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
stringlengths
36
36
title
stringlengths
0
441
context
stringlengths
200
7.38k
questions
listlengths
1
2
type
stringclasses
6 values
39f86473-632a-4c23-b588-96a50be61967
[보도자료] 정신질환자 비자의 입원제도의 입법영향분석
정신질환자 비자의 입원제도의 입법영향분석 Ⅲ. 입법영향분석 1. 입법목적의 달성 여부 분석 가.‘탈수용화’에 미친 영향 (6) 양적 분석 결과: 요약 및 소결 □ 외래방문율과 지속관리율: ‘탈수용화’의 과정 지표(← 정신의료서비스 제공) ○ 퇴원 후 외래방문율과 지속관리율은 2016년 전면 개정 및 2017년 법 시행직후 증가하였으나 지속적인 추이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음 - 퇴원 7일이든 30일이든 외래방문율은 법 시행 직후 단기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였으나, 이후 장기적인 추세의 유의한 변화는 없을 것으로 보임. 특히 지속관리율의 경우 이전에 증가하던 추이가 2016~7년 이후에는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남 - 비자의 입원제도가 ‘탈수용화’를 추동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정신의료서비스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드러냄
[ "퇴원 후 외래방문율이 2016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한 지역사회 입원 서비스는 무엇이니" ]
unanswerable
07232e28-2781-4303-96dc-54e8eca1b6de
경북창조경제센터 1주년행사
경북창조경제혁신센터, 2017년까지 스마트공장 400개 이상 지원 - 출범 1주년 성과 전시 및 스마트공장 메카 선포 등 다양한 행사 마련 - □ 경북센터는 지난 1년간 경북지역 우수 중소·벤처기업 투자설명회, 대학생 창업경진대회 등을 통해 53개의 보육기업을 선정하고, 이 중 26개 기업에 78억원을 투자하여 지역의 창업생태계 구축을 견인하였다. ◦ 또한, 호텔신라 등과 협업하여 전통 종가음식의 상품화, 고택 22개소의 고택명품화 등을 추진했고, 포항 상옥스마일빌리지 조성사업도 추진하였다. □***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장은 ‘창조경제는 도도한 시대의 흐름이자 경제패러다임으로 우리의 미래가 달린 문제’라며, ‘지역의 중소기업이 시대에 발맞춰 혁신하도록 돕고 빛나는 아이디어가 있는 창업자들을 키워내 미래의 선도기업이 될 수 있도록 그간의 지난 1년간의 성과를 바탕으로 더욱 정진 하겠다’고 말했다.
[ "상옥스마일빌리지는 경북지역 대학생 창업경진대회를 통해 몇 개의 기업에 78억원을 투자했어", "호텔신라는 몇 개의 종가와 협업해서 고택의 명품화를 추진했어" ]
unanswerable
55dae0fa-118c-4228-af39-72680f8aca23
방송의 스마트미디어산업으로의 변화와 발전전망
방송의 스마트미디어산업으로의 변화와 발전전망 전문가 토론회 개최- 기존 방송산업의 스마트미디어화에 따른 변화와 관련 산업발전 전망에 관한 산·학·연 전문가 토론회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국내 방송산업의 스마트미디어산업으로의 변화와 발전방안에 관해 산ㆍ학ㆍ연 전문가가 참여하는 토론회를 12월 17일(수) 오후 2시 국립과천과학관 창조홀에서 개최한다. □ 이번 토론회에서는 기존 방송산업이 인터넷기반 혁신적 미디어에 대응하여 보다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 할 수 있는 스마트미디어산업으로 진화되는 변화의 방향과 발전 방안에 대하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정보통신(ICT) 통계분석센터 정용찬 박사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이영주 교수의 주제 발표가 있고 이에 대해 학계, 연구계, 산업계 대표 7인의 패널토론 및 방청석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된다. □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 12월5일 정보통신 전략위원회 의결을 거쳐「스마트미디어산업 육성계획」을 발표한바 있고, 이번 토론회를 통해 정부와 학계, 산업계의 유기적인 협력을 모색하여 방송산업 및 스마트미디어 산업 육성정책에 적극 반영할 예정이다.
[ "토론회에서 질의할 수 있는 방청객은 몇 명이야" ]
unanswerable
c328725d-beaf-4d42-89a4-5914794be591
과기정통부, 정보보호 분야 우수기술·스타트업 투자유치 기회 확대
과기정통부, 정보보호 분야 우수기술·스타트업 투자유치 기회 확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국내 정보보호 산업 활성화를 위해 ‘산학연 연계 기술이전 설명회’와 ‘시큐리티 스타트업 SHOW ME THE IR 2018’ 행사를 11월 29일(목), 정보보호 클러스터(제2판교 기업지원허브)에서 연이어 개최했다. ㅇ 행사 이후,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기술보증기금(KIBO)간 정보보호 산업 투자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도 체결되었다. □ 이날 오전 산학연 관계자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된 ‘정보보호 산학연 연계 기술이전 설명회’에서는 사이버위협 인텔리전스 분석·공유 기술 등 7가지 핵심 원천기술이 소개되었고, ㅇ 연구성과 중 기업에게 새로운 성장 모멘텀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산업계로 활용·확산될 수 있도록 기술보증기금(KIBO)의 기술이전 지원제도 소개 및 기술인수 금융상담도 진행되었다. ㅇ 특히 이번 설명회는 사물인터넷 시대 보안기술 개발 및 보급이 시급한 분야를 중심으로 예방기술을 소개하는 자리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우수 기술 발굴‧확산에 주안점을 두었다.
[ "기술보증기금은 보안기술 개발을 소개하기 위해 무슨 행사를 개최했어",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정보보호 산업과 관련해 과기정통부의 투자를 받기 위해 어떤 행사에 참석했지" ]
unanswerable
29ab3922-d10e-49e5-a20b-a3394b4f6e4a
[보도자료] 정신질환자 비자의 입원제도의 입법영향분석
정신질환자 비자의 입원제도의 입법영향분석 Ⅲ. 입법영향분석 1. 입법목적의 달성 여부 분석 나. 정신질환자의 인권 보호와 치료권 확보에 미친 영향 (1) 「정신보건법」 개정과 ‘탈수용화’ (가) 2016년 「정신보건법」 전면 개정의 문제점 □ 2016년 정신보건법 이 전면 개정된 배경에는 헌법재판소가 비자의 입원 절차가 헌법불합치 부적격 판정을 내렸기에 신속한 입법개선의 ‘압박’이 있었다고 함 ○ 환자 당사자나 인권단체, 의료진 등 이해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합의를 위한 충분한 토의가 진행되지 않고 법 개정이 졸속으로 이루어졌다고 함 □ ‘탈수용화’를 추진하는 법 개정이 필요했지만 이를 뒷받침할 재정 및 인프라 확보에 대한 구체적 방안 없이 비자의 입원이 환자 당사자의 자율성과 존엄성을 침해할 수 있다는 이유로 입원의 절차적 정당성에 초점이 맞추어져 법 개정이 이루어졌다고 함 ○ 인권단체에서도 법 개정 당시 환자와 그 가족의 자율성 증진이라는 측면에서 환영했지만, 이러한 주장은 개정 내용에 담기지 않고 비자의 입원요건 등의 강화가 주 내용으로 채워진 것을 의아하게 생각함
[ "환자와 인권단체, 의료진 등 이해관계자들이 충분히 토의한 정신보건법 전면 개정은 몇 년도에 이루어졌니", "탈수용화를 추진하며 환자의 자율성과 존엄성에 초점이 맞춰진 정신보건법이 전면 개정된 것은 몇 년도일까" ]
unanswerable
d25a62f3-09a5-4c99-a2b8-1cfdde855e50
4차산업혁명위, 헬스케어분야 민․관 팀플레이 착수 참고자료
4차산업혁명위, 헬스케어분야 민․관 팀플레이 착수-『헬스케어 특별위원회』2차회의 개최, 핵심프로젝트 선정 - □ 특위 위원들은 헬스케어 분야는 건강․생명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기술확보-사업화-재투자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려면 특화된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는 데도 의견을 모았다. ㅇ 이를 위해 혁신창업․기술개발 촉진을 위한 자금 확충, 병원연계 협력연구․실증․사업화 기반 확충 등의 과제에 대해 프로젝트팀 논의를 통해 상세화 하고, ㅇ 각 분야에서 공통적으로 제기되는 연구개발․시장진입 촉진을 위한 제도 개선과제도 관계부처와 함께 논의할 예정이다. □ 박웅양 특위 위원장은 “헬스케어분야 주요 논의과제는 과제성숙도에 따라 프로젝트팀*을 구성하여 매주~격주 논의를 통해 추진방안이 마련되거나, 관계부처 등의 보고안건을 심의하는 형태로 추진될 계획”이며, * 관계부처, 헬스케어특위 위원, 관련 전문가 등 참여 ㅇ “특위 운영기간(1년)동안 논의된 프로젝트별 추진방안을 종합하여 헬스케어 발전방안을 연내 발표”한다고 밝혔다.
[ "혁신창업프로젝트팀은 생명 관련 기술개발 촉진을 위해 논의하는 추진방안은 무엇이니" ]
unanswerable
5e7532c5-629a-4d30-bdaa-d941802e6cd4
[보도자료] 정신질환자 비자의 입원제도의 입법영향분석
정신질환자 비자의 입원제도의 입법영향분석 Ⅲ. 입법영향분석 1. 입법목적의 달성 여부 분석 나. 정신질환자의 인권 보호와 치료권 확보에 미친 영향 (1) 「정신보건법」 개정과 ‘탈수용화’ (나) ‘탈수용화’의 현황 ○ ‘탈수용화’를 추진할 지역사회 기초 단위인 센터의 재정 확보 및 시설 지원에 대한 구체적 방안 없이 비자의 입원요건 등을 강화하다 보니, 법 개정의 취지와는 상반되게 퇴원한 환자는 오히려 집 밖으로 더더욱 나오지 않게 되었고 입원도 하지 못하게 되었다고 함 ○ 결국, 정신질환자들을 위한 돌봄 및 지지의 지역사회 인프라가 충분히 구비되지 않는 상태에서 정신의료기관 입원요건만을 강화한 것은 치료 및 재활서비스를 받기 어려운 상황을 만들었다고 것임
[ "정신의료기관을 퇴원한 환자가 지역사회 센터에서 재활서비스를 받는 것을 뭐라고 하니", "정신의료기관의 입원 요건을 강화하여 정신질환자가 재활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제도가 무엇이야" ]
unanswerable
300e1dca-12b7-40d0-8f48-41d406efc60e
비상시스템 가동, 과학적 감시·단속으로 실시간 수질관리 한다! 환경부, 갈수기 수질관리대책 마련
비상시스템 가동, 과학적 감시․단속으로 실시간 수질관리 한다! 환경부, 갈수기 수질관리대책 마련 2013-2014년 갈수기 수질관리대책 2 기획․과학적 감시․단속으로 발생폐수 상시관리  수질오염사고 유발시설 일제점검 ❍ 유류보관시설 일제점검(시․군) - 농업용 난방 유류 등 하천변 농경지에 설치된 유류보관시설에 대한 일제점검 실시 - 다량의 유류를 보관하는 자에 대해서는 동파방제조치 및 유류 유출시 긴급 방제요령 등에 대해 현지교육 실시 ❍ 4대강에 방치된 선박(폐준설선) 관리강화 - 4대강에 방치된 선박에 대한 관리실태 점검을 실시하여 보관중인 유류 반출, 별도의 관리기준 마련 등 관리강화 ❍ 가축분뇨 배출시설 등 비점오염원 관리강화(시․군) - 봄철 강우 시 겨울동안 축적된 비점오염물질이 일시에 하천으로 유입되어 총인 증가 등 수질오염 초래 우려 - 해빙기에 축산시설, 공사장, 골프장 등 비점오염원에 대한 관리실태 점검을 통해 비점오염물질 하천유입 예방
[ "환경부는 4대강에 방치된 무엇을 하천으로 유입시키려 할까", "가축분뇨 배출시설은 하천에 방치된 무엇에 대해 관리실태 점검을 실시할 예정이야" ]
unanswerable
a6b337eb-2a4a-4027-b6df-b3e8f559dd95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 추진상황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 추진상황 □ (발생현황) 어제(10.21) 야생멧돼지 폐사체에서 아프리카돼지 열병 1건이 추가 확진되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사육돼지에서 4개 시·군 총 14건이 발생되었고, 야생멧돼지 폐사체에서 3개 시·군 총 12건이 검출되었다. *철원군 원남면에서 12번째 바이러스 검출(10.19신고, 20일 채취, 21일 확진) *사육돼지 발생현황(14건) : 파주 5건, 연천 2건, 김포 2건, 강화 5건 *야생멧돼지 검출현황(12건) : 파주 1건, 연천 6건, 철원 5건 □ (수매 및 살처분 현황) 수매는 김포(6농가, 3천여두)와 파주(46농가, 15천여두)는 완료, 연천은 일부(29농가, 15천여두) 진행되고 있고, 강원지역에서는 신청을 받고 있다. ㅇ 살처분은 김포(8농가, 15천여두)와 파주(61농가, 48천여두)는 완료되었고, 연천은 일부(4농가, 3천여두) 진행되었다. ㅇ 연천지역의 경우 수매가 완료되기 전까지 울타리 점검‧소독 등 차단방역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다. □ (멧돼지 포획) 오늘 08:00시부터 48시간 동안 민통선 이북지역에서 2차민·관·군 합동포획이 실시된다. ㅇ 민간엽사, 군인 등 투입인력은 수렵전후 소독, 잔존물 처리 등 긴급행동지침(SOP)를 철저히 숙지하고 참여하며, 주민들의 안전을 위해서 사전 마을 방송 등을 실시한다. ㅇ 전일(10.21, 18:00기준) 591두의 멧돼지가 포획되었으며 2019년 누계로 55,041두가 포획되었다.
[ "강원지역에서 몇 건의 야생멧돼지 살처분을 신청했어" ]
unanswerable
5394b02d-fbb4-4278-9d5f-e20a2c516b83
루게릭병의 신규 조절 단백질 발견
루게릭병(근위축측삭경화증)의 신규 조절 단백질 발견 -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지(誌) 발표, “루게릭병의 효과적 치료제 개발 목적의 새로운 표적후보 인자 제시”- □ 국내연구진이 루게릭병 발병에 관여하는 새로운 조절인자단백질 MST1 (mammalian STE20-like kinase 1)의 기능을 규명하여 희귀 난치성 신경계 및 근육질환인 루게릭병 치료를 위한 신약개발의 새로운 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o 최의주 교수의 주도로 이재근 박사(제1저자)와 신진희 연구원 등이 함께 수행한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신약타겟발굴검증사업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으며, 연구결과는 최근 미국국립과학원회보지(PNAS)에 온라인으로 게재되었다. * 논문명 : MST1 functions as a key modulator of neurodegeneration in a mouse model of ALS o 현재까지는 Riluzole이 유일한 루게릭병*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지만, 환자 수명을 3~6개월 정도 연장하는 데 그치고 있어 치료 효과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를 극복하고자 루게릭병 치료제 개발을 위한 활발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지만, 아직은 적절한 치료제가 개발되어 있지 않다. 최의주 교수 연구팀은 루게릭병 발병과정에서의 MST1 신경독성 유발 기능을 규명하고, MST1 저해제를 개발하면 루게릭병을 치료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루게릭병(근위축측삭경화증)은 신경세포(motor neuron)를 중심으로 선택적 손상이 오는 희귀 난치성 퇴행성 신경계 질환으로 아직까지 구체적인 발병기전이 명확하지 않으며, 인구 10만명당 1명 정도로 발생하는 빈도가 매우 낮은 희귀질환으로 우리나라에서는 2천∼3천여명의 환자가 있는 것으로 현재 추정되고 있다.
[ "최의주 교수 연구팀은 루게릭병 치료를 위한 신약개발에 어느 정도 기간이 걸린다고 했니" ]
unanswerable
51499ddc-18bd-4c91-a424-bd8faf83024e
루게릭병의 신규 조절 단백질 발견
루게릭병(근위축측삭경화증)의 신규 조절 단백질 발견 -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지(誌) 발표, “루게릭병의 효과적 치료제 개발 목적의 새로운 표적후보 인자 제시”- 연구결과 개요 1. 연구배경 근위축측삭경화증 혹은 루게릭병은 운동성 신경세포 (motor neuron)를 중심으로 선택적 손상이 오는 희귀 난치성 퇴행성 신경계 질환으로 대부분 산발적 요인에 의해서 발병되지만, 10% 내외는 유전적 요인에 의해서다. 또한 두 요인 사이에는 병태생리학적 유사성을 보이기 때문에 공통적인 발병기전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된다. 루게릭병의 대표적인 발병 유전자인 SOD1 유전자의 변이에 따른 발병기전이 아직 명확히 규명되어 있지는 않지만, 산화적 스트레스의 역할에 주목하고 있다.
[ "루게릭병의 몇 퍼센트가 산발적 요인에 의해 발병되니", "루게릭병의 치료제가 몇 퍼센트 개발됐어" ]
unanswerable
f6574db8-892f-465a-8e60-50bc07b2effd
러시아 우주화물선 추락
러시아 우주화물선, 5월 8일(금) 오후 6시경 영국-프랑스 사이 바다로 추락 예상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지난 4월 28일(이하한국시간)에 발사된 러시아 우주화물선 프로그레스 M-27M이 5월 8일(금) 17시 59분 영국과 프랑스 사이 영국해협 상공(북위 51.6도, 동경 1.3도)에서 지구 대기권에 재진입하여 추락할 예정이라고 미국 우주전략사령부(JSpOC)의 발표를 인용하여 밝혔다. ※ 예상 추락지역은 현재 궤도정보를 기반으로 한 추정치로서 궤도가 변하면 수시로 변경됨 □ 「우주개발 진흥법」 제15조의 3에 따라 우주환경감시기관으로 지정된 한국천문연구원은 우주화물선의 지구추락에 대비해 우주정거장 도킹에 실패한 지난 4월 29일(수)부터 모니터링을 해왔으며, 5월 6일(수)부터 민관군 합동 위성추락상황실을 설치하여 운영 중이다. ㅇ 또한 금일 오전 9시부터는 홈페이지(http://reentry.kasi.re.kr)와 트위터(@KASI_NEWS)를 통해 러시아 우주화물선의 추락상황을 수시로 공개할 예정이다.
[ "영국 우주화물선이 영국과 프랑스 사이 바다로 추락할 예정이라고 발표한 기관은 어디야", "어느 기관이 우주환경감시기관으로서 미국 우주화물선의 추락 상황을 위성추락상황실을 통해 수시로 공개했지" ]
unanswerable
19cd7c6c-0be5-4aed-ba1e-560fafa19a5c
기후변화 대비, 범정부 국가적응대책 마련
기후변화 대비, 범정부 국가적응대책 마련 □ 2016년부터 추진할 ‘제2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은 ‘기후변화 적응으로 국민이 행복하고 안전한 사회구축’을 위해, ○ ‘기후변화로 인한 위험감소 및 기회의 현실화’를 목표로 하여 4대 정책부문과 이행기반 마련에 따른 총 20개 정책과제로 구성되어 있다. □ 2차 적응대책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적인 기후변화 위험관리 체계를 마련하여 보다 정확한 기후변화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ㅇ 이상고온(폭염), 이상저온(한파) 등 이상기후 정보를 2017년에는 1개월 등 장기 정보제공으로 확대하고 2019년 발사 예정인 정지궤도 복합위성을 활용하여 보다 정확한 기후변화와 대기오염 예보를 실시할 예정이다. ㅇ 또한, 한국형 기후시나리오를 2020년에 개발해 미래 기후변화 전망자료의 정확성을 높이고, 건강, 농업, 물, 해양, 생태계 등 여러 부문의 취약성을 통합평가하는 모형을 개발․활용함으로써 효율적인 평가와 관리가 이뤄질 전망이다. ㅇ 특히, 각 부처의 기후변화 정보를 연계하고 통합하는 기초자료(DB)를 2017년까지 구축하여 재난과 기후영향 등에 대한 수요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방침이다.
[ "어떤 대책을 2017년부터 기후변화 적응으로 안전한 사회구축을 위해 추진해", "2016년 발사 예정인 정지궤도 복합위성을 활용해 이상고온 예보를 실시함으로써 어떤 대책이 추진돼" ]
unanswerable
9bbebebb-0deb-44ee-ac92-19aca0cd580a
과기정통부 유엔과 글로벌 데이터톤(Datathon) 개최
빅데이터 기후변화 대응 아이디어를 찾습니다!- 과기정통부ᆞUN 공동으로 기후변화 대응 아이디어 공모전인 글로벌 데이터톤 개최 - 글로벌 데이터톤 2017 추진계획 □ 행사계획 o (참가국) 한국 + 아세안 등 11개국* (참가대상) 아시아 지역 누구나 (개인 또는 팀단위(3명이하) 참여) *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베트남, 브루나이,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태국, 필리핀, 방글라데시 o (주최) 과기정통부, 유엔 글로벌 펄스*, (주관) UNDP**, NIA, KAIT * 빅데이터를 이용해 위기 및 재난으로부터 취약계층을 보호하기 위해 마련된 UN산하 조직 ** 유엔 전체의 개발 원조계획(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을 조정하기 위한 기관 o (공모분야) : 빅데이터 및 오픈데이터를 활용하여 기후변화 및 자연재해(재난) 관련 국가(도시) 현안 해결 아이디어 제시 및 구현
[ "기후변화 대응 아이디어를 공모하기 위해 UNDP와 NIA가 공동으로 주최한 행사는 뭐야" ]
unanswerable
f6f19470-d046-4f46-be0e-b455f6efa2c7
인터넷 스타트업 인큐베이팅 얼라이언스 발족
미래부, 민간과 손잡고 Internet Heroes 발굴 본격 시동 □ 35개 선정팀은 운영비와 KT, NHN 등이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 개발 인프라 및 기술지원, 전문개발자·투자자 1:1 멘토링, 지적재산권 출원비용 등을 지원받게 되며, o 우수 10개팀에는 시상과 함께 총 2억 8천만원의 창업지원금을 지급하고, 엔젤·VC 대상 투자설명회 등 투자유치의 기회도 제공할 예정이다. o 또한, 11월에는 구글과 연계하여 런던, 실리콘밸리 등 현지에서 글로벌 기업·투자자를 대상으로 서비스 IR(Investment Relationship)을 실시할 계획이며, o 특히, 올해에는 런던 진출시 영국 정부가 비즈니스 네트워킹 기회와 각종 편의를 제공할 예정으로, 양국간의 상호협력과 교류가 더욱 증진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 "영국 정부가 비즈니스 네트워킹 기회와 각종 편의 제공을 위해 사용하는 비용은 얼마니" ]
unanswerable
b7e5c513-8529-46df-8c81-fab2067f26e3
창조경제혁신센터 페스티벌
창조경제인들의 꿈을 펼치는 축제마당, ‘2015 창조경제혁신센터 페스티벌’ 개최! 1. 페스티벌 주요 프로그램 3) 성과전시(8.27~8.28 류근철 스포츠컴플렉스 2층) □ 최양희 미래부장관은 성과전시에 앞서 혁신센터의 기능 확충에 따라 금년 하반기 이후 새롭게 구축될 고용복지+센터, 문화창조융합벨트 간 혁신거점의 연계와 협업모델에 대한 구상을 밝힘 □ 이번 페스티벌에는 창조경제대상 수상작 등 혁신센터 성과물과 문화창조 융합벨트 성과물 등 총 15점의 성과물을 전시하여 누구나 보고 체험할수 있도록 할 예정임 ㅇ KPT는 구슬 모양의 캡슐에 액체상태 화장품을 넣은 새로운 형태의 화장품 원료를 만드는 원천기술을 보유하였으나, - 제품개발과 판로개척에 어려움을 겪고 있던 중 충북센터의 도움을 받아 LG와 신제품 개발에 성공하고 ‘더페이스샵’ 판매를 통해 매출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중국 등 해외 시장 진출을 추진 중임
[ "중국과 LG의 도움을 받아 신제품 개발에 성공해 더페이스샵 판매를 통해 매출이 증가한 기업은 어디니", "어느 기업이 충북센터의 도움을 받아 캡슐에 화장품을 넣는 원료를 만드는 원천기술을 개발했니" ]
unanswerable
7c5ea22d-6e1a-43f1-aa1d-2ad95839f370
창조경제혁신센터 페스티벌
창조경제인들의 꿈을 펼치는 축제마당, ‘2015 창조경제혁신센터 페스티벌’ 개최! 1. 페스티벌 주요 프로그램 3) 성과전시(8.27~8.28 류근철 스포츠컴플렉스 2층) □ 이번 페스티벌에는 창조경제대상 수상작 등 혁신센터 성과물과 문화창조 융합벨트 성과물 등 총 15점의 성과물을 전시하여 누구나 보고 체험할 수 있도록 할 예정임 ㅇ dot는 미국 유학중 시각장애인이 책 읽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서 아이디어를 얻어 점자가 움직이는 ‘점자 스마트 시계’를 개발하여 - ‘2014년 창조경제대상’ 미래부장관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SK텔레콤의 ‘브라보 리스타트’ 3기로 선정되어 업무공간, 대기업과 사업협력 및 해외진출을 위한 멘토링 지원을 받고 있음 - 금년 8월에는 타임지에 혁신적인 제품으로 소개된 바 있고, 구글 본사와 협력을 추진할 예정이며 금년 하반기에는 프랑스, 독일 등 유럽에서 출시를 준비 중임 ㅇ 이리언스는 기존 제품보다 크기를 크게 줄인 홍채인식기를 개발하였으나, - 판로와 시장개척에 어려움을 겪던 중 경기센터를 만나 멘토링을 제공받고, IBK와 연결되어 핀테크 분야까지 사업영역 확대를 추진하고 있음 - KT의 해외 네트워크를 통해 해외전시회에 참가하는 등 해외진출도 모색하고 있음 ㅇ 우리가족플레이연구소는 모바일 게임 속 캐릭터, 배경, 스토리, 사운드를 전 세대가 직접 제작하는 콘텐츠 ‘미트업(MEETUP)’을 개발함 - 예술과 엔터테인먼트 사업으로 확장 가능한 융복합 콘텐츠로서, ‘굿게임쇼 코리아 2015’에 선정되기도 함
[ "2015 창조경제혁신센터 페스티벌에서 경기센터의 멘토링으로 홍채인식기를 개발한 건 어디야", "2014년 창조경제대상에서 미래부장관상을 수상한어디서 기존 제품보다 크기를 줄인 스마트 시계를 개발했니" ]
unanswerable
fa98301b-d57a-4ceb-b93e-83ee919a925c
미래부 투자결실 바이오벤처기업 코스닥 상장
미래부 바이오 R&D투자 결실, ㈜큐리언트 코스닥 상장 - 약제내성 결핵 치료제(Q203), 미국 FDA 임상승인(1a상) 등으로 이달말 상장 ㈜ 큐리언트 개요 □ ㈜큐리언트의 파이프라인 현황 ㅇ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제 Q301 : 국내 최초 신약재창출(Drug Repositioning)을 통해 개발된 신약으로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에게서 발생하는 염증반응 및 가려움증의 원인 물질로 알려진 류코트리엔을 저해하는 기전을 가진 치료제 ㅇ 항암면역/내성암 치료제 Q701 :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와 LDC(Lead Discovery Center)로부터 2013년 기술이전계약을 통하여 현재 비임상 개발을 진행 중이며 세계적으로 관심이 높은 TAM 인산화 효소를 타겟으로 한 신개념 항암제
[ "한국 최초로 TAM 인산화 효소를 타겟으로 한 신개념 치료제는 뭐야", "2013년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가 개발한 염증반응 및 가려움증 치료제는 뭐지" ]
unanswerable
fed7b82c-e4c4-4df1-803d-6b1761786afc
정보통신공사 감리 표준품셈의 제정·보급
정보통신공사 감리 표준품셈의 제정․보급 - 적정 감리원 배치와 합리적 대가 지급으로 공사품질 향상 - □ 과기정통부는 정보통신공사의 부실시공을 방지하고 시공품질 확보를 위하여 감리원 배치현황을 시․도지사에게 신고하도록 의무화하고, 해당공사의 규모 및 종류에 따른 감리원의 배치기준을 위반한 경우에 벌금에 처하도록 하는 등 시공감리를 대폭 강화하는 방향으로 ‘정보통신공사업법’을 개정하여 지난해 12월 24일 공포(시행일 : 공포 후 10개월이 경과한 날)하였다. ㅇ 정보통신공사를 감리하는 용역업자는 해당공사에 적합하다고 인정되는 사람을 감리원으로 현장에 상주시켜야 하고, 감리원의 배치내용을 발주자에게 통지하여야 하며, 배치된 감리원을 교체하려는 경우에는 미리 발주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ㅇ 시․도의 담당공무원은 올해 10월 25일 이후에 발주되는 정보통신공사부터 감리원 배치현황 신고서를 제출 받아서 ‘정보통신공사업법’에 의한 해당 공사의 규모 및 공사의 종류에 따라 적합하게 감리원을 상주하여 배치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 감리원 배치현황 신고시 제출서류 : 발주자의 확인을 받은 감리원 배치계획서, 공사감리 용역계약서, 감리원의 등급을 증명하는 서류 등 ㅇ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정보통신공사 감리 표준품셈의 제정․보급으로 계약 과정에서 일어나는 많은 갈등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하고, 향후 한국엔지니어링협회, 한국정보통신감리협회 등 관련기관과 협의하여 감리 표준품셈을 지속적으로 현실화시켜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 "과기정통부는 정보통신공사의 시공품질 확보를 위해 무엇을 법원에 신고하도록 의무화했어", "과기정통부가 한국교육방송공사의 콘텐츠품질 확보를 위해 반드시 시,도지사에게 신고하게 한 게 뭐야" ]
unanswerable
ec4399df-0350-4dd7-ba70-2e7d946f09d8
미래부 투자결실 바이오벤처기업 코스닥 상장
미래부 바이오 R&D투자 결실, ㈜큐리언트 코스닥 상장 - 약제내성 결핵 치료제(Q203), 미국 FDA 임상승인(1a상) 등으로 이달말 상장 주요용어 설명 ○ LDC (Lead Discovery Center) : 2008년에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로부터 설립되었으며, 기초 연구기관인 막스플랑크연구소에서 개발된 혁신적 초기 연구 성과를 신약개발이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개발하는 중개연구 기관. ○ TAM 인산화효소 : TAM은 Tyro3, Axl, Mer 세 가지 수용체의 총칭. TAM 수용체는 세포 외부의 신호물질과 결합해 내부로 신호를 전달해 주는 세포막에 존재하는 단백질로 TAM 수용체는 세포 내부 인산화 효소를 작동시켜 세포 내부로 신호를 전달하는 것으로 Q701은 세포 내부 인산화 효소를 저해하여 수용체의 과도한 활성을 저해하는 약물임 * Tyro3 : 유방암, 난소암 등의 발병 및 항암제 내성 유발 * Axl : 활성화시 암세포의 전이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짐. 최근 항암제의 지속적 처리시 과발현되어 항암제 내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짐. * Mer : 정상인에서의 기능은 감염 등으로 과다 발생한 면역반응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 암세포나 에볼라 같은 바이러스가 이를 역이용하여 면역반응을 회피하는데 이용한다고 알려짐.
[ "2008년에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로부터 설립되어 Axl로 신약을 개발하는 기관은 어디야" ]
unanswerable
e70a1b28-b6c2-45b4-9e40-48049da89391
충남혁신센터 1주년 성과
충남창조경제혁신센터, 태양광 사업화 ‧ 농수산품 명품화 선도, 무역존을 통해 지역 중소기업 해외진출 박차! 지난 1년간의 성과 및 향후계획 【 중소‧벤처기업 글로벌진출 】 ㅇ 충남센터는 무역존*을 통해 수출 및 해외판로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에게 국내‧외 바이어 상담회 및 전국 200여 전문무역상사 매칭을 통해 현재까지 9개 기업의 400만불 수출** 성과를 일구어 냈다. * 한화무역과 한국무역협회, KOTRA의 전문 인력이 상주 ㅇ 충남센터는 한화의 GEP*(Global Expansion Program)사업을 통해 5개팀**(2016.1)의 해외사업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그 중 웨이웨어러블은 빅데이터 IOT 기반 피부진단기로 글로벌사업화 투자유치(펀드, 9억), 12.7만불(1,200개 물량)의 선주문을 받는 성과를 이뤘다. * 해외 현지 기업과의 계약체결에 필요한 전과정 지원, 중국‧일본‧베트남을 타겟으로 연 3회(13주/회), 회당 5개 업체 선정 ** ㈜리니어허브(베트남), ㈜디오션(일본), ㈜웨이웨어러블(중국), ㈜위바이인터내셔널(중국), Kpop United(베트남)
[ "한국무역협회가 충남창조경제혁신센터와 함께 중소기업의 해외사업화를 추진하는 사업이 뭐야", "리니아허브에 상주하는 전문 인력은 무슨 사업을 통해 해외판로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을 지원하니" ]
unanswerable
5bde3a10-5058-4673-bb5a-715dcc487d4e
벤처1세대 활용 및 재기 프로그램 추진 계획 발표
미래부, 벤처1세대의 성공ᆞ실패 경험을 국가 자산으로 활용 - 「벤처1세대 활용 및 재기 프로그램 추진 계획」발표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 이하 미래부)가 범정부적「창조경제실현계획(6.5일)」의 후속조치로, 벤처1세대의 경험을 국가의 자산으로 활용하기 위해 적극 나섰다. □ 벤처1세대는 90년대 벤처 불모지였던 국내에 기술과 열정만으로 벤처DNA를 사회전반에 확산시킨 주인공들로서, o 성공한 기업가는 다양한 사회공헌 프로그램 등으로 벤처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여가고 있는 반면, 한번 실패한 벤처기업가는 사회의 낙오자로 대접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 실리콘밸리는 실패를 ‘경험과 자산’으로 인식하며, 성공한 벤처의 평균 실패 횟수는 2.8회(미 하버드대, 로렌 게리 교수) □ 한편 벤처기업의 수가 3만 여개(‘12년말 28,193개)에 육박하는 가운데, 20~30대의 청년 벤처기업 CEO 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바, o 이는 창업과 경영에 대한 노하우가 부족하고, 창업 실패시 모든것을 잃는다는 위기감과 실패를 용인하지 않는 사회적 분위기 등이 작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 2012년을 기준으로 한국의 청년층(18~34세)의 창업활동은 중장년층(35~45세)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The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
[ "실패한 20, 30대의 청년 벤처기업 CEO는 어떤 대접을 받고있어", "실리콘밸리 세대는 90년대 벤처DNA를 사회전반에 확산시킨 사람으로서 어떤 대접을 받아" ]
unanswerable
f2fa832c-ad3b-4309-a143-167c1e55afcb
중이온가속기 라온(RAON) 초전도가속모듈 성능시험 성공
중이온가속기 라온(RAON) 초전도가속모듈 성능시험 성공 - 핵심 가속장치 연구개발 순항, 2021년 가동계획 청신호 - 1 초전도가속모듈 개요 및 용어해설 ○ (장치 구성) 초전도가속모듈은 내부에서 빔을 가속시키는 초전도가속관과 여기에 고주파 에너지를 공급하는 커플러, 안정적인 운전을 위해 주파수를 조절하는 튜너, 액체헬륨 냉매를 순환 공급하는 저온유지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외부의 열이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열 차폐체 및 지구자기장의 영향을 막는 자기장 차폐체도 더해진다. 특히, 니오븀으로 만들어진 초전도 가속관은 액체헬륨 기반 저온유지장치를 통해 절대온도 4도 또는 2도(영하 약 269℃, 271℃) 극저온으로, 그 내부는 10-9토르(torr, 기압의 단위로 표준대기압을 760토르로 정의한다) 이하의 초고진공(즉 7,600억 분의 1 기압)으로 유지된다.
[ "초전도가속모듈을 구성하는 장치 중에 무엇이 내부의 열을 외부로 전달하니", "어떤 장치가 니오븀으로 만들어져 냉매를 순환 공급할까" ]
unanswerable
402ac9c3-ad88-46d3-9ffb-78d964bb0beb
충남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
충남 창조경제혁신센터, 태양광 응용제품 창업 및 명품 농수산품 발굴의 허브가 되겠습니다. 충남 창조경제혁신센터 개요 □ 개요 ㅇ 위치 : ① 충남 천안시 테크노파크 생산관(260평), ② 충남 아산시 KTX 천안아산역 2층(150평) ※ 문의처 : 충남창조경제혁신센터 ***-***-****~* ㅇ 주요 시설 [총 410평 규모] - 충남 TP(본부) : 태양광 관련 창업․중소기업 지원, 명품 농수산물 육성 - KTX 천안아산 역사(비즈니스센터) : 창업․중소기업 해외진출, 투자·상담 지원 ㅇ 비전 : “창의, 성공, 행복 에너지의 나눔터 충남” □ 주요 기능 ㅇ 충북의 태양광 관련 제조 인프라, 대덕의 연구소와 연계한 태양광 클러스터를 구축하여 태양광 응용제품 창업과 중소․벤처기업 성장을 집중 지원 ㅇ 무역존을 설치하여 중소기업 수출 수요를 접수․연계하여 원스톱으로 지원하고, 창업기업의 해외사업화 프로그램을 운영 ㅇ 농수산품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해 명품화 플랫폼을 구축하고, 5대 시범사업을 추진하며, 명품 농수산물 플랫폼에 대한 성과 확산
[ "충난 천안시 KTX 천안아산역 2층에 위치해 태양광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는 센터는 무엇이니", "대덕의 태양광 관련 제조 인프라를 구축하여 중소 벤처기업 성장을 지원하는 센터는 무엇일까" ]
unanswerable
0bc1cf5d-730b-490d-8dac-2f8168e404bb
중이온가속기 라온(RAON) 초전도가속모듈 성능시험 성공
중이온가속기 라온(RAON) 초전도가속모듈 성능시험 성공 - 핵심 가속장치 연구개발 순항, 2021년 가동계획 청신호 - 중이온가속기(RAON) 구축사업 개요 □ 사업개요 ㅇ (사업목표) : 희귀동위원소 기반의 최첨단 기초과학 연구 수행용 차세대 중이온가속기(RAON) 구축을 통해 국내 기초과학의 글로벌 경쟁력 기반 마련 및 가속기 활용 우수 연구자 양성 ㅇ (추진주체) 미래부(일반시설) / IBS(장치구축, 특수시설) ㅇ (사업기간) : 2011년 ~ 2021년 ㅇ (총사업비) 14,298 억원(국비) *장치구축 4,602억원, 시설건설 6,096억원, 부지매입 3,600억원(총사업비 협의조정, 2016.3월) ㅇ (사업규모) - (위치) 대전광역시 유성구 신동지구 - (대지면적) 952,066㎡(약 29만평), (연면적 130,143.69㎡) - (건축면적) 89,212㎡(약 2만7천평), 14개동 - (층수) 지하 2층, 지상 3층 ㅇ (기대효과) : 세계 최초 융합형 희귀동위원소 생성방식(ISOL+IF)을 통해 고희귀도 동위원소 발견 가능성 제고 - 국내 기초과학의 경쟁력 확보와 가속기 활용 우수 연구자 양성을 통한 세계적 수준의 기초과학 연구(기초/응용) 성과 창출 - 중이온가속기 원천기술 확보를 통한 국내 산업 활성화 및 기술력 증대 □ 주요 사업내용 ㅇ (장치구축) 중이온 빔을 제공하는 가속장치 및 기반장치, 희귀동위 원소 연구를 위한 RI빔생성장치 및 실험장치의 개발, 설치, 운전 등 ㅇ (시설건설) 중이온가속기의 안정적인 가동과 쾌적한 연구환경 조성을 위한 가속기・실험 시설, 연구・업무지원 시설 건설
[ "미래부는 무엇의 구축을 위해 시설건설 비용으로 3,600억원을 들였지" ]
unanswerable
65a8e632-549e-4615-97ab-01ecdffe137e
인터넷 스타트업 인큐베이팅 얼라이언스 발족
미래부, 민간과 손잡고 Internet Heroes 발굴 본격 시동 인터넷 기반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인터넷 스타트업 육성 방안 (요약본) Ⅴ. 주요 정책과제 3 스타트업 글로벌 진출 지원 < 3-② > 글로벌 진출지원 역량 강화 □ 아시아 선도국과 ‘인터넷 스타트업 페스티벌’ 개최(2015년~) o 아시아 창업 네트워크 구축의 場을 마련하고, ‘스타트업배틀’을 통해 국내 우수 서비스 홍보 및 해외 인재‧스타트업 유치 기회로 활용 □ 우수 서비스 및 스타트업 해외 홍보 지원 o 유명 IT미디어(TechCrunch 등)와 연계한 국내 스타트업 기사 정기 게재 및 해외금융권‧벤처투자사(실리콘밸리은행 등)에 홍보자료 제공 o 인큐베이팅 Alliace와 해외 VC, 재외동포 네트워크 등을 활용하여 국내 스타트업 컨퍼런스의 해외진출 지원 ※ 국내 최대 인터넷 스타트업 컨퍼런스인 ‘beLAUNCH’(2012년 최초 개최)의 경우, 2013년부터 일본(동경), 미국(실리콘밸리) 등에서 컨퍼런스 개최 예정
[ "어떤 행사가 2012년 미국에서 최초로 개최되었니", "미래부에서 미국과 함께 글로벌 인재와 스타트업 유치를 위해 개최한 행사가 뭐야" ]
unanswerable
fd57e8e1-7c41-4848-a838-eec8c7f160fe
2015년도 정부연구개발 투자방향 공청회 개최
내년 정부R&D투자 방향을 국민에게 묻는다! - 「2015년도 정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 대국민 공청회 개최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 이하 미래부)는「2015년도 정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을 마련하여 연구개발 관계자와 과학 기술에 관심 있는 국민들을 대상으로 25일과 27일 서울과 대전에서 공청회를 개최한다. ○「정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은 「과학기술기본법」에 따라 미래부가 다음해 정부 R&D 예산의 중점추진분야와 기술분야별 투자방향을 제시하는 것으로, 투자방향은 각 부처의 내년도 R&D 예산계획 수립 및 미래부의 예산 배분·조정의 기준이 된다. □「2015년도 정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은 “과학기술을 통한 경제혁신 견인”을 목표로, 3개 기본방향, 9개 중점 투자분야, 9개 기술분야의 투자방향을 정립한 ‘3+9+9 체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 2015년도 정부연구개발투자의 기본방향은 과학기술을 연계하여 경제 부흥을 견인하고, 사회문제 해결을 통해 국민행복을 제고하며, 경제와 사회의 성장을 지원할 과학기술의 기본역량을 강화하는 것으로 국정기조인 경제부흥과 국민행복의 실현에 초점을 두고 있다. ○ 내년에 정부가 중점으로 투자하는 분야 및 방향은 다음과 같다. - 먼저 경제부흥을 위하여 미래 성장동력이 될 기술을 발굴하고, 이를 상용화하기 위한 창업·사업화 및 기술이전 기회를 확대함 으로써 창조경제의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 국민행복을 위하여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관리·증진하고, 쾌적한 생활 및 범죄와 재난으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을 지원하며, - 역량·기반 강화를 위하여 기초연구를 확대하고, 우수한 연구인력을 양성하며, 과학기술 기반 인프라 확충하는 정책을 지원하는 것이다.
[ "2015년에 미래창조과학부가 어떤 계획에서 범죄에 대한 기초연구를 확대하려 해",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어떤 계획을 마련하여 각 부처 관계자를 대상으로 공청회를 개최할까" ]
unanswerable
d91d1373-6884-4ca3-967c-22d0c50e616e
차세대 메모리 핵심소재 개발 성공
차세대 메모리 핵심 소재 개발 성공 - 기존 SRAM 메모리 한계를 뛰어넘는 비휘발성, 고속, 고집적 소재 - 연구결과 개요 3. 기대효과 ㅇ 현재 논리소자의 성능 향상을 위해 SRAM 캐시메모리의 용량이 증가하고 있으나 이는 휘발성 소자의 사용 증가로 인한 누설전류의 증가를 야기하고 이로 인해 칩의 전력소모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만약 이를 SOT-MRAM으로 대체 할 경우 비휘발성 특성 때문에 용량이 증가하더라도 SRAM과 달리 누설전류가 없어 저전력/고집적이 가능해진다. ㅇ 또한 기존 논리소자 위에 3D 적증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현재 사용되는 반도체 구조보다 훨씬 더 작은 면적의 칩 구현이 가능해지며, 특히 SOT-MRAM은 웨어러블, 모바일, 바이오센서 및 IoT와 같은 저전력 동작을 요구하는 전자기기의 발전에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ㅇ 국내 반도체 산업은 DRAM, Flash 등 메모리 반도체에서 지속적으로 세계시장을 선도해 오고 있다. 그러나 최근 중국의 대규모 메모리 반도체 투자에 따른 위협이 가시화되고 있다. 이번 연구결과로 원천기술 선점과 특허확보를 통해, 메모리 산업의 주도권 강화와 더불어 비메모리 논리소자 부분의 시장을 확장하는 데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휘발성 소자의 사용 증가로 Flash 반도체에 기여할 수 있는 고전력 소재는 무엇이지", "휘발성 소자 위에 3D 적증을 할 수 있어 작은 면적의 칩 구현이 가능한 메모리 소재는 무엇이야" ]
unanswerable
aae7661d-07ac-48b3-ad91-e9b1ddb5f4e8
창조경제혁신센터 페스티벌
창조경제인들의 꿈을 펼치는 축제마당, ‘2015 창조경제혁신센터 페스티벌’ 개최! 창조경제혁신센터 추진현황 ④ 경북센터(2014. 12. 17.) ㅇ (스마트 팩토리) 중소기업의 스마트 팩토리 도입에 필요한 서비스(컨설팅*, 설비보급**, 금융지원***) 원스톱 제공으로 총 145개 과제 확정(34개 완료, 111개 진행 중) * 삼성 전문인력(20명)이 맞춤형 컨설팅 제공,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적의 스마트 공정 제시 ** 고가의 외국산 설비를 국산화하고 우리 중소기업 맞춤형으로 보급 *** 5년간 총 200억원, 기업당 스마트팩토리 도입 금액의 50%, 최대 5천만원 지원 ㅇ (융합형 신사업 발굴) 전통업종 중소기업들이 융합형 신사업으로 업종전환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대기업과 협업으로 7대 상생과제* 추진 * IT의료기기, 첨단로봇, 탄소복합부품, 3D 영상, 스마트 센서, 초정밀 금형가공, 문화 콘텐츠 ※ 프로젝트 추진을 위해 삼성ㆍ경북ㆍ성장사다리펀드가 300억원 규모의 C-Fund 조성 및 삼성이 별도로 삼성전략펀드 100억원 조성 ㅇ (전통문화 관광상품화) 경북지역 명품고택*, 종가음식** 등 전통문화 관련 지역자원을 활용한 문화체험형 관광상품 개발 * 호텔신라, 웰스토리, 제일기획, 제일모직 등이 실사를 통한 사업화 고택 발굴(44개, 2016년 지원) ** 종가음식 수운잡방(요리 레시피) 프로모션 진행(2015년 10월, 호텔신라, 주요 국가 대사 등 초청, 수운잡방 요리법 시연)
[ "창조경제혁신센터 중 어느 센터에서 삼성 전문인력의 컨설팅을 위해 총 111개 과제를 확정했지", "스마트팩토리 도입 금액으로 5년간 기업당 200억원을 지원받는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어디니" ]
unanswerable
a31c335d-2802-4e30-8f3c-3edbad59ccd3
벤처1세대 활용 및 재기 프로그램 추진 계획 발표
미래부, 벤처1세대의 성공ᆞ실패 경험을 국가 자산으로 활용 - 「벤처1세대 활용 및 재기 프로그램 추진 계획」발표 - 벤처1세대 활용 및 재기 프로그램 추진 계획 실패 벤처인의 공동창업 등 재창업 기반 조성 □ 주요내용 o (공동창업 기반조성) 청년층의 참신하고 우수한 아이디어와 성실한 실패자인 중장년층의 창업 욕구 및 노하우를 결합한 창업 기반조성 - 청년층의 아이디어는 기술․지식 집약적분야 및 신성장 동력 분야가 많아 국가산업발전 및 경쟁력 제고에도 중요한 요소 o (공동창업 시범팀 운영) 올해 시범으로 2~3개 공동 창업팀을 운영하고 발생되는 문제 및 결과 등을 바탕으로 추후 확대 여부를 결정 ※ 공동창업에 참여하는 실패 벤처인에 대해서는 도덕적 해이 방지 및 공동창업가 마인드 함양을 위해 기업가정신 등 교육을 별도 실시 o (창업 아이템 공유ㆍ발표의 장 마련) 공동창업 기반조성을 위해 성실한 실패자들의 사업내용과 관심분야 및 청년층의 아이디어와 관심분야를 발표하고 DB화하는 공동창업 지원 장터 마련 - 벤처1세대 멘토링 프로그램을 통해 매칭된 멘토-멘티간의 공동창업을 우선 선발하여 지원 o (가이드라인 제시) 공동 창업에 따른 유ㆍ무형의 권리, 소유와 경영, 회계관리, 성과분배 등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마련 - 대학기술지주회사, 연구소기업, 벤처캐피탈 등의 사례를 바탕으로 공동창업자가 윈-윈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 □ 운영기관 : ‘벤처1세대 멘토링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공모를 통해 운영기관 선정 □ 소요예산 : 200백만원
[ "미래부는 누구를 대상으로 공동창업 기반 조성을 위해 교육비 200백만원을 지원하니", "누가 벤처1세대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경우 기업가정신 교육을 별도로 실시해" ]
unanswerable
c24d0745-6518-4c2f-8ece-881000c909c7
벤처1세대 활용 및 재기 프로그램 추진 계획 발표
미래부, 벤처1세대의 성공ᆞ실패 경험을 국가 자산으로 활용-「벤처1세대 활용 및 재기 프로그램 추진 계획」발표 - 벤처1세대 활용 및 재기 프로그램 추진 계획 성공ᆞ실패 경험 공유를 위한 벤처1세대 포럼 운영 □ 현황 o ICT분야 벤처 불모지나 다름없던 국내에 기술과 젊은 투지로 벤처 신화를 써나갔던 벤처1세대의 경험은 소중한 국가 자산임 o 대부분 국가가 창업의 성공 사례만을 연구할 뿐 왜 실패 했는지, 어떻게 대비해야하는지 등에 대한 실패 사례 연구가 거의 없어 동일한 실패가 반복적으로 발생
[ "미래부는 벤처 신화를 썼던 ICT 분야의 기술 공유를 위해 무엇을 운영했지", "한국의 ICT 기술과 미래부의 투지로 써나갔던 벤처의 성공과 실패 공유를 위해 운영된 포럼은 뭐야" ]
unanswerable
b5aba8a0-d7a3-4349-9ae2-f9871d1ba777
멸종위기종 텃새 양비둘기 2마리 번식 성공
멸종위기종 텃새 양비둘기 2마리 번식 성공 □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원장 박용목)은 최근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 양비둘기 2마리를 번식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 국립생태원은 올해 5월 양비둘기 수컷 4마리와 암컷 2마리를 서울대공원에서 이관 받아 충남 서천군 국립생태원 내의 동물 배후 시설에 둥지와 은신처를 다양하게 만드는 등 ‘행동풍부화’에 기반한 번식 환경을 조성했다. ○ ‘행동풍부화’란 동물들이 제한된 공간에서 보이는 무료함과 비정상적인 행동을 줄여주고 야생에서 보이는 자연스러운 행동이 최대한 나타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육성 방법이다. ○ 번식환경 조성 결과, 올해 6월 24~26일에 양비둘기 암컷 1마리가 2개의 알을 낳았고 16일 이후 2마리의 새끼가 부화했다. ○ 갓 부화한 새끼 2마리는 비둘기젖*을 먹었고 어미의 보살핌으로 건강하게 성장해 1개월 후 기존의 양비둘기 무리에 합사했다. * 모이주머니에서 분비되는 우유와 유사한 성분
[ "국립생태원이 부화시킨 새끼 2마리 중 수컷은 몇 마리니", "국립생태원이 부화시킨 새끼 2마리가 기존의 양비둘기 무리에 합사하기 전에 무리에 있던 양비둘기는 몇 마리니" ]
unanswerable
4b587846-4891-4f73-baac-744d9a05ed65
창조경제혁신센터 페스티벌
창조경제인들의 꿈을 펼치는 축제마당, ‘2015 창조경제혁신센터 페스티벌’ 개최! 창조경제혁신센터 추진현황 ⑦ 부산센터(2015. 3. 16.) ㅇ (유통 혁신) 스마트 스튜디오 및 옴니미팅룸을 활용한 판로개척* 지원(46개사), 소싱박람회 및 MD교류회(2회, 123개사), ‘혁신상품 인증제’를 위한 전국센터 창의상품 접수 및 멘토링 실시(8월~) * 부산 특산물(대저토마토, 명란젓갈 등) 홈쇼핑 이원방송 진행 등 ㅇ (영화‧영상) 5팀(12명)의 유망 시나리오 작가를 선정하여 센터 입주·지원, 예술영화 및 저예산 영화 전용관을 통한 상영지원(41편 상영) ※ 영상․영화 특화펀드 총 400억원(투자 200억원, 융자 200억원) ㅇ (IoT 스타트업) 부산의 IoT 기반 스마트 시티 조성 계획과 연계한 시범사업 추진, IoT 기술의 상용화 가능성을 검증하고 관련 스타트업 육성 ※ 기술보증펀드 1,000억원 조성 예정 ⑧ 경기센터(2015. 3. 30.) ㅇ (게임·핀테크·IoT 분야 신산업) K-champ 공모전, 핀테크공모전 등을 통해 13개 기업 보육(지원금, 홍보, IR, 입주시설 등), 핀테크 Demo-Day(3회), 보육기업과 kt 내부조직·그룹사(bc카드, 텔레캅)간 멘토링데이최(7.2) ㅇ (글로벌 진출) 해외 창업기관 교류 협력 프로그램인 ‘오렌지팹 데모데이(2015.6.10~12, 프랑스 파리)’ 참가 지원(3개 업체), 불가리아 SW협회와 스타트업 육성지원 협약체결(5월), 글로벌 피칭데이(5월)
[ "경기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영상, 영화 특화펀드에 총 어느 정도의 금액을 투자하니", "부산 창조경제혁신센터는 해외 창업기관 교류 협력 프로그램에 어느 정도의 금액을 투자했을까" ]
unanswerable
1a9d5bfd-b8ae-40b9-9a1d-7906eb1f98f8
벤처1세대 활용 및 재기 프로그램 추진 계획 발표
미래부, 벤처1세대의 성공ᆞ실패 경험을 국가 자산으로 활용-「벤처1세대 활용 및 재기 프로그램 추진 계획」발표 - 벤처1세대 활용 및 재기 프로그램 추진 계획 성실한 실패자를 위한 재도전펀드 조성 검토 □ 주요내용 o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비지니스모델임에도 불구하고 성실한 실패로 신용불량에 처한 벤처인의 신속한 신용회복과 재기를 지원하기 위한 펀드 운영(2014년 예산 반영 필요) 검토 - 실패 경험이 오히려 자산이 되어 아이디어와 기술력을 보완하여 재창업할 경우 신규창업보다 성공 가능성은 더 높아질 수 있음 ※ 펀드 자금 확보 및 재창업 성공률이 높은 재기벤처인 발굴을 위해 정부(2014년 200억원)와 민간이 공동으로 펀드를 조성하여 창업에서 실패 후 재창업에 이르는 벤처 생태계 선 순환 모델 마련
[ "무엇을 자산으로 신규 창업하는 경우 성공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지" ]
unanswerable
1dd9a0c9-d059-48e3-ae94-34e9d3df6ce0
[보도자료] 문희상 국회의장실, 강제동원 피해자 지원 관련 여론조사 결과 분석
「기억⋅화해⋅미래재단법안」, 일반국민 68.6%, 전문가 64.2% 찬성 셋째, 대법원의 강제징용 판결과 관련하여 일본 기업이 위자료를 지급할지의 여부에 대해 일반국민의 82.3%와 전문가의 82.4% 등 대다수가 일본 기업이 위자료를 지급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변했다.(일반국민 ‘지급할 것이다’14%, ‘잘 모르겠다’ 3.7% / 전문가 ‘지급할 것이다’ 12.4%, ‘잘 모르겠다’ 5.1%) 이어, 일본 기업이 배상금을 지급하지 않아 압류된 자산에 대한 강제집행이 이루어질 경우 한일관계에 부정적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답변한 사람이 일반국민 77.7%, 전문가 81.6%에 달했다. 일반국민 20.3%, 전문가 17.0%는 양국관계에 별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대답했다.(‘잘 모르겠다’ 일반국민 2.0%, 전문가 1.4%) 일본기업이 대법원 판결에 수용하지 않을 것이고, 이에 압류된 자산에 대한 강제집행이 이루어질 경우 양국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는 점에 있어 일반국민과 전문가의 의견이 일치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 "압류된 자산에 대한 강제집행이 몇 퍼센트 진행됐어", "위자료를 지급한 일본 기업은 몇 퍼센트야" ]
unanswerable
77e6f78a-7b48-427a-b0fb-a586b1297449
벤처1세대 활용 및 재기 프로그램 추진 계획 발표
미래부, 벤처1세대의 성공ᆞ실패 경험을 국가 자산으로 활용-「벤처1세대 활용 및 재기 프로그램 추진 계획」발표 - 멘토 자격 및 윤리규정, 멘토링사업 운영 원칙 멘토 의무(윤리 규정) o 상근 멘토는 운영센터에 기본적으로 출근하되 특별한 경우 외부 일을 할 수 있다(40% 이내에서 사전 허가) o 상근 멘토로 선발된 사람은 내부 멘토 그룹에서 이루어지는 팀미팅, 전체미팅, 정기 행사, 외부 교류 행사에 참여해야 하고, 특이한 사항이 있을 경우 사전 양해 하에 빠질 수 있다 o 멘토는 후배 청년기업의 후견인 역할을 하기 위해 전담 멘티를 책임감을 갖고 육성해야 하며, 방문시 모든 기록을 남기고 멘토 그룹의 책임자에게 보고하고 결과물을 남긴다 o 멘토는 청년기업과 좀 더 특별한 관계가 필요할 경우, 운영기관의 허가를 받고 별도의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규정 위반시 퇴출) o 멘토와 멘토 그룹은 해당 멘티의 비밀유지 협약을 체결해야 한다
[ "벤처1세대 활용 및 재기 프로그램 추진 계획을 발표하기 위해 전체 미팅에 참여한 사람은 누구야", "후배 청년기업은 누구의 허가를 받아야 외부 교류 행사에 참여할 수 있지" ]
unanswerable
e4f4d895-8524-41ca-96ad-e4894d1a6bd4
[보도자료] 문희상 국회의장실, 강제동원 피해자 지원 관련 여론조사 결과 분석
「기억⋅화해⋅미래재단법안」, 일반국민 68.6%, 전문가 64.2% 찬성 다섯째,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단체들이 「기억·화해·미래재단법안」 제정 지지 청원서를 국회에 보낸 것에 대해 부정적 의견보다 피해자들의 의사를 존중해야 한다는 의견이 일반국민 84.0%, 전문가 74.3%로 압도적으로 나타났다. (일반국민‘일부의 의견이므로 부정적이다’ 11.7%, ‘잘 모르겠다’ 4.3% / 전문가 ‘일부의 의견이므로 부정적이다’ 19.0%, ‘잘 모르겠다’ 6.7%) 더불어 「기억·화해·미래재단법안」명칭에 대해서도 일반국민 63.6%, 전문가 60.1%가 적절하다고 답변했다.
[ "기억·화해·미래재단법안 제정 청원서의 존중 의견이 전문가 84퍼센트, 일반 한국국민 몇 퍼센트로 나타났어", "기억·화해·미래재단법안 명칭에 대해 전문가 63.6 퍼센트, 일반 한국국민은 몇 퍼센트가 적절하다고 답변했니" ]
unanswerable
c971d560-259c-40f8-ba4b-e9a8510fdf84
[보도자료] 문희상 국회의장실, 강제동원 피해자 지원 관련 여론조사 결과 분석
「기억⋅화해⋅미래재단법안」, 일반국민 68.6%, 전문가 64.2% 찬성 이번 조사는 일반국민 대상의 경우, 전국 만19세 이상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지역별, 성별, 연련별 기준 비례할당 후 무작위추출하여 유무선전화 RDD 방식으로 진행됐다. 전체 응답률은 10.9%(총 9,165명과 통화하여 그 중 1,000명 응답완료, 유선전화는 181명, 무선전화는 819명),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가중값 산출 및 적용방법은 성별, 연령별, 지역별 가중값부여(2019년 11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기준) 방식이다. 전문가 조사의 경우, <국회 휴먼네트워크>에 등록된 23,990명에게 이메일 발송하여 1,247명(응답률 5.2%)이 회신했다. 국회도서관이 운영하는 <국회 휴먼네트워크>는 2019년 12월말 기준 27,037명(전ㆍ현직 국회의원 및 국회 소속 직원 제외 시 23,990명)의 소통채널이 구축된 국회의원 및 각 분야 전문가 정보를 상임위원회별·전문분야별·직업별로 검색할 수 있는 국회 맞춤형 전문가 데이터베이스다. 세미나⋅간담회⋅공청회 개최를 위한 전문가 선정, 입법 및 정책평가를 위한 1:1 맞춤형 온라인 자문, 분야별 전문가의 입법ㆍ정책 아이디어 수렴에 활용되고 있다.
[ "국회의원 및 각 분야 전문가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행정안전부가 운영하는 국회 맞춤형 데이터베이스는 뭐야" ]
unanswerable
7d40ff74-3331-4e9a-996d-599300bf4aca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구축 사업 선정 결과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구축 사업」10개 과제 선정 공모 과제별 세부내용 4. 교통 빅데이터 플랫폼 □ 컨소시엄 구성 ㅇ (플랫폼 주관기관) 한국교통연구원공공 / (참여기관) 총 10개(센터 8개) ※ (플랫폼 참여기관, 2개) 한국교통안전공단(차량), 한국철도공사(철도) ㅇ (센터, 8개) 한국도로공사공공, 울산정보산업진흥원공공, 포항테크노파크공공, 아이나비시스템즈중견, SKT대, KT대, KST파킹중소, 코리아크레딧뷰로중소 □ 주요 내용 ㅇ 교통 전문 연구기관인 한국교통연구원이 중심이 되어 차량, 도로, 철도, 내비게이션, 유동인구, 주차 등의 데이터를 생산하는 8개 센터와 협업하여 데이터 기반의 도로 및 대중교통 개선 서비스, 스마트시티 지원 서비스 등 제공 * 차량운행기록, 하이패스, 철도수송, 내비게이션(T-map 등) 데이터 생산 ㅇ 차량, 교통, 철도, 내비게이션, 유동인구 등 데이터 생산(일 700GB)
[ "한국철도공사는 무슨 플랫폼을 주관하는 기관이지" ]
unanswerable
9c69f0c0-d850-45ce-acfe-4fc7bc66cd0e
2020 新산업·생활 주파수 공급계획 발표
자율차, IoT 등 신산업용 주파수와 100배 빠른 지하철 WiFi, 싱크홀 탐지 등 국민 편익 및 안전을 위한 주파수 대폭 공급한다.  둘째, 스마트공장 분야에서는 고효율‧초신속‧저위험 생산 환경 구현을 통한 제조 혁신에 필수적인 주파수 공급 계획을 밝혔다. ⑧ 인공지능(AI) 로봇이 제조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제어 및 충돌 방지 주파수가 공급된다. ㅇ 제조현장의 로봇 활용을 위해서는 제어시스템과 로봇 사이의 통신이 가능해야 하며, 로봇끼리 또는 로봇과 제조시설간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고해상도 센싱용 주파수가 필요하다. - 로봇 제어 및 충돌방지 주파수 공급은 기존 자율주행차 주파수를 로봇에도 공동 사용하는 방안을 검토하여 추진할 계획이다. ⑨ 전파를 활용하여 제조현장 내 유독성 위험물 관리, 자재 투입량 초정밀 조절이 가능해진다. - 용광로, 화학물질 등을 자동으로 측정·관리할 수 있는 레벨측정용 주파수 공급으로 산업현장 안전 확보 및 효율성 증대가 기대된다. ※ 기존 차량충돌방지 주파수와 공동사용하는 방법으로 주파수가 공급되며, 전파 발사방향이 자동차는 수평, 레벨측정은 수직으로, 전파간섭의 우려가 없음
[ "레벨측정용 주파수 공급으로 전파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전파와 제조현장 사이에 무엇이 필요해" ]
unanswerable
692c154c-8ebf-4693-9af0-dbc00a9d2e72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구축 사업 선정 결과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구축 사업」10개 과제 선정 공모 과제별 세부내용 6. 유통‧물류 빅데이터 플랫폼 □ 유통·물류 플랫폼 기반 주요 혁신서비스(예시) ㅇ 라이프 스타일별 선호 외식업종 서비스 - (주요내용) 상권·유통·소비형태·트렌드 분석 데이터 개방 및 관광·여행·숙박 산업 데이터와 연계하여 신규 서비스 제공 - (기대효과) 상권분석 데이터 및 창업컨설팅 제공으로 소상공인 매출 향상과 신규 비즈니스 진출 지원 등 외식 소비 산업의 질적 향상 ㅇ 지역별 온라인 상품 구매정보 서비스 - (주요내용) 송장 정보, 온라인 판매 정보, 소비맥락(업종/지역 등)데이터를 융합하여 지역별 온라인 상품 구매정보 제공 - (기대효과) 중·소상공인들에게 구매 데이터를 제공하여 마케팅 서비스, 창업지원 컨설팅 서비스 등 매출 신장에 도움
[ "유통, 물류 플랫폼 중 상권, 소비행태 분석 데이터를 융합하여 온라인 상품 구매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는 뭐니", "소상공인에게 구매 데이터를 제공하여 외식 소비 산업의 질적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물류 플랫폼 서비스는 뭐지" ]
unanswerable
2bdebb39-035e-4571-b2e1-85220a845c08
세계최고 지능정보사회 4차산업혁명 인프라를 위한 5G 오픈심포지엄 개최
세계 최고 지능정보사회, 4차 산업혁명 인프라를 위한 5G 오픈심포지엄 개최 지능정보사회 인프라 구축을 위한 5G 오픈심포지엄 개최 계획(안) □ 개요 ㅇ (목적) 5G R&D 추진현황 및 향후계획을 발표하고 국내․외 5G 동향을 공유하여 5G 융합서비스 발전방향 논의 및 5G 생태계백서 수립 ㅇ (일시/장소) 2017. 3. 27(월) 09:00~17:00 / JW메리어트호텔 3층 미팅룸1 ㅇ (참석자) 미래부, 5G포럼, 기가코리아사업단, 산․학․연 관계자 등 100여명 □ 주요내용 ㅇ 5G 국내외 주요동향을 공유하고 5G 융합생태계 발전방향 논의 - 5G 융합생태계 조성을 위해 국내외 5G 융합산업 및 표준화 동향 등을 포함한 생태계 백서 발표 - 5G 유․무선 기술개발, 주파수, 서비스 분야 국내외 동향발표 및 발전방향 토론 ㅇ 5G 서비스실증, 응용단말, 콘텐츠 및 플랫폼 분야의 주요 핵심과제 추진현황을 발표하고 향후계획에 대한 전문가 의견 수렴 - (서비스실증) 2018년 평창 5G 시범서비스를 위한 통신사업자별 시범망 구축 및 서비스 준비 현황 점검 - (콘텐츠 및 플랫폼) 실감형 콘텐츠 제작도구 및 운용 플랫폼 기술개발 현황 공유 - (응용단말) 밀리미터파 이동통신 단말, 초다시점․홀로그램 등 응용 단말 성능 발표 및 민간 요구사항 도출
[ "지능정보사회 인프라 구축을 위한 5G 오픈 심포지엄에 참석한 미래부 전문가가 모두 몇 명이야", "몇 명의 인원이 2018년 3월 27일에 평창에서 열린 5G 오픈 심포지엄에 참석했을까" ]
unanswerable
fc349dfe-13b2-4f4d-9b8f-f4978c7b704b
바이오헬스 겨울건강은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챙기자
바이오헬스, 겨울 건강은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챙기자 - 4개 테마: 줄기세포, 사상의학, 발효과학, 뇌과학 (12월 매주 수요일) - □ 국립중앙과학관(관장 ***)은 정부출연연구기관과 과학관이 함께하는 ‘바이오헬스 건강R&D 강좌’를 12월 5일부터 매주 수요일 오후 1시 30분에 국립중앙과학관에서 개최(총 4개 주제*)한다고 밝혔다. * 줄기세포(첫째주), 사상의학(둘째주), 헬스케어/발효과학(셋째주), 뇌/치매(넷째주) ○ 이번 강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과학문화산업 혁신성장 전략(2018.10월)’에 따라 과학문화 맞춤형 신서비스 확산의 일환으로 출연(연) 연구원이 국민에게 직접 찾아가서 설명하고 현장에서 자문해주는 과학문화 활동이다. □ 이번 강좌는 4개 주제별 연구자 초청 강연, 바이오헬스 관련 질의응답, 전시품 현장 자문 등으로 진행된다. ○ 줄기세포에 대해서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12. 5.), 사상의학은 한국한의학연구원(12. 12.), 헬스케어/발효과학은 한국식품연구원/세계김치연구소(12. 19.), 뇌과학(12. 26.)은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전문연구자가 함께한다. ○ 강좌 내용은 바이오헬스분야 연구개발 및 실용화‧제품화 현황 등을 국민 관심사와 연계하여 알기 쉽게 설명함으로써 학생, 어른 등 전 연령층이 유익하게 들을 수 있다. □ *** 관장은 “과학관에서 바이오헬스 강좌 및 관련 전시품 설명‧체험을 통해 우리나라 생명공학기술의 성과를 국민들이 함께 공유하고 일상생활에서 가깝게 느끼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라고 강좌 개최 소감을 밝혔다.
[ "2018년 12월 12일 줄기세포 강연을 한 사람은 누구니", "2018년 12월 5일 사상의학 관련 질의응답에 함께한 전문연구자는 누구야" ]
unanswerable
126df81c-b895-425c-aa99-1730dd851fb5
2016년 4월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수상자
4월 과학기술자상, 숙명여대 함시현 교수 선정 - 단백질 응집 원인 밝혀 질병치료의 새 지평 연 전산화학자 - □ 함시현 교수는 단백질 응집 현상의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무정형 단백질*의 구조 엔트로피**를 규명하는 방법을 세계 최초로 정립하는 등 단백질 응집질환의 초기 유발원인을 원자 수준에서 제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무정형 단백질 : 특정한 형태를 가지지 않는 단백질로 치매, 암, 당뇨 등 여러가지 질환과 관련이 있음. ** 엔트로피 : 무질서한 정도를 측정하는 물리학적 양 □ 또한 단백질과 물의 상호작용을 정확히 구현하는 기술을 독자적으로 개발하여 생체 내 질환 단백질의 응집현상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음을 입증함으로써 아미노산 서열 등에 중점을 둔 기존 연구와는 차별화된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다. □ 이와 함께 단백질 응집에 미치는 돌연변이 효과 규명, 치매 유발 단백질의 응집 메커니즘 규명, 신장 투석 관련 질환의 돌연변이 효과 규명 등 단백질 응집의 원인을 밝히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여 왔다. □ 화학자이면서 슈퍼컴퓨터 전문가이기도 한 함시현 교수는“앞으로 정상세포가 질병세포로 전환되는 원인과 메커니즘 등을 규명하여 난치병을 치료하는데 기여하고 싶다.”라고 수상소감을 전했다. □ 1997년 시행 이후, 올해로 20년을 맞이하는 이달의 과학기술자상은 과학기술자의 사기 진작 및 과학기술 마인드 확산을 위해 우수한 연구개발 성과로 과학기술 발전에 공헌한 연구개발자를 매월 1명씩 선정하여 미래부 장관상과 상금을 수여하고 있다.
[ "함시현 교수는 정상세포가 질병세포로 전환되는 원인을 몇 년도에 규명했어" ]
unanswerable
d7092939-c02b-4f8f-b692-8eafafe45147
‘연평도의 봄’꽃게잡이와 시작되다
‘연평도의 봄’ 꽃게잡이와 시작되다 - 연평어장 꽃게잡이 어선 47척, 만선의 기대 품고 일제히 출어 - □ 우리어선의 안전한 조업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2012년도 연평어장 안전조업 대책」을 마련하여 추진한다. ○ 연평어장은 북한과 인접한 수역으로 어장이탈이나 군사적 대치 등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여 국가 및 지자체 어업지도선을 전담 배치하고 어장 바깥쪽에도 해군함정이 어장 이탈로 인한 피랍 예방 활동도 하게 된다. ○ 또한, 지난달 12일에「연평어장 봄어기 관계기관 협의회」를 개최하여 각 기관의 역할과 지원방안에 대해 협의하고 해군·해경·지자체 등 관계기관 현지합동 T/F팀도 구성하여 안전한 조업활동을 적극 지원한다. ○ 특히, 금년에는 어구실명제 이행을 적극 지도하여 조업질서 확립은 물론 경쟁조업으로 인한 피랍의 위험을 최소화 하는데 주력할 방침이다. □ 한편, 연평도 어선척수는 55척(자망 38, 연안복합 8, 안강망 6, 통발 3)으로 이중 47척이 꽃게잡이 어선이며, 전체 941가구의 61%에 달하는 577가구가 어업에 종사하고 있어 꽃게잡이가 연평도 어업인의 주 소득원이 되고 있다.
[ "연평도에 어구실명제의 어업지도선을 배치하고 관계기관 현지합동 TF팀을 구성하기로한 협의회는 뭐지", "연평도에 어구실명제 이행을 지도하고 해군, 지자체 등 관계기관의 지원방안에 대해 논의한 협의회는 뭐니" ]
unanswerable
283c6620-5da2-42fb-a473-58d6035936b1
제2기 바이오특별위원회 출범
농업, 해양수산, 규제… 바이오 구석구석 살펴보는 범부처 바이오 컨트롤타워 재정비 - 제2기 바이오특별위원회 출범 - □ 이번 회의는 통합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출범*과 더불어 새롭게 구성된 제2기 바이오특위의 첫 회의다.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법 개정(2018.4.17.)으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국가과학기술심의회 통합, 기존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산하위원회(특위 포함)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로 이전 ㅇ 제2기 바이오특위의 신임 민간위원으로는 생명과학, 보건의료, 바이오 정책 등 각 분야별 현장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민간 전문가 14명이 위촉되었다. - 새롭게 위촉된 민간위원은 이번 회의부터 2년간(2018.5.11.~2020.5.10.) 바이오특위 위원으로 활동하며 바이오분야 현장의 목소리를 범부처 정책에 반영해 나갈 것이다. ㅇ 또한, 기존 참여했던 6개 부처*에 더해 그린바이오 R&D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농촌진흥청 차장이 정부위원으로 새롭게 참여해, 그린바이오 분야 논의가 보다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 과기정통부, 농식품부, 산업부, 복지부, 해수부, 식약처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신임 민간위원으로 현장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민간 바이오 전문가 몇 명이 위촉되었니", "바이오특위 신임 민간위원 몇 명이 2018년 4월 17일부터 2년간 바이오특위 위원으로 활동할까" ]
unanswerable
721b9a5d-048a-417f-ad22-b0c0ac51d398
네트워크산업 상생발전 실천방안 발표 및 MOU
국산 네트워크장비, 통신사-장비업체 손잡다 - 네트워크장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상생과제 발표 및 23개 기관 합동 MoU 체결 - 네트워크산업 상생발전 실천방안 IV 상생발전 실천방안 2. 요소별 역량 강화 □ 제품 경쟁력 확보를 위해 핵심기술 국산화 및 풀라인업 구축 o (현황) 국내 네트워크장비 제조사들의 핵심 및 요소 기술에 대한 해외 의존도 심화 및 장비 라인업 열세 - NOS, 고사향 광통신용 모듈 및 MAC 칩은 100% 해외 의존 * 장비 핵심기술(OS, 부품 등)의 높은 해외기술 의존도로 국산제품 경쟁력 약화 o (핵심기술 국산화) 네트워크 핵심기술 조기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해 정부 R&D 지원 확대 - 2017년까지 해외 의존도 100%인 핵심 NOS 기술 내재화 * 정부 R&D 과제를 통해 2015년부터 2017년까지 단계적으로 NOS 국산화 - 장비 개발의 기술 종속성 탈피를 위한 광통신용 핵심 칩셋 및 전계층 광모듈 국산화 * 정부 R&D 과제로 NOS 내재화와 40G, 100G 광통신용 모듈 및 MAC 칩 국산화 o (풀라인업 확보로 제품 경쟁력 강화) 고사양·핵심 장비(코어/에지라우터)는 해당 제품이 없어 국내제품만으로 풀라인업 구축 어려움 - 국산화에 필요한 코어 및 서비스 라우터 개발을 위한 정부지원 R&D 추진 * 장비제조사와 정부출연(연)이 협력하여 핵심기술 개발 및 상용화 - 2016년까지 4T급 라우터 및 서비스 라우터의 단계적 상용화 및 사업화 개발
[ "무엇을 위하여 2017년까지 4T급 라우터를 단계적으로 상용화 및 사업화로 추진할 계획일까", "2016년까지 해외 의존도 100퍼센트인 핵심 NOS 기술을 내재화하는 것은 무엇 때문이니" ]
unanswerable
95584363-fa76-4d94-a6ce-51831f87b526
정보보호산업법 시행
미래부, 정보보호산업 성장동력 본격 가동 - 「정보보호산업의 진흥에 관한 법률」12월 23일 시행 - ⃞ 수요측면에서 정보보호 투자 촉진, 新시장 창출 등 산업 선순환을 위한 제도적 지원이 강화된다. ㅇ (구매수요정보의 제공) 정보보호 기업이 공공시장의 정보보호 제품‧서비스 수요를 예측하여 생산‧판매활동을 할 수 있도록, 공공기관 등의 구매수요정보를 연2회(5월, 12월) 제공한다. ㅇ (정보보호제품‧서비스의 대가) 정보보호시장 정상화의 핵심요소인 악성코드 분석 업데이트 등 정보보호 사후대응 서비스에 대한 적정대가가 지불될 수 있도록 ‘표준계약서’가 마련되고, 이행력을 담보하기 위한 정기적인 모니터링이 시행된다 ㅇ (정보보호 준비도 평가기관 등록) 정보보호에 대한 경쟁적인 투자를 유인하기 위해 보안투자, 인력관리체계 등 기업의 정보보호 준비노력(Readiness)을 평가하여 등급을 부여하는 ‘정보보호 준비도 평가’ 제도에 대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ㅇ (정보보호 공시) 정보보호 투자 우수기업을 시장에 적극적으로 알리기 위해 정보보호 투자 현황, 인증 수준 등을 상장법인 공시 등에 포함할수 있도록 하고, 공시를 한 기업에게는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 인증 수수료의 30% 감면 혜택 등을 제공할 계획이다.
[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기업의 정보보호 준비노력을 평가하는 서비스가 뭐야" ]
unanswerable
307e8d16-428b-4bc4-ac66-a75a6048311a
제2기 바이오특별위원회 출범
농업, 해양수산, 규제… 바이오 구석구석 살펴보는 범부처 바이오 컨트롤타워 재정비 - 제2기 바이오특별위원회 출범 - [안건2] 해양바이오산업육성전략 □ 정부가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고 시장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는 해양바이오 산업*의 육성을 적극 추진한다. * 해양바이오 산업 : 해양생명자원을 원료로 생명공학기술(Bio Technology)을활용하여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에너지 등의 생산 활동을 하는 산업 □ 해양수산부는 국내 해양바이오 산업을 육성 발전시키기 위한「해양바이오 산업 육성 전략(안)」을 마련하였다. ㅇ 국가차원의 육성전략 수립을 통해 태동기 단계인 해양바이오 산업을 선점하여 신성장 동력으로 발전시키고 양질의 일자리도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 세계 해양바이오 시장 규모는 2016년 39억 달러에서 2020년 48억 달러로 성장하는 등 성장 가능성이 높은 산업으로 전망*되나, ㅇ 국내 해양바이오 산업은 업계의 영세성, 자원확보 애로, 미약한 산업생태계 등으로 성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GIA(Global Industry Analysis) 보고서 □ 이에 따라, 해양수산부는 해양생명자원의 체계적인 확보기반을 구축하고, 해양생명자원의 통합 관리를 통해 자원의 활용도를 제고하는 한편, ㅇ 산업계 수요를 반영한 상용화 연구 R&D와 고부가가치 실용화 기술 개발을 위한 R&D를 병행하여 추진하고, 해양바이오 네트워크 구축 및 전문인력 양성 등 산업 생태계 조성을 통해 국내 해양바이오 산업을 육성해 나갈 계획이다.
[ "생명공학기술을 활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시장 규모는 얼마야", "세계 해양바이오 산업에서 화장품의 시장 규모는 얼마니" ]
unanswerable
151de159-8318-4380-a74e-03a36dbb63a1
출연(연) 최초, 연구실 벽을 허무는 융합연구단 본격 출범
출연(연) 최초, 연구실 벽을 허무는 융합연구단 본격 출범 - 한 공간에 모여 현안해결에 기민하게 대응한다 - < 융합연구단 선정 과제 > □ 또한, ‘에너지 및 화학원료 확보를 위한 대형 융합플랜트 기술 개발’ 융합연구단*은 한국화학연구원을 중심으로 힘을 모아 핵심 기초 화학 원료를 경제적‧친환경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대단위 패키지 공정 상용화하여 화학산업 경쟁력을 높이고 자원보국으로의 미래를 준비 한다는 계획이다. 융합연구단 발표자료에 따르면, 약 16조원의 플랜트 수출 및 기술국산화에 따른 6조원의 수입대체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 한국화학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등 4개 출연(연)이 참여하고 한화케미컬, SK가스, LG화학 등 화학기업컨소시엄과 지속 협력 ㅇ 한국화학연구원은 ‘나프타 촉매 분해기술’의 세계 최초 상용화 경험을 바탕으로 화학반응 및 분리 시스템화 기술을 담당하고, 한국에너지 기술연구원은 석탄 및 중질유를 고도화하기 위한 흡착 분리, 정제 공정 기술을 개발한다. 이와 함께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복합막 제조 및 분리모듈 기술을, 한국기계연구원은 노즐, 반응기 등 장치 설계를 담당할 예정이다. ㅇ 본 과제의 책임자인 한국화학연구원*** 박사는 “석유화학 공정 설계, 기초원료 생산, 중질유 성능 향상 기술 등 대형 융합 플랜트 핵심기술 개발을 통해 에너지산업 전체의 가치사슬을 확보하여 기간 산업이자 주력산업인 국내 석유화학산업의 효율화와 새로운 도약에 기여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 "나프타 촉매 분해기술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경험을 바탕으로 반응기 장치 설계를 담당하는 기관은 어디지", "융합연구단은 복합막 제조 및 분리모듈 기술을 담당하는 어떤 기관을 중심으로 출범되었어" ]
unanswerable
179c97a7-863c-42e1-92ca-64c5d547d952
스마트 미디어 아이디어 챌린지
스마트미디어 아이디어 경진대회 개최 - 민관 협업을 통한「스마트미디어 아이디어 챌린지」개최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서울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스마트미디어센터를 연계한 스마트미디어 아이디어 경진대회를 마련하여 10월 17일부터 참가팀 신청접수를 시작한다. o 스마트미디어*는 미디어가 정보통신기술(ICT)과 결합하여 새로운 융합미디어시장을 창출하며 발전하고 있는 분야로 젊은 청년인재들이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열정으로 창업에 도전할 수 있는 유망한 창조경제 산업이다. * 인터넷동영상서비스(OTT), 소셜미디어, 디지털사이니지, 실감미디어, 가상현실 등 o 이번 경진대회는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와 서울스마트미디어센터가 대학생 등 예비창업자들이 스마트미디어 창업의 꿈을 펼칠 수 있는 환경조성을 위해 지난 9월 22일 업무협력협정을 체결하고 준비하여 개최하는 첫 번째 아이디어 공모전이다. * 서울 스마트미디어센터 : 서비스개발 테스트베드 환경, 입주공간, 플랫폼사 네트워킹 및 기술전문가 멘토링 등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사업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 "미디어가 가상현실과 결합해 새로운 융합미디어시장을 창출하는 산업이 뭐야", "미래창조과학부가 어떤 아이디어 경진 대회를 마련해 9월 22일부터 참가팀 신청접수를 받아" ]
unanswerable
00645ce0-48eb-4d70-a7a7-7dd0cdb4c9bb
출연(연) 최초, 연구실 벽을 허무는 융합연구단 본격 출범
출연(연) 최초, 연구실 벽을 허무는 융합연구단 본격 출범 - 한 공간에 모여 현안해결에 기민하게 대응한다 - < 향후 융합연구단 운영계획 > □ 연구회 *** 이사장은 “융합연구단은 국내외 산·학·연 전문가 30~40명이 참여해 연구에 집중하고, 종료 후에는 소속기관으로 복귀하는 일몰형 연구조직”이라고 말하며 “연간 최대 100억 원의 연구비를 최소 3년에서 최대 6년(3+3)까지 지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ㅇ 이어 “출연(연)은 기업이 감당하기 어려운 국가․사회적 문제 해결에 집중할 책임이 있는 만큼 융합연구단 활성화를 통해 국민 삶의 질 개선과 신 성장동력 창출에 적극 힘쓰겠다.”고 밝혔다.
[ "융합연구단에서 연구 종료 후 소속기관으로 복귀한 연구 전문가는 몇 명이야", "100억 원의 연구비로 국민 몇 명의 삶의 질이 개선됐어" ]
unanswerable
1256cc0d-d300-4df3-90b8-697b88c7aa52
초고속 바이오 분석칩 개발
초고속 저비용 대량으로 약물 검색이 가능한 바이오 분석칩 개발 - 국내 제약 및 바이오 산업의 진입 장벽을 낮추다 - 연구결과 개요 2. 연구내용 앞서 준비한 다양한 종류의 약물 미세입자 라이브러리를 한 번의 피펫팅 과정을 통해 칩 위에 자기 조립하여 약물 칩을 제작할 수 있다. 이 약물 칩과 소량의 세포를 키운 세포 칩을 서로 합치면 하나의 약물 입자 당 하나의 어세이 공간이 확보되고, 이와 동시에 약물 미세 입자에서 약물이 흘러나와 세포와 반응하게 된다. 하나의 칩에는 매우 많은 어세이 공간이 있으므로 한 번의 실험으로 매우 많은 어세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적은 양의 시약을 정확한 양으로 사용할 수 있어 실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약물과 세포를 충분히 반응시킨 후 세포 칩의 세포를 염색해 약물 반응의 결과를 관찰하고 분석할 수 있다. 특정 약물 입자는 고유의 코드를 가지고 있으므로 반응이 일어난 세포가 어떤 약물과 반응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전 분석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어세이 과정 뿐 아니라 결과분석에 소모되는 시간 역시 감소시켰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로 다섯 종류의 항암제 및 항암제 조합들에 대해 골육종 세포의 반응을 확인하였으며 분석 자동화 프로그램을 이용한 대용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 소개된 기술을 사용하면 매우 적은 양의 시료와 약물로 대용량의 바이오 어세이를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 "소량의 어세이 공간이 있으므로 한 번의 실험으로 한 번의 어세이를 수행할 수 있는 칩은 뭐야" ]
unanswerable
4d09ede9-6521-4882-8013-d47f8c35ccdc
미래부-OECD 공동워크샵 개최
미래부-OECD 과학기술정책위원회, 공동워크숍 개최 - 시스템 혁신을 위한 기술개발 및 실증 - 미래부-OECD CSTP 정책워크숍 □ 행사 개요(안) ㅇ 일시 및 장소: 2016. 07. 07.(목) 09:30~17:30, 서울 창조경제혁신센터 ㅇ 주제: 시스템 혁신을 위한 기술개발 및 실증(Technology Development and Demonstration for System Transformation) ㅇ 참석자: 미래부(창조경제국장), OECD 회원국 및 TIP 직원(과장급 실무자), 주한 대사관 외교관, 미래성장동력 추진단 등 100여명 ㅇ 주최: 미래부(창조경제기획국 미래성장전략과), OECD(CSTP TIP) 공동
[ "미래부와 OECD 과학기술정책위원회 정책워크숍의 주최자는 몇 명이야", "미래성장동력 추진단에서 몇 명이 과학기술정책 공동워크숍에 참석하니" ]
unanswerable
e3f9884e-bf91-4083-adf9-deae4e2eb6eb
초고속 바이오 분석칩 개발
초고속 저비용 대량으로 약물 검색이 가능한 바이오 분석칩 개발 - 국내 제약 및 바이오 산업의 진입 장벽을 낮추다 - 용어설명 1. 코드화된 미세 입자 ○ 자외선을 받으면 고체화되는 고분자 물질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수십~수백 마이크로 크기의 작은 입자. 일정 부분의 자외선만 고분자에 조사할 수 있는 특수 마스크를 사용해 입자의 크기 및 모양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으며 입자의 표면에 다양한 모양의 코드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고체화된 고분자는 스폰지처럼 수분을 흡수할 수 있어 다양한 액체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2. 바이오 어세이 ○ 생물 검정. 화합물, DNA, 세포 등 바이오 물질 간의 반응 알아보는 과정이다. 특정 바이오 물질이 원하는 기능 및 효과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볼 수 있으며 신약 개발을 비롯하여 다양한 생물 실험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3. 약물 라이브러리 ○ 신약에 사용될 수 있는 신약 후보 물질 발굴을 위해서는 매우 많은 종류의 화합물의 효과를 검증해야 하는데 이에 사용되는 화합물들을 모아 놓은것을 라이브러리라고 한다.
[ "바이오 어세이는 무엇의 개발을 비롯하여 다양한 DNA 실험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니", "무엇의 개발에 사용될 수 있도록 자외선 고분자에서 코드화된 미세 입자를 검증해야 할까" ]
unanswerable
61c7379c-66f7-422d-b232-7192f6f51a27
핵심전문가 1,200명 선정해서 기술수준 평가한다
핵심전문가 1,200명 선정해서 기술수준 평가한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핵심기술의 기술수준을 비교·분석하기 위한 2018년 기술수준평가를 개선하여 평가의 전문성·일관성, 객관성, 활용도를 강화할 예정이다. □ 기존에는 매 평가마다 불특정 다수 전문가가 참여함에 따라 기술 수준평가의 일관성이 부족하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있어왔다. 2018년 평가부터는 이전 평가와는 달리 5년 임기의 기술 분야별 핵심 전문가를 선정하여 참여 전문가의 전문성과 평가의 일관성을 확보할 예정이다. ㅇ 과기정통부는 핵심전문가 후보단 구성을 위해 연구개발(R&D) 주요부처 및 과학기술 관련단체 추천, 전문가 상호추천, 자기추천 등을 진행했으며, 전문성, 추천횟수, 산학연 비율 등을 고려하여 중점 과학기술*별로 10명씩 총 1,200명의 핵심전문가를 선정할 예정이다. *「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2018∼2022)」에서 제시된 11대 분야 120개 중점과학기술 ㅇ 최종 선정된 핵심전문가는 향후 5년간 명예직인 기술수준평가위원으로 활동할 예정이며, 과기정통부 홈페이지 및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에 명단이 공개된다.
[ "2018년 어느 기관이 총 10명의 과학기술 핵심 전문가를 5년 임기의 기술수준평가위원으로 선정했어", "2022년 1,200명의 기술수준평가위원의 명단을 어느 기관이 과학기술기본계획으로 공개하니" ]
unanswerable
4ad2622b-ade9-41d2-9e23-2d3c1e826bdd
2017년 국제천문올림피아드 한국대표단 전원 메달 획득, 종합순위 3위 달성
2017년 제22회 국제천문올림피아드(IAO) 한국대표단 전원 메달 획득, 종합순위 3위 달성 국제천문올림피아드(IAO) 개요 ◦ 대회목적 : 천문 분야에 재능이 있는 청소년들을 발굴하여 격려하고 도전의식을 함양시키며, 세계 청소년들의 국제친선을 도모하는 동시에 각국의 과학교육 정보교류를 촉진 ◦ 대회주관 : 대회 개최지의 조직위원회 ◦ 개최일정 : 개최지에서 결정(통상 10~11월) ◦ 참가학생 : 14~18세의 대학교육을 받지 않은 학생 ◦ 참가학생 수 : 국가별로 주니어부 3명 및 시니어부 2명 ※ 단, 전년도 금메달 및 은메달 수상 학생은 연령 기준을 충족하면 정원 외 참가 자격 부여 ◦ 참가경비 : 참가국에서 항공료 및 체재비 부담 ◦ 경시방법 : 경시는 이론시험, 관측시험, 실무시험으로 구성되며, 최종 성적은 이론시험 40점, 관측시험 20점, 실무시험 20점 총 80점 만점으로 성적 상위자 60%에게 메달 수여 ◦ 2017년 대회 공식 홈페이지 : http://www.issp.ac.ru/iao/2017
[ "국제천문올림피아드에서는 성적 상위자 몇 퍼센트에게 금메달을 수여하니", "국제천문올림피아드 이론시험 만점자는 참가학생의 몇 퍼센트야" ]
unanswerable
3e6c719e-3ab3-4aaf-9d51-390b29cca2ee
2017년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결과 발표
과기정통부, 2017년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결과 발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원장 ***)은 유·무선 통신서비스의 품질정보 제공을 위해 2017년도 통신서비스 품질평가를 실시했다. ㅇ 2017년에는 음성통화 및 유‧무선 통신서비스에 대한 품질을 측정하고, 통신사가 공개한 통신서비스 커버리지 정보의 정확성 또한 점검했다. ㅇ 올해에는 작년과 비교하여 무선인터넷 측정 시 농·어촌 비중을 30%에서 50%로, 취약지역 중에서 국․공립공원 등산로의 비중을 확대했다. 또한, 지하철 객차 내 와이파이 측정비율을 높였으며, 이용자가 측정앱을 실행하여 직접 평가하는 상시평가 방법을 도입했다.
[ "2017년 음성통화 및 무선통신서비스의 정확성은 몇 퍼센트로 측정됐니", "2017년 지하철 객차 내의 와이파이 측정비율은 몇 퍼센트야" ]
unanswerable
e24ab600-0d37-40a3-b366-48d9f2f809a9
농림축산식품 발전에 기여한 과학기술인 포상!
농림축산식품 발전에 기여한 과학기술인 포상! 『제21회 농림축산식품과학기술대상』 시상(10.18, 양재 aT센터) □ 농림축산식품부는(장관 이개호, 이하 농식품부)는 10월 18일 양재aT센터에서「제21회 농림축산식품과학기술대상 시상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 농식품부는 1998년 ‘대한민국농업과학기술상’을 시작으로 매년 농림축산식품분야의 우수기술 개발과 확산을 통해 농업인 소득증대와 농식품산업 발전에 기여한 연구자를 선정․시상하고 있다. □ 올해로 21번째를 맞이하는 이번 시상식에서는 포장 2명, 대통령표창 3명, 국무총리표창 3명, 장관표창 19명 등 총 27명에 대한 시상과 수상자의 성과물 전시가 함께 진행될 예정이다.
[ "양재 aT센터에서 포장 3명, 대통령표창 2명 등 총 19명에 대한 시상이 진행된 행사는 뭐지" ]
unanswerable
b42561ef-ab5f-4666-b454-3e08561585da
윤종록 차관, 창조경제 협력을 위해 미국 방문
윤종록 차관, 창조경제 협력을 위해 미국 방문 □ 한국대표단의 수석대표로 참가하는 미래부 윤종록 차관은 ICT 정책포럼뿐만 아니라 창조경제 외교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게 된다. 첫날은 주미대사관을 방문하여 주미한국대사관 외교관,주재관, 국제기구 직원 및 언론인 등을 대상으로 창조경제 강연을 진행하게 된다. 이어 미주개발은행(IDB)을 방문하여 모레노 (Moreno) 총재를 만나 국내 ICT 및 정보보호 기업의 중남미 진출 방안을 논의하게 된다. 이튿날은 헤리티지 재단을 방문하여 테리 밀러(Terry Miller) 전 UN대사 등 미국 주요인사를 대상으로 한국의 창조경제 정책을 소개하는 강연을 진행할 예정이다.
[ "주미한국대사관 외교관이 한국 ICT 및 정보보호 기업의 중남미 진출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간 곳은 어디니", "테리 밀러 전 UN대사가 한국 창조경제 정책을 소개한 장소는 어딜까" ]
unanswerable
ba400555-4b21-4f3a-a303-12cc8c9ff4ed
농림축산식품 발전에 기여한 과학기술인 포상!
농림축산식품 발전에 기여한 과학기술인 포상! 『제21회 농림축산식품과학기술대상』 시상(10.18, 양재 aT센터) □ 대통령 표창은 *** (주)LS엠트론 이사, 송권화 고려대학교 생명공학부 교수, *** (재)제주테크노파크 책임연구원에게 수여된다. ❍ *** 이사는 밭농업에 적합하고 영농규모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트랙터를 개발하고, 엔진 및 부품을 국산화하는 등의 노력으로 농가 생산비 절감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었으며, ❍ 송권화 교수는 소, 돼지 등 가축의 임신 초기 착상 효율을 증진시키는 물질을 발굴하여 착상촉진제를 개발․보급함으로써 축산농가의 소득 증대 및 안정화에 크게 기여하였다. ❍ 그리고, *** 책임연구원은 까마귀쪽나무 열매에서 추출한 물질의 관절 건강 개선 효과를 규명하고 이를 제품화하는 한편, 고품질 까마귀쪽나무의 대량 번식 기술을 개발하여 해당 농가소득 향상 및 농식품산업 발전에 노력하였다.
[ "송권화 교수는 무엇의 대량 번식 기술을 개발했니", "송권화 교수는 무엇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트랙터를 개발했어" ]
unanswerable
d6d72d2f-c10b-4e64-908b-b38b064de316
[보도자료] 장애인의 지역 간 이동 수요 파악하여 교통 서비스 개선해야
장애인의 지역 간 이동편의 증진을 위한 교통 서비스 실태 및 개선방안 Ⅰ. 서론 □ 현재 장애인이 지역 간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철도, 특별교통수단, 고속버스를 활용한 교통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나, 여러 한계가 지적되고 있음 ○ 철도는 철도역사와 철도 차량에 휠체어 좌석 등 이동편의시설을 갖추어 장애인의 지역 간 이동서비스를 공급하고 있으나, 운행 지역이 제한되고 출발지·목적지와 철도역사 사이의 연계 교통수단이 부족하다는 한계가 지적됨 ○ 특별교통수단은 도입 이래 보급이 확대되고 이동지원센터가 설치·운영되는 등 장애인의 지역 내 이동을 위한 교통 서비스로 자리 잡고 있으나, 아직까지 지역 간 이동을 위한 교통수단으로서의 역할은 크지 않은 것으로 평가됨 ○ 고속버스의 경우 2019년 10월 28일부터 휠체어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개조된 고속버스 10대가 운행되기 시작하였으나, 아직 시범운행 단계에 있어 실질적인 효과를 체감하기는 어려운 상태임 ○ 또 지금까지의 정책과 논의는 개별 교통수단의 보급이나 개선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을 뿐,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의 이동 전 과정에 걸친 여러 교통수단의 연계와 역할 분담, 정책 추진을 위한 정확한 장애인 이동수요 파악, 장애 유형에 따른 다양한 교통 서비스 제공 등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어, 장애인의 지역 간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한 종합적인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음
[ "철도 차량에 휠체어 좌석을 갖춘 것은 언제부터야", "장애인의 지역 간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한 종합적인 대책은 언제 마련됐어" ]
unanswerable
b924a0f1-f3e1-4de6-a1ed-31342cb1bdae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 1주년 성과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 대‧중소 협업 생태계 조성으로 조선해양 및 의료자동화 신산업 육성의 거점으로 도약 최양희 장관, UNIST에서“X-마인드”강연을 통해 학생들과 소통 □ 기념행사에 앞서, 최양희 미래부장관은 울산과학기술원(이하 UNIST)을 방문해 ‘창업인재전형’으로 입학한 학생 등 창업을 꿈꾸는 학생 100여명을 대상으로 오전 10시 40분부터 ‘창업 토크 콘서트’를 가졌다. ㅇ UNIST는 도전 정신과 기업가 정신을 갖춘 인재를 선발해 '한국의 스티브 잡스'로 양성하는 창업인재전형을 2015년부터 신설해 운영중이며, 이 전형에 합격한 학생은 창업에 특화된 벤처경영 트랙을 이수해야하고, 해외 창업 프로그램을 지원받는다.
[ "100명의 학생이 합격한 창업인재전형은 어느 기관에서 운영해", "미래부장관이 선발하는 창업인재전형은 어느 기관에서 운영 중이야" ]
unanswerable
14c03e6b-4783-405e-bc33-3c15c6054c7b
기가코리아 사업단장 공개 모집
기가코리아(Giga KOREA) 사업단장 공개모집 -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유능한 인재를 모십니다 - ⌜기가코리아(Giga KOREA) 사업⌟ 사업단장 공모 3. 사업단장 선정 절차 및 방법 가. 사업단장 선정 절차 ㅇ 1차 서면평가 : 신청 요건에 대한 결격사유 여부 및 제출 자료의 미비 사항 등을 점검하고 선정 평가 기준에 의거 후보자를 선발함 ※ 1차 평가 이후의 세부절차는 추후 후보자에게 개별통보 ※ 허위사실이 확인된 경우 접수 취소 ㅇ 2차 발표평가 : 후보자 발표 및 선정위원회의 질의응답을 통해 진행 1) 평가 대상 : 지원자 중 1차 서면평가를 합격한 후보자 2) 평가 일시 및 장소 : 1차 합격자에 한해 추후 개별 통보 3) 발표시간 및 질의응답 : 신청자 후보 별 60분(발표 30분, 질의응답 30분) 4) 발표 내용 : 사업에 대한 비전, 사업단 경영관리 계획, 사업 추진전략 및 계획, 개인의 업적 및 경험 등 5) 발표 양식 : PPT 사용(별도의 양식 없음) 나. 주요 평가 기준(100점 만점) ㅇ 연구개발 업적 및 R&D관리 역량(40%) ㅇ 사업단 운영계획(25%) ㅇ 비전 및 리더십(20%) ㅇ 대내외 네트워킹 및 협력 역량(15%)
[ "사업단장 공모에서 1차 서면평가를 합격한 후보자는 연구개발 관리 역량을 내용으로 몇 분동안 발표하니", "사업단장을 선정하기 위해 1차 평가에서 몇 분동안 개인의 경험을 내용으로 질의응답 시간을 가질까" ]
unanswerable
5a46b9f4-7023-42c1-ad37-ec4ce2f0fa17
기가코리아 사업단장 공개 모집
기가코리아(Giga KOREA) 사업단장 공개모집 -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유능한 인재를 모십니다 - ⌜기가코리아(Giga KOREA) 사업⌟ 사업단장 공모 4. 구비서류 가. 사업단장 신청서(소정의 양식) 2부 및 전자파일 나. 신청서에 기재한 내용에 대한 증빙서류 각 1부를 제출하되 아래 서류는 필수 제출 ㅇ 최종학위증명서 및 학사·석사·박사 전 학년 성적증명서 원본 ㅇ 경력증명서 및 재직증명서 ㅇ 관련 자격증 사본 1부 ㅇ 신원진술서(최근 6개월내 촬영/인화한 사진부착), 기본증명서 원본 각 1부 5. 신청 및 접수방법 가. 신청방법 : 사업단장 신청서( 첨부】“Giga KOREA 사업” 사업단장 신청서식)를 작성하여 신청 나. 접수기간 : 2013. 8. 14(수) ~ 9. 2(월) 다. 접수방법 : 우편(접수 마감일 18:00 도착분까지) 또는 방문제출 (전자파일은 이메일(*******************)로 별도 송부) 라. 접수 및 문의처 ㅇ 상세내용 및 신청서 서식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홈페이지(www.keit.re.kr)를 참조 ㅇ 신청서 제출처 : (305-348) 대전시 유성구 엑스포로 567번지(화암동 58-4 번지)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대전분원 RFID/USN PD실(4층) ㅇ 담당자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RFID/USN PD실 ** 선임연구원 (Tel. ************)
[ "기가코리아 사업단장 공모에 신청하기 위해서는 학사, 석사, 박사 전 학년 성적증명서 사본은 몇 부 제출하니", "관련 자격증 원본 몇 부를 제출해야 기가코리아 사업단장 공모 신청을 할 수 있을까" ]
unanswerable
e147b8ad-5bff-44e8-99ba-83683c387300
지능형 디바이스 활용 공공서비스 과제 공고
지능형 디바이스, 공공 분야 서비스 개발 - 국민생활 편익 증진 및 지능형 디바이스 산업 활성화 촉진 - □ 지난해에는 고령자 농기계 안전운전 서비스, 청각 장애인 생활안전 서비스, 장애인 주차관리 서비스 등을 추진하였으며, o 특히, 포천시와 추진한 장애인 주차관리 서비스로 인해 설치지역의 불법 주차율이 68% 감소하였고, 올해는 남양주ㆍ용인시로 확대(13억 원)될 예정이다. □ 올해 추진 과제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최근 농가에서 급증하는 농작물 피해 방지를 위해 야생동물을 감지하고 효과적으로 퇴치할 수 있는 무선기기를 개발할 예정이다. o 또한, 통학차량 승하차 시 발생하는 어린이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승하차 여부 등을 실시간으로 운전자 및 보호자에게 알려주는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관리 기기를 개발할 예정이다. o 아울러, 전통시장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조기 감지할 수 있는 기기를 개발하는 과제로, 전통시장 대형 화재를 사전에 예방하고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 미래부 ***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이번 사업은 사전에 지자체를 통해 발굴된 공공 수요를 토대로, 필요한 디바이스를 개발ㆍ보급함으로써, 시작단계인 국내 지능형 디바이스 산업이 확실하게 자리매김할 수 있고 관련 중소기업들이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기술경쟁력을 갖춘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라고 밝혔다.
[ "남양주시에서는 통학차량 승하차 여부를 실시간으로 보호자에게 알려주는 무슨 서비스를 개발할까" ]
unanswerable
851468cd-668b-4b30-9b9d-b26dc84ff27d
“참신한 아이디어, 창조경제타운으로 모여라!”
“참신한 아이디어, 창조경제타운으로 모여라 !” □ 또한 「창조경제타운」에서는 국민이 제안한 아이디어가 효과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도록 ‘아이디어 보호 요령’ 코너를 운영한다. o 국민 스스로가 아이디어에 대한 권리를 지켜나갈 수 있는 행동요령인 ‘아이디어 보호수칙 10’을 게시하는 한편, 아이디어의 존재 시점을 증명해주는 영업비밀 원본증명 제도를 연계하였다. o 향후, 아이디어 보호에 관한 방법과 다양한 사례를 담은 아이디어 보호 네비게이터와 가이드북, 아이디어 공모전을 주관하는 공공 기관, 기업 등이 준수해야 할 표준 가이드라인을 제작하고, 범부처 아이디어 보호 종합대책도 수립할 계획이다.
[ "창조경제타운에서는 공공 기관이 제안한 아이디어가 효과적으로 보호 받을 수 있도록 어떤 코너를 운영해", "어떤 코너를 통해서 아이디어 보호에 관한 방법과 사례를 담은 영업비밀 원본증명 제도를 연계했어" ]
unanswerable
f4fbebe2-52fd-4e60-aa66-7711bd863d8f
“참신한 아이디어, 창조경제타운으로 모여라!”
“참신한 아이디어, 창조경제타운으로 모여라 !” 「창조경제타운」 주요서비스 소개 1 아이디어 제안 《창조 아이디어 제안》 □ 자신의 아이디어를 가지고 사업화나 창업에 도전하고 싶은 국민 누구나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전문가의 멘토링을 통해 발전시켜 나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서비스 o 아이디어를 제안하면서 기술 분야, 발전 단계(지재권화 여부 등)와 멘토링 희망 분야를 입력 o 제안자에게 필요한 도움을 줄 수 있는 멘토가 아이디어 구체화, 지재권화, 시제품제작, 마케팅 등 사업화 전 과정의 멘토링 지원 o 선별된 아이디어는 특허청의 ‘지식재산 기반 국민행복기술 구현사업’ 등 관련 사업과 연계 - 특허분석 전문가, 트리즈(TRIZ)* 전문가, 기술사업화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전문적인 컨설팅팀을 통해 사업화 가능한 수준으로 구체화 * 창의적 문제해결 이론(Teoriya Resheniya Izobretatelskikh Zadach) : 문제가 발생한 근본 모순을 찾아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방법론
[ "특허청이 창조 아이디어 제안을 위해 창업에 도전하는 전문가에게 지원하는 것은 무엇이니", "특허청이 지식재산 관련 사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색한 방안은 무엇일까" ]
unanswerable
a99b49d8-f41e-44da-8e95-a5b930be281b
1월 과학기술인상, 연세대학교 김준 교수
1월 과학기술인상, 연세대학교 김준 교수 - 대기오염물질의 지역 분포와 이동 현황을 볼 수 있는, 정지궤도에서 대기오염 분석이 가능한 원격탐사기법 개발-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1월 수상자로 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김준 교수를 선정했다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조무제, 이하 ‘연구재단’)은 밝혔다. □ 과기정통부와 연구재단은 김준 교수가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미세 먼지나 오존, 이산화탄소와 같은 대기 중의 에어로졸* 및 미량기체**측정과 대기환경오염 현상을 과학적으로 규명하는 원격탐사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대기오염 및 기후변화의 진단과 분석에 기여한 공로가 높게 평가되었다고 선정배경을 설명했다. * 에어로졸 : 대기 중 부유하는 고체 및 액체 입자로 미세먼지를 포함. ** 미량기체 : 수소, 이산화탄소, 아르곤, 메탄 등 대기 중에서 1% 이하의 비율을 차지하는 기체를 의미함. ㅇ 수많은 미세먼지와 미량기체는 복사에너지의 파장에 따라 각기 다른 산란과 흡수율을 보인다. 따라서 인공위성을 이용해 복사 에너지의 분광스펙트럼을 측정하면 수백에서 수만km 떨어진 곳에서도 대류권 내 대기오염물질의 농도와 특성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ㅇ 김준 교수는 정밀한 복사에너지 전달과정 모델링과 역추정 이론을 바탕으로 인공위성 원격탐사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특히 관련 알고리즘은 정지궤도위성, 항공기 등의 측정 자료에 적용되어 기체의 농도와 입자특성을 산출하며 성과를 입증해왔다.
[ "항공기를 이용해 복사에너지 전달 과정을 규명하는 원격탐사 알고리즘으로 김준 교수가 수상한 상은 뭐지" ]
unanswerable
d98e12d7-6e93-40b9-a5e1-ee1c5c3ad965
VR AR그랜드챌린지 개최
국내외 ICT기업과 함께 VR·AR 개발생태계 조성 - 유망 개발자 발굴을 위한 VR·AR 그랜드챌린지 개최 □ 작년 국가전략프로젝트로 가상현실을 선정한 미래부는 우리나라 新 성장동력인 가상현실의 핵심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신 시장을 창출할 유망 인재 발굴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ㅇ 올해에는 롯데월드, 페이스북(오큘러스), 케이티(KT), 엘지유플러스(LGU+), 원스토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이 참여하여 HMD 등 디바이스, 소프트웨어 개발키트(SDK), 개발 서버 등 개발 플랫폼을 제공하고 참가자를 위한 멘토링을 지원하게 된다. ㅇ 또한 참가자들에게 대회 기간 동안 상암동 디지털파빌리온에 개발 지원공간(Develping bed)을 상시 제공할 계획이다.
[ "유망 개발자 발굴을 위해 ICT 기업이 상암동에 상시 제공하는 것은 무엇이니", "가상현실 국가전략프로젝트를 위해 미래부가 엘지유플러스에 지원하는 것은 무엇일까" ]
unanswerable
658c2c91-12f7-44ec-8dad-d6e58a655427
5개 과기특성화대학 MOU 체결
5개 과기특성화대학 함께 기술사업화 퍼스트무버로 나선다- 기술사업화 선도모델 구축을 위한 MOU 체결 - 과기특성화대학 기술사업화 선도모델 구축 방안 Ⅱ. Five STAR(Science and Technology After R&D) Initiative 세부 추진방안  창업 걸림돌 개혁(Reformative) 추진 < 현황 > ○ 학칙 상 창업 관련 휴·겸직 및 휴학 기간이 충분하지 않아 해당 기간 동안 기업을 성숙단계로 성장시키기 어려움 ※ 창업기업이 벤처기업으로 확인받는데 소요되는 평균기간은 55.4개월(중기청, 2010) ○ 교직원의 창업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는 개인적‧조직적 인센티브 부재 - 직무발명에 대한 보상이 미약하여 기술 활용도 저하 현상 발생 ※ 각 대학 규정상 교수 및 연구원의 연구개발 결과물의 소유권은 대학에 귀속되며, 직무발명보상은 기술료의 일정 비율을 원 발명자에게 제공하는 형태로 이루어 짐 < 개선방안 > ○ (공동 창업규정 가이드라인) 휴·겸직/휴학, 창업 인센티브, 직무발명 보상 등 대학 창업지원의 제도적 기반인 공동 창업규정 가이드라인 제정 - (휴·겸직/휴학 기간 연장) 창업 휴·겸직 및 휴학기간을 최대한으로 보장하여 법·규정의 제한이 창업의 걸림돌이 되는 문제 원천 해소 - (창업 인센티브 강화) 창업휴직 시 창업수당 지급 방안 마련 ※ (예시) 교육·훈련 휴직에 준하는 수준의 창업수당(본봉의 40% 수준) 지급 등 - (직무발명보상 개선) 연구개발자에게도 기술지주회사 자회사지분 부여, 창업 시 전용실시권 부여
[ "과기특성화대학의 학칙 상 창업 관련 휴, 겸직 및 휴학 기간은 평균 몇 개월 보장될까" ]
unanswerable
a365b966-14f3-407f-9771-92f3bffbdbde
2017년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결과 발표
과기정통부, 2017년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결과 발표 2017년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결과 Ⅱ. 품질평가 결과 3. 이동통신 음성통화 □ 평가개요 ㅇ (평가대상) KT, SKT, LGU+의 음성통화서비스(2G·3G, VoLTE) ㅇ (평가지역) 여객항로, 도서, 등산로 등 품질취약지역 92개소 ※ 행정동, 테마지역은 사업자 자율평가 ㅇ (평가지표) 음성통화시도 중 통화가 성공한 호의 비율(통화성공율) ※ 통화연결이 안되거나, 연결 후 끊김 또는 끊기지 않아도 음질이 불량한 경우 제외 ㅇ (평가 단말) 2G는 갤럭시 노트 2, LTE는 갤럭시 S8+ □ 평가방법 ㅇ (측정방법) 측정 장비를 탑재한 차량(또는 도보)으로 평가지역을 이동하면서 자사망간, 타사망간의 이동통신 음성통화의 통화성공율 측정 ㅇ (측정횟수) 지역별 최소 50회 이상 측정 □ 결과공개 ㅇ (2G, 3G, VoLTE) 2016년과 동일하게 사업자별 공개 □ (평가 결과) 생태계 보호 등으로 통신시설 구축이 어려운 국·공립공원 등산로 측정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전년대비 전송속도가 다소 떨어졌음 ㅇ (VoLTE) 자사구간은 95.48%이고, 타사구간은 93.77%로 전년대비 저하됨 ㅇ (2G·3G) 3G 자사구간은 86.87% 타사구간은 80.84%이며, 2G의 자사구간은 87.78%이고, 타사구간은 76.81%임
[ "2017년에 KT는 몇 개의 등산로에서 통신서비스의 품질을 평가했어", "몇 개의 지역에서 SKT 통신사 휴대폰의 통화 음질이 불량했지" ]
unanswerable
9fe99310-2835-4ebe-9ad1-2f2aa197f1dd
융합보안시범사업 선정결과
미래창조과학부, 정보통신기술 융합 서비스 안전성 확보에 시동! -'융합보안 시범사업'에 교통, 금융 보안 관련 등 5개 과제 선정 - □ 선정된 과제의 수행기관은 금년 12월까지 기술 및 서비스 개발 등을 추진하고, 추진과정에서 산 · 학 · 연 보안전문가에게 자문 및 기술지원을 받게 될 예정이다. □ 미래부 *** 정보보호정책관은 “정보통신기술 융합 시대를 맞아 융합보안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면 융합산업이 더욱 안전하고 튼튼하게 발전해 나갈 것”이라며, “이번 시범사업을 통하여 융합보안 산업도 더욱 활성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 "융합보안 시범사업에서 산업 서비스를 개발하는 사람은 누구야", "누가 융합보안 시범사업에 선정되어 미래창조과학부로부터 자문 및 기술지원을 받게 될 예정이지" ]
unanswerable
0dbd3266-5966-4c44-b99d-66f9f1aa31ea
2017년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결과 발표
과기정통부, 2017년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결과 발표 2017년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결과 Ⅱ. 품질평가 결과 3. 이동통신 음성통화 ‣ 커버리지 정보점검 □ 점검 개요 ㅇ (점검대상) 통신사업자가 공개하고 있는 유‧무선인터넷 커버리지정보(2017년 10월 현재) * LTE, 3G, WiFi, 초고속인터넷(100M) ㅇ (점검지역) 서비스 제공 지역인 전국 - (LTE, 3G) 전반적인 품질을 확인하기 위해 전국을 대상․유동인구 밀집 거리, 고속도로 등 이용자 관심지역을 점검 - (WiFi) 정부가 WiFi 서비스의 품질 평가 시 동일한 지역을 점검대상 지역으로 선정 - (초고속인터넷) 전국 지번 주소를 점검 대상 지역으로 선정 ㅇ (점검지표) 정부 점검 결과를 통신사 제공 정보와의 일치율을 비교
[ "초고속인터넷 품질평가에서 과기정통부가 점검하는 정부의 정보는 무엇이니", "전국 WiFi 서비스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 정부가 통신사업자에게 제공받는 정보는 무엇일까" ]
unanswerable
9a8b2fc0-6230-41a1-a1d1-98f060b46b1b
바이오경제 혁신 정책 대토론회 개최
글로벌 시장 5% 점유, 신규 일자리 12만 양성, 바이오에서 미래를 찾다- 바이오경제 혁신전략 2025(제3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바이오경제 혁신 정책 대토론회 개최 - □ 과기정통부는 최근 4차 산업혁명의 촉발을 계기로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일자리를 창출할 대안으로 바이오가 주목받는 상황에서 국가 차원의 바이오 기술 본격 육성을 위해 바이오경제 혁신전략 2025를 수립 중이다. ㅇ 바이오 기술은 건강(제약‧의료기기), 식량(농축수산‧식품), 환경‧에너지(바이오소재‧에너지) 문제를 모두 해결 가능한 만큼 사회적 수요가 나날이 증대되고 있으며 시장도 급속히 성장할 전망이다. ㅇ 글로벌 바이오 시장은 반도체, 자동차, 화학제품 3대 산업의 합계를 넘어서 2015년 1.6조 달러에서 2030년 4.4조 달러로 급성장하여 향후 바이오경제 시대를 열 것으로 예상된다.
[ "제약 산업은 2015년에 얼마나 성장했어" ]
unanswerable
29162046-ce94-4ebb-92bf-946ec1372a9a
[보도자료] 장애인의 지역 간 이동 수요 파악하여 교통 서비스 개선해야
장애인의 지역 간 이동편의 증진을 위한 교통 서비스 실태 및 개선방안 Ⅳ. 해외 사례 1. 영국 □ 영국의 장애인 이동 정책에서 추가로 주목할 만한 점은 다음과 같음 ○ 권리 측면의 접근과 의견 수렴 절차 마련 - 영국에서는 장애인을 위한 교통 서비스 제공을 시혜 차원이 아닌 장애인 등 교통약자가 지닌 권리 측면에서 접근하여, 이용자들이 자신들이 지닌 권리를 알도록 하고, 그러한 권리가 충족되지 않은 경우 불만이나 제안 등 의견을 제출할 수 있도록 철도 옴부즈맨이나 관할 관청별 콜센터와 웹사이트 등 절차를 마련하고 있음
[ "어느 나라가 장애인을 위한 웹사이트 서비스 제공을 장애인이 지닌 권리 측면에서 접근하고 있지" ]
unanswerable
b2706129-5983-4511-9827-df230f828bfe
경상권 지역 지상파 DTV 채널 재배치 실시
7월 17일 오후 2시 이후 TV가 안 나오면 채널 재설정 하세요! - 경상권 지역 지상파 DTV 채널 재배치 실시 - □ 이와 더불어 미래부는 채널 재배치 이후에는 시청자 불편이 없도록 콜센터를 통해 신속한 민원응대는 물론 자체적으로 채널설정이 어려운 노인·장애인 등 취약계층 가구에 대해 해피콜을 통한 재설정 안내 및 직접 방문하여 채널설정을 지원할 계획이며, o 채널 재설정이 필요한 공동주택 305단지(185,391세대)에 대해서는 채널 재배치 당일 현장방문을 통해 기술 지원할 예정이다. o 특히, 홍보가 잘 미치지 않는 농어촌 지역이나 노인세대 등에 대해서는 지역정보에 밝은 마을이장, 독거노인돌보미, 우체국 집배원 등을 활용하여 채널설정을 지원하고, o 신속한 민원대응을 위해 정부 콜센터(124번) 이외에 방송사·TV제조사·공사업체 자체 콜센터 등을 통해서도 채널 재설정 필요성과 방법을 안내하는 등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 "경상권 지역 지상파 DTV 채널 재배치로 장애인 가구에 대해 누가 방문하여 채널설정을 할 계획이지" ]
unanswerable
dd736f02-fa9f-4dc9-9f70-2554338c122a
경쟁형R&D추진가이드라인
“국가 R&D사업에도 경쟁방식을 도입한다” - 미래부, 가이드라인 만들고 금년부터 시범운영 - 경쟁형 R&D 추진 가이드라인(안) Ⅲ. 경쟁형 R&D 추진 가이드라인 1 유형 분류  후불형 서바이벌 방식(미래부 WBS 시범사업) ㅇ (개요) 다수의 연구단이 동일 연구과제를 수행한 후 최종 결과물의 우수성을 평가하여 결과에 따라 연구비 차등 지급* * 최우수(연구비의 120%), 2등(연구비100%), 기타 목표달성 기관(나머지 예산을 1/n 지급) - 일반적인 연구비 지급 후 연구수행이 아니라, 자체적으로 연구개발을 수행한 이후에 결과에 따라 연구비를 지급(후불형) ※ 사업추진 근거 법령에 후불지급방식에 대한 근거조항 필요 ㅇ (특징) 특별한 단계구분없이 연구개발 전 과정에 경쟁방식을 적용하여 비교적 규모가 작은 SW분야 등에 적합
[ "다수의 연구단이 동일 연구과제를 수행한 후 최우수 연구단에 연구비 100퍼센트를 지급하는 R&D 방식은 뭐야" ]
unanswerable
2cb27c29-9105-49d3-b352-d1e3cd472900
경쟁형R&D추진가이드라인
“국가 R&D사업에도 경쟁방식을 도입한다” - 미래부, 가이드라인 만들고 금년부터 시범운영 - 경쟁형 R&D 추진 가이드라인(안) Ⅲ. 경쟁형 R&D 추진 가이드라인 2 추진시 고려사항 1 대상 분야 □ 경쟁형 R&D는 연구결과의 불확실성이 높은 고위험의 선도형 연구분야에 적합 ㅇ 유형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경쟁을 통해 목표달성 확률을 높이고 성과의 질적 수준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분야에 적합 ㅇ 반면, 결과물의 수준이 충분히 예상 가능한 단순 기술개발(예: 중소기업 생산현장의 애로기술 개발 등)은 경쟁을 통한 효율성 제고효과가 미미 2 사업(과제) 공고 □ 사업(과제) 공고시 경쟁형 R&D사업(과제)는 일반적인 R&D사업(과제)와 별도로 구분하여 안내 ㅇ 경쟁형 R&D의 운영 프로세스를 사전에 명확히 공지하여 향후 평가에 따른 참여 연구기관의 이의제기 요인을 최소화 ※ 경쟁형R&D 취지에 따라 공모결과 단독 응모되었을 경우 제공모 가능
[ "결과물이 충분히 예상 가능한 단순 기술 개발은 어떤 형식의 사업에 의해 질적 수준이 향상될 수 있어", "평가에 따른 연구기관의 애로 요인을 최소화하기 위해 목표를 사전에 명확히 공지하는 사업 방식은 뭐지" ]
unanswerable
527bc72c-0b71-415c-810e-42d992e0ce40
인체 피부 감각기관 닮은 신개념 압력센서 개발
인체 피부 감각기관을 닮은 신개념 압력센서 개발 - 압력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산업 응용 소자로의 활용 기대 - (디스플레이, 의료, 연료전지, 각종 센서 제작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가능) 1. 연구결과 개요 1. 연구배경 ㅇ 자연에서 영감받은 세포벽에 부착된 인공 이온 채널을 모사한 센서에 관한 연구 중에서, 이온 채널 시스템을 사용한 압력 감지는 거의 보고된 바 없다. 생물학 분야에서, 기계적 에너지변환이 세포막 전위에서의 변화를 일으켜 기계적 감각 수용기에서 기계적 자극에 대응한다는 것으로만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달팽이관에서 부동 섬모의 기계적 움직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직 정확한 메가니즘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인장 활성 이온 채널은 미생물, 이스트, 그리고 식물에서 존재하는 압력-감지 구성의 하나이다. ㅇ 압력 감지를 위한 대부분의 연구는 실리콘 그리고 폴리머 기반 소자에 한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시스템은 불안정한 전기적 성질, 낮은 선택성, 높은 동작 전력을 요한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압전 센서의 높은 내부 저항에 의해 전기 회로의 입력 임피던스, 온도 및 정적 힘에 대한 낮은 감도의 결과를 낳을 수 있다.
[ "무엇은 자연에서 영감받은 세포벽에 부착된 센서 연구로 온도 및 정적 힘에 대한 높은 감도의 결과로 나타났지" ]
unanswerable
513eb1ff-a1cb-4107-94dd-fbe55a1c8933
[보도자료] 장애인의 지역 간 이동 수요 파악하여 교통 서비스 개선해야
장애인의 지역 간 이동편의 증진을 위한 교통 서비스 실태 및 개선방안 Ⅳ. 해외 사례 3. 유럽연합 ○ 버스 - 운송회사나 여행사 등(이하 “운송회사등”이라 함)은 장애인등의 예약이나 승차권 구입, 탑승을 거부할 수 없으며, 장애인등이 승차권을 예약하거나 구입할 때 추가 비용을 부과할 수 없음 - 운송회사등은 ① 국제·유럽연합·국내법에 따른 안전기준을 충족하거나 관할 당국의 안전 및 보건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서 또는 ② 차량 또는 시설의 디자인으로 인해 장애인등이 안전하게 승하차하거나 탑승하는 것이 물리적으로 불가능할 때에만 장애인등의 예약이나 승차권 구입, 탑승을 거부할 수 있고, 이 경우 가능한 대안을 안내하여야 함 - 장애인등이 36시간 전에 보조를 신청하고 적합한 예약 기록이나 승차권을 소지했음에도 탑승이 거부된 경우, 장애인등과 동반자는 ① 보상을 받고 최대한 이른 시간에 무료로 출발지로 되돌아갈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안 또는 ② 목적지까지 여정을 지속하거나 가능한 다른 교통수단을 활용하여 다른 경로로 이동하는 방안 중 선택할 수 있어야 함 - 운송회사등이 위에 언급된 두 가지 이유로 장애인등의 예약이나 승차권 구입, 탑승을 거부하는 경우, ① 즉시 장애인등에게 거부 이유를 알려야하고 요청이 있는 경우 5영업일 이내에 서면으로 알려야 하며 ② 장애인 등은 거부의 이유가 적용되지 않도록 보조를 제공할 수 있는 동반자와 동반할 것을 요청할 수 있고, 이 경우 동반자는 무료로 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어야 하고 가능하면 장애인등의 옆자리에 앉도록 허용되어야 함
[ "장애인은 교통 서비스 이용 시 어느 기간 내에 보조를 신청해야 하니" ]
unanswerable
a0aec921-f69b-43c2-a58b-df5ba7b731d7
구제역 방역관리 강화 방안 추진
구제역 방역관리 강화 방안 추진 - 전북도 돼지 타지역 반출 금지 연장 및 상시 구제역 백신주 선정 - 3. 당부사항 □ 농식품부는 구제역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정부와 방역기관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축산농가와 국민들의 협조와 이해가 필수라면서 각 방역주체의 적극적인 조치를 당부하였다. ❍ 축산농가는 구제역 예방을 위해서 우제류 가축에 대해 빠짐없이 백신접종을 실시하고, 소독과 출입차량 및 출입자 등에 대한 차단방역을 생활화하며, 구제역 의심축 발견시 신속히 가축방역기관에 신고(1588-4060, 1588-9060)를 당부드리고, ❍ 지방자치단체 등 방역기관은 긴급 방역조치(통제, 소독 등) 및 취약요소를 사전 파악하여 집중 관리함으로써 확산차단에 최선을 다하고, ❍ 생산자단체는 축산농가에서 구제역 백신접종, 소독과 차단방역 및 의심가축 발견시 신속하게 가축방역기관에 신고가 될 수있도록 홍보와 독려를 부탁한다고 밝혔다.
[ "생산자단체는 무엇을 확산하기 위한 농림식품부의 적극적 조치를 당부했어", "축산농가는 무엇을 예방하기 위해 출입자에 대해 백신 접종을 당부했어" ]
unanswerable
eb9fcfc8-16fc-426f-9100-ecbbd2f56eb6
2018년 연구개발활동조사 결과 발표
우리나라 2018년 R&D 투자(정부+민간)는 총 85.7조원 1. 총 연구개발비 □ 조사결과, 2018년도 우리나라 총 연구개발비는 전년 대비 6조 9,395억원(8.8%↑) 증가한 85조 7,287억원(779억달러)으로 이는 OECD 국가 중 세계 5위 수준(1위 미국, 2017년 기준 5,432억달러)으로 조사되었으며, ㅇ 국내 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전년 대비 0.26%p 증가한 4.81%로 세계 1위 수준*(2위 이스라엘, 2017년 기준 4.54%)으로 조사되었다. * GDP대비 연구개발비 비중 순위: 2014년 1위 → 2015년 2위 → 2016년 2위 → 2017년 1위 → 2018년 1위(수준) ※ 우리나라를 제외한 OECD국가 통계는 2007년 기준으로 향후 해외 국가별 2018년 통계 발표에 따라 국가순위가 달라질 수 있음 ㅇ 분야별 연구개발비를 살펴보면, 재원별 연구개발비는 정부・공공 18조 3,630억원(21.4%), 민간 65조 7,028억원(76.6%), 외국 1조 6,629억원(1.9%)으로 민간 비중이 높은 구조 유지하고 있으며, - 정부·공공재원 대 민간·외국재원 비중이 21:79으로 전년대비 민간·외국재원 비중이 2%p가 증가하였다. ※ 정부・공공재원 대 민간・외국재원 비중: (2016년) 24:76 → (2017년) 23:77 → (2018년) 21:79
[ "한국은 2017년에 무엇이 2016년 대비 6조 7,287억 원이 증가하여 OECD 국가 중 1위로 조사됐어", "2015년에 미국이 GDP대비 무엇에 대한 비중 1위를 기록했지" ]
unanswerable
87a1e7c0-632b-4a45-91bc-330c8e7b096a
과학기술기반 미세먼지 대응 전략 공청회 개최
「과학기술기반 미세먼지 대응 전략」공청회 개최 - 미세먼지 문제에 대한 근본적․혁신적 해결 방안 논의 - □ 기획위원회는 지난 6월 과학기술을 통해 미세먼지 문제를 근본적․혁신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미래부․환경부․보건복지부 등 관계부처에서 추천한 미세먼지 관련 전문가로 구성되었다. ㅇ 기획위원회는 그동안 관계부처가 기존에 수행하고 있는 미세먼지 관련 연구실적과 성과를 종합하고, 전문가와 기업들의 제안을 검토하여 추진과제, 과제별 연구 우선순위, 연구방법, 추진일정 등 세부적인 계획을 마련해왔다. ㅇ 이번 공청회는 그동안 기획된 내용에 대한 다양한 의견 수렴을 통해 전략(안)을 보완하기 위해 개최하였으며, 향후 보완 작업을 거쳐 정부에 제안한다는 계획이다. □ 미래부는 관계 부처와 함께 기획위원회에서 제안한 내용을 적극 검토하여 향후 국가전략 프로젝트 추진 시 반영해 나갈 계획이다. 공청회 개최 계획 1. 개요 ㅇ 일시․장소 : 2016. 9. 7(水) 10:00~12:20,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B2) ㅇ 주최 : 범부처 미세먼지 연구기획위원회(위원장 : 윤순창 한림원 대외협력부원장) ㅇ 참석 : 150명 내외 - 미세먼지 연구기획위원회, 관계부처(미래부, 환경부, 복지부), 산업계(대․중소사업장, 환경전문기업), 대학, 출연(연) 등 ㅇ 주요 내용 - 미세먼지 대응 R&D, 정책개선(규제․제도․국제협력) 등 ‘과학기술기반 미세먼지 대응 전략(안)’ 발표 및 의견수렴
[ "과학기술기반 미세먼지 대응 전략 공청회에 참석하는 미세먼지 연구기획위원회 인원은 몇 명이니" ]
unanswerable
79cd3a15-d2ee-4398-a4c8-039db3039403
제1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 개최
정부, 2017년까지 과학기술 R&D에 92조4천억 원 투자한다 □ 정부는 8일(월) 정홍원 국무총리 주재로 제1회「국가과학기술심의회*」(위원장: 국무총리)를 열고,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을 확정했다. * 국가과학기술심의회 : 과학기술분야 최고 의사결정기구로 13개 부처 장관과 과학기술, 인문사회 각 분야 민간위원 10명 등 총 24명으로 구성 □ 박근혜 정부의 과학기술정책의 청사진이 될 이번 계획은 향후 5년간(2013~2017년) 과학기술 R&D에 92조4천억원을 투자, 신규 일자리 64만개를 창출한다는 것이다. 이 밖에도 ‘농림식품 과학기술 육성 중장기 계획’, ‘국민건강을 위한 범부처 R&D 중장기 추진계획’ ‘기초연구 진흥종합계획’등도 심의․확정하였다. ᐅ 농림부, 2022년까지 전체 예산대비 R&D예산 비중 10%로 확대(2012년 5%) ᐅ 복지부 등, 2017년까지 의료기술을 세계 최고 대비 75% 수준까지 향상 ᐅ 농진청, 농업과학기술 향상 위해 2017년까지 R&D예산 2.4조 투자 ᐅ 미래부 등, 정부 R&D 투자에서 기초연구분야 확대(2012년 35.2% → 2017년 40%)
[ "어느 부처가 국가과학기술심의회를 13개 부처 24명의 장관으로 구성했어", "어느 부처가 2022년까지 기초연구분야의 R&D에 2.4조를 투자할 계획이야" ]
unanswerable
903ab16c-d208-4d93-bce9-4243f022a90f
제1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 개최
정부, 2017년까지 과학기술 R&D에 92조4천억 원 투자한다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2013~2017) ㅇ ‘창조적 과학기술로 여는 희망의 새 시대’를 비전으로 설정하고, 향후 5년간(2013~2017) 총 92.4조원을 R&D에 투자하여, 2017년까지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를 견인하고 신규 일자리 64만개를 창출 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ㅇ 이를 이행하기 위한 전략(High Five)으로, △국가연구개발 투자 확대 및 효율화 △국가전략기술 개발 △중장기 창의역량 강화 △신산업 창출 지원 △일자리 확대를 추진한다.
[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에서 2017년 신산업 창출에 얼마가 투자됐니" ]
unanswerable
65800b94-b06d-429b-a935-00886cd45da1
가상증강현실 펀드 공모
가상·증강현실 산업에 집중 투자된다! - 미래부 향후 총 400억원 규모 가상·증강현실 펀드 운용, 전문 투자운용사 첫 공모 추진 - □ 미래부는 2016년과 2017년에 걸쳐 총 400여억원 규모의 가상·증강현실 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다. ㅇ 이를 위해 2016년도와 2017년도에 미래부가 각각 120억원을 출자(전체 펀드 규모의 60% 이하)하고, 민간자본 등의 투자를 유도(최소 40%, 80억원 이상)하여 각각 최소 200억원 규모의 펀드를 결성하여, ㅇ 가상·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분야별(게임, 엔터테인먼트, 의료, 테마파크, 교육 등) 원천기술, VR·AR 기기 외 콘텐츠를 제작하거나 비즈니스모델(BM)를 보유한 기업 또는 관련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집중 투자에 들어간다.
[ "2016년과 2017년에 미래부의 출자 80억원, 민간자본 등의 투자 120억원으로 결성된 펀드는 뭐야", "VR 기기 비즈니스모델을 보유한 기업은 최소 120억 원 규모의 어떤 펀드를 통해 집중 투자를 받게 되지" ]
unanswerable
dfdc4277-c873-431a-ae10-4efa8272d6ed
제1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 개최
정부, 2017년까지 과학기술 R&D에 92조4천억 원 투자한다 □ 국민건강을 위한 범부처 R&D 중장기 추진계획 ㅇ ‘국민 건강’을 위해 정부 총 R&D 중 투자 비중을 선진국 수준*까지 확대하여(현재 10.6%), 2017년까지 의료기술 수준을 세계 최고수준 대비 75%까지 높여서, 국민 건강 선진국으로 발돋움한다. * 미국 23%(2012), EU 18.6%(2012), 영국 17.6%(2011) ㅇ 건강R&D 투자 지속적 확대, 글로벌 수준의 기술개발을 위한 선택과 집중, 성과창출형 R&D 지원시스템 고도화, 연구생태계조성, 건강산업 촉진을 위한 제도개선 등 5대 전략으로 이를 이행한다.
[ "무엇을 위해 한국 정부에서 R&D 투자비중을 선진국 수준인 10.6퍼센트까지 확대하지" ]
unanswerable
3685115a-02b9-4758-ad82-8ad0a3386bf5
제1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 개최
정부, 2017년까지 과학기술 R&D에 92조4천억 원 투자한다 □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2013~2017) ㅇ 기초연구 투자 확대(정부 R&D 중 기초연구비중 2012년 35.2% → 2017년40%) 및 세계적 연구성과 창출*을 목표로 삼고, 기초연구의 저변 확대를 넘어 질적인 경쟁력 확보에 주력한다. * 2017년까지 SCI 피인용 상위 1% 논문수 세계 10위권 2017년까지 세계 최고 수준의 선도 연구자 100명 이상 육성 ㅇ 창의적·도전적 기초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 개방형기획 등 기획 방식을 다양화하고, 선정평가를 창의성·도전성 중심으로 하고 최종 평가는 성과의 탁월성 중심으로 전환한다. ㅇ 이와 더불어 융합인재 양성, 연구 인프라 효율성 제고, 국제협력 등을 강화하고, 유망한 기초연구 성과가 창업 및 사업화로 연계되는 지원도 대폭 강화한다.
[ "2012년에 세계 최고 수준의 선도 연구자가 몇 명 이상 육성됐어", "2013년 기초연구 과학기술 인재가 몇 명 양성됐니" ]
unanswerable
94223baf-5b9e-476e-be4a-50c1d2b4f1d5
(공동)정부, 전수조사로 확인된 불법폐기물 120만톤 신속한 처리 착수
정부, 전수조사로 확인된 불법폐기물 120만톤 신속한 처리 착수 ◈ 소비행태 변화가 관련업종과 고용에 미치는 영향 및 정책방향(토의) □ 오늘 회의에는 산업연구원장과 한국노동연구원장도 참석하여 온라인 거래 확대, 비대면 거래 증가, 초연결사회 도래, 웰빙․워라밸 중시 등 소비행태 변화를 촉발하는 요인들과 이로 인한 산업과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공유하고, ㅇ 향후 정부 정책 측면에서의 대응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첫 자리를 가졌습니다. □ 정부는 이번 토의내용을 참고하여 관련 연구․분석을 진행하고, 차후 현안조정회의 등에서 분야별 정책대응방안에 대해 심층 논의할 계획입니다.
[ "불법폐기물 120만톤이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뭐야" ]
unanswerable
5c46e3da-41de-455d-999a-bf34a32ba3ff
과학벨트_신동 둔곡 거점지구개발계획
「과학벨트 신동 ․둔곡 거점지구 개발계획 변경」승인․ 고시 □ 그간, 미래부는 2014.7월 개발제한구역(GB) 해제 이후 환경부 등 관계부처 협의(8.11~21), 산업입지정책심의회 심의(국토부, 8.21~8.27), 연구개발특구위원회 심의(미래부, 9.2), 중앙도시계획위원회 보고(국토부, 9.4) 등을 거쳐 과학벨트 신동·둔곡지구 개발계획 변경안을 9.5(금)에 최종 확정하였다. o 이후 대전광역시는 관련기관·단체 협의, 지방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조속한 시일(2014.4분기) 내에 개발계획 변경에 따른 신동·둔곡지구 실시계획안을 승인․고시할 예정이다. ※ 현재 대전광역시는 9.5일자로 실시계획 승인절차에 착수한 상황 o 실시계획 승인이 마무리되면, 사업시행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는 토지 수용·보상(2014.하~2015.하), 거점지구 조성공사(2015.하~2019.말)를 완료하고 과학벨트 신동·둔곡지구를 국가 신성장 동력이자 세계적 과학기술기반 혁신 클러스터로 개발해 나갈 계획이다.
[ "국토부 연구개발특구위원회의 심사 후 어디서 개발계획 변경안이 최종 확정됐어", "한국토지주택공사가 토지 수용, 보상을 2019년 말에 완료하고 한국의 신성장 동력으로 개발한 지역은 어디야" ]
unanswerable
4d01bdef-4a63-4f12-a333-cf43d4d73fb9
제2차 계획기간('18~'20) 국가 배출권 할당계획 수립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제2차 계획기간(2018년~2020년) 국가 배출권 할당계획(안) Ⅳ. 2단계 배출권 할당 1 배출허용총량 등 설정 방향 □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제3차 에너지 기본계획, 2030 온실가스 감축 기본 로드맵 수정․보완 사항 등 환경․에너지 정책 사항과의 정합성 고려 ㅇ 계획기간 중 신ㆍ증설 시설에 대한 할당 방식 개선, 조기감축실적 예비분 미반영 등 제2차 계획기간 변경 사항을 고려하여 제1차 계획기간과는 다른 사전할당량ㆍ정부 예비분 배분 필요 □ 업체별 할당방식 개선 ㅇ (GF 할당방식) 온실가스 감축설비 도입으로 제1차 계획기간 중 온실가스를 감축한 실적에 대해 인센티브 부여 ㅇ (BM 할당방식) 설비 효율이 높은 기업에 유리한 BM 할당방식 적용을 확대하여 친환경 투자․산업 혁신 유도 * 제1차 계획기간(2015∼2017)에는 정유, 시멘트, 항공 등 3개 업종에 적용 □ 유상할당 도입 ㅇ (대상 업종) 무상할당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업종에 유상할당 * ①무역집약도 30% 이상, ②생산비용발생도 30% 이상, ③무역집약도 10% 이상 & 생산비용발생도 5% 이상인 경우 무상할당 ㅇ (유상할당 비율) 할당대상업체별 할당 배출권의 100분의 3
[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제2차 계획기간에 GF 할당방식이 적용될 업종은 몇 개일까",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제1차 계획기간 중 무상할당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업종은 몇 개니" ]
unanswerable
40f9bec1-0e8c-41c7-afb8-1ddc97c08b64
제1차 민‧관 합동 「5G+ 전략위원회」 개최
제1차 민‧관 합동「5G+ 전략위원회」개최 □ 정부는 지난 4월 8일 발표한 ‘5G+ 전략’의 범국가적 추진체계를 구축 하고 체계적이고 속도감 있는 추진을 위해 범부처 민‧관 합동 ‘5G+ 전략위원회’(이하 ‘전략위원회’)를 구성하고 6월 19일(수)에 첫위원회를 개최하였다. □ 전략위원회는 서울대 김태유 명예교수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유영민 장관을 공동위원장으로 하고 관계부처* 차관, 민간위원** 14명 등 24명으로 구성하여, 5세대 이동통신(5G) 기반 신산업 육성에 국가적 역량을 결집하고 5G+ 전략의 효과적인 실행방안을 논의해 나갈 계획이다. * 기획재정부, 행정안전부, 문화체육관광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중소벤처기업부, 방송통신위원회 ** 통신·제조사 및 연관산업 분야(자동차·의료·장비·콘텐츠·팹리스 등) 대표, 5G포럼·규제개선·표준화 관련 학계·협회 등 □ 이번 제1차 전략위원회에서는 정부의 ‘5G+ 전략 실행계획(안)’에 대한 안건 보고를 통해 그간의 추진현황과 2019년 하반기 주요계획(안) 및 5G+ 전략산업 추진계획(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ㅇ 글로벌 5G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민·관이 기술·시장의 빠른 변화에 공동 대응하고 5G+ 전략의 실행에 협력해 나가기로 하였다.
[ "기획재정부 장관을 공동위원장으로 하고 관계부처 장관, 민간위원 14명 등 24명으로 구성된 위원회는 뭐야", "어떤 위원회가 첫 위원회에서 규제개선에 대한 안건을 보고하고 2019년 하반기 추진현황에 대해 논의했지" ]
unanswerable
94c15149-15e1-427d-908b-9ea225c214b4
환경부, 녹조 대비 전국 정수장 대응태세 일제 점검
환경부, 녹조 대비 전국 정수장 대응태세 일제 점검◇ 정수장별 준비상황 사전점검과 기술지원, 현장 모의훈련 실시 정수장별 녹조 대응 준비실태 일제점검 계획 □ 목적 ○ 정수장별 녹조 대응 준비실태를 사전에 점검하여 미흡한 분야에 대해서는 조속히 개선 조치토록 함으로써 여름철 녹조 발생에도 안전한 수돗물을 생산·공급하기 위함 □ 점검개요 ○ (점검대상) 93개 정수장(한강 42개, 금강 13, 낙동강 26, 영산강 12) * 선정기준 : 전국 499개 정수장 중 조류의 영향을 받지 않는 하천, 지하수등을 취수원으로 이용하는 정수장은 제외 ○ (점검기간) 2017년 5월~6월 ○ (점검기관) 유역(지방)환경청, 관할 시·도, 관계전문가 등 공동 □ 주요 점검항목 ○ 분말활성탄 투입설비와 중염소 주입설비 등 녹조대응시설의 정상 작동상태 ○ 여과지 모래입자의 크기 적정성 및 오염도 관리상태 ○ 분말활성탄 등 정수 처리약품의 충분한 비축량 확보여부 ○ 유관기관 연락망 정비 등 비상대응체계 구축여부 □ 점검결과 조치방안 ○ 준비실태가 미흡한 정수장에 대해서는 즉시 개선토록 조치하고 이행상황을 완료시까지 확인, 필요시 재점검 실시
[ "녹조 대응 준비실태 점검 대상인 정수장의 비상대응체계를 구축하는 곳은 어디야", "조류의 영향을 받지 않는 하천을 취수원으로 이용하는 정수장의 녹조 대응 준비 실태를 점검하는 곳은 어디야" ]
unanswerable
84940f02-f207-4fd4-ab48-5932998565c8
한경호 도지사 권한대행, “국정과제·지역공약 등 도민 중심의 체계적 추진" 강조
한경호 도지사 권한대행, “국정과제·지역공약 등 도민 중심의 체계적 추진 강조” 특히, 대통령이 직접 강조하여 국정과제에 포함된 가야사 복원사업과 관련해서 한 권한대행은 “가야사는 경남의 주체성이고 정체성이므로, 우리 도가 중심이 되어 체계적인 조사, 연구 및 복원이 되어야한다”며, “가야사 복원은 우리 도의 미래를 좌우할 프로젝트이므로 현재의 T/F팀을 확대․강화할 수 있는 조직 강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지난 18일 첫 간부회의 때 기 지시한 ‘9대 핵심과제별 민관협의체 구성’에도 “민간위원장 중심으로 각계 각층을 대변할 수 있는 인물로 선발, 실질적 도민 수요를 적극 반영한 사업을 발굴·추진하라”고 당부했다. 덧붙여 “각종 위원회에도 좌·우를 가리지 말고 도정에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는 인사를 포함하여 실질적인 위원회 운영이 되도록 하라”고 지시했다. 한편, ‘수산 1번지, 경남’의 영광을 재현하기 위해 “대한민국 해양수산을 선도한다는 자부심을 가지고 사업을 추진해 나갈 것”을 당부했다. 한 권한대행은 “우리 도는 대한민국 수산을 이끌어 왔고, 앞으로도 선제적으로 이끌어 가야 한다”며, “최근 고수온 피해 확대에 따른 대책 등 근본적인 개선방안을 강구하도록, 시군 해양수산직 공무원, 수협 관계자 및 대학교수 등 전문가로 구성된 상시 제도개선 T/F팀을 구성하여 운영하라”고 지시했다. 또한, 취임 실국주요업무보고 시 지시한 ‘도 종합민원실 일자리 종합센터 설치’ 추진과 관련해서도 “도민들이 직접 피부로 와 닿을 수 있는 일자리 안내가 될수 있도록 내실화에 만전을 다할 것”을 강조했다. 끝으로, 도정을 일 중심으로, 실국장 중심으로 추진할 계획임을 다시 한 번 밝혔다. 이와 관련, 감사 시 공직자로서 해서는 안 될 잘못에 대해서는 과감하게 벌을 주되, 열심히 일하는 분위기가 위축되지 않도록 지적보다는 컨설팅 위주의 감사를 실시해 줄 것을 당부했다.
[ "수산 1번지 경남의 영광을 재현하기 위한 사업이 추진되는 장소는 경남 어딜까" ]
unanswerable
3061bd24-f2e3-4a01-9ef2-c52fc7d65fe6
[보도자료] 싱가포르는 모빌리티 산업 변화에 어떻게 대응했나
싱가포르의 새로운 여객운송 정책 체계 도입「지점 간 여객운송사업법 2019」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2. 주요 내용 (5) 기타 □ 장애인 등 교통약자가 이용할 수 있는 통합적인(inclusive) 지점 간 여객운송을 위한 규정을 마련함 ○ 택시운영사업자에게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이나 인터넷 웹사이트 등을 활용하여 예약하기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전화 예약 콜센터를 운영할 의무를 부과함 ○ 소규모 사업자 외에 호출영업 면허를 받아야 하는 사업자에게는 승객이 차량 내 접이식 휠체어 수납공간을 요청할 수 있도록 관련 옵션을 제공할 의무를 부과함 □ 플랫폼에 등록된 차량이 800대 이상인 카풀 사업자도 면허를 받도록 의무화하고, 카풀 사업자에게카풀 운전자에 대한 관리 의무를 부과하여 카풀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함 ○ 카풀은 비상업성 등 일정 요건을 충족하여 차량을 함께 타는 것을 말하며, 카풀 사업자(carpooloperator)는 카풀 이용을 중개하는 사업을 하는 자를 말함
[ "싱가포르의 카풀 사업자는 카풀 운전자에게 차량 내 무슨 수납공간을 요청할 수 있지" ]
unanswerable
64ddf627-84e2-44fb-a3ac-1e7bae826e53
경남도, 144개 산란계 농장 검사결과 139농가 적합
경남도, 144개 산란계 농장 검사결과 139농가 적합- 3개 농가 부적합(비펜트린 검출), 2개 농가는 농산물품질관리원 검사 중 경남도는 경기도 산란계 농가에서 살충제 검출과 관련 15일부터 실시한 도내 144개 산란계 농장 생산 계란 검사 결과 139농가는 적합, 3농가는 부적합, 2농가는 검사 중이라고 18일 밝혔다. 부적합은 3개 농장은 닭에 기생하는 진드기 등 구제를 위하여 사용되는 비펜트린이 기준치에 초과 검출되었다. 도는 부적합 농가에 대해 농장에 보관중인 계란과 이미 유통된 계란을 신속히 수거 조치하고 금일 중 전량 폐기 완료할 계획이다. 도는 부적합 농가의 유통 계란 조사를 위하여 농가별로 도 담당관을 지정 운영한다. 유통 업체, 식용란수집판매업 등 농가 판매망을 조사하여 유통 계란에 대한 회수조치와 부적합 계란에 대한 폐기 사항 등을 점검하여 부적합 계란이 유통되는 일이 없도록 할 방침이다. 해당 농가에는 향후 도 축산진흥연구소에서 2주 간격으로 추가 검사를 실시하고 「축산물 위생관리법」에 따른 조치도 병행할 계획이다. * 축산물의 기준․규격 위반시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 * 유독․유해 물질이 들어 있거나 우려가 있는 축산물을 판매하는 경우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 경남도 관계자는 “계란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앞으로 잔류물질 검사를 더욱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 "농산물품질관리원 검사 중 부적합 판정을 받은 3농가의 닭에 기생하는 것으로 밝혀진 진드기는 무엇이니" ]
unanswerable
100f5c08-005b-40dc-aea5-00bde7c6bced
아이들의 미래를 위한 SW교육_우리가지킨다
'아이들의 미래를 위한 SW교육! 우리가 지킨다' 초중등 SW교육 현장지원 발대식 및 제34회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대회 개최 □ 본 행사에서는 영국, 일본 등 SW조기교육을 하는 국가들과 국내의 SW교육 사례를 공유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o 영국 코드카데미 책임자, 일본 문부과학성 정보교육과장 등이 참석하여 각 나라의 SW교육 사례를 공유하고, * 코드카데미(Codecademy) : 코드카데미 영국지사는 G20 국가 중 첫 번째로 초·중등학교에서 프로그래밍 교육을 의무화한 영국과 협력하여, 영국의 방과후학교 활동인 ‘Code Club’을 지원하고 ‘Computing at School’과 연계하여 영국 1,000여 개 학교, 교사 4,000여 명을 대상으로 ‘컴퓨팅’ 교육 활동을 지원한다. * 일본의 SW 교육 : 일본의 정보교육은 변화하는 현대사회에 적응하고, 컴퓨터 과학을 통해 생활 속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정보과학’, ‘사회와 정보’ 과목을 고등학교의 필수선택으로 지정하여, 공교육을 통해 컴퓨터과학의 개념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o 삼성전자, 네이버, 엔트리코리아, 초·중학교, 영재교육원 등 국내 SW교육 사례를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 삼성전자 : 2013년부터 「삼성전자 주니어 소프트웨어 아카데미」를 운영 중이다. 2013년 300명의 캠프로 시작하였고, 2017년까지 4만명의 참가자를 예상하고 있다. * 네이버 : 네이버는 타기관과 협조하여 「소프트웨어야 놀자」라는 이름의 SW교육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방과후학교, 진로체험교실을 운영하고 있다.
[ "일본은 몇 년부터 정보과학과 사회와 정보 과목을 고등학교의 필수선택으로 지정했어", "몇 년부터 삼성전자는 소프트웨어야 놀자는 이름의 SW교육 프로젝트를 진행했니" ]
unanswerable
909e0c72-3542-4605-8a36-144cbccf6fff
이상훈 과기정통부 정보보호기획과장, 아·태전기통신협의체(APT) 관리위원회 의장 선출
이상훈 과기정통부 정보보호기획과장, 아·태전기통신협의체(APT) 관리위원회 의장 선출 - 아·태지역 ICT 정책 지역협력 강화 계기 마련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개최된 제42차 아태전기통신협의체(Asia-Pacific Telecommunity, APT) 관리위원회 회의(10. 9.~10. 12.)에서 이상훈 과장(과기정통부 정보보호기획과장)이 임기 2년의 의장으로 선출되었다고 밝혔다. ㅇ 이는 우리나라가 1979년 아태전기통신협의체(APT)에 가입한 이후 정보통신기술(ICT) 발전계획 수립과 예산집행 등 감독 역할을 수행하는 위원회의 의장으로 선임된 두 번째 사례로, 정보통신분야에서 우리나라의 국제적 위상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우리나라가 의장국이 된 APT 관리위원회는 아·태 지역 내의 전기통신 발전을 위한 기술협력 제반규칙을 수립하고 예산집행 등 감독 역할을 수행하는 위원회이다. 동 위원회의 논의의제들은 아태지역의 주요국 ICT 정책 수립에 영향을 끼칠 뿐 아니라, ICT 국제표준화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ㅇ 이 같은 논의를 위해 APT 관리위원회 의장은 연 1회(11월)열리는 정례회의의 의제를 설정하고 회의를 주재하며, 아태전기 통신협의체(APT)의 미래비전 및 그 실현을 위한 업무 프로그램을 수립한다. ㅇ 또한 위원회를 대표해 내부적으로 APT 총회(최고의사결정기구) 등 주요 회의의 의제와 개최 프로그램 등에 대해 자문하며, 외부적으로는 회원국 정부 및 기관과 소통하는 역할 등을 수행한다.
[ "1979년 아태전기통신협의체 관리위원회 회의는 어디에서 개최됐어" ]
unanswerable
08eeef4b-6bf8-4df3-ae7b-2b7212cfd9c3
2003년도 수돗물의 미량유해물질 함유실태 조사결과
2003년도 수돗물의 미량유해물질 함유실태 조사결과 □ 2003년도(14년차, 조사항목 누계 318종) 전국 수계별 35개정수장(수돗물 35개, 상수원수 12개 지점)을 대상으로 미량 유해물질 82종의 함유실태를 조사한 결과 ◦ 디브로모아세틱에시드 등 6종은 정수에서만 검출되었으며, 포름알데히드와 1,4-다이옥산은 정수와 상수원수에서 모두 검출 ◦ 1,1-디클로로프로판 등 74종은 정수와 상수원수에서 모두 불검출 □ 수돗물에서 검출된 미량유해물질의 위해도를 평가한 결과, 포름알데히드의 비발암 위해도는 미국 EPA에서의 허용하고 있는 위해도의 1/160 수준이고, 1,4-다이옥산 등 미량유해물질의 발암 위해도는 WHO에서 허용하고 있는 위해도의 1/1.03~1/100 범위로, 먹는물로써 안전한 수준임. □ 따라서 수돗물에서의 검출빈도, 위해도 및 선진국에서 관리실태를 고려하여 포름알데히드, 디브로모아세틱에시드, 모노브로모아세틱에시드, 모노클로로아세틱에시드는 먹는물 수질감시항목으로 추가할 계획임 ※ 감시항목 : 수도 사업자 1~4회/년, 본 사업 4회/년 항목별 함유실태 조사․평가 ⇒ 먹는물 수질기준으로 설정․관리 □ 디클로로아세트알데히드, 1,4-다이옥산, 브로모디클로로메탄, 디브로모클로로메탄 및 브로모포름은 선진국의 기준설정동향 파악 및 조사자료 축적 후 관리방안 마련
[ "선진국의 수돗물 수질감시에서 WHO가 기준설정 동향을 파악한 물질이 뭘까", "미국 EPA가 1년에 4회 조사하는 미량유해물질이 뭐야" ]
unanswer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