 이슈마다 상위 5∼10%의 논문을 선별하여 Spotlights 논문으로 선정하고 이를 각 이슈 맨 앞에 쉽고 자세하게 소개
※ 본 논문의 책임저자는 남좌민 교수, 제1저자는 서울대학교 화학부 이영광 박사, 공동저자는 김선기 오정욱 박사이며 논문명은 “Massively Parallel and Highly Quantitative Single-Particle Analysis on Interactions between Nanoparticles on Supported Lipid Bilayer” 임
|
[
"나노입자와 생체물질 간 상호작용 분석 원천기술의 연구 성과는 중국의 어떤 잡지에 소개되었어",
"나노입자와 생체물질 간 상호작용 분석 원천기술에 대한 연구 성과가 소개된 유튜브 채널은 뭐야"
] |
unanswerable
|
5a56f22c-9dff-46f6-bd58-e9e6b324e6f1
|
현장맞춤형 이공계 인재 양성지원 사업, 11개 실전문제연구단 추가 선정
|
현장맞춤형 이공계 인재 양성지원 사업, 11개 실전문제연구단 추가 선정 - 2019년 추경으로 지역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재 양성 -
2019년도「현장맞춤형 이공계 인재양성 지원사업」공고
2. 지원 내용
다. 사업비 지원 항목
ㅇ 연구단 운영비 : 실전문제연구팀 선발․관리비, 공통 교육 경비, 기타 연구단 운영 관련 소요 경비
ㅇ 연구팀 지원비 : 연구비 및 연구수당으로 구성(총 사업비의 60% 이상 계상)
* 연구비 :「국가연구개발사업관리 등에 관한 규정」의 연구개발비 비목별 계상기준 준용(단, 인건비, 간접비, 위탁연구개발비 등 제외)
* 연구수당 : 팀장, 지도교수 및 산업계 멘토 등에게 지급(팀별 총 200만 원 내외)
ㅇ 인건비 : 연구단 지원인력 인건비(총 사업비의 15% 미만 계상)
* 연구단 업무 전담 신임교수(행정직원) : 1인당 연간 최대 3천만 원까지 지원
* 연구단장 등 참여 교수 : 인건비는 지급하지 않고 간접비에서 인센티브 지급
ㅇ 간접비 : 총 사업비의 5% 이내 계상
|
[
"2019년 현장맞춤형 이공계 인재양성 지원사업으로 참여 교수에게 얼마의 인센티브를 지급하지",
"2019년 현장맞춤형 이공계 인재양성 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단 지원인력은 얼마의 인건비를 받을까"
] |
unanswerable
|
5d30a5bb-7390-4c63-ba92-49bfa750f2d5
|
제4기 연천군 지역사회보장계획 공고
|
제4기 연천군 지역사회보장계획 공고
2. 지역 사회보장의 여건 진단 및 전망
가. 복지 수요 분석 및 전망
1) 연천군 지역사회보장조사 결과를 통한 복지 수요
(1) 연천군 지역사회보장조사 결과 종합 요약
□ 지역사회보장조사를 통해 나타난 사회보장분야 우선순위
○ 지역 내 지역주민의 다양한 욕구 중 사회보장계획 수립의 우선순위가 있는 욕구를 도출하기 위해 세부 욕구별 어려움을 겪는 수준과 해당 욕구에 대한 지원 필요성을 느끼는 정도를 교차하여 도식화 하였음
- 상대적으로 어려움을 많이 겪고 있으면서, 또한 지원 필요성도 높게 느끼고 있는 우측 상단에 포함된 욕구들에 지역사회 보장계획 수립의 우선순위가 있을 것으로 사료됨
- 연천군의 경우 「장애인 돌봄 과정」, 「문화여가활동」, 「취업,창업활동 및 기회 마련」, 「문화·여가」, 「장애아동 돌봄,발달,양육」등 영역이 전반적으로 어려움을 경험한 정도와 지원/서비스 필요도 모두 높아, 우선순위가 높은 영역으로 나타남
○ 조사 응답자의 인식에 따른 연천군 사회보장영역의 우선순위
- 연천군 지역사회보장조사의 응답자들 중에서 ‘연천군에서 가장 관심을 가져야 할 복지분야’에 대한 인식은 노인분야가 33.3%로 가장 높았고, 보건의료 13.0%, 고용 12.8%, 아동․청소년 11.7%, 장애인분야가 10.4%로 나타남
- 조사 응답자가 대부분 노인임을 고려한다면 고용과 아동청소년, 장애인 등의 영역도 지역 내에서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우선순위로 볼 수 있음
○ 아동양육에 있어 가장 어려운 문제는 역시 사교육비 증가에 따른 경제적 어려움임
- 사교육비 증가에 따른 경제적 어려움이 35.2%로 나타났으며, 방과 후의 아동에 대한 보호가 28.6%로 나타나 군내 아동에 대한 교육과 돌봄 시스템에 대한 관심의 확대가 필요함
- 아동복지 향상을 위해서는 가장 필요한 것이 방과 후 학습지도로 나타났음
○ 노인을 위해 필요한 사업으로는 ‘경제적 지원확대’가 41.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보건 및 의료서비스 확대’가 2순위로 나타남
|
[
"연천군 지역사회보장조사의 응답자 중 노인은 몇 퍼센트일까",
"연천군 지역사회보장조사에서 노인을 위한 사업으로 보건 및 의료서비스 확대를 응답한 퍼센트는 얼마니"
] |
unanswerable
|
804323d8-56b9-4742-909f-ff0b2b4569c6
|
2017년 장애인 ICT주간 행사 운영
|
“따뜻한 ICT 기술, 평등한 ICT 세상” - 미래부,「2017 장애인과 함께하는 ICT주간」운영 -
「2017 장애인과 함께 하는 ICT주간」세부계획
5 정보통신 보조기기 체험관 전국 순회 운영 개막식
□ 행사 개요
o 장애인에게 적합한 보조기기 선택 기회 제공을 위해 2017년도 보급 대상 정보통신 보조기기 지역 순회 전시 및 체험 기회 제공
□ 개막식 행사 계획
o 일시ㆍ장소 : 2017. 4. 21(금) 10:00~10:30, 여의도 이룸센터
※ 개막식 행사 후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정보통신보조기기 체험관 운영(4.21~22)
o 참석대상 : 미래부, NIA 관계자 등
□ 전국 순회 운영 계획
o 기간ㆍ장소 : 2017. 4. 21(금) ~ 6. 16(금), 총 6개 권역별 11개 장소
o 전시 품목 : 2017년 보급대상 정보통신 보조기기 약 98종
※ 화면낭독‧확대SW, 영상전화기, 특수키보드‧마우스 등 품목별 세부 제품의 상세사항(명칭, 개발기업) 등은 4월 중순 선정 및 확정
|
[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정보통신보조기기 체험관은 몇 시부터 몇 시까지 운영하지",
"2017년 6월 16일에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정보통신보조기기 전시는 몇 시부터 몇 시까지 할까"
] |
unanswerable
|
6d85acec-275f-45d2-a58e-cdc9ca10e364
|
4차 산업혁명 시대 준비 하루라도 더 앞당긴다
|
SW기초․ 원천 연구개발사업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 준비, 하루라도 더 앞당긴다 - ‘차세대정보컴퓨팅기술개발사업’ SW기초원천 R&D과제 사업설명회 개최 -
□ 과기정통부는 “SW기초․원천 연구개발을 지원함으로써 4차 산업 혁명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ICT 핵심원천 기술개발과, 국내 부족한 SW 전문인력 상황을 시급히 극복하고자 노력할 것이며,
ㅇ 앞으로, 미래 핵심동력이 될 ICT 기초․원천기술 분야의 R&D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차세대정보컴퓨팅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 선정계획 안내
‣ (선정규모) 10과제 내외(총 3개분야, 5개RFP)
‣ (접수 기간) 2017. 8. 10.(목) ~ 2017. 9. 8.(금) 18시까지 (30일)
‣ (문의처) Tel. ****-****, http://nrf.re.kr
*사업제안요구서(RFP) 등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공지사항 참조
◈ 차세대정보컴퓨팅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 사업설명회 안내
‣ (일정) 2017. 8. 11.(금) 14:00 ~ 16:00
‣ (장소) 서초동아타워 2층(강남역 8번출구 방향)
|
[
"과기정통부는 SW기초, 원천 연구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2017년 8월 10일 서초동아타워에서 무엇을 개최했어"
] |
unanswerable
|
c19ea5b4-f11c-4904-98dd-c6089b66dddb
|
제4기 연천군 지역사회보장계획 공고
|
제4기 연천군 지역사회보장계획 공고
2. 지역 사회보장의 여건 진단 및 전망
나. 복지 공급 및 지역 자원 현황
1) 연천군 복지자원현황
⧠ 연천군의 2018년 전체 예산은 3,965억원이며, 일반회계기준으로 3,223억원임. 이 중에서 사회복지, 보건, 교육, 문화 및 관광영역을 포함하였을 때, 관련된 예산은 968억원으로 전체 예산의 30.1%를 차지하고 있음
○ 기능별 예산 내부항목을 살펴보면, 사회복지분야 예산이 72.7%이며 이 중에서 노인 및 청소년과 관련된 예산이 33.4%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사회복지분야는 기초생활보장, 취약계층 지원, 보육 및 여성, 노인 및 청소년, 노동, 보훈, 사회복지일반으로 구분되어 있음. 기초생활보장은 사회보장기능별 예산 중에서11.3%로 109억원, 보육 및 여성은 168억원, 노인 및 청소년은 323억원이 배정되어 있음
- 2017년과 비교해볼 때 금액이 증대했을 뿐만 아니라 비중 역시 사회복지분야가 66.1%에서 72.7%로 6.6%p 증대했음
○ 보건분야예산은 62억원으로 기능별 사회보장영역 예산의 6.5%를 차지하고 있으며, 교육분야는 44억원으로 4.6%, 문화 및 관광은 157억원을 차지하고 있음
|
[
"2017년 연천군 전체 예산은 얼마니"
] |
unanswerable
|
7b950a57-9c04-427c-b0ad-e55af4c092c0
|
제4기 연천군 지역사회보장계획 공고
|
제4기 연천군 지역사회보장계획 공고
2. 지역 사회보장의 여건 진단 및 전망
나. 복지 공급 및 지역 자원 현황
1) 연천군 복지자원현황
⧠ 보건복지 관련 조직별로 활용하는 예산을 보면, 1,200억원으로 전체 일반회계의 37.5%를 차지하고 있음
○ 본청에서 복지지원과가 전체 관련 예산의 86.1%인 648억원을 사용하고 있고, 이는 관련 예산의 71.8%를 차지하고 있음
|
[
"연천군 지역의 사회보장을 위해 지원된 예산은 얼마야",
"연천군 일반 회계과에서 사용한 예산은 얼마니"
] |
unanswerable
|
f5e93c2c-f4fa-4bfa-95c1-d9ec22948fcd
|
경남도, 사천 바다케이블카와 함양산삼휴양밸리 사전컨설팅 감사로 안전도 높인다
|
경남도, 사천 바다케이블카와 함양산삼휴양벨리 사전컨설팅 감사로 안전도 높인다
한 대행은 사천 바다케이블카와 함양 산삼휴양벨리 조성사업의 안전성 강화를 위한 사전 컨설팅 감사도 지시했다. 한 대행은 “사천 바다케이블카가 설치되는 초양도와 각산사이는 풍경도 아름답지만 바람과 물살이 센 곳”이라며, “4월 13일 준공전에 안전에 관한 사전 컨설팅 감사를 실시해 조그마한 안전사고도 발생하지 않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그리고 “주말에 함양 산삼휴양벨리가 조성되고 있는 함양 대봉산 현장을 점검하고 왔다. 대봉산 산삼 휴양벨리는 항노화 산업과 연계해 국내 최고의 힐링 휴양단지가 될 것이다. 도비 300억 원을 포함해서 1,000억 원 이상을 투자해 현재 공정율이 80%에 이르고 있다. 해발 1000m 이상에서 수직으로 떨어지는 짚 라인, 4㎞에 이르는 모노레일 등 흥미진진한 시설물들이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안전이 가장 중요하다”며, “감사관실에서 전문가들과 함께 사전 컨설팅 감사를 실시해 안전을 점검해달라. 함양군을 도와주는 컨설팅을 해달라”고 당부했다.
|
[
"언제 한양 산삼휴양벨리가 조성되고 있는 함양 대봉상 현장 사전 컨설팅 감사를 했니"
] |
unanswerable
|
e65dd3ae-8d85-4e49-8be4-62641d0cc38a
|
재발없이 근원적인 암치료가 가능한 항암제 개발 성큼
|
재발없이 근원적인 암치료가 가능한 항암제 개발 성큼 RUNX3가 암유전자 활성화로 인한 폐암발병을 억제한다는 사실 밝혀
용어설명
1. Cancer Cell
○ 암연구 분야 국제학술지(Impact factor 27; 최근 5년 평균)
2. 암 유전자
○ 세포분열 촉진유전자로서 암세포에서 비정상적으로 기능이 향상되어 있는 유전자
3. 암 억제 유전자
○ 암세포 분열 억제 유전자로서 암세포에서 특정 암 억제 유전자의 기능이 결손되어 있다.
4. 문지기 유전자
○ 암억제 유전자의 일종으로서 암 유전자의 비정상적 활성화를 감지하여 이러한 세포를 선별적으로 사멸 시키는 기능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 유전자이다. 과거 p53이 문지기 유전자 일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최근 p53은 문지기 유전자가 아님이 확인되었다.
5. 암 줄기세포
○ 암세포의 기원이 되는 세포로서 이 세포에 암유전자 활성화가 일어나면 암세포화 된다. 항암 치료 후 암이 빈번히 재발하는 것은 암 줄기세포가 항암제에 내성을 가지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암 줄기세포는 암 조직중에도 극히 소수 존재하기 때문에 그 생성 과정이 거의 밝혀지지 않고 있었다.
|
[
"p53이 암 줄기세포에 항암제의 기능을 결손시켜버리는 기능을 가진 어떤 유전자로 밝혀졌어"
] |
unanswerable
|
77ebb52b-b0d6-4e13-89fb-8aa96ed9bb78
|
경남도, 사천 바다케이블카와 함양산삼휴양밸리 사전컨설팅 감사로 안전도 높인다
|
경남도, 사천 바다케이블카와 함양산삼휴양벨리 사전컨설팅 감사로 안전도 높인다
공직기강 확립과 선거중립에 대한 감찰도 강조했다. 한 대행은 “지방선거를 맞아 분위기가 어수선해질 수 있다”며, “공직기강과 선거중립 의무 준수에 대한 지속적인 암행 감찰을 통해 공직자와 14개 공기업 및 출자출연기관, 도에서 보조금을 받는 단체들이 불법행위에 관여하는 일이 없도록 하라”고 지시했다.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특별한 관심도 피력했다. 한 대행은 “정부가 현재 전체발전량 중 6% 수준을 차지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의 발전량을 2030년까지 20%로 확대하는 3020에너지 이행계획을 추진하고 있다”며, “경남도 신재생 에너지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특별한 대책을 수립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 대행은 “경남은 햇볕의 질이 좋고, 겨울에 눈이 오지 않아 태양광 생산의 적지”라며 태양광 발전에 대한 투자 확대를 지시하고, “풍력은 해상풍력에 대한 관심을 확대해 달라”고 당부했다.
4월 말 진주시 일원에서 열리는 도민체육대회에 대한 관심도 당부했다. 한 대행은 “도민 체육대회는 경남도의 가장 큰 체육행사이다. 체육인들뿐만 아니라 도민들이 하께 하는 체전이 되어야 한다”며, “4월초에 권한대행이 주재하는 점검회의를 통해 대회준비상황과 도민들의 참여방안 등을 점검할 수 있도록 준비하라”고 지시했다. 도민체육대회는 4월 27일부터 30일까지 진주시 일원에서 열리며, 27개 종목에서 선수, 임원 등 2만여 명이 참석한다.
|
[
"경남의 풍력발전은 전체 에너지 생산량의 몇 퍼센트이니",
"경남 도민체육대회 참석인원은 전체 도민의 몇 퍼센트야"
] |
unanswerable
|
bf4f0d5a-741f-4434-8bcb-9636e478706c
|
경남도, ‘3․1절 기념 걸인․기생 독립단 만세운동’ 재현행사 개최
|
경남도, ‘3․1절 기념 걸인․기생 독립단 만세운동’ 재현 행사 개최
경남도는 18일 진주청소년수련관에서 ‘3.1절 기념 걸인․기생 독립단 만세운동’ 재현행사가 열렸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한경호 도지사 권한대행, 이창희 진주시장, 시민, 학생 등 800여명 참석했으며, ‘기록으로 본 3.1 운동 정신’을 주제로 한 학술심포지엄을 시작으로 농악 한마당, 진주검무 등 터울림 행사, 결의문 낭독, 극단 ‘현장’ 의 걸인․기생 독립단 퍼포먼스 순으로 진행됐다.
‘3.1절 기념 걸인․기생 독립단 만세운동’은 1919년 3월 18일부터 이틀간 당시 멸시를 받던 진주지역 걸인과 기생들이 우리나라의 자주 독립을 위해 분연히 일어나 일제의 수탈과 총칼에 맞섰던 날을 기념하기 위해 2003년부터 (사)진주문화사랑모임이 개최해 오고 있다.
행사의 하이라이트는 나라사랑 전신을 되새기기 위해 걸인과 기생으로 분장한 시민들과 내․외빈들의 횃불 시가행진이었다. 기념식장에서 출발하여 현대자동차 사거리, 구)본성동사무소를 거쳐 진주성 임진대첩계사순의단 앞 광장에 도착한 후 만세삼창을 끝으로 마무리 되었다.
행사에 참석한 한경호 도지사 권한대행은 “예로부터 진주지역은 나라가 어려울 때 남녀노소와 신분의 귀천을 구분하지 않고 의연히 일어났던 곳으로 나라 사랑정신이 진주정신임을 확인할 수 있었던 자리였다.”면서 “역사는 죽은 과거가 아닌 현재 속에 살아있는 과거이다.”라고 말했다.
|
[
"경남도 삼일절 기념 걸인, 기생 독립단 만세운동 재현 행사에서 걸인 분장한 시민들은 몇 명이니"
] |
unanswerable
|
8abef3b2-a999-400a-b63a-5de7de62df14
|
[보도자료] 빠르게 노후화되는 도로, 지속가능한 도로 유지관리 방안 마련해야
|
빠르게 노후화되는 도로, 지속가능한 도로 유지관리 방안 마련해야 -도로 자산관리시스템 도입 및 효율적 운영을 위한 제도적 보완 필요-
□ 국회입법조사처(처장 ***)는 2019년 12월 26일(목)『도로 유지관리 현황 및 과제』을 다룬 입법․정책보고서를 발간
□ 2018년 1월 시행된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도로시설물에 대한 구조적 안전관리가 성능중심의 관리체계로 전환되었으나 최근에는 도로 자산관리시스템 도입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음
○ 자산관리시스템은 기존 공학적 측면의 유지관리에 중·장기적인 유지관리계획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경영학적 요소를 포함하는 예방형 관리의 형태임
□ 2020년 1월부터 지속가능한 기반시설 관리 기본법 (이하 “기반시설관리법”)이 시행될 예정임
○ 기반시설관리법은 국가 주요 기반시설의 체계적인 유지관리와 성능개선을 목적으로 2018년 12월에 제정됨
- 동 법은 기반시설 기본·관리계획 수립 의무화, 최소유지관리기준과 성능개선기준의 설정, 정부 지원의 원칙 등을 내용으로 함
○ 동 법의 제정으로 도로 자산관리시스템 도입·운영의 기초가 마련됨
□ 기반시설관리법의 원활한 시행과 도로 자산관리를 위하여 제도적 보완이 필요함
○ 기반시설관리법 상의 적용대상 확대 필요
- 현행 공공 기반시설로 한정된 적용대상을 민간관리 기반시설까지 확대하고 자산관리에 필요한 성능평가의 대상을 확대할 필요
○ 자산관리를 위한 관련 기준 마련 필요
- 기반시설관리법에서 설정하도록 되어 있는 최소유지관리기준과 성능개선기준을 조속히 마련할 필요
○ 도로 가치평가와 관련한 감가상각방법의 개선
- 도로 시설물의 물리적 상태를 반영하는 대체적 감가상각방법 적용 검토 필요
○ 도로 관리를 위한 안정적 재원 마련
- 사용 부담금 부과, 특별회계의 설치 및 활용, 기금 설치 등을 검토할 필요
|
[
"한국의 주요 기반시설의 체계적인 유지관리와 성능개선을 목적으로 2018년 1월에 제정된 법은 뭐야",
"어떤 법의 적용대상이 민간관리 기반시설에서 2018년 12월 공공 기반시설까지 확대 시행되었지"
] |
unanswerable
|
cf8d69a2-5149-4a40-a018-04ed4098b66e
|
산업단지 클라우드 서비스 적용 시범사업 공고
|
미래부·산업부 협업으로 산업단지 K-ICT 클라우드서비스 제공 - 클라우드서비스 활성화와 산업단지 스마트화 기대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 이하 산업부)는 산업단지 내 중소기업들의 정보통신기술(ICT) 활용도 제고를 통한 생산성 혁신과 국내 클라우드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산업단지 K-ICT 클라우드서비스 적용 시범사업’을 부처 협업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 동 사업은 박근혜 대통령이 강조한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의 중요 과제로서, K-ICT전략의 성공적 추진과 산업단지*를 젊은 인재들이 스스로 찾아오는 보다 혁신적이고 창조적인 공간으로 바꾸기 위한 핵심과제이다.
* 2014년말 기준 1,074개 산업단지가 지정됐으며, 7.3만개 기업 가동, 208만명 근무, 생산액 1,057조원이나, 최근 노후화, 활력 저하, 청년들 기피 등 도전에 직면
□ 이 사업은 미래부·산업부 외에 산업단지를 관할하는 지자체도 참여하여 중앙정부와 지자체간 협업도 이뤄지게 된다.
|
[
"2014년 기준 산업단지 K-ICT 클라우드서비스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청년은 몇 명이야",
"박근혜 대통령이 강조한 경제혁신 3개년 계획으로 청년 인재가 몇 명이나 양성됐어"
] |
unanswerable
|
93849fe3-e780-4da1-84b8-b313949c0476
|
[보도자료] 느슨한 사업장 대기오염 총량관리제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 필요
|
느슨한 사업장 대기오염 총량관리제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 필요
□ 2020년 4월부터 전국 80개 시·군 지역으로 확대 실시를 앞두고 있는 사업장 총량관리제가 지난 10여 년간 수도권 지역에서 어떻게 운영되었는지 살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해낼 수 있었음
○ 둘째, 법률은 사업장이 총량관리제를 비용효율적인 방법으로 준수할 수 있도록 배출권거래제를 활용할 근거를 마련하고 있지만, 총량대비 거래량이 5%미만 수준에 머물 정도로 배출권 거래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으며, 환경부는 지난 10년간의 배출권거래 실적 저조에 대한 유동성 강화방안을 적극적으로 마련하지 않음
- 특히 업종의 특성상 배출저감시설에 대한 투자를 늘리더라도 저감 효과가 크지 않은 사업장의 경우 배출권 거래제를 활용하여 비용효과적인 방법으로 총량의무를 달성하도록 하고, 사회적 총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정부는 적극적인 배출권거래 시장 활성화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 셋째, 미세먼지에 대한 국민적 우려를 반영하여 최근 총량규제와 농도규제가 동시에 강화되자, 사업장의 부담을 완화해주기 위해 총량사업장에 대한 농도규제를 일부 감면하는 내용의 하위법령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음
- 향후 예측 가능성을 강화하고, 규제의 효율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총량관리제, 농도규제, 통합관리제도 등의 관계를 고려한 환경적 성과와 경제적 비용에 대한 종합적 분석이 제공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중장기적으로 관련 제도의 관계를 입법에서 명확히 규율하는 방안이 검토될 필요가 있음
|
[
"통합관리제도는 언제부터 논의되고 있었지",
"배출저감시설에 대한 투자가 언제 이루어졌어"
] |
unanswerable
|
af9e8050-12c8-45a3-a555-a6a4d20c4820
|
[보도자료] 일본 아베내각의 안보정책 변화 분석과 시사점
|
일본 아베내각의 안보정책 변화 분석과 시사점
Ⅳ. 일본의 안보정책 변화에 따른 시사점
2. 시사점
나. 일본 안보정책의 투명성 및 신뢰성 담보를 위한 외교적 노력 강화
○ 한국은 일본의 방위력 증강 등에 대해 일본이 타국의 위협요인이 되지 않도록 일본의 설명책임 및 투명성 확보를 지속적으로 강조할 필요가 있음
○ 일차적으로 최근 한일관계 냉각에 따라 중단된 양국 군사 당국 간 대화 채널 및 양국 간 지속되었던 군사교류 등의 복원을 위한 외교적 노력이 요구됨
○ 나아가 한일 양국 간 안보분야에서의 신뢰를 구축할 수 있도록 양국의 정부 및 의회, 전문가 간 다양한 채널을 동원한 상호 이해 프로그램을 확대·심화 시킬 필요가 있음
- 2019년 6월 한국일보와 요미우리신문(読売新聞)의 공동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 응답자 75%가 일본을 신뢰할 수 없다고 답하고 있으며, 한국인이 군사적인 위협을 느끼는 나라는 북한(64%), 중국(48%), 일본(39%), 러시아(20%), 미국(20%)의 순으로 나타남
일본 국민 역시 비슷한 반응을 보이고 있는데, 동일조사에서 일본 응답자의 74%는 한국을 신뢰할 수 없다고 답하고 있으며, 일본인이 군사적인 위협을 느끼는 나라는 북한(78%), 중국(65%), 러시아 (54%),미국(32%), 한국(25%)의 순임
○ 국회차원에서는 2016년부터 시작된 '한일의회 미래대화'의 의제로 한일 양국의 안보정책 및 방향에 대한 논의가 포함될 수 있도록 하고, 2019년 발족한 한일의회외교포럼 등을 통한 상시적 대화채널의 확보 등의 활동도 검토해 볼 수 있음
|
[
"러시아인 54퍼센트가 어느 나라를 신뢰할 수 없다고 했어"
] |
unanswerable
|
92992a3a-81d9-414e-b8f7-e4c1c595c258
|
소프트웨어분야 마이스터고 입학설명회 개최
|
미래부 장관, 미래를 선도할 소프트웨어(SW) 인재 만나다 - 미래부 최양희 장관, 인천 명현중학교 (SW교육 선도학교) 방문 -
□ 미래부는 이번 SW선도학교 방문을 통해 초중등 학교의 SW교육이 보다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ㅇ 특히 대통령께서도 지난 7월 SW중심사회 실현전략 발표회에서 “SW중심사회의 주역이 될 미래세대가 정보과학적 사고를 기본 소양으로 갖출 수 있도록 초·중등학교에서부터 SW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하신 바 있다.
□ 최양희 장관은 “작년 미래부가 운영한 SW 교육 시범학교를 운영한 결과, 소프트웨어 교육을 받은 학생들 70% 이상이 수업내용에 대해 만족하고 흥미를 느꼈으며, 교사들은 학생들의 문제해결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생각한다. 학부모들 또한 SW 교육이 아이들의 사고력을 향상시키는데 큰 도움을 준다고 생각한다. ”고 밝히며
ㅇ “오늘 명현중학교에서 소프트웨어를 실생활에 적용하는 모습과 즐겁게 토론하는 학생들을 직접 만나게 되어 기뻤다.”고 소감을 전했다.
|
[
"교사들의 SW교육 실현전략에서 정보과학적 사고를 갖출 수 있도록 토론을 하는 곳은 어디니",
"SW중심사회를 위한 정보과학적 사고 강화를 위해 아이들이 방문하는 곳은 어디일까"
] |
unanswerable
|
54ad0230-3f1a-4db0-9d11-c3a5d182c66c
|
2018년 과학기술 진흥 및 정보통신 발전 유공자 포상
|
2018년 과학기술 진흥 및 정보통신 발전 유공자 포상 - 훈장 33명, 포장 12명, 대통령표창 33명, 국무총리표창 42명 등 120명 수상 -
□ 정부는 제51회 ‘과학의 날’(4.21) 및 제63회 ‘정보통신의 날’(4.22)을 맞아 과학기술 진흥 및 정보통신 발전 유공자 120명에게 훈장 및 포장, 대통령 표창, 국무총리 표창을 시상할 계획이다.
□ 과학기술 진흥 부문에서는 훈장 29명, 포장 7명, 대통령 표창 18명, 국무총리 표창 24명 등 총 78명에게 정부포상이 수여된다.
|
[
"2018년 한국 정부는 제63회 과학의 날을 맞아 과학기술 진흥 유공자 몇 명에게 정부 포상을 수여 했어"
] |
unanswerable
|
8caa0402-f6a9-4efe-ba70-b86a12edd3b8
|
'유독물 불법수입' 2012년부터 "절대 안 돼!"
|
‘유독물 불법수입’ 2012년부터 “절대 안 돼!” -환경부, 관세청과 공조 유해물질 유입 사전 차단-
□ 환경부는 수입 관리 강화를 위해 유독물을 유해화학물질관리법 관리대상물질에 추가하여 세관장 확인대상 품목으로 지정하도록 관세청에 요청했다.
○ 요청한 품목은 국립환경과학원 고시(제2011-16호)로 지정·고시된 유독물 561종이다.
○ 관세청은 환경부의 유독물 불법유입 방지 노력에 협력하여 「유해화학물질 관리법」에 의한 유독물 561종을 「관세법」에 따른 세관장 확인물품으로 지정하고자 「세관장확인물품 및 확인방법지정 고시」(관세청 고시 제2011-53호, 2011.12.26)를 개정했다.
- 이에 따라 2012년부터 유독물 561종과 함께 개정 이전의 취급제한·금지물질(석면함유 탈크 포함) 72종 등 유해화학물질의 불법수입이 사실상 불가능해진다.
※ 세관장 확인제도 : 관세법(제226조)에 따라 식품위생법 등 35개 법령에서 정한 수출입 요건(허가/승인 등)의 이행여부를 세관이 통관단계에서 확인하는 제도
|
[
"어디에서 환경부와 공조하여 세관장 확인대상 품목인 불법유입 유독물의 차단에 협력했니"
] |
unanswerable
|
51c131cc-45d7-4b94-9c01-54f00517dc8c
|
전파해석 및 지능형 레이다 핵심기술 개발 추진
|
전파해석 및 지능형 레이다 핵심기술 개발 추진 - 과기정통부, 서울대·카이스트·포스텍·중앙대에 전파연구센터(RRC) 개소 -
o 한국과학기술원 전파연구센터(센터장 홍성철 교수)는 물체 인식이 가능한 정밀 영상 레이다와 통신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융합시스템 개발을 수행한다. 이는 기존 통신만으로는 할 수 없었던 상황 인식과 센싱 정보 활용 통신(예 : V2X*) 및 협동 레이다 등에 응용할 수 있다.
* Vehicle to Everything : 유무선망을 통해 차량과 차량, 도로 등 인프라, 모바일기기 등과 정보를 교환하는 기술
o 포항공과대학교 전파연구센터(센터장 김경태 교수)는 여러 개의 군집 드론을 레이다 송수신기를 활용하여 고품질의 SAR* 영상을 획득하는 연구과제로, 사회간접 자본/산림/농작물 모니터링, 재난감시 등 다양한 사회문제 해결 등에 활용될 수 있다.
* SAR(Synthetic Aperture Radar) : 반사된 레이다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관심영역을 고해상도 이차원 영상의 형태로 도시하는 레이다
|
[
"중앙대에서 개발한 물체 인식이 가능한 정밀 영상 레이다와 통신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은 뭐야",
"서울대에서 드론을 이용하여 무슨 레이다 기술을 개발했니"
] |
unanswerable
|
47d7b7be-f411-462c-a5a6-49e8275cd5b2
|
'유독물 불법수입' 2012년부터 "절대 안 돼!"
|
‘유독물 불법수입’ 2012년부터 “절대 안 돼!” -환경부, 관세청과 공조 유해물질 유입 사전 차단-
□ 이와 더불어 한국화학물질관리협회에 요건 확인 업무를 위임하는 등 관리 강화를 위한 체계를 구축했다.
○ 앞으로 관리대상으로 지정된 유독물의 수입 시 세관장 확인을 위해서는 한국화학물질관리협회장의 유독물 수입신고확인증을 구비해야 한다.
□ 이번 조치로 유독물 561종이 「세관장확인물품」으로 지정됨으로써 유독물의 불법수입 및 유통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
○ 이를 통해 불법 유통되는 화학물질을 이용한 화학사고·테러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클 것으로 전망된다.
|
[
"관세청이 화학사고의 관리 업무를 위임받으려면 어떤 단체의 확인을 받아야 할까"
] |
unanswerable
|
c6b39de6-f42a-4f4d-80df-63c706a3df66
|
지상파방송 재송신 협의체 발족
|
미래부ᆞ방통위, 지상파방송 재송신 협의체 발족 - 총 10인, 위원장에는 서울대 경제학과 전영섭 교수 추천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와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 이하 방통위)는 지상파방송 재송신 협의체(이하 협의체)를 발족하고 8월 11일 10시에 광화문 프레스센터에서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협의체 위원은 방송ㆍ경제ㆍ법률ㆍ시청자 분야의 전문가 10인으로 구성하였으며, 위원장에는 미래부와 방통위가 공동 선정한 서울대 경제학과 전영섭 교수를 추천하였다.
금번 1차 회의에서는 협의체 운영방식 등에 대해 논의했으며 차기 회의부터 재송신 관련 논의를 본격 진행할 계획이다. 협의체는 지상파 방송 재송신 관련 사항을 논의하고 추후 공청회 등을 통한 사업자 의견수렴을 거쳐 개선방안을 정부에 건의할 예정이다.
정부는 협의체 운영을 적극 지원하고 추후 협의체가 건의한 사항을 고려하여 재송신 관련 제도개선을 추진할 계획이다.
|
[
"서울대 경제 전문가 10인으로 구성된 단체가 어디야",
"어떤 단체의 제1차 회의가 서울대에서 개최되었니"
] |
unanswerable
|
45cc4633-618f-44be-810a-49254f2bd038
|
과기 특성화 대학 기술사업화 전문회사 개소
|
과기 특성화대학, 기술사업화를 위해 뭉치다! - 미래과학기술지주(주) 개소식, 유망 기술 전시 및 기술 상담 -
□ 4개 과기특성화대 공동기술지주회사가 설립되어 과기특성화대의 우수한 연구성과가 사업화로 연결,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4개 과기특성화대의 기술기반 창업기업 설립 및 육성의 플랫폼이 될 미래과학기술지주(주)*가 2014.8.14(목) 14:30에 개소식을 갖고 본격적으로 출범한다고 밝혔다.
* KAIST, GIST, DGIST, UNIST 참여, 대전광역시 문지동 KAIST 캠퍼스 내 소재
□ 이날 출범식에는 미래창조과학부 최양희 장관과 출자 기관인 4개 특성화대 총장, 기업인 등 100여명이 참석하여 회사의 비전선포 및 사업계획 보고, 현판제막식 등을 함께 할 예정이다.
o 이와 함께 산업기술진흥협회 및 이노비즈협회 소속 회원 기업인들을 초청하여 4개 대학이 가지고 있는 40여건의 사업화 유망 기술*을 전시하고, 기술 상담도 진행할 계획이다.
* 대표기술 : 질병 진단용 날숨센서(KAIST), 도로 교통 측정용 라이다(GIST), 스테레오 비전기반 장애 물체 검출 기술(DGIST), 속눈썹 연장 기술(UNIST)
|
[
"기업인 몇 명이 미래과학기술지주 주식회사 개소식에 참석했니"
] |
unanswerable
|
dc299e6e-493a-4b82-a4dc-da48d3575d7e
|
미래성장동력 표준 선점 전략 추진
|
미래성장동력 표준선점 전략 추진- 2020년 표준특허 확보 세계4위권 목표 -
□ 관련 시장의 산업화 속도가 높으나 아직 표준화 논의가 초기 단계인 분야는 선제적 표준을 획득하기 위해 유망기술* 표준특허 전략맵을 구축하고, 연구개발(이하 ‘R&D’) 과제 기획․선정 시 표준개발과제 비중을 확대**하기로 했다.
* 5G(5세대)이동통신,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실감형 컨텐츠 등
** 연구개발(R&D) 표준연계과제 신규비중 : (2015) 15% → (2020) 20%
ㅇ 또한, 글로벌 시장과 협력․경쟁에 전략적인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국제 표준전문가를 100명 이상* 확보하고, 글로벌 표준화에 적시 대응할 수 있는 미러포럼을 육성(2020년까지 9개 이상)한다.
* (ICT분야) 국제표준전문가 : (2016) 67명 → (2020) 100명
ㅇ 표준화가 완성․성숙 단계에 진입한 분야의 경우에는 표준의 국내 적용을 촉진하고 중소․중견기업이 표준특허를 갖도록 밀착 지원(2020년까지 표준강소기업 20개 이상육성)한다.
□ 특위위원인 ***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융합본부장은 “미래성장동력 신시장 선점과 표준특허 창출을 위해서는 질 좋은 R&D 과제가 선정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R&D과제의 표준화 연계성에 대해 정부의 깊은 관심을 당부하였다.
|
[
"중소, 중견기업이 무엇을 갖도록 표준개발과제 비중을 확대해야 하지",
"표준화 논의가 초기 단계인 분야는 글로벌 표준을 획득하기 위해 어떤 전략맵을 구축해야 해"
] |
unanswerable
|
c23e161f-cca4-4bc4-9a80-472b5e9029bc
|
SW리딩스쿨 선정 결과 발표
|
2015년“SW Leading School”전국 200개교 선정 · 지원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지난해 7월에 발표한 「소프트웨어(이하, ‘SW’) 중심사회 실현전략」과 경제혁신 3개년 계획 중 SW 경쟁력 강화의 핵심기반인 초중등 SW 교육 활성화를 위하여 “소프트웨어 리딩 스쿨(이하, ‘SW Leading School’)”사업 운영 학교 200개교를 선정하였다.
|
[
"소프트웨어 중등 리딩스쿨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운영 사업을 하는 곳은 어디니"
] |
unanswerable
|
f169242d-9aea-4da8-a120-985ce87d1b54
|
정부연구개발시스템혁신방안 공청회
|
정부연구개발 시스템 혁신을 위해 산․학․연 머리를 맞댄다!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정부연구개발 시스템 혁신방안」수립 공청회 개최 -
정부 연구개발시스템 혁신방안(안) 주요내용
□ 추진배경
o 세계 수준의 연구개발 투자 확대에도 불구하고 질적 연구성과 및 기술이전․사업화 등은 미흡
※ (12년 IMD평가 기준) GDP 대비 연구개발 투지 비중 세계 1위(4.03%), 연구개발 투자규모 세계 6위 ⇒ 논문 피인용건수 세계 30위, 기술사업화 세계 43위
o 산업경제시대(80~90년대) 수립한 틀에서 벗어나 창조경제 패러다임에 적합한 연구개발시스템으로 전환 필요
□ 국내 연구개발시스템 진단
o 창의적․도전적 연구 부족 및 여전히 양 중심의 성과 창출시스템
o 기술 공급자 중심의 연구개발 및 부처 간․연구기관 간 융합과 협업 부족
⇒ 경제․사회적 가치 창출로 창조경제 구현을 촉진하기 위해 도전, 개방, 협업, 수요를 핵심 키워드로 연구개발시스템 전환 필요
|
[
"창의적, 도전적 연구에 투자하기 위해 산학연에서 수립한 것은 뭐야"
] |
unanswerable
|
84e1dcd5-a67e-4592-a903-ab32e27282f9
|
제28차 연구개발특구위원회, 강소특구 추진현황 및 2019년 연구개발특구육성사업 시행계획 등 보고
|
제28차 연구개발특구위원회 강소특구 추진현황, 2019년 연구개발특구육성사업 시행계획 등 보고
□ 정부는 1월 1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회의실에서 제28차 연구개발특구위원회(위원장 : 유영민 과기정통부 장관, 이하 ‘특구위’)를 개최하고,
ㅇ「강소특구 추진 준비현황」, 「4차 연구개발특구펀드 조성 계획(안)」, 「2019 연구개발특구육성사업 추진 계획(안)」 등을 논의했다.
[안건1] 강소특구 추진 준비현황
□ ‘강소특구’는 기존특구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한계를 보완하고, 자생‧자족적인 지역 혁신플랫폼 구축을 위해 도입된 새로운 R&D특구 모델이다.
ㅇ 강소특구 모델 도입 완료* 이후 지자체에서 신청이 접수(2018.12, 경북/경남)됨에 따라 강소특구 지정 추진에 있어 필요한 사전준비 현황을 보고했다.
* 연구개발특구법 시행령 개정(2018.5.8) 강소특구 세부고시 제정(2018.7.24)
□ 지방정부에서는 강소특구 지정 유치에 광역지자체 중 10여개* 이상이 관심을 표명했으며, 각 지방정부마다 지정 요청을 준비 중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 서울, 경기, 인천, 경남, 경북, 울산, 전남, 전북, 충남, 충북 등 (잠정 확인)
ㅇ 2018년 말 기준으로 경북ㆍ경남의 지정 요청을 접수(2018.12.13일, 12.26일)하였고, 충북ㆍ경기가 2019.1월 내 제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
[
"서울시는 강소특구 지정 요청을 언제까지 제출할 예정이니",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강소특구로 지정된 지자체를 언제 고시하니"
] |
unanswerable
|
e28d6b19-7ff9-4f47-b229-88c8cb116305
|
[보도자료] 느슨한 사업장 대기오염 총량관리제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 필요
|
사업장 대기오염 총량관리제 현황과 개선방안
III. 국내외 사업장 대기오염 총량관리제 운영 현황
1. 수도권 사업장 대기오염 총량관리제 운영 현황
다. 환경적 성과
□ 2008년부터 총량관리제를 시행중인 1단계 사업장(질소산화물 80개, 황산화물 21개 사업장)을 살펴보면 제도 시행이후 배출량이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 (질소산화물) 2007년 대비 2012년까지 10%, 2017년까지 48% 감소
○ (황산화물) 2007년 대비 2012년까지 9%, 2017년까지 33% 감소
□ (수도권지역과 비수도권지역 배출량 비교) 사업장 총량관리제를 시행한 수도권 지역과 농도규제만을 시행한 수도권 외 지역 중 굴뚝자동측정기기(TMS)를 부착한 사업장의 배출량 저감 추이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음
○ (질소산화물) 수도권 지역의 경우 매년 전년대비 배출량이 감소하고 있으나, 수도권 외 지역의 경우 2017년도만 감소함
○ (황산화물) 수도권 지역은 수도권 외 지역과 비교할 때 배출량 감소추세를 나타남
- 수도권 지역이 2007년 대비 2017년 8% 저감한 것에 비해, 비 수도권 지역에서는 2007년 대비 2017년 7% 저감한 것으로 나타남
◆ 환경부는 수도권 내 황산화물 배출량에 큰 영향을 미치는 영흥화력의 가동률 증가를 제외하면 수도권 내 사업장의 감소율이 큰 것으로 평가하고 있음
|
[
"총량관리제를 시행중인 수도권 사업장의 경우 2007년에 전년대비 질소산화물 배출량이 얼마나 감소했지",
"2012년에 총량관리제를 시행중인 비수도권 사업장의 황산화물 배출량은 전년대비 얼마나 감소했을까"
] |
unanswerable
|
7bad1e65-a7ac-4c50-838c-76adb99dbb3f
|
과기정통부·과학창의재단 과학문화 전문 인력 교육생 모집
|
‘과학 커뮤니케이터 직종별 30명씩 선발 및 양성’ 과기정통부·과학창의재단 과학문화 전문 인력 교육생 모집 - 2019년 과학문화 전문 인력 양성 사업 모집 공고(총 6개 직종)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가 주최하고, 한국과학창의재단(이사장 안성진, 이하 ‘창의재단’)이 주관하는 「2019년 과학 문화 전문 인력 양성 사업」의 직종별* 교육생 모집이 시작된다.
* 융합강연자, 과학퍼포머, 크리에이터, 과학저술가, 과학만화가, 스토리텔러 등
o ‘과학문화 전문 인력 양성 사업’은 지난 2018년 10월 말에 발표된 「과학 문화산업 혁신성장 전략」에 따른 것으로, 과학기술을 주제로 대중과 소통하는 과학 전문 인력을 양성하여 대중의 과학 이해도와 흥미를 높이는 한편, 과학문화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추진된다.
□ 과기정통부와 창의재단은 9월 30일부터 10월 28일까지 직종별 교육생을 모집, 각 직종별로 30명의 교육생을 선발하여 내년 1월까지 총 180명의 과학문화 전문 인력을 집중 양성할 계획이다.
o 과학 융합강연자 과정은 최신 과학내용을 소재로 대중과 창의적인 소통을 하는 강연자를, 과학 퍼포머 과정은 과학기술을 예술과 접목하여 퍼포먼스를 하는 공연자를 각각 양성한다.
o 또한 과학 크리에이터 양성 과정 및 과학 저술가 양성 과정을 통해 온라인을 기반으로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창작자인 크리에이터와 논픽션 기반의 과학 단행본을 출간하는 작가를 발굴한다.
o 과학만화가 양성 과정으로는 과학을 소재로 한 웹툰 또는 만화 등을 제작하는 만화가를 육성하며, 과학 스토리텔러 양성 과정으로 픽션 기반의 공상과학 이야기를 창조하는 창작자를 양성할 계획이다.
|
[
"과학 문화산업 혁신성장 전략에 따라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주최하여 교육생을 선발하는 사업은 뭐야",
"최신 예술내용을 소재로 대중과 창의적인 소통을 하는 강연자를 양성하는 사업은 뭐니"
] |
unanswerable
|
d6d86bb2-82c0-4db6-98bf-b3f70958cbfa
|
2016년도 과학기술시행계획 추진
|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 2016년도 시행계획 추진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과학기술분야 창조경제 실천 전략인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2013~2017)」(2013.7)에 따른 2015년도 추진 실적을 점검하고, 2016년도 시행계획을 제19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에서 종합‧확정하였다.
□ 미래부는 매년 과학기술기본계획의 5대 분야 78개 추진과제에 대한 21개 중앙행정기관의 추진실적을 점검하고 연도별로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ㅇ 국가 연구개발(R&D) 사업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 21개 중앙행정 기관의 추진실적 및 시행계획(안)과 2017년도 예산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 각 기관에 대한 권고사항의 조치 결과를 2016년도 자체평가부터 반영하는 등 정책·예산·평가 간 연계 강화에 중점을 두었다.
ㅇ 2015년도 추진실적을 점검한 결과, 과학기술혁신역량 강화, 창업활동 지원 등을 포함하여 대부분 지표가 정상추진 중이었으며,
ㅇ 특히, 기술수출액은 2013년 대비 184%가 증가한 9,765백만$을 기록하여 당초 2017년도 목표(8,000백만$)를 122% 초과달성하였다.
※ 기술수출액 지표 : (2013년) 5,311백만$ → (2015년) 9,765 백만$ (2014년 기술무역통계조사)
ㅇ 중소기업 기술경쟁력강화, 삶의 질 투자 확대 분야에서는 개선이 요구되어 2016년도 시행계획과 2017년도 정부R&D 예산 투자방향에 반영하여 보완해 나갈 예정이다.
|
[
"어느 기관이 2013년부터 2017년까지의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을 2014년도에 확정했어",
"과학기술기본계획의 5대 분야 21개 추진과제에 대한 중앙행정기관의 추진실적을 점검하는 기관이 어디야"
] |
unanswerable
|
Subsets and Splits
No community queries yet
The top public SQL queries from the community will appear here once avail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