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
stringlengths
36
36
title
stringlengths
0
441
context
stringlengths
200
7.38k
questions
listlengths
1
2
type
stringclasses
6 values
3a720c47-012c-4356-be05-591c08b694c4
연천군 소하천(궁평1천) 정비시행계획 전략환경영향평가항목 등의 결정내용 공고
연천군 소하천(궁평1천)정비시행계획 전략 환경 영향 평가 (평가항목 등의 결정내용) 제2장 전략환경영향평가항목 등의 결정내용 2.1 전략환경영향평가 스코핑 생략 ◦ 본 소하천정비시행계획은 사업시행 면적이 6만㎡ 이하로 「환경영향평가법」시행령 제8조에 의거 스코핑(환경영향평가협의회) 절차를 생략하고 전략환경영향평가항목 등을 결정함. 2.2 전략환경영향평가 대상지역 ◦ 계획수립에 따른 환경영향을 정성적․정량적으로 예측하기 위하여 계획하천 및 주변지역의 자연환경, 생활환경, 사회․경제환경 등을 고려하여 영향권을 설정하였으며, 항목별 선정내용과 영향범위를 결정함. 2.3 전략환경영향평가 항목의 결정 ◦ 본 사업계획에 따른 검토항목은「환경영향평가서 작성 등에 관한 규정, 2013.12.27, 환경부고시 제2013-171호」및「전략환경영향평가 업무 매뉴얼, 2014.1.1, 환경부」에 제시된 검토항목 중 환경영향 검토과정에서 고려되어야 할 환경영향 인자와 환경영향 항목을 분석하고, 계획시행에 따른 환경항목을 사업의 특성, 입지여건 등을 고려하여 평가항목을 선정함.
[ "연천군 궁평1천에 대한 환경영향평가가 시행된 날짜가 언제야", "환경영향평가협의회는 언제 연천군 궁평1천에 대한 정비를 시행할 계획이지" ]
unanswerable
b3414f10-89e4-4fac-9b12-f66bcb481e8f
(참고) 천안 풍서천 야생조류 분변에서 저병원성 H7N9형 AI 바이러스 확인
천안 풍서천 야생조류 분변에서 저병원성 H7N9형 AI 바이러스 확인 □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원장 ***)은 충남 천안시 동남구 풍서천 일대에서 1월 17일 채집한 야생조류 분변시료를 분석한 결과, 1월 24일 저병원성 H7N9형 야생조류 인플루엔자(이하 AI) 바이러스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 1월 22일 H7형 AI 바이러스 검출 확인 후, 1월 24일 최종 병원성 및 유전형 확인 ○ H7N9형 AI 바이러스*는 중국 등에서 인체에 감염된 사례가 있어, 국립환경과학원은 질병관리본부, 농림축산식품부 등 관계기관에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1월 24일 오후 관련 정보를 통보했다. * 국립환경과학원에서 1차 유전자서열 분석 결과 중국에서 인체 감염이 발생했던 H7N9 바이러스와는 유사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전체 유전자 검사는 1주일 이상 소요) □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야생조류 폐사체 및 분변 등 검출지점 인근의 서식지 예찰을 확대하고, 관계 기관 협의 등을 통해 철새 서식지 주변 출입을 통제하는 등 AI 대응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 "질병관리본부는 저병원성 H7N9형 AI바이러스를 어느 기관에 통보했어", "중국 어느 기관에서 H7N9형 AI바이러스의 인체감염을 확인했지" ]
unanswerable
5cf47aed-902f-4159-9ee0-bbf48cf93e8e
과기정통부, 「2017년 정보보호 실태조사 결과」 발표
과기정통부,「2017년 정보보호 실태조사 결과」발표 □ 정보보호 제품 이용(94.9%, 전년대비 5.1%p↑), 정보보호 서비스 이용48.5%, 8.0%p↑), 보안점검(64.7%, 9.2%p↑), 백업 실시(52.5%, 14.2%p↑) 등 실질적인정보보호 조치가 전반적으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ㅇ 이와 같이 기업의 적극적인 정보보호 활동 등에 힘입어 전체적인 침해사고 경험(2.2%, 0.9%p↓)이 감소하였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랜섬웨어로 인한 피해비중(25.5%, 6.8%p↑)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 개인부문에서는 국민 대부분이 정보보호가 중요하다고 인식(94.2%)하고 있으며, 정보보호를 위한 제품 이용(87.4%, 1.6%p↑), 중요 데이터백업(44.4%, 9.4%p↑) 등의 예방활동이 증가하였다. ㅇ 이로 인해, 악성코드감염, 개인정보유출 및 사생활 침해 등의 침해사고 경험(10.3%, 7.1%p↓)이 하락했으며, 보안 소프트웨어 설치, 비밀번호 변경등 침해사고 대응활동(90.8%, 4.6%p↑)은 증가하였다. ㅇ 빅데이터, 인공지능 서비스 확산 시 과도한 개인정보 수집이나 불법 수집에 의한 침해, 사물인터넷(IoT)은 관리 취약점 증가를 가장 많이 우려하고, 간편결제의 경우 일반결제 대비 보안성이 높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인공지능 서비스 확산으로 무슨 결제 서비스 이용이 증가했어", "개인정보유출은 일반결제보다 무엇을 이용할 때 높게 나타났니" ]
unanswerable
e6ee66ef-b812-4c16-83be-f23c2a7b4e1b
방송통신설비 기술기준 민원사례집 발간
과기정통부, 방송통신설비 기술기준 민원사례집 발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건축물의 설계·시공 현장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방송통신설비 기술기준에 관한 국민신문고 민원사례집(이하 ‘민원사례집’)‘을 발간한다고 밝혔다. ㅇ 최근 5년간 국민신문고를 통해 접수된 통신선, 통신실 등 건축물에 설치되는 방송통신설비 기술기준 관련 민원을 쉽게 해설하여 통신사, 건축사 및 지방자치단체 담당자 등이 활용할 수 있도록 각 시도 지자체별로 배포하고, 홈페이지(www.msit.go.kr) 등에도 게시할 계획이다. □ 방송통신설비 기술기준은 국민의 방송통신서비스 이용편익, 효율적 재난·재해 대응 등 방송통신설비의 안전성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한 기준으로, 건축물의 설계-시공-준공 과정에서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ㅇ 최근 건축물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하나의 건축물에 상가, 주거 및 업무시설 등 다양한 용도의 시설이 복합적으로 설치됨에 따라 방송통신설비 기술기준에 대한 해석, 적용방법 등 다양한 민원이 접수되고 있다.
[ "시도 지자체들은 어느 부처에 방송통신설비 기술기준 관련 민원을 접수했어", "건축사가 발간한 민원사례집을 어느 부처가 홈페이지에 게시할 계획이야" ]
unanswerable
c1367027-9419-44a5-be4e-7b9ad06d43bf
2019년도 우수 기업연구소 지정 추진
2019년도 우수 기업연구소 지정 추진 - 전 제조업으로 지정대상 확대, 기술 혁신성장 선도모델 발굴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연구개발 역량이 탁월하고, 기술혁신 활동이 우수한 기업연구소를 발굴·육성하여 민간 연구개발(R&D) 부문의 질적 성장을 견인하고자 6월 24일(월)부터 우수 기업연구소 지정을 위한 신청을 받는다. □ 기업부설연구소는 민간부문 R&D 투자의 핵심주체로, 1981년 제도도입 이후 최근까지 양적 성장을 달성하였으나, 기업 당 연구인력 및 R&D 투자는 약화되는 등 질적 성장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었다. ㅇ 이에 과기정통부는 기업연구소 육성정책의 패러다임을 전환(양→질)하고 기업연구소 전체의 기술혁신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선도모델을 제시하고자, 2017년부터 식품·바이오 등 일부 분야에 한정하여 총 13개의 우수 기업연구소를 지정하는 등 시범 사업을 추진하였다. ㅇ 지난 2년간의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부터 지정 대상을 전 제조업으로 확대하여 본 사업을 실시하며, 내년에는 지식기반서비스업까지 그 대상을 확대할 예정이다.
[ "1981년 우수 기업연구소로 지정된 기업연구소는 몇 개니", "1981년 식품 분야에 한정하여 우수 기업연구소로 지정된 기업연구소는 총 몇 개일까" ]
unanswerable
af4aecb7-4541-4ef8-8d28-68efc16c8c90
'연구산업' 혁신성장으로 국가연구개발 생산성 제고와 R&D연동산업 육성 동시 추진
과기정통부, 「연구산업」혁신성장으로 국가연구개발 생산성 제고와 R&D연동산업 육성 동시 추진- R&D자원을 아웃소싱하는 연구개발 생태계 구축으로 일자리 12,000개 창출 - □ 이에 따라 이번에 과기정통부에서는 R&D 연동산업 전체를 하나의 산업인「연구산업」으로 묶어 연구산업 시장을 확대하고 중소기업이 자생할 수 있는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종합적인 정책을 처음 마련하였다. □ 동 전략은 대한민국 혁신성장의 한 축을 담당할 연구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향후 5년간의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산업을 혁신성장으로 동력화하여 12,000개의 과학기술기반 고급 일자리를 창출(~2022년)하겠다는 목표를 수립하고 5년간 2,366억원 예산을 투입하여 ➀ 주문연구를 통한 R&D의 분업화·전문화 ➁ 연구관리 활성화 ➂ 연구개발 신서비스산업 발굴 및 육성 ④ 연구장비 국산화 확대 ⑤ 제도적 기반 마련 등 5대 전략 18개 중점과제를 추진한다.
[ "과학기술기반의 무엇을 창출하기 위해 중소기업들이 5대 중점과제를 추진할까" ]
unanswerable
96cb1e67-16a5-4d31-80fd-bfe9c4f0d0b2
'연구산업' 혁신성장으로 국가연구개발 생산성 제고와 R&D연동산업 육성 동시 추진
과기정통부, 「연구산업」혁신성장으로 국가연구개발 생산성 제고와 R&D연동산업 육성 동시 추진- R&D자원을 아웃소싱하는 연구개발 생태계 구축으로 일자리 12,000개 창출 - 전략3 4차산업혁명시대의 연구개발 신서비스 산업 발굴·육성 4차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한 연구개발 신서비스 프로젝트 추진 □ 4차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R&D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연구산업에 새로운 서비스가 도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 이에 따라 신서비스를 선도적 도입하여 글로벌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해 민관협의체를 구성하여 신서비스를 발굴하고 이를 산업화하는 미래 연구산업 창출 시범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 미래시장을 고려, 시나리오 플래닝에 기반한 미래 비즈니스 마스터플랜을 우선 개발하고, 핵심 솔루션(서비스/기기/장비 등)에 대한 R&D를 통합 수행 □ 아울러 연구 빅데이터에 기반한 새로운 기술과 결합된 다양한 R&D 신서비스가 등장할 수 있도록 바이오·소재·대형장비 등을 중심으로 연구 데이터 공유·활용 체계(플랫폼)를 구축한다.
[ "과기정통부는 대형장비의 연구데이터 공유 플랫폼 아웃소싱을 위해 어떤 프로젝트를 추진할까", "민관협의체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연구개발 신서비스를 발굴하고 산업화하기 위해 어떤 프로젝트를 추진하니" ]
unanswerable
3e5422e7-4665-4181-84b3-6068519359d9
대덕SW마이스터고 입학설명회 개최
(가칭)대덕소프트웨어(SW)마이스터고등학교 제1차 입학 설명회 개최- 6월 14일(토) 오전 10시, 대덕전자기계고등학교 청죽관 - o 학생들은 1학년에 공통 기본교육과정 이수 후, 2학년부터 SW개발과(2학급 40명), 임베디드SW과(1학급 20명), 정보보안과(1학급 20명) 중에 본인의 적성, 희망 등을 고려하여 전공학과를 선택하게 된다. o 이번에 선발되는 대덕SW마이스터고 학생들에게는 졸업까지 전액 장학금 지급, 전원 기숙사 제공, 최신형 노트북 지급, 졸업 후 취업연계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할 예정이다. □ 대덕SW마이스터고는 입학설명회(6.14, 8.30, 9.20)를 개최하고 원서교부ㆍ접수(10.14~16), 입학전형(10.24~11.3), 합격자발표(11.5) 일정으로 신입생을 선발할 예정이다. o 금번 입학설명회에는 2015학년도 입학전형 요강, 학교소개, 질의응답 등의 순서로 진행되며, 소프트웨어 분야에 관심 있는 학생과 학부모는 누구라도 참석할 수 있다. □ 2015학년도 입학전형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6월 14일(토) 10시 학생·학부모대상 1차 입학설명회를 통해 안내될 예정이며, o 학교홈페이지 (www.dsm.hs.kr)를 참조하거나 학교 마이스터고 기획부(☎ *************~20)에 문의하면 되며, 8.30.(토), 9.20.(토) 두 차례 더 개최될 예정이다.
[ "대덕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 입학 설명회에 참석한 학생에게 무엇을 지급할 예정이지", "대덕SW마이스터고를 졸업한 학생에게는 다양한 혜택으로 무엇을 지급할까" ]
unanswerable
12fc957c-5f30-4468-8391-5a36e1132f42
주민등록등·초본도, 신분증도 모두 스마트폰 속으로. 디지털 정부가 온다
주민등록등·초본도, 신분증도 모두 스마트폰 속으로. 디지털 정부가 온다- 정부, 디지털 정부혁신 추진 계획 29일 국무회의서 발표 □ 우리나라 전자정부는 세계적으로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지만, 정부 서비스는 여전히 ‘어떤 서비스가 있는지 알기 어렵다’, ‘이용하기 불편하다’고 느끼는 국민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 또한, 우리나라 IT 성장의 마중물 역할을 했던 2000년 초반의 전자정부처럼 인공지능과 클라우드 중심의 첨단 디지털 산업이 발전할 수 있도록 정부가 새로운 역할을 해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 제기되고 있다. □ 이에 따라 정부는 ▲대국민 서비스 혁신 ▲공공부문 마이데이터 활성화 ▲시민참여 플랫폼 고도화 ▲스마트 업무환경 구현 ▲클라우드와 디지털서비스 이용 활성화 ▲개방형 데이터‧서비스 생태계 구축 등 6대 우선 과제를 마련해 디지털 정부혁신을 추진한다.
[ "인공지능 중심의 전자정부 서비스에 대해 국무회의에서 추진한 혁신 과제는 무엇이니", "전자정부를 통한 신분증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시민참여 플랫폼에서 마련해야 하는 우선 과제는 무엇일까" ]
unanswerable
9e9944fd-77b5-4420-840d-cf32617d500b
주민등록등·초본도, 신분증도 모두 스마트폰 속으로. 디지털 정부가 온다
주민등록등·초본도, 신분증도 모두 스마트폰 속으로. 디지털 정부가 온다- 정부, 디지털 정부혁신 추진 계획 29일 국무회의서 발표 □ 과제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다. 【 디지털 정부혁신 6대 우선추진 과제 】 1. 대국민 서비스 혁신 – 신청주의에서 찾아가는 서비스로! □ 보조금, 세금 감면과 같이 자격이 있어도 몰라서 혜택을 받지 못하거나, 신청방법을 알지 못해 불이익을 받는 일이 없어진다. ○ 이를 위해, 국민 각자가 자신이 받을 수 있는지 서비스를 손쉽게 맞춤형으로 안내받고 신청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 PC, 모바일은 물론, 인공지능 스피커를 통해 대화형으로 서비스를 안내받고, 신청까지 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 출산과 결혼, 사망 등 생애주기별로 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한 번에 안내 받고 신청할 수 있는 원스톱 패키지도 현재 2개 분야(행복출산, 안심상속)에서 2022년까지 임신, 육아, 취업‧창업 등 10개 분야로 확대할 계획이다. <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 사례 > ㅇ 양육수당, 아동수당 등 각종 출산지원 서비스를 출생신고 시 한 번에 신청 (부처별 전국공통 서비스 7종 + 지자체별 서비스 3∼10종) ⇒ 2018년 기준 출산 가구의 99.4%가 이용(33.2만건) □ 개인의 연령, 소득, 재산, 인적정보 등을 토대로 주기적으로 사회보장급여‧서비스 대상 여부를 판단하고, 선제적으로 지원하는 ‘가칭 복지멤버십’도 범정부 협업을 통해 차질 없이 추진한다. ※ 민감한 개인정보의 오남용을 막기 위해 본인이 동의한 경우에 한해서만 제공 □ 이밖에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거래-대출-등기까지 자동화하는 부동산거래 시스템과 같이 첨단기술을 활용한 도전적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추진하고, ○ 정부 웹사이트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개 아이디로 정부 웹사이트 전체를 이용할 수 있는 통합로그인 체계도 추진한다.
[ "개인 정보 등을 토대로 선제적으로 서비스를 지원하는 가칭 복지멤버십은 언제부터 추진됐니", "언제부터 블록체인을 이용한 부동산거래 시스템을 제공했니" ]
unanswerable
2c3b0a15-2f57-45d5-88a4-4925487a9670
유영민 장관, 미국 연방통신위원회 및 국가우주위원회 면담
한-미 간 5G 상용화 및 우주개발 협력 강화키로 - 유영민 장관, 미국 연방통신위원회 및 국가우주위원회 면담 - 고다드 우주비행센터 (Goddard Space Flight Center) ◈ 고다드우주비행센터 (Goddard Space Flight Center) - 위치 : 메릴랜드주 그린벨트 - 역할 : 지구관측, 천문‧태양계 관측 미션 등 수행 위해 위성‧비행체 개발·운영 - 역사 : 1959년 NASA의 첫번째 우주비행센터로 설립되었고, 1960년 첫 번째 기상 관측 위성인 TIROS-1 발사 ◈ 고다드우주연구소 (Goddard Institute for Space Studies) - 위치 : 뉴욕주 뉴욕시 - 역할 : 지구관측 데이터 기반의 기후·대기 연구 수행 - 역사 : 1961년 설립 초기에는 행성 대기 연구 등 우주과학 연구로 시작하여 현재는 엘리뇨 등 지구 환경 연구로 연구범위 확대 ◈ 왈럽발사시설 (Wallops Flight Facility) - 위치 : 버지니아주 이스턴숄 - 역할 : 저궤도 비행 프로그램 담당 연구소, 지구 및 우주 과학 연구를 위한 다양한 목적의 발사체, 벌룬, 비행체 발사 담당. 1946년 첫 번째 발사체 발사 이후 최근까지 14,000여개 비행체 발사 - 역사 : 1945년 국립항공자문위원회 산하의 Wallops 비행기구로 설립, 1958년 NASA 산하의 Wallops Station 창립
[ "미국 연방통신위원회와 국가우주위원회가 우주개발 협력을 위해 1958년 설립한 것은 무엇일까" ]
unanswerable
38824921-094b-4583-987e-ce4dc06cbfb7
제1차 한-캐나다 과학기술공동위 개최, 양자컴퓨팅, 우주항공 분야 등 협력 강화
한국·캐나다, 양자컴퓨팅, 우주항공, 북극, 에너지자원 분야 협력 강화- 제1차 한-캐나다 과학기술공동위원회 개최 (12.20 서울) - 제1차 한–캐나다 과학기술공동위원회 개요 □ 개최배경 ㅇ 한-캐 과학기술혁신협력협정(2016.12월)에 근거, 양국 간 과기기술‧ICT 및 혁신 관련 정책교류, 공동연구 등 협력 확대를 위한 정부 간 회의체 운영 □ 공동위 개요 ㅇ 일시 : 2017. 12. 20(수) 14:00∼18:00 ㅇ 장소 : 롯데호텔 서울(소공동) ㅇ 대표단 - (한국) 과기정통부 국제협력관(수석대표), 한국연구재단,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극지연구소,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재료연구소,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등 30여명 - (캐나다) 국가연구위원회(NRC) 부의장(수석대표), 외교부, 혁신과학경제개발부, 항공우주연구혁신연합(CARIC) 등 20여명
[ "한국 대표단 20여 명은 과기기술 관련 정책교류를 위해 어디에 참석하지", "2017년 12월 한-캐 과학기술혁신협력협정에 근거해 무슨 회의체가 운영되고 있어" ]
unanswerable
a661cf3c-8086-416d-a488-c2ce62e11897
신변종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방지 종합대책
제목 : 신·변종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방지 종합대책 󰊳 주요 내용 2. 불법이체·결제 단계 ❸ 해킹에 이용된 계좌 지급정지 ㅇ (현황) 해킹은 현행법상* 전기통신금융사기에 해당하지 않아 해킹을 통해 피해금이 이체된 계좌(해킹이용계좌)에 대하여 법적조치 불가 *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금 환급에 관한 특별법 제2조(정의) ※ 현재 해킹이용계좌의 지급정지는 금감원의 지도에 따라 은행권역만 실시중(2009.2월~) ㅇ (개선) 은행 이외 제2금융권도 해킹이용계좌 지급정지를 실시하고, 동 계좌 명의인이 보유한 타계좌*에 대해 비대면거래를 제한할 수 있도록 행정지도 실시 및 관계기관 협조 요청 * (법 개정 前) 동일 금융회사내 계좌 → (법 개정 後) 전체 금융회사 계좌 - 상기 지급정지제 및 비대면거래 제한 등을 반영하여 법 개정 추진 ❹ 통신과금서비스 보안 강화 ㅇ (현황) 휴대폰 소액결제시 SMS인증번호를 통하여 이용의사를 확인하고 있으나, 악성앱 등을 통한 인증번호 탈취로 이용자 피해 확대 ㅇ (개선) 휴대폰 소액결제시 개인인증단계를 추가하도록 하고, 결제금액 및 자동결제 여부 등을 명확히 고지하는 표준결제창 적용을 의무화 - 이용자 피해 예방과 권리구제 등에 관한 세부사항을 규율(고시)하는 법적 근거 마련
[ "2009년 2월부터 제2금융권에서도 실시되고 있는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방지 대책은 뭐야" ]
unanswerable
47b10b3f-3cd8-4011-8244-d10532af5263
스마트콘텐츠 콘퍼런스 2013 개최 결과
“스마트콘텐츠 콘퍼런스 2013”성황리 개최 ‘Beyond Smart: Futuristic Technologies’를 주제로 미래 기술을 통한 창조경제 시대 신(新)돌파구 모색 □ 그 외에도 빅데이터, 교육 서비스, 비트코인 등 다양한 분야의 미래 기술 산업 전문가/기업가들이 논하는 미래 기술의 현주소와 혁신 가능성을 통해 관객으로 참석한 천여명의 스타트업 관계자들과 각계의 전문가 및 학생들에게 미래 산업에 다양한 영감을 제공했다. o 최근 국내외에서 많은 관심을 끌며 연일 화제가 되고 있는 가상 디지털 화폐 비트코인(Bitcoin)의 한국 거래소 ‘코빗(Kobit)’의 유영석 대표는 “한국은 IT 분야는 물론 수 많은 미래 기술들을 빠르게 성장할 수 있는 좋은 토양을 지녔다”며, “이번 콘퍼런스를 계기로 창조경제시대를 이끌 미래 산업의 씨앗들이 더 많이 뿌리 내릴 수 있길 바란다”는 소감을 밝혔다.
[ "스마트콘텐츠 콘퍼런스 2013에 참석한 천여명의 스타트업 관계자들은 어느 분야의 전문가야" ]
unanswerable
3f986a93-d979-4e2c-a15d-1d99886aa7b1
주민등록등·초본도, 신분증도 모두 스마트폰 속으로. 디지털 정부가 온다
주민등록등·초본도, 신분증도 모두 스마트폰 속으로. 디지털 정부가 온다- 정부, 디지털 정부혁신 추진 계획 29일 국무회의서 발표 【 디지털 정부혁신 6대 우선추진 과제 】 3. 시민참여 플랫폼 고도화 – 국민의 소리를 소중히! □ 전화 민원 중 다른 기관에 전화를 넘기는 경우에 다시 설명할 필요가 없어진다. 공공분야에서 운영 중인 156개 콜센터의 시스템을 단계적으로 통합해 전국 어디에서 전화해도 접수부터 완결까지 상담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텍스트(국민신문고)에서 전화까지 모든 유형의 민원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정책에 반영할 계획이다. □ 미국 challenge.gov를 벤치마킹하여 시민이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도전.한국’ 플랫폼도 내년부터 운영한다. ○ 그간의 통상적인 공모방식과 차별화하여, △공공부문의 도전적 문제 제시와 △파격적 보상과 지원, △확실한 정책 반영을 해나갈 계획이다. □ 또한, 디지털 기기활용이 어려운 국민도 빠짐없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디지털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 및 교육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 "미국 정부는 공공분야에서 운영 중인 몇 개의 콜센터 시스템을 통합하려는 거야", "몇 개의 콜센터가 통합되어서 모든 공공부문 유형의 민원을 처리하고 있지" ]
unanswerable
037df83a-e4c2-45b9-a545-007e096d9958
과학벨트 거점지구(신동, 둔곡) 관계기관 업무협약 체결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신동·둔곡) 관계기관 업무협약 체결 - 4.16(목) 신동·둔곡지구 토지보상계획 공고를 통한 보상 착수 - □ 또한, 각 기관별 역할과 상호 협력 사항을 명시하여 조성사업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ㅇ 미래부는 중이온가속기 부지매입비 확보·지급, 과학벨트 전담 지원조직 지정·운영, 산업·연구용지 입주기관 유치를 위한 종합 대책을 수립하기로 하였고, ㅇ 대전시는 시가 설치하기로 한 시설의 설치·유지관리, 준공이후 공공시설 관리, 입주예정자를 위한 제반절차(조성사업 준공, 공공시설 공용개시 등)를 협조하기로 하였으며, ㅇ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토지의 취득·개발·공급, 2019년까지 조성사업을 준공하고 조성공사의 품질유지 및 각종 인·허가 등 제반 업무를 추진하기로 하였다.
[ "대전시는 몇 년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 관계기관과 업무협약을 체결했지", "미래부는 몇 년까지 산업, 연구용 입주기관 유치를 위한 조합 대책을 수립하기로 했을까" ]
unanswerable
53c62afe-8ce6-44c8-b9e1-04e1e35b9436
고용량·반영구 차세대 에너지 저장 소재 개발(미래소재_KAIST_강정구)
고용량·반영구 차세대 에너지 저장 소재 개발 - 하이브리드 신소재로 차세대 고용량 에너지 저장 기술 구현 - 연구결과 개요 2. 연구내용 이에 강정구 교수를 필두로 한 연구팀은 Nozzle Spray Pyrolysis 방법을 이용하여 니켈 산화물이 함유된 탄소계 다공성 물질을 제조하였다. 이 방법은 멜라민-포름알데하이드 수지에 니켈 화합물을 첨가시켜서 원료 용액을 만든 후 바늘을 통해 분사시키면서 동시에 높은 온도에서 열처리를 하여 micron 단위의 구형의 물질을 만드는 것이다. 본 방법을 이용하면 실리카 등의 형틀을 이용하지 않고도 속이 빈 다공성 구조를 만들 수 있으므로 공정 비용 및 시간면에서 효율적으로 소재를 만들 수 있다. 본 소재는 탄소계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긴 수명을 갖게되며, 나노 미터 크기의 니켈 산화물과 다공성 구조로 인해 높은 에너지 저장 용량을 구현할 수 있었다.
[ "강정구 연구팀이 니켈 화합물에 micron 단위의 물질을 첨가하여 만든 것은 뭐야", "다공성 물질이 바늘을 통해 분사되면서 무엇이 만들어졌니" ]
unanswerable
22a12a39-ed1a-471f-846e-369e1453185b
신남방 진출 등 과학기술‧ICT 협력 잠재력 무궁무진
신남방 진출 등 과학기술‧ICT 협력 잠재력 무궁무진 - 지난해 스마트시티 진출 2,200만불, 거점을 통한 투자유치 및 매출액 3.75억불 달성 - - 2018 과학기술‧ ICT를 기반으로 신남방 진출 본격화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1월 10일 과학기술·정보통신기술(ICT) 분야 글로벌 기술사업화와 해외수출 촉진을 위한 ‘2017 해외거점 지원사업 성과보고회’를 개최하였다. * 과학기술협력센터, IT지원센터 등 해외거점을 통해 현지 사업모델 개발 및 프로젝트 발굴‧수주, 제품‧서비스 수출 등을 종합지원 ㅇ 이 자리를 빌어 이진규 차관은 해외진출 성과 공로자에게 표창을 수여하고, 2017년 해외거점의 권역별 특화 사업에 참여한 505개 기업 중 우수 성공사례를 격려하는 한편 현장 진입의 애로사항을 풀 수 있는 방안을 함께 모색했다. ㅇ 보고회에 참여한 해외진출지원기관과 기업들은 ▲ 현지진출 프로젝트* (스마트시티, ITS, 스마트팩토리 등) ▲ 국가 연구개발(R&D)성과의 해외 사업모델 ▲ 유망기업의 글로벌 성장촉진 등을 통해 해외에서 일자리를 늘린 성과 등 성공사례를 공유했다. * 동남아, 아프리카 등 지역의 현지수요를 분석하여 행정, 교통, 보안‧보호, 산업체질 개선 등을 과학기술‧ICT로 지원하는 사업
[ "2017년 해외 거점의 권역별 특화 사업에 참여한 몇 개의 한국 기업이 해외진출 우수 사례로 격려를 받았지", "2017 해외거점 지원사업 성과보고회에서 몇 개의 한국 기업이 해외진출에 성공하여 표창을 수여받았어" ]
unanswerable
15320ef1-2700-44a8-8a17-893f19045bcd
2020년 공공부문 SW·ICT장비·정보보호 수요예보(예정) 설명회 개최
2020년 공공부문 SW·ICT장비·정보보호 사업규모 4조 7,890억원- 「2020년 공공부문 SW·ICT장비·정보보호 수요예보(예정) 설명회」 개최 - - SW구축 사업 금액별로 살펴보면, 40억원 미만 사업은 1조 7,841억원(전년대비 1,282억원, 7.7%증가), 40억원 이상 사업은 1조 7,102억원(전년대비 4,773억원, 38.7%증가)이며, 특히 대형사업 증가로 80억원 이상 사업이 1조 3,342억원(전년대비 4,368억원, 48.7%증가)으로 나타났다. - 또한, SW구매 사업은 전년대비 341억원(12.1%) 증가하였으며, 시스템관리SW는 268억원(전년대비 209억원, 354.2%증가), 사무용SW는 1,406억원(전년대비 213억원, 17.8%증가)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ㅇ ICT장비 구매 사업금액 9,784억원 중 컴퓨팅장비 7,622억원(전년대비 743억원, 10.8%증가), 네트워크 장비 1,530억원(전년대비 282억원, 15.6%감소), 방송장비 632억원(전년대비 219억원, 52.9% 증가)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2020년 ICT장비 구매 사업금액 중 시스템관리SW에 들인 비용은 얼마나 증가했니" ]
unanswerable
7daaa15e-9a6b-4e7b-be1e-759bf0c4989b
창의적 IT고급인재 양성 나선다
미래창조과학부, 창의적 IT고급인재 양성 나선다 - 2013년 「대학IT연구센터」 및 「IT융합 고급인력」 지원 사업계획 공고 - 대학IT연구센터 지원사업 추진계획 사업목적 ❍ 대학에 결집된 인적자원을 적극 활용하여 IT분야의 핵심기술 문제해결 능력과 프로젝트 수행 능력이 우수한 고급 연구인력 양성중점 추진방향 ◈ 전략적 분야 선정을 통한 주력IT 및 SW분야의 핵심인재 양성 ◈ 평가체계 개선 등을 통한 평가의 신뢰도 강화 ◈ 사업화 성과 중심의 평가 추진 및 성과에 따른 추가지원으로 성과 극대화사업내용 ❍ 지원대상 : 석ˑ박사 대학원생(대학IT연구센터) ❍ 지원분야 : IT 분야 ※ SW, 차세대 컴퓨팅, 이동통신, 광대역통신망, 디지털방송, 정보보호 ❍ 지원기간 : 4년(4년차 종료 평가시 상위 50%는 2년 추가 지원, 최장6년) ❍ 지원내용 : 실습․연구에 필요한 연구활동비, 대학원생 인건비 등 ❍ 지원조건 - 참여인력 : 대학교수 8인 이상, 전일제 석박사 대학원생 40인 이상 참여 ※ 참여율 : 총괄책임자(30% 이상), 세부책임자․참여연구원(10% 이상) - 민간부담금 : 대학(지자체 포함) 및 기업체는 정부 출연금의 10% 이상 현금 대응자금 - 산학협력 : 신규 과제는 산학협력중점교수(1명) 채용 의무화, 추가 채용시 가점 최대 6점 - 여성가점 : 총괄책임자 또는 세부과제 책임자가 여성교수이거나 참여 대학원생의 20% 이상이 여성인 경우 가점 4점 부여 - 지방대학 : 주관대학이 지방대학인 경우 가점 최대 3점 부여 ※ 현재 ITRC 및 C-ITRC로 지원중인 대학은 제외
[ "대학IT연구센터를 통해 양성된 여성 대학원생은 몇 인이니", "IT융합 고급인력 지원사업의 세부과제 책임자는 몇 인이야" ]
unanswerable
6da26ce8-58dc-406c-81fc-55f2ed216bb5
골프장 건설시 성토로 인한 통풍방해 피해, 배상해야
골프장 건설시 성토로 인한 통풍방해 피해, 배상해야 □ 현지조사와 자문을 한 과수전문가 및 통풍전문가에 따르면, 위와 같이 골짜기가 형성되는 등 지형이 변화된 상태에서 북풍이 불 경우 과수원 북서쪽의 연단 부근에 기류의 정체현상이 심하게 발생될 수 있고, 냉기류가 정체하면서 과수가 동해(凍害)를 입어 고사하는 등의 피해가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이다. □ 위원회는 피해 발생지역의 지형 특성 상 기류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해 과수에 대한 통풍 피해가 발생될 수 있다는 전문가 의견 외에도 ○ 과수원 북서쪽 사면의 복숭아 나무들에서 동해의 전형적인 피해증상인 주간부 파열 현상이 관찰된 점(110주 고사) ○ 통풍방해 피해가 발생된 과수원 북서쪽 사면의 과수목 고사 주수에 비해 기류 정체현상이 골프장 개발과 무관하여 통풍방해 피해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 과수원 동쪽 사면의 과수목 고사 주수가 훨씬 적다는 점 등을 토대로 ○ 골프장 조성 시 부지 성토로 인한 통풍방해가 과수목의 고사와 수확량 감소에 영향을 주었을 개연성을 인정했다. □ 따라서 본 사건에 대하여 통풍방해에 따른 과수 피해를 인정하되, ○ 2010년과 2011년 경기·강원·충북 등지에서 동절기 한파와 개화기 전후 저온현상 등으로 인해 과수 피해 사례가 있었던 점을 감안하여 신청인에게 2천1백만원을 배상하도록 결정하였다.
[ "2010년과 2011년 경기, 강원, 충북 등지에서는 무엇 때문에 복숭아 나무들이 고사했지", "복숭아 과수원 동쪽 사면보다 북서쪽 사면에 과수목 고사 주수가 훨씬 적은 것은 무엇의 영향이야" ]
unanswerable
49bc4d85-2cba-4985-979c-401e55371b5c
국가R&D 혁신방안 광주지역 현장 목소리 듣다
국가R&D 혁신방안, 광주지역 현장 목소리 듣다 설명회 및 간담회 계획(안) □ 추진 배경 ㅇ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1회 전원회의(2018.7.26)에서 확정된 ‘국가 R&D 혁신방안’에 대한 현장 이해도 제고 ※ (1차/8.29) 서울 산기협, (2차/9.14) 대덕연구개발특구, (3차/9.20) 부산과학기술기획평가원 ㅇ 지역의 우수 연구인력 부족, 지역 산학연 연계 인력양성 생태계 구축 등과 관련한 현장의견 수렴을 위한 간담회 병행 ※ 간담회 이후 인력양성 및 연구성과가 우수한 전남대 GET-Future연구실 방문 연계 □ 간담회 개요 ㅇ (일시) 2018.10.19(금) 오전 11:00~12:45 ㅇ (장소) 광주연구개발특구 이노비즈센터 2층 대회의실 ㅇ (참석자) 과학기술혁신본부장, 광주연구개발특구, 지역 인재양성 관련 지역 대학/산업계/연구계 전문가* 등(20명 내외) * 광주과학기술원, 전남대, 조선대, 순천대, 목포대, 광주과학기술진흥원, 지역 중소기업 등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1회 전원회의는 어디에서 열리니", "부산 대학교에 우수 연구인력을 구축하기 위해 어디에서 간담회가 열렸어" ]
unanswerable
5313c281-aab7-407e-adbc-586d858b4e1d
9월 정보통신기술 수출 192.6억불, 수입 90.7억불
9월 정보통신기술 수출 192.6억불, 수입 90.7억불 - 역대 최고 수출액 재경신, 89개월만에 최고 증가율 기록 - (수출 현황) □ 품목별 수출 실적 및 특징 o (반도체 : 98.8억불, 73.3%↑) 수요(서버·모바일 등) 증가 및 단가(D램) 상승 등 호조세 지속으로 2개월 연속 역대 최고 수출액 달성 * 반도체 수출 증감률(%) : (2017.5월) 56.0 → (6월) 54.9 → (7월) 60.7 → (8월) 59.8 → (9월) 73.3 * D램 현물가격(4Gb, $):(2017.5월) 3.23 → (6월) 3.24 → (7월) 3.45 → (8월) 3.57 → (9월) 3.86 o (디스플레이 : 28.7억불, 8.3%↑) LCD부분품 및 OLED 수출 호조세 지속 등으로 11개월 연속 수출 증가세 기록 * 디스플레이수출 증감률(%) : (2017.5월) 11.7 →(6월) 9.2 → (7월) 5.1 → (8월) 7.6 → (9월) 8.3 * OLED 수출 증감률(%) : (2017.5월) 21.9 → (6월) 16.0 → (7월) 12.1 → (8월) 28.6 → (9월) 56.2
[ "2017년 6월 반도체는 LCD부분품 및 OLED 수출 호조세 지속으로 몇 개월 연속 수출 증가세를 기록했니", "2017년 5월 디스플레이는 수요 증가로 호조세가 지속돼 몇 개월 연속 역대 최고 수출액을 달성했지" ]
unanswerable
99b37515-249a-4d71-b626-531d9603ecf5
스카이라이프, PP의 위성채널사용료 점진적 폐지 합의
스카이라이프, PP의 위성채널사용료 점진적 폐지 합의 - PP의 프로그램 사용료도 2년에 걸쳐 각각 9%, 8% 인상 합의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케이티스카이라이프(이하 스카이라이프)와 방송채널사용사업자(이하 PP) 가 위성채널사용료의 점진적 폐지와 프로그램 사용료의 단계적 인상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 미래부는 그동안 PP가 부담해 온 위성채널사용료를 스카이라이프가 부담할 것을 요청하였고, 스카이라이프는 상생차원에서 PP와의 협의를 통해 개선에 합의하였다 o 스카이라이프는 PP의 위성채널사용료를 3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축소하여 2018년에 전면 폐지하고, PP의 프로그램 사용료도 2014년에는 2012년 대비 9%, 2015년에는 2014년 대비 8%를 각각 인상한 금액을 지급키로 하였다 ※ 스카이라이프는 KT와 위성 임차계약을 하고 위성사용료를 지불하고 있으며 이 비용은 스카이라이프가 ‘위성채널사용료’ 라는 명목으로 PP로부터 받아서 KT에 주는 형태로 운영해 왔으며, PP에게 위성채널사용료를 포함한 프로그램 사용료를 지급해 왔음 o 업계는 위성채널사용료 폐지로 PP의 프로그램 사용료의 총 규모는 축소되지만 이번 인상 합의로 실질적인 프로그램 사용료의 인상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 미래부는 “이번 ‘PP-스카이라이프 상생협의체’를 통한 합의는 유료방송시장에서의 공정한 거래제도 정착과 초고화질(UHD) 콘텐츠 제작 활성화 등 실질적인 상생 발전을 위한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스카이라이프는 2018년에 PP에게 몇 퍼센트의 위성채널사용료를 지급하니", "2012년 위성채널사용료 폐지로 PP 프로그램 사용료의 규모는 몇 퍼센트가 축소됐어" ]
unanswerable
b105bc0a-b131-4529-bbd9-182409bdd07a
곤충산업 등록자, 변경사항 발생시 신고해야 한다.
곤충산업 등록자, 변경사항 발생시 신고해야 한다. - 곤충산업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안 6월 국회 통과 - 곤충산업현황 □ 시장규모 : 약 1,570억원으로 추정(2009), 2015년도에 2,980억원 추정 □ 곤충 사육농가 현황(2010년 곤충산업 실태조사 결과) ❍ 비닐하우스, 가건물 등 낙후된 사육시설에서 사육 □ 곤충 체험학습장 및 곤충생태공원 현황 ❍ 체험학습장 : 66개소(경인지역 18, 강원16, 경북 11 등), 연 136만명 관람 ❍ 생태공원 : 18개소(경인지역 5, 충북 3, 경북 3 등), 연 100만명 관람 □ 곤충연구소 : 18개소이며, 민간 13개소, 지자체 운영이 5개소* * 경기도농업기술원, 예천곤충연구소, 무주반딧불이연구소, 함평곤충연구소 등 □ 우리나라에 존재하는 곤충은 14,188종(2010, 한국곤충 총목록) ❍ 지구상에 존재하는 곤충은 130만종으로 전체동물(180만종) 중 72%차지 ❍ 인간과 직·간접적으로 관련을 맺고 있는 곤충은 약 15,000종
[ "2010년 경인지역 곤충 체험학습장에서 관리하는 곤충은 모두 몇 종이야", "2015년 함평곤충연구소는 몇 종의 곤충들을 사육하니" ]
unanswerable
f2f0d035-273e-4df6-a862-d68998e35018
대기오염조사 역량 향상 위해 지자체와 협력 강화
대기오염조사 역량 향상 위해 지자체와 협력 강화 □ 이번 워크숍은 올해 공동연구사업 결과를 발표하고, 이어서 전문가 강의와 각 시도의 연구결과 발표, 향후 공동연구 추진 방향 등에 관해 토의할 예정이다. ○ 특히, ‘가연성 폐기물 고형연료(SRF, 이하 고형연료)’ 사용에 따른 대기오염물질의 배출 실태를 논의하고, 고형연료 사용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중금속, 벤젠 등 대기오염물질의 배출특성과 저감기술에 대해 소개할 예정이다. * SRF : Solid Refuse Fuel 약자로 폐플라스틱, 폐목재 등으로 만든 고형연료 ○ 아울러, 16개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의 대기 현안문제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시간을 갖고, 공동연구사업 결과에 대한 총평과 향후 발전방향 등을 논의한다. □ *** 국립환경과학원 대기공학연구과장은 “이번 워크숍은 점점 복잡해지고 다양해지는 대기오염물질 배출사업장에 대한 조사결과를 공유하고, 대기오염 예방을 위한 관리방안의 초석을 다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중금속이 배출된 고형연료 사용 사업장은 몇 개니" ]
unanswerable
7211dcd0-fecb-452a-a214-fd36d24468d0
함께 만드는 과학문화 콘텐츠, 일상으로의 초대
함께 만드는 과학문화 콘텐츠, 일상으로의 초대 - 과기정통부‧창의재단, 「2019 과학문화 콘텐츠 페스타」 개최 □ 12월 7일(토)~8일(일) 주말 동안은 국민이 직접 참여하여 과학문화를 함께 만들어가는 ‘과학기술인 강연’, ‘과학문화 콘텐츠 콘테스트’, ‘사이언스 북 콘서트’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할 예정이다. ㅇ 7일 오전에는 달 탐사 로봇 ‘로버’ 개발에 참여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박사가 ‘로봇 공학자의 길’을 주제로 강연할 예정이다. - 오후에는 유명 과학 크리에이터 3팀*이 참여하는 ‘배틀과학’이 진행되며, 누구나 궁금해 할 과학적 소재를 발굴하여 이를 해결해주는 영상을 만들어 경연하는 방식의 콘텐츠로 새로운 재미를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 1분과학, 과뿐사, 코코보라 - 이어서 2019년도 선정 우수과학도서 저자*와 만나 대화하는 ‘사이언스 북 콘서트’를 진행한다. * ***(수상한 졸업여행), ***(사람을 살리는 신약개발: Back to BASIC) ㅇ 8일 오전에는 인지·행동학 전문가인 현대자동차 *** 박사가 ‘과학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 강연할 예정이다. ㅇ 오후에는 ‘과학문화 우수 콘텐츠를 찾아서’라는 주제로 팟캐스트 ‘과장창(과학으로 장난치는게 창피해?)’ 공개방송을 진행한다. ㅇ ‘싸이테인먼트 아이템 콘테스트’는 12월 시범운영 예정인 과학과 여가가 결합한 싸이테인먼트 아이템을 소개하고 그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자리로, 참석자들이 각 아이템에 모의 투자하는 이벤트도 진행할 예정이다.
[ "2019 과학문화 콘텐츠 페스타에서 몇 팀이 배틀과학 프로그램 진행을 맡았니" ]
unanswerable
038613fd-f55d-448e-ac03-8b32c13db695
9월 정보통신기술 수출 192.6억불, 수입 90.7억불
9월 정보통신기술 수출 192.6억불, 수입 90.7억불 - 역대 최고 수출액 재경신, 89개월만에 최고 증가율 기록 - 동향 세부자료 2. 주요 국가별 수출 동향  중국(홍콩 포함) : 99.7억불 수출, 전년 동월대비 27.8% 증가 최대 수출 국가인 중국은 휴대폰(6.5억불, △40.1%), 디스플레이(15.1억불, △22.2%)는 감소했으나 반도체(64.9억불, 79.2%↑) 수출 호조로 10개월 연속 증가 ◦ 對 중국 수출 비중은 51.8%를 기록하며 여전히 ICT 수출에서 높은 비중 차지 * 對 중국 월별 수출 비중(%) : (2017.5월) 50.9 → (6월) 52.3 → (7월) 51.3 → (8월) 52.0 → (9월) 51.8
[ "홍콩에 대한 중국의 반도체 수출액은 2017년 몇 개월 연속 증가했어", "중국의 홍콩에 대한 디스플레이 수출액은 몇 개월 연속으로 감소했니" ]
unanswerable
71a2a12c-4fca-4911-b57f-ea63e8757fa7
9월 정보통신기술 수출 192.6억불, 수입 90.7억불
9월 정보통신기술 수출 192.6억불, 수입 90.7억불 - 역대 최고 수출액 재경신, 89개월만에 최고 증가율 기록 - 동향 세부자료 2. 주요 국가별 수출 동향  미국 : 19.5억불 수출, 전년 동월대비 31.7% 증가 지속 휴대폰(6.1억불, 49.2%)의 증가전환, 반도체(5.4억불, 69.7%↑), 컴퓨터 및 주변기기(2.2억불, 11.3%↑) 등 수출 호조세에 힘입어 3개월 연속 수출 증가  베트남 : 28.1억불 수출, 전년 동월대비 89.0% 증가 해외생산기지向 반도체(10.0억불, 149.4%↑), 디스플레이(9.0억불, 190.2%↑) 등 부분품을 중심으로 수출이 증가하며 7개월 연속 20억불대 수출액 기록
[ "정보통신기술 수출에서 19.5억불을 수출하고 부분품을 중심으로 수출이 증가한 나라는 어디야", "주요 정보통신기술 수출 국가 중 어디에 28.1억불을 수출하고 휴대폰이 수출 증가로 전환됐니" ]
unanswerable
af60851e-54a9-40ff-a8c1-333771366a0d
과기정통부, 중소기업에 ICT 표준기술 보급·지원한다
과기정통부, 중소기업에 ICT 표준기술 보급·지원한다. ICT 표준확산을 통한 중소기업 지원계획(안) □ 개요 o ICT표준자문을 통해 중소기업의 신속한 시장진출 및 사업 확장을 지원하고 표준으로 성공한 강소기업으로 육성(Success with ICT Standards) □ 주요내용 o 지원대상 : ICT중소·벤처기업(연간 30여개사, 100회 가량 자문 추진) o 기술분야 : IoT 융합서비스, 빅데이터, 5G 네트워크 등 ICT기술분야 o 지원내용 : 기업 맞춤형 전문가 자문 ① 장기집중 자문(제품·서비스 구현 및 표준개발 지원, 4~5개사, 연간 50여회) ② 표준특허 자문(국제표준화 및 특허출원 자문, 연간 약 6개사 20여회) ③ 단기수시 자문(기술동향, 표준화 방법 등 자문, 연간 약 20개사, 30여회) ※ 기술분야 별 전문가 pool을 시스템에 구축해 기업이 필요한 전문가를 직접 검색·선정할 수 있도록 제공 중. 현재 총 382명의 전문가 보유(산업계 118, 학계 115, 기관/연구소 148, 정부 1명) ◊(신청절차) 자문 신청·접수(consulting.tta.or.kr) → 지원기업 선정 ☞ 방문 애로분석 ☞ 분야별 전문가 선정 ☞ 대면 자문(기업별 110회) ☞ 성과 분석 ☞ 우수사례 홍보 o 기타 : 우수한 성과를 창출한 기업에게는 시상, 기업 및 제품의 홍보를 위한 국내 ICT 전시회 참가 지원 등 □ 향후일정 및 계획 o ICT 표준 자문 서비스 신청 마감 : 2018년 12월 31월 o 기업 맞춤형 전문가 자문 지원 : 2019년 2월 ~ 12월 o 자문지원 우수 성과발표회(제3차 GISC 컨퍼런스) : 2019년 10월 o 자문사례집 제작, 성과 기업/전문가 시상 : 2019년 11월 ~ 12월
[ "ICT 표준확산을 통한 중소기업 지원계획에서 표준특허 자문을 담당하는 전문가는 몇 명이니", "ICT 표준확산을 통한 중소기업 지원계획에 따라 성과 기업, 전문가 시상에서 몇 명의 전문가가 상을 받을까" ]
unanswerable
6f917e9f-c6a3-432e-af5a-11832ce78932
9월 정보통신기술 수출 192.6억불, 수입 90.7억불
9월 정보통신기술 수출 192.6억불, 수입 90.7억불 - 역대 최고 수출액 재경신, 89개월만에 최고 증가율 기록 - 동향 세부자료 3. 수입 및 수지 동향 9월 ICT 수입은 전년 동월(73.3억불) 대비 23.8% 늘어난 90.7억불로 11개월 연속 증가 기록 ◦ (품목별) 반도체(39.2억불, 32.3%↑), 컴퓨터 및 주변기기(10.7억불, 31.1%↑), 휴대폰(8.4억불, 6.4%↑), 디스플레이(5.6억불, 35.8%↑)를 중심으로 증가 ◦ (지역별) 대만(10.3억불, △0.8%)은 감소했으나, 중국(홍콩포함, 30.6억불, 8.4%↑), 일본(10.6억불, 18.3%↑), 미국(7.4억불, 16.4%↑), 베트남(7.0억불, 41.1%↑)은 증가 최근 ICT 수입 추이 9월 ICT 무역수지는 101.9억불 흑자를 기록 ICT 무역 수지 ◦ (품목별) 반도체(59.6억불), 디스플레이(23.1억불), 휴대폰(9.9억불) 등 흑자 기조 주요 품목별 무역 수지 ◦(국가별) 최대 흑자국인 중국(홍콩 포함, 69.1억불), EU(3.3억불), 미국(12.1억불), 베트남(21.1억불)은 흑자 기조를 지속하였고, 對일 적자는 6.8억불을 기록
[ "9월에 ICT 수입이 5.6억불 증가한 나라는 어디니", "어느 나라가 9월 ICT 무역수지에서 39.2억불의 흑자를 기록했어" ]
unanswerable
a981c352-0401-4efd-8422-c9f41ccc647e
8월 ICT 수출입 동향
8월 정보통신기술(이하, ‘ICT’) 수출 144.4억불, 69.0억불 흑자 - ICT 수출은 휴대폰, 반도체 등을 중심으로 전년 동월대비 0.7% 증가 - □ 8월 ICT 수출은 전년 동월대비 0.7% 증가한 144.4억불, 수입은 11.4% 증가한 75.5억불로 무역수지는 69.0억불 흑자 o 세계 ICT 시장 축소(2015년 전망치 : △5.5% / 가트너)와 교역 여건 악화 (8월 전체 수출 : △14.7%)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ICT 수출은 증가로 전환*하면서 전체 수출을 견인** * 2015년 ICT 수출 증가율(%) : (4월) △1.9 → (5월) 3.1 → (6월) 1.0 → (7월) △3.4 → (8월) 0.7 2015년 전체 수출 증가율(%) : (4월) △8.0 → (5월) △11.0 → (6월) △2.6 → (7월) △3.4 → (8월) △14.7 ** 전체 수출액 대비 ICT 수출액 비중 : (2014.8월) 31.1% → (2015.8월) 36.7% o 2014년 우리나라의 ICT 수출액은 중국(홍콩 포함), 미국, 독일에 이어 세계 4위였으나, 2015년 들어 독일을 제치고 중국, 미국 다음으로 3위를 차지, - ICT 수출 증가율은 수출액 상위 5개 국가 중에서 중국 다음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는 등 우수한 실적을 보이고 있음
[ "미국, 중국에 이어 세계 3위를 차지한 2014년 한국의 ICT 수출액은 얼마야" ]
unanswerable
01fe838a-8f2c-4795-b528-02912fab0147
‘제2회 국회도서관 해커톤’ 시상식 개최
‘제2회 국회도서관 해커톤’시상식 개최 -공공 데이터 활용 창의적 서비스 개발 및 아이디어 제시 … 총 10팀 수상 - 서비스 개발 부문 대상(국회의장상)은 문화데이터 기반 퀴즈게임플랫폼을 개발한 ‘퀴즈박물관’팀이 수상했고, 금상(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은 부모·자녀 사이 관계 개선 및 관리 서비스를 개발한 ‘CACTUS’ 팀과 공공 데이터 활용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 서비스를 개발한 ‘RollingPaasta’팀이 각각 수상했다. 인공지능 기반 농작물 생육 데이터 관리 플랫폼을 구축한 ‘Agries’ 팀이 금상(국회도서관장상)을 수상했다. 또한 아이디어 부문 최우수상(한국정보화진흥원장상)은 치매의 조기진단·예방을 가능하게 하는 통화 서비스를 제안한 ‘Silvia Health’팀이 수상했다.
[ "CACTUS 팀이 문화데이터 기반 퀴즈게임플랫폼을 개발해 받은 상은 뭐야", "인공지능 기반의 치매 조기진단 시스템을 개발한 팀은 어떤 상을 받았니" ]
unanswerable
98402358-cbf0-48ac-b83f-663c0fcfc36d
올리브오일로 액체 속 금속나노입자 자유제어
올리브오일로 액체 속 금속나노입자 자유제어- 올리브오일과 물 사이 계면에서의 나노입자 정렬현상을 응용한 분자검출법 개발 - 연구결과 개요 2. 연구내용 연구팀은 이러한 계면 현상을 광학적 분자 검출법인 표면증강라만산란법(Surface-enhanced Raman Spectroscopy, SERS)에 응용시켰다. 지금까지 금 나노입자를 이용한 표면증강라만산란 검출기법은 많이 보고되었지만, 우수한 검출성능에 비해 아직까지 실용화에 성공한 사례가 없다. 그 이유는 검출방법이 너무 복잡하고 (재연하기 어렵고), 고가의 검출장비가 필요하다는 점이었다. 본 연구팀이 제안한 검출기법은 나노 입자가 우리 눈에 보이는 물과 기름 사이의 계면에 존재한다는 점 (따라서 별도의 현미경을 이용해 나노입자를 찾을 필요가 없다), 간단하고 저렴한 광학장비가 필요하다는 점, 기판의 제작 등 복잡한 제조과정이 없다는 점에서 분석의 표준화(누가 어디에서 검출하든 동일한 신호를 얻는다)가 가능하고, 비전문가에 의해서도 작동이 가능하다. 이는 제안기술이 금 나노입자를 이용한 검출기술 실용화에 매우 근접하였음을 보여준다.
[ "어디에 존재하는 금 나노입자를 검출하기 위해 고가의 광학장비가 필요해", "나노입자가 어디에 있으면 분자의 검출방법이 너무 복잡해지고 재연하기 어려워지지" ]
unanswerable
6aae2bad-61cf-4cff-aca7-5994477e00e6
20% 요금할인 가입현황 보도 참고자료
20% 요금할인 가입동향 참고자료 □ 가입자 특징 분석 ① (요금제 별) 요금할인 가입자 중 4~5만원대(실납부기준) 요금제를 선택한 가입자가 49.6%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6만원대 이상 고가 요금제 가입자는 3.1% ※ 동 기간 신규 이동통신 가입자 중 4~5만원대(실납부기준) 요금제를 선택한 가입자는 36.6%이며, 6만원대 이상 고가 요금제 가입자는 7.7% ② (서비스 별) 요금할인 가입자 중 LTE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가입자가 95.5%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 ※ 2015.12월 이동통신 전체 가입자 중 LTE 서비스 가입 비중은 77.0%이며, 3G 가입 비중은 15.0%, 2G 가입자는 8.0% ③ (연령대 별) 요금할인 가입자 중 20∼30대 가입자가 47.4%이며, 정보 취약자가 많은 60대 이상 고령 가입자도 8.1%를 차지
[ "2015년 요금할인 가입자 중 4만원대 요금제를 사용하는 20대 가입자는 몇 퍼센트니", "2015년 요금할인 가입자 중 3G에 가입한 30대 가입자는 몇 퍼센트일까" ]
unanswerable
c5d9593d-134e-43ca-a68a-2a44196662cb
특구 혁신주체 간 네트워크 활성화 본격 추진
특구 혁신주체 간 네트워크 활성화 본격 추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 이하 과기정통부)는 ‘특구 혁신주체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을 본격 추진하기로 하였다. ㅇ ‘특구 혁신주체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은 연구개발특구의 산·학· 연·관 혁신주체 구성원간 상호 협력과 정보 교류를 촉진하기 위해 진행되는 사업이다. ㅇ 그 동안 기술사업화 관련 지원 사업이 유관기관별 칸막이식으로 추진됨에 따라 각종 사업의 수혜대상자인 기업인과 지역주민의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미흡했다. ㅇ 이에 정부는 기술사업화와 관련된 산·학·연·관 혁신주체를 활용 하고자 하는 특구 구성원의 요구에 따라 네트워크 사업을 추진 하기로 한 것이다. ㅇ 정부는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을 중심으로 5개 특구별 협의체를 구성하여 실질적 교류 협력을 실시할 예정이다. * 주요 혁신주체가 참여하는 공식적이고 정례적인 의사 기구를 구성하고, 전주기 기술사업화 과정을 고려하여 맞춤형 네트워크의 중점 역할 수행 □ 특구 혁신주체 네트워크는 기술사업화 분야와 혁신기술 분야로 구성되어 운영된다. ① 기술사업화 네트워크는 혁신주체를 중심으로 연구소기업, 기술금융, 실험실창업 등을 위한 정보 교류의 장으로 운영된다. 이를 위해 우수 아이디어 및 기업 성장 사례 발굴·공유, 역량강화 교육, 투자유치 컨설팅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추진된다. ② 혁신기술 네트워크는 기술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기술 및 정책분야 연구회를 구성하여 융합 아이템을 발굴하고 현안해결형 기술 사업화 과제를 기획하는 등 기술사업화 촉진 기반을 구축한다.
[ "어느 부에서 추진한 특구 현신주체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이 기업인과 지역주민으로 구성되어 운영될까", "어느 부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을 중심으로 구성한사업이 수혜대상자의 만족도가 미흡했지" ]
unanswerable
cea8845c-03a5-40a1-bcaf-687b431b1cbc
창조경제의 사례를 말하다
최양희 미래부 장관, 상상이 현실이 되는 창조경제의 사례를 말하다! “이제 민간의 활력과 투자를 끌어내기 위한 정부의 마중물 역할에 집중” □ 이어서 창조경제 주요 사례들이 소개되었다. o ***씨((주)파이브지티)는 카메라로 얼굴을 인식해 문을 열고 닫는 보안 시스템을 구상했다. 창조경제타운과 SKT의 창업보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구상을 사업화 하는데 성공한 ***씨. 그가 만든 ‘얼굴인식 보안 프로그램’은 지문인식을 대체할 보안업계의 다크호스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민간이 주도적으로 창업지원을 하고, 정부가 밀어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향후 전국 17개 지역 창조경제혁신센터와 대기업 간 협력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o 화장품을 판매하는 대신, 친절하게 해석해주는 사람들이 있다. 수많은 화장품 브랜드 속에서, 내 피부에 딱 맞는 화장품을 찾기란 하늘의 별 따기. (주)버드뷰는 소비자가 겪는 이러한 어려움에서 착안, 식약처가 개방한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화장품의 성분, 특성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화해’를 출시했다. o (주)NUC전자와 (주)큐시스는 기술적인 어려움을 겪던 중 출연(연)의 기술협력을 통해 경쟁력을 높인 사례다. (주)NUC전자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슈퍼컴퓨터를 통해 녹즙기 기술개발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줄였다. (주)큐시스는 생산기술연구소의 기술지원으로 ‘대형 스마트 윈도우’에 필요한 고품질의 투명전극 필름을 개발했다.
[ "미래부의 투자와 공공데이터 개방을 통해 민간이 개발한 고품질 스마트 윈도우는 무엇이니" ]
unanswerable
8a6d9325-560b-46b7-8d03-4986bafac430
미래부-국방부 창조경제와 창조국방 협업 MOU 체결
미래부-국방부, 협업을 통한 창조경제와 창조국방의 공동가치 창출에 뜻 모아 - 전력지원체계 스마트화, 국방경영 및 병영문화 혁신 위한 업무협약 체결 - □ 특히, 시범․실증사업 후 성과가 우수한 경우 전 부대로의 확산이 용이하도록, 실증사업 기획단계에서부터 실증사업과 본사업간 연계 및 단계별 확산 방안을 고려하여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ㅇ 2013년부터 개발을 시작하여 금년 중 완료되는 ‘소부대 과학화 전술 훈련 시뮬레이션’의 경우 미래부와 국방부간 협력의 좋은 사례로, - 미래부에서는 그간 시뮬레이션 개발을 지원(3년간 30억원)하였고 국방부에서는 금년중 육군 보병부대, 기계화부대, 기계화 학교에서 시범적용 후 운영 성과를 보아 단계적으로 全부대에 확산할 계획이다. - 이를 통해 국내 실감형 콘텐츠 산업 육성은 물론, 장기적으로는 국산 사이버훈련체계 수출(동남아, 남미 등 대상)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ㅇ 아울러 ‘기술개발-실증․시범-확산’이 보다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금년 하반기 중 ‘국방분야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전략’을 양 부처 협업으로 마련할 계획이다.
[ "국방부에서 3년간 30억을 지원하여 개발한 것은 뭘까", "미래부가 육군 보병부대 등에서 시범 적용 후 단계적으로 전 부대에 확산 시키려는 것은 뭐니" ]
unanswerable
d27b73ab-59cc-4bcf-91cb-dee9c23c9008
미래부-산업부 협업 나노융합 상용화 신규 R&BD과제 선정
미래부-산업부 협업 나노융합 상용화 신규 R&BD과제 선정 - 해양 누출 기름 회수기, 방사선 영상 검출기 등 사회적․산업적 중요성이 큰 신규과제 10건에 56억원을 투입하여 2~3년 내 상용화 목표 - □ 금년에 선정된 과제들 중에는 사회․경제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 나노기술의 상용화 대상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ㅇ (주력산업 경쟁력 강화) 세계 최고인 디램(DRAM) 산업의 경쟁력을 한단계 끌어올릴 ‘드램(DRAM) 캐패시터 양산 기술’, 스마트폰의 성능을 개선하고 조만간 시장이 열릴 유연소자 산업의 핵심소재가 될 기능성 필름 및 코팅 소재(기술)를 2~3년 내 제품화를 목표로 한다. ㅇ (사회안전 확보) 태안반도 원유 유출 사고와 같은 대형 사고 외에 크고 작은 해양 기름유출 사고 시 유출된 기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선박탑재형 이동식 유회수기,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늘어나는 방사선 피폭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저선량/고감도의 방사선 영상 검출기 등을 2~3년 내 상용화할 예정이다. □ *** 사업단장은‘지난 2년간의 사업추진 성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볼 때 금년도 출범하는 과제들 역시 좋은 성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며 2018년까지 3,000억원 이상의 매출 달성과 300명 이상의 고용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 "나노융합 상용화 신규 R&BD 과제 중 사회, 경제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 나노기술 상용화 과제는 몇개야", "나노융합 상용화 신규 R&BD 과제 중 드램 캐패시터 양산 기술과 관련된 과제는 총 몇 건일까" ]
unanswerable
0cbc11a0-d3e2-41f1-b8d6-f78450f70528
11월 1일, 국립과천과학관 자연사관 재개관
우주와 지구 그리고 생명의 역사가 살아 움직인다 - 11월 1일(수), 국립과천과학관 자연사관 재개관 - 자연사관 개요 □ 목적 및 내용 ㅇ 우주와 지구, 생명의 탄생에서부터 다양한 생물에 이르기까지 138억년의 역사를 이해하는 감성형 자연사관 구축 - 고화질의 와이드 영상, 미디어파사드, 증강현실(AR) 등 새로운 첨단전시기법을 적용하여 화석, 표본과 어우러진 융합형 전시 제공 □ 규모 ㅇ 규모 : 2,580㎡ (781평) □ 전시관 구성 및 세부내용 ㅇ (인트로/탄생의 장) 자연사 탐구의 목적과 함께 우주와 원소, 태양계와 지구, 생명의 탄생을 전시 ㅇ (진화의 장) 생명탄생 이후 선캄브리아누대에서 신생대까지 고생물과 인류의 진화를 지질시대 흐름에 따라 전시 ㅇ (생명의 장) 현생 생물과 생태환경의 다양성을 동물 표본, 산호수족관과 함께 대화면 미디어 영상으로 전시 ㅇ (탐구의 장) 과학의 발전을 통해 밝혀진 생명의 진화를 추론해보는 탐구·체험형 전시
[ "국립과천과학관 자연사관에서는 우주 태양계를 무엇을 통해 전시하니" ]
unanswerable
e3a2adec-d248-41db-bad7-3c4192800e23
유해 중금속 납, 만성신장질환의 원인임이 밝혀져
유해 중금속 납, 만성신장질환의 원인임이 밝혀져 - 납의 신장독성 기전 규명, 납으로 인한 만성신장질환 예방 및 제어 기대 - □ 인체의 주요 위험물질 2위로 꼽히는 납은 대기, 토양, 생활환경 등 다양한 경로로 인체에 노출되며, 페인트, 안료ㆍ염료 등의 주원료로 장난감, 학용품, 화장품 등을 통해 어린이에게 쉽게 노출될 수 있다. 국제적 가이드라인으로 정상성인 기준으로 ‘혈액 내의 납 농도 10μg/dL 이하’가 제시되고 있다. o 하지만, 역학조사를 통해 5μg/dL 이하 농도에서도 납이 만성신장 질환을 유발할 수 있음이 보고되고 있지만, 신장독성을 유발하는 정확한 원인은 규명되지 않았다.
[ "납은 신장독성 유발물질 순위에서 몇 위를 기록했는가", "납은 학용품을 통해 어린이에게 노출되는 위험물질 순위에서 몇 위지" ]
unanswerable
41278e93-004f-4f3e-a2f7-ad93e3c6c7c0
[보도자료] 국회의원 보수 동결 등 국민 눈높이에 맞게 지출구조조정
“국회의원 보수 동결 등 국민 눈높이에 맞게 지출구조조정” - 2020년도 국회 예산 6,787억원 확정 - ▣ 2020년 예산 편성 과정에서, 국회의원 보수는 2019년 수준으로 동결하는 한편, 법인 보조금 및 개원 경비에 대한 적극적인 지출구조조정을 실시하고, 특수활동비는 올해 대폭 감액 편성한 수준을 유지하는 등 국민의 눈높이를 고려하였다. 내년도 정부안에 따른 국회의원 보수는 공무원 공통보수 증가율 적용 등으로 2.1% 증액되었으나, 어려운 경제여건에서 국회가 국가재정을 절약하기 위하여 솔선수범해야 한다는 취지에서 올해 수준으로 동결하고 정부안 대비 8억 6,800만원을 삭감하였다. 법인 보조금은 국회 소관 법인의 설립목적, 보조금 지원의 필요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지출구조조정을 실시함에 따라 입법정책네트워크단체 지원 예산 5,400만원(△4.0%)과 의원외교 의원연맹 지원 예산 1억 4,300만원(△8.6%)을 각각 감액하였다. 제21대국회 개원경비 예산은 제20대국회 개원경비(61억 8,400만원)에 비해 대폭 감액한 25억 7,700만원을 반영하였다. 국회는 개원 과정에서 불필요한 예산낭비를 방지하기로 했다. 내구연수가 도래한 복합기나 사무용 집기를 일괄 교체하던 방식을 중단하고, 제품의 사용내역과 상태를 점검하여 교체가 필요한 집기만을 부분적으로 교체하는 방식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국회는 2019년 특수활동비를 대폭 삭감(63억→9.8억원)하여, 본연의 목적 및 국민 정서에 맞지 않는 비용과 항목을 폐지하였는바, 내년도 특수활동비 역시 올해 수준으로 동결하였다.
[ "2020년 특수활동비는 몇 퍼센트 삭감됐어", "2020년 국회보수는 몇 퍼센트 감액됐니" ]
unanswerable
e4b25d13-e881-4d22-9242-d6526b34ba68
멸종위기종 분홍장구채, 철원군 비무장지대에 서식 확인
멸종위기종 분홍장구채, 철원군 비무장지대에 서식 확인 질의응답 1. 분홍장구채는 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었나요? ❍ 분홍장구채는 가파르거나 수직적 절벽의 바위틈에서 서식하는 까다로운 생육조건과 북방지역에만 서식하는 종으로 다른 장구채속 꽃들과 달리 분홍색 꽃이 피어 불법채취나 서식지 훼손 등으로 인하여 자생지가 줄어들고 있는 상태입니다. ❍ 국내에서는 강원도 북부 일부 지역(철원, 홍천, 포천, 영월 등)에 분포하고 있으며, 적극적인 보전․관리대책이 필요로 하는 종입니다. ❍ 이에 환경부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한국의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적색자료집(Red List)에 취약종(VU, Vulnerable Species)**, 식물구계학적 특정 식물 V등급***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습니다.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가까운 장래에 멸종위기에 처할 우려가 있는 야생생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종임 ** 한국 적색목록 취약종(VU):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 9개 범주(절멸, 야생절멸, 위급, 위기, 취약, 준위협, 관심대상, 정보부족, 미평가) 중 생존위협과 번식환경이 개선되지 않으면 절멸위기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고 분류한 생물종임 ***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한반도를 기준으로 식물의 분포를 볼 때 얼마나 좁은 범위에 분포하는지를 I∼V 등급으로 구분하며, 등급이 클수록 분포지역이 좁은(희귀식물) 식물에 속함. V등급은 법정 보호종을 비롯하여 고립 또는 불연속적으로 분포하는 종임
[ "세계자연보전연맹이 가까운 장래에 멸종위기에 처할 우려가 있는 야생식물로 분류한 식물종을 무엇이라고 하지", "번식환경이 개선되지 않으면 절멸위기에 빠질 생물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종은 무엇이니" ]
unanswerable
ad549f39-1526-456c-a4ae-90003b64dad7
멸종위기종 분홍장구채, 철원군 비무장지대에 서식 확인
멸종위기종 분홍장구채, 철원군 비무장지대에 서식 확인 전문용어 설명 ❍ (민통선이북지역)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보호법」제2조, 제5조에 따라 군사분계선 이남으로 10 ㎞이내의 지역에 민간인통제선(민통선, Civilian Contril Line)을 설정하고 민통선으로부터 남방한계선까지의 지역을 민간인 통제선 이북지역으로 설정 ❍ (멸종위기 야생생물) 자연적 또는 인위적 위협요인으로 인하여 개체수가 감소하거나 소수만 남아 있어 가까운 장래에 절멸될 위기에 처해 있는 야생생물로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정 - 우리나라에서는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생물을 Ⅰ급과 Ⅱ급으로 나누어 환경부에서 267종을 지정·보호하고 있음 □ (적색목록) 적색목록은 멸종위험 정도에 따라 9개 범주(절멸, 야생절멸, 위급, 위기, 취약, 준위협, 관심대상, 정보부적, 미평가)로 나뉘어 관리되고 있음. 이중 위급(CR)은 자연상태에서 절멸위기에 직면해 있는 종을 의미함
[ "몇 종의 동물이 1급 멸종위기 야생동물로 지정됐어", "적색목록에서 위급 범주에 해당하는 동물은 몇 종이야" ]
unanswerable
eefe08c7-4f55-4c30-887b-56695424c906
그린시티 6곳 기초지자체 선정…부천시 대통령상
그린시티 6곳 기초지자체 선정…부천시 대통령상 제8회 그린시티 우수사례 대통령상 경기 부천시 (************) 기후변화에 회복력(Resilience)있는 도시가 되기 위한 환경정책 수립 □ 추진배경 ○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상이변으로 폭염과 가뭄, 홍수 등의 재난 및 재해가 발생하고 있음 - 부천시는 폭우 등에 의해서 큰 피해를 입었던 위험성 높은 지역임 * 2010년 굴포천 역류로 61개 공장 침수, 150억원의 피해 발생, 성곡동 및 오정동 일대에 1,808명의 이재민 발생 ○ 도시화에 따라 열섬효과가 크고 주민 생태휴식공간이 적고, 복개된 하천으로 인한 여려가지 환경문제가 발생 □ 주요 사업내용 ○ 기존에 시행되던 침수피해 후 단순 복구위주의 정비 사업에서 탈피해 도시침수 예방을 위한 터널형 하수관을 최초로 도입 ○ 복개된 하천을 하수처리 재이용수를 이용하여 시민참여형 생태 하천(100리 수변길 조성사업)으로 개선 ○ 사용하지 않은 소각장을 주민의견 수렴을 통해 미술관, 전시관, 영화촬영 장소로 조성 □ 사업성과 ○ 터널형 하수관 설치로 침수해소, 수질개선, 하수·빗물 제어 기술 확보로 폭우피해 제로화에 도전 ○ 100리 수변길 조성사업을 통해 복개하천 악취 저감, 도시열섬효과완화, 재이용수 재이용 및 주민 생태 휴식공간 확대 ○ 혐오 환경시설을 이용한 환경문화자산 조성으로 환경의식 개선
[ "성곡동에서 발생한 폭우 피해 이재민은 몇 명이야", "지구온난화로 폭염 피해를 입은 오정동 주민은 몇 명이니" ]
unanswerable
983f5376-102c-4bc7-ae3e-aa2ab3eab70d
플러그인 개선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설명회 개최
플러그인 개선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설명회 개최 - 액티브X 등‘민간 웹사이트 플러그인 개선 가이드라인’마련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플러그인*(액티브X, 실행파일) 설치로 인한 인터넷 이용 불편 해소를 위해 민간 웹사이트 운영사가 플러그인 개선 시 참고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안)을 마련하고, 11월 28일(수) 10시, 건설공제조합(3층 대회의실)에서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웹브라우저에서 지원하지 않는 기능을 위해 PC에 설치하는 프로그램으로,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동작하는 액티브X, 모든 브라우저에서 동작하는 실행파일이 있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웹사이트 운영을 위해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무엇이니",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설치한 플러그인으로 모든 브라우저에서 동작하는 실행파일은 뭘까" ]
unanswerable
670a1264-df85-4e7b-a5aa-3f22efc36c00
플러그인 개선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설명회 개최
플러그인 개선을 위한 가이드라인(안) 설명회 개최 - 액티브X 등‘민간 웹사이트 플러그인 개선 가이드라인’마련 - 가이드라인(안) 설명회 개최(안) □ 개요 o (일시 및 장소) 11.28(수) 10시, 건설공제조합 3층 대회의실 o (참석 대상) 민간 500대 웹사이트 운영사, 웹호스팅사, 금융위원회, KISA, 금융감독원, 금융결제원, 금융보안원 등 120여명 □ 주요 내용 o 민간 500대 웹사이트의 플러그인 제거/사용 최소화를 위한 웹 표준 전환 방법, 프로세스 개선 사례 등의 가이드라인(안) 내용 소개 o 프로세스 개선 대표사례 소개, MS의 브라우저 정책 방향 등 소개 o 가이드라인(안) 내용 관련 질의·응답 및 의견 수렴
[ "웹호스팅사가 MS의 프로세스 개선 사례와 500대 웹사이트의 정책 방향을 소개한 설명회는 무엇이니" ]
unanswerable
4b85dba1-268a-493c-9398-0a25c68db6f6
미생물로부터 친환경 바이오플라스틱 생산기술 최초 개발
미생물로부터 친환경 바이오 플라스틱 생산 기술 최초 개발 - 세계 최초 의료용 고분자 PLGA 생산 가능한 미생물 개발 - 연구결과개요 2. 연구내용 ○ 비자연 고분자인 폴리락테이트-co-글라이콜레이트 생산 균주 개발은 다음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 미생물의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합성 대사회로에서 착안하여 단량체인락테이트와 글라이콜레이트가 락틸코에이, 글라이콜릴 코에이로 전환 후 폴리락테이트-co-글라이콜레이트의 고분자로 중합될 수 있는지 타겟 효소들은 선정하여 활성을 확인하였다. ○ 대장균은 자연적으로 글라이콜레이트를 만들어내지 않기 때문에 글라이콜레이트 생산 대사회로를 구축하기 위한 외래 유전자 도입 및 그로 인한 세포 대사흐름 변화를 대장균 게놈 수준의 인실리코 시뮬레이션을 통해 예측 및 분석하였다. ○ 시뮬레이션을 토대로 논리적 유전자 조작을 통하여 세포 성장 및 락테이트와 글라이콜레이트로의 대사 흐름을 강화하여 폴리락테이트-co-글라이콜레이트를 최초로 생산하였으며, 추가적인 유전자 조작을 통하여 대사 흐름을 조절하여 여러 몰비를 가지는 폴리락테이트-co-글라이콜레이트를 생산하였다. ○ 폴리락테이트-co-글라이콜레이트 생산 균주를 기반으로 3-하이드록시뷰트레이트, 4-하이드록시뷰트레이트, 2-하이드록시아이소발러레이트, 5-하이드록시발러레이트, 6-하이드록시헥사노에이트와 같은 다양한 단량체와의 공중합체를 시도하여 여러 가지 물성을 가지는 신규 바이오 플라스틱 생산하였다. 3. 기대효과 ○ 기존의 플라스틱 생산 공정을 친환경적이며 지속가능한 생산 공정으로 대체할 수 있다.
[ "자연적으로 하이드록시뷰트레이트를 만들어내지 않는 것은 뭐야", "다양한 글라이콜레이트와의 공중합체를 시도하여 생산되는 것은 뭐니" ]
unanswerable
77ee082c-f357-4178-9470-e1b108a717b6
'15.1~5월, 농식품 수출 24.7억불, 전년 동기대비 1.3% 감소
2015.1~5월, 농식품 수출 24.7억불, 전년 동기대비 1.3% 감소- 일본“토마토 ․ 들기름”, 중국·베트남“조제분유 ․ 인삼”수출 증가 - □ 중국·베트남으로 “인삼․조제분유” 수출 증가 ※ 2015.1~5월 기준, 인삼 수출액 69,408천불(전년 동기대비 1%↑) - 중국 17,134천불(30%↑), 일본 13,910(9%↑), 베트남 2,834(9%↑) ※ 2015.1~5월 기준, 조제분유 수출액 43,655천불(전년 동기대비 59.2%↑) - 중국 36,855천불(58.7%↑), 베트남 4,322 (83.9%↑) ○ 한국산 조제분유는 고품질․안전하다는 인식이 확산되며 중국․베트남에서 수요가 급증하는 추세이다. * 2015.5월 당월 기준, 조제분유 수출액 7,874천불(전년 동월대비 157.7%↑) : 중국 7,534천불(305.8%↑), 베트남 339(106.6%↑) 등 ○ 한국산 인삼도 최근 중국에서 어머니날(5.2주 일요일) 선물로 찾는 고객이 증가하고, 수출업체들이 TV광고 · 온라인 SNS 마케팅 등 다양한 홍보를 전개하여 수요층이 확대되고 있다. * 2015.5월 당월 기준, 인삼 수출액 15,601천불(전년 동월대비 24.7%↑) : 중국 3,898천불(68%↑), 미국 998(9.2%↑), 베트남 799 (105.3%↑) * 중국의 어머니날 : 한국의 어버이날과 같은 날로 5월 둘째주 일요일
[ "2015년 1월에서 5월 기준 조제분유의 일본 수출액은 얼마야", "2015년 5월 기준 들기름의 미국 수출액은 얼마지" ]
unanswerable
116938f0-64e6-406b-be27-76ac31512842
국가지식재산위원회 민간위원 위촉
제3기 국가지식재산위원회 민간위원 위촉 - 정책 전문성 등을 고려하여 각계 전문가 20명 위촉 - □ 정부는 12월 14일 제3기 국가지식재산위원회 위원장으로 구자열 LS그룹 회장을 임명하고, 민간위원 19명을 새로이 위촉하였다. * 국가지식재산위원회 : 「지식재산기본법」에 따라 구성된 대통령 소속 국가 지식재산정책 심의기구로 관계부처 장관 등 정부위원 13명, 민간위원 20명(총 33명)으로 구성하며 정부위원장은 국무총리가 맡는다. ㅇ 신임 민간위원들은 정책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학계, 연구계, 산업계, 법조계의 인사들로 구성되었으며, 정책의 연속성 등을 고려하여 제2기 민간위원 중 8명이 연임되었다. * 관련법에 따라 대통령이 위촉하며 임기는 2년, 1회에 한하여 연임 가능 □ 이번에 위촉된 제3기 국가지식재산위원회 위원들은 ㅇ 앞으로 2년간 지식재산의 창출․활용․보호 체계 선진화를 위한 정부의 지식재산 주요 정책 및 계획을 조정․심의하고, 그 추진상황을 점검․ 평가하게 된다. ㅇ 아울러, 오는 12.23일(수) 개최되는「제15차 국가지식재산위원회」 회의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갈 예정이다. < 국가지식재산위원회 주요 심의‧조정 사항 > ① 국가지식재산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②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점검․평가 ③ 지식재산 관련 재원의 배분방향 및 효율적 운영에 관한 사항 ④ 지식재산 창출․보호 및 활용 촉진과 그 기반 조성을 위한 시책에 관한 사항
[ "구자열 LS그룹 회장이 제2기 위원장으로 임명된 지식재산정책 심의기구는 뭐야", "어떤 위원회가 관계부처 장관 등 대한민국 정부위원 20명, 민간위원 13명 등 총 33명으로 구성되지" ]
unanswerable
336ec660-2af8-449e-8363-cd8fd0981681
[보도자료] 전자단기사채, 일반 기업의 기업어음(CP) 발행 대체는 한계 있어
전자단기사채, 일반 기업의 기업어음(CP) 발행 대체는 한계 있어 - 국회입법조사처 전자단기사채 제도의 입법 영향을 분석한 보고서 발간 - □ 국회입법조사처(처장 ***)는 2013년 1월부터 시행중인 전자단기사채 제도의 입법이후의 영향을 분석하는 보고서를 발간하였음 □ 전자단기사채와 기업어음의 발행 및 잔액 현황을 분석하여 2019년 12월 13일(금)에 발간한 「전자단기사채제도의 입법영향분석」에 따르면, 기업어음(CP)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입된 전자단기사채가 일반기업이 발행하는 CP는 대체하지 못하고, 금융회사가 발행하는 CP는 만기 7일 이내물을 중심으로만 일부 대체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 자산유동화상품의 경우에는 기존에 발행하던 3개월 이내물의 자산유동화CP를 자산유동화전자단기사채로 대체하여 발행하는 것으로 분석됨 □ 한편, 전자단기사채에서 1일물의 비중이 가장 높은 상황으로,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1일물 신용거래인 콜자금*을 대체하는 효과가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공간적 및 시간적 제약이 감소하여 당일물 발행이 가능해지고, 지방에서의 발행이 쉬워지는 등 시장효율성이 증가함 * 콜자금은 금융기관에 일시적인 자금의 과부족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호간에 초단기로 자금을 차입하거나 대여하는 것을 의미함 □ 전자단기사채가 보다 시장에서 활성화되고 CP를 대체하기 위해서는 증권신고서 제출의 면제 기간 연장에 대해 재검토가 필요하고, 수수료 부과나 유통성 정상화, 정보공시 강화 등 CP에 대한 규제강화 등을 통해 전자단기사채에 대한 유인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함 ○ 또한 전자단기사채를 보다 활성화하기 위한 전제로서 자산유동화 상품에 대한 공시정보를 강화하는 방안을 추진할 필요가 있음
[ "어느 기관이 발간한 전자단기사채 제도의 입법영향분석에 기업어음이 전자단기사채를 일부 대체하는 것으로 나타났지", "기업어음 제도의 입법 이후 영향을 분석한 보고서를 2019년 12월 13일에 발간한 기관은 어디야" ]
unanswerable
6b430244-8d34-4fe8-bbbd-c1a9ae06e678
주한외교관 대상 정책설명회 개최
과기정통부, 주한 외교관 대상 정책설명회 개최 < 주요 정책 > □ 과기정통부는 ‘I-Korea 4.0’ 추진성과 및 과제를 설명하고, 과학기술 외교 및 연구인력 교류 등을 통한 국제협력 방안을 제시하였다. ㅇ 먼저 ‘I-Korea 4.0’과 관련, 장석영 정보통신정책실장은 기술·산업·사회를 아우르는 4차 산업혁명의 영향과 이에 대응하는 한국의 ‘혁신성장을 위한 3대 전략투자(데이터경제·인공지능·수소경제) 계획’ 및 4차 산업혁명 주관부처로서 과기정통부 역할에 대해 발표하였다. ㅇ ‘포용적 성장을 위한 과학기술·ICT 외교’에 대해서 송경희 국제협력관은 포용적 성장이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회의에서 핵심 의제가 되고 있는 만큼, 글로벌 혁신성장 및 공동번영을 위해 과학기술·ICT와 외교적 노력의 효과적 결합이 필요함을 역설하고, 글로벌 문제해결을 위한 R&D와 혁신활동, 공적개발원조(ODA) 등 과기정통부의 여러 활동계획을 소개하였다. ㅇ 또한, *** 미래인재정책국장은 ‘글로벌 우수 과학자 교류 정책’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융합 신기술과 국제 문제의 등장에 따른 국제공동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2019년부터 지원 강화 예정인 ‘글로벌 연구자 교환 프로그램’ 등 한국 정부의 과학자 교류 및 국제공동연구 활성화 정책을 소개하였다.
[ "주한 외교관 대상 정책설명회에서 누가 국제공동 연구 활성화 정책에 대한 과기부 역할에 대해 발표했지", "주한 외교관 대상 정책설명회에서 글로벌 우수 과학자 교류 정책에 과기정통부 역할의 중요성을 누가 강조했을까" ]
unanswerable
723e92dd-b08c-406c-a0b3-c270b2a28fcf
2017년도 최우수 소프트웨어는 나야 나!
2017년도 최우수 소프트웨어는 나야 나! - 과기정통부, 2017년 소프트웨어 연구개발 성과발표회 개최 - □ ***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우수한 소프트웨어 연구개발 성과를 창출한 기관 및 개인을 격려했다. ㅇ “대내외 어려운 경제여건에도 불구하고 소프트웨어 생산액과 수출액이 증가하는 등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라고 강조하며,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앞으로는 국내 최고가 아닌 세계 최고 수준을 지향하는 연구개발에 매진하여 우리나라가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데 기여해 줄 것”을 당부했다. ㅇ 또한, “과기정통부도 국내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연구에 매진할 수 있는 연구 환경을 조성하고 좋은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밝혔다. 2017년 소프트웨어(SW) 연구개발(R&D) 성과발표회 개최 계획 □ 개요 ㅇ (목적) SW분야 R&D 우수 성과발표 및 시상을 통해 SW중심사회 실현의 핵심기술을 개발해온 연구자를 격려하고 개발된 기술의 글로벌화 등 성과지향 SW R&D 문화 확산 ㅇ (일시/장소) 2017년 11. 22(수) 09:30∼12:00 / 코엑스 327호 ㅇ (주최/주관)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ㅇ (참석대상)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 SW 진흥과장, IITP 센터장, NIPA 원장, SW분야 종료과제 연구책임자 등 130명 내외 ㅇ (주요내용) 2017년 SW R&D 종료 과제 중 우수 과제 시상*, SW R&D 성과확산 방안 공유 등 * 과기정통부장관 표창(개인7) 및 상장(개인5, 단체5), IITP센터장상(개인2), NIPA 원장상(단체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주최로 코엑스 327호에서 어떤 발표회가 개최되니" ]
unanswerable
e3dc7f5c-0ace-421f-a70b-11ea70f9277e
제4차 콘텐츠 창의생태계 협의회 개최
제4차 콘텐츠 창의생태계 협의회 개최 - 콘텐츠 펀드 등을 활용한 글로벌 프로젝트 집중 지원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 이하 미래부)와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진룡, 이하 문체부)는 2월 25일(화) 오전 7시 30분,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양 부처 장관 공동 주재로 제4차 콘텐츠 창의생태계협의회를 개최하였다. □ 국내 대표 유통․플랫폼 기업과 콘텐츠 기업, 유관기관 대표 등 20여명이 참석한 이날 회의에서는 콘텐츠 산업의 중국 및 신흥시장 진출 방안과 글로벌 프로젝트 투자활성화에 대한 협력방안이 논의되었다. □ 지난 협의회의 안건인 중국 콘텐츠 시장진출 확대방안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정부에서는 중국 및 신흥시장의 콘텐츠산업 진출방안에 대한 유관기관 간 TF를 구성·운영하였으며, o 콘텐츠 종합포털(한국콘텐츠진흥원, 이하 콘진원), 온라인비즈니스센터(영화진흥위원회)를 통한 시장정보를 제공하는 한편 콘진원,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한국관광공사, 재외공관 등이 콘텐츠 진출 거점으로 지원하기로 했다. o 또한 한중 펑요우 프로젝트, 문화산업 협력 양해각서(MOU) 등 정부 간 협력도 강화하기로 하였다.
[ "미래창조과학부가 역사박물관의 콘텐츠 시장진출을 확대하기 위해 운영하는 것이 뭐야", "제4차 콘텐츠 창의생태계협의회에서 한국관광공사와 문화체육관광부가 운영하기로 한 것은 뭐지" ]
unanswerable
b3a1c859-a0ec-4c53-b989-f531a7f0912f
전자파 안전을 관리하는 전문가(교육강사) 양성
여러 기기가 모인 시설과 장치에서도 전자파 안전을 관리하는 전문가 (교육강사) 양성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국립전파연구원은 ‘전자파 안전관리 기술자 교육강사 양성과정’을 운영하여 총 36명의 전자파 안전관리 전문가를 배출했다고 밝혔다. □ ‘전자파 안전관리’란 특정시설(통신국사 또는 스마트시티 관제시설 등) 또는 특정장치(자율주행차 등)를 대상으로 이에 설치된 여러 기기가 발생할 수 있는 전자파를 총체적으로 관리하는 것으로서, 기존에 단일 기기나 단말 단위로 전자파를 관리하는 것에 비해 한 걸음 더 나아간 제도이다. □ 우리나라에서도 해외 사례와 국내 여건 등을 감안하여, 전자파 안전관리 제도 도입을 검토할 예정이다. □ 이번 전문가 양성교육은 전자파 안전관리 제도의 도입 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번에 배출된 강사를 통해 내년에는 실제 전자파 안전상태를 관리하는 기술자들을 교육하게 된다. □ 이 교육은 국립전파연구원과 한국전자파학회 공동으로 10월 28일부터 11월 29일까지 5주간 이루어졌으며, 교육 분야는 전자파 위험요소관리, EMC 감리제도, 전자파 안전관리 측정, 전자파 안전관리대책 기술, 전자파 시스템 엔지니어링 안전관리이다.
[ "전자파의 기술자 교육을 위해 11월 29일에 어느 부와 국립전파연구원 공동으로 해외 사례를 검토할 예정이야" ]
unanswerable
8f453047-fb70-474e-9f4c-9b5c19ea291b
[보도자료] 장애인의 지역 간 이동 수요 파악하여 교통 서비스 개선해야
장애인의지역간이동 편의 증진을 위한 교통 서비스 실태및개선방안 Ⅵ. 문제점 및 개선 과제 2. 개별 교통 서비스 측면 나. 운영 방식 개선 등을 통한 특별교통수단의 지역 간 이동 활용 □ 특별교통수단은 지역 내 단거리 이동을 위한 수단으로는 자리를 잡은 반면, 지역 간 장거리 이동을 위한 교통수단으로 단독 활용하기에는 운영 방식 문제나 제한된 공급 대수 등 한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됨 ○ 특별교통수단은 ① 지역별 연계와 표준화가 아직 완전하지 않아 다른 지역에서 온 장애인이 활용하거나 지역 간 이동에 활용하기에는 어렵다는 점 ② 한정된 예산으로 운행하는 제한된 대수의 특별교통수단으로 지역 내와 지역 간 이동 수요를 모두 충족하여야 하는데 지역 내 수요도 매우 많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단독으로 장애인의 지역 간 장거리 이동에 활용하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지적됨
[ "장애인의 지역 간 장거리 이동을 위한 수단으로 자리잡은 것은 무엇이지" ]
unanswerable
27791877-12e9-456d-b837-135b7abb983c
양산 가금농가 AI 의사환축 확인에 따른 긴급 방역대책 추진
양산 가금농가 AI 의사환축 확인에 따른 긴급 방역대책 추진 경남도는 양산 원동면 가금 사육농가에서 AI 의사환축이 발생함에 따라 3일부터 확산방지를 위한 긴급 방역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도는 인근농가 가금류 수매·매몰 확대, 방역초소 추가 설치 등 긴급조치를 하고, 전 시․군과 방역기관에 전통시장 특별점검, 예찰·검사 강화 등 긴급 방역대책을 시달하는 등 총력 대응에 나섰다. 도는 3일 의심농가 및 반경 500m 이내 관리지역, 3㎞ 이내 보호지역, 10㎞ 이내를 예찰지역으로 방역대를 설치했으며, 방역대 내의 모든 가금류와 가금 생산물에 대해 이동제한 조치 명령을 내렸다. 이어 양산 역학관련 농장 반경 500m 이내 14농가 944수를 선제적 수매·매몰 조치하였다. 그리고 4일부터 양산시와 긴급 방역협의회를 개최하여, 반경 3㎞ 이내 가금류 농가로 예방적 수매를 확대해, 토종닭, 꿩 등 가금류 24농가 8,000여 마리에 대해 추가 수매를 하고 있다. 또한 의사환축 발생농장에 5개팀 36명의 초동방역팀을 투입하여 잔존물 처리와 집중소독, 진입로 통제초소 설치, 외부인 차량출입을 통제했다. 마을 진입로와 주요 도로에는 통제초소와 거점소독시설을 4개소 추가 설치했으며, 전 시․군에 방역초소(이동통제초소, 거점소독시설) 확대를 지시했다.
[ "경남도는 마을 진입로에 통제초소와 거점소독시설을 설치를 며칠 만에 완료했어", "초동방역팀이 잔존물 처리와 집중소독, 외부인 차량 출입 등의 방역대책을 며칠 동안 추진해" ]
unanswerable
6b431545-f5ff-4be5-a2a2-add0d71877bd
미래부, 여학생 공학주간 개최
“공학소녀들 모이세요!”- 21일부터 전국 중‧고 여학생 대상‘여학생공학주간’운영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 이하 미래부)는 7월 21일(월)부터 26일까지 일주일 간 전국 16개 시도를 중심으로 공학에 관심이 있는 중․고교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여학생 공학주간(Girls‘ Engineering Week, 이하 GEW)”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 (재)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소장 ***, 이하 WISET)가 주최하고 16개 WISET 지역사업단이 공동 주관하는 GEW는 여학생들을 위한 공학 분야 체험기회 제공 및 공학 관련 전공소개 등을 통해 여학생의 공학분야 진학을 독려하기 위한 전국적인 행사이다. o 공학 분야는 중장기 활용 수요가 많고 취업률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진로비전 수립의 어려움, 남성 위주의 산업 환경 등으로 인해 여학생의 경우 상대적으로 공학계열 전공으로의 진학이 저조한 상황이다. □ 2011년 에 시작된 본 행사는 여학생들의 공학에 대한 흥미 유발과 긍정적 인식 제고를 통해 우수 여성 공학인재의 육성 기반을 조성하는데에 있어 큰 역할을 하고 있다. o 특히, 올해는 지역 산업체 및 연구소 현장 탐방, 공학 관련 체험부스 운영, 대학 연구실 투어와 공학 전공 소개, 공학 분야 CEO특강 및 멘토링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여학생들이 산업 및 연구 현장을 직접 보고 생생한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기회를 더욱 확대하였다.
[ "우수 남성 공학인재의 육성 기반을 조성하는데 큰 역할을 하는 행사는 뭐야", "WISET이 주최하고 16개 대학 연구실이 공동 주관하는 공학에 관심이 있는 여학생들을 위한 행사가 뭐니" ]
unanswerable
81fbca9f-e7c7-40d8-a89d-6f01339e9a0f
2018년 우수과학자 포상 통합시상식 개최
과기정통부, 2018년‘우수과학자 포상’통합시상식 개최- 한국과학상・공학상, 젊은과학자상,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인상,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 □ 40세 이하 우수과학기술인에게 수여되는 「젊은과학자상」은 ▴이지운(한국과학기술원 교수), ▴***(IBM 왓슨연구소 스탭), ▴변혜령(한국과학기술원 교수), ▴김호민(한국과학기술원 교수)가 자연과학 분야의 뛰어난 연구 성과와 발전 잠재력이 인정되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ㅇ 이지운 교수는 위그너 행렬에서 Tracy-Widom 분포가 나타날 필요충분조건을 증명, 랜덤 행렬에서 나타나는 보편성에 관한 연구 및 가장 큰 고유치 분포에 관한 연구로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고 통계학 및 전자공학 분야의 이론적 발전에 기여하였다. ㅇ *** 박사는 ‘자성 스커미온’으로 대표되는 카이랄 및 자성물리학분야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자성구조체를 이용한 전자소재 개발에 기여하였고, 상용 전자소재로 이어질 경우 실리콘기반의 전자소재를 넘어 차세대 AI 전자 핵심소자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ㅇ 변혜령 교수는 표면/계면에서 발생하는 전기화학반응을 이해하고 연구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당면과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하였고, 리튬-요오드(Li-I2)전지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였다. ㅇ 김호민 교수는 선천성 면역작용과 패혈증의 주된 원인물질인 박테리아 내독소를 우리 몸이 인식하고 전달하는 메커니즘을 세계 최초로 규명·패혈증 발병기전과 치료제 개발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 "랜덤 행렬에서 나타나는 보편성에 관한 연구로 뛰어난 성과를 보인 변혜령 교수는 어떤 상을 받았니", "리튬-요오드전지를 세계 최초로 개발한 김호민 교수는 어떤 상을 수상했지" ]
unanswerable
9bceffab-4587-42e7-8e78-6f4cd72c8b70
2019년 해외 한국어방송인 대회 및 초청연수 개최
「2019년 해외 한국어방송인 대회 및 초청연수」 개최- 세계 7개국 40개 한국어방송사 한자리에 모여 글로벌 인적 네트워크 구축 및 해외 한국어방송 발전방안 모색 - □ 대회 첫날인 29일(화) 개회식에서는 「해외 한국어방송 대상」 시상식을 통해, 지난 1년간 해외 한국어방송사가 제작·방영한 프로그램 중 우수 작품을 선정하여 텔레비전과 라디오 각 부문별로 대상 1편(과기정통부 장관상), 우수상 2편(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원장상) 등 총 6편을 시상한다. ㅇ 텔레비전 부문 대상에는 미국 ‘KTN 애틀란타’에서 제작한 예능프로그램인 「피치 미닛*」이, 우수상은 몽골 ‘KCBN’의 「초원에 부는 사랑의 하모니」와 케냐 ‘GBS’의 「제9회 아프리카 대학체전특집 다큐멘터리」가 수상작으로 선정되었다. * 한국에 관심 있는 미국인들에게 한국문화를 체험(한국물건 명칭 및 사용용도 맞추기 등)하도록 하여 한국을 미국에 널리 알리고자 하는 예능형식 오락 프로그램 ㅇ 라디오 부문 대상에는 중국 ‘연변방송국’의 「녀자 담배군*」이, 우수상은 미국 ‘뉴욕 메트로라디오’의 「헤이! 브로드웨이, 나야 나!」와 호주 ‘공영SBS’의 「노숙자의 주간 특집방송」이 수상의영광을 안았다. * 중국 연길 소재 담배공장 직원인 조선족 출신의 여성 ‘리원실’ 주임의 성공 사례를 담은 라디오 드라마 □ 이날 개회식에 참석한 과기정통부 민원기 제2차관은 환영사를 통해 “그동안 해외 한국어방송이 한민족의 정체성 유지와 약 750만 명에 달하는 현지 재외동포들의 정착과 안정화에 기여한 데 대해 감사하다.” 라면서, “정부도 해외 한국어방송사들이 한민족 네트워크의 중심축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 대회 둘째 날인 30일(수)에는 국내 방송 전문가들과 해외 한국어방송사 임직원들이 함께 해외 한국어방송의 현황과 현안 및 미래 발전방안을 모색해 보는 「공유와 협력을 통한 미래 발전방안 세미나」를 개최한다. □ 대회 셋째 날인 31일(목)에는 EBS, 광주문화방송, 국악방송 등 16개 국내 방송사와 해외 한국어방송사간 방송콘텐츠 제작‧유통 분야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글로벌 인적 네트워크 구축 워크숍 및전시상담」이 개최된다.
[ "2019년 EBS 임직원들이 미국인들에게 한국문화를 알리기 위해 개최하는 시상식이 뭘까" ]
unanswerable
3c379d24-951e-416a-8a83-dfb54b533ce4
[보도자료] 전자단기사채, 일반 기업의 기업어음(CP) 발행 대체는 한계 있어
전자단기사채 제도의 입법영향분석 Ⅲ. 입법영향분석 1. 입법목적의 달성 여부 분석 가. 기업어음(CP)의 대체 여부 (2) 세부 상품별 규모 및 만기 비교 □ 앞서 언급한 것처럼 전단채는 일반전단채와 AB전단채(자산유동화전단채)로 구분할 수 있음 ○ CP의 경우에도 일반CP와 ABCP(자산유동화기업어음)으로 구분할 수 있음 ○ 세부적으로 상품대체여부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일반전단채가 일반CP를 대체하는지와 AB전단채가 ABCP를 대체하는지 여부를 규모와 만기구조를 통해서 살펴볼 필요가 있음 □ 2019년 6월 말 기준 일반CP 잔고는 54.1조원, ABCP 113.9조원으로 ABCP의 규모가 일반CP에 비해 두 배 이상 규모가 큼 ○ 2013년 말과 비교할 때 일반CP는 약 47조원에서 약간 증가하였고, ABCP는 약 80조원에서 1.5배로 증가하였음 □ AB전단채 규모가 2013년 말 9.8조원에서 2019년 6월 34조원으로 확대되는 동안 ABCP도 2013년 말 79.5조원에서 2019년 6월 114조원으로 34.5조원이 확대되었음 ○ AB전단채와 ABCP의 규모가 전반적으로 확대된 현상은 해당 기간 동안 자산유동화시장 전체가 확대된 것과 관련이 있음 □ 일반전단채의 규모는 2013년 말 2.9조원에서 2019년 6월 18.8조원으로 확대되었는데, 일반CP는 2015년까지는 규모가 감소하여 일부 대체되는 듯 보였으나 이후부터는 규모가 다시 증가하고있음
[ "2015년 말 기준 일반CP 잔고는 얼마니", "2015년의 ABCP 규모는 2013년 대비 얼마나 증가했을까" ]
unanswerable
8186bea4-5d49-4ad4-9a08-e0014a8ee844
[보도자료] 대형재난 시 대두되는 재난대응 컨트롤 타워의 역할과 기능 논란, 국가재난관리의 틀 재정립 필요
국가 재난대응 지휘체계의 한계점과 개선방안 Ⅲ. 중앙대책본부와 수습본부의 역할 관련 문제점 2. 중앙대책본부와 수습본부의 중복문제 가. 해외재난 및 방사능재난 시 중앙대책본부와 수습본부 구성 o 「재난안전법」 제14조제1항에서는 대규모 재난이 발생하였을 경우, 대응·복구 등을 위한 총괄·조정기구로 행정안전부에 중앙대책본부를 구성하고 행정안전부장관으로 하여금 중앙대책본부장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음 o 그러나 「재난안전법」 제14조제3항에서 ‘해외재난’ 및 ‘방사능재난’의 경우에는 외교부장관과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으로 하여금 중앙대책본부의 권한을 행사하도록 하고 있음 ◦ 이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중앙대책본부가 재난의 총괄조정기능을 수행하고 수습본부가 재난사고 수습을 총괄하도록 하는 우리나라의 재난관리체계의 원칙적인 틀과는 다르게 규정되었다고 볼 수 있음 ◦ 중앙대책본부가 재난의 총괄조정기능을 수행하고 수습본부가 재난사고 수습을 총괄하도록 하는 우리나라의 재난관리체계 및 이에 따른 법규정을 원칙대로 적용한다면, 해외재난 및 방사능재난의 경우에도 중앙대책본부장은 행정안전부장관이 담당하고 수습본부장을 외교부장관 및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이 담당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보임
[ "대규모 재난이 발생했을 경우에 외교부장관으로 하여금 수습본부의 권한을 행사하도록 하는 법은 뭐야" ]
unanswerable
6f2eb667-40a2-4593-96df-076c2e0744d8
사이버보안 국제협력 협의체(CAMP) 발족식 개최
안전한 사이버세상 구축을 위한 빛을 밝히다 - 글로벌 사이버보안 협력 네트워크(CAMP) 발족식 개최 - CAMP 개요 □1 명칭 o 글로벌 사이버보안 협력 네트워크(Cybersecurity Alliance for Mutual Progress, CAMP) □2 비전 및 목표 o 다양한 침해사고 대응 경험 및 정보보호 노하우 공유·전파를 통한 글로벌 사이버보안 발전 및 신뢰 구축에 기여 □3 주요 경과 o 2015. 7. 8 : CAMP 발족을 위한 공동성명서 채택(29개국 35개 기관 참석) o 2016. 7. 11 : CAMP 발족식 및 제1차 연례회의 개최 □4 조직 구성 o 회원 대상 : 사이버보안 유관 정부부처, 공공기관 및 비영리기관 o 사무국 : 행정, 소통, 제반지원 및 회원의 중심 연락책 담당 - (임기) 자율적 의사에 따라 선출되며, 3년간 기능 - (역할) 연례회의 주최, 홈페이지 운영, 공식·비공식 행사 주관 ※ 초대 사무국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5 주요 활동 o 사이버보안 관련 정책, 법령 체계, 조직, 산업 현황 등 정보 공유 o 회원국 간 핫라인 구축을 통한 사이버공격 공동 대응 o 회원국 간 정보보호 정책 논의 o 회원국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기회 및 교류 기반 제공
[ "2015년 7월 11일에 무엇의 발족식이 개최되었어", "한국인터넷진흥원은 2016년 7월 8일에 무엇의 연례회의를 주관했을까" ]
unanswerable
7482710c-ae9b-4e2a-bbc1-0af74a363bb6
환경정보 One-Stop 서비스를 위한 환경포털 개설
환경정보 One-Stop 서비스를 위한 환경포털 개설 □ 환경부는 4월 17일 환경정책 수요자의 참여에 기반을 둔 현장 중심의 환경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써 ‘환경포털(etips.me.go.kr)’을 확대․운영한다고 밝혔다. ㅇ ‘환경포털’에는 누구든지 사이버공간에서 자유롭게 토론하고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환경지식커뮤니티(ekc.me.go.kr)'와 기존에 문자(Text) 형태로 제공해 오던 환경정보를 Web GIS형태로 제공하는 ’지도기반 환경정보서비스‘ 기능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 ‘환경지식커뮤니티’에는 환경에 관심이 있는 개인, 기업 및 단체 관계자들이 환경부 정책담당자들과 정책토론 및 대안 제시 등의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환경카페’가 개설되어 있고, ㅇ ‘네이버 지식IN’과 유사하게 환경법규, 정책 및 지식과 관련하여 알고 싶은 사항에 대한 질문․답변 코너가 마련되어 있으며, ㅇ 또한, 누구든지 정책 아이디어, 환경체험 활동, 자연생태 및 환경오염 사진 등 현장정보들을 게시하는 등 지식과 경험을 나눌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 일반국민들의 환경의식 제고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어디에서 일반국민들이 환경정보를 Web GIS형태로 제공하고 있니", "환경부 정책담당자들이 환경법규와 관련하여 질문할 수 있는 코너가 어디야" ]
unanswerable
c06d0ede-bc34-41c1-8560-5b645e9edd09
제52차 UN 외기권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위원회 과기소위 참가
미래부, 제52차 UN 외기권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위원회(COPUOS) 과기소위 참가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2월2일(월)부터 13일(금)까지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개최되는「제52차 UN 외기권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위원회(Committee On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이하 COPUOS) 과학기술 소위원회」에 참가한다. o 금번 과기소위에는 미래부, 외교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국립전파연구원 등에서 총 7명이 한국대표단으로 참가할 예정이다. □ COPUOS는 UN 산하 유일의 우주분야 상설 위원회로 총 76개국의 우주 활동국이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어 실질적인 우주분야 국제기구의 역할을 수행하는 우주외교의 중심 기구라 할 수 있으며, 매년 과기소위(2월), 법률소위(4월) 및 본회의(6월)가 각각 1회씩 개최된다. □ 금번 과기소위에서는 우주잔해물, 우주기술을 활용한 재난관리 지원, 우주활동의 장기지속 가능성, UN 우주기술 활용 프로그램 등 우주 개발 및 활용을 위한 총 16개 의제가 다뤄질 예정이며, o 우리나라는 기조연설 및 관련 의제 발언을 통해 우리나라 우주개발 중장기계획 및 한국 달탐사 계획 등을 홍보하고, 근지구천체 충돌위협에 대한 공동 대응 등 우주분야 현안에 대한 우리나라 입장을 적극 개진할 계획이다
[ "UN 산하 COPUOS의 본회의는 매년 6월 어디에서 개최되지", "한국은 어디에서 개최되는 제52차 UN COPUOS 과기소위에서 우주잔해물 활용 프로그램을 홍보해" ]
unanswerable
ef564c75-3ed3-479b-ba75-0d7a971ce70f
2019년 연구안전 서포터스 모집
과기정통부, 연애(愛)인 1호 공개모집 - 「2019년 연구안전 서포터스」 - □ 선발된 학생은 사회관계망 서비스를 통한 연구실 안전 홍보, 연구실 안전 문화행사 참여, 정책 건의, 연구실 점검 등을 통한 사고예방 및 안전문화 확산 지원 업무 등을 수행한다. ◦ 선발이 되면 위촉장이 수여됨과 동시에 법정 안전교육 대체 인정, 소정의 활동비 지급 및 우수 활동자에게는 표창 수여 등의 혜택이 제공될 예정이다. □ 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안전기반팀장은 “앞으로 다가올 4차 산업혁명시대의 주역이라 할 수 있는 과학기술 혁신인재를 보호하기 위한 연구실안전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 “급속하게 변화하는 연구환경에 발맞추어 현장중심의 자율적인 안전관리 체계가 구축될 수 있도록 연구안전 서포터스가 현장 소통의 징검다리 역할을 해주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 "어떤 것에 선발된 학생들이 정책연구실 안전 업무 등을 수행하게 되는 거야" ]
unanswerable
7ea0e144-572f-4017-b915-708a3cd85342
2014년 DB산업 현황조사 결과
데이터베이스(DB)산업, 창조경제 씨앗으로 무럭무럭! - 2014년 DB산업 현황조사 결과, 전년대비 6.1% 성장, 12조 1,763억원 달성 / 데이터 분석 수요 급증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국내 DB기업 5,200여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4년 DB산업 현황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o 2014년 국내 DB산업의 매출은 2013년 대비 6.1% 성장한 12조 1,763억원에 이르며, 이러한 추세를 감안하면, 2018년에는 15조원까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2018년 어느 기관이 한국의 DB기업 5,200여 개를 대상으로 DB산업 현황조사를 발표했어" ]
unanswerable
a7349809-a390-49a9-96ab-8f190c848562
제18회_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
“창의의 바람, 과학의 미래를 품다!” 「제18회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 - 11월3일(월) ~ 8일(토) 부산BEXCO 제2전시장에서 열려 - 제18회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 행사계획(안) Ⅴ 세부 프로그램 [미래Zone] 과학창의체험프로그램, 무한상상페스티벌, 해외부스 및 강연  해외 선진 체험부스 및 무한상상페스티벌 ○ (해외 체험부스)미국, 중국 등 7개국 8개 기관의 해외우수콘텐츠 운영 ○ (무한상상페스티벌) 전국 13개 거점 무한상상실의 대표 성과 전시·홍보 및 체험 프로그램 운영 ➀ 전시존 : 전국 무한상상상실 중 대표적인 기관의 성과물과 운영프로그램 등 전시‧홍보 ➁ 체험존 : 3D프린터 20여대를 활용 직접 교육받고 체험해보는 프로그램 운영
[ "제18회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 무한상상페스티벌에 체험 프로그램은 몇 개지", "제18회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의 해외 체험부스는 몇 개야" ]
unanswerable
9cbc052d-a21c-4fc6-987f-0d811f2a7a51
2022년 외래관광객 2,300만명, 관광산업 일자리 96만명 이룬다
대한민국 관광 혁신전략 Ⅳ. 과제별 세부추진 방안 2 (지역혁신) 지역 관광거점도시 육성 1. 지역 관광거점도시 육성 □ 국제관광도시 ㅇ 서울, 제주 외 글로벌 접근성 및 관광 인프라 등 세계적 관광도시로의 잠재력을 보유한 광역시를 ‘글로벌 관광도시’로 육성(1곳) - 글로벌 관광의 새로운 목적지로 급부상할 수 있도록 전략적·집중적 홍보·마케팅 및 도시 브랜드 관리 지원 * 방송프로그램(드라마, 예능, 공연), SNS, 국제여행박람회, 스타 홍보대사 등 온·오프라인 홍보 집중 추진, 개인관광객 대상 홍보 및 여행상품 판매·유통 지원 □ 관광거점도시 ㅇ 일정 수준의 인프라와 매력을 갖춘 도시*를 선정하여 인프라·콘텐츠·마케팅 종합지원을 통해 지역관광 허브로 육성(4개 기초지자체) * ▴전통적인 지역 중심성 및 주변 연계·파급력, ▴광역 교통접근성, ▴관광 매력성 ▴기본적 관광 수용태세를 보유한 기초지자체 선정, 범부처협력 지원
[ "서울과 제주 외에 일정 수준의 인프라와 매력을 갖춘 1곳의 지자체가 선정되어 어떤 도시로 육성되지", "세계적 관광도시로의 잠재력을 보유한 4개의 광역시가 어떤 도시로 육성될까" ]
unanswerable
265616f5-926a-4c6d-95ab-6fa65a892cce
2022년 외래관광객 2,300만명, 관광산업 일자리 96만명 이룬다
대한민국 관광 혁신전략 Ⅳ. 과제별 세부추진 방안 2 (지역혁신) 지역 관광거점도시 육성 1. 지역 관광거점도시 육성 □ 체류형 여행지 육성 ㅇ 고유의 매력을 갖고 있으나 노후된 관광지를 트렌드에 맞게 재생, 지역의 경쟁력 있는 콘텐츠와 연계한 체류형 여행지 조성 - (방식) 지자체는 사업유형(핵심, 연계활용, 역량강화)에 맞춰 지역 특화 자원을 활용한 관광사업을 패키지형태로 공모, 정부는 계획수립부터 관리운영까지 단계별 사업비 및 컨설팅 지원 * (1년차) 기본계획 수립비, (2년차) 설계비, (3∼4년차) 공사비·감리비, (5년차) 상품개발․홍보 * 예) 웰니스 특화단지 조성(지자체 신청) : 핵심(체류형 숙박시설 조성, 숲속 힐링시설 조성, 노후단지 재생을 통한 푸드 그린마을 조성), 연계(힐링명상 프로그램 운영), 역량강화(마을기업 설립)
[ "고유의 매력을 갖고 있으나 노후된 관광지를 뭐라고 부르지", "지자체는 어떤 여행지를 조성하기 위한 사업비와 컨설팅을 지원했니" ]
unanswerable
9319a3c1-40f3-4804-9872-9a4957f3b65a
2022년 외래관광객 2,300만명, 관광산업 일자리 96만명 이룬다
대한민국 관광 혁신전략 Ⅳ. 과제별 세부추진 방안 2 (지역혁신) 지역 관광거점도시 육성 1. 지역 관광거점도시 육성 □ 지역 혁신을 위한 관광 추진체계 ㅇ (관광거점도시 추진위원회) 관광·문화예술·도시개발·교통·ICT 분야 현장전문가중심 「(가칭)관광거점도시 추진위원회」를 구성, 글로벌 관광도시 및 관광거점도시 선정 및 협업과제 발굴·지원 기구 역할 - 도시 선정, 계획 수립 등 주요 단계마다 「국가관광전략회의」를 통해 범부처 지원 사업 연계 및 핵심 규제 개선, 부처협의 지원 ㅇ (DMO) 지역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사업을 주도적으로 기획·수행할 ‘한국형DMO*’ 구성, 관광거점 도시 등 해당 지역의 관광 확대를 실질적으로 견인 ▪ DMO(Destination Marketing Organization) : 지역 관광 사업에 연계된 지자체 및 민간기관, 지역주민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마케팅, 관광지 경영 등 추진하는 중간조직 - DMO를 통해 ▴지역 관광상품 개발 및 마케팅, ▴환경 미화·청결·메뉴 정비 등 수용태세 개선, ▴서비스 향상·바가지 근절 캠페인, ▴주민·사업체 대상 관광 인식 교육 등 추진
[ "민간기관에서 지역 관광상품 개발을 위해 무슨 회의를 열었지", "DMO는 무슨 회의롤 통해 바가지 근절 캠페인을 추진하게 됐어" ]
unanswerable
734cd90e-246a-42b8-9d56-53051873f888
암전이 환경 구현 나노멤브레인 개발
암전이 환경을 그대로 구현할 수 있는 나노멤브레인 개발- 암전이 세포뿐만 아니라 다른 세포에도 응용 가능, 바이오 관련 다방면 활용 - □ 국내 연구진이 생체 속 암전이 환경을 그대로 구현하는데 필요한 다공성 나노멤브레인*을 개발하여 암전이 과정의 다양한 현상을 분석하고 조절하는데 성공하였다. * 다공성 나노멤브레인(Nanomembrane) : 특정물질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수많은 구멍을 가진 수십에서 수백 나노미터(10억분의 1미터) 두께의 막 ㅇ 서울대 ***, *** 교수(공동 교신저자)가 주도하고 ***, ***박사(공동 제1저자)가 참여한 본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가 추진하는 기초연구사업(리더연구자지원, 중견연구자지원)과 글로벌프론티어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되었고, 재료분야 권위지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스(Advanced Materials) 3월 18일자 속표지논문(Inside Cover)으로 게재되었다. * 논문명: Transparent, Nanoporous, and Transferable Membrane-Based Cell-Cell Paracrine Signaling Assay □ 암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사망원인 중 하나로서 암 환자수는 현재에도 꾸준히 늘고 있다. ㅇ 암으로 인한 사망원인을 살펴보면, 단순한 종양의 성장보다는 90%가 재발 또는 전이에 의해 일어난다. 실제로 암 환자의 생존률은 66.3%이지만, 암전이 환자의 생존률은 18.7%에 불과하다. ㅇ 암전이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암전이 과정을 명확히 이해해야 하는데, 우선 생체 내 세포 간에 주고받는 신호물질(사이토카인*) 등을 분석해야 한다.
[ "기초연구 사업의 지원으로 수행한 생체 내 세포 간에 주고받는 신호물질에 대한 연구를 어디 논문에 게재했을까" ]
unanswerable
29e51812-423f-4a40-bd24-503f18943aca
미래부 탄소저감 차세대 원천기술개발에 568억원 투자
미래부, 탄소저감 차세대 원천기술개발에 2016년 568억원 투자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기술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10대 기후기술* 중 탄소저감분야의 차세대 원천기술개발에 금년에 568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 기후기술 : 탄소저감기술 + 탄소활용기술 + 기후변화적응기술 ※ 탄소저감기술: 태양전지, 연료전지, 바이오에너지, 이차전지, 전력IT, 이산화탄소 포집 및 처리 기술(CCS:Carbon Dioxide Capture and Sequestration □ 미래부는 신(新)기후체제 출범에 따라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기술을 통해 실현하고 기후산업시장 창출을 위한「2016년 기후변화 대응기술개발사업 시행계획」을 수립·확정하였다. o 주요 내용은 탄소저감부문의 차세대 원천기술개발을 위해 26개 과제(계속 22개, 신규 4개)에 568억원을 지원하며, (전년 516억 대비 10% 증액) o 22개 계속과제(476억원)는 ‘기후기술확보로드맵(CTR)’에 따라 연구진행상황, 연구성과 도출 예상시기, 성과 도출에 따른 후속활동 준비 등 꼼꼼한 기술관리(Technology Management)가 이루어질 예정이며, o 4개 신규과제(92억원)는 22개 계속과제의 기술관리 상황을 토대로 기존 기술개발의 보강, 새로운 기술개발 도전, 실증 등 후속활동 추진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 "미래부는 2016년에 탄소활용기술에 얼마를 투자하지" ]
unanswerable
fbcd9dbe-bcb4-498d-b86f-7f7b09642134
남부내륙철도, 민간·정부 공동투자사업 절차 개시
남부내륙철도, 민간·정부 공동투자사업 절차 개시 <진행경과> 남부내륙철도를 조기 건설하기 위해 2014년 1월부터 전액 정부재정투입 방식의 예비타당성조사가 실시되어왔다. 예비타당성조사가 시작되면서 그 동안 경남도, 지역 국회의원, 도의회, 관련 시군 및 시민단체 등이 한마음으로 조기 착공에 대한 열망과 의지를 표출하여 왔다. 경남도는 지역국회의원과 공조하여 사업조기 착공을 지속 협의하여 왔으며, 경남도의회는 남부내륙철도 조기 착공을 위한 특별위원회를 구성(위원장 ***)하여 지원하였다. ‘남부내륙철도 조기 착수를 위한 범도민 추진협의회’를 중심으로 지역주민들은 세종시 소재 기획재정부 등에서 원정집회를 개최하기도 하였으며, 노선통과 지역 9개 지자체*는 남부내륙철도 시군 행정협의회를 구성하여 남부내륙철도 예비타당성 조사의 조속 처리를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하기도 하였다. * 경남(합천, 의령, 진주, 고성, 통영, 거제), 경북(김천, 성주, 고령) 이러한 노력의 결과 경남도는 지난 3년 반동안 예비타당성조사의 경제성 수치(B/C)를 상당히 높이는 성과를 거두었다. 하지만 인구 밀집도가 낮은 비수도권 지역이라는 특성과 초기 투자비용이 큰 철도사업의 성격으로 인해 충분한 경제성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와중에 지난 해 3월 민간사업자로부터 민간과 정부재정 공동투자방식의 사업 내용이 제안되었다.
[ "어느 부처가 경남도의회와 남부내륙철도를 3년 반동안 착공했어", "세종시 행정협의회는 어느 부처와 남부내륙철도 예비타당성조사를 실시했어" ]
unanswerable
eee8c756-1518-4d74-9e2e-564d72bfc0ab
자연에 풍부한 탄화수소로 신약원료 감마-락탐 합성 성공
자연에 풍부한 탄화수소로 신약 원료 감마-락탐 합성 성공 논문의 주요 내용 □ 논문의 주요 내용 2. 연구 내용 ○ 이론연구를 바탕으로 새로운 이리듐 촉매를 개발하여 문제가 되었던 부산물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탄화수소로부터 신약의 주원료인 감마-락탐을 효과적으로 합성하는데 성공하였다. - 이리듐 중심 원자에 새로운 리간드를 도입함으로써 새로운 촉매를 개발하였다. 리간드를 도입하면 그 성질에 따라 금속 원자의 입체적/정전기적 특성을 원하는 대로 조작할 수 있어 질소화 반응에 특화된 촉매를 개발할 수 있었다. - 연구진은 새로운 이리듐 촉매가 기존 질소화 반응의 문제가 되었던 반응 중간체인 카보닐나이트렌을 높은 효율로 안정화시켜 부산물 형성을 억제하고, 질소화 반응만을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이후 자연계에 풍부한 탄화수소에 새로운 이리듐 촉매를 적용해 다양한 구조의 감마-락탐을 합성해 촉매반응의 효율성과 유용성을 입증했다. 아미노산이나 스테로이드와 같은 복잡한 유기분자들로부터 선택적으로 감마-락탐을 합성함으로써 연구진이 고안한 촉매반응이 민감한 작용기의 존재 여부와 상관없이 높은 효율을 유지할 수 있음을 보였다.
[ "신약의 주원료인 질소와 이리듐을 합성해 무슨 원료를 개발했어" ]
unanswerable
2259f74a-9930-46c3-a987-2dd133f5a566
과기정통부, 2018년 2차 기술성평가 설명회 개최
과기정통부, 2018년 2차 기술성평가 설명회 개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오는 4월 5일과 6일 이틀에 걸쳐 서울과 대전에서 관련 부처 공무원 및 연구기관 관계자 등을 대상으로 예비타당성조사(이하 ‘예타’)의 대상사업을 선정하는 기술성평가에 대한 설명회를 개최한다. ※ (서울) 2018.4.5(목), 14:00, 양재동 aT센터, (대전) 2018.4.6(금) 14:00, 유성 계룡스파텔 □ 이번 설명회에서는 기술성평가의 절차, 평가기준, 일정 등과 아울러 국가 연구개발사업 예타가 과기정통부로 위탁됨에 따라 마련된 국가연구개발사업 예타 개선방안에 맞추어 기술성평가 제도 개선방안을 부처와 연구기관 관계자에게 설명하고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 과기정통부는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기술성평가 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예타 절차 전반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기술성평가의 신뢰성과 관련부처의 평가결과 수용성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관련부처와 기술성평가 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개최하는 설명회의 장소는 어디니" ]
unanswerable
1fdd8613-80c9-4112-a34c-af2b8189a54a
ITU 전권회의 성공기원 이벤트 실시
미래부, “월드 IT 쇼”에서 ITU 전권회의 알리기 나서 - 2014 ITU 전권회의 성공기원 이벤트 실시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는 5월 21일부터 4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World IT Show 2013”에서 국민들이 ITU 전권회의에 대해 쉽게 이해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국민과의 소통에 나선다. o “World IT Show”(이하 WIS)는 국내외 유수기업과 바이어를 비롯하여 참관객 등 약 16만 명이 참석하는 ICT 분야 국내 최대의 전시회로, 내년에는 부산에서 ITU 전권회의와 연계하여 열릴 예정이다. □ 미래부는 WIS 행사기간동안 국민들이 ICT 분야 올림픽인 ITU 전권회의에 대해 쉽고 흥미롭게 이해할 수 있도록 O․X 퀴즈, ICT 및 전권회의 관련 바람을 적는 희망나무, 명함 추첨 이벤트 등 다양한 이벤트를 개최한다. □ 또한, 오는 10월 개최되는 「모의 전권회의」와 ITU 전권회의 서포터즈 모집 등 각계각층의 국민이 ITU 전권회의 준비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 "2014 ICT 및 전권회의 관련 바람을 적는 희망나무 이벤트에 몇 명이 참가해", "모의 전권회의와 ITU 전권회의 서포터즈에 몇 명을 모집할까" ]
unanswerable
fdf48578-9287-4bfc-94c7-59049a46a6e8
환경부 비전 선포, "국민과 함께 여는 지속가능한 미래"
환경부 비전 설정 취지 참고자료 왜 비전이 필요한가? (Why) ◉ 지난 겨울 광화문 광장의 천만 촛불 민심 → 국민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국민과 함께 하는 정부여야 한다는 준엄한 가르침 ◉ 환경부도 마찬가지이나, 환경부는 여전히 과거에 머물러 있음 - 가만히 있어도 후퇴라고 느껴지는 격세지감의 시대에 지난 10여년간 환경가치를 지키기 위해 앞으로 나가지는 못할망정 기존의 좋은 정책이 후퇴되었음 (시민사회와 단절, 국가지속가능발전위원회 무력화 등) - 4대강 사업의 방관 내지는 옹호, 미세먼지에 소극적 대응 등의 비판 - 과거 국민의 신뢰가 높았던 환경부가 지난 10년간 ‘국토부의 2중대’ 오명 등 존재감이 상실되었다는 시민사회의 냉엄한 평가 ◉ 새 정부 환경부는 기존의 방식에서 환골탈태하여 재탄생하여야 함 - 환경부 직원들 스스로도 4대강, 케이블카, 가습기 피해 등에 대한 반성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고, 이를 스스로 바꾸는 노력이 중요함 ※ [환경부 직원 자체 설문조사 결과] 4대강 사업, 가습기 살균제 사건, 미세먼지, 설악산케이블카사업 대응을 잘못했다는 인식이 높음 ☞ ‘문제를 일으키는 방법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아인슈타인)
[ "환경부에서 설악산 케이블카 사업을 몇 년 동안 진행했니", "국가 지속가능발전위원회에서 4대강 사업을 몇 년 만에 무력화했어" ]
unanswerable
accf6d26-6e7f-4fa9-8083-6c236c54f045
이달의 엔지니어상 6월 수상자
‘이달의 엔지니어상’ 6월 수상자 선정 - (주)금성보안 김상준 대표이사, 코오롱인더스트리(주) *** 수석연구원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회장 박용현)는 영상신호를 이용한 스마트형 영상 분석 화재 및 방범 감시 시스템*을 국산화한 (주)금성보안 김상준(金尙俊, 56세) 대표이사와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고효율 필터지지체**와 토목공사에서 반영구적인 배수재로 이용되는 고성능 부직포를 개발한 코오롱인더스트리(주) ***(***, 49세) 수석연구원을 6월 수상자로 선정하였다. * 스마트형 영상분석 화재 및 방범 감시 시스템 : CCTV 카메라의 영상을 이용해 범죄 예방과 감시의 목적으로 사용해 왔으나, 현재는 화재 검출 알고리즘 기법을 통하여 연기 및 불꽃 등의 특징을 추출해 방범과 방재를 가능하게 하는 장비 ** 필터지지체 : HEPA 필터나 ULPA 필터와 같은 고효율 필터의 손상을 방지하고 온습도와 외부의 물리력에 의해 형태가 변하지 않도록 하여 고성능 필터의 성능을 유지시켜 주는 역할
[ "미래부가 스마트형 영상으로 무엇을 감시하는 장비를 개발했을까" ]
unanswerable
a9db4fcf-68a4-43b8-9116-a05488d3a75a
제9회 녹색기업 시상식…대상 한국중부발전 인천본부
제9회 녹색기업 시상식…대상 한국중부발전 인천본부 녹색기업 대상(大賞) 개요 배경 및 목적 (배경) 환경경영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녹색기업 및 관련유공자 시상을 통해 녹색기업 자긍심 제고, 환경경영 기업 확산 등에 기여 (목적) 최근 환경사고 발생, 환경법 위반 적발 등으로 환경경영 및 녹색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수상기업의 모범사례를 공유하고 녹색기업으로서 환경적·사회적 책임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 추진 경과 “녹색기업 출범식 및 녹색경영 국제컨퍼런스” 개최(2010) - 녹색기업 발전방안의 일환으로 녹색기업 대상(大賞) 추진 계획 공표 “녹색기업 대상(大賞) 시상식" 개최(2011~0218) 추진 체계 : (주최)환경부, (주관)한국환경산업기술원‧녹색기업협의회 선정 절차 신청기업 환경법규 위반사항 조사 : 환경법규 준수위반 여부를 관할 환경청·지자체에 공식적으로 요청·조회하여 법률위반 기업의 심사를 사전 차단 1차 심사(서류심사) : 신청서 제출기업 중 2차 평가 대상기업 선정 2차 심사(현장심사) : 후보기업의 공적내용 현장 확인 종합심사 : 최종 수상기업 결정
[ "2010년 녹색기업 시상식에서 한국중부발전 인천본부를 대상으로 추진한 부처가 어디야" ]
unanswerable
aaf70f5f-8438-49a2-b1ff-016fa9f51092
과기정통부, 신(新)중년 과학자 일자리 창출 지원
과기정통부, 신(新)중년 과학자 일자리 창출 지원 - 26일, 3개 출연연과 시범운영 업무협약 체결 - 연구개발특구‘新중년 연구자 일자리 창출’사업(안) □ 추진 내용 특구 내 출연(연)의 고경력 과학기술인의 경험과 노하우를 활용, ‘기술주치의’를 선발·육성하고, ‘기술클리닉 센터’와 기업을 연결 ㅇ (기술주치의) 특구 내 기업 및 출연(연) 패밀리기업을 대상으로, 해당 기업의 전담 비상근 기술상담·처방 전문가로 활동 - 2018년에 ICT 융합, 제조, 기술사업화 등 3개 분야의 ‘기술주치의’ 사업을 시범 운영*하고, 추후 타분야 출연(연)으로 확대 적용 * 시범 운영 : 연구기관별 임금피크제 전후의 연구자 대상, 추후 경력단절 과학자 포함 ㅇ (기술클리닉 센터) ‘기술주치의’를 활용하여 기업 현장의 기술 애로상담과 기초 진단 및 처방 - '기술클리닉 센터'는 ’기술주치의’를 보유한 과학기술인 협동조합, 민간 R&D 서비스 컨설팅 회사 등을 활용하여 지정 ㅇ (기업 수요 발굴) 기업 수요 발굴 전문기관을 지정하여 기업 대상 기술주치의 사업 홍보 및 활용 분야 발굴
[ "기술주치의를 보유한 과학기술인 협동조합은 몇 개야" ]
unanswerable
b19f06cb-5fba-4f05-8d70-13b2db68690d
최문기 장관, 중국정부와 ICT 및 과기분야 협력방안 협의
미래부, 중국시장 진출 교두보 마련 본격화 - 최문기 장관, ICT 및 과기분야 정부간 협력방안 협의 - □ 이어서 열린 신문출판광전총국 카이 푸챠오 총국장(장관급)과의 면담에서는 방송 및 디지털콘텐츠 분야에서 양국간 실질적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협의하였다. o 최장관은 협력의 구체적 실천 방안으로 ‘펑요우 콘텐츠 프로젝트(가칭)’를 중국 측에 제안하고, 고위급 교류 정례화․양국간 기업 Biz 매칭 지원․정례포럼 개최․공동 기술개발․투자확대 등에 대해 협의하였다. o 또한 향후 총국장의 한국 방문시 방송 프로그램 및 디지털콘텐츠 교역 확대, 3D 방송 송출 등 기술협력, 콘텐츠 관련 행사에 상호 기업 참가 확대 등을 내용으로 하는 MOU를 체결할 것을 제안하였다. □ 31일 오전에는 과학기술부 완강 부장(장관급)과의 면담을 갖고 그간의 과학기술협력 성과에 대한 평가와 앞으로 양국 간 과학기술분야 교류 확대방안에 대해 협의한다. o 최 장관은 한국의 창조경제 실현에 있어서 청년과학자들의 역할이 중요함에 따라, 양국 간 신진과학자 교류* 확대를 제안할 예정이다. * 1993년 양국 간 협력각서 체결 후, 약 260명의 신진과학자 파견 및 초청
[ "양국 간 기업 Biz 매칭을 지원하는 MOU 체결을 누가 제안했니", "누가 과학기술부 완강 부장과 펑요우 콘텐츠 프로젝트에 대한 면담을 가졌니" ]
unanswerable
c464c15d-6461-4136-a4b7-2861e0739a9a
한-EU 과학기술협정 발효 10주년, 제6차 과기공동위 개최
한-EU 과학기술협정 발효 10주년, 제6차 과기공동위 개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와 제6차 한-EU 과학기술공동위원회를(이하 공동위원회) 9월 20일 오전 9시(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에서 개최했다. ㅇ 과기정통부에서는 이진규 차관이 수석대표로 참석했고, EU측 수석대표로는 EU의 연구개발 정책을 총괄하는 EU집행위원회 연구혁신총국*의 *** * *** 총국장이 회의에 참석했다. * Directorate General of Research and Innovation : EU의 행정부 역할을 수행하는 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 내 조직(차관급)으로 연구혁신 업무 담당 □ 올해는 한-EU 간 과학기술 협력협정 발효(2007.3월) 10주년인 해다. 우리나라와 EU는 2007년부터 격년마다 공동위원회를 개최해 공동 연구 등 과학기술 분야 협력을 활발히 펼쳐왔다. ㅇ 양측 수석대표는 그간의 협력 활동의 결과를 높이 평가하며 앞으로 4차산업혁명을 대비하고 질병, 기후변화 등 글로벌 공동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력 분야와 규모를 더욱 확대하기로 했다.
[ "제6차 한-EU 과학기술협정 회의가 어디에서 개최됐어" ]
unanswerable
03d2d1eb-9ef4-4bfb-b9bf-ba80539dca7e
설 연휴, 가볼만한 곳 없을까? 고향 경남 ‘100배’ 즐기기
2017년 설연휴 가볼만한 경남 관광지 5. 수승대 눈썰매장 ○ 시군명 : 거창군 ○ 구분 : 행사 ○ 위치 : 경남 거창군 위천면 은하리길 2 ○ 소개자료 - 운영기간 : 2017. 1. 3.(화) ~ 2017. 2월 초 - 운영시간 : 10시 ~ 13시(3시간) / 14시 ~ 17시(3시간) ※ 13시~14시 썰매장 노면 정비 시간 - 눈썰매장 이용 방법 : 1회 입장권으로 오전 또는 오후에만 이용 가능함 ※ 1회 발권으로 전일 사용 할 수 없음 ○ 교통정보 - 승용차 ⦁ 광주대구고속도로 - 거창IC - 거창읍 - 마리면 - 위천면 수승대 ⦁ 대전통영고속도로 - 지곡IC - 함양군 안의면 - 거창군 마리면 - 위천면 수승대 - 대중교통 ⦁ 거창시외버스터미널 - 거창-위천(황점,위천) 농어촌 버스 - 수승대정류장 하차
[ "어느 눈썰매장에서 1회 입장권으로 전일 이용이 가능할까" ]
unanswerable
cc17071b-0cfd-47a6-b1cb-481407ff92ab
2022년 외래관광객 2,300만명, 관광산업 일자리 96만명 이룬다
대한민국 관광 혁신전략 Ⅳ. 과제별 세부추진 방안 4 (산업혁신) 스마트 관광산업 생태계 구축 1. 관광분야 창업 및 성장지원 □ (Scale-up) 강소형 관광기업 집중 육성 ㅇ 민간 액셀러레이터* 활용, 선발부터 보육, 육성, 투자유치까지 민간주도형 성장 지원(정부 지원금의 30% 이상 민간투자 의무화)(2020년~) * (정의) 초기 창업기업을 발굴하여 엔젤투자, 사업공간, 멘토링 등 종합적인 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 창업촉진 전문회사 기관 ㅇ 잠재력을 갖춘 우수 관광기업을 선정, 해외 진출 및 사업다각화, 홍보 마케팅 등집중지원으로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지원(2020년~) - 관광벤처 및 관광분야 다양한 업종(세부업종 34개) 중에서 생산성 ·일자리창출 효과가 높은 전략업종(예:전문휴양업 등) 지정·집중 관리 * 글로벌 진출, 사업다각화, R&D, 기업 M&A 등 ▶ (레저큐) 2013년 3명의 직원으로 창업했으나, 정부지원(2017년 관광벤처 선정), 민간투자(520억), 기업인수(2018.3월 야놀자, 인수가 약 400억원) 등을 통해지속 성장하여 해외진출 성공 ㅇ 관광벤처 개별기업 지원에서 나아가 기업 간 융‧복합 사업소재 등을 개발하는 ‘관광프로젝트’ 지원으로 新시장 개척(2019년 4개 프로젝트)
[ "관광분야 창업 지원에서 해외 진출과 일자리창출 효과가 높은 업종은 무엇이니" ]
unanswerable
8a9755ed-cc13-41ee-849a-6bdc2286fcaf
2018년 노벨상수상자 초청 한림석학강연 개최
2018년 노벨상수상자 초청 한림석학강연 개최 - 7월 12일(금) 도나 스트리클런드 교수 강연 - 한림석학강연 개요 □ 행사 개요 ㅇ 강연자 : 워털루대학 도나 스트리클런드 교수(2018년 노벨물리학상 수상) (Prof. Donna Strickland, Univ. of Waterloo) ㅇ 강연주제 : 고강도-초단파 광펄스 생성기술 (Generating High-Intensity Ultrashort Optical Pulses) ㅇ 일시/장소 : 2019.7.12.(금) 14:00∼15:30/서울대 문화관 대강당 ㅇ 주최/주관 : 한국과학기술한림원/서울대학교, 한국광학회 ㅇ 참석대상 : 한림원회원, 서울대생, 고등학생 등 국내외 과학기술인 약 400명(오픈 대중강연)
[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의 주관으로 언제 2018년 노벨상 수상자 초청 한림석학강연이 개최됐어", "2019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도나 스트리클런드 교수는 언제 서울대 문화관 대강당에서 한림석학을 강연했지" ]
unanswerable
236b02b3-eeec-45d5-a0da-7403c3a23c3a
2022년 외래관광객 2,300만명, 관광산업 일자리 96만명 이룬다
대한민국 관광 혁신전략 Ⅳ. 과제별 세부추진 방안 5 (혁신기반) 관광혁신의 제도적 기반 마련 2. 공정한 산업환경 조성 □ 공정한 거래 확산 ㅇ 마이스(MICE) 분야 공정거래 가이드라인* 이행상황 모니터링 및 지역 확산(문체부‧조달청) * 주요한 불공정 사례, 불공정 거래 행위에 적용되는 법제, 단계별 표준업무처리절차 명시 ㅇ 관광기업과 거래의 공정성 담보 위한 ‘공정거래’ 제도적 기반 마련 및 이를 기반으로 한 ‘공정기업’ 육성 정책 추진 * 현재 지자체 차원에서 조례를 통해 공정관광 준수, 공정여행 지침 등 반영(서울, 대전 등) * 예) 공정관광기업 지정제 운영, 공정관광 박람회 개최 등 □ 지속가능한 관광 생태계 조성 ㅇ 지나친 관광지화로 인한 지역주민과 관광객 간의 갈등(오버투어리즘)해결을 위해 주민정주권 보호를 위한 방안(‘특별관리지역’ 지정 등)에 대한 법적 근거 마련(2019년~) * 오버투어리즘 : ‘관광객이 도시를 점령하고 도시민의 삶을 침범하는 현상’(Harold Goodwin, 2012)으로 지역의 관광수용력을 초과한 상태를 의미
[ "관광혁신 산업의 공정한 거래를 위해 대한민국에서 마련한 사례는 무슨 분야니", "지속가능한 관광 생태계 조성을 위한 특별관리지역 모니터링 가이드라인은 무엇일까" ]
unanswerable
1cf280b0-3eb7-44dc-82fa-1b52a615be0e
OECD 과기장관회의 과학기술포럼 주요 연사 확정
- 세계과학정상회의 D-6 - OECD 과기장관회의·세계과학기술포럼 주요 연사 확정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미국의 저명한 미생물생태학자 자넷 잰슨(Janet Jansson) 박사가 경제협력개발기구(이하 OECD) 과학기술 장관회의 기조연사로, 일본의 노벨상 수상자 노요리 료지(野依良治) 전 일본이화학연구소(RIKEN, 이하 리켄) 이사장이 세계과학기술포럼 개회식 연사로 각각 추가 선정되는 등 세계과학정상회의 주요 연사의 섭외가 마무리됐다고 밝혔다. ㅇ 2015 세계과학정상회의(10.19~23)는 ‘OECD 과학기술장관회의’와 ‘세계과학기술포럼’, 그리고 ‘대한민국 과학발전 대토론회’ 등으로 구성되며, 각국 장·차관과 세계적인 석학들이 함께 모여 향후 10년간의 세계과학기술정책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 회의다.
[ "대한민국 과학발전 대토론회에서 누가 기조연사를 했지" ]
unanswerable
5211d95d-6960-4167-a302-b7d1eb89dc4b
서울과학관, 과학창의체험전 개최
국립서울과학관 과학창의체험전 빙글빙글 도는 지구! - 인터렉티브 전시체험·디지털 게임·만들기가 모두 한자리에 - □ 국립서울과학관(관장 한형주)은 다음달 1일부터 12월 29일까지 기획전시실에서 우주관련 전시연계 체험전 행사인 ‘빙글빙글 도는 지구!’를 개최한다. □ ‘빙글빙글 도는 지구!’는 멀티미디어 영상을 활용한 자기주도형 과학창의체험 프로그램이다. ○ 참가 어린이들은 직경 130cm의 볼록한 입체 반구에 디지털 영상으로 그려지는 태양, 지구, 화성 등의 모습과 디지털 게임 ‘꿈꾸 미야! 별똥별로부터 지구를 지켜줘!‘를 통해 지구와 태양계 내 행성들의 특징을 쉽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다. ○ 또한, 활동지 및 스크래치 액자 만들기 ‘내가 그린 우주’를 통해 자신만의 우주이야기를 창작하는 등 과학적 상상력을 마음껏 펼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된다. □ 국립서울과학관 *** 관장은 “이번 체험전은 상반기 ‘꿈꾸미와 해저탐험2’와 연계하여 어린이들이 바다․하늘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와 사고발달을 위해 기획하였고, 향후 ‘땅’에 대한 체험전도 개최하여 서울과학관 맞춤형 체험전 ‘해천지(海天地)’시리즈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빙글빙글 도는 지구!‘는 만 4세 이상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가족체험프로그램이다. ○ 체험비는 상설전시장 입장료 포함해 개인 10,000원, 단체 8,000원 (20인 이상)으로 인터넷 예매와 현장 구매 모두 가능하다. ○ 체험시간은 회당 50분 내외로 1일 5회 운영한다. (월요일 제외) ※문의 : 전화 (***********, 홈페이지 www.ssm.go.kr
[ "국립서울과학관의 땅에 대한 체험전의 체험 시간은 몇 분이지", "국립서울과학관의 우주관련 체험전에서 스크래치 액자 만들기 프로그햄의 체험 시간은 얼마나 될까" ]
unanswerable
42fb9abc-b0d1-4e0f-8280-084b59331d8b
한-핀란드 5세대(5G) 이동통신,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미래산업 분야 협력 참고자료
한-핀란드 5세대(5G) 이동통신,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미래산업 분야 협력 □ 양국은 공동언론발표를 통해 혁신기반 협력을 확대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로 하고, 5G,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미래산업 분야 다양한 협력 프로젝트를 추진하는데 협력하기로 함 □ 먼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핀란드 고용경제부는 이번 순방을 계기로 4차 산업혁명 공동대응 양해각서를 체결함 ㅇ 양국 정부는 이번 양해각서(MOU)를 바탕으로 과학기술공동위를 개최하고, 정보통신기술(ICT) 정책을 공유하고, 5G,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분야에서의 다양한 협력 프로젝트를 발굴‧추진할 예정임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와 핀란드 오울루 대학은 6월 10일 6세대(6G) 이동통신 기술협력 및 공동연구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함 ㅇ 오울루 대학의「6Genesis」프로젝트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B5G․6G 사업 간 공동 참여 기회를 제공하고, - 세계적으로 초기단계인 B5G․6G 연구성과를 공유하는 정기 교류회를 개최하는 등 차세대 이동통신 글로벌 협력체계를 구축할 예정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핀란드 오울루 대학은 무엇을 체결하여 다양한 협력 프로젝트를 발굴, 추진할 예정이지", "차세대 이동통신 글로벌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한국과 핀란드는 무엇을 바탕으로 과학기술공동위를 개최했어" ]
unanswerable
28f222a8-fcc3-4653-a4f0-7165b85c0816
설 연휴, 가볼만한 곳 없을까? 고향 경남 ‘100배’ 즐기기
2017년 설연휴 가볼만한 경남 관광지 28. 최참판댁과 박경리문학관 ○ 시군명 : 하동군 ○ 구분 : 힐링 명소 ○ 위치 :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길 76-3 ○ 소개자료 평사리 논길을 따라 들어가면 들판 가운데에 소나무 두 그루가 우뚝 서서 정겹게 맞이하고 지리산 자락에는 초가들이 한 폭의 그림처럼 펼쳐진다. 그 중턱에 고래등 같은 기와집이 소설《토지》의 배경이 되는 최참판댁이다. 사랑채 대청마루에 올라 앉으면 평사리 넓은 들판이 한눈에 들어온다. 또한 최참판댁 옆에 있는 박경리문학관은 박경리 선생의 삶과 작품활동, 그리고 소설『토지』를 있는 그대로 보고 듣고 느낄 수 있도록, 선생의 초상화와 3대 보물의 하나인 국어사전 그리고 생전에 사용하던 재봉틀, 육필원고 등이 전시되어 있다. ○ 교통정보 - 승용차 : 경부고속도로 → 대전 → 통영/대전고속도로 → 함양 → 진주 → 하동IC → 악양경부고속도로 → 천안논산고속도로 →논산JC → 호남고속도로 → 익산JC →순천완주고속도로 → 구례화엄사IC → 구례 → 하동 → 악양 - 대중교통 : 직행버스(서울→하동) → 관내버스(하동→악양) 열차(서울→하동) → 관내버스(하동→악양)
[ "구례에는 토지의 배경이 되는 무엇이 있어", "박경리 선생의 3대 보물 중 하나인 육필원고가 전시되어 있는 대전의 명소는 어디지" ]
unanswerable
19962e2e-30f6-445f-850c-0fd017cb3c28
한국환경자원공사, 『부산·경남지사 사옥 및 재활용홍보교육관』준공
한국환경자원공사, 『부산․경남지사 사옥 및 재활용홍보교육관』준공 □ 한국환경자원공사(사장 ***)는 2월 1일 김해시 화목동에서 부산경남지사 사옥 및 재활용홍보교육관 준공식을 갖는다. ○ 이번에 준공된 부산경남지사는 부지 1,114평 내 관리동 556평(홍보교육관 160평 포함) 규모의 2층 건물로, ○ 공사는 이번 신사옥 준공을 계기로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 폐기물적법 처리시스템을 비롯한 공사가 수행하는 자원순환 정책 뿐 아니라 재활용산업 지원 등의 사업이 더욱 효율적으로 추진되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또한 사옥 1층에 마련된 재활용홍보교육관은 초록공방, 초록거리, 푸른갤러리 등 어린이들에게 환경과 재활용에 대한 관심을 일깨울 수 있는 다양한 시설과 볼거리를 갖추고 있어 지역 내 환경 홍보․교육의 장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 "어느 공사에서 부산시에 부산경남지사 신사옥 및 재활용홍보교육관을 준공하니", "어디에서 사옥 2층에 재활용홍보교육관을 마련하여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에 대한 교육을 할 예정이야" ]
unanswerable
8d15b17c-172e-4418-aeab-44e11ca936c2
16년도 K-Globa 프로젝트 통합공고
미래창조과학부 2016년 ICT 창업·벤처 지원 사업 「K-Global 프로젝트」 통합 공고 - 창업 공모전, 엑셀러레이터 지원 등 16개 사업 1,061억원 규모로 창조경제 성과 창출 지원 □ 통합공고에는 K-Global 프로젝트 각 지원 사업별 지원 분야, 지원자격, 추진 일정 등 세부 사항이 명시된 ‘지원 가이드라인’이 함께 게시되며, ㅇ 사업 설명회*는 ‘정부 창업지원사업 효율화 방안’에 따라 K-Startup 순회 설명회(중기청 공동)와 함께 개최할 예정으로, 상세 내용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홈페이지 내 통합공고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수도권 (2.25. 13:00~18:00, 상암동 누리꿈스퀘어 3층 국제회의실) 및 대전(장소/일정 미정) 등 5개 지역 개최 예정
[ "K-Startup설명회의 세부사항이 명시된 무엇이 함께 통합공고에 게시되니" ]
unanswerable
274366a2-6aa4-4f61-9446-5628969b6ee4
무독성 살모넬라에 의한 암 면역치료 기술 개발
무독성 살모넬라균에 의한 암 치료 강화기술 개발- 신개념의 암 면역치료 지평 열어 - □ 논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연구의 필요성 : 암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가장 이상적인 치료약은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살상하고 정상세포에는 아무런 독성을 일으키지 않는 것이다. 살모넬라와 같은 박테리아는 암 조직에 대한 친화성이 강하여, 암에 걸린 생명체에 주입할 경우 암과 정상조직에서의 비율이 10만배에 이를 정도로 암에서 과다증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팀은 지난 10여년 동안 생체에 거의 독성을 일으키지 않는 살모넬라균주를 제작하고 이를 유전공학적으로 재설계하여 암 동물모델에서 가장 효과적인 치료용 균주를 개발하고 있다.
[ "암 조직에 대한 친화성이 강한 어떤 박테리아가 정상세포를 선택적으로 살상하니", "암에 걸린 생명체에 주입할 경우 정상세포에서 10만배 과다증식하는 가장 효과적인 치료용 균주는 뭐야" ]
unanswerable
5c4e7e0b-5e0d-48fb-a946-f533d0639609
무독성 살모넬라에 의한 암 면역치료 기술 개발
무독성 살모넬라균에 의한 암 치료 강화기술 개발 - 신개념의 암 면역치료 지평 열어 - 3. 연구 성과 : FlaB를 생산하는 살모넬라는 암에서 FlaB를 표적특이적으로 생산하는 것이 관찰되었고, 원발성 대장암 또는 전이성 대장암을 갖는 마우스 모델에서 매우 우수한 치료효과를 보여주었다. 무독성 살모넬라와 이 균주가 생산하는 FlaB는 독특한 항암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살모넬라가 암에서 증식하는 동안 면역세포의 대량 침윤이 일어났고, 이어 생산된 FlaB는 침윤된 면역세포가 암세포에 대하여 강한 독성을 나타내도록 유도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비유적으로 표현하자면, 암을 표적한 살모넬라는 암으로 군대를 끌어들이는 역할을, FlaB는 이 군대에 발포명령을 내리는 것과 다름이 없다. 암 면역치료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는 현 시점에서 독특한 형태의 새로운 암 면역치료 기술이 될 것으로 보인다.
[ "살모넬라를 생산하는 무엇이 항암작용을 하니", "암세포가 면역세포에 대해 강한 독성을 나타내도록 유도하는 것은 뭐야" ]
unanswerable
235792e5-45dc-45c3-86d2-6a4ae05b73f4
지능정보사회 플랫폼 기업의 노동시장 영향 정책토론회 개최
「지능정보사회 플랫폼 기업의 노동시장 영향」정책토론회 개최 - 플랫폼 기업 확산에 따른 노동시장 변화 및 노동자 보호방안 논의 - □ 두 번째 발제자로 나선 위시켓 *** 대표는 “시장 환경이 급변하면서, 대부분의 기업이 규모를 줄이고 핵심 업무에 집중하는 ‘다운사이징’과 비핵심·일회성 업무는 프리랜서를 통해 해결하는 ‘아웃소싱’을 병행하는 추세다”라고 밝혔다. ㅇ 또한 “프로그래머, 디자이너 등 고숙련 근로자 중에서 직장을 그만두고, 일과 생활의 균형을 유지하고 능력에 따른 보수를 받을 수 있는 프리랜서로 전환하는 경우가 많다”며, ㅇ “기업에게 적당한 프리랜서를 신속히 알선해주고 프리랜서에게 공정한 노동의 대가를 받도록 도와주는 위시켓과 같은 노동 플랫폼 기업의 긍정적 효과를 간과해선 곤란하다”고 강조했다. □ 이어진 토론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 *** 부연구위원이 사회를 맡았고, 동아대학교 경제학과 *** 교수, 미래부 지능정보사회추진단 *** 미래일자리팀장 등이 토론자로 참여하였다. ㅇ 이들은 4차 산업혁명으로 시장 경쟁이 소수 플랫폼 기업간 경쟁으로 바뀌어 플랫폼 제공 능력을 갖춘 ICT 기업의 위상이 갈수록 강화됨에 따라, ㅇ 프리랜서에 대한 공정한 보수 지급 및 표준계약서 마련, 보편적 복지서비스 확대, 노동권 보호 등 경제적 불평등 심화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데 의견을 같이 했다.
[ "ICT 시장의 프리랜서의 일과 생활의 균형에 대한 토론을 개최한 곳은 어디니" ]
unanswerable
48e93d91-8b3b-4158-9b30-726a7c0356a6
미래부 장관 KISA 방문
최문기 장관,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국민피해 없도록 신속대응’ 강조- 인터넷침해대응센터 등 대응태세 점검 - □ 미래창조과학부 최문기 장관은 1월 26일(일) 서울 송파구에 위치한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 이하 KISA)을 방문하여 인터넷침해대응센터(KISC), 118 센터 등을 둘러보고, o 지난 1월 8일 발생한 카드사 개인정보 유출사고 관련하여 피해확산방지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직원들의 노고를 치하하고 격려하였다. □ 최문기 장관은 이 자리에서 대량으로 유출된 개인정보로 제2 제3의 피해를 입지 않을까 국민이 불안해하고 있다며, o 이러한 분위기에 편승해 보이스 피싱, 스미싱 등 전자금융사기 공격이 급증할 수 있는 만큼 인터넷해킹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국민의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신속히 대응해줄 것을 당부했다. □ 미래창조과학부는 이번 개인정보유출 사고를 계기로 주요 기업의 정보 보호 관리 실태를 긴급 점검하고 개인정보의 불법유통 단속 및 차단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 "미래부 장관은 개인정보의 불법유통 단속 및 차단 강화를 당부하기 위해 어느 기관을 방문하니" ]
unanswerable
ebfc3549-e910-4f4e-a7d6-96ca07a5e729
산업수학 주간 개최
수학, 돈이 되는 무한한 가능성을 엿보다! - 10. 21.~10. 25,‘대한민국 산업수학 주간’행사 열려 - □ 우리나라도 최근 산업수학 육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고, 산업현장에 활용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o 지난 8월, 대학에서 수학을 활용하여 산업현장에서 직면한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산업수학 문제헌터 발대식」을 개최한 바 있다. o 이를 통해 현재 21개 대학이 바이오, 금융, 빅데이터 등 각 분야에서 26개 기업과 양해각서(MOU)를 맺거나 협력 프로젝트를 준비 중이다. □ 그동안 수학은 입시를 위해 ‘공부해야만 하는’ 학문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이번 행사를 통해 수학이 가진 무한한 발전가능성과 가치가 재조명되길 바란다고 정부와 수학계는 전했다. □ 행사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http://mathweek.nims.re.kr를 통해 알 수 있다.
[ "무엇 때문에 수학이 입시를 통해 공부해야만 하는 학문으로 인식되어 왔지", "빅데이터 기업에서 산업수학을 육성하기 위해 무엇을 개최했니" ]
unanswerable
9301124c-7333-49de-b6f9-385ca1ad47ff
스마트 디바이스 육성방안
스마트 디바이스 글로벌 기업 300개로 확대 □ 「K-ICT 스마트 디바이스 육성방안」의 각 과제별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② 스마트 디바이스 제품화 지원 ㅇ 판교·대구 등 7개 지역의 K-ICT 디바이스랩 등 지역거점 제작 인프라를 상호 연계하여 중소·벤처기업뿐만 아니라 일반인에게 제품 개발시 상품성·디자인 등을 구현·검증할 수 있는 공통 시설·장비 및 작업공간을 제공하고(연 200개 이상 제품화 지원) - 개인의 창의적인 아이디어 제품이 사업화·창업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제품기획 및 온·오프라인 멘토링, 전문 코디네이터 지원* 등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할 계획이며, * 전문가를 활용하여 기술자문, 시장성·경제성·법제도·특허 분석 등 지원 -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운영 중인 보육기업에 대한 제품화 및 제작환경 제공 등 다양한 프로그램도 연계하여 제공할 계획이다. ㅇ 또한, Alcatel-Lucent(프랑스), China Mobile·ZTE(중국) 등 해외 통신 및 네트워크 사업자의 인증환경을 국내(구미)에 구축(2016.하반기 단계적 추진)하여 국내 기업의 제품 개발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관련 국제 표준 개발 및 시험·인증 절차 등도 마련할 계획이다. ※ Alcatel-Lucent(2015.2월), China Mobile·ZTE(2015.8월) 해외인증랩 구축MOU 채결
[ "어느 지역에 프랑스 네트워크 사업자와 연계된 창조경제혁신센터가 구축되어 있지" ]
unanswerable
fc5d2b38-e53f-498e-9124-3056c6717c55
한-중, 5세대(5G) 이동통신 추가 주파수 확보를 위한 공동대응 및 양국 전파 협력 지속하기로 합의
한-중, 5세대(5G) 이동통신 추가 주파수 확보를 위한 공동대응 및 양국 전파 협력 지속하기로 합의 - 제10차 한 ․ 중 전파국장회의 합의 결과 - □ 한국과 중국은 6월 10일(월) 중국 심천(Shenzhen)에서 개최된 제10차 한․중 전파국장회의에서 5세대(5G) 이동통신 추가 주파수 확보를 위한 공동대응 및 양국의 전파 관련 협력을 지속하기로 합의했다. □ 양국은 전파관리와 5G 주파수 정책에 관한 경험을 공유했으며, 향후 5세대(5G) 이동통신 주파수 수요 폭증에 대비하여 5G 추가 주파수 확보를 위한 공동 협력을 약속하였다. □ 또한, 국경을 넘어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전파 간섭 문제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상호 연락수단을 명확히 하고, 향후 잠재적인 주파수 조정 문제에 대해서도 협력해 나가기로 하였다. □ 아울러, 11월에 개최되는 세계전파통신회의(WRC-19)에서 논의될 관련 의제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으며, 5G 추가 주파수 확보에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협력하기로 하였다. □ 양국은 협력을 지속하기로 약속하며, 차기 회의는 2020년 한국에서 개최하기로 합의하였다.
[ "2020년 한국에서 개최된 어떤 회의에서 5세대 이동통신 추가 주파수 확보를 위한 공동대응이 합의되었어", "한국과 중국이 5G 수요 폭증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상호 연락수단을 명확히 하기로 한 회의는 뭐지" ]
unanswer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