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
stringlengths
36
36
title
stringlengths
0
441
context
stringlengths
200
7.38k
questions
listlengths
1
2
type
stringclasses
6 values
883a20ce-5ae7-451e-b7eb-abff6278c877
「난개발 골프장」이제 지구를 떠나라
「난개발 골프장」이제 지구를 떠나라 □ 환경부(장관 : 유영숙)는 멸종 위기종의 서식지를 위협하고 산림을 훼손하면서 건설되는 골프장을 사전에 차단하고, ‘친환경골프장’의 건설과 운영을 유도하기 위하여 ‘골프장 난개발 방지 및 친환경 골프장 조성대책’(이하 ‘골프장 대책’)을 발표하였다. □ 이번 골프장 대책은 최근 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 산지 등 환경우수지역에 골프장 건설이 추진되면서 멸종 위기종 출현 및 산지훼손 등에 따른 사업자, 지자체, 지역주민간 갈등이 확산됨에 따라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마련된 것이다. □ 환경부에서 발표한 골프장 대책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환경우수 지역에 설치되는 골프장에 대한 환경성 검토를 대폭 강화하여 생태자연도 1등급 지역, 멸종 위기 동·식물 서식지 등에는 골프장의 입지 최소화 ○ 산지에 건설되는 골프장에 대해서는 경사도 측정 방법을 현실화하여 보다 정확한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골프장 입지의 적정성 평가 ○ ‘자연생태 조사업’을 신설하여 일정 자격을 갖춘 전문업체로 하여금 자연생태 조사를 추진토록 하여 골프장 예정지에 대한 멸종위기종 등 자연생태조사의 신뢰성 제고 ○ 멸종 위기종 서식지 적합성 평가방안을 마련하여 서식지 평가 대상종에 대한 평가 매뉴얼과 서식지 조성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보다 정확한 멸종 위기종 서식지 판단 기준 제시 ○ 친환경적으로 건설·운영되는 골프장에 대하여는 환경부가 인정서를 수여하는 ‘친환경골프장 인정제’를 도입하고 하반기부터 수도권을 대상으로 시범사업 실시 ○ 현재 운영 중인 골프장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특별점검을 실시하여 환경성 검토 협의사항에 대한 이행여부를 집중 점검하고, 협의 내용 위반시 관련 법령에 따라 행정 조치(조치명령, 2천만원 과태료) □ 전국적으로 운영 중인 골프장은 386개소이나 건설 중 또는 착공단계에 있는 것까지 합하면 519개소에 이르며, 골프장 수는 매년 10% 이상 증가하고 있고,최근 6년간 약 2배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 수도권·강원 지역에 골프장의 44%가 집중되어 있으며 특히 강원도는 수도권과의 근접성과 최근 경춘고속도로 개통 등 교통망이 확충됨에 따라 개발압력이 증가하고 있다. □ 환경부는 금번 골프장 대책으로 산지를 훼손하면서 건설되는 골프장과 멸종 위기종 서식지와 관련된 사회적 갈등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환경과 더불어 운영되는 친환경골프장 건설·운영 분위기가 조성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 "골프장 예정지에 대한 환경성 검토를 대폭 강화하기 위해 환경부가 신설한 업종은 뭐야" ]
unanswerable
f99404ae-8e14-4130-b2b5-b5049ef5e52e
「난개발 골프장」이제 지구를 떠나라
「난개발 골프장」이제 지구를 떠나라 골프장 난개발 방지 및 친환경골프장 조성 대책 3 기대 효과 □ 산지에 건설되는 골프장 건설 감소 전망 ◦ (신규 골프장 입지) 경사도 25도 이상인 면적이 30~40%에 해당하는 골프장에 대한 입지 최소화 * 특히, 산악지역이 많은 강원도의 경우 개선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 □ 멸종 위기종 서식지 관련 민원 감소 및 환경성 검토서 충실화 ◦ 경사도가 높은 산지 입지 규제, 멸종 위기종 서식지 조사강화 등에 따라 부실조사 등으로 인한 갈등 해소 예상 ◦ 자연환경조사 전문업체, 전문가에 의한 생태조사 진행으로 보다 더 충실한 환경성 검토서 작성 □ 환경친화적 골프장 건설 및 운영 증가 ◦ ‘친환경골프장 인정제도’ 도입으로 기존 골프장은 리모델링 유도, 신규 골프장은 건설 초기부터 환경 훼손이 최소화 효과
[ "경사도 25도 이상인 곳에 골프장을 짓도록 하는 제도는 무엇이니", "멸종 위기종이 많은 강원도에 지어지는 골프장이 지켜야 할 제도는 무엇이니" ]
unanswerable
561c84e2-94b6-4234-b7c8-033210c5ed27
세계 최초 신종 274종, 한반도 미기록종 420종의 자생생물을 밝혀내다
세계 최초 신종 274종, 한반도 미기록종 420종의 자생생물을 밝혀내다 □ 이와 관련, ‘09년 사업에서 밝혀진 신종 274종 및 한반도 미기록종 420종 중에서도 다음 사항은 특별히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 곤충 1 신종 : 유충뿐만 아니라 성충까지 전생활사 기간을 완전히 물속에서 서식하는 특이한 곤충으로 신종 ‘둥근혹여울벌레 (Leptelmis coreana sp. nov.)’가 경남 밀양강 합류부에서 확인되었다. 크기가 2.5 mm 정도의 작은 곤충으로 전체적으로 연한갈색을 띠며, 종아리마디 끝에 가시(spine)가 나타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 주로 강가의 돌 밑이나 물에 잠겨져있는 자갈 혹은 나무뿌리나 나뭇가지에서 서식하는데 오염이 심한 곳에서는 서식이 불가능할 것으로 추정된다. 본 속에 속하는 다른 종의 경우 일본에서 멸종위기종으로 보호하고 있다. ○ 털보톡토기과 곤충 1신종 : 톡토기류는 날개가 없고 몸 뒷부분의 운동기관으로 쉽게 튀어오를 수 있기 때문에 톡토기란 이름이 붙었다. 털보톡토기과에 속하는 신종, ‘Homidia sp. (Collembola, Entomobryidae)’은 크기가 1~5 mm 정도로 작고 보통 낙엽 속에 살면서 미생물, 곰팡이, 꽃가루 등을 먹으며 낙엽 등의 표면을 갉아 미생물이 살기 좋은 서식장소를 제공함으로써 직간접적으로 생태계에 크게 이바지 하고 있다. 또한 토양의 기초생산력 및 환경지표종으로도 그 중요성이 인정되고 있어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 ○ 멍게류에 공생하는 갑각류 4신종 : 멍게류(우렁쉥이 등)의 아가미방에 공생하는 요각류(갑각류) 4신종을 동해안에서 발견하였다. 특히 신종 ‘Ascidicola n. sp.’이 속하는 Ascidicola속은 지금까지 세계적으로 대서양에서 1종만 보고되었으므로, 국내에서 제2의 종을 신종으로 발견한 것은 학술적으로 매우 중요하다.이 종은 몸길이가 약 5 mm이다. - 신종 ‘Ophioseides n. sp’는 몸이 기다란 벌레 모양의 특징을 지닌 몸길이 약 8 mm의 갑각류로 극동 해역에서는 처음 발견되었다. ○ 규조류 34종 : 상명대학교 이진환 교수 연구팀은 우리나라 연안에서 해양성 규조류를 조사한 결과 미기록 34종을 발굴하였다. - 규조류는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핵심 생물종의 하나로,돌말껍질(frustule)이라고 불리는 규산질의 세포벽은 규조류가 죽었을 때 해저바닥으로 침전되어 대기 중의 탄소를 저감시키는 역할을 하며, 산업적으로 나노공학분야 등에서 매우 활발하게 활용될 전망이다. ※ 돌말껍질의 구조에 대한 연구를 통해 무수한 나노 구멍들의 생체 조립원리를 밝혀 차세대 반도체 개발이나 나노 약물캡슐의 개발 등에 활용 - 규조류 중에서도 끈원반돌말속(Thalassiosira)에 속하는 종들의 일부는 우리나라 연안에서 적조를 일으키므로 이번에 발견된 본 속의 미기록종은 해양생태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며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 국립생물자원관 관계자는 동 사업을 2014년까지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국외전문가와의 협조를 통해 인력풀을 확보하여 그간 밝혀지지 않은 우리나라 자생생물을 신속히 찾아내는 데 더욱 주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신종 둥근혹여울벌레가 한반도에서 발견된 해는 몇 년도니", "한반도에서 멍게류의 신종인 Ascidicola n. sp.은 몇 년도에 발견되었니" ]
unanswerable
03fcc22d-3580-4efd-b6ef-be0bfcc8b90d
윤성규 환경부 장관, 환경 분야 창조경제 현장 방문
윤성규 환경부 장관, 환경 분야 창조경제 현장 방문 ◇ 현장 목소리 청취 및 관계기관⋅기업, 전문가들과 환경 분야 사회적기업 활성화 방안 ​논의 □ 환경형 예비사회적기업 지정 개요 ○ 환경형 예비사회적기업이란 - 수익구조 등 사회적기업육성법상 인증 요건 일부를 미충족하지만 사회적목적을 실현하고 있으며 장차 사회적기업으로 전환을 지향하는 경우, 환경부가 심사위원회 심의를 통해 지정한 기업(단체)을 의미 ○ 지정요건‧절차 - ①조직형태, ②유급근로자 고용, ③사회적 목적 실현, ④배분 가능한 이윤의 2/3이상 사회적 목적을 위해 재투자 * 상세내용은 “환경형 예비사회적기업 지정 및 인증 추천 지침(2012.2, 환경부)”에 따름 ** 지정기간 : 1년 (단, 재심사시 최대 3년까지 연장) □ 2012년 환경형 (예비)사회적기업 컨설팅 개요 (기간 및 수행기관) 2012년 6월 ∼ 12월, 전문 지원기관(한국폐기물협회) (절차) ①수요조사→②간담회 개최(의견수렴)→③컨설팅 공고→④사전진단→ ⑤전문가 회의(컨설턴트 매칭)→⑥컨설팅(전문멘토 현장방문)→⑦만족도 조사 (대상) 총 30개소(환경형 예비사회적기업 19개소, 환경분야 사회적기업 11개소) (주요내용) 기업 문제점 진단, 신규판로개척‧시장진입을 위한 경영전략 수립, 관련 시장동향 및 경영‧재무‧생산‧판매 등 지도 * 만족도 조사결과 대상기업 85.7%가 만족(매우 만족 포함)
[ "예비사회적기업이 인증 요건 일부를 미충족하면 환경부는 얼마동안 컨설턴트를 매칭 시켜주니" ]
unanswerable
346965b0-f410-4710-9dbd-25bf76d293d0
대학생 환경지킴이 '에코프렌즈' 모집
대학생 환경지킴이 ‘에코프렌즈’ 모집 질의응답 1. 에코프렌즈 활동의 장점은? ㅇ 환경부 산하기관의 서포터즈로서 환경 정책을 국민에게 알리는 역할을 하면서 환경 분야 트렌드와 취업 동향도 빠르게 알 수 있습니다. ㅇ 또한 우수 활동팀은 환경부 장관상, 환경산업기술원장상 및 해외연수 등의 기회가 주어집니다. 2. 5기 활동의 특징은? ㅇ 주요 사업별 심층 탐색 보고서 미션을 통해 환경 분야 다양한 사업들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고, 향후 에코프렌즈의 환경분야 취업 진로 모색에도 도움이 됩니다. 전문용어 설명 ㅇ 에코프렌즈: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대학생 홍보 도우미로서, 환경R&D, 산업, 인증, 생활, 보건 등 환경 분야 전반의 정책들을 국민에게 친근하게 설명할 참신한 온오프라인 활동을 전개한다.
[ "에코프렌즈 우수 활동팀은 산업 분야의 어느 곳에 취업의 기회가 주어져", "어느 부처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에 장관상을 주지" ]
unanswerable
efc56cbc-48ce-4ef4-99e3-c9d2013ce7e4
(공동-참고) 학교보건법 등 미세먼지 관련 5법 제·개정 의결
학교보건법 등 미세먼지 관련 5법 제·개정 의결 - 미세먼지 측정·공개, 저감, 건강보호 등 관리기반 강화 - ◈ 항만지역 등 대기질 개선에 관한 특별법 제정 (해수부 소관, 2020년 1월 1일부터 시행) □ 대기오염이 심한 항만지역이나 항만지역의 대기오염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지역을 ‘항만대기질관리구역’으로 지정하고, 구역 내에 별도로 황산화물 배출규제해역*과 저속운항해역**을 지정할 수 있게 됐습니다. * 일반해역(0.5%)보다 엄격한 선박연료유 황함유량 기준 적용(시행시기는 시행령으로 별도 규정 예정) ** 일정 속도 이하로 운항하도록 권고 가능(20% 감속 시 미세먼지 49% 감축) □ 또한, 항만 하역장비의 배출가스 허용기준을 신설하는 한편, 주요부두에 육상전원공급설비* 설치를 의무화하였으며, 노후경유차의 운행을 제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선박이 항만에 정박해 있는 상태에서 필요한 전기를 육상에서 공급하는 설비로, 연료연소에 따른 미세먼지 발생량을 억제할 수 있음 ㅇ 항만지역의 3대 미세먼지 배출원(선박, 하역장비, 화물차)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한편, 친환경 항만 인프라를 구축하여 항만지역 대기질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방침입니다.
[ "항만지역에 하역장비가 정박해 있는 상태에서 필요한 전기를 구축하기 위해 설치한 시설이 뭐야", "3대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친환경 항만 인프라를 활용한 무엇을 설치해 항만대기질관리구역에 시행해" ]
unanswerable
2964b9b2-5c9b-408c-aee8-01affe0f367c
구조된 검은머리갈매기 15마리, 인천 송도에 방사
구조된 검은머리갈매기 15마리, 인천 송도에 방사 검은머리갈매기 개요 ㅇ 종명(학명) : 검은머리갈매기(Saundersilarus saundersi) ㅇ 보호 :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98년) IUCN VU(취약, 세계), EN(위급, 한국) ㅇ 개체수 : 전세계 성조기준 14,000여 마리(’11) ㅇ 크기 : 몸길이는 29~32㎝, 날개는 27~30㎝ ㅇ 분포현황 - 중국 보하이해‧인천에서 번식하고, 중국 남부‧한국 서남해안에서 월동 ㅇ 생태특성 - 먹이는 주로 새우, 갯지렁이, 게, 작은 물고기 등 - 갯벌이나 강 하구 일대에서 50~200마리가 무리를 지어 생활 - 둥지는 보통 매립지의 맨 땅위에 마른 풀을 이용해서 지음 ㅇ 위협요인 - 갯벌에서 번식하는 특성상 개발로 번식지가 사라지는 중 - 까치, 너구리 등에 의한 알 포식과 인간의 방해도 생존을 위협
[ "어떤 새의 날개가 32센티미터야", "중국 남부와 한국 서남해안에서 번식하는 새가 뭐니" ]
unanswerable
a481fe7a-cfb4-4948-8480-3fdcad18289f
환경오염시설 허가제, 환경산업계와 소통· 협업으로 개선
환경오염시설 허가제, 환경산업계와 소통․협업으로 개선 통합허가제도 개요 Ⅱ. 통합허가제도 주요내용  기술지원 인프라 구축 ○ (최적가용기술 선정) 통합허가 대상업종(시설)별 배출시설 기술조사를 통하여 최적가용기술* 및 배출허용기준 선정체계 마련 - 기술성‧경제성 평가를 실시하여 최적가용기술 후보군 선정 - 최적가용기술 평가위원회를 구성하여 최적가용기술 및 최대 배출기준 설정 * BAT(Best Available Technology) : 생산~처리(저감)공정 전반에서 오염물질을 최소화할 수 있는 우수 상용화 기술로서 경제적 타당성이 입증된 기술(미국․EU 등 도입, 적용중) ○ (최적가용기술 기준서) 기술조사 결과, EU BAT 기준서 등을 토대로 통합대상 업종별 “최적가용기술 기준서*” 작성 * 생산공정 특성․여건, 공정별/매체별 오염물질 발생‧배출량 및 저감기술, 최적가용기술(BAT), 신기술 개발현황, 최적 배출기준 등 모든 기술정보 포함 - 민간부문의 기능 확대로(기술성능평가, 환경컨설팅 등) 환경산업활성화 기반 구축 ○ (기술정보지원시스템 구축) 통합허가신청에 필요한 최적가용기술, 성능기준, 관련제품 규격, 허가절차 등 모든 기술정보 지원 - 최적가용기술 적용 업종이 확대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시스템 개선 ○ (R&D 투자) 최적가용기술 확대 및 경제성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 추진 - 오염물질의 발생‧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배출시설 관리기술, 방지기술, 신기술 상용화 등을 위한 활성화 방안 마련, 추진
[ "미국은 어떻게 BAT 기술을 도입했지" ]
unanswerable
612c102e-a029-473d-8afa-66b88df4f832
가을철 땅벌 주의, 작은 틈새까지도 집요하게 공격
가을철 땅벌 주의, 작은 틈새까지도 집요하게 공격 □ *** 국립공원연구원 조사연구부 팀장은 “땅속에 집을 짓는 말벌류는 땅벌과 장수말벌 등이 있는데, 장수말벌의 경우 입구에 흙을 파낸 흔적이 있어 어느 정도 벌집 입구를 예상할 수 있으나, 땅벌은 1~2cm 정도로 크기가 작고 입구의 흔적이 없어 눈에 잘 띄지 않은데다 벌집을 건드렸을 경우 수십마리가 집단으로 공격한다”라며, “땅벌집을 건드렸을 때는 절대 자리에 주저앉지 말고 그 자리를 20m 이상 빠르게 벗어난 후 배낭이나 옷 속을 파고든 나머지 땅벌을 제거해야 피해를 줄일 수 있다”라고 말했다. □ *** 국립공원연구원장은 “국립공원 내 야영장 및 탐방로의 휴식장소 등에서 야외활동을 하기 전에 말벌류가 있는지 세심히 살펴야 한다”라면서, “벌집을 발견했을 경우에는 건드리지 말고 국립공원사무소에 바로 알려야 한다”라고 말했다.
[ "어떤 벌의 벌집 크기가 약 2센티미터야" ]
unanswerable
08333d0a-762e-4e91-a495-2841030b3125
환경오염시설 허가제, 환경산업계와 소통· 협업으로 개선
환경오염시설 허가제, 환경산업계와 소통․협업으로 개선 EU 등 선진국 허가제도 및 사례 【 EU 】 □ 허가조건 재검토 ○ 기술발전, 시설투자 주기 등을 고려하여 BREF 갱신 이후 4년 이내 허가기준 재검토 및 갱신(통상 8년 주기) □ 허가 절차 : 독일 사례(약 7개월 소요) ○ 사업자-허가관청 사전상담 → 사업자 허가신청서 제출(BAT 적용)→ 허가청의 허가서 검토(배출허용한계치 등 검토) → 주민 공고(필요시 공청회) → 허가 결정 → 허가발급 → 시운전 * 허가 과정에서 주민 의견수렴 절차를 거치고, 관련 자료를 오염물질 배출․이동등록제도(PRTR)에 따라 공개 ○ (사후 감사) 이행 준수 강화를 위해 위해성 평가를 토대로 감사계획 수립, 주기적으로 점검(위해성이 큰 지역은 연간 1회, 낮은 지역은 3회 이하)
[ "EU의 환경오염시설 허가제에서 허가청의 허가서 검토는 어느 정도 기간이 소요될까" ]
unanswerable
a77d3645-be08-4e63-9fba-546d6fac627d
차세대 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 50억원 추가 투자
차세대 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 50억원 추가 투자 □ 환경부는 2004년 상반기에 확정한 차세대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계획(850억원투자, 320개 과제추진)과 별개로 환경정책을 지원하기 위한 2004년도 하반기 차세대 핵심환경기술개발 사업계획을 확정․발표하였다. ○ 이번에 추진되는 차세대 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은 「환경정책 수요기술」6개 과제, 「한․중 국제공동연구」, 「환경기술 실증화사업」 등 3개 분야로서 총 50억원이 투자될 계획이다. ○ 「환경정책 수요기술」로 결정된 6개 과제는 대기질 예․경보시스템의 개발, 배출원별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등록시스템 개발 등으로 하향식 과제선정방식(Top-down)을 통해 과제당 연간 2억원씩, 최장 4년간 지원된다. ○ 「한․중 국제공동연구」는 국내의 환경산업이 중국으로 진출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사업으로 양국간의 공동연구와 전문인력교류를 통해 국내기술의 중국현지 사업화에 필요한 실용화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 현재 “막여과공정을 이용한 하수고도처리 및 재이용기술 개발” 등 7개 과제를 한․중 공동으로 연구중이며 과제당 연간 최고 3억원씩 최장 4년간 지원된다. ○ 「환경기술실증화사업」은 이미 개발된 원천기술을 상용화시키기 위하여 주변기술의 확보가 필요한 과제를 선정하여 추진할 계획이다. - '04년 7월말 현재 차세대사업으로 종료된 과제는 모두 228개(상용화 71개)이며, 실증사업화로 선정된 과제에 대해서는 연간 최고 10억원, 최장 2년간 지원된다. □ 앞으로 환경부는 8월 16일부터 10월 13일까지 두달간 사업계획을 공고할 계획이며, 11월말까지 3단계의 전문가 심사과정(서류심사, 발표․ 패널심사, 총괄조정심의)을 거쳐 추진과제를 선정한 후 12월 1일부터 본격적인 연구개발에 착수하게 된다. □ 한편, 이번 추가과제 개발에 필요한 50억원의 재원은 그동안 개발되어 상용화된 환경기술을 통해 적립된 기술료(지원금액의 40%, 5년간 분할회수)를 활용할 계획이다.
[ "환경기술 실증화사업 6개 과제에 과제당 연간 2억원씩 최장 4년간 지원하는 환경부가 주관하는 사업계획은 뭐지" ]
unanswerable
8524fa28-c8fd-4bf5-b1b9-740540df70b5
온실가스 배출량 더 정확하게…검증수준 높이는 지침 개발
온실가스 배출량 더 정확하게…검증수준 높이는 지침 개발 □ *** 국립환경과학원 지구환경연구과 과장은 “이번에 발간된 매뉴얼과 가이드라인은 검증수준의 향상뿐 아니라, 사업장에서 정확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을 확정하여 국가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판단하고 정책을 결정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검증메뉴얼 및 세부검증 가이드라인‘ 책자는 개방·공유·소통·협력을 중시하는 정부 3.0의 정책에 따라 검증기관 및 온실가스 할당업체에 배포되며 국립환경과학원 누리집(www.nier.go.kr)에도 공개된다. ○ 국립환경과학원은 2013년에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의 배출량 명세서 검증을 위한 가이드라인도 개발한 바 있다.
[ "검증메뉴얼 및 세부검증 가이드라인 책자는 몇 년에 발간됐어", "온실가스 할당업체에 메뉴얼 책자가 몇 년도에 배포됐니" ]
unanswerable
886dcbd0-e82b-4464-807e-d1a2afba2589
친환경 교육 어렵지 않아요~환경부, 환경교육 우수지도안 공모
친환경 교육 어렵지 않아요~환경부, 환경교육 우수지도안 공모 환경교육 우수지도안 공모전 계획 Ⅰ. 배경 및 목적 □ 전국 학교 및 교원을 대상으로 환경교육 우수지도안을 공모하여 학교환경교육 및 학교 녹색실천 활성화 기대 ○ 한국교총의 참여와 함께 전국 유․초․중․고교 및 교원 대상 공모전을 통한 관심 제고 및 학생들에게 환경의 가치 인식 제공 □ 주 5일제 수업 실시에 따른 토요프로그램 수요 증가, 학교폭력 예방 등 학교현장의 문제를 환경교육을 통해 개선할 수 있는 창의적인 수업모델 발굴 Ⅱ. 공모전 개요 □ 공모전명 : 환경교육 우수지도안 공모전 □ 주최 : 환경부 □ 주관 : 환경보전협회,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공모개요 ○ 공모기간 : ‘12. 7. 2(월) ∼ 8. 19(일) ○ 공모대상 : 전국 유․초․중․고 교원 및 학교 (학교 당 최대 5편) - 교원 개인 또는 팀(3인 이내) 별 지도안 등 제출물을 모아 학교별로 제출 - 팀일 경우, 동일 학교 교원만 가능하며 팀명 및 대표자 1인을 선정해 명시 - 팀 응모 중 한군데만 선택 가능(예: A교사가 개인과 팀에 중복 응모 불가)
[ "2012년 환경교육 토요프로그램의 우수지도안 공모는 어느 기관에서 대상 선정을 주관해", "2012년 7월 2일 개최된 환경교육 우수지도안 공모전의 대상은 누구야" ]
unanswerable
3f5589b2-6174-4151-b719-254910188296
녹조 발생 수계 정수장 35곳 조사 "수돗물은 안전"
녹조 발생 수계 정수장 35곳 조사 “수돗물은 안전” 조류경보제 운영 개요 □ (개요) 상수원 호소·하천(28개소) 수질관리를 위해 '98년부터 시행 * 근거 : 「물환경보전법」 제21조 및 같은법 시행령 제28조 * 대상 : 총 28개소(상수원 27개소, 친수활동 구간 1개소) □ (관리항목) 유해 남조류 세포수 □ (측정주기) 주 1회(‘경계’단계 이상 발령시 주 2회) 실측 □ (경보 발령) 유해 남조류 세포수가 2회 연속 발령기준 초과시 관리기관(지방청, 지자체)이 발령 ※ 2회 연속 측정하여 남조류 세포수가 기준 미만시 해제 □ (대응조치) 기관별 역할에 따라 모니터링 주기 확대, 오염원 관리 강화, 조류 제거, 정수처리 강화 등 조치
[ "상수원 호소 및 하천 수질관리를 위해 주 2회 유해 남조류 세포수를 측정하여 발령하는 것은 무엇이니", "상수원 호소 및 하천의 정수처리 강화를 위해 상수원에서 1998년부터 시행한 것은 무엇이지" ]
unanswerable
698346c1-2de4-432b-bf5d-39a91f2fd2bf
지자체-생산자 손잡고 폐전기·전자제품 수거, 발생 수익 지역사회 환원
지자체-생산자 손잡고 폐전기․전자제품 수거, 발생수익 지역사회 환원◇ 국내 주요 가전사는 수거 수익금을 지역사회로 환원, 지자체는 배출수수료 경감을 위해 노력하기로 협의 □ 이번 협약은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버려지는 폐전기․전자제품을 효율적으로 수거해 환경을 개선하고 국가자원 낭비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틀을 정부와 지자체, 기업들이 협력하여 만들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 폐기되는 전기․전자제품은 납, 수은 등 유해물질과 온실가스로 작용하는 냉매가 포함돼 있어 잘 수거해 처리되지 않을 경우 국민의 생활공간을 오염시킬 수 있다. - 이들에 함유된 철․희유금속 등이 재활용되는 체계가 갖추어 질 경우, 환경오염을 예방하면서 국가 자원으로도 소중하게 이용할 수 있다. □ 환경부는 “이번 자발적 협약으로 폐전기․전자제품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철․희유금속의 자원을 재활용하기 위한 체계를 보다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를 통해 국민 편익까지 더욱 증진시킬 수 있도록 체계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 "폐기되는 전기제품 중 기업들이 사무실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자원은 뭘까" ]
unanswerable
b06074d4-6865-4c4d-8d68-4420f8452e63
환경부, 장롱속 폐휴대폰 모아 1석 3조
환경부, 장롱속 폐휴대폰 모아 1석 3조 □ 이번 「폐휴대폰 범국민 공동수거 캠페인」의 주요 내용을 보면, ○ 국민들은 가정에 보관하고 있는 폐휴대폰을 가까운 이통사 대리점, 삼성·LG 등 A/S센터, 지자체 주민지원센터, 대형마트(이마트, 롯데마트) 하이마트, 전자랜드, 사회단체 등에 기부할 수 있으며, 학생의 경우에는 초·중·고등학교를 통해 기부할 수 있다. - 폐휴대폰 기부자에 대하여는 기념품(환경노트 등) 및 포인트(이마트)등의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며, 추가로 경품응모 기회도 부여한다. ※ 수거채널 : ①제조사․이통사 대리점, ②전국지자체 인프라(초․중·고등학교, 주민지원센터, 공공기관, 종교·사회단체 등), ③대형마트 영업점, ④정부 부처 및 산하기관 등 ○ 수거된 폐휴대폰은 파쇄하거나 개인정보를 초기화하여 수거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할 계획이다. ○ 지자체와 계약된 사회적기업으로 인계된 폐휴대폰은 지자체의 책임하에 불법수출되지 않고 물질재활용하도록 관리하고, - 이통사 수거 폐휴대폰 물량 중 재사용이 가능한 휴대폰은 소비자의 동의를 얻어 재사용 가능토록 할 계획이다. ※ 이통사가 소비자의 동의를 얻어 재사용할 경우, 이통사의 중고폰 사업과 연계하여 소비자가 제가격을 받을 수 있도록 유도 □ 환경부 관계자는 이번 캠페인을 통해 폐휴대폰을 포함하여 평소 관심을 두지 않았던 폐자원에 대한 가치를 재인식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 폐휴대폰을 포함한 다양한 생활주변 폐금속자원의 상시수거체계 구축 등 후속 발전방안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임을 밝혔다.
[ "공공기관에서 재사용 가능한 휴대폰은 소비자의 동의를 얻어 무엇을 관리할 계획이니" ]
unanswerable
05496557-cdf9-46d0-aa09-cbd0f2810dcf
환경부, 장롱속 폐휴대폰 모아 1석 3조
환경부, 장롱속 폐휴대폰 모아 1석 3조 범국민 폐휴대폰 100만대 수거 캠페인 추진계획 Ⅳ. 세부추진계획 2 폐휴대폰 처리계획 □ 폐휴대폰 처리계획 ○ 수거 폐휴대폰은 소비자의 개인정보 보호 등을 위하여 원칙적으로 파쇄하여 물질재활용함 * 폐휴대폰 100만대를 물질재활용 한다면 약 20억원의 금속자원 생산가능 - 한국전자산업환경협회(MRC)에서 파쇄․선별 후 재활용업체에 공개매각하여 물질재활용 - 지자체에서 계약한 사회적 기업으로 인계된 물량은 지자체 책임하에 불법 수출되지 않고 물질재활용하도록 관리 ○ 다만, 이통사 수거 폐휴대폰 물량 중 재사용이 가능한 휴대폰은 소비자의 동의를 얻어 재사용 가능* * 이통사가 소비자의 동의를 얻어 재사용할 경우, 이통사의 중고폰 사업과 연계하여 소비자가 제가격을 받을 수 있도록 유도 □ 폐휴대폰 매각 수익금 활용 ○ (소요비용) 매각대금 중 일부는 경품, 홍보비 등의 캠페인 지원 소요비용 등으로 활용 ○ (장학금) 학교를 통해 수거되는 폐휴대폰의 매각 수익금은 해당 시․도 교육청을 통해 장학금으로 기탁 ○ (기타 수익금) 기타 수익금은 지자체별 불우이웃돕기 등 사회에 환원할 수 있도록 관리 * ‘11년 폐휴대폰 매각 수익금은 10.8억으로 지자체에서 장학금 및 불우이웃돕기(10억원)로 활용하였고, 환경부에서는 환경장학금, 불우이웃돕기 등(0.8억)에 활용
[ "이통사 수거 폐휴대폰의 매각 수익금은 어느 단체를 통해 장학금으로 기탁하니" ]
unanswerable
380d7f07-9a53-43a9-b589-09620b1b2118
제조나노물질의 위해성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조사연구 본격적으로 착수
제조나노물질의 위해성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조사연구 본격적으로 착수 □ 국립환경과학원(원장:***)은 OECD에서 추진하고 있는 제조나노물질의 위해성 여부 평가사업에 따라「제조나노물질의 위해성평가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위해성평가기술 관련 연구」1차년도 사업을 수행하였다. ○ 국제적인 생산량, 인체 및 환경 노출 가능성, 물질 정보 유무 등을 고려하여 OECD에서 국제적으로 합의를 통해 도출된 우선연구대상 물질 14종을 목록화 하였다. ○ 또한 OECD 작업반에서 검토하고 있는 위해성시험 주요 종말점에 대한 내용을 적용하여 주요종말점으로 화학물질 정보 9항목, 물리․화학적 특성 16항목, 거동 13항목, 생태독성 5분야 및 인체 건강 영향 3분야를 선정하였다.
[ "OECD 작업반이 국립환경과학원과 수행하고 있는 생태독성 데이터베이스 구축 분야는 무엇이니" ]
unanswerable
2e189a69-b2eb-4e54-8729-6118da82fa90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2006년도 업무계획
2006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 Ⅱ. 주요 추진과제 4. 주민과 더불어 드림파크 조성 본격 추진 □ 야생화단지 조성공사 추진 ○ 자연학습 관찰지구 조경 추진 - 계절별 수목과 초화를 즐기며 감상할 수 있는 사계절 정원 조성 - 약용, 식용, 섬유, 향료 등의 테마별 야생식물원 조성 ○ 생태환경 체험장지구 조성 추진 - 다목적 잔디광장을 조성하여 다양한 문화․체육행사 개최 - 멸종․보호식물 재배․보전 과정 등의 체험실습장 조성 □ 제1매립장 안정화식재공사 추진 ○ 매립장 상부 체육공원 기반조성지역에 조형마운딩, 수목․초화류 및 잔디 식재, 용수공급시설 설치, 유지관리도로 조성 등 추진 ○ 매립층별 이격구간에 토공마운딩, 초화류 식재 등 체계적인 녹화공사 추진 및 친환경적 관리를 위한 조경유지관리(잔디, 공원용수 공급 등) ○ 효율적 사후관리를 위한 체육공원 조성 환경영향평가 추진 □ 드림파크 조성사업을 통한 주민협력 증진 ○ 주민협력차원의 지속적인 지역주민 고용창출(연인원 25천명) - 드림파크 조성계획과 연계된 나무심기사업 지속 추진 - 제1‧2매립장 및 야생화단지 등에 대한 조경수림대 유지관리 사업 확대 ○ 수목 및 초화류의 원활한 자체 생산‧공급 확대 □ 합리적인 주민지원․협력체제 정립 ○ 지역발전의 촉진제 역할을 할 수 있는 주민지원사업 기틀 마련 - 가구별 사업에서 지역경제발전 위주의 공동사업으로 전환(주민지원협의체와 협의) ○ 환경상 영향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공정한 주변영향지역 조정․고시 - 환경상 영향조사에 대한 주민공람 실시(’06.3) 및 조사결과와 주민 협의의견 등을 감안하여 새로운 영향권 결정․고시(’06.12) - 영향권 조정에 따른 후유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영향권역에서 제외된 지역에 대한 협력관계 유지방안 검토
[ "지역발전을 위한 주민지원사업에서 체육공원 조성을 위해 추진하는 것은 무엇이니", "야생화단지 조성공사에서는 주민 협의의견 등을 감안하여 사후관리를 위해 무엇을 추진할까" ]
unanswerable
39da4758-4ebc-48b0-8a85-85bbc413df27
눈엣가시 생태계 위해 외래종, 놀라운 반전을 꿈꾸다
눈엣가시 생태계 위해 외래종, 놀라운 반전을 꿈꾸다 전문용어 설명 ㅇ 야생생물천연물은행(Wildlife Natural Products Bank):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에서 운영하는 소재은행 중 하나로서, 야생생물 유래 혹은 기원으로 하는 생체시료로부터 활성성분을 추출하여 야생생물의 연구를 통한 산업화 소재로의 활용 지원을 하는 곳이다. 내부 및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산학연 연구자에게 야생생물 유래 천연물을 무상으로 분양하고 있다. ㅇ 생태계교란 생물: 외국으로부터 인위적 또는 자연적으로 유입되었거나 유전자 변형을 통해 생산된 생물체 중에서 생태계 균형에 교란을 가져오거나 우려가 있는 야생생물로 포유류 1종, 양서파충류 2종, 어류 2종, 곤충류 1종, 식물 12종 등 총 18종이 지정(환경부 장관)되어 관리되는 종을 의미한다. ㅇ 허피스 바이러스(Herpes Virus): 인체 허피스 바이러스 대부분은 70%~90% 이상의 높은 감염률을 나타내며, 한 번 감염되면 잠복 감염과 면역기능 저하에 따라 발현을 반복하여 평생 동안 감염성을 유지하는 대표적 만성 바이러스다. ㅇ 분획물: 다양한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성분 또는 특정 그룹을 분리하는 분획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물질군(material group)을 의미 ㅇ 치주염: 치아를 둘러싼 지지조직에 생긴 염증으로 치태(microbial plaque)내의 세균 및 독소에 의해 발생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 "환경부에서 연구한 생태계교란 생물의 외국으로부터 유입은 몇 퍼센트일까", "생태계교란 생물의 몇 퍼센트가 유전자 변형을 통해 생산되었지" ]
unanswerable
87304ae9-3ad4-4658-9eb9-97db7f366466
감자걀쭉병 방제 실시
감자걀쭉병 방제 실시 ☐ 농림수산식품부는 2월 22일 학계 및 관계부서 전문가들과「외래병해충 방제대책 회의」를 개최하고, 감자걀쭉병 감염이 의심되는 감자를 모두 폐기(매몰)하기로 하였다고 밝혔다. ☐ 감자걀쭉병(PSTVd)은 “걀쭉바이로이드”의 감염에 의한 병으로 접촉 및 영양체(씨감자)를 통하여 전염되며, 걀쭉병이 걸리면 감자가 기형이 되고, 수확량이 감소(25∼40%)하므로 감자생산농가에 큰 피해를 줄 수 있어 감자업계에서는 감자의 “구제역”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 특히, 감자걀쭉병은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발생하지 않아 동병이 발생하는 중국·미국·뉴질랜드 등으로부터 감자의 수입을 제한할 수 있었다. ☐ 이번 방제대상은 감자걀쭉병 감염이 우려되는 주식회사 포테이토밸리에서 생산·공급한 씨감자 및 조직배양한 미니씨감자 등이며, 오염의 우려가 있는 동 업체의 실험실과 시설도 포함된다. ☐ 농식품부는 주식회사 포테이토밸리에서 구입한 씨감자를 가지고 있는 농가는 3월말까지 해당 시·군에 모두 신고하여 줄 것을 당부하였다. ☐ 이와는 별도로 농촌진흥청, 식물검역원 등에서 감자걀쭉병 발생 관련 관계전문가 합동 역학조사를 실시하고 유통되는 감자의 걀쭉병 분포를 조사할 계획이다. ☐ 아울러, 농식품부는 감자걀쭉병과 같은 식물의 외래병해충을 효율적으로 방제할 수 있도록, 식물방역법 및 종자산업법 등 관련 법도 보완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포테이토밸리는 씨감자를 어느 나라에서 구입했지", "한국에서 발생한 감자꺌쭉병 감염은 어느 나라로부터 수입한 감자에 의해 발생했을까" ]
unanswerable
4ddd39dc-df00-4f46-bacb-388a88f5ef95
체감 환경질 개선을 위한 실용 환경연구,10개년 환경연구 로드맵에 따른 고급연구로 전환
체감 환경질 개선을 위한 실용 환경연구, 10개년 환경연구 로드맵에 따른 고급연구로 전환 2. 체감 환경질 개선을 위한 실용 환경연구 강화 □ 국민이 연구성과를 직접 체감 할 수 있도록 대도시 지역 오존․미세먼지 문제, 수질환경기준의 선진화, 수돗물 신뢰향상 및 물맛 개선 등 실용 환경연구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 우선 산성강화물 모니터링, 대도시의 오존․미세먼지 발생기작 규명, 악취물질별 농도와 취기강도간 상관성 분석 등 대기오염 물질의 조사․분석을 통하여 적정한 대책을 제시하고, ○ 개편 될 수질환경기준에 따른 수역구간별 적용수질등급, 수역구간 조정 방안 제시, 수생태 건강성 평가, 부영양화 및 퇴적물 등의 조사․평가지침 개발 등 수질환경기준 개편에 따른 후속연구를 체계적으로 추진한다. ○ 또한, 수돗물의 안전성 제고를 위해 납․카드뮴 등 유해중금속 수질기준은 강화하고, 경도․아연․보론 등의 수질기준은 합리적으로 조정하여 국민들의 신뢰를 향상시킬 것이다. □ 총량관리제의 성공적 착지를 위해 오염원 예측평가 및 기술지원, 오염물질 및 배출원관리 등 과학적 연구기반을 구축할 것이다. ○ 수도권 총량대상 사업장에 대한 배출오염물질 총량할당 기준(안)제시, 배출원 특성 및 분류체계를 고려한 대기질 예측시스템 개발 등 수도권 대기환경대책을 연구하고, ○ 제2차(2011~2015) 오염총량관리 시행방안 마련, 수질총량관리 연구요원 증원(7명) 등 수질총량관리제의 안정적 정착을 위하여 적극적인 기술지원을 추진해 나갈 것이다.
[ "대도시 지역 국민이 지역의 미세먼지 문제와 수질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제시한 대책은 무엇일까", "증원된 수생태 건강 관리 연구요원이 제시한 수도권 퇴적물 관리 대책은 무엇이니" ]
unanswerable
0065791b-ec5c-4420-8e45-1db70adb3d9d
(참고) 지속가능한 사람·자연 중심 예산, 2018년도 환경부 예산안 및 기금안 편성
“지속가능한 사람․자연 중심 예산” 2018년도 환경부 예산안 및 기금안 편성 가뭄 대책사업 사업 □ 연례적 가뭄에 항구적으로 대비하기 위하여 상수도시설 확충사업*, 하수처리수 재이용사업** 등을 적극적으로 증액 편성하였으며, * 상수도시설 확충․관리 : (17) 3,866억원 → (’18) 4,013억원 ** 하수처리수 재이용 : (17) 321억원 → (’18) 425억원 ○ 유수율 제고로 가뭄에 대비함은 물론, 수돗물 오염도 방지하기 위하여 ‘17년에 착수한 노후상수도 정비사업*도 큰 폭으로 증액하였다. * 노후상수도 정비 : (’17) 512억원 → (’18) 1,075억원 생태계 보전․복원․이용 사업 □ 자연 생태계를 보전․복원하고, 현명한 이용을 도모하는 예산도 적극 편성하고자 노력하였다. ○ 자연자원 총량제의 기반이 될 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 등 조사사업 예산이 신규로 6억원 반영되었으며, 생태계 훼손지 복원사업도 94억원에서 98억원으로 증액하였다. ○ 하천의 수질과 수생태계를 모니터링하고 자연성 회복을 강구하기 위한 예산도 382억원에서 458억원으로 증액하였다.
[ "환경부는 2017년도에 자연 생태계 복원사업에 얼마의 예산을 편성했지", "하천의 수질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2018년 환경부는 얼마의 예산을 증액했니" ]
unanswerable
9f3e39db-4454-47ce-ab10-d78bc470a8ce
사람도 동물도 안전한 도로, 운전자와 함께 만든다
사람도 동물도 안전한 도로, 운전자와 함께 만든다 질의응답 1. 동물 찻길 사고 예방을 위한 홍보방향은? ○ 로드킬 집중예보제 시행, 로드킬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 내비게이션 안내 및 홍보캠페인 등을 통해 사전예방을 강화 - (로드킬 집중 예보제 시행) 로드킬이 집중적으로 발생되는 시기(5월, 11월)에 언론, 도로전광판, 내비게이션 등을 이용하여 집중홍보 실시 -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 로드킬 담당 기관과 업체 및 운전자 대상으로 로드킬, 생태통로 인식증진 및 예방 교육프로그램 개발 - (로드킬 정보제공 등을 통한 사전예방 강화) 로드킬 집중발생 구간 내비게이션 안내, 운전자 예방교육, 홍보캠페인 등 실시 2. 동물 찻길 사고 정보시스템이 구축된 것으로 알고 있는데 현재 추진 사항은? ○ 지난 5월 환경부·국토교통부 공동으로 「동물 찻길 사고 조사 및 관리지침」을 시행하고, 스마트폰 앱(APP)을 기반으로 한 로드킬 조사(도로기관) 및 분석(국립생태원)을 위한 “동물 찻길 사고 정보시스템”을 구축한바 있음. - 현재, 도로관리기관 도로 순찰원에게 조사용 앱을 배포하여 동물 찻길사고 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자료가 축적되면 동물 찻길사고 다발 구간에 대한 정밀 조사와 저감대책을 마련할 계획 - 아울러, 연내 동물 찻길 사고 정보시스템 2단계 구축을 통해 대국민 정보제공 및 예방 홍보를 병행할 예정임 3. 고속도로 동물 찻길 사고 현황은? ○ 2017년도 고속도로에서 1,884건의 야생동물 찻길 사고가 발생 함
[ "도로 순찰원이 조사용 앱으로 찻길사고 조사를 실시한 것은 언제야", "로드킬 예방교육 프로그램은 언제 개발됐어" ]
unanswerable
c653b171-a38b-4ca5-b13e-f90b0a6134a3
국립공원으로 떠나는 봄꽃 나들이 어때요?
국립공원으로 떠나는 봄꽃 나들이 어때요? ◇ 3~4월 국립공원별 봄꽃 탐방 적정시기와 관찰 장소 소개 질의응답(Q&A) 국립공원별 봄꽃 탐방 적정시기와 관찰 장소 관련 Q&A 1. 식물의 개화와 절정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ㅇ 기상청에서는 기상관측소내의 표준관측목을 기준으로 작은가지에 많은 꽃이 피는 다화성 식물의 경우 한 개체에 3송이 이상이 피었을 경우 개화라고 합니다. ㅇ 절정의 시기 또한 표준관측목을 기준으로 한 개체에서 80%이상 꽃이 피었을 경우를 절정 시기라고 칭합니다. ㅇ 국립공원에서의 개화시기는 기상청 발표와 다르게 나타 날 수 있는데 대부분의 국립공원의 해발고도가 높고 계곡의 영향으로 기상관측소의 기온과 상이하기 때문입니다. ㅇ 국립공원에서도 벚나무, 산수유나무 등 다화성 식물의 경우 한개체에 3송이 이상 피었을 경우 개화로 판단하며, 한 개체에 하나의 꽃이 피는 단화성 식물과 초본류인 야생화의 경우 그 개체 중 가장 빨리 핀 시기를 개화로 판단합니다. ㅇ 절정의 판단도 벚나무와 같은 다화성 식물의 경우는 기상청 기준과 같으며(한개체의 80%이상 개화), 단화성 식물 및 초본류인 야생화의 경우 군락을 이루거나 해당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개체중 80%이상이 꽃을 피웠을 경우 절정으로 칭합니다.
[ "야생화의 경우 한 개체에 꽃이 3송이 이상 피었을 때 개화로 판단하는 기관은 어디야", "어떤 기관이 군락을 이룬 다화성 식물 중 80퍼센트 이상이 꽃을 피웠을 경우를 개화라고 칭하지" ]
unanswerable
6d8599a5-8e55-4d0f-8a08-ba3fb0abaddb
(참고) 지속가능한 사람·자연 중심 예산, 2018년도 환경부 예산안 및 기금안 편성
“지속가능한 사람․자연 중심 예산” 2018년도 환경부 예산안 및 기금안 편성 2018년도 환경부 소관 예산(안) 개요 다. 부문별 주요사업 2. 자원순환 부문  자원순환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기반 구축 ○ 「자원순환기본법」 시행(‘18.1월)에 따른 자원순환 성과관리, 순환자원 인정제도 등 새로운 자원순환 촉진제도 추진(‘18년 신규 10억원) ○ 생활폐기물 중 재활용가능 자원을 선별하는 매립 전처리시설을 설치하여 폐기물 매립량 감축 및 재활용 확대(‘18년 신규 22억원) ○ 농어촌지역 등 분리배출 취약지역 배출환경 개선(’18년 14억원)으로 생활폐기물 재활용 확대 및 재활용품 수집·처리비용 절감 ○ 재활용 및 업사이클센터 설치, 영세 재활용 업체 융자 지원, 자원순환정보시스템구축 등으로 재활용산업 적극 육성 * 재활용 및 업사이클센터 설치(´18년 2억원), 재활용산업육성융자(‘18년 1,284억원), 자원 순환정보시스템 구축·운영(´18년 71억원) ○ 친환경에너지타운 조성 확대(‘17년 110억원 → ’18년 113억원), 폐자원 에너지화 기술개발(‘18년 72억원)로 폐자원 에너지화 촉진  폐기물 처리시설에 지속 투자 ○ 신설투자 필요성을 엄격히 검토하여 과잉투자를 억제하면서, 노후시설 개량 및 광역화 위주로 폐기물 처리시설 투자 지속('18년1,270억원)
[ "2018년에 110억원의 예산으로 무엇의 조성을 확대하려 하니", "2017년에 2억원을 들여서 설치하려는 게 뭐야" ]
unanswerable
cafc226b-96e9-4e65-9c0c-b13fbf0580b3
국립공원으로 떠나는 봄꽃 나들이 어때요?
국립공원으로 떠나는 봄꽃 나들이 어때요? ◇ 3~4월 국립공원별 봄꽃 탐방 적정시기와 관찰 장소 소개 전문 용어 설명 ㅇ 겟메꽃 : 중부지방 이남의 바닷가 모래땅에 흔하게 자라는 덩굴성 여러해살이 풀로 지름 4~5cm의 분홍색 꽃이 핀다. 바닷가 모래땅에 흔하게 자라는 해안 사구식물이다. 해안 사구에서만 자라는 생육특성으로 인해 해안 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ㅇ 히어리 : 전라남북도와 경상남도 지리산 일대에 분포하는데, 특이하게 경기도 포천군 백운산에서도 나타난다. 잎이 달리기 전에 노란색 꽃이 피며, 끝은 뾰족하나 아래는 심장처럼 생긴 잎이 달리며, 식물 전체에 털이 거의 없으며 산의 하천가 주변의 약간 습한 곳에서 주로 서식한다. 2005년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Ⅱ급 지정되었으나, 서식지 추가 발견 등으로 2012년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해제되었다. ㅇ 모데미풀 : 지리산 이북 높은 산에 자라는 다년생 초본으로 습도가 높은 곳에서 잘 자란다. 지리산 남원 운봉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다고 하여 그곳 지명인 ‘모데기’를 따서 모데미풀이라 이름 지었다고 한다. ㅇ 동의나물 : 우리나라 각처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으로 키는 약 50cm이고 노란색 꽃은 줄기 끝에서 1~2송이가 달린다. ㅇ 생강나무 : 산지의 계곡이나 숲 속의 냇가에서 자란다. 높이는 3∼6m이고, 나무 껍질은 회색을 띤 갈색이며 매끄럽다. 한국. 일본과 중국 만주에도 분포하며, 전국의 표고 100-1600m까지 자생한다. 나무에서 생강냄새가 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 "중부지방 이남의 산지 계곡이나 숲 속 냇가에서 자라는 덩굴성 여러해살이 풀이 뭐야", "해안 사구에서만 자라는 생육특성으로 인해 2005년 멸종위기 식물 2급으로 어떤 식물이 지정됐어" ]
unanswerable
5fd2b53c-9ff8-437e-a18f-07ada3266573
토양중 휘발성물질과 피씨비, 정밀분석방법 확립[국립환경과학원]
토양중 휘발성물질과 피씨비, 정밀분석방법 확립 □ 국립환경과학원(원장:***)은 토양중 휘발성물질(BTEX)을 기존의 1/50 수준의 낮은 농도까지 측정하고, 절연유 피씨비(PCBs)를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시험방법을 마련하여 토양오염관리에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고 밝혔다. ※ BTEX(벤젠․톨루엔․에틸벤젠․크실렌) : 접착제․페인트의 용매류외에 가솔린 등 유류의 구성 성분 PCBs(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 : 주로 변압기의 절연유로 사용된 물질 □ 현행의 시험방법(가스크로마토그래프-이온화검출법)으로는 휘발성물질의 경우 BTEX 4종의 총합 농도로 500ppb 이상을 측정할 수 있었으나, ○ 새로이 확립한 가스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법은 개별 물질별로 10ppb까지 측정할 수 있을 정도로 정확해졌다. ※ 질량분석법 : 분자량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물질을 확인하는 방법 □ 현행 시험방법(총피크패턴법)에서 절연유 피씨비(209종의 이성체가 있음)는 모든 이성체를 측정하기 때문에 절연유에 혼입되어 있는 방해물질의 영향으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반면, ○ 새로운 시험방법인 이성질체 측정방법은 기존 시험방법에 분석조건(황산처리, 회수율범위 등)을 추가하고, 방해물질의 영향이 적어 분석 정확도가 높은 이성체 13종만을 측정한 후 절연유의 조성(성분별 혼합비율)으로부터 총PCBs 농도를 산출해 내는 방법으로 방해물질이 많이 혼입된 시료에서는 분석의 정확도가 높아진다. ※ 이성체 : 한 부류의 화합물을 구성하고 있는 유사한 구조의 물질들 ※ 총피크패턴법 : 피씨비 이성체(209종) 중 검출되는 모든 성분을 측정하는 방법 ※ 이성체측정법 : 피씨비 이성체중 주요 성분(13종)을 측정하는 방법
[ "피씨비 이성체중 주요 성분 4종만을 측정하는 방법은 뭐야", "총피크패턴법은 벤젠처리와 회수율범위를 추가한 방법은 무엇이니" ]
unanswerable
2d5f4513-f7ea-40c9-b617-59b184e928a5
6월 부산 회의에서 생물다양성 국제기구 설립 결정
6월 부산 회의에서 생물다양성 국제기구 설립 결정 IPBES 개요 □ 제3차 정부간회의 개요 ○ 명칭 : 제3차 IPBES 정부간 및 이해관계자 회의(The 3rd Ad hoc Intergovernmental and Multi-stakeholder Meeting on an IPBES) ○ 기간 및 장소 : 2010년 6월 7일 ~ 11일(5일간), 부산 벡스코 ○ 참가규모 : 100여개국 정부대표, 관련 국제기구․국제민간단체대표 등 4백여명 예상 ○ 주관 : 환경부․UNEP 공동 ○ 주요의제 : IPBES 설립 결정 및 향후 설립절차․기능 등 검토 IPBES 논의경과 o 명칭 :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서비스에 관한 정부간 과학-정책기반 Intergovernmental Science-Policy Platform on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o 성격 : 기후변화의 IPCC와 유사한 형태의 생물다양성 분야 전문기구 o 경과 및 전망 - ‘05-’07년간 생물다양성분야 전문가회의에서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 서비스 보전․이용 및 이에 따른 가치평가 등 과학적 기반제공 필요성 제기 - ‘08-’09년간 UNEP 주관하에 2차례의 정부간회의(‘08.11, ’09.10) 개최 - 이번 제3차 회의에서 IPBES 설립 권고문을 채택하여 이를 유엔총회에 상정하여 최종 확정․설립 추진 예정
[ "2010년 6월 11일부터 5일간 어디에서 제3차 정부간회의가 개최됐는가", "400여 명의 정부대표가 참석한 제3차 정부간회의는 어디에서 진행됐지" ]
unanswerable
ab319f38-16af-4f08-9bdc-bbb5ded60731
환경관리공단 2008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
2008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 1. 환경질에 대한 종합적 관리 1-1. 환경자동측정망 관리 □ 수도권대기총량관리시스템 운영 ○ 1단계(’07~’12) : 1종 사업장 173개소 ­’08년도는 먼지항목 대상사업장을 제외한 116개소 관리 ※ 질소산화물(105개소) 및 황산화물(59개소) 배출사업장 관리 ○ 총량제 시행에 따른 정책지원 ­1단계 사업장 먼지할당계수 및 최적방지시설 기준농도 보완 2단계(’09~’14) 사업장 할당계수 및 최적방지시설 기준농도 설정(2~3종 사업장 788개소) □ 자동차 환경사업 ○ 자동차 배출가스 종합전산시스템 구축 전산시스템 설계 및 전산실 기반공사 ○ 운행차 배출가스 원격측정장비(RSD)의 시범운영 ○ 개별 수입자동차 배출가스 및 소음 인증시험 각 3,000대 계획 1-2. 환경오염 정밀조사 및 개선‧정화 □ 다이옥신 등 유해물질 측정․분석 및 연구사업 ○ 다이옥신 측정․분석 373건 계획 ○ 악취물질 측정․분석 200건 계획 ○ 스톡홀름협약 이행 관련 정부대행사업 수행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 배출원·배출량조사 등 □ 토양오염도 조사 및 정화 ○ 국가산업단지 등에 대한 토양정밀조사, 정화검증 등 17개소 계획 ○ 주유소 등에 대한 토양오염도 검사 7,800건 계획 □ 비점오염원 관리 ○ 한강수계 비점오염원 모니터링 수행(25개소) ○ 금강 및 영산강수계 비점오염시설 설치사업(12개소) 등 □ 토지매수관리․정보시스템 구축 및 생태복원사업 등 ○ 한강 및 영산강수계 토지매수관리․정보시스템 구축 ○ 낙동강수계 매수토지 생태복원사업(2․3차) 추진 ○ 생태하천복원 시범사업(하남시 산곡천 등 2개소) 추진
[ "환경오염 정밀조사 및 개선을 위해 질소산화물 측정 분석을 국가산업단지에서 몇 건 계획하고 있니", "한강수계 토양오염도 조사를 위한 검사를 국가산업단지에서 몇 건을 계획하고 있을까" ]
unanswerable
3899a42d-1942-4d61-b95b-d6bb31278b25
태안 유류유출사고 단기 건강영향조사 중간결과
태안 유류유출사고 단기 건강영향조사 중간결과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로 인한 급성건강영향조사 중간결과 2. 주민 및 자원봉사자에서 건강영향 2) 주관적 신체증상 ○ 주민의 경우에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각종 증상에서 그 보고율이 낮아지지 않거나 오히려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자원봉사자의 경우에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증상 보고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음. ○ 주민의 경우 방제작업일수가 많을수록 각종 신체증상의 호소위험이 증가함. 이 중 특히 시신경증상, 코증상, 가슴두근거림, 피로 및 열, 근골격계, 중추신경계 증상 및 요통은 방제작업일수가 증가할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상호소가 많아짐. 자원봉사자의 경우, 방제작업 시간 증가에 따라 일부 신체증상(피로 및 열)의 호소가 많아짐. ○ 피부에 기름이 묻은 정도와 주관적 신체증상 호소 사이에는 몇 가지 증상에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음. 즉 피부에 기름이 많이 묻을수록 코증상, 목증상, 피부자극, 피로 및 열, 중추신경계증상 및 요통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음. ○ 주민의 경우에 필터마스크를 착용한 경우 일부 증상(목증상, 피부자극증상, 복부증상, 피로 및 열) 에서 보호효과가 있었음. 자원봉사자의 경우에 방제복 착용이 눈자극증상, 피부자극증상, 근골격계 증상에 보호효과가 있음을 보였음. 즉 장기반복적 작업에는 필터마스크가, 단시간 방제작업에는 방제복이 증상보호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음
[ "태안 주민은 방제복을 착용하여 어느 증상에 보호효과를 봤지", "필터마스크를 착용한 단시간 방제작업 자원봉사자는 어느 증상에 효과를 봤니" ]
unanswerable
42893ea0-07b6-4488-8b48-9088e7ac634f
「4대강 수생태계 건강성 증진 국제 심포지엄」개최
「4대강 수생태계 건강성 증진 국제 심포지엄」개최 4대강 수생태계 건강성 증진 국제 심포지엄 계획 □ 개최 목적 ○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의 하천 생태계 복원 정책책임자 및 관계전문가 등을 초청, 국내외간의 관련 정보 및 기술사례 등 교류 ○ 4대강사업의 긍정적 이미지 확산과 향후 수질 및 생태계건강성 증진 방안 등을 논의, 관련 정책의 발전방향 모색 □ 심포지엄 개요 ○ 행사명 : 2011 4대강 수생태계 건강성 증진을 위한 국제 심포지엄 ○ 일시 : 2011.8.29(월)~ 31(수) ○ 장소 : 대전 컨벤션센터(금강 살리기 사업구간(갑천) 인접) ○ 참석대상 : 약 400명 - 국제기구 담당관, 외국(미국,유럽,일본 등) 및 국내 하천복원전문가, 정책 책임자 - 자치단체, 지방환경청 등 하천 생태계 복원 관련 공무원 등 ○ 행사주최 :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행사주관 : 수생태복원사업단 외 8개 기관 (강원대, 한라건설, 한화건설, 현대건설, 포스코건설, 환경시설관리공사, 한설그린, 신강하이텍)
[ "2011 4대강 수생태계 건강성 증진 심포지엄에 미국과 일본의 하천 생태계 복원 관계전문가 몇 명을 초청했지", "2011 4대강 수생태계 건강성 증진 국제 심포지엄에 한국의 하천 생태계 복원 관련 공무원 몇 명이 참석했어" ]
unanswerable
c5fe15bf-34e5-425a-a2c9-959fbd9ee774
민물고기 11종 유전자 분석…동자개 등 6종 수계별 특성 뒤섞여
민물고기 11종 유전자 분석…동자개 등 6종 수계별 특성 뒤섞여 연구대상 어류 설명 9. 모래무지 ■ 형태적 특징 몸은 크기 12~25cm 정도이며 원통형으로 길고 몸 뒤쪽으로 갈수록 점차 가늘어진다. 머리와 주둥이가 길며 입은 머리의 아래쪽으로 향해 있다. 입의 아래턱이 위턱보다 짧으며 한 쌍의 수염이 있다. 비늘은 큰 편이며 옆줄의 비늘 수가 40~44개이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는 거의 정삼각형의 모양을 띤다. 몸의 옆에는 8~9개 정도의 커다란 검은 반점이 있으며 반점의 경계는 뚜렷하지 않다. 미병부는 낮고 옆으로 납작하다. ■ 서식지 및 식성 물이 맑고 모래가 깔린 바닥에 살거나 때로는 모래 속에 파고드는 습성을 가지고 있다. 모랫바닥을 스치면서 수서곤충과 소형동물을 모래와 같이 섭식한 후, 모래는 새개 밖으로 뿜어내고 먹이는 삼킨다. ■ 산란 습성 산란기는 5~6월이다. 모랫바닥에 산란한 후, 알을 모래로 덮는다. ■ 분포 및 실태 우리나라 서해와 남해 연안으로 흐르는 한강, 낙동강, 섬진강, 영산강, 만경강, 금강 및 삼척 오십천 등에 널리 서식한다. 중국, 일본에도 분포한다. 출처 : https://species.nibr.go.kr/index.do(한반도의 생물다양성), https://www.naris.go.kr/main.do(국립중앙박물관)
[ "정삼각형의 모양을 띠는 모래무지는 뒷지느러미 옆에 몇 개의 비늘 수를 가지고 있니", "낙동강에 서식하는 모래무지의 입은 위턱이 아래턱보다 짧으며 등지느러미에 몇 개의 비늘 수를 가지고 있어" ]
unanswerable
7eb29b33-85f7-4f22-8b74-4ede8a5927e4
유증기, 안전하게 회수하는 환경신기술 선보여
유증기, 안전하게 회수하는 환경신기술 선보여 □ 연간 국내에서 사용되는 휘발유의 유증기를 모두 이번 기술로 액화 회수한다고 가정한다면 약 1,160만리터 휘발유를 재활용할 수 있는 등 에너지 절감 효과도 거둘 수 있다. ※ 휘발유 재활용 1,160만리터 근거 : 2013년도 기준 총 7,341만 배럴(116억리터)×0.1%/자료 출처: ‘2014 에너지통계 연보’_에너지경제연구원 발간 □ 이번 기술은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주관하는 ‘미래유망 녹색환경기술 산업화 촉진사업’에서 지원한 ‘주유소 대상 휘발성유기 화합물질(VOCs) 대기환경오염 방지 및 액화회수설비 실증화’ 연구 과제로서 2012년 7월부터 약 12억원을 투입하여 기술개발을 추진해 온 성과다. □ 이번 유증기 액화회수 기술은 국내뿐만 아니라, 특히 더운 날씨로 인해 유증기 발생량이 많은 동남아 국가 등 해외시장에도 수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실제로 ㈜동명엔터프라이즈는 지난 7월 인도네시아 주유소협회(HISWANA MIGAS JAKARTA)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소재의 주유소에 유증기 액화장치를 설치해 시범운영을 진행하며 본격적인 해외 진출에 나서게 됐다. □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원장은 “국내의 우수 환경신기술이 환경신기술 인증을 통해 국내 내수시장의 확보 뿐만 아니라 해외시장 진출의 시작이 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소재의 주유소에 유증기 액화장치 설치하는 데 투입된 돈은 얼마야", "인도네시아 주유소협회는 유증기를 설치해서 얼마의 에너지 절감 효과를 거뒀어" ]
unanswerable
3a4b80f5-c8bf-4d24-8725-501a5d1a9002
솔로몬 티나 강 수력발전사업 착공 '청신호'
솔로몬 티나 강 수력발전사업 착공 ‘청신호’ 솔로몬제도 티나 강 수력발전사업 개요 1. 사업 개요 □ 총사업비 : 2억1천1백만USD (약 2,500억 원) □ 시설용량 : 15MW (5MW × 3기), 연간발전량 85.7GWh □ 사업기간 : 34년 9개월(건설관리 4년 9개월, 운영관리 30년) □ 사업지역 : 솔로몬제도 수도 호니아라市 남동쪽 20㎞ (티나 강 유역) □ 시설개요 ◦ 댐 제원 : 높이 71.5m, 길이 219m, 저수용량 7백만㎥ ◦ 도수터널 : 폭 3.5m, 높이 3.5m, 길이 3.25㎞ ◦ 진입도로 : 폭 4.5 ~ 7.0m, 길이 21.73㎞ (기존도로 13.2㎞ 보수 포함) 2. 솔로몬제도 전력공급 현황 □ 전체 인구(약 616천명)의 약 10%, 수도 호니아라는 전체가구(약 70천명)의50% 정도만 전력망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고 있음
[ "솔로몬 티나 강 수력발전사업이 몇 퍼센트 진행됐지", "수도 호니아라 진입도로는 몇 퍼센트 보수를 마쳤어" ]
unanswerable
82c0c4a6-ab15-447b-a2c9-47568452e753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 창립 20주년 기념식 개최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 창립 20주년 기념식 개최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 20주년 기념식 개요 □ 행사개요 ㅇ (행사명)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 20주년 기념식 ㅇ (일시) 2018. 11. 1.(목) 15:00~16:00 ㅇ (장소) 더케이호텔 서울(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 2층 그랜드볼룸 ㅇ (참석자) 2,000명 - 국회 보건복지위원, 보건복지부 권덕철 차관, 사회복지단체장, 사회복지계 원로, 노인복지 유공자 및 그 가족, 노인복지관 이용 어르신 및 종사자 등 ㅇ (내용) 노인복지 유공자 포상, 기념영상 상영, 퍼포먼스, 부대행사 등 * 2018. 10. 31.(수)~11.2(금) 3일에 걸쳐 기념행사 진행, 노인문화예술 발표제, 전국노인복지관대회(기념식, 노인복지종사자워크숍), 각종 부대행사 □ 추진방향 ○ (기념식) 노인복지관 30년, 협회 20년을 이룬 노인복지 종사자들의 헌신과 노력을 조명 ○ (포상) 노인복지증진을 위해서 기여한 노인복지 종사자들을 격려 ○ (부대행사) 과거, 현재, 미래를 테마로 고령친화산업 전시, 노인작품 전시회 등 다채로운 행사 및 체험 프로그램 진행 ○ (대외홍보) 전국 노인복지관과 연계하여 기념행사 취지 및 방향 연중 홍보
[ "노인문화예술 발표제의 진행을 맡은 사람은 누구야" ]
unanswerable
91b5b10c-aaa7-4cdd-9588-22ce13411f76
서울형 타운매니지먼트사업(서초동) 보조금 교부 계획
서울형 타운매니지먼트 자치단체(서초구) 보조금 교부계획 Ⅲ 사업계획(안) : **********  거버넌스 구축, 지역활성화 프로그램 운영 (2021.5.∼10.) ○ (필요성) 조직체계 구축, 관리문화지구 운영으로 지역주체 참여 유도 ○ (사업내용) - TM 운영을 통한 조직체계 구축 및 운영규약 수립 등 - 타운매니지먼트 제도 이해를 위한 전문 교육 시행 - 정기회의 개최, 구성원 현행화, 공동체 활동 지원 등 ○ (소요예산) 자치단체경상보조금 ***** - 거버넌스 운영용역 등 ***** - 지역활성화 프로그램 기획 및 실행 *****  ‘서리풀악끼거리’ 디자인거리 조성 (2021.6.∼11.) ○ (필요성) 물리적 환경 개선 및 통합 운영관리 등으로 공간 가치 향상 ○ (사업내용) 남부순환로317길, 반포대로1, 7, 9길, 신중어린이공원 주변 정비 - 음악벤치, 서리풀악끼거리 상징조형물 설치 - 건물 외벽 음악소재 예술 벽화 조성(모집공고 통해 3~4개소 선정) - 서리풀악끼거리 디자인 아이디어 공모를 통해 디자인 개발 및 공간 조성 ○ (소요예산) 자치단체자본보조 ***** - 문화지구 상징조형물 설치 ***** - 거리 부대시설 디자인 제작 및 설치 **** ※ 교부되는 예산범위 내에서 해당 사업지 특성에 맞게 사업추진 Ⅳ 교부계획 ○ 회계명 : 일반회계 ○ 예산과목 : 도시기능 회복 및 활성화, 도시환경정비, 서울형 타운매니지먼트 운영, 자치단체경상보조금(100-308-01) 및 자치단체자본보조(100-403-01) ○ 교부대상 : 서초구(문화관광과) ○ 교부금액 : ****** ********************************* ○ 교부시기 : 본 방침 시행일 이후 즉시시행
[ "2021년 5월부터 10월까지 조성되는 디자인 거리 이름은 뭐니", "타운매니지먼트 기획으로 지역활성화를 위해 만들어진 거리는 뭐야" ]
unanswerable
c59ca4a0-62fd-4610-9efc-aadc63e17ed4
폐가전제품 무상 방문 수거 성공적인 제도로 자리매김
폐가전제품 무상 방문 수거 성공적인 제도로 자리매김 질의응답 ① 무상방문수거사업에 대하여 국민들이 충분히 인지하고 있는지, 그렇지 않다면 이에 대한 대책은? '14년 전국 확대 시행이후 무상방문수거 사업의 국민 인지도 제고를 위해 TV, 라디오, 영상물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집중홍보를 추진하고 있으며, - 지자체 등에서는 전단지, 리플릿, 현수막 등 주민접점 홍보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집중홍보 추진결과, 폐가전 수거실적은 '14년말 약 35만대, '15.9월 현재 55만1천여대로 상당한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추후에도 국민들이 제도를 알지 못하여 이용하지 못하는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꾸준히 홍보하겠습니다. 무상 방문수거 홍보추진 실적 및 계획 ○ ('14년 실적) 공익광고(’14.1.1∼31, 두시탈출 컬투쇼 총 62회 송출), TV시사 프로그램(KBS 굳모닝 대한민국, SBS 까칠한 똑기자), 보도자료(‘14.2.7, 4.9),공중파 TV, 케이블, 라디오 광고('14.9∼12), 주민접점 광고(현수막, 리플릿, 전단지 배포 등) ○ ('15년 실적) (보도자료) 폐가전 무상방문수거 전국확대(5.4), (라디오) 컬투쇼 등 인기 프로그램 청취 시간대(6월), 정부 3.0 박람회 참여 홍보부스 운영(4.30∼5.2), 현수막, 전단지, 리플릿 등 홍보물 배포(6월), (동영상) 부처 정책홍보(프레스센터, 광고문화회관 내 모니터 23개, 6월), (공익광고) 주부 시청 시간대 활용(공중파 TV, MBC 드라마넷 5월, KBS 9∼10월) 등 ② 국민만족도가 99% 이상이라고 하는데, 만족도 조사는 어떻게 하였나? 무상방문수거 서비스를 이용한 국민들을 대상으로 직접 전화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99% 이상의 국민이 만족을 나타냈습니다. * (국민만족도) ‘13년 99.6%, ‘14년 99.8%, ‘15. 9월말 99.9% ③ 물량비용 과다 등의 이유로 도서지역은 무상수거를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에 대한 대책은? '14년 도서지역 주민 편의제공을 위해 민·관·군 합동 무상수거 캠페인을 추진하였으며, 올해는 도서지역 무상수거 정례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15.5∼)
[ "2014년 9월 무상수거된 폐가전 TV는 몇 대니" ]
unanswerable
5f5695f9-2b87-4c9c-8c01-6151664ca5c3
캐나다산 쇠고기 관련, 2차 한·캐 기술협의 개최 (2)
캐나다산 쇠고기 관련, 2차 한․캐 기술협의 개최 (2) ☐ 농림수산식품부는 캐나다산 쇠고기 수입재개 관련 제2차 한․캐 기술협의의 양국 수석대표 및 개최장소를 발표하였다. ○ 우리측 수석대표는 농식품부 동물방역팀장 장기윤이며, 캐나다측 수석대표는 캐나다 식품검사청(CFIA) 가축방역팀 수의관 Garry Little임 ○ 제2차 한․캐 기술협의는 ‘08.11.3(월)~11.4(화)일간 경기 안양 소재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서 개최할 계획임 ☐ 이번 2차 한․캐 전문가 기술협의는 ‘07.11월 개최된 제1차 전문가 기술협의의 연장이라고 농식품부 관계자는 설명하였다.
[ "2008년 11월 3일에 제1차 전문가 기술협의를 누가 개최했니", "캐나다측 가축방역팀 수의관은 누구에게 쇠고기 수입재게 관련 2차 기술협의 개최 장소를 발표했어" ]
unanswerable
1a36d655-5cef-4d72-8818-c9f2e5a1c605
생활소음 대폭개선 추진(2006~2010년)
생활소음 대폭개선 추진(2006~2010년) ◦ 민원이 가장 많은 공사장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공사장의 공휴일 소음규제기준을 강화(5dB)하여 ’06.1월부터 시행하며, 건설기계 소음을 근본적으로 줄이기 위하여 소음도표시의무제를 ’08.1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 또한 2006년에는 저소음공법 등 공사장 소음관리 지침서를 제작하여 배포할 계획이며, 공사장규제기준을 공사장의 종류별․지역별로 세분화하여 기준을 합리화하며, 정온지역의 일정규모 이상 공사장은 민원해소 등 소음의 효율적 관리를 위하여 소음측정기를 의무적으로 설치하고 소음도를 공개하도록 할 예정이다. ◦ 방음시설 설치등 규정만 있고 소음규제기준이 없는 체육도장, 무도․피아노학원, 단란주점, 노래연습장 등 소음발생 사업장은 관계법규에 소음규제기준을 정하는 등 방음․방진대책을 명확히 수립하도록 규정하고, 개 등 동물을 영업목적으로 대량 사육하는 경우에는 사업장소음으로 보아 소음규제기준을 정하여 관리할 계획이다. ◦ 소음정책 관리기반 구축을 위해 대도시지역에 24시간 소음을 측정할 수 있는 자동측정기를 설치하여 정확한 측정자료를 확보하고, 도로, 철도, 공항 등 발생원별․도시별 소음지도를 작성하여 소음평가 등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며, 「생활소음 줄이기 종합대책」의 원활한 추진 및 관리를 위하여 관계부처(교육부, 국방부, 문화관광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건설교통부, 경찰청)와 수도권지자체(서울시, 인천시, 경기도)가 참여하는 「생활소음 관계부처 협의회」를 구성․운영할 계획이다. □ 이번에 수립된「생활소음 줄이기 종합대책」은 각 부처에서 추진하고 있는 소음관리 현황을 분석하여 범정부 차원의 종합적인 개선대책을 마련하고 추진하는데 큰 의의가 있으며, 향후 관계부처간 긴밀한 협력을 통하여 추진하므로서 생활소음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 "몇 년도에 생활소음 줄이기 종합대책이 수립되었지", "몇 년도에 생활소음 관계부처 협의회가 구성되었어" ]
unanswerable
540851ef-51c4-41fb-b345-0abbf1031a97
환경부 「새봄맞이 국토 대청결운동」 추진
- '07.4.20일은 전국 일제 대청소의 날 - 환경부 「새봄맞이 국토 대청결운동」 추진 □ 환경부는 ‘07.4.16(월)부터 4.22(일)까지 한주간을 「새봄맞이 국토 대청결운동」주간으로 설정하고, ‘07.4.20일(금)을 전국적으로 일제히 「대청소를 실시하는 날」로 지정하여 국토환경을 정화하게 된다고 밝혔다. □ 환경부가 4월13일 발표한 「2007 새봄맞이 국토 대청결운동 추진계획」에 따르면 새봄맞이 국토 대청결운동 주간에는 환경부 및 산하기관, 지자체, 국립공원관리공단, 한국도로공사, 각급 학교, 지역 군부대 등 각급기관을 포함한 70여만명이 참여하여 ○ 도시지역 주택가, 고속도로, 국립공원 및 농어촌 지역 야산, 들판, 하천, 해변 등 약 1만여 장소에서 버려진 쓰레기를 수거하는 등 대청소를 실시할 계획이다. □ 한편, 환경부는 4월20일(금) 「대청소를 실시하는 날」을 맞이하여 충청남도, 공주시, 한국환경자원공사 및 지역단체 등과 충남 공주시 금강변 둔치에서 새봄맞이 대청결 운동을 실시할 계획이다. ○ 동 행사에는 이치범 환경부장관, *** 충청남도 행정부지사, 이준원 공주시장, *** 한국환경자원공사 사장 등 약 1천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 "몇 여만명이 2007년 4월 20일 대청소를 실시하는 날에 참가하니", "충남 공주시 금강변 둔치에서 총 몇 여명의 사람이 참가하여 2007년 새봄맞이 국토 대청결운동을 실시하지" ]
unanswerable
5e707997-54ee-452a-afab-b53be4f15429
환경부, 친환경에너지타운 5곳 신규 선정
환경부, 친환경에너지타운 5곳 신규 선정 친환경에너지타운 성공스토리 2. 아산 쓰레기 소각장하면 누구나 기피하는 혐오시설이다. 그런데 아산시 배미동․수장리의 쓰레기 소각장 주변은 마치 관광명소 같다. 소각장 굴뚝을 이용한 전망대, 아산환경과학공원, 생태곤충원, 장영실과학관 등 볼거리가 상당하다. 바로 이 관광명소에 현재 친환경에너지타운이 조성중에 있다. 이 마을이 처음부터 관광객을 끌어 모으며 ‘승승장구’ 했던 것은 아니었다. 아산시는 지난 1995년부터 쓰레기 소각장 부지선정을 두고 총력을 기울였지만, 지역주민들의 반대로 6차례나 입지선정과 취소를 반복해오다가, 2005년에 쓰레기 처리만이 아닌 쓰레기를 폐자원에너지화해서 재활용하고 친환경적 관광·교육 복합공간을 만들기로 계획하게 된다. 이에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있던 배미동․수장리 마을은 다른 마을이 기피하는 소각장 입지를 기회로 삼게 된다. 2012년에 소각장과 함께 환경과학공원이 조성되면서 가구당 연간 난방비가 100만원씩 절감, 연간 25만명의 관광객이 찾아오는 살기좋은 마을이자 친환경교육과 관광명소로 탈바꿈한 것이다. 배미동․수장리 마을주민들은 친환경 관광명소화 성과를 기반으로 소각장에서 나오는 폐열을 활용한 수익사업으로 ‘마을세탁기업’을 구상하게 되었고, 이 아이디어로 2015년 ‘친환경에너지타운 사업’에 선정되었다.
[ "아산시 배미동, 수장리는 무엇의 폐열을 활용한 마을세탁기업으로 2012년 친환경에너지타운 사업에 선정되었지", "아산시는 2005년부터 무엇에 대한 부지선정을 두고 지역주민들의 반대로 6차례나 입지선정과 취소를 반복했어" ]
unanswerable
61c20e60-2afa-4b16-92b0-642dd83af4dc
상수원 상류 하수처리시설“총인”처리강화
상수원 상류 하수처리시설“총인”처리강화 □ 상수원 상류에 위치한 하수처리시설의 총인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팔당․대청호 수질보전특별대책지역 상류지역내 4개 하수처리시설을 시범적으로 운영(2008.7 ~2009.4)하게 된다. □ 최근 주요 상수원 지역의 경우 BOD는 많이 개선되었지만, 연례적으로 조류가 발생하여 상수원 수질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 조류발생의 원인이 되는 “총인”의 오염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사멸된 조류의 부패 등으로 난분해성 유기물질 지표인 COD도 높아지고 있다. ○ “총인”의 주요 배출원인 하수처리시설의 경우 BOD(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및 COD(화학적산소요구량) 처리효율은 96.3%, 89.1%로 높지만, “총인”은 70~80% 수준에 불과하다. ※ 조류발생 일수 : 팔당호 14일(2004), 15일(2005), 20일(2006), 18일(2008) (주의보, 경보 포함) 대청호 14일(2004), 127일(2005), 185일(2006), 28일(2007) □ 현재 하수처리시설은 유기물질의 제거효율은 높지만 “총인”의 제거 효율은 상대적으로 낮으며, 효율 향상을 위해서는 화학적인 처리방법의 추가가 필요하나 비용부담 등으로 실제 적용이 어려웠다. ○ 환경부는 우선 시급한 팔당․대청호 특별대책지역 등 주요 상수원 관리지역에 화학적 처리를 도입하고, 지방자치단체의 부담을 덜기 위해 수계관리기금에서 처리비용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 "환경부는 무엇의 제거효율이 높은 하수처리시설에 처리 비용을 우선 지원하지", "대청호는 오염도가 증가하는 조류가 원인이 되어 무엇이 발생하고 있어" ]
unanswerable
ff8e00e7-53c8-473e-8640-53236d086cd0
제3회“하늘과 사람”사진공모전 개최
“맑은공기 가꾸기”문화운동과 연계, 제3회“하늘과 사람”사진공모전 개최 □ 응모작품은 외부전문가인 사진관계자, 교수 등으로 심사위원을 구성하여 창의성, 작품성, 상징성, 예술성 등의 항목을 중심으로 심사를 하고, 연령층을 감안하여 공정하게 심사할 계획이다. □ 대상 수상자 1명에게는 환경부장관상 및 상금 200만원, 금상 수상자에게는 수도권대기환경청상 및 상금 100만원을 수여하는 등 총 50명에게 1,030만원의 상금을 시상한다. ○ 입상작품은 환경부 및 수도권대기환경청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우수작품 사진집 및 액자 등으로 제작하여 관련 행사 및 홍보에 적극 활용할 예정이다 □ 수도권대기환경청에서는 앞으로도 매년 사진공모전을 개최하여 맑은공기의 소중함을 알리고 "공기가 살야야 미래가 산다"는 맑은 공기 가꾸기 문화운동에 많은 주민들이 동참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홍보해 나아갈 계획이다.
[ "제3회 하늘과 사람 사진공모전에서 수도권대기환경청상 및 상금 100만원을 받는 사람은 몇 명이니", "제3회 하늘과 사람 사진공모전에서 총 몇 명의 사람에게 환경부장관상 및 1,030만원의 상금을 주려고 하니" ]
unanswerable
d607274d-0366-4920-9d2b-af580f69e2ca
3대 환경혁신으로 환경·경제 생(生)·생(生)발전
3대 환경혁신으로 환경·경제 생(生)·생(生)발전 - 해맑은 환경, 활기찬 기업, 행복한 국민 - 전문용어 설명 ○ 녹색기후기금(GCF; Green Climate Fund) : 개도국의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적응을 지원하기 위하여 2010년 제1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 설립된 재정메커니즘을 말함. 개도국(12개국)과 선진국(12개국)으로 구분된 총 24개국의 이사국과 대리 이사국 24개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3.12.4 인천 송도에 GCF 사무국이 개소되었음 ○ 지구환경금융(GEF) : 개도국의 환경보호를 위해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비용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국제 환경기금으로 역사와 규모 측면에서 가장 포괄적인 환경문제를 지원하고 있음 ○ 친환경에너지타운 : 소각장, 매립장 등 기피시설에 친환경에너지 생산시설을 설치하여 님비현상을 극복하고 에너지문제도 해결하며, 지역환경도 개선하고 주민소득도 창출하는 새로운 모델 ○ 탄소제로섬 : 섬 전체적으로 온실가스 순배출량(net emission)이 ‘영(0)’인 탄소중립(carbon neutrality) 상태에 도달한 섬. 탄소중립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화석연료 사용 등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거나, 산림조성 등을 통해 흡수량을 늘려야 함
[ "2013년 12월 4일에 유엔이 설립한 재정메커니즘이 무엇이야", "인천 송도는 무엇을 통해 기피시설에 대한 님비현상을 극복했을까" ]
unanswerable
73c73213-b3f1-4af9-a041-101600feaf2e
수질도 날씨처럼 예보한다 "수질예보제" 국내 첫 도입
수질도 날씨처럼 예보한다 「수질예보제」국내 첫 도입 ◈ 예방적 수질관리 위해 8.1부터 세종보 구간서 시범 운영, 내년부터 본격 실시 □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4대강 사업 준공에 맞춰 새로운 예방적 수질관리방안인 수질예보제를 도입하고 지난 8월 1일부터 세종보구간에서 조류(클로로필-a) 및 수온에 대한 시범예보를 시작했다. ○ 수질예보는 환경정보 융합기술과 수치 모델링을 활용해 조류 등 오염물질 농도를 1주일 간격으로 예측하여 알리는 제도로 ○ 실시간 기상 관측 및 예측자료, 오염원 (TMS : Tele-monitoring system) 및 수질관측 자료들을 수치 모형에 입력하여 관심 오염물질의 농도 변화를 시·공간적으로 산정, 발표한다. ○ 산정된 예보 결과는 취․정수장, 댐 및 보 운영기관, 환경기초시설 등 물관리 관계기관에 신속히 전파되어 예방적인 하천 수질 관리를 위해 유량확보, 처리시설 최적운영 등 다각적인 대응에 활용할 예정이다.
[ "댐 및 보 운영기관이 4대강 사업 준공에 맞춰 도입한 새로운 예방적 수질관리방안은 뭐지" ]
unanswerable
0ef28b83-13d4-48cd-b3d3-c4416979e744
2014년부터 환경제도가 이렇게 달라집니다
2014년부터 환경제도가 이렇게 달라집니다 2014년부터 환경행정 이렇게 달라집니다 8. 석면피해구제 대상 질환범위 확대 및 수당인상, 급여신설 □ 석면피해자들에 대한 구제 조치를 강화할 계획입니다. * 「석면피해구제법 시행령」개정․시행(’14.1월) ㅇ 지금까지 석면피해구제 대상 질환은 악성중피종, 폐암, 석면폐증 뿐이었으나, 2014년 1월부터는 미만성 흉막성비후*가 추가 되어 석면피해 구제 대상 질환이 더 늘어나게 됩니다. * 폐를 감싸고 있는 흉막이 두꺼워져 폐의 팽창을 방해받아 호흡이 곤란해지는 질병 ㅇ 또한, 2014년 1월부터는 석면피해자에게 매월 지급되는 요양생활수당이 20% 인상되며, 석면폐증 질환자에게도 요양급여(치료비)가 지급될 예정입니다. ☞(참고) 석면피해구제정보시스템(WWW.env-relief.or.kr)홈페이지>공지사항>2014년도 석면피해구제제도 개선사항 < 2014년 석면피해구제제도 변화 > □ 추진배경 : 석면피해자들에 대한 구제 조치 강화 □ 주요내용 ① 구제대상질환 추가(악성중피종, 폐암, 석면폐증+미만성흉막비후) ② 요양생활수당 산정기준 20% 인상(2인가구 최저생계비 24∼100% → 28.8∼120%) ③ 석면폐증 질환자 요양급여(치료비) 지급(신설) □ 시행일 : 2014년 1월 1일
[ "악성중피종 질환이 석면피해구제 대상에 포함된 것은 언제야", "석면피해자는 언제 미만성 흉막성비후 질환을 발견했어" ]
unanswerable
e7aefc16-b8dc-43f4-93f0-f2eaed830c39
미세먼지 저감 한·중 공동 워크숍 개최
미세먼지 저감 한․중 공동 워크숍 개최 전문용어 설명 ❍ 청천(晴天) 프로젝트 주요 내용 - 대상 지역 : 중국 북부지역(베이징·텐진·칭다오 등 6개 도시) - 조사 항목 : 대기성분 측정·분석(지상관측), 원인 추적, 모델링 평가, 항공 관측 등 - 연구 기간 : ‘17.5월∼’20.7월(만 3년) - 세부 조사 내용 · (지상관측) 베이징 등 6개 도시에 측정기 설치, 입자상 유기물질 측정 등 미세먼지의 주요 배출원별 기여율 추정(수용모델 이용) · (발생원인 추적) PAM(Potential Aerosol Reactor) 가스상·입자상 전구물질 측정시스템 구축으로 베이징 대기 중 이차에어로솔 생성 과정 조사 · (모델링) 대기질 예측 모델(韓-CMAQ·中-CAMx)결과 비교를 통한 모델 성능 평가 및 지상 관측자료 공유, 배출량 자료 개선 등 ❍ 스모그 챔버(Smog Chamber): 대기오염물질이 대기 중에서 햇빛에 의한 광화학적 반응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인위적으로 연구할 수 있도록 설치한 장치 - 자동차 배기가스 중 질소산화물이 대기중의 수증기, 오존, 암모니아와 화학반응을 통해 미세먼지로 생성되는 과정을 추적
[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어느 지역에 스모그 챔버를 설치할 예정이니" ]
unanswerable
e60e1851-a11d-4ef4-a214-f411fc619b6e
다윈을 꿈꾸는 피카소의 후예들
“다윈을 꿈꾸는 피카소의 후예들”국립생물자원관,『생물자원 어린이 그림공모전, 생물사랑 어린이 인터넷 퀴즈대회』심사 및 추첨결과 발표 □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은 개관 2주년을 맞이하여 우리나라 생물자원의 중요성과 소중함을 알리기 위해 10월 26일부터 11월 13일까지 진행된 ‘생물자원 어린이 그림공모전’과 ‘생물사랑 어린이 인터넷 퀴즈대회’의 수상자 및 당첨자를 선정, 발표하였다. □ '생물자원 어린이 그림공모전'에는 유치부 및 초등학교 저학년부, 초등학교 고학년부문에 총 1,574점의 작품이 접수되었으며, ○ 학계, 교육계, 예술계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회의의 공정한 심사를 거쳐, 대상, 각 부문별 금상, 은상, 동상, 가작 등 총 34명이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 대상을 포함한 부문별 금상 수상자에게는 환경부 장관상이, 부문별 은상, 동상, 가작 수상자에게는 국립생물자원관장상이 수여된다. □ 대상에 선정된 ***(고양백석초, 2학년) 학생의 ‘아빠를 닮은 독수리의 모습’은 주제를 강렬하게 나타낸 표현력과 아버지와의 연관성, 어린이의 눈으로 바라본 배경의 천진함이 눈에 띈다는 호평을 받았다.
[ "어떤 대회에서 대상을 포함한 금상 수상자는 국립생물자원관장상을 받았어", "국립생물자원관이 개관 2주년을 맞이해 진행한 대회로, 유치부에서 총 1,574점의 작품이 접수된 대회는 뭐지" ]
unanswerable
3e17db3a-d8f9-43d7-a81a-d65f22a129c9
수컷이 새끼 낳는 해마, 국내 최초로 산란 특성 확인
수컷이 새끼 낳는 해마, 국내 최초로 산란 특성 확인 □ 국립공원관리공단(이사장 ***)은 지난해부터 올해 7월까지 다도해 해상국립공원 소안도에서 해마류 생태연구를 수행하던 중 야생 상태의 ‘소안해마(가칭)’ 산란특성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확인했다. ○ 일부일처제(monogamy)로 알려진 해마는 번식기가 되면 암컷과 수컷이 서로의 꼬리를 감은 상태에서 교미(交尾)를 한다. 이때 암컷은 수컷의 배에 있는 주머니(보육낭) 속에 알을 산란한다. 수컷은 수정란을 돌보고 부화시킬 뿐 아니라 태어난 새끼가 독립할때까지 뱃속에서 키우다 1cm 정도까지 자라면 새끼를 내보낸다. ○ 대부분의 어류는 부화 후, 스스로 섭식이 가능한 시기까지 에너지를 난황에 의존하는 자어(larva)단계를 거치는데, 해마는 자어단계를 수컷의 보육낭에서 보낸다. 난황 흡수가 끝나고 스스로 섭식이 가능한 치어(juveniles)단계에서 수컷이 출산을 하는 특이한 태생(胎生)어류다. □ 이번 조사결과 소안해마의 수컷은 5~6월 경에 암컷에게서 알을 받아 약 20~30일간 보육하다가 6~7월경에 수컷 한마리 약 30~70마리의 치어를 내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최대 2,000마리의 치어를 내보내는 빅밸리해마(Big belly seahorse) 등 다른 해마류에 비해 소안해마의 치어수가 매우 낮아 보호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보고 있다.
[ "소안해마의 암컷은 새끼가 독립할 때까지 뱃속에서 키우다가 섭식이 가능한 어떤 단계에서 출산해", "2000마리를 출산하는 소안해마 수컷은 배에 있는 주머니에 수정란을 부화시키고 새끼가 어떤 단계에서 출산할까" ]
unanswerable
f10d1e9b-a94d-4c1c-adcd-881e8e2a1173
자연환경지구 등 숙박시설의 설치행위 제한
자연환경지구 등 숙박시설의 설치행위 제한(자연공원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안 입법예고) ○ 2006년 7월 1일부터는 자연환경지구, 자연마을지구 및 밀집마을지구에서는 용도지구의 지정기준에 맞지 않고 또한 자연경관 저해 및 공원관리 등에 지장을 주고 있는 호텔, 여관 등 숙박시설의 설치행위가 금지된다. - 숙박시설은 집단시설지구 내 숙박시설지에 한해 설치가 허용됨 ※ 1. 자연환경지구 : 생물다양성, 경관 등 자연보호가치가 높은 자연보존지구의 완충공간으로 보존할 필요가 있는 지역 2. 자연마을지구 : 취락의 밀도가 비교적 낮은 지역으로서 주민의 취락생활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지역 3. 밀집마을지구 : 취락의 밀집도가 비교적 높거나 지역생활의 중심기능을 수행하는 지역으로서 주민의 일상생활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지역 4. 집단시설지구 : 자연공원에 들어가는 자에 대한 편의제공 및 자연공원의 보전․관리를 위한 공원시설이 모여 있거나 모아 놓기에 알맞은 지역 ○ 그리고 그동안 여러 가지 행위제한 등으로 생활에 불편을 겪고 있는 공원거주 주민들에 대해 생활환경개선 및 복리증진 등의 주민 지원사업을 시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자연환경지구와 자연마을지구에 거주하는 주민이 주거용 단독주택의 증축·개축 등을 하면 상수도 급수장치, 하수도 배수설비, 단독정화조 설치비용의 50퍼센트 이내에서 경비 지원을 하며 - 또한 공원관리청이 환경기초시설, 어린이놀이터, 공중화장실, 마을진입로, 교량 등 주민생활환경개선 및 복리증진 등의 주민지원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하였다. ○ 그리고 토지매수 청구제도의 활성화를 위해 매수대상토지 판정기준이 매수청구일 현재 해당 토지의 개별공시지가가 자연공원안의 동일한 용도지구에 있는 읍·면·동의 같은 지목의 개별공시지가 “평균치의 50퍼센트 미만”에서 “평균치의 75퍼센트 미만”으로 조정된다. ※ 토지매수 청구제도 : 자연공원지정으로 인해 종전의 용도대로 사용할 수 없어 그 효용이 현저히 감소된 토지가 일정기준에 적합하여 토지소유자가 매수를 청구하면 공원관리청이 이를 매수하는 제도 ○ 자연환경영향평가 대상 공원시설이 “삭도·궤도·승마장·청소년수련시설․동물원 및 호텔”에서 “부지면적 5천제곱미터 이상(도로·삭도·궤도 등 교통·운수시설은 길이 1킬로미터 이상)되는 모든 공원시설로 확대된다.
[ "생물다양성 등 자연보호가치가 높은 자연보존지구의 완충공간으로 주민의 취락생활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지역은 뭐야" ]
unanswerable
1bdc9f13-d52d-41d7-8bb4-62b79ee323c1
[참고자료]생물다양성협약 총회 홍보대사로 스타생물 4종 선정
생물다양성협약 총회 홍보대사로 스타생물 4종 선정 □ 환경부(장관 윤성규)가 오는 9월 29일부터 10월 17일까지 강원도 평창에서 개최되는 ‘제 12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의 홍보대사로 스타생물 4종을 선정했다. □ 이번에 선정된 스타생물은 포유류 반달가슴곰과 수달, 육상식물 미선나무, 곤충 왕오색나비 등이다. ○ 반달가슴곰(Ursus thibetanus)은 식육목 곰과의 포유류이며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에 따라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되어 법적보호를 받고 있다. 앞가슴에 반달모양의 V자형의 흰무늬가 있으며 식물성 먹이를 선호한다. 과일과 도토리를 특히 좋아한다. ○ 수달(Lutra lutra)은 식육목 족제비과의 포유류이며 반달가슴곰과 같이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되어 법적보호를 받고 있다. 유선형의 몸으로 수중생활에 적합한 구조로 되어 있다. 수달은 수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로서 수생 환경의 건강도를 판단할 수 있는 핵심종이다. ○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는 물푸레나무과 미선나무속에 속하는 유일한 종이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있고 우리나라에만 자생하는 특산식물이다. 열매의 모양이 부채를 닮아 한자 ‘미선(尾扇)’에서 유래하여 이름이 붙여졌다. 미선나무의 자생지는 충청도, 전라도 일부 지역이다. ○ 왕오색나비(Sasakia charonda)는 네발나비과의 곤충으로 우리나라 중남부,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는 극동아시아 특산종이다. 연 1회 발생하며 6월 하순에서 7월 하순까지 나타난다. 네발나비과 나비중에서 가장 크고 아름답다. 날개의 윗면이 햇빛에 반사되면 남색과 보라색이 서로 어울려 오색의 광택으로 빛난다. □ 이들 스타생물 4종은 생물다양성협약 총회의 개최 의미를 국민에게 보다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는 홍보대사 역할을 하게 된다. 환경부는 생물다양성 보전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스타생물 4종을 다양한 홍보 활동에 활용할 계획이다. ○ 이를 위해 지난 7월 15일부터 20일까지 페이스북에서 스타생물 이름짓기 행사를 공모하여 반달가슴곰은 산이, 수달은 물이, 미선나무는 들이, 왕오색나비는 하늘이로 각각 선정했다. ○ 스타생물의 이름은 각 생물이 사는 곳을 뜻한다. 이들의 생물서식지를 합하면 지구 서식지가 형성될 수 있다는 의미를 함축적으로 표현하였다.
[ "네발나비과 곤충으로 과일과 도토리를 좋아하는 나비는 무엇이니" ]
unanswerable
ed5374e0-a102-424d-ae7c-7147a3760b7e
희토류 등 금속자원 확보 위해 자동차 및 전기·전자제품 재활용 EU 수준으로 강화
희토류 등 금속자원 확보 위해 자동차 및 전기·전자제품 재활용 EU 수준으로 강화 □ 환경부(장관 이만의)는 전기·전자제품과 자동차로부터 고철은 물론 희토류 등 금속자원을 확보하고,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기 위해 전기·전자제품 및 자동차 자원순환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하여, 5월 12일「전기·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자원순환에 관한 법률(이하 “자원순환법”)」개정안을 입법예고하였다. □ 버려지는 전기·전자제품과 자동차에 함유된 고철·귀금속·희유금속 등 금속자원의 양은 124만톤으로 경제적 가치만 약 2.2조원(’13년 기준)에 달하며, - 특히, 각국의 자원확보 경쟁을 하고 있는 희토류 등 희유금속의 회수를 통해 연 920억원(1만5천톤)의 추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이번 개정안은 전기․전자제품과 자동차로부터 금속자원을 최대한 회수·재활용하도록 관련제도를 정비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한다. 이를 위해 환경부는 지난해 4월부터 9개월에 걸쳐 제도개선안을 마련하였고, 금년 2월부터 3월까지 산업계와 전문가가 참여한 포럼(10회)을 통해 폭넓게 의견을 수렴한 바 있다.
[ "산업계는 무엇을 확보하고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기 위해 전기, 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자원순환법을 개정했어" ]
unanswerable
b05e651e-23bf-4df8-b3fb-5b3ddbf9e93f
희토류 등 금속자원 확보 위해 자동차 및 전기·전자제품 재활용 EU 수준으로 강화
희토류 등 금속자원 확보 위해 자동차 및 전기·전자제품 재활용 EU 수준으로 강화 □ 환경부 관계자는 “전기·전자제품과 자동차의 세계 일류생산국 위상에 걸맞게 이번 제도개선을 통해 자원순환체계를 구축하여 녹색성장 모델을 제시하면서 금속자원 확보와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평가하며, ○ 자원순환법 개정안에 대해 이해관계자와의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확정하여 금년내 국회에 제출할 계획임을 밝혔다.
[ "EU는 어느 부처와 자원순환법을 개정했어", "어느 부처가 자원순환법 개정안을 EU에 제출할 계획이야" ]
unanswerable
f8ab91d5-fae9-49b6-bb3c-f2c2e2d8c960
희토류 등 금속자원 확보 위해 자동차 및 전기·전자제품 재활용 EU 수준으로 강화
희토류 등 금속자원 확보 위해 자동차 및 전기·전자제품 재활용 EU 수준으로 강화 “희유금속”이란? □ 희유금속 정의 - 지각 내에 존재량이 적거나 추출이 어려운 금속자원 중 현재 산업적 수요가 있고 향후 수요 신장이 예상되는 금속원소 - 극소수 국가에 매장·생산이 편재되어 있거나 특정국이 대량 수입해 국내관련 산업으로의 안정적 공급에 위험성이 있는 금속원소 □ 희유금속 종류 : 35종(일본 : 31종, 미국 : 33종)
[ "미국 산업에서 안정적 공급에 위험성을 가지는 희유금속은 몇 종이야", "일본에서 대량으로 수입해가는 희유금속은 몇 종이지" ]
unanswerable
7e0191a7-6813-4453-8f3f-28b1ca3795e0
전남/충남지역산 닭/오리고기, 홍콩으로 수출 재개
전남/충남지역산 닭/오리고기, 홍콩으로 수출 재개 □ 농림수산식품부는 2010년 4월 1일 전남 및 충남지역 닭고기/오리고기도 홍콩으로 수출할 수 있다고 발표하였다. ○ 지난 ‘09.12월 전남과 충남지역에서 저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됨에 따라 홍콩정부는 해당지역에서 생산되는 닭고기/오리고기의 수입을 중단한 바 있음 ※ 홍콩은 고병원성이 아닌 저병원성 AI가 발생한 경우 해당 지역(도)에 대하여만 가금육 수입을 중단조치함 ○ 그동안 농식품부는 이들 지역에서 생산된 닭고기/오리고기의 홍콩 수출을 재개하기 위하여 국내 방역조치에 관한 자료를 신속하게 홍콩측에 제공하고 설명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음 ※ 대 홍콩 닭고기 수출 실적 : 202톤 311천$ (2009년기준) ※ 홍콩으로 가금육 수출이 가능한 작업장 : 54개 도축장/가공장 □ 아울러 농식품부는 가금육 수출이 재개될 수 있도록 홍콩이외에도 일본, 싱가폴 등과 지속적으로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 "일본정부는 언제 전남지역에서 생산된 닭고기와 오리고기 수입을 재개하지", "싱가폴 정부는 전남지역에서 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됨에 따라 전남지역에서 생산된 가금육 수입을 언제 중단했어" ]
unanswerable
3edf07b2-402c-4e35-af56-c7a17b0e7c2e
국립공원, 해맞이·해넘이 명소 6곳 선정
국립공원, 해맞이·해넘이 명소 6곳 선정 질의응답 1. 이번에 선정된 국립공원 해돋이‧해넘이 명소 6선은 어떤 특징이 있나요? ○ 기존에 탐방객들은 해맞이 장소나 해넘이 장소로 각 국립공원의 최고봉이나 유명한 정상부 봉우리를 선호하였습니다. 그러나 겨울철 정상부 산행의 경우 전문가들도 긴 준비시간과 많은 장비를 필요로하며 준비가 부족할 경우에 자칫 큰 사고로 이어 질 수 있습니다. ○ 이에, 공단에서는 기존의 고지대 전망 중심 일출명소를 탈피하여 가족들이 차량이나 도보로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는 곳에 위치하고 있거나, 사람들이 많이 몰리지 않는 숨은 명소를 중심으로 해돋이·해넘이 명소 6선을 선정하였습니다. ○ 특히 2017년 발굴한 슬로탐방코스와 연계하여 단순 해맞이·해넘이 뿐만 아니라 국립공원 지역 내·외를 아우르는 탐방 명소· 지역먹거리 등을 함께 소개하여 국민 누구나 즐거운 국립공원 탐방이 될 수 있고자 소개하게 되었습니다.
[ "국립공원공단에서는 해맞이 장소로 국립공원 정상부 봉우리 몇 곳을 선정하였지" ]
unanswerable
d7c22406-17e1-4251-a94e-004cdaffc189
어린이 환경안전을 위해 모두가 약속해요!
어린이 환경안전을 위해 모두가 약속해요! 전문용어 설명 ○ 어린이 환경보건 출생코호트 - 산모․영유아, 어린이․청소년 등 10만명을 대상으로 환경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추적 조사하는 사업으로 - 유해물질과 어린이 성장과의 영향, 환경노출과 질병과의 인과관계 등을 규명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함 ○ 어린이활동공간 환경안전관리기준 : 환경보건법 시행령 1. 어린이활동공간에 설치된 시설물은 녹이 슬거나 금이 가거나 도료(페인트 등)가 벗겨지지 아니하게 관리하여야 한다. 2. 어린이활동공간에 사용되는 도료나 마감재료는 다음 각 목의 기준을 모두 충족하여야 한다. 가. 실내 또는 실외의 활동공간에 사용되는 도료 또는 마감재료에 함유된 물질이 다음의 기준을 모두 충족할 것 1) 납, 카드뮴, 수은 및 6가크롬의 합은 질량분율(質量分率)로 0.1퍼센트 이하일 것 2) 납은 질량분율로 0.06퍼센트 이하일 것 나. 실내 활동공간에 사용되는 도료나 마감재료는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 제11조제1항에 따른 오염물질을 방출하지 아니할 것 3. 어린이활동공간의 시설에 사용한 목재에는 다음 각 목의 방부제를 사용하지 아니한 것 이여야 한다. 다만, 제2호의 기준에 적합한 도료를 사용하여 목재 표면을 정기적으로 도장(塗裝)하는 경우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가. 크레오소트유 목재 방부제 1호 및 2호(A-1, A-2) 나. 크롬·구리·비소 화합물계 목재 방부제 1호, 2호, 3호(CCA-1, CCA-2, CCA-3) 다. 크롬·플루오르화구리·아연 화합물계 목재 방부제(CCFZ) 라. 크롬·구리·붕소 화합물계 목재 방부제(CCB) 4. 어린이활동공간의 바닥에 사용된 모래 등 토양은 다음 각 목의 기준을 모두 충족하여야 한다. 가. 모래 등 토양에 함유된 납, 카드뮴, 6가크롬, 수은 및 비소는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적합할 것 나. 기생충란이 검출되지 않을 것 5. 어린이활동공간에 사용되는 합성고무 재질 바닥재의 표면재료는 다음 각 목의 기준을 모두 충족하여야 한다. 가. 해당 표면재료에 함유된 납, 카드뮴, 수은 및 6가크롬의 합은 질량분율로 0.1퍼센트 이하일 것 나. 해당 표면재료의 폼알데하이드 방산량(放散量)이 75㎎/㎏ 이하일 것 ○ 환경성질환 - 역학조사 등을 통하여 환경유해인자와 상관성이 있다고 인정되는 질환으로서 특정 지역이나 특정 인구집단에서 다발하며 감염질환이 아닌것을 말함 ․ 수질오염물질로 인한 질환 ․ 유해화학물질로 인한 중독증, 신경계 및 생식계 질환 ․ 석면으로 인한 폐질환 ․ 환경오염사고로 인한 건강장해 ․ 실내공간 오염물질, 대기오염물질과 관련된 호흡기 및 알레르기 질환 ․ 가습기살균제에 포함된 유해화학물질로 인한 폐질환
[ "어린이활동공간에 사용되는 합성고무의 표면재료에 함유된 납은 얼마 이하가 되어야할까" ]
unanswerable
168767e6-80a5-418f-aed7-81ac8fd61601
한강유역환경청 작년 환경단속, 24.3% 적발
한강유역환경청 작년 환경단속, 24.3% 적발 □ 한강유역환경청(청장 한기선)은 '08년 한해 동안, 서울, 인천, 경기도 등 관할 88개 시․군․구에 소재하는 4,514개 환경오염물질 배출업체를 점검하여 1,097개소(24.3%)를 적발하였으며, 그중 425건은 자체 수사하여 사법당국에 고발하였다고 밝혔다. ○ 세부내역은 팔당호 인접지역 등 상수원유역 2,818개, 하천수질 오염도가 높은 지역 686개, 환경법령 반복위반 업소 165개, 기타 845개 등 4,514개 배출업소에 대한 특별점검을 실시하였으며, ○ 이중, 배출허용기준 초과 398개소, 방지시설 비정상 가동 97개소, 무허가(미신고) 배출시설 261개소, 기타 341개소를 적발하였다. □ 특히, 명절․갈수기․장마철․휴무일․야간 등 환경단속이 취약한 시기에는 평상시 위반율(22.5%) 보다 높은 29.3%로, 여전히 취약시간대 불법행위가 성행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앞으로, 한강유역환경청은 취약시간대 환경관리가 취약하다는 판단에 따라 휴무일․야간․명절 기간중에 특별점검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한편, 국민생활에 밀접한 환경분야에 대한 기획단속을 강화하고 환경오염사고로 인한 국민불편을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 환경관리가 취약한 영세업체에 대하여는 기술지원을 병행하여 자율적 환경관리를 유도하고, 고의․악의적 위반업체에 대한 집중관리를 통해 특별점검의 효율성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 ○ 또한, 민원․언론보도 등 중요사항에 대한 긴급 출동서비스를 제공하여 국민불편 사항에 대해 즉시 시정하는 등 국민만족도 향상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 나갈 방침이다.
[ "2008년 서울에 소재하는 몇 개 업체가 환경 단속을 받았지", "2008년 인천에서 환경법령 위반으로 고발당한 업체는 몇 개야" ]
unanswerable
15776ef4-0da4-4bb4-ada9-d62839a98215
가축매몰지역 환경관리 강화 및 먹는물 대책 추진
가축매몰지역 환경관리 강화 및 먹는물 대책 추진 매몰지역 환경관리 및 먹는물 안전대책 3. 먹는물 안전대책(환경부) 매몰지 주변 이용중인 지하수 수질 모니터링 확대 ○ 매몰지 주변 지하수 이용현황 파악 및 수질 실태조사(‘11.1~) ※ 매몰지 관측정 침출수 감시 병행 < 모니터링 체계 > ○ 조사기관 : 시․군(전수조사), 지방환경청(표본조사) ○ 조사대상 (전수조사) : 매몰지 주변 300m 이내 이용중인 지하수 관정(방역사항 감안하여 신속히 측정) 매몰지 관측정 (방역 종료후 신속한 설치 추진) (표본조사) : 유출 침출수 발생 매몰지, 상수원보호구역 상류 인근 매몰지, 취락지 인근 대규모 매몰지 주변 등 ○ 조사항목 및 횟수 : 염소이온, 암모니아성질소, 질산성질소, 총대장균군 - 매몰 초기 1년까지 분기 1회, 2년~3년까지는 반기별 1회 실시 구제역 매몰지 주변지역 환경영향조사(‘08~’14. 환경공단) ○ 가축매몰지(20개소)의 침출수 유출 여부, 매몰지 안정화 정도 평가, 매몰지별 관리방안 마련 - 매몰두수, 지하수영향 여부, 매몰축종, 지역 등을 고려하여 선정 ※ 매몰지역 증가에 따라 조사대상 확대 방안 추진 매몰지역 상수도 보급 지원 ○ 가축매몰지 3㎞ 이내 지역에 대해 주민의 안전한 먹는물 공급대책 차원에서 지방상수도 보급 추진 - ‘10.12월 2차례(12.17, 12.28)에 걸쳐 17개 시․군에 총 857억원 지원, 해당 지자체가 공사를 조기에 완료할 수 있도록 지원 및 관리․감독 철저 - 특히, 매몰지 주변 300m 이내 지하수 이용 가구에 대하여는 최우선적으로 공급토록 지시 ○ 구제역 발생지역이 확대되고, AI 발생지역이 신규 발생함에 따라 추가 발생지역에 대해서도 지원 추진 - 6개 시·도 1.7일(금) 기준으로 수요조사 결과 국비 요구액 3,000억원(AI 발생 전남․북은 수요조사 추후 실시)
[ "가축매몰지 300m 이내 지역에 대해 주민의 안전한 먹는물 공급대책으로 무엇을 보급해", "먹는물 공급대책으로 가축매몰지 3km이내 지역 17개 시, 군에 총 3,000억원을 지원해 무엇을 보급하지" ]
unanswerable
3fa970fb-8499-49f7-b695-94129954bae1
가뭄·물 부족 해결, 노후 상수관망 정비 사업이 해답!
가뭄‧물 부족 해결, 노후 상수관망 정비 사업이 해답!◇ 한국환경공단, 영월‧정선군 노후 상수관 정비로 총 2,540만톤 누수량 절감, 인구 5만명의 신도시 상수도 공급량과 맞먹어 강원도 영월군‧정선군 상수관망정비사업 개요 Ⅰ 추진배경 ‘09년 최악의 가뭄으로 17만명이 제한급수 고통을 겪었으며, 강원도 지역의 가뭄은 높은 누수율로 인한 인재(人災)라는 비판 제기 지난 10년간 노후수도관으로 인한 누수량은 약 80억㎥이며, 이로 인한 예산 손실액은 연평균 5,222억원 그간 상수도관망 관리는 System적 관리없이 노후관 단순 교체 수준 노후관 개량을 위한 예산 투자(‘93년 이후 1조7천억원)에도 불구하고, 단순 노후관 개량 위주의 비효율적 관망정비로 일반 시·군은 오히려 누수율이 증가하는 등 도ㆍ농간 양극화 현상 심화 수도사업 영세성으로 인한 유지관리 투자 저조 재정여건이 열악한 중ㆍ소규모 지자체일수록 관망개선 부진 → 누수손실 가중 → 재정상황 악화의 악순환 상수도 시설서비스 수준에서 지역간 격차 심화 - 규모의 경제성을 확보한 특․광역시와 재정여건이 열악한 지자체와의 수도서비스 수준 격차 심화
[ "노후관 개량을 위해 1993년 강원도는 얼마의 예산을 투자했니" ]
unanswerable
d6980688-6530-4f18-8f15-8dd81ed1fd8c
「세계 최고의 환경 서비스 전문기관」으로 발전 -2009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
「세계 최고의 환경 서비스 전문기관 」으로 발전 2009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 Ⅰ. 경제위기 극복 및 녹색성장 실천계획 1.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예산 조기집행 추진 가.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예산 조기집행 ◇ '09예산 상반기 주요사업 조기집행 : 67.2% 이상 □ 조기 집행방안 ○ 환경시설 설치지원사업 : 상반기중 71.7% 이상 집행 ­계속사업으로 추진하는 시설공사는 1~2월 중 조기계약 신규사업은 입찰 공고기간 단축 및 설계·시공 병행기법(Fast Track)을 적용하여 조기착공 유도 ○ 융자사업은 융자대상 확대를 통해 상반기중 90%이상 승인하고 68.8%이상 집행 추진 2009년 융자운용요강 조기 확정('08.12.23) ­온실가스 대기배출 저감시설 및 자원 재활용 시설 분야로 융자대상시설 확대 ○ 정부대행사업은 ‘09년 1월중 집행계획을 승인받아 71.6% 이상 집행 ­시설투자 등 조기집행 가능분야 우선 집행(’08년 상반기 42% 집행) □ 집행실적 집중점검 등 관리강화 ○ 조기집행 점검단 구성․운영 ­월별 추진실적을 집중점검․관리하고 부진사업에 대해서는 특별관리
[ "입찰 공고기간 단축을 적용해 조기착공을 유도한 2009년의 상반기 주요사업은 몇 퍼센트 이상 이루어졌니" ]
unanswerable
c8608c87-845c-49af-bc6a-8d99c8d661f2
저의 배추밭 한자리를 멸종위기야생식물을 위해 할애합니다![원주지방환경청]
저의 배추밭 한자리를 멸종위기야생식물을 위해 할애합니다! □ 강릉시 왕산면에서 농업에 종사하고 있는 ***씨는 5.14(월)환경부 원주지방환경청(청장 신동원)과 지역 녹색협약을 맺고, 자신의 배추밭에서 발견된 독미나리(멸종위기식물Ⅱ급) 자생지 보호를 위해 토지 일부를 환경청에 위탁하기로 해 자연과 상생하는 성숙된 시민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 독미나리(멸종위기Ⅱ급, Cicuta virosa) :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1m에 달하고 6~8월에 흰색의 꽃을 피움. 산성토양이 있는 습지나 물가에서 자라며 대관령 이북지역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특히, 동 자생지는 현재까지 발견된 국내에서 유일한 자생지로 국가 생물자원의 확보차원에서 그 의미가 크고, 보호가 이뤄지기까지 여러 기관의 협력과 성숙한 한 시민의 결단이 맺은 결실이기에 멸종위기종 보호정책의 성공적인 사례가 될 것으로 보인다. ◦ 동 자생지는 지난해 9월 국립환경과학원에서「멸종위기야생식물 전국 분포조사」시 발견하였으나, 자생지 일부가 지방도로 확․포장 공사구간에 편입되어 있어 시급한 보전대책 마련이 필요했다. 이에, 원주지방환경청․국립환경과학원․강원도․한국자생식물원간의 상호협조를 통한 노선 일부의 수정과 토지소유자의 협력으로 자생지 보전대책을 수립하게 되었다. ◦ 특히, 노선 수정으로 인해 자신의 배추밭이 도로편입에 따른 보상대상에서 제외됨에도 불구하고, 토지이용 할애 등 토지소유주(오용해)의 자발적인 협력 덕분에 소중한 국가생물자원이 보전될 수 있었다. □ 원주지방환경청은 지난 4월부터「독미나리 보호 네트워크」운영을 통해 환경부지정 서식지외보전기관인 한국자생식물원과 공동으로 서식환경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으며, 동 협약을 통해 토지소유자를 야생동식물보호원으로 위촉하는 등 적극적이고 실효성 있는 관리를 유도해 나갈 계획이다. ※ 서식지외보전기관 : 야생 동·식물을 그 서식지에서는 보전하기 어렵거나 종의 보존 등을 위하여 서식지외에서 보전할 필요가 있는 경우 환경부장관이 지정
[ "멸종위기식물을 보호하기 위해 국립환경과학원과 지역 녹색협약을 맺은 곳은 어디야", "한국자생식물원에서 국가생물자원 보전을 위해 토지를 이용할 수 있도록 어디에 할애해 줬니" ]
unanswerable
f4d4f0c4-2e0c-473f-881a-7079ead028e7
환경부 소관 자연환경보전법 등 7개 제ㆍ개정 법률안 국회통과
환경부 소관 자연환경보전법 등 7개 제․개정 법률안 국회통과 □ 환경부 소관 자연환경보전법 등 7개 제․개정법률안이 12. 8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다. 이날 국회를 통과한 법률은 자연환경보전법을 비롯한, 친환경상품구매촉진에관한법률, 소음․진동규제법, 토양환경보전법, 유해화학물질관리법, 환경기술개발및지원에관한 법률, 대기환경보전법등 7개 법률이다. □ 이번에 제․개정된 법률의 주요내용을 보면, o 자연환경보전법을 개정하여 생태계보전지역 지정제도를 자연경관을 포함한 생태․경관보전지역 지정제도로 확대․개편하였고, 생태․경관 보전지역을 다시 핵심․완충․전이구역으로 구분․지정하고, 구역별로 건축물의 신축․증축 등에 대한 행위제한을 차등화함으로써 지역주민 불편을 최소화 하였음 - 또한 자연경관이 수려한 지역에 세워지는 건축물 등이 주변경관과 조화를 이루지 않고 무분별하게 난립하여 미관이 훼손되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자연경관심의제를 새로이 도입 o 친환경상품구매촉진에관한법률안을 제정하여 공공기관에서 상품을 구매할 때 친환경상품을 의무적으로 구매하도록 하였고, 이를 지원하기 위하여 현행 민법상 사단법인인 『환경마크협회』를 『친환경 상품진흥원』으로 개편하여 친환경상품의 구매촉진, 교육․홍보, 정보교환 등의 업무를 전문적으로 수행토록 하였음 o 소음․진동규제법의 개정으로 특정공사를 하는 경우에는 공사개시 전에 방음시설을 설치하도록 하고, 공사현장에서 소음이 많이 발생하는 건설기계에 대한 소음도(騷音度)표시의무제를 도입하여 저소음 건설기계의 사용 및 개발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하였음.
[ "친환경 상품진흥원이 토양 환경을 위해 무슨 제도를 제한했어" ]
unanswerable
f0868378-4d8e-485e-aeab-efa2fe70d54f
총배출량 증가폭은 둔화, GDP당 배출량은 다소 증가
총배출량 증가폭은 둔화, GDP당 배출량은 다소 증가 □ 온실가스 총 배출량 및 1인당 배출량은 지속 증가하지만 증가폭은 다소 둔화된 반면, 에너지 사용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GDP 대비 배출량은 최근 개선추세를 보이다가 ’09년 다소 악화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ㅇ ’09년 말 GDP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이 증가한 원인은 낮은 경제 성장율과 이상기후(한파 및 열대야 등) 영향으로 전력수요가 급증한 것으로 추정*된다. - 에너지 산업부문 (발전 + 열생산)은 전년 대비 8.3% 증가 - 전력 사용량은 전년대비 가정부문 2.4%, 상업부문 3.6% 증가 - 하계 고온 및 열대야(일몰 후 25℃이상 유지) 일수 (‘08) 3일 → (’09) 7일 서울지역 동계 이상 한파(영하 12℃ 이하) 일수 (‘08) 1일 → (’09) 9일 * 경제성장률이 낮은 경우, 생산 단위당 온실가스 배출량은 개선되지 않고 정체하는 경향이 있음
[ "에너지 사용 효율성을 나타내는 GDP가 낮을 수록 무엇의 배출량이 정체돼" ]
unanswerable
223f249c-81ff-4202-aa38-3eadca32c5a8
「세계 최고의 환경 서비스 전문기관」으로 발전 -2009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
「세계 최고의 환경 서비스 전문기관 」으로 발전 2009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 Ⅱ. 2009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 1.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 지원 가. 선진국 수준의 깨끗한 공기 확보 □ 대기오염측정망 운영 : 83개소 ○ 국가 대기오염측정망 가동률 목표가동률 93% 이상 유지 ○ 신규측정망 2개소 확충 ­광화학 1개소, 산성강하물 1개소 ※ 국가대기오염정보관리시스템(NAMIS) 및 대기오염도실시간공개시스템(www.airkorea.or.kr)의 안정적 운영 □ 굴뚝원격감시체계관제센터(CleanSYS) 운영 : 422개 사업장 ○ 굴뚝원격감시체계(CleanSYS)운영관리의 선진화 - 데이터 송․수신체계 개선, 배출허용기준적용방식의 합리적인 조정 등 ○ 환경자동측정기기 관련 산업육성 및 수출지원 ­국산자동측정기기 신뢰성 향상을 위한 측정기제작업체 기술지원 ­해외수출지원을 위한 홈페이지구축 및 해외정보제공 □ 수도권대기총량관리시스템 운영 ○ 1단계(’07~’12) 대상 사업장관리 116개소 관리 ­할당량 준수 여부 확인을 위한 배출량 산정 및 검증 등 ○ 2단계(’09~’14) 사업장 할당계수 및 최적방지시설 기준농도설정 등 관리방안 마련(1~3종 총량대상 사업장 958개소) ○ 총량 대상 사업장 기술지원 ­배출허용총량 준수를 위한 저감전략 수립관련 진단 및 지원 ­배출권거래 활성화를 위한 정보제공 등 □ 자동차 환경사업 ○ 운행차 배출가스 원격측정장비(RSD : Remote Sensing Device)의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지역 시범운영 ○ 자동차 배출가스 종합전산시스템 운영 ○ 수입자동차 소음 인증시험(4,800대) 및 배출가스 인증시험(3,000대)
[ "깨끗한 공기를 확보하기 위해 서울은 총 166개소의 무슨 시설을 운영하고 있니" ]
unanswerable
d328dcf3-94e1-4332-af25-4c80b878b054
철새 등 생태계보호활동 주민에게 정부와 자치단체가 지원
제목 : 철새 등 생태계보호활동 주민에게 정부와 자치단체가 지원 - 철새도래지 등 생태계 우수지역을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로 보호하는 생물다양성관리계약제도 도입 □ 창원시 주남저수지, 군산시 금강호, 해남군 고천암호 등 주요철새 도래지에서 농사를 짓는 농민들이 철새보호를 위해 철새먹이 제공, 쉼터제공 등 적극적인 보호활동을 하였을 경우 실비보상을 받을 수 있게 된다. □ 환경부는 지난 6월 28일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로 철새들의 서식지 등 생태계 우수지역을 보호하기 위해 생물다양성관리 계약제도 시행지침을 작성하여 자자체에 시달하였다. □ 생물다양성관리계약제도란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철새도래지, 생물 다양성 우수지역 등을 보전하기 위하여 ○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토지의 소유자 또는 관리인과 경작방식의 변경, 철새먹이 제공, 습지의 조성 등을 내용으로 하는 계약을 체결하고, ○ 그 계약의 내용을 성실히 이행에 따른 주민손실을 실비로 보상하는 주민참여의 자연환경보전제도로서 영국, 네덜란드, 일본 등 에서는 널리 시행되고 있는 제도이다
[ "해남군이 주남저수지를 보호하기 위해 도입한 제도가 무엇일까", "환경부는 무슨 제도를 도입해서 토지의 소유자를 위한 쉼터를 제공했어" ]
unanswerable
a64e92be-5ae8-45ff-bd90-ec8914461057
멸종위기 Ⅰ급 노랑부리백로·저어새 백령도에서 번식, 유인도에서는 최초 사례
멸종위기 Ⅰ급 노랑부리백로‧저어새 백령도에서 번식, 유인도에서는 최초 사례 □ 환경부(장관 조명래)와 한강유역환경청(청장 나정균, 이하 한강청)은 그간 무인도에서만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노랑부리백로와 저어새가 사람이 살고 있는 백령도에서 최초로 번식에 성공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 한강청 생태계 변화관찰 조사단은 지난해 5월부터 실시한 ‘백령도 생태계 변화관찰’을 통해 노랑부리백로 19쌍(번식둥지 확인)이 번식에 성공한 것을 확인했다. ○ 또한, 노랑부리백로 번식지 주변에서 3쌍의 저어새가 둥지를 지어 새끼 3마리씩(총 9마리)을 기른 모습도 확인했다. ○ 노랑부리백로와 저어새가 국내 유인도에서 번식한 모습이 관찰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노랑부리백로는 국제자연보전연맹에서도 적색목록에 포함시켜 취약(VU, Vulnerable)의 범주로 평가하는 국제적인 보호조류다. ○ 백로과 여름철새인 노랑부리백로는 몸은 흰색이고, 부리와 발이 노란색이다. ○ 세계적으로 알려진 노랑부리백로 번식지는 한반도 서해안 일부와 중국 동남부, 러시아 남부의 두만강 접경 지역 무인도이며, 전 세계 개체군은 3,000~4,100마리(국제습지연합 2016)*로 추산하고 있다. * 국제습지연합(Wetlands International 2016): Wpe.wetlands.org/view/1627
[ "유인도에서만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멸종위기 야생생물인 어떤 조류와 저어새가 백령도에서 최초 번식에 성공했어", "한강청 생태계 변화관찰 조사단에서 적색목록에 포함시켜 취약 범주로 평가하는 국제적인 보호 조류는 뭐야" ]
unanswerable
ed6f0bac-229a-48b2-83f8-6f83ecbca99f
가뭄·물 부족 해결, 노후 상수관망 정비 사업이 해답!
가뭄‧물 부족 해결, 노후 상수관망 정비 사업이 해답!◇ 한국환경공단, 영월‧정선군 노후 상수관 정비로 총 2,540만톤 누수량 절감, 인구 5만명의 신도시 상수도 공급량과 맞먹어 질의응답 1. ‘유수율’이란? ❍ 정수장에서 생산하여 공급한 수돗물(총급수량) 중에서 요금으로 징수되는 수량(유수수량)의 비율( = 유수수량 / 총급수량 × 100%) 2. 본 사업을 실시하지 않고 있는 지자체의 유수율은 어떤가요 ? ❍「2013 상수도통계(환경부)」에 의하면 ‘13년 기준 전국의 유수율은 84.17%이며, 특‧광역시는 91.68%로 높은 유수율을 보이고 있으나, 재정여건이 열악한 군지역의 유수율은 63.94%로 지역간 상수도시설 서비스 수준의 격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음 3. 본 사업을 통해 국민들은 어떤 혜택을 볼 수 있나요? ❍ 단수 사고 감소 및 가뭄 대응 능력 향상 등 안정적 물 공급으로, 소규모 지자체 주민들도 대도시와 동등한 수준의 수도서비스 혜택 ❍ 누수량 감소에 따른 생산비용 절감으로 수도요금 인상 요인 제거 효과 4. 수도사업은 지방고유사무이므로 수익자부담원칙에 따른 사업추진이 필요하다고 보는데, 환경부에서 신규로 추진하는 노후 상수도시설 개량사업에 국고보조가 필요한지 ? ❍ 지방상수도 업무는 지자체 사무로 상수도시설에 대한 개량 및 정비는 지자체가 추진하는 것이 원칙이나, 열악한 지자체 재정여건 감안시, 모든 국민에게 차별없이 깨끗하고 안전한 물을 공급해야 하는 국가적 의무 이행을 위해서는 단계적‧한시적 국고지원이 필요 ❍ 또한, 지방재정법 제23조에서 국가가 보조금을 지급할 수 있는 경우로서 국가 정책상 필요할 때, 지방자치단체 재정사정상 필요할 때로 규정하고 있어, 국고보조의 근거 및 필요성은 충분하다고 봄
[ "노후 상수관망 정비 사업으로 인한 누수량 감소로 몇 퍼센트의 생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지", "노후 상수관 정비로 영월과 정선군에서 유수율이 몇 퍼센트 높아질까" ]
unanswerable
c7d046fa-9469-45da-8d6f-20a8495a243c
「세계 최고의 환경 서비스 전문기관」으로 발전 -2009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
「세계 최고의 환경 서비스 전문기관 」으로 발전 2009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 Ⅱ. 2009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 3. 기후변화 대응능력 제고 및 저탄소 녹색성장 구축 나. 실용 환경기술 보급 및 국제 환경산업 협력 강화 □ 환경측정기기 검사 ○ 환경측정기기 정도검사 3,790건 ­측정기기의 정확성과 통일성, 측정값에 대한 신뢰도를 제고 □ 환경기술 개발․보급 ○ 악취배출시설의 효율적인 악취 저감기술 전문서 발간 ○ 촉매장치를 이용한 악취의 선택적 처리기술 등 기술개발추진 □ 국제협력 및 기술교류 확대 ○ 공공-민간 파트너쉽을 통한 환경산업 해외진출 모델 개발 ­아제르바이젠 하수처리 및 물재이용 시범사업, 우즈베키스탄 수생태적 농업배수처리 기술지원 사업 등 ○ 해외협력 수탁사업을 기반으로 국제경쟁력 제고 ­튀니지 대기측정망, 베트남 먹는물 안전성관리 개선, 인도네시아 폐기물처리 타당성조사 등 5개 사업(28.8억) 추진 ○ 국제교류협력기반 다변화를 통한 국제경쟁력 제고 ­모잠비크, 케냐, 몽골, 우즈벸, 베트남, 캄보디아 기술지원 및 초청연수를 통한 협력사업 발굴 □ 남북한 환경협력 선도 ○ 폐수종말처리장 운영․관리 : 15,000㎥/일(1단계) ­운영인력 : 29명(공단 5명, 북측인력 24명) ○ 폐기물처리시설 운영․관리 : 12톤/일 ­운영인력 : 31명(공단 5명, 북측인력 26명)
[ "국제교류협력을 기반으로 어디에 악취 저감기술을 보급해 녹색성장으로 구축하고 있어" ]
unanswerable
de72a689-8d88-46d1-a05c-f36df441c5fc
자동차배출가스 허용기준 및 연료환경품질기준 대폭 강화
◇ 환경부, 자동차배출가스 허용기준 및 연료환경 품질기준 대폭 강화 - 대기환경보전법시행규칙 개정(12.10일 공포), ‘06년부터 적용 □ 환경부는 ‘06년부터 적용되는 자동차 배출가스 허용기준을 휘발유자동차는 미국 캘리포니아, 경유자동차는 유럽연합수준으로 대폭 강화하는 내용을 주요골자로 하는 대기환경 보전법시행규칙을 12월10일자로 개정·공포하였다. 개정된 시행규칙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 휘발유자동차 기준을 미국 캘리포니아의 초저공해차(Ultra Low Emission Vehicle) 수준으로 강화('06년 시행) - 휘발유 및 가스자동차의 배출가스 허용기준을 세계에서 가장 엄격한 미국 캘리포니아의 ULEV 수준으로 강화하여 ’06년부터 적용 ※ 현기준 대비 일산화탄소(CO)는 50%, 질소산화물(NOx)은 77%, 탄화수소(HC)는 39% 강화 ○ 경유자동차 기준을 유럽연합(EU)국가의 유로-4 수준으로 강화('06년 시행) - 경유자동차의 배출가스 허용기준을 유럽연합에서 ‘05년부터 적용되는 유로-4 수준으로 강화하여 ‘06년부터 적용 ※ 현기준 대비 일산화탄소(CO)는 21~47%, 질소산화물(NOx)은 30~67%, 미세먼지(PM)는 40~80% 강화 - 다만, 경유승용차는 현행기준이 유럽보다 강하여(미세먼지는 5배, 질소산화물은 25배) 통상마찰을 야기하고 있는 점을 고려, '05년 1년간 유로-3 기준(유럽연합국가에서 ‘00~’04년 적용)을 한시적으로 도입하고, ‘06년부터 유로-4 수준으로 강화
[ "어느 부서가 2000년부터 경유자동차의 기준을 미국 캘리포니아의 초저공해차 수준으로 강화하려고 하지" ]
unanswerable
00acd1bb-db84-4422-8763-c986a082dd40
정부, 국가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
정부, 국가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 □ 넷째, 국제분야는 ‘글로벌 책임 국가’를 목표로 8개 이행과제로 구성되어 있다. ○ 먼저 지난해 9월 유엔 총회에서 채택된 2030 지속가능발전의제 파트너십을 강화하기 위해 개발도상국에 대한 공적개발원조 비중을 확대하고, 유엔개발계획(UNDP) 등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 또한, 지난해 6월 유엔에 제출한 ‘3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BAU △37%) 달성을 위한 이행계획을 수립하고, 파리협정 발효에 대비한 후속협상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계획이다. -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정착을 위해 배출권 거래시장의 안정적 관리와 참여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 마지막으로 지속가능발전 교육 활성화, 지속가능발전 지표에 따른 평가 강화 등 지속가능 발전 이행기반 강화를 위한 4개 이행과제를 추진할 예정이다. □ 이번에 제3차 기본계획이 확정됨에 따라 정부 각 부처는 소관과제를 적극 추진해 나가고, 주기적으로 추진실적을 평가할 예정이다.
[ "한국은 파리협정에서 채택한 3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적극 추진해 무엇을 달성할 계획이니", "한국은 국제분야에서 무엇을 목표로 온실가스 감축 참여기업의 추진실적을 주기적으로 평가할까" ]
unanswerable
8baae7cd-5336-41af-9b6f-2c0efd680793
정부, 국가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
정부, 국가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 제3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2016~2035) 요약본 Ⅲ. 4대 목표별 추진과제  글로벌 책임 국가 ㅇ 2030 지속가능발전의제 파트너쉽 강화 - (개도국 지속가능발전 지원) ODA규모 확대(ODA/GNI ‘20, 0.2%), 경제(인프라)·사회(보건, 교육 등)·환경(기후변화, 물 등) 통합 지원 - (국제기구 협력강화) UNDP, UNICEF 등 국제기구와의 협력 강화 ㅇ 기후변화에 대한 능동적 대응 - (신기후체제 대응) 신기후체제 ‘3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BAU △37%) 이행계획 수립, 기후변화대응 글로벌 기술협력 강화 - (시장기반 온실가스 감축)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정착, 감축 유연성 제고 및 탄소시장 활성화 -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 패시브건축 의무화(‘17), 저탄소 교통·물류체계 구축, 건물·농어업·공공·폐기물 등 부문별 감축 내실화 - (적응역량 강화) 기후변화 적응 기반 강화를 위한 제도 정비, 기후변화 위험 관리 및 부문별 적응체계 구축 ㅇ 동북아 환경협력 강화 - 황사‧사막화‧해양오염 방지를 위한 동북아 환경공조 강화, DMZ 세계생태평화공원 조성 및 북한 산림 복구 등 남북 환경협력 추진
[ "황사, 사막화, 해양오염 방지를 위해 UNDP, UNICEF 등 국제기구와의 무엇이 의무화되어야 하지" ]
unanswerable
17642592-2127-42f5-a472-aaf45b2165db
2003년 『세계 습지의 날』기념식 및 세미나
2003년 『세계 습지의 날』기념식 및 세미나 2003년『세계 습지의 날』기념행사계획(안) 1. 개최 배경 및 목적 가. 습지보전을 위한 국제협약인 람사협약에서 1997년부터 매년 2월 2일을 세계 습지의 날(World Wetland Day)로 지정 기념 ※ 2002년 해양수산부 주관으로 정부차원의 기념식 최초 거행(한국해양연구원) 나. 올해는 우리부가 주관하여 기념행사와 세미나를 개최, 습지보전에 관한 일반국민의 인식증진의 기회로 활용 2. 추진계획 □ 추진 체계 가. 주최 : 환경부, 해양수산부 나. 주관 : 국립환경연구원 다. 후원 : KEI, 한국해양연구원, UNDP 한국대표부 □ 일시 및 장소 가. 장소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 대강당 나. 일시 : 2003년 2월4일 (화), 10:00~14:30 다. 참석 : 발표자, 토론자, 환경부, 해양수산부관계자, 시민단체 등 200여명 □ 행사내용 가. 기념식(10:00~10:30) ○ 세계 습지의 날 기념사 (환경부 장관) ○ 축사 (해양수산부 장관) ○ 습지보전 공로자 표창 수여 (환경부 및 해양수산부장관 표창) - 공무원, 민간인 각 10명 내외
[ "국립환경연구원이 주최하는 세계 습지의 날 기념행사는 어디에서 열리니", "습지보전을 위한 국제협약인 람사협약은 어디에서 맺어졌어" ]
unanswerable
c3fea6ab-02ba-4be9-92e4-508af8539d94
따오기가 사는 우포늪, 국제적 모범지역으로 인증 추진
따오기가 사는 우포늪, 국제적 모범지역으로 인증 추진 □ 창녕군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따오기를 증식·복원하고자 2008년 우포따오기복원센터를 만들었다. ○ 중국에서 2008년 따오기 1쌍(수컷 양저우, 암컷 룽팅)을, 2013년에 수컷 2마리(바이스, 진수이)를 기증받아 올해 6월 기준으로 313마리로 증식시켰다. ○ 올해 3월에는 군내 14곳 읍면 285곳의 마을이장, 자문위원, 7개 실무추진반 등 337명으로 구성된 ‘창녕 우포 따오기 야생방사 추진협의회’를 발족하여 범군민적인 관심과 동참을 이끌고 있다. ○ 협의회는 따오기 야생방사 지원, 따오기 서식기반 구축, 친환경농업확산, 깨끗한 물환경 조성과 오염원 관리, 주민인식 변화를 위한 교육·홍보 등 우포따오기 야생방사 준비를 위한 다양한 사업들을 추진할 예정이다. □ *** 창녕군 생태관광과장은 “람사르습지도시 인증을 받으면 장기적인 계획을 세워 우포늪 일대를 미래세대가 함께 할 수 있는 국제적 생태도시로 거듭나게 할 것”이라며, “따오기의 야생방사 준비에도 만전을 기하여 우포늪의 위상을 드높일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 "중국은 멸종위기 야생생물인 어떤 생물의 증식과 복원을 위해 2008년 복원센터를 만들었니", "창녕군은 어느 생물의 야생방사 준비를 위해 람사르습지의 위상을 드높일 수 있게 하겠다고 했니" ]
unanswerable
5ec87985-5920-4f5f-9318-40720926867e
[설명] 우리나라,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항행위원 재선
우리나라,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항행위원 재선 ICAO 항행위원회 개요  정원 및 자격 ㅇ 협약 제56조에 따라 이사회에서 임명한 19명의 전문가(항공공학 및 항공실무 자격 및 경험보유)로 구성 * 2005.4 시카고협약 제56조(항행위원 정원) 개정으로 15 → 19인으로 증원 ㅇ 위원의 자격(적격 요건) - 대졸이상 학력과 항공당국에서 기술관리 경력, 항공기술분야(조종,관제, 항공공학, 통신전자 등)의 다양한 전문지식과 경험이 필요 - 국제조약, 기준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ICAO 공식언어(영어, 불어, 스페인어, 중국어, 아랍어)중 1개 이상 구사능력 필수  선출 및 운영 □ 선출방식 ㅇ 모든 ICAO 체약국(191개국)이 항행위원 후보 추천 가능 ㅇ 총회 직후 개최되는 이사회에서 추천된 후보 중 항행위원 임명 - 36개 이사국이 각각 19표씩을(연기명) 행사하여 과반수 이상 득표자 중 다득표 순으로 임명(후보자가 정원을 미초과시 무투표로 결정) ㅇ 임명된 위원 중 이사회에서 위원장(President of ANC) 선임 □ 근무조건 ㅇ 임기는 3년이며, ICAO 본부가 위치한 캐나다 몬트리올에 거주토록 규정하고, 장기 불참시 자격상실도 가능(협약 제63조) - 항행위원들은 각국별 주ICAO대표부 소속으로 근무 ㅇ 급여, 출장경비 등 제 비용은 당해 위원을 추천국이 부담(협약 제63조) □ 회기운영 ㅇ 의사일정 및 업무프로그램은 이사회의 승인을 받아 결정되며, 이사회 회기와 동일하게 계획(다만, 회기 차수는 별도 산정) - 연 3차례 회기(1~3월, 4~6월, 9~11월), 각 회기는 전·후반 3주씩 회의개최(본회의: 화·목, 기타 그룹회의: 월·수·금) * 이사회의 경우 전반부 분과위(Committee), 후반부 본회의(Council)로 구성 □ 심의조직 ㅇ 본회의, 전원이 참여하는 상설워킹그룹(3개)*, 분야별 의제토론 원활화를 위한 소그룹(Commission Group 6개), 필요시 특별워킹그룹(Ad-hoc WG) 등을 설치·운영 * 의사절차워킹그룹(PM), 전략기획워킹그룹(SRP), 항행업무프로그램검토워킹그룹(PDP) ㅇ 전문영역별 각국 전문가들로 구성된 17개 패널(Panel)을 두어 국제기준 개발 등 기초 성안작업에 활용
[ "모든 ICAO 체약국은 항행위원 후보를 몇 명까지 추천할 수 있니", "ICAO 항행위원 재선에 대한 심의조직은 몇 명으로 이루어져 있니" ]
unanswerable
16478d75-276d-4c0e-ae69-84e2eca6451b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05년도에 수행한 연구사업 관련 요약 자료
□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05년도에 수행한 연구사업 관련 요약 자료입니다 유해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조사 및 모니터링 사업(Ⅱ) - 고정오염원에서의 유해대기오염물질 배출원 조사 ○ “특정대기유해물질관리기본계획”(환경부,2004)에 의거 우선순위대상물질 48종에 대해 2004-2008년까지 연차별로 특정대기유해물질의 배출 inventory를 구축하고 있다. 2004년에는 벤젠 등 13개 물질, 2005년도는 카드뮴 등 중금속 7종 물질을 조사하였으며, 06부터는 포름알데히드 등 28개 물질에 대해 조사할 계획이다. ○ 2차년도 사업인 2005년도는 .Pb, Cd, Ni, Be, As, Hg, Cr 7개 중금속 물질의 배출실태를 파악하여 업종별 중금속의 배출 inventory를 구축하였다. ○ 대기배출원조사(SODAM) D/B분석을 통하여 전국 대기배출사업장 중 중금속 배출량이 많은 제철제강 및 합금철제조업, 일반도료 및 관련제품제조업, 폐기물처리업(소각시설), 축전지제조업, 냉각압연 및 압출제품제조업, 기타 제 1차 비철금속 6개 업종을 선정한 후 화학물질배출량조사(TRI) D/B를 이용하여 오염물질별 배출량 상위 사업장 17개를 선정하여 이들 사업장의 주요배출시설에 대해 실측 조사를 실시하였다.
[ "국립환경과학원은 2004년에 어떤 계획에 의거하여 카드뮴 등 중금속 13종 물질을 조사하였는가", "2008년 환경부는 중금속 배출량이 많은 사업장 대상으로 무엇에 따라 업종별 중금속 배출 인벤토리를 구축했나" ]
unanswerable
f5983290-17e1-460a-9ac2-f2d2fd8da04a
RNA 분해의 비밀꼬리에서 찾아내다
알엔에이(RNA) 분해의 비밀 ‘꼬리’에서 찾아내다 - 기초과학연구원 알엔에이(RNA)연구단, 꼬리서열분석법으로 밝혀내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핵심 기관인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김두철)의 알엔에이(RNA)연구단(단장 김빛내리)이 세포 안에 있는 전령알엔에이(RNA)의 분해과정에 숨겨져 있던 새로운 메커니즘을 발견하는데 최초로 성공했다. □세포내 디엔에이(DNA)에 담긴 유전정보는 전령알엔에이(RNA(mRNA))에 의해 복사되어 단백질을 만드는데 이용된다. 따라서 유전정보를 전달하는 매개체인 전령알엔에이(RNA)의 생성에서부터 분해까지의 과정은 생명현상의 핵심과정이며, 다양한 생리현상과 질병을 이해하는 기반이 된다. o연구진은 최근의 연구를 통해 전령알엔에이(RNA)의 끝 부분에 유리딘 꼬리가 만들어짐을 보고한 바 있다. o연구진은 한 발 더 나아가 올해 초 자체 개발한 꼬리서열분석법3)을 이용해 전령알엔에이(RNA)의 분해를 촉진하는 ‘유리딘화4)’ 현상을 발견하고 이를 담당하는 두 개의 효소(TUT4, TUT7)5) 를 처음으로 밝혀냈다. □연구진의 이번 연구는 전령알엔에이(RNA)의 생성에서 분해까지의 전 과정에대해 보다 깊은 이해를 제공한 것은 물론이며, 이전 기술로는 알기 어려웠던 전령알엔에이(RNA)꼬리의 의미를 발견했다는데 중요성이 있다. □이번 연구결과는 분자생물학 분야 세계 최고 권위지 셀(Cell, IF 33.116)에 12월 4일자(현지시각 EST 12:00pm, 온라인)로 게재될 예정이다. *(논문제목) TUT4, TUT7 단백질에 의한 유리딘화가 전령RNA의 분해를 유도한다 (Uridylation by TUT4 and TUT7 marks mRNA for degradation) *(공동 제1저자) 임재철, 하민주, 장혜식 IBS RNA연구단 연구원 *(교신저자) 김빛내리 IBS RNA연구단장(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일반적으로 전령알엔에이(RNA)는 성숙 과정을 거치며 긴 아데닌 꼬리를 갖게 되고, 기능을 마친 전령알엔에이(RNA)는 긴 아데닌 꼬리가 짧아지며 분해과정이 시작된다. o이렇게 꼬리가 짧아진 전령알엔에이(RNA)는 이후 다양한 분해 효소들에 의해 최종적으로 잘게 분해된다. o연구진은 짧은 아데닌 꼬리에 추가적으로 유리딘 꼬리가 붙는다는 사실을 밝혔고, 이렇게 유리딘 꼬리가 붙어있는 전령알엔에이(RNA)는 빨리 분해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o또한 유리딘 꼬리는 두 개의 효소(TUT4, TUT7)에 의해 짧은 아데닌 꼬리를 가진 전령알엔에이(RNA)끝부분에 선별적으로 부착되며, 이 두 개의 효소를 인위적으로 제거한 세포에서는 전령알엔에이(RNA)의 유리딘 꼬리가 사라지며 분해가 느려진다는 것을 밝혀냈다. □**** 기초과학연구원 알엔에이(RNA)연구단장은 “이번 연구는 유리딘 꼬리의 의미를 처음으로 밝힌 것”이라며 “인간을 비롯한 포유 동물에서 전령알엔에이(RNA)의 분해를 이해할 수 있게 되었으며, 유전자 연구에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 "기초과학연구원의 효소 연구 결과는 어디에 게재될 예정이니", "서울대학교 최고 권위지인 어디에 알엔에이연구단의 연구결과가 실릴 예정이야" ]
unanswerable
21b4d7cd-cef8-436a-a57e-c4be959cc8cc
하수관거 BTL사업 워크숍 개최
하수관거 BTL사업 워크숍 개최 2008 하수관거 BTL사업 WORKSHOP 개최 계획 Ⅰ. 목적 □ 하수관거정비 BTL사업 시행 4년차로서 그동안의 성과와 문제점을 분석·성찰해보고, 향후 정책방향에 대한 각계의 의견수렴 □ 국내외 하수도 정책방향 및 하수도관련 기술 동향 소개, 민간투자 사업과 관련한 경험과 정보 공유로 우리나라 하수도정책 발전 도모 Ⅱ. 행사 개최계획 1. 행사개요 □ 행사명 : 2008 하수관거 BTL사업 Workshop □ 일자 : 2008년 11월 14일(금) □ 장소 : 일산 KINTEX □ 행사기관 : 주최 환경부, 주관 환경관리공단 2. 참석대상 : 약 400명 □ 환경부, 유역(지방)환경청 : 10명 □ 지자체 하수도담당공무원 : 200명 □ BTL사업 시공․감리사 등 관련업계 : 150명 □ 하수도분야 연구기관 및 학계 전문가 : 20명 □ 환경관리공단 민자사업 관련자 : 20명
[ "하수도분야 연구기관에서 2008 하수관거 워크숍에 몇 명이 참석했어", "학계 전문가 몇 명이 2008 하수관거정비 BTL 사업에 참석했니" ]
unanswerable
a069648e-c477-441a-b95a-cc7c333cb842
유리벽에 충돌하는 새들을 지켜주세요
유리벽에 충돌하는 새들을 지켜주세요 □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원장 ***)이 개원 5주년을 맞아 야생조류 충돌방지 캠페인 ‘유리벽에 쿵! 새들을 지켜주세요’를 11월 5일부터 시작한다. ○ 이번 캠페인은 온라인 홍보 누리집(birdsaver.kr)을 기반으로 실시되며, 국민의 관심과 참여로 야생조류의 유리창 충돌 사고를 줄이기 위해 마련됐다. □ 캠페인 홍보 누리집에는 야생조류가 건물 유리창, 투명 방음벽 등 인공 구조물에 부딪혀 죽는 사례를 사진과 영상으로 알리고, 일상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야생조류 유리창 충돌예방 안내법’을 알려준다. ○ ‘야생조류 유리창 충돌예방 안내법’에는 유리창에 아크릴 물감, 스티커 등을 이용해 선 또는 점으로 표시하는 것을 제안한다. 작은 새까지 통과되지 않도록 5×10cm 간격으로 표시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밖에 같은 방식으로 그물망 또는 줄을 설치하거나 커튼과 가리개(블라인드)로 유리창 반사를 차단하는 방법이 있다. □ 국립생태원은 ‘공감을 그리는 일러스트레이터’로 알려진진익킨 작가와 제작한 캠페인 관련 영상을 공개하고 이 영상의 공유자가 천 명을 넘기면, 국립생태원 직원과 시민이 방음벽 현장에 ‘조류충돌 방지 자외선 반사테이프‘를 부착하는 이벤트를 진행한다. ※ 익킨: 본명은 이원익인 그림 작가로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등사회관계망 서비스에서 수십만의 팔로워와 소통하고 공감을 불러일으켰으며, ‘비상(2017)’, ‘괜찮아(2015)’ 등의 저서가 있음 ○ ‘조류충돌 방지 자외선 반사테이프’는 미국(ABC, American Bird Conservancy)과 캐나다(Feather friendly)에서 야생조류 충돌 방지를 위해 보급하고 있으며, 터널테스트 등 실제 야생조류 실험을 통해 조류 충돌 방지 효과를 검증했다.
[ "야생조류 충돌방지 캠페인 홍보와 관련하여 국민의 관심과 참여로 소통하는 사회관계망 서비스를 언제 시행했어" ]
unanswerable
3d3b95d9-425b-477a-9d9d-c6509dde1237
인천시, 인천형 수소생태계 구축을 통한 수소산업 성장기 주도권 선점
인천시, 인천형 수소생태계 구축을 통한 수소산업 성장기 주도권 선점 □ 인천광역시(시장 박남춘)는 차세대 성장 동력인 동시에 친환경에너지 혁명으로 일컬어지는 수소경제의 활성화에 대응하고 수도권 수소 성장기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한 ‘인천형 수소생태계 구축 전략’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 시는 수소산업 관련 기업, 학계 및 시민단체 등 전문가들로 구성된 인천시 수소산업위원회의 자문을 받아 전략의 완성도를 높였으며, ○‘행복한 시민·깨끗한 환경·신성장 산업이 조화로운 지속가능한 미래도시 조성’이라는 비전 아래 수소생산 클러스터, 수소모빌리티 및 충전소 등 각종 인프라 확충을 통해 수소경제를 조기 구축하고, 수소연료전지 보급을 통한 기저전력 확보로 석탄화력 조기 퇴출 기반을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 "인천시는 무엇을 조기 구축하기 위해 수소산업위원회를 퇴출했니", "석탄화력을 활용한 무엇의 활성화에 대응하기 위해 인천형 수소생태계 구축 전략이 수립되었지" ]
unanswerable
f6c746a0-044e-4e6e-a74f-f4a083db26fb
미세먼지로부터 안전한 실내환경 조성
미세먼지로부터 안전한 실내환경 조성 (핵심분야 1) 민감계층 이용시설의 공기질 개선 지원  공기정화설비 보급 확대,  공기질 측정·개선 지원 ○ 올해 연말까지 전국 모든 유치원·학교에 공기정화설비의 설치를 완료할 계획이고, 영·유아, 어르신 등이 이용하는 사회복지시설에도 공기정화설비 설치를 지원한다. ○ 학교의 공기질 측정횟수를 늘리고 학부모 참관을 허용하여 학교 공기질 점검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어린이집, 노인요양시설, 의료기관 등 민감계층 이용시설에 대한 공기질 진단·개선 상담(컨설팅)을 실시한다.
[ "노인요양시설에서는 무엇의 측정횟수를 늘리고 어르신의 참관을 허용함으로써 점검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지", "한국의 모든 의료기관에서 무엇에 대한 측정이 완료될 계획이야" ]
unanswerable
761b94fd-d86b-45e3-8fc4-ab589787742b
"전국 일제 국토대청결운동"을 대대적으로 전개
환경부, 환경월드컵 개최를 위한 “전국 일제 국토대청결운동”을 대대적으로 전개 □ 중앙행사는 서울 관악산에서 환경부 장관, *** 월드컵축구대회 문화시민운동중앙협의회 회장, 관악구청장 참석하에 주민, 시민단체, 군인, 공무원 등 1,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쓰레기 수거행사와 장바구니 등 홍보물을 배포하는 환경캠페인이 전개되며, ○ 환경부장관은 상암동 월드컵 경기장 진입로 주변에 방치된 건축폐재류(30만톤)를 처리하고 있는 현장을 방문하여 관계자를 격려하고 환경월드컵 개최를 위한 정부의 의지를 표명할 계획이다 ○ 이와 함께 순수 민간단체 행사로 쓰레기문제해결을위한시민운동협의회(*** 집행위원장) 주관으로 서울 명동 밀리오레 앞에서 시민들을 대상으로 환경월드컵 손님맞이 국토대청결 캠페인이 개최된다. □ 자치단체 주관하에 실시되는 지방 국토청결 이벤트 행사는 전국에서 산, 하천, 바다 등에서 전개된다고 밝히고 주요행사로 ○ 강원 양양군 남대천 및 전남 장성군 황룡강에서는 하천 수중의 쓰레기 수거행사를 개최하고, 제주 서귀포시 중문포구에서는 바다속에 버려진 쓰레기를 수거하는 행사가 개최되며 ○ 부산 장산 대천공원에서는 산 쓰레기를 수거하여 가져오는 주민에게 추첨을 통해 경품을 주는 행사가 개최되고, 대구 팔공산 갓바위 부근에서 헬기를 동원하여 수거한 쓰레기를 하산하는 행사도 개최된다 ○ 부산 동래구 온천천, 경남 창원 창원천 주변에서는 야생화, 나무 식재와 더불어 하천변 쓰레기 수거 활동을 실시한다. ○ 이외에 많은 학교와 기업체에서 자율적으로 주변을 청소하는 청결 운동을 전개하며 대표적으로 울산 미래정보고등학교, 삼성전자 수원 사업장 등에서는 학교 및 주변 지역에서 청소활동에 나선다고 밝혔다.
[ "환경부 장관이 서울 명동 밀리오레를 방문하여 홍보물을 배포하는 행사는 뭐야", "울산 미래정보고등학교에서 주관하여 전국 산과 바다에서 전개하는 행사는 뭐지" ]
unanswerable
4db3c58f-4a88-479d-b695-7721bad310b5
시민이 행복한 글로벌 녹색도시 조성 인천시, 2022년 환경·녹지분야 예산 시민의견 듣는다.
- 2022년도 환경녹지분야 예산편성을 위한 - 주민참여 예산정책 토론회 Ⅲ 2022년도 주요사업 추진계획 녹지 정책과 9. 인천 치유의 숲 조성  사업개요 ❍ 사업비: 4,800백만 원(국비 200, 시비 4,600) ❍ 사업대상: 인천대공원 관모산 일원(535,460㎡) ❍ 주요시설: 치유센터, 치유숲길, 명상공간, 숲체험장 등 ❍ 치유의 숲 개장계획: 연차별 조성공사 후 개장(‘22년도 예정)  추진실적 ❍ 2018. 2.: 산림청 공립 치유의 숲 신규 사업 공모 ❍ 2018. 2. ~ 7.: 치유의 숲 조성을 위한 타당성 평가 용역, 인천시 투자심사 및 중기지방재정계획 등 절차이행 ❍ 2019. 3 ~ 7.: 인천 치유의 숲 기본계획 용역 시행 ❍ 2019. 12.: 인천대공원 조성계획(변경) 및 GB관리계획(변경)용역착수 ❍ 2020. 10.: 인천대공원조성사업 문화재지표조사 착수 ❍ 2020. 12.: 인천대공원조성사업 환경영향평가 착수  추진계획 ❍ 2021. 12.: 실시설계, 치유의 숲 조성계획 수립 등 관련 행정절차 이행 ❍ 2022. 1. ~ 2023. 12.: 치유의 숲 조성공사 착공 및 준공
[ "치유의 숲은 무엇을 마친 후 2018년에 문을 열까" ]
unanswerable
77bfbe1e-c6b8-49ac-8821-06cfec963ba8
시민이 행복한 글로벌 녹색도시 조성 인천시, 2022년 환경·녹지분야 예산 시민의견 듣는다.
- 2022년도 환경녹지분야 예산편성을 위한 - 주민참여 예산정책 토론회 Ⅲ 2022년도 주요사업 추진계획 녹지 정책과 9. 인천 치유의 숲 조성  사업개요 ❍ 사업비: 4,800백만 원(국비 200, 시비 4,600) ❍ 사업대상: 인천대공원 관모산 일원(535,460㎡) ❍ 주요시설: 치유센터, 치유숲길, 명상공간, 숲체험장 등 ❍ 치유의 숲 개장계획: 연차별 조성공사 후 개장(‘22년도 예정)  추진실적 ❍ 2018. 2.: 산림청 공립 치유의 숲 신규 사업 공모 ❍ 2018. 2. ~ 7.: 치유의 숲 조성을 위한 타당성 평가 용역, 인천시 투자심사 및 중기지방재정계획 등 절차이행 ❍ 2019. 3 ~ 7.: 인천 치유의 숲 기본계획 용역 시행 ❍ 2019. 12.: 인천대공원 조성계획(변경) 및 GB관리계획(변경)용역착수 ❍ 2020. 10.: 인천대공원조성사업 문화재지표조사 착수 ❍ 2020. 12.: 인천대공원조성사업 환경영향평가 착수  추진계획 ❍ 2021. 12.: 실시설계, 치유의 숲 조성계획 수립 등 관련 행정절차 이행 ❍ 2022. 1. ~ 2023. 12.: 치유의 숲 조성공사 착공 및 준공
[ "2021년 12월에 인천대공원조성사업에 대한 무엇에 착수했니", "2020년 12월에 인천대공원 관모산에 대한 무엇을 실시했지" ]
unanswerable
25fa9967-cea2-4d9a-b2b5-9fb8aa580e49
환경마크 대상제품 확대 및 인증기준 개정·고시
환경마크 대상제품 확대 및 인증기준 개정·고시 □ 환경부는 1월 6일 환경표지(환경마크) 대상제품군을 7개 용도·기능으로 분류체계를 재정비하고, 6개 제품을 대상제품에 추가하였으며, 국·내외 환경성 관련 규제 및 표준화 동향을 반영하여 23개 제품에 대한 인증기준을 대폭 손질하였다고 밝혔다. ◦ 이번 인증기준의 개정은 환경표지 대상제품의 확대에 따라 제품군 분류체계를 확립하고, 제품의 환경성 관련 규제 및 표준화 동향을 반영하여 우리 제품이 해외로 진출할 때 선진국의 무역차별화 조치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 이번에 새로이 인증기준이 마련된 제품은 그 동안 대상품목으로 제안된 물품 중 환경성 개선효과 등을 감안하여 선정된 휴대전화기, 포장재, 생분해성 수지제품, 수처리제, 신발, 저소음 건설장비 등 6개 품목이다. ◦ 이로써 전체 환경마크 대상제품은 1년전 79개 제품군에서 84개 제품군으로 확대되었으며, 1월 현재 227개 업체에서 441개 제품을 인증받아 1년전 181개업체 326개 제품에 비해 35%가 증가되었다. ※ 작년 6월 3개 품목, 이번 6개품목 등 총 9개품목이 증가하여 88품목이 되었으나, 분류체계 정비시 품목통합으로 4개품목이 감소되어 84품목이 됨
[ "환경부는 환경성 관련 규제 및 표준화 동향을 반영하여 7개의 제품에 대한 어떤 기준을 대폭 손질하였다고 했지", "환경부는 환경표지대상제품군의 용도 및 기능에 대한 무역차별화조치의 어떤 기준을 개정했니" ]
unanswerable
a2695c52-0dda-4801-94b6-c067d44af81d
멸종위기종 대모잠자리, 국립생태원 인공습지에서 2년 연속 서식 확인
멸종위기종 대모잠자리, 국립생태원 인공습지에서 2년 연속 서식 확인 □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원장 ***)은 원내 인공습지 일대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대모잠자리가 2년 연속 살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 대모잠자리는 지난해 5월 초 충남 서천군 국립생태원 내의 인공습지에서 100마리 이상 서식이 확인된데 이어 올해는 4월 15일 약 5마리가 발견됐다. ○ 5일 후에는 약 15마리, 10일 후에는 약 30마리로 개체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약 한달 후인 5월 둘째 주에는 100마리 이상의 개체수가 관찰됐다. ○ 대모잠자리가 가장 많이 출현한 곳은 인공습지 내의 국립생태원 방문자센터와 나저어연못 등이다. □ 대모잠자리는 통상 4~6월에 성충으로 발견되며, 주요 서식지인 갯벌과 습지의 개발로 인해 개체 수가 점차 감소해 2012년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됐다. ○ 갈대와 같은 수생식물이 많고 유기물이 풍부한 갯벌, 연못, 습지 등에 서식한다. ○ 서해안과 남해안 지역에 주로 발견되며, 국내에서 인공적으로 조성된 습지에서 발견된 것은 국립생태원이 처음이다. ○ 대모잠자리는 금구리연못, 나저어연못 등 국립생태원 인공습지에서 6월 말까지 쉽게 관찰이 가능하며, 대모잠자리 외에도 수달, 금개구리, 가는돌고기 등 다양한 멸종위기 야생생물을 직접 관찰할 수 있다.
[ "4월에 남해안 국립생태원 인공습지 내에서 발견된 멸종위기 야생생물이 뭐니" ]
unanswerable
fb88d677-7aad-4d5e-973b-3f50e29d3576
환경마크 대상제품 확대 및 인증기준 개정·고시
환경마크 대상제품 확대 및 인증기준 개정·고시 신규 대상제품별 인증기준 주요 내용 1. 신발 - 25g 이상의 부품으로서 염화비닐수지(PVC) 등 할로겐계 합성수지를 사용금지 기준 설정 - 직물(인조피혁 포함) 및 피혁의 포름알데히드, 염소화 페놀류, 유기주석화합물, 아조염료 등 유해성분 기준 설정 - 제품 중 납(Pb), 카드뮴(Cd), 6가크롬(Cr), 비소(As) 함량기준 설정 ∙ 10mg/kg 이하 - 개별포장의 재활용성에 대한 기준 설정 ∙ 재활용을 어렵게 하는 라미네이팅, 수지코팅 종이, PVC 등 염소계 합성수지 사용 금지 - 해당 한국산업규격 및 동등 수준이상의 우선구매대상 단체 규격 품질기준 설정 2. 핸드폰 - 사용과정에서 인체 안전성 기준 설정 ∙ 제품에서 방출되는 전자파 흡수율(SAR) : 0.8W/kg 이하 ∙ 버튼, 케이스 등 제품의 표면과 2차전지 팩에 알러지 유발물질 사용금지 - 제조과정에서 화학물질 사용과 관련한 유해물질 기준 설정 ∙ 10g 이상 합성수지 부품에 할로겐계 합성수지 및 브롬계 난연제 등사용금지 ∙ 2차 전지팩 내의 납, 카드뮴 중금속 사용 금지 - 폐기단계에서 고형폐기물 발생 저감을 위한 재활용성 기준 설정 3. 포장재 - 종이․판지․펄프 포장재에 대한 기준 설정 ∙ 재활용 용이성 기준 : 라미네이팅, 수지코팅 등 재료 사용금지 ∙ 포장재 용도별 고지함량 기준 ∙ 이종재질의 사용제한 기준 ∙ 접합부 사용 기준 - 합성수지 포장재에 대한 기준 설정 ∙ 폐재 사용률 기준 ∙ 제품 재활용성 기준 ∙ 25g 이상부품의 재질표시 및 염화비닐수지 사용금지 기준 ∙ 난연제, 안정제, 발포제 등 제품 화학물질 사용 제한 기준 - 환경친화적 설계 고려 기준 요구
[ "케이스 표면에 25그램 이상의 염화비닐수지 코팅을 금지하는 제품이 뭐야", "어떤 제품에 포장재 용도별 10그램 이상 사용제한 기준이 설정됐어" ]
unanswerable
e4136a0e-9da6-43d4-be15-e3d7ab5be896
「야생동·식물보호법」국회 통과
야생동․식물보호법 제4장 수렵관리 제48조(수렵면허증의 교부 등) ①시․도지사는 제45조제1항의 규정에 의한 수렵면허시험에 합격하고, 제47조제2항의 규정에 의한 강습이수증을 발급받은 자에게 환경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수렵면허증을 교부하여야 한다. ②수렵면허의 효력은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수렵면허증을 본인 또는 대리인에게 교부한 때부터 발생하고, 교부받은 수렵면허증은 다른 사람에게 대여하지 못한다. ③제1항의 규정에 의한 수렵면허증을 잃어버렸거나 손상되어 못쓰게 된 때에는 환경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재교부받아야한다. 제49조(수렵면허의 취소․정지) ①시․도지사는 수렵면허를 받은 자가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수렵면허를 취소하거나 1년의 범위 안에서 일정한 기간을 정하여 그 수렵면허의 효력을 정지할 수 있다. 다만, 제1호 및 제2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 수렵면허를 취소하여야한다. 1. 거짓 그 밖에 부정한 방법으로 수렵면허를 받은 경우 2. 수렵면허를 받은 자가 제46조제1호 내지 제4호의 1에 해당하는 경우 3. 수렵중 고의 또는 과실로 다른 사람의 생명․신체 또는 재산에 대하여 피해를 일으킨 경우 4. 수렵도구를 이용하여 범죄행위를 한 경우 5. 그 밖에 이 법 또는 이 법에 의한 명령에 위반한 경우 ②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렵면허의 취소 또는 정지처분을 받은 자는 취소 또는 정지처분을 받은 날부터 7일 이내에 수렵면허증을 시․도지사에게 반납하여야 한다. 제50조(수렵승인 등) ①수렵장안에서 야생동물을 수렵하고자 하는자는 제42조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렵장을 설정한 자(이하“수렵장설정자”라 한다)로부터 환경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수렵승인을 얻어야 하며, 수렵장설정자에게 수렵장사용료를 납부하여야 한다. ②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렵장설정자의 승인을 얻어 수렵한자는 환경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수렵동물의 종류 및 수량등을 수렵장설정자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③수렵장설정자는 수렵장사용료 등의 수입을 수렵장 시설의 설치․유지관리와 대통령령이 정하는 사업에 사용하여야 한다. 다만, 수입금중 100분의 40의 범위안에서 환경개선특별회계법에 의한 환경개선특별회계 세입재원으로, 100분의 10의 범위안에서 농어촌구조개선특별회계법에 의한 임업진흥사업계정의 세입재 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 "수렵면허 강습이수증의 어떤 처분을 받은 자는 강습이수증을 반납해야 할까" ]
unanswerable
070bf817-982c-4f02-8907-7b8f9a477cc4
「야생동·식물보호법」국회 통과
야생동․식물보호법 제4장 수렵관리 제48조(수렵면허증의 교부 등) ①시․도지사는 제45조제1항의 규정에 의한 수렵면허시험에 합격하고, 제47조제2항의 규정에 의한 강습이수증을 발급받은 자에게 환경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수렵면허증을 교부하여야 한다. ②수렵면허의 효력은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수렵면허증을 본인 또는 대리인에게 교부한 때부터 발생하고, 교부받은 수렵면허증은 다른 사람에게 대여하지 못한다. ③제1항의 규정에 의한 수렵면허증을 잃어버렸거나 손상되어 못쓰게 된 때에는 환경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재교부받아야한다. 제49조(수렵면허의 취소․정지) ①시․도지사는 수렵면허를 받은 자가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수렵면허를 취소하거나 1년의 범위 안에서 일정한 기간을 정하여 그 수렵면허의 효력을 정지할 수 있다. 다만, 제1호 및 제2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 수렵면허를 취소하여야한다. 1. 거짓 그 밖에 부정한 방법으로 수렵면허를 받은 경우 2. 수렵면허를 받은 자가 제46조제1호 내지 제4호의 1에 해당하는 경우 3. 수렵중 고의 또는 과실로 다른 사람의 생명․신체 또는 재산에 대하여 피해를 일으킨 경우 4. 수렵도구를 이용하여 범죄행위를 한 경우 5. 그 밖에 이 법 또는 이 법에 의한 명령에 위반한 경우 ②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렵면허의 취소 또는 정지처분을 받은 자는 취소 또는 정지처분을 받은 날부터 7일 이내에 수렵면허증을 시․도지사에게 반납하여야 한다. 제50조(수렵승인 등) ①수렵장안에서 야생동물을 수렵하고자 하는자는 제42조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렵장을 설정한 자(이하“수렵장설정자”라 한다)로부터 환경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수렵승인을 얻어야 하며, 수렵장설정자에게 수렵장사용료를 납부하여야 한다. ②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렵장설정자의 승인을 얻어 수렵한자는 환경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수렵동물의 종류 및 수량등을 수렵장설정자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③수렵장설정자는 수렵장사용료 등의 수입을 수렵장 시설의 설치․유지관리와 대통령령이 정하는 사업에 사용하여야 한다. 다만, 수입금중 100분의 40의 범위안에서 환경개선특별회계법에 의한 환경개선특별회계 세입재원으로, 100분의 10의 범위안에서 농어촌구조개선특별회계법에 의한 임업진흥사업계정의 세입재 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 "수렵도구를 이용해 범죄행위를 한 경우 뭐가 정하는 바에 따라 재교부받아야하지", "수렵면허증이 손상되어 못 쓰게 되면 무엇이 정하는 바에 따라 시,도지사에게 반납해야 해" ]
unanswerable
eedca616-49e2-42c9-9212-b8e36389a43b
환경부, 댐상류지역 하수처리장 설치대책 마련
환경부, 댐상류지역 하수처리장 설치대책 마련 댐상류 하수처리장 설치대책 3. 향후 추진계획 □ 유역별 관계기관 협의(6월) ○ 환경부, 환경관리공단, 15개 댐상류지역 시․군 참여 ○ 유역별 통합․자동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사업추진 협약체결 방안 모색 ※ 용담댐, 탐진댐, 남강댐 상류지역 대상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협의 ·환경부, 수자원공사, 환경관리공단 ·용담댐상류 지자체 : 진안군, 장수군, 무주군 ·탐진댐상류 지자체 : 장흥군, 강진군 ·남강댐상류 지자체 : 진주시, 사천시, 남원시, 하동군, 함양군, 합천군, 산청군, 구례군 등 8개 시군 □ 유역별 민자유치 기본계획 수립 고시(11월까지) ○ 유역별 통합하수도정비기본계획 수립 병행 □ 민자유치 사업 추진(12월)
[ "어느 댐의 상류 지역 지자체로서 진안군과 강진군이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협의에 참여하지", "진주시, 사천시 등 15개 시, 군이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협의에 참여하는 댐은 어느 댐이야" ]
unanswerable
45f6da81-3820-4be9-8dd0-47822bef91d9
환경신기술활용촉진지침불이행 지자체에 예산지원제한
환경신기술활용 촉진지침 불이행 지자체에 예산지원제한 이행관리실태 조사결과(환경기술발전 촉진을 위한 업무처리규정 관련) 3. 조사결과 분석 □ 시설별 설치추진 실태 ◦ '99. 12월말 기준으로 예산이 확정되어 환경기초시설 설치사업이 추진되는 곳은 총 151개소로서 매립시설 35개소, 분뇨및축산폐수처리시설 7개소, 소각시설 17개소, 음식물처리시설 2개소, 정수시설 3개소, 폐수처리시설 4개소, 하수처리시설 83개소임 □ 공사계약 추진실태 <계약방법결정> - 턴키로 결정되어 계약이 추진중인 지역은 9개소로서 매립시설 1개소(창원), 소각시설 1개소(통영), 폐수처리시설 3개소(평택 어연, 양주 검준, 포천 양문), 하수처리서설 4개소(서울시 오니처리시설, 광주3단계하수처리장, 포항하수처리장, 구미하수처리장)임 <설계계약> - 시설설치가 추진되는 151개소중 공사계약방법이 결정되지 않은 지역은 총 78개소임 - 그중 기본․실시설계가 계약되지 않은 지역은 29개소이며 계약된 지역은 49개소임(기본·실시설계가 계약되면 턴키․기술공모 불가) □ 턴키 또는 기술공모 권장대상 - ‘99말까지 기본·실시 설계가 계약되지 않은 지역으로 2000년 1월 이후 계약하는 지역 29개소중 환경기술발전촉진을 위한 업무처리규정에 의한 기준상의 턴키 또는 기술공모 권장지역은 9개소임(31%) ◦ 턴키 : 부산 중앙하수처리장 등 4개소 ◦ 기술공모 : 경기 현리하수처리장 등 5개소 □ 턴키 또는 기술공모 시행여부 파악 - ‘99. 11 ~ 12월에 설계계약한 지역중 턴키 및 기술공모 대상 ◦ 턴키 : 중랑자원회수시설, 승기하수(증설)처리장 등 4개소 ◦ 기술공모 : 고성쓰레기매립장, 무안하수처리장 등 9개소 - 턴키 및 기술공모 권장지역 12개소중 9개소 미이행(76%, 하수3, 매립 6)
[ "2000년 1월 통영에서 실시설계를 계약한 몇 개소의 하수처리시설에 턴키 설치사업이 추진돼" ]
unanswerable
59f0ab70-9e5b-4dff-b821-1312d34753b3
가을철 구별 어려운 독버섯, 먹을 경우 생명위험
가을철 구별 어려운 독버섯, 먹을 경우 생명위험 전문용어 설명 ○ 독버섯 : 버섯의 모양이 화려하고 원색을 띈 것이 많으며 냄새가 고약하고 끈적한 점액을 가진 경우가 많습니다. 독버섯 섭취 시 종류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이 조금씩 다르지만 대게 구토, 설사, 오한, 발열 및 호흡곤란등의 증세가 나타난다. 독버섯의 종류에 따라 1~2시간에서 최대 수일까지 잠복기간을 가질 수 있다. ○ 마귀광대버섯 : 갓의 표면은 회갈색을 띠며, 습하면 점성이 있고 흰색의 사마귀 모양 외피막 파편이 흩어져 있다. 자루의 위쪽에 흰색 막질의 턱받이가 있으며, 조직은 흰색이다. 맹독성이다. ○ 갈황색미치광이버섯 : 죽은 나무의 밑둥 또는 그 주변이 무리지어 발생하며, 갓의 표면은 황금색이고 주름살은 빽빽하다. 자루의 색깔은 갓과 비슷하고 황색 막질의 턱받이가 있다. 치명적인 독버섯은 아니지만 환각, 환청 등 정신이상 증상을 일으킨다. ○ 암회색광대버섯아재비 : 산림 내 홀로 또는 무리지어 발생한다. 갓의 표면은 회색~회갈색이고 중앙은 짙은색을 띤다. 주름살은 흰색이며 빽빽하다. 자루는 원통형으로 기부에 대주머니가 있으며 흰색 막질의 턱받이가 있다. 맹독성이다. ○ 솔미치광이버섯 : 소나무 등침엽수 고사목이나 쓰러진 나무의 줄기, 그루터기에 무리지어 또는 다발로 발생한다. 갓의 표면은 평활하고 황갈색이며, 주름살은 빽빽하다. 자루는 원통형으로 턱받이가 없으며 조직은 단단하다. 독성이 있다.
[ "무슨 버섯이 산림 내 무리지어 발생하며 정신이상 증상을 일으키고 갓 표면이 회갈색이며 주름살이 빽빽할까" ]
unanswerable
e9de730e-c44f-4e06-aadb-4ee6d6e3bea6
봄철 해빙기, 낙석 등 안전사고 주의
봄철 해빙기, 낙석 등 안전사고 주의 □ 국정과제 국민안전의 일환으로 국립공원관리공단(이사장 ***)이 봄철 해빙기를 맞아 국립공원을 찾는 탐방객에게 낙석 등 안전사고에 특별히 유의해 줄 것을 강조했다. ○ 공단이 지난 2010년부터 2014년까지 해빙기(2.15.~3.31.) 기간 중에 안전사고 누적 발생 횟수를 조사한 결과, 98건이 발생했고 이중 사망사고는 13건으로 나타났다. ○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전체 안전사고 누적 발생 횟수는 1,429건이며, 해빙기 기간 동안 사고 비중은 6.9%에 불과하다. 하지만 사망사고 비율은 전체 124건 중 10.5%를 차지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때 큰 사고로 이어질 확률이 높은 편이다. ○ 5년간 해빙기 기간 동안 낙석 사고는 15건이 발생했고 이중 1건이 사망사고로 이어졌다. 다른 사망사고의 유형은 심장돌연사 9명, 눈사태 2명, 추락사 1명 등이다. ○ 특히 지난해 3월 16일 북한산 인수봉에서 발생한 낙석 파편으로 인해 암벽등반을 하던 등산객 1명이 사망하고 1명이 부상당한 사고가 일어났다. □ 공단은 낙석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 26일 경찰산악구조대, 서울시 119특수구조단, 산악단체 등과 함께 북한산 인수봉에 대한 안전을 점검하고 낙석을 제거했다. ○ 또한, 해빙기에는 연중 낙석이나 낙상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산행 중 급경사지나 절벽 아래 등 낙석 위험지대를 만나면 주의하여 신속하게 통과할 것을 공단 누리집(www.knps.or.kr)을 통해 안내하고 있다. ○ 아울러 공공 정보를 적극적으로 개방하는 정부3.0과 국민 안전을 추구하는 국정과제에 따라 구글 어스로 보는 국립공원 3D 안전지도를 공단 누리집 내에 있는 국립공원 추천정보에서 제공하고 있다.
[ "2010년부터 2014년까지의 해빙기에 일어난 안전 사고 중 인수봉에서 발생한 낙석사고는 총 몇 건이야" ]
unanswerable
02e8314c-5228-475f-aa32-9928793edd38
단독주택 대상 재활용품 통합배출 시범사업 실시
-재활용품 배출은 손쉽게, 수거량은 더 많이- 단독주택 대상 재활용품 통합배출 시범사업 실시 □ 환경부는 한국환경공단, 재활용사업 공제조합단독주택과 함께 재활용 전용봉투(유리병 전용봉투 포함)와 71만 1,000장과 그물망 7,000여개를 제작해 지자체를 통해 시범사업 지역 주문들에게 무상으로 배포할 예정이다. ○ 이와 함께 시범사업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한국환경공단, 지자체와 재활용사업 공제조합이 함께 참여하는 통합수거협의체를 구성해 운영한다. - 이 협의체는 전국 권역별로 지역 특성을 감안한 수거 체계를 마련하고, 시범사업 과정의 문제점 도출과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등 사업추진 과정의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기 위해 수시 운영할 계획이다. □ 또한, 환경부는 시범운영 결과를 토대로 전국 확대 여부를 검토할 방침이다. ○ 시범운영 기간 동안 재활용품 배출 시점부터 선별처리 과정까지 전 과정을 분석해 최적의 배출시스템 기준을 세우고 전국으로 적용 가능한 수거 시스템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 세종시 조치원읍에 거주하는 주부 이 모 씨는 “기존에 재활용품을 배출하려면 분류하기도 어렵고 가져 나오는데도 불편함이 많았는데, 한 곳에 담아 배출하면 여러 가지로 편리해질 것 같다.”며 시범사업에 기대를 나타냈다. □ 환경부는 “단독주택 지역은 분리배출 인프라가 부족해 주민들이 재활용품 배출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통합배출로 배출방식이 간소화되면 주민도 편리해지고, 재활용품 수거률도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세종시 조치원읍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어떤 배출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 그물망을 제작했어" ]
unanswerable
4b962770-a6b5-48a0-b8f1-59d4da6cf9aa
화학·수질 등 대규모 복합재난 대비한 합동훈련 실시
화학‧수질 등 대규모 복합재난 대비한 합동훈련 실시 □ 훈련 이후에는 토론형 훈련과 현장합동훈련에서 나타난 미비점에 대해 근본적인 진단을 통한 개선사항을 도출한다. ○ 환경부는 도출된 개선사항을 관련 훈련 안내서(매뉴얼)에 반영하여 실제 재난이 발생할 경우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현장활용 안내서로 개편하고 관련 대응체계도 정비할 계획이다. ○ 또한, 주민대피 발령을 가정한 안전지역 이동 대피훈련도 병행하여 지역 주민에 대한 재난상황 알림 체계 및 주민대피․소산계획에 따른 주민행동요령 등을 재점검하는 계기로 삼을 예정이다. □ 이번 훈련은 화학물질 유출사고에 민간기업도 함께 방재에 참여하는 산‧관 협력형 대응체계로 운영되는데, 특히 화학물질 안전관리를 위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협력하여 자율적으로 구성한 수도권 화학안전공동체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할 계획이다. □ *** 환경부 환경보건정책관은 “이번 훈련은 올해 처음으로 시행되는 복합재난에 대한 훈련으로 어느 해보다 유관기관 간 협업대응 체계가 중요하다”라며, “성공적인 훈련으로 위기관리 대응능력을 높이는 계기로 만들겠다”라고 밝혔다.
[ "수도권 화학안전공동체는 복합재난 합동훈련에서 도출된 개선사항을 어디에 반영하기로 했어" ]
unanswerable
cedde758-3bc8-417a-82f5-095915ec91f7
남은 음식물 우수 재활용업체 4개소 선정·발표
남은 음식물 우수 재활용업체 4개소 선정․발표 남은 음식물 우수 재활용 퇴비 및 사료제품 공모전 수상자 시상식 개최 계획 공모전 개요 ◈ 목적 : 남은 음식물 재활용 퇴비 및 사료제품의 품질 향상을 유도하고, 재활용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부정적인 인식 개선 ◈ 주관기관 : 환경부(한국환경자원공사) ◈ 평가방법 : 서류심사 → 현장 실사 → 평가․심의위원회 개최→ 선정 ◈ 공모전 결과 : 총 17개 응모업체 중 4개 업체 선정 - 1차 공모전(‘06.10.11~’07.1.10): 사료업체 2개 및 퇴비업체 1개 ※ 미 선정된 비료업체 1개소는 추천을 통한 서면 심의 결정 - 퇴비제품 선정을 위한 재공모(‘07.1.18~2.23): 퇴비제품 1개 업체 □ 일시 및 장소 : ‘07. 3.28(수) 15:00~, 장관실 외빈접견실(6층) □ 수상 대상업체 및 시상 내용 ○ 사료분야는 보은산업개발(경기 소재) 및 인천광역시(시설명 : 청라음식물쓰레기 자원화시설, 인천 소재), 퇴비분야는 한빛테크원(경남소재) 및 안동시청(시설명 : 안동시 음식물자원화시설, 경북 소재)가 우수업체로 선정됨 ○ 선정업체에 대해서는 환경부장관상 상장과 부상으로 상금 각 100만원씩 수여 - 소요예산(400만원) : 100만원 × 4개 업체(한국환경자원공사 집행) □ 시상식 참석자 : 총 11명 ○ 환경부(장관, 국장 및 담당자 등 5명), 한국환경자원공사(산업지원이사외 1명)
[ "남은 음식물 재활용 퇴비 및 사료제품 공모전에 대한 서류심사는 장소는 어디지", "남은 음식물 재활용 퇴비 및 사료제품 공모전의 업체 선정을 위한 평가 심의위원회의 장소는 어딜까" ]
unanswerable
f64e4f3c-192e-412b-a835-58a428ea2d67
산업단지 원형지 본격 공급 추진
산업단지 원형지 본격 공급 추진 □ 국토해양부(장관 : 정종환)는 산업단지 현안관련 회의를 2.2(화) 14:00, 국토해양부(대회의실)에서 개최하였다. ㅇ 이번 회의는 국토해양부 국토정책국장(박상우) 주재로 각 시·도의 산업단지 담당과장과 LH공사 및 한국수자원공사의 관계관 등이 참석하였다. □ 국토해양부는 이 자리에서 대구·구미·포항 및 광주/전남 등 4개 국가산업단지에서 원형지 공급방안을 협의하였고, 100만㎡이상의 일반산업단지중에서도 원형지 공급이 가능한 지역을 적극 발굴하도록 협조요청하였다.. □ 국토해양부는 산업단지에서의 공장신축 허용시기가 지연되어 기업이 조기에 생산활동을 할 수 없는 점을 개선하기 위해 산단개발에 장애가 되지 않는 범위안에서 산단개발과 동시에 공장건축을 허용하도록 하였으며, 주기적으로 개선사항 이행여부를 점검할 계획이다. 그리고 산업단지에 대해 철저한 수요조사 등 수급관리와 상반기중 재정조기집행 목표(66%)를 달성할 수 있도록 국비지원사업을 서둘러 추진할 것을 당부하였다. □ 아울러 금년도 국토해양부가 추진계획인 이용이 저조한 산단내 도로 및 보도개선(양방향→일방향) 및 지역현안 해결을 위한 조건부여 방지 등 분양가 20% 인하방안과 산단 기반시설 지원제도 개선, 산단내 주거·업무 등 지원 시설기준 개선 및 선수금 정산제도 개선방안에 대해 설명하고 시·도 등 관계기관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 각 시·도는 이 자리에서 지역내 현안사항을 다수 건의하였고, 이에대해 국토해양부는 최대한 수렴하여 조치할 계획임을 밝혔다.
[ "국토해양부는 몇 퍼센트의 국가산업단지에 공장을 신축하겠다고 했어" ]
unanswerable
621c543b-237d-4e5a-ae0b-d203fbd4afdb
환경기술상 대상에 '브라운가스 이용 소각재 용융기술'
환경기술상 대상에 ‘브라운가스 이용 소각재 용융기술’ ▶ 「중소형 경유차량에 대한 LPG차량 개조 기술」 개발로 중소형 경유차의 배출가스를 약 60% 저감 - 이 기술은 질소산화물(NOx)과 미세먼지를 다량 배출하는 노후된 경유차량을 최적 점화시기와 연료량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장치를 적용한 LPG차량으로 개조하는 기술로서, - LPG 개조 차량은 개조전 경유차량에 비하여 매연이 배출되지 않고 질소 산화물(NOx) 69~93%, 일산화탄소(CO) 및 탄화수소(HC) 26~91% 저감되는 등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약 60%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 이 기술의 우수성은 국제적으로도 인정받아 2000년 9월에 독일의 자동차 인증검사기관인 데크라(DEKRA)로부터 안전성에 관한 국제 인증을 획득하였으며, - 정부 및 지자체에서도 기술의 우수성을 인정하여 2001년에 대구광역시 청소차량 113대, 2003년 부산광역시 및 서울특별시에서 청소차량 및 소형 마을버스 160대를 LPG차량으로 전환한 것을 비롯하여 - 환경부에서는 LPG개조 차량을 전국지역으로 확대 보급키로 결정하고, 2003년 7월에 사업추진 지침을 마련하여 전국 시․도에 시달, 2004년에는 수도권지역에 우선 보급하고 2005년부터는 전국으로 확대 보급할 계획이다. - 수상자인 *** 부교수는 2012년까지 15만대의 경유차량을 LPG 차량으로 개조하여 운행할 경우 유해배출가스로 인한 연간 약 3천억원의 사회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밝혔다.
[ "노후된 청소차량은 미세먼지와 무엇을 다량 배출해" ]
unanswerable
dcc5661e-9ccb-41f2-9b50-24dfc7770cd9
길거리 쓰레기통 부족, 민·관이 함께 해결한다
길거리 쓰레기통 부족, 민·관이 함께 해결한다 시범사업 개요 □ 수거체계 개선내용 < 재활용품 등 보행자 쓰레기 > 길거리에서 발생된 폐기물을 편의점·커피전문점(유동인구가 많은 곳 시범 실시)에 버릴 수 있도록 협조 - 쓰레기 배출에 따른 비용 발생은 지자체에서 공공용 쓰레기 봉투 제한적 제공으로 비용 보전 편의점·커피전문점에서는 재활용품은 기존 재활용품과 같이 현행대로 배출하고, 일반쓰레기(담배꽁초, 휴지 등)는 공공용 쓰레기 봉투로 배출 - 길거리 발생 쓰레기 양을 고려하여 지자체에서 시범사업 참여 업체에 공공용 쓰레기 봉투 제공량 결정 < 담배꽁초 처리 > 담배꽁초 무단 투기 방지를 위해 환경부와 서울시, 종로구 협업을 통해 담배꽁초 휴지통 시범 설치·운영 - 정부3.0국민디자인과제로 선정되어 시범 설치·운영 후 그 성과에 따라 전국 확대 설치 추진(지자체 성과 공유)
[ "서울시는 담배꽁초를 커피전문점에 버릴 수 있도록 협조하여 무엇과 같이 배출할 수 있도록 했을까" ]
unanswer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