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
stringlengths
18
32
type
stringclasses
4 values
title
stringlengths
2
247
context
stringlengths
243
1.04k
questions
listlengths
1
1
CNTS-00052818155_114
기타
과거사정리 후속조치 연구를 위한 심포지엄
기본법은 항일독립운동, 반민주적 또는 반인권적 행위에 의한 인권유린과 폭력∙학살∙의 문사 사건 등을 조사하여 왜곡되거나 은폐된 진실을 밝혀냄으로써 민족의 정통성을 확립하 고 과거와의 화해를 통해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국민통합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제정되었고 (동법제1조), 진실규명의 범위는 제2조에서 규정하고 있다. 기본법은 배∙보상 문제에 대한 직접적인 규정은 없지만, 제34조(국가의 의무)에서 ‘국가는 진실규명사건 피해자의 피해 및 명예의 회복을 위하여 노력하여야 하고, 가해자에 대하여 적절한 법적∙정치적 화해조치를 취하여야 하며, 국민 화해와 통합을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제36조(피해 및 명예회복) 제1항에서 ‘정부는 규명된 진실에 따라 희생자, 피해자 및 유가족의 피해 및 명예를 회복시키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는 일반적∙추상적인 규정만을 두고 있다. 이러한 일반적∙추상적 규정만을 존치한 것은 입 법과정에서 과거청산을 반대하는 입장과의 절충 그리고 현실적인 입법의 어려움, 입법추진 내부에서의 이견 등으로 인한 불가피한 입법적 조치로 기억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추상적인 규정만으로는 진실화해위원회에서 진실규명 결정을 한다 하여도 국가의 구체적인 배∙보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근거규정으로는 해결하기 곤란하기 때문에, 유가족 등은 진실규명 결정 사건에 대하여 국가를 상대로 한 손해배상청구소송을 법원에 제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이러한 소송제기에 대한 사법부의 소멸시효와 관련된 판결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일반적∙추상적 규정이 아닌 구체적으로 배∙보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법이 필요하다는 것이 대단히 현실적인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 "기본법은 진상규명 함으로써 민족의 정통성을 확립하고 과거와의 화해를 통한 발전을 위한 국민통합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제정됐고, 진실규명의 범위는 제2조에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배∙보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법이 필요하다는 것이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
CNTS-00047966808_92
기타
춘향전의 수용문화
<옥중화>의 동위체 현상에서 분석한 바와 같이 이해조는 <기생 아닌 춘향>이라는 동위체를 중심으로 의미를 구성하고 있으며, 춘향을 도덕성의 화신으로, 몽룡을 변학도를 용서할 수 있는 포용력이 큰 인물로 형상화하고 있는데, 이는 바로 인성의 교화를 통한 풍속 개량의 이데올로기적인 실천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해조가 파악한 당대의 음란하고, 타락한 풍속은 어떤 모습이었는지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이해조의 풍속에 대한 관심은 임화에 의해서 “시정성”이라며 높이 평가되기도 하였다. 이해조의 시정성에 대한 관심은 풍속의 타락을 깨닫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모란병 의 도입부는 당시 양반이 몰락하자 기생하던 부류들마저 전락해가는 과정이 소상하게 제시되어 이해조가 파악한 당대 풍속의 일면을 잘 드러낸다. 정변이 일어나 구한말 정부 제도의 개혁으로, 장안만호, 상하삼판, 육조판서 등이 면직되어 떼거지가 되었고, 이들 수하에서 생계를 꾸려가던 역관, 찰방, 각궁, 서리 등이 일자리를 잃는다. 이들은 탐관오리로 도적질하여 장만한 재산으로 새 세상이 오기를 기다리며 살다가, 졸지에 재산을 탕진하고, 결국 송충이 모양으로 솔포기 날을 베어먹을 정도로 가난해진다는 내용으로 모란병 은 시작된다. 이런 상황에서 양반은 외동딸마저 팔아먹는 신세로 몰락한다. 이렇게 신분질서의 붕괴는 경제적 궁핍을 극대화하고 인신매매, 사기, 도박 등 경제적 원인과 관련된 범죄적 행위를 발생하게 한다.
[ "이해조는 <기생 아닌 춘향>이라는 동위체를 중심으로 춘향을 도덕성의 화신으로, 몽룡을 변학도를 용서할 수 있는 포용력이 큰 인물로 형상화하고 있다. 이로써 인성의 교화를 통한 풍속 개량의 이데올로기적 실천을 보여주고 있는데, 당시의 풍속은 양반이 몰락하자 기생하던 부류마저 전락해가는 상황으로 묘사된다." ]
CNTS-00078365865_13
기타
집합건물의 구분소유 성립요건
집합건물법에 신축 또는 구분에 의하여 당연히 구분소유가 성립한다고 규정만 있을 뿐 등기가 필요하다는 규정은 없는 점, 민법 제186조에서 규정하는 물권의 득실변경이라고 함은 본래 물권의 상대적 변동을 의미하는데 구분행위에 따른 구분소유권의 설정은 본래 하나의 소유권의 객체인 1동의 건물을 수개의 소유권 객체로 나누는 것에 불과하여 소유주체의 변동과는 관계가 없고, 분할된 수개의 구분소유권이 수인의 소유로 귀속된다고 하더라도 이는 구분행위와 별개인 수인 사이의 물권계약의 결과에 불과한 점, 구분행위의 경우 절차법상의 등기개념에만 포섭될 뿐인 부동산의 표시의 등기에 관한 의사표시에 불과한 점, 분필등기는 토지대장의 기재에 의하여 이루어진 토지의 분할을 등기부에 반영하여 이를 기재하는 절차에 지나지 않는데, 구분행위에 따른 물권변동은 1필의 토지를 수필로 분할하는 경우와 유사하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등기불요설이 타당하고, 기존의 대법원판례와 대상판결 역시 일관하여 등기불요설을 취하고 있다. 건물의 공시가 등기로 일원화되어 있는 독일이나 일본의 경우와 달리 우리나라는 건물의 공시가 건물등기와 건축물대장등록으로 이원화되어 있고, 따라서 구분소유의 성립에 등기가 필요하지 않다고 하더라도 건축물대장에의 등록은 필요한지 아니면 구분소유의 성립에 등기는 물론 건축물대장에의 등록까지 필요하지 아니한지 여부가 문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대법원은 이에 대하여 상호 모순되는 듯한 판례를 내고 있는데, 이하에서는 기존의 대법원판례의 입장을 먼저 살핀 후 학설과 대상판결을 검토하기로 한다.
[ "기존의 대법원판례와 대상판결은 등기불요설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건물의 공시가 건물등기와 건축물대장등록으로 이원화되어 등기의 필요 여부가 문제되고 있다. 종래 대법원은 이에 대하여 상호 모순되는 듯한 판례를 내고 있는데, 이하에서는 기존의 대법원판례의 입장을 먼저 살핀 후 학설과 대상판결을 검토하기로 한다." ]
CNTS-00078235807_25
기타
지연손해금과 법정이자
지연손해금은 이자가 아니다. 이자제한법 제4조 제1항에는 예금, 할인금, 수수료, 공제금, 체당금, 그 밖의 명칭에도 불구하고 금전의 대차와 관련하여 채권자가 받은 것은 이를 이자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고, 대부업 등의 등록 및 금융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 제8조 제2항에는 사례금, 할인금, 수수료, 공제금, 연체이자, 체당금 등 그 명칭이 무엇이든 대부와 관련하여 대부업자가 받은 것은 모두 이자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지만, 지연손해금에 관한 규정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학설의 경우 금전소비대차에서 당사자의 약정으로 미리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의 예정을 한 경우 이자제한법상 제한이율이 적용되는지 여부에 관해서는, 이자제한법이 적용되어 이자제한법상 제한을 초과하는 지연배상액의 예정을 할 수 없다는 긍정설과 지연배상금은 이자가 아니며 이자제한법 제6조에 따라 예정배상액이 과다한 경우에 감액할 수 있을 뿐이라는 부정설이 대립하고 있다고 한다.
[ "이자제한법과 대부업 관련 법률에서 이자를 정의한 것을 지연손해금 관련 규정으로 볼 순 없다. 학설에는 제한치 이상의 지연배상액의 예정을 할 수 없다는 긍정설과 배상액이 과할 때 감액할 수 있을 뿐이라는 부정설이 양립하고 있다." ]
CNTS-00118877162_85
기타
미래 재정 위협요인을 고려한 재정개혁 과제에 관한 연구
한편, Budget Honesty Act가 요구하는 보고서로는 재정전략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제고시키고 정책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는 ‘재정전략방안’(Fiscal Strategy Statement), 예산안(Budget Economic and Fiscal Outlook), 반기경제재정전망보고서(Mid-Year Economic and Fiscal Outlook), 결산서(Final Budget Outcome), 5년마다 인구변동의 함의를 포함하여 향후 40년에 걸친 정부정책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세대 간 보고서’(Intergenerational Report)선거 시기의 예산편성의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해 발간되는 ‘선거전 경제재정동향’(Pre-Election Economic and Fiscal Outlook)78) 등이 있다.
[ "Budget Honesty Act가 요구하는 보고서는 재정전략방안, 예산안, 반기경제재정전망보고서, 결산서, 세대 간 보고서, 선거전 경제재정동향 등이다." ]
CNTS-00118877162_109
기타
미래 재정 위협요인을 고려한 재정개혁 과제에 관한 연구
이런 상황에서 예산의결 전 단계에서 의회의 의무지출수반법안 심의와 조정작업에 중앙예산기관이 행위자로 참여하게 되며 조정기능을 어떻게 배분할 것인가의 문제와 예산의결 이후의 단계에서 페이고원칙을 준수하지 못할 경우 어떻게 통제할 것인가의 문제가 발생한다. 전자의 경우 주로 의회 내에 예산위원회를 중심으로 집권화되는 의사결정 구조의 문제가 발생하며 후자의 경우 미국의 일괄삭감조치가 우리나라의 헌법상 가능한가, 권력분립 및 예산권을 고려할 때 통제의 권한을 어느 기관이 갖는 것이 바람직한가 등의 문제가 있다. 이는 전체적으로 페이고제도를 유지하기 위한 기능, 과정, 구조를 우리나라의 예산 및 입법과정에 맞도록 설계하는 작업이다.
[ "조정기능 배분 문제와 페이고원칙 미준수 시 통제의 문제가 발생한다. 전자는 의사결정 구조의 문제가 발생하며 후자는 일괄삭감조치가 헌법상 가능한가, 통제 권한 기관 결정 등의 문제가 있다." ]
CNTS-00047966750_381
기타
상황윤리
우리는 공학 직업군의 종사자, 곧 공학 기술자들이 책임, 안전 및 숙련된 능력이라는 공학적 가치체계의 미덕을 능동적으로 발휘할 수 없는 상황적 제약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그들의 부적절한 행위는 상식의 파괴에서 기인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한 행위는 특정 상황에서 공학적 가치체계가 제한자의 기능을 잃어버리는 데에서 기인한다. 그렇기 때문에, 재난 방지를 위해서는 공학자의 인성을 탓할 것이 아니라 먼저 어떤 상황에서 무엇이 공학적 가치체계의 순기능을 가로막는지를 검토해야 하는 것이다. 공학 직업의 특성표 짜기에 필요한 일반적인 검토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1) 현재의 공학 직업에서 발견되는 일반 성격을 진단하라. (2) 공학 직업의 공간을 구성하는 다양한 직업군들의 목차를 만들라. (3) 사례들의 분석을 근거로 하여 공학 직업 공간의 분포적 편차에 주목하라. (4) 사례들의 분석을 근거로 하여 동일 직업군의 상황 맥락 변동에 따른 편차에 주목하라. (5) 해당 직업군의 수칙 제정, 수칙의 수정 과정 및 조직체계의 구성에서 단계 (3)과 (4)에서 얻어진 결과를 고려하라. 이 장에서는 검토 사항들 (1)-(5)에 따른 작업의 일반 형태를 보이려고 애썼다. 실제 중요한 작업은 (5)이다. 대구지하철 참사와 관련해 예측할 수 없는 화재 발생 시 기관사의 자율권 조항이 기관사 수칙에 들어가야 함을 강조했다. 이러한 강조는 보편적 권리로서의 ‘자율권’개념에 근거한 것이 아니다. 그것은 공학 직업의 일반 성격 E1-E4에 비추어 기관사 직업군의 상황 맥락 변동에 따른 편차에 주목함으로써 얻어졌다. 자율권이 가치체계들의 역동적 관계의 역사 속에서 발견된 일반 권리라고 할 때 그것은 문제 해결 과정에서 고려되어야 할 권고사항으로 여겨져야 한다. 그것이 모든 상황을 초월하여 행위 방식을 규정하는 보편적 원리로 취급된다면, 그것은 오히려 문제 해결을 가로막는 장벽이 될 수 있다.
[ "공학기술자들이 재난 상황에서 책임, 안전, 능력을 발휘하지 못했다면 공학자 개인을 비난하는 대신 직업적인 상황을 검토해야 한다. 즉, 재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해당 직업에 필요한 수칙과 조직체계를 올바르게 구성해야 하며, 이를 위해 해당 직업과 같은 공간에 있는 직업군들뿐 아니라 해당 직업과 동일한 직업군에서의 상황 맥락에 따라 다른 편차를 검토해야 한다. 대구지하철 참사에서 기관사의 자율권 조항을 수칙에 넣어야 한다는 주장도, 보편적 권리로서 자율권을 얘기한 게 아니라 앞선 편차들을 고려한 결과다." ]
CNTS-00049155096_82_83-0
기타
남북한 어문 규범 연구사
1.2.3. 남한 북한에서는 자모의 차례나 명칭 등에 대해 별다른 논쟁이 없었음에 비해 남한에서는 많은 논쟁이 있었다. 이에 대해 자모의 차례와 명칭으로 나누어 각각 살펴보겠다. 1) 자모의 차례 자모의 차례에 대한 논의는 사전의 자모 배열 순서에 대한 논의들이 주를 이루었다. 사전의 자모 배열 순서에 대한 논의는 남북한의 어문 규범이 분기하기 이전부터 최현배(1936) 등에서 이루어졌다. 분단 후 남한에서는 김민수(1964, 1986), 서정국(1968), 남기심(1989) 등에서 이 문제를 다루었다. 이러한 논의가 빚어진 것은 현행 맞춤법 이전에는 사전의 자모 배열에 대한 규정이 없었기 때문이다. 즉 기본 자모 체계에 대한 배열 순서는 명시되었지만, 기본 24자와 합자 16자가 합쳐졌을 때의 배열 순서는 규정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1988년 이전의 사전에서는 어휘 배열의 차례가 통일되지 못하고 혼란스러웠다. 김민수(1964)에서는 사전의 자모 배열은 다음과 같이 'ㄱ, ㄴ, ㄷ' 순과 '가, 나, 다' 순이 있는데, 이 중에서 세 번째 방식이 적합하다고 주장하였다.
[ "북한에 비해 남한에서는 자모의 차례나 명칭 등에 대한 논쟁이 많았다. 차례에 대한 논의는 사전의 자모 배열 순서에 대한 것이 주였는데, 이는 현행 맞춤법에 기본 24자와 합자 16자를 합친 배열 순서가 규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빚어졌다. 따라서 1988년 이전 사전은 배열의 차례가 통일되지 않았다." ]
CNTS-00047966914_327
기타
조선후기 시조문학의 지평
이 작품의 구조는 이미 지적했듯이 한여름의 하루 일과를 그린 ‘전6수’와 수확을 기다리며 그 결실을 맛보는 ‘후3수’의 구조로 되어 있다. 이처럼 내용적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다소 ‘느슨한’ 결합으로 보이기도 하는 이러한 구조는 오히려 농사의 성격을 감안한 작자의 의도된 배려에서 비롯된 것으로 해석된다. 앞에서도 논했듯이 오히려 그러한 구조가 작자의 체험적 면모를 그려내고 있는 「농가」라는 작품의 성격에 잘 들어맞는다고 여겨진다. 실제 농촌 현장에서 힘들여 투여한 노동력은 그에 걸맞는 수확으로 이어질 때, 더욱 큰 의미와 가치를 얻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농사일에 대한 체험적 진술을담고 있는 ‘전6수’와, 그 결실을 기다리고 마침내 그 기쁨을 공동체의 성원들과 나누는 ‘후3수’는 긴밀하게 조응되고 있다고 하겠다.
[ "한여름의 하루를 그린 ‘전6수’와 수확을 기다리며 결실을 맛보는 ‘후3수’의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런 의도된 구조는 작자의 체험적 면모를 보여주는 「농가」라는 작품의 성격과 잘 맞는다." ]
CNTS-00047966896_70
기타
(법의학자가 풀어본 그림속) 표정의 심리와 해부
눈썹주름근은 눈썹을 내리거나 가운데로 모음으로써 고민하는 분위기나 슬픔, 또는 분노의 감정을 나타낸다. 때로는 대화중이거나 어떤 일에 골몰할 때도 무의식중에 이 근육이 수축되기도 한다. 또 눈썹이 밑으로 강하게 당겨지면 위눈꺼풀도 밑으로 처져 눈동자가 가려진다. 눈썹주름근의 수축된 모습을 잘 표현한 그림으로는 프랑스의 조각가 로댕(Auguste Rodin, 1840~1917)이 그린 <자화상>을 들 수 있다. 그는 수많은 걸작을 남겼으며 작품 수보다도 훨씬 많은 여성 편력의 일화를 남긴 것으로도 유명하다. 그 중에서 특히 만인의 분노를 살 만한 행태를 저지른 일이 있다. 젊은 여류 조각가 카미유 클로델(Camille Claudel, 1864~1943)을 사랑한다고 속여 동거하다가 헌신짝처럼 버려 폐인으로 만든 사건이 그것이다.
[ "눈썹주름근의 움직임은 고민, 슬픔, 분노의 감정을 잘 나타낸다. 이러한 모습을 잘 표현한 그림으로 로댕의 <자화상>을 들 수 있다. 그는 수많은 걸작도 남겼지만 여성 편력의 일화를 남긴 것으로도 유명하다." ]
CNTS-00078235817_25
기타
추정적 동의와 가정적 동의의 구별과 그 법리전개
연명치료중단에 있어 가족들의 치료중단의 요구에는 병원비 부담이 그 주된 원인이다. 이에 관한 규정이 없는 국내의 상황에선 독일의 경우를 살펴보면 연명치료중단의 시기는 소위 “비가역적 죽음의 단계”에 들어선 경우로서 이때는 “죽음의 과정이 이미 시작하여 환자의 죽음이 가까이 다가온 경우”이다. 이때에는 의료행위자는 인공호흡, 수혈, 영양공급 등과 같은 생명을 연장하는 조치를 다른 요건의 충족없이도 제거할 수 있다. 이처럼 이러한 상태가 의학적으로 판정이 나면 당사자의 의사와 무관하게 의료행위자가 치료를 중단할 수 있고, 게다가 의료행위자에게 치료중단의 의무가 인정되기에 설령 치료를 계속하는 경우에도 치료비를 청구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비가역적 죽음으로서의 단계에 들어서지 않은 경우에는 치료중단여부는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의존해야 하며, 여기에는 환자의 사전의료지시가 결정적이다. 이처럼 사전의료지시로서 치료중단에 대한 명시적인 의사가 있는 경우에는 설령 의료행위자가 치료를 하더라도 치료비 청구를 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사전의료지시가 없으면 독일에서는 후견인을 선임하도록 하고 있는데, 후견인이 치료중단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법원의 결정이 있는 경우에만 유효하게 된다(독일 민법 제1904조). 따라서 이러한 분쟁상황에 있어서 법원의 결정을 기다리는 동안에의 의료행위자의 계속된 치료는 정당하기에 치료비 청구는 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우리나라의 대상판결의 경우처럼 분쟁상황의 상황에서는 치료비 청구가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 "가족들이 연명치료중단을 요구하는 것은 병원비 부담이 주된 원인이다. 연명치료중단의 시기는 비가역적 죽음의 단계에 들어선 경우로 보고있으며, 해당 단계에 들어서지 않은 경우에는 치료중단여부는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의존해야한다." ]
CNTS-00078235815_18
기타
영국해상보험법상 위부와 위부의 승인
위부의 승인은 반드시 명시적일 필요는 없고, 보험자가 위부를 승인한 것으로 추정되는 행위를 한 경우, 예를 들어 보험금을 지급하는 경우나 보험자가 위부통지를 받은 후 보험의 목적을 판매하기 위한 준비행위를 하고 있다면 이를 묵시의 승인으로 보기도 한다. 그러나 보험자가 위부의 의사표시에 대해 단순히 침묵하고 있는 것은 승인이 아니고, 위부의 통지를 받은 보험자가 구조작업에 착수했다고 해서 이것을 위부의 승인으로 해석되지 않으며 반대로 피보험자가 구조작업에 착수했다고 해서 위부권의 포기로 해석되지도 않는다. 이에 대한 다툼을 방지하기 위해 실무적으로 ITC-Hulls 13(3)에서는 보험의 목적을 회복하거나 보존 또는 구조하는 행위가 위부의 포기나 철회 또는 위부의 통지에 대한 승인이나 소유권의 행사로 간주되지 않도록 규정하는 포기약관을 두고 있다.
[ "위부의 승인은 보험자가 위부를 승인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행위를 한 경우이다. 보험자의 단순 침묵, 구조작업 착수는 승인이 아니며 피보험자의 구조작업 착수가 위부권의 포기가 아니다. 이에 대해 ITC-Hull에 포기약관이 있다." ]
CNTS-00047967301_291
기타
민족문학론과 근대성
김유정 소설은 1930년대 우리의 가난한 농민과 도시 서민의 생활을 실감나게 그리고 있다. 물론 그의 소설이 1930년대 우리 사회의 구조적 모순까지 파헤치지는 못하고 있다. 그러나 그의 소설의 주인공들은 대부분 생존의 벼랑 끝까지 내몰려 있다. 그러면서도 그들은 대부분 순박하거나 우직하기까지하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오히려 현실의 모순과 시대의 횡포를 더욱 두드러지게 한다. 그때 그의 해학적인 문체는 크게 기여한다. 그의 해학적인 문체는 대상을 직접 공격하지 않고 우회적으로 비판함으로써 오히려 당대의 현실을 정직하게 드러낸다. 그 특유의 문체를 통해 김유정은 당대의 그 어떤 작품보다 살아있는 농민을 창조하고 있다.
[ "김유정의 소설이 1930년대 우리 사회의 구조적 모순까지 파헤치지는 못하지만 주인들의 순박하고 우직한 면모, 해학적 문체는 오히려 현실의 모순과 시대의 횡포를 더 부각시켰다." ]
CNTS-00078369026_5
기타
아시아지역의 인권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그러나 이러한 대립에서 어느 한 쪽 견해를 취한다고 하여 인권에 대한 정당화가 불가능하고 그것이 무용한 것은 결코 아니다. 오늘날 전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벌어지고 있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억압을 고려하면 인권의 중요성은 오히려 강조되고 있으며 강조되어야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인권을 인간이라면 누구나 누려야 할 권리라는 근대 자연법적인 개념으로 두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이러한 인식은 인권을 불확정적 개념으로 만들어 현실에서 작용할 수 있는 재판규범으로 기능할 수 없도록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인권을 헌법, 국제협약 등을 통하여 법제화하는 노력이 중요하다. 세계인권선언과 같은 국제연합(UN) 등의 보편적 인권보장제도(universal human rights system) 구축 노력과 국가인권위원회법을 제정하여 국가인권위원회를 통한 인권 향상 노력이 지지되어야 하는 이유이다.
[ "그러나 이러한 대립에서 어느 한 쪽 견해를 취한다고 하여 인권에 대한 정당화가 불가능하고 그것이 무용한 것은 결코 아니다. 오늘날 인권의 중요성은 강조되고 있으며 헌법, 국제협약 등을 통하여 인권을 법제화하는 노력이 중요하다." ]
CNTS-00115974672_71_71-1
기타
(2019) 달봉이의 글쓰기
그렇다면 과연 자기만의 철학은 무엇인가. 3장에서 저자는 철학의 경험적 철학, 잠재적 철학, 전문적 철학의 세 가지 단계를 밝히며 철학은 우리의 생각보다 생활에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밝힌다. 어찌되었건 사람은 추상의 동물이며 철학을 하지 않는 사람은 없음을 말하고자 하는 저자의 의도에서 우리는 철학에 대한 독자의 거리감을 조금이나마 줄일 수 있으리라고 여긴다. 자기만의 철학을 하기 위한 방법이 나오는 것은 책의 가장 마지막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철학에 대해 갖는 권위의 무게감, 시대불변의 통용될 만한 철학을 해야 한다는 부담감보다는 결국 자신의 문제를 고민하고 생각하는 것이 철학임을 저자는 마지막으로 밝힌다. 이를 통해 우리는 자신의 생각을 자신만의 철학으로 삼을 수 있다는 것이다.
[ "저자는 3장에선 철학의 3단계를 통해 우리 생활과의 연관성을 밝힌다. 저자는 철학을 하지 않는 사람은 없다고 말하며, 우리가 자신의 문제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자신만의 철학으로 삼으라고 말한다. " ]
CNTS-00061102375_114_114-0
기타
외솔 최현배 선생의 학문과 인간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한글갈'은 크게 두 가지 성격의 내용을 담고 있다. 첫째로 세종 대왕이 창제한 한글에 관하여, 그 창제의 동기와 경위, 한글의 기원, 한글 창제의 제자 원리, 한글의 보급, 한글로 쓰여진 모든 서적에 대한 소개, 한글이 창제된 이후 소실된 글자에 대한 고찰, 한글 표기법의 변천과 개선안 등을 제시하여, 국어사 연구에 관련된 고찰을 많이 하였다. 둘째로 '한글갈'에서는 세종 대왕이 창제한 한글에 대하여 집현전 학사들이 한문으로 해설을 한 한문책 '훈민정음'을 비롯하여, 조선 시대부터 1930년에 이르는 사이에 우리 나라 학자들이 한글 또는 우리말에 대하여 연구하거나 언급한 자료들을 가지고 일종의 연구사를 기술하였다. 이와 같이 '한글갈'은 훈민정음을 중심으로 하여 국어사 및 국어학사적인 연구 결과를 서술하고, 또 한편으로는 국어사와 국어학사 연구를 수행할 때 반드시 보아야 될 자료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해 준 책이라고 할 수 있다.
[ "한글갈'은 두 가지 성격을 갖는데, 첫째로 한글에 관해 국어사 연구와 관련된 고찰을 많이 했다. 둘째로 '훈민정음'을 비롯한 한글과 우리말을 연구한 자료들로 연구사를 기술했다. '한글갈'은 국어사와 국어학사 연구 수행에 참고할 자료를 설명하고 결과를 서술했다." ]
CNTS-00047966914_262
기타
조선후기 시조문학의 지평
그러나 현전하지 않는 ‘영언선’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추론의 성격에 머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영언선’과 관련된 문제는 가급적 선행 연구에서 논해진 결과로 미루고, 한유신의 활동 상황과 작품 세계에 초점을맞추어 다루었다. 이를 통해 대구 지방에서 활동하던 가창자로서 한유신의 면모를 살펴보고, 그 외 주변 인물들과의 관계도 따져 보았다. 특히 김유기에 게 음악을 함께 배웠던 사람들을 관련 기록을 통해서 추론해 낼 수 있었던 것도 성과로 지적할 수 있겠다. 이밖에도 한유신이 작품을 통해서 자연에 대한 그의 태도와 세계를 낙관적으로 인식하는 면모와 그 의미에 대해서도 따져 보았다.
[ "‘영언선’ 논의 보다 한유신 활동과 작품, 가창자의 면과 관계를 봤다. 관련 기록으로 김유기 제자들 추론은 성과다. 한유신 작품 속 자연에 대한 태도와 긍정적 세계관을 봤다." ]
CNTS-00061102396_16_17-0
기타
바람직한 토론문화
1890년대 후반.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로 이어지는 역사적 소용돌이의 한 중심은 배재학당이었다. 1896년 1월 서재필은 미국에서 귀국하자 곧 배재학당에서 강의를 맡았고, 1896년 2월 중순 이래 매주 토요일 강연회를 가졌다. 강연과 교과목으로 강의하는 회의법에 대한 그의 수업은 학생들에게 새로운 사상을 심어주는 구실을 하였다. 학생 단체인 협성회는 이와 같은 기초 작업 위에 태동하였다. 배재학당에서 그는 역사, 지리, 경제, 정치, 종교 등을 강의하였는데 학생들은 크게 감화를 받았다. 한편, 그는 일상적인 문제를 다루는 토론회를 지도하였다. 아펜젤러(H. G. Appenzeller) 학당장 초청으로 일주일에 2시간 강의하였으며 학생들에게 개화 정신과 독립 정신을 배양해 주었다. 서재필의 학생 지도 가운데 특기할 자료는 ‘만군 회의 통상 규칙’이다. 그리고 우리나라에 장차 국회를 두어 헌법을 공포해 입헌 정치를 하려는 포부와 기대를 가지고 있었다.
[ "1896년 서재필은 배재학당에서 회의법에 대한 강의를 하였다. 이는 학생들에게 새로운 사상을 심어주었다. 또 일상적 문제에 대한 토론회도 지도했는데 이는 학생들에게 개화정신과 독립정신을 심어주었다. 이 지도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만군 회의 통상 규칙'이다." ]
CNTS-00078235804_8
기타
사해행위취소소송의 수익자가 취득한 법정지상권이 건물양도계약이 사해행위로 취소된 후에 개시된 경매절차에서 건물을 낙찰받은 사람에게 승계되는지 여부
사해행위를 취소하고 원상회복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말소하는 내용의 화해권고결정이 확정되었으나, 채무자가 취소채권자에게 채무를 분할변제하기로 약정하고 그 약정에 따라 채무의 분할 변제가 진행됨으로써 수익자 명의의 등기를 말소하는 절차가 미루어지던 중 채무자의 다른 채권자가 채권자대위권을 행사하여 수익자 명의의 등기를 말소하여 소유 명의를 채무자로 환원시킨 다음 강제경매를 신청하자, 수익자(원고)가 채무자의 다른 채권자(피고)를 상대로 말소된 수익자 명의의 등기를 회복함에 있어 승낙의 의사표시를 할 것을 청구하는 사례(이에 앞서 말소등기를 실행한 등기관의 처분에 대한 이의도 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아니함)이다.
[ "사해행위의 취소가 확정됐으나, 다른 채권자가 강제경매를 신청하자 수익자(원고)가 채무자의 다른 채권자(피고)를 상대로 승낙의 의사표시를 청구하는 사례이다." ]
CNTS-00118875570_62
기타
글로벌 주도권 확보를 위한 사물인터넷 플랫폼 전략(2차년도)
또한 ICT 기술발전에 따라 대규모 개인정보 유통이 이루어지면서 매번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는 작업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비식별 정보에 대해서는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가 없어도 가공방법이나 취급과정에서의 규정을 준수하면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법적 토대를 마련하는 것도 중요하다. 개인정보 활용 및 3자 제공에 대해 선진국들은 옵트아웃(Opt-out)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사전동의를 받아야 하는 옵트인(Opt-in)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2016년 7월 ‘개인정보 비식별 가이드라인’이 발표되었으나 앞서 지적한 대로 법적 효력이 없기 때문에 기업들의 빅데이터 활용에는 여전히 한계가 많다(아산나눔재단·구글캠퍼스서울, 2017.7). 개인정보를 옵트인 방식의 동의권 행사가 필요한 개인정보와 그렇지 않은 단순 사적정보로 구분하여 개인 식별 가능성이 있는 정보에 대해 법적 보호 부여의 강도를 차등 적용하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이원태 외, 2016). 혁신 서비스 개발을 위해 선 개인정보 활용, 후 대응체계 시스템에 기반한 데이터 유통지원이 필요한 때이다. 일회성의 포괄적인 정보사용 동의 후에도 정보주체가 자신의 정보에 대한 실질적인 통제권한을 스스로 유지·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개인정보의 무분별한 사용과 유출 위험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개인정보 유통 활성화에 따라 정보주체의 동의 작업의 번거로움이 증대되는 상황에서 비식별 정보를 더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법적 근거가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개인정보 활용 사전동의가 필요하므로 동의가 필요한 정보와 아닌 정보를 구별해 법적 보호 부여의 정도를 차등 적용할 수 있다. 혁신 서비스 개발을 위해 개인정보의 안전한 사용 방안이 더 필요한 상황이다." ]
CNTS-00114880822_92_93-0
기타
대한민국의 태동
일본이 러일 전쟁 후 대한제국의 외교권과 재정권을 강탈하고 군대를 해산한 것은 이미 나라를 멸망시킨 것이나 다름없었다. 다만 대한제국의 주권을 차지하는 형식상의 절차가 남았을 뿐이었다. 이때 취한 조치가 이른바 '한국병합조약' (1910.8.29.)으로 사실상 대한제국의 병탄이었다. 반만년 역사 이래 처음으로 국권을 다른 민족에게 강탈당한 민족사상 최대의 수난이었다. 1910년 5월 육군대신 데라우치(寺內正毅)가 3대 통감으로 임명되었다. 한국에 부임한 그는 헌병 경찰제를 강화하고 일반 경찰제 정비를 서둘렀다. 이미 1907년 10월 한국 경찰을 일본 경찰에 통합시킨 데다 종래의 사법권, 경찰권 외에 일반 경찰권까지 확보한 것이다.(1910.6.)
[ "일본은 대한제국의 외교권, 재정권, 군대해산권을 앗아갔지만 한국병합조약 체결을 통해 주권을 완전히 차지했다. 통감 자리를 차지한 일본인 육군대신 데라우치는 헌병 경찰제를 강화했다." ]
CNTS-00118871860_11
기타
철학적·이론적 준거 기준의 탐색
섬김(servant) 리더십은 추종자의 발전과 장기적 성장에 초점을 두는 리더십 형태이다(Ehrhart, 2004; Smith et al., 2004). 섬김 리더십의 본질적 신념은 추종자가 더 독립적이고, 자율적이고, 자신의 행태를 조정할 능력을 갖도록 도와준다(Greenleaf, 1997; Liden et al., 2008). 섬김 리더십은 추종자의 잠재력을 인식하고 긍정적 편차를 촉진할 가능성을 인지하는 것이다(Searle & Barbuto, 2011; Smith et al., 2004; Van Dierendonck, 2011; Searle, 2011: 5에서 재인용). 따라서 섬김 리더십의 성격은 추종자의 긍정적 행태에 긍정적으로 관련된다. 섬김 리더십은 영감을 주고 도덕을 갖는 카리스마의 형태이다. 섬김 리더는 겸손하고, 상식에 초점을 두고, 관계적 권한, 비전, 서비스 지향, 추종자 자율성, 도덕 발전, 섬김 리더를 배우려는 추종자로 개념화한다(Graham, 1991; Searle, 2011: 40에서 재인용). Russell & Stone(2002)는 섬김 리더십을 소통, 신용, 경쟁성, 청지기(stewardship), 가시성, 영향, 설득, 경청, 격려, 가르침, 위임으로 구분한다(Searle, 2011: 41에서 재인용).
[ "추종자의 발전과 장기성장에 초점을 두는 섬김 리더십의 신념은 추종자가 독립적, 자율적으로 자신을 조정하게 하며 추종자의 잠재력을 인식하고 긍정적 편차의 촉진가능성을 인지하는 것이다. 섬김 리더는 겸손하며 상식에 기반하고 관계적 권한, 비전, 서비스 지향, 추종자 자율성, 도덕 발전, 섬김 리더를 배우려는 추종자로 개념화할 수 있다." ]
CNTS-00118880911_73
기타
2000년대 이후 국내외 통일연구 분석 및 향후 연구과제 (총괄보고서)
첫째, 개별 연구자의 학술논문보다 정책연구기관의 연구보고서가 연구를 주도하였다. 사회 문화의 하위 분야별로 보면 교육 분야는 한국교육개발원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구 한국청소년개발원), 보건복지분야는 보건사회연구원, 체육 분야는 스포츠정책연구원(구 체육과학연구원), 여성 분야는 여성정책연구원(구 여성개발원), 문화예술 분야는 한국문화관광연구원(구 한국문화정책개발원), 방송 분야는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많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이들 기관 자체 과제뿐 아니라 해당부처에서 용역사업으로 관련 분야 연구를 수행하는 체계를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이 사회 문화통합 연구는 개별 연구자가 아니라 정부와 정책연구기관을 통해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연구체계의 장점은 학술논문이 아니라 보고서 형식으로 책자가 출간되어 현황에서부터 정책방향까지가 비교적 자세하게 기술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중복된 연구가 상당수에 달하고, 현황 제시에서 곧바로 정책방향 제시로 이루어져 연구내용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인하기가 쉽지않다.
[ "사회 문화통합 연구는 정부와 정책연구기관을 통해 진행된다. 이 연구체계의 장점은 보고서 형식으로 출간되어 현황부터 정책방향까지 자세하게 기술되는 것이다. 하지만 중복된 연구가 상당수이고, 현황 제시에서 곧바로 정책방향 제시로 이루어져 신뢰성과 타당성 확인이 쉽지않다." ]
CNTS-00049155096_106_107-0
기타
남북한 어문 규범 연구사
1.4.2. 북한 북한은 해방 후부터 철저히 형태주의 원칙을 따라 표기법을 규정하였다. 이는 한자어에도 예외가 아니었다. 그래서 어두의 'ㄹ, ㄴ'도 한자의 본음대로 적는 형태주의 원칙을 적용하였다. 두음법칙과 관련된 첫 논의는 김수경(1947)이다. 김수경(1947)에서는 당시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서 한자어의 어두음을 두음법칙에 따라 적도록 한 것은 문제가 있다며 이 규정을 개정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대한 문제점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근거를 들어 제시하였다. 첫째, 이것은 표음주의 경향으로 흘렀다는 문제점을 가진다고 하였다. 철자법에서 완전한 표음주의는 있을 수 없으며, 철자법에서 표음주의 경향은 잘못된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철자법은 고정성을 가졌기에 아무리 표음적이라도 언어에 맞지 않으며 표음적인 철자법이라도 그 발음은 반드시 따로 세워야 한다고 하였다. 둘째, 비체계적이라는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이 규정이 겉으로는 표음주의를 표방하면서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고 하였다. 한자어의 경우 언제나 같은 음으로 표기하는 것이 체계적이고 이해의 면에서도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셋째, 한자음 이외의 외래어 표기법과 모순된다고 하였다. 1941년에 조선어학회에서 제정한 '외래어표기법통일안'에서는 외래어에서 어두음 'ㄴ, ㄹ'은 그대로 표기한다고 하였는데, 이는 한자음 표기와는 모순된다는 것이다. 넷째, 언어음의 발전을 예견하지 못한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세계 대다수의 민족이 어두음 'ㄴ, ㄹ'을 자유롭게 발음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사람들도 이를 얼마든지 발음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한자음의 어두음 'ㄴ, ㄹ'을 발음할 수 있고, 또 발음해야한다는 관점에서 이 규정을 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였다.
[ "북한은 해방 후 형태주의 원칙을 따라 표기법을 규정했다. 김수경(1947)에서는 당시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서 한자어의 어두음을 두음법칙에 따라 적도록 한 것의 문제점을 들어 개정을 주장하였다. 이것이 표음주의 경향으로 흘렀다는 문제점을 가지며, 비체계적이고, 한자음 이외의 외래어 표기법과 모순되고, 언어음의 발전을 예견하지 못했다는 것을 근거로 들었다." ]
CNTS-00118885102_1
기타
제1회 KU-KIEP-SBS EU센터 대학(원) 생 EU 논문공모전 수상논문집
비판론이 제기됨에도 불구하고 ‘거버넌스’에 근거한 시각은 중심화된 확산으로 대표되는 복합 거버넌스가 부상하는 현실을 지적한다. 특히 EU는 공통의 과학문제 해결은 물론 지역 경쟁력 강화를 위한 리스본 전략(Lisbon Strategy)을 ‘유럽 2020’ 전략으로 구체화하는 한편, 국제과학기술협력을 위한 각종 초국가적 컨소시엄, 정책, 그리고 제도의 수평적 조정과 수직적 규율의 거버넌스를 정립하였다. 프레임워크 프로그램(Framework Program)을 포함, EUREKA, EURATOM, Eurostar, Enterprise Europe Network 등이 대표적 EU의 과학기술 거버넌스를 구성하는 하위 제도들이다. 이러한 사례들은 ‘다층 거버넌스’ 이론의 적실성을 경험적으로 뒷받침하며, EU 거버넌스 특유의 ‘복합성’은 점 진적 유럽지역 통합의 제도적 균형임을 입증한다.
[ "EU는 공통의 과학문제 해결과 지역 경쟁력 강화를 위한 리스본 전략을 유럽 2020 전략으로 구체화하고 초국가적 컨소시엄, 정책, 제도의 거버넌스를 정립했다. 이런 사례들은 EU 거버넌스의 복합성이 유럽 통합의 제도적 균형임을 입증한다." ]
CNTS-00118876904_6
기타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문화체육관광 정책의 성찰과 향후 과제의 모색
이러한 전달체계의 형성과 작동을 미연에 근절하고 견제하기 위해서는, 보다 근본적으로 예술정책의 수립(결정), 조정, 집행 등에서 ‘당사자주의에 입각한 정책참여’를 근간으로 삼는 전환이 필요하다. 블랙리스트 사건의 핵심은 단순히 누군가를 지원에서 선택하고 배제하는 문제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 해법 역시 피해보상식의, 배제된 예술가(단체)에 대한 일괄 지원으로 그쳐선 안 될 것이다. 문화예술정책에서 한없이 객체화, 대상화되었던 예술가=국민의 지위를 복권시키는 일이 어떻게 제도적으로 가능할지에 관한 토론과 합의, 지속적인 개선노력이 필요하다. 이미 결정된 정책의 ‘전달’체계만을 수정, 개선하는 것만으로는 근본적인 해법이 될 수 없다.
[ "블랙리스트 사건의 해결은 피해 보상식으로만 이루어져서는 안 되며, 근본적으로 예슬정책의 수립, 집행 등에서 '당사자주의에 입각한 정책참여'를 중심으로 하는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
CNTS-00120446582_1
기타
[보도자료] 생명을 살리는 자살예방 지침서 : 원불교
원불교 소태산 사상(少太山 朴重彬 大宗師, 1891~1943)에서 생명에 대한 인식 및 죽음에 대한 인식은 생명관과 생사관을 살펴보면서 좀 더 구체화해 나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생명 현상을 말할 때는 생명의 탄생, 소멸과 죽음에 이르기까지 자연 현상을 포함한 삼라만상을 아우르는 광범위한 영역을 포함하므로 그 본질을 파악하기란 쉽지 않으며 생명사상을 어느 관점에서 정립하고 실천하는가 하는 문제로 귀결된다할 것이다. 소태산 대종사는 개교동기로서 ‘물질이 개벽되니 정신을 개벽하자’ 는 정신개벽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원불교를 창시하였다. 정신문명의 폐해를 개탄하며 하루 속히 정신을 개벽하여 고통 속에 헤매는 중생을 광대 무량한 낙원세계로 인도하기 위해 원불교를 개교하게 되었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다. 자연과 인간, 인간과 인간을 서로가 없어서는 살 수 없는 관계로 보는 ‘四恩’사상을 중심으로 시대의 생명경시 풍토로 인한 제반문제를 직시하고 생명사상의 가치관을 바르게 확립해나갈 수 있도록 설명하고 있다. 인문학에 바탕한 생명사상의 흐름이 최근 유행처럼 이슈화되고 있는 가운데 과학적인 사고에 바탕을 둔 생명윤리에 치우치던 서구사회는 현대에 이르러 동양종교나 철학에 접근하는 등 그 시도를 하고 있다. 물론 생명사상은 과학적이고도 인문학적인 두 흐름이 서로 상보적 관계를 맺고 있다. 생태학적인 관점에서 보더라도 자연은 공생과 상생의 공동체적 운명이며 자연의 생명은 유기적인 연관성을 갖고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생명체계이다. 물질문명의 발달로 인해 현대사회 정신문명이 약화되면서 병든 사회로 진입하는 등의 심각한 사회적 병폐현상은 불평등한 사회구조와 탐욕으로 인한 투쟁, 갈등의 황폐화를 부추기고 있다. 더불어 생명경시사회로 치달으면서 급기야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선택이 증가하는 사회로 변모하고 있는 현실이다.
[ "원불교 소태산 사상은 정신문명의 폐해를 막으려면 정신을 깨우쳐 자연과 인간, 인간과 인간은 서로 없어서는 안될 관계로 인식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생태학적인 관점에서 보더라도 자연은 공동 운명이며 연관성을 갖고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생명체계인데, 물질문명이 발달하면서 생명경시 현상으로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선택이 증가하고 있다." ]
CNTS-00078369028_162
기타
헌법재판에 있어서 신속한 사건 처리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상고허가관할의 경우 당사자는 두 단계의 판단과정을 거치게 되며, 그 단계에 대응하여 2단계의 서면제출단계를 거치게 된다. 의견서의 제출 횟수 및 분량이 제한 원칙은 certiorari 신청단계에서 제출되는 서면에 적용되는 원칙일 뿐 아니라, certiorari 신청을 허가하여 본격적인 사법심사를 하는 단계에서도 적용되는 원칙이다. 첫째, 연방대법원에 사법심사를 신청하는 당사자는 certiorari 신청단계에서 서면을 제출한다. 이 단계에서 제출하는 서면에서 당사자는 해당 사건이 연방대법원의 사법심사를 받을 필요가 있는 중요한 사건이라는 내용을 주장한다. 상고허가를 신청하는 사건이 중요한 헌법적 내지는 법적 쟁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에 대하여 상고심 사법판단의 허가를 해주는 것이 마땅하다는 내용을 기재하게 된다. certiorari 신청단계에서 연방대법원은 과연 당해 사건이 상고허가를 부여할 만큼 중요한 법적 의미를 갖고 있는 것인가를 판단하는 것이므로 제출하는 서면의 내용에서 신청자가 마땅히 승소해야 한다는 내용의 의견서는 재판부의 판단에 도움이 되지 아니할 뿐 아니라 신청자 스스로에게도 전혀 이롭지 않은 서면이 되는 것이다. 둘째, certiorari 신청 허가를 받게 되면 사건의 본안에 관하여 주장하는 단계로서 본안과 관련하여 자신들의 주장을 담은 서면을 제출하게 된다. 문제되는 법적 쟁점에 대한 당사자 관점에서의 해석을 주장하며 제출하는 서면의 내용에서 신청자가 마땅히 승소해야 한다는 내용을 주장하게 된다. 상대방 당사자 역시 certiorari 신청단계 및 본안단계에서 각 대응하는 서면을 제출할 수 있다. 즉, 상대방 당사자는 certiorari 신청단계에서는 당사자의 의견서에 대응하여 해당 법적 쟁점은 상고허가를 부여할 만큼 중요한 성격을 갖고 있지 아니하다는 내용을 의견서로 작성하여 제출한다. 또한 상고허가가 부여된 단계에서는 해당 사건이 부적법하다거나, 이유가 없다는 등의 내용의 의견서를 제출함으로써 사건과 관련된 쟁점을 다투게 되는 것이다.
[ "상고허가관할에서 당사자는 두 단계의 판단과정을 거치며, 각 단계별로 대응할 서면을 제출해야한다. 연방대법원에 사법심사를 신청할 때는 certiorari 신청단계에서 사법심사를 받을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담긴 서면을 제출한다. certiorari 신청 허가를 받게 되면 사건의 본안에 관해 당사자의 승소 당위성을 주장하는 서면을 내야 한다." ]
CNTS-00047966896_113
기타
(법의학자가 풀어본 그림속) 표정의 심리와 해부
표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표정과 관련된 감정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아름다운 자연의 빛깔을 분석해보면 붉은색, 파란색, 노란색이 기본 이 되고 그 배합에 따라 여러 빛깔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이 감정에도 몇 개의 기본적인 것이 있어서 그것의 배합에 의해 여러 감정이 생긴다는 것이다. 진화론을 제창한 찰스 다윈이 감정의 기본형으로 기쁨, 슬픔, 놀라움, 공포, 혐오, 분노 등의 6개를 들고 이를 빅 식스(Big six)라고 한 이래 감정에 대한 연구는 주로 심리학자들의 연구 대상이 되었다. 표정심리 연구가인 폴 에크만은 다윈의 Big six에다 10개의 감정, 즉 즐거움, 경멸, 만족, 당혹, 흥분, 죄악감, 득의(得意), 충족, 관능적 즐거움, 수치 등 16개의 감정을 택하고 그 분별 기준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기술하였다.
[ "자연의 빛깔처럼 감정도 기본적인 것들의 배합에 의해 생긴다. 표정심리 연구가인 폴 에크만은 다윈의 감정의 기본형인 Big six에, 만족, 경멸 등 16개의 감정을 더했다." ]
CNTS-00052818155_77
기타
과거사정리 후속조치 연구를 위한 심포지엄
<행정상의 피해회복법>은 동독정부가 행정법상 불법적인 명령이나 지시로 인해 손해를 끼친 사람이 법원에 재심을 청구하여 그것이 부당한 행위로 판명되었을 경우 배상을 청구할 수 있게 했다. 이 법에 따라 2002년말까지 총 3만 5천여명이 청구했으며 그 가운데 8천 6백여건이 승인되었고, 1만 5천여건은 기각되었으며, 약 7천건은신청취소와 같은 방식으로 처리되었다. <직업상의 피해회복법>은 직업상 혹은 직업교육에서 부당한 조치로 피해를 입은 사람이 재심을 청구하여 그것이 불법적인 것으로 판결을 받았을 경우에, 그에 따른 배상을 청구하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2002년까지 9만 6천 건이 신청되어 약 4만 8천 건이 받아들여졌으며, 1만 6천여 건은 기각, 1만 7천여 건은 신청취소와 같은 방식으로 처리되었다. 이에 소요된 돈은 1억 2천만유로였다.
[ "<행정상의 피해회복법>은 동독정부가 행정법상 불법적인 명령이나 지시로 인해 피해를 입은 사람이 재심을 통해 배상을 청구할 수 있게 한다. <직업상의 피해회복법>은 직업상 피해에 따른 배상을 청구하는 것이다." ]
CNTS-00047966750_417
기타
상황윤리
챌린저호 폭발의 원인은 무엇인가? ‘오링의 결함’이라는 표현은 관점에 따라 여러 의미를 갖게 된다. 우주왕복선 폭발과 관련된 직접적 단위에 관심을 갖는 경우, 원인은 오링이라는 물리적 단위로 좁혀진다. 관심의 초점이 오링 결함을 사전에 예측할 수 없었던 이유로 옮겨질 때 원인은 연구 개발에 부적합한 테스트 방식으로 귀결된다. 그러한 테스트 방식이 채택된 이유를 따지게 된다면, 나사의 조직체계 구성법과 문화가 거론되게 된다. 홍채 색의 유전적 원인 규명 작업처럼 공학적 재난의 원인 규명 작업 또한 탐구의 목적과 관심에 따라 단서들에 적용되는 작업가설들은 달라진다. 이에 의해 인과 가설 생성도 하나로 고정되지 않는다. 인과의 범주는 생성된 인과 가설과 그 설명 영역에 따라 물리적 단위의 범주, 과정적 범주 및 구조적 범주 등으로 나눠지고, 우리는 각 범주에 오링, 연구 개발에 부적합한 테스트 과정 및 나사의 편향된 조직체계를 나열할 수 있다. 그러나 공학적 문제는 합당한 인과 설명을 찾고 실험적으로 규명함으로써 해결되지 않는다. 그러한 규명 작업은 사실 문제 해결을 위한 첫 단계에 지나지 않는다. 원인을 제거하라는 실천적 목적 달성을 위해서 좀더 탄력적인 인과 범주의 구분법이 요청된다. 공학 지식을 인공물의 디자인과 생산 과정에서 조직화된 지식체계로 이해할 때 효과적인 재난 방지를 위해서는 그 조직화의 시간적 순차와 공간적 배치를 따져야 한다. 사건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결과에 가장 근접한 원인이 우선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한 원인을 ‘근접인(praximate cause)’이라고 할 때 근접인의 원인, 곧 근접인의 발생에 대한 책임성을 갖는원인을 ‘궁극인(ultimate cause)’이라고 하자. 궁극인은 시간적 차원에서는 근접인을 발생시킨 과정과 관련되며, 공간적 차원에서는 조직체계의 구성법, 조직체계와 타분야의 연결망 및 공학에 대한 타분야의 인식 등을 망라한다.
[ "챌린저호 폭발 등과 같은 공학적 재난 문제의 원인을 없애기 위해, 합당한 인과 설명을 찾고 실험적으로 규명하는 것에 더해, 보다 탄력적인 인과 범주의 구분법이 필요하다. 사건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결과에 가장 근접한 원인인 '근접인'과 ‘근접인’의 발생에 대한 책임을 갖는 ‘궁극인’을 고려해야 한다. 궁극인은 시간적 차원에서는 근접인 발생 과정과 관련되며, 공간적 차원에서는 조직체계의 구성법, 조직체계와 타분야의 연결망 및 공학에 대한 타분야의 인식 등을 포함한다." ]
CNTS-00114880822_102_102-1
기타
대한민국의 태동
그러나 1930~40년대 일제가 전시 체제에 돌입하면서 정책은 다시 바뀌었다. 일제는 만주 사변을 일으켜 만주를 점령하고 만주국이라는 괴뢰정부를 세운 뒤, 중일 전쟁을 통해 중국 본토 침략에 나서면서 한국민에게 더욱 강도 높은 식민 정책을 펼쳤다. 이 시기에 한반도는 대륙 침략을 위한 병참기지로 전락하면서, 군수품 조달을 위한 군수공업이 진행되었다. 위기가 고조된 1940년대에는 조선일보, 동아일보를 폐간하고, 창씨개명을 강요하는 등 한민족 말살 정치로 이어졌다.
[ "전시 체제 돌입으로 인해 1930~40년대 일본은 한민족 말살 정치를 펼쳤다. 한반도를 병참기지로 삼고, 창씨개명 강요 등이 행해졌다." ]
CNTS-00078369026_85
기타
아시아지역의 인권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그에 반해 미주인권위원회 보고자는 제51조에 규정되고 있는 180일간의 만료 후가 아닌 만료 전 정부의 동의를 얻어 보고자를 보냈다고 하였으며, 제50조를 실행하는 전제로서 제51조는 해석하지 않았다. 또한 보고자는 현지조사가 고발의 진실을 확인하는 효과적인 수단이며, 방문을 앞두고 있는 동안에 고문이 이루어지게 되면 비극적인 결과를 가져오게 될 것이라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브라질이 주장하는 국내 구제를 다하였는지 확인해야 한다고 하는 논의는, 현지조사 그 자체가 구제를 다하였는지를 결정하는 수단이며, 정부가 합리적인 기간 내에 요청된 정보를 주지 않는 경우, 특별히 적용할 수 있는 절차라고 설명하였다. 따라서 보고자의 송부 내용은 예외 조치가 아니었다고 주장하였다. 미주인권위원회 위원장은 확립된 관행과 위원회 규정이나 내규에 의해 사안이 심각하고 긴급성을 요하는 미주 지역 영역에 미주인권위원회의 대표자가 방문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호소하였고, 보고자의 방문을 거부한 브라질을 비난하였다. 브라질은 이러한 주장을 거부하며 현지조사 고려는 분명한 국내 주권에 대한 공격이라고 강조하였다.
[ "미주인권위원회는 현지 조사가 중요하다고 보아, 보고자의 방문을 거절한 브라질을 비난하였다. 그리고 브라질은 이러한 현지조사가 국내 주권에 대한 공격이라고 주장하였다." ]
CNTS-00047967301_157
기타
민족문학론과 근대성
그가 ‘민중’의 내포를 구체화하지 않고 오히려 ‘민중(의식)’을 ‘시민(의식)’으로 지양하고자 한 것도, 바로 이와 같은 서구의 초기 건전한 시민의 역할을 적극 수용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시민문학론 이 그의 이론의 원점에 놓여 있다고 주장할 수 있는 근거가 바로 여기에 있다. 그러나 그가 제3세계의 민족(국가)을 배타적으로 주장하지 않는다고 해서 민족(국가) 단위의 현실적인 가치를 그가 소홀히 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제3세계가 자기 민족(국가)의 가치를 배타적으로 강조하지 않고 그것을 전 세계의 인간 해방을 위한 계기로 삼는다면, 그것이야말로 서구와 달리 제3세계가 ‘세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근거라고 그는 말한다. 김종철의 다음 주장에서도 그것은 명확하게 드러난다.
[ "김종철은 서구의 초기 시민의 역할을 수용하려 했다. 그는 민족 단위의 현실적 가치를 중요히했다. 제3세계가 자기 민족 가치를 배타성이 아닌 인간 해방을 위한다면 세계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한다." ]
CNTS-00118879163_0
기타
국방 내장형 소프트웨어의 체계적 관리방안
내장형 소프트웨어는 그간 하드웨어에 비하여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저조하여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취급된 면이 크다. 그러나 기술 발전에 따라 첨단 무기체계의 경우 기능의 90% 이상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할 때, 국방 내장형 소프트웨어에 관한 체계적 관리방안이 요구된다. 본고에서는 국방 내장형 소프트웨어 관리 실태를 분석하고, 체계적 관리를 위한 정책적 방안으로 정책 간 연계 강화 및 발전, 임무분장 명확화, 무기체계와 전력지원체계 공통의 기본방침 마련, 유지보수 역량 확충 및 전략 수립, 국방 내장형 소프트웨어 자산 관련 정보의 관리 강화를 제시하였다.
[ "국방 내장형 소프트웨어의 체계적 관리방안이 요구된다. 본고는 해당 소프트웨어 관리 실태 분석을 하고 체계적 관리를 위한 정책 방안으로 정책 연계 강화와 발전 등을 제시했다." ]
CNTS-00078365839_12
기타
관습법이 위헌법률심판의 대상이 되는지 여부
관습헌법이 성립하기 위하여서는 관습이 성립하는 사항이 단지 법률로 정할 사항이 아니라 반드시 헌법에 의하여 규율되어 법률에 대하여 효력상 우위를 가져야 할 만큼 헌법적으로 중요한 기본적 사항이 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실질적인 헌법사항이라고 함은 널리 국가의 조직에 관한 사항이나 국가기관의 권한 구성에 관한 사항 혹은 개인의 국가권력에 대한 지위를 포함하여 말하는 것이지만, 관습헌법은 이와 같은 일반적인 헌법사항에 해당하는 내용 중에서도 특히 국가의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사항으로서 법률에 의하여 규율하는 것이 적합하지 아니한 사항을 대상으로 한다. 일반적인 헌법사항 중 과연 어디까지가 이러한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헌법사항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일반추상적인 기준을 설정하여 재단할 수는 없고, 개별적 문제사항에서 헌법적 원칙성과 중요성 및 헌법원리를 통하여 평가하는 구체적 판단에 의하여 확정하여야 한다.
[ "관습헌법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관습에 해당하는 사항이 헌법만큼의 중요한 기본 사항이 되어야 한다. 관습헌법이란 법률에 의해 규율하지 않는 사항을 대상으로 하며 그 기준은 헌법원리 등을 통해 구체적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
CNTS-00047967301_34
기타
민족문학론과 근대성
인용은 구카프작가들이 일본과 (구)소련으로부터 이론을 무분별하게 받아들이는 태도를 문제삼고 있다. 안함광은 다른 비평가들과 달리 농민문학론을 본격적으로 제기하였고, 또 사회주의리얼리즘의 도입을 둘러싼 논쟁에서도 ‘유변창’의 유효성을 계속 강조하였다. 그는 ‘유변창’ 또한 사회주의리얼리즘과 마찬가지로 제재의 광범한 선택과 높은 수준의 형상성의 획득, 그리고 현실의 산(生) 자태에서의 모사 등을 결코 소홀히 하지는 않았다고 지적한다. 문제는 이것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유변창’을 도식적으로 파악한 작가와 비평가에게 있었다는 것이다. 나아가, 그는 이러한 한계 자체가 바로 우리 사회의 한 발전 단계를 정확히 보여준다고 분석한다. 그렇다고 해서 그가 사회주의리얼리즘의 의의까지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는 ‘유변창’과 사회주의리얼리즘을 구분할 이유가 전혀 없다고 본다. 다만 ‘유변창’이 정치와 예술, 그리고 세계관과 방법을 도식적으로 이해할 가능성을 지니고 있었다고 지적하면서 ‘유변창’ 대신 ‘유물변증법적 리얼리즘’을 내세운다. 이 용어야말로 세계관과 방법을 아우르는 정확한 개념이라는 것이다. 즉 객관적 현실에 대한 유물변증법적 파악을 그 생명으로 하는 프롤레타리아 예술은 리얼리즘을 그 기초 조건으로 한다는 원칙적 입장에서 그는 ‘유변창’ 대신 ‘유물변증법적 리얼리즘’을 주장한다.
[ "인용은 무비판적으로 일본과 구소련 이론을 수용하는 구카프작가들을 비판하였다. 안함관은 유변창 대신 유물변증법적 리얼리즘이 세계관과 방법을 아우르는 정확한 개념이라 말하였다. 객관적 현실을 유물변증법적으로 파악하는 프롤레타리아 예술은 리얼리즘을 기초 조건이기 때문이다." ]
CNTS-00078235808_16
기타
예금 명의신탁계약에 대한 채권자취소권의 행사
채권자취소권의 주된 목적이 강제집행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책임재산의 보전임은 앞서 본 바와 같다. 신탁자의 일반채권자의 입장에서 예금채권 명의가 신탁자 명의로 있는 경우와 수탁자 명의로 있는 경우에 강제집행의 실효성 확보 면에서 동일하다고 볼 수 있는가? 이 문제는 거꾸로 왜 신탁자가 실질적으로 자기에게 귀속하는 예금채권을 수탁자 명의로 두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알 수 있다. 즉, 신탁자는 부동산과 마찬가지로 예금채권의 경우에도 자신의 채권자들에 의한 강제집행을 면탈하고자 수탁자 명의로 예금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달리 말하면 신탁자의 채권자의 입장에서 예금채권의 명의가 신탁자에게 있는 것이 강제집행을 실효성 확보 또는 그를 위한 책임재산 보전을 위하여 필요함은 명백하다.
[ "채권자취소권의 목적은 강제집행을 실행하고 책임재산을 보전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해 신탁자의 채권자 입장에서 볼 때 예금채권 명의자는 신탁자가 되어야 한다." ]
CNTS-00060911477_68_68-0
기타
정념의 인식론
모리스 딕스타인은 그의 소론에서, "평범함의 추구"에 대하여, 레이몬드 카버 소설의 그 민중 그 격상에 대해 언급했던 것과 병치적이라고 소견을 밝힌다. "그의 블루컬러 등장인물들은 중상류층 삶의 본류와 먼, 다시 말해서 세련된 도시풍의 아이러니와 궤변으로 삶을 영위한다." 또한 모리스 딕스타인은 그들을 "특별히 감수성이 강하거나 내관적이지 않은" 것으로 보지만, 레이몬드 카버는 "그들에게 결코 으스대지도 않고 그들을 직접적으로 판단하지도 않는다. 대신에, 그는 그들의 압축된 자각을 그의 기교로 조작한다"고 주석을 단다.
[ "모리스 딕스타인은 소론에서 카버 소설에 대한 언급과 병설적이라 말했다. 또한 그는 감수성이 낮고 외관적인 것으로 보지만, 카버는 그들을 평가하지도 않는다." ]
CNTS-00078369028_74
기타
헌법재판에 있어서 신속한 사건 처리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신속한 헌법재판을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정치적, 사회경제적 중요성과 헌법이론적 중요성을 가진 이른바 주요사건을 충실히 하면서도 그 이외의 기타 사건들을 간략하게 처리하는 간이절차 이른바 fast track 절차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하는 것이다. 이는 간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사건과 주요심리사건을 구분하는 점에서 심판사건 자체를 제한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심판사건접수의 강화를 통한 민원성 사건의 간이처리와 함께 현재 헌법소원심판사건의 적법요건심사에 제한되어 있는 지정재판부의 기능을 강화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이 논의되어 왔다. 사건의 접수단계에서의 처리는 심판사무국에서 사무처의 공무원들에 의한 형식적 심사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넘어 헌법소원의 경우 형식적 요건을 모두 갖추었지만 헌법소원의 실질을 갖추지 못하고 단순 민원에 그치는 사건들을 지정재판부에 가기 전에 헌법연구관 등의 심의를 거쳐 보완 등을 지도, 권고하여 사건심리의 부담을 줄이는 실질심사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
[ "헌법재판에 fast track을 구성하면 심판사건 자체를 제한하는 셈이 되므로, 지정재판부의 기능 강화를 통해 문제를 보완하는 방안이 논의되어 왔다. 헌법연구관 등의 심의를 통해 단순 민원에 그치는 사건들을 구분하는 실질심사제도를 도입해 사건심리의 부담을 줄이자는 의견도 존재했다. " ]
CNTS-00049603826_8
기타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국토안보부)
일부에서는 국토안보부의 창설이 기정사실화되어 있는 지금, 어떻게 만들 것인가 보다는 비용을 어떻게 충당할 것인가 하는 점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미국 정부가 올해부터 막대한 규모의 재정 적자를 기록하고 있고, 많은 주와 시 정부도 예산 부족으로 고통 받고 있다는 점에서 국토안보부의 창설보다는 운영비 조달 문제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주장은 설득력을 갖는다이에 대해 백악관은 미국의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이 이미 안보를 위해 연 1000억 달러 정도를 지출해 왔으며, 새로운 국토안보부안은 1년 동안 380억 달러의 예산을 계획하고 있다고 옹호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상태로라면 국토안보 계획은 많은 주와 시에서 단기간에 중단되게 될 수도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국토안보부 관계자들도 이 문제에 대해서 국토안보부 계획은 아직 완전한 것이 아니며, 앞으로 보다 구체적인 계획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라는 자세를 보이고 있다.
[ "국토안보부의 창설의 비용을 어떻게 충당할 것인가 하는 점이 중요하다. 미국 정부가 막대한 재능 적자를 기록하고 있기에 창설보다는 운영비 조달에 더 신경써야 한다." ]
CNTS-00047966745_74_74-0
기타
한국의 역사소설
또 하나의 문제점은 국권상실의 위기가 최고도로 높아졌던 당대의 급 박한 상황이 거의 포착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작품의 배경인 1900년 대 후반, 조선은 식민화로 이어지는 급경사의 내리막길을 속수무책으로 굴러내리고 있었다. 청, 러, 미, 영 등과의 세력 각축에서 승리한 일본이 조선 지배의 고삐를 틀어쥐고 마지막 숨통을 죄어들던 일대 위기의 시대가 당대였다. 이 같은 위기상황의 어떤 편린도'대하'에서 찾아볼 수 없으니 기이한 느낌조차 들 정도이다. 예컨대 이 작품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신교육의 내용은 신분철폐, 적서차별 철폐, 노비제 폐지, 미신 타파, 조혼 철폐 등 제도, 관습의 차원에 머물러 이 시기 교육의 강한 애국계몽적 성격을 완전히 빠뜨리고 있다. 형걸을 중심으로 한 소년들의 진취적 기상이 무게중심을 잃은 한갓 낭만적 분위기로만 느껴짐은 이 때문일 터이다. 지금까지의 살핌에서 분명하듯, '대하'는 그 이론적 근거인 로만개조론의 내용을 제대로 소화하지 못한 작품이다. '대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은 곧 김남천의 한계를 드러내는 것인데 이는 이후 그가 꿈꾸었던 새로운 소설에 대한 또 다른 구상이 한갓 몽상의 차원을 벗어나지 못한 것과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다. 김남천은 '소설의 운명'(1939) 등 일련의 글들에서 루카치의 소설론에 근거하여 새로운 소설 양식의 획득을 꿈꾸었다. 그 새로운 소설 양식은 "새로운 피안의 발견"이란 말에서 분명하 듯 새로운 시대의 도래에 대한 꿈과 맞물린 것이다. 그러니까 김남천은 새로운 시대에 대한 유토피아적 열망을 '소설의 운명'론을 통해 피력하였던 것이다.
[ " 작품의 배경인 1900년대 후반 국권상실의 위기가 최고조인 위기의 시대였다. 그러나 '대하'에서는 어떤 위기 상황도 포착되지 않았다. 작품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 신교육의 내용면에서도 강한 애국계몽적 성격은 완전히 빠트리고 있다. 김남천은 이후에도 소설의 운명론을 통해 새로운 시대에 대한 유토피아적 열망을 피력하고자 했다." ]
CNTS-00047966808_175
기타
춘향전의 수용문화
소설을 비교할 때 등장인물 자체의 행위와 성품을 맞대어 놓는다는 방식이 비록 정교하지는 않으나, 이러한 비교가 의미를 가지는 것은 인물의 차이가 글을 통해 풍속의 차이로 읽힐 수 있다는 점에 있다. 풍속이 글쓰기를 통해 드러난다는 것은 텍스트의 구조나 담론의 구성에 콘텍스트의 영향력이 작용하고 있음을 파악하는 인식의 소산이라 할 수 있다. <서상기>의 말이 슬프고도 빠르며, <광한루기>의 말이 즐거우면서도 느리다는 평가는 <서상기>가 역동적인 인물을 등장시켜 서사를 빠르게 진행시키지만, 결국 비극적인 결말을 가져오는 한편, <광한루기>에서는 인물들이 서사를 다채롭게 진행시키기 위해 적극적인 행위를 하는 것은 없지만 서사의 유장한 흐름 가운데 즐거움을 느낄 수 있게 한다는 문체에 대한 비교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문장에 대한 비교는 다음 자료에서 본격적으로 행해진다.
[ "소설을 비교할 때 등장인물의 행위와 성품 등을 서로 비교하면 각 소설간 풍속의 차이가 드러날 수 있다. 풍속이 드러난다는 것은 텍스트의 구성에 콘텍스트의 영향력이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
CNTS-00052818155_98
기타
과거사정리 후속조치 연구를 위한 심포지엄
소멸시효의 기산점을 ‘손해에 대한 현실적으로 구체적인 인식이 있는 때’로 보는 것은 대법원의 일관된 판례이다. 이 사건에서 주목할 점은 판결에서 유족들이 피해자들이 울산경찰서에 구금된 사실 등을 토대로 울산경찰서에 진상규명을 요구하였다는 사실만으로는 ‘손해에 대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인식’을 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하였다는 점이다. 앞서 문경 사건에서 ‘적어도 헌법소원을 제기한 2000. 3. 18.에는 가해자와 피해자를 알 수 있었다’고 하여 이 시점을 기산일로 본 것과 큰 차이가 있다. 문경사건에서는 진상조사 시도는 있었지만 구체적인 진상규명이 없었는데도, 유족들이 적극적으로 헌법소원을 제기하는 등 적극적인 진상규명노력을 하였다는 것만으로 ‘손해를 알거나 알 수 있었다’고 판단한 반면, 울산보도연맹 사건에서는 진실화해위원회의 결정을 통해 사망자 명단, 사망 경위에 대한 구체적인 진상을 확정할 수 있었던 날을 소멸시효의 기산점으로 본 것이다.
[ "문경사건에서는 유족들의 적극적인 반대로 ‘ 손해를 알거나 알 수 있었다’ 고 본 반면, 울산보도연맹 사건에서는 사망자 명단, 사망 경위에 대한 구체적인 진상을 알 수 있었던 날을 소멸시효의 기준으로 보았다." ]
CNTS-00078365848_14
기타
부부가 이혼할 때 소극재산이 적극재산을 초과하는 경우의 재산분할 여부와 분담의 방법
대법원은 부부로서의 공동생활이 사실상 종료된 이혼청구의 소장이 접수된 이후에 부부 일방이 부담한 채무는 달리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부부로서의 공동생활상 일상가사에 관한 것이라거나 공동재산의 형성, 유지에 수반하여 부담한 채무로 볼 수 없다고 본다(대법원 1996. 12. 24. 선고 95므1192, 1208 판결). 별거 내지 파탄 이후 부부 일방이 부담한 채무는 대개 재산분할의 대상에 포함되는 소극재산의 요건을 충족시킬 여지가 적겠으나, 생활비나 양육비, 교육비를 위해 부담한 채무, 공동재산의 형성, 유지와 관련한 대출금의 이자증가분에 해당하는 채무나 그 대출원리금의 변제를 위해 부담한 채무, 임대차보증금의 반환을 위해 부담한 채무와 같은 경우에는 그것이 정당한 범위에 속하는 한 재산분할의 대상인 소극재산으로 평가될 수 있고 위와 같은 채무는 이혼청구 후에 발생한 것이더라도 마찬가지로 보아야 할 것이다.
[ "대법원은 95므1192, 1208 판결에서 가정 파탄 또는 이혼 청구 후에 부부 일방이 부담한 채무는 정당한 범위에 속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공동의 채무로 볼 수 없다고 보았다." ]
CNTS-00047966750_102
기타
상황윤리
누군가 이렇게 반문할지 모른다. 고대 기술의 이해는 종교적이고 신화적이기 때문에 현재 기술에 적용될 수 없다. 고대의 신화와 종교가 현대 기술에 스며 있는 것은 아니지만, 기술이 우리의 생활양식을 바꿈으로써 세계 이해의 변화를 가져온다는 사실은 지금도 그대로다. 개인용 만능 튜링기계(universal turing machine), 곧 여러 프로그램 처리의 작동체계(operational system)를 갖춘 개인 컴퓨터의 출현은 컴퓨터에 인간을 유추시키는 관점을 정착시켰다.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구분 속에서 두뇌 기능을 알고리듬 계산과 연관시켜 마음을 이해하는 인지과학(cognitive science)의 한 흐름이 사회에 자리를 잡는과정에 컴퓨터라는 도구의 출현과 확장은 무시될 수 없다. 여기서 인간을 컴퓨터에 유추하는 것이 과학적으로 혹은 철학적으로 올바른 것인지는 또 다른 문제다. 중요한 점은 세계 이해의 변화와 형성 과정은 새로운 도구의 출현 및 확장과 무관하게 다루어질 수 없다는 것이다.
[ "고대부터 기술은 우리 생활양식을 바꿈으로써 세계 이해의 변화를 가져왔고 그 변화와 형성 과정은 새로운 도구의 출현 및 확장과 관련된다. 특히 여러 프로그램 처리의 작동 체계를 갖춘 개인 컴퓨터의 출현으로 인지과학의 한 흐름이 사회에 자리를 잡았다." ]
CNTS-00118877724_95
기타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박물관은 궁극적으로 사회의 공동체나 구성원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며, 교육이나 문화적인 목적으로 소장품을 관리․활용하고,정기적으로 대중을 위해 전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박물관의 목표는 전시와 사회교육 및 다양한 문화서비스의 개발과 보급을 통해 대중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동시에 문화적 향수를 충족시키는데 있다.더 나아가 인간과 환경과 물적 자원을 지속적으로 수집․정리․연구․진열하며, 교육에 이바지하고 투철한 민족의식과 주체사상을 기르도록 하여 국내외 역사․교육․문화․예술을 일반 대중에게 공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박물관은 문화인프라의 핵심이며 문화와 경제를 잇는 가교역할을 함으로써 민족의 자긍심을 고취시킬 수 있는 현장 사회교육의 장이 되는 것이다.
[ "박물관의 목표는 대중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동시에 문화적 향수를 충족시키고 교육에 이바지한다. 박물관은 문화인프라 핵심이며 민족의 자긍심을 고취시킬수 있는 사회교육의 장이 된다." ]
CNTS-00078365838_6
기타
정기상여금의 통상임금 해당 여부와 신의칙
이에 따라 대법원 1996. 2. 9. 선고 94다19501 판결은 근로자에 대한 임금이 1개월을 초과하는 기간마다 지급되는 것이라도 그것이 정기적·일률적·고정적으로 지급되는 것이면 통상임금에 포함될 수 있다고 판시하였다. 그 이후 일관되게 통상임금은 근로자가 소정근로시간에 통상적으로 제공하는 근로인 소정근로(도급 근로자의 경우에는 총 근로)의 대가로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금품으로서 정기적․일률적․고정적으로 지급되는 임금이라고 판시하여 왔고, ‘1임금산정기간’을 초과하는 기간마다 지급되는 것이라도 마찬가지로 보았다. 또한 각종의 복리후생수당도 그 명칭 여부에도 불구하고 정기적․일률적으로 지급되는 경우라면 통상임금에 포함될 수 있다고 보았다.
[ "대법원 94다19501에 의해 근로자에 대한 임금이 정기적·일률적·고정적으로 지급되는 것이면 통상임금에 포함될 수 있다고 판시하였다. 또한 각종의 복리후생수당도 그러하다고 본다." ]
CNTS-00078369026_273
기타
아시아지역의 인권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그리고 유럽의 지역적인권보장제도가 유럽경제공동체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와 경제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면서 정치적으로도 유대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중국, 일본 또는 아세안 또는 아세안 소속 회원국 일부와 특정 인권을 보호하기 위한 인권협의체 내지 인권선언을 통하여 인권공동체를 형성하는 것도 하나의 유효한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런데 정치체제에서 중국은 사회주의를 기반으로 공산당 일당지배체제를 바탕으로 하고 있고, 이런 이유로 최근의 급속한 경제발전에도 불구하고 개인의 자유와 권리가 보호되고 있지 아니하며, 그 결과 자국의 인권 문제에 대한 국제기구나 다른 국가의 관심이나 간섭을 싫어하며 특히 자국의 인권문제를 미국 등 서방국가들이 자국에 대한 정치적 간섭과 국제무대에서의 중국의 영향력을 약화시키려는 수단으로 활용하려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인권문제를 철저하게 국가내의 내정문제로 이해하고 내정불간섭원칙만을 강조하고 있다. 그 결과 중국은 아시아지역 인권보장제도를 형성하는 것에 대해서 의지가 없다는 평가보다는 오히려 중국의 정치체제가 추구하는 공산당지도원칙과 그에 따라 인권보장의 수준이 높지 않기 때문에 중국은 아시아 지역인권보장제도의 도입에 반대하는 입장에 더 가까울 것으로 평가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
[ "우리나라와 경제적, 정치적으로 밀접한 관계인 중국과 일본 또는 아세안 정부와 함께 특정 인권 보호를 위한 인권협의체 또는 인권선언을 발표하고 인권공동체를 형성하는 것도 실효성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중국은 공산당 정치체제와 그에 따른 낮은 인권보장 수준때문에 아시아 지역인권보장제도의 도입에 반대하는 입장에 더 가깝다고 평가된다." ]
CNTS-00047967301_287
기타
민족문학론과 근대성
작가는 자신의 에세이집 사라를 위한 변명 에서 ‘다원주의에 바탕한 문화적 혼혈주의’를 내세운 바 있다. 이와 관련하여 ‘수구적 국수주의’를 과거 지향적이고 퇴영적인 ‘폐쇄적 향토주의’에 입각해 있다고 비판하면서, 그는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이다’라는 명제는 ‘세계적인 것이 한국적인 것이다’라는 명제로 수정되어야 한다고 보는데, 여기서 작가의 서구 지향적 사고의 한계가 드러난다. 세계성이란 본질적으로 추상적일 뿐만 아니라, 다원성 또한 개별 문화의 구체적인 특성을 전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세계성을 강조한다고 해서 개별 문화의 특수성이 무시되어서도 안 되고, 또 무시될 수도 없다. 이런 한계에도 불구하고 그가 문단에 던진 파문은 결코 단순한 것이 아니었다. 이 인용문이 작가가 자신을 합리화하는 것으로 본다고 하더라도 마찬가지이다.
[ "작가는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이다’라는 명제는 ‘세계적인 것이 한국적인 것이다’라는 명제로 수정돼야 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그의 서구 지향적 사고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문단에 큰 파문을 남겼다." ]
CNTS-00074217442_19
기타
蔚珍德川里新羅墓群
15-1호 묘는 감청색 환옥 8점에서 감청색 3점과 옅은 감청색 3점으로 색상을 구분하여 6점을, 황색 환옥 9점에서 3점을 분석 시료로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에서 선정 시료 9점은 모두 소다유리군이다. 안정제 구분에서 황색은 LCHA계이고 감청색 6점에서 옅은 감청색 3점은 소다 원료가 네트론(Natron) 광물일 가능성이 높은 편이고 나머지 감청색 3점은 HMK형으로 소다 원료가 해양식물재로 감청색의 색상 차이에 따라 소다 원료가 다른 차이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옅은 감청색 3점에서 2점은 소다 원료를 구분하기에 한계가 있다.
[ "15-1묘는 색상을 구분해 시료로 선정했다. 결과는 모두 소다유리군이다. 안정제는 색마다 다르며 원료를 구분하기 어려운 것들도 있다." ]
CNTS-00118886752_7
기타
국세자료 기반 신규통계 생산방안 연구
위 도표로 나타나듯이 2008년 기준 사업자등록 한 상태로 부가가치세 납부한 사업자 중 현 사업체모집단과 연계여부에 따라 구분한 결과, 연계되지 않은 사업자의 과세표준합계금액 비율은 11.50%였으며, 연계되지 않은 상위 5대 업종은 부동산업 및 임대업(L)54.81%, 금융 및 보험업(K) 20.18%, 건설업(F) 19.25%, 농림어업(A) 18.88%, 사업시설 및 사업지원(N) 17.27% 등이었고, 연계 상위 5대 업종은 행정, 국방, 사회보장(O) 99.22%, 전기, 가스 및 수도사업(D) 98.36%, 보건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Q) 96.79%, 제조업(C) 93.69%,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J) 90.79% 등으로 연계 비율이 높았다.
[ "2008년 기준 과세표준합계금액 비율은 현 사업체모집단과 비연계인 사업자는 약 12%로 낮았다. 이에 비해 연계 상위 5대 업종은 약 95%로 높았다." ]
CNTS-00047966896_66
기타
(법의학자가 풀어본 그림속) 표정의 심리와 해부
사람은 밖에서 어떤 자극을 받거나 내부에서 어떤 감정이 샘솟을 때 그 자극이나 감정에 상응하는 표정이 얼굴에 나타나게 마련이다. 이 표정을 만드는 데 주요 역할을 하는 것이 얼굴의 근육이기 때문에 우선 얼굴에는 어떤 근육들이 있는가를 알아둘 필요가 있다. 특히 아무런 표정이 없을 때의 근육의 위치를 익혀두면 어떤 표정을 지을 때 그 근육이 어떤 역할을 하는가를 쉽게 알 수 있게 된다. 얼굴에 분포하는 근육을 얼굴 근육(안면근, facial muscle)이라 하며 이 근육들은 피부 바로 밑에 거미줄처럼 섬세하게 분포한다. 얼굴 근육의 각 근육세포 혹은 근육섬유들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수축하거나 늘려 효과적인 얼굴 표정을 만들기 때문에 표정 근육(표정근表情筋, expression muscle)이라고도 한다. 이 근육은 사람의 여러 근육 중에서 가장 잘 발달된 근육이며 훈련에 의해서 숙달될 수 있기 때문에 자기가 마음먹은 표정을 쉽게 만들 수도 있다. 앞으로 다룰 얼굴 표정과 근육의 관련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크게 머리와 이마, 눈썹, 눈꺼풀, 볼, 입, 그리고 턱 등으로 구분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 "사람은 감정에 따라 얼굴근육 때문에 표정이 나타나게 된다. 무표정일때 근육의 위치를 알면 어떤 표정을 지을 때 근육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 수 있다. 얼굴 근육은 표정 근육이라고도 하는데 사람의 근육 중에서 가장 잘 발달된 근육이며 훈련에 의해서 표정도 쉽게 만들 수 있다." ]
CNTS-00061102375_94_95-0
기타
외솔 최현배 선생의 학문과 인간
'우리 말본'에서는, 모든 월 성분은 월에서 차지하는 자리가 일정하다고 지적하여, 말본 기술에서 어순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어순의 중요성 뿐만 아니라, 어순의 자유로움도 인식하여, 바른자리 어순, 거꾸른자리 어순을 들어 설명하였다. 그리고 어순은 나라말에 따라서 특성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지적하여 언어 유형론적 성격도 인식하였다. 우리말 어순의 특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22) ㄱ. 임자말은 앞에, 풀이말은 뒤에 위치한다. ㄴ. 기움말과 부림말은 임자말과 풀이말 사이에 위치한다. ㄷ. 꾸밈말은 꾸미는 말 앞에 위치한다. ㄹ. 어찌말과 부림말과의 자리잡기는 일정하지 아니하다. ㅁ. 홀로말은 월의 맨 앞에 위치한다. ㅂ. 어찌말은 거꾸른자리가 가능하나, 매김말은 그렇지 못하다. ㅅ. 우러 가운데 한 성분이 여럿이 나란히 설 수 있다.
[ "우리 말본'에서는 어순의 중요성을 인식했고, 어순의 자유로움도 인식했다. 또한 어순은 나라말에 따라서 다르다는 언어 유형론적 성격도 인식했다. '우리 말본'에서는 우리말 어순의 특성을 분석하여 제시했다. " ]
CNTS-00047966745_123_124-0
기타
한국의 역사소설
광기에 가까운 감성과 절대적 정당성에 대한 확신으로 스스로를 가둔 이념이 휩쓰는 감성과 정치의 시대현실은 합리적 이성주의자인 유태림을 억압하고 괴롭힌다. 유태림은 식민지인으로서 겪어야 했던 시대현실과의 불화를 해방된 조국에서도 여전히 벗어날 수 없었다. 이렇게 본다면 유태림이 수기와 유태림의 생애에 대한 증언 두 부분을 교직하는 이 작품의 구성은 해방 전후의 연속성, 그처럼 연속적인 해방 전후 현실과 내내 불화할 수밖에 없었던 유태림의 삶이 지닌 특성을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형식이라 할 수 있겠다. 그 불화가 그로 하여금 스스로를 에뜨랑제라 자처하게 만들었다. 그는 해방 전에도 해방 후에도 에뜨랑제였다. 에뜨랑제로서 역사 전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않으려 애쓴 그조차도 저 비정한 역사는 그냥 지나치지 않았으니 마침내 그 소용돌이에 휘말려 행방불명되고 마는 그의 짧은 생애는 곧 그 역사의 폭력성에 대한 증언이다. 그는 또한 학병으로 지원하여 배치된 중국 소주에서 만난 이와사키의 권고로 “자기의 주의, 자기의 신념을 살리되 무기를 손에 들지 않고 하는 방향을 택” 하겠노라 맹세한 바 있는 평화주의자 전쟁 반대론자였다. 그러나 저 거친 역사의 격류 속에서는 그 같은 이념도 이념에 충실하고자 하는 노력도 휩쓸려 압살당하게 되니 이 또한 그 역사의 폭력성에 대한 증언이다.
[ "연속적인 해방 전후의 현실과 내내 불화할 수밖에 없었던 유태림은 스스로를 이방인이라 자처하고 역사 전개에 개입하지 않으려 애썼다. 유태림은 평화주의자, 전쟁반대론자였음에도 역사의 격류 속에서는 이러한 이념이나 이념에 충실하려는 노력조차 묵살되어버리는 것 또한 역사의 폭력성에 대한 증언이다." ]
CNTS-00047966914_331
기타
조선후기 시조문학의 지평
"이 작품의 사회적 성격에 대해서는 이미 선행 연구들에서 상당한 정도로 밝혀 놓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기존 연구들의 성과들을 일정 부분 수용하면서, 「농가」의 작품적 성격과 시조사적 위상을 점검해보기로 하겠다. 이미 초기의 연구에서부터 이 작품의 ‘내용이 진솔 곡진하여 농부들의 생활 감정이 자주 절실하게 드러나 있으며, 더구나 순수한 우리말의 허식 없는 표현과 호남 지방 사투리의 거침없는 구사가 또한 향토미를 한결 더하고 있다’고 그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 이처럼 무엇보다 <농가>는 작품 전체에 걸쳐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씌여져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이와 더불어 몇몇 작품에서 사용된 반복적 표현의 효과는 4음보의 율격에 맞추어 경쾌한 느낌을 자아내면서, 민요적 표현이 시조에 수용된 구체적인 사례로 지적되기도 하였다.또한 이 작품에서 ‘표준어 아닌 특정 지방의 사투리를 작품 속에 그대로 수용한’ 것은 ‘위백규의 언어에 대한 인식, 나아가 현실 사회에 대한 인식의 새로움’이라고까지 평가되고 있다.
[ "<농가>는 작품 전체에 걸쳐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씌여져 있다는 점이 특징이며 반복적 표현 효과는 경쾌한 느낌을 준다. 또한 사투리를 그대로 표현한 것은 ‘위백규의 언어에 대한 인식, 나아가 현실 사회에 대한 인식의 새로움’이라고 평가 된다." ]
CNTS-00047966750_397
기타
상황윤리
전문 지식의 평가에 근거한 내부고발이 의도되지 않은 것으로 분류될 때 그러한 내부고발에 대한 접근법은 단순히 책임자 처벌의 관점에 국한되어서는 안 된다. 그러한 내부고발은 책임자를 현행법으로 처벌할 근거가 애매한 경우가 많다. 전문 지식을 둘러싼 의도되지 않은 내부고발이 새로운 법조항 혹은 기존 법체계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유사한 재난이 그러한 개선 작업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어될 것이라는 생각은 어리석기 그지없다. 전문 지식의 평가에 근거한 내부고발 중에서 의도되지 않은 범주에 속하는 것은 조직체계의 구성 및 집단적 의사결정 과정의 이상기능을 반영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한 이상기능은 단순히 명령과 보고의 위계질서를 수정함으로써 제거되지 않는다. 그것은 지식 활용의 관점에서 접근되어야 하고, 이러한 접근 과정에서 해당 직업의 사회적 위치가 진단된다.
[ "전문 지식의 평가에 근거한 내부고발이 의도되지 않은 것으로 분류될 때 조직체계의 구성 및 집단적 의사결정 과정의 이상기능을 반영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내부고발에 대한 접근법은 지식 활용의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
CNTS-00115570081_90_91-0
기타
서울에서 통통통통
추석이 되면 고향이 지방에 있는 사람들은 내려가고 시장에 나가면 연휴 때문에 문 닫힌 가게가 많다. 이때에 서울의 여유로운 면을 볼 수 있다. 평소에 사람들은 생활을 위해 바쁘고 가족들이랑 같이 있는 시간이 거의 없다. 하지만 추석으로 인한 긴 휴가에서 가족들이랑 식사도 하고 서울 축제도 구경하는 귀한 기회가 제공된다. 길거리에 나가면 사람은 많이 없지만 보이는 사람마다 다 행복한 얼굴이다. 이때의 서울은 약간 쓸쓸하지만 사람들은 바쁜 생활 리듬을 늦추고 더욱 인간미 넘치게 느껴진다. 추석 때문에 급속도로 발전하는 서울 풍경 말고 바쁜 서울의 진정한 삶의 맛볼 수도 있다.
[ "추석에 사람들이 고향에 가면, 서울의 여유로운 면을 볼 수 있다. 추석에는 가족들과 함께 하는 행복한 사람들의 얼굴이 보인다. 이 때의 서울은 쓸쓸하지만 인간미가 넘친다." ]
CNTS-00120446584_14
기타
[보도자료] 생명을 살리는 자살예방 지침서 : 기독교
우리는 흔히 아름다운 것을 꽃에 비유합니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아름답고 매력적인 여성을 보면 장미꽃처럼 아름답다고 말합니다. 솔로몬은 아가서 2장 1절에서“여자들 중에 내 사랑은, 가시나무 가운데 백합화 같도다”라고 했습니다. 솔로몬은 사랑하는 술람미 여인을 백합화에 비유했습니다. 중국에서는 아름다운 여인을 쟈스민 꽃에 비유합니다. 꽃도 아름답지만 쟈스민 향기가 좋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꽃이 아무리 아름다워도 사람이 그 꽃보다 더 아름답습니다. 사람은 꽃에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아름답고 고귀한 존재입니다. 사람이 아름다운 이유는 그 사람을 지으신 분이 아름답고 존귀하신 분이기 때문입니다. 사람은 하나님의 위대한 작품이기에 아름답습니다.
[ "우리는 흔히 아름다운 것을 꽃에 비유하지만 사람이 꽃보다 더 아름답다. 사람은 하나님의 작품이기 때문에 아름답고 고귀한 존재다." ]
CNTS-00078235807_33
기타
지연손해금과 법정이자
법정이자도 성질에 반하지 않는 한 이자에 준하여 취급하면 될 것이므로, 법정이자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인정하지 않을 이유는 없다. 대법원 2003. 11. 14. 선고 2001다61869 판결도, “악의 점유자는 과실을 반환하여야 한다고만 규정한 민법 제201조 제2항이, 민법 제748조 제2항에 의한 악의 수익자의 이자지급의무까지 배제하는 취지는 아니기 때문에, 악의 수익자의 부당이득금 반환범위에 있어서 민법 제201조 제2항이 민법 제748조 제2항의 특칙이라거나 우선적으로 적용되는 관계를 이루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위 조문에서 규정하는 이자는 당해 침해행위가 없었더라면 원고가 위 임료로부터 통상 얻었을 법정이자상당액을 말하는 것이므로 악의 수익자는 위 이자의 이행지체로 인한 지연손해금도 지급하여야 할 것이다.”라고 판시하여 법정이자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인정하였다.
[ "법정이자도 이자에 준하여 취급하면 될 것이므로, 법정이자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인정하지 않을 이유는 없으며, 대법원 2001다61869 판결도 법정이자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인정하였다." ]
CNTS-00118877162_93
기타
미래 재정 위협요인을 고려한 재정개혁 과제에 관한 연구
문제는 재산권이 정의되면서 이의 배분이 기존의 프로그램에 한정되어 기존 프로그램의 기득권이 강화된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페이고제도는 아직 조직화되지 않은 새로운 프로그램의 지지층에 비하여 이미 형성된 이해집단에 매우 유리하며, 새로운 프로그램에 비하여 기존 프로그램은 상대적으로 매우 유리한 입장에 있으므로 기존 프로그램이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존속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82) 페이고제도 도입으로 기존의 프로그램은 예산감축 및 구조조정의 압력에서 면제됨으로써 과거에 비하여 재산권이 강화되며, 비효과적인 사업을 퇴출시키고 바람직한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조정이 억제되며 비효율적인 기존의 프로그램이 공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구조를 만든다. 사회적으로 필요한 새로운 형태의 의무지출프로그램은 과거에 비하여 도입의 가능성이 매우 적어지는 부정적인 결과를 낳는 구조가 될 수 있다.
[ "페이고제도는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기존 프로그램을 존속시킨다. 페이고제도 도입으로 기존 프로그램은 재산권이 강화되고, 비효과적 사업 퇴출 및 바람직한 프로그램 도입 조정이 억제되며, 비효율적 기존 프로그램 유지가 공고해진다." ]
CNTS-00078365840_5
기타
부가가치세 환급세액 지급청구가 행정소송법상 당사자소송의 대상인지 여부
따라서 이와 같은 부가가치세법령의 내용, 형식 및 입법 취지 등에 비추어 보면, 납세의무자에 대한 국가의 부가가치세 환급세액 지급의무는 그 납세의무자로부터 어느 과세기간에 과다하게 거래징수된 세액 상당을 국가가 실제로 납부받았는지와 관계없이 부가가치세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직접 발생하는 것으로서, 그 법적 성질은 정의와 공평의 관념에서 수익자와 손실자 사이의 재산상태 조정을 위해 인정되는 부당이득 반환의무가 아니라 부가가치세법령에 의하여 그 존부나 범위가 구체적으로 확정되고 조세 정책적 관점에서 특별히 인정되는 공법상 의무라고 봄이 타당하다. 그렇다면 납세의무자에 대한 국가의 부가가치세 환급세액 지급의무에 대응하는 국가에 대한 납세의무자의 부가가치세 환급세액 지급청구는 민사소송이 아니라 행정소송법 제3조 제2호에 규정된 당사자소송의 절차에 따라야 한다.
[ "납세의무자에 대한 국가의 부가가치세 환급세액 지급의무는 부당이득 반환의무가 아니라 부가가치세법령에 의한 공법상 의무라고 봐야 한다. 따라서 이를 청구하는 것은 민사소송이 아니라 당사자소송의 절차에 따라야 한다." ]
CNTS-00061102375_157_157-0
기타
외솔 최현배 선생의 학문과 인간
외솔의 새로움을 추구하는 창조적인 눈에는 스승의 학설이 그대로 모두 만족한 것은 아니었다. 인식론척인 낱말관, 논리적인 언어관, 그리고 언어 파생의 한계성 인식과 그 한계성 극복올 위한 끝바꿈법의 창안, 도움 풀이씨(보조 서술어)의 체계 확립, 이 모든것은 주 스승의 체계에서 더 새로운 체계로 나아가 자리잡은 독창척인 것이다. 이리하여 근대화 과정에서 형성한 근대 국어학의 선각자 주시경의 학문 시대는 현대로 들어오면서 외솔의 시대로 넘어오게 된다. 우리 말본과 쌍벽을 이루는 ‘한글갈’도 훈민정음에 관한 일체의 역사적 기술과 한글 및 음운에 대한 일체의 논지를 전개함에, ‘신 경준, 유회의 유업을 잇고 아래로는 주 시경님의 가르침의 유지를 이루고차 했음’(‘한글갈’ 초판 머리말)이니 이는 ‘우리 말본’의 정신과 그 맥을 같이한 것이라 하겠다.
[ "외솔의 관점들과 법칙의 창안, 체계 확립은 주 스승의 것에서 더 나아간 독창적인 것이다. 이리하여 주시경의 학문 시대가 외솔의 시대로 넘어왔다. '한글갈'도 훈민정음에 대해 기술함에 '우리 말본'의 정신과 그 맥을 같이했다." ]
CNTS-00118880911_65
기타
2000년대 이후 국내외 통일연구 분석 및 향후 연구과제 (총괄보고서)
첫 번째로, 2000년부터 2007년까지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가 햇볕정책과 대북포용정책을 통해 남북대화와 남북교류협력을 주도한 시기이다. 이 시기 한반도 주변정세는 남북관계의 진전 속에서도 북한의 핵개발로 인하여 북 미 대화와 4자회담, 그리고 6자회담 등 역내 다자협의 채널이 가동된 시기이다. 이 시기 외교 안보 분야의 연구는 2000년 남북정상회담 개최 이후 남북관계의 진전 속에 남북을 통합의 주체로 상정하되 다자간 대화를 통해 북핵문제 등 안보문제를 해결하고 한반도에서 평화체제를 수립하는 문제를 중심으로 통일내지 통합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 "김대중,노무현 정부 시기 안보분야연구는 남북관계진전 속에 북핵문제 등 안보문제를 해결하고, 한반도 평화체제 수립문제를 중심으로 통일내지 통합에 관한 연구가 진행됐다." ]
CNTS-00115974672_35_36-0
기타
(2019) 달봉이의 글쓰기
섬에서 살던 이자야는 하늘과 바다를 구슬에 담고 싶어 했고, 신라 스님인 해명을 만나 많은 일을 겪고 신라에 도착하게 된다. 이자야는 해명이 좋아하던 곧 결혼하는 신라의 공주를 위해 구슬을 만들게 되고 구슬이 완성되자 공주는 떠나게 된다. 이자야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위해 살던 곳을 떠나 여행을 한다. 해명도 자신이 원하는 것을 위해 신라를 떠나 여행을 한다. 공주 또한 이자야나 해명과 같이 자신을 위해 떠난다. 이자야, 해명, 공주는 시련이 닥치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자신만의 길을 만들어 걷는다. 우리들은 이들을 통해 우리만의 길을 갈 수 있다는 것과 그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섬에 살던 이자야는 신라 스님 해명이 좋아하던 신라 공주를 위한 구슬을 만든다. 이자야, 공주, 해명은 모두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한 여행을 떠나 자신만의 길을 걷는다. " ]
CNTS-00115974672_62_62-2
기타
(2019) 달봉이의 글쓰기
책에서 사람은 저마다의 우주를 지니고 있고, 사람이 사라진다는 것은 유일무이한 우주가 사라져버리는 일이라고 작가가 말해줍니다. 이로 보아 작가는 우리들에게 자신에게 소중한 사람들이 곁에 있을 때에 잘하자라는 교훈을 주는 것 같았고 세월호 사건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는 계기를 만들어 줍니다. 사람이 죽는다는 것은 우리가 어쩔 수 없는 것입니다. 하지만 소중한 사람들이 자신의 곁을 떠나고 나서 잘해주지 못해 후회하고 죄책을 느끼는 것보다는 함께 있을 때 주변 사람들을 소중히 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 책은 슬프면서도 따뜻한 느낌이 드는 책이니 많은 사람들이 읽고 널리 알려졌으면 좋겠습니다.
[ "작가는 소중한 이들과의 이별을 유일무이한 우주의 소멸과 동일시 한다. 책은 이별 후에 후회하지 말고 곁에 있는 소중한 이들에게 잘하자는 교훈을 남긴다. " ]
CNTS-00047966745_41_42-0
기타
한국의 역사소설
최하층 백정들을 단합, 그들의 내재된 계급의식을 격발시켜 항거의 불길로 타오르게 한 인물로 임꺽정의 성격을 규정짓고 있음을 본다. 실제의 진행은 이와 달라 백정들의 단합이 아니라 피지배 민중 일반의 단합으로 나타나지만 어떻든 벽초는 조선조 중기의 신분질서를 향해 부딪쳐 갔던 임꺽정의 삶에 현재적 의미를 적극적으로 부여, 뚜렷한 목적의식을 가지고 이 이야기를 당대인들에게 들려주고자 했던 것이다. 그렇다면 벽초의 이 독특한 소설은 1920년대 후반 시점에서 평지돌 출한 것인가. 지금까지 살펴왔듯 그것은 멀리는 야담류 전통에 이어지지만 가까이는 이 시기 활발하게 펼쳐졌던 야담 운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1920년대 들어 폭발적으로 고양된 역사에 대한 관심과 그것의 대중 전달이란 목적이 결합하여 나타난 것이 야담 운동이다. 운동을 이끌었던 김진구를 중심으로 '조선야담사'가 창립(1927. 11. 23)되고 30년대에 이르기까지 '야담 구연대회'가 열려 열띤 호응을 받았으며, 이를 이어 '월간 야담' 그 후신인 '야담' 등 야담 전문잡지가 나와 모든 한글 매체가 절멸되는 1944년까지 그 생명을 이어갔던 것이니, 이 운동의 대중친화력이 얼마나 대단했던가를 가히 짐작할 수 있다. '임꺽정'은 이 같은 야담 운동이 가장 활기찼던 시기에 씌어지기 시작했으니 이에 작가의 의도가 분명해진다 하겠다. 그러나 뒤로 갈수록 이 같은 목적의식은 희석되어, 작가는 그야말로 한갓 강담사의 처지로 물러나고 있음을 본다.
[ " 벽초 홍명희는 '임꺽정'을 통해 피지배 계층의 계급의식을 부추겨 조선 중기의 신분질서를 향해 저항했던 임꺽정의 삶에 현재적 의미를 부여하였다. '임꺽정'은 야담류 전통이며, 1920년대 역사에 대한 관심과 그것의 대중전달이란 목적이 결합해 나타난 야담운동과도 관련있다. " ]
CNTS-00047966750_378
기타
상황윤리
지금 이 순간에도 어떤 이는 당시 기관사들에 대해 멍청하다고 말할지 모른다. 내가 보기에는 그렇게 말하는 사람이 멍청하다. 자율성이 직업 내에 제도적으로 보장되지 않은 위치에서 일해본 사람이라면 그렇게 말할 수 없다. 더욱이 기관사는 전문직으로서 공학자의 지위를 갖는지가 논의 대상이 될 수 있는 만큼, 그들이 자발적으로 직업적 미덕을 발휘하기란 상대적으로 더욱 어렵다. 기관사가 전문직 종사자로서 공학자의 지위를 갖느냐의 문제와는 상관없이, 기관사의 직업군은 공학 직업의 공간에 속한다. 공학을 사회체계 속에 기능하는 하나의 체계로서 이해한다면, 공학의 직업군들이 전문 공학자들로만 구성되지 않는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상황 맥락의 변동에 따른 기관사의 적절한 행위를 연구하고 분석하는 것은 공학 담론에 속한다. 사고의 근접인만 찾아서 의자를 바꾸는 방식은 유사한 재난을 막는 데에도 부족하다. 좀더 체계적인 재난의 원인 분석과 방지법은 17장에서 다룬다. 지하철 공사의 기관사들이 우리의 공학자 다수가 처한 현재 상황을 대변한다고 자신한다. 공학적 부작용에 대해 사회적으로 권위를 누릴 수 없는 사람들에게 일방적으로 책임이 전가되는 상황에서 공학자는 책임, 안전 및 숙련된 능력이라는 공학의 미덕을 능동적으로 발휘할 수 없다. 과학자 집단의 경우도 상황은 그리 좋은 편이 아니다. 자율성이 과학의 미덕으로 정착했다고 하지만, 그 미덕은 어디까지나 연구에 국한된 것일 뿐이다. 사회적 문제에 과학자 다수의 의견조차 반영되기 힘든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제도적으로 많은 새로운 장치가 만들어지고 있지만, 많은 경우 홈페이지의 깨어진 링크와 같다.
[ "공학의 직업군은 전문 공학자들로만 구성되지 않으며, 기관사 역시 공학 직업군에 속한다. 그러므로 제도적으로 자율성을 보장받지 못하는 그들에게, 그리고 공학자의 지위를 갖는지 의심받기도 하는 그들에게 책임, 안전, 숙련된 능력 등의 공학적 미덕을 왜 발휘하지 않았는지를 따지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결국 사고의 근접인만 찾아서 해결하려고 하는 방식은 재난 예방에 아무 도움도 안 된다." ]
CNTS-00047966914_274
기타
조선후기 시조문학의 지평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이정보는 영조가 탕평책을 명분으로 다른 당파를 적극적으로 기용하는 것에 비판하는 자세를 보이고 있다. 신임사화를 통해서 한때 처절한 패배를 경험한 노론 세력으로서는 당파의 구별없이 인재를 등용한다는 탕평책이 다른 당파가 정권을 장악할 수 있는 빌미가 된다고 여겨 극간을 통해서라도 공격했던 것이다. 이정보는 자신의 당파인 노론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자신이 선봉이 되어 그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마침내 1741년 영조의 대훈(大訓)으로 신임사화와 관련된 노론 4대신의 명예가 회복되었으며, 노론의 정치적 입지는 더욱 강화되었다.
[ "이정보는 그들이 정권을 잡을 수도 있기 때문에 영조가 다른 당파 기용에 대해 반대했다. 그래서 노론의 우두머리 역할을 했으며, 결국엔 노론 4대신의 명예를 되찾았다." ]
CNTS-00047966896_89
기타
(법의학자가 풀어본 그림속) 표정의 심리와 해부
입의 표정을 나타내는 표정근들은 모두가 그 한쪽 끝은 머리뼈에 부착되고 다른 한쪽은 입 주위의 근육이나 피부 밑에 분포되기 때문에 결국 입은 머리뼈에 간접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셈이다. 그러면서도 얼굴의 온갖 표정을 자유자재로 표출시키는 특징을 지녔다. 입 주변의 표정근은 본인의 의사에 따라 수축과 팽창이 자유롭기 때문에 훈련에 의해서 갖가지 표정을 마음대로 지을 수 있는가 하면 본인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불수의적으로 움직이기기도 한다. 그러나 표정을 전문적으로 짓는 연기인들처럼 훈련을 한다면 수의적인 표정의 표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얼굴 표정에서 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 "입은 머리뼈에 간접적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얼굴의 온갖 표정을 자유자재로 표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표정에서 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중요하다." ]
CNTS-00047967301_268
기타
민족문학론과 근대성
조헌용은 ‘작가의 말’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현실이라면 결코 이길 수 없는 토끼를 그러나 이야기 속에서나마 이길 수 있었던 거북이의 걸음걸이로 이 땅과 이 땅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쓰겠노라고.”(7면) 이것은 문학만이 지닌 미학적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현실에 임하는 그의 작가적 태도를 잘 보여준다. 현실과의 치열한 교섭을 통해 가능한 최대치의 것을 드러내려는 자세가 그것이다. ‘새만금’은 그에게 소재가 아니다. 새만금을 통해 오늘 우리 사회를, 세계를 성찰하고자 한다. ‘환경’이냐, ‘개발’이냐, 는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것은 그 모두를 둘러싸고 움직이는 자본의 논리다. 그 속에서 ‘환경’을 바라보고, ‘개발’을 이해하고,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바다는 가깝게는 한창훈 소설에서 우리가 익히 보아왔다. 하지만 이번 조헌용의 소설집은 바다 밑뿌리를 파헤쳐 건져 올린 이야기여서 예전과 차이가 있다. 오늘의 작가가 어떤 자세를 가져야 할지 반추케 한다.
[ "조헌용은 \"현실이라면 이길 수 없는 토끼를 이길 수 있었던 거북이의 걸음걸이로 이 땅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쓰겠노라. \"고 했다. 이는 우리 사회와 세계를 성찰하고자 하는 작가적 태도를 보여준다. 그의 소설집은 오늘의 작가가 가져야할 자세를 생각해 보게한다." ]
CNTS-00049155096_56_57-0
기타
남북한 어문 규범 연구사
임홍빈(1997)에서는 현행 총칙 제1항, 즉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는 조항은 불필요하다고 하였다. 이는 맞춤법을 제정하는 사람들이 그러한 원리를 염두에 두고 정하면 그만인 원리이지 국민 각자가 그 원리를 염두에 두고 문자 생활을 해야 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이 조항이 표준어의 문제만을 제외하면, 아무런 설명력도 가지지 못하는 원리이기 때문이다. 이는 "모든 어휘 및 어휘적 요소는 특별히 예외적인 규정에 의하지 않는 한 항상 일정한 형식으로 적는다."고 하는 것이 더 낫다고 하였다. 둘째, 총칙의 제3항에서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고 하였는데 이것도 총칙에 명시할 필요가 없다고 하였다. 왜냐하면 '한글 맞춤법'과 따로 정해지는 규정을 매번 총칙에 명시해야 하는 것이라면 '표준어 규정'이나 '표준어 사정 원칙', '표준 발음법'도 동일하게 제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외래어 문제가 총칙 제3항에 포함된 이유는 외래어가 맞춤법 총칙 제1항이 정하고 있는 표준어에 속한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외래어는 표준어와 동일한 평면에서 다룰 수 없는 것이므로 '한글 맞춤법'의 적용 영역에 외래어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하였다. 외래어가 '한글 맞춤법에 포함될 수 있다면 그것은 둘 다 한글의 철자로 적힌다는 아주 단순한 사실에 기인한 것이다. 즉 맞춤법을 철자법으로 보는 것이다. 그러나 '한글 맞춤법'은 어휘-형태주의를 원칙으로 하고 있음에 비해 외래어 표기는 원음주의, 즉 소리대로의 원칙에 입각해 있으므로 둘은 기본 원리가 다르다는 것이다. 따라서 '한글 맞춤법'은 어휘-형태주의가 적용되는 영역에 한정되는 표기법으로 한정하면 된다고 하였다. 남영신(1998)에서는 총칙 제1항은 보편성을 잃고 있다고 하였다. '소리대로 적는 것'과 '어법에 맞게 적는 것'이 처음부터 하나의 원칙이 될 수 없는데, 서로 상반된 다른 원칙을 하나의 원칙으로 공존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 "임홍빈(1997)에서는 현행 총칙 제1항은 불필요하다고 하였다. 그 이유는 이 조항이 표준어의 문제만을 제외하면 설명력을 갖지 못하는 원리이기 때문이다. 총칙 제3항의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도 명시할 필요가 없으며, '한글 맞춤법'은 어휘-형태주의를 원칙으로 하고 외래어 표기는 원음주의 원칙에 입각하므로 기본 원리가 다르기 때문이다. 남영신(1998)에서는 총칙 제1항이 '소리대로 적는 것'과 '어법에 맞게 적는 것'이라는 상반된 다른 원칙을 하나의 원칙으로 공존시켜 보편성을 잃고 있다고 하였다. " ]
CNTS-00060568950_159_160-0
기타
주근옥의 문학세계
제 1시집 “산노을 등에 지고”에는 총 83편의 시 중 ‘소절’ 11편, ‘중시’ 72편이 수록되어 있다. 제 2시집 “감을 우리며”에는 수록된 110편의 시가 모두 ‘소절’이고, 제 3시집 “번개와 장미꽃”에는 수록된 90편의 시가 모두 ‘소절’이다. 특히, “번개와 장미꽃”에 수록되어 있는 시편들은 모두 3행시로 구성되어 있어 ‘형식’의 통일성이 돋보인다. 반면, 제 4시집 “바퀴 위에서”는 1, 2부로 나누어 ‘바퀴 위에서’와 ‘다리 위에서’라는 단 두 편의 ‘장시’가 수록되어 있다. 제 5시집 “갈대 속의 비비새”는 총 5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1부에는 4편의 ‘중시’가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2부에는 총 34편의 작품 중 시집의 제목이기도 한 ‘갈대 속의 비비새’ 한 편을 제외한 33편의 시가 3행시의 ‘소절’로 구성되어 있다. 3부에는 ‘소절’ 7편과 ‘중시’ 11편이 수록되어 있다. 4부에는 ‘풀무가’라는 ‘장시’ 한 편이 소개되어 있다. 이를 도식화하면 아래와 같다.
[ "“산노을 등에 지고”에는 소절 11편, 중시 72편이 수록되어 있다. “감을 우리며”와 “번개와 장미꽃”의 시는 모두 소절이다. “바퀴 위에서”는 두 편의 장시만 수록되어 있다. “갈대 속의 비비새”는 40편의 소절, 15편의 중시, 한 편의 장시가 수록되어 있다." ]
CNTS-00078235814_23
기타
계약명의신탁에 있어서 수탁자의 신탁자에 대한 부당이득반환의무의 이행에 갈음하는 신탁부동산에 관한 소유권이전약정의 인정요건 및 그 효력
이런 유형의 사건에 있어서 신탁자가 수탁자를 상대로 실질적으로 다툴 수 있는 주요한 방어방법 중 하나가 비채변제 주장일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자의 입장과 같이 매도인이 선의인 계약명의신탁에서 수탁자가 신탁부동산에 관한 소유권이 자신에게 귀속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이후 소유권이전등기를 신탁자에게 이전한 경우에 자신에게 법률상 의무가 없음을 알면서도 신탁부동산 자체를 신탁자에게 양도한 것으로 볼 수 있는 사례도 있을 수 있어 보인다. 그러나 비채변제에 관하여 그 권리의 귀속주체에 관한 다툼이 있었던 경우는 채무가 없음을 알면서 지급했다고 보기 어렵고(대법원 2012. 11. 15. 선고 2010다68237 판결), 변제가 자기의 자유로운 의사에 반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는 사정이 있는 때에는 그 반환청구권을 상실하지 않으며(대법원 2010. 7. 15. 선고 2008다39786 판결 등 참조), 결국 변제자가 채무 없는 사정을 알았다는 것에 대한 입증책임은 신탁자의 반환청구권을 부인하는 신탁자에게 있다(대법원 2008. 11. 13. 선고 2008다41857 판결 등 참조)는 기존 법리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이 사건에 있어서는 원고는 반환약정의 존재 자체 및 그 효력을 다투고 있고, 원고가 신탁부동산을 반환할 채무가 없다는 사정을 알았다는 점을 신탁자인 피고가 충분히 주장․입증하였다고 볼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따라서 이 사건의 경우에는 악의의 비채변제로 의제하기는 어렵지 않나 생각한다.
[ "변제가 자기 의사에 반하여 이뤄진 것으로 볼 사정이 있을 땐 반환청구권을 상실하지 않으며, 변제자가 채무 없는 사정을 알았다는 것을 입증할 책임은 신탁자에게 있다는 판례들이 있다. 이 사건의 원고는 반환약정의 존재와 그 효력을 다투고 있고, 원고의 반환 채무가 없다는 사정을 알았다는 점을 피고가 입증했다고 볼 수 없어서, 이 사건에서 신탁자가 비채변제로 의제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
CNTS-00118884106_129
기타
13년~14년 국어 발전과 보전에 관한 시책 및 시행 결과 보고서
2013년~2014년 진행된 민족생활어 조사 사업은 2010년~2012년 수집한 어촌 4개 권역의 기초어휘 자료집을 정리하고 기초어휘 조사 질문지를 수정 보완하는 형태로 추진되었다. 이는 기존에 추진한 사업을 질적으로 보완한 것으로 어촌 지역의 언어문화를 자료로 보존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어 어휘를 풍부하게 할 뿐만 아니라 지역 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높이고 데에도 이바지한 바가 크다. 이와 같은 민족생활어 조사 사업은 아직도 조사하고 수집할 자료들이 많이 남아 있어 장기간의 계획과 지속적인 수행이 필요한데도 2013년을 끝으로 사업이 종료된 것은 매우 아쉽다고 하겠다.
[ "13-14년 민족생활어 조사 사업은 기존 어촌의 기초어휘 조사를 보완하는 형태로 추진됐다. 문화자료 보존과 어휘의 다양화, 문화적 자긍심에도 기여했다." ]
CNTS-00047967301_22
기타
민족문학론과 근대성
하지만 전향 개념이 확대되면서 단순히 소재적으로 접근하는 폐단도 없지 않았다. 김윤식은 박영희와 임화, 특히 임화가 모더니즘 사회주의 일본주의를 등가(等價)로 보고, “이 세 이데올로기 사이에 균형감각을 취하는 일이 그에게는 전향”이었다고 지적한 바 있다. 물론 여기서 그는 전향 개념을 사상적 회심(回心) 현상 일반으로 보고 있다. 그런데 모더니즘, 사회주의, 일본주의라는 세 가지 사상은 서로 완전히 ‘등가’이기 때문에, 엄밀하게 말하면, 그것들 사이에서의 작가의 선택을 두고 굳이 ‘전향’이란 말을 쓸 필요가 없게 된다. 이 글에서 전향 문제를 구카프작가들, 그 중에서도 안함광을 중심으로 살펴보려 하는 것도 사상적 회심 현상 일반에서가 아니라 식민지 조선의 특수성의 관점에서 전향을 이해하기 위해서다.
[ "식민지 조선에서 구카프 작가의 전향 문제를 안함광을 중심으로 살펴보려 한다." ]
CNTS-00078365834_6
기타
체납처분압류 후 성립한 유치권의 효력
대법원 2005. 8. 19. 선고 2005다22688 판결(이하에서 ‘2005다22688 판결’이라고 약칭함)은 부동산에 강제경매개시결정의 기입등기가 경료되어 압류의 효력이 발생한 이후에 채무자가 부동산에 관한 공사대금 채권자에게 그 점유를 이전함으로써 그로 하여금 유치권을 취득하게 한 경우, 그와 같은 점유의 이전은 목적물의 교환가치를 감소시킬 우려가 있는 처분행위에 해당한다고 보아 압류의 처분금지효에 저촉되므로 유치권으로 경매절차의 매수인에게 대항할 수 없다고 판시한바 있다. 한편, 대법원 2011. 11. 24. 선고 2009다19246 판결(이하 ‘2009다19246 판결’이라고 약칭함)에서는 부동산에 가압류등기가 경료되어 있을 뿐 현실적인 매각절차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 하에서는 채무자의 점유이전으로 인하여 제3자가 유치권을 취득하게 된다고 하더라도 이를 처분행위로 볼 수는 없다고 판시하여 채무자의 점유이전의 의미를 2005다22688 판결과 달리 보고 있다.
[ "부동산의 압류의 효력이 발생한 후에 채무자가 채권자에게 점유를 이전한 것은 해당 부동산의 가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처분행위에 해당된다. 반면에 현실적인 매각절차가 진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 3자에게 점유이전을 한 행위는 처분행위로 보지 않은 판례도 있다." ]
CNTS-00078365876_15
기타
민사소송 대비 행정소송의 특징 개관
국가 또는 행정청(법령에 따라 행정권한의 위임 또는 위탁을 받은 행정기관, 공공단체, 그 기관 또는 사인이 포함)을 당사자 또는 참가인으로 하는 행정소송절차에 있어서는 국가 또는 행정청은 민사소송등인지법 규정의 인지를 첩부하지 않는다(인지첩부 및 공탁제공에 관한 특례법 2조 참조). 행정사건의 소가는 다음에 규정된 가액 또는 기준에 의한다. 조세 기타 공법상의 금전․유가증권 또는 물건의 납부를 명한 처분의 무효확인 또는 취소를 구하는 소송에 있어서는 그 청구가 인용됨으로써 원고가 납부의무를 면하게 되거나 환급받게 될 금전․유가증권 또는 물건가액의 3분의 1 다만, 그 금전․유가증권 또는 물건의 가액이 30억 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를 30억 원으로 본다(인지규칙17조 1호).
[ "국가 또는 행정청을 당사자 또는 참가인으로 하는 행정소송절차에 있어서 국가 또는 행정청은 민사소송등인지법 규정의 인지를 첩부하지 않는다." ]
CNTS-00078365866_4
기타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 기본법에 따른 진실규명결정과 국가배상소송
정리위원회는 2006. 11. 30. 박문규로부터 그의 친척 망 박옥배에 대한, 곽진오로부터 그의 부 망 곽재현에 대한 진실규명신청을 접수하여 위 신청을 비롯한 총 114건의 신청을 전남 서남부지역 민간인 희생사건으로 분류하여 2007. 4.경부터 2009. 2.경까지 신청인 100명 중 94명과 신청인측 참고인 92명, 관련 경찰 측 참고인 6명의 각 진술 등을 받고, 진도경찰서 및 완도경찰서의 관련 자료 및 각 지역 군지(郡誌), 전남지방경찰청 및 지역 언론사 출판물 등의 관련 문헌자료를 검토하는 한편 주요 사건발생 장소 및 수장지(水葬地) 등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조사결과 정리위원회는 2009. 4. 6. 유족 진술, 참고인 진술, 시신 수습 여부 및 제적부 기록 등을 근거로, 망 박옥배, 곽재현(이하 ‘망인들’이라 한다)이 ‘진도군 민간인 희생 사건 관련 희생자로서, 적법한 절차가 지켜지지 않은 상태에서 망 박옥배는 수복 이후 용장리 인민재판에 참관했다는 이유로 경찰에 연행되어 진도경찰서에 구금되었다가 1950. 11. 10. 경찰에게 끌려 나간 후 행방불명되었고, 망 곽재현은 수복 이후 부역 혐의로 고군지서 경찰에 연행되어 지서에 구금되어 있다가 1950. 10. 24. 고군면 오산리 저수지에서 경찰에게 사살되었다.’라고 인정하여 망 박옥배는 1950. 11. 중순경 경찰관들에게 끌려나간 후 사살되었음을 추정하고, 망 곽재현은 1950. 10. 24. 경찰에게 사살되었음을 확인하는 결정을 하였다.
[ "정리위원회는 망 박옥배와 망 곽재현에 대한 진실규명신청을 접수, 총 114건의 신청을 전남 서남부지역 민간인 희생사건으로 분류하여 참고인 진술과 관련 문헌자료 검토,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조사결과 유족 진술, 참고인 진술, 시신 수습 여부 및 제적부 기록 등을 근거로, 망 박옥배는 경찰관들에게 끌려나간 후 사살되었음을 추정하고, 망 곽재현은 경찰에게 사살되었음을 확인하는 결정을 하였다." ]
CNTS-00047967301_141
기타
민족문학론과 근대성
인용에서 그가 ‘형상적 반영’이라는 리얼리즘 예술이 갖는 고유한 특성을 강조하면서도 “역사는 필연성을 따라 흐른다”라고 할 때, 그는 작품의 형상화의 과정을 너무 단선적으로 해석하거나, 특히 그 형상화의 과정에서 작용하는 실천의 계기를 소홀히 하고 있어 보인다. 그가 말하는 역사적 필연성이란 그가 말하는 바 객관적 진리에 다름 아닌데, 그는 이 객관적 진리가 진리이기 때문에 오히려 도식성을 갖는다고까지 말한다. 다시 말해, 모든 이론은 다 도식성을 갖고 있는데, 다만 그것이 옳은 도식이냐 아니냐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물론 여기서의 옳은 도식이란 그가 말하는바 역사적 필연성, 객관적 진리, 현상의 객관성을 보다 정확하게 볼 수 있는 이론을 뜻한다. 말하자면 그는 리얼리즘이야말로 ‘실천’의 계기를 통해 오히려 그 도식성을 끊임없이 경계하는 이론임을 정확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 "그는 작품의 형상화 과정을 단선적으로 해석한다. 역사적 필연성은 객관적 진리로, 이것이 도식성을 갖는다. 중요한 것은 역사적 필연성 등을 정확히 볼 수 있는 옳은 도식 여부이다. 그는 리얼리즘이 도식성을 경계하는 이론임을 모르고 있다." ]
CNTS-00078235804_23
기타
사해행위취소소송의 수익자가 취득한 법정지상권이 건물양도계약이 사해행위로 취소된 후에 개시된 경매절차에서 건물을 낙찰받은 사람에게 승계되는지 여부
위 판례는 B가 취득한 법정지상권이 A를 거쳐 낙찰인 C에게 승계된다고 선언하고 있다. B가 취득한 법정지상권이 A에게 귀속되었을 경우에는 민법 제187조에 따라 낙찰인이 등기 없이 이를 취득할 수 있다는 점에는 이론이 있을 수 없으나, B가 취득한 관습상의 법정지상권이 등기 없이 당연히 A에게 이전되는 이유를 설명하기 어렵다. 공매절차에서 건물이 매각됨으로써 A와 B 사이의 건물매매계약이 실효하고, 이에 따라 B는 A에게 건물 소유권과 그 종된 권리인 대지에 대한 관습상 법정지상권을 반환할 의무가 생길 뿐이다. 건물의 반환은 세무서장 또는 한국자산관리공사의 말소등기촉탁에 의하여 이루어지지만, 관습상 법정지상권의 반환은 지상권이전등기를 통해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위 판례는 B가 취득한 관습상의 법정지상권이 등기 없이 당연히 A에게 이전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낙찰인이 이를 승계취득한다고 선언하였다. 이를 뒷받침할 명문의 법규정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위 판례와 같이 보아도 아래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당하거나 불리한 결과는 발생하지 않고, 오히려 당사자 간의 법률관계를 간명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불균형도 시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위 판례는 B가 취득한 법정지상권이 A를 거쳐 낙찰인 C에게 승계된다고 선언하고 있다. 관습상 법정지상권의 반환은 등기를 통해 이루어 진다. 위 판례는 B가 취득한 법정지상권이 등기없이 이전되는 것을 C에게 승계취득한다고 선언하였다. 법규정은 없지만, 당사자간의 법률관계를 간명하게 처리하고, 불균형을 시정한다." ]
CNTS-00049155096_196_197-0
기타
남북한 어문 규범 연구사
사이점이 없어 그동안 우리말의 복잡한 문장 구조에서 문장 부호 반점의 사용 범위가 너무 확장되어 있었는데, 이에 따라 우리말의 문법 구조 특히 문장 구조의 단위들을 명확히 드러내어 다른 성질의 것들과 구별시키는 기능이 감소되었다고 하였다. 때문에 어떤 경우에는 아무런 기능도 하지 못하면서 군더더기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고 하였다. '사이점' 사용은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고 하였다. 첫째, 문자에서 동종 성분 또는 복합 성분들인 것과 아닌 것을 뚜렷이 구별할 수 있게 해 준다고 하였다. 지금까지는 사이점이 사용될 부분에 반점이 사용됨으로써 문장을 분석적으로 단위적으로 식별하여 보는데 지장이 있었는데 이런 점이 사이표 사용을 통해 해결될 수 있다고 하였다. 둘째, 동음이의어적 문법 형태들을 분화시켜 준다고 하였다. 우리 말에서 가장 빈번히 사용되는 토의 하나인 '며'와 '고'를 이와 동일한 형태의 '며(면서)'와 '고(고서)'로부터 식별하여 준다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면서'와 '고서' 뒤에서도 가끔 반점을 찍으며 또한 접속토와 관련한 문이 길게 전개되었을 때에도 그 뒤에 반점을 찍었다. 이러한 결과 전테 문장을 다 읽지 않으면 '며' 또는 '고'가 접속토인지 시상태를 나타태는 토인지 알 수 없게 되어 있다고 하였다.
[ "사이점 없이 반점 사용 범위가 확장돼 우리말이 지닌 문장 구조 단위를 명확히 드러내어 다른 성질의 것과 구별시키는 기능이 감소했다. 사이점 사용은 문자에서 동종 성분이나 복합 성분인 것과 아닌 것을 구별하게 해주고, 동음이의어적 문법 형태를 분화시킨다. 즉, 우리 말 토의 '며'와 '고'와 '며(면서)'와 '고(고서)'를 식별할 수 있다." ]
CNTS-00047966896_105
기타
(법의학자가 풀어본 그림속) 표정의 심리와 해부
이제 입을 벌렸을 때의 큰광대근의 역할을 알아보자. 전술한 바와 같이 큰광대근은 웃음과 관계되는 표정근이며 미소 지을 때는 입을 다물거나 벌리거나 간에 큰광대근의 수축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큰광대근의 수축으로 인한 표정에 차이가 있다면, 이를 보이고 미소 짓는 경우와 입을 다물고 미소 짓는 경우로 나누어진다는 것뿐이다. 즉 입을 다물고 미소 짓는 표정은 큰광대근의 수축시에 입 주위에 있는 입둘레근이 덩달아 수축돼 만들어지는 것이며, 입을 벌리고 웃는 표정은 입둘레근의 수축이 동반되지 않은 채 만들어지는 것이다. 웃음이 커지면 커질수록 입은 크게 벌어지고 거기에 웃는 소리까지 더해지면 턱이 밑으로 처지며 위와 아래 치열 간격이 더욱 멀어진다.
[ "입을 다문 미소는 큰광대근 수축시 입둘레근이 함께 수축돼 만들어지고, 입을 벌리고 웃는 표정은 입둘레근의 수축없이 만들어진다." ]
CNTS-00052818155_61
기타
과거사정리 후속조치 연구를 위한 심포지엄
또 피해자들에 대한 신체적, 심리적 치료 프로그램도 넣을 수 있을 것이다. 이미 이루어진 입법은 위에서 살핀 대로 매우 적은 수의 개별 사건에 대한 입법에 머물러 있는 것이다. 그것도 입법과정에서의 숱한 어려움을 생각하면 수천 건의 사건에 대하여 개별 적으로 입법한다는 방식은 겪어본 사람이라면 생각하기도 싫을 정도일 것이다. 더구나 이루어진 입법들을 보더라도 일률적이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입법되고 폐기되는 법률에서 사건들 사이의 뚜렷한 차이를 알 수 없으며, 이는 보상이 붙은 법률과 명예회복에 그친 사건들 사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처럼 입법의 어려움, 개별적인 처리에 따른 비효율성, 비경제성을 지양하기 위해서는 민주화 운동 관련보상처럼 포괄적으로 규정하는 법률이 필요하다. 이제는 비인도적 국가범죄에 대하여 보상을 하는 것은 상식에 속한다. 진상규명에서 출발한 해외 사례들에서도 궁극적으로는 보상으로 나아갔다. 더욱이 우리나라의 국제적 위상에 걸맞지 않는 인권 후진국이라는 인상을 불식시키기 위해서도 마지못해 찔끔찔끔 입법하는 모 양새보다는 전향적으로 정리하여 해결하려는 인권국가의 면모를 세계에 보여주는 것도 중요 하다. 그래야 일제 만행에 대한 배상 요구에 대해서도 당당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생활이 어려운 피해자와 유족들이 많다는 점을 생각하면, 국가 책임으로 빈곤이 야기된, 또는 국가의 이익을 위하여 빈곤을 감수할 수밖에 없었던 계층에 대하여 지원하는 것은 보상의 목적에 합당할 뿐 아니라, 요즈음 같은 시기에는 경제적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 "비인도적 국가범죄에 대하여 보상을 해야한다. 이를 위해 입법의 어려움, 개별적인 처리에 따른 비효율성, 비경제성을 지양하기 위해서는 포괄적으로 규정하는 법률이 필요하다. 국가 책임으로 빈곤이 야기된 계층에 대하여 지원하는 것은 보상의 목적에 합당하다." ]
CNTS-00047966750_401
기타
상황윤리
보이스졸리는 티오콜사 공학자이다. 티오콜사와 나사가 로켓부스터 연구개발에서 하나의 의사결정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그의 발사지연 요청은 자신의 임무에 따른 행위였다. 그는 보편적 선을 위해서, 근거가 애매한 가공의 사회적 공익을 위해서 혹은 인간의 이타적 측면을 증명하기 위해서 발사 지연을 요청한 것이 아니다. 챌린저호 폭발 가능성에 대한 사전 경고가 있었다는 사실이 사후에 외부에 폭로된 후, 보이스졸리는 내부고발자로 몰리게 된다. 그의 경우는 의도되지 않은 내부고발에 속하며, 이것은 전문 지식의 활용 차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보이스졸리의 경우를 가지고 경영 자체가 가치중립적이라는 주장 혹은 조직체계를 구성하는 각 직업군의 성격을 무시한 채 신뢰가 마치 사회의 통합 이념이나 되는 것처럼 과장하는 주장은 무의미하다. 그러한 주장은 현실적 문제에 대한 지식인들의 불감증을 반영해주는 것일 뿐이다. 보이스졸리가 내부고발자로 몰리기 전, 곧 발사 지연을 요청한 시점으로 돌아가 보자. 그는 낮은 온도에 의한 오링의 결함 가능성을 팀장 맥도널드(Allen McDonald)에게 보고했다. 보이스졸리와 맥도널드의 발사 지연 요청에도 불구하고, 나사 운영 계획팀의 래리 물로이(Larry Mulloy)는 티오콜 경영진과의 협의를 통해 발사를 강행하려고 했다. 보이즈졸리와 맥도널드는 동료 공학자 룬드(Robert Lund)에게 도움을 청했고, 룬드는 티오콜 기술 기획팀에 속한 또 다른 공학자 제리 메이슨(Jerry Mason)에게 협조를 부탁했다. 메이슨에게서 돌아온 답변은 다음과 같았다. “너의 안전모(engineering hat)를 집어 던지고, 경영모(management hat)나 써라." 메이슨의 말은 룬드에게 부품의 공학적 결함을 찾는 일에 신경을 끄고 경영인의 자세로 돌아오라는 충고로 해석될 수 있지만, 그것은 또한 한번 결정된 일에 대해 상부를 설득하는 것은 불가항력이라는 의미로도 여겨질 수 있다.
[ "보이스졸리는 낮은 온도에 의한 오링의 결함 가능성을 발견하고, 그의 동료들과 함께 발사지연 요청을 하였지만 결국 상부의 결정을 바꿀 수 없었다. 챌린저호의 폭발 가능성에 대한 사전 경고가 있었다는 사실이 외부에 밝혀지면서 보이스졸리는 내부고발자로 몰리게 되는데, 이런 경우는 의도되지 않은 내부고발에 속하며, 윤리적 관점에서가 아닌 전문지식의 활용 차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
CNTS-00078369026_320
기타
아시아지역의 인권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나아가 아시아 민주주의 발전과 법치주의 실현, 나아가 국민의 기본적 인권 증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한국 헌법재판소의 주도로 창설된 아시아헌법재판소연합(AACC, Association of Asian Constitutional Courts and Equivalent Institutions)을 통하여 위헌법률심사제도와 인권보장을 위한 헌법소원제도 등을 통해 형성된 한국 헌법재판소의 인권보장 사례와 인권보장에 관한 노하우를 전수함으로써 개별 구체적 사안에서 인권을 보장함에 있어서는 각 나라의 특수성 등을 고려하면서도 이념으로서의 인권보장의 보편성을 인정하고 이를 실현하는 방향을 제시하는 노력을 하는 동시에 지역적 인권보장기구의 필요성을 역설하여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재판관 상호방문 및 자료공유에 대한 MOU 체결, 공동 심포지엄, 공동 학술대회 등을 개최하여 다양한 차원에서의 교류 협력을 증진시켜나갈 필요가 있다. 또 우리 헌법재판소가 아시아의 후발 헌법재판기관을 대상으로 기존에 실시하고 있는 초청 연수 프로그램을 확대하여 한국 헌법재판의 제도, 문화 등을 소개하고 전수함으로써 아시아 지역 내의 인권감수성과 인권친화성 기준을 상향평준화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다각적인 노력을 통하여 공통의 인권관념을 형성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한국 헌법재판소의 인권보장 사례와 인권보장에 관한 노하우를 전수함으로써, 인권보장의 보편성과 실현 방향을 제시하는 노력을 하면서, 지역적 인권보장기구의 필요성을 역설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 교류 협력을 증진하고, 초청 연수 프로그램으로 한국 헌법재판의 제도, 문화 등을 소개하고 전수하여 아시아 지역의 인권감수성·인권친화성을 상향평준화해야 한다." ]
CNTS-00049147093_15
기타
탈분화의 공간적 반영
한편 수요자의 측면에서도 놀라운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이는 앞서 언급한 대안관광의 등장으로 대표될 수 있다. 이는 관광객 기호의 다변화를 통한 새로운 관광지, 관광자원, 그리고 관광행동에 대한 추구라고 볼 수 있다. 대중관광중심의관광개발을 통해 형성된 관광지와 관광자원으로는다변화된 관광객의 기호를 더 이상 충족시켜주지못했기에 이에 부합되는 새로운 장소에 대한 방문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또한 관광객의 행동양식 또한 기존의 위락적인 측면을 벗어나 교육적이고 가치 지향적인 것을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관광지의선택과 관광객 행동양식을 좌우하는 관광객의 기호는 자신들만의 행동양식이나 취향들을 달리하는사회적 계급에 의해 좌우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인특징이다. 계급간에는 일상생활의 행동양식을 통해다른 계급과 자신을 구별하려는 ‘분류의 투쟁(classificatory struggles)’이 전개되는데14), 대안관광을 지지하고 있는 신중간계급은 노동계급이 주도하는 대중관광과의 구별을 조장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자신만의 정체성을 차별화시키고 있다.
[ "기존 관광자원이 관광객의 취향이나 기호를 모두 충족시키지 못하자 이에 대한 대안관광이 생겨났다. 관광객은 교육적이고 가치 지향적인 것을 추구했고 사회적 계급에 따라 취향이 달랐다. 특히 대중관광을 지지하는 이들과 다름을 주장하는 신중간계급이 특징적이다." ]
CNTS-00078365864_28
기타
전속 지입차주인 운송기사의 근로자성
다만 이 사건 판결이 명확하게 하고 있지는 아니하지만, 전속 지입차주인 운송기사는 차량이라는 자본을 소유하고 있으므로 언제라도 위수탁 계약을 해지하고 독립사업자로 복귀할 수 있는 지위 내지 역량을 가지고 있으므로 설령 현재 독립사업자성을 자발적으로 포기하였더라도 굳이 근로자로 보호할 필요가 없다거나 근로자로 보호하여서는 아니된다는 판단이 전제되어 있는 것이 아닐까 추측된다. 그런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2012다77006 판결과 대조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위 판결은 법무법인의 구성원인 변호사에 대하여 비록 구성원으로 등기되어 있지만 구성원 회의를 통하여 법무법인 운영 전반에 관여할 수 없고, 사법연수원 수료 직후 신입변호사로서의 업무와 별다른 차이가 없는 점에 비추어 보면, 구성원 변호사의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성을 긍정함이 타당하다고 판단한 사례이다. 필자가 굳이 이 판결을 비교 대상으로 삼은 것은 과연 전속 지입차주인 운송기사가 차량이라는 자본을 소유하고 있다는 것과 구성원인 변호사 사이에 독립사업자성 포기 상태를 그만두고 다시 독립사업자로 복귀하기에 어느 쪽이 유리한지를 비교, 생각해보고자 함에 있다.
[ "법무법인의 구성원인 변호사는 구성원 회의를 통하여 법무법인 운영에 관여할 수 없고,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성이 있다. 이 판결과 비교해서 전속 지입차주인 운송기사가 차량을 소유하고 있다는 것과 구성원인 변호사 사이에 독립사업자로 복귀하기에 어느 쪽이 유리한지를 고려해본다." ]
CNTS-00047966914_448
기타
조선후기 시조문학의 지평
그렇기 때문에 남성들에게 있어서 여성은 그들의 삶의 다양한 양상 속에서 마주치는 하나의 요인에 불과하지만, 여성들에게 있어서 남성과의 애정을 이루는 것이 절대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었다. 대다수의 작품에서 그 정체조차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은 남성에게 의존하려는 여성 화자의 태도는 그 관계가 철저히 종속적인 위치에 서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남성 작가들조차 애정이나 성을 다루는 작품들을 창작할 때, 여성 화자를 등장시키는 것은 그러한 남녀의 관계가 이미 사람들에게 깊이 각인되었음을 말해준다. 때문에 남성들은 그러한 구도를 아무런 의심없이 받아들이고, 그것이 반복적으로 재생산되는 과정에서 하나의 관습으로 굳어지게 된 것이다.
[ "대다수 작품 속 남성들에게 여성은 삶의 한 부분에 불과하지만, 여성들에게 남성의 사랑은 절대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다. 여성 화자의 종속적인 입장을 알 수있다." ]
CNTS-00078365875_0
기타
수용보상금에 대한 물상대위권행사와 선순위권자의 지위, 수용으로 인하여 소멸되는 토지상 권리의 구제방안
담보물객체의 멸실․수용 등의 이유로 소유자에게 손해배상청구권․보상금청구권․환지청구권 등이 발생한 경우에, 담보물권자가 그 청구권에 대하여 압류하여 우선변제를 받을 수 있는 것을 「담보물권의 물상대위성」이라고 하고 담보물권에 이러한 성질을 인정하는 것을 물상대위(物上代位)의 원칙이라고 한다. 담보물권자는 그 대물에 압류하므로써 효력확장을 인정받을 수 있다. 물상대위의 원칙은 담보물권의 효력을 강화시킨다. 또한, 저당권의 물상대위 요건으로서 수용보상금을 압류하도록 요구한 이유는 물상대위의 목적물이 채무자의 일반재산에 혼입되기 전에 압류하게 함으로써 저당권의 효력이 미치는 대상과 범위를 특정시키고, 그것이 채무자의 일반재산에 혼입된 뒤에는 저당권의 배타적 우선변제권을 주장할 수 없게 하려는 것이다.
[ "물상대위의 원칙은 담보물권의 물상대위성을 인정하는 것이다. 이는 담보물권의 효력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저당권의 효력이 미치는 대상 및 범위 특정을 하는 동시에 저당권의 배타적 우선변제권을 주장 못 하게 한다." ]
CNTS-00078369026_265
기타
아시아지역의 인권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1989. 11. 20 채택되고, 1990. 9. 2 발효된 아동의 권리에 관한 협약(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CRC))에는 한국, 북한을 포함하여 47개국이 가입하고 있으며, 1990. 12. 18 채택되고, 2003. 7. 1 발효된 모든 이주노동자와 그 가족의 권리보호에 관한 국제협약(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All Migrant Workers and Members of Their Families(CMW))에는 10개국이 가입하고 있으며, 2006. 12. 13 채택되고, 2008. 5. 3 발효된 장애인권리협약(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CRPD))에는 한국을 포함하여 36개국이 가입하고 있으며, 2006. 12. 20 채택되고, 2010. 12. 23 발효된 강제실종으로부터 모든 사람을 보호하기 위한 국제협약(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All Persons from Enforced Disappearance(CED))에는 총 10개 국가가 서명하였고 5개국이 비준하였다. 아시아지역에서 인권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해서 한국과 더불어 각종 국제인권조약에 가입하고 있는 아시아 나라들 중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인권 기준에 동의할 수 있는 나라들과 함께 특정 인권 보장과 준수를 위한 인권협약 내지 인권보장을 위한 협의체를 구성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 "아동의 권리에 관한 협약, 모든 이주노동자와 그 가족의 권리보호에 관한 국제협약,장애인권리협약, 모든 사람을 보호하기 위한 국제협약 등 한국과 더불어 국제인권조약에 가입하고 있는 아시아 나라들 중에서 인권 기준에 동의할 수 있는 나라들과 함께 협의체를 구성하는 것을 생각해볼 수 있다." ]
CNTS-00118877724_83
기타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개발제한구역 내에서의 건축물의 건축제한 등 개발행위규제를 다루고 있는「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제76조<개정 2002.12.30,2006.10.4,2007.1.19,2007.7.27>는 제5항에서「문화재보호법」에 따라 지정된 지정문화재 또는 천연기념물과 그 보호구역인 경우에는「문화재보호법」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건축물 그밖의 시설의 용도·종류 및 규모 등을 제한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동법 시행령<개정 2005.9.8> 제76조는 문화자원보존지구(문화재·전통사찰 등 역사·문화적으로 보존가치가 큰 시설 및 지역의 보호와 보존을 위하여 필요한 지구)에서「문화재보호법」의 적용을 받는 문화재를 직접 관리·보호하기 위한 건축물과 문화적으로 보존가치가 큰 지역의 보호 및 보존을 저해하지 아니하는 건축물로서 도시계획조례가 정하는 것은 건축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개발제한구역 내의 시설기준에 관하여 문화재보호법에서 규정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므로 문화재보호법에서 문화재와 관련한 건축물 등 시설기준을 규정할 수 있는 입법적 근거로 활용할 수 있다.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과 동법 시행령은 문화재보호법에 따른 개발행위규제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규정은 개발제한구역 안의 문화재와 관련된 건축물 등의 시설기준을 문화재보호법이 제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입법적 근거로 작용할 수 있다." ]
CNTS-00118870244_5
기타
AI 관련 분야 특허 심사 사례
로봇 청소기 학습 단계에서 로봇 청소기가 전체 청소영역에 대하여 주행을 진행하며, 각 영역별로 구분하여 주변 영상들을 수집하되, 각각의 영역에서 수집된 영상에 영역 식별자를 부가하여 학습 데이터로 수집한다. 수집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로봇 청소기 내 합성곱 신경망을 학습시킨다. 합성곱 신경망을 통한 영상 데이터의 구체적인 학습 방법은 후술하기로한다. 또한, 사용자는 청소 영역 식별자를 이용하여 로봇 청소기가 청소를 수행할 청소 영역과 로봇 청소기의 충전기가 위치한 충전 영역을 지정할 수 있다. 청소 영역을 인식하기 위한 합성곱 신경망의 학습이 완료된 청소기는 충전기에 거치되어 충전을 실시하며, 사용자의 청소 명령 또는 스케줄에 기반한 청소 기능 활성화를 대기한다. 로봇 청소기가 사용자의 청소 명령을 수신하거나 스케줄에 따라 청소 기능이 활성화 되면, 로봇 청소기는 현재 위치에서 주변의 영상을 수집한다. 로봇 청소기는 입력된 영상을 딥러닝 모델에 입력하여, 추정되는 청소 영역 식별자를 산출한다. 로봇 청소기는 추정된 청소 영역 식별자를 출발지로 하여 로봇 청소기의 주행 경로를 재설정한다. 주행 경로를 재설정하는 단계는 로봇 청소기의 배터리 잔량을 측정하여, 배터리 잔량이 임계치 이하일 경우, 상기 충전 영역으로의 경로를 재설정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봇 청소기의 배터리 잔량이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청소 영역 및 청소 영역별 평균 배터리 소비 데이터에 기반하여, 청소 영역을 거쳐 상기 충전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경로를 재설정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 "로봇청소기는 청소영역별로 수집된 영상에 영역 식별자를 부가하여 학습데이터를 수집하고 합성곱 신경망을 학습시킨다. 사용자는 로봇청소기가 청소할 영역과 충전 영역을 지정할 수 있다. 로봇 청소기는 입력 영상을 딥러닝 모델에 입력해 추정되는 청소 주행 경로를 재설정한다. 배터리 잔량이 임계치 이하면 충전영역으로 가고, 초과하면 배터리 소비 데이터에 기반해 청소영역을 거쳐 충전 영역으로 경로를 재설정할 수 있다." ]
CNTS-00049155096_159_160-0
기타
남북한 어문 규범 연구사
종래의 띄어쓰기 방식은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김민수(1973:210)에서 제시한 것을 옮기면, 먼저 분석식 띄어쓰기는 형태소까지 띄어 쓰는 방식으로 조사, 어미, 접사까지 최대한 띄어 쓰는 방식이다. 이것은 쪼갤 수 있는 데까지 띄어 씀으로써 오히려 독서에 방해가 된다는 단점이 있다. 어형식 띄어쓰기는 조사와 어미는 앞말에 붙여 쓰고 의존명사와 보조동사는 띄어 쓰는 것으로 현행 띄어쓰기 규정이 따르고 있는 것이다. 김민수(1973)에서 1946년 '개정한 한글 맞춤법 통일안'이 이것을 따랐다고 한 것은 현행 규정이 나오기 전인 1973년에 논문이 나왔기 때문이다. 구문식 띄어쓰기는 자립할 수 없는 의존어를 앞말에 붙여 쓰는 방식이다. 따라서 조사나 어미는 물론, 의존 형식인 의존명사와 보조동사도 앞말에 붙여 쓴다. 북한 맞춤법의 띄어쓰기가 기본적으로 이 방식을 취하고 있다. 구절식 띄어쓰기는 통사적으로 구절이 끊어지는 곳에서 띄어 쓰는 것으로, 띄어 쓰는 곳이 많지 않아 쉽게 익힐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구절을 나누는 기준이 모호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 "띄어쓰기 방식은 크게 네 가지이다. 분석식은 형태소까지 띄어 쓴다. 어형식은 조사와 어미는 앞말에 붙여 쓰고 의존명사와 보조동사는 띄어 쓰는 것으로 현행 띄어쓰기 규정이 따르는 방식이다. 구문식은 자립할 수 없는 의존어를 앞말에 붙여 쓴다. 구절식은 통사적으로 구절이 끊어지는 곳에서 띄어 쓴다." ]
CNTS-00047966750_114
기타
상황윤리
공학 지식이 과학의 응용이라고 생각한다면, 이것은 이론적인 것이 실천적인 것보다 우월하다는 지식의 위계질서 관점에서 기인한 고정 관념일 뿐이다. 공학 지식의 활용에서 과학의 역할을 따지기 전에 도구의 디자인에 의한 실천적 문제 해결은 과학의 응용이 아님을 분명히 하자. 여기서 분석할 도구는 우리가 매일 만나는 수도꼭지다. 수도꼭지는 현대 공학에 속할까? 이론을 포함한 많은 분석적 도구를 수단 도구로 하여 표적도구를 디자인하는 현대 공학에서 이 물음은 긍정될 수도, 부정될 수도 있다. 센서(sensor)가 장착된 고급 호텔의 수도꼭지는 복잡하다. 전자공학의 지식이 필요한 이러한 수도꼭지의 디자인은 현대 공학에 속한다단순한 수도꼭지가 현대 공학에 속한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백 년 전 공학의 수준에서는 단순한 수도꼭지도 공학에 속한다고 말할 수 있다. 수도꼭지 생산에 동원되는 소재 개발 자체를 수도꼭지 디자인에 포함시킨다면, 단순한 수도꼭지는 여전히 현대 공학의 산물이다. 또 과거의 노하우, 실례로 누수를 막기 위해 고무 패킹을 이용하는 노하우는 최신 첨단 수도꼭지 및 다른 복잡한 인공물 디자인에도 동원된다. 복잡한 현대 인공물 속에는 과거의 많은 노하우가 스며 있다. 공학자는 이러한 노하우의 대부분을 전문 교육기관이 아닌 현장에서 습득한다. 하나의 도구가 어떤 시대의 공학에 속하는가는 그 시대 공학의 수준에 좌우된다. 하지만, 실제 문제 해결의 디자인은 온갖 종류의 역사적 에피소드의 합성이다. 단순한 수도꼭지는 분명히 한때는 공학에 속했다.
[ "공학 지식이 과학의 응용이라고 생각한다면 이것은 이론이 실천적인 것보다 우월하다는 생각에서 생긴 고정 관념일 뿐이다. 복잡한 현대 인공물 속에는 과거의 많은 노하우가 있으며 공학자는 그것을 현장에서 습득한다. 하나의 도구가 공학에 속하는가는 그 시대 공학의 수준에 좌우되지만, 실제 문제 해결의 디자인은 온갖 종류의 역사적 에피소드의 합성이다." ]
CNTS-00060568950_127_127-0
기타
주근옥의 문학세계
그렇다면, 이와 같은 형식을 담보함으로써 얻게 되는 시적 효과는 무엇인가. 같은 글에서 시인은 “소절은 선험적 관념론이 아니며, 형질의 단순한 물리적 종합도 아니다. 절제 속에서 긴장과 의미의 생성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그 과정에 시선을 집중할 뿐”이라고 말한다. 즉, 시인이 소절의 짧은 형식을 통해 드러내고자 하는 것은 ‘시적 긴장과 의미의 생성’이 아니라 그것들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라는 ‘과정’이다. 그렇다면, 소절을 쓸 때의 시인의 역할은 주제를 드러내는 것에 있지 않다. 시인은 단지 긴장과 압축을 통해 한 현상만을 제시할 뿐이다. 즉, 표층구조만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그러면 시의 주인은 독자, 즉 청자가 된다. 청자는 시인이 제시한 표층구조에서 심층구조라는 의미를 들을 수 있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심층구조는 ‘청자’마다 다를 수 있고 그것은 정답도 오답도 아니다. 더군다나 이 의미는 확장된다.
[ "소절을 통한 시적 효과는 어떻게 이뤄지는가라는 과정이다. 시인은 표층구조만을 제시하고, 청자는 심층구조를 찾아내야 한다. 따라서 심층구조는 주관적이며 정답이 없고 더욱 광범위한 의미가 추출된다." ]
CNTS-00118870715_14
기타
제2기 인터넷 상생발전협의회 결과보고서
이런 한국의 법제와 달리, 유럽연합의 「일반개인정보보호규칙」 (GDPR)은 모든 개인정보의 처리(processing), 즉 ‘수집 이용’뿐만 아니라 ‘제3자 제공’에 있어서도,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민간의 개인정보처리자나 제3자의 정당한 이익을 위해 제3자와 개인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합법적인 길을 열어두고 있다. 즉, “개인정보처리자나 개인정보를 제공 받는 제3자가 추구하는 정당한 이익(legitimate interests)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보처리가 필요한 경우(다만, 그러한 이익보다 정보주체의 기본적인 권리와 자유를 보호해야 하는 이익이 더 클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함)”를 합법적인 정보처리의 기준으로 규정하고 있다(제6조 제1항 (f)).
[ "유럽연합 일반 개인정보보호 규칙에 모든 개인정보를 수집은 물론 제3자 제공에도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민간의 개인정보처리자나 제3자의 마땅한 이익을 위해 제3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CNTS-00114880822_28_28-0
기타
대한민국의 태동
사태가 악화되자 분노한 군인들은 민겸호의 집을 습격하였다. 그들은 흥선대원군을 찾아가 하소연하였다. 대원군은 녹봉미 지급을 약속하고 해산을 권하며 그들을 달랬다. 이에 군인들은 무기를 탈취한 후 포도청에 감금된 동료들을 구해내고 의금부를 습격하였다. 이어 강화유수 민태호의 집을 습격하고, 일부는 청수관(淸水館)의 일본 공사관을 습격하였다. 그 사이 별기군 교관(堀本禮造) 등 일본인 몇 명이 성난 군인들에게 살해되었다. 이후 구식군인들과 일부 서울 주민들이 이최응/민겸호 등을 살해한 뒤 창덕궁으로 난입하였으나, 군인들의 표적이 된 왕비는 간신히 창덕궁을 탈출하여 충주로 피신하였다.
[ "분노한 군인들은 흥선대원군에게 하소연한 후 의금부, 일본 공사관 등을 습격하는데, 일본인 몇 명이 죽게 된다. 이후 군인들은 창덕궁으로 향했으나 왕비는 피신에 성공했다." ]
CNTS-00047966808_163
기타
춘향전의 수용문화
그러나 이미 알고 있는 이야기에 몰입하며 즐거움을 누리는 춘향가의 청중들을 통시대적인 대중문화의 수용자로 일반화하기에는 분명 무리가 있다. 이들이 향유하였던 즐거움의 속성은 그 시대에 고유한 것으로서 현재 대중문화 수용자들과는 확연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대중 서사물이 도식과 장식으로 구성되며, 장식된 도식의 충족을 기대하는 대중문화의 수용자라는 큰 구도는 그리 다르지 않을 것이다. 단지 인기 있는 도식의 목록과, 그리고 도식을 장식하는 세부 구성의 방식이 문화적으로 다를 뿐이다. 모든 문화 생산물은 어느 정도의 관습에 바탕을 두고, 수용자의 기대를 충족시키면서 일탈이나 변이를 꾀하는 속성을 갖는다. 단지 대중문화에서는 관습적인 도식성을 크게 일탈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수용자와의 소통을 꾀한다는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이러한 상황은 도식성이 야기하는 소통의 즐거움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이미 길들여진 도식성 안에서 자아를 개입시키지 않고 그저 대화를 나누는 즐거움은 대화 당사자들이 서로의 변화를 요구하는 소통의 괴로움과 대비된다. 그러나 소통의 즐거움과 괴로움 모두 문학을 읽는 재미를 설명하는 큰 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그러나 이미 알고도 즐거움을 누리는 춘향가의 청중들을 통시대적인 대중문화의 수용자로 일반화하기는 그들과 차이가 있다. 큰 구도는 그리 다르지 않지만 세부 구성의 방식이 다르다. 이러한 도식성이 야기하는 소통에 기인한 감정들로 문학을 읽는 재미를 설명하는 큰 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CNTS-00078235796_7
기타
공인중개사법 제30조 제1항에서 정한 “중개행위”의 의미와 중개행위를 함에 있어 주의의무
중개업자는 고객과 물건의 확보를 하고 마지막으로 계약을 체결할 때까지 부동산 중개활동을 하게 되는데 먼저 고객과 물건을 확보하는 단계, 고객과 물건을 분석하는 준비단계, 물건에 관한 자료를 작성하고, 고객에 주목하고 흥미를 유발하는 단계, 현지에 안내하고 제시하는 단계, 물건의 특징을 요약하고 고객의 요구를 요약하여 계약체결을 시도하는 단계, 계약을 체결하는 마감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중개업자는 많은 물건을 보유하고 고객을 확보하여 계약을 체결하는 것이 영업상 중요할 것이나, 한편 이에 못지않게 물건에 관한 정확한 분석과 올바른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여 거래당사자에게 손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매우 중요한바 법률적인 문제는 대부분 후자를 제대로 하지 못하여 발생하고, 그로 인한 손해는 그대로 거래 당사자들에게 돌아가기 때문이다.
[ "중개업자는 고객과 물건을 확보하는 것을 시작으로 계약을 체결할 때까지 여러 부동산 중개활동을 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중개업자가 물건에 관한 정확한 분석과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여 고객에게 손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