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
stringlengths 36
36
| title
stringlengths 1
32.2k
| context
stringlengths 67
14.8k
| questions
listlengths 2
2
| type
stringclasses 3
values |
---|---|---|---|---|
3c4e85c1-2435-4866-9def-692e8c1ce88b
|
업무상과실장물취득
|
우표상이 우표매입시 매도인의 신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주민등록증의 제시를 요구하여 이름, 주소, 주민등록번호를 확인한 후 이를 자신의 탁상일지에 기재하였으며, 매입가격도 우체국으로부터 매입하던 가격보다는 저렴하나 평소 일반인들로부터 매입하던 가격으로 매입하였다면, 우표상으로서 업무상 요구되는 장물인 여부의 확인에 관한 주의의무를 게을리하였다고 볼 수 없다.
|
[
"우표상이 우표매입시 매도인의 신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주민등록증의 제시를 요구하여 이름, 매입가격도 우체국으로부터 매입하던 가격보다는 저렴하나 평소 일반인들로부터 매입하던 가격으로 매입하였다면, 우표상으로서 업무상 요구되는 장물인 여부의 확인에 관한 주의의무를 게을리하였다고 볼 수 없다.",
"우표상이 매도인의 주민등록증을 확인하고 이를 자신의 탁상일지에 기재하였고 매입가격 역시 우체국보다는 저렴하나 일반인들로부터 매입하던 가격과 비슷하다면 우표상은 업무상 요구되는 장물인 여부의 확인에 관한 주의의무를 게을리하였다고 볼 수 없다."
] |
law
|
9ed89d16-ff1e-4337-986b-114999ad1386
|
특수공무집행방해치상,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위반,국가보안법위반
|
가. 국제협정이나 관행에 의하여 대한민국내에 있는 미국문화원이 치외법권지역이고 그 곳을 미국영토의 연장으로 본다 하더라도 그 곳에서 죄를 범한 대한민국 국민에 대하여 우리 법원에 먼저 공소가 제기되고 미국이 자국의 재판권을 주장하지 않고 있는 이상 속인주의를 함께 채택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재판권은 동인들에게도 당연히 미친다 할 것이며 미국문화원측이 동인들에 대한 처벌을 바라지 않았다고 하여 그 재판권이 배제되는 것도 아니다.
나. 국가보안법 제7조 제5항 위반의 죄는 반국가단체나 그 구성원 또는 지령을 받은 자의 활동을 찬양, 고무 또는 이에 동조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반국가단체를 이롭게 하는 행위를 할 목적으로 반국가단체를 이롭게 하게 하는 내용의 문서, 도서 기타의 표현물을 제작, 수입, 복사, 소지, 운반, 반포, 판매 또는 취득함으로써 성립되고 헌법상 학문의 자유도 진리의 탐구를 순수한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 한하여 법률상의 보호를 받는 것이므로 반국가단체들을 이롭게 할 목적으로 공산주의의 혁명이론 및 전술에 관한 내용을 담은 서적을 소지하고 있었다면 그것은 학문의 자유의 한계를 넘은 것이라 할 것이며 또 소지하고 있는 책자가 이미 국내에서 간행된 서적들에 발췌, 소개되었다 하더라도 그것만으로 곧 그 적법성이 용인되는 것도 아닐 뿐만 아니라 그 서적등 표현물은 그 내용이 반국가단체를 이롭게 하는 것이면 족하고 처음부터 그러한 목적으로 저작되었거나 번역, 복사된 것임을 요하는 것이 아니다.
다. 국가보안법 제7조 제1항 소정의 "반국가단체를 이롭게 하는 행위"는 그 행위의 내용이 객관적으로 반국가단체의 이익이 될 수 있고 그 행위가 반국가단체를 이롭게 하는 것을 인식하거나 또는 그 이익이 될 수도 있다는 미필적 인식이 있으면 되는 것이고 그 행위자에게 반국가단체를 이롭게 하려는 목적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
[
"그 곳을 미국영토의 연장으로 본다 하더라도 그 곳에서 죄를 범한 대한민국 국민에 대하여 우리 법원에 먼저 공소가 제기되고 미국이 자국의 재판권을 주장하지 않고 있는 이상 속인주의를 함께 채택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재판권은 동인들에게도 당연히 미친다 할 것이며 미국문화원측이 동인들에 대한 처벌을 바라지 않았다고 하여 그 재판권이 배제되는 것도 아니다. 나. 국가보안법 제7조 제5항 위반의 죄는 반국가단체나 그 구성원 또는 지령을 받은 자의 활동을 찬양, 다. 국가보안법 제7조 제1항 소정의 \"반국가단체를 이롭게 하는 행위\"는 그 행위의 내용이 객관적으로 반국가단체의 이익이 될 수 있고 그 행위가 반국가단체를 이롭게 하는 것을 인식하거나 또는 그 이익이 될 수도 있다는 미필적 인식이 있으면 되는 것이고",
"대한민국내에 있는 미국문화권에서 죄를 범한 대한민국 국민에 대한 재판권은 우리나라에게 인정되므로 그에게는 우리나라의 법이 적용되어 국가보안법의 위반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 |
law
|
6269e606-cbe6-4ff5-b838-163169340322
|
총포도검화약류단속법위반,사격및사격장단속법위반
|
가. 사격장이 아닌 장소에서 실탄을 발사하여 사격한 행위는 사격 및 사격장단속법 제22조, 제4조 위반죄에 해당하고 법체계를 달리하는 조수보호 및 수렵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허용되어 있는 사격허가기준에 위반되는 경우에 한하여 처벌되는 것은 아니다.
나. 당국에 신고하지 아니하고 화약저장고에서 목장으로 실탄 37발, 연화탄 6발, 추진무연화약 4,475.5킬로그램, 도화선 2,510미터 및 공업용뇌관 50개 등을 동시에 운반하였다면 비록 이중 실탄 및 연화탄등은 운반신고 없이 운반할 수 있는 수량이라 하더라도 그 수량을 초과한 추진무연화약과 동시에 운반한 것이어서 위 화약운반은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운반할 수 있는 화약류의 수량을 초과한 것이 되어 구 총포·도검·화약류단속법(1981.1.10 법률 제3354호) 제58조 제3호, 제25조 제1항 위반죄에 해당한다.
|
[
"가. 사격장이 아닌 장소에서 실탄을 발사하여 사격한 행위는 사격 및 사격장단속법 제22조, 나. 당국에 신고하지 아니하고 위 화약운반은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사격장이 아닌 장소에서 실탄을 발사하여 사격한 행위는 사격 및 사격장단속법 제22조, 제4조 위반죄에 해당하고 당국에 신고하지 않고 운반할 수 있는 화약류의 수량을 초과한 화약운반은 구 총포·도검·화약류단속법 제58조 제3호, 제25조 제1항 위반죄에 해당한다."
] |
law
|
9f4f2c4f-e2ca-4e61-a2eb-4ab2dc47a00e
|
농수산물유통및가격안정에관한법률위반
|
가. 농수산물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 제15조 제1항 제2호, 제57조 제2항, 같은법시행규칙 제15조는 농수산물 도매시장의 허가기준으로 일정한 규모의 건물과 주차장 및 냉장실, 저장실, 오물처리장 등을 갖추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이에 따라 사회통념상 도매시장으로 볼 수 있을 정도의 외관을 구비하여 도매업을 영위한다고 인정되지 않는 이상 이를 들어 같은법 제65조 제2호, 제12조를 적용하여 처벌할 수는 없다.
나. 농수산물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 제37조 제1항에서 말하는 도매시장에서의 정상적인 거래라 함은 같은법 제2조 제2호, 제29조에서 말하는 도매시장에서의 경매 또는 입찰 등을 일컫는다.
|
[
"가. 농수산물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 제15조 제1항 제2호, 저장실, 오물처리장 등을 갖추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이에 따라 사회통념상 도매시장으로 볼 수 있을 정도의 외관을 구비하여 도매업을 영위한다고 인정되지 않는 이상 이를 들어 같은법 제65조 제2호, 제12조를 적용하여 처벌할 수는 없다.",
"농수산물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 제15조 제1항 제2호는 농수산물 도매시장의 허가기준으로 일정한 규모의 건물과 주차장 등을 갖추어야 한다 규정하여 외관상 이에 해당하는 도매업을 영위한다 인정할 수 없는 도매시장에 대해서는 동법을 적용해 처벌할 수 없다."
] |
law
|
1258cf1a-848a-4bba-a5b4-55edb8d4336c
|
간통
|
가. 협의상 이혼의 확인이 있다하여 여기에 혼인생활중에 있었던 간통행위를 유서한다는 의사가 당연히 내포되어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나. 형사소송법 제229조 제1항에는 " 형법 제241조의 경우에는 혼인이 해소되나 이혼소송을 제기한 후가 아니면 고소할 수 없다"고 규정되어 있고 위 조항의 이혼소송은 이혼심판을 의미한다고 할 것인바, 협의상 이혼의 확인은 호적법 제79조의 2의 규정에 의하여 인정된 제도로서 이혼심판청구와는 그 성질과 절차를 달리하므로 형사소송법 제229조 제1항에 규정된 이혼소송에는 해당되지 아니한다 할 것이고 또한 협의상 이혼의 확인을 받은 것만으로는 혼인이 해소되었다고 볼 수도 없어 협의상 이혼의 확인을 받고 이에 의한 이혼신고를 하기 전에 한 고소는 위 법조에 위반된 고소라 하겠으나 위 고소가 있은 뒤 위 협의상 이혼의 확인에 의한 협의이혼신고를 하여 혼인이 해소되었다면 위 고소는 혼인의 해소시 부터 장래를 향하여 유효한 고소가 된다.
|
[
"가. 협의상 이혼의 확인이 있다하여 여기에 혼인생활중에 있었던 간통행위를 유서한다는 의사가 당연히 내포되어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나. 형사소송법 제229조 제1항에는 \" 형법 제241조의 경우에는 혼인이 해소되나 이혼소송을 제기한 후가 아니면 위 고소는 혼인의 해소시 부터 장래를 향하여 유효한 고소가 된다.",
"형사소송법 제229조 제1항에는 '형법 제241조의 경우 혼인이 해소되나 이혼소송을 제기한 후가 아니면 고소할 수 없다'고 규정하여 이혼소송은 이혼심판과 동일하다고 볼 것인 바, 고소가 있은 후 협의이혼신고를 해 혼인을 해소했다면 본 고소는 혼인의 해소시부터 장래를 향한 유효한 고소로 할 것이나, 협의상 이혼의 확인이 있다하여 간통행위를 유서한다는 의사의 내포로 추정할 수 없다."
] |
law
|
d62a73a1-54e2-41cd-9e75-d789c08398de
|
강간,강도살인미수
|
강도살인죄가 성립하려면 먼저 강도죄의 성립이 인정되어야 하고 강도죄가 성립하려면 불법영득의 의사가 있어야 하는 것인 바, 피해자를 강간한 후 항거불능 상태에 있는 피해자에게 돈을 내놓으라고 하여 피해자가 서랍안에서 꺼내주는 돈을 받는 즉시 팁이라고 하면서 피해자의 브라쟈속으로 그 돈을 집어 넣어 준 것이라면 이는 불법영득을 하려 한 것이 아니라 피해자를 희롱하기 위하여 돈을 뺏은 다음 그대로 돌려주려고 한 의도였다고 할 것이므로 불법영득의 의사가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
|
[
"강도살인죄가 성립하려면 피해자를 강간한 후 항거불능 상태에 있는 피해자에게 돈을 내놓으라고 하여 피해자가 서랍안에서 꺼내주는 돈을 받는 즉시 팁이라고 하면서 피해자의 브라쟈속으로 그 돈을 집어 넣어 준 것이라면 불법영득의 의사가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
"강도살인죄는 강도죄가 먼저 성립하고, 불법영득의 의사가 있어야 할 것인 바, 피해자를 강간하고 항거불능 상태의 피해자에게 돈을 내놓으라 한 후 받은 돈을 피해자를 희롱하기 위한 목적으로 피해자의 속옷 속으로 다시 집어 넣은 행위는 불법영득의사가 있는 행위라 볼 수 없다."
] |
law
|
a66ef536-7a9c-4b78-9ed1-e8cd5f392847
|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위반
|
피해자가 술에 취하여 자정이 가까운 시각에 피고인 경영의 술집에 와서 종업원을 불러내어 시비를 걸면서 피고인에게 심한 욕설을 하고 종업원들에게 폭행을 하기 때문에 피고인이 피해자의 팔을 잡고 밀고 당겼거나, 멱살을 잡고 흔든 것에 불과하다면 피고인의 행위는 사회통념상 허용될만한 상당성이 있는 정도의 행위로서 위법성이 조각된다.
|
[
"피해자가 술에 취하여 자정이 가까운 시각에 피고인 경영의 술집에 와서 종업원을 불러내어 시비를 걸면서 피고인에게 심한 욕설을 하고 종업원들에게 폭행을 하기 때문에 피고인이 피해자의 팔을 잡고 밀고 당겼거나, 피고인의 행위는 사회통념상 허용될만한 상당성이 있는 정도의 행위로서 위법성이 조각된다.",
"피해자가 종업원에게 폭행을 가하고 피고인에게 심한 욕설을 하였다면 이에 대응하여 피고인이 피해자의 팔을 잡은 뒤 밀고 당기거나 멱살을 잡고 흔들었더라도 사회통념상 허용될만한 상당성이 있는 것으로 보아 위법성이 조각된다."
] |
law
|
48314009-cec0-4ca5-9e4c-97ac64eb1823
|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절도,보호감호
|
가. 사회보호법 제5조 제2항 제1호 전단의 동종 또는 유사한 죄로 2회 이상 금고이상의 실형을 받고 그 형기합계 3년 이상인 피감호청구인의 전력이 동법시행 이전의 사실이라 하더라도 그 후단의 동종 또는 유사한 죄에 해당하는 범죄를 저지른 것이 동법시행 이후에 속하는 이상 동법 소정의 보호감호처분의 대상자가 된다.
나. 생태적 또는 습성적으로 동종 또는 유사한 죄를 반복할 위험성이 있는 실형전과자에 대한 앞으로의 범죄예방 및 교화조치로서 하는 보호처분을 형벌과 별도로 이와 병행하여 과한다하여 그 근거가 되는 사회보호법 제5조의 규정이 헌법이 정한 일사부재리의 원칙, 법률불소급의 원칙, 죄형법정주의의 원칙 및 평등권의 원칙에 저촉된다고 볼 수 없다.
|
[
"가. 사회보호법 제5조 제2항 제1호 전단의 동종 또는 유사한 죄로 2회 이상 금고이상의 실형을 받고 그 형기합계 3년 이상인 피감호청구인의 전력이 동법시행 이전의 사실이라 하더라도 그 후단의 동종 또는 유사한 죄에 해당하는 범죄를 저지른 것이 동법시행 이후에 속하는 이상 동법 소정의 보호감호처분의 대상자가 된다. 나. 생태적 또는 습성적으로 동종 또는 유사한 죄를 반복할 위험성이 있는 실형전과자에 대한 앞으로의 범죄예방 및 교화조치로서 하는 보호처분을 형벌과 별도로 이와 병행하여 과한다하여 그 근거가 되는 사회보호법 제5조의 규정이 헌법이 정한 일사부재리의 원칙, 죄형법정주의의 원칙 및 평등권의 원칙에 저촉된다고 볼 수 없다.",
"동법시행 이전 피감호청구인의 전력이 있더라도 그 후단의 동종 또는 유사한 죄에 해당하는 범죄를 저지른 것이 동법시행 이후에 속하는 이상 동법 소정의 보호감호처분의 대상자가 되며 동종 또는 유사한 죄를 반복할 위험성이 있는 실형전과자에게 형벌과 별개로 보호처분을 병행하여도 이는 일사부재리의 원칙, 법률불소급의 원칙, 죄형법정주의의 원칙 및 평등권의 원칙에 저촉된다고 볼 수 없다."
] |
law
|
65185804-64c3-4c8f-a8e4-34b0dbc20472
|
강간치상,보호감호
|
폭력에 의한 상해, 폭행, 공갈행위 및 강간행위와 강간치상죄와는 폭력을 행사하여 피해자에게 공격적 태도를 표명하므로서 이루어지는 행위라는 점에서 그 죄질, 범죄의 수단, 방법등이 유사하다.
|
[
"폭력에 의한 상해, 폭행, 공갈행위 및 강간행위와 강간치상죄와는 폭력을 행사하여 피해자에게 공격적 태도를 표명하므로서 이루어지는 행위라는 점에서 그 죄질, 방법등이 유사하다.",
"폭력에 의한 상해, 폭행, 공갈행위 및 강간행위와 강간치상죄는 폭력을 행사하며 피해자에게 공격적인 태도를 표명하며 이루어지는 행위로 유사하다 봄이 타당하다."
] |
law
|
3ff8b482-6528-4897-9859-ba317ff81f3d
|
해고무효등
|
일반적으로 근로자를 징계해고함에 있어 취업규칙등에 징계에 관한 절차가 정하여져 있으면 반증이 없는 한 그 절차는 정의가 요구하는 것으로서 징계의 유효조건이라고 할 것이나, 취업규칙등의 징계에 관한 규정에 징계혐의자의 출석 및 진술의 기회부여등에 관한 절차가 규정되어 있지 아니하다면 그와 같은 절차를 밟지 아니하고 해고하였다 하여 이를 들어 그 징계를 무효라고는 할 수 없다.
|
[
"징계의 유효조건이라고 할 것이나, 취업규칙등의 징계에 관한 규정에 징계혐의자의 출석 및 진술의 기회부여등에 관한 절차가 규정되어 있지 아니하다면 해고하였다 하여 이를 들어 그 징계를 무효라고는 할 수 없다.",
"취업규칙등에 징계에 관한 절차가 정하여져 있다면 근로자를 징계해고함에 있어 그 절차가 유효조건이지만, 징계혐의자의 출석 및 진술의 기회부여등에 관한 절차가 규정되어 있지 아니하다면 그와 같은 절차를 밟지 아니하고 해고하였다 하여 이를 들어 그 징계를 무효라고는 할 수 없다."
] |
law
|
beded2ae-8285-41a4-99f5-324ae4d0a990
|
건물명도
|
구세군군령군율이 구세군의 전자산은 구세군대장만이 유일한 소유자이고 구세군대장은 구세군신탁회사라는 명칭을 가진 회사를 설립하여 그 재산을 관리하도록 규정하고 있다면 구세군은 지역교회중심인 일반교회와는 달리 강력한 중앙집권적 조직을 갖추어 산하 영문의 재산에 관하여 일체의 사권행사를 부인하고 있다고 해석하여야 할 것이므로 구세군 영문회당의 대지를 구입하고 건물을 신축함에 있어서 그 비용가운데 구세군 교인들의 헌금이 일부 들어갔다 하더라도 위 대지 및 건물이 교인들의 총유에 속하는 것으로 볼 수 없다.
|
[
"구세군대장은 구세군신탁회사라는 명칭을 가진 회사를 설립하여 그 재산을 관리하도록 규정하고 있다면 구세군은 지역교회중심인 일반교회와는 달리 강력한 중앙집권적 조직을 갖추어 산하 영문의 재산에 관하여 일체의 사권행사를 부인하고 있다고 해석하여야 할 것이므로 건물을 신축함에 있어서 그 비용가운데 구세군 교인들의 헌금이 일부 들어갔다 하더라도 위 대지 및 건물이 교인들의 총유에 속하는 것으로 볼 수 없다.",
"구세군군령군율상 구세군대장이 구세군신탁회사라는 회사를 설립하여 재산을 관리하도록 규정되어있다면 구세군은 강력한 중앙집권적 조직을 갖춰 영문의 재산에 대한 일체의 사권행사를 부인하고 있는 것이므로 구세군 영문회당의 대지를 구입하고 건물을 신축하는데 교인들의 헌금이 들어갔더라도 교인들의 총유에 속하는 것으로 볼 수 없다."
] |
law
|
086f5032-df5a-4c98-bf0d-ac8ccf31ef7b
|
거절사정
|
가. 의장의 유사여부의 판단은 이를 구성하는 각 요소를 부분적으로 볼 것이 아니라 전체와 전체 사이의 관계에서 지배적인 특성이 서로 유사하다면, 세부적인 특성에 있어서 다소 차이가 있더라도 양의장은 서로 유사하다고 보아야 한다.
나. 인용의장과 미세한 차이가 있으나 전체적인 형상, 모양이 유사하여 등록할 수 없는 의장이라고 판단한 예
|
[
"가. 의장의 유사여부의 판단은 이를 구성하는 각 요소를 부분적으로 볼 것이 아니라 전체와 전체 사이의 관계에서 지배적인 특성이 서로 유사하다면, 세부적인 특성에 있어서 다소 차이가 있더라도 양의장은 서로 유사하다고 보아야 한다. 모양이 유사하여 등록할 수 없는 의장이라고 판단한 예",
"의장의 유사여부는 부분적인 것이 아닌 전체로서 유사성을 판단해야하는바, 세부적인 특성에 다소 차이가 있더라도 전체적으로 유사하다면 모양이 유사하여 등록할 수 없는 의장으로 보아야 한다."
] |
law
|
e2b0745b-42b2-4f16-a1bd-570ebfc3c649
|
법인세등부과처분취소
|
가. 과세관청이 과세처분을 한 뒤에 당초 부과처분의 일부를 취소, 감액하는 내용의 경정결정을 한 경우 위 경정처분은 그에 의하여 감소된 세액부분에 관하여서만 법적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서 당초 부과처분과 독립의 과세처분이 아니라 그 실질은 당초 부과처분의 변경이고 그에 의하여 세액의 일부취소라는 납세자에게 유리한 효과를 가져오는 처분이라 할 것이므로 그 경정결정으로도 아직 취소되지 않고 남아 있는 부분이 위법하다고 하여 다투는 경우에는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것은 당초의 부과처분중 경정결정에 의하여 취소되지 않고 남은 부분이 된다 할 것이고 경정결정이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므로 이 경우 적법하게 전심절차를 밟았는가 여부도 당초처분을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나. 인정상여결정이나 소득세액변동통지는 원천징수의무를 성립, 확정시키기 위한 예비적 조치 내지 선행적 절차에 불과하고 원천징수의무 자체는 하등의 부과처분을 기다리지 아니하고 소득금액의 지급 혹은 지급간주시에 성립, 확정되는 것이므로 인정상여결정이나 소득금액변동통지 자체는 독립하여 전심절차나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조세부과처분이라 할 수 없다.
다. 과세관청이 법인의 매출액누락분을 대표이사에 대한 귀속상여로 간주하여 그 내용의 소득금액변동통지를 하였으나 법인이 소득세법 소정기간내에 위 간주상여에 대한 원천징수세액을 납부하지 않으므로 법인에게 갑종근로소득세 및 동 방위세부과처분을 한 경우, 위 법인이 동 과세처분이 있기 전 위 소득금액변동통지만 받은 상태에서 위 변동통지내지는 상여간주결정을 독립된 행정처분으로 보고 위 결정에 불복하여 이의신청을 하였고 심사 및 심판청구시에도 위 과세처분에 대하여는 일체 언급함이 없이 오직 위 상여간주결정에 대하여만 불복하였고 국세청장등도 이에 관하여만 당부를 판단하였다면 위와 같은 심사 및 심판청구를 거친 것만으로는 위 갑종근로소득세등의 과세처분에 대하여 전심절차를 거친 것으로는 될 수 없다.
|
[
"이 경우 적법하게 전심절차를 밟았는가 여부도 당초처분을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인정상여결정이나 소득금액변동통지 자체는 독립하여 전심절차나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조세부과처분이라 할 수 없다. 위와 같은 심사 및 심판청구를 거친 것만으로는 위 갑종근로소득세등의 과세처분에 대하여 전심절차를 거친 것으로는 될 수 없다.",
"과세관청이 과체처분을 한 뒤 당초 부과처분의 일부를 취소, 감액하는 내용의 경정결정을 한 위 처분을 다투기 전에 적법하게 전심절차를 밟았는가 여부는 당초처분을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하고, 인정상여결정이 소득금액변동통지 자체는 독립하여 전심절차나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조세부과처분이라 할 수 없으며, 이를 거친 것만으로는 갑종근로소득세등의 과세처분에 대하여 전심절차를 거친 것으로 될 수 없다."
] |
law
|
ac9f54e9-6a55-48f5-9119-613b5d3c456f
|
취득세부과처분취소
|
가. 법원이 전심절차를 적법하게 경유한 것으로 판단한 때에는 비록 그 사유가 대법원의 파기사유로 한 사항이라 하더라도 그에 관한 판단을 생략하고 바로 본안판단을 할 수 있다.
나. 국세기본법 제13조 제2항 소정의 "법인격이 없는 사단, 재단 기타 단체의 국세에 관한 의무는 그의 이사 또는 관리인이 대표자로서 이행하여야 한다"는 규정의 취지는 그 이사 또는 관리인 자신을 납세의무자로 지정하고 그의 개인재산으로써 납세의무를 이행하여야 한다는 뜻이 아니라 그 단체에 대하여 부과된 납세의무를 이사 또는 관리인이 이행하여야 한다는 뜻이다.
|
[
"가. 법원이 전심절차를 적법하게 경유한 것으로 판단한 때에는 비록 그 사유가 대법원의 파기사유로 한 사항이라 하더라도 그에 관한 판단을 생략하고 재단 기타 단체의 국세에 관한 의무는 그의 이사 또는 관리인이 대표자로서 이행하여야 한다\"는 규정의 취지는 그 이사 또는 관리인 자신을 납세의무자로 지정하고 그의 개인재산으로써 납세의무를 이행하여야 한다는 뜻이 아니라 그 단체에 대하여 부과된 납세의무를 이사 또는 관리인이 이행하여야 한다는 뜻이다.",
"법인이 전심절차를 적법하게 경유한 경우 대법원의 파기사유로 한 사항이더라도 그에 관한 판단을 생략하고 바로 본안판단을 할 수 있고, 국세기본법상 \"법인격이 없는 사단, 재단 기타 단체의 국세에 관한 의무는 그의 이사 또는 관리인이 대표자로서 이행하여야 한다\"는 규정은 그 단체에 대해 부과된 납세의무를 이사 또는 관리인이 이행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 |
law
|
94eca576-454b-4dd4-b0e3-2246285171e5
|
양도소득세부과처분취소
|
가. 저당권실행을 위한 임의경매는 담보권의 내용을 실현하는 환가행위로서 경락인은 목적부동산의 소유권을 승계취득하는 것이므로 소득세법 제4조 제1항 제3호, 제3항의 양도소득세 과세대상인 자산의 양도에 해당된다.
나. 임의경매에 의하여 물상보증인 소유부동산의 소유권이 이전된 경우, 양도소득의 대상은 경락대금이고 양도소득의 귀속자는 물건소유자인 물상보증인이라 할 것이고(물상보증인이 국세기본법 제14조 제1항에서 말하는 소득귀속의 명의자에 불과하다고 할 수는 없다.) 또한 물상보증인의 주채무자에 대한 구상권은 대금납부후 담보권자에게 대금교부가 되어짐으로써 그 대위변제적 효과로서 발생하는 것이지 경매의 대가적 성질을 가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구상권의 행사가 사실상 불능이라고 하더라도 그러한 사정은 양도소득의 성부에는 아무 영향이 없다.
|
[
"제3항의 양도소득세 과세대상인 자산의 양도에 해당된다. 양도소득의 대상은 경락대금이고 양도소득의 귀속자는 물건소유자인 물상보증인이라 할 것이고(물상보증인이 국세기본법 제14조 제1항에서 말하는 소득귀속의 명의자에 불과하다고 할 수는 없다.) 또한 물상보증인의 주채무자에 대한 구상권은 대금납부후 담보권자에게 대금교부가 되어짐으로써 그 대위변제적 효과로서 발생하는 것이지 경매의 대가적 성질을 가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구상권의 행사가 사실상 불능이라고 하더라도 그러한 사정은 양도소득의 성부에는 아무 영향이 없다.",
"저당권실행을 위한 임의경매는 소득세법 제4조 제1항 제3호, 제3항의 양도소득세 과세대상인 자산의 양도에 해당되므로 임의경매에 의하여 물상보증인 소유부동산의 소유권이 이전된 경우, 양도소득의 대상은 경락대금이고 양도소득의 귀속자는 물건소유자인 물상보증인이고, 물상보증인의 주채무자에 대한 구상권은 매의 대가적 성질을 가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구상권의 행사가 사실상 불능이라고 하더라도 그러한 사정은 양도소득의 성부에는 아무 영향이 없다."
] |
law
|
c41f07bc-d839-48ae-a9c4-5266f8adf047
|
특별소비세부과처분취소
|
특별소비세 과세물품인 특별소비세법시행령 별표 제1, 제3종 제7호 의 천연과실음료란 제품의 성분이 전량 천연과실 또는 천연과채류로 제조된 것이거나 이와 같은 원료를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된 것으로서 직접 음용할 수 있는 것이거나 음용할 수 있게 농축된 것을 지칭한다고 풀이함이 상당하므로 천연과실원료의 함유량이 중량기준 11퍼센트에 불과한 분말상태의 제품은 위 과세물품에 해당하지 않는다.
|
[
"특별소비세 과세물품인 특별소비세법시행령 별표 제1, 제3종 제7호 의 천연과실음료란 제품의 성분이 전량 천연과실 또는 천연과채류로 제조된 것이거나 직접 음용할 수 있는 것이거나 음용할 수 있게 농축된 것을 지칭한다고 풀이함이 상당하므로 천연과실원료의 함유량이 중량기준 11퍼센트에 불과한 분말상태의 제품은 위 과세물품에 해당하지 않는다.",
"특별소비세 과세물품인 특별소비세법시행령 별표 제1, 제3종 제7호 의 천연과실음료는 전량 또는 주성분이 천연과실 또는 천연과채류로 제조된 것으로 천연과실원료의 함유량이 중량기준 11퍼센트에 불과한 분말상태의 제품은 위 과세물품에 해당하지 않는다."
] |
law
|
e0fc4979-01d1-45e7-ba7c-47267d677c2b
|
양도소득세부과처분취소
|
구 소득세법(1985.12.23 법률 제379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조 제6호 (라)목, 같은법시행령(1984.10.5 대통령령 제1151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4조 제3항, 같은법시행규칙(1984.1.23 재무부령 제159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조 제2항의 각 규정에 비추어 보면 양도소득세 비과세대상으로서의 8년 이상 계속하여 자기가 경작한 토지라 함은 8년 이상 계속하여 소유한 양도자가 손수 경작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양도자의 책임과 계산아래 다른 사람을 고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경작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
[
"같은법시행령(1984.10.5 대통령령 제1151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4조 제3항, 같은법시행규칙(1984.1.23 재무부령 제159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조 제2항의 각 규정에 비추어 보면 양도소득세 비과세대상으로서의 8년 이상 계속하여 자기가 경작한 토지라 함은 8년 이상 계속하여 소유한 양도자가 손수 경작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양도자의 책임과 계산아래 다른 사람을 고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경작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양도소득세 비과세대상으로서의 8년 이상 계속하여 자기가 경작한 토지는 손수 경작한 경우 뿐만 아니라 양도자의 책임과 계산아래 다른 사람을 고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경작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 |
law
|
5950f9cf-ef14-4ceb-a7f5-2b5e8e0ef65f
|
석유판매업허가취소처분취소
|
행정심판을 제기함이 없이 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경우가 별도로 행정소송법 제18조 제3항에 규정되어 있는 점에 비추어 보면, 같은조 제2항 소정의 행정심판의 재결을 거치지 아니하고 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는 규정의 뜻은 행정심판의 제기없이도 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는 취지가 아니라 행정심판은 제기하였으나 위 규정 소정의 사유가 있는 때에는 그에 대한 재결을 거치지 아니하고 바로 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함이 상당하다.
|
[
"행정심판을 제기함이 없이 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경우가 별도로 행정소송법 제18조 제3항에 규정되어 있는 점에 비추어 보면, 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는 규정의 뜻은 행정심판의 제기없이도 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는 취지가 아니라 행정심판은 제기하였으나 바로 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함이 상당하다.",
"행정심판의 제기 없이 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경우가 행정소송법 제18조에 별도로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같은조 제2항의 행정심판의 재결을 거치지 않고 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는 규정의 의미는 행정심판을 제기하였으나 규정상 사유가 있는 때 이에 대한 재결을 거치지 않고 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있음으로 해석함이 상당하다."
] |
law
|
3d181b81-0896-4dd4-8c15-7d6f66b60c04
|
사기,도로운송차량법위반
|
구 도로운송차량법(1980.12.31 법률 제3307호) 제50조 소정의 계속검사를 받지 않았다 하더라도 동법 제49조의 2, 제14조 제1항 제5호, 제2항, 제3항 소정의 관할관청의 검사 및 말소등록에 관한 최고절차가 없었다면 당연히 말소등록이 될 차량이었다고 볼 수 없는 것이고 설령 말소등록이 되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동법 제8조 소정의 등록기준에 적합한 자동차인 이상 다시 등록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자동차매매계약당시까지 관할관청의 검사 및 말소등록에 관한 최고절차가 없었거나, 그 자동차가 직권말소된 후에도 다시 등록을 받을 수 있는 기준에 적합한 경우라면 매도인이 위 자동차매매계약당시 매수인에게 위 자동차에 하자가 없다거나 신규등록이 가능하다는 말을 하였다 하더라도 매수인을 기망한 것이라고 볼 수 없다.
|
[
"구 도로운송차량법(1980.12.31 법률 제3307호) 제50조 소정의 계속검사를 받지 않았다 하더라도 동법 제49조의 2, 제14조 제1항 제5호, 설령 말소등록이 되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동법 제8조 소정의 등록기준에 적합한 자동차인 이상 다시 등록할 수도 있는 것이므로 매도인이 위 자동차매매계약당시 매수인에게 위 자동차에 하자가 없다거나 신규등록이 가능하다는 말을 하였다 하더라도 매수인을 기망한 것이라고 볼 수 없다.",
"구 도로운송차량법 제50조의 계속검사를 받지 않아도 말소등록에 관한 최고절차가 없었다면 말소등록 된 차량이라 당연 추정할 수 없고, 혹여 말소등록이 되는 경우라 해도 동법 8조로 등록기준에 부합하는 차량이라면 다시 등록할 수 있는 것으로, 매도인이 자동차매매계약당시 매수인에게 하자가 없다거나 신규등록이 가능하다 했어도 이것이 매수인에 대한 기망이라 할 수 없다."
] |
law
|
32b97ab9-82c6-4d00-96e1-3c9f0b8bf18a
|
강간치상
|
강간도중 흥분하여 피해자의 왼쪽 어깨를 입으로 빨아서 생긴 동전크기 정도의 반상출혈상은 별다른 통증이나 자각증상도 없어 피해자는 그 상처를 알아차릴 수도 없었는데 의사가 진찰을 하던 과정에서 우연히 발견한 것이고 의학상 치료를 받지 아니하더라도 자연흡수되어 보통 1주 정도가 지나면 자연치유되는 것으로서 인체의 생활기능에 장해를 주고 건강상태를 불량하게 변경하는 것이 아니어서 강간치상죄의 상해에 해당한다 할 수 없다.
|
[
"강간도중 흥분하여 피해자의 왼쪽 어깨를 입으로 빨아서 생긴 동전크기 정도의 반상출혈상은 별다른 통증이나 자각증상도 없어 피해자는 그 상처를 알아차릴 수도 없었는데 의사가 진찰을 하던 과정에서 우연히 발견한 것이고 자연치유되는 것으로서 인체의 생활기능에 장해를 주고 건강상태를 불량하게 변경하는 것이 아니어서 강간치상죄의 상해에 해당한다 할 수 없다.",
"강간도중 생긴 반상출혈상은 피해자가 알아차리지 못 하고 진찰 과정에서 발견된 것이며 자연치유된다는 점을 볼 때, 강간치상죄의 상해에 해당되지 않는다."
] |
law
|
efe6e238-23b6-4120-a75b-ec3b54e9b48b
|
근로기준법위반
|
사립학교 교장이 비록 그 학교 일반직 직원들에 대한 임면권을 가지고 있지 않다 하더라도 위 직원들을 학교에 근무시키면서 학교운영의 일환으로서 그 업무를 지시, 감독하고 학교예산에서 자신의 명의로 매월 봉급을 지급하여 왔을 뿐더러, 학교예산은 학교장이 이를 편성하여 집행하게끔 되어 있다면 교장은 위 일반직원들에 대한 관계에 있어서 근로기준법 제15조 소정의 사용자에 해당한다.
|
[
"사립학교 교장이 비록 그 학교 일반직 직원들에 대한 임면권을 가지고 있지 않다 하더라도 위 직원들을 학교에 근무시키면서 학교운영의 일환으로서 그 업무를 지시, 학교예산은 학교장이 이를 편성하여 집행하게끔 되어 있다면 교장은 위 일반직원들에 대한 관계에 있어서 근로기준법 제15조 소정의 사용자에 해당한다.",
"사립학교 교장이 일반 직원들에 대해 임면권이 없더라도 학교예산을 편성하여 집행하고 업무를 지시하였다면 교장은 일반직원들에 대한 관계에서 근로기준법 제15조 소정의 사용자에 해당한다."
] |
law
|
f76b7ab3-6b36-482f-bec3-d6916396ec45
|
의료법위반교사,의료법위반
|
가. 간호보조원이 치과의사의 지시를 받아 치과환자에게 그 환부의 엑스레이를 촬영하여 이를 판독하는등 초진을 하고 발치, 주사, 투약등 독자적으로 진료행위를 하였다면 이는 의료법 제25조 제1항이 규정한 의료행위에 해당한다.
나. 치과의사가 환자의 대량유치를 위해 치과기공사들에게 내원환자들에게 진료행위를 하도록 지시하여 동인들이 각 단독으로 전항과 같은 진료행위를 하였다면 무면허의료행위의 교사범에 해당한다.
|
[
"가. 간호보조원이 치과의사의 지시를 받아 치과환자에게 그 환부의 엑스레이를 촬영하여 이를 판독하는등 초진을 하고 발치, 이는 의료법 제25조 제1항이 규정한 의료행위에 해당한다. 무면허의료행위의 교사범에 해당한다.",
"간호보조원이 치과의사의 지시에 따라 환자의 엑스레이를 촬영하고 독자적인 진료행위를 하였다면 이는 의료법상 규정된 의료행위에 해당되고, 치과의사가 환자의 대량유치를 위해 치과기공사들에게 진료행위를 하도록 지시한 경우 이는 무면허의료행위의 교사범에 해당한다."
] |
law
|
2ed9252b-b425-4ce8-8cbc-0d3b3dbb17f4
|
국가보안법위반,구국가보안법위반,구반공법위반
|
간첩죄에 있어서의 국가(군사)기밀이란 순전한 의미에서의 국가(군사)기밀에만 국한할 것이 아니고 정치, 경제, 사회, 문화등 각 방면에 걸쳐 북한괴뢰집단의 지, 부지에 불구하고 국방정책상 위 집단에 알리지 아니하거나 확인되지 아니함을 우리나라의 이익으로 하는 모든 기밀사항을 포함한다.
|
[
"간첩죄에 있어서의 국가(군사)기밀이란 순전한 의미에서의 국가(군사)기밀에만 국한할 것이 아니고 정치, 부지에 불구하고 국방정책상 위 집단에 알리지 아니하거나 확인되지 아니함을 우리나라의 이익으로 하는 모든 기밀사항을 포함한다.",
"간첩죄에 있어서 국가기밀이란 국가기밀에만 국한될 것이 아니라 국방정책상 위 집단에 알리지 않거나 확인되지 않는 것이 우리나라의 이익이 되는 모든 기밀사항이 포함된다."
] |
law
|
3f4b3a90-ef60-4035-a9cc-6de49ba993e4
|
법인세부과처분취소
|
가. 과세처분에서 인정된 세액의 다과에 다툼이 있는 경우에 과세처분이 위법한 것인지의 여부는 그 세액이 정당한 세액을 초과하는가의 여부에 의하여 이를 판단한다.
나. 과세처분의 취소소송은 과세처분의 실체적, 절차적 위법을 그 취소원인으로 하는 것이므로 그 심리대상은 과세관청이 결정한 과세가액의 존부라고 풀이하여야 할 것이니 소송당사자는 과세처분취소소송의 변론종결시까지 과세표준액등의 존부 내지 범위에 관한 모든 자료를 제출하고 그때까지 제출한 자료에 의하여 과세처분의 적법여부를 판단할 것을 주장할 수 있다.
|
[
"가. 과세처분에서 인정된 세액의 다과에 다툼이 있는 경우에 과세처분이 위법한 것인지의 여부는 그 세액이 정당한 세액을 초과하는가의 여부에 의하여 이를 판단한다. 절차적 위법을 그 취소원인으로 하는 것이므로 그때까지 제출한 자료에 의하여 과세처분의 적법여부를 판단할 것을 주장할 수 있다.",
"과세처분이 위법한 것인지의 여부는 그 세액이 정당한 세액을 초과하는가의 여부에 의해 판단하는 것이고 과세처분의 취소소송의 심리 대상은 과세관청이 결정한 과세가액의 존부라고 풀이하여야 할 것이니 제출한 모든 자료에 의해 과세처분의 적법여부를 판단할 것을 주장할 수 있다."
] |
law
|
24a946a0-5671-47d0-87b6-ca656e234417
|
양도소득세부과처분취소
|
소득세법 제23조 제2항 및 제4항, 같은법 제45조 제1항 제1호, 같은법 제60조의 규정을 종합하여도 자산양도차익의 계산을 하는 경우,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양도가액과 취득가액 모두를 반드시 기준시가가 아니면 실지거래가액중 한가지로만 결정하여 계산하여야 한다는 해석은 나오지 않고 오히려 같은 규정들은 양도가액과 취득가액결정에 있어 각 그 본문과 단서의 규정을 달리 적용하는 것, 즉 양도차익을 계산함에 있어 취득가액과 양도가액중 어느 하나를 기준시가에 의하는 경우 다른 하나는 실지거래가액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음을 가능케 하고 있는 규정들이라 해석되어 소득세법시행령 제170조 제1항 단서가 그와 같은 규정을 둔 것은 모법의 해석상 가능하게 되어 있는 위와 같은 양도차익의 계산방법을 명시한 것에 불과하여 위 모법규정에 부합하지 않거나 위임의 근거가 없는 무효의 규정이라 할 수 없다.
|
[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양도가액과 취득가액 모두를 반드시 기준시가가 아니면 실지거래가액중 한가지로만 결정하여 계산하여야 한다는 해석은 나오지 않고 오히려 같은 규정들은 양도가액과 취득가액결정에 있어 각 그 본문과 단서의 규정을 달리 적용하는 것, 즉 양도차익을 계산함에 있어 취득가액과 양도가액중 어느 하나를 기준시가에 의하는 경우 다른 하나는 실지거래가액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음을 가능케 하고 있는 규정들이라 해석되어 소득세법시행령 제170조 제1항 단서가 그와 같은 규정을 둔 것은 모법의 해석상 가능하게 되어 있는 위와 같은 양도차익의 계산방법을 명시한 것에 불과하여 위 모법규정에 부합하지 않거나 위임의 근거가 없는 무효의 규정이라 할 수 없다.",
"자산양도차익을 계산 하는 경우 양도가액과 취득가액을 어느 하나를 기준시가에 의하는 경우 다른 하나는 실지거래가액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음을 가능케 하고 있으므로 소득세법시행령 제170조 제1항 단서가 그와 같은 규정을 둔 것은 모법의 해석상 가능하게 되어 있는 위와 같은 양도차익의 계산방법을 명시한 것에 불과하여 위 모법규정에 부합하지 않거나 위임의 근거가 없는 무효의 규정이라 할 수 없다."
] |
law
|
b5ff2153-5fbb-43be-844a-db9375ba25f4
|
종합소득세부과처분취소
|
부동산매매로 인한 소득이 소득세법상 사업소득이라고 하기 위하여는 단순히 부동산을 매매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그 매매행위가 부동산매매업을 영위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볼 수 있는 경우이어야 하고, 그 구체적 판단은 그 매매가 수익을 목적으로 하고 그 규모, 횟수, 태양 등에 비추어 사업활동으로 볼 수 있을 정도의 계속성과 반복성을 가지고 있는지 등의 사정을 고려하여 사회통념에 비추어 가려야 한다.
|
[
"부동산매매로 인한 소득이 소득세법상 사업소득이라고 하기 위하여는 단순히 부동산을 매매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그 매매행위가 부동산매매업을 영위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볼 수 있는 경우이어야 하고, 횟수, 태양 등에 비추어 사업활동으로 볼 수 있을 정도의 계속성과 반복성을 가지고 있는지 등의 사정을 고려하여 사회통념에 비추어 가려야 한다.",
"부동산 매매로 인한 소득이 사업소득이라고 인정되기 위해서는 부동산매매업을 영위하기 위한 것이라고 볼 수 있을 때 인정될 것이고 이는 종합적으로 사회통념에 비추어 판단해야 한다."
] |
law
|
60c04551-8707-49e0-bc93-cdbf829ded68
|
종합소득세부과처분취소
|
국세기본법 제81조, 제56조의 각 규정취지를 종합하면 국세부과처분에 대한 심판결정은 그 심판청구를 받은 날로부터 90일 이내에 하여야 하고 그 결정기간내에 결정의 통지가 없는 때에는 심판청구는 기각된 것으로 보며, 조세부과처분에 대한 행정소송은 심판청구에 대한 결정의 통지를 받은 날, 결정의 통지를 받지 못한 경우에는 심판청구가 기각된 것으로 보는 그 결정기간이 경과된 날로부터 60일내에 이를 제기하여야 하는 바, 위의 심판청구가 기각된 것으로 보는 경우에는 그 기간의 경과로서 당연히 기각된 것으로 보며 그 기간경과 이후에 심판청구인에게 결정서가 송달되었다고 하여 이에 아무런 영향을 미칠 수 없다.
|
[
"국세기본법 제81조, 그 결정기간내에 결정의 통지가 없는 때에는 심판청구는 기각된 것으로 보며, 위의 심판청구가 기각된 것으로 보는 경우에는 그 기간의 경과로서 당연히 기각된 것으로 보며 그 기간경과 이후에 심판청구인에게 결정서가 송달되었다고 하여 이에 아무런 영향을 미칠 수 없다.",
"국세기본법의 규정을 종합하면 국세부과처분에 대한 심판결정은 심판청구를 받은 날로부터 90일 이내 해야 하고, 그 결정기간 내 통지가 없다면 심판청구의 기각으로 볼 것인 바, 그런 경우 기간경과 이후 심판청구인에게 결정서가 송달되어도 바뀌는 것은 없다."
] |
law
|
b4e016a5-0bcf-4e1c-8878-2b53a6d168b2
|
양도소득세부과처분취소
|
가. 구 소득세법(1978.12.5 법률 제3098호) 제23조 제4항, 같은법시행령(1978.12.20 대통령령 제9229호) 제170조 제3항의 취지는 양도가액과 취득가액은 실지거래가액에 의하되 납세의무자가 양도차익예정신고나 과세표준확정신고를 하지 않을 때에는 일단 실지거래가액이 불분명한 것으로 추정하여 추계과세의 방법인 기준시가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는 뜻에 불과하므로 실지거래가액을 인정할 수 있는 자료가 제출된 경우에는 실지거래가액에 의하여야 하고 추계조사의 방법인 기준시가에 의할 수는 없는 것이다.
나. 과세소득의 위법을 다투는 행정소송에 있어서 당사자는 소송변론 종결시까지 객관적인 조세채무액을 뒷받침하는 주장과 증거를 제출할 수 있으므로 양도소득세의 부과처분을 다투는 항고소송에 있어서도 원고는 실지거래가액을 증명하는 증거를 변론종결시까지 제출할 수 있다고 보아야 한다.
|
[
"같은법시행령(1978.12.20 대통령령 제9229호) 제170조 제3항의 취지는 양도가액과 취득가액은 실지거래가액에 의하되 납세의무자가 양도차익예정신고나 과세표준확정신고를 하지 않을 때에는 일단 실지거래가액이 불분명한 것으로 추정하여 추계과세의 방법인 기준시가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는 뜻에 불과하므로 실지거래가액을 인정할 수 있는 자료가 제출된 경우에는 실지거래가액에 의하여야 하고 추계조사의 방법인 기준시가에 의할 수는 없는 것이다. 나. 과세소득의 위법을 다투는 행정소송에 있어서 당사자는 소송변론 종결시까지 객관적인 조세채무액을 뒷받침하는 주장과 증거를 제출할 수 있으므로 양도소득세의 부과처분을 다투는 항고소송에 있어서도 원고는 실지거래가액을 증명하는 증거를 변론종결시까지 제출할 수 있다고 보아야 한다.",
"실지거래가액이 불분명한 경우 이를 추정하여 추계과세의 방법을 통해 결정할 수 있으나 실지거래가액을 인정할 수 있을 경우에는 추계조사 방법에 의할 수 없으며 원고는 실지거래가액을 증명하는 증거를 변론종결시까지 제출할 수 있다."
] |
law
|
0e7be537-406f-472f-854b-1eed83ba490d
|
증여세부과처분취소
|
원고의 선대 소외(갑)이 소외(을)로부터 받기로 한 본건 토지를 그의 장남인 원고에게 증여하기로 하여 1973.4.6 원고명의로 원고와 위 (을)간의 매매예약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청구권보전을 위한 가등기를 경료한 후 1977.3.31 위 (갑)은 사망하고 한편 원고는 위 (을)이 양도소득세를 물어야 한다는 이유로 위 가등기에 기한 본등기절차 이행을 거절하여 동인과의 합의하에 1983.2.28 위 가등기를 말소하고 그 날짜로 원고명의로 직접 증여에 의한 소유권이전등기절차를 경료하였다면 위 토지는 실질적으로 원고가 그의 부인 (갑)으로부터 증여받은 재산이고 증여의 의사표시는 위 가등기 경료시인 1973.4.6에 있었다고 본다 하더라도 증여세 납세의무는 증여재산을 취득한 때에 발생한다 할 것이어서 과세관청이 원고의 위 토지취득시기를 위 본등기 경료시인 1983.2.28로 보고한 증여세부과처분은 적법하다.
|
[
"그 날짜로 원고명의로 직접 증여에 의한 소유권이전등기절차를 경료하였다면 증여의 의사표시는 위 가등기 경료시인 1973.4.6에 있었다고 본다 하더라도 증여세 납세의무는 증여재산을 취득한 때에 발생한다 할 것이어서 과세관청이 원고의 위 토지취득시기를 위 본등기 경료시인 1983.2.28로 보고한 증여세부과처분은 적법하다.",
"원고의 선대 소외(갑)이 원고명의로 직접 증여에 의한 소유권이전등기절차를 경료하였다면 위 토지는 실질적으로 원고가 그의 부인 (갑)으로부터 증여받은 재산이고 증여세 납세의무는 증여재산을 취득한 때에 발생한다 할 것이어서 과세관청이 원고의 위 토지취득시기를 위 본등기 경료시인 1983.2.28로 보고한 증여세부과처분은 적법하다."
] |
law
|
2389f024-bafc-4f17-9dd3-00bc453c9846
|
재정신청기각결정에대한재항고
|
형법 제123조가 규정하는 타인의 권리행사방해죄에서 권리행사를 방해한다 함은 법령상 행사할 수 있는 권리의 정당한 행사를 방해하는 것을 말한다고 할 것이므로 이에 해당하려면 구체화된 권리의 현실적인 행사가 방해된 경우라야 할 것이어서 검사가 고발사건을 불기소결정하여 피고발인으로 하여금 처벌받게 하려는 고발인의 의도가 이루어질 수 없게 되었다 하여 고발인의 권리행사를 방해하였다고는 말할 수 없다.
|
[
"형법 제123조가 규정하는 타인의 권리행사방해죄에서 권리행사를 방해한다 함은 법령상 행사할 수 있는 권리의 정당한 행사를 방해하는 것을 말한다고 할 것이므로 구체화된 권리의 현실적인 행사가 방해된 경우라야 할 것이어서 검사가 고발사건을 불기소결정하여 피고발인으로 하여금 처벌받게 하려는 고발인의 의도가 이루어질 수 없게 되었다 하여 고발인의 권리행사를 방해하였다고는 말할 수 없다.",
"형법 제123조의 타인의 권리행사방해죄는 구체화된 권리의 정당하고 현실적인 행사가 방해된 경우라 보아야 하는바, 검사가 고발사건을 불기소결정한 것은 고발인의 권리행사를 방해하였다고 볼 수 없다."
] |
law
|
e6c87eda-d563-4fa8-8620-251797a5885a
|
업무상과실자동차추락,교통사고처리특례법위반,도로교통법위반
|
경부고속도로를 시속 약 100키로미터의 속력으로 주행하다가 선행차량을 추월하려고 속도를 약110키로미터로 운전하여 추월선으로 들어설 무렵 전방 약 20미터 지점 추월선상에 장애물이 있는 것을 발견하였으나 이미 거리가 근접하여 이를 피하지 못하고 충돌하므로써 사고가 난 경우라면 사고당시의 시각이나 도로상황에 비추어 위 운전자가 앞차와의 안전거리를 확보하지 아니하고 추월하기 위하여 앞차 뒤에서 갑자기 추월선으로 들어선 탓으로 위 장애물을 뒤늦게 발견하게 된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들어 사고당시 위 운전자의 앞지르기 방법에 잘못이 없다고 단정할 수 없다.
|
[
"경부고속도로를 시속 약 100키로미터의 속력으로 주행하다가 선행차량을 추월하려고 속도를 약110키로미터로 운전하여 추월선으로 들어설 무렵 전방 약 20미터 지점 추월선상에 장애물이 있는 것을 발견하였으나 사고당시의 시각이나 도로상황에 비추어 위 운전자가 앞차와의 안전거리를 확보하지 아니하고 추월하기 위하여 앞차 뒤에서 갑자기 추월선으로 들어선 탓으로 위 장애물을 뒤늦게 발견하게 된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들어 사고당시 위 운전자의 앞지르기 방법에 잘못이 없다고 단정할 수 없다.",
"경부고속도로에서 선행차량을 추월하기 위해 속도를 높여 운전하다가 추월선상에 장애물이 있는 것을 늦게 발견하여 피하지 못하고 충돌한 경우, 사고당시의 시각이나 도로 상황에 비추어 운전자가 안전거리의 확보 없이 추월선에 들어선 탓에 사고가 난 것으로 보이므로 사고당시 운전자의 앞지르기 방법에 잘못이 없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 |
law
|
5496a422-46eb-4e38-bd56-8bed2ec8408c
|
농지보전및이용에관한법률위반
|
농한기를 이용하여 농지에 유입된 모래와 돌을 제거하고 객토를 넣어 농작물경작에 적합한 농지로 개량하기 위해 포크레인등의 중장비를 이용하여 약 1.5미터 가량 굴착하고 골재 약 7,000루베 가량을 채취한 것이라면 이는 농지의보전및이용에관한법률의 입법목적에도 반하지 아니할 뿐 아니라 농한기를 이용하여 위와 같은 행위를 함으로써 농작물경작에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아니한 이상 그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농지의 형질이 변경된 상태가 생겼었다 하더라도 이를 가리켜 농지를 농작물경작 이외의 목적에 사용한 것이라 할 수 없으므로 위 법률 제21조 제1항 소정의 농지를 전용한 경우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
|
[
"농한기를 이용하여 농지에 유입된 모래와 돌을 제거하고 객토를 넣어 농작물경작에 적합한 농지로 개량하기 위해 포크레인등의 중장비를 이용하여 약 1.5미터 가량 굴착하고 이는 농지의보전및이용에관한법률의 입법목적에도 반하지 아니할 뿐 아니라 농한기를 이용하여 위와 같은 행위를 함으로써 농작물경작에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아니한 이상 그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농지의 형질이 변경된 상태가 생겼었다 하더라도 이를 가리켜 농지를 농작물경작 이외의 목적에 사용한 것이라 할 수 없으므로 위 법률 제21조 제1항 소정의 농지를 전용한 경우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
"농작물 경작에 적합한 농지로 개량하기 위한 행위는 농지의보전및이용에관한법률의 입법목적에도 반하지 않고 농지의 형질이 변경되어도 농작물경작 이외의 목적에 사용한 것이라 볼 수 없어 위 법률 제21조 제1항 소정의 농지를 전용한 경우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
] |
law
|
d61ef98b-7e18-4ac4-988c-93884d7304a2
|
증거보전신청기각결정에대한재항고
|
법원의 결정에 대하여 불복이 있으면 항고할 수 있다고 규정한 형사소송법 제402조가 말하는 법원은 형사소송법상의 수소법원만을 가리키는 것이어서 증거보전청구를 기각한 판사의 결정에 대하여는 위 제402조가 정하는 항고의 방법으로는 불복할 수 없고 나아가 그 판사는 수소법원으로서의 재판장 또는 수명법관도 아니므로 그가 한 재판은 동법 제416조 정하는 준항고의 대상이 되지도 않으며 또 동법 제403조에 관한 재판에는 그 적용이 없다 할 것이어서 결국 증거보전청구의 기각결정에 대하여는 형사소송법상 어떠한 방법으로도 불복을 할 수가 없다.
|
[
"항고할 수 있다고 규정한 형사소송법 제402조가 말하는 법원은 형사소송법상의 수소법원만을 가리키는 것이어서 증거보전청구를 기각한 판사의 결정에 대하여는 위 제402조가 정하는 항고의 방법으로는 불복할 수 없고 나아가 그 판사는 수소법원으로서의 재판장 또는 수명법관도 아니므로 그가 한 재판은 동법 제416조 정하는 준항고의 대상이 되지도 않으며 또 동법 제403조에 관한 재판에는 그 적용이 없다 할 것이어서 결국 증거보전청구의 기각결정에 대하여는 형사소송법상 어떠한 방법으로도 불복을 할 수가 없다.",
"법원의 결정에 대한 불복시 항고할 수 있다 규정한 형사소송법 제402조는 형사소송법상의 수소법원만을 말하는 것으로 증거보전청구의 기각결정은 형사소송법상 어떠한 방법으로도 불복을 할 수가 없다."
] |
law
|
5f769661-106b-48a5-9133-69c87ea69f86
|
구상금
|
가. 국제항공운송에 관한 법률관계에 대하여는 일반법인 민법에 대한 특별법으로서 우리정부도 가입한 1955년 헤이그에서 개정된 바르샤바협약(이하 개정된 바르샤바협약이라 한다)이 우선 적용되어야 한다.
나. 개정된 바르샤바 협약 제1조 제2항에서 사용하고 있는 용어인 "체약국"이란 개념은 바르샤바협약과 헤이그 의정서에 모두 가입한 국가는 물론, 대한민국과 같이 바르샤바협약에는 가입하지 않고 있다가 헤이그 의정서에 가입함으로써 바르샤바협약에 가입한 효력이 발생한 국가와 바르샤바협약에는 가입하였으나 헤이그 의정서에는 아직 가입하지 아니한 국가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다. 바르샤바협약 제24조 제1항의 규정에 비추어 국제항공운송인에 대하여 그 항공운송중에 생긴 화물훼손으로 인한 손해배상을 소구함에 있어서는 그 계약불이행을 청구원인으로 하는 것이든 불법행위를 청구원인으로 하는 것이든 모두 바르샤바협약에 정하여진 조건 및 제한내에서만 가능하다.
라. 바르샤바협약 제26조 제1항의 규정은 채무불이행을 원인으로 한 손해배상청구의 소에 있어서 하수인이 화물손괴가 있었음을 주장하는 경우 채무의 본지에 따른 이행을 하였다는 점에 관한 입증책임을 부담하는 운송인이 그 화물을 하송인으로부터 인도받은 상태대로 하수인에게 인도하였음을 입증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많음을 감안하여 하수인이 이의없이 화물을 수취한 사실자체가 채무의 본지에 따른 이행에 대한 일응의 증거(prima facie evidence)가 됨을 규정한 것일 뿐 화물손괴의 사실을 모르고 있었던 운송인에 대하여서만 이의가 필요한 것임을 전제로 한 규정이라고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같은조 제4항에서 하수인이 서면에 의한 이의를 함이 없이 소를 제기할 수 있는 경우는 운송인에게 사기가 있는 경우에 한한다고 명백히 규정하고 있으므로 운송인이 화물의 손괴를 미리 알고 있었다 하더라도 서면에 의한 이의없이 소를 제기할 수 있다고 볼 수는 없다.
마. 바르샤바협약 제2장에서 운송증권으로 승객항공표와 수하물표 및 항공운송장만을 들고 있고 동 협약 제26조 제3항이 이의의 방법으로 운송증권에의 유보이외에도 별개의 서면발송을 규정하고 있음에 비추어 동 조항에서 들고 있는 운송증권은 승객항공표와 수하물표 및 항공운송장만을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바. 수입화물을 운송한 운송인이 그 운송을 자신이 지정한 보세창고에 반입한 후 그 반출에 필요한 서류를 화주에게 교부하였다면 운송인은 이로써 그 운송물에 대한 인도를 완료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
[
"다. 바르샤바협약 제24조 제1항의 규정에 비추어 국제항공운송인에 대하여 그 항공운송중에 생긴 화물훼손으로 인한 손해배상을 소구함에 있어서는 그 계약불이행을 청구원인으로 하는 것이든 불법행위를 청구원인으로 하는 것이든 모두 바르샤바협약에 정하여진 조건 및 제한내에서만 가능하다. 라. 바르샤바협약 제26조 제1항의 규정은 채무불이행을 원인으로 한 손해배상청구의 소에 있어서 하수인이 화물손괴가 있었음을 주장하는 경우 채무의 본지에 따른 이행을 하였다는 점에 관한 입증책임을 부담하는 운송인이 그 화물을 하송인으로부터 인도받은 상태대로 하수인에게 인도하였음을 입증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많음을 감안하여 하수인이 이의없이 화물을 수취한 사실자체가 채무의 본지에 따른 이행에 대한 일응의 증거(prima facie evidence)가 됨을 규정한 것일 뿐 화물손괴의 사실을 모르고 있었던 운송인에 대하여서만 이의가 필요한 것임을 전제로 한 규정이라고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같은조 제4항에서 하수인이 서면에 의한 이의를 함이 없이 소를 제기할 수 있는 경우는 운송인에게 사기가 있는 경우에 한한다고 명백히 규정하고 있으므로 운송인이 화물의 손괴를 미리 알고 있었다 하더라도 서면에 의한 이의없이 소를 제기할 수 있다고 볼 수는 없다. 운송인은 이로써 그 운송물에 대한 인도를 완료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국제항공운송에 관하여 우선적으로 적용되는 바르샤바협약에 따르면 국제항공운송인에 대해 항공운송중에 생긴 화물훼손으로 인한 손해배상을 소구하기 위해서는 그 청구원인이 무엇이든 바르샤바협약에 정하여진 조건 및 제한내에서만 가능하고, 국제항공운송인이 화물의 손괴를 미리 알고 있었더라도 서면에 의한 이의 없이는 소를 제기할 수 없으며, 민법에 따르면 운송인이 수입화물을 보세창고에 반입한 후 반출에 필요한 서류를 화주에게 교부한 것은 그 운송물에 대한 인도를 완료한 것으로 본다."
] |
law
|
cd5df8e8-c2b5-4748-afbb-667a911130cb
|
전부금
|
당좌거래에 있어서 고객의 당좌구좌에 입금된 금액은 당좌차월 약정기간의 만료로 인한 기말결산을 기다릴 필요없이 수시로 당좌차월채무의 변제에 충당하는 소위 단계상호계산방식이 은행의 계산관행이라 하더라도 위 계산관행의 구체적 내용 특히 어느 시점에 변제충당의 효과가 발생하는가 즉 입금되는 즉시 변제에 충당되는가 아니면 입금되는 당일의 마감시간에 그날의 입금 및 출금을 정산하여 잔액이 있으면 그 한도내에서 변제에 충당되는가의 여부는 증거에 의하여 확정하여야 하고 소위 단계상호계산 방식이 은행계산관행이라고 해서 입금즉시 변제충당의 효과가 발생한다고 볼 수 없다.
|
[
"당좌거래에 있어서 고객의 당좌구좌에 입금된 금액은 당좌차월 약정기간의 만료로 인한 기말결산을 기다릴 필요없이 수시로 당좌차월채무의 변제에 충당하는 소위 단계상호계산방식이 은행의 계산관행이라 하더라도 위 계산관행의 구체적 내용 특히 어느 시점에 변제충당의 효과가 발생하는가 즉 입금되는 즉시 변제에 충당되는가 아니면 그 한도내에서 변제에 충당되는가의 여부는 증거에 의하여 확정하여야 하고 소위 단계상호계산 방식이 은행계산관행이라고 해서 입금즉시 변제충당의 효과가 발생한다고 볼 수 없다.",
"당좌거래에 있어서 고객의 당좌구좌에 입금된 금액은 계산관행의 구체적 내용 특히 어느 시점에 변제충당의 효과가 발생하는가 즉 입금되는 즉시 변제에 충당되는가 아니면 입금되는 당일의 마감시간에 그날의 입금 및 출금을 정산하여 잔액이 있으면 그 한도내에서 변제에 충당되는가의 여부는 증거에 의하여 확정되고 단계상호계산 방식이 은행계산관행이라고 해서 입금즉시 변제충당의 효과가 발생한다고 볼 수 없다."
] |
law
|
5b3e88a0-1934-4964-929a-a2c7cf2704b9
|
주권인도
|
주식매매거래는 그 명의를 실거래자 이름으로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그 명의를 타인이나 가명으로도 할 수 있고 실제거래에 있어서 거래자의 실명아닌 다른 사람의 이름으로 거래를 하는 경우가 허다하므로, 주권매매거래 구좌설정계약서에 그 거래자명의를 타인으로 표시하였다고 하여 곧 그 계약이 그 타인을 위한 것이라고 단정할 수 없을 것이고, 그후 어떠한 경위로 그 타인이 위 주식거래에 관한 주권위탁자 통장이나 거래인감을 소지하게 되었다고 하더라도 그 이치는 마찬가지이다.
|
[
"그 명의를 타인이나 가명으로도 할 수 있고 실제거래에 있어서 거래자의 실명아닌 다른 사람의 이름으로 거래를 하는 경우가 허다하므로, 주권매매거래 구좌설정계약서에 그 거래자명의를 타인으로 표시하였다고 하여 곧 그 계약이 그 타인을 위한 것이라고 단정할 수 없을 것이고, 그후 어떠한 경위로 그 타인이 위 주식거래에 관한 주권위탁자 통장이나 거래인감을 소지하게 되었다고 하더라도 그 이치는 마찬가지이다.",
"주식매매거래는 그 명의를 실거래자, 타인 또는 가명으로도 할 수 있으므로 거래자명의를 타인으로 표시하여도 그 계약이 타인을 위한 것이라 볼 수 없고 그후 어떠한 경위로 그 타인이 위 주식거래에 관한 주권위탁자 통장이나 거래인감을 소지하게 되었다고 하여도 같다 볼 것이다."
] |
law
|
c37fdf50-46de-4b5f-8ae8-d4f84720d31b
|
손해배상
|
가. 신체의 부자유로 인하여 개호인의 조력을 받을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비록 피해자가 미성년자이고 그의 부모가 개호를 할 수 있는 형편에 있다 하더라도 반드시 그 부모의 개호를 받아야 한다고 단정할 수 없음은 물론, 가사 그 부모의 개호를 받게 된다고 하더라도 이로 인하여 피해자가 입는 손해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통상의 개호인 비용 전액이다.
나. 호프만식계산법에 의하여 중간이자를 공제하여 장래의 일실이익의 현가를 산정하는 것은 위법한 것이 아니다.
다. 연별 호프만식계산법에 의하여 중간이자를 공제하는 경우에 단리연금현가율이 20을 넘는 경우에는 그 단리연금현가율을 그대로 적용하여 그 현가를 산정하게 되면 현가로 받게 되는 금액의 이자가 매월 입게 되는 손해액보다 많게 되어 손해액보다 더 많은 금원을 배상하게 되는 불합리한 결과를 가져오게 되므로 그 단리연금현가율이 결과적으로 20을 넘는 경우에 있어서는 그 수치표상의 단리연금현가율이 얼마인지를 불문하고 모두 20을 적용 계산함으로써 피해자가 과잉배상을 받는 일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
[
"가. 신체의 부자유로 인하여 개호인의 조력을 받을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비록 피해자가 미성년자이고 가사 그 부모의 개호를 받게 된다고 하더라도 이로 인하여 피해자가 입는 손해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통상의 개호인 비용 전액이다. 현가로 받게 되는 금액의 이자가 매월 입게 되는 손해액보다 많게 되어 손해액보다 더 많은 금원을 배상하게 되는 불합리한 결과를 가져오게 되므로 그 단리연금현가율이 결과적으로 20을 넘는 경우에 있어서는 그 수치표상의 단리연금현가율이 얼마인지를 불문하고",
"신체의 부자유로 개호인의 조력을 받을 필요가 있는 경우 부모의 개호를 무조건 받아야 한다고 단정할 수 없고, 부모의 개호를 설령 받더라도 피해자가 입는 손해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개호인 비용 전액일 것인 바, 호프만식계산법에 의해 중간이자는 공제 가능하게 하였고, 이로 인해 현가로 받게 되는 금액의 이자가 매월 입게 되는 손해액보다 많아 손해액보다 더 많은 금원을 배상하게 되는 결과가 발생하는 것은 허용하지 아니한다. "
] |
law
|
dbbc005d-34f3-4ab3-9fac-9bb2f8821ea1
|
건물철거등
|
권리행사가 권리의 남용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으려면, 주관적으로 그 권리행사의 목적이 오직 상대방에게 고통을 주고 손해를 입히려는데 있을 뿐, 행사하는 사람에게 아무런 이익이 없을 경우이어야 하고, 객관적으로는 그 권리행사가 사회질서에 위반된다고 볼 수 있어야 하는 것이며, 이와같은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한 비록 그 권리의 행사에 의하여 권리행사자가 얻는 이익보다 상대방이 입을 손해가 현저히 크다 하여도 그러한 사정만으로는 권리남용이라 할 수 없는 것이다.
|
[
"주관적으로 그 권리행사의 목적이 오직 상대방에게 고통을 주고 손해를 입히려는데 있을 뿐, 객관적으로는 그 권리행사가 사회질서에 위반된다고 볼 수 있어야 하는 것이며, 이와같은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한 비록 그 권리의 행사에 의하여 권리행사자가 얻는 이익보다 상대방이 입을 손해가 현저히 크다 하여도 그러한 사정만으로는 권리남용이라 할 수 없는 것이다.",
"권리행사가 권리의 남용에 해당하려면 주관적으로 권리행사의 목적이 상대방의 고통과 손해일 뿐 행사자에게 아무런 이익이 없어야 하고 객관적으로 사회질서에 위반되는 권리의 행사여야 하므로, 이에 해당하지 않는 한 권리의 행사에 의해 상대방이 입는 손해가 현저히 크다는 사정만으로는 권리남용이라고 할 수 없다."
] |
law
|
ff813eb1-57bd-4cdf-9a47-e4f283250790
|
손해배상
|
항소심은 당사자의 그 불복신청의 한도내에서 제1심판결의 당부를 판단할 수 있을 뿐이므로 항소심으로서는 원고의 항소가 이유없고 피고의 항소가 이유있는 경우라도 피고가 제1심 판결에 대하여 불복하고 그 취소를 구한 범위내에서 취소하고 그 부분 원고의 청구를 기각하여야 하고, 이를 초과하여 피고가 취소를 구하지 아니한 부분을 포함한 제1심 원고 승소부분 전부에 관한 원고의 청구를 기각할 수는 없다.
|
[
"항소심은 당사자의 그 불복신청의 한도내에서 제1심판결의 당부를 판단할 수 있을 뿐이므로 항소심으로서는 원고의 항소가 이유없고 피고의 항소가 이유있는 경우라도 피고가 제1심 판결에 대하여 불복하고 그 취소를 구한 범위내에서 취소하고 이를 초과하여 피고가 취소를 구하지 아니한 부분을 포함한 제1심 원고 승소부분 전부에 관한 원고의 청구를 기각할 수는 없다.",
"항소심은 당사자의 불복신청 한도내에서 제1심판결의 당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으로 원고의 항소가 이유 없고 피고의 항소가 이유 있는 경우 피고가 불복하고 취소를 구한 범위내에서 취소하여야 하고 피고가 취소를 구하지 아니한 부분을 포함하여 제1심 원고 승소부분 전부에 관한 원고의 청구를 기각할 수는 없다."
] |
law
|
87097f43-5f1a-494b-8031-0fec8cad9384
|
혼인무효확인
|
결혼식을 올린 다음 동거까지 하였으나 성격의 불일치등으로 계속 부부싸움을 하던 끝에 사실혼관계를 해소하기로 합의하고 별거하는 상황하에서 당사자 일방이 상대방의 승낙없이 자기 마음대로 혼인신고를 하였다면 그 혼인은 무효이다.
|
[
"성격의 불일치등으로 계속 부부싸움을 하던 끝에 사실혼관계를 해소하기로 합의하고 별거하는 상황하에서 당사자 일방이 상대방의 승낙없이 자기 마음대로 혼인신고를 하였다면 그 혼인은 무효이다.",
"사실혼관계를 해소하기로 합의한 뒤, 상대방의 승낙 없이 혼인신고를 한 경우 이 혼인은 무효이다."
] |
law
|
0f7373fb-d815-4954-a491-d64453eec565
|
서어비스표등록무효
|
가. 구 상표법(1980.12.31 법률 제332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8조 제1항 제4호가 현저한 지리적 명칭, 그 약어만으로 된 상표를 상표등록의 소극적 요건으로 규정한 취지에 비추어 보면 반드시 법령으로 정하여진 행정구역의 명칭 또는 그 약어만으로 된 상표가 아니더라도 현저하게 알려진 관용적인 지명 또는 그 약어만으로 된 상표도 현저한 지리적 명칭 또는 그 약어만으로 된 상표에 해당되어 등록될 수 없다.
나. 구 상표법(1980.12.31 법률 제332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8조 제2항은 제1항 제3호, 제5호 또는 제6호에 해당하는 상표에 대해서만 그 사용의 결과 수요자간에 누구의 상표인가 현저하게 인식되어 있는 것은 등록받을 수 있다고 규정하였을 뿐, 제1항 제4호에 해당하는 상표는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상표가 현저한 지리적 명칭, 그 약어만으로 된 것인 이상 사용의 결과로 수요자간에 누구의 상표인지 현저하게 인식되어 있다 하더라도 등록받을 수는 없다.
|
[
"가. 구 상표법(1980.12.31 법률 제332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8조 제1항 제4호가 현저한 지리적 명칭, 제5호 또는 제6호에 해당하는 상표에 대해서만 그 사용의 결과 수요자간에 누구의 상표인가 현저하게 인식되어 있는 것은 등록받을 수 있다고 규정하였을 뿐, 그 약어만으로 된 것인 이상 사용의 결과로 수요자간에 누구의 상표인지 현저하게 인식되어 있다 하더라도 등록받을 수는 없다.",
"상표법이 약어만으로 된 상표에 대해 등록되기 위한 소극적 요건으로 규정했기 때문에 상표에 대해 사용의 결과 수요자간 누구의 상표인가 현저하게 인식되어 있는 것은 등록할 수 있다 해도, 약어만으로 된 것인 이상 수요자의 인식여부와 무관하게 등록받을 수 없다."
] |
law
|
b4d4fd6d-b64e-45f0-aec3-f1af74f439e4
|
양도소득세등 부과처분취소
|
소득세법(1982.12.21 법률 제3576호로 개정된 이후의 것) 제23조 제2항 및 제4항, 제45조 제1항, 제60조 규정들을 살펴 보아도 자산양도차익의 계산을 하는 경우에 양도가액과 취득가액 모두를 반드시 기준시가가 아니면 실지거래가액중 한가지로만 결정하여 계산하여야 한다는 해석은 나오지 않고 오히려 같은 규정들은 양도가액과 취득가액 결정에 있어 각 그 본문과 단서의 규정을 달리 적용하는 것, 즉 양도가액과 취득가액 중 그 어느 하나를 기준시가에 의하는 경우 다른 하나는 실지거래가액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음을 가능케 하고 있는 규정들이라고 해석되므로, 소득세법시행령 제170조 제1항 단서에 그와 같은 규정을 둔 것은 단지 모법의 해석상 가능하게 되어 있는 양도차익의 계산방법을 명시한 것에 지나지 아니하여 위 모법규정에 부합하지 않는 규정이라고 볼 수 없다.
|
[
"실지거래가액중 한가지로만 결정하여 계산하여야 한다는 해석은 나오지 않고 오히려 같은 규정들은 양도가액과 취득가액 결정에 있어 각 그 본문과 단서의 규정을 달리 적용하는 것, 즉 양도가액과 취득가액 중 그 어느 하나를 기준시가에 의하는 경우 다른 하나는 실지거래가액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음을 가능케 하고 있는 규정들이라고 해석되므로, 소득세법시행령 제170조 제1항 단서에 그와 같은 규정을 둔 것은 단지 모법의 해석상 가능하게 되어 있는 양도차익의 계산방법을 명시한 것에 지나지 아니하여 위 모법규정에 부합하지 않는 규정이라고 볼 수 없다.",
"자산양도차익의 계산을 하는 경우 양도가액과 취득가액을 어느 하나를 기준시가에 의하는 경우 다른 하나는 실지거래가액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음을 가능케 하고 있으므로 소득세법시행령 제170조 제1항 단서에 그와 같은 규정을 둔 것은 단지 모법의 해석상 가능하게 되어 있는 양도차익의 계산방법을 명시한 것에 지나지 아니하여 위 모법규정에 부합하지 않는 규정이라고 볼 수 없다."
] |
law
|
099b53c0-4e1b-4990-ae91-74b3cb298957
|
부가가치세등 부과처분취소
|
가. 국세징수법 제21조, 제22조 규정에 따른 가산금 및 중가산금 징수처분은 국세의 납세고지처분과 별개의 행정처분이라고 볼 수 있다 하더라도, 위 국세채권의 내용이 구체적으로 확정된 후에 비로소 발생되는 징수권의 행사이므로 국세의 납세고지처분에 대하여 적법한 전심절차를 거친 이상 가산금 및 중가산금 징수처분에 대하여 따로이 전심절차를 거치지 않았다 하더라도 행정소송으로 이를 다툴 수 있다.
나. 법인소유의 사업부동산에 대한 강제경매개시결정이 있은 사실만으로서는 법인세법 제36조, 동법시행령 제97조 제1항 제2호 소정의 "사업부진 기타사유로 인하여 휴업 또는 폐업상태에 있는 경우"에 해당되어 법인세수시부과요건을 갖춘 것으로 보기 어렵다.
|
[
"제22조 규정에 따른 가산금 및 중가산금 징수처분은 국세의 납세고지처분과 별개의 행정처분이라고 볼 수 있다 하더라도, 위 국세채권의 내용이 구체적으로 확정된 후에 비로소 발생되는 징수권의 행사이므로 국세의 납세고지처분에 대하여 적법한 전심절차를 거친 이상 가산금 및 중가산금 징수처분에 대하여 따로이 전심절차를 거치지 않았다 하더라도 행정소송으로 이를 다툴 수 있다. 동법시행령 제97조 제1항 제2호 소정의 \"사업부진 기타사유로 인하여 휴업 또는 폐업상태에 있는 경우\"에 해당되어 법인세수시부과요건을 갖춘 것으로 보기 어렵다.",
"국세징수법상 가산금 및 중가산금 징수처분은 국세의 납세고지처분과 별개의 처분이더라도 국세채권의 내용이 확정된 후 비로소 발생하는 처분이므로 국세의 납세고지처분에 대해 적법한 전심절차를 거치고 가산금 및 중가산금 징수처분은 따로 거치지 않았다면 행정소송으로 다툴 수 있고, 법인세법상 법인소유의 사업부동산에 대해 강제경매 개시결정이 있었다하여도 \"사업부진 기타사유로 인하여 휴업 또는 폐업상태에 있는 경우\"에 해당되어 법인세수시부과요건을 갖춘 것으로 볼 수 없다."
] |
law
|
f5e2f99e-d665-4a01-ac08-f4f3caf0fb62
|
등록세등부과처분취소
|
가. 구 지방세법시행령 (1985.8.26 대통령령 제1175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제102조 제2항 소정의 그 사업에 사용하기 위하여 취득하는 부동산등기라함은 그 중과세의 입법취지와 규정내용에 비추어 법인의 업무수행을 위하여 필요적으로 소요되는 사무소 또는 공장, 창고, 하치장등 시설물로서 계속적이고 고정적으로 그 업무에 사용되는 고정재산적 성질을 가지는 부동산취득에 관한 등기를 말한다고 풀이함이 상당하다.
나. 투자금융회사가 금전을 대여하면서 부동산에 저당권을 설정하였다가 채무자가 원리금을 변제하지 않아 동 저당권의 실행에 의하여 그 부동산을 경락취득한 것이라면 위 부동산취득은 위 법인의 업무인 여신행위와 관련하여 발생한 불량채권의 회수를 위한 것으로서 동 법인이 그 사업에 사용하기 위하여 취득한 것이라고 볼 수 없어 등록세중과세대상이 아니다.
|
[
"고정적으로 그 업무에 사용되는 고정재산적 성질을 가지는 부동산취득에 관한 등기를 말한다고 풀이함이 상당하다. 나. 투자금융회사가 금전을 대여하면서 부동산에 저당권을 설정하였다가 채무자가 원리금을 변제하지 않아 동 저당권의 실행에 의하여 그 부동산을 경락취득한 것이라면 동 법인이 그 사업에 사용하기 위하여 취득한 것이라고 볼 수 없어 등록세중과세대상이 아니다.",
"구 지방세법시행령 (1985.8.26 대통령령 제1175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제102조 제2항 소정의 그 사업에 사용하기 위하여 취득하는 부동산등기는 고정재산적 성질을 가지는 부동산취득에 관한 등기이고, 투자금융회사가 금전을 대여하면서 부동산에 저당권을 설정하였다가 채무자가 원리금을 변제하지 않아 동 저당권의 실행에 의하여 그 부동산을 경락취득한 것이라면 동 법인이 그 사업에 사용하기 위하여 취득한 것이라고 볼 수 없어 등록세중과세대상이 아니다."
] |
law
|
56f02745-a690-492b-a431-6bd6b3a29f5a
|
특별소비세등부과처분취소
|
주한미군구매처와 납품계약을 체결한 군납업자와 사이에 자기가 생산한 텔레비젼을 납품키로 하여 외국인 전용매점에 이를 반입하고 그 대금을 전액 외화로 받은 경우, 위 텔레비젼납품에 대하여는 특별소비세법 제15조, 같은법시행령 제2조 제1항 제2호와 부가가치세법 제11조 제1항 제4호, 같은법시행령 제26조 제1항 제4호 및 대한민국과 미합중국간의 주한합중국군대의 지위에 관한 협정 제9조, 제13조(1)(가)의 제규정에 의하여 특별소비세가 면제되고 부가가치세에 있어서는 영세율이 적용된다.
|
[
"그 대금을 전액 외화로 받은 경우, 같은법시행령 제2조 제1항 제2호와 부가가치세법 제11조 제1항 제4호, 제13조(1)(가)의 제규정에 의하여 특별소비세가 면제되고 부가가치세에 있어서는 영세율이 적용된다.",
"특별소비세법 제15조, 동법 시행령 제2제 제1항 제2호와 부가가치세법 제11조 제1항 제4호, 동법 시행령 제26조 제1항 제4호 및 대한민국과 미합중국간의 주한합중국군대의 지위에 관한 협정 제9조, 제13조(2)(가)의 규정에 의거하여 주한미군구매처와 납품계약을 체결한 군납업자가 전액 외화로 대금을 받은 경우 특별소비세가 면제되고 부가가치세에 있어 영세율이 적용된다."
] |
law
|
e02c4eda-1654-44df-9842-a8e90129374f
|
상속세부과처분취소
|
피상속인이 금원을 차용하였다는 사람들이 피상속인과 각별한 친분관계에 있는 사람들이고 차용당시에는 그에 관한 아무런 증서가 발급된 바 없고 그의 사망에 임박하여 비로소 약속어음을 증서로 발행하였으며 피상속인이 사망하기 전까지 상당한 재력을 가지고 기업활동을 활발히 해왔고 그가 경영하던 기업에도 현금 및 예금잔고가 상당히 남아 있었다면 위 피상속인의 채무는 상속세과세가액을 줄이기 위해 만들어낸 허위가공의 채무라고 의심하기에 충분하고 피상속인의 사망후에 그에 관한 법원의 판결등이 확정되었다하여 그 채무가 가공의 채무라는 의심을 배제할 사유가 되지 못한다.
|
[
"차용당시에는 그에 관한 아무런 증서가 발급된 바 없고 그의 사망에 임박하여 비로소 약속어음을 증서로 발행하였으며 피상속인이 사망하기 전까지 상당한 재력을 가지고 기업활동을 활발히 해왔고 그가 경영하던 기업에도 현금 및 예금잔고가 상당히 남아 있었다면 위 피상속인의 채무는 상속세과세가액을 줄이기 위해 만들어낸 허위가공의 채무라고 의심하기에 충분하고 피상속인의 사망후에 그에 관한 법원의 판결등이 확정되었다하여 그 채무가 가공의 채무라는 의심을 배제할 사유가 되지 못한다.",
"피상속인이 금원을 차용하였다는 사람들은 피상속인과 친분관계가 있는 사람들이고 그에 관한 증서는 발급된 것이 없으며 그의 사망에 임박하여 비로소 약속어음을 증서로 발행한 점을 비추어 볼 때, 피상속인의 채무는 상속세과세가액을 줄이기 위해 만들어낸 허위가공의 채무라고 의심하기에 충분하며 이는 피상속인의 사망후 그에 관한 판결이 확정되었어도 의심 배제의 사유가 되지 못한다."
] |
law
|
ab1af681-9377-4e3b-ab66-618b214f51f1
|
의원면직처분무효확인
|
가. 공직풍토정화운동의 일환으로 공무원들이 재신임을 묻는다는 취지에서 임용권자 앞으로 일괄 사직원을 제출한 경우 위 사직원의 제출은 그 제출당시 임용권자에 의하여 수리 또는 반려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처리되리라는 사정을 예측할 수 있는 상태에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사직원에 따른 의원면직처분은 그 의사에 반하지 아니한 것이고 비록 사직원 제출자가 내심에 있어 실제로 사직할 뜻은 없었다고 하더라도 그 의사가 외부적, 객관적으로 표시된 이상 그 의사표시는 표시된 대로 효력을 발생하는 것이므로 위 사직원을 받아들인 의원면직처분을 당연무효로 볼 수는 없다.
나. 의원면직처분에 공무원 숙청이라는 불명예와 1년간 취업금지라는 불이익한 조치가 수반된다 하더라도 이는 의원면직처분에서 발생하는 법률적 효과라고는 볼 수 없으므로 위 의원면직처분은 징계처분이 아님이 명백하고 따라서 의원면직처분을 함에는 징계처분을 함에서와 같은 소정의 징계절차를 거칠 필요가 없다.
다. 구 국가공무원법(1981.4.20 법률 제344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75조, 구 경찰공무원법(1982.12.31 법률 제360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8조 규정에서 징계처분 등을 행할 때 그 상대방에게 사유설명서를 교부토록한 것은 상대방에게 그 처분을 받게 된 경위를 알도록 함으로써 그에 대한 불복의 기회를 보장함과 아울러 임용권자의 자의를 배제하여 처분의 적법성을 보장하기 위한데 있는 것이므로 상대방의 의사에 기한 의원면직처분과 같은 경우에는 위 법에 따른 처분사유설명서가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
[
"위 사직원을 받아들인 의원면직처분을 당연무효로 볼 수는 없다. 따라서 의원면직처분을 함에는 징계처분을 함에서와 같은 소정의 징계절차를 거칠 필요가 없다. 상대방의 의사에 기한 의원면직처분과 같은 경우에는 위 법에 따른 처분사유설명서가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임용권자에게 재신임을 묻는 취지로 일괄제출한 사직원에 기하여 행한 의원면직처분은 그 의사가 외부적, 객관적으로 표시된 이상 표시된 대로 효력이 발생하여 위 처분을 당연무효로 볼 수 없고, 의원면직처분은 징계처분이 아니므로 소정의 징계절차를 거칠 필요가 없으므로, 이러한 상대방에 의사에 기한 의원면직처분을 하는 경우에는 구 국가공무원법(1981.4.20 법률 제344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75조 소정의 사유설명서가 요구되지 않는다."
] |
law
|
9bcd7777-c8e8-4282-a9cc-ec494317e1fd
|
퇴직급여심사청구취소등처분취소
|
가. 공무원연금법 제23조 제2항, 제3항의 해석상 군인연금법의 적용을 받지 아니하는 신분에 있던 군인이 공무원으로 임용된 때 그 임용되기 전의 병역법에 의한 현역병 또는 지원에 의하지 아니하고 임용된 하사관으로서의 복무기간은 본인이 합산신청의 절차를 밟지 않았다 하더라도 그의 의사가 합산을 원하지 아니하였던 것이라고 인정할 수 있는 특별한 경우가 아닌 이상 공무원연금법 제23조 제3항에 의하여 같은 제1항의 재직기간에 당연히 산입된다.
나. 공무원연금법 부칙 제7조 제2항에 1948.8.15부터 1959.12.31 사이에 군인연금법 제2조의 규정에 의한 군인으로 재직한 기간이 있는 공무원은 공무원연금관리공단의 소급통산승인을 얻어 당해기간을 재직기간에 산입할 수 있다고 규정되어 있으나, 이는 공단의 행정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둔 규정에 지나지 않아 그와 같은 규정이 있다하여 위 공무원연금법 제23조 제3항이 1948.8.15부터 1959.12.31까지 사이에 군인으로 재직한 기간이 있는 공무원의 재직기간 합산에는 그 적용이 배제되는 제한적인 규정이라고 볼 수 없다.
다. 공무원연금법 제23조 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군복무기간이 공무원의 재직기간에 산입되는 자가 재직기간중 그 산입기간에 해당하는 소급기여금 납부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하였다 하여 법이 정한 재직기간 당연합산의 효력이 발생하지 않는다거나 일단 발생한 재직기간 당연합산의 효력이 상실된다고 보아야 할 법적 근거는 없다.
|
[
"임용된 하사관으로서의 복무기간은 본인이 합산신청의 절차를 밟지 않았다 하더라도 그의 의사가 합산을 원하지 아니하였던 것이라고 인정할 수 있는 특별한 경우가 아닌 이상 공무원연금법 제23조 제3항에 의하여 같은 제1항의 재직기간에 당연히 산입된다. 이는 공단의 행정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둔 규정에 지나지 않아 그와 같은 규정이 있다하여 위 공무원연금법 제23조 제3항이 1948.8.15부터 1959.12.31까지 사이에 군인으로 재직한 기간이 있는 공무원의 재직기간 합산에는 그 적용이 배제되는 제한적인 규정이라고 볼 수 없다. 다. 공무원연금법 제23조 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군복무기간이 공무원의 재직기간에 산입되는 자가 재직기간중 그 산입기간에 해당하는 소급기여금 납부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하였다 하여 법이 정한 재직기간 당연합산의 효력이 발생하지 않는다거나 일단 발생한 재직기간 당연합산의 효력이 상실된다고 보아야 할 법적 근거는 없다.",
"공무원연금법 제23조 제2항, 제3항의 해석상 공무원 임용 전 하사관으로서 복무기간은 별도의 절차를 거치지 아니하고도 특별한 경우가 아닌 이상 재직기간에 당연히 산입되는 것이고 위 법 제7조 제2항은 행정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므로 특정 기간의 군인으로 재직한 기간을 공무원 재직기간에 배제하라는 규정이라고 볼 수 없으며, 군복무기간에 소급기여금 납부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했다고 해서 당연합산의 효력이 상실된다고 보아서는 안 된다."
] |
law
|
81fd28dd-2c83-4d43-aaca-8333732fac38
|
증여세부과처분무효확인
|
과세처분에 사실관계를 오인한 하자가 있는 경우에 그 하자가 중대하더라도 외형상 객관적으로 명백하지 않다면 그 과세처분은 취소할 수 있음에 불과하고 당연무효로 볼 수는 없는 것이며, 사실관계의 오인이 잘못된 과세자료에 기인한 경우에 그 과세자료가 상태성을 결여하고 객관적으로 그 성립이나 내용의 진정을 의심할 만한 소지가 있는 것이라면 모르되 그렇지 아니한 이상 그 과세자료에 기인한 사실관계의 오인을 가리켜 외형상 객관적으로 명백한 하자라고 볼 수는 없다.
|
[
"과세처분에 사실관계를 오인한 하자가 있는 경우에 그 하자가 중대하더라도 외형상 객관적으로 명백하지 않다면 당연무효로 볼 수는 없는 것이며, 모르되 그렇지 아니한 이상 그 과세자료에 기인한 사실관계의 오인을 가리켜 외형상 객관적으로 명백한 하자라고 볼 수는 없다.",
"과세처분에 사실관계를 오인한 하자가 있는 경우 그 하자가 중대함과 무관하게 외형상 객관적으로 명백하지 않다면 당연무효로 볼 수 없으므로 과세자료에 기인한 사실관계의 오인이 명백한 하자라고 할 수 없다."
] |
law
|
8a395998-858f-4b64-9dbb-5295bfb92cf9
|
석유판매업허가취소처분취소
|
석유사업법 제12조 제3항, 제9조 제1항, 제12조 제4항 등을 종합하면 석유판매업(주유소)허가는 소위 대물적 허가의 성질을 갖는 것이어서 그 사업의 양도도 가능하고 이 경우 양수인은 양도인의 지위를 승계하게 됨에 따라 양도인의 위 허가에 따른 권리의무가 양수인에게 이전되는 것이므로 만약 양도인에게 그 허가를 취소할 위법사유가 있다면 허가관청은 이를 이유로 양수인에게 응분의 제재조치를 취할 수 있다 할 것이고, 양수인이 그 양수후 허가관청으로부터 석유판매업허가를 다시 받았다 하더라도 이는 석유판매업의 양수도를 전제로 한 것이어서 이로써 양도인의 지위승계가 부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양도인의 귀책사유는 양수인에게 그 효력이 미친다.
|
[
"이 경우 양수인은 양도인의 지위를 승계하게 됨에 따라 양도인의 위 허가에 따른 권리의무가 양수인에게 이전되는 것이므로 허가관청은 이를 이유로 양수인에게 응분의 제재조치를 취할 수 있다 할 것이고, 이로써 양도인의 지위승계가 부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양도인의 귀책사유는 양수인에게 그 효력이 미친다.",
"석유판매업이 양도된 경우 위 허가에 따른 양도인의 권리의무도 양수인에게 이전되는 것이므로, 양수인이 석유판매업허가를 다시 받았다 하더라도 양도인의 귀책사유를 이유로 양수인에게 제재조치를 취할 수 있다."
] |
law
|
ff08f2b4-4091-429b-91f5-a8ba008e697d
|
업무상과실치사
|
현장건축물 시공업무, 임시동력선 배선공사 및 그와 관련된 안전관리를 총괄하는 지위에 있는 현장소장으로서는 그 현장이 직원 6명 정도의 비교적 소규모의 것이었다면 비록 현장소장 아래 담당기사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공사전반에 걸친 일반적 관리책임은 물론 구체적인 전선설치 작업에 있어서도 전선의 상태를 점검하여 피복이 벗겨진 부분이 발견되면 이를 교체하는등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야 할 주의의무가 있다.
|
[
"임시동력선 배선공사 및 그와 관련된 안전관리를 총괄하는 지위에 있는 현장소장으로서는 그 현장이 직원 6명 정도의 비교적 소규모의 것이었다면 비록 현장소장 아래 담당기사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공사전반에 걸친 일반적 관리책임은 물론 구체적인 전선설치 작업에 있어서도 전선의 상태를 점검하여 피복이 벗겨진 부분이 발견되면 이를 교체하는등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야 할 주의의무가 있다.",
"현장소장은 안전관리를 총괄하는 지위에 있으며 현장의 규모는 6명 정도의 소규모이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현장소장 아래 담당기사가 있더라도 전선의 피복이 벗겨져 있음이 발견되면 이에 대한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 사고를 방지할 주의의무가 현장소장에게 있다."
] |
law
|
5f318606-889b-4a4a-9266-f067f5da0e29
|
배임,절도
|
가. 낙찰계에 있어서와 같이 계주가 계원의 위임을 받아 계불입금을 납부받고 입찰을 시행하여 낙찰계원에게 계금을 급부할 임무가 있는 경우에 그 임무에 위배하여 계주가 마음대로 계원의 이름을 모용하여 낙찰받아 그 계금을 자의로 소비한 때에는 배임죄가 성립되고 그 경우 피해자는 계원전체이고 피해액은 계주가 이득한 금액이다.
나. 절도죄에 있어 불법영득의 의사는 권리자를 배제하고 타인의 물건을 자기의 소유물과 같이 그 경제적 용법에 따라 사용하고 처분할 의사를 말하는 것이고 영구적으로 그 물건의 이익을 보유할 의사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
[
"가. 낙찰계에 있어서와 같이 계주가 계원의 위임을 받아 계불입금을 납부받고 입찰을 시행하여 낙찰계원에게 계금을 급부할 임무가 있는 경우에 그 임무에 위배하여 계주가 마음대로 계원의 이름을 모용하여 낙찰받아 그 계금을 자의로 소비한 때에는 배임죄가 성립되고 그 경우 피해자는 계원전체이고 타인의 물건을 자기의 소유물과 같이 그 경제적 용법에 따라 사용하고 영구적으로 그 물건의 이익을 보유할 의사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계주가 계원의 위임을 받아 계불입금을 납부받고 입찰을 시행하여 낙찰계원에게 계금을 급부할 임무가 있는 경우에 그 임무에 위배하여 계주가 마음대로 계원의 이름을 모용하여 낙찰받아 그 계금을 자의로 소비한 때에는 배임죄가 성립되고 절도죄에 있어 불법영득의 의사는 타인의 물건을 자기의 소유물과 같이 그 경제적 용법에 따라 사용하고 처분할 의사를 말하는 것으로 영구적으로 그 물건의 이익을 보유할 의사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 |
law
|
996f2004-017e-4f4d-a115-0a65565eeb50
|
상습사기,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유가증권위조
|
(다수의견)
형법 부칙 제4조 제1항은 "1개의 죄가 본법시행 전후에 걸쳐서 행하여진 때에는 본법 시행전에 범한 것으로 간주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나 위 부칙은 형법시행에 즈음하여 구형법과의 관계에서 그 적용범위를 규정한 경과법으로서 형법 제8조에서 규정하는 총칙규정이 아닐 뿐 아니라 범죄의 성립과 처벌은 행위시의 법률에 의한다고 규정한 형법 제1조 제1항의 해석으로서도 행위종료시의 법률의 적용을 배제한 점에서 타당한 것이 아니므로 신ㆍ구형법과의 관계가 아닌 다른 법과의 관계에서는 위 부칙을 적용 내지 유추적용할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습으로 사기의 범죄행위를 되풀이 한 경우에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 관한 법률시행 이후의 범행으로 인하여 취득한 재물의 가액이 위 법률 제3조 제1항 제3호의 구성요건을 충족하는 때는 그중 법정형이 중한 위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 관한 법률위반의 죄에 나머지 행위를 포괄시켜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 관한 법률위반의 죄로 처단하여야 한다.
(소수의견)
형법 부칙 제4조 제1항은 범죄의 실행행위가 신ㆍ구 양법에 걸쳐서 행하여진 범죄의 행위시를 정한 것으로 형법의 적용범위, 범죄와 형벌등에 관한 것이어서 비록 그것이 부칙에 규정되어 있다고 하여 형법만의 경과규정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형법총칙규정 내지는 그 보완규정이라고 풀이할 것이어서 이는 형법과 다른 법률과의 사이 또는 다른 법률의 개정과정에서 그 양법에 걸쳐서 행하여진 범죄에 대하여 그 행위시를 정함에 있어 다같이 적용되는 조문이다. 따라서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시행 전후에 상습으로 사기범행을 행한 경우 위 법 시행이후에 취득한 재물의 가액이 위 법률 제3조 제1항 제3호 소정의 하한을 넘고 있더라도 위 법률시행전의 법률에 따라 처단하여야 한다.
|
[
"형법 부칙 제4조 제1항은 \"1개의 죄가 본법시행 전후에 걸쳐서 행하여진 때에는 본법 시행전에 범한 것으로 간주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나 따라서 상습으로 사기의 범죄행위를 되풀이 한 경우에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 관한 법률시행 이후의 범행으로 인하여 취득한 재물의 가액이 위 법률 제3조 제1항 제3호의 구성요건을 충족하는 때는 그중 법정형이 중한 위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 관한 법률위반의 죄에 나머지 행위를 포괄시켜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 관한 법률위반의 죄로 처단하여야 한다. 따라서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시행 전후에 상습으로 사기범행을 행한 경우 위 법 시행이후에 취득한 재물의 가액이 위 법률 제3조 제1항 제3호 소정의 하한을 넘고 있더라도 위 법률시행전의 법률에 따라 처단하여야 한다.",
"특정경제범죄법 시행 전후에 걸쳐 상습사기 범행을 한 자가 위 법률시행 이후 취득한 가액이 동법 제3조 제1항 제3호의 구성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그중 법정형이 중한 위 법률위반의 죄에 나머지 행위를 포괄시켜 특정경제범죄법 위반의 죄로 처단해야 한다는 것이 다수의견이고, 소수의견은 위 법률시행전의 법률에 따라 처단해야 한다고 본다."
] |
law
|
8b9ed657-45d2-4d0d-8167-81e7031f1bbd
|
살인
|
비록 순간적이나마 피해자를 살해할 것을 결심하고 피해자를 밀어서 땅에 넘어뜨리고 손으로 그 목을 졸라 실신시킨 다음 약 5내지 6보 도망가다가 피해자가 신음소리를 내며 그 옆에 있는 군사용 개인호 안으로 굴러떨어지자 되돌아와서 피해자가 가지고 있던 핸드백 끈을 두겹으로 하여 그 목에 1회 감아 양손으로 힘껏 졸라 즉시 그곳에서 질식케 하여 사망에 이르게 하였다면 이는 살인죄를 구성하는 것이고 상해치사 또는 폭행치사가 아님이 명백하다.
|
[
"피해자를 밀어서 땅에 넘어뜨리고 손으로 그 목을 졸라 실신시킨 다음 약 5내지 6보 도망가다가 피해자가 신음소리를 내며 그 옆에 있는 군사용 개인호 안으로 굴러떨어지자 되돌아와서 피해자가 가지고 있던 핸드백 끈을 두겹으로 하여 그 목에 1회 감아 양손으로 힘껏 졸라 즉시 그곳에서 질식케 하여 사망에 이르게 하였다면 이는 살인죄를 구성하는 것이고 상해치사 또는 폭행치사가 아님이 명백하다.",
"피해자를 땅에 넘어뜨리고 목을 조른 뒤 도망을 가다가 다시 돌아와 피해자의 핸드백으로 피해자를 질식시켜 사망에 이르게 했다면 이는 상해치사 또는 폭행치사가 아닌 살인죄로 보아야 한다."
] |
law
|
53c086b9-7aed-4658-abe3-c14d75dc9f2a
|
국가보안법위반
|
국가보안법 제7조 제1항 소정의 반국가단체를 이롭게 하는 행위라는 것은 그 행위의 내용이 객관적으로 반국가단체의 이익이 될 수 있고 정상적인 정신과 상당한 지능지식을 가진 사람이면 그 행위가 반국가단체를 이롭게 하는 것이라고 인식하거나 또는 이익이 될 수 있다는 미필적 인식이 있으면 위 죄가 성립하고 적극적으로 반국가단체를 이롭게 하려는 목적의식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
[
"국가보안법 제7조 제1항 소정의 반국가단체를 이롭게 하는 행위라는 것은 그 행위의 내용이 객관적으로 반국가단체의 이익이 될 수 있고 정상적인 정신과 상당한 지능지식을 가진 사람이면 그 행위가 반국가단체를 이롭게 하는 것이라고 인식하거나 또는 이익이 될 수 있다는 미필적 인식이 있으면 적극적으로 반국가단체를 이롭게 하려는 목적의식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국가보안법 제7조 제1항 소정의 반국가단체를 이롭게 하는 행위는 객관적으로 반국가단체에 이익이 되고 정상적인 지능의 사람이 반국가단체에 이익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인식할 수 있는 정도라면 그 죄가 성립된다 할 것이고 반드시 그 목적의식을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 |
law
|
cf1461b2-c530-4013-a3cf-2bd39d83fe58
|
손해배상
|
가. 형식상으로는 비록 일용노동자로 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일용관계가 간단없이 계속되어 상용근로자로 봄이 상당한 경우, 사용자로서는 그 취업규칙 및 보수규정상의 직원에 준하여 그에 규정된 퇴직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나. 사용자측의 불법행위로 인한 근로자의 퇴직금상당의 손해액을 산정함에 있어 근로자가 그 가동연한인 55세가 끝날때까지 사용자 회사에 근로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근로기준법상의 퇴직금상당 손해를 입었다고 할 수 있기 위하여는 단순히 근로자의 가동기간을 인정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그 고용기간에 관하여 근로자와 사용자 회사사이에 그와 같은 내용으로 된 사실상의 근로계약이 있다든가, 또는 사용자 회사의 취업규칙 및 보수규정상 그에 대한 규정이 있음이 전제로 되어야 하고, 특히 근로자와 사용자 회사사이에 형식적인 고용계약이 이루어지지 않은 때에는 그 고용계약이 사실상 언제까지 계속될 것인지를 따져 보아야 한다.
다. 근로기준법상의 평균임금은 일실수익상당의 손해를 산정하는 기준이 아니다.
|
[
"가. 형식상으로는 비록 일용노동자로 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일용관계가 간단없이 계속되어 상용근로자로 봄이 상당한 경우, 나. 사용자측의 불법행위로 인한 근로자의 퇴직금상당의 손해액을 산정함에 있어 근로자가 그 가동연한인 55세가 끝날때까지 사용자 회사에 근로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근로기준법상의 퇴직금상당 손해를 입었다고 할 수 있기 위하여는 단순히 근로자의 가동기간을 인정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특히 근로자와 사용자 회사사이에 형식적인 고용계약이 이루어지지 않은 때에는 그 고용계약이 사실상 언제까지 계속될 것인지를 따져 보아야 한다.",
"형식상의 조건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일용관계가 계속되는 경우 일용노동자가 아닌 상용근로자로 봐야 할 것이고, 사용자 측의 불법행위로 근로자의 퇴직금상당의 손해액을 산정할 때는 가동연한 55세로 설정하여 일률적으로 판단할 것이 아니라 근로자와 사용자 사이 고용계약이 사실상 언제까지 계속될 것인지 따져 판단한다."
] |
law
|
43f71bbe-7960-45a3-9378-99a55ff5e56d
|
위자료등
|
가. 근로기준법 제82조 소정의 업무상 사망으로 인정되기 위하여는 당해 사망이 업무수행중의 사망이어야 함은 물론이고, 업무에 기인하여 발생한 것으로서 업무와 사망과의 사이에 상당인과관계가 있는 것이어야 한다.
나.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11조 제1항은 동법이 근로기준법상의 각종의 재해보상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터이어서 보험가입자로 하여금 이중의 보상책임으로부터 벗어나게 하려는데 그 취지가 있는 것 뿐이므로 위 규정을 수급권자가 위 법에 의한 보험급여를 받지 못하게 확정된 경우에 수급권자는 동일한 사유로 보험가입자인 사업주에 대하여 근로기준법상의 재해보상금을 다시 청구할 수 없다고 확장해석할 수는 없다.
|
[
"가. 근로기준법 제82조 소정의 업무상 사망으로 인정되기 위하여는 당해 사망이 업무수행중의 사망이어야 함은 물론이고, 업무와 사망과의 사이에 상당인과관계가 있는 것이어야 한다. 나.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11조 제1항은 동법이 근로기준법상의 각종의 재해보상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터이어서 보험가입자로 하여금 이중의 보상책임으로부터 벗어나게 하려는데 그 취지가 있는 것 뿐이므로 위 규정을 수급권자가 위 법에 의한 보험급여를 받지 못하게 확정된 경우에 수급권자는 동일한 사유로 보험가입자인 사업주에 대하여 근로기준법상의 재해보상금을 다시 청구할 수 없다고 확장해석할 수는 없다.",
"근로기준법 제82조 소정의 업무상 사망은 업무와 사망 사이 상당한 인과관계가 있고 업무수행중 사망이어야 하며 이에 대한 재해보상으로 수급권자가 위 법에 의한 보험급여를 받지 못하게 확정되었더라도 동일한 사유로 보험가입자인 사업주에 대하여 근로기준법상의 재해보상금을 다시 청구할 수 없다고 볼 수는 없다."
] |
law
|
5e8e20a8-ae99-4a15-873e-7683cfa3c43e
|
손해배상
|
환지계획변경처분으로 원고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가 경료되었으나 그후 위 변경처분으로 인하여 불이익을 입게 된 소외인이 동 처분의 취소를 구하는 행정소송을 제기하여 승소판결을 받아 이를 근거로 원고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의 말소청구소송을 제기하여 동 소외인 승소판결이 확정됨에 따라 원고가 그 소유권상실의 손해를 입게 된 경우, 원고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는 위 취소판결 자체의 효력에 의하여 당연히 말소되는 것이 아니라 소외인이 위 취소판결의 존재를 법률요건으로 주장하여 원고에게 그 말소를 구하는 소송을 제기하여 승소의 확정판결을 얻어야 비로소 말소될 수 있는 것이며, 위 말소청구소송에서의 승패 또한 위 취소판결의 존재가 주장되었다는 한가지 사실만으로 바로 판가름나는 것이라 할 수 없고 당사자의 주장 입증내용에 따라 달라질 여지가 있는 것이라 할 것이므로 원고는 위 말소청구의 소장부본을 송달받은 때가 아니라 위 말소청구의 소에서 원고패소가 확정됨으로써 비로소 그 손해를 알게 되었다고 봄이 상당하다.
|
[
"그후 위 변경처분으로 인하여 불이익을 입게 된 소외인이 동 처분의 취소를 구하는 행정소송을 제기하여 승소판결을 받아 이를 근거로 원고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의 말소청구소송을 제기하여 동 소외인 승소판결이 확정됨에 따라 원고가 그 소유권상실의 손해를 입게 된 경우, 위 말소청구소송에서의 승패 또한 위 취소판결의 존재가 주장되었다는 한가지 사실만으로 바로 판가름나는 것이라 할 수 없고 당사자의 주장 입증내용에 따라 달라질 여지가 있는 것이라 할 것이므로 원고는 위 말소청구의 소장부본을 송달받은 때가 아니라 위 말소청구의 소에서 원고패소가 확정됨으로써 비로소 그 손해를 알게 되었다고 봄이 상당하다.",
"환지계획변경처분으로 불이익을 입게 된 소외인이 처분의 취소를 구하는 행정소송을 제기하여 승소판결을 받고 이를 근거로 소유권이전등기 말소청구소송을 제기하여 승소판결을 받아 원고가 손해를 입게 된 경우, 말소청구소송에서의 승패는 당사자의 주장 입증내용에 따라 달라질 여지가 있으므로 원고는 말소청구의 소에서 원고패소가 확정됨으로써 그 손해를 알게 되었다고 보는 것이 상당하다."
] |
law
|
91be53ce-621d-48c2-a866-3f3c1d67fd07
|
보증금등
|
가. 시설대여(리스)는 시설대여회사가 대여시설 이용자가 선정한 특정물건을 새로이 취득하거나 대여받아 그 물건에 대한 직접적인 유지, 관리책임을 지지 아니하면서 대여시설이용자에게 일정기간 사용케 하고 그 기간에 걸쳐 일정대가를 정기적으로 분할하여 지급받으며 그 기간 종료후의 물건의 처분에 관하여는 당사자간의 약정으로 정하는 계약으로서, 형식에서는 임대차계약과 유사하나 그 실질은 물적금융이고 임대차계약과는 여러가지 다른 특질이 있기 때문에 시설대여(리스)계약은 비전형계약(무명계약)이고 따라서 이에 대하여는 민법의 임대차에 관한 규정이 바로 적용되지는 아니한다.
나. 손해배상책임의 발생을 인정한 법원으로서는 손해액에 관한 당사자의 주장과 입증이 미흡하더라도 적극적으로 석명권을 행사하여 입증을 촉구하여야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직권으로 손해액을 심리판단해야 한다.
|
[
"그 기간에 걸쳐 일정대가를 정기적으로 분할하여 지급받으며 그 기간 종료후의 물건의 처분에 관하여는 당사자간의 약정으로 정하는 계약으로서, 임대차계약과는 여러가지 다른 특질이 있기 때문에 시설대여(리스)계약은 비전형계약(무명계약)이고 따라서 이에 대하여는 민법의 임대차에 관한 규정이 바로 적용되지는 아니한다. 나. 손해배상책임의 발생을 인정한 법원으로서는 손해액에 관한 당사자의 주장과 입증이 미흡하더라도 적극적으로 석명권을 행사하여 입증을 촉구하여야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직권으로 손해액을 심리판단해야 한다.",
"시설대여(리스)는 대여시설이용자에게 일정기간 사용케 하고 일정대가를 정기적으로 분할하여 지급받으며 그 기간 종료후의 물건의 처분에 관하여는 당사자간의 약정으로 정하는 계약으로서, 임대차계약과는 여러가지 다른 특질이 있기 때문에 민법의 임대차에 관한 규정이 바로 적용되지는 않고, 손해배상책임의 발생을 인정한 법원으로서는 손해액에 관한 당사자의 주장과 입증이 미흡하더라도 적극적으로 석명권을 행사하여 입증을 촉구하여야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직권으로 손해액을 심리판단해야 한다."
] |
law
|
c1768754-1c0b-4741-afb1-a6a8e2ff0bb3
|
가등기에기한본등기,가등기말소
|
피고가 사채알선업자를 통하여 원고와 소외인으로부터 그 소유부동산에 관하여 담보목적의 가등기를 경료해 주고 금원을 차용하였다가 위 사채알선업자에게 동 채무원리금을 모두 변제하고 교부받았다는 영수증이 만일 진정히 작성된 것이라면 위 영수증이 작성된 후 위 소외인에 의하여 제기된 위 가등기에 기한 소유권이전의 본등기청구소송에서 위 영수증이 제출되지 않는다거나 또 그 소송후 원리금을 다시 변제한다는 것은 이례적인 것으로서 특단의 사정이 없는 한 위 영수증의 내용은 의심스러운 것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고 아울러 그 나머지 부분인 원고에 대한 채무변제 역시 일응 의심스럽다고 보는 것이 경험칙상 상당하다.
|
[
"피고가 사채알선업자를 통하여 원고와 소외인으로부터 그 소유부동산에 관하여 담보목적의 가등기를 경료해 주고 금원을 차용하였다가 위 사채알선업자에게 동 채무원리금을 모두 변제하고 위 영수증이 작성된 후 위 소외인에 의하여 제기된 위 가등기에 기한 소유권이전의 본등기청구소송에서 위 영수증이 제출되지 않는다거나 또 그 소송후 원리금을 다시 변제한다는 것은 이례적인 것으로서 특단의 사정이 없는 한 위 영수증의 내용은 의심스러운 것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고 아울러 그 나머지 부분인 원고에 대한 채무변제 역시 일응 의심스럽다고 보는 것이 경험칙상 상당하다.",
"영수증이 진정히 작성된 것일지라도 등기에 기한 소유권이전의 본등기청구소송에서 위 영수증이 제출되지 않는다거나 또 그 소송후 원리금을 다시 변제한다는 것은 영수증의 내용이 의심스럽다 볼 수 있고 나머지 부분인 원고에 대한 채무변제 역시 의심스럽다 볼 수 있다."
] |
law
|
f8e4a7a8-c341-4c7f-b192-57eb2f848091
|
토지소유권이전등기말소등
|
부동산의 점유로 인한 시효취득자는 취득시효완성당시의 소유자에 대하여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을 가질뿐 그 등기전에 먼저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하여 부동산소유권을 취득한 제3자에 대하여 시효취득을 주장할 수 없는 것이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그 제3자 명의의 등기가 적법 유효함을 전제로 하는 것이므로 만일 위 제3자 명의의 등기가 원인무효라면 동인에게 대항할 수 있고, 따라서 취득시효완성당시의 소유자에 대하여 가지는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으로서 위 소유자를 대위하여 동인앞으로 경료된 원인무효인 등기의 말소를 구하고 아울러 위 소유자에게 취득시효완성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를 구할 수 있다.
|
[
"부동산의 점유로 인한 시효취득자는 취득시효완성당시의 소유자에 대하여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을 가질뿐 그 등기전에 먼저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하여 부동산소유권을 취득한 제3자에 대하여 시효취득을 주장할 수 없는 것이지만 만일 위 제3자 명의의 등기가 원인무효라면 따라서 취득시효완성당시의 소유자에 대하여 가지는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으로서 위 소유자를 대위하여 동인앞으로 경료된 원인무효인 등기의 말소를 구하고",
"부동산의 점유로 인한 시효취득자는 그 등기전에 먼저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하여 부동산소유권을 취득한 제3자에 대하여 시효취득을 주장할 수 없지만 만일 위 제3자 명의의 등기가 원인무효라면 취득시효완성당시의 소유자에 대하여 가지는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으로서 위 소유자를 대위하여 동인앞으로 경료된 원인무효인 등기의 말소를 구하고 아울러 위 소유자에게 취득시효완성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를 구할 수 있다."
] |
law
|
5c5a79eb-7c63-4653-939d-a3a2af5da612
|
전부금
|
대출금회수를 위하여 은행이 지출하는 법적절차비용을 은행이 정하는 바에 따라 채무자가 변상하기로 하는 취지의 약정을 한 경우, 이러한 약정은 사법상의 손해배상의 예약이라 봄이 상당하고 이러한 약정이 있었다하더라도 그 손해액은 상당한 범위내의 손해이어야 할 것인 즉 위 법적절차비용이 변호사보수인 때에 그 보수가 상당한 범위내의 것이냐 여부는 변호사보수중 소송비용산입에 관한 규칙에 의한 보수기준도 일응 참작이 되지만 종국적인 판단기준이 되는 것은 아니며 그외 소속 변호사회의 규약, 소송물가액, 사건의 난이도, 소송진행과정, 판결결과등 여러가지 사정을 참작하여 합리적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
[
"대출금회수를 위하여 은행이 지출하는 법적절차비용을 은행이 정하는 바에 따라 채무자가 변상하기로 하는 취지의 약정을 한 경우, 이러한 약정이 있었다하더라도 그 손해액은 상당한 범위내의 손해이어야 할 것인 즉 위 법적절차비용이 변호사보수인 때에 그 보수가 상당한 범위내의 것이냐 여부는 변호사보수중 소송비용산입에 관한 규칙에 의한 보수기준도 일응 참작이 되지만 종국적인 판단기준이 되는 것은 아니며 그외 소속 변호사회의 규약, 판결결과등 여러가지 사정을 참작하여 합리적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대출금 회수를 위하여 은행이 지출하는 법적절차비용을 채무자가 변상하기로 하는 취지의 약정을 한 경우, 이러한 약정이 있었다하더라도 그 손해액은 상당한 범위내의 손해이어야 할 것인 즉 위 법적절차비용이 변호사보수인 때에 그 보수가 상당한 범위내의 것이냐 여부는 변호사보수중 소송비용산입에 관한 규칙에 의한 보수기준도 일응 참작이 되지만 종국적인 판단기준이 되는 것은 아니며 그외 소속 변호사회의 규약, 소송물가액, 사건의 난이도, 소송진행과정, 판결 결과등 여러가지 사정을 참작하여 합리적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 |
law
|
b4bc2172-b230-466b-a717-c1e83bda2206
|
부당이득금반환
|
지방자치단체가 무허가건물 철거민들에 대한 이주대책의 일환으로 타인소유의 토지위에 임의로 도로를 개설하고 구획을 정리한 후 철거민들에게 목재, 철근, 시멘트등 각종 건축자재를 무상으로 대여하여 동인들로 하여금 주택을 건립하여 거주토록 하였다면 비록 위 토지상에 건립된 건물을 직접 점유하고 있는 것은 철거민들이라 할지라도 위 지방자치단체 역시 그 지상에 도로를 개설하고 구획을 정리한 뒤 철거민들에게 집단거주지로 제공함으로써 철거민들과 함께 공동으로 이를 점유사용함으로써 이익을 얻고 있다 할 것이다.
|
[
"지방자치단체가 무허가건물 철거민들에 대한 이주대책의 일환으로 타인소유의 토지위에 임의로 도로를 개설하고 비록 위 토지상에 건립된 건물을 직접 점유하고 있는 것은 철거민들이라 할지라도 위 지방자치단체 역시 그 지상에 도로를 개설하고 구획을 정리한 뒤 철거민들에게 집단거주지로 제공함으로써 철거민들과 함께 공동으로 이를 점유사용함으로써 이익을 얻고 있다 할 것이다.",
"지방자치단체가 무허가건물 철거민들의 이주대책으로 타인 소유의 토지 위에 임의의 도로를 개설하고 철거민들에게 건축자재를 무상으로 대여해 주택을 건립하여 거주하도록 했다면 지방자치단체도 이러한 토지를 철거민들과 함께 공동으로 점유사용하여 이익을 얻고 있다고 할 것이다."
] |
law
|
7040eecc-9a91-4d9a-ab6f-fbd44d4ba0aa
|
부당이득금반환
|
자기소유 토지를 매도하고 매수인이 중도금을 지급하면서 그가 위 토지를 매수한 후 새마을도로로 서울특별시에 기부할 예정으로 있으니 미리 소유권이전 전이라도 매도인 명의로 서울시에 기부할 수 있도록 편의를 봐 달라고 요청하여 매도인이 이를 승낙하고 기부채납용으로 용도를 정한 인감증명서와 동인장이 날인된 기부채납원, 증여계약서, 등기촉탁승낙서 등을 매수인에게 교부하였다면 매도인은 위 매수인을 통하여 그 토지를 서울시에 기부한다는 의사를 표시한 것으로 보지 못할 바 아니다.
|
[
"매수인이 중도금을 지급하면서 그가 위 토지를 매수한 후 새마을도로로 서울특별시에 기부할 예정으로 있으니 미리 소유권이전 전이라도 매도인 명의로 서울시에 기부할 수 있도록 편의를 봐 달라고 요청하여 매도인이 이를 승낙하고 증여계약서, 등기촉탁승낙서 등을 매수인에게 교부하였다면 매도인은 위 매수인을 통하여 그 토지를 서울시에 기부한다는 의사를 표시한 것으로 보지 못할 바 아니다.",
"토지를 매도하고 중도금을 지급하면서 매수 후 서울특별시에 기부 예정이므로 소유권 이전 전이라도 기부할 수 있도록 편의를 봐달라고 요청한 경우 이를 승낙하여 기부채납용으로 용도를 정한 인감증명서와 기부채납원 등을 매수인을 교부했다면 매도인은 매수인을 통해 그 토지를 서울시에 기부한다는 의사를 표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
law
|
3e3126c8-834f-46ae-bbb5-8d8dd63959f4
|
부금반환
|
원고가 피고 상호신용금고의 차장으로 있던 소외인의 권유에 따라 피고와 신용부금계약을 맺고 1회 불입금을 불입하자 소외인이 위 1회 불입금은 피고금고에 입금하였으나 그 후 동인은 피고금고를 사직하고서도 위 신용부금계약증서를 원고가 동인에게 맡겨두고 있음을 기화로 그 후에도 7회에 걸쳐 계속 원고로부터 원고의 사무실 등에서 위 불입금을 교부받아 피고금고에 입금치 않고 이를 횡령한 경우, 피고금고로서도 그 사이 원고에 대하여 위 불입금의 지급독촉이나 약관에 따른 부금계약의 해제조치도 없이 그대로 방치해두었고 위 소외인이 원고에게 한 것과 같이 고객에게 부금가입을 권유하거나 수금을 하기 위하여 자주 자리를 비우는 자였다면 비록 원고가 다른 거래관계로 피고금고 사무실에 자주 드나들었고 그때마다 위 소외인이 그 자리에 없었다 하더라도 원고로서는 위 소외인이 피고 금고를 사직한 사실을 모른데 대해 어떤 과실이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
|
[
"그 후 동인은 피고금고를 사직하고서도 위 신용부금계약증서를 원고가 동인에게 맡겨두고 있음을 기화로 그 후에도 7회에 걸쳐 계속 원고로부터 원고의 사무실 등에서 위 불입금을 교부받아 피고금고에 입금치 않고 이를 횡령한 경우, 피고금고로서도 그 사이 원고에 대하여 위 불입금의 지급독촉이나 약관에 따른 부금계약의 해제조치도 없이 그대로 방치해두었고 위 소외인이 원고에게 한 것과 같이 고객에게 부금가입을 권유하거나 수금을 하기 위하여 자주 자리를 비우는 자였다면 비록 원고가 다른 거래관계로 피고금고 사무실에 자주 드나들었고 그때마다 위 소외인이 그 자리에 없었다 하더라도 원고로서는 위 소외인이 피고 금고를 사직한 사실을 모른데 대해 어떤 과실이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
"위 소외인이 원고가 다른 거래 관계로 사무실에 방문할 때마다 자리에 없었더라도 피고금고로서도 그 사이 원고에 대하여 위 불입금의 지급독촉이나 약관에 따른 부금계약의 해제조치도 없이 그대로 방치해두었고 소외인은 업무로 자리를 자주 비우는 자임을 비추어 볼 때, 소외인이 피고 금고를 사직한 사실을 모르는 것에 과실이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
] |
law
|
f5936bcb-19df-41af-ba36-25704b28a06d
|
이혼
|
피청구인이 청구인을 버리고 근 8년간 자식들의 집에 전전하게 된 내면적인 원인이 청구인의 주벽과 사업실패로 인한 가정파탄 때문이고 30여년간 피청구인과 살면서 6명의 자녀를 낳고 손자까지 본 청구인으로서 좀더 적극적으로 피청구인을 이해하고 설득하여 원만한 가정생활을 이루도록 하여야 함에도 자식들의 집으로 전전 생활해 온 피청구인을 찾아보지도 않고 자식들에게 연락하지도 아니한 것은 청구인이 남편으로서의 소임을 다하지 못한 처사라 할 것이어서 피청구인이 청구인의 곁을 떠나 자식들의 집으로 전전한다는 것만으로는 피청구인이 청구인을 악의로 유기하였다거나 이로 인하여 그들 사이의 혼인이 도저히 계속할 수 없을 정도로 파경 이르렀다고 볼 수 없다.
|
[
"피청구인이 청구인을 버리고 근 8년간 자식들의 집에 전전하게 된 내면적인 원인이 청구인의 주벽과 사업실패로 인한 가정파탄 때문이고 설득하여 원만한 가정생활을 이루도록 하여야 함에도 자식들의 집으로 전전 생활해 온 피청구인을 찾아보지도 않고 자식들에게 연락하지도 아니한 것은 청구인이 남편으로서의 소임을 다하지 못한 처사라 할 것이어서 피청구인이 청구인의 곁을 떠나 자식들의 집으로 전전한다는 것만으로는 피청구인이 청구인을 악의로 유기하였다거나 이로 인하여 그들 사이의 혼인이 도저히 계속할 수 없을 정도로 파경 이르렀다고 볼 수 없다.",
"피청구인이 청구인을 버리고 8년간 자식들의 집에 전전생활해온 것은 청구인의 주벽과 사업실패로 인한 가정파탄때문이며 피청구인을 찾지도 않은 것은 남편으로서 소임을 다하지 못 한 것인바, 피청구인이 청구인을 악의로 유기하였고 이로 인해 혼인이 계속될 수 없다고 볼 수는 없다."
] |
law
|
1387c51f-eb62-451c-9e42-7128e1746a68
|
토지수용재결처분취소
|
가. 상소는 자기에게 불이익한 재판에 대하여 자기에게 유리하게 취소변경을 구하기 위하여 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상소제도의 본질에 비추어 승소판결에 대한 불복상고는 설사 이유에 불복이 있다 하더라도 이를 허용할 수 없다.
나. 수용대상토지에 대한 손실보상액은 토지수용에 관한 재결처분의 불가분적 일부를 이루는 것이므로 중앙토지수용위원회의 재결에 대한 항고소송의 심리결과 보상액 산정부분에 한하여 위법이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라도 법원으로서는 그 재결처분전부를 취소할 것이고 그 처분중 보상액 부분만을 분리하여 취소할 것은 아니다.
다. 토지수용에 대한 보상액의 산정에 있어서 그 평가의 기준 및 평가방법의 여하에 따라 평가의 결과(보상의 금액)가 달라질 수 있음은 통상 예상할 수 있는 것이므로 법원이 토지수용 재결처분에 대한 항고소송을 심리한 결과 보상액평가에 관한 원칙의 선택이 위법함을 단정하게 된 이상, 그러한 잘못에도 불구하고 보상액산정 자체는 적절한 것이었다고 인정할 만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법원은 위의 위법만으로도 재결처분자체의 위법을 단정하여 이를 취소할 수 있는 것이고 이와 같은 경우 반드시 정당한 기준 및 방법에 따른 보상액을 심리하여 재결처분상의 보상액과 대비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라. 기준지가 대상지역의 공고는 되었으나 미처 표준지의 선정이 없고 따라서 적법한 기준지가의 고시가 되지 아니한 지역의 토지를 수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당해 지역내에는 적용할 기준지가가 없고 그렇다고 하여 인근 내지 유사지역에 소재한 표준지의 기준지가를 기준으로 하는 것도 표준지의 선정목적 및 선정기준에 비추어 적절하지 아니하다고 할 것이어서 결국 보상액의 산정은 토지수용법 제46조의 일반규정에 의할 수 밖에 없다.
|
[
"중앙토지수용위원회의 재결에 대한 항고소송의 심리결과 보상액 산정부분에 한하여 위법이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라도 법원으로서는 그 재결처분전부를 취소할 것이고 보상액산정 자체는 적절한 것이었다고 인정할 만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법원은 위의 위법만으로도 재결처분자체의 위법을 단정하여 이를 취소할 수 있는 것이고 미처 표준지의 선정이 없고 따라서 적법한 기준지가의 고시가 되지 아니한 지역의 토지를 수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당해 지역내에는 적용할 기준지가가 없고 그렇다고 하여 인근 내지 유사지역에 소재한 표준지의 기준지가를 기준으로 하는 것도 표준지의 선정목적 및 선정기준에 비추어 적절하지 아니하다고 할 것이어서",
"표준지의 선정목적 및 선정기준에 적절하지 않은 표준지의 기준지가를 기준으로 보상액산정을 한 것은 위법하므로 법원은 재결처분자체의 위법을 이유로 재결처분의 전부를 취소하였다."
] |
law
|
7cb3caf0-7976-4a08-8c03-d9d3b6c04c8f
|
파면처분취소
|
가. 지정세관제도운영요령 제9조 제11호가 지정세관등록업체에 대하여는 수입신고시 수출입 허가서와 송품장 및 포장명세서만 제출하면 기타 서류에 대한 사후보완을 허용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이는 기타 서류의 보완시기에 관한 특칙일뿐 보완요구를 하는 경우 그 보완요구의 방법에 관한 특칙은 아니므로 지정세관등록업체에 대하여 수입신고서와 기타 제출서류의 보완요구를 할 때에도 세관공무원으로서는 수입통관사무처리요령 제3조 제1항의 규정에 따라서 담당과장 명의로 작성한 보완요구서를 교부 내지 우송하는 방법으로 해야 한다.
나. 관세율표 제16부 주3의 규정에 의하면 둘 이상의 기계가 함께 결합되어 하나의 기계를 구성하는 것은 따로 규정한 것 이외에는 그 주된 기능에 따라 분류하도록 되어 있기는 하나 그 복합기계를 구성하는 기계나 부분품들이 어느 다른 세번에 특계되어 있고 명백하게 한정된 단일의 기능을 함께 수행하도록 제작된 것이 아니라 다른 곳에도 두루 쓰일 수 있는 것이라면 그 구성부분들은 위주에서 그 적용을 배제하고 있는 "따로 규정한 것"에 해당되어 각기 특계세번을 적용하여 구분분류함이 상당하다.
|
[
"기타 서류에 대한 사후보완을 허용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이는 기타 서류의 보완시기에 관한 특칙일뿐 보완요구를 하는 경우 그 보완요구의 방법에 관한 특칙은 아니므로 지정세관등록업체에 대하여 수입신고서와 기타 제출서류의 보완요구를 할 때에도 세관공무원으로서는 수입통관사무처리요령 제3조 제1항의 규정에 따라서 담당과장 명의로 작성한 보완요구서를 교부 내지 우송하는 방법으로 해야 한다. 둘 이상의 기계가 함께 결합되어 하나의 기계를 구성하는 것은 따로 규정한 것 이외에는 그 주된 기능에 따라 분류하도록 되어 있기는 하나 그 복합기계를 구성하는 기계나 부분품들이 어느 다른 세번에 특계되어 있고 명백하게 한정된 단일의 기능을 함께 수행하도록 제작된 것이 아니라 다른 곳에도 두루 쓰일 수 있는 것이라면 그 구성부분들은 위주에서 그 적용을 배제하고 있는 \"따로 규정한 것\"에 해당되어 각기 특계세번을 적용하여 구분분류함이 상당하다.",
"지정세관제도운영요령 제9조는 지정세관등록업체에 대해 수입신고시 수출입 허가서와 명세서만 제출하면 사후보완을 허용하고 있으나 이는 보완시기에 관한 특칙이므로 보완요구의 방법은 수입통관사무처리요령 제3조에 따라 교부 또는 우송의 방법으로 해야하고, 관세율표 제16부 주3의 규정에 의하면 둘 이상의 기계가 함께 결합되어 하나를 구성하고 있는 경우 한정된 단일의 기능을 함께 수행하도록 제작된 것이 아니라 다른 곳에서도 쓰일 수 있다면 그 구성부분은 따로 규정한 것에 해당되어 특계세번을 적용해 구분분류해야한다."
] |
law
|
ff1aa034-e7d9-4c0b-912b-4ad1b9758def
|
손실보상금재결처분취소
|
가. 변제공탁의 경우 채권자가 반대급부 또는 기타 조건의 이행을 할 의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채무자가 이를 조건으로 공탁한 때에는 채권자가 이를 수락하지 않는 한 그 변제공탁은 효력이 없으며 그 뒤 채무자의 공탁에 붙인 조건의 철회정정청구에 따라 공탁공무원으로부터 위 정정청구의 인가결정이 있었다 하더라도 그 변제공탁은 인가결정시부터 반대급부조건이 없는 변제공탁으로서의 효력을 갖는 것으로서 그 효력이 당초의 변제공탁시로 소급하는 것은 아니다.
나. 토지수용에 있어서 기업자가 지방토지수용위원회의 원재결에 정한 토지수용보상금을 공탁함에 있어 토지소유권이전에 필요한 일체의 서류를 반대급부로 제공할 것을 조건으로 하였고 원재결수용시기 이후에야 반대급부 없는 공탁으로 정정인가결정이 있었다면 토지수용에 있어서 토지소유자가 위 서류를 반대급부로 제공할 의무가 없고 그 정정인가의 효력이 당초의 공탁시나 원재결수용시기에 소급되는 것이 아니므로 위 공탁은 원재결대로의 보상금지급의 효력이 없으며 따라서 원재결은 토지수용법 제65조에 의한 기업자가 수용시기까지 재결보상금을 지급 또는 공탁하지 아니한 때에 해당하여 그 효력을 상실하였다 할 것이고 실효된 원판결을 유효한 재결로 보고서 한 중앙토지수용위원회의 이의재결도 또한 위법하여 무효이다.
다. 위의 중앙토지수용위원회의 이의재결이 절대적 무효는 아니므로 이의취소나 무효확인을 구할 이익은 있다.
|
[
"가. 변제공탁의 경우 채권자가 반대급부 또는 기타 조건의 이행을 할 의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나. 토지수용에 있어서 기업자가 지방토지수용위원회의 원재결에 정한 토지수용보상금을 공탁함에 있어 토지소유권이전에 필요한 일체의 서류를 반대급부로 제공할 것을 조건으로 하였고 원재결수용시기 이후에야 반대급부 없는 공탁으로 정정인가결정이 있었다면 실효된 원판결을 유효한 재결로 보고서 한 중앙토지수용위원회의 이의재결도 또한 위법하여 무효이다.",
"변제공탁의 경우 채권자가 반대급부 또는 기타 조건의 이행의무가 없는데도 채무자가 이를 조건으로 공탁한 때 채권자가 수락하지 않으면 변제공탁의 효력이 없을 것으로 보고, 토지수용에 있어 기업자가 지방토지수용위원회의 원재결에 정한 토지수용보상금을 공탁할 때 소유권이전에 필요한 서류를 반대급부로 제공할 것을 조건으로 하여 반대급부 없는 공탁으로의 정정인가결정을 내렸다면 이는 무효사항에 해당하여, 이를 유효한 것으로 보고 중앙토지수용위원회가 내린 이의재결도 위법하다 볼 것이다."
] |
law
|
eaa99a2c-9d43-4488-89f5-38020f3f835f
|
양도소득세등부과처분취소
|
소득세법 제23조 제4항, 제45조 제1항 제1호의 규정에 의하더라도 자산양도차익의 계산을 함에 있어 양도가액과 취득가액 모두를 반드시 기준시가가 아니면 실지거래가액중 한가지로만 결정하여 계산하여야 한다는 해석은 나오지 않고 오히려 동 규정들은 양도가액과 취득가액산정에 있어 각 본문과 단서의 규정을 달리 적용하는 것 즉, 취득가액과 양도가액중 그 어느 하나를 기준시가에 의하는 경우 다른 하나는 실지거래가액에 의하여 결정할 수있음을 가능케 하고 있는 규정들이라고 해석되므로 소득세법시행령 제170조 제1항 단서가 그와 같은 예외적 규정을 둔 것이 모법인 위 규정들에 부합하지 않는 것이라고 볼 수 없고 이는 단지 모법의 해석상 가능하게 되어 있는 양도차익의 계산방법을 명시한 것에 지나지 아니하므로 모법에 별도의 위임규정이 있을 것도 필요로 하지 않는 규정이다.
|
[
"제45조 제1항 제1호의 규정에 의하더라도 자산양도차익의 계산을 함에 있어 양도가액과 취득가액 모두를 반드시 기준시가가 아니면 실지거래가액중 한가지로만 결정하여 계산하여야 한다는 해석은 나오지 않고 오히려 동 규정들은 양도가액과 취득가액산정에 있어 각 본문과 단서의 규정을 달리 적용하는 것 즉, 취득가액과 양도가액중 그 어느 하나를 기준시가에 의하는 경우 다른 하나는 실지거래가액에 의하여 결정할 수있음을 가능케 하고 있는 규정들이라고 해석되므로 소득세법시행령 제170조 제1항 단서가 그와 같은 예외적 규정을 둔 것이 모법인 위 규정들에 부합하지 않는 것이라고 볼 수 없고 이는 단지 모법의 해석상 가능하게 되어 있는 양도차익의 계산방법을 명시한 것에 지나지 아니하므로 모법에 별도의 위임규정이 있을 것도 필요로 하지 않는 규정이다.",
"소득세법 제23조 제4항, 제45조 제1항 제1호의 규정은 양도가액과 취득가액산정에 있어 각 본문과 단서의 규정을 달리 적용함으로 해석되어야 하는바, 소득세법시행령 제170조 제1항 단서가 그와 같은 예외적 규정을 둔 것은 모법에 별도의 위임규정이 있을 것도 필요로 하지 않는 규정이다."
] |
law
|
3164c4cd-31d1-40e6-84c4-a946e2991741
|
재산세부과처분취소
|
지방세법시행령 제142조 제1항 제1호 제(6)목 "다"소정의 토지(즉, 토지구획정리사업의 시행으로 인하여 소유자가 환지받은 토지)란 환지예정지가 변경지정된 경우에는 새로이 지정된 환지예정지를 뜻하는 것이어서 비록 종전 토지의 공사가 사실상 완료된 때로부터 5년이 경과되었다 하더라도 새로운 환지예정지 지정일로부터 5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공한지라고 볼 수 없다.
|
[
"토지구획정리사업의 시행으로 인하여 소유자가 환지받은 토지)란 환지예정지가 변경지정된 경우에는 새로이 지정된 환지예정지를 뜻하는 것이어서 비록 종전 토지의 공사가 사실상 완료된 때로부터 5년이 경과되었다 하더라도 새로운 환지예정지 지정일로부터 5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공한지라고 볼 수 없다.",
"지방세법시행령 제142조 제1항 제1호 제(6)목 \"다\"소정의 토지는 환지예정지가 변경지정된 경우 새로 지정된 환지예정지로, 토지의 공사가 사실상 완료된 때로부터 5년이 경과되었어도 새로운 환지예정지 지정일로부터 5년이 경과되지 않았다면 공한지라 볼 수 없다."
] |
law
|
ca421ae3-c0a8-40f2-9a0d-0fd5a8edc744
|
재산세등부과처분취소
|
가. 관광숙박업을 목적사업으로 하는 법인이 경영하는 정구장업이 법인정관상의 고유목적사업으로 규정한 관광숙박업에 부대하는 사업범위에 포함되느냐의 여부는 관광사업법 제18조 제1항에 의한 사업계획승인의 유무 및 동법 제21조 제1항에 의한 등록유무와 관계없이 그 정구장업과 정관상의 목적사업인 관광숙박업과의 객관적인 관계에 따라 판단하여야 한다.
나. 관광숙박업을 목적사업으로 하는 법인이 정구장업에 사용하는 토지(정구장)가 관광사업법시행규칙 제16조의 규정에 의하여 등록한 대지면적에 포함된 것으로서 동 법인이 경영하는 관광호텔 영업구역내에 위치해 있고 그 출입도 위 구역내에서만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관광숙박업 이용객에 대한 편의제공을 위하여 설치 운용되는 것이라면 위와 같은 정구장의 위치, 설치의 목적과 운용실태등에 비추어 위 정구장업은 동 법인정관상의 고유목적사업인 "관광숙박업에 부대하는 사업"범위에 속하여 위 정구장으로 사용하는 토지는 법인의 비업무용 토지에 해당하지 않는다.
|
[
"가. 관광숙박업을 목적사업으로 하는 법인이 경영하는 정구장업이 법인정관상의 고유목적사업으로 규정한 관광숙박업에 부대하는 사업범위에 포함되느냐의 여부는 관광사업법 제18조 제1항에 의한 사업계획승인의 유무 및 동법 제21조 제1항에 의한 등록유무와 관계없이 그 정구장업과 정관상의 목적사업인 관광숙박업과의 객관적인 관계에 따라 판단하여야 한다. 동 법인이 경영하는 관광호텔 영업구역내에 위치해 있고 그 출입도 위 구역내에서만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관광숙박업 이용객에 대한 편의제공을 위하여 설치 운용되는 것이라면 설치의 목적과 운용실태등에 비추어 위 정구장업은 동 법인정관상의 고유목적사업인 \"관광숙박업에 부대하는 사업\"범위에 속하여 위 정구장으로 사용하는 토지는 법인의 비업무용 토지에 해당하지 않는다.",
"관광숙박업을 목적사업으로 하는 법인이 경영하는 정구장업이 관광숙박업에 부대하는 사업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는 관광사업법상 그 정구장업과 목적사업인 관광숙박업과의 객관적인 관계에 따라 판단되어야 하고, 법인이 경영하는 관광호텔 영업구역 내에 정구장업에 사용하는 토지가 위치해 있고 관광숙박업 이용객을 위한 것이라면 이는 정관상 목적사업인 \"관광숙박업에 부대하는 사업\"에 속하여 이러한 토지는 법인의 비업무용 토지에 해당하지 않는다."
] |
law
|
ccc686f7-babf-4cd9-9d7d-f5c13f7370ef
|
감봉처분취소
|
경찰관이 공소외인들이 노상에서 싸우는 것을 목격하고 이를 제지하자 그 중 1인이 욕설을 하며 대항한다는 이유로 동인의 멱살을 잡고 왼발목 부분을 걷어차 약 8주간의 치료를 요하는 상해를 입혔다면, 위와 같은 소위는 국가공무원법 제78조 제1항 제1호, 제2호 내지 제3호 소정의 징계사유에 해당하여 동인을 감봉 2월에 처한 징계양정은 적절하다.
|
[
"경찰관이 공소외인들이 노상에서 싸우는 것을 목격하고 이를 제지하자 그 중 1인이 욕설을 하며 대항한다는 이유로 동인의 멱살을 잡고 왼발목 부분을 걷어차 약 8주간의 치료를 요하는 상해를 입혔다면, 제2호 내지 제3호 소정의 징계사유에 해당하여 동인을 감봉 2월에 처한 징계양정은 적절하다.",
"경찰관이 공소외인의 싸움을 제지하다 그 중 1인이 대항한다는 이유로 상해를 입혀 감봉의 징계를 받았다면 이는 적법하다."
] |
law
|
434a914a-c9f6-4a23-a644-0fbc0a2b69e6
|
의원면직처분취소
|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공무원이 사직의 의사를 표시하여 의원면직처분을 하는 경우에 그 사직의 의사표시는 그 법률관계의 특수성에 비추어 객관적으로 표시된 바를 존중하여야 할 것이므로, 공무원이 사회적 물의로 징계파면이 될 경우 퇴직금조차 받지 못하게 될 것을 우려하여 일정시기까지 사표수리를 보류해 줄 것을 당부하면서 작성일자를 기재하지 아니한 사직서를 작성 제출한 경우, 행정청이 그 시기까지 기다리지 않고 바로 그 사표를 수리하고 면직처분을 하였다 하여 그 면직처분에 하자가 있다고 할 수 없다.
|
[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공무원이 사직의 의사를 표시하여 의원면직처분을 하는 경우에 그 사직의 의사표시는 그 법률관계의 특수성에 비추어 객관적으로 표시된 바를 존중하여야 할 것이므로, 공무원이 사회적 물의로 징계파면이 될 경우 퇴직금조차 받지 못하게 될 것을 우려하여 일정시기까지 사표수리를 보류해 줄 것을 당부하면서 작성일자를 기재하지 아니한 사직서를 작성 제출한 경우, 면직처분을 하였다 하여 그 면직처분에 하자가 있다고 할 수 없다.",
"공무원이 일정시기까지 사표수리의 보류를 당부하면서 작성일자를 기재하지 아니한 채 사직서를 제출하였다면, 행정청이 그 사표를 바로 수리하였더라도 그 면직처분에 하자가 있다고 볼 수 없다."
] |
law
|
4929cccc-d4be-4df5-86fb-049cea8e90cc
|
부가가치세등부과처분취소
|
타인으로부터 대가를 받기로 하고 건설용역을 공급하였다면 그 실질적으로 얻은 이익의 유무에 불구하고 이에 대하여는 부가가치세법상 당연히 부가가치세를 납부하여야 한다.
|
[
"타인으로부터 대가를 받기로 하고 그 실질적으로 얻은 이익의 유무에 불구하고 이에 대하여는 부가가치세법상 당연히 부가가치세를 납부하여야 한다.",
"타인에게 건설용역을 공급하고 그 대가를 받았다면 그 실질적으로 얻은 이익에 상관 없이 부가가치세를 납부하여야 한다."
] |
law
|
19fbefb4-5a57-4c83-8e24-ff6428f36799
|
상속세부과처분취소
|
법인세법상 손금불산입되는 동법 제16조 제4호 소정의 벌금, 과료, 과태료등이 상속세법에서 상속주식의 1주당 가액을 평가할때 다시 공제금액으로 환원되는 이유는 그 주식의 값어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함에 있는 것이므로 이에 비추어 위 게기금액은 반드시 상속개시일전의 최근 3년간의 각 사업연도 소득의 금액계산에서 손금계정에 계산된 것에 한하고 위 최근 3년간의 각 사업연도 소득계산상 손금계정에 올라있지 아니한 것은 순이익산정의 공제금액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해석함이 상당하다.
|
[
"과료, 과태료등이 상속세법에서 상속주식의 1주당 가액을 평가할때 다시 공제금액으로 환원되는 이유는 그 주식의 값어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함에 있는 것이므로 이에 비추어 위 게기금액은 반드시 상속개시일전의 최근 3년간의 각 사업연도 소득의 금액계산에서 손금계정에 계산된 것에 한하고 위 최근 3년간의 각 사업연도 소득계산상 손금계정에 올라있지 아니한 것은 순이익산정의 공제금액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해석함이 상당하다.",
"법인세법상 손금불산입되는 동법 제16조 제4호 소정의 벌금,과료, 과태료등을 다시 공제금액으로 환원하여 상속주식의 1주당 가액을 평가하는 것은 주식의 값어치를 정확히 파악하고자 하는바, 상속개시일전의 최근 3년간의 각 사업연도 소득의 금액계산에서 손금계정에 계산된 것에 한정될 것이다."
] |
law
|
cd3d2a92-c1f0-4d27-9764-3ee68d659823
|
행정처분취소
|
어업면허처분을 함에 있어 그 면허의 유효기간을 1년으로 정한 경우, 위 면허의 유효기간은 행정청이 위 어업면허처분의 효력을 제한하기 위한 행정행위의 부관이라 할 것이고 이러한 행정행위의 부관은 독립하여 행정소송의 대상이 될 수 없는 것이므로 위 어업면허처분중 그 면허유효기간만의 취소를 구하는 청구는 허용될 수 없다.
|
[
"위 면허의 유효기간은 행정청이 위 어업면허처분의 효력을 제한하기 위한 행정행위의 부관이라 할 것이고 이러한 행정행위의 부관은 독립하여 행정소송의 대상이 될 수 없는 것이므로 위 어업면허처분중 그 면허유효기간만의 취소를 구하는 청구는 허용될 수 없다.",
"어업면허처분에 있어 그 유효기간은 효력제한을 위한 부관으로서 면허유효기간의 취소만을 구하는 청구는 허용되지 않는다."
] |
law
|
9a35254a-5564-4d3b-a6f2-8037766b3a32
|
토지수용재결처분취소
|
가. 택지개발촉진법에 의한 건설부장관의 택지개발계획의 승인은 당해사업이 택지개발촉진법상의 택지개발사업에 해당함을 인정하여 시행자가 그후 일정한 절차를 거칠 것을 조건으로 하여 일정한 내용의 수용권을 설정해 주는 행정처분의 성격을 갖는 것이라 할 것이고, 그 승인고시의 효과는 수용할 목적물의 범위를 확정하고 수용권으로 하여금 목적물에 관한 현재 및 장래의 권리자에게 대항할 수 있는 일종의 공법상의 권리로서의 효력을 발생시킨다고 할 것이므로 토지소유자로서는 선행처분인 건설부장관의 위 택지개발계획 승인단계에서 그 제척사유를 들어 쟁송하여야 하고, 그 제소기간이 도과한 후 토지수용위원회의 수용재결단계에 있어서는 위 택지개발계획 승인처분에 명백하고 중대한 하자가 있어 당연무효라고 볼 특단의 사정이 없는 이상 그 행정처분의 불가쟁력에 의하여 이를 다툴 수 없고 동 위원회로서도 그 적부를 심사할 수 없다.
나. 재결신청서에 첨부된 토지조서가 토지소유자의 입회와 서명날인없이 작성된 것이라 하더라도 이는 그 기재의 증명력에 관한 문제로서 이 사유만으로서 토지수용위원회의 재결을 위법하다 하여 취소할 사유로 삼을 수는 없다.
|
[
"가. 택지개발촉진법에 의한 건설부장관의 택지개발계획의 승인은 당해사업이 택지개발촉진법상의 택지개발사업에 해당함을 인정하여 시행자가 그후 일정한 절차를 거칠 것을 조건으로 하여 일정한 내용의 수용권을 설정해 주는 행정처분의 성격을 갖는 것이라 할 것이고, 그 제소기간이 도과한 후 토지수용위원회의 수용재결단계에 있어서는 위 택지개발계획 승인처분에 명백하고 나. 재결신청서에 첨부된 토지조서가 토지소유자의 입회와 서명날인없이 작성된 것이라 하더라도 이는 그 기재의 증명력에 관한 문제로서 이 사유만으로서 토지수용위원회의 재결을 위법하다 하여 취소할 사유로 삼을 수는 없다.",
"택지개발촉진법에 의한 건설부장관의 택지개발계획의 승인은 당해사업이 택지개발촉진법상의 택지개발사업에 해당함을 인정하여 시행자가 일정 절차를 거칠 것을 조건으로 수용권을 설정해주는 행정처분의 성격을 갖는 것이고, 제소기관 도과 후 토지수용위원회의 수용재결단계에 있어서는 택지개발계획 승인처분에 명백하고 중대한 하자가 있지 않은 이상 적부를 심사하지 않을 것으로, 재결신청서가 서명날인 없이 작성된 것이라도 이는 증명력에 관한 문제에 해당할 뿐 이를 이유로 토지수용위원회의 재결이 위법하다 볼 수는 없다."
] |
law
|
c044dd03-04e0-4100-ab43-b05acf234c4b
|
양도소득세부과처분취소
|
원고가 1975.6.23 소외인에게 그 소유토지를 대금 22,360,000원에 매도하기로 하는 계약을 체결하고 동일 계약금 2,100,000원, 동년 7.13 중도금 10,000,000원을 각 지급받고 잔대금 10,160,000원을 동년 8.28 지급받으면서 이전등기에 필요한 인감증명, 매도증서등 일체의 서류를 교부해 주었으나 매수인인 위 소외인의 절차지연으로 1979.2.경에야 동인 앞으로의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케 된 경우, 위 토지의 양도시기는 당시의 소득세법(1982.12.21 법률 제357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7조 규정에 따라 등기가 경료된 1979.2.경이 아니라 실제 양도가 있은 1975.6.23자 매매에 있어서의 중도금지급일인 1975.7.13로 보아야 한다.
|
[
"원고가 1975.6.23 소외인에게 그 소유토지를 대금 22,360,000원에 매도하기로 하는 계약을 체결하고 매수인인 위 소외인의 절차지연으로 1979.2.경에야 동인 앞으로의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케 된 경우, 위 토지의 양도시기는 당시의 소득세법(1982.12.21 법률 제357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7조 규정에 따라 등기가 경료된 1979.2.경이 아니라 실제 양도가 있은 1975.6.23자 매매에 있어서의 중도금지급일인 1975.7.13로 보아야 한다.",
"원고가 1975.6.23 소외인에게 소유토지를 매도하는 계약을 체결하고, 그 대금을 모두 지급받으면서 이전등기에 필요한 일체의 서류를 교부하였으나 매수인인 소외인의 절차지연으로 1979.2.경에 소유권이전등기가 경료된 경우, 이러한 토지의 양도시기는 당시의 소득세법에 따라 실제 양도가 있었던 1975.6.23자 매매계약의 중도금지급일인 1975.7.13으로 보아야 한다."
] |
law
|
93d61017-ec8e-46ef-8b0b-7716b37ee912
|
장물취득
|
밀가루 및 전분등을 구입판매하는 상인이 같은 시내에서 같은 업종의 상회를 경영하고 있는 자로부터 수표부도를 막기 위하여 공장출고가격보다 염가로 팔려고 하니 밀가루등을 사라는 권유를 받고 고시가격 또는 통상의 공장출고가격보다 다소 저렴한 가격으로 매수한 경우, 위 밀가루나 전분등이 비수기에 대량으로 현금으로 매수할 때는 위 고시가격 또는 통상의 출고가격 이하로 얼마든지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었다면 비록 동인이 그 물건들의 출처나 수표부도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세금계산서를 작성. 교부받거나 기장처리를 하지 아니하였다 하더라도 장물인지의 여부확인을 위해 업무상 요구되는 주의의무를 게을리하였다고 할 수 없다.
|
[
"밀가루 및 전분등을 구입판매하는 상인이 같은 시내에서 같은 업종의 상회를 경영하고 있는 자로부터 수표부도를 막기 위하여 공장출고가격보다 염가로 팔려고 하니 밀가루등을 사라는 권유를 받고 고시가격 또는 통상의 공장출고가격보다 다소 저렴한 가격으로 매수한 경우, 위 밀가루나 전분등이 비수기에 대량으로 현금으로 매수할 때는 위 고시가격 또는 통상의 출고가격 이하로 얼마든지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었다면 교부받거나 기장처리를 하지 아니하였다 하더라도 장물인지의 여부확인을 위해 업무상 요구되는 주의의무를 게을리하였다고 할 수 없다.",
"밀가루 및 전분을 구입판매하는 상인이 수표부도를 막기 위해 공장출고가격보다 싸게 팔겠다는 권유로 이를 매수한 경우에 밀가루나 전분이 비수기로 현금으로 매수할 시, 공장출고가격보다 통상적으로 싸게 판매되고 있는 상황이었다면 동인은 장물인지의 여부확인에 있어 업무상 요구되는 주의의무를 게을리하였다고 볼 수 없다."
] |
law
|
ac9eeece-6f92-483e-ac83-ebcd20fbe731
|
상법위반,공정증서원본불실기재,공정증서원본불실기재행사
|
주금가장납입의 경우 현실적으로 주금액에 상당한 금원의 납입이라는 사실이 존재하는 것은 사실이나 그 납입은 오로지 증자에 즈음하여 등기를 하기 위한 편법에 지나지 아니하고 실질은 주금의 납입이 없는 것과 다름없는 것이어서 이를 숨기고 마치 주식인수인에 의한 납입이 완료된 것처럼 등기공무원에 대하여 허위신고를 하여 증자를 한 취지의 등기신청을 함으로써 상업등기부원본에 그 기재를 하게끔 하였다면 이는 발행주식의 총수, 자본의 총액에 대한 구 상법(1984.4.10 법률 제372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17조 제2항의 등기사항에 관하여 부실사실을 기재한 것이 된다.
|
[
"주금가장납입의 경우 현실적으로 주금액에 상당한 금원의 납입이라는 사실이 존재하는 것은 사실이나 그 납입은 오로지 증자에 즈음하여 등기를 하기 위한 편법에 지나지 아니하고 이를 숨기고 마치 주식인수인에 의한 납입이 완료된 것처럼 등기공무원에 대하여 허위신고를 하여 증자를 한 취지의 등기신청을 함으로써 상업등기부원본에 그 기재를 하게끔 하였다면 자본의 총액에 대한 구 상법(1984.4.10 법률 제372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17조 제2항의 등기사항에 관하여 부실사실을 기재한 것이 된다.",
"주금가장납입의 경우 등기를 하기위한 편법일뿐 실질적으로 주금의 납입이 없는데도 이를 숨기고 등기공무원에게 허위신고를 하여 증자를 한 취지의 등기신청을 하여 상업등기부원본에 이 기재를 하게 하였다면 이는 구상법상 등기사항에 관해 부실사실을 기재한 것이 된다."
] |
law
|
7cdc0961-7ad0-44e7-88ae-1c1fd6a7c4ea
|
양곡관리법위반
|
양곡관리법 제17조 제1항 제1호, 동법시행령 제16조 제1항에 의한 농수산부장관의 명령인 농수산부고시 제2904호 및 제3144호 3. 나. (3)항이 곡가조절용으로 방출하는 정부양곡을 구입한 양곡매매업자는 이를 소비자에게만 판매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바 여기서 곡가조절용으로 방출하는 정부양곡을 구입한 양곡매매업자라 함은 정부 또는 정부대행기관으로부터 직접 위의 정부양곡을 구입한 판매업자를 가리키는 것이므로 정부 또는 정부대행기관이 아닌 다른 곳에서 매입한 양곡이 설사 곡가조절용으로 방출된 정부양곡이라 하더라도 위 법의 규제대상이 될 수 없다.
|
[
"동법시행령 제16조 제1항에 의한 농수산부장관의 명령인 농수산부고시 제2904호 및 제3144호 3. 나. (3)항이 곡가조절용으로 방출하는 정부양곡을 구입한 양곡매매업자는 이를 소비자에게만 판매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바 여기서 곡가조절용으로 방출하는 정부양곡을 구입한 양곡매매업자라 함은 정부 또는 정부대행기관으로부터 직접 위의 정부양곡을 구입한 판매업자를 가리키는 것이므로 정부 또는 정부대행기관이 아닌 다른 곳에서 매입한 양곡이 설사 곡가조절용으로 방출된 정부양곡이라 하더라도 위 법의 규제대상이 될 수 없다.",
"곡가조절용으로 방출하는 정부양곡을 구입한 양곡매매업자는 정부 또는 대행기관으로부터 직접 구입한 판매업자로, 다른 곳에서 매입한 양곡이 곡가조절용으로 방출된 정부양곡이어도 양곡관리법 제17조 제1항 제1호, 동법시행령 제16조 제1항에 의한 농수산부장관의 명령인 농수산부고시 제2904호 및 제3144호 3. 나.(3)항의 규제대상이 될 수 없다."
] |
law
|
66b3aeca-f0c2-411c-b2c7-07b2a563e774
|
업무상과실치상
|
자전거 전용통로에 도시가스배관, 철도횡단흉관 압입공사를 하기 위하여 너비 약 3미터, 깊이 약 1미터, 길이 약 5미터의 웅덩이를 파두어 야간에 그곳을 지나던 통행인이 위 웅덩이에 떨어져 상해를 입었다면 동 공사현장 감독에게는 공사현장의 보안관리를 소홀히 한 주의의무위반이 있다.
|
[
"자전거 전용통로에 도시가스배관, 길이 약 5미터의 웅덩이를 파두어 야간에 그곳을 지나던 통행인이 위 웅덩이에 떨어져 상해를 입었다면 동 공사현장 감독에게는 공사현장의 보안관리를 소홀히 한 주의의무위반이 있다.",
"자전거 전용통로에 철도횡단흉관 압입공사를 위해 웅덩이를 파두었는데 야간에 통행인이 웅덩이에 떨어져 상해를 입었다면 공사현장 감독에게 공사현장 보안관리를 소홀히 한 주의의무 위반이 있는 것이다."
] |
law
|
28cc561b-9256-444e-8e59-cb30e3aed9ab
|
업무상과실장물보관
|
전당포를 경영하는 사람이 고객으로부터 시가 금 50,000원짜리의 남자용 중고 손목시계 1개를 전당물로 함에 있어서 고객의 신분을 주민등록증에 의하여 확인하고 전당물대장에 품목, 수량 및 특징, 전당물주의 주소, 직업, 주민등록번호, 성명, 특징, 확인방법등 필요한 사항을 모두 기재한 다음 그에게 금 20,000원을 빌려주고 전당표까지 발급해 주었다면 비록 고객이 전당을 하게 된 동기나 그 물건의 출처에 대한 설명이 진실한지의 여부를 면밀하게 확인하지 않았다 하여 특별한 사정이 없는한 전당포 경영자로서의 업무상 주의의무를 게을리 하였다고는 볼 수 없다.
|
[
"전당포를 경영하는 사람이 고객으로부터 시가 금 50,000원짜리의 남자용 중고 손목시계 1개를 전당물로 함에 있어서 고객의 신분을 주민등록증에 의하여 확인하고 성명, 특징, 확인방법등 필요한 사항을 모두 기재한 다음 그에게 금 20,000원을 빌려주고 전당표까지 발급해 주었다면 비록 고객이 전당을 하게 된 동기나 그 물건의 출처에 대한 설명이 진실한지의 여부를 면밀하게 확인하지 않았다 하여 특별한 사정이 없는한 전당포 경영자로서의 업무상 주의의무를 게을리 하였다고는 볼 수 없다.",
"전당포 경영인이 고객으로부터 금 50,000원 짜리의 남자 중고 손목시계를 전당물로 하여 고객의 신분을 보장할 만한 필요 사항을 모두 기재하고 20,000원을 그에게 빌려주어 전당표를 발급했다면 전당포 경영자의 주의의무를 다했다고 판단된다."
] |
law
|
23b6679a-d37b-4f07-aaf1-5591f35959ed
|
무고
|
가. 무고죄의 성립에는 타인으로 하여금 형사 또는 징계처분을 받게 할 목적으로 진실함의 확신없는 사실을 신고함으로써 족하고 신고자가 그 신고사실이 허위라는 것을 확신함을 요하지 아니한다.
나. 무고죄에 있어서의 형사처분을 받게 할 목적이란 허위신고를 함에 있어서 다른 사람이 그로 인하여 형사처분을 받게 될 것이라는 인식이 있으면 족한 것이고 그 결과 발생을 희망하는 것까지는 필요치 않는 것이다.
|
[
"가. 무고죄의 성립에는 타인으로 하여금 형사 또는 징계처분을 받게 할 목적으로 진실함의 확신없는 사실을 신고함으로써 족하고 신고자가 그 신고사실이 허위라는 것을 확신함을 요하지 아니한다. 나. 무고죄에 있어서의 형사처분을 받게 할 목적이란 허위신고를 함에 있어서 다른 사람이 그로 인하여 형사처분을 받게 될 것이라는 인식이 있으면 족한 것이고",
"무고죄는 타인이 형사 또는 징계처분을 받게 하기 위하려는 목적으로 진실함의 확신없는 사실을 신고하면 족하고 형사처분을 받게 할 목적은 허위신고를 함으로써 타인이 형사처분을 받게 될 것이라는 인식만 있으면 족하다."
] |
law
|
cc7448c6-7c1f-4751-8a0f-87b6ae0fe3bb
|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가등기말소,지분소유권이전등기
|
부부의 일방이 혼인중 그의 명의로 취득한 부동산은 그의 특유재산으로 추정되는 것으로서 그 부동산을 취득함에 있어 상대방의 협력이 있었다거나 혼인생활에 있어 내조의 공이 있었다는 것만으로는 위 추정을 번복할 수 있는 사유가 되지 못하고 그 부동산을 부부각자가 대금의 일부씩을 분담하여 매수하였다거나 부부가 연대채무를 부담하여 매수하였다는 등의 실질적 사유가 주장입증되는 경우에 한하여 위 추정을 번복하고 그 부동산을 부부의 공유로 인정할 수 있다.
|
[
"부부의 일방이 혼인중 그의 명의로 취득한 부동산은 그의 특유재산으로 추정되는 것으로서 그 부동산을 취득함에 있어 상대방의 협력이 있었다거나 혼인생활에 있어 내조의 공이 있었다는 것만으로는 위 추정을 번복할 수 있는 사유가 되지 못하고 그 부동산을 부부각자가 대금의 일부씩을 분담하여 매수하였다거나 부부가 연대채무를 부담하여 매수하였다는 등의 실질적 사유가 주장입증되는 경우에 한하여 위 추정을 번복하고",
"부부의 일방이 혼인중 그의 명의로 취득한 부동산은 그의 특유재산으로 추정되는 것으로, 상대방의 협력 또는 내조의 공만으로는 그 추정을 번복할 수 없고 대금의 일부를 분담 또는 연대채무를 부담하여 매수하는 실질적 사유가 입증되어야 그 추정을 번복할 수 있다."
] |
law
|
1e4028fa-fbed-4a9e-9764-f71370cdf8a4
|
손해배상
|
가. 개인사업을 경영하는 사람의 일실수입을 산정함에는 그 사업체의 매상고, 거래선, 필요경비 등을 참작하여 먼저 그 사업체의 수입금을 확정하고 이 중에서 사업주 개인의 기여에 의한 부분을 가려내어 이를 기초로 하여야 한다.
나. 일실수입산정에 있어 적용되는 노동능력상실율은 의학적 신체기능장애율에다가 피해자의 연령, 교육정도, 직업의 성질과 직업의 경력 및 기술의 숙련정도등의 여러 사정을 종합참작하여 경험칙에 따라 결정하여야 한다.
|
[
"가. 개인사업을 경영하는 사람의 일실수입을 산정함에는 그 사업체의 매상고, 이 중에서 사업주 개인의 기여에 의한 부분을 가려내어 이를 기초로 하여야 한다. 교육정도, 직업의 성질과 직업의 경력 및 기술의 숙련정도등의 여러 사정을 종합참작하여 경험칙에 따라 결정하여야 한다.",
"개인사업의 경영자의 일실수입 산정은 그 사업체의 매상고,거래선 등을 참작하여 먼저 그 사업체의 수입금을 확정하고 그 중 사업주 개인의 기여에 대한 부분을 판단하여 이를 기초로 산정해야하고, 일실수입산정에 적용되는 노동능력상실율은 여러 제반사정을 종합적으로 참작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 |
law
|
78dccd67-c908-41b1-9e62-0e7158c4828c
|
거절사정
|
분할출원이란 단일발명, 단일출원의 원칙 아래 2이상의 발명을 1출원으로 한 경우 이를 2 이상의 출원으로 분할하는 것으로서 2 이상의 발명을 1출원으로 한 경우란 2 이상의 발명이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경우는 물론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나 도면에 기재되어 출원된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이므로 분할출원을 하면서 원출원당시 제출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나 도면을 다시 사용할 수도 있다.
|
[
"단일출원의 원칙 아래 2이상의 발명을 1출원으로 한 경우 이를 2 이상의 출원으로 분할하는 것으로서 2 이상의 발명을 1출원으로 한 경우란 2 이상의 발명이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경우는 물론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나 도면에 기재되어 출원된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이므로 분할출원을 하면서 원출원당시 제출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나 도면을 다시 사용할 수도 있다.",
"분할출원은 2이상의 발명을 1출원으로 한 경우 이를 2 이상의 출원으로 분할하는 것으로 원출원당시 제출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나 도면을 다시 사용할 수도 있다."
] |
law
|
ecbc72b5-1f85-4a02-8bd0-67067b3744c2
|
실용신안등록무효
|
일반적으로 설명서 또는 도면에 신규의 기술방법에 관한 기재를 누락한 것이 아니라 단지 종래의 공지된 기술방법의 기재를 누락한 것에 지나지 아니하여 그 기재누락 여부에 불구하고 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누구나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라면 등록고안의 목적, 구성, 작용 및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고 할 것이어서 그 등록을 무효로 할 수는 없다.
|
[
"일반적으로 설명서 또는 도면에 신규의 기술방법에 관한 기재를 누락한 것이 아니라 단지 종래의 공지된 기술방법의 기재를 누락한 것에 지나지 아니하여 그 기재누락 여부에 불구하고 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누구나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라면 그 등록을 무효로 할 수는 없다.",
"실용신안을 출원할 때 종래의 공지된 기술방법의 기재를 누락한 것이고 이 누락 여부과 무관하게 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누구나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면 그 등록을 무효로 할 수 없다."
] |
law
|
1490f385-e9b4-4aff-86f3-96991ce58b16
|
거절사정
|
상품구분 제12류에 속하는 향수, 오드클로뉴, 일반화장수등을 지정상품으로 하는 상표 "Colour Scents"는 지정상품들에 대한 수요자의 사회관념상 그 일반적 공통적인 품질, 효능, 형상 등이 Colour Scents로 인식되어 있거나 인식될 것이라고는 볼 수 없으므로 상표법 제8조 제1항 제3호 소정의 지정상품의 품질, 형상, 모양 등을 보통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표시한 표장만으로 된 상표에 해당한다고 보기 어렵다.
|
[
"오드클로뉴, 일반화장수등을 지정상품으로 하는 상표 \"Colour Scents\"는 지정상품들에 대한 수요자의 사회관념상 그 일반적 공통적인 품질, 효능, 형상 등이 Colour Scents로 인식되어 있거나 인식될 것이라고는 볼 수 없으므로 상표법 제8조 제1항 제3호 소정의 지정상품의 품질, 형상, 모양 등을 보통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표시한 표장만으로 된 상표에 해당한다고 보기 어렵다.",
"\"Colour Scents\"는 지정상품의 품질, 형상, 모양 등을 보통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표시한 표장만으로 된 상표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
] |
law
|
f2ebeda0-2ff3-4176-a598-afeede4bb949
|
재결취소등
|
해난심판법 제74조 제1항에 규정한 중앙해난심판원의 재결에 대한 소는 행정소송의 일종으로서 행정처분의 취소청구소송에 속한다 할 것이므로 그 재결의 내용은 행정청의 권력적 행정행위와 같이 국민의 권리의무를 형성하고 제한하는 효력을 갖는 내용이어야 할 것인 바, 해난심리청구를 기각한 지방해난심판원의 재결에 불복하여 제기된 제2심 청구를 기각하는 내용의 중앙해난심판원의 재결은 위와 같은 행정처분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이므로 이에 대해서는 위 법조 소정의 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없다.
|
[
"해난심판법 제74조 제1항에 규정한 중앙해난심판원의 재결에 대한 소는 행정소송의 일종으로서 행정처분의 취소청구소송에 속한다 할 것이므로 해난심리청구를 기각한 지방해난심판원의 재결에 불복하여 제기된 제2심 청구를 기각하는 내용의 중앙해난심판원의 재결은 위와 같은 행정처분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이므로 이에 대해서는 위 법조 소정의 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없다.",
"해난심판법 제74조 제1항에 규정된 중앙해난심판원의 재결에 대한 소는 행정처분의 취소청구소송에 속하지만 그 재결 내용이 국민의 권리의무 형성 및 제한하는 효력을 갖는 것이 아니라 해난심리청구를 기각한 지방해난심판원의 재결에 불복하여 제기된 제2심 청구를 기각하는 내용의 재결은 위 행정처분이라고 볼 수 없으므로 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없다."
] |
law
|
6ce9a2a4-e358-40cb-a45e-c83c22badee1
|
부가가치세부과처분취소
|
세금계산서의 작성일자가 실제 거래일자와 다르게 기재되어있다 하더라도 그것이 납세의무자가 계속적으로 물품을 구입, 사용해 오면서 거래의 편의상 2회의 거래내역에 대하여 실제 거래일 이후의 날짜로 1개의 세금계산서를 작성 교부받은 것에 불과하고 실제로 세금계산서 기재내용대로 실물거래가 있었다면 부가가치세법 제17조 제2항 제1호 단서와 동법시행령 제60조 제2항 규정에 비추어 그 세금계산서에 기재된 매입세액은 매출세액에서 공제되어야 한다.
|
[
"사용해 오면서 거래의 편의상 2회의 거래내역에 대하여 실제 거래일 이후의 날짜로 1개의 세금계산서를 작성 교부받은 것에 불과하고 실제로 세금계산서 기재내용대로 실물거래가 있었다면 부가가치세법 제17조 제2항 제1호 단서와 동법시행령 제60조 제2항 규정에 비추어 그 세금계산서에 기재된 매입세액은 매출세액에서 공제되어야 한다.",
"거래 편의상 회의 거래내역에 대하여 실제 거래일 이후의 날짜로 1개의 세금계산서를 작성 교부받은 것에 불과하고 실제로 세금계산서 기재내용대로 실물거래가 있었다면 세금계산서의 작성일자가 실제 거래일자와 다르게 기재되어있더라도 그 세금계산서에 기재된 매입세액은 매출세액에서 공제되어야 한다."
] |
law
|
808acbc0-8683-4344-8916-9bb55006f9fd
|
국세환급충당처분취소
|
종전의 부과처분에 의하여 세금을 납부한 후 그 부과처분이 납세고지서에 세액산출근거를 누락하였다는 이유로 취소결정됨으로서 소급적으로 그 효력을 상실하였다면 이는 국세기본법 제52조 제1호 소정의 납부후 그 부과처분이 취소결정된 경우로서 환급가산금을 계산, 결정하여야 할 사유에 해당하고, 환급가산금 결정으로서 즉시 납세자의 환급금 청구권을 확정시킬 의무가 있는 세무서장이 환급가산금을 결정함이 없이 환급금의 환급결정만을 한 것은 환급가산금 결정부분에 있어서 부작위에 의한 거부처분을 한 것이라고 볼 것이어서, 결국 세무서장이 국세환급금 충당결정을 함에 있어 국세환급가산금 결정을 하지 아니한 것은 동법 제52조 제1호, 동 법시행령 제30조에 위반한 처분으로써 위법하다.
|
[
"종전의 부과처분에 의하여 세금을 납부한 후 그 부과처분이 납세고지서에 세액산출근거를 누락하였다는 이유로 취소결정됨으로서 소급적으로 그 효력을 상실하였다면 환급가산금 결정으로서 즉시 납세자의 환급금 청구권을 확정시킬 의무가 있는 세무서장이 환급가산금을 결정함이 없이 환급금의 환급결정만을 한 것은 환급가산금 결정부분에 있어서 부작위에 의한 거부처분을 한 것이라고 볼 것이어서, 동 법시행령 제30조에 위반한 처분으로써 위법하다.",
"세금 납부 후 납세고지서에 세액산출근거가 누락되어 취소결정이 났다면 이는 환급가산금을 계산 결정하여야 할 사유에 해당하는데, 세무서장이 환급가산금을 결정함이 없이 환급금의 환급결정만을 한 것은 환급가산금 결정부분에 있어서 부작위에 의한 거부처분을 한 것이므로 이는 국세기본법 제52조 제1호, 동 법시행령 제30조 위반이다."
] |
law
|
949c1fff-bf08-49cb-b225-f3f042a25216
|
부가가치세부과처분취소
|
과세관청이 원래 신고납부방식에 의하도록 되어 있는 부가가치세의 자진신고납부를 부인하고 추계경정을 하려면 우선 부가가치세법 제21조와 같은법시행령 제69조에 의하여 세금계산서, 장부, 기타의 증빙서류들이 미비되었거나 허위임이 명백하여야 할 것인 바 납세의무자에게 그에 관한 자료의 제출을 요구하거나 실지조사도 한 바 없이 막바로 상급행정청에서 정한 과세지침에 미비된다는 사유만으로 추계방법에 의하여 부과처분을 한것은 위법하다.
|
[
"과세관청이 원래 신고납부방식에 의하도록 되어 있는 부가가치세의 자진신고납부를 부인하고 추계경정을 하려면 장부, 기타의 증빙서류들이 미비되었거나 허위임이 명백하여야 할 것인 바 납세의무자에게 그에 관한 자료의 제출을 요구하거나 실지조사도 한 바 없이 막바로 상급행정청에서 정한 과세지침에 미비된다는 사유만으로 추계방법에 의하여 부과처분을 한것은 위법하다.",
"과세관청이 자진시고 부인하고 추계경정하려면 서류들이 미비 또는 허위임을 밝히고 자료제출 요구나 실지조사없이 미비된다는 사유로 추계방법에 의하 부과한 것은 위법이다."
] |
law
|
e38fe52b-580f-4789-9f83-db528c5969f0
|
양도소득세부과처분취소
|
가. 구 소득세법(1982.12.21 법률 제357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3조 제2항, 제4항, 제45조 제1항, 동법시행령 (1982.12.31 대통령령 제1097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70조 제3항 규정에 의하면, 양도차익예정신고나 과세표준확정신고를 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일단 실지거래가액이 불분명한 것으로 추정하여 추계과세의 방법인 기준시가에 따라 양도소득금액을 결정할 수 있으나, 위와 같은 추정을 번복할 만한 자료가 있는 경우에는 실지거래가액에 의하여야 하고 추계조사방법인 기준시가에 의할 수 없다.
나. 과세처분의 위법을 다투는 행정소송에 있어서 당사자는 소송의 변론종결시까지 객관적인 조세채무액을 뒷받침하는 주장과 자료를 제출할 수 있으므로 양도소득세의 부과처분을 다투는 행정소송에 있어서도 실지거래가액을 증명하는 증거를 변론종결시까지 제출할 수 있다.
|
[
"가. 구 소득세법(1982.12.21 법률 제357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3조 제2항, 양도차익예정신고나 과세표준확정신고를 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일단 실지거래가액이 불분명한 것으로 추정하여 추계과세의 방법인 기준시가에 따라 양도소득금액을 결정할 수 있으나, 나. 과세처분의 위법을 다투는 행정소송에 있어서 당사자는 소송의 변론종결시까지 객관적인 조세채무액을 뒷받침하는 주장과 자료를 제출할 수 있으므로 양도소득세의 부과처분을 다투는 행정소송에 있어서도 실지거래가액을 증명하는 증거를 변론종결시까지 제출할 수 있다.",
"소득세법에 의해 양도차익예정신고나 과세표준확정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 실지거래가액이 불분명하다고 보아 추계과세의 방법인 기준시가에 따라 양도소득금액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인 바, 과세처분의 위법성을 다투는 경우 당사자는 소송 변론종결시까지 자료를 제출할 수 있어 실지거래가액을 증명하는 증거를 제출할 수 있다."
] |
law
|
79e198c3-cd0b-4591-a555-2ec6da7bc8c5
|
상법위반,주택건설촉진법위반
|
가. 상법 제622조 소정의 특별배임죄의 주체는 상법상 회사의 적법한 이사나 대표이사의 지위에 있는 자에 한하고, 주주총회나 이사회가 적법히 개최된 바도 없으면서 마치 결의한 사실이 있는 것처럼 결의록을 만들고 그에 기하여 이사나 대표이사의 선임등기를 마친 경우, 그 결의는 부존재한 결의로서 효력을 발생할 수 없고 따라서 그와 같은 자는 회사의 이사나 대표이사의 지위에 있는 자라고 인정할 수 없어 위 특별배임죄의 주체가 될 수 없다.
나. 주택건설사업계획의 변경승인신청을하는 전단계로서 사업주체가 시행중인 주택건설사업을 타인에게 양도하기로 계약을 체결한 것만으로는 주택건설촉진법 제51조 제3호, 제33조 제1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주무관청의 승인없이 주택건설사업계획을 변경한 것이라고 볼 수 없다.
|
[
"가. 상법 제622조 소정의 특별배임죄의 주체는 상법상 회사의 적법한 이사나 대표이사의 지위에 있는 자에 한하고, 그 결의는 부존재한 결의로서 효력을 발생할 수 없고 따라서 그와 같은 자는 회사의 이사나 대표이사의 지위에 있는 자라고 인정할 수 없어 위 특별배임죄의 주체가 될 수 없다. 제33조 제1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주무관청의 승인없이 주택건설사업계획을 변경한 것이라고 볼 수 없다.",
"상법상 특별배임죄의 주체는 상법상 회사의 이사나 대표이사의 지위에 있는 자에 한하는데 주주총회나 이사회의 개최 없이 결의한 사실이 있는 것처럼 선임등기를 마친 경우 이러한 등기는 효력을 발생할 수 없어 지위를 인정할 수 없기 때문에 특별배임죄의 주체가 될 수 없고, 사업주체가 주택건설사업을 타인에게 양도하는 계약을 체결한 것은 주택건설촉진법상 주무관청의 승인 없이 주택건설사업계획을 변경한 것에 해당되지 않는다."
] |
law
|
20b4f323-5cf1-4689-b674-82c62897b283
|
사기
|
부동산매매에 있어서 매매목적물에 관하여 소유권귀속에 관한 분쟁이 있어 재심소송이 계속중에 있다면 이러한 사정들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매수인으로서는 매매계약의 체결 여부를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매도인은 거래의 신의성실의 원칙상 매수인에게 고지할 의무가 있다 할 것이고 매도인 이 매수인에게 소송계속사실을 숨기고 매도하여 대금을 교부받았다면 이는 사기죄를 구성한다.
|
[
"부동산매매에 있어서 매매목적물에 관하여 소유권귀속에 관한 분쟁이 있어 재심소송이 계속중에 있다면 이러한 사정들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매수인으로서는 매매계약의 체결 여부를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매도인은 거래의 신의성실의 원칙상 매수인에게 고지할 의무가 있다 할 것이고 이는 사기죄를 구성한다.",
"부동산 매매에 있어 분쟁으로 재심이 진행중이면 매매체결 여부를 결정짓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때 매도인은 매수인에게 고지하고 이 사실을 숨기고 대금을 교부받으면 사기죄이다."
] |
law
|
e4a4b9c3-0216-45a5-b90f-cac67c174cc5
|
국가보안법위반ㆍ현존건조물방화미수ㆍ집회및시위에관한법률위반ㆍ폭력행위등처벌에 관한 법률위반(인정된죄명:폭행치상,건조물침입)ㆍ공문서위조(인정된죄명:공문서변조)ㆍ공용물건손상ㆍ범인도피
|
가.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제3조 제1항 제4호에서 금지한 "현저히 사회적 불안을 야기시킬 우려가 있는 집회 또는 시위"라 함은 공공의 안녕과 사회일반의 질서적 안정을 객관적으로 명백하게, 또 사회통념상 수인할 수 있는 정도를 넘어서 침해할 고도의 개연성 있는 집회 또는 시위를 말하는 것이어서 그러한 집회 및 시위를 금지한 동 규정은 헌법상 보장된 집회의 자유와 죄형법정주의를 침해하지 아니하는 합헌규정이어서 동 규정의 위헌여부를 헌법위원회에 위헌여부제청을 하지 않았다 하여 위법이라 할 수 없다.
나. 진술의 임의성에 관하여는 당해 조서의 형식 내용 진술자의 신분, 사회적 지위, 학력, 지능정도 기타 여러 사정을 참작하여 판정할 수 있다.
다. 항소심에서 제1심 보다 법정형이 가벼운 죄로 처벌하는 경우에 선고형도 반드시 제1심의 형보다 가벼워야 하는 것은 아니다.
라. 헌법상 학문의 자유는 진리의 탐구를 순수한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 한하여 보호를 받는 것이므로 반국가단체를 이롭게 할 목적으로 공산주의혁명이론 및 전술에 관한 내용을 담은 서적을 소지하고 있었다면 그것은 학문의 자유에 대한 한계를 넘은 것이라고 할 것이며 또 소지한 서적이 국내에서 번역 소개되었다거나 대학에서 부교재로 사용되는 것이라 하여도 마찬가지이다.
|
[
"가.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제3조 제1항 제4호에서 금지한 \"현저히 사회적 불안을 야기시킬 우려가 있는 집회 또는 시위\"라 함은 공공의 안녕과 사회일반의 질서적 안정을 객관적으로 명백하게, 라. 헌법상 학문의 자유는 진리의 탐구를 순수한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 한하여 보호를 받는 것이므로 그것은 학문의 자유에 대한 한계를 넘은 것이라고 할 것이며 또 소지한 서적이 국내에서 번역 소개되었다거나 대학에서 부교재로 사용되는 것이라 하여도 마찬가지이다.",
"집회및시위에관한법률 제3조 제1항 제4호 소정의 현저히 사회적 불안을 야기시킬 우려가 있는 집회 또는 시위는 공공의 안녕과 사회일반의 질서적 안정을 침해할 고도의 개연성 있는 집회 또는 시위을 의미하므로 이러한 집회 및 시위를 금지한 동 규정은 합헌규정이고, 반국가단체를 이롭게 할 목적으로 공산주의 혁명이론 및 전술에 관한 내용을 담은 서적을 소지하는 것은 학문의 자유에 대한 한계를 넘은 것이다."
] |
law
|
bb3ca752-0500-4e47-b8d0-defade2de623
|
강도살해ㆍ특수강도ㆍ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특수절도)ㆍ특수절도ㆍ장물취득
|
가. 장물죄는 타인(본범)이 불법하게 영득한 재물의 처분에 관여하는 범죄이므로 자기의 범죄에 의하여 영득한 물건에 대하여는 성립하지 아니하고 이는 불가벌적 사후행위에 해당하나 여기에서 자기의 범죄라 함은 정범자(공동정범과 합동범을 포함한다)에 한정되는 것이므로 평소 본범과 공동하여 수차 상습으로 절도등 범행을 자행함으로써 실질적인 범죄집단을 이루고 있었다 하더라도, 당해 범죄행위의 정범자(공동정범이나 합동범)로 되지 아니한 이상 이를 자기의 범죄라고 할 수 없고 따라서 그 장물의 취득을 불가벌적 사후행위라고 할 수 없다.
나. 야간에 절도의 목적으로 출입문에 장치된 자물통 고리를 절단하고 출입문을 손괴한 뒤 집안으로 침입하려다가 발각된 것이라면 이는 특수절도죄의 실행에 착수한 것이다.
|
[
"가. 장물죄는 타인(본범)이 불법하게 영득한 재물의 처분에 관여하는 범죄이므로 자기의 범죄에 의하여 영득한 물건에 대하여는 성립하지 아니하고 나. 야간에 절도의 목적으로 출입문에 장치된 자물통 고리를 절단하고 이는 특수절도죄의 실행에 착수한 것이다.",
"장물죄는 타인이 불법하게 영득한 재물의 처분에 대한 범죄로, 자기의 범죄에 의해 영득한 물건에 대해서는 성립하지 아니할 것인 바, 야간에 절도의 범읠르 가지고 출입문 자물쇠를 절단한 경우 이는 특수절도죄의 실행에 착수한 것이다."
] |
law
|
c56a67b1-90cb-4bd7-8a70-2e610fe0702c
|
살인ㆍ살인미수ㆍ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위반ㆍ향토예비군설치법위반
|
싸움을 하다가 길이 32센티미터, 날 길이 20.5센티미터의 식칼을 들고 나와 피해자의 좌측 옆구리를 찌르고 계속하여 배를 힘껏 1회 찔러서 현장에서 복강내 대정맥파열에 의한 출혈로 사망케 하였다면, 예리한 식칼로 힘껏 찌른 부분이 신체의 중요한 부분이므로 혹시 죽음의 결과를 가져오리라는 인식이 있었다 할 것이므로 살인의 미필적 고의가 있었다고 보아야 한다.
|
[
"날 길이 20.5센티미터의 식칼을 들고 나와 피해자의 좌측 옆구리를 찌르고 계속하여 배를 힘껏 1회 찔러서 현장에서 복강내 대정맥파열에 의한 출혈로 사망케 하였다면, 예리한 식칼로 힘껏 찌른 부분이 신체의 중요한 부분이므로 혹시 죽음의 결과를 가져오리라는 인식이 있었다 할 것이므로 살인의 미필적 고의가 있었다고 보아야 한다.",
"피해자의 옆구리를 찌르고 배를 찔러 사망케하면 죽음을 가져올 인식이 있어 살인의 미필적고의가 있다."
] |
law
|
Subsets and Splits
No community queries yet
The top public SQL queries from the community will appear here once avail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